KR20210048288A - Air cleaner and system for purifying ai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ir cleaner and system for purifying air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8288A KR20210048288A KR1020190132380A KR20190132380A KR20210048288A KR 20210048288 A KR20210048288 A KR 20210048288A KR 1020190132380 A KR1020190132380 A KR 1020190132380A KR 20190132380 A KR20190132380 A KR 20190132380A KR 20210048288 A KR20210048288 A KR 202100482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air purifier
- control unit
- flower pot
- fine du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개시내용은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관리하기 위해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as the time spent indoors increases, it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o keep the indoor air clean. Air purifiers are installed and used in homes and offices to cleanly manage indoor air.
또한, 실내에서의 거주 환경 개선을 위해 공기청정기와는 별도로 다양한 나무, 화초 등의 식물을 화분에 키우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indoor living environment, various plants such as trees and flowers are grown in pots apart from the air purifier.
그러나, 실내 공기 정화와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공기청정기와 화분을 별도로 구비하여 실내에 배치해야 하므로, 공간적 제약이 발생되며 실내 인테리어의 미감을 저해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purify the indoor air and improve the indoor environment, an air purifier and a flower pot must be separately provided and disposed indoors, thereby creating space constraints and may hinder the aesthetics of the indoor interior.
또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넓은 공간의 경우 다량의 공기청정기를 단순하게 배열 설치함에 따라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미흡한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arge space used by many people, it is insufficient to effectively manage indoor air by simply arranging and installing a large amount of air purifiers.
최근 들어, 공기 오염으로 인한 질병의 증가 및 쾌적한 삶에 대한 욕구가 커지면서, 공기 정화를 위한 장치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를 개선하여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줄 수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number of diseases caused by air pollution increases and the desire for a comfortable life increase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improvement of a device for purifying air. Therefore, improving and providing such a device can give users many advantages.
본 과제는, 공기 정화는 물론 인공 조경을 통한 관상용 장식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task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and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which can perform both air purification and ornamental decorative functions through artificial landscaping.
본 과제는,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된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task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circulating air more effectively and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과제는, 대공간에서의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increasing air purification efficiency in a large space and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본 구현예의 공기정화시스템은, 실내 공간 내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공기청정기는 서로 간에 미세먼지 농도를 송수신하고 이웃하는 공기청정기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각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 확산 방향을 따라 송풍팬 회전속도를 높이는 구조일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arranged at intervals in an indoor space, and each of the air purifiers transmits and receives a concentration of fine dust between each other and detects a relativ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air purifiers. Including the control unit, each air purifier may have a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along the direction of diffusion of fine dust.
상기 제어부는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강도를 연산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calculate the strength of a radio signal output from a neighboring air purifier to detect a relative distance to the neighboring air purifier.
상기 무선신호는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신호일 수 있다.The wireless signal may be a Wi-Fi or infrared signal.
본 구현예의 공기청정기는, 상단에는 인조수목이 설치되고 측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된 화분, 상기 화분 내부에 설치되어 통기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화분 내부에 설치되고 송풍팬 출측에 배치되어 공기 중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송풍팬을 제어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flower pot with an artificial tree installed on the top and a ventilation hole formed on the side, a blowing fan installed inside the flower pot to suck air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and installed inside the flower pot and placed on the outlet side of the blowing fan As a result, it may include a filter unit that filters pollutants from the ai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and drives the blowing fan.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분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 미세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 상기 외부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검출된 무선신호의 강도를 연산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검출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control unit includes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lower pot to detec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a communication unit that exchanges wireless signals with the outside, and calculates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det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neighbor air purifiers. It may be a structure that detects a relative distance to.
상기 인조수목은 화분에서 상부로 연장된 기둥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를 거친 공기가 흐르는 중심통로, 상기 기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줄기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통로와 연통되는 분기통로, 상기 줄기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분기통로와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rtificial tree is formed in a pillar extending upward from the flower pot, a central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flows, a branch passage formed inside at least one stem installed along the pillar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passage, the stem It is formed along the branch passage and may include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 신호 또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using a Wi-Fi signal or an infrared signal.
상기 중심통로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공기를 순환 배출하는 나선형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entral passage may further include a spiral passage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circulate and discharge air.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인조수목에 설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센서의 출력값을 연산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 구동할 수 있다.The air purifier may further include a light-emitting unit installed on the artificial tree to irradiate light,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and drive the light-emitting unit by calculating an output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상기 인조수목은 상기 줄기에 설치되는 복수의 나뭇잎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나뭇잎에 설치될 수 있다.The artificial tre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leaves installed on the stem, and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leaves.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인공 수목이 구비된 화분 구조로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개선하여, 실내 장식 및 인테리어 효과를 높임과 더불어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earance of the air purifier is improved more beautifully with the flower pot structure provided with artificial trees, and indoor air can be kept clean while improving interior decoration and interior effects.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화분과 공기청정기를 단일화시켜 좁은 실내에서도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By unifying a flower pot and an air purifier for indoor interiors, space can be effectively used even in a narrow room.
실내 공기질에 따라 화분의 인공 수목을 통해 색상 변화하여 정보 확인 및 아름다운 조명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Depending on the indoor air quality, the color changes through the artificial tree in the flowerpot, so that information can be checked and beautiful lighting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상하 압력차를 줄이고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켜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It is possible to increas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by reducing the upper and lower pressure difference and effectively circulating air.
대공간에서의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and an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air purification in a large space.
공간내에 배치된 복수의 공기청정기가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최적 상태로 제어 구동됨으로써, 대공간 내부의 공기질을 최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air purifiers arranged in the spa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and controlled and operated in an optimum state, so that the air quality inside the large space can be maintained at the best level.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artial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ai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presented as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b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ar as possible, the same or similar parts are indicat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below is only for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The meaning of "comprising"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specifies a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component and/or group It does not ex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preferre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1 and 2 show the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00)는 인조수목(130)이 설치된 화분(110), 송풍팬(114), 필터부(116),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화분(110)은 내부가 빈 용기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화분(110)은 예를 들어, 상부가 분리되어 내부를 개방하는 구조일 수 있다. 화분(110) 내부에 공기 정화를 위한 각종 구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화분(110)의 상단에는 인조수목(13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The
화분(110)의 측면에는 공기가 빨려들어갈 수 있도록 통기공(1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화분(110)의 구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A
화분(110) 내부에 송풍팬(114)과 필터부(116) 및 제어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화분(110) 측면에는 송풍팬(114)을 포함하여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이 연장 설치될 수 있다. A blowing
화분(110) 내부에서 송풍팬(114)과 필터부(116)가 화분(110)의 통기공(112)과 인조수목(130) 사이에 배열 설치된다. 송풍팬(114)은 화분(110) 내부에 설치되어 통기공(1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Inside the
이에, 송풍팬(114)이 구동되면 통기공(11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필터부(116)를 거쳐 인조수목(130)으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blowing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00)는 상류 분출 방식으로, 화분(110) 측면의 통기공(112)에서 율입된 공기는 송풍팬(114)에 의해 위쪽으로 분출되고 화분(110) 상부쪽에 배치된 필터부(116)를 거쳐 인조수목(130)으로 배출된다. The
필터부(116)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제거한다. 필터부(116)는 오염물질에 따라 여러 종류의 필터가 다단계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필터부(116)의 필터 종류나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The
필터부(116)는 화분(110)에서 교체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필요한 경우 화분(110)을 상하로 분리하여 사용한 필터부(116)를 화분(110) 내부에서 제거하고 새로 교체하거나 청소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필터부(116) 출측에 인조수목(130)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116)를 거친 청정 공기는 인조수목(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인조수목(130)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화초, 나무 등의 식물이다. 인조수목(130)의 재질은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정공기를 배출하는 부분인 나무 등과 같은 인조수목(130)으로 이루어져 있어,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인조수목(130)은 화분(110)에서 상부로 연장된 기둥(132) 내부에 형성되어 필터부(116)를 거친 공기가 흐르는 중심통로(133), 기둥(132)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줄기(134) 내측에 형성되어 중심통로(133)와 연통되는 분기통로(135), 줄기(134)를 따라 형성되고 분기통로(135)와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필터부(116)를 거쳐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청정한 공기는 인조수목(130)에 형성된 중심통로(133)와 분기통로(135) 및 배출구(137)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Accordingly, clean air from which fine dust has been removed through the
인조수목(130)의 형태나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shape or size of the
기둥(132)은 화분(110) 중심에 설치되어 필터부(116)와 바로 연결될 수 있다. 기둥(132) 내부에 형성된 중심통로(133)는 필터부(116)의 출측과 연통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중심통로(133)는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 유로(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 유로(140)는 기둥(132) 형성시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인조수목(130) 내측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에, 송풍팬(114)에 의해 배출되는 청정공기는 기둥(132)의 중심통로(133)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면서 나선형 유로(140)를 따라 나선형태로 회전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기둥(132)에서 상하로 배치된 배출구(137) 사이에 압력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clean air discharged by the blowing
기둥(132)은 상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형태를 이룬다. 이에, 기둥(132) 내부에 형성되는 중심통로(133) 역시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게 된다. 따라서, 기둥(13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줄기(134)의 배출구(137)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언급한 바와 같이 청정공기가 나선형 유로(140)를 따라 순환하면서 상승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배출구(137)와 하부에 위치한 배출구(137) 사이에 압력차이가 줄게 된다. 따라서 인조수목(130) 전체적으로 모든 배출구(137)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청정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clean air circulates and rises along the
줄기(134)는 기둥(132)을 따라 배열 설치될 수 있다. 줄기(134)의 내부를 따라 분기통로(135)가 형성되어 중심통로(133)와 연통된다. 줄기(134)의 표면에는 분기통로(135)와 연통되는 배출구(137)가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줄기(134)는 기둥(132)을 따라 외측으로 퍼져 고르게 분포되므로, 청정공기를 줄기(134)에 형성된 배출구(137)를 통해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The
각 줄기(134)에는 복수의 나뭇잎(136)이 배열 설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00)는 나뭇잎(136)에 설치되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26)는 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제어부(120)의 신호에 따라 빛을 외부로 조사한다. 발광부(126)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거나 할 수 있으며, 빛의 밝기를 조절하여 필요한 정보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26)는 LED발광 소자일 수 있다.The
이와 같이, 나뭇잎(136)에 발광부(126)가 설치되어 외부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함은 물론 공기청정기(100)의 미감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126)는 나뭇잎(136)의 하면에 설치되는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줄기(134) 또는 화분(110)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제어부(120)는 화분(110)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 미세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0)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송풍팬(114)과 발광부(126)를 제어 작동할 수 있다. The
검출센서(122)는 미세먼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The
제어부(120)는 검출센서(122)의 검출 신호를 연산하여 미세먼지 농도에 맞춰 설정된 값ㅂ으로 송풍팬(114)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발광부(126)에 출력신호를 인가하여 특정 색상의 빛 또는 빛의 밝기를 제어 작동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검출센서(122)에서 검출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송풍팬(114)을 보다 강하게 구동하고 발광부(126)의 빛을 붉은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detected by the
실내에 복수의 공기청정기(100)가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이웃하는 공기청정기(100)와의 상대적 거리에 따라 송풍팬(114)을 제어 구동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외부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검출된 미세먼지의 농도값을 통신부(124)를 통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24)를 통해 수신된 이웃 공기청정기(100)의 미세먼지 농도값을 확인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24)를 통해 검출된 무선신호의 강도를 연산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100)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통신부(124)는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4)는 와이파이(Wifi) 신호를 송수신하는 와이파이모듈 또는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불루투스(bluetooth) 모듈일 수 있다.The
이에, 공기청정기(100)는 통신부(124)를 통해 이웃하는 공기청정기(100) 사이에서 무선 출력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24)를 통해 검출된 무선 신호를 강도를 검출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100)와의 이격된 거리를 연산한다. Accordingly, the
무선 신호의 세기는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제어부(120)는 통신부(124)를 통해 검출된 무선신호의 강도를 확인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100)와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Since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the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통신부(124)를 통해 수신된 이웃 공기청정기(100)의 미세먼지 농도값과 상대적인 거리를 확인하여, 송풍팬(114)을 제어 구동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따라서, 대공간을 갖는 실내에서 복수의 공기청정기(100)를 구비한 경우 각각의 공기청정기(100)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보다 유기적으로 제어 구동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도 3은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공기정화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3 shows an air purification system in which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ar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실내 공간 내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200)로 연결된 복수의 공기청정기(100)를 포함한다. 각각의 공기청정기에 구비된 제어부(120)는 미세먼지 농도 검출을 위한 검출센서(122)와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 실내에 배치된 각 공기청정기를 출입구로부터 순차적으로 번호를 기재하여 설명한다. 즉, 1번(101)이라 함은 1번 공기청정기를 의미한다. 또한, 공기청정기라 함은 1번에서 6번의 공기청정기(101 내지 106)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air purifier disposed indoors in FIG. 3 is sequentially numbered from the entrance. That is, No. 1 101 means No. 1 air purifier. In addition, the air purifier may refer to all of the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각각의 공기청정기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공기청정기와 동일하므로, 이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structure of each air purifier including the
공기청정기에 구비된 제어부(120)는 이웃하는 공기청정기 상호 간에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값을 송수신하고 이웃하는 공기청정기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검출한다. 일측 공기청정기의 검출센서(122)에서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값은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이웃하는 공기청정기로 보내진다. 이웃하는 공기청정기 간의 이격 거리는 공기청정기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강도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The
이에, 본 시스템은 미세머지 확산 방향을 확인할 수 있고, 미세 먼지 확산 방향을 따라 각 공기청정기의 송풍패 회전속도를 높임으로써 실내 공기 청정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system can check the direction of diffusion of the fine mist,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door air cleaning by increa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air purifiers along the direction of diffusion of the fine dust.
도 3에서 출입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는 출입구에서부터 먼쪽을 향해 확산된다. 본 시스템을 통해 각 공기청정기 역시 출입구에서부터 먼쪽으로 배치된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송풍팬(114)의 회전속도가 증가되어 미세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즉, 도 3에서 출입구로 들어온 미세먼지는 1번(101)으로부터 2번(102)과 4번(104), 3번(103)과 5번(105), 및 6번(106)으로 확산되어 나간다.In FIG. 3,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entrance is diffused toward the far side from the entrance. Through this system, each air purifier also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이에, 출입구쪽에 배치된 1번(101)의 미세먼지 검출 농도가 먼저 증가하게 된다. 1번(101)의 검출값은 통신부(124)를 통해 이웃하는 공기청정기로 전송된다.Accordingly, the detection concentration of fine dust of No. 1 101 disposed at the entrance side increases first. The detected value of No. 1 101 is transmitted to the neighboring air purifier through the
이웃하는 공기청정기는 1번(101)을 포함하여 다른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 검출 농도 증가 정보를 수신함과 더불어 1번을 포함하여 다른 공기청정기와의 이격거리를 검출한다. The neighboring air purifiers, including number 1 101, receive information on the increase in the detection concentration of fine dust of other air purifiers, and detect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other air purifiers including number 1.
예를 들어, 2번(102)은 1번(101)의 미세먼지 검출 농도와 이격거리, 3번(103)과 5번(105) 등의 미세먼지 검출 농도와 이격거리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미세먼지가 1번(101) 쪽에서 확산되어 옴을 연산할 수 있다.For example, No. 2 (102) receives the detection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distance of fine dust of No. 1 (101), and the detection concentration and separation distance of fine dust of No. 3 (103) and No. 5 (105), from which Fine dust diffuses from the No. 1 (101) side, and ohms can be calculated.
따라서, 2번(102)은 1번(101)의 미세먼지 농도와 이격거리에 기초하여 해당 송풍팬(114)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econd 102 can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이에, 미세먼지의 확산방향을 따라 각 공기청정기의 송풍팬(114)이 순차적으로 적절한 값으로 구동되어 실내의 공기를 최적으로 정화 처리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blowing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아래 수식을 통해 송풍팬(114)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 = ((i1×d1 + i2×d2 + i3×d3 .... in×dn)/∑i) + m)×kR = ((i1×d1 + i2×d2 + i3×d3 .... in×dn)/∑i) + m)×k
dn은 해당 공기청정기에서 가까운 순서에 따른 공기청정기와의 이격 거리dn is the distance between the air purifier and the air purifier in the nearest order from the air purifier.
in은 해당 공기청정기에서 가까운 순서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 측정 농도in i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i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order closest to the air purifier.
m은 해당 공기청정기치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m i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at the air purifier value
k는 상수k is a constant
R은 해당 공기청정기의 송풍팬 RPM 출력값R is the RPM output value of the blowing fan of the air purifier
상기한 수식을 통해, 해당 공기청정기는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이격 거리와 미세먼지 측정값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아, 각각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실내에 구비된 각 공기청정기가 최적 상태로 제어되어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e above equation, the air purifi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separation distance from neighboring air purifiers and a measurement value of fine dust, and may appropriately control the rotational speed of each blowing fan. Accordingly, each air purifier provided in the room is controlled to an optimum st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air in the room.
이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하에서 실내에 배치되어 있는 각 공기청정기가 서로의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최적 상태로 송풍팬을 제어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 정화 효율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ntrol and drive the blower fan in an optimal state while each air purifier disposed indoors under the wireless network shares data with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maximize the indoor air purification efficiency.
또한, 본 시스템은 머신러닝을 통해 각 공기청정기를 트레이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can train each air purifier through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은 기계 학습으로 검출된 데이터로부터 학습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Machine learning refers to learning from data detected by machine learning and executing an action.
이에, 각 공기청정기의 제어부(120)는 내장된 알고리즘을 통해 미세먼지 농도 측정값과 공기청정기 간 이격거리 측정값을 데이터하여, 학습을 통해 해당 공기청정기에서의 송풍팬(114) 회전속도를 보다 최적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러한 머신러닝을 통해, 실내로 유입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보다 빠른 속도로 최소화하여 실내를 정화할 수 있게 된다.Through such machine learning,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room by minimizing foreign matter such as fine dust introduced into the room at a faster rat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se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all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will not depart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공기청정기 110 : 화분
112 ; 통기공 120 : 제어부
122 : 검출센서 124 : 통신부
126 : 발광부 130 : 인조수목
132 : 기둥 133 : 중심통로
134 : 줄기 135 : 분기통로
136 : 나뭇잎 137 : 배출구
140 : 유로 200 : 네트워크100: air purifier 110: potted plant
112; Ventilation hole 120: control unit
122: detection sensor 124: communication unit
126: light-emitting unit 130: artificial tree
132: pillar 133: central passage
134: stem 135: branch passage
136: leaves 137: outlet
140: euro 200: network
Claims (7)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분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 미세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 상기 외부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검출된 무선신호의 강도를 연산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검출하는 구조이고,
상기 인조수목은 화분에서 상부로 연장된 기둥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를 거친 공기가 흐르는 중심통로, 상기 기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줄기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통로와 연통되는 분기통로, 상기 줄기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분기통로와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Artificial trees are installed on the top and a flower pot with a ventilation hole on the side, a blowing fan installed inside the flower pot to suck air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and a ventilation fan installed inside the flower pot and placed at the outlet of the blowing fan to filter pollutants in the air. Including a filter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d driving the blowing fa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lower pot to detect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air, a communication unit that exchanges wireless signals with the outside, and calculates the strength of the wireless signal det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neighbor air purifier It is a structure that detects the relative distance to and,
The artificial tree is formed in a pillar extending upward from the potted plant, a central passage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flows, a branch passage formed inside at least one stem installed along the pillar to communicate with the central passage, the stem An air purifier formed along the branch passage and including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상기 중심통로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공기를 순환 배출하는 나선형 유로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1,
The central passage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purifier further comprising a spiral passage for circulating and discharging air.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인조수목에 설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센서의 출력값을 연산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 구동하는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purifier further includes a light-emitting unit installed on the artificial tree to irradiate ligh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and drives the light-emitting unit by calculating an output value of the detection sensor.
상기 인조수목은 상기 줄기에 설치되는 복수의 나뭇잎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나뭇잎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The method of claim 3,
The artificial tre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leaves installed on the stem, and the light emitting part is an air purifier installed on the leaves.
상기 각각의 공기청정기는 서로 간에 미세먼지 농도를 송수신하고 이웃하는 공기청정기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각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 확산 방향을 따라 송풍팬 회전속도를 높이는 구조의 공기정화시스템.Including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arranged at intervals within the indoor space,
Each of the air purifiers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transmits and receives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between each other and detects a relativ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air purifiers, and each air purifier has a structure that increases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lowing fan along the direction of diffusion of fine dust. system.
상기 제어부는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강도를 연산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검출하는 공기정화시스템.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trength of a wireless signal output from a neighboring air purifier and detects a relative distance to the neighboring air purifier.
상기 무선신호는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신호인 공기정화시스템.The method of claim 6,
The wireless signal is a Wi-Fi or infrared signal air purification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2380A KR102256078B1 (en) | 2019-10-23 | 2019-10-23 | Air cleaner and system for purifying air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2380A KR102256078B1 (en) | 2019-10-23 | 2019-10-23 | Air cleaner and system for purifying air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8288A true KR20210048288A (en) | 2021-05-03 |
KR102256078B1 KR102256078B1 (en) | 2021-05-25 |
Family
ID=7591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2380A Active KR102256078B1 (en) | 2019-10-23 | 2019-10-23 | Air cleaner and system for purifying air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6078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40423U (en) * | 1988-09-09 | 1990-03-19 | ||
JP2002065822A (en) * | 2000-08-28 | 2002-03-05 | Canon Ntc Inc | Air cleaner |
JP2004143650A (en) * | 2002-10-21 | 2004-05-20 | Canon Semiconductor Equipment Inc | Artificial foliage plant |
JP2005061724A (en) * | 2003-08-14 | 2005-03-10 | Kokoro:Kk | Air cleaner |
JP2008281279A (en) * | 2007-05-10 | 2008-11-20 | Toyota Motor Corp | Indoor environment control cooperation system, and mobile body mounted device and fixed facility installation type device constituting indoor environment control cooperation system |
JP6212549B2 (en) * | 2013-05-17 | 2017-10-11 | 豊和化成株式会社 | Air blowing device |
-
2019
- 2019-10-23 KR KR1020190132380A patent/KR10225607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40423U (en) * | 1988-09-09 | 1990-03-19 | ||
JP2002065822A (en) * | 2000-08-28 | 2002-03-05 | Canon Ntc Inc | Air cleaner |
JP2004143650A (en) * | 2002-10-21 | 2004-05-20 | Canon Semiconductor Equipment Inc | Artificial foliage plant |
JP2005061724A (en) * | 2003-08-14 | 2005-03-10 | Kokoro:Kk | Air cleaner |
JP2008281279A (en) * | 2007-05-10 | 2008-11-20 | Toyota Motor Corp | Indoor environment control cooperation system, and mobile body mounted device and fixed facility installation type device constituting indoor environment control cooperation system |
JP6212549B2 (en) * | 2013-05-17 | 2017-10-11 | 豊和化成株式会社 | Air blow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6078B1 (en) | 2021-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9737B1 (en) | Multi function veretation apparatus | |
AU2020100305A4 (en) | Air purifier in a furniture article | |
KR101719400B1 (en) | Plants cultivation device with air purification function | |
US20220174899A1 (en) | Modular Hydroponic Grow Box | |
KR102102954B1 (en) | Smart air cleaning system | |
KR101429678B1 (en) | All-in-one indoor environmental improvement devices | |
US20180206414A1 (en) | Green wall modular system | |
US20200084983A1 (en) | Automated Hydroponic Greenhouses | |
CN102934588B (en) | Multifunctional indoor decontaminating plant wall | |
US12326276B2 (en) | Air purifier | |
CN104871856A (en) | Single-side movable air purification plant wall | |
CN106662350A (en) | Air purifier and appliance having air purifying functionality | |
KR20200063702A (en) | Air cleaner using botany | |
KR101334246B1 (en) | Fish tank with led and air cleaner | |
CN107014024A (en) | humidifying and purifying device | |
KR102256078B1 (en) | Air cleaner and system for purifying air using the same | |
KR102157626B1 (en) | Smart pot | |
KR20190106189A (en) | Air cleaner using botany | |
KR102504451B1 (en) | Window type smart ventilation purifier | |
KR20200134746A (en) | Smart flower pot with blowing function | |
WO2013077918A1 (en) | Automatic lighting controller for attached macroalgal growth | |
KR101251092B1 (en) | Lighting apparatus having air cleaning function | |
CN204880380U (en) | Intelligence biological purification ware | |
KR20230151600A (en) | Air purifier containing microalgae | |
KR102038523B1 (en) | Air purifying apparatus using pla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