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44533A -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Bus-bar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Bus-b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533A
KR20210044533A KR1020190127809A KR20190127809A KR20210044533A KR 20210044533 A KR20210044533 A KR 20210044533A KR 1020190127809 A KR1020190127809 A KR 1020190127809A KR 20190127809 A KR20190127809 A KR 20190127809A KR 20210044533 A KR20210044533 A KR 20210044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module
battery module
cylindrical battery
battery cel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8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789539B1 (en
Inventor
양근주
손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127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89539B1/en
Publication of KR20210044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5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9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953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3Portable devices, e.g. mobile telephones, cameras or pacemakers
    • H01M10/6235Power to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3Terminals or l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류 손실을 줄이고,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행과 열로 배열되고 전극 단자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을 삽입 수용하도록 복수의 중공 구조를 가진 수용부가 구비된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전극 단자와 접촉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가 구비된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와 접합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보다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가지며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제2 금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모듈 버스바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battery module capable of reducing current loss and increasing manufacturing efficiency.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and having electrode terminals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 module housing having a receiv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hollow structures to insert and receive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a main body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tact electrod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 module including a first metal plate and a second metal plate bonded to the body of the first metal plate and having a metal having a relatively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metal plate and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metal plate Includes a bus bar.

Description

모듈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 Having Module Bus-bar}Battery Module Having Module Bus-bar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Bus-bar}

본 발명은 모듈 버스바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 손실을 줄이고,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including a module bus b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ttery module capable of reducing current loss and increasing manufacturing efficiency.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notebook computers, video cameras, portable telephones, etc.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energy storage batteries, robots, satellites, etc. is in earnest, high-performance secondary batteries capable of repetitive charging and discharging Research on is being actively conducted.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Currently commercialized secondary batteries include nickel cadmium batteries, nickel hydride batteries, nickel 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which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little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based secondary batteries, so charging and discharging are free. It has a very low self-discharge rate and is in the spotlight for its high energy density.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를 구비한다.Thes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inly use lithium-based oxides and carbon materials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respectively. In additio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to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applied, respectively,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therebetween, and an exterior material for sealing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an electrolyte.

이러한, 이차전지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차전지의 온도, 전류, 및 전압 등을 확인하는 것은 안전사고 발생의 방지 및 이차전지 수명 향상 등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In using such a secondary battery, it is very important to check the temperature, current, and voltage of the secondary battery in terms of preventing safety accidents and improving the life of the secondary battery.

즉, 전자기기의 성능이 날로 향상되어 감에 따라, 한번에 고출력의 전력을 공급하는 이차전지의 성능 또한 향상되어 가고 있다. 특히, 이러한 고출력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이차전지의 경우 발열량이 매우 커, 온도 상승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 발화/폭발 등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That is, as the performance of electronic devices improves day by day, the performance of a secondary battery that supplies high-output power at a time is also improving.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secondary battery used in such a high-power electronic device,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s very large, and if it is not adequately coped with the temperature increase, accidents such as ignition/explosion may occur.

이를 위해,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배터리 관리 유닛은, 복수의 이차전지의 온도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온도 소자로 NTC 소자(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PTC 소자(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등이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 battery management unit applied to an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NTC device),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device (PTC device), etc. as a temperature device us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

또한, 종래기술의 배터리 모듈은, 복수의 이차전지를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거나, 또는 병열 연결하도록 전기 전도성의 버스바 플레이트를 구비하였다. 더욱이, 이러한 버스바 플레이트는, 배터리 관리 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의 이차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거나, 외부입출력 단자를 통해 복수의 이차전지의 전력을 외부 전자 디바이스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In addition, the battery module of the prior art is provided with an electrically conductive busbar plate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in series or in parallel. Moreover, such a bus bar plate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management unit to control charging and discharging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or to transfer power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an external input/output terminal. It was common.

최근, 이러한 배터리 모듈에 구비되는 버스바 플레이트는, 전극 단자와의 저항 용접의 용접성을 높이기 위해 다소 전기 저항이 높은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Recently, the bus bar plate provided in such a battery module may use a material having a somewhat high electrical resistance in order to increase the weldability of resistance welding with an electrode terminal.

그러나, 이러한 전기 저항이 높은 버스바 플레이트는, 이차 전지에서 생성된 전류를 외부 디바이스까지 전달하는데 전류 손실을 크게 하는 요소가 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저항이 높은 소재일 수록, 열전도도가 떨어져, 이러한 버스바 플레이트를 적용한 배터리 모듈의 방열 성능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However, such a bus bar plate having a high electrical resistance may become an element that increases current loss in transferring the current generated from the secondary battery to an external device, and thus energy efficiency may be impaired. In addition, the higher the electrical resistance, the lower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his may be a factor deteriorating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of the battery module to which the busbar plate is applied.

반대로, 전기 저항이 낮은 소재를 사용한 버스바 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저항 용접을 사용하여 전극 단자와 버스바 플레이트 간의 접합시, 저항열을 충분히 발생시키기 어려워 용접성이 떨어지고 용접 작업의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배터리 모듈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Conversely, when a busbar plate made of a material with low electrical resistance is used, it is difficult to generate sufficient resistance heat when bonding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busbar plate by using resistance welding, resulting in poor weldability and lengthening the welding time. there was. Accordingly,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and a decrease in durability of the battery module have occurred.

더욱이, 전기 저항을 낮추기 위해 두꺼운 금속 플레이트를 사용할 경우에는, 두꺼운 금속 플레이트를 소정 온도 이상으로 용접 온도를 상승시키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많은 열원을 부가해야 하므로, 원통형 전지셀과 두꺼운 금속 플레이트를 직접 저항 용접하는 데는 큰 어려움이 있었다.Moreover, in the case of using a thick metal plate to lower the electrical resistance, it takes a long time to increase the welding temperature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the thick metal plate, and a large amount of heat source must be added, so that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and the thick metal plate are directly connected. There was great difficulty in resistance welding.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의 효율과 배터리 모듈의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modul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류 손실을 줄이고, 제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detai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reducing current loss and increasing manufacturing effici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shown in the claims and combinations thereo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행과 열로 배열되고 전극 단자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and having electrode terminals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을 삽입 수용하도록 복수의 중공 구조를 가진 수용부가 구비된 모듈 하우징; 및A module housing having a receiv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hollow structures to insert and receive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전극 단자와 접촉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가 구비된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와 접합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보다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가지며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제2 금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모듈 버스바를 포함한다.A first provided with a main body part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tact electrod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 module bus having a metal plate and a second metal plate bonded to the body of the first metal plate and having a metal having a relatively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metal plate and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metal plate Includes a bar.

또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는 복수개로 분할되고 소정 거리로 서로 이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etal plat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have a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더욱이,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내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second metal plate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그리고, 상기 본체부는,And, the body portion,

일단 또는 타단이 상기 접속부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 제1 연결부; 및A first connecting portion having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r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양 단부 각각에 상기 제1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분의 수평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연결부 보다 좁은 제2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A second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at each of both ends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a width of the extended 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나아가, 상기 본체부는,Furthermore, the body portion,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배열의 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 연장부; 및A first extension part elongated in a row direction of the array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배열의 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extensions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in a column direction of the array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제2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나머지 부분 보다 수평 방향의 폭이 좁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may have a structure having a narrower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remaining portion.

더욱이, 상기 모듈 버스바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적층된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전극 단자와 접촉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접속 연장부가 형성된 제3 금속 플레이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e busbar includes a bonding portion stack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tact electrod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from one side of the bonding portion. 3 A metal plate may be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접속부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의 접속 연장부는,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metal plate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of the third metal plat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와 대면하고 있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In addition,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is located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facing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 고정하도록 내입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groove recesse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fixed.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은 배터리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t least one battery module.

더욱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는, 배터리 팩을 포함한다.Moreover,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battery pack.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배터리 모듈은, 제2 금속 플레이트가 상대적으로 제1 금속 플레이트가 구비한 금속 보다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구비함으로써, 모듈 버스바의 전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배터리 모듈의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높은 전도성을 가진 제2 금속 플레이트는, 상대적으로 제1 금속 플레이트보다 열 전도율이 높고 냉각 속도가 빠르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의 열 방출을 도와 배터리 모듈의 냉각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attery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cond metal plate comprises a metal having relatively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metal provided by the first metal plate, current loss of the module busbar can be reduced. , It can reduce the power loss of the battery module. Moreover, the second metal plate having high conductivity has a relatively higher thermal conductivity and a faster cooling rate than the first metal plat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greatly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by helping the battery module to dissipate hea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제2 금속 플레이트가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에 클래드 접합됨으로써, 제2 금속 플레이트와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 간의 전기적 연결성이 매우 우수하고, 제2 금속 플레이트와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 간의 접합성(결합성)이 우수하여, 모듈 버스바의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tal plate is clad-bonded to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so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metal plate and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is very excellent, and the second Since the bonding property (bonding property) between the metal plate and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is excell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rability of the module busbar from becoming weak.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모듈 버스바의 제1 금속 플레이트가 복수개로 분할되고 소정 거리로 서로 이격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제2 금속 플레이트의 하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제1 금속 플레이트가 구성된 경우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전기 전도성의 낮고 복수개 분할되며 서로 이격된 형태로 인해, 제1 금속 플레이트의 양을 최소화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버스바의 전체 전기 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저항 열에 의해 배터리 모듈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 모듈의 전류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Moreov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etal plate of the module busba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has a shape tha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first metal plate entirely cover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the amount of the first metal plate can be minimized and applied due to the relatively low electrical conductivity, a plurality of divided, and spaced apart form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total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module busba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due to resistance heat. Moreov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urrent loss of the battery module can be greatly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의하면, 제1 금속 플레이트의 접속부 및 제3 금속 플레이트의 접속 연장부를 원통형 전지셀의 전극 단자에 저항 용접하도록 소정 거리로 이격 배치할 경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접속부 간의 전류 경로와 비교할 때, 제1 금속 플레이트의 접속부 및 제3 금속 플레이트의 접속 연장부 간의 전류 경로가 더욱 길고 전기 저항이 높아져, 제1 금속 플레이트의 접속부로부터 원통형 전지셀의 전극 단자, 및 제3 금속 플레이트의 접속 연장부까지의 전류 경로로 전류가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버스바와 전극 단자 간의 저항 용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용접성이 우수한 배터리 모듈을 제조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metal plate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of the third metal plate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resistance-weld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the connection part of the first metal plate Compared with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first and third metal plates,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of the third metal plate is longer and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increased,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from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and the third Current can be concentrated in the current path to the connection extension of the metal plate. Accordingly, resistance welding between the module busbar and the electrode terminal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e a battery module having excellent weldability.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분리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C-C' 선을 따라 절단된 모듈 버스바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절단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D-D' 선을 따라 절단된 모듈 버스바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s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is limited to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configurations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separated configurations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the module busbar cut along the line CC′ of FIG. 1.
4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module bus bar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module bus bar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module bus bar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module bus bar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taway state of a module bus bar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module bus bar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module bus bar cut along line DD′ of FIG. 9.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에 대한 분리된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configurations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parated configurations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200)은,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 모듈 하우징(220), 및 모듈 버스바(21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battery modul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a module housing 220, and a module bus bar 210. have.

여기서,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은, 원통형 전지캔(120), 및 상기 전지캔(120)의 내부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may include a cylindrical battery can 120 and an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accommodated in the battery can 120.

또한, 상기 전지캔(120)은, 전기 전도성이 높은 재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전지캔(120)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can 120 includes a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for example, the battery can 120 may include aluminum or copper material.

더욱이, 상기 전지캔(120)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세워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지캔(12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전지캔(12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양극 단자(111)와 음극 단자(112)가 형성되거나, 또는 음극 단자(112) 및 양극 단자(11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지캔(120)의 상단의 평평한 원형의 상면에는 양극 단자(11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지캔(120)의 하단의 평평한 원형의 하면에는 음극 단자(112)가 형성될 수 있다.Moreover, the battery can 120 may be configured to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battery can 1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urthermore, a positive terminal 111 and a negative terminal 112 may be form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ttery can 120, or the negative terminal 112 and the positive terminal 111 may be formed. Specifically, a positive terminal 111 may be formed on a flat circular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an 120, and a negative terminal 112 may be formed on a flat circular lower surface of the battery can 120. I can.

나아가,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은,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열 및 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이란, 원통형 전지셀(100)을 지면에 놓았을 때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에 수직하는 평면상의 적어도 한 방향이 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이란, 도 1의 X 및 Y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columns and rows in a horizontal direction. 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said to mea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ground whe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is placed on the ground,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t least one direction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said to be the X and Y directions of FIG.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모듈(200)은, 행 방향(Y 방향)의 3개의 행과열 방향(X 방향)의 5개 열로 배치된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battery modul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arranged in three rows in a row direction (Y direction) and five columns in a row direction (X direction) It can be provided.

또한, 전극 조립체(도시하지 않음)는,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한 상태로 젤리-롤형으로 권취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양극(도시하지 않음)에는 양극 탭이 부착되어 전지캔(120)의 상단의 양극 단자(111)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음극(도시하지 않음)에는 음극 탭이 부착되어 전지캔(120)의 하단의 음극 단자(112)에 접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assembly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wound in a jelly-roll type with a separator interposed between an anode and a cathode. Furthermore, a positive electrode tab may be attached to the positive electrode (not shown) to b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terminal 111 at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can 120. A negative tab is attached to the negative electrode (not shown) to be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112 at the lower end of the battery can 120.

한편,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을 내부에 삽입하여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220s1, 220s2)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부(220s1, 220s2)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외측면을 감쌀 수 있도록 형성된 중공 구조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전기 절연성의 소재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기 절연성의 소재는, 고분자 플라스틱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전기 절연성의 소재는, 폴리염화비닐(Poly Vinyl Chloride)일 수 있다.Meanwhile, the module housing 220 may be provided with accommodating portions 220s1 and 220s2 capable of receiving and inserting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therein. Specifically, the receiving portions 220s1 and 220s2 may have a plurality of hollow structure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In this case, the module housing 220 may be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the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may be a polymer plastic. More specifically, the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may be polyvinyl chloride.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모듈 하우징(220)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고 전, 후, 좌, 우 방향으로 형성된 외측벽(220d)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220a) 및 상기 하부 케이스(220b)는, 체결 볼트(228)가 삽입되도록 관통홀(220h)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to FIG. 2, the module housing 220 may include an outer wall 220d formed to form an inner space and formed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a through hole 220h may be formed in the upper case 220a and the lower case 220b so that the fastening bolt 228 is inserted.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하우징(220)을 구성하는 상기 상부 케이스(220a) 및 상기 하부 케이스(220b) 각각에는 볼트(228)가 삽입 고정되는 관통홀(220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케이스(220a) 및 상기 하부 케이스(220b)는, 상기 관통홀(220h)에 삽입된 볼트(228)를 통해 체결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each of the upper case 220a and the lower case 220b constituting the module housing 220 has a through hole 220h into which a bolt 228 is inserted and fixed. Can be formed. Accordingly, the upper case 220a and the lower case 220b may be fastened and coupled through a bolt 228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20h.

도 3은, 도 1의 C-C' 선을 따라 절단된 모듈 버스바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the module busbar cut along line C-C' of FIG. 1. And, Figure 4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the module bus bar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시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모듈 버스바(210)는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 버스바(210)는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을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듈 버스바(210)는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을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 버스바(210)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3 and 4 along with FIGS. 1 and 2, the module bus bar 210 may b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For example, the module bus bar 210 may b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in series. Alternatively, the module bus bar 210 may be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in parallel. The module bus bar 210 may include a metal having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또한, 상기 모듈 버스바(210)는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및 제2 금속 플레이트(214)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는,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212a)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본체부(212a)는, 상기 2열로 배열된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12a)는, 소정 두께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module bus bar 210 may include a first metal plate 212 and a second metal plate 214. Specifically, the first metal plate 212 may include a body portion 212a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Moreover, the body portion 212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arranged in two rows. The main body 212a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는, 상기 본체부(212a)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와 접촉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본체부(212a)의 양측부 각각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212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부(212b)는, 상기 본체부(212a)의 수평 방향(도 1의 X 방향)의 측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의 상부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12b)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가 위치한 방향으로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s 111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212a, both sides of the body portion 212a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212b extending from each may be provided. That is, the connection part 212b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de terminals 111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from the side of the body part 212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X direction in FIG. 1). So that it can be formed to extend. The connection part 212b may have a structure bent at least once or mor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111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is positioned.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버스바(210)는, 하나의 제1 금속 플레이트(2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는,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도 1의 X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212a) 및 상기 본체부(212a)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 각각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절곡 연장된 부분이 다시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와 접촉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접속부(212b)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module bus bar 210 may include one first metal plate 212. In addition, the first metal plate 212 includes a body part 212a and the body part 212a located above or below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X direction in FIG. 1 ). ),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212b exten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uch that the bent and extended portions are bent and extended downward from each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and contact the electrode terminals 111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 May be provided.

더욱이,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와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되는 모듈 버스바(210)의 접속부(212b)는, 2개로 분지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접속부(212b)와 전극 단자(111) 간의 용접 공정시, 분지된 구조의 간극을 통해 용접 가열을 위한 열 전도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어, 용접 시간을 단축하고 용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Moreov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rt 212b of the module bus bar 21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erminal 111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divided into two. As a result, during the welding process between the connection part 212b and the electrode terminal 11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for welding heating through the gap of the branched structure, thereby shortening the welding time and increasing the welding reliability.

그리고,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에 접합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와 유사하게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 상에 접합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본체부(212a)의 연장된 방향을 따라 연장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be bonded to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Further,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have a rectangular plate shape similar to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be bonded to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Thus,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have a shape of a square plate extending along an extended direction of the main body 212a.

또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보다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보다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보다 전기 전도성이 더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have a metal having relatively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metal plate 212. Specifically,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be made of a metal having relatively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metal plate 212. Moreover,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be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metal plate 212.

예를 들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는, 니켈 소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구리 소재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소재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를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및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니켈, 알루미늄, 금, 은 등이 주재료로 구성된 금속 합금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For example, the first metal plate 212 may be made of a nickel material, and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be made of a copper material.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materials, and if the second metal plate 214 can be configured to have a relatively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metal plate 212, the first metal plate 212 ) And the second metal plate 214 can be applied to any metal alloy composed of nickel, aluminum, gold, silver, or the like as main materials.

달리 말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저항의 금속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높은 비저항의 금속은 니켈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metal plate 212 may include a metal having a relatively higher resistivity than the second metal plate 214. For example, the metal of high specific resistance may be nickel.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대적으로 제1 금속 플레이트(212)가 구비한 금속 보다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구비함으로써, 모듈 버스바(210)의 전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배터리 모듈(200)의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높은 전도성을 가진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대적으로 제1 금속 플레이트(212)보다 열 전도율이 높고 냉각 속도가 빠르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200)의 열 방출을 도와 배터리 모듈(200)의 냉각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tal plate 214 is provided with a metal having a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metal provided by the first metal plate 212, Current loss can be reduced, and power loss of the battery module 200 can be reduced. Moreover, the second metal plate 214 having high conductivity has a higher thermal conductivity and a faster cooling rate than the first metal plate 21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greatly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battery module 200 by helping the battery module 200 to dissipate heat.

반대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가 구비한 금속 보다 비저항이 높은 금속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를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와 저항 용접시, 비저항이 높은 금속에 의해 용접 부위에서 높은 저항열을 발생시킬 수 있어, 용접 공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Conversely, the first metal plate 212 includes a metal having a higher specific resistance than the metal provided by the second metal plate 214, so that the connection part 212b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attery. When resistance welding with the electrode terminal 111 of the cell 100, high resistance heat can be generated at the welding site by a metal having high specific resistance, thereby improving welding processability.

또한, 상기 접속부(212b)는, 2개로 분지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부(212b)는, 분지된 2개의 플레이트 형상 사이에 소정 거리의 간극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212b)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로부터 2개로 분지된 구조(분리된 구조) 형태로 수평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212b may include a structure divided into two. That is, the connection part 212b may have a shape in which a gap of a predetermined distance is formed between the two branched plate shape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connection part 212b protrud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structure divided into two (separated structure) from the body part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t can be formed to be extended.

한편,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에 클래드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가 클래드 접합된 부위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금속과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의 금속이 서로 금속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be clad-bonded to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Here, a portion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and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clad-bonded with the metal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and the first metal plate 212 The metals of the body portion 212a of) may be metal-coupled to each other.

즉,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가 서로 소정 온도에서 압연 접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일부 금속과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의 일부 금속이 서로 금속 결합되어 혼화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ocess of rolling-bonding the second metal plate 214 and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ome metals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and the first metal plate 212 1 Some metals of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metal plate 212 may be metal-bonded to each other to be mixed.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에 클래드 접합됨으로써,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 간의 전기적 연결성이 매우 우수하고,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 간의 접합성(결합성)이 우수하여, 상기 모듈 버스바(210)의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tal plate 214 is clad-bonded to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so that the second metal plate 214 and the first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metal plate 212 is excellent, and the bonding property (bonding property) between the second metal plate 214 and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excellent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urability of the module bus bar 210 from becoming weak.

한편, 다시 도 2와 함께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는, 상대적으로 제2 금속 플레이트(214) 보다 상하 방향의 두께(T1)가 더 얇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보다 플레이트의 두께가 더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 플레이트들(212, 214)의 두께(T1)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와 대면하는 방향(상하 방향)의 두께(T1)를 의미한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 3 along with FIG. 2, the first metal plate 212 may have a relatively thinner thickness T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second metal plate 214. Conversely,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have a thicker plate than the first metal plate 212. Here, the thickness T1 of the metal plates 212 and 214 means the thickness T1 in a direction (up-down direction) facing the electrode terminal 111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와 효율적으로 접합되기 위해서는 용접시, 빠르게 용융되는 것이 적절하다. 반면에,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와 용접이 이루어지는 구성이 아니고,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로부터 전달된 전류를 외부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전류 경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is appropriate that the connection part 212b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melted rapidly during welding in order to be efficiently bonded to the electrode terminal 111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etal plate 214 is not configured to be welded to the electrode terminal 111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and the current transmitted from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is transferr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It can serve as a transmitting current path.

이를 위해,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보다 전류 전송시 전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기 저항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전류가 흐르는 방향의 단면적을 크게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즉, 상기 전기 전도성이 더 높은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두께(T2)가 두꺼울수록 전력 손실을 줄이는데 더 효과적이다.To this end, the second metal plate 214 needs to reduce electrical resistance in order to further minimize current loss during current transmission. Accordingly, it is appropriate to set the second metal plate 214 to have a large cross-sectional area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at is, the thicker the thickness T2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having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e more effective it is to reduce power loss.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 버스바(210)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가 상하 방향의 두께(T1)가 상대적으로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두께(T2) 보다 더 얇을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in the module bus bar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ortion 212b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a second metal having a thickness T1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thinner than the thickness T2 of the plate 214.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제2 금속 플레이트(214)를 구비함으로써, 두께가 얇아서 저항 용접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 간의 용접을 빠르고 낮은 공정 온도에서 진행할 할 수 있다. 즉, 저항 용접시, 두꺼운 플레이트의 경우와 비교할 때,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금속 플레이트가 낮은 온도에서 빠르게 용융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조 공정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 온도에 따른 원통형 전지셀(100)의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econd metal plate 214 having a thicknes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so that the resistance welding is relatively easy. 1 The metal plate 212 can perform welding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s 111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at a fast and low process temperature. That is, during resistance welding, compared to the case of a thick plat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metal plate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an be quickly melted at a low temperatur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inimize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according to the welding temperature.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모듈 버스바(210)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하면에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가 복수개로 분할되고 소정 거리로 서로 이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버스바(210)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하면에 3개로 분할된 제1 금속 플레이트(21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3개로 분할된 제1 금속 플레이트(212)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하면에 소정 거리로 서로 이격된 형태로 접합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the module bus bar 210 of FIG. 4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he first metal plates 21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can be provid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module bus bar 210 may include a first metal plate 212 divided into three on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The first metal plate 212 divided into three may be bond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in a form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모듈 버스바(210)의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가 복수개로 분할되고 소정 거리로 서로 이격된 형태를 가짐으로써,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하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가 구성된 경우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전기 전도성의 낮고 복수개 분할되며 서로 이격된 형태로 인해,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양을 최소화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버스바(210)의 전체 전기 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저항 열에 의해 배터리 모듈(200)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전류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etal plate 212 of the module bus bar 21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and has a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second metal plate 214 i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lower surface, the amount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minimized and applied due to the relatively low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 plurality of divided and spaced forms. I can make it. Accordingly, the total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module busbar 210 can be effectively reduc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an increase in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module 200 due to resistance heat. Moreov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urrent loss of the battery module 200 can be greatly reduced.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에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내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와의 클래드 접합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클래드 접합된 부위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내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4,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For example, when the second metal plate 214 is clad-bonded with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the clad-bonded portion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is 1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metal plate 212 may be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depth.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 버스바(210)는 3개의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및 하나의 제2 금속 플레이트(214)를 구비할 수 있다. 3개의 제1 금속 플레이트(212) 각각은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하면에 고열 압착되어 클래드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접합 부위에는 3개의 제1 금속 플레이트(212) 각각의 본체부(212a)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내입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module bus bar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ree first metal plates 212 and one second metal plate 214. Each of the three first metal plates 212 may be clad-bonded by high-temperature compression b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In this case, a body portion 212a of each of the three first metal plates 212 may be inserted into a joint portion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to a predetermined depth.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에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내입된 구조를 가짐으로 써,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가 안착 고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와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 간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높은 결합력과 접합 부위에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metal plate 214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second metal plate 214 The metal plate 214 may be seated and fixed. Moreover,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second metal plate 214 can be increased, high bonding force and electrical resistance that may occur at the bonding site can be reduced.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5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module bus bar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함께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모듈 버스바(210A)는, 도 4의 모듈 버스바(210)와 비교할 경우, 상기 제2 연결부(212j2)가 적어도 일부분이 제1 연결부(212j1) 보다 수평 방향의 폭이 좁은 구조가 형성된 점에서 차이를 가질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Referring to FIG. 5 along with FIG. 3, when compared with the module bus bar 210 of FIG. 4, the module bus bar 210A of FIG. 5 has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2j2. ), but the difference is that a structure with a narrower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상기 본체부(212j)는, 제1 연결부(212j1) 및 제2 연결부(212j2)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212j)의 제1 연결부(212j1)는 일단이 상기 접속부(212b)와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연결부(212j1)는 상기 접속부(212b)의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단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연결부(212j1)는 상기 접속부(212b)의 상부 방향으로 절곡된 단부와 동일한 수평 방향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수평 방향의 폭은 전후 방향(도 2의 Y 방향)의 폭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dy part 212j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212j1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212j2.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j1 of the body part 212j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12b.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j1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end bent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212b.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j1 may have the sam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the end bent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212b. For example, the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a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Y-direction in FIG. 2).

또한, 상기 제2 연결부(212j2)는 좌우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 상기 제1 연결부(212j1)가 연결되도록 연장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연결부(212j2)는 상기 연장된 부분의 수평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연결부(212j1) 보다 좁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2j2 may have a portion extending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j1 is connected to each of both ends in the left-right directi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2j2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width of the extended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j1.

예를 들면, 도 5를 참조하면, 모듈 버스바(210A)에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 하면에 접합된 제1 금속 플레이트(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j)는 일단 또는 타단이 상기 접속부(212b)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 2개의 제1 연결부(212j1), 및 좌우 방향(x 축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 상기 제1 연결부(212j1)가 연결되도록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분의 수평 방향(전후 방향, Y축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연결부(212j1) 보다 좁은 제2 연결부(212j2)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5, a first metal plate 212 bonded to a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be provided on the module bus bar 210A. The main body portion 212j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ncludes two first connection portions 212j1 having one end or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12b, and both ends of each o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x-axis direction) The second connection part 212j2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j1 is connected and the width of the extended 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Y-axis direction) is narrower than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j1. It can be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212j)는, 일단 또는 타단이 상기 접속부(212b)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 제1 연결부(212j1), 및 양 단부 각각에 상기 제1 연결부(212j1)가 연결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분의 수평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연결부(212j1) 보다 좁은 제2 연결부(212j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하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가 구성된 경우, 또는 도 4의 제1 금속 플레이트(212)와 비교할 경우, 복수개 분할되며 제1 연결부(212j1)보다 폭이 좁은 제2 연결부(212j2)로 인해, 상대적으로 비저항이 높은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양을 좀더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버스바(210A)의 전체 전기 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200)이 좀더 고온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전류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art 212j has a first connection part 212j1 having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12b at one end or the other end,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j1 at each of both ends. ) Is extended to be connected, and the width of the extended por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narrower than the first connection part 212j1,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is entirely covered. When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configured, or when compared with the first metal plate 212 of FIG. 4, a plurality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s 212j2 are divided and have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2j1. As a result, the amount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having high specific resistance may be further reduc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total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module bus bar 210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higher temperature in the battery module 200. Moreov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urrent loss of the battery module 200 can be greatly reduced.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6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module bus bar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모듈 버스바(210B)는, 상기 본체부(212u)가 제1 연장부(212u1) 및 복수의 제2 연장부(212u2)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장부(212u1)는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배열의 행 방향(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연장부(212u1)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전단부 부터 후단부까지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연장부(212u1)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하면의 좌우 방향(x 축 방향)의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module bus bar 210B of FIG. 6, the body portion 212u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212u1 and a plurality of second extension portions 212u2. Specifically, the first extension part 212u1 may have a shape elongated in the row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For example, the first extension part 212u1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a front end to a rear end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In addition, the first extension part 212u1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in the left-right direction (x-axis direction).

상기 제2 연장부(212u2)는 상기 제1 연장부(212u1)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배열의 열 방향(x 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 연장부(212u2)는 상기 접속부(212b)와 연결되도록 상기 제1 연장부(212u1)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2 연장부(212u2)는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extension part 212u2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212u1 in a column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That is, the second extension part 212u2 may have a shape extending from each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12u1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art 212b.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cond extension parts 212u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예를 들면,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u)는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배열의 행 방향(Y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 연장부(212u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12u)는 상기 제1 연장부(212u1)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배열의 열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된 3개의 제2 연장부(212u2)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6, the body portion 212u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a first extension extending long in the row direction (Y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A portion 212u1 may be provided. The main body part 212u extends from the first extension part 212u1 in the column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array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and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portion 212u2 may be provided.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본체부(212u)는,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배열의 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 연장부(212u1), 및 상기 제1 연장부(212u1)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배열의 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연장부(212u2)를 구비함으로써, 일체형의 제1 금속 플레이트(212)를 적용할 경우, 분할된 형태의 제1 금속 플레이트(212)와 비교하여, 모듈 버스바(210B)의 제작 용이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212u includes a first extension portion 212u1 elongated in the row direction of the array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and the first extension portion. By providing a plurality of second extensions 212u2 elongated in the column direction of the array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from 212u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integral first metal plate 212 When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ase of manufacturing the module bus bar 210B compared to the first metal plate 212 in a divided form.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저면도이다. 여기서 도 7의 모듈 버스바(210C)는, 도 6의 모듈 버스바(210B)와 비교할 경우, 상기 제2 연장부(212u1)가 적어도 일부분이 나머지 부분 보다 수평 방향(전후 방향)의 폭이 좁은 구조가 형성된 점에서 차이를 가질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7 is a bottom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module bus bar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in the module bus bar 210C of FIG. 7, when compared with the module bus bar 210B of FIG. 6,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212u1 has a narrower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nt-to-back direction) than the rest of the module bus bar 210C. It only differs in that the structure is formed, and the rest of the structure is the same.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w)는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배열의 행 방향(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 연장부(212u1), 및 상기 제1 연장부(212u1)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배열의 열 방향(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연장부(212u2)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body portion 212w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a first extension portion 212u1 extending long in the row direction (front-to-back direction) of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 And a plurality of second extensions 212u2 elongated in the column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array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from the first extension 212u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an do.

또한, 상기 제2 연장부(212u2)는 적어도 일부분이 나머지 부분 보다 수평 방향(전후 방향, y축 방향)의 폭이 좁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연장부(212u3)는 상기 제1 연장부(212u1)와 연결된 부분이 전후 방향의 폭이 좁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w)는 제1 연장부(212u1) 및 3개의 제 2 연장부(212u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3개의 제2 연장부(212u3) 각각은 상기 제1 연장부(212u1)와 인접한 일부분이 나머지 부분 보다 전후 방향의 폭이 좁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212u2 may have a structure having a narrower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ront-to-back direction, y-axis direction) than the rest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212u2. For example, the second extension part 212u3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extension part 212u1 has a narrow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body portion 212w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212u1 and three second extension portions 212u3. In this case, each of the three second extension portions 212u3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adjacent to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12u1 has a narrower wid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an the rest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제2 연장부(212u3)에 적어도 일부분이 나머지 부분 보다 수평 방향의 폭이 좁은 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하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가 구성된 경우, 또는 도 6의 제1 금속 플레이트(212)와 비교할 경우, 나머지 부분 보다 폭이 좁은 구조를 가진 제2 연장부(212u3)로 인해,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양을 좀더 줄여서 적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버스바(210C)의 전체 전기 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200)이 좀더 고온이 발생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터리 모듈(200)의 전류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xtension part 212u3 has a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narrower in wid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rest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212u3, thereby When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configured to cover the entire area, or when compared with the first metal plate 212 of FIG. 6, due to the second extension part 212u3 having a structure that is narrower than the rest, The amount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may be further reduced and appli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the total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module bus bar 210C.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ccurrence of higher temperature in the battery module 200. Moreove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urrent loss of the battery module 200 can be greatly reduc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절단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taway state of a module bus bar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함께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버스바(210D)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D)의 본체부(212a)와 대면하고 있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D)의 외측면에,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D)의 본체부(212a)가 위치된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212p)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 돌기(212p)의 형상은, 요철 구조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along with FIG. 2, the module bus bar 210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the second metal plate 214D facing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D. A coupling protrusion 212p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D is positioned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metal plate 212D.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212p may have an uneven structure.

그러나, 상기 결합 돌기(212p)의 형상을 요철 구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결합 돌기(212p)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D)의 본체부(212a)에 삽입 고정되어 두 부재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형상이면 적용이 가능하다.However,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212p is not limited to the concave-convex structur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212p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body part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D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of the two members. It can be applied as long as it is an appropriate shape.

나아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D)의 본체부(212a)에는 상기 결합 돌기(212p)가 삽입 고정되도록 내입된 결합홈(212h)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홈(212h)은, 상기 결합 돌기(212p)의 외형과 대응되는 구조로 내입된 형태일 수 있다.Further, a coupling groove 212h recesse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212p is inserted and fixed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D. Specifically, the coupling groove 212h may have a shape that is internaliz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 212p.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D)의 본체부(212a)와 대면하고 있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D)의 외측면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9개의 결합 돌기(212p)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D)의 본체부(212a)에는 9개의 결합 돌기(212p)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입된 9개의 결합홈(212h)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D facing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D, 9 protruding and extending in the lower direction. Four coupling protrusions 212p may be formed. In addition, nine coupling grooves 212h reces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nine coupling protrusions 212p may be formed in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D.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D)의 외측면에는 결합 돌기(212p)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D)의 본체부(212a)에는 결합홈(212h)을 형성시키므로 써,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D)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D)의 본체부(212a)에 강한 결합력으로 접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D)의 본체부(212a) 상에 제2 금속 플레이트(214D)를 압연 접합할 경우, 상기 결합 돌기(212p)는, 도 3의 모듈 버스바(210)와 비교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D)와의 접촉면적(결합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어, 높은 결합력을 발휘하고 접합 부위에 금속 혼화가 비교적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protrusion 212p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212D, and a coupling groove 212h is formed in the main body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D. ) Is formed, so that the second metal plate 214D can be bonded to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D with a strong bonding force. In particular, when rolling the second metal plate 214D on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D, the coupling protrusion 212p is compared with the module bus bar 210 of FIG. 3. In this case, since the contact area (coupling area) with the second metal plate 214D can be increased, a high bonding force can be exhibited, and metal mixing can be achieved relatively well at the bonding site.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모듈 버스바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D-D' 선을 따라 절단된 모듈 버스바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of a module bus bar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view of the module busbar cut along the line D-D' of FIG. 9.

도 2와 함께,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버스바(210E)는, 제3 금속 플레이트(2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외측면에 접합된 접합부(216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216a)는, 제2 금속 플레이트(21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접합부(216a)는, 상기 2열로 배열된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long with FIG. 2, 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module bus bar 210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metal plate 216. Specifically,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include a bonding portion 216a bond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In addition, the junction part 216a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metal plate 214. Moreover, the junction part 216a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arranged in two rows.

그리고,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는, 상기 접합부(216a)의 일측으로부터 수평 방향(w)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접속 연장부(216b)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접합부(216a)는,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와 접촉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extension portions 216b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 from one side of the bonding portion 216a. Further, the bonding portion 216a may b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s 111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또한,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 보다 전기 전도성이 낮은 금속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는, 니켈 소재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는 니켈, 알루미늄, 금, 은 등이 주재료로 구성된 금속 합금이면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have a metal having relatively low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second metal plate 214. For example,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be made of a nickel material. Moreover, the third metal plate 216 can be applied to any metal alloy composed of nickel, aluminum, gold, silver, or the like as a main material.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듈 버스바(210E)는, 제1 금속 플레이트(212), 제2 금속 플레이트(214), 및 제3 금속 플레이트(216)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는 니켈을 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주로 구리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및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 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의 외측면에 접합된 접합부(216a)와 상기 접합부(216a)의 일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접속 연장부(216b)를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module bus bar 210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metal plate 212, a second metal plate 214, and a third metal plate 216. I can. In this case,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mainly include nickel. In addition,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mainly include copper. That is, the second metal plate 214 may have relatively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second metal plate 214. Moreover, the third metal plate 216 includes a bonding portion 216a bond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214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bonding portion 216a ( 216b).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른 실시에에 따른 모듈 버스바(210E)는, 추가적으로 제3 금속 플레이트(216)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의 접합부(216a)를 압연 접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버스바(210E)의 금속 플레이트들 간의 접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고,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및 제3 금속 플레이트(216)와 제2 금속 플레이트(214) 간의 접합 면적이 증대되어 접합에 따른 전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고, 모듈 버스바(210E)의 전류 손실을 줄일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bus bar 210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third metal plate 216 additionally, so that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 The second metal plate 214 and the bonding portion 216a of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be roll-bonded. Accordingly,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metal plates of the module bus bar 210E is further improved, and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third metal plate 216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and the second Since the bonding area between the metal plates 214 is increased, electrical resistance due to bonding can be minimized, and current loss of the module busbar 210E can be reduced.

다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버스바(210E)는, 도 3의 모듈 버스바(210)의 접속부(212b)와 다른 형태의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1)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모듈 버스바(210E)는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의 접속 연장부(216b)가, 상기 접속부(212b1)와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1)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의 접속 연장부(216b)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module bus bar 210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metal plate having a different shape from the connection part 212b of the module bus bar 210 of FIG. 3. 212) may have a connection portion 212b1. That is, in the module bus bar 210E,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216b of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nection portion 212b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connection portion 212b1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216b of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 horizontal direction.

더욱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1)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의 접속 연장부(216b)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1)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의 접속 연장부(216b)의 이격된 거리는,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에 저항 용접시 적절한 저항열을 발생시킬 수 있는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적절하다.Furthermore, the connection portion 212b1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216b of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the spaced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212b1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216b of the third metal plate 216 is to the electrode terminal 111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When resistance welding, it is appropriate to be separated by a distance that can generate appropriate resistance heat.

나아가,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1)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의 접속 연장부(216b)는 서로 같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1)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의 접속 연장부(216b)는, 니켈 소재를 주로 구비할 수 있다.Further, the connection portion 212b1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216b of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For example, the connection part 212b1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216b of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be mainly made of a nickel material.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1)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의 접속 연장부(216b)를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에 저항 용접하도록 소정 거리로 이격 배치할 경우,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1) 간의 전류 경로와 비교할 때,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1)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의 접속 연장부(216b) 간의 전류 경로가 더욱 길고 전기 저항이 높아져,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접속부(212b1)로부터 상기 원통형 전지셀(100)의 전극 단자(111),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216)의 접속 연장부(216b)까지의 전류 경로로 전류가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 버스바(210E)와 전극 단자 간의 저항 용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용접성이 우수한 배터리 모듈(200)을 제조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on part 212b1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art 216b of the third metal plate 216 are provided as electrode terminals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In the case of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be resistance-welded to (111), compared with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s 212b1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the connection portion 212b1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The current path between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s 216b of the third metal plate 216 is longer and the electrical resistance is increased,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of the cylindrical battery cell 100 from the connection portion 212b1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 111) and the current path to the connection extension 216b of the third metal plate 216 may be concentrated. Accordingly, resistance welding between the module busbar 210E and the electrode terminal can be efficiently perform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e the battery module 200 having excellent weldabilit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팩(도시하지 않음)은, 상기 배터리 모듈(200)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둘 이상의 배터리 모듈(200)은 일 방향으로 정렬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배터리 팩은, 방열 목적으로 히트 싱크(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battery pack (not sh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battery module 200. Specifically, two or more battery modules 200 may have a structure arranged in one direction. In some cases, the battery pack may further include a heat sink (not shown) for heat dissipation purposes.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도시하지 않음)는, 상기 배터리 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배터리 팩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외장 케이스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디바이스는, 전기 자전거와 같은 이동 수단일 수 있고, 또는 전동 공구 등일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nic device (not show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battery pack. For example, the battery pack may be accommodated in an external cas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a moving means such as an electric bicycle, or may be a power tool.

한편,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모듈 버스바(210A)의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 보다 외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게 구성된 돌출부(214a)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214a)는, 외부 입출력 단자가 결합되도록 결합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돌출부(214a)에는 외부 입출력 단자(도시하지 않음)가 삽입 결합되는 천공된 고정홀(214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 입출력 단자는, 상기 고정홀(214b)에 삽입 체결될 수 있는 볼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S. 1 and 3, the second metal plate 214 of the module bus bar 210A of another ty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than the main body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A protrusion 214a configured to protrude and extend in an outward direction may be provided. Specifically, the protrusion 214a may have a coupling structure so that an external input/output terminal is coupled. For example, a perforated fixing hole 214b into which an external input/output terminal (not shown) is inserted and coupled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214a. In addition, the external input/output terminal may have a bolt shape capable of being inserted and fastened into the fixing hole 214b.

한편,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버스바(210)를 제조하는 방법은, 형상 가공 단계, 접합 단계, 및 펀칭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형상 가공 단계는,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이 배열된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212a)와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된 접속부(212b)를 압연 롤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압연하여 형상 가공하는 단계일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odule busbar 2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hape processing step, a bonding step, and a punching step. Specifically, in the shape processing step,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are electrically extended between the body portion 212a ext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are arranged and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It may be a step of forming a shape by rolling the connection part 212b configured to be connected by using a rolling roller (not shown).

또한, 상기 접합 단계는, 소정 온도에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본체부(212a) 상에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진 제2 금속 플레이트(214)를 압연하여 클래딩 접합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압연은 통상의 열 처리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 처리 온도는 상온에서부터 니켈 및 구리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가 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소정 온도는 100℃ 내지 500℃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펀칭 단계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의 상기 본체부(212a)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접속부(212b)가 형성되도록 다이(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펀칭 성형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다이는, 상기 접속부(212b)가 소정의 간극을 가진 분지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onding step, a second metal plate 214 having an electrical conductivity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rolled on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t may be a step of cladding bonding. At this time, the rolling used may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heat treatment method. For exampl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may be from room temperature to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melting points of nickel and copper. More specifically,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may be 100 ℃ to 500 ℃. In addition, the punching step may be a step of punching and molding using a die (not shown) so that a connection portion 212b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212a of the first metal plate 212 is formed. have. In this case, the die may be formed such that the connection part 212b has a branched structure having a predetermined gap.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모듈 버스바(210)를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및 제2 금속 플레이트(214)가 서로 클래딩 접합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단일의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버스바와 비교하여, 2가지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과 접합되도록 구성된 제1 금속 플레이트(212)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 보다 낮은 전기 전도성을 가진 금속을 구비하고, 방열 특성이 낮아 용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는,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을 가진 금속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100)로부터 공급된 전류를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ule bus bar 2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second metal plate 214 are cladding-joined to each other, compared to a bus bar made of a single metal plate. , It can have two advantages. That is, the first metal plate 212 configured to be bonded to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has a metal having a relatively low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second metal plate 214, and has a low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 so that welding is difficul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In addition, the second metal plate 214 is provided with a metal having a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metal plate 212, so that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100 is reduced by power loss.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transmission.

또한, 상기 모듈 버스바(210)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212) 및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214)가 서로 클래딩 접합(금속 혼화됨)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두 부재의 접합 부위에서 발생되는 전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dule bus bar 2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metal plate 212 and the second metal plate 214 are cladding-joined (metal blended) with each other, electricity generated at the joint portion of the two members There is an advantage of minimizing resistance.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specification, terms indicating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right, before, and after are used, but these terms are for convenience only and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object or the observer.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equivalent rang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200: 배터리 모듈 210: 모듈 버스바
100: 원통형 전지셀 220: 모듈 하우징
220s1, 220s2: 수용부
111, 112: 전극 단자 212: 제1 금속 플레이트
214: 제2 금속 플레이트 216: 제3 금속 플레이트
220a, 220b: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212a, 212b: 본체부, 접속부
212p, 212h: 결합 돌기, 결합홈 212i: 삽입부
212j1, 212j2: 제1 연결부, 제2 연결부
212u1: 제1 연장부 212u2, 212u3: 제2 연장부
216a, 216b: 접합부, 접속 연장부
200: battery module 210: module busbar
100: cylindrical battery cell 220: module housing
220s1, 220s2: receiving part
111, 112: electrode terminal 212: first metal plate
214: second metal plate 216: third metal plate
220a, 220b: upper case, lower case
212a, 212b: body portion, connection portion
212p, 212h: coupling protrusion, coupling groove 212i: insertion part
212j1, 212j2: first connection, second connection
212u1: first extension 212u2, 212u3: second extension
216a, 216b: junction, connection extension

Claims (11)

행과 열로 배열되고 전극 단자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을 삽입 수용하도록 복수의 중공 구조를 가진 수용부가 구비된 모듈 하우징; 및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전극 단자와 접촉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접속부가 구비된 제1 금속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와 접합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보다 전기 전도성이 높은 금속을 가지며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 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제2 금속 플레이트를 구비한 모듈 버스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A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and having electrode terminals formed at upper and lower portions, respectively;
A module housing having a receiving part having a plurality of hollow structures to insert and receive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A first provided with a main body part positioned above or below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art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tact electrod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A module bus having a metal plate and a second metal plate bonded to the body of the first metal plate and having a metal having a relatively higher electrical conductivity than the first metal plate and having a thickness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metal plate bar
Battery modu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는 복수개로 분할되고 소정 거리로 서로 이격된 형태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etal plat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nd has a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가 소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내입된 구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battery module, wherein the second metal plat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is inserted to a predetermined dept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일단 또는 타단이 상기 접속부와 연결된 구조를 가진 제1 연결부; 및
양 단부 각각에 상기 제1 연결부가 연결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부분의 수평 방향의 폭이 상기 제1 연결부 보다 좁은 제2 연결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3,
The body part,
A first connecting portion having one end or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extending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each of both ends and a width of the extended par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narrower than that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배열의 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배열의 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된 복수의 제2 연장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art,
A first extension part elongated in a row direction of the array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A plurality of second extensions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in a column direction of the array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battery module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나머지 부분 보다 수평 방향의 폭이 좁은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5,
A battery module,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has a structure having a width in a horizontal direction narrower than that of the remain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버스바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적층된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원통형 전지셀의 전극 단자와 접촉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접속 연장부가 형성된 제3 금속 플레이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ule busbar includes a bonding portion stack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and a third metal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extension portions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contact electrode terminals of the plurality of cylindrical battery cells from one side of the bonding portion.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pl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접속부 및 상기 제3 금속 플레이트의 접속 연장부는,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7,
The battery module, where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and the connection extension portion of the third metal pl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와 대면하고 있는 상기 제2 금속 플레이트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돌출된 결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금속 플레이트의 본체부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삽입 고정하도록 내입된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is located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metal plate facing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The battery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metal plate to insert and fix the coupling protrusion.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A battery pack comprising at least on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제10항에 따른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디바이스.A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according to claim 10.
KR1020190127809A 2019-10-15 2019-10-15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Bus-bar Active KR1027895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09A KR102789539B1 (en) 2019-10-15 2019-10-15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Bus-b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09A KR102789539B1 (en) 2019-10-15 2019-10-15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Bus-b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533A true KR20210044533A (en) 2021-04-23
KR102789539B1 KR102789539B1 (en) 2025-03-31

Family

ID=75738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809A Active KR102789539B1 (en) 2019-10-15 2019-10-15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Bus-b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8953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090A (en) 2021-11-22 2023-05-31 (주)미섬시스텍 Cylindrical Battery Connector for battery pack
WO2023169467A1 (en) * 2022-03-11 2023-09-14 苏州美阅新能源有限公司 Electrode column and battery cover plate
KR20230145777A (en) * 2022-04-11 2023-10-18 주식회사 시스템알앤디 Bus bar bonding method using side negative pole of cylindrical battery cel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092A (en) * 2013-09-13 2015-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KR20190032887A (en) *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Having Guide Coupl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092A (en) * 2013-09-13 2015-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Battery pack
KR20190032887A (en) *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Battery Module Having Guide Coupling Structur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090A (en) 2021-11-22 2023-05-31 (주)미섬시스텍 Cylindrical Battery Connector for battery pack
WO2023169467A1 (en) * 2022-03-11 2023-09-14 苏州美阅新能源有限公司 Electrode column and battery cover plate
KR20230145777A (en) * 2022-04-11 2023-10-18 주식회사 시스템알앤디 Bus bar bonding method using side negative pole of cylindrical battery ce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89539B1 (en) 2025-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419B1 (en)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Bus-bar
KR102378374B1 (en) Battery Module Having Bus-bar and Battery Pack
EP3686956B1 (en) Battery module having bus bar, and battery pack
EP1834365B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secondary battery module
KR102321513B1 (en) Battery Module Having Bus-Bar Plate
EP4053989B1 (en) Battery module having busbar, battery pack and vehicle
KR102789539B1 (en)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Bus-bar
WO2018179794A1 (en) Battery pack
KR102311076B1 (en) Battery Module Having Heat Pip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JP2010067515A (en) Battery pack
KR101967703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00054755A (en) Battery Module Having Module Housing
JP7325890B2 (en) Battery modules and battery packs containing the same
KR20190001424A (en) Battery module
KR20210110919A (en) Battery modul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terminal part of pcb and a bus bar are directly connected
KR20160040167A (en) Stacking Type Battery Pack Having Connecting Member Made of Different Metals
US20240047840A1 (en)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KR20250013054A (en) Connector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connector
KR20220075045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4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0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2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503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5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