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41409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409A
KR20210041409A KR1020190124099A KR20190124099A KR20210041409A KR 20210041409 A KR20210041409 A KR 20210041409A KR 1020190124099 A KR1020190124099 A KR 1020190124099A KR 20190124099 A KR20190124099 A KR 20190124099A KR 20210041409 A KR20210041409 A KR 20210041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display panel
housing
disposed
magnetic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상
박상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4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1409A/ko
Priority to US16/928,935 priority patent/US11310926B2/en
Priority to CN202010699490.4A priority patent/CN112700715B/zh
Publication of KR20210041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409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31Magnetic circuits with PM for power or force generation
    • H01F7/0252PM holding devices
    • H01F7/0263Closures, bags, bands, engagement devices with male and female p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1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chains, or the like
    • G09F11/15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carried by endless belts, chains, or the like the elements being flexible she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하우징 각각에 결합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자성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 및 제1 자성부와 마주보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며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재 및 제1 자성과 반대되는 제2 자성을 갖는 제2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제2 자성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손동작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을 확장 및 축소 시 자력을 이용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확장 및 축소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 없어서 전체적인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실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평판 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평판 표시장치는 제조 공정 중 발생하는 높은 열을 견딜 수있도록 유리기판을 사용하므로 경량 박형화 및 유연성을 부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유연성이 없는 유리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가 차세대 평판 표시장치로 급부상중이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유리가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활용하여 내구성이 높은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깨지지 않으면서도 구부릴 수 있는 밴더블(Bendable),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Rollable), 접을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화면을 인출 및 삽입할 수 있는 슬라이더블(Slidabl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초박형, 경량화 및 소형화와 함께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슬라이더블(Slidable)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출원은 사용자의 힘을 최소화시키면서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및 디스플레이 패널과 하우징 각각에 결합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자성부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 및 제1 자성부와 마주보도록 하우징에 결합되며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재 및 제1 자성과 반대되는 제2 자성을 갖는 제2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제2 자성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손동작으로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 및 축소 시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장 및 축소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 없어서 전체적인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 및 축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 전력이 필요없으므로, 전체적인 크기 및 무게를 줄여서 보관 및 이동의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삽입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다.
도 1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삽입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선 Ⅰ-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B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6a는 도 1b에 도시된 선 Ⅱ-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C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7a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도 1b에 도시된 선 Ⅱ-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D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7c는 도 7b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8a는 삽입 상태 시 자성부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b는 삽입 상태에서 인출 상태로 전환 시 자성부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c는 인출 상태 시 자성부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d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자성부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출원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a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삽입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인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 사시도이고, 도 1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삽입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선 Ⅰ-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a에 도시된 A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5a는 도 1a에 도시된 B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6a는 도 1b에 도시된 선 Ⅱ-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C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7a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도 1b에 도시된 선 Ⅱ-Ⅱ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D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며, 도 7c는 도 7b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2), 하우징(3), 및 자성부(4)를 포함한다. 상기 자성부(4)는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41), 및 제1 자성과 제2 자성을 갖는 제2 자성부(42)를 포함한다. 이 때, 제2 자성부(42)는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재(421), 및 제2 자성을 갖는 제2 자성부재(42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갭유지부(5), 스토퍼부(6), 버튼부(7), 제1 결합부재(8), 및 제2 결합부재(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장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이 있는 재료를 사용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제조된 플렉서블(Flexible)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일 수 있으나,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일측(2a), 타측(2b), 제1 측(2c), 및 제2 측(2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일측(2a)과 타측(2b)은 X축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서, Y축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X축 방향은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측(2c)은 Y축 방향의 일측으로서, 상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측(2d)은 Y축 방향의 타측으로서, 하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Y축 방향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Z축 방향은 X축 방향 및 Y축 방향 각각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서, 예컨대, 도 1a를 참조로 전방(A1) 및 후방(A3)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A1)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을 볼 수 있는 방향 중 가장 크게 영상을 볼 수 있는 방향을 의미한다. 후방(A3)은 전방(A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방향이다. 전방(A1)과 후방(A3) 사이에는 측방(A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기 전방(A1), 상기 측방(A2), 및 상기 후방(A3)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전방(A1), 측방(A2), 및 후방(A3)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영역은 각기 다른 다른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기 하우징(3)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2)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A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이 확장되도록 이동되거나,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A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이 축소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이 확장되는 방향을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이라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영역이 축소되는 방향을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이라 정의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전방(A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영역이 확장된 상태를 인출 상태라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서 전방(A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영역이 축소된 상태를 삽입 상태라 정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을 손으로 잡거나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에 접촉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사용자가 전방(A1)에 노출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어디에든 접촉되어서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은 전방(A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 중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끝단 쪽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가 확장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자성부(4)에 의해서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Bending)되거나 또는 감겨진(Rolling)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A1) 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후방(A3) 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전방(A1)을 기준으로 확면이 확대되는 방향. 즉, 인출되는 방향을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정의하고, 화면이 축소되는 방향. 즉, 삽입되는 방향을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이라 정의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후방(A3) 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 중 일부가 전방(A1) 쪽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A3) 쪽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에 의해 가려졌던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는데,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후방(A3) 쪽에 커버(36, 도 2에 도시됨)를 배치함으로써,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전방(A1)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크기가 커짐으로써 사용자는 크기가 커지기 전보다 더 넓은 범위의 영상을 보거나 확대된 영상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2)이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A1) 쪽에 배치되었던 디스플레이 패널(2) 일부가 다시 후방(A3) 쪽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제1 측(2c) 및 제2 측(2d)이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측(2c)은 도 1b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상측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측(2d)은 도 1b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하측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 및 제2 측(2d)은 상기 하우징(3)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과 제2 측(2d)에는 제1 자성부(41)가 배치되고, 하우징(3)에는 제2 자성부(42)가 배치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확장 및 축소 시, 제1 자성부(41)와 제2 자성부(42)의 자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성부(4)의 자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이 확장 및 축소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하우징(3)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은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3)은 제1 하우징 측벽(31), 제2 하우징 측벽(32), 제3 하우징 측벽(33) 및 가이드 롤러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은 수납홈(35), 커버(36), 및 결합홈(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은 도 1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상측에 위치한 프레임이다.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단면은 전체적으로 긴 타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을 지지할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은 일측 및 타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일측이 곧, 하우징(3)의 일측(3a)일 수 있고,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타측이 곧, 하우징(3)의 타측(3b)일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일측(3a)은 삽입 상태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배치되는 쪽이다.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타측(3b)은 전방(A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을 기준으로 일측(3a)과 반대되는 쪽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부(34)가 배치되는 쪽이다.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311), 및 자성부(4)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성부(4)의 일부는 제2 자성부(42)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1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에 음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은 가이드 홈(31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11)에 삽입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기 가이드 홈(311)을 따라 사용자가 제공하는 구동력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1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에 결합되는 제1 자성부(41)가 디스플레이 패널(2)과 함께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311)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 측벽(31)의 내부에는 제2 자성부(42)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자성부(42)는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함에 따라 제1 자성부(41)와 인력과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홈(311)은 전체적으로 눕혀진 'U'자 형태로 제1 하우징 측벽(31)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홈(311)의 일측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일측(3a)으로부터 소정 거리 인출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11)의 타측은 디스플레이 패널(2)이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시,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2b)이 제1 하우징 측벽(31)에 지지되어 더 이상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외부와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11)은 디스플레이 패널(2)을 벤딩하기 위해 곡선부(31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선부(311a)는 제1 하우징 측벽(31)의 타측(3b) 쪽에 위치되도록 제1 하우징 측벽(3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선부(311a)는 반원형태로, 곡률 반경은 원통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 롤러부(34)의 반지름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곡선부(311a)는 가이드 롤러부(34)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곡선부(311a)에 위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기 가이드 롤러부(34)를 감싸는 형태로 벤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곡선부(311a)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상기 곡선부(311a)를 제외한 곳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과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곡선부(311a)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카톡 등의 문자, 날씨, 시간 등과 같은 간단한 정보 및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곡선부(311a)는 측방(A2)에 배치되므로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측방(A2)으로 상기와 같은 간단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곡선부(311a)를 제외한 전방(A1)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상기 간단한 정보를 좀 더 구체적으로 표시하거나, TV, 영화와 같은 대화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부(311a)를 제외한 후방(A3)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앱 등의 아이콘 등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방(A1)과 동일한 영상을 표시하거나 전방(A1)과 다른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방(A1)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영역, 측방(A2)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2 영역, 및 후방(A3)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방(A2)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인출 상태 또는 삽입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의 서로 다른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방(A1) 또는 후방(A3)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과 달리 측방(A2)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인출 상태 또는 삽입 상태에 상관 없이 항상 간단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측방(A2)을 통해 간단한 정보를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은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하측에 위치한 프레임이다.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은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과 나란한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은 제1 하우징 측벽(31)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하우징 측벽(32)은 제3 하우징 측벽(33)의 길이만큼 제1 하우징 측벽(3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2 측(2d)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은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 및 제2 측(2d)을 편평한 형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2 측(2d)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의 가이드 홈은 곡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의 가이드 홈 및 곡선부는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가이드 홈(311) 및 곡선부(311a)와 대칭된 형태로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에 형성되는 차이만 있을 뿐 기능과 효과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은 일측 및 타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의 일측은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일측(3a)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쪽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의 일측은 삽입 상태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배치되는 쪽이다.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의 타측은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타측(3b)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된 쪽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의 타측은 상기 가이드 롤러부(34)가 배치되는 쪽이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가이드 홈(311)이 갖는 곡선부(311a)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2)을 벤딩된 형태로 접을 수 있어서 컴팩트한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하우징 측벽(31) 및 제2 하우징 측벽(32) 각각이 갖는 가이드 홈에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 및 제2 측(2d)이 삽입됨으로써, 제1 하우징 측벽(31) 및 제2 하우징 측벽(32)이 디스플레이 패널(2)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을 터치하거나 이동시켜도 디스플레이 패널(2)이 구부러지는 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 측벽(33)은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일측(3a)과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의 일측에 연결된다. 일 예에 따른 제3 하우징 측벽(33)은 제1 하우징 측벽(31)과 제2 하우징 측벽(32)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 하우징 측벽(33)은 제1 하우징 측벽(31) 및 제2 하우징 측벽(32) 각각에 접착 결합, 억지끼워맞춤 결합, 볼트 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 측벽(33)은 길이가 긴 막대 형태로써, 단면이 부채꼴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하우징(3)에 삽입된 상태일 경우, 제3 하우징 측벽(33)은 후술할 제1 결합부재(8)와 접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롤러부(34)는 제1, 2 하우징 측벽(31, 32)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부(34)는 제1 하우징 측벽(31)과 제2 하우징 측벽(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부(34)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롤러부(34)는 곡선부(311a)에 위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벤딩 부분의 내면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내면은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롤러부(34)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영상 출력에 상관 없는 비표시 영역을 지지함으로써, 영상이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삽입 상태와 인출 상태를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롤러부(34)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벤딩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벤딩 부분이 수납홈(35) 쪽으로 함몰되거나 편평한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부(34)는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가이드 롤러부(34)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부(34)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부(34)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가이드 롤러부(34)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에 함께 회전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벤딩 부분의 형태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디스플레이 패널(2) 간에 발생하는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사용 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하우징(3)이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 상기 제3 하우징 측벽(33) 및 상기 가이드 롤러부(34)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가이드 롤러부(34)가 회전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 상기 제3 하우징 측벽(33) 및 상기 가이드 롤러부(34)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3)이 일체로 형성될 경우, 완성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제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가이드 롤러부(34)를 제외한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 상기 제3 하우징 측벽(33)이 일체로 형성되고 가이드 롤러부(34)만 별도로 제작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 및 상기 제3 하우징 측벽(33)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2)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홈(35)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구동, 통신 및 세트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등 영상을 출력하는데 필요한 부수적인 장치들을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수납홈(35)은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 상기 제2 하우징 측벽(32), 상기 제3 하우징 측벽(33) 및 상기 가이드 롤러부(3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수납홈(35)을 가리도록 전방(A1)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부 영역이 배치되고, 후방(A3)에는 커버(3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수적인 장치들이 수납홈(35)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부수적인 장치들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커버(36)는 수납홈(35)을 가리기 위한 것이다. 일 예에 따른 커버(36)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후방(A3) 쪽에 위치되도록 하우징(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36)는 상기 하우징(3)의 제1 하우징 측벽(31), 제2 하우징 측벽(32) 및 제3 하우징 측벽(33)에 각각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버(36)는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3)에 결합되어서 수납홈(35)을 가릴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36)는 상기 하우징(3)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일체성, 심미감 등을 높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36)는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36)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면은 사용자의 손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이 높은 면으로 구비되거나 요철 등의 다양한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자성부(4)는 디스플레이 패널(2)과 하우징(3)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자성부(4)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41), 및 제1 자성부(41)와 마주보도록 하우징(3)에 결합되는 제2 자성부(42)를 포함하고, 제2 자성부(42)는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재(421)와 제2 자성을 갖는 제2 자성부재(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은 상기 제1 자성과 반대되는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부(41)는 제1 자성을 갖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자성부(41)는 N극과 S극으로 이루어지고, N극이 S극보다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자성부(41)의 제1 자성은 S극과 N극이 상하로 배치된 구조에서 아래쪽에 배치된 자극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자성부(41)의 제1 자성은 N극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자성부(42)의 제1 자성부재(421)는 제1 자성을 갖는다. 도 3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자성부재(421)는 N극과 S극으로 이루어지고, S극이 N극보다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자성부재(421)의 제1 자성은 N극과 S극이 상하로 배치된 구조에서 위쪽에 배치된 자극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 자성부재(421)의 제1 자성은 N극일 수 있다.
상기 제2 자성부(42)의 제2 자성부재(422)는 제2 자성을 갖는다. 도 3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자성부재(422)는 N극과 S극으로 이루어지고, N극이 S극보다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2 자성부재(422)의 제2 자성은 S극과 N극이 상하로 배치된 구조에서 위쪽에 배치된 자극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자성부재(422)의 제2 자성은 S극일 수 있다.
종합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에는 N극인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41)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3)에는 N극인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재(421)와 S극인 제2 자성을 갖는 제2 자성부재(422)가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다른 극성 즉, N극과 S극은 인력이 작용하므로, 서로 당길 수 있고, 서로 같은 극성 즉, N극과 N극 또는 S극과 S극은 척력이 작용하므로, 서로 밀어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상기 제1 자성부(41)와 제2 자성부(42) 간에 작용하는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여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확장과 축소 시 사용자의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인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을 삽입 상태와 인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없어서 전체적인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 있어서, 제1 자성부재(421)와 제2 자성부재(422)는 서로 이격되며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N극과 S극이 서로 이격되어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자성부재(422)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2 자성부재(422)는 2개로 구비되어서 1개가 제1 하우징 측벽(31)의 일측(3a)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1개가 제1 하우징 측벽(31)의 타측(3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일측(3a)에 배치된 것이 제1 서브 자성부재(422a)이고,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의 타측(3b)에 배치된 것이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이다. 상기 제1 자성부재(421)는 상기 제1 서브 자성부재(422a)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부재(421)와 상기 제2 자성부재(422)는 서로 극성이 다르므로, 일체로 형성될 수 없고,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부재(421)와 상기 제2 자성부재(422)가 이격된 거리는 서로 간에 자력이 미치지 않는 거리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서브 자성부재(422a), 제1 자성부재(421), 및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도 3과 같이, 제1 하우징 측벽(31)의 일측(3a)과 타측(3b) 사이에서 서로 이격되며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서브 자성부재(422a), 제1 자성부재(421), 및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내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서브 자성부재(422a), 제1 자성부재(421), 및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X축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자성부(41)가 X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자성부(41)는 제1 서브 자성부재(422a), 제1 자성부재(421), 및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와 순차적으로 가까워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삽입 상태에서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자성부(41)가 제1 서브 자성부재(422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자성부재(422a)는 상기 제1 자성부(41)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자성부(41)는 제1 자성을 갖고, 상기 제1 서브 자성부재(422a)는 제2 자성을 가지므로, 제1 자성부(41)와 제1 서브 자성부재(422a)는 인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상태에서 제1 자성부(41)가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은 제1 하우징 측벽(31)의 일측(3a)에 결합된 제1 서브 자성부재(422a)와 Z축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자성부(41)와 제1 서브 자성부재(422a)의 인력을 이용하여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우징(3)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전체적인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삽입 상태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서브 자성부재(422b)가 제1 자성부재(421)와 같은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7)가 갖는 탄성부재(73)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를 Z축방향에서 우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2 서브 자성부재(422b)가 버튼부(7)의 경사면(721)을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튼부(7)의 승강부재(71)와 이동부재(72)는 Y축방향에서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Y축방향은 제1 축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Z축방향은 제2 축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 삽입 상태에서 인출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사용자의 힘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인출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 자성부(41)가 제1 자성부재(4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자성부(41)와 제1 자성부재(421)는 서로 같은 극성인 N극을 가지므로,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상태에서 인출 상태로 전환될 때, 제1 자성부(41)가 제1 자성부재(421)의 상측에 배치되면 척력이 작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인력이 작용하는 경우보다 더 적은 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원리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될 경우, 제1 자성부(41)가 제1 자성부재(421)의 상측에 배치될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삽입 상태에서 인출 상태로 전환되거나,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될 때, 제1 자성부(41)가 제1 자성부재(421)의 상측에 배치되는 경우를 전환 상태라 정의한다.
다음, 인출 상태에서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제1 자성부(41)는 제1 하우징 측벽(31)의 타측(3b) 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자성부(41)는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와 대각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 상태와 전환 상태일 경우에는 제1 자성부(41)가 제1 서브 자성부재(422a) 및 제1 자성부재(421) 각각과 마주보도록 상하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인출 상태일 경우에는 제1 자성부(41)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와 상하에 배치되지 않고 대각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제2 서브 자성부재(422b)가 제1 자성부(4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도록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의 이동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자성부(41)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가 대각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제1 자성부(41)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인력이 작용함으로써, 인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인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우징(3)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 없으므로 전체적인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다음,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이,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제1 자성부(4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를 제1 자성부(4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시킴으로써, 서로 동일한 극성이 X축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서 척력을 발생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사용자가 하우징(3)으로부터 돌출된 버튼부(7)의 승강부재(71)를 누르면 승강부재(71)와 이동부재(72)가 제1 축방향인 Y축방향의 하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제2 서브 자성부재(422b)가 이동부재(72)의 경사면(721)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서 제1 자성부(4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자성부(41)의 상측에는 S극이 배치되고,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의 상측에도 S극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자성부(41)의 하측에는 N극이 배치되고,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의 하측에도 N극이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사용자가 버튼부(7)를 누름으로써 제1 자성부(41)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 간의 척력을 이용하여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척력 없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패널(2)을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더 적은 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삽입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5a를 참조하면, 갭유지부(5)는 제1 자성부(41)와 제2 자성부(42) 간의 갭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갭유지부(5)는 자석에 붙지 않는 부도체로 형성되어서, 제1 자성부(41)와 제2 자성부(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갭유지부(5)는 커버부(36)의 하면과 제2 자성부(42)의 상면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갭유지부(5)는 제1 자성부(41)와 제2 자성부(42)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제1 자성부(41)의 하면과 제2 자성부(42)의 상면이 직접 접촉될 경우에 비해 제1 자성부(41)와 제2 자성부재(42)의 인력을 축소시켜서 삽입 상태에서 인출 상태로 전환 시 사용자의 힘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갭유지부(5)는 상기 제1 자성부(41)와 제2 자성부(42)가 배치된 영역에만 배치됨으로써,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두께와 무게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갭유지부(5)의 상면에 배치된 커버부(36)는 제1 자성부(41)의 하면에 배치됨으로써, 제1 자성부(41)가 제1 하우징 측벽(31)의 타측(3b)으로 이동하여도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내부를 커버하여서 내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갭유지부(5)는 도 4 및 도 5a와 같이,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에 볼트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법으로 제1 하우징 측벽(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갭유지부(5)는 상기 제1 자성부재(421)보다 긴 길이로 구비되고 양 끝단이 절곡되어서 제1 하우징 측벽(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자성부재(421)의 상면 전체는 상기 갭유지부(5)의 하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 서브 자성부재(422a)의 상면 일부는 상기 갭유지부(5)의 끝단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갭유지부(5)가 제1 하우징 측벽(31)에 결합됨으로써, 갭유지부(5)의 하면에 접촉되는 제1 자성부재(421)와 제1 서브 자성부재(422a)는 갭유지부(5)에 의해 제1 하우징 측벽(3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성부(41)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여도 제1 자성부재(421)와 제1 서브 자성부재(422a)는 제1 하우징 측벽(31)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충격분산부(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분산부(21)는 도 3 내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충격분산부(21)는 디스플레이 패널(2)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충격분산부(21)는 고무 등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분산부(21)는 디스플레이 패널(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두께 및 무게를 줄이기 위해 자성부(4)가 배치되는 영역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충격분산부(21)가 디스플레이 패널(2)의 배면 전체에 결합될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2)의 확장과 축소 시 디스플레이 패널(2)이 비틀리는 등 모양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스토퍼부(6)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부(6)는 제1 스토퍼부(61)와 제2 스토퍼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부(61)는 제1 하우징 측벽(31)의 일측(3a)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부(61)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이 제1 하우징 측벽(3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1 스토퍼부(61)는 인출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2)이 삽입 상태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스토퍼부(61)는 '┗' 형태로 형성되어 제1 하우징 측벽(31)에 결합되고, 수평부분이 제1 서브 자성부재(422a)의 상면에 접촉되며, 수직부분이 제1 자성부(41)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제1 자성부(4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스토퍼부(61)는 제1 하우징 측벽(31)에 결합되어서 제1 자성부(41)를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스토퍼부(62)는 제1 하우징 측벽(31)의 타측(3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퍼부(62)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이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를 지나가지 못하도록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스토퍼부(62)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에 결합된 제1 자성부(41)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를 지나가지 못하도록 제1 자성부(41)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2 스토퍼부(62)는 삽입상태에서 인출 상태로 전환될 때, 전방(A1)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이 더 이상 확장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스토퍼부(62)는 전체적으로 '┛' 형태로 형성되어서 수평부분이 제1 하우징 측벽(31)에 결합되고, 수직부분이 제1 자성부(41)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제1 자성부(4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스토퍼부(62)의 수직부분은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가 갖는 가이드부재(G, 도 5a에 도시됨)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G)와 함께 제2 서브 자성부재(422b)가 제2 축방향인 Z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추가로 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버튼부(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부(7)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척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을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a, 도2 및 도 3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버튼부(7)는 승강부재(71), 이동부재(72) 및 탄성부재(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71)는 하우징(3)에 Y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Y축방향은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Y축방향이 중력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경우, 상기 승강부재(71)는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71)는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승강부재(7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되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71)는 머리부(711) 및 몸통부(7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71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외부로 돌출된 버튼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711)는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사용자의 조작 또는 탄성부재(73)의 탄성복원력에 따라 Y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머리부(711)는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으로부터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과 일체감을 주기 위해 제1 하우징 측벽(3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통부(712)는 상기 머리부(711)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몸통부(712)는 상기 머리부(711)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712)는 제1 하우징 측벽(31) 및 제2 하우징 측벽(32) 각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몸통부(712)는 제1 하우징 측벽(31) 및 제2 하우징 측벽(32) 각각에 형성된 관통 구멍 또는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712)는 제1 하우징 측벽(31)에서부터 제2 하우징 측벽(32)까지 길게 연장되어서 이동부재(7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몸통부(712)는 전체적으로 길이가 긴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하우징 측벽(31) 및 제2 하우징 측벽(3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이동부재(72)를 이동시킬 수 있으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부재(72)는 상기 승강부재(71)의 이동에 따라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를 Z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부재(72)는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의 하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721)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72)는 단면이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의 모서리 부분은 상기 경사면(721)에 접촉되고, 상기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상기 경사면(721)에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부재(73)의 탄성복원력 또는 사용자가 버튼부(7)를 누르는 힘에 의해 Z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와 같은 삽입 상태에서는 제2 서브 자성부재(422b)가 탄성부재(7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충격분산부(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부재(72)는 도 5b의 Y축방향에서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71)의 머리부(711)는 도 1a와 같제1 하우징 측벽(3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 도 7b 및 도 7c와 같이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에는 사용자가 상기 승강부재(71)의 머리부(711)를 누름으로써, 이동부재(72)가 도 7c의 Y축방향에서 하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경사면(721)을 따라 충격분산부(21)의 하면에 접촉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73)는 도 7c와 같이 인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도 7b와 같이 제1 자성부(41)와 동일한 높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사용자가 버튼부(7)를 누르면 제1 자성부(41)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 간에 척력이 작용하여서 디스플레이 패널(2)이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척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더 적은 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3)는 탄성복원력에 따라 승강부재(71)를 제1 하우징 측벽(31)으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73)는 일측이 제1 하우징 측벽(31)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3)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수축됨으로써, 상기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를 충격분산부(21)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머리부(711)를 누르면 Z축방향으로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에 중첩되는 이동부재(72)의 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인장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탄성부재(73)는 2개가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2 서브 자성부재(422b) 및 제1 하우징 측벽(3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71)와 상기 이동부재(72)는 상기 탄성부재(73)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71)와 이동부재(72), 및 탄성부재(73)는 서로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결합부재(8) 및 제2 결합부재(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8)는 도 2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과 제2 측(2d) 사이에 배치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2a)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1 결합부재(8)는 단면이 화살촉 형태로 구비된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8)는 메탈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8)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2a)에서 제1 측(2c) 및 제2 측(2d)에 걸쳐서 디스플레이 패널(2)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하우징(3)로부터 인출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2)의 편평함(flatness)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8)는 접착 결합, 압착 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과 제2 측(2d)의 길이 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재(8)는 평탄부재(81)와 돌출부재(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재(81)는 상기 하우징(3)에 형성된 결합홈(3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7)은 제1 하우징 측벽(31)에 음각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가이드 홈(311)에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탄부재(81)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디스플레이 패널(2)과 함께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결합홈(3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평탄부재(81)가 결합홈(37)에 삽입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은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37)은 도 2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 측벽(31)에서 제3 하우징 측벽(33)이 결합되는 위치에서 전방(A1)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홈(37)에 평탄부재(81)가 삽입되면 제3 하우징 측벽(33)은 상기 평탄부재(81)와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 하우징 측벽(33)은 상기 제1 결합부재(8)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삽입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2)이 수납홈(35) 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편평함을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홈(37)은 디스플레이 패널(2)과 평탄부재(81)를 삽입시키기 위해 가이드 홈(311)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82)는 하우징(3)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82)는 상기 결합홈(37)에 삽입되지 않도록 평탄부재(81)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돌출부재(82)는 평탄부재보다 전방(A1)으로 더 돌출되되,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감소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돌출부재(82)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82)는 평탄부재(81)에 대해 수직한 면이 삽입 상태 시 제1 하우징 측벽(31)에 지지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재(82)의 수직한 면은 결합홈(37)에 인접하는 제1 하우징 측벽(31)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제1 결합부재(8)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이 하우징(3)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전방(A1)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크기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돌출부재(82)가 결합홈(37)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외부에 노출된 돌출부재(82)를 잡고 삽입 상태에서 인출 상태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결합부재(8)가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2)의 일측(2a)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사용 수명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제2 결합부재(9)는 도 2, 도 4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와 제2 측(2d) 사이에 배치되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2b)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2 결합부재(9)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에 접착 결합, 압착 결합, 볼트 결합 등 다양한 결합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재(9)는 단면이 'ㅁ' 형태로 구비된 막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재(9)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서 삽입 상태로 전환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과 제1 하우징 측벽(31)의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2 결합부재(9)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결합부재(9)는 고무로 구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면 다른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결합부재(9)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타측(2b)에서 제1 측(2c) 및 제2 측(2d)에 걸쳐서 디스플레이 패널(2)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의 편평함(flatness)을 유지시킬 수도 있다. 즉, 제2 결합부재(9)는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에 밀착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이 구겨지는 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을 보호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2)의 사용 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다.
도 8a는 삽입 상태 시 자성부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고, 도 8b는 삽입 상태에서 인출 상태로 전환 시 자성부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고, 도 8c는 인출 상태 시 자성부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며, 도 8d는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자성부의 개략적인 작동 상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3 내지 도 7c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 내지 도 8d는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삽입 상태, 전환 상태, 인출 상태, 및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자성부(4)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도 8a 내지 도 8d를 도 3 내지 도 7c와 결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a는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삽입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 전체가 하우징(3)에 삽입된 상태이다. 상기 제1 자성부(41)와 제2 서브 자성부재(422a)는 Z축방향으로 상하(또는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자성부(41)의 N극과 제2 서브 자성부재(422a)의 S극은 인력이 작용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은 하우징(3)에서 이동되지 못하고 삽입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제1 자성부(41)와 제1 서브 자성부재(422a) 간의 인력을 이용하여 삽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전체적인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자성부재(422a)의 제2 길이(L2)는 제1 자성부(41)의 제1 길이(L1)와 같거나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제1 서브 자성부재(422a)의 길이가 제1 자성부(41)의 길이보다 더 짧으면 삽입 상태 시 인력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작은 충격에도 디스플레이 패널(2)이 이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자성부재(421)의 제3 길이(L3)는 제1 서브 자성부재(422a)의 제2 길이(L2)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는, 도 3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이 삽입 상태에서 인출 상태로 완전히 전환되기 전까지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이 이동하는 경로가 길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에 결합되는 제1 자성부(41)가 하우징(3)의 일측(3a)에서 타측(3b)까지 이동해야만 인출 상태로 완전히 전환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경로에서 사용자가 최소한의 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1 자성부(41)와 다른 극성을 갖는 제1 자성부재(421)를 제2 길이(L2)보다 긴 제3 길이(L3)로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전환 상태에서는 제1 자성부(41)와 제1 자성부재(421) 간에 척력이 작용하므로,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의 제4 길이(L4)는 제3 길이(L3)보다 작고 제2 길이(L2)보다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 길이(L4)가 제3 길이(L3)와 같거나 더 길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폭이 너무 길어져서 사용자가 휴대하기 불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길이(L4)가 제2 길이(L2)보다 짧으면 제1 자성부(41)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 간의 인력이 작아져서 인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의 제4 길이(L4)가 제1 서브 자성부재(422a)의 제2 길이(L2)보다 길게 구비되는 이유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7)의 승강부재(71)와 이동부재(72)가 복수의 탄성부재(73) 사이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승강부재(71)와 이동부재(72)가 복수의 탄성부재(73) 사이에 배치되어야만 도 2와 같이 승강부재(71)와 이동부재(72)가 제2 하우징 측벽(32)까지 길게 배치되어서 디스플레이 패널(2)을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가 제1 하우징 측벽(31)에 배치되는 승강부재(71)의 머리부(711)를 한 손으로 누름으로써, Y축방향으로 상측과 하측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2)의 제1 측(2c)과 제2 측(2d)이 동시에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이 구겨지는 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8b는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에 결합된 제1 자성부(41)가 인출 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이다. 상기 제1 자성부(41)와 제1 자성부재(421)는 Z축방향으로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자성부(41)의 N극과 제1 자성부재(421)의 N극은 척력이 작용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은 타측(3b)은 전술한 삽입 상태보다 Z축방향으로 더 이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힘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을 확장 및 축소 시 제1 자성부(41)와 제1 자성부재(421) 간의 척력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힘이 최소화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음, 도 8c는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인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제1 자성부(41)가 하우징(3)의 타측(3b)에 위치된 상태이다. 상기 제1 자성부(41)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대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자성부(41)의 N극과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의 S극은 인력이 작용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은 하우징(3)에서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고 인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제1 자성부(41)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 간의 인력을 이용하여 인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경우에 비해 전체적인 크기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8c에서 제1 자성부(41)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의 상측까지 배치되지 못하는 이유는, 도 8d와 같이 제2 서브 자성부재(422b)가 제1 자성부(41)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도록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의 이동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 8d는 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제1 자성부(41)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 상태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제1 하우징 측벽(31)으로부터 돌출된 버튼부(7)의 승강부재(71)를 누름으로써, 이동부재(72)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이동부재(72)의 경사면(721)에 접촉된 상태에서 Z축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브 자성부재(422b)는 제1 자성부(41)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서 서로 간에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자성부(41)와 제2 서브 자성부재(422b) 간의 척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의 타측(2b)을 삽입 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킴으로써,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의 전환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종합해 보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손동작으로 전방(A1)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2)(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 및 축소 시 자성부(4)의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힘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력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이 삽입된 상태 및 인출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 없어서 전체적인 크기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디스플레이 패널 3: 하우징
4: 자성부 5: 갭유지부
6: 스토퍼부 7: 버튼부
8: 제1 결합부재 9: 제2 결합부재

Claims (18)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하우징 각각에 결합되는 자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 및
    상기 제1 자성부와 마주보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자성을 갖는 제1 자성부재 및 상기 제1 자성과 반대되는 제2 자성을 갖는 제2 자성부재를 포함하는 제2 자성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재와 상기 제2 자성부재는 서로 이격되며 교번하여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재와 상기 제2 자성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제2 자성부재들은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된 제2 자성부재 사이에 배치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2 자성부재의 길이보다 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부재의 길이는 상기 제1 자성부의 길이와 같거나 더 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제2 자성부 사이에 배치된 갭유지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영역, 제2 영역, 및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 상기 제2 영역, 및 상기 제3 영역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영상을 출력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결합된 충격분산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1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1 하우징 측벽;
    상기 제1 하우징 측벽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2 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제2 하우징 측벽;
    상기 제1 하우징 측벽의 일측과 상기 제2 하우징 측벽의 일측에 연결된 제3 하우징 측벽; 및
    상기 제1 하우징 측벽의 타측과 상기 제2 하우징 측벽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가이드 롤러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부와 상기 갭유지부 사이에 배치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는,
    상기 하우징에 제1 축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2 자성부재 중 하나를 제2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탄성 복원력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일측이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제2 자성부재 중 하나에 결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2 자성부재의 하면에 대해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자성부재는 상기 경사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삽입 상태 시 상기 제2 자성부재 중 하나는 상기 제1 자성부의 하측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성부재는 복수개로 구비되며,
    인출 상태에서 삽입 상태로 전환 시 상기 제2 자성부재 중 하나는 상기 제1 자성부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90124099A 2019-10-07 2019-10-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ending KR20210041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099A KR20210041409A (ko) 2019-10-07 2019-10-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6/928,935 US11310926B2 (en) 2019-10-07 2020-07-14 Flexible display apparatus
CN202010699490.4A CN112700715B (zh) 2019-10-07 2020-07-20 柔性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099A KR20210041409A (ko) 2019-10-07 2019-10-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409A true KR20210041409A (ko) 2021-04-15

Family

ID=7527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099A Pending KR20210041409A (ko) 2019-10-07 2019-10-0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10926B2 (ko)
KR (1) KR20210041409A (ko)
CN (1) CN1127007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1646025S (ko) * 2019-04-10 2021-11-08
CN111243438B (zh) * 2020-02-07 2022-01-28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JP7340277B2 (ja) * 2021-06-18 2023-09-07 株式会社Joled 表示装置
CN113707024B (zh) * 2021-09-02 2023-08-04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5762332A (zh) * 2021-09-02 2023-03-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936561B (zh) * 2021-11-05 2023-11-10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卷曲终端
CN114141147A (zh) * 2021-12-07 2022-03-04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及电子设备
WO2023191255A1 (ko) * 2022-03-30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240126335A1 (en) * 2022-10-17 2024-04-1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Translating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6951B2 (en) * 2003-04-01 2010-08-31 Polymer Vision Limited Apparatus with display
KR100781708B1 (ko) * 2006-10-12 2007-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 및 그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842625B1 (ko) 2006-12-14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1441919B1 (ko) 2007-12-24 2014-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US9459656B2 (en) * 2008-10-12 2016-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KR102082163B1 (ko) * 2013-04-25 2020-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장치 및 그 고정 방법
CN104378936A (zh) * 2013-08-16 2015-02-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
TWI608328B (zh) * 2013-10-24 2017-12-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138753B1 (ko) * 2013-11-22 2020-07-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표시장치
KR102342761B1 (ko) * 2014-12-0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9026B1 (ko) * 2014-12-22 2021-09-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75469B1 (ko) * 2015-01-13 2022-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8162B1 (ko) * 2015-02-10 2022-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20160139320A (ko) * 2015-05-27 2016-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48980B1 (ko) * 2015-07-20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전자장치
US10488886B2 (en) * 2016-01-11 2019-11-26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Flexible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the same
US9898048B2 (en) * 2016-01-20 2018-02-20 Nanoport Technology Inc. Interconnectable electronic device with magnetic rail
KR102534579B1 (ko) * 2016-06-17 2023-05-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4505B1 (ko) * 2016-06-20 2023-0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102591365B1 (ko) * 2016-09-12 2023-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631840B1 (ko) * 2016-10-06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CN108769324B (zh) * 2018-07-27 2021-04-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滑轨及移动终端
TWI676098B (zh) * 2018-09-13 2019-11-0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滑動定位機構及電子裝置
CN109151117A (zh) * 2018-09-18 2019-01-04 富世达股份有限公司 滑动定位机构及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05902A1 (en) 2021-04-08
CN112700715A (zh) 2021-04-23
CN112700715B (zh) 2023-06-06
US11310926B2 (en)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4140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8068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86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567540B2 (en) Foldable device
EP3926611B1 (en) Anti-impact led display screen
CN111819615B (zh) 柔性显示装置
CN110010007B (zh) 柔性显示装置及显示设备
CN105830140B (zh) 折叠式设备
US9250733B2 (en) Hinge device and foldabl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107287B2 (en) Soft display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CN212229972U (zh) 柔性显示装置
CN114785926B (zh) 一种电子设备
CN113674642B (zh) 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4596775B (zh) 显示装置
CN113411423B (zh) 电子设备
KR102127980B1 (ko) 듀얼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KR10176994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단말기
KR20220076145A (ko) 롤러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5035800A (zh) 电子设备
JP2014093309A (ja) 電子機器および電気接続装置
CN216980023U (zh) 支撑结构及柔性显示装置
KR101406169B1 (ko)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JP6572825B2 (ja) 電子機器
KR101674461B1 (ko) 모니터 탑재용 키보드
JP2008191398A (ja) 電子機器搭載用ディスプレイ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0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