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325A - Treating apparatus for nursing bottle - Google Patents
Treating apparatus for nursing bott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41325A KR20210041325A KR1020190123895A KR20190123895A KR20210041325A KR 20210041325 A KR20210041325 A KR 20210041325A KR 1020190123895 A KR1020190123895 A KR 1020190123895A KR 20190123895 A KR20190123895 A KR 20190123895A KR 20210041325 A KR20210041325 A KR 202100413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light irradiation
- baby bottle
- unit
- tra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230000000474 nurs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793 Steam injection (oil indust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02—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 A47L15/0015—Washing processes, i.e. machine working principles characterised by phases or operational steps other treatment phases, e.g. steam or sterilizing phas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42—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ultraviolet gener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3—Containers, e.g. vials, bottles, syringes, mai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개시되는 내용은 젖병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젖병과 젖병의 분리된 부속물을 세척, 살균 및 소독하는 젖병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Disclosed is a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In more detail, it relates to a bottle management device for washing,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the bottle and the separated parts of the bottle.
일반적으로 젖병은 젖먹이 아이에게 우유나 미음 등을 먹이기 위해 사용한다. 젖병은 열에 강하며 견고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맑고 투명도가 높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는 아이를 위한 분유를 탈 때 물의 양, 분유의 상태 등을 관찰하기 편하게 한다.In general, baby bottles are used to feed infants with milk or Mieum. The bottle is heat resistant and made of a sturdy material. And in most cases, it is clear and has high transparency. This makes it easier to observe the amount of water and the condition of the formula when taking formula for children.
젖병은 액체가 담기는 용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용기에 수용된 액체를 섭취하기 위한 꼭지가 결합된다. 그 외에도 용기와 꼭지 사이에 개재되는 링이나 꼭지를 덮는 캡을 포함한다.The baby bottle contains a container for the liquid. And, the tap for ingesting the liquid contained in the container is combined. In addition, it includes a ring interposed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spout or a cap covering the spout.
젖병은 대체로 어린 아이를 위해 사용되고, 꼭지를 입으로 물어서 용기 담긴 내용물을 섭취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젖병은 사용 후 위생관리가 매우 중요하다.Baby bottles are generally used for young children,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are ingested by biting the teat into the mouth. Therefore, hygiene management after use of the baby bottle is very important.
젖병은 세척 후 끓는 물과 함께 끓임으로써 살균을 한다. 끓는 물의 고열을 통해 젖병에 존재하는 세균을 박멸하는 방법이 널리 이용된다. 또는, 살균을 위한 살균액(sterilizing fluid)으로 젖병을 소독하기도 하고, 뜨거운 비눗물이나 세재 섞인 물로 청소하기도 한다.After washing, the bottle is sterilized by boiling it with boiling water. The method of eradicating the bacteria present in the baby bottle is widely used through the high heat of boiling water. Or, the bottle is sterilized with a sterilizing fluid for sterilization, and the bottle is cleaned with hot soapy water or water mixed with detergent.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56441호(이하, '관련기술 1'이라 한다.)는 '가정용 살균기 겸용 건조기'를 개시한다.As a related technolog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56441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lated technology 1”) discloses a “household sterilizer combined dryer”.
관련기술 1은 주방용품 또는 유아용품을 살균 소독시키는 가정용 살균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 1에 따른 가정용 살균건조기는 내부에 피건조물을 수납하는 채반이 구비되는 건조실, 건조실을 개폐하는 도어, 건조실로 가열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과 전열히터를 포함한다.Related Art 1 relates to a household sterilization dryer that sterilizes kitchen utensils or baby products. The household sterilization dryer according to related technology 1 includes a drying room in which a tray for storing objects to be stored is provide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rying room, and a blower and electric heater for supplying heated air to the drying room.
관련기술 1은 열풍을 건조실 내부에 순환되도록 하여 유아용품을 살균 및 소독한다. 하지만, 열풍의 순환만으로는 감염에 취약한 유아들이 사용하는 유아용품을 충분히 살균 및 소독하기에 부족함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젖병의 경우 용기의 내측공간과 같이 열풍의 순환이 잘되지 않는 부분은 건조가 늦었다. 뿐만 아니라, 살균 효율도 높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Related technology 1 sterilizes and disinfects baby products by circulating hot air inside the drying room. However, only the circulation of hot air was insufficient to sufficiently sterilize and disinfect baby products used by infants susceptible to infection.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aby bottle, the drying of the parts where the circulation of hot air is not good, such as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was delayed. In addition,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sterilization efficiency was not high.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7-0115148호(이하, '관련기술 2'라 한다.)는 '젖병 살균 소독기'를 개시한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15148 (hereinafter referred to as'related technology 2') discloses a'baby bottle sterilizer'.
관련기술 2는 뚜껑으로 여닫히는 본체, 본체 내부에 물을 담는 가열접시, 가열접시 밑면에서 물을 끓여주는 히터를 포함한다. 관련기술 2는 스팀을 젖병에 분사하여 젖병의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한다. 하지만, 젖병의 내부와 외부에 고르게 스팀이 가해질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살균 및 소독 효과가 젖병의 내부공간에만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Related technology 2 includes a body that opens and closes with a lid, a heating dish that holds water inside the body, and a heater that boils water from the bottom of the heating dish. Related technology 2 sprays steam onto the bottle to sterilize and disinfect the bottle. However, sinc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steam cannot be applied evenly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aby bott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effect is concentrated only in the inner space of the baby bottle.
전술한 관련기술은 발명자가 개시되는 내용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개시되는 내용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개시되는 내용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described related technologies are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s for the disclosed contents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disclosed contents, and are not necessarily known technologies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disclosed contents.
개시되는 내용의 일 과제는, 젖병 및 젖병 부속물 전체를 고르게 살균 및 소독할 수 없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One problem of the disclosed content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in which it was not possible to evenly sterilize and sterilize the entire feeding bottle and feeding bottle accessory.
개시되는 내용의 다른 과제는, 젖병 및 젖병 부속물을 세척, 살균 및 소독함에 있어서 세척이나 살균 소독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었던 사각지역이 존재하였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in which a blind area that could not sufficiently perform washing or sterilization sterilization in washing,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baby bottles and baby bottle accessories was present.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높은 온도로 인해 젖병이 변형되거나, 사용자가 화상의 위험에 노출되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of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n which the baby bottle is deformed due to high temperature or the user is exposed to the risk of burns.
개시되는 내용의 또 다른 과제는, 젖병 및 젖병 부속물을 세척하는 과정과 살균 및 소독하는 과정을 따로 수행하여야 했던 종래기술의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이다.Another problem of the disclosed content is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the prior art, which had to separately perform the process of washing the baby bottle and the bottle accessory and the process of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it.
개시되는 내용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disclosed contents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or obj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는 본체, 도어, 제1관리유닛, 제2관리유닛 및 스팀트레이를 포함한다. 본체는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수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납부의 상면은 개방된다.A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a door, a first management unit, a second management unit, and a steam tray. The main body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composed of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is opened.
도어는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열거나 닫는다. 제1관리유닛은 수납부 하부에 설치되고, 수납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제1광조사부와 수납부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부를 포함한다. 제2관리유닛은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수납부를 향해 빛을 조사한다. 스팀트레이는 제1관리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광조사구 및 스팀분사구가 형성된다.The door opens or closes the open top surface of the body. The first management unit is installed under the receiving unit and includes a first light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receiving unit and a steam generating unit for injecting steam toward the receiving unit. The second management uni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irradiates light toward the receiving portion. The steam tray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anagement unit, and is formed of a plate-shaped member to form a plurality of light irradiation ports and steam injection ports.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트레이는 상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In the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the steam tray includes a handle protruding upward on an upper surface.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트레이는 스팀분사구가 광조사구와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가상의 원의 원주상에 배치된다.In the feeding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the steam tray is disposed on the circumference of a virtual circle in which the steam injection port has the same center point as the light irradiation port.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트레이는 스팀분사구가 배치되는 가상의 원이 복수 개이고 각각의 가상의 원의 원주 상에 스팀분사구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In the feeding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the steam tray includes a plurality of virtual circles on which the steam injection ports are arranged, and the steam injection ports are disposed on the circumference of each virtual circle at predetermined intervals.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트레이는 하나의 광조사구를 둘러서 통공되는 복수 개의 스팀분사구로 이루어지고, 스팀트레이 외측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스팀트레이의 바깥쪽을 향해 스팀을 안내하는 제1분사군 및 하나의 광조사구를 둘러서 통공되는 복수 개의 스팀분사구로 이루어지고 제1분사군의 내측에 배치되어 스팀트레이의 상부로 스팀을 안내하는 제2분사군을 포함한다.In the feeding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the steam tray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team injection ports that are penetrated around one light irradiation port, and are arrang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am tray to guide steam toward the outside of the steam tray. And a second injection group consisting of a first injection group and a plurality of steam injection ports passing through one light irradiation port and disposed inside the first injection group to guide steam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eam tray.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분사구는 수직공, 제1경사공 및 제2경사공을 포함한다. 수직공은 광조사구와 가장 인접한 가상의 원을 따라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된다. 제1경사공은 수직공과 가장 인접한 가상의 원을 따라 배치되며 상부로 갈수록 광조사구를 향해 경사지도록 개방된다. 제2경사공은 제1경사공의 외곽에서 제1경사공과 가장 인접한 가상의 원을 따라 배치되며 상부로 갈수록 광조사구를 향해 경사지되, 제1경사공보다 큰 기울기를 갖는다.In the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the steam injection port includes a vertical hole, a first inclined hole, and a second inclined hole. The vertical hole is arranged along an imaginary circle closest to the light irradiation hole and ope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inclined hole is disposed along an imaginary circle closest to the vertical hole, and is opened so as to incline toward the light irradiation hole toward the top. The second inclined hole is disposed along an imaginary circle closest to the first inclined hole at the outer edge of the first inclined hole, and is inclined toward the light irradiation hole toward the top, but has a larger inclination than the first inclined hole.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제1경사공은 제1경사공의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유체가 광조사구의 상부에서 만난다.In the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 fluid passing from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hole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clined hole meet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light irradiation hole.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제2경사공들은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유체가 광조사구의 상부에서 만난다.In the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the fluid pass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second inclined holes meet at the top of the light irradiation port.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는 본체, 도어, 제1관리유닛, 제2관리유닛, 거치대 및 스팀트레이를 포함한다.A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includes a main body, a door, a first management unit, a second management unit, a cradle, and a steam tray.
본체는 바닥면과 측벽으로 이루어지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수납부의 상면이 개방된다. 도어는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열거나 닫는다. 제1관리유닛은 수납부 하부에 설치되고, 수납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제1광조사부와 수납부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부를 포함한다.The main body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compris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and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is opened. The door opens or closes the open top surface of the body. The first management unit is installed under the receiving unit and includes a first light irradiation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receiving unit and a steam generating unit for injecting steam toward the receiving unit.
제2관리유닛은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수납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제2광조사부를 포함한다. 거치대는 수납부에 수용되고 젖병의 몸체를 고정하는 제1홀더 및 젖병의 부속물을 고정하는 제2홀더를 포함한다.The second management unit includes a second light irradiation unit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receiving unit. The cradle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ortion and includes a first holder for fixing the body of the baby bottle and a second holder for fixing an accessory of the baby bottle.
스팀트레이는 수납부의 바닥면에 배치되며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제1홀더 및 제2홀더 하부에는 광조사구가 형성되고, 각각의 광조사구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스팀분사구를 포함한다.The steam tray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unit and is made of a plate-like member. A light irradiation port is formed und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s, and a plurality of steam injection ports are arranged radially around each light irradiation port. Includes.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트레이는 제1홀더 하부에 형성되며, 광조사구 및 광조사구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 개의 스팀분사구로 이루어지되, 스팀분사구들은 스팀트레이의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제1분사군을 포함한다.In the feeding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the steam tray is formed under the first holder, and consists of a light irradiation port and a plurality of steam injection ports formed around the light irradiation port, but the steam injection ports face the outside of the steam tray. It includes the first injection group inclined upward.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트레이는 제2홀더 하부에 형성되며, 광조사구 및 광조사구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 개의 스팀분사구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스팀분사구를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이 광조사구 상부의 한 점에서 만나는 제2분사군을 포함한다.In the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the steam tray is formed under the second holder, and consists of a light irradiation port and a plurality of steam injection ports formed around the light irradiation port, It includes a second injection group where a straight line meets at a point in the upper part of the light irradiation port.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제1관리유닛은 스팀발생부 및 제1광조사부를 포함한다. 스팀발생부는 스팀트레이 하부에 배치되고 수용된 물을 가열해 스팀을 발생시킨다. 제1광조사부는 광조사구를 향해 상부로 돌출되고, 광조사구를 통해 빛을 조사한다.In the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the first management unit includes a steam generator and a first light irradiation unit. The steam generator is disposed under the steam tray and generates steam by heating the received water. The first light irradiation unit protrudes upward toward the light irradiation port, and irradiates light through the light irradiation port.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광조사부 및 스팀발생부를 통한 이중 살균 및 소독을 수행함으로써, 젖병 및 젖병 부속물에 대한 살균 및 소독 효과가 높아진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s, by performing double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through the light irradiation unit and the steam generation unit, the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effect of the baby bottle and baby bottle accessory is enhanced.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광조사부가 젖병 및 젖병 부속물의 상하를 비추고 스팀발생부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이 여러 각도로 투입됨으로써, 살균 및 소독이 사각지역 없이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ed content, the light irradiation unit illuminates the top and bottom of the baby bottle and the baby bottle accessory, and th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generator is injected at various angles, so that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 blind area.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광조사부와 스팀발생부를 통해 생성되는 빛과 스팀을 이용함과 아울러 폐쇄된 공간에서 세척, 살균 및 소독이 수행됨으로써, 젖병 및 젖병 부속물들의 변형 위험이 적고 사용자가 화상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ure, the light and steam generated through the light irradiation unit and the steam generator are used, as well as cleaning,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in a closed space, so that the risk of deformation of the bottle and bottle accessories is small and the user is at risk of burns. It has the effect of not being exposed.
개시되는 내용에 의하면, 젖병 및 젖병 부속물들에 대한 세척, 살균 및 소독과정이 수납부에서 모두 수행됨으로써, 별도의 세척, 별도의 살균이나 소독 과정을 따로 수행하지 않고 빠르고 편하게 젖병을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sclosure, cleaning,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of the baby bottle and bottle accessories are all performed in the storage unit, so that the baby bottle can be managed quickly and conveniently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washing, separate sterilization or disinfection process. .
개시되는 내용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disclosed content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3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도어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제1관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트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8의 C-C'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3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door of the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4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ide of a door in the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anagement unit in the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am tray in a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8 is a plan view of a steam tray in a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9 is an enlarged view of B in FIG. 5.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8.
이하, 설명을 위한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서술하고자 한다. 상세한 설명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throughout the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의 저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and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ed conten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는 본체(10) 및 도어(20)를 포함한다. 본체(10) 및 도어(20)는 서로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본체(10)는 바닥면과 측벽들로 이루어진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바닥면과 측벽들로 둘러싸인 공간인 수납구가 형성된다. 수납구는 상부가 개방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includes a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는 하나의 바닥면과 네 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진다. 본체(10)의 일 측면에는 다수 개의 통기구(18)가 형성된다. 통기구(18)는 수납구로 외기가 드나들도록 형성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s shown, the
도 3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의 도어(20)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는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에 도어(20)가 결합된다. 도어(20)는 본체(10)의 힌지결합부(14)에 결합된다. 도어(20)는 힌지결합부(14)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일측이 들려 본체(10)의 수납구를 개방한다. 도어(20)는 적어도 일부에 관찰창(22)이 형성된다. 관찰창(22)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사용자는 관찰창(22)을 통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수납구 내부를 관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in the baby bottle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disclosure, a
본체(10)는 힌지결합부(14)의 대응되는 맞은편에 체결부(16)가 형성된다. 체결부(16)는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도어(20)를 고정한다. 체결부(16)는 개시되는 내용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사용자가 도어(20)를 누르는 동작에 따라 도어(2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수납부(12)에는 젖병 및 젖병 부속물이 수용된다. 젖병 및 젖병 부속물은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30)에 고정되어 수납부(12)에 수납될 수 있다.The
거치대(30)는 젖병 몸체(개시되는 내용에서는 젖병 몸체를 젖병(a)이라 칭하기로 한다.)가 고정되는 제1홀더(330)와 젖병 부속물(개시되는 내용에서는 꼭지, 링, 마개 등 젖병 몸체에 결합되는 부속물들을 통칭해 젖병 부속물(b)이라 칭하기로 한다.)이 층을 이루어 고정되는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을 포함한다. 젖병 부속물들은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에 구비되는 제2홀더(340)에 고정된다.The
제1홀더(330)는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의 옆쪽에 형성되고, 'U'자 형상을 지니며 탄성력에 의해 외형이 변형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U'자 형상의 뚫린 부분이 제1프레임(310) 또는 제2프레임(320)과 멀어지는 방향을 향햐도록 배치된다.The first holder 33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has a'U' shape, and is made of a material whose appearance is deformed by an elastic force. In addition, the'U'-shaped perforated portion is disposed to fa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frame 310 or the second frame 320.
제2홀더(340)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편으로 이루어지고, 두 개의 탄성편은 사이에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배치된다. 젖병 부속물은 각기 제2홀더(340)를 이루는 두 개의 탄성편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The second holder 340 is made of at least two elastic pieces, and the two elastic pieces are disposed facing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The feeding bottle accessory is fitted between the two elastic pieces forming the second holder 340 and fixed.
제2홀더(340)는 상부로 갈수록 두 개의 탄성편 사이가 좁아지고, 외력에 의해 탄성편들이 변형되나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구된다. 따라서, 두 개의 탄성편 사이에 젖병 부속물이 끼워지면 젖병 부속물을 양쪽에서 가압해 고정한다.The second holder 340 narrows between the two elastic pieces as it goes upward, and the elastic pieces are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but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second holder 34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Therefore, when a feeding bottle accessory is inserted between the two elastic pieces, the feeding bottle accessory is pressed and fixed from both sides.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은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되고,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은 각각 젖병 부속물이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은 젖병 부속물들이 층층이 수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스팀이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골조 형태로 형성된다.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may have different sizes, and may be combined to form one frame. Each of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forms a space in which baby bottle accessories can be accommodated.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are formed to accommodate a layer of baby bottle accessories, and are formed in a frame shape to allow steam to flow into the inside.
제1홀더(330)는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의 외측, 구체적으로 측방에 다수 개가 결합된다. 제2홀더(340)는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의 내측공간에 결합되고,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의 각각 그 내부에 층을 이뤄 다수 개가 마련된다.A plurality of first holders 330 are coupled to the outside, specifically, to the side of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The second holder 340 is coupled 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and forms a layer inside each of the first frame 310 and the second frame 320 so that a plurality of It is prepared.
도 4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도어(20)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ide of the
도어(20)는 관찰창(22), 잠금유닛(24), 제2관리유닛(200)을 포함한다. 관찰창(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도 수납구를 관찰할 수 있도록 마련된 투명한 창이다.The
제2관리유닛(200)은 도어(20)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수납부(12)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제2광조사부(210)를 포함한다.The
잠금유닛(24)은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20)가 열리지 않도록 본체(10)의 체결부(16)와 결합된다. 잠금유닛(24)은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도어(20)가 열리거나 열리지 않도록 체결부(16)와 분리 또는 결합된다.The locking
도 5는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6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제1관리유닛(1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본체(10)의 바닥면에는 제1관리유닛(100)이 설치된다. 제1관리유닛(100)은 스팀트레이(110), 제1광조사부(170) 및 스팀발생부(180)를 포함한다.The
제1관리유닛(100)은 수납구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해 살균 및 소독을 위한 빛을 조사하고, 스팀을 분사한다.The
스팀트레이(110)는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면에 파지를 위한 손잡이(120)가 마련된다. 스팀트레이(110)는 상면에 제1프레임(310) 및 제2프레임(320)이 놓일 수 있다. 또는, 젖병 또는 젖병 부속물이 놓일 수 있다. 스팀트레이(110)는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되고, 다수 개의 통공들은 각각 빛을 조사하기 위한 통로인 광조사구(130), 스팀이 분사되기 위한 스팀분사구(140)로 나뉜다.The
스팀트레이(110) 하부에는 제1광조사부(170) 및 스팀발생부(180)가 배치된다.A first
제1광조사부(170)는 수납구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부로 돌출된 돌출부(172)를 포함하며, 돌출부(172)의 돌출된 상단에는 제1광원(174)이 형성된다. 제1광원(174)은 상부를 향해 빛을 조사한다. 이때, 제1광원(174)은 UV-LED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돌출부(172)와 스팀트레이(110)에 형성된 광조사구(130)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돌출부(172) 상단의 제1광원(174)은 광조사구(130)를 통해 상부로 빛을 조사한다.The
또한, 수납부(12)의 바닥면에는 미리 정해진 크기의 스팀발생부(180)가 설치된다. 스팀발생부(180)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이루어져 물이 낮은 높이로 수용될 수 있다. 스팀발생부(180)는 수용된 물을 가열해 스팀을 생성한다. 스팀발생부(180)에서 발생된 스팀은 상부에 배치된 스팀트레이(110)의 스팀분사구(140)를 통과해 수납구로 공급된다.In addition, a
그리고, 본체(10)에 형성되는 통기구(18)에는 환기유닛(400)이 설치된다. 환기유닛(400)은 회전하는 팬으로서, 통기구(18)가 형성하는 유로상에 배치된다. 통기구(18)는 수납구와 본체(10) 외부 사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이다. 따라서, 환기유닛(400)이 일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면, 외기가 통기구(18)를 통과해 수납구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는, 수납구 내부의 공기가 본체(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
환기유닛(400)의 작동은 세척, 살균 및 소독이 완료된 수납구 내부의 젖병 및 젖병 부속물들을 건조시킨다. 또는 수납구 내부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온도보다 높아지거나 압력이 미리 정해진 압력 값보다 높아질 경우 환기유닛(400)이 작동하여 수납구 내부의 온도를 낮추거나 압력을 낮춘다.The operation of the
아래에서는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트레이(11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 7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트레이(110)의 사시도이고, 도 8은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젖병 관리 장치에서 스팀트레이(110)의 평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트레이(110)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진다. 스팀트레이(110)는 내열성, 내구성이 강하고 녹이 잘 슬지 않는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트레이(110)는 상부에 젖병 및 젖병 부속물이 얹혀 놓이거나, 젖병 및 젖병 부속물들이 거치대(30)에 고정된 상태로 놓인다.7 and 8, the
스팀트레이(110)는 수납구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위치하고, 스팀트레이(110)와 수납구의 바닥면 사이에 제1관리유닛(100)이 설치된다.The
스팀트레이(110)는 상면의 중앙에 상부로 돌출된 손잡이(120)가 형성된다. 손잡이(1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형상을 지니고,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잡고 스팀트레이(110)를 수납구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용도이다.The
스팀트레이(110)는 다수 개의 통공을 포함하고, 다수 개의 통공은 각기 광조사구(130) 또는 스팀분사구(140)로 나뉘어 진다.The
광조사구(130)는 제1관리유닛(100)의 제1광원(174)이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1광원(174)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통과해 상부로 비춰질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The
따라서, 광조사구(130)는 제1광원(174)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된다.Accordingly, the
광조사구(130)의 주변에는 다수 개의 스팀분사구(140)가 형성된다.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에서는 광조사구(130)의 중심과 그 중심을 공유하는 가상의 원을 가정하고 가상의 원의 원주를 따라 일저한 간격으로 스팀분사구(14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사구(130)의 둘레를 둘러서 원형을 이루며 스팀분사구(140)가 배치될 수 있고, 스팀분사구(140)는 정해진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 plurality of
광조사구(130)의 중심과 그 중심을 공유하는 가상의 원은 다수개일 수 있고, 각각의 가상의 원의 원주를 따라 스팀분사구(140)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The center of the
하나의 광조사구(130)를 중심으로 그 둘레에 배치된 스팀분사구(140)를 하나의 분사군이라 칭하기로 한다. 분사군은 다수 개가 스팀트레이(110)에 형성될 수 있고, 분사군에 포함된 스팀분사구(140)들을 통과해 스팀발생부(180)에서 생성된 스팀이 수납부(12)로 공급된다.The
분사군은 제1분사군(150) 및 제2분사군(160)으로 나뉜다. 제1분사군(150)은 스팀트레이(110)의 외곽과 인접해 배치된다. 제2분사군(160)은 제1분사군(150)의 내측에 배치된다.The injection group is divided into a
구체적으로는, 제1분사군(150)들은 스팀트레이(110)의 최외곽을 둘러서 배치되고, 제1분사군(150)들은 스팀트레이(110)의 중심부에 가깝게 배치된다.Specifically, the
제1분사군(150)과 제2분사군(160)은 각기 스팀을 안내하는 방향에 차이가 있다.The
도 9는 도 5의 B를 확대한 확대도이다.9 is an enlarged view of B in FIG. 5.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사군(150)에 포함된 스팀분사구(140)들은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분사군(150)에 포함된 스팀분사구(140)들은 스팀트레이(110)의 중심으로부터 외곽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상부가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9, the
따라서, 제1분사군(150)에 포함된 스팀분사구(140)를 통과하는 스팀은 스팀트레이(110)의 외곽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공급된다.Accordingly, the steam passing through the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거치대(30)에 고정된 젖병을 향해 스팀이 보다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This makes it possible to more smoothly supply steam toward the baby bottle fixed to the
도 10은 도 8의 C-C'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8.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사군(160)에 포함된 스팀분사구(140)들은 수직공(162), 제1경사공(164) 및 제2경사공(166)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수직공(162)은, 제2분사군(160)에서 중심의 광조사구(130)와 제일 인접한 원을 형성하는 스팀분사구(140)들로 이루어진다. 수직공(162)은 스팀트레이(110)를 상하 방향으로 통공된다. 따라서, 수직공(162)을 통과하는 스팀은 스팀트레이(110)의 상부로 곧게 투입된다.The
제1경사공(164)은 수직공(162)과 인접한 외곽에 원을 형성하는 스팀분사구(140)들로 이루어진다. 제1경사공(164)들은 그 상부가 광조사구(130)를 향하도록 일련의 경사를 이룬다. 따라서, 제1경사공(164)을 통과한 스팀은 제2분사군(160)의 중심 즉, 광조사구(130)를 향해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수납구로 투입된다.The first
제2경사공(166)은 제1경사공(164)과 인접한 외곽에 원을 형성하는 스팀분사구(140)들로 이루어진다. 제2경사공(166)들은 그 상부가 광조사구(130)를 향하도록 일련의 경사를 이루되, 제1경사공(164)보다 큰 기울기를 갖는다. 따라서, 제2경사공(166)들을 통과한 스팀은 제2분사군(160)의 중심, 즉 광조사구(130)를 향해 제1경사공(164)을 통과한 스팀보다 큰 각도를 가지고 투입된다.The second
또는, 제2분사군(160)을 형성하는 스팀분사구(140)들은 광조사구(130)의 상부에서 통과하는 스팀이 모두 만나도록 그 형성되는 각도가 결정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angles formed by the
제2분사군(160)을 형성하는 스팀분사구(140)들을 통과하는 스팀은 스팀트레이(110)의 상부에서 중심을 향해 모아지고 이러한 스팀의 유동은 제2분사군(160) 상부에 배치되는 젖병 부속물을 보다 집중적으로 세척, 살균 및 소독하게 한다.Steam passing through the
이상에서는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이 도면과 함께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도면으로 개시되는 내용이 한정되진 않는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개시되는 내용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개시되는 내용의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개시되는 내용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구성에 따른 작용이나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들까지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content have been described together with the drawings, but these are illustrative, and the content disclos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is not limited. It is apparent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odify the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conten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disclosed content. In addition, while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viously disclosed content, even if the action or effec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s not explicitly described, it is natural that even predictable effects by the configuration must be recognized.
10: 본체
12: 수납부
14: 힌지결합부
16: 체결부
18: 통기구
20: 도어
22: 관찰창
24: 잠금유닛
30: 거치대
100: 제1관리유닛
110: 스팀트레이
120: 손잡이
130: 광조사구
140: 스팀분사구
150: 제1분사군
160: 제2분사군
162: 수직공
164: 제1경사공
166: 제2경사공
170: 제1광조사부
172: 돌출부
174: 제1광원
180: 스팀발생부
200: 제2관리유닛
210: 제2광조사부
310: 제1프레임
320: 제2프레임
330: 제1홀더
340: 제2홀더
400: 환기유닛10: main body 12: storage unit
14: hinge coupling portion 16: fastening portion
18: vent 20: door
22: observation window 24: locking unit
30: cradle
100: first management unit 110: steam tray
120: handle 130: light irradiation port
140: steam injection port 150: first injection group
160: second division group 162: vertical ball
164: 1st inclined hole 166: 2nd inclined hole
170: first light irradiation part 172: protrusion
174: first light source 180: steam generator
200: second management unit 210: second light irradiation unit
310: first frame 320: second frame
330: first holder 340: second holder
400: ventilation unit
Claims (12)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열거나 닫는 도어;
상기 수납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제1광조사부와 상기 수납부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부를 포함하는 제1관리유닛;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제2관리유닛; 및
상기 제1관리유닛의 상부에 배치되고,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광조사구 및 스팀분사구가 형성되는 스팀트레이;를 포함하는
젖병 관리 장치.A main body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open;
A door for opening or clos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first management unit installed under the receiving unit and including a first light irradia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receiving unit and a steam generating unit for injecting steam toward the receiving unit;
A second management unit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receiving unit; And
And a steam tray disposed above the first management unit and formed of a plate-like member to form a plurality of light irradiation ports and steam injection ports.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상기 스팀트레이는,
상면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젖병 관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team tray,
Including; a handle protruding upwardly on the upper surface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상기 스팀트레이는,
상기 스팀분사구가 상기 광조사구와 동일한 중심점을 갖는 가상의 원의 원주 상에 배치되는,
젖병 관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team tray,
The steam injection port is disposed on the circumference of a virtual circle having the same center point as the light irradiation port,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상기 스팀트레이는,
상기 스팀분사구가 배치되는 상기 가상의 원이 복수 개이고 각각의 상기 가상의 원의 원주상에 상기 스팀분사구가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젖병 관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steam tray,
A plurality of the virtual circles in which the steam injection ports are arranged, and the steam injection port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circumference of each of the virtual circles,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상기 스팀트레이는,
하나의 상기 광조사구를 둘러서 통공되는 복수 개의 상기 스팀분사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팀트레이 외측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스팀트레이의 바깥쪽을 향해 스팀을 안내하는 제1분사군; 및
하나의 상기 광조사구를 둘러서 통공되는 복수 개의 상기 스팀분사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분사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트레이의 상부로 스팀을 안내하는 제2분사군;을 포함하는,
젖병 관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4,
The steam tray,
A first injection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e steam injection ports through which one of the light irradiation ports is passed, dispos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team tray, and guiding the steam toward the outside of the steam tray; And
Containing, a second injection grou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e steam injection ports through which one is passed through the light irradiation port, and disposed inside the first injection group to guide steam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eam tray.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상기 스팀분사구는,
상기 광조사구와 가장 인접한 상기 가상의 원을 따라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개방되는 수직공;
상기 수직공과 가장 인접한 상기 가상의 원을 따라 배치되며 상부로 갈수록 상기 광조사구를 향해 경사지도록 개방되는 제1경사공; 및
상기 제1경사공의 외측에서 상기 제1경사공과 가장 인접한 상기 가상의 원을 따라 배치되며 상부로 갈수록 상기 광조사구를 향해 경사지되, 상기 제1경사공보다 큰 기울기를 갖는 제2경사공;을 포함하는,
젖병 관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steam injection port,
A vertical hole disposed along the virtual circle closest to the light irradiation hole and opened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inclined hole disposed along the virtual circle closest to the vertical hole and opened to incline toward the light irradiation hole toward an upper side; And
A second inclined hole disposed along the virtual circle closest to the first inclined hole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inclined hole and inclined toward the light irradiation hole toward an upper side, and having a greater inclination than the first inclined hole; Included,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상기 제1경사공들은,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유체가 상기 광조사구의 상부에서 만나는,
젖병 관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slope holes,
The fluid pass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meets at the top of the light irradiation port,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상기 제2경사공들은,
하부에서 상부로 통과하는 유체가 상기 광조사구의 상부에서 만나는,
젖병 관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slope holes,
The fluid pass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meets at the top of the light irradiation port,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열거나 닫는 도어;
상기 수납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제1광조사부와 상기 수납부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부를 포함하는 제1관리유닛;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를 향해 빛을 조사하는 제2광조사부를 포함하는 제2관리유닛;
상기 수납부에 수용되고 젖병의 몸체를 고정하는 제1홀더 및 젖병의 부속물을 고정하는 제2홀더를 포함하는 거치대; 및
상기 수납부의 상기 바닥면에 배치되며,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상기 제1홀더 및 상기 제2홀더 하부에는 광조사구가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광조사구를 중심으로 방사상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스팀분사구를 포함하는 스팀트레이;를 포함하는 젖병 관리 장치.A main body including a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wall,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open;
A door for opening or closing the opened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first management unit installed under the receiving unit and including a first light irradiating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receiving unit and a steam generating unit for injecting steam toward the receiving unit;
A second management unit including a second light irradiation unit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irradiating light toward the receiving unit;
A cradle tha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and includes a first holder for fixing the body of the baby bottle and a second holder for fixing an accessory of the baby bottle; And
It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is made of a plate-like member, each of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is formed under the light irradiation hole, a plurality of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light irradiation hole A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comprising a; steam tray including a steam injection port.
상기 스팀트레이는,
상기 제1홀더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광조사구 및 상기 광조사구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 개의 스팀분사구로 이루어지되, 상기 스팀분사구들은 상기 스팀트레이의 외측을 향해 상향 경사진 제1분사군;을 포함하는,
젖병 관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9,
The steam tray,
And a first injection group formed under the first holder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steam injection ports formed around the light irradiation port and the light irradiation port, wherein the steam injection ports are inclined upward toward the outside of the steam tray. ,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상기 스팀트레이는,
상기 제2홀더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광조사구 및 상기 광조사구의 주변에 형성된 다수 개의 스팀분사구로 이루어지되, 각각의 상기 스팀분사구를 통과하는 가상의 직선이 상기 광조사구 상부의 한 점에서 만나는 제2분사군;을 포함하는,
젖병 관리 장치.The method of claim 9,
The steam tray,
It is formed under the second holder and consists of the light irradiation port and a plurality of steam ejection ports formed around the light irradiation port, wherein a virtual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each of the steam ejection ports meets at a point above the light irradiation port. 2 injection group; including,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상기 제1관리유닛은,
상기 스팀트레이 하부에 배치되고 수용된 물을 가열해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부; 및
상기 광조사구를 향해 상부로 돌출되고, 상기 광조사구를 통해 빛을 조사하는 제1광조사부;를 포함하는,
젖병 관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first management unit,
A steam generator disposed under the steam tray and heating the received water to generate steam; And
Containing; a first light irradiation unit protruding upward toward the light irradiation port and irradiating light through the light irradiation port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3895A KR20210041325A (en) | 2019-10-07 | 2019-10-07 | Treating apparatus for nursing bott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3895A KR20210041325A (en) | 2019-10-07 | 2019-10-07 | Treating apparatus for nursing bott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1325A true KR20210041325A (en) | 2021-04-15 |
Family
ID=75440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3895A Ceased KR20210041325A (en) | 2019-10-07 | 2019-10-07 | Treating apparatus for nursing bott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41325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64004A (en) * | 2021-09-24 | 2021-11-19 | 蒲杰 | Cleaning and drying structure of cleaning machine |
-
2019
- 2019-10-07 KR KR1020190123895A patent/KR20210041325A/en not_active Ceas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664004A (en) * | 2021-09-24 | 2021-11-19 | 蒲杰 | Cleaning and drying structure of cleaning machi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79436B2 (en) |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 |
JPH08187274A (en) | Microwave oven baby bottle disinfection container | |
JPS58109057A (en) | One or plural infant milk bottles and apparatus for sterilizing one or plural suction ports | |
KR101939793B1 (en) |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for baby products | |
KR20130124094A (en) | Home sterilization drier | |
KR101678176B1 (en) | Baby-Products Sterilizer included breast pump | |
US20240269714A1 (en) | Countertop Apparatus for Washing Articles | |
KR101063631B1 (en) | Bottle Sterilization Dryer | |
KR20210041325A (en) | Treating apparatus for nursing bottle | |
KR20190119958A (en) | Baby bottle management device of all in one type | |
KR20210041336A (en) | Treating apparatus for nursing bottle | |
KR20210041342A (en) | Treating apparatus for nursing bottle | |
JP7433277B2 (en) | dry disinfection machine | |
KR100883689B1 (en) | Bottle Sterilizer | |
KR20210041350A (en) | Treating apparatus for nursing bottle | |
CN216702987U (en) | Disinfection apparatus | |
KR20070115148A (en) | Baby bottle sterilizer | |
KR102677658B1 (en) | Tableware drying device with sterilizationg and drying fuction | |
CN211561201U (en) | Full-automatic novel high temperature tableware sterilizer device | |
CN204379828U (en) | Disinfection drying device | |
US20070140895A1 (en) | Sterilization system and method | |
KR20070053050A (en) | UV sterilization dish washing method | |
JP3084859U (en) | Baby goods dry sterilization box | |
CN221084268U (en) | Automatic sterilizing device for emergency department treatment room | |
CN221692112U (en) | Sterilizer for breast pump horn cov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9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0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4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404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