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6410A -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또는 망막 혈관재형성 - Google Patents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또는 망막 혈관재형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6410A KR20210036410A KR1020217008028A KR20217008028A KR20210036410A KR 20210036410 A KR20210036410 A KR 20210036410A KR 1020217008028 A KR1020217008028 A KR 1020217008028A KR 20217008028 A KR20217008028 A KR 20217008028A KR 20210036410 A KR20210036410 A KR 202100364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ject
- leaking
- retinal
- factor
- choroid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91—Angiogenesic factors; Angiogen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58—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PDGF]
- A61K38/1866—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 A61B3/1241—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looking at the eye fundus, e.g. ophthalm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observation of ocular blood flow, e.g. by fluorescein angiograph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9—Cytokines; Lymphokines; Interferons
- A61K38/20—Interleukins [IL]
- A61K38/204—IL-6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 A61K39/39533—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 A61K39/395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against materials from animals against proteinaceous materials, e.g. enzymes, hormones, lymphokin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2—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dose, timing or administration schedul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Immu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CNV가 맥락막모세혈관층 관류저하 영역(윤곽이 표시됨)으로 둘러싸여 있음을 제시하는 OCT 혈관조영상이다.
도 3은 OD에서 항-VEGF 주사 중단 12개월 후 환자의 OCT 혈관조영상(Zeiss Angioplex)이다. 주변 맥락막모세혈관층 관류저하와 함께 와 밑에 있는 성숙 CNV가 있었다. 시력은 우수하다.
도 4는 미숙 모델의 산소 유발성 망막병증에 대한 동물 연구 프로토콜을 제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혈관재형성 인자를 이용한 미숙 모델의 산소 유발성 망막병증의 치료를 위한 또 다른 동물 연구 프로토콜을 제시하는 개략도이다.
Claims (213)
-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pro-angiogenic factor)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을 증가된 맥락막 관류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맥락막 관류 증가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맥락막 관류를 증가시키는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가 증가되는 방법.
-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을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 촉진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을 촉진하는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이 촉진되는 방법.
-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형성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을 증가된 맥락막 관류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맥락막 관류 증가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맥락막 관류를 증가시키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가 증가되는 방법.
-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형성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을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 촉진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을 촉진하는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이 촉진되는 방법.
-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인자가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인 방법.
-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에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 성숙 인자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맥락막 관류 증가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맥락막 관류를 증가시키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가 증가되는 방법.
-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에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 성숙 인자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 촉진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을 촉진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이 촉진되는 방법.
-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에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길항제의 투여 빈도를 중단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가 동일한 방법.
-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길항제가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를 표적화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방법.
-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에서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 치료적 유효량의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황반 유동 공백이 감소되고/되거나, 대상체의 눈의 외부 망막 및 망막 색소 상피(RPE)에서의 저산소증이 감소되고/되거나, 대상체의 눈의 외부 망막 및 RPE에서의 허혈이 감소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가 증가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맥락막 관류 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의 정도가 부적절한 것을 결정하고; 유효량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을 대상체에 계속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이 안구 검사 또는 순차적 안구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순차적 안구 검사가 시력 평가, 안저 자가형광(FAF) 검사, 광학 간섭 단층촬영(OCT) 검사, 광학 간섭 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A) 검사, 플루오레세인 혈관조영술(FA) 검사, 인도시아닌 그린(ICG) 혈관조영술 검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전에, 안구 검사로 대상체가 증가된 맥락막 관류 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을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건성 연령-관련 황반 변성(AMD) 및/또는 지도모양 위축(G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갖는 방법.
- 제24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질병의 진행이 역전되거나, 정지되거나, 지연되는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질병 진행의 역전, 정지 또는 지연이 증가된 맥락막 관류 및/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에 의해 매개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습성 연령-관련 황반 변성(AMD), 맥락막 혈관신생(CNV),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퇴행성(병리적) 근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갖는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질병의 진행이 역전되거나, 정지되거나, 지연되는 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질병 진행의 역전, 정지 또는 지연이 증가된 맥락막 관류 및/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에 의해 매개되는 방법.
- 제27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신생이 발달하는 동안 혈관 누출을 감소시키는 치료적 유효량의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길항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을 증가된 망막 관류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 관류 증가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망막 관류를 증가시키는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가 증가되는 방법.
-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을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 촉진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을 촉진하는 방법.
- 제33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이 촉진되는 방법.
-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형성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을 증가된 망막 관류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 관류 증가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망막 관류를 증가시키는 방법.
- 제35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가 증가되는 방법.
-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형성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을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 촉진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을 촉진하는 방법.
- 제37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이 촉진되는 방법.
- 제35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인자가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방법.
- 증가된 망막 관류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의 눈의 망막에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 성숙 인자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망막 관류 증가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망막 관류를 증가시키는 방법.
- 제40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가 증가되는 방법.
-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의 눈의 망막에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 성숙 인자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 촉진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을 촉진하는 방법.
- 제42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이 촉진되는 방법.
- 제40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눈의 망막에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길항제의 투여 빈도를 중단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44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가 동일한 방법.
- 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길항제가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를 표적화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방법.
-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눈의 망막에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31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의 눈의 망막에서 저산소증이 감소되고/되거나, 대상체의 눈의 망막에서 허혈이 감소되는 방법.
- 제31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를 증가시키는 방법.
- 제3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망막 관류 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의 정도가 부적절한 것을 결정하고; 제형을 대상체에 계속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이 안구 검사 또는 순차적 안구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51항에 있어서, 안구 검사 또는 순차적 안구 검사가 시력 평가, 안저 자가형광(FAF) 검사, 광학 간섭 단층촬영(OCT) 검사, 광학 간섭 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A) 검사, 플루오레세인 혈관조영술(FA) 검사, 인도시아닌 그린(ICG) 혈관조영술 검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 제31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 전에, 안구 검사로 대상체가 증가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 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을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3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당뇨병성 황반 부종, 망막 정맥 폐색으로부터의 황반 부종, 당뇨병성 망막병증, 망막 정맥 폐색, 미숙 망막병증, 당뇨병에서의 망막 혈관신생, 당뇨병에서의 시신경 혈관신생, 가족성 삼출성 유리체망막병증, 낫적혈구 질병,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갖는 방법.
- 제54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질병의 진행이 정지되거나, 지연되는 방법.
- 제55항에 있어서, 질병 진행의 정지 또는 지연이 증가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 및/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에 의해 매개되는 방법.
- 제54항 내지 제5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적 유효량의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길항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31항 내지 제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방사선 망막병증, 방사선 시신경병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갖는 방법.
- 제58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질병의 진행이 역전되거나, 정지되거나, 지연되는 방법.
- 제59항에 있어서, 질병 진행의 역전, 정지 또는 지연이 증가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 및/또는 대상체의 눈의 시신경의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혈관재형성에 의해 매개되는 방법.
- 제58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안구 내 종양, 두부 종양, 경부 종양,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에 대해 방사선 치료를 받았고, 이에 의해 질병의 발병이 지연된 방법.
- 제61항에 있어서, 투여가 대상체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약 1-26주에 유효량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형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구 질병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안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형이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방법.
- 제63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황반 질병 또는 안구 질병의 진행이 치료되거나 지연되는 방법.
-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 또는 망막에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수준을 증가시키고;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 성숙 인자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구 질병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안구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 제65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대상체에서 안구 질병의 진행이 치료되거나 지연되는 방법.
- 제65항 또는 제66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에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길항제의 투여 빈도를 중단하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67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가 동일한 방법.
- 제67항 또는 제68항에 있어서,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길항제가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를 표적화하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을 포함하는 방법.
- 제65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에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이 치료적 유효량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63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구 질병이 습성 연령-관련 황반 변성(AMD),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PCV), 퇴행성(병리적) 근시,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 제63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구 질병이 맥락막 관류저하, 맥락막 혈관신생(CNV), 황반 위축,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되거나 이들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3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구 질병이 건성 연령-관련 황반 변성(AMD), 당뇨병성 황반 부종, 망막 정맥 폐색으로부터의 황반 부종, 당뇨병성 망막병증, 망막 정맥 폐색, 미숙 망막병증, 망막 혈관신생, 시신경 혈관신생, 안구앞부분 혈관신생, 가족성 삼출성 유리체망막병증, 방사선 망막병증, 방사선 시신경병증, 낫적혈구 질병,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 제63항 내지 제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구 질병이 망막 관류저하, 망막 허혈, 시신경 허혈, 또는 이들의 조합과 관련되거나 이들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안구 질병의 중증도 또는 대상체에서 안구 질병의 진행 속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증가된 맥락막 관류를 필요로 하거나,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을 필요로 하거나, 증가된 망막 관류를 필요로 하거나,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을 필요로 하거나, 안구 질병으로 고통받거나, 이들의 조합임을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증가된 맥락막 관류,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 증가된 망막 관류,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공지되거나, 안구 질병을 갖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가 재조합 혈관형성 촉진 인자, 돌연변이체 혈관형성 촉진 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7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가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안지오포이에틴-2(Ang-2),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 제79항에 있어서, VEGF가 VEGF-A, VEGF-B, VEGF-C, VEGF-D, 태반 성장 인자(PIGF),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성숙 인자가 재조합 혈관 성숙 인자, 돌연변이 혈관 성숙 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성숙 인자가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PDGF), 안지오포이에틴-1(Ang-1),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성숙 인자가 PDGF 서브유닛 A, PDGF 서브유닛 B, PDGF 서브유닛 C, PDGF 서브유닛 D, 또는 이들의 조합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 또는 망막에서의 삼출 또는 혈관신생이 감소되는 방법.
- 제84항에 있어서, 광학 간섭 단층촬영(OCT)을 사용하여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 또는 망막에서의 삼출이 감소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84항 또는 제85항에 있어서, 광학 간섭 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A), 플루오레세인 혈관조영술(FA), 인도시아닌 그린(ICG) 혈관조영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 또는 망막에서의 혈관신생이 감소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 및/또는 비-누출 및/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가 대상체에서 적어도 5%만큼 증가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8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새로운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혈관이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 또는 망막에 형성되는 방법.
- 제88항에 있어서, 광학 간섭 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A)을 사용하여 새로운 혈관의 형성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88항 또는 제89항에 있어서, 광학 간섭 단층촬영(OCT)을 사용하여 새로운 혈관으로부터의 삼출이 최소이거나 없음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형성된 새로운 혈관이 비-누출이거나 최소-누출임을 나타내는 방법.
- 제88항 내지 제9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 또는 망막에서 형성된 새로운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혈관이 대상체의 눈의 황반 영역의 적어도 5%에 걸쳐 있는 방법.
- 제88항 내지 제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 또는 망막에서 형성된 새로운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혈관이 대상체의 눈의 말초 맥락막 또는 말초 망막의 적어도 5%에 걸쳐 있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의 시력이 안정화되거나 개선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9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맥락막 저산소증 및/또는 망막 저산소증이 대상체에서 완화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9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에서 저산소증 유도 인자(HIF)-매개 실명(blinding) 합병증이 완화되는 방법.
- 제95항에 있어서, HIF-매개 시각 손실 합병증이 맥락막 혈관신생(CNV), 망막 혈관신생, 황반 부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9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망막 부종, 망막하액 또는 둘 모두가 감소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9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누출 맥락막 혈관신생이 대상체에서 완화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9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에 의해 황반 위축, 지도모양 위축(GA) 또는 둘 모두가 대상체에서 완화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9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가 제형을 유리체 내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9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가 제형을 망막 하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9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가 제형을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위 공간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01항 또는 제102항에 있어서, 투여가 제형을 대상체의 눈의 황반 영역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01항 또는 제102항에 있어서, 투여가 제형을 감소된 관류로 대상체의 눈의 하나 이상의 망막 또는 맥락막 영역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가 제형을 1주일에 약 1회 내지 1년에 약 1회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투여가 제형을 약 3개월 내지 약 12개월에 걸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 간섭 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A) 및 광학 간섭 단층촬영(OCT)을 사용하여 대상체에서 맥락막 또는 망막 혈관재형성 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또는 망막 혈관재형성을 각각 결정하고; 적절한 경우, 제형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중단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 간섭 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A) 및 광학 간섭 단층촬영(OCT)을 사용하여 대상체에서 맥락막 또는 망막 혈관재형성 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또는 망막 혈관재형성을 각각 결정하고; 부적절한 경우, 제형을 대상체에 계속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0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 간섭 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A) 및 광학 간섭 단층촬영(OCT)을 사용하여 대상체에서 맥락막 또는 망막 혈관재형성 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또는 망막 혈관재형성을 각각 결정하고; 과도한 경우,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길항제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109항에 있어서,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길항제가 제2 혈관형성 촉진 인자를 표적화하는 항체를 포함하는 방법.
- 제107항 내지 제1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이 안구 검사 또는 순차적 안구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11항에 있어서, 순차적 안구 검사가 시력 평가, 안저 자가형광(FAF) 검사, 광학 간섭 단층촬영(OCT) 검사, 광학 간섭 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A) 검사, 플루오레세인 혈관조영술(FA) 검사, 인도시아닌 그린(ICG) 혈관조영술 검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학 간섭 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 플루오레세인 혈관조영술(FA), 인도시아닌 그린(ICG) 혈관조영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대상체에서 혈관 성숙을 결정하고; 부적절한 경우, 혈관 성숙 인자를 대상체에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1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이 광학 간섭 단층촬영(OCT) 또는 플루오레세인 및 인도시아닌 그린(ICG) 혈관조영술을 사용하여 혈관 성숙의 정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113항 또는 제114항에 있어서, 광학 간섭 단층촬영 혈관조영술(OCT-A)을 사용하여 대상체에서 맥락막 혈관재형성을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의 치료적 유효량이 투여 당 약 0.01 mg 내지 약 100 mg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1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성숙 인자의 치료적 유효량이 투여 당 약 0.01 mg 내지 약 100 mg의 혈관 성숙 인자인 방법.
- 제1항 내지 제1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약 0.001 mg/ml 내지 약 10 mg/ml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약 0.001 mg/ml 내지 약 10 mg/ml의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 혈관 성숙 인자의 서방형 제형을 포함하는 방법.
-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 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 증가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 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 맥락막 관류저하 또는 망막 관류저하와 관련되거나 이들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맥락막 관류저하 또는 망막 관류저하와 관련되거나 이들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 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 증가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 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하기 위한 혈관형성 인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 맥락막 관류저하 또는 망막 관류저하와 관련되거나 이들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맥락막 관류저하 또는 망막 관류저하와 관련되거나 이들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질병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혈관형성 인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 제123항 또는 제124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인자가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인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가 재조합 혈관형성 촉진 인자, 돌연변이 혈관형성 촉진 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인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가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안지오포이에틴-2(Ang-2), 또는 이들의 조합인 조성물.
- 제127항에 있어서, VEGF가 VEGF-A, VEGF-B, VEGF-C, VEGF-D, 태반 성장 인자(PIGF), 또는 이들의 조합인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성숙 인자가 재조합 혈관 성숙 인자, 돌연변이체 혈관 성숙 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인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성숙 인자가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PDGF), 안지오포이에틴-1(Ang-1), 또는 이들의 조합인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성숙 인자가 PDGF 서브유닛 A, PDGF 서브유닛 B, PDGF 서브유닛 C, PDGF 서브유닛 D, 또는 이들의 조합인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가 증가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이 촉진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황반 유동 공백이 감소되고/되거나, 대상체의 눈의 외부 망막 및 망막 색소 상피(RPE)에서의 저산소증이 감소되고/되거나, 대상체의 눈의 외부 망막 및 RPE에서의 허혈이 감소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가 증가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가 증가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이 촉진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의 눈의 망막에서의 저산소증이 감소되고/되거나, 대상체의 눈의 망막에서의 허혈이 감소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가 증가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 또는 망막에서의 삼출 또는 혈관신생이 감소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 및/또는 비-누출 및/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가 적어도 5%만큼 증가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4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새로운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혈관이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 또는 망막에서 형성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망막 부종, 망막하액 또는 둘 모두가 감소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누출 맥락막 혈관신생이 완화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황반 위축, 지도모양 위축(GA) 또는 둘 모두가 완화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건성 연령-관련 황반 변성(AMD) 및/또는 지도모양 위축(G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갖는 조성물.
- 제146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질병의 진행을 역전시키거나, 정지시키거나, 지연시키는 조성물.
- 제147항에 있어서, 질병 진행의 역전, 정지 또는 지연이 증가된 맥락막 관류 및/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에 의해 매개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습성 연령-관련 황반 변성(AMD), 맥락막 혈관신생(CNV),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퇴행성(병리적) 근시, 거세포 동맥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갖는 조성물.
- 제149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질병의 진행을 역전시키거나, 정지시키거나, 지연시키는 조성물.
- 제150항에 있어서, 질병 진행의 역전, 정지 또는 지연이 증가된 맥락막 관류 및/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에 의해 매개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당뇨병성 황반 부종, 망막 정맥 폐색으로부터의 황반 부종, 당뇨병성 망막병증, 망막 정맥 폐색, 미숙 망막병증, 당뇨병에서의 망막 혈관신생, 당뇨병에서의 시신경 혈관신생, 가족성 삼출성 유리체망막병증, 낫적혈구 질병,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갖는 조성물.
- 제15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질병의 진행을 정지시키거나, 지연시키는 조성물.
- 제153항에 있어서, 질병 진행의 정지 또는 지연이 증가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 및/또는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에 의해 매개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방사선 망막병증, 방사선 시신경병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갖는 조성물.
- 제15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질병의 진행을 역전시키거나, 정지시키거나, 지연시키는 조성물.
- 제156항에 있어서, 질병 진행의 역전, 정지 또는 지연이 증가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 및/또는 대상체의 눈의 시신경의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혈관재형성에 의해 매개되는 조성물.
- 제155항 내지 제15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체가 안구 내 종양, 두부 종양, 경부 종양,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에 대해 방사선 치료를 받았고, 이에 의해 질병의 발병이 지연된 조성물.
- 제158항에 있어서, 대상체로의 조성물의 투여가 대상체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약 1-26주에 발생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안구 질병의 진행이 치료되거나 지연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저산소증 유도 인자(HIF)-매개 실명 합병증이 완화되는 조성물.
- 제161항에 있어서, HIF-매개 시각 손실 합병증이 맥락막 혈관신생(CNV), 망막 혈관신생, 황반 부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유리체 내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망막 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6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위 공간으로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조성물.
- 제164항 또는 제16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의 눈의 황반 영역으로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조성물.
- 제164항 또는 제16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감소된 관류로 대상체의 눈의 하나 이상의 망막 또는 맥락막 영역으로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1주일에 약 1회 내지 1년에 약 1회 대상체로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3개월 내지 약 12개월에 걸친 대상체로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6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약 0.001 mg/ml 내지 약 10 mg/ml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 제121항 내지 제17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약 0.001 mg/ml 내지 약 10 mg/ml의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 및
제형이 맥락막 관류 또는 망막 관류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라벨을 포함하는,
키트. -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 및
제형이 맥락막 관류저하 또는 망막 관류저하와 관련되거나 이들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라벨을 포함하는,
키트. - 혈관형성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 및
제형이 맥락막 관류 또는 망막 관류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라벨을 포함하는,
키트. - 혈관형성 인자를 포함하는 제형; 및
제형이 맥락막 관류저하 또는 망막 관류저하와 관련되거나 이들을 특징으로 하는 안구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라벨을 포함하는,
키트. - 제174항 또는 제175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인자가 혈관형성 촉진 인자 및/또는 혈관 성숙 인자인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7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가 재조합 혈관형성 촉진 인자, 돌연변이체 혈관형성 촉진 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인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7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형성 촉진 인자가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안지오포이에틴-2(Ang-2), 또는 이들의 조합인 키트.
- 제178항에 있어서, VEGF가 VEGF-A, VEGF-B, VEGF-C, VEGF-D, 태반 성장 인자(PIGF), 또는 이들의 조합인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7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성숙 인자가 재조합 혈관 성숙 인자, 돌연변이체 혈관 성숙 인자, 또는 이들의 조합인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성숙 인자가 혈소판-유래 성장 인자(PDGF), 안지오포이에틴-1(Ang-1), 또는 이들의 조합인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혈관 성숙 인자가 PDGF 서브유닛 A, PDGF 서브유닛 B, PDGF 서브유닛 C, PDGF 서브유닛 D, 또는 이들의 조합인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가 증가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혈관재형성이 촉진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황반 유동 공백이 감소되고/되거나, 대상체의 눈의 외부 망막 및 망막 색소 상피(RPE)에서의 저산소증이 감소되고/되거나, 대상체의 눈의 외부 망막 및 RPE에서의 허혈이 감소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가 증가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이 제형이 건성 연령-관련 황반 변성(AMD) 및/또는 지도모양 위축(GA),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이 제형이 습성 연령-관련 황반 변성(AMD), 맥락막 혈관신생(CNV), 결절 맥락막 혈관병증, 퇴행성(병리적) 근시, 거세포 동맥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이 제형이 당뇨병성 황반 부종, 망막 정맥 폐색으로부터의 황반 부종, 당뇨병성 망막병증, 망막 정맥 폐색, 미숙 망막병증, 당뇨병에서의 망막 혈관신생, 당뇨병에서의 시신경 혈관신생, 가족성 삼출성 유리체망막병증, 낫적혈구 질병,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키트.
- 제189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가 증가되는 키트.
- 제189항 또는 제190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혈관재형성이 촉진되는 키트.
- 제189항 내지 제19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의 눈의 망막에서의 저산소증이 감소되고/되거나, 대상체의 눈의 망막에서의 허혈이 감소되는 키트.
- 제189항 내지 제19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가 증가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이 제형이 방사선 망막병증, 방사선 시신경병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키트.
- 제194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가 안구 내 종양, 두부 종양, 경부 종양,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질병에 대해 방사선 치료를 받아서 질병의 발병을 지연시킨 후 대상체를 치료하기 위한 것임을 라벨이 나타내는 키트.
- 제195항에 있어서, 라벨이 대상체가 방사선 치료를 받은 후 약 1-26주에 대상체로의 제형의 투여가 발생함을 나타내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라벨이 제형이 저산소증 유도 인자(HIF)-매개 실명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것임을 나타내는 키트.
- 제197항에 있어서, HIF-매개 시각 손실 합병증이 맥락막 혈관신생(CNV), 망막 혈관신생, 황반 부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9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 또는 망막에서의 삼출 또는 혈관신생이 감소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9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관류 및/또는 비-누출 및/또는 최소-누출 망막 관류가 적어도 5%만큼 증가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20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새로운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혈관이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 또는 망막에서 형성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20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망막 부종, 망막하액 또는 둘 모두가 감소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20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누출 맥락막 혈관신생이 완화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20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대상체에 투여된 후 대상체에서 황반 위축, 지도모양 위축(GA) 또는 둘 모두가 완화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2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유리체 내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2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망막 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20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의 눈의 맥락막위 공간으로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키트.
- 제164항 또는 제16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대상체의 눈의 황반 영역으로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키트.
- 제164항 또는 제165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감소된 관류로 대상체의 눈의 하나 이상의 망막 또는 맥락막 영역으로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6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1주일에 약 1회 내지 1년에 약 1회 대상체로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약 3개월 내지 약 12개월에 걸친 대상체로의 투여용으로 제형화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18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약 0.001 mg/ml 내지 약 10 mg/ml의 혈관형성 촉진 인자를 포함하는 키트.
- 제172항 내지 제2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형이 약 0.001 mg/ml 내지 약 10 mg/ml의 혈관 성숙 인자를 포함하는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862720441P | 2018-08-21 | 2018-08-21 | |
US62/720,441 | 2018-08-21 | ||
PCT/US2019/047360 WO2020041382A1 (en) | 2018-08-21 | 2019-08-20 | Non-leaking or minimally-leaking choroidal or retinal revasculariza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6410A true KR20210036410A (ko) | 2021-04-02 |
Family
ID=6958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7008028A Withdrawn KR20210036410A (ko) | 2018-08-21 | 2019-08-20 | 비-누출 또는 최소-누출 맥락막 또는 망막 혈관재형성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3) | US20200061157A1 (ko) |
EP (2) | EP4212170A1 (ko) |
JP (2) | JP2021533148A (ko) |
KR (1) | KR20210036410A (ko) |
CN (1) | CN112805023A (ko) |
CA (1) | CA3108274A1 (ko) |
WO (1) | WO2020041382A1 (ko)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AU2003281152A1 (en) * | 2002-07-12 | 2004-02-02 | Yihai Cao | A method for inhibiting vascular permeability and tissue edema |
EP1902725B1 (en) * | 2005-02-24 | 2014-03-26 |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 Revascularization of ischemic retinal tissue |
US9102718B2 (en) * | 2010-04-30 | 2015-08-11 | Lpath, Inc. | Anti-S1P antibody treatment of patients with ocular disease |
MX373894B (es) * | 2012-11-08 | 2020-07-09 | Clearside Biomedical Inc | Métodos y dispositivos para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oculares en sujetos humanos. |
MX2016009331A (es) * | 2014-01-23 | 2016-10-26 | Akebia Therapeutics Inc | Composiciones y metodos para tratar enfermedades oculares. |
US10092654B2 (en) * | 2014-07-09 | 2018-10-09 |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 Coacervate micro and/or nano droplets and hydrogels |
WO2017087647A1 (en) * | 2015-11-17 | 2017-05-26 | Massachusetts Eye And Ear Infirmary | Stable analogs of cyp450 lipid metabolites and inhibitors of soluble epoxide hydrolase |
JP2022516917A (ja) * | 2019-01-04 | 2022-03-03 | ザ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リフォルニア | 眼の血管新生を促進す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
-
2019
- 2019-08-20 KR KR1020217008028A patent/KR20210036410A/ko not_active Withdrawn
- 2019-08-20 JP JP2021506275A patent/JP2021533148A/ja active Pending
- 2019-08-20 WO PCT/US2019/047360 patent/WO2020041382A1/en unknown
- 2019-08-20 CA CA3108274A patent/CA3108274A1/en active Pending
- 2019-08-20 EP EP22206545.0A patent/EP4212170A1/en active Pending
- 2019-08-20 EP EP19852434.0A patent/EP3840772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9-08-20 US US16/546,272 patent/US2020006115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9-08-20 CN CN201980054894.3A patent/CN112805023A/zh active Pending
-
2021
- 2021-09-24 US US17/484,656 patent/US20220218791A1/en not_active Abandoned
-
2022
- 2022-12-07 US US18/076,786 patent/US20230346886A1/en active Pending
-
2023
- 2023-12-22 JP JP2023216482A patent/JP2024038038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3108274A1 (en) | 2020-02-27 |
US20220218791A1 (en) | 2022-07-14 |
JP2024038038A (ja) | 2024-03-19 |
CN112805023A (zh) | 2021-05-14 |
JP2021533148A (ja) | 2021-12-02 |
EP3840772A1 (en) | 2021-06-30 |
EP3840772A4 (en) | 2022-05-18 |
EP4212170A1 (en) | 2023-07-19 |
WO2020041382A1 (en) | 2020-02-27 |
US20200061157A1 (en) | 2020-02-27 |
US20230346886A1 (en) | 2023-11-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gustinb et al. | Mechanisms of ocular angiogenesis and its molecular mediators | |
Arrigo et al. | VEGF-targeting drugs for the treatment of retinal neovascularization in diabetic retinopathy | |
Rosenfeld et al. | Tolerability and efficacy of multiple escalating doses of ranibizumab (Lucentis) for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
Avery et al. | Intravitreal bevacizumab (Avastin) in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 |
Tong et al. | Contribution of VEGF and PEDF to choroidal angiogenesis: a need for balanced expressions | |
Paulus et al. | Anti-angiogenic therapy for retinal disease | |
JP6669882B2 (ja) | 抗−c−MET抗体及びその用途 | |
CN107438666A (zh) | 重组益生菌 | |
Schlingemann et al. | Treatment of retinal diseases with VEGF antagonists | |
Hu et al. | Differences in the temporal expression of regulatory growth factors during choroidal neovascular development | |
WO2017046140A1 (en) | Treatment regimens for dr and rvo in dependence of the extent of retinal ischemia | |
Wakusawa et al. | Expression of vasohibin, an antiangiogenic factor, in human choroidal neovascular membranes | |
US20230346886A1 (en) | Non-leaking or minimally-leaking choroidal or retinal revascularization | |
Saika et al. |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signal transduction: a potential target for maintenance/restoration of transparency of the cornea | |
Lutty et al. | Immunohistochemical insights into sickle cell retinopathy | |
Giuliari et al. | Pegaptanib sodium for the treatment of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and diabetic macular edema | |
Sha et al. | Insights to Ang/Tie signaling pathway: another rosy dawn for treating retinal and choroidal vascular diseases | |
Medina-Arellano et al. | Müller cells and retinal angiogenesis: critical regulators in health and disease | |
Patil et al. | Angiogenesis-based therapies for eye diseases | |
Hussain | Faricimab. anti-Ang-2/anti-VEGF-A bispecific antibody, treatment of diabetic macular edema, treatment of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
Arrigo et al. | Towards the Development of Longer and More Efficacious Therapies for Wet and Dry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 |
CN113645994A (zh) | 使用色素上皮衍生因子(pedf)治疗疾病的方法 | |
Figurska et al. | Safety of ranibizumab therapy in wet AMD and the rol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in physiological angiogenesis | |
SACU | Effect of intravitreal dexamethasone implants on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parameters and intraocular cytokine levels in eyes with recurrent macular edema due to neovascular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or retinal vein occlusion | |
Soriano et al. | Anti-Angiogenic Therapy for Retinal Disea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3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07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C1202 |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