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5935A - A pneumatic tire having stud variable control apparatus - Google Patents
A pneumatic tire having stud variable control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5935A KR20210035935A KR1020190117284A KR20190117284A KR20210035935A KR 20210035935 A KR20210035935 A KR 20210035935A KR 1020190117284 A KR1020190117284 A KR 1020190117284A KR 20190117284 A KR20190117284 A KR 20190117284A KR 20210035935 A KR20210035935 A KR 202100359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ud
- variable
- control device
- variable material
- pneumatic ti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25—Arrangements thereof in the tread patterns, e.g. irregul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0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retractable plu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7/00—Non-skid devices temporarily attachable to resilient tyres or resiliently-tyre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공기입 타이어에서 겨울철 빙판길 및 눈길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트레드의 블록 내부에 설치되는 스터드와, 상기 블록 내부에 스터드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타이어의 구름운동으로 그래핀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가변소재에 인가할 때 가변소재로 하여금 곧게 뻗어 스터드를 밀거나 가변소재에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를 차단함에 따라 휨 형태로 복귀하는 가변소재가 스터드를 당기도록 함으로써, 도로조건에 따라 스터드의 돌출 정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equipped with a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wherein a stud installed inside a block of a tread so that the pneumatic tire can safely travel on ice and snowy roads in winter, and the stud inside the block are electrically It includes a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installed to be pushed or pulled by a signal, and when the electric energy accumulated in graphene is applied to the variable material due to the rolling motion of the tire, the variable material stretches straight to push the stud or the variable material. By blocking the electric energy applied to the stud, the variable material that returns to the bending shape pulls the stud, thereby variably controlling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stud according to the road conditions to oper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타이어의 구름운동으로 그래핀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가변소재에 인가할 때 가변소재로 하여금 곧게 뻗어 스터드를 밀거나 가변소재에 인가되는 전기 에너지를 차단함에 따라 휨 형태로 복귀하는 가변소재가 스터드를 당기도록 함으로써, 도로조건에 따라 스터드의 돌출유무를 가변적으로 제어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터드 가변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having a variable stud control device, and specifically, when the electric energy accumulated in graphene is applied to the variable material by rolling motion of the tire, the variable material stretches straight and pushes the stud. It is equipped with a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that enables the variable material to be operated by variably controll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tud depending on the road conditions by pulling the stud by blocking the electric energy applied to the variable material. It relates to pneumatic tires.
일반적으로, “스터드 타이어”는, 이미 널리 개시된 사항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등록특허 제10-0833783호 “스노우 타이어용 스터드핀”과, 등록특허 제10-1973183호 “스터드 타이어”등을 참고할 수 있다.In general, “stud tires” are already widely disclosed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and reference may be made to Patent No. 10-0833783 “Stud Pins for Snow Tires” and Patent No. 10-1973183 “Stud Tires”. I can.
또한, 상기 “스노우 타이어용 스터드 핀”은 스터드핀의 몸체부 외주면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타이어와 스터드핀 사이의 마찰력을 높임으로써, 스터드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것으로, 스터드핀 외면에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도록 요철부를 형성하여 스노우 타이어의 스터드홈에서 스터드핀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지만 도로의 상태가 좋지 않을 때 쉽게 스터드핀이 이탈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겨울철에도 도로의 노면 상황이 좋아져 빙판길과 눈길에서 벗어난 경우에는 스터드핀에 의하여 도로가 파손되고 주행 소음도 확대되는 등 주행여건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장시간 스노우 타이어를 사용하게 되면 스터드의 기능저하와 스터드 타이어를 교체해야 함으로써 교체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게 되는 단점도 있다.In addition, the “stud pin for snow tire” is designe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tud pin by forming an uneven por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of the stud pin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ire and the stud pin, and the friction forc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tud pin is large. The uneven portion is formed so as to act to prevent the stud pi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tud groove of the snow tir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ud pin is easily separated when the road condition is poor. In addition, even in winter, when the road surface condition improves and the road is out of the ice or snowy roa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riving conditions are deteriorated, such as the road is damaged by the stud pin and the driving noise is increased. In addition, when the snow tire is used for a long time, the function of the stud is deteriorated and the stud tire has to be replaced, which incurs additional replacement costs.
또한, “스터드 타이어”는, 스터드 타이어의 노면 주행시 발생하는 회전력 등에 의해 스터드핀이 트레드의 리세스로부터 분리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터드 핀과 리세스의 내측면 사이에 국소적으로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노면 주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스노우 타이어에서 스터드핀은 상시 돌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계절이 바뀌면 일반 타이어나 사계절 타이어로 바꾸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tud tire” forms an air layer locally between the stud pi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ss in order to prevent the stud pin from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from the recess of the tread due to rotational force generated when the stud tire runs on the road surface.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bsorb shocks generated during road driving to improve drivability and stability.However, since the stud pins in snow tires are always in a protruding state,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of changing to a regular tire or a four season tire when the season changes.
그리고 스노우 타이어는 빙판길과 눈길에서 주행 안정성을 높인다 하더라도 겨울철 빙판길과 눈길이 없는 도로를 맞이하여 주행하는 경우에는, 도로를 파손시키게 되는 것은 물론 주행 중 소음을 발생시켜 주행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And even if snow tires improve driving stability on ice and snowy roads, in the case of driving on ice and snowless roads in winter, they cause damage to the road as well as generate noise during driving, which degrades driving performance. hav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의 상황에 따라 스터드의 사용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variably control the use of studs according to road condition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이어의 구름운동으로 그래핀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가변소재에 인가할 때 스터드를 밀어 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push out the stud when applying the electrical energy accumulated in graphene to the variable material due to the rolling motion of the tir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래핀의 전기에너지가 가변소재에 인가되는 것을 차단할 때 가변소재가 스터드를 당겨 끌어들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variable material to pull the stud when blocking the electrical energy of graphene from being applied to the variable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터드의 사용을 도로의 상황에 따라 운전자 또는 센서에 의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빙판길 및 눈길에 대한 타이어의 접지력과 주행성능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the use of the studs to be operated by a driver or a sensor according to road conditions, thereby improving gripping power and driving performance of tires on ice and snowy road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자동차의 타이어에 적용할 경우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전기자동차의 전장부품에 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ore electricity generated by a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when applied to a tire of an electric vehicle, and supply it to the electric vehicle's electrical components when necessary.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서 겨울철 빙판길 및 눈길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트레드의 블록 내부에 설치되는 스터드와, 상기 블록 내부에 스터드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stud installed inside a block of a tread so that a pneumatic tire can safely travel on ice and snowy roads in winter, and the stud inside the block is pushed by an electrical signa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installed to be able to pull or pull.
상기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는, 스터드가 내장된 블록 하부에 스터드와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전기 신호에 의하여 직선 형태나 휨 형태로 가변되도록 한 가변소재와, 상기 가변소재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블록 내부에 설치되되, 타이어의 구름 운동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한 후 저장하도록 한 그래핀과, 상기 그래핀을 운전자의 조작 시 전기신호로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 내에 설치되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is install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tud under the block in which the stud is embedded, a variable material that is varied in a straight or bent form by an electrical signal, and an electrical signal is applied to the variable material. The graphene is installed inside the block so that the tire's rolling motion is converted into electric energy and then stored, and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to control the graphene with an electric signal when the driver operate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by doing.
상기 가변소재는, 형상기억 합금 소재로써, 그래핀에 연결 설치되면서 스터드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블록 내부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variable material is a shape-memory alloy material, and is disposed and installed inside a block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tu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graphene.
상기 스터드는, 스터드 가변제어장치가 정확하게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외주 면에 대칭하도록 형성되는 전진 빗면과 후진 빗면을 구비한 빗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u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y forming an inclined plane having a forward and backward inclined plan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can accurately push and pull.
상기 전진 빗면과 후진 빗면에는, 각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전진용 가변소재 및 후진용 가변소재로 구성되는 가변소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ariable material composed of a variable material for forward and a variable material for reverse is installed on the forward slope and the reverse slope so as to be arranged vertically and to respond variably to each of the forward slope and the reverse slope.
상기 전진용 가변소재는, 스터드의 전진 빗면에 설치되되, 전진용 그래핀의 작용에 의하여 스터드의 돌출되도록 곧게 펴지고, 스터드의 인입되도록 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rward variable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forward slope of the stud, and is straightened so that the stud protrudes by the action of the forward graphene, and is bent so that the stud is inserted.
상기 후진용 가변소재는, 스터드의 후진 빗면에 설치되되, 후진용 그래핀의 작용에 의하여 스터드 돌출되도록 휘게 되고, 스터드의 인입되도록 곧게 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versing variable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reverse slope of the stud, and is bent so as to protrude by the action of graphene for reversing, and is straightened so that the stud is inserted.
본 발명의 스터드 가변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타이어의 구름운동으로 그래핀에 축적된 전기 에너지를 가변소재에 인가할 때 스터드를 용이하게 밀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neumatic tire provided with the variable stud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stud to be easily pushed when the electric energy accumulated in graphene is applied to the variable material due to the rolling motion of the tire.
또한 그래핀의 전기에너지가 가변소재에 인가되는 것을 차단할 때 가변소재가 스터드를 용이하게 당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ical energy of graphene is blocked from being applied to the variable materia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variable material can easily pull the stud.
또한, 도로의 상황에 따라 스터드의 사용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 of studs to be variab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road.
또한, 스터드를 빙판길 및 눈길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이어의 접지력 향상과 도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stud to be used only on ice and snowy road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grip of the tire and preventing damage to the road.
또한,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필요 시 전기자동차에 공급함으로써, 전장부품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storing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and supplying it to an electric vehicle when necessary, so that it can be used for electrical components.
또한, 도로를 파손시키지 않으면서 스터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로보호는 물론 빙판길 및 눈길에서도 주행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stud to be used without damaging the road, there is an effect of securing driving performance not only on road protection but also on ice and snowy roads.
또한, 스터드를 가변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타이어의 번거로운 교체를 줄일 수 있어 계절용 타이어의 구매 생략과 타이어의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stud to be variably controlled and us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oublesome replacement of the tire, thereby eliminating the purchase of seasonal tires and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of the tire.
또한, 여름용 타이어와 사계절용 타이어로 구분하여 설계하던 불편을 생략할 수 있어 범용 타이어의 개발효율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development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general-purpose tires since it is possible to omit the inconvenience of designing a tire for summer and a tire for all seasons.
또한, 스터드를 도로의 빙판 형성 여부에 따라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스팔트에 대한 더 충격을 줄이고 도로빙판에 대한 우수한 파지력을 갖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llowing the studs to be variably us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road ice is formed, there is an effect of further reducing the impact on the asphalt and having an excellent gripping force on the road 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 가변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스터드 가변제어장치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스터드 가변제어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스터드 가변제어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pneumatic tire provided with a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with average knowledge in the industry.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elem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each drawing, the same member may be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are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스터드 가변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입 타이어(2)에서 겨울철 빙판길 및 눈길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트레드(4)의 블록(6) 내부에 설치되는 스터드(10)와, 상기 블록(6) 내부에 스터드(10)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터드(10)는, 트레드(4)의 블록(6) 내부에서 돌출 및 후퇴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스터드(10)는,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20)의 작동 시 용이하게 움직이게 된다. The
또한, 상기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20)는, 스터드(10)가 내장된 블록(6) 하부에 스터드(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전기 신호에 의하여 직선 형태나 휨 형태로 가변되도록 한 가변소재(24)와, 상기 가변소재(24)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블록(6) 내부에 설치되되, 타이어(2)의 구름 운동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한 후 저장하고 있도록 한 그래핀(26)과, 상기 그래핀(26)을 운전자의 조작 시 전기신호로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 내에 전자제어장치(28)가 설치된다. 상기 그래핀(26)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드(4)의 블록(6)에 내장되되, 스터드(10)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스터드(10)의 저면에 수평으로 배치되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stud
상기한 가변소재(24)는, 스터드(10)를 밀거나 당기는 중요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가변소재(24)가 전원에 의하여 곧음과 휨 변형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물론 구성되는 수량 단위도 충분하도록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가변소재(24)는, 형상기억 합금 소재로써, 그래핀(26)에 연결 설치되면서 스터드(10)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블록(6) 내부에 배치되어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터드(10)는, 스터드 가변제어장치(20)가 정확하게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외주 면에 대칭하도록 하는 빗면(30)이 형성된 것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빗면(30)은 전진 빗면(30a)과 후진 빗면(30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20)에서 가변소재(24)는, 전진 빗면(30a)과 후진 빗면(30b) 각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가변소재(24)는, 상기 전진 빗면(30a)과 후진 빗면(30b)에 각각 수직으로 배치되어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전진용 가변소재(24a) 및 후진용 가변소재(24b)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상기 전진용 가변소재(24a) 및 후진용 가변소재(24b)는, 그래핀(26)을 구성하는 전진용 그래핀(26a) 및 후진용 그래핀(26b)에 의하여 대응되고 이들에 의하여 제어된다. The forward
또한, 상기 전진용 가변소재(24a)는, 스터드(10)의 전진 빗면(30a)에 설치되되, 전진용 그래핀(26a)의 작용에 의하여 스터드(10)가 돌출되도록 곧게 펴지고, 스터드(10)의 인입되도록 휘게 된다. 또한, 상기 후진용 가변소재(24b)는, 스터드(10)의 후진 빗면(30b)에 설치되되, 후진용 그래핀(26b)의 작용에 의하여 스터드(10) 돌출되도록 휘게 되고, 스터드(10)의 인입되도록 곧게 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forward
또한, 이외에도 상기 스터드(10)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상시 인입 상태에 있다가 가변소재(24)의 작동 시에 돌출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참고로, 그래핀(26)은 탄소원자로 만들어진 원자크기의 벌집 형태 구조를 가진 소재로써, 흑연(graphite)을 원료로 제작된다. 더불어, 상기 그래핀(26)은 두께가 0.2nm로 얇아서 투명성이 높고 상온에서 구리보다 100배 많은 전류를 실리콘보다 100배 빨리 전달할 수 있으며, 열전도성이 다이아몬드보다 2배 이상 높을 뿐만 아니라 기계적 강도도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지만 신축성이 좋아 늘리거나 접어도 전기 전도성을 잃지 않는 특성이 있다.For reference,
그리고 스터드 가변제어장치(20)가 구비된 타이어(2)를 전기자동차에 적용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전기자동차에 필요한 전기를 스터드 가변제어장치(20)의 그래핀(26)에 저장하였다가 전기를 필요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전장부품에 공급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사용 예를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눈길이나 빙판길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가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20)를 조작하게 되면, 전자제어장치(28)는 그래핀(26)에 신호를 보내 작동시킨다. 그래핀(26)은 작동하고 여기에 연결된 형상기억합금소재인 가변소재(24)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변소재(24)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게 되면서 일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 곧게 뻗은 상태가 된다.First, when driving on a snowy or icy road, when the driver manipulates the stud
상기한 바처럼 가변소재(24)가 곧게 뻗은 상태가 되면, 스터드(10)는 블록 (6)내에서 상승하여 트레드(4)상에 일부분이 돌출된다. 스터드(10)은 돌출은 눈길 및 빙판길에서 구르는 타이어(2)로 하여금 접지력을 증대시킨다. 이를 통해 공기입 타이어(2)는, 눈김 침 빙판길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공기입 타이어(2)는 눈길이나 빙판길에서 돌출된 스터드(10)에 의하여 접지력이 좋아짐에 따라 안전한 주행 성능을 발휘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그리고, 눈길 및 빙판길이 아닌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 운전자가 스터드 가변제어장치(20)의 조작을 해제하면 전자제어장치(28)는, 그래핀(26)에 대한 통전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그래핀(26)에 의하여 전원이 단속된 형상기억합금소재인 가변소재(24)는, 전열이 차단됨에 따라 발열온도가 하강하면서 소재의 특성에 따라 원래 자세로 복귀하여 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터드(10)는, 가변소재(24)가 휘어져 복원됨에 따라 트레드(4) 상의 블록(6)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입 타이어(2)는, 일반 도로를 정숙한 상태로 주행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driving on a road other than a snowy road or an icy road, the
그리고 빗면(30)이 형성된 스터드(10)를 설치한 후 빙판길과 눈길 도로가 아닌 일반도로를 주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자제어장치(28)의 신호로 후진용 그래핀(26b)이 후진용 가변소재(24b)에 전원을 인가하여 후진용 가변소재(24b)가 곧게 뻗은 자세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후진용 가변소재(24b)는 후진 빗면(30b)를 밀어 스터드(10)가 인입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때 전진용 그래핀(26a)은 전자제어장치(28)의 신호로 전진용 가변소재(24a)에 인가되던 전원을 미리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전진용 가변소재(24a)는 스터드(10)가 인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휨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And, in the case of driving on a general road other than an ice or snowy road after installing the
반대로, 빗면(30)이 형성된 스터드(10)를 설치한 후 빙판길과 눈길을 주행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자제어장치(28)의 신호로 전진용 그래핀(26a)이 작용하여 전진용 가변소재(24a)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이에 전진용 가변소재(24a)는, 곧게 뻗은 상태가 되면서 전진 빗면(30a)를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스터드(10)는 트레드(4)상에 돌출됨으로써 눈길 및 빙판길에 대한 접지력을 향상시킨 상태로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자제어장치(28)의 신호로 후진용 그래핀(26b)은 후진용 가변소재(24b)에 대한 전원을 미리 차단하고 있는 상태여서 후진용 가변소재(24b)는 휨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driving on an ice or snowy road after installing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 of the pneumatic tire having the variable stud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on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implementations therefrom. You can see that an example is possible. Therefor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cope thereof.
2:공기입 타이어
4:트레드
6: 블록
10: 스터드
20: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
24: 가변소재
24a: 전진용 가변소재
24b: 후진용 가변소재
26: 그래핀
26a: 전진용 그래핀
26b: 후진용 그래핀
28: 전자제어장치
30: 빗면
30a: 전진 빗면
30b: 후진 빗면2: pneumatic tire 4: tread
6: block 10: stud
20: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24: variable material
24a: variable material for
26:
26b: graphene for reverse 28: electronic control device
30:
30b: reverse slope
Claims (7)
상기 블록(6) 내부에 스터드(10)를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설치된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Studs 10 installed inside the block 6 of the tread 4 so that the pneumatic tire 2 can safely travel on ice and snowy roads in winter,
A pneumatic tire with a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20) installed in the block (6) so as to push or pull the stud (10) by an electrical signal.
상기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20)는,
스터드(10)가 내장된 블록(6) 하부에 스터드(1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되되, 전기 신호에 의하여 직선 형태나 휨 형태로 가변되도록 한 가변소재(24)와,
상기 가변소재(24)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블록(6) 내부에 설치되되, 타이어(2)의 구름 운동을 전기 에너지로 전환한 후 저장하고 있도록 한 그래핀(26)과,
상기 그래핀(26)을 운전자의 조작 시 전기신호로 제어할 수 있도록 차량 내에 설치되는 전자제어장치(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The method of claim 1,
The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20,
A variable material 24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tud 10 under the block 6 in which the stud 10 is embedded, but to be varied in a straight or bent form by an electric signal,
Graphene 26 is installed inside the block 6 so as to apply an electrical signal to the variable material 24, but converts the rolling motion of the tire 2 into electrical energy and stores it,
A pneumatic tire with a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onic control device (28) install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graphene (26) can be controlled by an electric signal when a driver operates.
상기 가변소재(24)는,
형상기억 합금 소재로써, 그래핀(26)에 연결 설치되면서 스터드(10)의 하부에 밀착되도록 블록(6) 내부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The method of claim 1,
The variable material 24,
A pneumatic tire having a variable stud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and is connected to and installed in the graphene 26 while being arranged and installed inside the block 6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tud 10.
상기 스터드(10)는,
스터드 가변제어장치(20)가 정확하게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외주 면에 대칭하도록 형성되는 전진 빗면(30a)과 후진 빗면(30b)을 구비한 빗면(30)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The method of claim 1,
The stud 10,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evel 30 having a forward bevel 30a and a reverse bevel 30b formed to be symmetrical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20 can accurately push and pull Pneumatic tire with a.
상기 전진 빗면(30a)과 후진 빗면(30b)에는,
각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가변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전진용 가변소재(24a) 및 후진용 가변소재(24b)로 구성되는 가변소재(2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The method of claim 4,
On the forward slope 30a and the reverse slope 30b,
Pneumatic inlet having a variable stud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variable material 24 composed of a variable material 24a for forward and a variable material 24b for backward is installed so as to be arranged vertically to respond variably. tire.
상기 전진용 가변소재(24a)는,
스터드(10)의 전진 빗면(30a)에 설치되되,
전진용 그래핀(28a)의 작용에 의하여 스터드(10)가 돌출되도록 곧게 펴지고, 스터드(10)가 인입되도록 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The method of claim 5,
The forward variable material (24a),
It is installed on the forward slope (30a) of the stud (10),
A pneumatic tire with a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d 10 is straightened so that the stud 10 protrudes by the action of the forward graphene 28a, and the stud 10 is bent so as to be retracted.
상기 후진용 가변소재(24b)는,
스터드(10)의 후진 빗면(30b)에 설치되되,
후진용 그래핀(28b)의 작용에 의하여 스터드(10)가 돌출되도록 휘게 되고, 스터드(10)의 인입되도록 곧게 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스터드 가변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The method of claim 5,
The reverse variable material 24b,
It is installed on the reverse slope (30b) of the stud (10),
A pneumatic tire having a stud variable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ud 10 is bent so as to protrude by the action of the reverse graphene 28b and is straightened so that the stud 10 is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7284A KR102244845B1 (en) | 2019-09-24 | 2019-09-24 | A pneumatic tire having stud variable control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7284A KR102244845B1 (en) | 2019-09-24 | 2019-09-24 | A pneumatic tire having stud variable control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5935A true KR20210035935A (en) | 2021-04-02 |
KR102244845B1 KR102244845B1 (en) | 2021-04-28 |
Family
ID=7546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7284A Active KR102244845B1 (en) | 2019-09-24 | 2019-09-24 | A pneumatic tire having stud variable control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484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2621B1 (en) * | 2021-05-12 | 2022-11-30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A pneumatic tire having vortex forming portio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2391Y1 (en) * | 2006-08-31 | 2006-12-01 | 최병국 | Snow tires with anti-slip spikes |
KR100833783B1 (en) | 2007-03-22 | 2008-05-29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Stud pins for snow tires |
KR20150126126A (en) * | 2014-05-02 | 2015-11-11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Spike wheel for vehicle using shape memory alloy and skid proof tire having the same |
KR20180055112A (en) * | 2016-11-16 | 2018-05-25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A pneumatic tire with flexible pattern shape which can be adjusted by electric energy |
KR101973183B1 (en) | 2017-07-17 | 2019-04-26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Stud Tire |
-
2019
- 2019-09-24 KR KR1020190117284A patent/KR10224484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2391Y1 (en) * | 2006-08-31 | 2006-12-01 | 최병국 | Snow tires with anti-slip spikes |
KR100833783B1 (en) | 2007-03-22 | 2008-05-29 |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 Stud pins for snow tires |
KR20150126126A (en) * | 2014-05-02 | 2015-11-11 |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 Spike wheel for vehicle using shape memory alloy and skid proof tire having the same |
KR20180055112A (en) * | 2016-11-16 | 2018-05-25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A pneumatic tire with flexible pattern shape which can be adjusted by electric energy |
KR101973183B1 (en) | 2017-07-17 | 2019-04-26 |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 Stud Ti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4845B1 (en) | 2021-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44845B1 (en) | A pneumatic tire having stud variable control apparatus | |
KR102244810B1 (en) | A pneumatic tire having tread of groove width deformable member | |
KR101933499B1 (en) | A pneumatic tire with flexible pattern shape which can be adjusted by electric energy | |
CN208011160U (en) | A kind of pipeline trolley | |
CN204898468U (en) | A bridge floor, bend road surface heating system for ice and snow weather | |
CN107953734B (en) | Antiskid chain | |
KR102335816B1 (en) | Flexible transparent heating device | |
CN205387039U (en) | Car anti -skid wheel | |
CN203284811U (en) | Chargeable warning well lid | |
CN204367789U (en) | A kind of car emergency anti-slipping chain | |
KR102324370B1 (en) | Non slip tire with high braking force on snowy road | |
KR102542237B1 (en) | Pneumatic tire having longitudinal groove heat generation part | |
CN205588900U (en) | Fixed electromobile tire | |
KR20190102605A (en) | Variable stud | |
CN207758498U (en) | Antiskid chain and specific purpose tool | |
WO2019084893A1 (en) | Anti-skidding chain | |
CN205905675U (en) | Electromobile tire | |
CN106541786B (en) | A kind of tire of the wear-resisting and variable frictional force based on shape-memory polymer | |
CN111422009A (en) | Novel snowfield tire nail telescoping device | |
CN221642217U (en) | Vehicle tires and vehicles | |
CN217114619U (en) | Insulating piece of new energy automobile battery module bottom plate | |
CN206155049U (en) | Vehicle device of saving oneself | |
KR101441641B1 (en) | Tire operation apparatus for vehecles capable of tread modification | |
CN205523383U (en) | Power car that can generate electricity | |
KR102472621B1 (en) | A pneumatic tire having vortex forming por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