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34005A - 캔 뚜껑 - Google Patents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005A
KR20210034005A KR1020217003338A KR20217003338A KR20210034005A KR 20210034005 A KR20210034005 A KR 20210034005A KR 1020217003338 A KR1020217003338 A KR 1020217003338A KR 20217003338 A KR20217003338 A KR 20217003338A KR 20210034005 A KR20210034005 A KR 20210034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ore line
lid
rivet
panel
be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3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80473B1 (ko
Inventor
토시유키 오오코시
히로카즈 코나가야
타다요시 이와마루
아키라 야마모토
카츠미 오오시마
Original Assignee
다이와 세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와 세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와 세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3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8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804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65D17/347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b and a detachable member or portion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complete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65D17/347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b and a detachable member or portion of the container
    • B65D17/353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b and a detachable member or portion of the container the connec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tab or with the detachable member or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6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push-down and pull-out tear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8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within tear-out/push-in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8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1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externally of tear-out/push-in panel or preformed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58Other details of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68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 B65D2517/0073Ribs or projections in container end panel located under tab hand grip to facilitate initial lifting of the 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과제)
강판제라도 뚜껑 개방성이 우수한 캔 뚜껑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개구편(12)을 구획하여 형성하는 스코어 선(13)은 패널부(4)의 주변부에 형성되고, 개구편의 주변부의 일부에 탭(3)이 부착부(9)를 개재시켜 고착되고, 그 탭(3)은 부착부(9)보다 개구편(12)의 중앙부측에 위치하는 손가락걸이부(8)와, 부착부(9)를 사이에 끼우고 손가락걸이부(8)와는 반대측이며 또한 스코어 선(13)보다 외주측에 위치하는 노즈부(10)를 갖추고, 패널부(4) 중 노즈부(10)의 하측의 부분이 노즈부(10)를 하측으로부터 지탱하는 지지부(15)로 되어 있고, 패널부(4) 중 스코어 선(13)의 외주측의 부분에 지지부(15)의 굽힘강성을 높이는 외주측 비드(14)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캔 뚜껑
본 발명은 거의 전체면이 개구되는 소위 풀 오픈 타입의 캔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탭을 잡아당겨 스코어 선을 파단시킴으로써 개구시키도록 구성된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캔 뚜껑의 구조가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되어 있다. 그 일반적인 구조를 설명하면, 캔 동체에 대한 감아조임부의 내측의 부분인 패널부의 외주부에, 거의 원형의 스코어 선이 형성되어 있다. 그 스코어 선에 의해 구획된 부분이 개구편으로 되어 있다. 개구편의 외주측의 일부에 탭이 리벳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탭은 스코어 선의 일부를 최초로 파단시키고, 이어서 개구편을 점차 끌어올려 스코어 선의 파단을 진행시키는 손잡이 부분이다. 따라서, 탭의 선단부(탭 노즈)는 리벳으로부터 개구편의 외주 가장자리측으로 뻗어 있고, 이것과는 반대로 리벳으로부터 개구편의 중심부측으로 뻗어 있는 부분이 들어올림부(손가락걸이부)로 되어 있다.
손가락걸이부를 들어올린 경우, 탭이 제1종의 지레 작용 혹은 제2종의 지레 작용을 행하여 스코어 선이 파단된다. 특허문헌 1에는, 탭의 제2종의 지레 작용에 의해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한 예가 기재되어 있다. 그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캔 뚜껑은 탭의 제2종의 지레 작용에 의해 리벳이 끌어올려진 경우에, 리벳에 근접한 개소에서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이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스코어 선은 완전히 원형은 아니며, 리벳측의 부분에서는 리벳의 외주측을 둘러싸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벳의 중심과 캔 뚜껑의 중심을 연결한 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선을 반경선이라고 하면, 스코어 선 중 상기한 반원형상부와 개구편의 대부분을 구획 형성하고 있는 원호형상부가 반경선에 평행한 직선 형상의 현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탭 노즈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탭 노즈의 원호와, 스코어 선의 반원형상부가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탭이 회전한 경우라도, 초기 파단의 전단력을 반원형상부에 확실하게 작용시킬 수 있고, 그 때문에 개구성이 양호하게 된다고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탭의 제1종의 지레 작용에 의해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캔 뚜껑이 기재되어 있다. 이 캔 뚜껑에서는 스코어 선의 파단에 의해 생긴 에지에 의해 손가락을 다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환 형상의 스코어 선의 내측에 스코어 선을 따라 안전 비드가 형성되어 있다. 안전 비드는 캔 뚜껑의 상면측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는 철조(凸條) 부분이며, 따라서 안전 비드는 개구편의 굽힘에 대한 강성이 높아지는 부분이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캔 뚜껑에서는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의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반경선과 마찬가지의 직선과 평행하며, 또한 리벳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절곡선)이 스코어 선에 교차하는 부분에서 안전 비드가 도중에 끊어져 있다. 따라서,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을 발생시키기 위해 탭 노즈가 개구편의 일부를 밀어내리는 경우, 상기한 절곡선보다 탭 노즈측의 부분이 절곡선을 경계로 하여 용이하게 절곡된다. 즉, 안전 비드가 개구편의 절곡이나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을 저해하는 것이 회피된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탭의 제1종의 지레 작용에 의해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캔 뚜껑이 기재되어 있다. 그 스코어 선은 환 형상(원형)으로서, 탭에 의한 초기 파단 후, 탭을 끌어올림으로써 스코어 선의 파단(전단)을 진행시킨다. 그 경우, 스코어 선의 전단이 단숨에 발생해버려 내용물을 엎질러버리는 등의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스코어 선은 그 도중에서의 스코어 선의 잔여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의 도면에 나타낸 스코어 선은 캔 뚜껑의 표리 양면에 형성되고, 그 일방의 스코어 선은 표면측의 폭이 넓은 제1단째의 홈과, 제1단째의 홈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에 형성된 폭이 좁은 제2단째의 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단째의 홈과 제2단째의 홈 사이에는 표면 혹은 내면(이면)과 평행한 평탄부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공 평2-46463호 공보 일본 실공 평3-54020호 공보 일본 특개 2004-16136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캔 뚜껑은 탭이 리벳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상정하고, 탭이 회전한 경우라도 개구력이 스코어 선에 확실하게 혹은 유효하게 작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탭에 의한 지레 작용은 탭 노즈가 지점이 되는 제2종의 지레 작용이며,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캔 뚜껑의 패널부 중 리벳을 중심으로 하고 또한 리벳으로부터 탭 노즈의 선단까지의 치수를 반경으로 한 원호 상의 위치가, 지레 작용시의 지점이 된다. 그러나, 이 지점이 되는 개소는 개구편과 동등한 평탄한 패널부이므로, 개구편이 만곡되기 쉬운 것과 동등하게, 만곡되기 쉬운 부분 혹은 휘기 쉬운 부분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손가락걸이부를 들어올린 경우, 탭 노즈에 의한 밀어내리는 힘을 지탱하는 지점이 되는 개소에 휨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지점이 되는 개소의 변형 혹은 변위에 의해 개구력이 흡수되어버려,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이 즉시 발생하지는 않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뚜껑 개방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캔 뚜껑은, 탭에 의한 제2종의 지레 작용에 의해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을 발생시키고, 그 후, 스코어 선의 전단을 진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스코어 브레이크)과 그것에 이어지는 스코어 선의 전단(스코어 티어)에서는 어느 것이나 개구편을 끌어올리므로, 개구 조작의 연속성이 담보되고, 그 점에서는 개구성이 양호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캔 뚜껑에서는, 스코어 선 중 초기 파단이 발생하는 반원형상부와 주된 스코어 선인 외주측의 원호형상부가 직선적인 현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 현부에서는 전단을 단숨에 발생시키게 되고, 그 때문에 현부의 전단에 요하는 힘이 크고, 이 점에서 개구시키기 어려워, 개구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캔 뚜껑은, 탭에 의한 제1종의 지레 작용에 의해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을 발생시키는 타입의 캔 뚜껑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절곡선의 위치에서 안전 비드를 종료시켜, 절곡선보다 탭 노즈측의 부분이 캔 뚜껑의 내측으로 휘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안전 비드의 구성)을, 탭이 제2종의 지레 작용을 행하도록 구성한 캔 뚜껑에 적용했다고 하면, 탭 노즈측의 지점의 강성이 부족하여,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캔 뚜껑과 마찬가지로, 뚜껑 개방성이 떨어지는 등의 과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사정은 탭의 제1종의 지레 작용으로 초기 파단을 발생시키는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캔 뚜껑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어느 캔 뚜껑이라도, 개구편을 끌어올리는 개구력에 대한 반력을, 캔 동체에 감겨조여져 캔 동체측에 남는 링 형상의 부분(이하, 임시로 잔존 링부라고 한다)에서 받게 된다. 그러나, 그 잔존 링부는 패널부의 일부로서, 개구편으로부터 외주측의 환 형상 홈으로 연결되는 평탄 부분이므로, 개구력에 의해 휘기 쉽다. 그 때문에, 개구력이 스코어 선에 반드시 집중하여 작용하지 않고, 그 결과, 스코어 선의 전단이 스무스하게 진행되지 않아, 열기 어려운 캔 뚜껑이 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사정은 개구편을 떼어내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개구편을 잔존 링부로부터 최종적으로 잡아뜯을 때, 잔존 링부의 일부가 휘어버려, 스코어 선이 깔끔하게 전단하지 않고, 오히려 약간의 잡아뜯긴 조각이 개구편 혹은 잔존 링부에 돌기부로서 남거나, 그 때문에 개구편을 떼어내는 최종 단계에 큰 개구력이 요구되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적어도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을 원활 혹은 확실하게 발생시킴으로써 뚜껑 개방성을 개선한 캔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패널부에 스코어 선에 의해 개구편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구편에 부착된 탭에 의해 상기 스코어 선이 파단되어 상기 개구편이 떼어져 개구되는 캔 뚜껑으로서, 상기 스코어 선은, 파단이 용이하고 또한 환 형상으로 닫힌 형상으로 상기 패널부의 주변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편의 주변부의 일부에 리벳부가 설치되고, 상기 탭은, 상기 리벳부에 고착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보다 상기 개구편의 중앙부측에 위치하는 손가락걸이부와, 상기 부착부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손가락걸이부와는 반대측이며 또한 상기 스코어 선보다 외주측에 위치하는 노즈부를 갖추고, 상기 패널부 중 상기 노즈부의 하측의 부분이 상기 노즈부를 하측으로부터 지탱하는 지지부로 되어 있고, 상기 패널부 중 상기 스코어 선의 외주측의 부분에, 상기 지지부의 굽힘강성을 높이는 외주측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외주측 비드는, 상기 패널부의 원주방향에서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끼운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단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스코어 선을 따라 상기 스코어 선의 외주측에 형성된, 상기 패널부의 외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볼록 비드이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스코어 선은, 상기 리벳부보다 상기 지지부측에서 상기 리벳부의 외주를 따르는 원호 형상의 리벳 근접부와, 상기 패널부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이며 또한 상기 외주측 비드를 따르고 있는 주부와, 상기 리벳 근접부와 상기 주부를 연결하고 있는 만곡된 연결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개구편에, 상기 스코어 선의 내주측을 따라 내주측 비드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내주측 비드는, 상기 리벳부를 사이에 끼운 양측에 단부를 가지는 열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상기 패널부는 외면과 내면의 양면에 수지 필름을 적층한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지 필름은 비정질로 되어 있어도 된다.
그 외면에 적층되어 있는 수지 필름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50% 이상 포함하는 수지 필름이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탭의 손가락걸이부를 끌어올림으로써, 탭이 제2종의 지레 작용을 행한다. 즉, 손가락걸이부가 역점, 노즈부가 지점, 리벳부에 의한 패널부에 대한 부착부가 작용점이 되는 지레 작용이 발생하고, 리벳부가 끌어올러져, 그 부근의 스코어 선에 초기 파단이 발생한다. 그 경우, 노즈부가 접촉하고 있는 지지부가 외주측 비드에 의해 보강되어 그 굽힘강성이 높아져 있으므로, 손가락걸이부를 끌어올리는 것에 의한 개구력이 지지부의 변형 등에 의해 흡수되는 일이 거의 없어, 스코어 선에 전단력으로서 집중적으로 작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가락걸이부를 끌어올리는 힘을 특별히 크게 하지 않고, 또 그 끌어올림 스트로크를 특별히 크게 하지 않고,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이 발생한다. 그 결과,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을 용이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캔 뚜껑의 뚜껑 개방성이 양호하게 된다.
외주측 비드를 소위 볼록 비드로 하면, 패널부와 그 외주측의 척 월과의 구분을 명확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지지부의 굽힘강성을 확실히 높일 수 있다.
스코어 선을, 패널부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른 원호 형상의 주부와, 리벳부에 접근시켜 형성된 원호 형상의 리벳 근접부와, 이들 주부와 리벳 근접부를 연결하는 만곡된 연결부로 구성하면, 연결부에 있어서의 스코어 선의 파단(전단)이 서서히 진행되므로, 개구편을 일정한 개구력으로 스무스하게 개구시킬 수 있고, 이 점에 있어서도 뚜껑 개방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내주측 비드를 설치함으로써, 스코어 선을 사이에 끼운 외주측과 내주측의 굽힘강성이 높아지므로, 스코어 선에 전단력을 집중시켜, 그 파단(전단)을 스무스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캔 뚜껑의 뚜껑 개방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 외주측 및 내주측의 비드가 스코어 선의 파단으로 생긴 에지부에 거의 동일 평면으로 일치하고 있으므로, 그 에지부가 손가락에 강하게 닿거나, 파고들거나 하는 것을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어, 캔 뚜껑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내외면의 수지 필름을 비정질로 함으로써, 수지 필름의 신장이 억제되므로, 스코어 선의 파단과 함께 필름이 용이하게 파단되고, 그 결과, 뚜껑 개방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캔 뚜껑을 캔 동체에 감아조일 때에 있어서도, 플랜지부의 변형에 추종한 필름의 변형이 용이하게 발생하므로, 감아조임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외관을 나타내는 외면측 수지 필름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주체로 하는 필름으로 하면, 수지의 결정화나 그것에 기인하는 백화를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캔 뚜껑 또는 캔 용기의 외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일례의 기본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그 지지부의 주변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선을 따른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스코어 선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스코어 선 중 리벳부에 가까운 개소에서의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도이다.
도 7은 스코어 선의 초기 파단을 발생시킨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은 소위 풀 오픈 타입의 캔 뚜껑이다. 캔 동체에 부착되는(감겨조여지는) 본체 부분의 중앙부에는 패널부가 설치되고, 그 패널부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개구편이 스코어 선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개구편의 주변부의 일부에 탭이 리벳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탭에는 손가락걸이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 손가락걸이부를 끌어올림으로써, 스코어 선의 일부에 초기 파단이 발생하고, 그 초기 파단이 발생한 개소로부터 점차 스코어 선의 전단이 진행되어, 최종적으로는 스코어 선을 따른 전단이 스코어 선의 전체에서 발생하여, 개구편이 본체 부분으로부터 제거되고, 캔 뚜껑이 개구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1)은 본체부(2)와 탭(3)을 갖추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그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본체부(2)는 도시하지 않는 캔 동체의 형상에 맞춘 원판 형상의 부재이며, 알루미늄 합금이나 표면 처리 강판 등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져 있다. 강판으로서는 틴 프리 스틸이나 로우 틴 스틸 등의 표면 처리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그러한 강판의 표리 양면에 합성 수지제 필름을 적층한 강판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합성 수지 필름의 예를 들면, 캔 뚜껑 외면이 되는 면에 적층되는 외면측 수지 필름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주체(함유율 50% 이상)로 하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를 첨가한 수지 필름이면 된다. 이와 같은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결정화나 결정화에 의해 부분적으로 백화하는 등의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여 캔 뚜껑 혹은 캔 용기의 외관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캔 뚜껑 내면이 되는 면에 적층되는 내면측 수지 필름은 3층 등의 다층 구조의 적층 필름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판측의 내층, 및 중간층을 사이에 끼운 반대측의 외층은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체로 한 수지 필름으로 하고, 중간층은 필름에 유연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다이머산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체로 하는 수지 필름으로 한 적층 필름이 그 예이다. 이 3층 구조의 적층 필름은 접착제에 의해 금속판에 접착된다. 그 접착제는 비스페놀 A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로 한다. 내면측에 이러한 종류의 수지 필름을 사용하면, 후술하는 스코어 선을 형성할 때 필름이 손상되는 것을 회피 혹은 억제할 수 있다. 즉, 캔 뚜껑의 내면측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면측 수지 필름 및 내면측 수지 필름은 강판에 적층된 상태에서 열 처리에 의해 비정질로 되어 있다.
캔 뚜껑(1)은 상기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블랭크를 프레스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원판 형상)의 패널부(4)의 둘레가장자리부에는 캔 동체에 부착하기 위한 척 월(5)이 형성되어 있다. 그 척 월(5)의 선단부는 감아조임을 위한 플랜지부(6)로 되어 있다. 패널부(4)의 둘레가장자리부에 가까운 소정 개소에 리벳부(7)가 형성되어 있다. 리벳부(7)는 패널부(4)의 일부를 외면측(도 2의 상측)으로 돌출시킨 부분이며, 이 리벳부(7)에 의해 탭(3)이 패널부(4)에 부착되어 있다.
탭(3)은 개구를 위한 손잡이가 되는 부분이며, 본체부(2)와는 별개로 만들어져, 리벳부(7)에 의해 패널부(4)에 부착된다. 탭(3)의 소재는 일례로서 강판이며, 탭(3)은 프레스 성형에 의해 만들어진다. 탭(3)은 손가락걸이부(8)와, 리벳부(7)에 의한 부착부(9)와, 지레 작용을 행할 때의 지점이 되는 선단측의 노즈부(10)를 갖추고 있다. 이들 손가락걸이부(8)와 부착부(9)와 노즈부(10)는 직선 상에 여기에 든 순서로 늘어서 있고, 따라서 탭(3)은 가늘고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탭(3)의 주변 부분은 탭(3)에 소정의 굽힘강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하측으로 되굽혀져 2층 구조 혹은 컬링 구조로 되어 있다.
손가락걸이부(8)는 캔 뚜껑(1)의 중심(O)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링 형상의 부분 중 상기 중심(O) 가까운 부분은 패널부(4)의 표면으로부터 떠있는 상태가 되도록, 눌러 찌부러뜨려 얇게 되어 있다. 또 당해 얇게 되어 있는 부분의 하측에 손 끝을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설치되어 있다. 즉, 패널부(4) 중 상기 얇게 되어 있는 부분에 대향하는 개소를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가 내면측(하면측)으로 함몰되어 손가락걸이용 오목부(11)로 되어 있다.
부착부(9)는 리벳부(7)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그 리벳부(7)의 선단부(정부)를 눌러 찌부러뜨림으로써 패널부(4)에 고착되는 립 형상(설편 형상)의 부분이다. 즉, 부착부(9)는 노즈부(10)측으로부터 손가락걸이부(8)측으로 뻗어 있고, 탭(3)에 리벳부(7)를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의 슬릿을 넣음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부착부(9)는 손가락걸이부(8)측의 부분으로부터는 분리되어 있다. 그 때문에, 손가락걸이부(8)를 들어올리는 초기에 있어서는, 부착부(9)를 리벳부(7)와 함께 패널부(4)측에 남긴 채 손가락걸이부(8)를 들어올릴 수 있으므로, 상기 서술한 손가락걸이용 오목부(11)와 더불어 손가락걸이부(8)에 손 끝을 용이하게 걸 수 있다.
노즈부(10)는 패널부(4) 중 가장 외주측의 부분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노즈부(10)는 상기 서술한 척 월(5)보다 약간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척 월(5)과 패널부(4) 사이에 환 형상 홈을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노즈부(10)는 그 환 형상 홈보다 약간 내측(내주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탭(3)은 패널부(4)의 평탄한 상면(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패널부(4)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그 상태에서, 노즈부(10)가 패널부(4)의 상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에 대해, 손가락걸이부(8) 중 상기 중심(O)측의 부분은 손가락걸이용 오목부(11) 상에 위치하고 있어 손가락걸이용 오목부(11)의 상면(표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비어 있다.
패널부(4)의 대부분의 부분은 캔 뚜껑(1)으로부터 제거되는 개구편(12)으로 되어 있다. 이 개구편(12)을 구획하여 형성하고 있는 스코어 선(13)이 패널부(4)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 스코어 선(13)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부(4)의 최외주부에 형성되는 비드(임시로 외주측 비드라고 한다)(14)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외주측 비드(14)는 스코어 선(13)의 외측에 인접하는 부분(이하, 임시로 잔존 링부라고 한다)의 굽힘강성을 높이기 위한 비드로서, 그 단면 형상을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외주측 비드(14)는 패널부(4)의 상면측으로 돌출된 볼록 비드로 되어 있다.
이 외주측 비드(1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부(4)의 외주부 중 상기 서술한 탭(3)의 노즈부(10)가 접촉하고 있는 개소의 근방을 제외한 전체 둘레에 걸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외주측 비드(14)는 패널부(4)의 외주부(잔존 링부) 중 노즈부(10)가 접촉하고 있는 개소의 근방에서 도중에 끊어져 있다. 이와 같이 외주측 비드(14)가 도중에 끊어져 있는 개소, 바꾸어 말하면 도중에 끊어져 있는 외주측 비드(14)의 단부끼리의 사이의 부분이 지지부(15)로 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15)란 탭(3)이 지레 작용을 행할 때 노즈부(10)가 지점이 되어 제2종의 지레 작용이 발생하도록 노즈부(10)를 지탱하는 부분이다. 그 지지부(15)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외주측 비드(14)의 단부끼리의 사이의 부분이므로, 단부가 지지부(15)의 양측에 있는 외주측 비드(14)에 의해 판두께 방향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게 지지부(15)의 굽힘강성이 높아져 있다. 또한 외주측 비드(14)를 노즈부(10)의 하측에까지 연장시켜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그 경우, 노즈부(10)가 외주측 비드(14)에 의해 밀려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노즈부(10)를 얇게 형성하는 등, 어떠한 궁리 또는 변경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지지부(15)의 강성을 높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여 외주측 비드(14)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지부(15)를 사이에 끼운 양측에만 외주측 비드(14)를 설치하고, 패널부(4)의 외주부 중 상기 지지부(15)와는 상기 중심(O)을 사이에 끼우고 반대측의 부분에는 외주측 비드(14)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스코어 선(13)은 두께(잔여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파단 혹은 전단하도록 형성한 선 형상의 부분이며, 도 5에 일례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패널부(4)의 표면에 형성된 외면측 스코어 선(16)과, 패널부(4)의 이면에 형성된 내면측 스코어 선(1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들 외면측 스코어 선(16)과 내면측 스코어 선(17) 사이에서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가 스코어 잔여 두께이다.
외면측 스코어 선(16)과 내면측 스코어 선(17)의 일방의 스코어 선(도시의 예에서는 외면측 스코어 선(16))은 2단의 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단 홈(16a)은 폭이 넓고 또한 얕은 단면 원호 형상의 홈이며, 제2단 홈(16b)은 제1단 홈(16a)의 폭방향에서의 중앙부에 형성된 폭이 좁은 단면 원호 형상의 깊은 홈이다. 여기서 제2단 홈(16b)의 깊이는 패널부(4)의 상면으로부터 제2단 홈(16b)의 바닥부까지의 치수이다. 따라서, 제1단 홈(16a)의 바닥부로부터 제2단 홈(16b)의 바닥부까지의 치수는 제1단 홈(16a)의 깊이와 동일해도 되고, 또는 제1단 홈(16a)의 깊이보다 작아도 된다. 제1단 홈(16a)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제2단 홈(16b)의 개구 폭은 제1단 홈(16a)의 바닥부의 폭보다 좁고, 따라서 제1단 홈(16a)과 제2단 홈(16b) 사이에 평탄부(16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평탄부(16c)는 패널부(4)의 상면 혹은 이면과 평행한 평면 부분이다.
내면측 스코어 선(17)은 폭방향에서의 중심을 외면측 스코어 선(16)의 폭방향에서의 중심과 일치시켜 형성된 종단면 원호 형상의 홈이며, 그 원호의 곡률반경은 상기 서술한 제2단 홈(16b)의 원호의 곡률반경보다 크다. 또 내면측 스코어 선(17)의 폭은 상기한 제1단 홈(16a)의 폭보다 작고, 또한 제2단 홈(16b)의 폭보다 크다. 그리고, 그 깊이는 상기한 제2단 홈(16b)의 깊이와 동일 정도이다. 또한 내면측 스코어 선(17)의 깊이와 제2단 홈(16b)의 깊이의 합계는 패널부(4)의 판두께 미만이며, 따라서 패널부(4)의 판두께로부터, 내면측 스코어 선(17)의 깊이와 제2단 홈(16b)의 깊이의 합계를 감산한 치수가 스코어 잔여 두께가 된다. 따라서, 여기서 설명하고 있는 실시예에서는 스코어 잔여 두께의 부분은 패널부(4)의 두께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설정된다.
제1단 홈(16a)의 폭 및 제2단 홈(16b)의 폭과 내면측 스코어 선(17)의 폭과의 관계가 상기 서술한 대소관계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한 평탄부(16c)의 일부가 패널부(4)의 이면의 평탄 부분과 대향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기한 평탄부(16c)의 일부와 패널부(4)의 이면의 평탄 부분이 패널부(4)의 두께 방향에서 오버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하의 성형형에 의해 패널부(4)를 사이에 끼워 외면측 스코어 선(16)과 내면측 스코어 선(17)을 동시에 성형하는 경우에, 상기한 스코어 잔여 두께의 부분을 패널부(4)의 판두께 방향에서의 중앙부에 안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외면측 스코어 선(16)을 성형하는 성형형을 패널부(4)에 누름으로써, 제1단 홈(16a)을 성형하는 부분과 제2단 홈(16b)을 성형하는 부분을 규정 치수 패널부(4) 내에 밀어넣은 경우, 평탄부(16c)에 상당하는 부분이 외면측 스코어 선(16)을 성형하는 성형형과 내면측 스코어 선(17)을 성형하는 성형형 사이에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는 각 성형형에 대한 저항력이 증대하여, 그 이상 성형이 진행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외면측 스코어 선(16)이 규정 이상으로 깊게 성형되거나, 그것에 따라 내면측 스코어 선(17)이 규정보다 얕아지거나 하는 등의 사태가 회피된다. 즉, 스코어 잔여 두께의 부분이 패널부(4)의 상면측 또는 하면측으로 어긋나는 등의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여기서, 외면측 스코어 선(16) 및 내면측 스코어 선(17)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 추가로 설명하면, 제1단 홈(16a) 및 제2단 홈(16b)은 평탄부(16c)를 제외하고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마찬가지로 내면측 스코어 선(17)의 단면 형상은 매끄러운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이들 스코어 선(16, 17)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은 예리한 에지가 없는 형상이 된다. 여기서 설명하고 있는 실시예에서는 수지 필름으로 피복한 금속판에 의해 캔 뚜껑(1)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스코어 선(16, 17)이 매끄러운 원호 형상의 단면 형상인 것에 의해, 각 스코어 선(16, 17)을 형성할 때 수지 필름이 금형에 의해 상처입는 것을 방지 혹은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도료에 의한 수지 필름의 보수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캔 뚜껑(1)의 개구 면적이 가급적으로 넓어지도록, 스코어 선(13)은 외주측 비드(14)를 따라 또한 외주측 비드(14)의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코어 선(13)은 리벳부(7)에 가까운 개소 이외에서는 패널부(4)의 중심(O)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으로 또한 외주측 비드(14)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코어 선(13) 중 외주측 비드(14)를 따르고 있는 부분을 이하 임시로 주부(13a)라고 한다. 이에 대해, 리벳부(7)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스코어 선(13)은 리벳부(7)에 근접하고 또한 리벳부(7)의 외주를 따라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부분을 이하 임시로 리벳 근접부(13b)라고 한다. 리벳 근접부(13b)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벳부(7)와 상기 서술한 지지부(15) 사이에서, 리벳부(7)에 가까운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리벳 근접부(13b)는 리벳부(7)의 외주를 따라 또한 리벳부(17)측으로부터 지지부(15)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되는 원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리벳 근접부(13b)와 주부(13a) 사이는 패널부(4)의 외면(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매끄럽게 만곡된 연결부(13c)로 되어 있다. 이 연결부(13c)는 캔 뚜껑(1)의 중심(O)과 리벳부(7)의 중심을 연결한 직선에 직교하는 선의 방향을 향하고 있는 스코어 선이지만, 캔 뚜껑(1)의 평면에서 보아 직선 형상이 아니라 매끄럽게 만곡된 스코어 선으로 되어 있다. 그 만곡 형상은 예를 들면 리벳 근접부(13b)가 리벳부(7)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연결부(13c) 중 리벳 근접부(13b)에 가까운 개소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캔 뚜껑(1)의 중심(O)측으로 볼록하게 되고, 여기로부터 주부(13a)를 향한 부분은 지지부(15)측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만곡 형상으로 한 것은 스코어 선(13)의 파단(전단)을 매끄럽게 또한 연속하여 발생시켜 뚜껑 개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잔존 링부가 되는 부분의 면적을 적게 하여 개구 면적을 가급적으로 넓게 하고, 또한 강도의 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스코어 선(13)의 내주측에는 스코어 선(13)을 따라 비드(임시로 내주측 비드라고 한다)(18)가 형성되어 있다. 내주측 비드(18)는 스코어 선(13)의 내측에 인접하는 부분(즉 개구편(12)의 둘레가장자리부)의 굽힘강성을 높이기 위한 비드로서, 그 단면 형상을 도 4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내주측 비드(18)는 패널부(4)의 하면측으로 함몰된 오목 비드로 되어 있다. 스코어 선(13)이 환 형상의 닫힌 형상인 것에 대해, 내주측 비드(18)는 열린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내주측 비드(18)는 스코어 선(13) 중 주부(13a)와 연결부(13c)의 일부를 따르고 있고, 그 단부는 리벳부(7)를 사이에 끼운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은 리벳부(7)의 성형과 내주측 비드(18)의 성형의 간섭을 피하여 리벳부(7) 및 내주측 비드(18)를 소기대로의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성형함과 아울러, 개구편(12) 중 리벳부(7)에 가까운 부분의 굽힘강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이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에서, 내주측 비드(18)의 단부끼리의 간격을 두어도 된다. 또한 내주측 비드(18)의 폭 및 깊이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측 비드(14)의 폭 및 깊이보다 작아도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양자의 비드(14, 18)의 폭 및 깊이는 동일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9는 보강용 오목부를 나타내고 있다. 보강용 오목부(19)는 개구편(12)의 굽힘강성을 높이기 위한 부분으로서, 폭이 넓은 오목홈으로서 개구편(12)에 형성되어 있다. 그 형상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캔 뚜껑(1)의 중심(O)을 중심으로 한 「C」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캔 뚜껑(1)은 플랜지부(6)에 의해 캔 동체(도시하지 않음)에 감아조여진다. 그 경우, 외면측 수지 필름 및 내면측 수지 필름을 비정질 로 함으로써, 감아조임이 양호하게 된다. 각 필름의 신장이 억제되어 있어 플랜지부(6)의 변형(감아조임)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하기 때문이다. 내용물을 취출하기 위해서 캔 뚜껑(1)을 개구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탭(3)에 있어서의 손가락걸이부(8)에 손 끝을 걸어 손가락걸이부(8)를 일으킨다. 그 경우, 패널부(4)에는 상기 서술한 손가락걸이용 오목부(11)가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걸이부(8)의 하측에 스페이스가 비어 있으므로, 손 끝을 손가락걸이부(8)의 하측으로 용이하게 삽입하여, 손가락을 걸 수 있다.
손가락걸이부(8)를 일으키도록 힘을 가하면, 탭(3)은 선단측의 노즈부(10)를 지점으로 하여 비스듬히 일으켜진다. 그 경우, 리벳부(7)에 고착되어 있는 부착부(9)는 부착부(9)를 구획하는 슬릿에 의해 손가락걸이부(8)측의 부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탭(3)은 그 부착부(9)를 패널부(4)(개구편(12))에 밀착시킨 상태로 남긴 채, 비스듬히 일으켜진다. 따라서, 손가락걸이부(8)를 일으키는 당초에 있어서는, 리벳부(7)를 끌어올리는 작용이 특별히 발생하지는 않으므로, 손가락걸이부(8)를 일으키기 위한 힘이 작아도 된다. 또 그러한 작은 힘으로 손가락걸이부(8)를 일으킨 상태에서는, 손가락걸이부(8)와 패널부(14)(개구편(12))와의 간격이 넓어지므로, 손 끝을 손가락걸이부(8)의 하측으로 더욱 집어넣어, 확실하게 손가락걸이부(8)에 손 끝을 걸 수 있다.
이와 같이 탭(3)을 일으키는 경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노즈부(10)가 지점이 된다. 그 노즈부(10)가 접촉하고 있는 지지부(15)는 패널부(4)의 외주부 중 상기 서술한 외주측 비드(14)의 단부끼리의 사이의 부분이다. 따라서, 지지부(15)는 외주측 비드(14)가 존재하지 않는 부분이라도, 그 양측의 외주측 비드(14)에 의해 보강되어 굽힘강성이 높아져 있다. 그 때문에, 손가락걸이부(8)를 일으킨 경우에 노즈부(10)가 지지부(15)에 의해 확실하게 지탱되므로, 탭(3)을 확실하게 일으킬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탭(3)을 일으키는 힘이 지지부(15)의 변형 등에 의해 흡수되거나, 그 때문에 탭(3)의 일으킴이 불충분하게 되거나 하는 것이 회피 혹은 억제된다.
손가락걸이부(8)를 더욱 일으키면, 부착부(9)의 부근의 상승량(리프트업량)이 부착부(9)의 허용 변형량을 넘는다. 여기서 허용 변형량이란 부착부(9)가 리벳부(7)를 들어올리지 않는 범위에서 상측으로 변형할 수 있는 변형량이다. 따라서, 부착부(9)가 그 허용 변형량을 넘으면, 탭(3)은 부착부(9)를 개재시켜 리벳부(7)를 끌어올리도록 작용한다. 즉, 탭(3)은 손가락걸이부(8)를 역점, 노즈부(10)를 지점, 리벳부(7)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부착부(9))을 작용점으로 한 제2종의 지레 작용을 행하게 된다. 그 경우에 있어서도, 지지부(15)의 강성이 높은 것에 의해 노즈부(10)가 확실하게 지지되므로, 작용점인 부착부(9) 또는 리벳부(7)에 확실하게 끌어올리는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리벳부(7)를 끌어올린 상태를 도 7에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리벳부(7)의 주변의 패널부(4)에 끌어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이에 대해, 스코어 선(13) 중 리벳 근접부(13b)가 리벳부(7)를 따라 형성되고, 그 리벳 근접부(13b)가 얇게 되어 있으므로, 패널부(4)를 끌어올리는 힘에 의해 리벳 근접부(13b)가 파단한다. 이것이 스코어 선(13)의 초기 파단이다. 이와 같이 리벳 근접부(13b)를 파단시키는 전단력은 손가락걸이부(8)를 끌어올리는 힘을 탭(3)의 제2종의 지레 작용에 의해 증폭시킨 힘이다. 그리고, 그 제2종의 지레 작용에 있어서의 지점이 되는 지지부(15)의 강성이 외주측 비드(14)에 의해 증대되어 지지부(15)가 거의 휘지 않으므로, 손가락걸이부(8)를 일으키는 것에 의한 개구력(혹은 뚜껑 개방력)을 리벳 근접부(13b)에 전단력으로서 집중시켜 작용시킬 수 있다. 또 개구편(12) 중 상기한 리벳 근접부(13b)의 주위의 부분은 스코어 선(13)을 따라 그 내주측에 형성되어 있는 내주측 비드(18)의 단부가 접근하고 있는 부분으로서, 그 내주측 비드(18)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리벳부(7)가 들어올려지는 것에 의한 전단력이 패널부(4)의 휨에 의해 흡수되는 일이 적어져, 리벳 근접부(13b)에 집중하여 작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캔 뚜껑(1)에 있어서는, 스코어 선(13)의 초기 파단을 용이하게 또 확실하게 발생시킬 수 있고, 이 점에서 뚜껑 개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벳부(7)는 개구편(12)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리벳 근접부(13b)의 파단에 의해 개구편(12)의 일부가 개구 방향으로 끌려올라간다. 이 상태에서는 탭(3)은 크게 경사져 있고, 탭(3)의 지레 작용에 의해서는 리벳부(7) 혹은 개구편(12)을 그 이상 끌어올릴 수 없다. 따라서, 이 이후에는 탭(3)을 그 길이 방향(도 7에서는 우측 비스듬히 상방)으로 잡아당기게 된다. 그 결과, 개구편(12)은 리벳부(7)가 설치되어 있는 개소를 개시점으로 하여 끌어올려진다. 그것에 따라, 스코어 선(13)의 파단(전단)이 리벳 근접부(13b)로부터 연결부(13c)를 향하여 점차 진행된다. 그 경우, 연결부(13c)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개구편(12)에 대한 인장력의 작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지는 않다. 그 때문에, 연결부(13c)에 있어서의 전단은 서서히 진행되고, 단숨에 파단시키는 일은 없으므로, 큰 개구력이 필요하게 되는 일은 없다. 바꾸어 말하면, 스코어 선(13)의 전단을 서서히 연속하여 발생시키므로, 개구편(12)을 매끄럽게 잡아당겨 개구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캔 뚜껑(1)에서는 스코어 선(13)을 사이에 끼운 외주측과 내주측에 비드(14, 18)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스코어 선(13)의 외주측의 부분과 내주측의 부분의 굽힘강성이 높아져 있다. 개구편(12)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끌어올린 경우, 스코어 선(13)에 대해서는 스코어 선(13)을 찢는 전단력이 작용한다. 그 경우, 스코어 선(13)을 사이에 끼운 내외주 양측의 부분의 굽힘강성이 높은 것에 의해, 이들 부분의 변형이 방지 혹은 억제된다. 그 결과, 개구편(12)을 끌어올리는 것에 의한 전단력이 스코어 선(13)에 집중하여 작용하므로, 스코어 선(13)의 전단을 용이하게 또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는 개구편(12)에 굽힘력이 작용한다. 그러나, 개구편(12)에는 상기 서술한 보강용 오목부(19)가 형성되어 있어, 개구편(12)의 굽힘강성이 높아져 있다. 그 때문에, 개구력에 의해 개구편(12)을 크게 굽힘 변형시켜버리거나, 그것에 따라 스코어 선(13)에 대한 전단력이 손상되거나 하는 등의 사태가 방지 혹은 억제된다.
스코어 선(13)의 파단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리벳 근접부(13b)로부터 그 좌우 방향으로 진행되어, 최종적으로는 스코어 선(13)의 중점, 즉 상기 서술한 리벳 근접부(13b)와는 반대측의 개소에서 종료된다. 이 파단이 종료되는 개소에서는 파단을 발생시키는 힘의 작용 방향과 파단에 대한 저항력의 작용 방향이 거의 동일하게 된다. 즉, 파단을 발생시키는 힘은 스코어 선(13)을 찢는 힘이 되기보다, 개구편(12)을 그 주위의 소위 잔존 링부로부터 잡아뜯는 힘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한 캔 뚜껑(1)에서는 내외주의 비드(14, 18)가 개구편(12)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코어 선(13)의 파단이 종료되는 개소에 있어서도 당해 개소에서의 강성이 높아져 있다. 그 때문에, 스코어 선(13)의 최종적인 파단시 소위 잡아뜯을 때, 스코어 선(13)이 깔끔하게 파단된다. 즉, 스코어 선(13)의 최종적인 파단시에, 개구편(12) 또는 잔존 링부에 국부적인 신장이 발생하거나, 이것이 돌기로서 남거나 하는 일이 회피 혹은 억제되어, 손가락 등을 상처입히는 일이 없다.
상기 서술한 스코어 선(13)은 외면측 스코어 선(16)과 내면측 스코어 선(1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 외면측 스코어 선(16)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1단 홈(16a) 및 제2단 홈(16b) 및 평탄부(16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소위 스코어 잔여 두께가 설계상 정해진 치수가 되고, 또 그 스코어 잔여 두께의 부분이 외면측 또는 내면측으로 어긋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탭(3)을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스코어 선(13)에서의 전단이 원활하게 발생하므로, 스무스하게 개구 조작을 행할 수 있고, 이 점에 있어서도 뚜껑 개방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 개구편(12)의 외주 가장자리 및 캔 동체측에 남는 잔존 링부의 내주 가장자리에는 스코어 선(13)을 따른 파단에 의한 에지부가 생겨 있다. 이에 대해 개구편(12)에는 스코어 선(13)을 따른 내주측 비드(18)가 형성되고, 또 잔존 링부에는 스코어 선(13)을 따른 외주측 비드(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내주측 비드(18)의 외주부와 개구편(12)에 있어서의 에지부는 거의 동일 평면으로 일치하고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외주측 비드(14)의 내주부와 잔존 링부에 있어서의 에지부는 거의 동일 평면으로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에지부에 손가락을 댄 경우, 손가락은 그들 에지부만에 닿는 것이 아니라, 비드(14, 18)의 내주면 혹은 외주면에도 닿게 된다. 그 결과, 에지부가 손가락에 강하게 파고들거나, 그 때문에 손가락이 상처입거나 하는 일이 회피되어, 안전성이 확보된다.
상기 서술한 스코어 선(13)을 전단하는 경우, 캔 뚜껑(1)의 내외면측의 필름을 동시에 파단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1)에서는 그 필름이 비정질이기 때문에, 필름의 신장이 억제되어, 필름의 파단이 용이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이 점에 있어서도 뚜껑 개방성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술한 구성의 캔 뚜껑(1)에 의하면, 용이하고 또한 원활한 개구 조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보다 강성이 높은 강판을 주체로 한 금속판에 의해 캔 뚜껑(1)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캔 뚜껑(1) 또는 그것을 사용한 캔 용기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원재료의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캔 뚜껑(1)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탭(3)에 의한 제2종의 지레 작용시에, 그 지점이 되는 노즈부(10)를 접촉시키는 지지부(15)를 보강하는 구성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고, 그 보강을 위한 구성의 일례가 상기 서술한 구체예에 있어서의 외주측 비드(14)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구체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주측 비드(14)는 지지부(15)에서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노즈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외주측 비드(14)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5) 이외의 부분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스코어 선(13)의 연속적인 원활한 파단 및 개구편(12)을 잔존 링부로부터 떼어낼 때의 깔끔한 파단에 이바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외주측 비드(14)는 지지부(15)측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 연속되지 않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내주측 비드(18)는 리벳 근접부(13b)에 가까운 부분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연속되지 않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1…캔 뚜껑, 2…본체부, 3…탭, 4…패널부, 5…척 월, 6…플랜지부, 7…리벳부, 8…손가락걸이부, 9…부착부, 10…노즈부, 11…손가락걸이용 오목부, 12…개구편, 13…스코어 선, 13a…주부, 13b…리벳 근접부, 13c…연결부, 14…외주측 비드, 15…지지부, 16…외면측 스코어 선, 16a…제1단 홈, 16b…제2단 홈, 16c…평탄부, 17…내면측 스코어 선, 18…내주측 비드, 19…보강용 오목부, O…중심.

Claims (7)

  1. 패널부에 스코어 선에 의해 개구편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개구편에 부착된 탭에 의해 상기 스코어 선이 파단되어 상기 개구편이 떼어져 개구되는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선은, 파단이 용이하고 또한 환 형상으로 닫힌 형상으로 상기 패널부의 주변부에 형성되고,
    상기 개구편의 주변부의 일부에 리벳부가 설치되고,
    상기 탭은, 상기 리벳부에 고착된 부착부와, 상기 부착부보다 상기 개구편의 중앙부측에 위치하는 손가락걸이부와, 상기 부착부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손가락걸이부와는 반대측이며 또한 상기 스코어 선보다 외주측에 위치하는 노즈부를 갖추고,
    상기 패널부 중 상기 노즈부의 하측의 부분이 상기 노즈부를 하측으로부터 지탱하는 지지부로 되어 있고,
    상기 패널부 중 상기 스코어 선의 외주측의 부분에, 상기 지지부의 굽힘강성을 높이는 외주측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측 비드는, 상기 패널부의 원주방향에서 상기 지지부를 사이에 끼운 상기 지지부의 양측에 단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스코어 선을 따라 상기 스코어 선의 외주측에 형성된, 상기 패널부의 외면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볼록 비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 선은, 상기 리벳부보다 상기 지지부측에서 상기 리벳부의 외주를 따르는 원호 형상의 리벳 근접부와, 상기 패널부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 형상이며 또한 상기 외주측 비드를 따르고 있는 주부와, 상기 리벳 근접부와 상기 주부를 연결하고 있는 만곡된 연결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편에, 상기 스코어 선의 내주측을 따라 내주측 비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측 비드는, 상기 리벳부를 사이에 끼운 양측에 단부를 가지는 열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패널부는 외면과 내면의 양면에 수지 필름을 적층한 금속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수지 필름은 비정질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면에 적층되어 있는 수지 필름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50% 이상 포함하는 수지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뚜껑.
KR1020217003338A 2018-07-20 2019-07-02 캔 뚜껑 Active KR1027804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7190 2018-07-20
JPJP-P-2018-137190 2018-07-20
PCT/JP2019/026207 WO2020017311A1 (ja) 2018-07-20 2019-07-02 缶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005A true KR20210034005A (ko) 2021-03-29
KR102780473B1 KR102780473B1 (ko) 2025-03-14

Family

ID=69164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3338A Active KR102780473B1 (ko) 2018-07-20 2019-07-02 캔 뚜껑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2208939B2 (ko)
EP (1) EP3825245B1 (ko)
JP (1) JP7271549B2 (ko)
KR (1) KR102780473B1 (ko)
CN (1) CN112469632B (ko)
PH (1) PH12021550076A1 (ko)
TW (1) TWI816835B (ko)
WO (1) WO20200173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43069A (zh) * 2021-03-31 2023-11-10 大和制罐株式会社 铝罐填充葡萄酒和葡萄酒填充用铝罐
USD988126S1 (en) * 2022-06-14 2023-06-06 Meirong Lv Bottle lid
US12246371B1 (en) 2023-09-11 2025-03-11 Intellectual Capital Management Pull tab with raised lift end and associated metho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6124U (ko) * 1984-10-04 1986-05-07
JPS61259952A (ja) * 1985-04-30 1986-11-18 東洋製罐株式会社 缶体容器の蓋体
JPH0246463A (ja) 1988-08-06 1990-02-15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354020A (ja) 1989-07-22 1991-03-08 Mercedes Benz Ag 車両の乗車室へ新鮮空気を供給する装置
JPH09301365A (ja) * 1996-03-12 1997-11-25 Tadao Kobayashi 開缶装置
JP2003326663A (ja) * 2002-05-15 2003-11-19 Daiwa Can Co Ltd 樹脂被覆金属板の製造方法
JP2004161360A (ja) 2002-11-15 2004-06-10 Daiwa Can Co Ltd 開口容易缶蓋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6582A (en) * 1961-10-30 1965-06-01 Continental Can Co Pivoted pull handle for easy opening scored ham can end
US3362569A (en) * 1964-08-24 1968-01-09 Joseph A. Geiger Container closures with breakable openings
US3618815A (en) * 1970-05-04 1971-11-09 Aluminum Co Of America Easy-opening device for a container end
US3724709A (en) * 1972-01-19 1973-04-03 Hughes Aircraft Co Pull tab arrangement for an easy open end
US4052949A (en) * 1976-06-21 1977-10-11 Wescan, Inc. Method for making easy open container end with protective edges for its severed score
JPH0354020Y2 (ko) 1987-03-09 1991-11-27
DE3852933T2 (de) * 1987-11-04 1995-09-21 Nippon Steel Corp Nicht belüftetes, vollständig und einfach zu öffnendes Behälterende.
JPH01240445A (ja) * 1987-11-04 1989-09-26 Nippon Steel Corp ノンベントタイプのフル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JP3769977B2 (ja) 1999-05-11 2006-04-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樹脂被覆鋼板製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2238116B1 (es) * 2002-11-07 2006-12-01 Mivisa Envases, S.A.U. Tapa de facil apertura.
JP4731188B2 (ja) 2005-03-22 2011-07-20 大和製罐株式会社 開口容易缶蓋
US7563495B2 (en) * 2005-05-25 2009-07-21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Food container
JP4883995B2 (ja) * 2005-12-07 2012-02-22 大和製罐株式会社 スコア線のある缶蓋
CN203143166U (zh) * 2013-01-23 2013-08-21 福建鼎盛五金制品有限公司 一种耐压型易拉盖
EP3148886A4 (en) * 2014-05-30 2018-01-17 Silgan Containers LLC Can end for pressurized metal food can with shielded vent score
TWM509773U (zh) 2015-07-22 2015-10-01 Ting-Jia Chen 易開罐結構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6124U (ko) * 1984-10-04 1986-05-07
JPS61259952A (ja) * 1985-04-30 1986-11-18 東洋製罐株式会社 缶体容器の蓋体
JPH0246463A (ja) 1988-08-06 1990-02-15 Fujitsu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354020A (ja) 1989-07-22 1991-03-08 Mercedes Benz Ag 車両の乗車室へ新鮮空気を供給する装置
JPH09301365A (ja) * 1996-03-12 1997-11-25 Tadao Kobayashi 開缶装置
JP2003326663A (ja) * 2002-05-15 2003-11-19 Daiwa Can Co Ltd 樹脂被覆金属板の製造方法
JP2004161360A (ja) 2002-11-15 2004-06-10 Daiwa Can Co Ltd 開口容易缶蓋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80473B1 (ko) 2025-03-14
US12208939B2 (en) 2025-01-28
TWI816835B (zh) 2023-10-01
EP3825245A4 (en) 2022-04-20
US20210300621A1 (en) 2021-09-30
EP3825245A1 (en) 2021-05-26
JP7271549B2 (ja) 2023-05-11
CN112469632B (zh) 2022-06-21
PH12021550076A1 (en) 2021-09-20
EP3825245B1 (en) 2023-06-28
WO2020017311A1 (ja) 2020-01-23
TW202015982A (zh) 2020-05-01
JPWO2020017311A1 (ja) 2021-07-15
CN112469632A (zh) 202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83995B2 (ja) スコア線のある缶蓋
KR20210034005A (ko) 캔 뚜껑
AU2008287051B9 (en) Can end with reinforcing bead
US8783495B2 (en) Can end
US3225957A (en) Metal end closure
US6761281B2 (en) Modified score for smooth openability
US4417668A (en) Easy open can end with pull tab having retained tear strip with stress relief means
EP2173626B1 (en) Can end with negatively angled wall
US3891117A (en) Easy-opening can end construction
US12157160B2 (en) Can lid
RU2632034C2 (ru) Легковскрываемая крышка с улучшенными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в условиях повышенного давления
US3773210A (en) Opening tab for easy open container
JP2004161360A (ja) 開口容易缶蓋
JP2013193113A (ja) タブ付缶蓋のリベット成形方法
HK1259483A1 (zh) 用於飲料罐的蓋
JPS5937468Y2 (ja) イ−ジオ−プン缶蓋
JP2012197103A (ja) 開口容易缶蓋用タブ
JP2024143215A (ja) 缶蓋及び缶容器
JP5593775B2 (ja) 易開口缶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6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116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