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758A - 전력 공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3758A KR20210033758A KR1020190115449A KR20190115449A KR20210033758A KR 20210033758 A KR20210033758 A KR 20210033758A KR 1020190115449 A KR1020190115449 A KR 1020190115449A KR 20190115449 A KR20190115449 A KR 20190115449A KR 20210033758 A KR20210033758 A KR 2021003375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current value
- electronic device
- processor
- output 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2—Monitoring battery levels, e.g. power saving mode being initiated when battery voltage goes below a certain lev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9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switching to a backup power suppl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8—Supervision thereof, e.g. detecting power-supply failure by out of limits supervis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0—Means for acting in the event of power-supply failure or interruption, e.g. power-supply fluctu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 H04B5/0037—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시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보다 자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상세 블록도이다.
도 5는 제2 배터리를 연결하는 타이밍을 설명하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6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배치를 도시한 후면도의 일 예시이다.
Claims (20)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배터리;
적어도 하나의 제2 배터리;
상기 제1 배터리의 용량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전력 관리 모듈; 및
상기 제1 배터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터리, 및 상기 전력 관리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터리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구동되는 동안, 지정된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저전력 상태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 또는 상기 제1 배터리가 상기 저전력 상태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하고, 및
상기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가 상기 저전력 상태인 경우에 해당된다는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 연결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가 병렬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정된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배터리의 상기 저전력 상태의 종료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종료 또는 상기 제1 배터리가 상기 저전력 상태가 아닌 경우에 해당하는지 결정하고, 및
상기 지정된 이벤트가 종료한 경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가 상기 저전력 상태가 아닌 경우에 해당된다는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병렬 연결을 해제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이벤트는 5G 데이터 전송 동작, 카메라 플래쉬 동작, 듀얼 스피커 증폭 동작, 무선 충전 전력 송신 동작 및 마그네틱 보안 동작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5G 데이터 전송 동작, 상기 카메라 플래쉬 동작, 상기 듀얼 스피커 증폭 동작, 상기 무선 충전 전력 송신 동작 및 상기 마그네틱 보안 전송 동작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모듈은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출력 전류값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출력 전류값과 기 지정된 제1 기준 전류값과 비교하여 모니터링하고,
상기 제1 출력 전류값이 상기 제1 기준 전류값 이상이면, 상기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모듈은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와 병렬 연결된 상기 제2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출력 전류값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출력 전류값과 지정된 제2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2 출력 전류값이 상기 제2 기준 전류값 이하이면, 상기 지정된 이벤트가 종료한 것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기준 전류값은 상기 제1 기준 전류값 보다 작은, 전자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의 출력단과 상기 전력 관리 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 모듈은, 상기 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1 출력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의 출력단, 상기 전력 관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터리의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 연결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 하우징 구조물 및 제2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터리가 상기 제1 하우징 구조물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터리는 상기 제2 하우징 구조물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되는, 전자 장치.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폴더블 하우징인, 전자 장치.
- 적어도 두 개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1 배터리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구동되는 동안, 지정된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배터리의 전압이 기준치 이하로 떨어지는 저전력 상태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 또는 상기 제1 배터리가 상기 저전력 상태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가 상기 저전력 상태인 경우에 해당된다는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 연결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가 병렬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정된 이벤트 또는 상기 제1 배터리의 상기 저전력 상태의 종료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동작;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종료 또는 상기 제1 배터리가 상기 저전력 상태가 아닌 경우에 해당하는지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지정된 이벤트가 종료한 경우 또는 상기 제1 배터리가 상기 저전력 상태가 아닌 경우에 해당된다는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병렬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5G 데이터 전송, 카메라 플래쉬, 듀얼 스피커 증폭, 무선 충전 전력 송신 및 마그네틱 보안 전송이 가동되었는지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출력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발생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출력 전류값과 지정된 제1 기준 전류값과 비교하는 동작,
상기 제1 출력 전류값이 상기 제1 기준 전류값 이상이면, 상기 지정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종료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와 병렬 연결된 상기 제2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출력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이벤트의 종료에 해당하는지 결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2 출력 전류값과 지정된 제2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는 동작,
상기 제2 출력 전류값이 상기 제2 기준 전류값 이하이면, 상기 지정된 이벤트가 종료한 것으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배터리;
적어도 하나의 제2 배터리;
상기 제1 배터리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구동되는 동안, 상기 제1 배터리의 제1 출력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는 전력 관리 모듈; 및
상기 제1 배터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터리, 및 상기 전력 관리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출력 전류값과 지정된 제1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1 출력 전류값이 상기 제1 기준 전류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배터리와 병렬 연결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전력 관리 모듈은 상기 제1 배터리 및 상기 제1 배터리와 병렬 연결된 상기 제2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출력 전류값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출력 전류값과 지정된 제2 기준 전류값을 비교하고,
상기 제2 출력 전류값이 상기 제2 기준 전류값 이하이면, 상기 병렬 연결을 해제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2 기준 전류값은 상기 제1 기준 전류값 보다 작은, 전자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의 출력단과 상기 전력 관리 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저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 관리 모듈은, 상기 저항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1 출력 전류값을 모니터링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의 출력단, 상기 전력 관리 모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터리의 출력단 사이에 구비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배터리와 상기 제2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 연결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5449A KR102813618B1 (ko) | 2019-09-19 | 2019-09-19 | 전력 공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US17/005,557 US11553434B2 (en) | 2019-09-19 | 2020-08-28 | Power suppl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PCT/KR2020/011623 WO2021054647A1 (en) | 2019-09-19 | 2020-08-31 | Power suppl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CN202010897434.1A CN112531803A (zh) | 2019-09-19 | 2020-08-31 | 用于操作包括至少两个电池的电子装置的方法及电子装置 |
EP20194795.9A EP3796719A1 (en) | 2019-09-19 | 2020-09-07 | Power suppl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5449A KR102813618B1 (ko) | 2019-09-19 | 2019-09-19 | 전력 공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3758A true KR20210033758A (ko) | 2021-03-29 |
KR102813618B1 KR102813618B1 (ko) | 2025-05-29 |
Family
ID=72422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5449A Active KR102813618B1 (ko) | 2019-09-19 | 2019-09-19 | 전력 공급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553434B2 (ko) |
EP (1) | EP3796719A1 (ko) |
KR (1) | KR102813618B1 (ko) |
CN (1) | CN112531803A (ko) |
WO (1) | WO2021054647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14707A1 (ko) * | 2022-05-04 | 2023-11-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배터리 사용 개선 방법 및 전자 장치 |
WO2025033984A1 (ko) * | 2023-08-08 | 2025-02-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듀얼 배터리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107773A1 (en) * | 2021-09-24 | 2022-04-07 | Intel Corporation | Methods and apparatus for external display power loss detection |
CN116995781B (zh) * | 2023-09-22 | 2024-03-22 | 荣耀终端有限公司 | 供电电路及电子设备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77217A (ko) * | 1999-05-10 | 2000-12-26 | 모리시타 요이찌 | 차량 무선 통신 단말 장치 및 긴급 보고 네트워크 시스템 |
US20100130263A1 (en) * | 2008-11-21 | 2010-05-27 | Edward Zhang | System and method for dual power source management |
KR20170057668A (ko) * | 2015-11-17 | 2017-05-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시스템 및 전자 장치 |
KR20180122210A (ko) * | 2017-05-02 | 2018-1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04610A (en) * | 1991-02-15 | 1993-04-20 | Globe-Union, Inc. | Long lived dual battery with automatic latching switch |
US5857148A (en) * | 1995-06-13 | 1999-01-05 | Motorola, Inc.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upling power thereto |
KR20060071002A (ko) | 2004-12-21 | 2006-06-26 | 주식회사 팬택 | 복수개의 배터리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의 배터리 관리방법 |
KR20160098863A (ko) | 2015-02-11 | 2016-08-19 | 정우영 | 휴대용 배터리팩 |
KR101673533B1 (ko) | 2015-09-24 | 2016-11-07 | 양정희 | 배터리 셀의 순차 방전이 가능한 전원 공급 장치 |
KR102581310B1 (ko) * | 2016-10-25 | 2023-09-22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접속 네트워크를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
US9800719B1 (en) * | 2017-07-11 | 2017-10-24 | Premergy,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power for a mobile device |
US10446198B2 (en) | 2017-10-02 | 2019-10-15 | Micron Technology, Inc. | Multiple concurrent modulation schemes in a memory system |
-
2019
- 2019-09-19 KR KR1020190115449A patent/KR102813618B1/ko active Active
-
2020
- 2020-08-28 US US17/005,557 patent/US11553434B2/en active Active
- 2020-08-31 CN CN202010897434.1A patent/CN112531803A/zh active Pending
- 2020-08-31 WO PCT/KR2020/011623 patent/WO202105464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9-07 EP EP20194795.9A patent/EP3796719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77217A (ko) * | 1999-05-10 | 2000-12-26 | 모리시타 요이찌 | 차량 무선 통신 단말 장치 및 긴급 보고 네트워크 시스템 |
US20100130263A1 (en) * | 2008-11-21 | 2010-05-27 | Edward Zhang | System and method for dual power source management |
KR20170057668A (ko) * | 2015-11-17 | 2017-05-25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시스템 및 전자 장치 |
KR20180122210A (ko) * | 2017-05-02 | 2018-1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214707A1 (ko) * | 2022-05-04 | 2023-11-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배터리 사용 개선 방법 및 전자 장치 |
WO2025033984A1 (ko) * | 2023-08-08 | 2025-02-13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듀얼 배터리를 갖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796719A1 (en) | 2021-03-24 |
KR102813618B1 (ko) | 2025-05-29 |
WO2021054647A1 (en) | 2021-03-25 |
CN112531803A (zh) | 2021-03-19 |
US20210092686A1 (en) | 2021-03-25 |
US11553434B2 (en) | 2023-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288407B2 (en) |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ize of voltag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 |
US11368027B2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control circuits controlling switches connected to charging circuit | |
US11553434B2 (en) | Power suppl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 |
US11379026B2 (en) | Electronic device for preventing damage of USB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US11462998B2 (en) | Apparatus for detecting feedback on voltage supplied from electronic device to external device | |
KR20200101096A (ko) | 무선 충전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
KR20200085546A (ko) | 그립 센서를 이용하여 파워 백 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US11775040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power from external electronic device | |
US20230350839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of electronic device | |
KR20210043351A (ko) |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 |
KR20210021858A (ko) | 전력 관리를 위한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
EP4099714A1 (en) | Electronic device for audio, and method for managing power in electronic device for audio | |
US12099423B2 (en) |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connector | |
KR20210054172A (ko) | 전력 패스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
CN116648840A (zh) | 快速充电的方法和电子装置 | |
KR102627633B1 (ko) | 커넥터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로직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
US20230420960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pack,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
KR20210037309A (ko) | 컨트롤 ic의 리셋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
US11282356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utputting alert, and system comprising locking device coupled to electronic device | |
US12050498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charg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US20230347842A1 (en) |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device | |
US20250046970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attery reset structure | |
US20230350474A1 (en) | Power supply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
KR20220053246A (ko)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전력 제어 방법 | |
KR20240165231A (ko) | 전력을 외부로 공급하기 위한 전자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320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