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228A -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reof - Google Patents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33228A KR20210033228A KR1020190114701A KR20190114701A KR20210033228A KR 20210033228 A KR20210033228 A KR 20210033228A KR 1020190114701 A KR1020190114701 A KR 1020190114701A KR 20190114701 A KR20190114701 A KR 20190114701A KR 20210033228 A KR20210033228 A KR 202100332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anion animal
- mode
- cover
- companion
-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2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7958 sleep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931 therm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3862 health statu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40 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180 Psychiatric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8743 Restles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30 addi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2 aroma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074 biopharmaceutica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77 caloric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 G01J2005/0081—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및 헬스케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해당 반려동물에 대한 다각적인 건강 관리 시스템이 구축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및 헬스케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house system and a health care method that can check the health status of a companion animal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Specifically, the companion animal collects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It relates to a health care house system and a health care method for companion animals in which a multifaceted health management system for animals can be established.
최근 다수의 매체에서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연예인들의 모습이 많이 방송됨에 따라 애완동물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가정에서도 애완동물이 가족의 개념인 반려동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은 고령화, 핵가족화 등의 사회 현상으로 인해 점점 더 사람들의 외로움을 해결해줄 수 있는 가족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반려동물의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동물병원에 데려가기도 하고, 미용실에도 데려가서 털을 예쁘게 깎거나 매일 산책을 시켜주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즉, 반려동물을 키우는 주인들은 자신의 모든 정성과 금전적인 비용을 들어가면서 정성껏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다.Recently, as many media outlets broadcast a lot of celebrities living with pets, the public's interest in pets is increasing, and pets are evolving into companion animals, the concept of family, even at home. In particular, companion animals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family that can solve people's loneliness due to social phenomena such as aging and nuclear familyization. Accordingly, people are making a lot of effort, such as taking care of their companion animals' health and taking them to veterinary hospitals to treat diseases, and taking them to beauty salons to shave their hair neatly or take a walk every day. In other words, owners of pets are raising pets with all their sincerity and financial expenses.
그러나, 실제로 말을 할 수 없는 반려동물의 건강체크를 위해서는 금전적으로 부담이 되는 병원에 직접 방문하여 검진을 시행해야 하므로 시간적, 정신적, 금전적 부담으로 인해 반려동물을 제대로 키우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노령의 반려동물의 경우 염증으로 인해 열이 발생하거나 잦은 몸무게의 변화 등으로 자주 건강 체크를 수행할 필요가 있으나, 적절한 치료시기를 놓치게 되면 병원비가 상당히 많이 소모되어야 하고 간병에 큰 힘을 쏟아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order to check the health of a companion animal that cannot actually speak, it is necessary to visit a financially burdensome hospital and conduct a medical examination.Therefore, there are frequent situations in which companion animals cannot be properly raised due to time, mental, and financial burdens. Is emerging as a social issu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lderly companion animals, it is necessary to frequently perform health checks due to heat generation due to inflammation or frequent changes in body weight, but if the proper treatment period is missed, a considerable amount of hospital expenses should be consumed and a great deal of effort should be put into caring for care. There wa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개특허공보 제2013-0100815호(특허문헌 1)에서는 동물의 혈당, 칼로리 소비량 등의 측정을 통해 동물의 생체정보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르면, 동물의 생체신호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하게 동물의 식욕상태를 검출함으로써, 동물에 대한 먹이 공급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100815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echnology related to a device for controll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n animal through measurement of blood sugar and calorie consumption of an animal. According to this documen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implement food supply to animals by more accurately detecting an animal's appetite stat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nimal's biological signals.
그러나, 해당 종래 기술은 각각의 동물마다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확하고 합리적인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실제로 동물의 생체정보에 관한 획득 정보가 부족한 관계로 보편적인 데이터 조차 정확한 정보가 아닐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rior art is not managed for each animal, but is managed based on universal data, accurate and rational management is difficult.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highly likely that even phosphorus data is not accurate information.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19-0079178호(특허문헌 2)에서는 반려동물의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스마트 기기에서 반려동물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관련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문헌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음성을 통해 건강 상태, 활동 상태 및 반려동물의 의사까지 파악할 수 있다. In additio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9-0079178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ystem-related technology capable of grasping the status of a companion animal in a smart device using voice data of the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is documen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health state, activity state, and even the inten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companion animal's voice.
그러나 해당 종래 기술은 단순히 음성 데이터만을 가지고 반려동물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에 불과하여 해당 데이터를 근거로 한 결과값이 상당히 정확하지 못하고, 전체적인 반려동물의 헬스케어를 담당하기에는 정보력, 기술력 등에서 많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is simply to grasp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with only voice data, so the result value based on the data is not quite accurate, and the information and technology are insufficient to be in charge of the overall healthcare of the companion animal. There was a problem.
또한, 위와 같은 종래기술들에서는 단순히 반려동물의 상태 등을 체크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주는 것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만약 반려동물의 건강에 이상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반려동물의 주인이 이러한 이상 신호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모르고 우왕좌왕하는 등, 전체적인 반려동물의 헬스케어 커리큘럼이 마련되지 못하는 한계가 존재하고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n that it is merely a notification to the user by checking the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even if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the health of the companion animal, the owner of the companion animal There were limitations in that the overall companion animal healthcare curriculum could not be prepared, such as wandering around without knowing how to deal with it.
본 발명의 목적은, 반려동물의 체중 정보 등을 비롯한 건강 상태에 관한 다수의 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여 반려동물이 생활하기에 적합한 환경 조건을 제공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이상이 있다면 해당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헬스케어 관련 커리큘럼을 추천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및 헬스케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asily obtain a number of information about the health state, including weigh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provide environmental conditions suitable for the companion animal to live, and 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health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It is to provide a health care house system and a health care method for companion animals that can recommend a curriculum related to health care to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와 통신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내부에 반려동물의 생활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반려동물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트레이,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반려동물의 상태를 측정하거나 상기 커버 내에 형성된 반려동물 생활 공간의 환경을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와 관한 데이터와 상기 커버 내부의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들을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들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하우스의 작동 방식에 대한 설정 모드를 결정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a companion animal that communicates with a user's smart device, wherein the system is a cover on which a companion animal's living space is formed,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ver and measures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A tray that can be used,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side the cover and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located on the tray or measuring the environment of the companion animal living space formed in the cover, and data related to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data on the environment inside the cover and analyzing the data, and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setting mode for an operation method of the hous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data.
또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반려동물의 체온 변화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반려동물의 수면 시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감지센서와 무게센서, 상기 커버 내의 환경 중 밝기를 감지하는 조명센서 및 상기 커버 내의 공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공기질 측정센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of a companion animal located on the tray, a motion detection sensor and a weight sensor to check the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when the companion animal sleeps, and brightness among the environment in the cover. And an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 that senses the state of the air in the cover and an illumination sensor that senses it.
또한, 상기 설정 모드는, 상기 커버 내에 반려동물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휴식 모드, 상기 커버 내에 반려동물이 부존재하는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부재 모드, 반려동물의 수면 시 활성화되는 수면 모드 및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방식을 제시하는 추천 모드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tting mode includes a rest mode activated when a companion animal is present in the cover, an absent mode activated when a companion animal is not present in the cover, a sleep mode activated when the companion animal sleeps, and the control unit It includes a recommended mode for presenting the health management method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analyzed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부재 모드, 휴식 모드 및 수면 모드에 따라 구동 여부가 달라진다.In addition, whether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drive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bsent mode, the rest mode, and the sleep mode.
또한, 상기 동작감지센서 및 무게센서는 상기 수면 모드에서 작동되고, 상기 조명센서 및 온도센서는 상기 휴식 모드에서 작동되며,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는 상기 부재 모드, 휴식 모드 및 수면 모드에서 작동된다.In addition, the mo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weight sensor are operated in the sleep mode, the lighting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are operated in the rest mode, and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 is operated in the absent mode, the rest mode, and the sleep mode.
또한, 상기 추천 모드는 반려동물에 이상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에 활성화되고, 상기 추천 모드의 활성화 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이상 신호에 대응할 수 있는 관련 기관을 매칭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the recommendation mode is activated when an abnormal signal is generated in the companion animal, and when the recommendation mode is activated, the controller searches for a current location and controls to match a related organization that may correspond to the abnormal signal.
또한,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는, 상기 커버 내부에 설치된 공기청정기, 가습기, 산소발생기 및 향균처리기 중 하나 이상과 연동된다.In addition,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 is interlocked with at least one of an air purifier, a humidifier, an oxygen generator, and an antibacterial processor installed inside the cover.
또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는 열선 및 상기 커버 내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의 온도 변화를 체크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연동된다.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or is interlocked with a heating wire installed in the tray and a thermal imaging camera installed in the cover to check a temperature change of a companion animal.
또한, 상기 하우스의 입구에는, 반려동물의 출입 여부에 따라 작동 여부가 자동으로 결정되는 엘이디 조명등이 설치된다.In addition, at the entrance of the house, an LED lighting lamp is installed that automatically determines whether to operate or no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 companion animal enters or exits.
또한, 상기 시스템은 반려동물에게 수면음악을 들려주거나 사용자의 목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반려동물용 전용채널이 상영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speaker for playing sleep music to the companion animal or outputting a user's voice, and a monitor for displaying a dedicated channel for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방법은,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는 센서와 반려동물용 하우스 내부의 환경을 측정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현재 상태 및 생활환경 상태를 측정하는 단계,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이상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이상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스의 설정 모드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설정 모드에 따른 제어 결과물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신호에 대응한 상기 제어 결과물에 대한 내용이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healthcare method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current state and the living environment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using a sensor that checks the health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 sensor that measures the environment inside the companion animal house,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 signal has occurred in the health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determining the setting mode of the house according to the abnormal signal, displaying a control result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to the user, and responding to the abnormal signal And storing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control result in the server.
또한, 상기 이상 신호가 발생 시 상기 하우스는 추천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제어 결과물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를 검색한 결과와 반려동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된 관련 기관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를 분석하여 긴급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abnormal signal occurs, the house operates in a recommended mode, and the control result is stored in the server in consideration of the search result of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It includes searching for a related institution and recommending it to a user, and determining an emergency level by analyzing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상기 이상 신호가 미 발생 시 상기 하우스는 휴식 모드 또는 수면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제어 결과물은,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세부 진단하고 상기 반려동물용 하우스 내부의 환경을 측정하는 단계 및 반려동물의 상태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스 내부에 배치된 센서를 작동시켜서 상기 하우스 내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when the abnormal signal does not occur, the house operates in a rest mode or a sleep mode, and the control result detects the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diagnoses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in detail, and analyzes the environment inside the companion animal house. And controlling an environmental condition in the house by operating a sensor disposed inside the house to correspond to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measuring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기존 반려동물의 체중 체크 시스템과는 달리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기기가 반려동물의 휴식 공간인 하우스와 분리 가능하도록 트레이 형태로 제작되므로, 반려동물이 머무는 시간이 많은 공간에 상기 트레이를 설치함으로써 반려동물의 체중을 용이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ompanion animal's weight check system, the device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tray so that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house, which is a resting space for the companion animal. By installing the tray in the spac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measur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동작감지센서와 무게센서를 통해 측정한 후 해당 데이터들을 취합, 분석하여 그래프로 도출함에 따라, 반려동물의 수면 양 뿐만 아니라 수면의 질까지 한눈에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movement of a companion animal through a motion sensor and a weight sensor,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corresponding data, and drawing it into a graph, not only the amount of sleep of the companion animal but also the quality of sleep are easily at a glance.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grasp.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우스 내에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및 주변 환경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다수의 센서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현재 반려동물의 상태를 파악한 후 해당 상태에 대응하는 하우스 내부 환경이 형성되도록 맞춤형 정밀 제어가 수행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sensors capable of measuring the health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re installed in the house,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hous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state is formed after determin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There is an advantage that customized precision control is performed as much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 분석 결과값과 현재 위치를 분석하여, 반려동물의 행동진단에 관한 정보 또는 병원이나 애견샵 등의 기관 매칭 정보 등과 같은 추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므로 반려동물의 적극적인 케어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nalyzing the data analysis result of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current location, recommended data such as information on the behavior diagnosis of the companion animal or institution matching information such as a hospital or a dog shop is provided to the user. Because it can be don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ctive care of companion animals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려동물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과 같은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든 반려동물의 상태를 인지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nformation on the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activated in an application running on the user's smart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such as Bluetooth or Wi-Fi, the user can recognize the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anytime and anywhere. There is an advantage to cope with.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다.
도 4는 상기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반려동물의 상태에 따른 데이터가 분석 및 가공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verall shape of a house system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house system for a companion animal.
3 is a screen of a smart device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 house system for a companion animal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method of the house system for a companion animal.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data according to the state of a companion animal is analyzed, processed, and displayed to a user.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and various forms can be obtained, and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drawing, similar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similar element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consist of"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형상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an overall shape of a house system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the house system for the companion animal.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1)은, 반려동물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트레이(10) 및 상기 트레이(10)와 결합 가능하고 반려동물의 생활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트레이(10)는 상기 커버(20)의 하측에서 상기 커버(2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트레이(10)는 반려동물을 지지할 수 있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구성이고, 필요에 따라 상기 커버(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커버(20)를 상기 트레이(10)와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척시킬 수 있고, 반려동물의 무게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1 and 2, a health care house system 1 for companion anim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a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반려동물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보호자가 반려동물을 안고 체중계에 올라가서 전체 무게를 측정한 후, 해당 전체 무게에서 보호자의 몸무게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반려동물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즉, 반려동물이 스스로 체중계에 올라가서 자신의 체중을 측정하는 것이 불가능한 관계로 위와 같이 번거로운 체중 측정 과정을 거쳐야만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커버(20)를 상기 트레이(10)와 분리한 후, 반려동물이 자주 머무는 공간에 상기 트레이(10)를 설치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무게를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 Specifically, conventionally, in order to measure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the guardian held the companion animal, climbed on a scale, measured the total weight, and then measured the weight of the companion animal by subtracting the guardian's weight from the total weight. In other words, since it is impossible for the companion animal to climb on the scale and measure its own weight, it has to go through the cumbersome weight measurement process as described abov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eparating the
상기 트레이(1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무게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20)의 전면에는 반려동물의 출입구(15)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15)에는 반려동물의 하우스 시스템(1) 내부에 입장할 때에 엘이디 조명등(40)을 밝혀줄 수 있는 출입 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출입 센서에서 감지되는 데이터를 통해 반려동물의 하우스 시스템(1)의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출입 센서는 상기 엘이디 조명등(40)과 연동되어 반려동물의 출입 여부에 따라 상기 엘이디 조명등(40)의 가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A
상기 커버(20)는 네 개의 면, 상세하게 바닥면(21), 좌측면(22), 천장(24) 및 우측면(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바닥면(21), 좌측면(22), 천장(24) 및 우측면(23)이 형성하는 공간 내에 반려동물이 휴식하거나 수면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The
상기 커버(20) 내에는 상기 트레이(10) 상에 위치한 반려동물의 상태를 측정하거나 상기 커버(20) 내에 형성된 반려동물 생활 공간의 환경을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센서 중 반려동물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로는 상기 트레이(10) 상에 위치한 반려동물의 체온 변화를 측정하는 온도센서(31) 및 반려동물의 수면 시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감지센서(32)와 무게센서(35)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센서 중 생활 공간의 환경을 측정하는 센서로는, 상기 커버(20) 내 공간의 밝기를 감지하는 조명센서(33) 및 상기 커버(20) 내 공간의 공기 상태를 감지하는 공기질 측정센서(34)를 포함한다.A plurality of sensors are installed in the
도 2에 따르면, 상기 온도센서(31)와 동작감지센서(32)는 좌측면(22)에 설치되고, 조명센서(33)는 천장(24)에 설치되며, 공기질 측정센서(34)는 우측면(23)에 설치되고, 무게 센서(35)는 바닥면(21)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센서들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센서들의 기능이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는 위치라면 상기 커버(20) 내에서 자유롭게 위치 변경이 가능함을 밝혀둔다.According to FIG. 2, the
상기 온도센서(31)에서는 반려동물의 체온을 정해진 시간마다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의 변화에 따라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관한 데이터가 수집된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31)는 상기 트레이(10)의 바닥면(21)에 설치되는 열선(21a) 및 상기 커버(20) 내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의 온도 변화를 체크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연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온도센서(31)에서 반려동물의 체온이 낮다고 감지되면 상기 열선(21a)을 가동시켜서 반려동물을 따뜻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상기 열화상 카메라를 작동시켜서 반려동물의 체온을 지속적으로 체크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는 견주가 원하는 시간 간격마다 측정되고, 기존에 촬영된 데이터와 현재 촬영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는 리콜 기능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견주는 상기 리콜 기능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체온 변화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또한, 반려동물의 수면 시 상기 동작감지센서(32)와 무게센서(35)가 활성화된다. 상기 동작감지센서(32)에서는 반려동물의 수면 중 직접적인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무게센서(35)에서는 중력점의 변화를 인식하여 반려동물의 수면 중 움직임을 파악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무게센서(35)는 상기 트레이(10) 상에 위치한 반려동물의 체중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바닥면(2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동작감지센서(32)와 무게센서(35)에 의해 수면 중 반려동물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가 감지되고, 해당 정보들은 연산부(도 3의 도면부호 210)의 연산 결과에 따라 그래프로 도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그래프를 확인하여 반려동물의 수면 상태가 가수면 상태인지 깊은잠 상태인지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mpanion animal sleeps, the
또한, 상기 조명센서(33)는 반려동물이 출입구(15)를 통해 커버(20) 내의 공간으로 들어왔을 때에 반려동물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실내 밝기가 유지되도록 엘이디 조명등(40)과 연동될 수 있다. 만약, 반려동물이 수면 상태에 들어간 경우에는, 상기 조명센서(33)가 오프되어 상기 엘이디 조명등(40)을 끄는 기능을 한다. In addition, when the companion animal enters the space within the
그리고,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34)는 상기 커버(20) 내부에 설치된 공기청정기, 가습기, 산소발생기 및 향균처리기 중 하나 이상과 연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34)에서는 상기 커버(20) 내의 반려동물 생활환경 중 공기의 질에 관한 정보를 감지하고, 공기 질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 시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커버(20) 내에 설치되는 공기청정기, 가습기, 산소발생기 및 향균처리기를 자동으로 작동시킨다. In addition, the air
예를 들어,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34)에서 공기가 탁하다고 판단 시 공기청정기를 작동시켜서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수분 부족 시 가습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냉방 기능이 겸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몸에 습기가 있는 경우 냉방이 되는 바람의 송풍 기능을 활성화 하여 반려동물의 털에 잔존하는 습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습기는 일 예로 천장(24)에 설치되는 아로마 테라피 가습기일 수 있고, 아로마 오일과 함께 반려동물의 심신안정과 휴식 효과를 증대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34)에서 공기 중 산소량이 부족하다고 판단 시 산소발생기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악취가 있을 때에는 인체에 무해한 바이오 약품을 사용하는 등 향균처리기를 작동시켜서 쾌적한 실내 환경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For example, when the air
또한, 상기 커버(20) 내에는 반려동물에게 수면음악을 들려주거나 사용자의 목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반려동물용 전용채널이 상영되는 모니터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는 반려동물의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마이크와 연동되어 견주의 목소리가 스피커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니터는 반려동물의 교육, 휴식 등이 매체를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커버(20) 내의 공간에 텔레비전과 같은 형태로 설치되는 구성이다.In addition, a speaker for listening to sleep music or outputting a user's voice to a companion animal and a monitor for displaying a dedicated channel for companion animals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상기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1)은 사용자의 스마트폰, PDA, 노트북 등과 같은 스마트 기기(100)에 연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시스템(1)은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통신부(50)가 활성화됨으로써,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어플리케이션과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방식으로 서로 통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마트 기기(100)와 상기 시스템(1)의 통신 과정 및 통신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The companion animal house system 1 may be linked to a
도 3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시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스마트 기기의 화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의 작동 방식을 제어하는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3 is a screen of a smart device for explaining an operation mode of a house system for a companion animal when an application is executed. And, Figure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method of the house system for the companion animal.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마트 기기(100)는 상기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1)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기 스마트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상기 시스템(1)의 복수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데이터 결과값을 수신할 수 있다.3 and 4, the
즉, 상기 시스템(1)은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어부(200)는 상기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상기 시스템(1)의 전체적인 작동 과정 및 방식을 제어한다. 상세하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온도센서(31), 동작감지센서(32) 및 무게센서(35)와 통신하여 반려동물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감지하고, 조명센서(33) 및 공기질 측정센서(34)와 통신하여 상기 커버(20) 내부의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데이터들을 분석한 후,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하우스(1)의 작동 방식에 대한 설정 모드를 결정한다.That is, the system 1 receives data transmitted from the plurality of sensors, and the
상기 설정 모드는, 상기 커버(200) 내에 반려동물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휴식 모드(130), 상기 커버(200) 내에 반려동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부재 모드(120), 반려동물의 수면 시 활성화되는 수면 모드(140) 및 상기 제어부(200)에서 분석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방식을 제시하는 추천 모드(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부재 모드(120), 휴식 모드(130), 수면 모드(140) 및 추천 모드(150)는 스마트 기기(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반려동물의 존재 여부, 수면 여부, 추천 수신 필요 여부 등을 판단하여 수동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적절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설정 모드들은 상기 제어부(200)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자동으로 적절한 모드가 선택될 수도 있다.The setting mode includes a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부재 모드(120), 휴식 모드(130) 및 수면 모드(140)에 따라 각각 구동 여부가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들이 모두 오프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부재 모드(120)가 작동되면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34)가 활성화되고, 상기 휴식 모드(130)가 작동되면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34)와 상기 조명센서(33)와 상기 온도센서(31)가 활성화되며, 상기 수면 모드(140)가 작동되면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34)와 상기 동작감지센서(32)와 상기 무게센서(35)가 활성화된다. Whether the plurality of sensors are driven may vary according to the
이와 같이, 설정 모드에 따른 각 센서들의 작동 여부는 연산부(210)의 연산 결과가 상기 제어부(200)로 송신됨으로써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수동으로 각 센서의 작동 여부를 조절하고 싶은 경우, 옵션 설정부(220)에 신호를 전달하여 각 센서들의 수동 작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면 모드(140)에서 오프되어 있는 조명센서(33)를 활성화시키고 싶은 경우, 사용자는 옵션 설정부(220)에 조명센서(33)에 온 신호를 전달하고, 해당 신호가 제어부(200)로 송신되어 상기 조명센서(33)의 활성화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way, whether each sensor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can be automatically adjusted by transmitting the calculation result of the
상기 부재 모드(120), 휴식 모드(130) 및 수면 모드(140)와의 작동 방식과 달리, 반려동물에 이상 신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200)는 자동으로 상기 추천 모드(150)를 실행한다. 상기 추천 모드(150)의 활성화 시 상기 제어부(200)는 GPS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이상 신호에 대응할 수 있는 관련 기관을 매칭하도록 제어한다. Unlike the method of operation with the
예를 들어, 반려동물의 건강에 이상 신호가 발생하였다고 판단 시, 상기 제어부(200)는 추천 모드(150)를 활성화시켜서 사용자의 현 위치에 가장 근접한 순으로 동물병원을 추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반려동물의 털갈이가 필요하다는 이상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추천 모드(150)를 활성화시켜서 사용자의 현 위치에 가장 근접한 순으로 애견샵 또는 애견 미용실을 추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반려동물의 대소변 교육이 필요하다는 이상 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추천 모드(150)를 활성화시켜서 사용자의 현 위치에 가장 근접한 순으로 동물 훈련소, 교육관련상담소 또는 교육 커리큘럼 등을 추천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 signal has occurred in the health of the companion animal, the
이와 같은 추천 정보는 통신부(5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10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부(50)는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1)과 스마트 기기(100)를 서로 연결하는 데이터 전달 매개체의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반려동물의 상태에 따른 정보가 제어부(200)에서 분석 및 가공되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Such recommend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user's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반려동물이 하우스 시스템(1) 내로 들어오면, 상기 시스템(1) 내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을 통해 반려동물의 상태에 관한 체크가 수행된다(S100). 이때, 상기 복수의 센서에서는 반려동물의 상태에 관한 검사뿐만 아니라, 상기 시스템(1) 내의 환경이 반려동물이 생활하기에 적합한지도 함께 판단한다. 그 다음,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복수의 센서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들을 수신 및 분석하여 반려동물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Referring to FIG. 5, first, when a companion animal enters the house system 1, a check on the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is per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 the system 1 (S100).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ensors not only inspects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but also determines whether the environment in the system 1 is suitable for the companion animal to live. Then, the
만약, 상기 제어부(200)에서 반려동물의 이상 신호를 수신 시, 상기 제어부(200)는 현재 사용자의 위치 검색을 수행하고, 이를 기반으로 반려동물의 이상 신호에 대응할 수 있는 적절한 기관을 매칭한다(S210).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상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시스템(1)이 추천 모드(150)로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00)에서 생성한 매칭 정보는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If, when the
그 다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이상 신호의 긴급한 정도, 예를 들어 반려동물에게 즉시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 있다면 매우 긴급한 상황임을 표시하고 다른 예로 털갈이가 필요한 경우라면 긴급하지 않은 상황임을 표시할 수 있도록, 긴급한 정도를 구분한 레벨을 정해서 현재 반려동물의 이상 신호가 어느 긴급 레벨 범위에 속하는지를 구분한다(S220). Then, the
다만, 상기 S200 단계에서 반려동물에 이상 신호는 없는 것으로 판단 시, 상기 제어부(200)는 반려동물의 행동에 대한 세부 진단을 수행한다(S230). 즉, 상기 제어부(200)에서 상기 이상 신호를 감지하지 못하였다면 반려동물의 건강에는 이상이 없는 상태이므로 상기 시스템(1) 내의 환경만 반려동물이 생활하기에 적절하게 유지하기만 하면 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반려동물의 수면 여부에 따라 상기 시스템(1)이 휴식 모드(130) 또는 수면 모드(140)로 작동하도록 제어하고, 반려동물의 행동에 대한 세부 진단을 통해 현재 시스템(1) 내의 환경이 적절한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no abnormal signal in the companion animal in step S200, the
그 다음,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복수의 센서를 작동시켜서 상기 시스템(1) 내의 내부 환경 상태를 적절히 조절한다(S240). 이에 따라, 향후 반려동물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하는 현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Then, the
상기 S220 단계 또는 상기 S240 단계가 종료되면, 각 단계에 따른 조치의 결과물들이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다(S300).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는 반려동물의 이상 여부 및 시스템(1) 내의 환경 상태에 따라 적절한 대응 조치가 이루어졌는지, 향후 추가로 어떠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등에 관한 정보들이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에는 해당 조치들을 포함하는 최종 산출물이 서버에 저장된다(S400). 상기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들은 딥 러닝 과정을 거쳐서 각 설정 모드에 따른 효율적인 대응 조치가 더욱 구체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지속적으로 저장된 정보들이 향후 빅데이터 방식으로 사용되어, 상기 제어부(200)에서 산출된 결과값이 더욱 정확하고 높은 신뢰도를 획득할 수 있다.When the step S220 or step S240 is finished, the results of the action according to each step are displayed 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반려동물에 대한 다각적인 건강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적극적인 헬스케어를 위한 맞춤형 관련 기관 추천 등이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us of a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multi-faceted health management for the companion animal can be performed, and a customized related institution recommendation for active healthcare can be performed.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이상에서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that there is.
1: 반려동물용 하우스 시스템
10: 트레이
31: 온도센서
32: 동작감지센서
33: 조명센서
34: 공기질 측정센서
35: 무게센서
50: 통신부
200: 제어부
210: 연산부
220: 옵션 설정부1: House system for pets
10: tray
31: temperature sensor
32: motion detection sensor
33: light sensor
34: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
35: weight sensor
50: communication department
200: control unit
210: operation unit
220: option setting unit
Claims (13)
내부에 반려동물의 생활 공간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반려동물의 체중을 측정할 수 있는 트레이;
상기 커버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반려동물의 상태를 측정하거나 상기 커버 내에 형성된 반려동물 생활 공간의 환경을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와 관한 데이터와 상기 커버 내부의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들을 분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들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하우스의 작동 방식에 대한 설정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As a companion animal healthcare house system that communicates with the user's smart device,
A cover in which a living space of a companion animal is formed therein;
A tray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ver and capable of measuring the weight of a companion animal;
A plurality of sensors installed inside the cover and measuring a condition of a companion animal located on the tray or measuring an environment of a living space of a companion animal formed in the cover; And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data related to the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data related to the environment inside the cover, and to analyze the data,
The control unit determines a setting mode for an operation method of the hous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data.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트레이 상에 위치한 반려동물의 체온 변화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반려동물의 수면 시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확인하기 위한 동작감지센서와 무게센서;
상기 커버 내의 환경 중 밝기를 감지하는 조명센서; 및
상기 커버 내의 공기의 상태를 감지하는 공기질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sensors,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a change in body temperature of a companion animal located on the tray;
A motion detection sensor and a weight sensor for checking the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when the companion animal sleeps;
An illumination sensor that detects brightness in the environment in the cover; And
Companion animal health care hou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e of the air in the cover.
상기 설정 모드는,
상기 커버 내에 반려동물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휴식 모드;
상기 커버 내에 반려동물이 부존재하는 상황에서 활성화되는 부재 모드;
반려동물의 수면 시 활성화되는 수면 모드; 및
상기 제어부에서 분석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관한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반려동물의 건강관리 방식을 제시하는 추천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setting mode,
A rest mode activated when a companion animal is present in the cover;
Absence mode activated when a companion animal is not present in the cover;
A sleep mode that is activated when a companion animal sleeps; And
And a recommendation mode for presenting a health management method of the companion animal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analyzed by the control unit.
상기 복수의 센서는,
상기 부재 모드, 휴식 모드 및 수면 모드에 따라 구동 여부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plurality of sensors,
A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or not driving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bsence mode, rest mode, and sleep mode.
상기 동작감지센서 및 무게센서는 상기 수면 모드에서 작동되고,
상기 조명센서 및 온도센서는 상기 휴식 모드에서 작동되며,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는 상기 부재 모드, 휴식 모드 및 수면 모드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motion detection sensor and the weight sensor are operated in the sleep mode,
The lighting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are operated in the rest mode,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 is a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operated in the absent mode, the rest mode, and the sleep mode.
상기 추천 모드는 반려동물에 이상 신호가 발생하였을 때에 활성화되고,
상기 추천 모드의 활성화 시 상기 제어부는 현재 위치를 검색하고 상기 이상 신호에 대응할 수 있는 관련 기관을 매칭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recommended mode is activated when an abnormal signal occurs in the companion animal,
When the recommendation mode is activated, the control unit searches for a current location and controls to match a related organization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abnormal signal.
상기 공기질 측정센서는,
상기 커버 내부에 설치된 공기청정기, 가습기, 산소발생기 및 향균처리기 중 하나 이상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quality measurement sensor,
A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nterlocked with at least one of an air purifier, a humidifier, an oxygen generator, and an antibacterial processor installed inside the cover.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트레이에 설치되는 열선 및 상기 커버 내에 설치되어 반려동물의 온도 변화를 체크하는 열화상 카메라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temperature sensor,
A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interlocked with a heating wire installed on the tray and a thermal imaging camera installed in the cover to check a temperature change of the companion animal.
상기 하우스의 입구에는,
반려동물의 출입 여부에 따라 작동 여부가 자동으로 결정되는 엘이디 조명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At the entrance of the house,
A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s, characterized in that an LED lighting lamp that automatically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operate according to the entry of the companion animal is installed.
반려동물에게 수면음악을 들려주거나 사용자의 목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반려동물용 전용채널이 상영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하우스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speaker for playing sleep music to a companion animal or outputting a user's voice; And
Companion animal healthcare hous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onitor on which a dedicated channel for companion animals is screened.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에 이상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이상 신호에 따라 상기 하우스의 설정 모드가 결정되는 단계;
상기 설정 모드에 따른 제어 결과물이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신호에 대응한 상기 제어 결과물에 대한 내용이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방법.
Measuring a current state and a living environment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using a sensor that checks the health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 sensor that measures the environment inside the house for the companion animal;
Determining whether an abnormal signal has occurred in the health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Determining a setting mode of the house according to the abnormal signal;
Displaying a control result according to the setting mode to a user; And
And storing the contents of the control result corresponding to the abnormal signal in a server.
상기 이상 신호가 발생 시 상기 하우스는 추천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제어 결과물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를 검색한 결과와 반려동물의 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서버에 저장된 관련 기관을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단계; 및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를 분석하여 긴급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abnormal signal occurs, the house operates in the recommended mode,
The control result is,
Recognizing the user's current location;
Searching for a related institution stored in the server and recommending it to a user in consideration of the result of searching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Companion animal healthcar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termining an emergency level by analyzing the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상기 이상 신호가 미 발생 시 상기 하우스는 휴식 모드 또는 수면 모드로 작동하고,
상기 제어 결과물은,
반려동물의 행동을 감지하여 반려동물의 상태를 세부 진단하고 상기 반려동물용 하우스 내부의 환경을 측정하는 단계; 및
반려동물의 상태에 대응하도록 상기 하우스 내부에 배치된 센서를 작동시켜서 상기 하우스 내의 환경 상태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헬스케어 방법.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abnormal signal does not occur, the house operates in a rest mode or a sleep mode,
The control result is,
Detecting the behavior of the companion animal, diagnosing the state of the companion animal in detail, and measuring the environment inside the house for the companion animal; And
And controlling an environmental condition in the house by operating a sensor disposed inside the house to correspond to the cond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4701A KR102354642B1 (en) | 2019-09-18 | 2019-09-18 |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4701A KR102354642B1 (en) | 2019-09-18 | 2019-09-18 |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3228A true KR20210033228A (en) | 2021-03-26 |
KR102354642B1 KR102354642B1 (en) | 2022-01-27 |
Family
ID=75259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4701A Active KR102354642B1 (en) | 2019-09-18 | 2019-09-18 |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4642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8634B1 (en) * | 2022-07-06 | 2022-09-28 | 주식회사 견생상점 | Dog care service system |
KR20220158497A (en) * | 2021-05-24 | 2022-12-01 | 주식회사 플렉스시스템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ital signs of animal in shelter |
KR20220158498A (en) * | 2021-05-24 | 2022-12-01 | 주식회사 플렉스시스템 |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
WO2023096051A1 (en) * | 2021-11-23 | 2023-06-01 | (주)리틀캣 | Device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 |
KR20230106245A (en) * | 2022-01-06 | 2023-07-13 | 오영래 | Smart Care Pet House |
WO2024122751A1 (en) * | 2022-12-05 | 2024-06-13 | 주식회사 우진더블유티피 | Pet clinic house using led near-infrared rays |
WO2025018611A1 (en) * | 2023-07-17 | 2025-01-23 | 김상규 |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and method theref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73032B1 (en) | 2022-02-15 | 2025-02-26 | (주)오토일렉스 | Pet care chamber |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2670A (en) * | 2004-08-04 | 2006-02-16 | Daikin Ind Ltd | Pet health management system |
JP2008131862A (en) * | 2006-11-27 | 2008-06-12 | Hideaki Kusaba | Pet diagnosing system |
KR20120053441A (en) * | 2010-11-17 | 2012-05-25 | 김덕원 | Digital house for pet |
US20120291715A1 (en) * | 2011-05-17 | 2012-11-22 | Wei Jiang | Intelligent doghouse |
KR20130100815A (en) | 2012-02-01 | 2013-09-12 | (주)터보소프트 | Apparatus of controlling animal biometric information |
US20140352625A1 (en) * | 2013-06-04 | 2014-12-04 | Frank Reginhard | Animal carrier for transporting animals onboard a vehicle |
KR20170022819A (en) * | 2015-08-21 | 201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me network system |
US20170097169A1 (en) * | 2015-10-01 | 2017-04-06 | Plug and Play Robotics, LLC | Smart pet-crate with interactive features |
KR20170058571A (en) * | 2015-11-19 | 2017-05-29 | 한국광기술원 | Case for pet with active sterilizing function and cure function |
KR20190041185A (en) * | 2017-10-12 | 2019-04-22 | (주)제이컴 |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 and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KR20190079178A (en) | 2017-12-27 | 2019-07-05 | 주식회사 빅오이 | System for monitoring companion animal |
-
2019
- 2019-09-18 KR KR1020190114701A patent/KR10235464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2670A (en) * | 2004-08-04 | 2006-02-16 | Daikin Ind Ltd | Pet health management system |
JP2008131862A (en) * | 2006-11-27 | 2008-06-12 | Hideaki Kusaba | Pet diagnosing system |
KR20120053441A (en) * | 2010-11-17 | 2012-05-25 | 김덕원 | Digital house for pet |
US20120291715A1 (en) * | 2011-05-17 | 2012-11-22 | Wei Jiang | Intelligent doghouse |
KR20130100815A (en) | 2012-02-01 | 2013-09-12 | (주)터보소프트 | Apparatus of controlling animal biometric information |
US20140352625A1 (en) * | 2013-06-04 | 2014-12-04 | Frank Reginhard | Animal carrier for transporting animals onboard a vehicle |
KR20170022819A (en) * | 2015-08-21 | 2017-03-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Home network system |
US20170097169A1 (en) * | 2015-10-01 | 2017-04-06 | Plug and Play Robotics, LLC | Smart pet-crate with interactive features |
KR20170058571A (en) * | 2015-11-19 | 2017-05-29 | 한국광기술원 | Case for pet with active sterilizing function and cure function |
KR20190041185A (en) * | 2017-10-12 | 2019-04-22 | (주)제이컴 | Smart home for companion animal and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
KR20190079178A (en) | 2017-12-27 | 2019-07-05 | 주식회사 빅오이 | System for monitoring companion animal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58497A (en) * | 2021-05-24 | 2022-12-01 | 주식회사 플렉스시스템 |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vital signs of animal in shelter |
KR20220158498A (en) * | 2021-05-24 | 2022-12-01 | 주식회사 플렉스시스템 | Living spac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bio-signal measurement |
WO2023096051A1 (en) * | 2021-11-23 | 2023-06-01 | (주)리틀캣 | Device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 |
EP4209172A4 (en) * | 2021-11-23 | 2024-10-02 | The LittleCat.Co.,Ltd. | SYSTEM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PET |
KR20230106245A (en) * | 2022-01-06 | 2023-07-13 | 오영래 | Smart Care Pet House |
KR102448634B1 (en) * | 2022-07-06 | 2022-09-28 | 주식회사 견생상점 | Dog care service system |
WO2024122751A1 (en) * | 2022-12-05 | 2024-06-13 | 주식회사 우진더블유티피 | Pet clinic house using led near-infrared rays |
WO2025018611A1 (en) * | 2023-07-17 | 2025-01-23 | 김상규 |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and device, and method theref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4642B1 (en) | 2022-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4642B1 (en) | Health care house system for companion animal and health care method using thereof | |
JP6840677B2 (en) | High-performance pet monitoring system | |
KR101876003B1 (en) | Case for pet with active sterilizing function and cure function | |
JP6008448B2 (en) | Remote physiological monitoring | |
KR102325586B1 (en) | Pet health measurement system and pet health measurement method | |
KR102439807B1 (en) | Dementia patien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 |
US8823527B2 (en) | Consciousness monitoring | |
CN109937010A (en) | Sleep quality scoring and improvement | |
WO2016108582A1 (en) | Smart bed system and control method | |
KR20190081598A (en) | Apparatus for companion dog emotion analysis using characteristics of vital signal | |
US20090105558A1 (en) | Portable autonomous multi-sensory intervention device | |
JP2008131862A (en) | Pet diagnosing system | |
KR20210114750A (en) | Smart pet health management system based on Io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 |
KR102473443B1 (en) | Intelligent companion ani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analysis of indoor companion animals through iot | |
Francis et al. | Automated behavioral experiments in mice reveal periodic cycles of task engagement within circadian rhythms | |
VanderSal et al. | Cross-modal effects on learning: a seismic stimulus improves color discrimination learning in a jumping spider | |
JP7464305B2 (en) | Animal vital signs management system and animal vital signs management method equipped with the same | |
KR20200062522A (en) | System, sever and method for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of pet using smart neck-band based on cloud | |
KR20190014733A (en) | Automatic feeder of pet feed | |
CN204976639U (en) | Housekeeping service robot | |
US20190191665A1 (en) | System and method of measured drug efficacy using non-invasive testing | |
JP2020010852A (en) | Biological data acquisition system, biological data acquisition method, and biological data acquisition program in accommodation | |
US20210151197A1 (en) | Storage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KR102384528B1 (en) | Pet health multi monitoring system and pet health multi monitoring method | |
KR102451323B1 (en) | Pet health diagnosis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909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1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2201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