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32109A -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2109A
KR20210032109A KR1020190113408A KR20190113408A KR20210032109A KR 20210032109 A KR20210032109 A KR 20210032109A KR 1020190113408 A KR1020190113408 A KR 1020190113408A KR 20190113408 A KR20190113408 A KR 20190113408A KR 20210032109 A KR20210032109 A KR 20210032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isplay
user interface
fold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3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훈
김가원
유미숙
김경택
장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3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2109A/ko
Priority to PCT/KR2020/012513 priority patent/WO2021054724A1/ko
Publication of KR2021003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210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폴더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전력 송수신 패턴,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제1 면의 반대편인 제2 면에 배치되고, 제1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폴더블 전자 장치가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상태인 것을 식별하고, 공유 상태가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을 식별하고,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식별하고,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송하고,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lectronic device for sharing power and method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과 관련된다.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를 충전하고자,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전력을 공유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후면에 놓여지게 되는데, 이 경우 전력을 전송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전송 받기에 적합하지 않은 위치에 놓여진 경우, 적합한 위치를 사용자에게 가이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후면에 놓여지게 되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전력 공유를 위해 외부 전자 장치를 전자 장치의 후면에 배치시킨 경우,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서브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의 연결 여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발광 영역을 통해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져야 할 올바른 위치를 가이드함으로써,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전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전력 송수신 패턴,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인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상태인 것을 식별하고, 상기 공유 상태가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식별하고, 상기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폴더블 전자 장치가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상태인 것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공유 상태가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제1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면의 반대편인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식별하는 동작, 상기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력 송수신 패턴,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포함하는 발광 영역,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길이를 갖는 제1 측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길이를 갖는 제3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길이를 갖는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3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4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상태인 것을 식별하고, 상기 공유 상태가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인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면의 일부 영역인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식별하고,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지 않은 것이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발광시키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전력을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연결 상태 및/또는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져야 하는 위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면(S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외부 전자 장치(3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폴더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력을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폴더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력을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7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동작 1040 및 동작 106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UI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UI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UI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UI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3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6a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b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전자 장치(401)와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력을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는 전자 장치(401)와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력을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b는 전자 장치(401)와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력을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1)의 블럭도이다.
도 20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동작 2040 및 동작 206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301))가 디스플레이(36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제6 사용자 인터페이스(UI6)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폴더블 전자 장치(201)는 제1 면(S1) 및 제1 면(S1)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 면(S2)을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201)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태블릿, 웨어러블 장치, 가전 장치 또는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201)는 제1 디스플레이(26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261)는,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1 면(S1)에 배치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201)는 폴딩 라인(FL)을 기준으로, 제1 디스플레이(261)의 일부 영역 및 나머지 영역이 서로 마주보도록 폴딩될 수 있다.
도 3은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면(S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폴더블 전자 장치(201)는, 제2 디스플레이(262), 제1 카메라 영역(281) 및 전력 송수신 패턴(288)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262)는,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면(S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26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디스플레이(261)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201)가 폴딩 라인(FL)을 기준으로 폴딩된 경우, 제2 디스플레이(262)가 노출될 수 있다.
제1 카메라 영역(281)은 카메라 모듈(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및/또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176))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수신 패턴(288)은,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력 송수신 패턴(288)은, 무선으로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전력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전력 송수신 패턴(288)은 예를 들어, 코일 또는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수신 패턴(288)은 예를 들어, 도시된 패턴과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P1)은,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면(S2)의 일정 영역일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P1)은, 전력 송수신 패턴(288)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하에서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전력 공유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도 5 및 도 6에서 전력 송수신 패턴(288, 388)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는 외부 전자 장치(3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전면은, 예를 들어, 도 2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1 면(S1)에 대응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및/또는 전자 장치(104))는, 폴더블 전자 장치(201)로부터 전력을 전송 받을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도 4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가 스마트 폰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외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자 장치(301)는 예를 들어, 태블릿, 웨어러블 장치, 가전 장치 또는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1)는 디스플레이(36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61)는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전력 송수신 패턴(388)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수신 패턴(388)은 외부 전자 장치(3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력 송수신 패턴(388)은,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전력 송수신 패턴(388)은 예를 들어, 코일 또는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송수신 패턴(388)은 예를 들어, 도시된 패턴과 상이한 형상일 수 있다.
제2 기준 영역(P2)은, 외부 전자 장치(301)의 일정 영역일 수 있다. 제2 기준 영역(P2)은, 전력 송수신 패턴(388)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5는 폴더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력을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력을 공유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301)는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후면(예: 도 2의 제2 면(S2))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도면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가 폴더블 전자 장치(201)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놓여진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전자 장치(301)는 세로 방향으로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면(S2) 상에 놓여질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201)가 전력 송수신 패턴(예: 도 3의 전력 송수신 패턴(288))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외부 전자 장치(301)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제1 기준 영역(P1)과 제2 기준 영역(P2)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1 기준 영역(P1)과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2 기준 영역(P2)이 대응되도록 외부 전자 장치(301)가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면(S2) 상에 놓여진 경우, 폴더블 전자 장치(201)는 전력 송수신 패턴(예: 도 3의 전력 송수신 패턴(288))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폴더블 전자 장치(201)와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력을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력을 공유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301)는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후면(예: 도 2의 제2 면(S2))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P1)과 제2 기준 영역(P2)은 서로 대응되지 않는 경우, 폴더블 전자 장치(201)가 전력 송수신 패턴(예: 도 3의 전력 송수신 패턴(288))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외부 전자 장치(301)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1 기준 영역(P1)과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2 기준 영역(P2)이 대응되도록 외부 전자 장치(301)가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면(S2) 상에 놓여지지 않은 경우, 폴더블 전자 장치(201)는 전력 송수신 패턴(예: 도 3의 전력 송수신 패턴(288))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없을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2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블럭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201)는, 표시 장치(26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프로세서(2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메모리(230)(예: 도 1의 메모리(130)) 및 전력 송수신 패턴(288)(예: 도 3의 전력 송수신 패턴(288))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제1 디스플레이(261) 및 제2 디스플레이(262)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260)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30)는 폴더블 전자 장치(20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과 연관된 명령,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30)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220)가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20)는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260), 및 메모리(230)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될(coupled)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외부 전자 장치(301)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220)는, 전력 송수신 패턴(288)을 이용하여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력 송수신 패턴,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인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상태인 것을 식별하고, 상기 공유 상태가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식별하고, 상기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식별하고,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식별하고,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상태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 시간 종료 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공유 상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 시간 종료 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공유 상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전송하는 중, 오류가 발생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전력의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상태인 것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공유 상태가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제1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면의 반대편인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식별하는 동작, 상기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은,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은,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상태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 시간 종료 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공유 상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 시간 종료 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공유 상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력 송수신 패턴,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포함하는 발광 영역,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길이를 갖는 제1 측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길이를 갖는 제3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길이를 갖는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3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4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상태인 것을 식별하고, 상기 공유 상태가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인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면의 일부 영역인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식별하고,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지 않은 것이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발광시키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상기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을 발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보다 상기 제4 측면과 가깝게 위치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을 발광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발광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에지(edge) 영역 또는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201)는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201)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및/또는 전자 장치(104))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또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개체(entity)이거나, 별도의 개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7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7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가 도 8 및 도 9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폴더블 전자 장치(201)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도 7의 프로세서(220))에 의해 수행(혹은, 실행)될 수 있는 인스트럭션(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도 7에 도시된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메모리(2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8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7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동작 1040 및 동작 106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1010에서, 폴더블 전자 장치는 공유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공유 상태는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가 전력 송수신 패턴(예: 도 3의 전력 송수신 패턴(288))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동작 1020에서, 공유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1010에서 YES), 폴더블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대기 신호를 전송하고,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대기 신호는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도 10은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폴더블 전자 장치는 공유 상태가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1)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UI1)는, 폴더블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1030에서,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제2 면(예: 도 2의 제2 면(S2))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공유를 위해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질 수 있다.
동작 1040에서,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1030에서 Yes), 폴더블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연결된 상태는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가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연결된 상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동작 1050에서, 폴더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1040에서 Yes), 폴더블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고,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의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전력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져 있어 제1 디스플레이(예: 도 2의 제1 디스플레이(261))를 보기 힘들더라도,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함으로써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전력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 중임 인식할 수 있다.
도 11은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UI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폴더블 전자 장치는 공유 상태에서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지고,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UI2)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UI2)는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전력이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1060에서, 폴더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1040에서 No),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도록,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1041에서, 폴더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인지 식별하기 위해(예: 도 8의 동작 1040),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제1 기준 영역(예: 도 3의 제1 기준 영역(P1))과 제2 기준 영역(예: 도 4의 제2 기준 영역(P2))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폴더블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을 식별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전력 송수신 패턴과 외부 전자 장치의 전력 송수신 패턴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좌표를 식별할 수 있다. 좌표에 기반하여,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제1 기준 영역과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는지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준 영역과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된 경우(예: 동작 1041에서 Yes), 폴더블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연결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더블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고, 제2 디스플레이(예: 도 5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예: 도 11의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UI2))를 표시할 수 있다(예: 도 8의 동작 1050).
일 실시 예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기준 영역과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지 않은 경우(예: 동작 1041에서 No), 폴더블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전송할 수 없는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042에서, 제1 기준 영역과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지 않아 폴더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1041에서 No), 폴더블 전자 장치는 대기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1043에서, 대기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1042에서 No), 폴더블 전자 장치는 대기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UI3)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폴더블 전자 장치는 공유 상태이고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인식되었으나 폴더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폴더블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DI)를 포함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UI3)를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UI3)는, 제1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제2 기준 영역이 제1 기준 영역과 대응되도록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DI)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대기 시간이 초과된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1042에서 Yes), 폴더블 전자 장치는 도 8의 동작 1080을 수행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대기 시간 동안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였음에도 폴더블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 도 8의 동작 108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1070에서,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인식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1030에서 No), 폴더블 전자 장치는 대기 시간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폴더블 전자 장치는 대기 시간 동안(예: 동작 1070에서 No),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인식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대기 시간 동안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식별되지 않는 경우(예: 동작 1070에서 Yes), 동작 1080에서, 폴더블 전자 장치는 공유 상태를 종료하고,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공유 상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UI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폴더블 전자 장치는 공유 상태가 종료된 것에 기반하여,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UI4)를 표시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UI4)는, 공유 상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UI4)는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에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1090에서, 폴더블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의 충전이 수행되고,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동안(예: 동작 1050),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전력 전송 중 오류의 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전송 중 오류는, 폴더블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는 중에 전력을 전송할 수 없게 되는 원인이 발생된 경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전송 중 오류는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전송 중 오류는 예를 들어, 폴더블 전자 장치 또는 외부 전자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치가 변경되어 폴더블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동작 1100에서, 전력 전송 중 오류가 발생된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1090에서 Yes), 폴더블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폴더블 전자 장치(예: 도 3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의 제2 디스플레이(예: 도 3의 제2 디스플레이(262))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UI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UI5)는,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력의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1110에서, 전력 전송 중 오류가 발생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1090에서 No), 폴더블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예: 동작 1110에서 No), 폴더블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고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면서(예: 동작 1050), 전력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예: 동작 1090)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에 도달한 경우(예: 동작 1110에서 Yes), 폴더블 전자 장치는 공유 상태를 종료하고,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예: 동작 1080).
이하에서, 도 15를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3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301)가 도 15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외부 전자 장치(301)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301)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혹은, 실행)될 수 있는 인스트럭션(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외부 전자 장치(301)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3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동작 2020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예: 도 7의 폴더블 전자 장치(201))로부터 대기 신호의 수신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2030에서, 전자 장치로부터 대기 신호를 수신한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20에서 Yes),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대기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전자 장치가 공유 상태임을 식별할 수 있다.
동작 2040에서,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30에서 Yes),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이 수신되는 상태일 수 있다.
동작 2050에서,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30에서 No),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방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방향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는 예를 들어,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이 수신되지 않고, 방향에 관한 정보가 수신되는 상태일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도 12의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UI3)와 같이, 외부 전자 장치가 이동해야 할 방향에 관한 정보(예: 도 12의 방향에 관한 정보(DI))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방향에 관한 정보(예: 도 12의 방향에 관한 정보(DI))에 기반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전자 장치와 연결된 경우,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a는 전자 장치(401)의 전면(예: 제1 면(S1))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b는 전자 장치(401)의 후면(예: 제2 면(S2))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6a 및 도 16b는 서로 동일한 하나의 전자 장치의 전면 및 후면을 도시한 도면들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6a 및 도 16b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전자 장치들의 전면 및 후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들일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1)는 측면 영역(SS1, SS2, SS3, SS4)을 포함할 수 있다. 측면 영역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1)의 전면과 후면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측면 영역은, 제1 측면(SS1), 제2 측면(SS2), 제3 측면(SS3) 및 제4 측면(SS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SS1)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제1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제2 측면(SS2)은,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고, 제1 길이(L1)보다 짧은 제2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제3 측면(SS3)은, 제1 측면(SS1)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1 길이(L1)를 가질 수 있다. 제4 측면(SS4)은, 제2 측면(SS2)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제2 길이(L2)를 가질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디스플레이(460) 및 전력 송수신 패턴(488)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60)는, 전자 장치(401)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460)는, 발광 영역(470)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영역(470)은, 제1 영역(471), 제2 영역(472), 제3 영역(473) 및 제4 영역(47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471)은, 제1 측면(SS1)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영역(472)은, 제2 측면(SS2)에 대응될 수 있다. 제3 영역(473)은, 제3 측면(SS3)에 대응될 수 있다. 제4 영역(474)은, 제4 측면(SS4)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 영역(470)은, 디스플레이(460)의 에지(edge)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영역(470)은, 디스플레이(460)의 일부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전력 송수신 패턴(488)은, 전자 장치(40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전력 송수신 패턴(488)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전력 송수신 패턴(예: 도 3의 전력 송수신 패턴(288))에 관한 설명은, 전력 송수신 패턴(488)에 적용될 수 있다.
제3 기준 영역(P3)은, 전자 장치(401)의 일정 영역일 수 있다. 제3 기준 영역(P3)은, 전력 송수신 패턴(488)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기준 영역(예: 도 3의 제1 기준 영역(P1))에 관한 설명은, 제3 기준 영역(P3)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1)는 전자 장치(401)의 후면에 배치되는 제2 카메라 영역(4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카메라 영역(481)은 카메라 모듈(예: 도 1의 카메라 모듈(180)) 및/또는 센서 모듈(예: 도 1의 센서 모듈(176))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발광 영역(47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광 영역(470)은, 제2 카메라 영역(481)을 둘러싸는 영역일 수 있다. 발광 영역(470)은, 예를 들어,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7,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의 전력 공유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시의 명확성을 위해, 도 17, 도 18a 및 도 18b에서 전력 송수신 패턴(388, 488)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17은 전자 장치(401)와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력을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전력을 공유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전자 장치(401)의 후면(예: 제2 면(S2))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도면에서,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자 장치(401)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놓여진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전자 장치(301)는 세로 방향으로 전자 장치(401)의 후면 상에 놓여질 수 있다.
전자 장치(401)가 전력 송수신 패턴(예: 도 16a 및 도 16b의 전력 송수신 패턴(488))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외부 전자 장치(301)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제2 기준 영역(P2)과 제3 기준 영역(P3)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1)의 제3 기준 영역(P3)과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2 기준 영역(P2)이 대응되도록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자 장치(401)의 후면 상에 놓여진 경우, 전자 장치(401)는 전력 송수신 패턴(예: 도 16a 및 도 16b의 전력 송수신 패턴(488))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전자 장치(401)와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력을 공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전력을 공유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301)는 전자 장치(401)의 후면 상에 놓여질 수 있다.
3 기준 영역(P3)과 제2 기준 영역(P2)은 서로 대응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401)가 전력 송수신 패턴(예: 도 16a 및 도 16b의 전력 송수신 패턴(488))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외부 전자 장치(301)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1)의 제3 기준 영역(P3)과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2 기준 영역(P2)이 대응되도록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자 장치(401)의 후면 상에 놓여지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401)는 전력 송수신 패턴(예: 도 16a 및 도 16b의 전력 송수신 패턴(488))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없을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제3 기준 영역(P3)과 제2 기준 영역(P2)이 서로 대응되도록, 제1 내지 제4 영역(471, 472, 473, 474)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발광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1)는, 제3 기준 영역(P3)과 제2 기준 영역(P2)이 서로 대응되도록, 외부 전자 장치(301)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을 식별하고, 제1 내지 제4 영역(471, 472, 473, 474) 중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을 발광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1)는, 제2 기준 영역(P2)이 제3 기준 영역(P3)보다 제4 측면(SS4)과 가깝게 위치한 것에 기반하여, 제2 영역(472)을 발광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9를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1)(예: 도 1의 전자 장치(101)) 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도 19는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1)의 블럭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1)는, 표시 장치(디스플레이)(460)(예: 도 1의 표시 장치(160)), 프로세서(42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메모리(430)(예: 도 1의 메모리(130)) 및 전력 송수신 패턴(488)( 예: 도 16a 및 도 16b의 전력 송수신 패턴(488))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460)는,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430)는 전자 장치(401)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의 동작과 연관된 명령,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30)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420)가 본 문서에 기재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20)는 전자 장치(401)의 전반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표시 장치(460), 및 메모리(430)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될(coupled) 수 있다. 프로세서(420)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 ISP),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외부 전자 장치(301)와 연결된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420)는, 전력 송수신 패턴(488)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401)의 전력을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도 1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이외에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적어도 하나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1)는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 및/또는 전자 장치(104))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 또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401)의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개체(entity)이거나, 별도의 개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20,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 앞서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6a 및 도 16b의 전자 장치(401)가 도 20 및 도 21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가정한다. 전자 장치(401)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은 상기 전자 장치(401)의 프로세서(예: 도 19의 프로세서(420))에 의해 수행(혹은, 실행)될 수 있는 인스트럭션(명령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예를 들어, 컴퓨터 기록 매체 또는 도 19에 도시된 전자 장치(401)의 메모리(4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40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동작 2040 및 동작 2060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동작 2010에서, 전자 장치는 공유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2010은 도 8의 동작 1010과 대응될 수 있다.
동작 2020에서, 공유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10에서 YES),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030에서, 전자 장치는 제2 면(예: 전자 장치의 후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전력 공유를 위해 전자 장치의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질 수 있다. 동작 2030은 도 8의 동작 1030과 대응될 수 있다.
동작 2040에서,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30에서 Yes),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2040은 도 8의 동작 1040과 대응될 수 있다.
동작 2050에서,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40에서 Yes),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로부터 전력을 수신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의 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동작 2060에서,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40에서 No), 전자 장치는 발광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발광 시킬 수 있다. 발광 되는 영역은,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도록,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과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동작 2041에서,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인지 식별하기 위해(예: 도 20의 동작 2040), 제3 기준 영역(예: 도 16a 및 도 16b의 제3 기준 영역(P3))과 제2 기준 영역(예: 도 4의 제2 기준 영역(P2))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2041은 도 9의 동작 1041과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7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기준 영역과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된 경우(예: 동작 2041에서 Yes),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연결된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예: 도 20의 동작 2050).
일 실시 예에서,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기준 영역과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지 않은 경우(예: 동작 2041에서 No),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에 전력을 전송할 수 없는 상태로 식별할 수 있다.
동작 2042에서, 제3 기준 영역과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지 않아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41에서 No), 전자 장치는 대기 시간을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2042는, 도 9의 동작 1042와 대응될 수 있다.
동작 2043에서, 대기 시간이 초과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42에서 No), 전자 장치는 대기 시간 내에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제1 내지 제4 영역(예: 도 16a 및 도 16b의 제1 내지 제4 영역(471, 472, 473, 474)) 중 발광 시킬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발광 되는 영역은, 외부 전자 장치가 이동되어야 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도 22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예: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301))가 디스플레이(36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제6 사용자 인터페이스(UI6)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401)와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력을 공유할 수 있도록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301)가 전자 장치(401)의 제3 측면(SS3)을 향해 이동되어야 하는 경우, 전자 장치(401)는 제3 측면(SS3)을 향해 이동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포함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301)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301)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6 사용자 인터페이스(UI6)를 디스플레이(361)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1)는 방향을 표시하기 위해 제3 영역(473)을 발광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401)의 제3 영역(473)의 발광과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6 사용자 인터페이스(UI6) 표시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시된 바와 달리, 전자 장치(401)의 제3 영역(473)의 발광과 외부 전자 장치(301)의 제6 사용자 인터페이스(UI6) 표시 중 어느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기준 영역과 제3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를 전자 장치의 제2 측면(SS2)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할 경우, 전자 장치(401)는 제2 영역(472)을 발광 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기준 영역과 제3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하기 위해 외부 전자 장치를 전자 장치의 제2 측면 및 제1 측면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할 경우, 전자 장치는 제2 영역 및 제1 영역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발광 시킬 수 있다.
대기 시간이 초과된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42에서 Yes), 전자 장치는 도 20의 동작 2080을 수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대기 시간 동안 외부 전자 장치가 이동되어야 할 방향을 발광 영역을 통해 표시하였음에도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상태로 식별되지 않는 경우, 도 20의 동작 2080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동작 2070에서,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인식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30에서 No), 전자 장치는 대기 시간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대기 시간 동안(예: 동작 2070에서 No),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인식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
대기 시간 동안 제2 면 상에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식별되지 않는 경우(예: 동작 2070에서 Yes), 동작 2080에서, 전자 장치는 공유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
동작 2090에서,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의 충전이 수행되는 동안(예: 동작 2050), 전자 장치는 전력 전송 중 오류의 발생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동작 2090은 도 8의 동작 1090과 대응될 수 있다.
동작 2100에서, 전력 전송 중 오류가 발생된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90에서 Yes), 전자 장치는 발광 영역을 통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발광 영역의 전체를 깜빡임으로써 전력 전송 중 오류가 발생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동작 2110에서, 전력 전송 중 오류가 발생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예: 동작 2090에서 No),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예: 동작 2110에서 No),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면서(예: 동작 2050), 전력 전송 중 오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식별(예: 동작 2090)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된 전력량이 미리 설정된 전력량에 도달한 경우(예: 동작 2110에서 Yes), 전자 장치는 공유 상태를 종료할 수 있다(예: 동작 2080).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폴더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력 송수신 패턴;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제1 디스플레이;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인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상태인 것을 식별하고,
    상기 공유 상태가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식별하고,
    상기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식별하고,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식별하고,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도록 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상태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 시간 종료 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공유 상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 시간 종료 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공유 상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전송하는 중, 오류가 발생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전력의 전송이 중단되었음을 나타내는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도록 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9. 폴더블 전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상태인 것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공유 상태가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제1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는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면의 반대편인 제2 면에 배치되는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을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상태인지 식별하는 동작;
    상기 상태로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전송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전자 장치의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식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제1 기준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은,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은,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상태로 식별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상태로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 시간 종료 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공유 상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동작; 및
    상기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이 식별되지 않은 것에 기반하여, 상기 대기 시간 종료 후 상기 제2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공유 상태가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력 송수신 패턴;
    상기 전자 장치의 제1 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 및 제4 영역을 포함하는 발광 영역;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측면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길이를 갖는 제1 측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를 갖는 제2 측면, 상기 제1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길이를 갖는 제3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2 길이를 갖는 제4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1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제3 영역은 상기 제3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제4 영역은 상기 제4 측면과 대응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되었을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전력 송수신 패턴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공유 상태인 것을 식별하고,
    상기 공유 상태가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면의 반대편인 상기 전자 장치의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을 식별하고,
    상기 제2 면 상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가 놓여진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면의 일부 영역인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었는지 식별하고,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대응되도록 배치되지 않은 것이 식별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발광시키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외부 전자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방향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 중 상기 방향에 대응되는 영역을 발광시키도록 하는, 전자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2 기준 영역이 상기 제1 기준 영역보다 상기 제4 측면과 가깝게 위치한 것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영역을 발광시키도록 하는, 전자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방향에 관한 정보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발광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에지(edge) 영역 또는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일부 영역을 둘러싸는 영역 중 어느 하나인, 전자 장치.
KR1020190113408A 2019-09-16 2019-09-16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Withdrawn KR2021003210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08A KR20210032109A (ko) 2019-09-16 2019-09-16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CT/KR2020/012513 WO2021054724A1 (ko) 2019-09-16 2020-09-16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3408A KR20210032109A (ko) 2019-09-16 2019-09-16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2109A true KR20210032109A (ko) 2021-03-24

Family

ID=7488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3408A Withdrawn KR20210032109A (ko) 2019-09-16 2019-09-16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32109A (ko)
WO (1) WO202105472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4089B2 (en) * 2014-09-29 2019-09-03 Apple Inc. Inductive charg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102525312B1 (ko) * 2015-11-10 2023-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송수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170086801A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787346B2 (en) * 2016-01-28 2017-10-10 Motorola Mobility Llc Configurable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630656B1 (ko) * 2016-11-01 2024-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54724A1 (ko) 2021-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757B1 (ko) 안테나 연결이 가능한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2521951B1 (ko) 안테나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75260B1 (ko) 전자 펜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자 펜과의 통신 연결 제어 방법
KR102719967B1 (ko)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5643B1 (ko) 입력 수단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으로 사용자 입력을 전달하는 모바일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44470B1 (ko) 수분 감지에 따라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핀을 개방 상태로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11392225B2 (en) Electronic device and stylus pen charging method using same
KR20200103411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20133A (ko) 복수의 전자 장치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이를 통해 충전되는 전자 장치
US11073871B2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hinge
KR102666320B1 (ko) 입출력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1013508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배터리 공유 방법
KR20200072727A (ko) 웹 콘텐츠를 ar모드에서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70509B1 (ko) 통신 주파수 대역에 기반하여 안테나 장치에 포함된 광도전성 물질의 전기적 상태를 변경하는 전자 장치 및 안테나 제어 방법
KR102324967B1 (ko) 외부 객체의 근접에 따라 변경된 공진 주파수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756804B1 (ko) 전자 장치와 통신하는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무선 충전 장치의 통신 방법
KR102546726B1 (ko) 인커밍 콜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22574A (ko) 분할된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 장치
KR20200026583A (ko) 입출력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KR20210022921A (ko) 슬라이딩 동작되는 전자 장치
KR20210037309A (ko) 컨트롤 ic의 리셋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697327B1 (ko) Sim 카드의 초기화 방법 및 장치
KR102651293B1 (ko) 전자 장치,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 및 오디오용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전자 장치의 안테나 신호 수신 방법
KR20210032109A (ko) 전력을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00028729A (ko) 무선 충전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1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