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30850A -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0850A
KR20210030850A KR1020200069145A KR20200069145A KR20210030850A KR 20210030850 A KR20210030850 A KR 20210030850A KR 1020200069145 A KR1020200069145 A KR 1020200069145A KR 20200069145 A KR20200069145 A KR 20200069145A KR 20210030850 A KR20210030850 A KR 20210030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ate
trench
mosfet device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0787B1 (ko
Inventor
문정현
강인호
김상철
김형우
나문경
방욱
석오균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PCT/KR2020/01165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049801A1/ko
Priority to JP2022515801A priority patent/JP7389239B2/ja
Priority to US17/641,427 priority patent/US20220336602A1/en
Publication of KR2021003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0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07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7Electrode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gates
    • H10D64/3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10D64/4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 H10D64/5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for IGFETs
    • H10D64/512Disposition of the gate electrodes, e.g. buried gates
    • H10D64/513Disposition of the gate electrodes, e.g. buried gates within recesses in the substrate, e.g. trench gates, groove gates or buried gates
    • H01L29/423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6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carbide not containing oxygen, e.g. SiC, SiC:H or silicon carbo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24Thermal treatment for modifying the properties of semiconductor bodies, e.g. annealing, sintering
    • H01L21/823462
    • H01L29/1608
    • H01L29/66045
    • H01L29/7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60Insulated-gate field-effect transistors [IGFE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8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 H10D62/83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Group IV materials, e.g. B-doped Si or undoped Ge
    • H10D62/832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being Group IV materials, e.g. B-doped Si or undoped Ge being Group IV materials comprising two or more elements, e.g. SiGe
    • H10D62/8325Silicon carbi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84/0123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 H10D84/0126Integrating together multiple components covered by H10D12/00 or H10D30/00, e.g. integrating multiple IGBTs the components including insulated gates, e.g. IGFETs
    • H10D84/0144Manufacturing their gate insulat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는, SiC 기판(예, n형 4H-SiC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트렌치를 덮는 게이트 산화막, 상기 게이트 트렌치 영역에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 하부에 형성된 도핑된 웰(예, BPW), 상기 게이트 산화막이 덮인 상기 게이트 트렌치 내부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형성된 층간절연막, 상기 기판의 에피택셜층의 전면에 형성된 소스 영역을 위한 도핑층의 상면과 상기 층간절연막의 상면을 덮는 소스 전극 및 상기 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SiC Trench Gate MOSFE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게이트 산화막 형성 후 H2 열처리와 SOP(sacrificial oxidation process) 공정이 처리된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SiC는 낮은 고유 캐리어 농도, 높은 절연 파괴 특성, 높은 열전도성과 큰 전자 유동 속도 등 우수한 특성으로 인해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디바이스들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고내압을 실현하기 위한 전력 디바이스로서 SiC의 사용이 검토되고 있으며, 디바이스의 미세화 및 온 저항의 감소를 위하여 트렌치 게이트 구조의 MOSFET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종래의 트렌치 게이트형 MOSFET은 턴 오프 시, 트렌치 내에 위치한 게이트 전극과 에피택셜층 하부의 드레인 전극 사이에 높은 전위차가 유발된다. 이로 인해 게이트 트렌치의 바닥부에 전계가 집중하게 되며, 게이트 산화막 바닥부에는 전계의 집중에 의한 절연 파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게이트 산화막의 바닥부 두께를 측부 두께보다 크게 하여 전계의 집중을 완화하려는 시도가 있어 왔다. 그러나, 열산화 방법의 경우 측부가 바닥부에 비해 높은 산화 경향을 나타내어 바닥부 두께 증가를 위해 산화시간을 증가시키는 경우 측부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진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게이트 트렌치의 형성 후 블랭킷 SiO2막 증착, 에치 백(etch back), 열산화법 등을 적용하여 두꺼운 바닥부를 갖는 트렌치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좀 더 간단한 공정으로 안정적인 게이트 산화막을 갖는 MOSFET 디바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 산화막 형성 후 H2 열처리와 SOP(sacrificial oxidation process) 공정을 처리함으로써 양질의 안정적인 게이트 산화막을 갖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는, SiC 기판(예, 4H-SiC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트렌치를 덮는 게이트 산화막; 상기 게이트 트렌치 영역에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 하부에 형성된 도핑된 웰; 상기 게이트 산화막이 덮인 상기 게이트 트렌치 내부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형성된 층간절연막; 상기 기판의 에피택셜층의 전면에 형성된 소스 영역을 위한 도핑층의 상면과 상기 층간절연막의 상면을 덮는 소스 전극; 및 상기 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산화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성 전에 H2 분위기에서 열처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성 전에,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탄소 캡핑층을 형성하고 Ar 분위기에서 열처리 후 탄소 캡핑층을 제거한 후, 상기 게이트 산화막은, H2 분위기에서 열처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성 전에, 800~1200℃에서 30 ~ 50 분 동안 건식 산화를 수행하는 SOP(sacrificial oxidation process)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산화막이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성 전에 H2 분위기에서 열처리될 때, 상기 열처리에 의해 SiC 계면에서 발생된 탄소 화합물을 상기 SOP 공정에 의하여 산화 또는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성 전에,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TEOS 산화막을 형성하고 NO 분위기에서 열처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에피택셜층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소스 영역의 상기 도핑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좌우로 도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이 N형 에피택셜층을 갖는 기판인 경우, 상기 소스 영역의 도핑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좌우로 p-베이스층 위에 n+ 층과 p+ 층이 옆으로 나란히 인접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은, 소스 영역을 위한 도핑층을 갖는 SiC 기판(예, 4H-SiC 기판)을 상기 소스 영역의 도핑층 보다 더 깊게 식각하여 게이트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트렌치 영역에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 하부에 도핑된 웰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온 주입하는 단계;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산화막 및 층간절연막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에피택셜층의 전면에 형성된 소스 영역을 위한 도핑층의 상면과 상기 층간절연막의 상면을 덮는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배면에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H2 분위기에서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 전에,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탄소 캡핑층을 형성하고 Ar 분위기에서 열처리 후 탄소 캡핑층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800~1200℃에서 30 ~ 50 분 동안 건식 산화를 수행하는 SOP(sacrificial oxidation process)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은, H2 분위기에서 상기 열처리에 의해 SiC 계면에서 발생된 탄소 화합물을 상기 SOP 공정에 의하여 산화 또는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소 화합물은 상기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에서 leaky interfacial layer를 형성해 역방향 누설전류를 일으키며, 상기 SOP 공정에 의하여 상기 역방향 누설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탄소 화합물은 흑연질 탄소층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TEOS 산화막을 형성하고 NO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에피택셜층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소스 영역의 상기 도핑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좌우로 도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이 N형 에피택셜층을 갖는 기판인 경우, 상기 소스 영역의 도핑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좌우로 p-베이스층 위에 n+ 층과 p+ 층이 옆으로 나란히 인접한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는, 게이트 산화막 형성 후 H2 열처리와 SOP(sacrificial oxidation process) 공정이 처리되어 양질의 안정적인 게이트 산화막을 갖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iC에서의 낮은 고유 캐리어 농도, 높은 절연 파괴 특성, 높은 열전도성과 전자 이동도, 낮은 온 저항 등 우수한 특성을 이용해,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미세화, 즉, 셀 피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고내압을 실현하기 위한 전력 디바이스로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단면 구조에 대한 SEM 사진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에서 H2 열처리 전(a)및 그 후(b)의 트렌치 형상에 대한 SEM 사진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에서 SOP 처리한 경우와 아닌 경우에 역방향 바이어스에서 역전류 특성(a)과 항복전압의 특성(b)의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에서 SOP 처리 여부에 따른 투과현미경 관찰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10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1000)의 단면 구조에 대한 SEM 사진의 일례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1000)는, 에피택셜층(222)을 갖는 기판(예, n형 4H-SiC 기판)(200)에 형성된 게이트 트렌치(230)를 덮는 게이트 산화막(240), 게이트 트렌치(230)의 영역에서 게이트 산화막(240) 하부에 형성된 도핑된 웰(예, BPW, bottom p-well)(225), 게이트 산화막(240)이 덮인 게이트 트렌치(230) 내부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250), 게이트 전극(250) 위에 형성된 층간절연막(260), SiC 기판(200)의 에피택셜층의 전면에 형성된 소스 영역을 위한 도핑층(224, 226, 228)의 상면과 층간절연막(260)의 상면을 덮는 소스 전극(270), SiC 기판(200)의 배면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280)을 포함한다.
SiC 기판(200)의 에피택셜층(222)의 전면에 형성된 소스 영역은, 게이트 전극(250)의 좌우로 도핑층(224, 226, 228)을 포함한다.
SiC 기판(200)이 도면과 같이 n형 에피택셜층(222)을 갖는 기판인 경우, 상기 소스 영역의 도핑층(224, 226, 228)은 저농도 p형 도핑층인 p-베이스층(224) 위에 고농도 n형 도핑층인 n+ 층(228)과 고농도 p형 도핑층인 p+ 층(226)이 옆으로 나란히 인접한 층을 포함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1000)의 제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1000)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기판(210)(예, 6 인치 n 형 4o off-axis <0001> 배향된 4H-SiC 기판)에 n형(예, 7 x 1015 cm-3의 농도로 도핑) 에피택셜층(222)을 형성하고, 에피택셜층(222)의 전면에 소스 영역을 위한 도핑층(224, 226, 228)을 형성한 기판(200)을 준비한다(S110). 기판(200)이 도면과 같이 n형 에피택셜층을 갖는 기판인 경우, 소스 영역의 도핑층(224, 226, 228)은 저농도 p형 도핑층인 p-베이스층(224) 위에 고농도 n형 도핑층인 n+ 층(228)과 고농도 p형 도핑층인 p+ 층(226)이 옆으로 나란히 인접한 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p-베이스층(224)과 p+ 층(226)은 Al 이온을 주입하는 것에 의하여, n+ 층(228)은 N(질소) 이온을주입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음에, 소스 영역의 도핑층(224, 226, 228) 보다 더 깊게 식각하여 게이트 트렌치(230)를 형성한다(S120). 예를 들어, PECVD(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장비에 의해 증착된 SiO2를 게이트 전극(250)이 형성될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대해 패턴해 식각 마스크로서 사용하여, 유도 결합 플라즈마(ICP, inductive coupled plasma)를 이용하는 건식 에쳐(dry etcher)를 통해 트렌치(예, 트렌치 깊이 약 2 μm)를 형성할 수 있다. 일예로서, 활성 영역 5 x 5 mm2에 트렌치 셀 피치 6.5 μm로 하여 형성하였다.
다음에, 게이트 산화막(240)을 형성한다(S130). 예를 들어, 게이트 트렌치 측벽과 바닥면이 포함된 전영역에 절연막 SiO2를 50~110 nm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트렌치 측벽상의 게이트 산화막의 두께는 약 80 nm 정도였다.
게이트 트렌치(230) 영역에서 게이트 산화막(240) 하부에는, 예를 들어, Al이온을 주입하여 도핑된 웰(예, BPW)(225)을 형성한다(S140).
도핑된 웰(예, BPW)(225)을 형성한 후, 게이트 산화막(240) 상에 탄소 캡핑층을 형성하고 Ar 분위기에서 1500~1900℃(예, 1700℃) 온도에서 50~70분(예, 60분) 동안 열처리 후 탄소 캡핑층을 O2 플라즈마 애싱(ashing)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S150).
Ar 분위기에서 열처리 후, 이어서 게이트 트렌치(230) 형상을 제어하고 게이트 트렌치(230)의 측벽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1200~1600℃(예, 1400℃)에서 10~30분(예, 20 분) 동안 H2 분위기에서 열처리한다(S160).
또한, 게이트 전극(250)을 형성하기 전에, SOP(sacrificial oxidation process, 희생산화공정) 처리를 진행한다. 예를 들어, 게이트 트렌치(230) 상에 800~1200℃(예, 1000 ℃)에서 30 ~ 50 분(예, 40 분) 동안 건식 산화을 진행할 수 있다. 비교를 위해 SOP 처리하지 않은 샘플도 준비한다.
SOP(sacrificial oxidation process) 처리를 진행한 후, LPCVD(Low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장비에 의해, 예를 들어, 720 ℃에서 TEOS(tetra ethoxysilane)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고 NO 분위기에서 산화 후 열처리, 즉, 800~1200℃(예, 1175 ℃)에서 60 ~ 180 분(예, 120 분) 동안 질화 열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비교를 위해 SOP 처리하지 않은 샘플도 준비한다.
다음에, 게이트 트렌치(230) 내에 금속이나 다결정 Si 등 전도성 물질로 게이트 전극(250)을 형성한다(S180). 예를 들어, CVD 장비 등을 이용해 고농도로 도핑된 n 형 다결정 Si을 적층한 후 패턴하여 게이트 전극(250)을 형성할 수 있다. 게이트 전극(250)의 상면은 에피택셜층(222)의 도핑층(224, 226, 228)의 표면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게이트 전극(250)이 형성된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interlayer dielectric, 260)을 형성한다(S190). 층간절연막(260)은 SiO2 와 같은 절연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게이트 산화막(240) 및 층간절연막(260)을 하나의 마스크로 노광작업을 통해 동시에 패터닝할 수 있다(S200).
다음에는, 금속 등 전도성 물질(예, Ti)로 소스 전극(270)을 형성한다(S210). 예를 들어, 기판(200)의 에피택셜층(222)의 전면에 형성된 소스 영역을 위한 도핑층(224, 226, 228)의 상면과 층간절연막(260)의 상면을 덮는 소스 전극(270)을 형성한다.
이어서, 금속 등 전도성 물질(예, Ni / Ti 합금)로 기판(200)의 배면에 드레인 전극(280)을 형성한다(S220).
여기서, 소스 전극(270), 드레인 전극(280) 형성전에 오믹층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지막으로, 게이트 전극(250), 소스 전극(270), 드레인 전극(280) 각각에 대하여 연결된 입출력 패드 금속은 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1000)에서 H2 열처리 전(a)및 그 후(b)의 트렌치 형상에 대한 SEM 사진의 일례이다.
도 4의 (a)는 게이트 산화막(240) 형성하고 H2 열처리 전의 SEM 사진의 일례이고, 도 4의 (b)는 게이트 산화막(240) 형성하고 H2 열처리 후의 SEM 사진의 일례이다. H2 열처리 후에는 트렌치(230) 상부 및 하부의 모서리가 둥글게 되고, 트렌치(230) 측벽의 표면이 더 매끄러워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1000)에서 SOP 처리한 경우와 아닌 경우에 역방향 바이어스에서 역전류 특성(a)과 항복전압의 특성(b)의 예이다.
도 5의 (a)와 같이, SOP 처리하지 않은 트렌치 MOSFET이 SOP 처리가 진행된 MOSFET에 비해 게이트 역방향 바이어스에서 3 배 더 높은 역방향 누설전류를 가짐을 보여준다. SOP 처리하지 않은 MOSFET의 계면층은 게이트 산화막(240)과 SiC 계면에서 반응하여, 표면층을 화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H2 열처리 공정 동안 탄소 화합물(흑연질 탄소층 등)을 형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SOP 처리 동안 탄소 화합물이 산화 및 제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SOP 처리가 있거나 없는 MOSFET의 항복 전압은 도 5의 (b)와 같이, 800 ~ 900V 사이에서 측정되었다. SOP의 처리는 항복 전압 특성에는 큰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에서 SOP 처리 여부에 따른 투과현미경 관찰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OP(희생산화공정) 처리를 통하여 역방향 누설전류 특성이 개선된 이유를 TEM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SOP 공정이 없었던 소자의 경우 게이트 산화막 계면에 두꺼운 계면층이 관찰됨을 보여준다. 이 계면층은 수소 열처리 이후 게이트 산화막에 대한 공정이 진행되면서 형성되는 층으로 판단되고 leaky interfacial layer(누설 계면층)일 것으로 예상되었다. 기 보고된 결과(Y. Kawada et al., Jpn. J. appl. Phys. 48 (2009), p.116508)에 따르면 1700 ℃ Ar 분위기에서 열처리 시 SiC 표면에 carbon층이 형성될 수 있다고 했고 그 원인으로 고온 SiC 표면에서 Si가 승화되고 남은 carbon이 graphitic carbon 층(흑연질 탄소층)을 형성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마찬가지로 희생산화공정을 진행한 경우 SiC 표면에 남은 graphitic carbon 층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을 것으로 판단되고 희생산화공정이 없는 소자의 트렌치 게이트 산화막 계면에서는 carbon 화합물이 생성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한 전도성이 높은 graphitic carbon이 포함된 계면층을 통하여 높은 누설전류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1000)는, 게이트 산화막(240) 형성 후 H2 열처리와 SOP 공정이 처리되어 양질의 안정적인 게이트 산화막을 갖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iC에서의 낮은 고유 캐리어 농도, 높은 절연 파괴 특성, 높은 열전도성과 전자 이동도, 낮은 온 저항 등 우수한 특성을 이용해,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1000)는, 디바이스의 미세화, 즉, 셀 피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고내압을 실현하기 위한 전력 디바이스로 작동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판(210)
에피택셜층이 형성된 기판(200)
게이트 트렌치(230)
게이트 산화막(240)
웰(예, BPW)(225)
게이트 전극(250)
층간절연막(260)
소스 전극(270)
드레인 전극(280)
p-베이스층(224)
n + 층(228)
p + 층(226)

Claims (20)

  1.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에 있어서,
    SiC 기판에 형성된 게이트 트렌치를 덮는 게이트 산화막;
    상기 게이트 트렌치 영역에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 하부에 형성된 도핑된 웰;
    상기 게이트 산화막이 덮인 상기 게이트 트렌치 내부에 형성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형성된 층간절연막;
    상기 기판의 에피택셜층의 전면에 형성된 소스 영역을 위한 도핑층의 상면과 상기 층간절연막의 상면을 덮는 소스 전극; 및
    상기 기판의 배면에 형성된 드레인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성 전에 H2 분위기에서 열처리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성 전에,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탄소 캡핑층을 형성하고 Ar 분위기에서 열처리 후 탄소 캡핑층을 제거한 후,
    상기 게이트 산화막은, H2 분위기에서 열처리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성 전에, 800~1200℃에서 30 ~ 50 분 동안 건식 산화를 수행하는 SOP(sacrificial oxidation process) 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이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성 전에 H2 분위기에서 열처리될 때, 상기 열처리에 의해 SiC 계면에서 발생된 탄소 화합물을 상기 SOP 공정에 의하여 산화 또는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형성 전에,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TEOS 산화막을 형성하고 NO 분위기에서 열처리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4H-SiC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에피택셜층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소스 영역의 상기 도핑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좌우로 도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N형 에피택셜층을 갖는 기판인 경우, 상기 소스 영역의 도핑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좌우로 p-베이스층 위에 n+ 층과 p+ 층이 옆으로 나란히 인접한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10. 소스 영역을 위한 도핑층을 갖는 SiC 기판을 상기 소스 영역의 도핑층 보다 더 깊게 식각하여 게이트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트렌치 영역에서 상기 게이트 산화막 하부에 도핑된 웰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온 주입하는 단계;
    열처리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트렌치 내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이 형성된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산화막 및 층간절연막을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기판의 에피택셜층의 전면에 형성된 소스 영역을 위한 도핑층의 상면과 상기 층간절연막의 상면을 덮는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배면에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는, H2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하는 단계 전에,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탄소 캡핑층을 형성하고 Ar 분위기에서 열처리 후 탄소 캡핑층을 제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800~1200℃에서 30 ~ 50 분 동안 건식 산화를 수행하는 SOP(sacrificial oxidation process)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H2 분위기에서 상기 열처리에 의해 SiC 계면에서 발생된 탄소 화합물을 상기 SOP 공정에 의하여 산화 또는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화합물은 상기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에서 leaky interfacial layer(누설 계면층)를 형성해 역방향 누설전류를 일으키며, 상기 SOP 공정에 의하여 상기 역방향 누설전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화합물은 흑연질 탄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게이트 산화막 상에 TEOS 산화막을 형성하고 NO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4H-SiC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에피택셜층의 전면에 형성된 상기 소스 영역의 상기 도핑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좌우로 도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N형 에피택셜층을 갖는 기판인 경우, 상기 소스 영역의 도핑층은 상기 게이트 전극의 좌우로 p-베이스층 위에 n+ 층과 p+ 층이 옆으로 나란히 인접한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KR1020200069145A 2019-09-10 2020-06-08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Active KR102330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1654 WO2021049801A1 (ko) 2019-09-10 2020-08-31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JP2022515801A JP7389239B2 (ja) 2019-09-10 2020-08-31 トレンチゲート型SiCMOSFET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17/641,427 US20220336602A1 (en) 2019-09-10 2020-08-31 Trench-gate sic mosfe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12452 2019-09-10
KR1020190112452 2019-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850A true KR20210030850A (ko) 2021-03-18
KR102330787B1 KR102330787B1 (ko) 2021-11-24

Family

ID=7523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145A Active KR102330787B1 (ko) 2019-09-10 2020-06-08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07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142B1 (ko) 2021-12-01 2023-05-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은 항복전압을 갖는 4H-SiC 기반의 트렌치 게이트 트랜지스터
KR20250041730A (ko) * 2023-09-19 2025-03-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은 항복 전압을 갖는 트렌치형 전력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높은 항복 전압을 갖는 트렌치형 전력반도체소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7593A (ja) * 2007-11-06 2009-05-28 Denso Corp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039888A1 (ja) * 2009-10-01 2011-04-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18060924A (ja) * 2016-10-05 2018-04-12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20190052001A (ko) * 2016-09-26 2019-05-15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규소 탄화물 상의 절연 층 및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17593A (ja) * 2007-11-06 2009-05-28 Denso Corp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1039888A1 (ja) * 2009-10-01 2011-04-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20190052001A (ko) * 2016-09-26 2019-05-15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규소 탄화물 상의 절연 층 및 반도체 소자 제조 방법
JP2018060924A (ja) * 2016-10-05 2018-04-12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142B1 (ko) 2021-12-01 2023-05-11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은 항복전압을 갖는 4H-SiC 기반의 트렌치 게이트 트랜지스터
KR20250041730A (ko) * 2023-09-19 2025-03-26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높은 항복 전압을 갖는 트렌치형 전력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높은 항복 전압을 갖는 트렌치형 전력반도체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0787B1 (ko)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9188B2 (en) Trench gate typ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10062759B2 (en)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1764160B (zh) 半导体装置
CN102576723B (zh) 半导体装置及其制造方法
TWI642108B (zh) 半導體裝置之製造方法
JP7103444B2 (ja) 炭化珪素半導体素子
JP2016076553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220246745A1 (en) Silicon Carbide Devices,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s for Forming Silicon Carbide Devices and Semiconductor Devices
JP2024111334A (ja) 半導体装置
JP7141758B2 (ja) U字型ゲートmosfetのトレンチコーナー部酸化物層の厚さを増加させる製造方法
JP2020031157A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炭化珪素半導体装置
CN114759096A (zh) 肖特基二极管器件及其制作方法
KR102330787B1 (ko) 트렌치 게이트형 SiC MOSFET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JP2010034481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JP2009043880A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炭化珪素半導体装置
JP6648852B1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炭化珪素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5037103B2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
JP7389239B2 (ja) トレンチゲート型SiCMOSFET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4627211B2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042225A1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7019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
CN107046059A (zh) 碳化硅半导体元件以及其制造方法
JP202412991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5156506A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9604008A (zh) 一种功率器件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4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6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