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29009A - 의류 먼지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먼지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9009A
KR20210029009A KR1020190110250A KR20190110250A KR20210029009A KR 20210029009 A KR20210029009 A KR 20210029009A KR 1020190110250 A KR1020190110250 A KR 1020190110250A KR 20190110250 A KR20190110250 A KR 20190110250A KR 20210029009 A KR20210029009 A KR 20210029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ir
dust
texture
rol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32604B1 (ko
Inventor
김자연
강석규
김희재
양희수
최사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0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2604B1/ko
Publication of KR20210029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9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2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26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9Details of suction cleaner tools for addition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A47L5/26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3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ols, e.g. vibrators, agitators, bea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먼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는, 원단질감측정센서로 원단의 재질 및 주름의 유형을 측정하고, 측정된 원단의 질감에 따라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흡입 데이터, 회전 데이터, 진동 데이터를 기초로 공기 흡입 강도, 롤러 회전 속도, 진동 강도를 제어하여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의류 먼지 제거 장치{Dust Removal Apparatus For Clothes}
본 발명은, 의류 먼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 방식으로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를 입거나 보관하면, 의류와 접촉하는 물체에 붙어있는 먼지 또는 공기 중의 먼지가 의류에 붙거나 쌓이게 된다.
이렇게 의류에 부착된 먼지는 세탁기 등으로 세탁을 할 수도 있지만, 오염되지 않은 의류를 단순히 먼지 제거를 위해서 세탁하는 것은 의류를 손상시킬 수 있고 세탁기 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간편하게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며, 종래 기술로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일회용 접착 방식 먼지제거기 등이 있다. 이러한 먼지제거기는 끈끈한 접착 부위를 의류에 접촉하여 먼지가 접착 부위에 붙게 함으로써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한다.
그러나,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접착 방식 먼지제거기로 제거하는 경우, 먼지 뿐만 아니라 의류를 구성하는 섬유도 먼지제거기에 붙어서 의류로부터 떨어져 나오므로 의류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염려를 해결하기 위해서 접착 방식이 아닌 흡입 방식의 먼지제거기를 활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선행문헌으로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104870호는 의류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롤러 및 공기의 흡인력을 발생시켜 먼지를 빨아들일 수 있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핸디형 진공청소기를 개시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104870호는 회전하는 롤러를 이용하여 의류 등에 부착된 먼지를 이탈시키고 공기를 흡인하는 힘에 의해서 의류 등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므로, 접착 방식 먼지제거기에 비하여 의류에 부착된 먼지의 제거 효율이 높고 의류의 손상 정도도 적다.
그러나, 의류 등에 부착된 먼지를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의류를 구성하는 원단의 재질 및 원단에 형성된 주름의 유형(이하, 원단의 질감이라 한다) 및 원단의 질감에 따라 먼지의 부착 깊이 또는 강도(이하, 먼지의 유형이라 한다)가 달라지는 것을 고려하여 롤러 및 공기 흡입 장치의 동작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롤러가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털도록 롤러를 작동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공기흡입수단이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하도록 공기흡입수단을 작동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의류에 강하게 부착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는 먼지를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의류로부터 효과적으로 털어내어 제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다양한 소재의 원단으로 구성된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의류의 상태를 고려하면서도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원단의 요철을 감지하여 원단의 질감을 측정하는 원단질감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먼지흡입부,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 상기 공기 유입구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를 포함하여 원단 질감 및 먼지 유형에 따라 상기 공기흡입부의 공기 흡입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단의 질감에 따른 공기 흡입 강도에 관한 흡입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로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흡입부의 공기 흡입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원단의 질감에 따라 진동 강도가 제어되는 진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수단을 포함하는 먼지 집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흡입부가 포함되고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원단 질감 측정 동작, 진동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는,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 주변에 설치되며 원단의 요철을 감지하여 원단의 질감을 측정하는 원단질감측정센서, 상기 공기 유입구 내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브러시를 구비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먼지흡입부,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 상기 공기 유입구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회전부를 포함하여 원단 질감 및 먼지 유형에 따라 상기 롤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단의 질감에 따른 롤러 회전 속도에 관한 회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로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롤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원단의 질감에 따른 공기 흡입 강도에 관한 흡입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로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흡입부의 공기 흡입 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는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는, 상기 롤러와 인접하도록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상기 공기 유입구의 외주연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는, 상기 롤러와 인접하도록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상기 공기 유입구의 외주연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센서지지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지지수단은 상기 롤러와 상기 길이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가로질러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원단 질감 측정 동작, 진동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및 상기 롤러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원단의 질감에 따른 상기 롤러 종류에 관한 롤러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로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롤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흡입부에 부착할 상기 롤러의 종류가 상기 표시수단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는 촉각센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는 탄소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회전부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는 상기 롤러와 원단의 접촉에 따른 상기 모터 부하 전류값을 기초로 원단의 질감을 추가로 측정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발명의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의 질감에 따른 먼지의 유형을 구별하여 롤러의 회전 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의 질감에 따른 먼지의 유형을 구별하여 공기흡입수단의 공기 흡입 강도를 달리함으로써,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질감측정수단으로 촉각센서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의류에 부착된 먼지의 유형을 파악하여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원단질감측정수단의 배치 구조를 달리하여 보다 정확하게 먼지의 유형에 따른 롤러 및 공기흡입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의 질감에 따른 먼지의 유형을 구별하여 의류에 진동을 가해 먼지를 털어낼 수 있어서,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의 질감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먼지 제거 동작을 수행하므로, 다양한 소재의 원단으로 구성된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원단질감측정센서가 촉각센서 및 모터 부하 전류값 변화를 이용하여 원단의 질감을 측정함으로써, 의류의 질감 및 먼지의 유형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의 질감 및 먼지의 유형을 고려해서 자동으로 먼지 제거 동작을 수행하므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동작을 간편한 표시수단을 통해서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결합홀이 형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3은 회전축이 설치된 롤러를 구비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4는 원단질감측정센서가 롤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원단질감측정센서가 센서지지수단에 설치되어 롤러와 접촉하게 배치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원단질감측정센서가 용수철을 구비하는 센서지지수단에 설치되어 롤러와 접촉하게 배치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진동수단을 구비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집진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손잡이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도9의 손잡이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표시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2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저장부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3은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제어부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1)는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먼지흡입부(100), 집진부(200), 손잡이부(300), 공기흡입부(400), 롤러회전부(500), 저장부(600),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먼지흡입부(1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먼지흡입부(100)는 헤드(110), 롤러(120), 원단질감측정센서(140), 진동수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110)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일측으로 흡입되어 타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를 유입하는 공기 유입구(115), 상기 공기 유입구(115)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 될 수 있는 공기 배출구(118), 상기 공기 유입구(115)와 상기 공기 배출구(118)를 연통시키는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헤드(110)는 일부가 절단되어 상기 공기 유입구(115)를 형성하고, 일측에 구멍이 뚫려서 상기 공기 배출구(118)를 형성하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의류에 밀착되면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115)의 외주연은 평평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배출구(118)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헤드(110)의 다른 일측은, 탈부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헤드(110)의 다른 일측은 끼워맞춤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캡(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120)는 의류를 구성하는 원단과 회전 접촉하여 원단에 부착된 먼지를 원단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으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110)의 상기 공기 유입구(115) 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2는 결합홀이 형성된 롤러를 구비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예를 들어,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롤러(120)는 회전 중심축 상에 결합홀(12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구(115) 측의 상기 헤드(110) 내부에서, 상기 롤러(120)의 길이방향 일측의 상기 결합홀(122)에 상기 캡(112)에 형성된 제1 삽입축(124)이 삽입되고, 상기 롤러(120)의 길이방향 다른 일측의 상기 결합홀(122)에 상기 손잡이부(300)에 형성된 제2 삽입축(126)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120)는 상기 제1 삽입축(124) 및 상기 제2 삽입축(126)을 회전축으로 삼아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캡(112)이 탈부착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캡(112)의 탈부착을 통해서 상기 헤드(110)에 탈부착 될 수도 있다.
도3은 회전축이 설치된 롤러를 구비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롤러(120)는 회전 중심축 상에 회전축(128)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입구(115) 측의 상기 헤드(110) 내부에서 상기 롤러(120)의 길이방향 일측의 상기 회전축(128)이 상기 캡(112)에 형성된 캡홀(112-1)에 삽입되고, 상기 롤러(120)의 길이방향 다른 일측의 상기 회전축(128)이 상기 헤드(110)에 형성된 헤드홀(116)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롤러(120)는 상기 회전축(128)이 상기 캡홀(112-1) 및 상기 헤드홀(116)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캡(112)이 탈부착이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캡(112)의 탈부착을 통해서 상기 헤드(110)에 탈부착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롤러(120)의 롤러면은 다수개의 브러시(12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브러시(129)는 상기 롤러(120)의 회전에 의해서 의류 원단과 회전 접촉하여, 원단에 부착된 먼지가 원단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이탈되도록 원단을 쓸어넘길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브러시(129)는 의류 원단의 먼지 제거에 적합하도록 길이 및 두께를 달리할 수 있으며, 원단과의 접촉에 의해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탄소 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탄소 섬유는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지고, 무게가 가벼우며, 정전기 방지 구성 요소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129)가 의류 원단과 접촉하여 원단을 쓸어넘길 수 있도록, 상기 롤러(120)는 상기 롤러면이 상기 헤드(110) 외부로 융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는 상기 헤드(110)가 원단과 접촉할 때 원단의 재질, 원단에 형성된 주름의 깊이나 넓이 등인 주름의 유형 등(이하, 원단의 질감이라 한다)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원단과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110)의 상기 공기 유입구(115) 근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로 측정한 원단의 질감을 기초로 의류의 먼지가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상기 진동수단(170), 상기 공기흡입부(400), 상기 롤러회전부(5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는 종래의 원단의 질감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원단의 질감은 원단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의 형상을 감지해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단에 형성된 요철 마루간의 거리 및 요철 골의 깊이를 감지해서 원단의 재질, 원단에 형성된 주름의 개수 및 깊이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는 물체와 접촉하여 압력을 검출하는 촉각센서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촉각센서는 물체와의 접촉에 의한 압력 및 미세 진동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물체의 요철을 감지할 수 있고, 이렇게 감지한 물체의 요철 정보를 기초로 물체의 질감을 측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는 모터 부하 전류값을 측정하여 원단의 질감을 측정할 수도 있다. 상기 롤러(120)를 회전시키는 상기 롤러회전부(500)가 모터로 구성된 경우, 상기 롤러(120)가 원단과 회전 접촉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따라서 모터 부하 전류값이 달라질 수 있다. 원단의 질감은 원단의 표면 거칠기로 측정할 수 있고, 원단의 표면 거칠기는 상기 롤러(120)와 원단 사이의 마찰력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모터 부하 전류값을 측정하여 원단의 질감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는 의류의 먼지가 효과적으로 제거되도록 상기 헤드(100)에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와 상기 공기 유입구(115) 또는 상기 롤러(120)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에 의해 측정된 원단의 질감이 상기 공기 유입구(115) 또는 상기 롤러(120)와 실제로 접촉하는 원단의 질감과 근사하게 되기 때문이다.
도4는 원단질감측정센서가 롤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는 상기 롤러(120)와 인접하도록 상기 롤러(120)의 회전축과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상기 공기 유입구(115)의 외주연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가 상기 롤러(120)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헤드(110)가 원단과 접촉하여 이동할 때,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에 의해 측정된 원단의 질감과 상기 롤러(120) 및 상기 공기흡입부(400)에 의해서 먼지가 제거되는 원단의 질감이 근사하게 된다.
도5는 원단질감측정센서가 센서지지수단에 설치되어 롤러와 접촉하게 배치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원단질감측정센서가 용수철을 구비하는 센서지지수단에 설치되어 롤러와 접촉하게 배치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도5 및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는 탄성을 가지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센서지지수단(144) 상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지지수단(144)은 상기 롤러(120)와 길이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115)를 가로질러서 상기 헤드(1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지지수단(144)은 상기 헤드(110)와 용수철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센서지지수단(144)이 상기 롤러(120)와 접촉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헤드(110)가 원단과 접촉하여 이동할 때,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에 의해 측정된 원단의 질감과 상기 롤러(120) 및 상기 공기흡입부(400)에 의해서 먼지가 제거되는 원단의 질감이 높은 유사도로 근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지지수단(144)은 탄성 부재 등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센서지지수단(144)에 상기 롤러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롤러면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원단과 접촉할 때 상기 센서지지수단(144)이 상기 롤러면에 가하는 수직항력이 감소하게 되어 상기 롤러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감소하므로, 상기 롤러(12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동수단(170)은 전력을 공급받아 강도가 조절되어 진동하는 공지의 진동 장치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110)에 설치되어 원단과 접촉하는 상기 헤드(110)를 진동시킴으로써 원단에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여 원단에 부착된 먼지를 이탈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진동수단(170)은 압전 소자에 전압을 인가하면 진동하는 종래의 초음파 진동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도7은 진동수단을 구비하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진동수단(170)은 상기 헤드(110)의 내부에서 상기 롤러(120)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110) 및 상기 롤러(12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집진부(2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집진부(200)는 상기 먼지흡입부(100)에 결합이 가능하고, 상기 공기 배출구(118)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하여 먼지를 집진하고 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집진된 먼지의 양을 사용자가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투명한 케이스(case)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진부(200)는 상기 먼지흡입부(10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8은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집진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집진부(200)는 내부가 빈 투명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홀(230), 제2 홀(250)이 형성되고, 공기정화수단(2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230)은 상기 먼지흡입부(100)에 연결되는 상기 집진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이며, 상기 공기 배출구(118)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제1 홀(230)을 통해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홀(250)은 상기 집진부(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집진부(200)에 집진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집진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이다. 상기 제2 홀(250)이 상기 손잡이부(300)에 연결되는 상기 집진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경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손잡이부(30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수단(210)은 상기 제2 홀(250)에 끼워져서 상기 제2 홀(250)을 통해서 유출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종래의 공기 정화 필터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정화수단(210)은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홀(25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집진부(200)에 집진된 먼지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정화수단(210)을 상기 제2 홀(250)에서 빼낸 후 상기 제2 홀(250)을 통해서 집진된 먼지를 꺼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손잡이부(3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9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손잡이부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0은 도9의 손잡이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손잡이부(3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를 조작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손잡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00)는 조작수단(330), 표시수단(340), 전력공급수단(3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집진부(200)와 탈부착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00)가 상기 집진부(200)와 결합된 경우, 상기 제2 홀(25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할 수 있으며 유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일측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수단(330)은 사용자가 소정의 힘으로 가압하거나 만지면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의 전원을 제어하는 명령이 입력되도록 버튼 또는 터치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압하거나 만질 수 있게 상기 손잡이부(300)의 외부 표면에 설치 될 수 있다.
상기 표시수단(340)은 액정, 디스플레이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가 수행중인 동작 등을 사용자가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300)의 외부 표면에 설치될 수 있다.
도11은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표시수단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표시수단(340)은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가 수행중인 원단 질감 측정 동작, 진동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의 종류 및 의류의 먼지를 제거하기에 적합한 상기 브러시(129)를 구비하는 상기 롤러(120)의 종류를 사용자가 시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수단(350)은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종래의 일회용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전력공급수단(350)은 상기 손잡이부(3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공기흡입부(4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상기 공기 유입구(115)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118)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강도를 조절하여 공기 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종래의 임펠러와 모터가 결합된 공기 흡입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상기 공기 배출구(118)로 배출된 공기가 상기 집진부(200)를 통과하도록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공기흡입부(400)는 상기 손잡이부(3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부(300)와 결합된 상기 집진부(200)의 상기 제2 홀(250)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상기 제2 홀(250)에 흡인력을 작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상기 집진부(2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공기정화수단(210)을 통과해서 상기 제2 홀(250)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부(200) 내부의 공기압이 낮아지므로 상기 먼지흡입부(100)의 상기 공기 배출구(118)에 흡인력이 작용하게 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118)로 공기가 배출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공기 배출구(118)로 배출되는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 유입구(115)로 공기가 흡입된다.
이어서, 상기 롤러회전부(5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롤러회전부(500)는 상기 롤러(120)가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120)에 크기를 조절하여 토크(돌림힘)를 가할 수 있으며, 종래의 모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롤러회전부(500)는 상기 캡(112)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120)의 상기 제1 삽입축(124)과 결합할 수 있고, 상기 제1 삽입축(124)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롤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저장부(6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2는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저장부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저장부(600)는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에 구비되는 마이컴(micro computer) 등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저장부(600)는 흡입 데이터(620), 회전 데이터(630), 진동 데이터(640)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의 질감에 따라서 원단에 형성된 요철은 깊이와 넓이 등을 달리하고, 원단에 형성된 요철의 깊이 등에 따라서 요철 사이에 부착되는 먼지의 부착 강도 등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원단의 질감에 따라서 특정 유형의 먼지가 부착될 수 있으므로, 원단의 질감을 기준으로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 데이터(620)는 원단의 질감에 따른 상기 공기흡입부(400)의 공기 흡입 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에 부착된 먼지의 유형에 따라서 먼지를 원단으로부터 이탈시켜서 흡입하기 위한 최소한의 공기 흡입 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필요 이상의 강도로 공기를 흡입하는 경우, 먼지를 원단으로부터 제거할 수는 있겠지만 원단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흡입 데이터(620)는 특정 질감을 가지는 원단에 부착된 특정 유형의 먼지를, 원단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상기 공기흡입부(400)의 공기 흡입 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데이터(630)는 원단의 질감에 따른 상기 롤러(120)의 회전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에 부착된 먼지의 유형에 따라서 상기 롤러(120)로 먼지를 원단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회전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필요 이상의 속도로 상기 롤러(120)를 회전시키는 경우, 먼지를 원단으로부터 이탈시킬 수는 있겠지만 원단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회전 데이터(630)는 특정 질감을 가지는 원단에 부착된 특정 유형의 먼지를, 원단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상기 롤러(120)의 회전 속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진동 데이터(640)는 원단의 질감에 따른 상기 진동수단(170)의 진동 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원단에 부착된 먼지의 유형에 따라서 먼지를 원단으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진동 강도가 달라질 수 있다. 필요 이상의 강도로 원단을 진동시키는 경우, 먼지를 원단으로부터 이탈시킬 수는 있겠지만 원단이 손상되거나 상기 진동수단(170)이 고장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진동 데이터(640)는 특정 질감을 가지는 원단에 부착된 특정 유형의 먼지를, 원단 및 상기 진동수단(170)을 손상하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이탈시킬 수 있는 상기 진동수단(170)의 진동 강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700)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13은 도1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제어부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에 구비되는 마이컴(micro computer) 등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공기흡입부(400), 상기 롤러회전부(500), 상기 진동수단(170), 상기 표시수단(340)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가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된 상기 흡입 데이터(620)를 기초로 상기 공기흡입부(400)가 원단 질감 및 먼지 유형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강도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로 측정되어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된 원단의 질감 정보가 제1 질감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1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데이터(620)를 기초로 상기 공기흡입부(400)가 강도가 조절되어 공기를 흡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가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회전 데이터(630)를 기초로 상기 롤러(120)가 원단 질감 및 먼지 유형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로 측정되어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된 원단의 질감 정보가 제2 질감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2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 데이터(630)를 기초로 상기 롤러회전부(500)을 제어하여 상기 롤러(120)가 회전 속도가 조절되어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가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저장부(600)에 저장된 상기 진동 데이터(640)를 기초로 상기 진동수단(170)이 원단 질감 및 먼지 유형에 따라서 가장 적합한 강도로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로 측정되어 상기 제어부(700)로 전송된 원단의 질감 정보가 제3 질감인 경우,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제3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데이터(640)를 기초로 상기 진동수단(170)이 강도가 조절되어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700)는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의 동작에 관한 정보 및 현재 먼지를 제거중인 원단에 적합한 롤러의 종류 등의 정보가 상기 표시수단(340)에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수단(34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2)는 상기 롤러(120) 및 상기 롤러회전부(500)를 포함하지 않으며, 상기 롤러(120) 및 상기 롤러회전부(50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1)와 동일하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2)는 상기 먼지흡입부(100)가 상기 롤러(120)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헤드(110)에 상기 공기 유입구(11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구(115-1)는 내부에 상기 롤러(120)를 수용하지 않고 공기를 유입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므로, 흡인력에 의해서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공기 유입구(115-1)는 다수개의 슬릿(slit) 형태로 형성되어 원단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1)와 상기 롤러(120) 및 상기 롤러회전부(500)를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므로, 상기 롤러(120) 및 상기 롤러회전부(500)를 제외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300)를 잡고 상기 조작수단(330)을 터치입력하여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 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작동중인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 2)의 상기 먼지흡입부(100)에 형성된 상기 공기 유입구(115)를 의류에 밀착시키면,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가 접촉하는 원단의 질감을 측정하게 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115)로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1)의 경우,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에 의해서 측정된 원단의 질감 및 먼지의 유형을 기초로 상기 롤러(120)의 회전 속도 및 상기 공기흡입부(400)의 공기 흡입 강도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120)의 상기 브러시(129)가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이탈시키며, 상기 공기흡입부(400)가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한다.
한편,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에 의해서 측정된 원단의 질감 및 먼지의 유형에 따라 특정한 상기 롤러(120)가 적합한 경우, 상기 표시수단(340)은 사용자가 상기 롤러(120)를 교체할 수 있도록 특정한 상기 롤러(120)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2)의 경우,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에 의해서 측정된 원단의 질감 및 먼지의 유형을 기초로 상기 공기흡입부(400)의 공기 흡입 강도가 제어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흡입부(400)가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한다.
사용자는 의류에 먼지가 깊게 부착되어 있어 먼지를 털어낼 필요가 있는 경우, 상기 조작수단(330)의 조작으로 상기 진동수단(170)을 작동시켜서 상기 먼지흡입부(100)와 접촉하는 의류에 진동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진동수단(170)은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140)에 의해서 측정된 원단의 질감 및 먼지의 유형을 기초로 진동 강도가 제어되므로,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의류 먼지 제거 장치(1, 2)는 상기 먼지흡입부(100), 상기 집진부(200), 상기 손잡이부(300)가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상기 집진부(200)에 집진된 먼지를 제거하거나 상기 공기정화수단(21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상기 집진부(200)를 상기 의류 먼지 제거 장치(1, 2)로부터 분리하여 먼지 제거 또는 필터 교체 등을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의류 먼지 제거 장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의 질감에 따른 먼지의 유형을 구별하여 롤러의 회전 속도를 달리함으로써,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의 질감에 따른 먼지의 유형을 구별하여 공기흡입수단의 공기 흡입 강도를 달리함으로써,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질감측정수단으로 촉각센서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의류에 부착된 먼지의 유형을 파악하여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원단질감측정수단의 배치 구조를 달리하여 보다 정확하게 먼지의 유형에 따른 롤러 및 공기흡입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의 질감에 따른 먼지의 유형을 구별하여 의류에 진동을 가해 먼지를 털어낼 수 있어서, 의류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효과적으로 털어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의 질감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기초로 먼지 제거 동작을 수행하므로, 다양한 소재의 원단으로 구성된 의류를 손상시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원단질감측정센서가 촉각센서 및 모터 부하 전류값 변화를 이용하여 원단의 질감을 측정함으로써, 의류의 질감 및 먼지의 유형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먼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가 원단의 질감 및 먼지의 유형을 고려해서 자동으로 먼지 제거 동작을 수행하므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의류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동작을 간편한 표시수단을 통해서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의류 먼지 제거 장치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 의류 먼지 제거 장치 100 : 먼지흡입부
110 : 헤드 112 : 캡
112-1 : 캡홀 115, 115-1 : 공기 유입구
116 : 헤드홀 118 : 공기 배출구
120 : 롤러 122 : 롤러홀
124 : 제1 삽입축 126 : 제2 삽입축
128 : 회전축 129 : 브러시
140 : 원단질감측정센서 144 : 센서지지수단
145 : 용수철 170 : 진동수단
200 : 집진부 210 : 공기정화수단
230 : 제1 홀 250 : 제2 홀
300 : 손잡이부 310 : 안착판
320 : 고정돌기 330 : 조작수단
340 : 표시수단 350 : 전력공급수단
400 : 공기흡입부 500 : 롤러회전부
600 : 저장부 700 : 제어부

Claims (20)

  1.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원단의 질감을 측정하는 원단질감측정센서를 포함하는 먼지흡입부;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
    상기 공기 유입구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원단의 질감에 따른 공기 흡입 강도에 관한 흡입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로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흡입부의 공기 흡입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외주연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흡입부로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여 상기 먼지흡입부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구비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원단의 질감에 따른 진동 강도에 관한 진동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로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수단의 진동 강도를 제어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하는 제1 홀, 상기 집진부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와 연결되고, 터치입력에 의해서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포함되어 상기 제2 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원단 질감 측정 동작, 진동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8. 공기 유입구 및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입구 주변에 설치되며 원단의 질감을 측정하는 원단질감측정센서, 상기 공기 유입구 내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브러시를 구비하는 롤러를 포함하는 먼지흡입부;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부;
    상기 공기 유입구로 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롤러회전부;
    원단의 질감에 따른 롤러 회전 속도에 관한 회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로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회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롤러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원단의 질감에 따른 공기 흡입 강도에 관한 흡입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로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흡입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흡입부의 공기 흡입 강도를 제어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흡입부는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일측이 개폐가 가능한 캡으로 구성되어, 상기 캡의 개폐를 통해서 상기 롤러가 탈부착이 가능한, 의류 먼지 제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는,
    상기 롤러와 인접하도록 상기 롤러의 회전축과 평행한 길이방향으로 상기 공기 유입구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는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센서지지수단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지지수단은 상기 롤러와 상기 길이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상기 공기 유입구를 가로질러서 설치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흡입부로 진동 에너지를 전달하여 상기 먼지흡입부를 진동시키는 진동수단을 구비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원단의 질감에 따른 진동 강도에 관한 진동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로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진동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진동수단의 진동 강도를 제어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하는 제1 홀, 상기 집진부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홀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정화수단을 포함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와 연결되고, 터치입력에 의해서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수단을 포함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포함되어 상기 제2 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원단 질감 측정 동작, 진동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및 상기 롤러의 종류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원단의 질감에 따른 상기 롤러 종류에 관한 롤러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로 측정한 원단의 질감에 대응하는 상기 롤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먼지흡입부에 부착할 상기 롤러의 종류가 상기 표시수단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는 촉각센서인, 의류 먼지 제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는 탄소 섬유로 구성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회전부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질감측정센서는 상기 롤러와 원단의 접촉에 따른 상기 모터 부하 전류값을 기초로 원단의 질감을 추가로 측정하는, 의류 먼지 제거 장치.
KR1020190110250A 2019-09-05 2019-09-05 의류 먼지 제거 장치 Active KR102732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250A KR102732604B1 (ko) 2019-09-05 2019-09-05 의류 먼지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0250A KR102732604B1 (ko) 2019-09-05 2019-09-05 의류 먼지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9009A true KR20210029009A (ko) 2021-03-15
KR102732604B1 KR102732604B1 (ko) 2024-11-20

Family

ID=7513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250A Active KR102732604B1 (ko) 2019-09-05 2019-09-05 의류 먼지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2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4152A (zh) * 2021-06-28 2021-09-21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除尘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357A (ko) * 2009-06-09 2012-03-21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청소기 헤드
JP2015192910A (ja) * 2015-07-20 2015-11-05 李 誠晋Lee, Sung Jin 清掃対象物種類による清掃機の清掃効率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80002308A (ko) *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린 장치
JP2018531714A (ja) * 2015-10-27 2018-11-01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Vorwerk & Compagnie Interholding Gesells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真空掃除機の床ノズ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7357A (ko) * 2009-06-09 2012-03-21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청소기 헤드
JP2015192910A (ja) * 2015-07-20 2015-11-05 李 誠晋Lee, Sung Jin 清掃対象物種類による清掃機の清掃効率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8531714A (ja) * 2015-10-27 2018-11-01 フォルヴェルク・ウント・ツェーオー、インターホールディング・ゲーエムベーハーVorwerk & Compagnie Interholding Gesells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真空掃除機の床ノズル
KR20180002308A (ko) *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클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14152A (zh) * 2021-06-28 2021-09-21 欣旺达电动汽车电池有限公司 除尘装置
CN113414152B (zh) * 2021-06-28 2024-04-30 欣旺达动力科技股份有限公司 除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2604B1 (ko) 202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349968A1 (en) Floor cleaning machine
CN109890258A (zh) 具有抽吸的多模式清洁设备
CN104602584B (zh) 用于运行硬表面抽吸设备的方法和硬表面抽吸设备
TWI711422B (zh) 自走式電動清掃機
JPH03244420A (ja) アップライト型掃除機
JP6560921B2 (ja) 電気掃除機
KR100779052B1 (ko) 진공 청소기용 장치
JP2012245318A (ja) 掃除機
JP2011030668A (ja) 電気掃除機
JP2017074258A (ja) 吸口及びそれを用いた自律走行型掃除機
KR20210029009A (ko) 의류 먼지 제거 장치
JP2011229728A (ja) 電気掃除機
JP2017140203A (ja) 電気掃除機
JP2004347469A (ja) ダストモニタ
JP5777545B2 (ja) 電気掃除機
JP7472833B2 (ja) 電気掃除機システム
JP2007319353A (ja) 電気掃除機
JP2021069482A (ja) 電気掃除機
JP7511520B2 (ja) 電気掃除機
JP2011172746A (ja) 電気掃除機
JP2004135958A (ja) 電気掃除機
JP2019084097A (ja) 自律走行型電気掃除機
KR102313294B1 (ko) 청소기
JP2011172747A (ja) 電気掃除機
JP5445793B2 (ja) 研磨揚送リ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9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9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