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6595A -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 Google Patents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6595A KR20210026595A KR1020190107598A KR20190107598A KR20210026595A KR 20210026595 A KR20210026595 A KR 20210026595A KR 1020190107598 A KR1020190107598 A KR 1020190107598A KR 20190107598 A KR20190107598 A KR 20190107598A KR 20210026595 A KR20210026595 A KR 202100265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bot
- transmission module
- obstacle
- sensor
- mo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7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9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549 tr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10000002569 neuron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058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225 synaps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5 data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46 synap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7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 G05D1/02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signals provided by a source external to the vehicle using a RF sign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25J9/166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7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safety, monitoring, diagnostic
- B25J9/1676—Avoiding collision or forbidden zo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1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 accordance with safety or protection criteria, e.g. avoiding hazardous area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3—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speed control of the vehicle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Manipulator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의 제어모듈의 세부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자 추종 모드 및 관리자 모드에서의 로봇의 동작 과정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관리자 송신모듈을 추종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고객용 송신모듈의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송신모듈을 추종하여 얼라인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7은 관리자 송신모듈(500)을 향해 로봇들이 이동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로봇이 관리자 송신모듈을 추종하는 과정에서 장애물을 회피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로봇이 장애물을 회피하여 이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송신모듈과의 거리와 중앙선 각도의 관계를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 센서가 주변의 사물을 촬영하여 로봇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AI 서버의 구성을 보여준다.
로봇과의 거리 범위 | angle_range |
1m 이내 | 45도 이하 |
1m~2m | 30도 이하 |
2m~3m | 20도 이하 |
3m 이상 | 10도 이하. |
120: 핸들 어셈블리 150: 제어모듈
190: 이동부 210: 측위센서
220: 장애물 센서 240: 포스센서
250: 제어부 260: 카메라 센서
700: 인공지능 서버
Claims (20)
- 송신모듈을 센싱하여 상기 송신모듈의 위치를 산출하는 측위센서;
로봇 주변의 장애물을 센싱하는 장애물 센서;
상기 로봇을 이동시키는 이동부; 및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측위센서가 산출한 송신모듈의 위치를 향해 상기 로봇을 얼라인 시킨 후 상기 장애물 센서가 센싱한 장애물을 회피하여 상기 로봇을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송신모듈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송신모듈과 로봇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로봇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모듈과 상기 로봇의 중앙선이 이루는 중앙선 각도의 절대값 크기에 따라 상기 로봇을 회전하여 상기 로봇이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로봇.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선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를 비교하여 상기 로봇의 회전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기준 각도는 상기 로봇과 상기 송신모듈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감소하는,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센서는 상기 송신모듈과 상기 로봇의 이동 경로 사이에 배치된 장애물을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장애물을 회피하여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 또는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로봇.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센서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장애물을 제2로봇으로 판단하여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 또는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의 주변의 사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센서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모듈과 상기 로봇 사이에 제2로봇이 배치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2로봇의 이동 속도와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와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로봇.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상기 제2로봇을 판별하는 인공지능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카메라 센서가 촬영한 이미지 내에서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해 이동하는 제2로봇과 그렇지 않은 제3로봇을 구별하고,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해 이동하는 제2로봇과 로봇이 아닌 장애물을 구별한 결과를 산출하는,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로봇.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뎁스 카메라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뎁스 카메라 센서가 생성한 거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미지 내의 제2로봇이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해 이동하는 로봇인지를 판단하는,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로봇.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관리자 모드의 로봇을 제어하는 제1송신모듈이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추종 모드를 지시하는 제2송신모듈로부터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제2송신모듈이 상기 로봇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을 상기 관리자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로봇이 상기 제1송신모듈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송신모듈을 추종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로봇.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의 크기와 상기 로봇에서 상기 측위 센서가 배치된 위치 및 상기 제2송신모듈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제2송신모듈이 상기 로봇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로봇.
- 로봇의 측위 센서가 송신모듈을 센싱하여 상기 송신모듈의 위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로봇의 제어부는 상기 송신모듈의 위치를 향해 로봇을 얼라인 시키는 단계;
상기 로봇의 장애물 센서가 상기 로봇 주변의 장애물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 센서가 센싱한 장애물을 회피하여 상기 로봇을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해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모듈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송신모듈과 로봇 사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인 경우 상기 로봇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신모듈과 상기 로봇의 중앙선이 이루는 중앙선 각도의 절대값 크기에 따라 상기 로봇을 회전하여 상기 로봇이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앙선 각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각도를 비교하여 상기 로봇의 회전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준 각도는 상기 로봇과 상기 송신모듈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감소하는,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센서는 상기 송신모듈과 상시 로봇의 이동 경로 사이에 배치된 장애물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에 기반하여 상기 장애물을 회피하여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 또는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물 센서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장애물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상기 장애물을 제2로봇으로 판단하여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 또는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의 카메라 센서가 상기 로봇 주변의 사물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센서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송신모듈과 상기 로봇 사이에 제2로봇이 배치된 것을 확인하면 상기 제2로봇의 이동 속도와 이동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로봇의 이동 속도와 상기 로봇의 이동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봇의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카메라 센서가 촬영한 이미지 내에서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해 이동하는 제2로봇과 그렇지 않은 제3로봇을 구별하고,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해 이동하는 제2로봇과 로봇이 아닌 장애물을 구별한 결과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센서는 뎁스 카메라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모듈은 상기 뎁스 카메라 센서가 생성한 거리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미지 내의 제2로봇이 상기 송신 모듈을 향해 이동하는 로봇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관리자 모드의 로봇을 제어하는 제1송신모듈이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추종 모드를 지시하는 제2송신모듈로부터 신호가 감지되지 않거나 상기 제2송신모듈이 상기 로봇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을 상기 관리자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로봇이 상기 제1송신모듈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1송신모듈을 추종하여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로봇의 크기와 상기 로봇에서 상기 측위 센서가 배치된 위치 및 상기 제2송신모듈의 위치를 계산하여 상기 제2송신모듈이 상기 로봇의 내부에 배치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7598A KR20210026595A (ko) | 2019-08-30 | 2019-08-30 |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
US16/838,499 US11635759B2 (en) | 2019-08-30 | 2020-04-02 | Method of moving robot in administrator mode and robot of implement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07598A KR20210026595A (ko) | 2019-08-30 | 2019-08-30 |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6595A true KR20210026595A (ko) | 2021-03-10 |
Family
ID=74679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7598A Pending KR20210026595A (ko) | 2019-08-30 | 2019-08-30 | 로봇이 관리자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635759B2 (ko) |
KR (1) | KR20210026595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09393A1 (ko) * | 2019-04-08 | 2020-10-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파워 어시스트 기능을 갖는 카트의 핸들 어셈블리 및 카트 |
US12103773B2 (en) | 2020-10-19 | 2024-10-01 | Gideon Brothers d.o.o. | Dynamic traversal protocol selection by autonomous robots in a facility context |
CN113733103B (zh) * | 2021-10-09 | 2023-05-30 | 深圳优艾智合机器人科技有限公司 | 工业机器人的控制方法、控制装置、系统及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593811B2 (en) * | 2005-03-31 | 2009-09-22 | Deere & Company | Method and system for following a lead vehicle |
EP2021823A1 (en) * | 2006-05-17 | 2009-02-11 | Your Shadow Technologies Pty Ltd | Robotic golf caddy |
US10017201B2 (en) * | 2014-02-12 | 2018-07-10 | Tecneva S.R.L. | Control system of a self-moving cart, in particular a golf caddie |
AU2016340062B2 (en) * | 2015-10-16 | 2021-03-25 | Lemmings LLC | Robotic golf caddy |
KR101783890B1 (ko) * | 2016-01-25 | 2017-10-11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동 로봇 시스템 |
US10906185B2 (en) * | 2017-02-06 | 2021-02-02 | Cobalt Robotics Inc. | Mobile robot with arm for access point security checks |
JP6734607B2 (ja) * | 2017-05-11 | 2020-08-05 | Groove X株式会社 | ロボット、携帯品及びロボット制御プログラム |
US11160340B2 (en) * | 2017-07-10 | 2021-11-02 | Travelmate Robotics, Inc. | Autonomous robot system |
-
2019
- 2019-08-30 KR KR1020190107598A patent/KR20210026595A/ko active Pending
-
2020
- 2020-04-02 US US16/838,499 patent/US11635759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064035A1 (en) | 2021-03-04 |
US11635759B2 (en) | 2023-04-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02239B1 (ko) | 이동 제한 구역에서 카트로봇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카트로봇 | |
US11673269B2 (en) | Method of identifying dynamic obstacle and robot implementing same | |
KR102284509B1 (ko) | 충전 로봇 및 그 제어방법 | |
US10376117B2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programming and training of robotic household appliances | |
US20210405646A1 (en) | Marker, method of moving in marker following mode, and cart-robot implementing method | |
KR102220564B1 (ko) | 멀티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구현하는 로봇 | |
US11097416B2 (en) | Mobile robot system, mobile robo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robot system | |
KR102693610B1 (ko) | 로봇의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US11858148B2 (en) |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EP3788452B1 (en) | Method for determining self-driving vehicle behavior models, a self-driving vehicle, and a method of navigating a self-driving vehicle | |
US12085951B2 (en) | Method of updating map in fusion SLAM and robot implementing same | |
KR102615685B1 (ko) | 멀티 센서를 동기화시켜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 |
KR102300574B1 (ko) | 사용자 신체 특성을 반영하여 파워 어시스트 모드로 이동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카트로봇 | |
KR102771778B1 (ko) | 인공지능 이동 로봇 | |
US20210402600A1 (en) | Method of tracking user position using crowd robot, tag device, and robot implementing thereof | |
KR20210037419A (ko) | 이동 로봇 | |
US11467598B2 (en) | Method of estimating position in local area of large space and robot and cloud server implementing thereof | |
US11635759B2 (en) | Method of moving robot in administrator mode and robot of implementing method | |
KR102810099B1 (ko) |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US11537137B2 (en) | Marker for space recognition, method of moving and lining up robot based on space recognition and robot of implementing thereof | |
KR102837653B1 (ko) | 대면적의 공간에서 로컬 영역별로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과 클라우드 서버 | |
US20250051113A1 (en) | Transport robot | |
EP4574345A1 (en) | Robot | |
WO2020203341A1 (ja) |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KR20250024775A (ko) | 장애물 인식 방법 및 주행로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