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25340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340A
KR20210025340A KR1020190105253A KR20190105253A KR20210025340A KR 20210025340 A KR20210025340 A KR 20210025340A KR 1020190105253 A KR1020190105253 A KR 1020190105253A KR 20190105253 A KR20190105253 A KR 20190105253A KR 20210025340 A KR20210025340 A KR 20210025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terminal
voice service
base station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주영
황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5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340A/ko
Priority to US16/987,860 priority patent/US11432113B2/en
Priority to EP20192663.1A priority patent/EP3787361A1/en
Priority to CN202010873519.6A priority patent/CN112449431B/zh
Publication of KR2021002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340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73Predicting channel quality or other radio frequency [RF]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2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using signal quality detector
    • H04L1/203Details of error rate determination, e.g. BER, FER or 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04W36/0069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using simultaneous multiple data streams, e.g. cooperative multipoint [CoMP], carrier aggregation [CA] o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 H04W72/0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단말에게도 개선된 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향링크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 BASE ST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단말에게도 개선된 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향링크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단말에게도 개선된 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향링크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하였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본 발명에서는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단말에게도 개선된 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향링크 자원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방법은 단말의 음성 서비스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슬롯 어그리게이션(slot aggregation)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기지국은 송수신부 및 단말의 음성 서비스 지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슬롯 어그리게이션(slot aggregation)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단말에게도 개선된 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향링크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a 내지 도 2cb는 5G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슬롯 어그리게이션(slot aggregatio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채널 환경에 따라 제1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채널 환경을 측정하고 UL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제1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 할당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의 확보를 시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slot aggregation의 설정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slot aggregation 설정을 off하기로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의 설정의 유지 또는 변경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100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음성 서비스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단말의 능력(capability) 정보에 기반하여, 보이스/비디오 오버(voice/video over) 뉴 라디오(new radio) (이하, VoNR)를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하 NR 혹은 5G)의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NR gNB 혹은 NR 기지국)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은 상기 5G 시스템에서 운영하는 주파수 대역이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LTE 시스템에서 운영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단계 S110에서,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슬롯 어그리게이션(slot aggregation)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supplementary uplink (SUL) 전송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스펙트럼 쉐어링(Spectrum sharing)의 운용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상기 Supplementary Uplink (SUL)의 운용은 전파의 전달 거리 감소로 인한 셀 반경 축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NR 시스템은 NR을 운용하는 별도의 하향링크/상향링크 밴드 (FDD 시스템의 경우) 또는 NR을 운용하는 TDD 밴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종래 4G 시스템과 상향링크를 공유할 있다. 따라서, NR 시스템 관점에서 4G 시스템과 공유하는 상향링크는 부가적인 상향링크로 볼 수 있으며, 이러한 부가적인 상향링크를 SUL로 명명한다. SUL은 NR 밴드에 비해 낮은 중심 주파수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SUL을 이용하여 NR 시스템의 상향링크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UL에서는 NR 시스템의 시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의 주파수 대역과 LTE 시스템의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의 주파수 대역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NR 시스템의 TDD에 따른 주파수 대역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15kHz~120kHz 범위일 수 있다. 그리고 LTE 시스템의 FDD에 따른 주파수 대역은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15kHz 범위일 수 있다.
물리적 상향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 대해서는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서 전송 시간 인터벌(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 단위로 NR UL/SUL를 운영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동시에 NR UL/SUL를 운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단말은 NR UL/SUL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전송할 수 있다.
물리적 상향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에 대해서는 기지국은 RRC 메시지를 통해 NR UL/SUL 캐리어를 선정해서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사운딩 레퍼런스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에 대해서는 기지국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서 TTI 단위로 NR UL/SUL를 운영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동시에 NR UL/SUL을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한지 여부에 대해 capability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편, 스펙트럼 쉐어링(Spectrum sharing)은 NR 주파수 대역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에게 LTE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를 할당할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게 스펙트럼 쉐어링의 운용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제2 주파수 대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lot aggregation은 기지국이 단말로 한 개의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연속된 상향링크 슬롯에서 동일 위치에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단말이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을 설정하여, 2개, 4개 또는 8개의 연속적인 슬롯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연속하여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lot aggregation에 대한 설정은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RRC 메시지에 상기 slot aggregation에 대한 필드(또는 information element, IE)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 slot aggregation을 설정하지 않고, 동일한 데이터를 한번만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SUL을 이용하여 제2 주파수 대역에서 slot aggregation 필드에 대해 몇 개의 슬롯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VoNR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인 경우, SUL을 이용하여 NR 시스템에서 운용하는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slot aggregation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설정에 따른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VoNR 서비스를 지원할 수 없는 단말인 경우에는, SUL에 대한 설정만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단계 S12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메시지를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를 이용하여 NR 시스템에서 운용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cb는 5G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2a는 LTE 셀과 5G 셀이 공존하여 듀얼 커넥티비티(dual connectivity) 또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으로 결합되어 있는 공존 시스템인 논-스탠드어론(non-standalone, NSA) 형태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말(200)은 gNB(210)로 NR 하향링크 신호(downlink, DL) 신호 및 NR 상향링크 신호(uplink, UL)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5G RU(radio unit)(215)는 단말(200)로부터 데이터 또는 보이스 UL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gNB(21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5G RU(215)는 gNB(200)로부터 수신된 DL 신호를 상기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eNB(220)와 LTE DL 신호 및 LTE UL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4G RU(225)은 상기 단말(200)로부터 데이터 또는 보이스 UL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eNB(22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4G RU(225)는 eNB(220)로부터 수신된 LTE DL 신호를 상기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NSA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인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200)이 약전계에 존재하면, 커버리지 보틀넥(coverage bottle neck)으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보이스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단말(200)은 규격상 LTE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본원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술한 설정에 의해, SUL이 설정된 단말(200)이 slot aggregation에 따라 연속된 슬롯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면, 4G RU(225)는 SUL 신호를 gNB(210)로 전달한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탠드 어론(stand-alone)의 5G 시스템에서는, SUL이 설정된 단말(200)이 slot aggregation에 따라, 제2 주파수 대역을 통해 연속된 슬롯에서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면, SUL RU(217)가 SUL 신호를 gNB(210)로 전달한다.
도 2ca 및 도 2cb는 NR-NR DC(dual connectivity)의 5G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UL RU(217)가 MCG(master cell group)로 동작하는 gNB(230)로 SUL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도 2cb에 도시된 바와 같이, SUL RU(217)가 SCG(secondary cell group)로 동작하는 gNB(240)로 SUL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는 슬롯 어그리게이션(slot aggregatio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lot aggregation은 기지국이 단말로 한 개의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연속된 상향링크 슬롯에서 동일 위치에 동일한 자원을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단말이 전송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을 설정하여, 2개, 4개 또는 8개의 연속된 슬롯을 통해 동일한 데이터를 연속하여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기 slot aggregation에 대한 설정은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RRC 메시지에 상기 slot aggregation에 대한 필드(또는 information element, IE)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한 단말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 slot aggregation을 설정하지 않고, 동일한 데이터를 한번만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은 VoNR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 대해 slot aggregation을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NR의 TDD 주파수에서는 VoNR을 이용하는 단말로 상기 VoNR 데이터에 대한 UL grant가 전송되어도, 연속된 UL 슬롯의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SUL에 의해 제2 주파수 대역에서 slot aggregation을 설정할 수 있다. Slot aggregation이 설정되면, ,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은 연속된 UL slot의 동일 위치에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2개, 4개 또는 8개의 연속된 UL slot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채널 환경에 따라 제1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도 4의 단계 S400에서, 기지국은 NR 단말에 대해 채널 환경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채널 환경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이 약전계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블록 에러율(block error rate, BLER), 모듈레이션 및 코딩 레이트(modulation and coding rate, MCS) 및 최대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이 약전계에 존재하는지 (예를 들면, 약전계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기지국은 상기 측정된 채널 환경에 기반하여, 제2 주파수 대역에서 UL을 할당 받을 필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에 대한 BLER은 임계값 이상이고, MCS 및 최대 TBS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약전계 단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에 대한 BLER은 0.1% 이상이고, MCS는 2 미만이며, TBS가 48미만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약전계 단말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BLER, MCS 및 TBS에 대한 조건을 모두 확인하지 않아도, 상기 조건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단말에 대해 약전계 단말이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약전계로 판단된 단말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UL을 할당 받을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UL을 할당 받을 필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470으로 진행하여, 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말에 대해 UL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이 약전계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제2 주파수 대역에서 UL을 할당 받을 필요가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NR 시스템이 운용하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말에 대해 UL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UL을 할당 받을 필요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S420에서, 기지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이 약전계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과 관련된 최대 TBS 값과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에 대한 버퍼 상태 보고 (buffer state report, BSR) 값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게 할당해야 하는 RB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최대 TBS 값과 상기 BSR 값 중에서 작은 값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게 필요한 RB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계산된 RB만큼의 자원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S43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UL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에 대해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해 SUL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440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VoNR 서비스를 이용하는 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결과, 상기 단말이 VoNR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470으로 진행하여, 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말에 대해 UL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VoNR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계 S450에서 기지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 확보를 시도할 수 있다. 약전계 단말에 대해 VoNR 서비스의 통화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약전계 단말이 VoNR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가용 자원의 확보를 시도할 수 있다. 가용 자원을 확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단계 S460에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430으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UL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에 대해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RRC 메시지로 수신한 설정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slot aggregation에 따라, 기 설정된 개수의 슬롯에서 연속된 U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개수는 2개, 4개 또는 8개일 수 있다. 상기 2개, 4개 또는 8 개등의 슬롯의 개수를 지칭하는 기 설정된 개수는 이하에서는 운영값이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460에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470에서 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말에 대해 UL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채널 환경에 따라 제1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500에서,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단말에 대해 채널 환경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SUL 설정에 따라 LTE 시스템에서 운용하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NR 단말에 대해 채널 환경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약전계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단말에 대한 블록 에러율(block error rate, BLER), 모듈레이션 및 코딩 레이트(modulation and coding rate, MCS) 및 최대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 TBS)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단말이 약전계에 존재하는지 (예를 들면, 약전계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상기 기지국은 측정된 채널 환경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을 할당 받을 필요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에 대한 BLER은 임계값 미만이고, MCS 및 최대 TBS에 대한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약전계 단말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약전계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단말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UL을 할당 받을 필요가 있다고 판단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을 할당 받을 필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560으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말에 대해 UL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이 약전계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제1 주파수 대역에서 UL을 할당 받을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SUL을 계속하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을 할당 받을 필요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S52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이 약전계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과 관련된 최대 TBS 값과 상기 단말이 요청하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에 대한 버퍼 상태 보고 (buffer state report, BSR) 값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게 할당해야 하는 RB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최대 TBS 값과 상기 BSR 값 중에서 작은 값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게 필요한 RB를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계산된 RB만큼의 자원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S53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UL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에 대해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540에서, 기지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 확보를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약전계 단말이 VoNR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SUL에서의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은 더 이상 약전계 단말이 아닌 단말에 대해 제1 주파수 대역에서 UL 데이터의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약전계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어 NR 시스템에서 UL 자원을 할당 받은 단말이라도, SUL로 서비스 받을 필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가용 자원의 확보를 시도할 수 있다. 가용 자원을 확보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후술한다.
단계 S55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가용 자원의 확보 시도 결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30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UL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단말에 대해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용 자원의 확보 시도 결과, 여전히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560으로 진행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말에 대해 UL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의 채널 환경을 측정하고 UL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기지국은 각 단말에 대해서 주기적으로 도 6에서 설명하는 순서에 기반하여 단말에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 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먼저, 단계 S600에서, 기지국은 단말에 대해 PUSCH를 수신한 후에 상기 단말의 MCS및 PHR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MCS 및 PHR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61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해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이 할당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NR 주파수 대역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해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 있는 경우, 단계 S62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음성 서비스 이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VoNR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인지를 해당 단말에 개설된 베어러(bearer) 의 타입(type)을 나타내는 5qi가 1 (예를 들면, LTE에서는 QCI 1이 VoNR임)인 것을 확인하여, 상기 단말의 음성 서비스 이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VoNR 이용 단말이 아닌 경우, 단계 S630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UL BLER이 임계값을 초과하고, MCS가 임계값 미만이며,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인 조건이 연속적으로 n번 이상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630에서의 UL BLER 임계값, MCS 임계값 및 최대 TBS 임계값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을 할당 받기 위한 진입(in) 임계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해 UL BLER이 임계값을 초과하고, MCS가 임계값 미만이며,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인 세가지 조건이 모두 만족하는 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 이상 반복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640에서, 단계 S630의 조건들이 연속적으로 n번이상 만족하는 경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계 S630의 조건들이 연속적으로 n번 이상 반복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이 약전계 단말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n번 이상 반복하여 상기 조건들이 만족되는바, 상기 단말이 임계 시간 이상 약전계 환경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해 SUL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630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66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해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계속하여 상기 단말에 대해 NR UL grant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620에서 상기 단말이 VoNR 이용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650에서, 기지국은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VoNR의 품질은 MAC 레벨의 품질에 대해서는 VoNR 콜의 BLER 및 재전송 횟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레벨에서는, 상기 VoNR의 품질은 상기 VoNR 콜의 지연(latency)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판단결과,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고(단계 S640), 아닌 경우에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단계 S660)
예를 들어, 상기 VoNR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단말에 대한 VoNR 서비스의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해 SUL을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VoNR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인 경우, SUL을 이용하여 NR 시스템에서 운용하는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slot aggregation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VoNR을 이용하는 단말에 대해 SUL을 설정하면, 단말은 slot aggregation 설정에 따라 UL VoNR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610의 판단결과,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해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이 SUL 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단계 S670에서 기지국은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이 VoNR과 같은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단계 S690에서,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판단결과,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단계 S640).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680에서 상기 단말에 대한 UL BLER이 임계값 미만이고, MCS가 임계값을 초과하며, 최대 TBS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조건이 연속적으로 n번 이상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680의 UL BLER 임계값, MCS 임계값 및 최대 TBS 임계값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진출하기 위한 진출(out) 임계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계 S630에서의 UL BLER 임계값, MCS 임계값 및 최대 TBS 임계값과 같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을 할당 받기 위한 진입(in) 임계값과 상기 단계 S680의 의 UL BLER 임계값, MCS 임계값 및 최대 TBS 임계값과 같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진출하기 위한 진출(out) 임계값은 상이하다.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진출입 임계값을 다르게 설정하는 이유는, 핑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in 임계값과 out 임계값이 동일하다면, 임계값 경계 근처에 해당하는 채널 환경에서 기지국은 NUL 및 SUL에서의 자원 할당을 연속적으로 반복하게 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진입하기 위한 진입(in) 임계값과 진출하기 위한 진출(out) 임계값이 상이하게 설정된다.
판단 결과, 단계 S680의 조건들이 연속적으로 n번이상 만족하는 경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단계 S660) 예를 들면, 상기 조건들이 연속적으로 n번 이상 반복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채널 환경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해 NR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대역에서 UL grant를 할당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단계 S680의 조건들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단계 S640). 이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단말이 VoNR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인 경우, SUL을 이용하여 NR 시스템에서 운용하는 제1 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slot aggregation을 이용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정을 포함하는 RRC 메시지를 전송하였으므로, VoNR을 이용하는 단말은 slot aggregation을 이용하여 SUL에서 UL VoNR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VoNR을 이용하고 있지 않은 단말은 SUL에서 다른 일반적인 U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제1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현재 단말에 대한 자원 할당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700에서, 기지국은 기 설정된 주기마다 신규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량(usage)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주기는 1s 또는 1ms일 수 있다. 신규 PRB usage는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추가로 할당되는 단말에 대한 PRB usage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과 관련된 최대 TBS 값과 상기 말이 요청하는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에 대한 버퍼 상태 보고 (buffer state report, BSR) 값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게 필요한 RB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최대 TBS 값과 상기 BSR 값 중에서 작은 값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게 필요한 RB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하기의 수학식 1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전체 PRB 량에 대한 상기 계산된 단말에게 필요한 RB량에 마진(margin)을 적용하여, 신규 PRB usage를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때, 상기 margin 값은 0이상 1이하일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상기 기지국은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평균 PRB usage와 상기 계산된 신규 PRB usage의 합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임계값은 0.9(90%)일 수 있다. 기지국은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 주기적으로 평균 PRB usage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신규 PRB usage는 순시적인 트래픽량을 기준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기존 평균 PRB usage와 동등하게 합산하기 위해서는 margin 값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판단 결과,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단계 S72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임계값이 0.9(90%)인 경우에는,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의 평균 PRB usage와 상기 계산된 신규 PRB usage를 합산하여도 PRB의 usage가 90% 미만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을 단말에게 할당할 여유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임계값이 미만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S73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하는 제1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 할당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제1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계산되고,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해서 각각 따로 계산될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의 확보를 시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의 확보를 시도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단계 S800에서 기지국은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단말에 대해, 단말의 채널 환경이 좋은 순서대로 나열하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SUL에서 VoNR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채널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환경은 단말에 대한 NR DL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NR signal to noise ratio (SNR) 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81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리스트에서 제1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리스트에서 채널 환경이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된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820에서 상기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PRB usage에서 상기 제1 단말의 PRB usage를 차감하여, PRB usage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의 PRB usage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체 PRB 량에 대한 상기 제1 단말에 할당된 RB의 비율에 대해 마진(margin)을 적용한 값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이때, 상기 margin 값은 0이상 1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환경이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된 제1 단말에 대해, NR UL grant를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SUL에서 상기 제1 단말의 PRB usage를 차감하여, PRB usage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S83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업데이트된 PRB usage와 신규 PRB usage의 합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규 PRB usage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추가로 할당될 단말에 대한 PRB usage일 수 있다. 상기 신규 PRB usage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업데이트된 PRB usage와 신규 PRB usage의 합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단계 S84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업데이트된 PRB usage와 신규 PRB usage의 합이 임계값 미만이 아닌 경우, 단계 S85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리스트에 단말이 더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에 단말이 더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계 S810부터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스트에 단말이 더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86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의 확보를 시도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S900에서 기지국은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단말에 대해, 단말의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순서대로 나열하는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NR 시스템에서 VoNR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채널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환경은 단말에 대한 NR DL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또는 NR signal to noise ratio (SNR) 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단계 S91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리스트에서 제1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리스트에서 채널 환경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920에서 상기 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PRB usage에서 상기 제1 단말의 PRB usage를 차감하여, PRB usage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말의 PRB usage는, 전술한 수학식 2와 같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의 전체 PRB 량에 대한 상기 제1 단말에 할당된 RB의 비율에 대해 마진(margin)을 적용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채널 환경이 가장 나쁜 것으로 판단된 제1 단말에 대해, SUL을 할당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NR에서 상기 제1 단말의 PRB usage를 차감하여, PRB usage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S93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업데이트된 PRB usage와 신규 PRB usage의 합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신규 PRB usage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추가로 할당될 단말에 대한 PRB usage일 수 있다. 상기 신규 PRB usage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학식 1에 따라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업데이트된 PRB usage와 신규 PRB usage의 합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단계 S94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업데이트된 PRB usage와 신규 PRB usage의 합이 임계값 미만이 아닌 경우, 단계 S95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리스트에 단말이 더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에 단말이 더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계 S910부터의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스트에 단말이 더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S96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slot aggregation의 설정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slot aggregation의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먼저, 단계 S1000에서,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이 설정되지 않고,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단말에 대해,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VoNR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단말에 대해서, 기지국은 초기에 slot aggregation을 off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slot aggregation 설정이 off된 단말에 대해서 상기 단말의 채널 환경을 판단하여, slot aggregation의 설정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말에 대해,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가장 작은(lowest) MCS를 사용해서 1RB의 전송도 어려운 채널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단계 S1010에서, 상기 기지국은 연속하여 n번 이상,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S1000의 판단을 기 설정된 횟수 만큼 연속하여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연속하여 n번 이상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단계 S1020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해 slot aggregation을 설정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상기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을 2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연속하여 2개의 슬롯을 통해 동일한 UL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slot aggregation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030에서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 S1040에서, 상기 기지국은 SUL 설정과 slot aggregation을 설정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RRC 메시지의 slot aggregation 필드를 포함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lot aggregation 필드는 단말이 동일한 데이터를 몇 번 반복하여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지를 나타내는 운영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기지국은 운영 값을 2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000에서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이지 않거나, 단계 S1010에서 연속하여 n번 이상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이지 않거나, 단계 S1030에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계 S1050에서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을 설정하지 않기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slot aggregation 설정을 off하기로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slot aggregation의 설정 off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100에서, 상기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이 설정되고,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단말에 대해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lot aggregation이 설정되었으나 더 이상 VoNR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단말에 대해서, 채널 환경이 개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은 상기 단말의 전송 전력으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가장 작은(lowest) MCS를 사용해서 1RB의 전송도 어려운 채널 환경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이 아닌 경우, 단계 S1110에서, 상기 기지국은 연속하여 n번 이상,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이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 S1100의 판단을 기 설정된 횟수 만큼 연속하여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연속하여 n번 이상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이 아닌 경우, 단계 S1120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에 대해 slot aggregation 설정을 off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130에서 상기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 설정을 off하는 RRC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 필드를 포함하지 않는 RRC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생성된 RRC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1140에서 상기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100에서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이거나, 단계 S1110에서 연속하여 n번 이상 상기 단말의 최대 TBS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단계 S1150에서 상기 기지국은 현재 설정을 유지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은 여전히 약전계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어, slot aggregation 설정이 on된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의 설정의 유지 또는 변경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기지국은 주기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설정의 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1200에서, 기지국은 음성 서비스를 이용중인 단말에 대해,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이 계속 낮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UL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 받은 단말이, 상기 SUL을 통해 VoNR을 이용하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음성 서비스의 품질이 낮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VoNR의 품질은 MAC 레벨의 품질에 대해서는 VoNR 콜의 BLER 및 재전송 횟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위 레벨에서는, 상기 VoNR의 품질은 상기 VoNR 콜의 지연(latency)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이 계속 낮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210에서 상기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을 one step 큰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을 4로 디폴트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200에서 여전히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을 4에서 8로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기지국은 상기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이 2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4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1220에서 상기 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이 증가하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더 많은 자원이 상기 단말을 위해 점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이 증가한 경우에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이 증가한 것을 고려하여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은 단계 S1230에서 상기 one step 큰 값으로 변경된 slot aggregation 값을 사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기지국은 RRC 메시지를 통해 상기 변경된 slot aggregation 값을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판단 결과 상기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이 증가에 따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은 단계 S1240에서 상기 단말의 음성 서비스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음성 서비스가 종료된 경우, 단계 S1250에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slot aggregation 설정을 off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상기 slot aggregation 설정이 off되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단말을 위해 점유되는 자원의 양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지국은 단계 S1220으로 진행하여, 상기 slot aggregation 설정을 off된 경우의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1200에서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이 계속 낮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270에서 상기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이 4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이 4를 초과하는 경우, 단계 S1280에서 상기 기지국은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을 one step 작은 것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이 8로 판단되면, 상기 기지국은 상기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을 4로 변경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상기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이 4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단계 S1260으로 진행하여 상기 기지국은 현재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slot aggregation의 운영 값이 4 또는 2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이 낮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 중이므로 상기 slot aggregation의 설정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기지국(1300)은 송수신부(1310) 및 제어부(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310)는 외부의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기지국(1300)은 상기 송수신부(1310)를 통해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320)는 상기 기지국(13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320)는 단말의 음성 서비스 지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슬롯 어그리게이션(slot aggregation)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13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20)는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 확보를 시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20)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320)는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은,
상기 음성 서비스에 대한 에러 비율, 재전송 횟수, 및 지연(latency)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320)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 받은 단말에 대해, 상기 단말이 상기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거나,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향링크 블록 에러율(uplink block error rate, UL BLER), 모듈레이션 코딩 레이트(modulation and coding rate, MCS) 및 최대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에 기반하여 채널 환경을 예측하며, 상기 예측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SUL(supplementary uplink) 전송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음성 서비스는 보이스/비디오 오버(voice/video over) 뉴 라디오(new radio) (VoNR)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지국(1300)에 의해, 차세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상황이 좋지 않은 단말에게도 개선된 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상향링크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1400)은 송수신부(1410) 및 제어부(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1410)는 외부의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면, 단말(1400)은 상기 송수신부(1410)를 통해 기지국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420)는 상기 단말(14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20)는, 상기 송수신부(1410)를 통해 수신된, 기지국(1300)이 전송한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슬롯 어그리게이션(slot aggregation)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20)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과 수신된 UL grant에 기반하여 UL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14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기지국 및 단말의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가령, 기지국 및 단말의 제어부는 플래시 메모리나 기타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휘발성 메모리에는 제어부의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 단말의 제어부는 CPU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의 CPU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상술한 프로그램들을 RAM으로 복사한 후, 복사한 프로그램들을 실행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단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지국 또는 단말의 제어를 담당하는 구성이다.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프로세서, 운용체제(operating system) 등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및 단말의 제어부는 단말에 포함된 통신 모듈 등의 다른 기능부와 함께 단일칩 시스템 (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 및 단말의 통신 방법은 소프트웨어로 코딩되어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는 다양한 장치에 탑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기지국: 1300
단말: 1400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기지국의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음성 서비스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슬롯 어그리게이션(slot aggregation)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 확보를 시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은,
    상기 음성 서비스에 대한 에러 비율, 재전송 횟수, 및 지연(latency)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 받은 단말에 대해, 상기 단말이 상기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상기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거나,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향링크 블록 에러율(uplink block error rate, UL BLER), 모듈레이션 코딩 레이트(modulation and coding rate, MCS) 및 최대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에 기반하여 채널 환경을 예측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SUL(supplementary uplink) 전송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또는 스펙트럼 쉐어링(Spectrum sharing)을 위한 LTE 주파수 대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서비스는,
    보이스/비디오 오버(voice/video over) 뉴 라디오(new radio) (VoN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기지국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단말의 음성 서비스 지원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지원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 대한 슬롯 어그리게이션(slot aggregation)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메시지를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지국.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의 채널 상태가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자원 확보를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할당 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고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은,
    상기 음성 서비스에 대한 에러 비율, 재전송 횟수, 및 지연(latency)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 받은 단말에 대해, 상기 단말이 상기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미만인 경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자원을 할당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음성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거나,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음성 서비스의 품질에 대한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향링크 블록 에러율(uplink block error rate, UL BLER), 모듈레이션 코딩 레이트(modulation and coding rate, MCS) 및 최대 전송 블록 크기(transport block size)에 기반하여 채널 환경을 예측하며, 상기 예측 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에 대해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은, SUL(supplementary uplink) 전송에 이용되는 주파수 대역 또는 스펙트럼 쉐어링(Spectrum sharing)을 위한 LTE 주파수 대역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메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서비스는,
    보이스/비디오 오버(voice/video over) 뉴 라디오(new radio) (VoN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90105253A 2019-08-27 2019-08-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Pending KR20210025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53A KR20210025340A (ko) 2019-08-27 2019-08-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US16/987,860 US11432113B2 (en) 2019-08-27 2020-08-07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192663.1A EP3787361A1 (en) 2019-08-27 2020-08-25 Base st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2010873519.6A CN112449431B (zh) 2019-08-27 2020-08-26 无线通信系统中的基站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53A KR20210025340A (ko) 2019-08-27 2019-08-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340A true KR20210025340A (ko) 2021-03-09

Family

ID=7224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253A Pending KR20210025340A (ko) 2019-08-27 2019-08-2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32113B2 (ko)
EP (1) EP3787361A1 (ko)
KR (1) KR20210025340A (ko)
CN (1) CN11244943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0706B2 (en) * 2017-10-08 2022-02-0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segmentation of positioning protocol messages
CN113055256B (zh) * 2021-03-09 2022-01-04 全岚 一种基于5g的智能家居系统
CN113891471B (zh) * 2021-10-13 2024-05-07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上行载波配置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803B1 (ko) * 2008-11-24 2011-1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음성 패킷망 서비스에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
JP6599355B2 (ja) * 2014-04-03 2019-10-3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端末と基地局との間の二重接続におけるパワーヘッドルーム報告を送信する方法および端末
KR102501927B1 (ko) * 2015-08-24 2023-02-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46358A (ko) * 2016-10-27 2018-05-08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무선 액세스망을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2162591B1 (ko) 2016-10-27 2020-10-08 주식회사 케이티 차세대 무선망에서 상향 링크 신호 및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스케줄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10925079B2 (en) 2016-10-27 2021-02-16 Kt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scheduling uplink signal and downlink data channel in next generation wireless network
KR102681602B1 (ko) * 2016-11-01 2024-07-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빔포밍 기반의 향상된 채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KR102288629B1 (ko) 2017-05-04 2021-08-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제어 채널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9051037A1 (en) * 2017-09-08 2019-03-1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USER EQUIPMENT, BASE STATIONS AND DOUBLE CONNECTIVITY METHODS
WO2019071377A1 (en) * 2017-10-09 2019-04-18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FOR THE MANAGEMENT OF EXISTING VOICE SERVICES IN A 5G SYSTEM
WO2019160814A1 (en) * 2018-02-15 2019-08-2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User equipments, base stations and methods
US12133295B2 (en) * 2018-08-13 2024-10-29 Apple Inc. 5G new radio NAS notification procedures
US11272433B2 (en) * 2018-12-21 2022-03-08 T-Mobile Usa, Inc. Frequency scanning in wireless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87361A1 (en) 2021-03-03
CN112449431B (zh) 2025-02-07
US20210067918A1 (en) 2021-03-04
US11432113B2 (en) 2022-08-30
CN112449431A (zh) 202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940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uplink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U2743667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изации о назначении ресурсов частотной области
KR102161973B1 (ko) 스테이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EP4456658A2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and reporting channel state in sidelink communication
US20190281491A1 (en) Quality of service (qos) congestion control handling
CN119316965A (zh) 全双工下行链路和上行链路方向
CN103229579B (zh) 用于针对非对等资源中的对等数据的资源分配的方法和装置
EP3476058A1 (en) Communication mode selection
EP3861807A1 (en) Methods of resource selection for sidelink multi-stream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and related apparatuses
US20220132486A1 (en) Resource allocation techniques for sidelink transmissions, and dynamic selection between resource allocation techniques based on sidelink communication reliability
EP3404981A1 (en) Wireless terminal
CN112449431B (zh) 无线通信系统中的基站及其控制方法
US11778642B2 (en) Facilita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US11510241B2 (en) Network-assisted clear channel assessment bandwidth adaptation mechanism
US12185279B2 (en) Receiver assisted sidelink resource allocation using an adaptive threshold
US202102820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carri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3275258B1 (en) Scheduling in cellular networks
KR102750150B1 (ko) 통신 시스템에서 비면허대역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7187713A1 (ja) 無線通信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20240306196A1 (en) Communication scheduling in a network based on link quality
WO2024212147A1 (en) Slot level exclusion/resource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