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0329A -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20329A KR20210020329A KR1020190099456A KR20190099456A KR20210020329A KR 20210020329 A KR20210020329 A KR 20210020329A KR 1020190099456 A KR1020190099456 A KR 1020190099456A KR 20190099456 A KR20190099456 A KR 20190099456A KR 20210020329 A KR20210020329 A KR 2021002032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ting layer
- positive electrode
- current collector
- secondary battery
- negative electr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29910000000 metal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150000004692 metal hydrox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11255 B2O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OLBLPGZBRYERU-UHFFFAOYSA-N SnO2 Inorganic materials O=[Sn]=O XOLBLPGZBRYER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MCMNRKCIXSYSNV-UHFFFAOYSA-N ZrO2 Inorganic materials O=[Zr]=O MCMNRKCIXSYSN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TZCXTZWJZNENPQ-UHFFFAOYSA-L bar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Ba+2].[O-]S([O-])(=O)=O TZCXTZWJZNENPQ-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2113 barium tita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422 cerium(IV)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681 coes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593 corund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906 cristoba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VTHJTEIRLNZDEV-UHFFFAOYSA-L magnesium 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Mg+2] VTHJTEIRLNZDEV-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347 magnesium hydr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1862 magnesium hydr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2254 magnesium hydrox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682 stishov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905 tridym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1845 yogo sapphir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RUDFQVOCFDJEEF-UHFFFAOYSA-N yttrium(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Y+3].[Y+3] RUDFQVOCFDJEE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6229 carbon bla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21393 carbon nanotub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041 carbon nanotub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39 graph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ZMXDDKWLCZADIW-UHFFFAOYSA-N N,N-Dimethylformamide Chemical compound CN(C)C=O ZMXDDKWLCZADI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WYURNTSHIVDZCO-UHFFFAOYSA-N Tetrahydrofuran Chemical compound C1CCOC1 WYURNTSHIVDZC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74 Styrene-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383 artifici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21382 natural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48 styrene butadie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8626 Al(O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34 Carboxy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9440 Mg(O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FXHOOIRPVKKKFG-UHFFFAOYSA-N N,N-Dimethylacetamide Chemical compound CN(C)C(C)=O FXHOOIRPVKKK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125 Sokala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88 carbon-based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40113088 dimethylacetam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34 metal-based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LQBMQCUIZJEEH-UHFFFAOYSA-N tetrahydrofuran Natural products C=1C=COC=1 YLQBMQCUIZJEE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TAZNLWOLGHBHU-UHFFFAOYSA-N butadiene-styrene rubber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 MTAZNLWOLGHBH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68 carboxy methyl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48 carboxy methyl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12 carboxy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91 graphite-based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84 polyacryl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09 silicon-based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04 soli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5 styrene butadi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음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음극 전극; 양극 집전체,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양극 코팅층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중 상기 양극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되, 상기 양극 코팅층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된 비활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양극 전극; 및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제조 공정 중 전기화학적으로 안정된 물질로 구성된 비활성 코팅층을 양극 집전체의 일부영역에 코팅함으로써, 전극의 타발 공정에서 양극 집전체의 금속층 노출을 방지하고, 음극과 양극 간의 공차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 셀의 전기차량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전기차량의 1충전 주행거리 향상을 위해 고 에너지밀도 배터리 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대해 종래에는 배터리 셀의 에너지밀도를 높이기 위해 전극 적층수 및 전류밀도 증대를 위하여 셀 두께를 두껍게 설계하고 전극 기재의 두께는 얇게 하며 탭 방향 테라스 부의 공간을 줄이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배터리 셀의 제작 공정에 있어서 전극 타발공정은 배터리 셀의 에너지 밀도 및 신뢰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공정 중의 하나이다. 도 1은 종래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이상적인 전극 타발과 실제 전극 타발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실제 전극 타발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과 양극의 공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이상적인 전극 타발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과 양극의 공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우측 도면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실제 전극 타발은 최악의 산포발생 시에도 양극 집전체의 금속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 수치 이상의 양극 코팅부를 절단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로 인해 도 1의 좌측 도면 및 도 3과 같은 이상적인 전극 타발 시 보다 양극과 음극 간의 공차가 커짐에 따라 에너지 밀도가 감소되는 한계점이 있었다. 아울러, 전극 타발 시 양극 코팅부에 포함된 금속 산화물인 양극 활물질로 인해 타발 금형이 손상될 수 있으며, 고가의 양극 활물질의 절단으로 인해 재료비가 낭비되는 한계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전극제조 공정 중 전기화학적으로 안정된 물질로 구성된 비활성 코팅층을 양극 집전체의 일부영역에 코팅함으로써, 전극의 타발 공정에서 양극 집전체의 금속층 노출을 방지하고, 음극과 양극 간의 공차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음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음극 전극; 양극 집전체,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양극 코팅층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중 상기 양극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되, 상기 양극 코팅층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된 비활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양극 전극; 및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전극은 타발 공정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의 위치는 상기 비활성 코팅층이 형성되기 시작한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비활성 코팅층의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활성 코팅층의 두께는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 이상이고 상기 양극 코팅층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비활성 코팅층은 상기 양극 코팅층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활성 코팅층은 상기 양극 코팅층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비활성 코팅층은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바인더 및 도전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SiO2, Al2O3, Al2(OH)3, TiO2, Mg(OH)2 , BaS04, Ti02, Sn02, Ce02, Zr02, BaTi03, Y203 및 B20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수산화물은 Al(OH)3 및 Mg(OH)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재는 탄소 나노 튜브, 카본블랙 및 흑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SBR, CMC, Pvdf, PVA, PAA 및 P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활성 코팅층은 PP, PE, Teflon, PET 및 P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활성 코팅층은 PP, PE, Teflon, PET 및 PI 중 하나 이상과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음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음극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 양극 집전체,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양극 코팅층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중 상기 양극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되, 상기 양극 코팅층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된 비활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양극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음극 전극, 양극 전극 및 분리막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극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양극 코팅층으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양극 집전체 중 상기 양극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표면에 비활성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양극 전극의 타발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극제조 공정 중 전기화학적으로 안정된 물질로 구성된 비활성 코팅층을 양극 집전체의 일부영역에 코팅함으로써, 전극의 타발 공정에서 양극 집전체의 금속층 노출을 방지하고, 음극과 양극 간의 공차를 최소화하여 배터리 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절단부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여 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부가적으로 타발 시 발생하는 양극 코팅층의 로스를 최소화하여 재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이상적인 전극 타발과 실제 전극 타발의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제 전극 타발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과 양극의 공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상적인 전극 타발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과 양극의 공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절단부의 위치가 비활성 코팅층이 형성되기 시작한 위치와 동일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절단부의 위치가 비활성 코팅층 영역에 포함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제 전극 타발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과 양극의 공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이상적인 전극 타발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음극과 양극의 공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절단부의 위치가 비활성 코팅층이 형성되기 시작한 위치와 동일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절단부의 위치가 비활성 코팅층 영역에 포함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절단부의 위치가 비활성 코팅층이 형성되기 시작한 위치와 동일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절단부의 위치가 비활성 코팅층 영역에 포함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음극 전극(100), 양극 전극(200) 및 분리막(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 전극(100)은 음극 집전체(110) 및 음극 집전체(110)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음극 코팅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극 집전체(110)는 도전체라면 어떠 것이라도 무방하고, 실시예에 따라 구리,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또는 니켈 도금 강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극 코팅층(120)은 음극 집전체(110)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 및 음극 활물질층 상에 형성되고 도전재 및 바인더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 활물질은 금속계 활물질 및 탄소계 활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이때 금속계 활물질은 규소계 활물질, 주석계 활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탄소계 활물질은 탄소(원자)를 포함하고 동시에 전기 화학적으로 리튬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물질로서, 실시예에 따라 흑연 활물질, 인조흑연, 천연흑연, 인조흑연 및 천연흑연의 혼합물, 인조흑연을 피복한 천연흑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분리막(300)은 양극 전극(200)과 음극 전극(100) 사이에 위치하여 양극 전극(200)과 음극 전극(100)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역할을 하며, 양극 전극(200)과 음극 전극(100) 사이에 이온이 이동할 수 있는 다공성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양극 전극(200) 및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인 비활성 코팅층(2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양극 전극(200)은 양극 집전체(210), 양극 집전체(210)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양극 코팅층(220) 및 양극 집전체(210) 중 양극 코팅층(22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표면에 형성된 비활성 코팅층(2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양극 전극(200)은 타발 공정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극 집전체(210)는 도전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며,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또는 니켈 도금 강 등일 수 있다.
또한, 양극 코팅층(220)은 양극 집전체(210)의 상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고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층 및 양극 활물질층 상에 형성되고 도전재와 바인더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양극 활물질은 실시예에 따라 리튬을 포함하는 고용체 산화물이지만 전기화학적으로 리튬 이온을 흡장 및 방출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아울러, 비활성 코팅층(230)은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한 물질로 구성된 코팅층일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 코팅층(230)은 양극 전극(200)의 타발 공정 중에 작업 공차가 발생되는 상황에서도 양극 집전체(210)의 금속면 노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양극 집전체(210)에 비활성 코팅층(230)을 형성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용매를 이용하여 슬러리를 만들어 코팅하는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양극 집전체(210)에 비활성 코팅층(230)을 형성할 수도 있는데, 비활성 코팅층(230)을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 비활성 코팅층(230)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매를 이용하여 슬러리를 만들어 비활성 코팅층(230)을 형성하는 경우, 비활성 코팅층(230)은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바인더 및 도전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용매는 바인더의 종류에 따라 비수계 용매 혹은 수계 용매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시예예 따라 비수계 용매는 N-메틸-2-피롤디돈(NMP),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 테트라히드로퓨란(THF)등 일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 비활성 코팅층(230)은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및 바인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산화물은 SiO2, Al2O3, Al2(OH)3, TiO2, Mg(OH)2 , BaS04, Ti02, Sn02, Ce02, Zr02, BaTi03, Y203 및 B20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수산화물은 Al(OH)3 및 Mg(OH)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전재는 구성되는 배터리에 있어서 화학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전자 전도성 재료이면 어떠한 것도 사용 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본원 발명에서 도전재는 탄소나노 튜브, 카본블랙 및 흑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바인더는 비활성 코팅층(230)과 양극 집전체(210)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실시예에 따라 바인더는 SBR(Styrene-butadiene), CMC(Carboxymethyl Cellulos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A(Polyvinyl alcohol), PAA(Polyacrylic Acid) 및 PI(Polyimi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상술한 바인더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외의 물질이 바인더로 사용될 수 있다.
3D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양극 집전체(210) 상에 비활성 코팅층(230)을 형성하는 경우, 실시예에 따라 비활성 코팅층(230)은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Teflo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PI(Polyimid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활성 코팅층(230)은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Teflon,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PI(Polyimide) 중 하나 이상과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산화물은 SiO2, Al2O3, Al2(OH)3, TiO2, Mg(OH)2 , BaS04, Ti02, Sn02, Ce02, Zr02, BaTi03, Y203 및 B20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금속 수산화물은 Al(OH)3 및 Mg(OH)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실시예일 뿐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비활성 코팅층(230)의 두께는 양극 집전체(210)의 두께 이상이고 양극 코팅층(220)의 두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4의 하측의 단면도는 양극 코팅층(220)이 양극 집전체(210)에 이상적으로 코팅된 상황을 나타내는 것인데, 실제로는 양극 코팅층(220)의 끝단부가 도 4와 같이 수직으로 코팅되지 않고 경사지게 코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비활성 코팅층(230)이 양극 코팅층(220)의 경사진 끝단부 상에 코팅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양극 코팅층(220)과 비활성 코팅층(230)의 두께의 합은 이상적으로 양극 코팅층(220)이 양극 집전체(210) 상에 코팅되었을 때의 최대 두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활성 코팅층(2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집전체(210) 중 양극 코팅층(22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비활성 코팅층(230)은 양극 집전체(210) 중 양극 코팅층(22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상면 및 하면에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활성 코팅층(230)은 양극 코팅층(220)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음극 전극(100)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비활성 코팅층(2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코팅층(220)의 양 끝단부로부터 음극 전극(100)의 양 끝단부 측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 코팅층(220)의 양 끝단부 중 하나의 끝단부로부터 음극 전극(100)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에 따라, 비활성 코팅층(230)은 양극 코팅층(220)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음극 전극(100)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되되, 도 7과 같이 음극 전극(100)의 끝단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 코팅층(220)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음극 전극(100)의 끝단부 측으로 비활성 코팅층(230)을 형성함으로써, 타발 공정 과정 중 작업 공차의 발생 시에도 비활성 코팅층(230)이 절단부(240)의 양극 집전체(21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와 같은 종래의 실제 전극 타발 공정을 통해 제조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와 비교할 시, 음극 전극(100)과 양극 전극(200) 간의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음극 전극(100)과 양극 전극(200) 간의 공차를 최소화함으로써, 동일 음극 전극(100)을 사용할 시 양극 전극(200)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체적인 배터리 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종래에는 배터리 셀의 고에너지화를 위한 전극 고합제화에 따라 프레스 후 연신량의 차이에 의해 치수 불안정 영역이 발생하고, 타발 공정 이후에도 치수 불안정 영역이 잔존하게 되며, 이로 인해 배터리 셀의 치수 안정성을 저하시키고, 충방전 반응에 참여하여 불균일한 반응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 셀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치수 불안정 영역, 즉 양극 코팅층(220)의 끝단부 측에 비활성 코팅층(230)을 형성함으로써 전극 타발 공정 후 반응에 참여할 수 있는 치수 불안정 영역을 대부분 제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양극 전극(200)은 양극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데,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전기화학적 특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바인더의 함량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양극 전극(200)이 설계되었으며, 양극 활물질이 고가의 금속 산화물로 구성됨에 따라 타발 공정 진행 시 타발 금형을 손상시킬 수 있었고, 고가의 양극 활물질이 스크랩에 포함되어 재료비를 상승시키는 한계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형성한 비활성 코팅층(230)은 전기화학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바인더의 함량을 상향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절단부(240)에서 양극 활물질 등의 입자가 탈락하거나 절단부(240) 측면에 크랙이 형성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함으로써 전체적인 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양극 전극(200)은 전극 타발 공정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절단부(240)의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 코팅층(230)이 형성되기 시작한 위치와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절단부(240)의 위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 코팅층(230)의 영역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비활성 코팅층(230)이 형성되기 시작한 위치에서 정확히 양극 전극(200)이 타발되면 도 5와 같은 양극 전극(200)이 제조될 수 있으며, 작업 공차 등으로 인해 비활성 코팅층(230) 영역 내에서 양극 전극(200)이 타발되면 도 6과 같은 양극 전극(200)이 제조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양극 코팅층(220)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음극 전극(100)의 끝단부 측으로 비활성 코팅층(230)을 형성함으로써, 타발 공정 과정 중 작업 공차의 발생 시에도 비활성 코팅층(230)이 절단부(240)의 양극 집전체(210)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비활성 코팅층(230)은 양극 코팅층(220)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음극 전극(100)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되되, 도 8과 같이 음극 전극(100)의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비활성 코팅층(230)이 양극 코팅층(220)의 끝단부로부터 음극 전극(100)의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충격이 발생하였을 시 해당 충격을 흡수하여 리튬이온 수용체인 음극 전극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은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음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음극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 양극 집전체,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양극 코팅층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중 상기 양극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되, 상기 양극 코팅층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된 비활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양극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음극 전극, 양극 전극 및 분리막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양극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양극 코팅층으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양극 집전체 중 상기 양극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표면에 비활성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양극 전극의 타발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은 양극 전극의 타발 공정 전에 비활성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타발 공정 시 작업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비활성 코팅층이 양극 집전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음극 전극 및 양극 전극 간의 공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동일 음극 전극 면적 사용 시 양극 전극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배터리 셀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100: 음극 전극
110: 음극 집전체
120: 음극 코팅층
200: 양극 전극 210: 양극 집전체
220: 양극 코팅층 230: 비활성 코팅층
240: 절단부 300: 분리막
120: 음극 코팅층
200: 양극 전극 210: 양극 집전체
220: 양극 코팅층 230: 비활성 코팅층
240: 절단부 300: 분리막
Claims (12)
-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음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음극 전극;
양극 집전체,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양극 코팅층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중 상기 양극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되, 상기 양극 코팅층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된 비활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양극 전극; 및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극은 타발 공정으로 인해 형성된 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의 위치는 상기 비활성 코팅층이 형성되기 시작한 위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비활성 코팅층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코팅층의 두께는 상기 양극 집전체의 두께 이상이고 상기 양극 코팅층의 두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코팅층은 상기 양극 코팅층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까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코팅층은 상기 양극 코팅층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되되,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코팅층은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바인더 및 도전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SiO2, Al2O3, Al2(OH)3, TiO2, Mg(OH)2 , BaS04, Ti02, Sn02, Ce02, Zr02, BaTi03, Y203 및 B20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수산화물은 Al(OH)3 및 Mg(OH)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재는 탄소 나노 튜브, 카본블랙 및 흑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는 SBR, CMC, Pvdf, PVA, PAA 및 P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코팅층은 PP, PE, Teflon, PET 및 PI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코팅층은 PP, PE, Teflon, PET 및 PI 중 하나 이상과 금속 산화물 및 금속 수산화물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 청구항 1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음극 집전체 및 상기 음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음극 코팅층을 포함하는 음극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
양극 집전체,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코팅하는 양극 코팅층 및 상기 양극 집전체 중 상기 양극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표면에 형성되되, 상기 양극 코팅층의 양 끝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부로부터 상기 음극 전극의 끝단부 측으로 형성된 비활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양극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양극 전극과 상기 음극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막을 마련하는 단계; 및
상기 음극 전극, 양극 전극 및 분리막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양극 전극을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양극 집전체의 일부 영역을 양극 코팅층으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양극 집전체 중 상기 양극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표면에 비활성 코팅층을 코팅하는 단계; 및
상기 양극 전극의 타발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9456A KR20210020329A (ko) | 2019-08-14 | 2019-08-14 |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US16/691,329 US11616252B2 (en) | 2019-08-14 | 2019-11-21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9456A KR20210020329A (ko) | 2019-08-14 | 2019-08-14 |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0329A true KR20210020329A (ko) | 2021-02-24 |
Family
ID=74567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9456A Pending KR20210020329A (ko) | 2019-08-14 | 2019-08-14 |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616252B2 (ko) |
KR (1) | KR20210020329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3634A (ko) | 2016-08-26 | 2018-03-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의 전극탭 용접 방법 및 그에 따른 전극탭 용접 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35448B2 (en) * | 2002-05-30 | 2008-02-26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JP2006147392A (ja) * | 2004-11-22 | 2006-06-08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電池 |
JP5260838B2 (ja) * | 2005-08-30 | 2013-08-14 | 三洋電機株式会社 | 非水系二次電池 |
CN101431169A (zh) * | 2008-10-29 | 2009-05-13 |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 锂离子电池及其电池单体 |
CN101894937A (zh) * | 2010-07-02 | 2010-11-24 |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 锂离子电池及其正极片 |
MY157141A (en) * | 2010-07-26 | 2016-05-13 | Nissan Motor | Bipolar battery |
JP5858325B2 (ja) * | 2010-09-03 | 2016-02-10 | 株式会社Gsユアサ | 電池 |
JP5929897B2 (ja) * | 2011-03-23 | 2016-06-08 | 三洋電機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極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US10964934B2 (en) * | 2014-08-25 | 2021-03-30 | Nissan Motor Co., Ltd. | Laminate type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2019
- 2019-08-14 KR KR1020190099456A patent/KR20210020329A/ko active Pending
- 2019-11-21 US US16/691,329 patent/US1161625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23634A (ko) | 2016-08-26 | 2018-03-07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이차전지의 전극탭 용접 방법 및 그에 따른 전극탭 용접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050615A1 (en) | 2021-02-18 |
US11616252B2 (en) | 2023-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32004B2 (en) | Power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ower storage device | |
US9293796B2 (en) | Metal-air battery with dual electrode anode | |
US20240186652A1 (en) | Absorbent glass mat battery | |
KR20080103847A (ko) | 전극조립체 및 그를 이용한 이차전지 | |
JP2014013693A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US20210305630A1 (en) | Positive electrode for solid-state battery, manufacturing method for positive electrode for solid-state battery, and solid-state battery | |
JP2011175739A (ja) |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190052406A (ko) | 리튬-황 전지용 전해질 복합체,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025664A (ko) | 전해질 | |
CN114335407A (zh) | 一种极片及电池 | |
CN107871893B (zh) | 用于制造用于电池单池的电极堆叠的方法和电池单池 | |
CN107819103B (zh) | 具有提高的活性材料份额的电极 | |
KR101773103B1 (ko) | 전극, 이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
JP2015088430A (ja) |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 |
KR20210004580A (ko) | 리튬이온 이차전지 | |
US20210036385A1 (en) | Electrode with enhanced state of charge estimation | |
KR20210020329A (ko) |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66055B1 (ko) | 구조화된 표면 세퍼레이터를 갖는 리튬/금속 셀 | |
JP7077000B2 (ja) | 電池セルのための電極スタックを製造する方法、及び、電池セル | |
CN106328912B (zh) | 用于电池组电池的阳极、用制造阳极的方法和电池组电池 | |
JP2001035471A (ja)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
CN116780109A (zh) | 隔膜、电池及电池的制备方法 | |
KR20240000462U (ko) | 리튬 이온 배터리 | |
JP7168473B2 (ja) | 全固体電池用負極 | |
JP2005174779A (ja) |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