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19792A - 블렌더 - Google Patents

블렌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9792A
KR20210019792A KR1020190098860A KR20190098860A KR20210019792A KR 20210019792 A KR20210019792 A KR 20210019792A KR 1020190098860 A KR1020190098860 A KR 1020190098860A KR 20190098860 A KR20190098860 A KR 20190098860A KR 20210019792 A KR20210019792 A KR 20210019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duction coil
module
blender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8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836706B1 (ko
Inventor
박승제
허제식
장윤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9886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836706B1/ko
Priority to KR1020190098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836706B1/ko
Priority to CN202080031015.8A priority patent/CN113747819B/zh
Priority to PCT/KR2020/010377 priority patent/WO2021029609A1/ko
Priority to AU2020328375A priority patent/AU2020328375B2/en
Priority to US16/986,486 priority patent/US11564532B2/en
Priority to EP20189890.5A priority patent/EP3777621B1/en
Publication of KR20210019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792A/ko
Publication of KR10283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836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47J43/0465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with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72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 A47J43/0777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cover in which the activating element on the cover transmits a signal to a safety device in the base element via the mixing bowl removably seated on this base element, e.g. pin on the cover moves a pushrod in the bowl handle to operate safety switch in the base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 A47J43/0761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66Safety device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activated by the proper positioning of the mixing bow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용기에 뚜껑닫힘이 감지되면 본체가 동작하는 블렌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는 용기에 뚜껑닫힘이 감지되면 본체의 제1유도코일에서 용기의 제2유도코일로 전력이 전달되고 제2유도코일에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용기의 송신모듈이 본체의 수신모듈로 신호를 전송하며 수신모듈에서 신호를 수신하면 본체가 용기의 뚜껑닫힘을 인지하여 본체가 동작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블렌더{A BLENDER}
본 발명은 블렌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에 뚜껑닫힘이 감지되면 본체가 동작하는 블렌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는 전기모터로 회전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용기 내에 수용된 식품을 잘게 자르거나 분쇄하는 가전기기로서 통상 믹서기로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블렌더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의 상면에 용기가 안착되고 용기의 안착시 용기 내부의 블레이드가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용기의 개구부를 통해 용기 내부로 식품을 넣고 뚜껑을 닫은 후 본체를 조작하여 모터를 구동시켜 블레이드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할 수 있다.
뚜껑은 용기의 개구부를 닫아 용기 내부의 식품을 보호한다. 블렌더 동작시 안전을 위해 용기에 뚜껑이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블레이드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즉, 블레이드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에 뚜껑닫힘이 감지된 경우에만 블레이드가 회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종래에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용기와 본체를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누름부재(push rod)를 설치하여 용기에 뚜껑이 닫힐 때 뚜껑이 누름부재를 누르게 된다. 본체의 누름감지부에서 그 누름을 인지하여 뚜껑닫힘을 감지하도록 한다.
하지만, 누름부재와 누름감지부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고 누름감지부에 투습 또는 음식물에 의한 오염발생의 여지가 있다.
또한, 용기의 누름부재와 본체의 누름감지부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용기를 특정방향으로만 장착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누름부재를 용기에서 본체까지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용기를 따라 설치해야 하므로 투명재질 용기의 디자인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용기와 본체 간에 무선통신이나 전자기적 결합을 이용하여 본체에서 용기의 뚜껑닫힘을 인지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다.
일례로, 유럽등록특허 EP2548485에 용기에 뚜껑이 닫히면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본체에서 용기의 뚜껑닫힘을 인식하는 블렌더 장치가 개시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무선통신모듈이 필요하고 용기에 무선통신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장치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다른 예로, 미국공개특허 US20180020875에는 본체에 한 쌍의 송신코일과 수신코일이 배치되고 이들 코일에 대응되도록 용기에 한 쌍의 수신코일과 송신코일이 배치되며, 용기에 뚜껑이 닫히면 본체의 송신코일을 통해 용기의 수신코일로 전력이 전달되고 다시 용기의 송신코일을 통해 본체의 수신코일로 전력이 전달되어 본체가 용기의 뚜껑닫힘을 인식하는 인터록킹 블렌딩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본체와 용기마다 두 개의 코일, 즉 송신코일 및 수신코일이 각각 설치되어야 하고 본체의 수신코일에 수신되는 전력을 분석하는 장치가 부가적으로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체와 용기에 각각 2개의 코일이 배치되므로 각각의 코일에 전류가 흐를 경우 코일에 유기되는 자기장 간의 간섭에 의해 유도전류의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본체의 수신코일에 수신되는 전력을 정확히 분석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또한, 본체의 송신코일에서 용기의 수신코일로 전력을 전달하고, 뚜껑닫힘에 의해 용기의 송신코일에서 본체의 수신코일로 전력을 전달하여 본체의 수신코일에 유의미한 전력이 수신되기 위해서는 본체의 송신코일에서 높은 전력을 용기의 수신코일로 전달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뚜껑감지회로와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전도성부재가 투명재질의 용기를 따라 설치되므로 투명한 용기의 디자인을 헤치는 문제가 있다.
미국 등록특허 US6910800 미국 등록특허 US7871196 유럽 등록특허 EP2548485 미국 공개특허 US20180020875
본 발명은 본체에 하나의 유도코일과 용기에 하나의 유도코일을 배치하고 두 유도코일 간에 한 번의 유도결합으로 용기에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이나 음식물 등과 같이 외부의 물질에 의한 감지오류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명재질 용기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전력으로 용기의 뚜껑닫힘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 및 용기에 설치된 유도코일을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블렌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에 설치된 제1유도코일과 용기에 설치된 제2유도코일 간에 한 번의 유도결합(inductive coupling)으로 용기에 설치된 송신모듈과 본체에 설치된 수신모듈 간의 신호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용기의 뚜껑닫힘에 따라 제1유도코일과 용기의 제2유도코일 간의 유도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본체의 제1유도코일과 용기의 제2유도코일 간의 유도결합에 의해 제2유도코일에 전력이 생성되고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송신모듈이 신호를 수신모듈로 송신한다.
본 발명은 용기에 뚜껑이 닫히면 용기에 배치된 감지모듈이 뚜껑닫힘을 감지하고 감지모듈에 뚜껑닫힘이 감지되면 제1,2유도코일 간 유도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용기의 상부에 설치된 감지모듈과 용기의 하부에 설치된 제2유도코일 간에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배치된 투명재료의 전도성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전도성부재를 투명전극필름(ITO)로 사용하여 투명재료의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까지 배치된다.
본 발명은 투명전극필름의 일단은 탈착가능한 제1커넉터를 통해 감지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탈착가능한 제2커넥터를 통해 제1유도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제1유도코일과 제2유도코일을 서로 동일한 중심점을 갖도록 하고 서로 대향하여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제1,2유도코일 간의 유도결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제1,2유도코일을 각각 제1,2피시비기판에 패턴화시켜 형성하여 쉽고 간단한 구성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에 용기가 장착될 때 제1,2피시비기판이 서로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1,2피시비기판에 패턴화된 제1,2유도코일이 상호 동일한 중심점이 갖도록 설치함으로써 제1,2유도코일 간의 유도결합이 효과적으로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2피시비기판을 각각 본체 및 용기로부터 착탈이 가능하여 유도코일을 쉽고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송신모듈은 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수신모듈은 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센서를 포함하여 낮은 전력으로도 광의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광센서에서 광이 수신되면 용기에 뚜껑닫힘을 감지하여 본체가 동작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은 용기의 하부에 제1유도코일이 배치되고 본체의 상부에 제2유도코일이 배치되어 뚜껑닫힘에 따라 제1,2유도코일 간에 한 번의 유도결합만 이루어지므로 제어 및 동작이 간편하고 종래기술에 비해 유도코일 간 자기장에 의한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용기에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모듈 및 장치를 용기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하므로 물이나 음식물 등과 같이 외부의 물질에 의한 감지오류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모듈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투명전극필름(ITO)를 이용하여 용기의 내부 및 외부에 배치하므로 투명재질 용기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용기의 뚜껑닫힘을 감지함에 있어서 광원과 광센서를 이용하므로 저전력으로 용기의 뚜껑닫힘을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제1,2유도코일을 각각 피시비기판에 패턴화시킴으로써 쉽고 간단한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본체 및 용기에 설치된 제1,2유도코일을 착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쉽게 장착할 수 있고 교체가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 용기를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용기의 감지모듈의 상세 배치도이다.
도 9는 상기 용기의 제2코일피시비모듈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상기 본체의 제1코일피시비모듈의 상면 상세도이다.
도 12는 상기 용기의 제2코일피시비모듈의 하면 상세도이다.
도 13은 상기 제1,2코일피시비코듈 간의 상호 배치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0의 블렌더에 대한 등가회로도의 일 예시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블렌더에 대한 등가회로도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블렌더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블렌더의 종단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는 바닥면에 배치되는 본체(30)와, 본체(30)의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의 내부에는 블렌더(1)의 동작을 위한 모터어셈블리(50) 및 제어피시비모듈(60)을 비롯한 전기 장치와 부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체(30)는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0,310b)와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30)는 전체적으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30)의 상면에는 용기(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01)는 용기(10)가 상하 방향으로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의 외관은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아우터 케이스(3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아우터 케이스(31)는 하면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이너 케이스(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너 케이스(32)의 내측에는 모터어셈블리(50)와 제어피시비모듈(60)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본체(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블렌더(1)의 조작을 설정하기 위한 노브(40)가 구비될 수 있다. 노브(40)는 본체(30)의 전면에서 돌출되며 회전조작에 의해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 및 설정할 수 있다.
본체(30)의 상면에는 블렌더(1)의 동작상태를 표시는 표시부(310a)가 구비될 수 있다. 표시부(3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7 세그먼트(seven-segment display)와 같은 형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30)의 상면에는 블렌더(1) 동작의 시작 또는 정지를 조작할 수 있는 터치조작부(40,310b)가 구비될 수 있다. 블렌더(1)의 조작을 위해 조작부(40,310b)는 노브(40)와 터치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30)의 상면에 안착부(30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01)는 본체(30)의 상면에서 돌출될 수 있으며, 안착부(301)의 일부가 용기(10)의 하면에 삽입되어 용기(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안착부(301)에 용기(10)가 안착되면 모터어셈블리(50)와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모듈(14)은 서로 결합되어 블레이드모듈(14)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안착부(301)는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한 소재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01)는 금속 소재 또는 금속 질감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본체(30)의 외관과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안착부(301) 하방의 본체(30) 내부에는 모터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50)는 용기(10)의 내부에 설치된 블레이드모듈(14)의 회전을 위한 것으로 내부의 모터를 구동하여 블레이드모듈(14)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50)는 노브(40)의 조작에 따라 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블레이드모듈(14)의 회전속도 조절이 가능하다.
안착부(301)의 상면의 일측에는 제1코일피시비모듈(3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코일피시비모듈(310)은 제1유도코일(inductive coil)이 다수 회 권선된 형태로 패턴화된 제1피시비(PCB)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피시비모듈(310)은 제어피시비모듈(60)과 연결되며 제어피시비모듈(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1피시비기판은 본체(30)에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피시비기판의 착탈은 제1코일피시비모듈(310)의 착탈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1코일피시비모듈(310)을 교체함으로써 제1피시비기판 및 제1유도코일의 교체도 가능할 수 있다.
안착부(301)의 상면의 다른 일측에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311)이 설치될 수 있다. 수신모듈(311)은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신호를 제어피시비모듈(60)로 전달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50)의 상단은 용기(10) 내부의 블레이드모듈(14)과 연결될 수 있다. 모터어셈블리(50)의 하단에는 쿨링팬(55)이 구비될 수 있다.
쿨링팬(55)는 판상의 팬플레이트(551)의 상면에 다수의 팬블레이드(552)가 방사상으로 배치된 구조로, 모터어셈블리(50)의 구동시 블레이드모듈(14)과 동시에 회전하여 축방향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방사상으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본체(30) 내부의 냉각공기의 유동을 효과적으로 강제할 수 있다.
본체(30)의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케이스(32)의 내측벽면에는 다수의 제어피시비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피시비모듈(60)은 다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체(30)의 내측면 둘레 즉, 전면과 후면 및 좌우 양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어피시비모듈(60)에는 본체(30) 및 용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다수의 컨트롤러들(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컨트롤러들은 마이콤(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온칩 형태로 피시비기판에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30) 및 용기(10)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용기(10)는 안착부(301)의 외경과 대응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식품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용기(10)는 유리 또는 유리와 같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는 내측 하면의 중앙에 블레이드모듈(14)이 구비될 수 있다. 블레이드 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를 포함하며, 모터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가 본체(30)에 안착된 상태에서 모터어셈블리(50)가 구동되면 블레이드(141)는 회전되어 용기(10) 내부의 식품을 분쇄 또는 절단할 수 있다.
용기(10)의 내부에 회전되는 식품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너 가이드(121)가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21)는 용기(10)의 내측면 하단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용기(10)의 하단 일측에는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은 제2유도코일(inductive coil)이 다수회 권선된 형태로 패턴화된 제2피시비(PCB)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은 제1코일피시비모듈(310)과 상하로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유도코일과 제2유도코일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피시비기판은 용기(10)에 착탈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제2피시비기판의 착탈은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의 착탈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을 교체함으로써 제2피시비기판 및 제2유도코일의 교체도 가능할 수 있다.
용기(10)의 하단의 다른 일측에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모듈(112)이 배치될 수 있다. 송신모듈(112)은 외부로 신호를 송신하며 수신모듈(311)은 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용기(10)의 상단에는 분쇄된 식품을 따를 수 있는 주둥이(15)가 돌출될 수 있으며 주둥이(15)와 마주보는 일측에는 손잡이(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13)는 용기(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가 용기(10)를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13)의 돌출된 단부는 본체(30)의 측단과 동일 연장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손잡이(13)가 결합되는 용기(10)의 내측에 뚜껑(20)의 닫힘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모듈(151)이 설치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피시비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뚜껑(20)이 닫힘에 따라 내부의 치스위가 동작함으로써 뚜껑(20)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1,2코일피시비모듈(310,110) 간의 유도결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감지모듈(151)은 용기(10)에 뚜껑(20)의 닫힘이 감지되면 제1,2코일피시비모듈(310,110) 간의 전류전달이 이루어지고 감지되지 않으면 제1,2코일피시비모듈(310,110) 간의 전류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감지모듈(151)과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은 전도성부재(161)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일단이 감지모듈(151)에 접속되며 용기(10)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연장되어 타단이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에 접속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와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에는 전도성부재(161)와의 효과적인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제1,2커넥터(152,111)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2커넥터(152,111)를 이용함으로써 감지모듈(151)과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은 전도성부재(161)와 착탈이 용이할 수 있고, 감지모듈(151), 제2코일피시비모듈(110) 및 전도성부재(161)를 블렌더(1)에 착탈이 용이하며 교체도 용이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용기(10)의 내부면 또는 외부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외부면에 접촉되는 경우 소정의 코팅물질로 코팅되어 외부면에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투명소재로 형성되어 투명소재의 용기(10)의 디자인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는 뚜껑(20)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20)은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뚜껑(20)을 용기(10)로부터 분리하여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을 뚜껑(20)으로 닫거나(이를 뚜껑닫힘이라 한다) 열어서(이를 뚜껑열림이라 한다)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이 차폐 및 개방될 수 있다.
뚜껑(20)은 뚜껑 손잡이(21)를 포함할 수 있다.
두껑(20)의 일측 내면에는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의 치스위를 온/오프시킬 수 있는 트리거링부재(210)가 배치될 수 있다. 트리거링부재(210)가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내부의 치스위가 온(on)될 수 있다. 반대로 일정거리를 벗어나면 치스위는 오프(off)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노브(40)와 터치조작부(310b)의 조작에 의해 동작될 수 있지만 특정조건에서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블렌더(1)는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힌 상태, 즉 뚜껑닫힘 상태에서만 동작될 수 있다. 뚜껑열림 상태에서 블렌더(1)가 동작하면 날카로운 블레이드(141)에 의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된 식품이 외부로 분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일 구성인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3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30)의 상면에 용기(10)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301)가 돌출되고 본체(30)의 전면에 블렌더(1)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노브(40)가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체(30)의 내부 및 전체적인 구조는 외측에 아우터 케이스(31)가 장착되어 본체(3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케이스(31)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판상의 소재가 절곡 및 접합되어 매우 깔끔하고 견고한 외관 형상을 제공할 수 있다.
안착부(301)는 2단 형상으로 제1안착부데코(314), 제2안착부데코(316) 및 로어데코(315)에 의해 전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안착부데코(314)와 제2안착부데코(316)는 아우터 케이스(31)와 동일 소재 또는 동일 질감으로 보이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데코(315)는 플라스틱 또는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안착부데코(314)의 장착시 제1안착부 데코(314)와 아우터 케이스(31)의 사이 공간을 채워 틈새가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안착부데코(314)의 측면 둘레에는 제1외장재(331)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외장재(331)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안착부데코(314)를 보호할 수 있다.
제1안착부데코(314)와 제2안착부데코(31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상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링(ring)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안착부데코(316)는 제1안착부데코(314)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안착부데코(314)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안착부데코(314)의 상면(325)에는 중앙부의 제2안착부데코(316)의 외곽으로 안착패킹(322)이 배치될 수 있다. 안착패킹(322)은 용기(10)가 안착부(301)에 안착될 때 안정감을 주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고무재질, 실리콘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안착부데코(316)는 상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원 형상이며, 일부는 측방으로 돌출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안착부데코(316)의 상면의 중앙부에는 삽입공간(317)이 형성되며 상면 둘레에는 제1안착홈(321)과 제2안착홈(322)이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안착부데코(316)의 상면에는 제3안착홈(323)과 제4안착홈(324)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제1안착홈(321)에는 제1코일피시비모듈(310)이 안착되고 제2안착홈(322)에는 수신모듈(311)이 안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3안착홈(323)에는 본체(30)에 안착된 용기(10)의 종류를 감지하는 홀센서(312)가 안착될 수 있고 제4안착홈(234)에는 용기(10)의 안착여부를 감지하는 리드스위치(313)가 안착될 수 있다.
제1코일피시비모듈(310), 수신모듈(311), 홀센서(312) 및 리드스위치(313)는 각각 제1,2,3,4안착홈(321,322,323,324)에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홀센서(312)는 용기(10)가 본체(30)에 안착시 용기(10)의 하부에 용기(10)의 종류별로 부착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여 용기(10)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다. 용기(10)의 종류별로 자석에 자력이 서로 다르므로 홀센서(312)에서 검출되는 자력의 크기를 이용하여 용기(10)의 종류를 검출할 수 있다.
리드스위치(313)는 용기(10)가 본체(30)에 안착될 때 용기(10)의 하부에 설치된 자석(미도시)을 감지하여 용기(10)의 안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자석이 리드스위치(313)에 접근하면 리스스위치(313)가 온으로 전환됨으로써 자석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고, 자석의 접근 감지를 통해 용기(10)의 안착을 감지할 수 있다.
제1코일피시비모듈(310)과 수신모듈(311), 그리고 선택적으로 홀센서(312) 및 리드스위치(313)이 안착된 상태에서 커버(314)가 제2안착부데코(316)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314)는 제1코일피시비모듈(310), 수신모듈(311), 홀센서(312) 및 리드스위치(313)를 고정 및 보호하고, 수신모듈(311)이 커버(314)를 통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신호투과기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314)가 제2안착부데코(316)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314) 및 제2안착부데코(316)의 측면 둘레를 따라 제2외장재(318)가 장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일 구성인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다른 측면에서 본 내측 용기와 손잡이 커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용기의 감지모듈의 상세 배치도이며, 도 9는 상기 용기의 제2코일피시비모듈을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10)는 상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의 하면에는 블레이드모듈(14)이 장착되고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는 뚜껑(20)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용기(10)는 블렌더(1)의 동작 중 내부의 식품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는 외측 용기(11)와, 식품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측 용기(12)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용기(12)와 외측 용기(11)는 서로 결합되어 용기(1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며 용기(10)가 이중 벽 구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내측 용기(12)는 외측 용기(11)와 이격되어 외측 용기(11)와 내측 용기(12)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 용기(12)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질 수 있다. 내측 용기(12)의 하부는 블레이드모듈(14)을 향하여 경사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용기(10)의 내부 식품이 블레이드모듈(14)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외측 용기(11)는 상단과 하단의 외경이 같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10)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외측 용기(11)의 외경은 안착부(301)의 외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1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본체(30)와 용기(10)가 일체감을 갖게 할 수 있다.
외측 용기(11)의 하면에는 본체 수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 수용부(102)는 외측 용기(11)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술한 제2안착부데코(316)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본체 수용부(102)와 제2안착부데코(316)의 결합에 의해 용기(10)는 안착부(301)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외측 용기(11)의 상단 일측에는 중간 손잡이(1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손잡이(132)가 돌출 형성될 때 외측 용기(11)의 상단부 일측에 감지모듈(15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 손잡이(132)의 바깥쪽에는 바깥 손잡이(131)가 결합되고 안쪽에는 안쪽 손잡이(133)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손잡이(13)를 형성할 수 있다.
내측 용기(12)의 상단은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경사면(122)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10)의 개구된 상면에 뚜껑(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내측 용기(12)와 점진적으로 밀착되면서 기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내측 용기(12) 상단의 경사면은 용기(10)의 상단에서 이너 가이드(121)의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용기(12)의 내측면에는 이너 가이드(1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21)는 경사면(122)에서 내측 용기(12)의 바닥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내측 용기(12)의 내측 하부에는 블레이드모듈(14)이 배치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모듈(14)은 다수의 블레이드(141)가 베이스(141a)의 상부에 삽입되며 상부에서 너트(141b)로 고정될 수 있다.
내측 용기(12)의 하부에는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은 제2피시비기판에 제2유도코일(201)이 동일 평면에 패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유도코일(201)은 중심점(201a)을 중심으로 나선형 형상으로 피시비(PCB) 기판에 다수 회 권선될 수 있다.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의 하면 일측에는 송신모듈(112)이 배치될 수 있다. 송신모듈(112)은 송신모듈(112)과 후술하는 제2유도코일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2유도코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은 하부플레이트(113)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제2코일피시피모듈(110)이 하부플레이트(113)에 고정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114)가 하부플레이트(113)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의 상면 일측에는 제2유도코일(201)과 전도성부재(161)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제2커넥터(111)가 돌출 설치될 수 있다.
커버(114)의 상면에는 제2커넥터(111)를 하부에서 수용하기 위해 상면이 개구된 수용부(116)가 돌출 설치되며 전도성부재(116)는 수용부(116)를 통해 노출된 제2커넥터(111)와 결합되어 제2코일피시비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손잡이(13)가 결합되는 용기(10)의 상단부 내측에는 감지모듈(151)이 설치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피시비(PCB)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온/오프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특정 조건에서만 온(on)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용기(10)에 뚜껑(20)의 닫힘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히면 뚜껑(20)의 내부에 설치된 트리거링부재(210)에 의해 내부의 스위치가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감지모듈(151)은 내부의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뚜껑(20)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하부에 설치된 홈(153)에 안착되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감지모듈(151)에는 전도성부재(161)와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1커넥터(152)가 설치될 수 있다.
외측 용기(11)와 내측 용기(12) 사이에는 전도성부재(161)이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용기(10)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용기(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유리, 트라이탄, 투명 플라스틱과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된 외측 용기(11) 및 내측 용기(12)의 투명성을 보장 및 유지하기 위해 투명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도성부재(161)는 투명전극필름(ITO)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의 일단은 제1커넥터(152)를 통해 감지모듈(151)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고 타단은 제2커넥터(111)를 통해 제2코일피시비모듈(110)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세히, 전도성부재(161)는 일단이 감지모듈(151)에 구비된 스위치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에 구비된 제2유도코일(201)과 연결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는 외측 용기(11)의 내면 또는 내측 용기(12)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전도성부재(161)의 상단부는 외측 용기(11)와 내측 용기(12)의 형태에 따라 일부 구간이 휘어져서 설치될 수도 있다.
뚜껑(20)의 일 측면 내부에는 감지모듈(151)에 대응되는 위치에 트리거링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뚜껑(20)이 용기(10)에 닫히면 트리거링부재(210)는 감지모듈(151)에서 일정거리 이내로 근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트리거링부재(210)가 감지모듈(151)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감지모듈(151)의 스위치가 온(on)으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히면 뚜껑(20)의 내부에 설치된 트리거링부재(210)가 감지모듈(151)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감지모듈(151)의 스위치가 온(on)으로 전환되고, 뚜껑(20)이 열리면 뚜껑(20)의 트리거링부재(210)가 감지모듈(151)로부터 상기 일정거리를 벗어나게 되어 감지모듈(151)의 스위치는 오프(off)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의 일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1은 상기 본체의 제1코일피시비모듈의 상면 상세도이고, 도 12는 상기 용기의 제2코일피시비모듈의 하면 상세도이고, 도 13은 상기 제1,2코일피시비코듈 간의 상호 배치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렌더(1)의 본체(30)의 상부 일측에 제1코일피시비모듈(31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코일피시비모듈(310)은 제1피시비모듈(310)에 제1유도코일(101)이 동일 평면에 패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유도코일(101)은 중심점(101a)을 중심으로 나선형 형상으로 피시비(PCB) 기판에 다수 회 권선될 수 있다.
본체(30)는 내부에 전원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3)는 제1유도코일(101)로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제1유도코일(101)에 전류가 인가되면 제1유도코일(101)에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전원부(103)는 제1코일피시비모듈(310)에 탑재될 수도 있고 또는 제어피시비모듈(60)에 탑재될 수도 있다.
전원부(103)는 제1유도코일(101)에 인가하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전류세기의 변화에 의해 제1유도코일(101)에 자기장이 변할 수 있다.
본체(30)의 상부 타측에는 외부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3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모듈(311)은 신호수신을 위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체(30)는 내부에 컨트롤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상술한 모터어셈블리(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수신모듈(311)에서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어셈블리(50)의 모터(51)를 구동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상술한 제어피시비모듈(60)에 탑재될 수 있다.
용기(10)의 하면 일측에는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이 설치될 수 있다.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은 제2피시비기판에 제2유도코일(201)이 패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유도코일(201)은 중심점(201a)을 중심으로 나선형 형상으로 피시비(PCB) 기판에 다수 회 권선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30)의 제1유도코일(101)과 용기(10)의 제2유도코일(201)은 본체(30)에 용기(10)가 안착될 때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체(30)에 용기(10)가 안착될 때 제1유도코일(101)과 제2유도코일(201)은 두 중심점(101a,201a)이 동일하고(concentric), 서로 대향하여 평행하도록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유도코일(101)과 제2유도코일(201)은 특정한 조건에서 선택적으로 상호 간에 유도결합(inductive coupl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유도코일(101)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가 변하면 제1유도코일(101)에서의 자기장이 변하고 제1유도코일(101) 및 제2유도코일(201) 간 유도결합에 의해 제2유도코일(201)을 지나는 자속이 변하게 되어 제2유도코일(201)에 유도기전력(induced electromotive force)이 생길 수 있다.
제1,2유도코일(101,201)은 상호 간의 유도결합이 잘 이루어지도록 위치 및 배치가 결정될 수 있다.
용기(10)의 하부 타측에는 외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모듈(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모듈(112)은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의 하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의 제2유도코일(201)과 송신모듈(11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송신모듈(112)은 제2유도코일(201)로부터 전력이 공급받아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모듈(112)은 본체(30)의 수신모듈(311)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수신모듈(311)은 송신모듈(112)에서 송신되는 신호는 수신할 수 있다.
송신모듈(112)과 수신모듈(311)은 상호 간에 신호의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신모듈(112)은 예컨대 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할 수 있고 수신모듈(311)은 발광되는 광을 검출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은 LED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광센서는 반도체소자,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용기(10)의 상단부에는 감지모듈(151)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용기(10)의 상단부에 외측 용기(11)와 내측 용기(12)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피시비(PCB) 기판에 후술하는 스위치(151a)가 탑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뚜껑(20)의 측면 일측에는 트리거링부재(210)가 설치될 수 있다. 트리거링부재(210)는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힐 때 감지모듈(1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일정거리로 접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의 스위치(151a)는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힐 때 뚜껑(20)의 트리거링부재(210)가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온(on)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로써 감지모듈(151)은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트리거링부재(210)는 자성체일 수 있고 스위치(151a)는 리드 타입의 스위치(reed switch)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드스위치는 초기에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자성체가 리드스위치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리드스위치는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감지모듈(151)과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은 투명재질의 전도성부재(161)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투명재질의 전도성부재(161)는 감지모듈(151)의 스위치(151a)와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의 제2유도코일(201)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도성부재(205)는 투명전극필름(ITO)을 포함할 수 있다. 투명전극필름(ITO)은 투명한 재료로 전류을 도통시킬 수 있는 소재일 수 있다.
투명전극필름(ITO)은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외측 용기(11)와 내측 용기(11)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측 용기(11)의 내면 또는 내측 용기(11)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투명전극필름(ITO)은 외측 용기(11)의 외면에 부착될 수 있고, 이 경우 투명 코팅재료를 이용하여 투명전극필름(ITO)을 코팅하여 외부로부터 투명전극필름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투명전극필름(ITO)은 용기(10)의 상부의 감지모듈(151)에서 용기(10)의 하부의 제2코일피시비모듈(110)까지 용기(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전극필름(ITO)의 적용으로 투명재질 용기(10)의 투명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2유도코일(201), 스위치(151a) 및 송신모듈(112)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스위치(151a)의 온/오프에 따라 제2유도코일(201)에서 송신모듈(112)로 전력이 공급 및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제2유도코일(201)에서 송신모듈(112)로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송신모듈(202)에서 사용가능한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모듈(204)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변환모듈(204)은 제2코일피시비모듈(110)에 탑재될 수 있다.
송신모듈(112)이 제2유도코일(201)에서 생성된 전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면 변환모듈(204)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변환모듈(204)은 제2유도코일(201)에서 생성된 교류전압을 송신모듈(112)에서 필요한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0의 블렌더에 대한 등가회로도의 일 예시도이고, 도 15는 도 10의 블렌더에 대한 등가회로도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체(30)에서 제1유도코일(101)은 전원부(103)와 연결될 수 있고 수신모듈(311)은 컨트롤러(104) 및 모터(51)와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103)는 제1유도코일(101)로 전류를 공급하고 제1유도코일(101)에는 공급된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전원부(103)에서 제1유도코일(101)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제1유도코일(101)의 자기장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용기(10)에서 제2유도코일(201)은 감지모듈(151)과 송신모듈(1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도코일(201)은 선택적으로 변환모듈(204)을 통해 송신모듈(112)과 감지모듈(151)과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2유도코일(201)과 감지모듈(151) 간의 연결은 투명재질의 전도성부재(161)를 이용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은 스위치(151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스위치(151a)는 리드스위치(reed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등가회로도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감지모듈(151)이 트리거링부재(210)를 감지하지 못하므로 스위치(151a)가 오프(off)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위치(151a)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제2유도코일(201), 스위치(151a) 및 송신모듈(112)는 폐회로를 형성하지 못하므로 제1유도코일(101)과 제2유도코일(201) 간에는 유도결합이 발생하지 않는다.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히게 되면 트리거링부재(210)가 감지모듈(151)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한 상태가 되고 스위치(151a)는 트리거링부재(210)에 의해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스위치(151a)가 온(on)되면 직렬 연결된 제2유도코일(201), 스위치(151a) 및 송신모듈(112) 간에는 폐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폐회로가 형성되면 제1유도코일(101)과 제2유도코일(201) 간에 유도결합이 이루어지며 제2유도코일(201)에 유도된 전력이 송신모듈(112)로 공급될 수 있다.
송신모듈(112)은 전력의 공급에 따라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수신모듈(311)은 송신모듈(112)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2유도코일(201)에 유도된 전력은 변환모듈(204)을 통해 송신모듈(112)에 필요한 전력으로 변환되어 송신모듈(112)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변환모듈(204)의 위치가 다르게 표시된 예시도이다.
수신모듈(311)은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컨트롤러(104)로 전송할 수 있다. 컨트롤러(104)는 이러한 신호의 수신에 의해 뚜껑닫힘을 감지할 수 있고,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경우에만 모터(51)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뚜껑열림 상태에서는 수신모듈(311)이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컨트롤러(104)는 모터(51)를 구동하지 않으며 뚜껑닫힘 상태에서만 수신모듈(311)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컨트롤러(104)가 모터(51)를 구동할 수 있다.
이로써, 뚜껑닫힘의 특정조건에서만 블렌더(1)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4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부(103)는 필터(1031), 레귤레이터(1032), 오실레이터(1033), 인버터(1034)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1031)는 본체(30) 내부의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Vdc 전압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고, 노이즈가 제거된 Vdc 전압은 인버터(1034)로 입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1031)는 12Vdc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1032)는 필터(1031)로부터 출력된 Vdc 전압을 더 낮은 Vdc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레귤레이터(1032)는 12Vdc 전압을 5Vdc 전압으로 낮춰 출력할 수 있다.
오실레이터(1033)는 레귤레이터(1032)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에 대하여 교류신호를 위한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실레이터(1033)는 345㎑의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인버터(1034)는 펄스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필터(1031)로부터 출력되는 Vdc의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제1유도코일(101)에 교류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유도코일(101)에 교류전류를 인가하여 제1유도코일(101)에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발생시키고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제2유도코일(201)과의 유도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변환모듈(204)는 정류기(2041)와 LDO부(2042)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기(2043)는 제2유도코일(201)에 유도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LDO부(2044)는 여러 요인에 의해 정류기(2043)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력이 불안정한 경우 출력의 안정화를 통해 송신모듈(202)로 안정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LDO부(2044)는 직류전력의 실제 출력값이 기준 출력값에 추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송신모듈(202)은 수신된 직류전력으로 신호를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감지모듈(151)의 스위치(151a)는 제2유도코일(201)과 송신모듈(112) 사이의 회로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스위치(203a)가 온 상태로 전환되어야 제2유도코일(201)에 유도된 전력이 송신모듈(112)로 전송될 수 있다.
전원부(103)의 커패시터(1035) 및 제1유도코일(101)과 변환모듈(204)의 커패시터(2041,2042)와 제2유도코일(201)은 공진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체에서 뚜껑닫힘을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용기(10)에 뚜껑(20)이 닫히면(S101), 뚜껑(20)의 일 측면 내부에 설치된 트리거링부재(210)에 의해 감지모듈(151)의 스위치(151a)가 온(on)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103).
스위치(151a)가 온되면 스위치(151a), 제2유도코일(201) 및 송신모듈(112)은 폐회로를 형성하여 제1유도코일(101)과 제2유도코일(201) 간에 유도결합(inductive coupling)이 발생할 수 있다(S105).
이러한 유도결합에 의해 제2유도코일(201)에 전력이 생성될 수 있고(S107), 생성된 전력은 송신모듈(112)로 공급될 수 있다(S109).
송신모듈(202)은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S111), 수신모듈(311)에서 상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113).
이와 같이 수신모듈(311)에서 신호가 수신되면 본체(30)의 컨트롤러(104)가 용기(10)에 뚜껑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S115).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블렌더 10 : 용기
11 : 외측 용기 12 : 내측 용기
13 : 손잡이 14 : 블레이드모듈
20 : 뚜껑 30 : 본체
31 : 아우터 케이스 32 : 이너 케이스
40 : 노브 50 : 모터어셈블리
55 : 쿨링팬 60 : 제어피시비모듈
101 : 제1유도코일 101a : 제1유도코일 중심점
102 : 제2유도코일 102a : 제2유도코일 중심점
110: 제2코일피시비모듈 111 : 제2커넥터
112 : 송신모듈 141 : 블레이드
151 : 감지모듈 151a : 스위치
152 : 제1커넥터 161 : 전도성부재
201 : 제2유도코일 210 : 트리거링부재
301 : 안착부 310 : 제1코일피시비모듈
310b : 터치조작부 311 : 수신모듈
312 : 홀센서 313 : 리드스위치
314 : 제1안착부데코 315 : 로어데코
316 : 제2안착부데코 321 : 제1안착홈
322 : 제2안착홈 323 : 제3안착홈
324 : 제4안착홈

Claims (20)

  1. 제1유도코일 및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제1유도코일과 선택적으로 유도결합(inductive coupling)이 이루어지는 제2유도코일 및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모듈을 포함하는 용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도코일 및 제2유도코일 간의 유도결합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모듈 및 수신모듈 간에 신호송수신이 이루어지는 블렌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도코일 및 제2유도코일 간의 유도결합에 의해 상기 제2유도코일에 전력이 생성되는 블렌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상기 제2유도코일에 생성된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신호를 송신하는 블렌더.
  4. 제1항에 있어서,
    일 측면의 내부에 트리거링부재가 설치된 뚜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에 상기 뚜껑의 닫힘에 따라 상기 제1유도코일 및 제2유도코일 간에 유도결합이 이루어지는 블렌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트리거링부재를 감지하는 감지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모듈에 상기 트리거링부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1,2유도코일 간에 유도결합이 이루어지는 블렌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트리거링부재에 의해 온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의 닫힘에 따라 상기 트리거링부재가 상기 스위치에 일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상기 스위치가 온되어 상기 제1,2유도코일 간에 유도결합이 이루어지는 블렌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용기의 길이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배치된 투명재료의 전도성부재를 통해 상기 제2유도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렌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부재는 투명전극필름(ITO)을 포함하는 블렌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필름(ITO)은 일단이 탈착가능한 제1커넉터를 통해 상기 감지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탈착가능한 제2커넥터를 통해 상기 제2유도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렌더.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도코일, 스위치 및 송신모듈은 직렬연결되고 상기 스위치가 온으로 전환되면 상기 제2유도코일, 스위치 및 송신모듈은 폐회로를 형성하는 블렌더.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유도코일은 각각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나선형 형상으로 동일 평면에 다수 회 권선되는 블렌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유도코일은 제1,2피시비기판에 각각 패턴화되어 형성되는 블렌더.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피시비기판은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서로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2피시비기판에 패턴화된 제1,2유도코일이 상호 동일한 중심점이 갖도록 배치되는 블렌더.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피시비기판은 각각 상기 본체 및 용기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 블렌더.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모듈은 광을 발광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광원에서 발광되는 광을 수신하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블렌더.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에서 광이 수신되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된 모터가 구동되는 블렌더.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유도코일로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부와, 상기 광센서에서 광이 수신되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블렌더.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입력되는 직류전압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
    상기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변환하여 출력하는 레귤레이터;
    상기 레귤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대하여 교류신호를 위한 펄스를 발생시키는 오실레이터;
    상기 교류신호의 펄스에 따른 온/오프 스위칭을 통해 상기 필터를 통해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유도코일로 공급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블렌더.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제2유도코일에서 발생된 전압을 변환시켜 상기 송신모듈로 공급하는 변환모듈을 포함하는 블렌더.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모듈은,
    상기 제2유도코일에 유도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정류기;
    상기 정류기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력의 실제 출력값이 설정된 기준 출력값에 추종하도록 제어하는 LDO부를 포함하는 블렌더.
KR1020190098860A 2019-08-13 2019-08-13 블렌더 Active KR102836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860A KR102836706B1 (ko) 2019-08-13 블렌더
US16/986,486 US11564532B2 (en) 2019-08-13 2020-08-06 Blender
PCT/KR2020/010377 WO2021029609A1 (ko) 2019-08-13 2020-08-06 블렌더
AU2020328375A AU2020328375B2 (en) 2019-08-13 2020-08-06 Blender
CN202080031015.8A CN113747819B (zh) 2019-08-13 2020-08-06 料理机
EP20189890.5A EP3777621B1 (en) 2019-08-13 2020-08-06 Ble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8860A KR102836706B1 (ko) 2019-08-13 블렌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792A true KR20210019792A (ko) 2021-02-23
KR102836706B1 KR102836706B1 (ko) 2025-07-18

Family

I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800B2 (en) 2002-08-27 2005-06-28 Eupa International Corporation Blender having a top cover provided with a switch actuating block
US7871196B2 (en) 2007-08-16 2011-01-18 Kuan-Chih Lin Juicer safety device
EP2548485A1 (en) 2010-03-16 2013-01-23 Electrodomésticos Taurus, SL Cooking vessel with rotary blades
US20180020875A1 (en) 2015-02-17 2018-01-25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Interlocking blending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10800B2 (en) 2002-08-27 2005-06-28 Eupa International Corporation Blender having a top cover provided with a switch actuating block
US7871196B2 (en) 2007-08-16 2011-01-18 Kuan-Chih Lin Juicer safety device
EP2548485A1 (en) 2010-03-16 2013-01-23 Electrodomésticos Taurus, SL Cooking vessel with rotary blades
US20180020875A1 (en) 2015-02-17 2018-01-25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Interlocking blen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77621A1 (en) 2021-02-17
US11564532B2 (en) 2023-01-31
US20210045581A1 (en) 2021-02-18
AU2020328375A1 (en) 2021-11-18
WO2021029609A1 (ko) 2021-02-18
EP3777621B1 (en) 2024-11-20
CN113747819B (zh) 2024-04-19
CN113747819A (zh) 2021-12-03
AU2020328375B2 (en) 2023-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328375B2 (en) Blender
KR20210019794A (ko) 블렌더
KR20210019791A (ko) 블렌더
KR20210019793A (ko) 블렌더
KR20210019790A (ko) 블렌더
US20230137076A1 (en) Blender
US11779160B2 (en) Blender
KR102836706B1 (ko) 블렌더
US20230225563A1 (en) Blender
US12303073B2 (en) Blender
KR102372820B1 (ko) 블렌더
CN113811235B (zh) 料理机
US12364366B2 (en) Blender
KR102836707B1 (ko) 블렌더
KR20210019958A (ko) 블렌더
KR102805226B1 (ko) 블렌더의 용기 구별방법 및 그 블렌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