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5974A - Emergency Flashlight - Google Patents
Emergency Flashligh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5974A KR20210015974A KR1020210002273A KR20210002273A KR20210015974A KR 20210015974 A KR20210015974 A KR 20210015974A KR 1020210002273 A KR1020210002273 A KR 1020210002273A KR 20210002273 A KR20210002273 A KR 20210002273A KR 20210015974 A KR20210015974 A KR 202100159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kerchief
- main body
- seating
- emergency flashlight
-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 조명부 및 음향부를 포함하는 비상 손전등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조명부와 대향하여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착되는 손수건 안착부와, 상기 손수건 안착부에 안착되는 손수건과, 상기 손수건과 본체를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손수건 안착부를 탈거했을 때, 손수건과 상기 분리부를 연결하여 상기 손수건이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손수건을 탈락시킨 상태에서 호흡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긴 형태이고, 상기 연결부는 유연성 재질로 하여 좁은 공간에 수납 가능한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flashlight, in an emergency flashlight comprising a lighting unit and a sound unit, a main body, a handkerchief seating portion attach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facing the lighting portion, and a handkerchief seated in the handkerchief seating portion, A separating part separating the handkerchief from the main body, and a connecting part connecting the handkerchief and the separating part to prevent the handkerchief from falling or being lost when the handkerchief seating part is removed, and the connecting part from the main body It has a long shape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respirator in a state where the handkerchief is removed,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may be stored in a narrow spa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비상 손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조명과 음향 출력이 가능하고 방연이 가능한 비상 손전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flashligh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flashlight capable of lighting and sound output and flame retardant.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비상 손전등은 단순히 조명기능을 구비하는 손전등이 대부분이고 이에 더해 비상 시 비상사태를 외부에 알릴 수 있는 경광음향을 제공하는 방범용 렌턴이 있다. 이러한 방범용 렌턴은 정전 등의 비상 상황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In general, emergency flashlights are mostly flashlights with a simple lighting function, and in addition to this, there is a security rental car that provides a warning sound to notify the outside of an emergency situation. These security rentals can be usefully used in emergency situations such as power outages.
한편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는 화염에 의한 것 보다는 연기와 유독가스의 흡입에 의한 인명피해가 더 크다. 따라서 화재발생 시 연기와 유독가스의 흡입을 최대한 지연시켜 피난자가 골든타임 내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피난을 하기 위한 응급 구조품이 절실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event of a fire, the damage to people is greater due to inhalation of smoke and toxic gas than by the flame. Therefore, in the event of a fire, emergency rescue supplies are urgently needed to delay the inhalation of smoke and toxic gases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evacuee can evacuate quickly and safely within the golden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등 비상 시의 경우에 피난자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경고음 등의 음향을 발생시켜 구조자가 용이하게 피난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신속한 구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음향장치가 구비된 비상 손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device that generates a sound such as a warning sound to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evacuee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so that the rescuer can easily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evacuee so that a quick rescue can be achieved. It is to provide an emergency flashligh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시 정전 등 암중상태에서 시야를 확보하면서 피난구를 찾는 동안 연기와 유독가스의 흡입을 차단할 수 있는 방연 손수건이 구비된 비상 손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flashlight equipped with a smoke-retardant handkerchief capable of blocking inhalation of smoke and toxic gases while searching for an evacuation exit while securing a view in a dark state such as a power outage during a fi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재 등 비상 시에 긴급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별다른 조작없이 거치대에서 손전등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조명 및 음향을 작동시킬 수 있는 비상 손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flashlight capable of operating lighting and sound simply by separating the flashlight from a cradle without special manipulation so that it can be used i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아울러 본 발명은 방연 손수건을 사용할 때 의도하지 않게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상 손전등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n emergency flashlight that can prevent accidental loss when using a smoke-retardant handkerchief.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비상 손전등은, 조명부 및 음향부를 포함하는 비상 손전등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조명부와 대향하여 상기 본체의 일단에 결착되는 손수건 안착부와, 상기 손수건 안착부에 안착되는 손수건과, 상기 손수건과 본체를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손수건 안착부를 탈거했을 때, 손수건과 상기 분리부를 연결하여 상기 손수건이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손수건을 탈락시킨 상태에서 호흡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긴 형태이고, 상기 연결부는 유연성 재질로 하여 좁은 공간에 수납 가능한 것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mergency flashlight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in an emergency flashlight comprising a lighting unit and an acoustic unit, a main body, a handkerchief seating portion attached to one end of the main body to face the lighting portion, and the handkerchief seating portion A handkerchief to be seated, a separating part separating the handkerchief from the main body, and when the handkerchief seating part is removed, a connection part for connecting the handkerchief and the separating part to prevent the handkerchief from falling or being lost to the floor, the connection part Is a long shape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respirator in a state where the handkerchief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and the connection part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may be accommodated in a narrow spa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조명기능 외에도 음향을 출력할 수 있어 비상 시 외부의 구조자에게 피난자의 위치를 알릴 수 있어 구조가 용이하고, 화재 시 연기와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방연손수건에 의해 피난 시의 유독가스 등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lighting functio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output sound in addition to the lighting func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inform external rescuers of the location of the evacuee in case of an emergency. It can prevent inhalation of poisonous gas.
또한 별도의 조작없이 거치대에서 손전등을 분리하는 것만으로 즉시 조명과 음향출력이 가능하여 촌각을 다투는 위급 상황에서 피난하는 동시에 구조요청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removing the flashlight from the cradle without any separate operation,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output lighting and sound, so it is possible to evacuate in an emergency situation and request rescue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방연 손수건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방연 손수건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moke-retardant handkerchief from falling, thereby preventing the smoke-retardant handkerchief from being l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비상 손전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비상 손전등이 거치대에 장착된 것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비상 손전등의 사시도로, (a)는 비상 손전등이 거치대에 장착된 것이고, (b)는 거치대로부터 분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비상 손전등의 저면도로, (a)는 손잡이가 넣어져 있는 상태를, (b)는 손잡이를 당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비상 손전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상 손전등으로부터 손수건이 분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ergency flas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at an emergency flashlight is mounted on a cra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ergency flas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mergency flashlight mounted on a cradle, and (b)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emergency flashlight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4 is a bottom view of an emergency flas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is put, and (b)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pulled.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ergency flas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handkerchief is separated from the emergency flas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크기를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며, 각 구성요소의 비율을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added.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size of the components is enlarged from the actual size, and the ratio of each component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위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Terms such as'first' and'second' may be used as terms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above terms. The above terms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the'second element', and similarly, the'second element' may also be named as the'first element'. I can. In addition, expressions in the singula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clearly expressed differently in contex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terpreted as meanings commonl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 손전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mergency flas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비상 손전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1 and 2 are exemplary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ergency flas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비상 손전등(100)은 본체(30), 조명부(10), 음향부(20), 축광부(11)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조명부(10)는 본체(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조명부(10)는 발광다이오드가 적용될 수 있다.The
축광부(11)는 햇빛이나 빛 등의 에너지원을 흡수, 축적하여 어둔운 상태에서 형광빛을 방출하는 부분으로, 정전이나 화재로 인한 암전 등의 경우 축광부(11)의 발광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손전등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한다.The
음향부(20)는 본체(3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전원의 공급에 의해 경고음 등이 스피커 토출구를 통해 출력된다. 음향부(20)를 통해 출력되는 음원인 경고음 등의 음향신호는 제어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다가 전원이 공급되면 출력되며, 이러한 경고음은 싸이렌 소리 등의 경고음 뿐만 아니라, 남녀의 육성 등도 가능하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비상 손전등의 사시도로, (a)는 비상 손전등이 거치대에 장착된 것이고, (b)는 거치대로부터 분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ergency flas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mergency flashlight mounted on a cradle, and (b)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emergency flashlight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비상 손전등의 본체(30)에는 조명부(10)와 음향부(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는데 본체(30)의 커버(32)를 제거하면 배터리 위치 공간이 있어 배터리를 삽입할 수 있다. 배터리를 삽입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별도의 온/오프 스위치 없이 조명부(10)와 음향부(20)가 작동하게 된다. 본체(30)에 커버(32)를 끼우고 거치대(70)의 중앙에 마련된 거치 후크(71)를 거치대 결합부(31)에 끼우면 거치 후크(71)에 의해 본체(30)에 삽입되어 있는 배터리가 분리되어 조명부(10)와 음향부(20)에는 더 이상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조명과 음향의 작동이 중지된다. 거치대(70)는 본체(30)와 결합하여 벽면이나 문 등에 부착할 수 있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비상 손전등의 저면도로, (a)는 손잡이가 넣어져 있는 상태를, (b)는 손잡이를 당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4 is a bottom view of an emergency flas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is put, and (b) a state in which the handle is pulled.
본체(30)의 하단에는 손수건 안착부(40)가 마련되어 손수건이 안착될 수 있다. 손수건 안착부(40)는 본체(30)의 하단에서 본체(30)와 결합되는데, 손수건 안착부(4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의 고무패킹(43)이 장착되어 본체(30)와 결합한다. 고무패킹(43)에 의해 본체(30)와 손수건 안착부(40)가 결합되되 그 결합 강도는 강하지 않아 손수건 안착부(40) 외면의 탈거 손잡이(41)를 잡아 당기는 것에 의해 손수건 안착부(41)가 본체(30)로 부터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고무패킹(43)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30)와 손수건 안착부(40)가 끼움 결합되거나 스프링 등의 탄성체에 의해 결합 후 용이하게 탈거될 수 있는 수단은 모두 가능하다.A
한편 탈거 손잡이(41)는 손수건 안착부(40)를 본체(30)로부터 용이하게 탈거시키기 위한 것으로 손수건 안착부(40)의 외면에 위치한다. 손수건 안착부(40)는 본체(30)의 수평 단면보다 본체의 저면 테두리부(34)만큼 작은 면적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탈거 손잡이(41)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탈거 손잡이(41)는 손수건 안착부(4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되 탈거 손잡이(41)의 두께에 상응하여 안착부(40)에 홈이 형성되며, 홈의 양 단은 탈거 손잡이(41)의 일단 또는 양단과 힌지결합되어 탈거 손잡이(41)의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손수건 안착부(40)의 외면 일부는 단차가 형성되어 탈거 손잡이(41)를 사용자가 당기고자 하는 경우, 단차에 의해 생성된 홈에 손가락을 넣어 용이하게 탈거 손잡이(41)를 잡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탈거 손잡이(41)는 비상 손전등을 사용치 아니할 경우에는 탈거 손잡이(41)를 단차 홈 부분으로 접어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다가, 비상 손전등의 손수건을 사용할 경우 손수건 안착부(40)의 단차 홈에 손가락을 넣어 접혀진 탈거 손잡이(41)를 젖혀 손잡이(41)를 잡아 당기는 것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비상 손전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비상 손전등으로부터 손수건이 분리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ergency flas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that a handkerchief is separated from the emergency flashligh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손수건 안착부(40) 상에 손수건(50)이 안착되어 본체(30) 내에 구비되어 있다. 화재 등의 비상 시 연기와 유독가스를 차단하기 위하여 탈거 손잡이(41)를 당기면 손수건 안착부(40) 상에 안착된 손수건(50)이 본체(30)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손수건(50)은 손수건 안착부 상에 안착되어 있는 형태로 비상 손전등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피난자가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손전등(100) 사용 시 방연을 위해 손잡이(41)를 당겨 손수건 안착부(40)를 탈거하여 손수건 안착부(40) 상의 손수건을 비상 손전등(100)에서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형태로 손수건(50)은 연결부재(51)에 의해 본체(30) 내의 분리부(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비상 시 본 발명에 따른 손전등 사용자, 즉 피난자가 안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탈거 손잡이(41)를 잡아당기더라도 손수건(50)이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분실될 위험이 없이 손수건(50)을 사용할 수 있다. 피난자는 상황에 따라 연결부재(51)가 본체(30) 내의 분리부(60)에 연결된 채로 손수건(50)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힘을 가하여 연결부재(51)를 본체(30)에서 분리시킨 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연결부재(51)는 손수건(50)을 본체(30)로부터 탈락시켜 호흡기 등에 사용할 때 무리가 없을 정도의 길이로, 손수건(50)의 본체(30) 내 구비 시 본체(30)의 좁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재료라면 어떠한 재료든 가능하다.The connecting
손수건(50)은 호흡기를 막아 연기와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있는 크기와 재료로 구성된다. 건식 손수건(50) 또는 마스크 등의 형태가 가능하며 효과적인 방연 및 방염을 위해서 용액을 함유하는 습식 손수건(50) 또는 마스크가 구비될 수 있다. 습식 손수건은 건식 손수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방연에 효과적이며 화재 시 발생하는 수용성 가스가 손수건에 녹아 호흡기에 침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손수건에는 방연의 목적을 위하여 필터가 첨가될 수도 있고 호흡에 도움이 되는 성분들이 첨가될 수 있다.
연결부재(51)는 분리부(60)의 일단에 고정되어 본체(30)와 연결되어 있다. 분리부(60)의 상단에는 배터리 저장부가 있어 습식 손수건(50)으로 부터 전원을 분리한다. 분리부(60)는 본체(30)와는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분리부(60)와 본체(30)를 일체의 금형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necting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비상 손전등 10: 조명부
11: 축광부 20: 음향부
30: 본체 31: 거치대 결합부
32: 커버 33: 커버결합부
34: 본체 저면 테두리부 35: 탈거 손잡이 힌지 결합부
40: 손수건 안착부 41: 탈거 손잡이
42: 손잡이 홈 43: 고무패킹
50: 손수건 51: 연결부
60: 분리부 61: 연결후크
70: 거치대 71: 거치후크100: emergency flashlight 10: lighting unit
11: photoluminescent unit 20: acoustic unit
30: main body 31: cradle coupling portion
32: cover 33: cover coupling portion
34: main body bottom edge portion 35: removal handle hinge coupling portion
40: handkerchief seating part 41: removal handle
42: handle groove 43: rubber packing
50: handkerchief 51: connection
60: separation part 61: connection hook
70: mount 71: mount hook
Claims (3)
상기 본체의 일단에 위치하며,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의 둘레에 위치하며, 광을 축적 후 형광빛을 방출하는 축광부;
상기 본체의 전면부에 위치하며, 경고음을 출력하는 음향부;
상기 조명부에 인접한 위치에서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터리 저장부;
상기 조명부가 위치한 상기 본체의 반대편 일단에 결합되는 손수건 안착부;
상기 손수건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손수건;
상기 본체의 내에서 상기 배터리 저장부와 상기 손수건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는 분리부; 및
상기 손수건과 상기 분리부를 연결하여, 상기 손수건 안착부를 탈거했을 때 상기 손수건이 바닥으로 떨어지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손수건을 탈락시킨 상태에서 호흡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긴 형태이며, 상기 본체 내에서 좁은 공간에 수납 가능하도록 유연성 재질이며,
상기 손수건 안착부는,
일부가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된 고무패킹에 끼워져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손수건 안착부에 마련된 탈거 손잡이를 잡아 당겼을 때 쉽게 탈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손전등.The body of a cylindrical structure;
A lighting unit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and providing illumination;
A photoluminescent part located around the lighting part and emitting fluorescent light after accumulating light;
A sound unit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and outputting a warning sound;
A battery storage unit provid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 battery at a location adjacent to the lighting unit;
A handkerchief seating unit coupled to one end of the body opposite to the lighting unit;
A handkerchief accommodated in the body while seated in the handkerchief seating portion;
A separation unit separating a space between the battery storage unit and the handkerchief in the body; And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handkerchief and the separating part to prevent the handkerchief from falling to the floor or being lost when the handkerchief seating part is removed,
The connection part,
It has a long shap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respirator in a state where the handkerchief is removed from the main body, and is a flexible material to be accommodated in a narrow space within the main body
The handkerchief seating part,
An emergency flashlight,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is inserted into the body, inserted into a rubber packing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body to prevent separation, and can be easily removed by pulling the removal handle provided on the handkerchief seating part.
상기 손수건 안착부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본체의 저면 테두리부에 비하여 상기 본체의 안쪽으로 위치하여, 상기 탈거 손잡이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탈거 손잡이는,
양단이 상기 손수건 안착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손전등.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kerchief seating part,
When coupled to the main body, it is located inward of the main body compared to the bottom edge of the main body, so that the removal handle is not exposed,
The removal handle,
Emergency flashlight,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hinged to the handkerchief seating por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by rotation.
상기 손수건 안착부의 외면은,
상기 탈거 손잡이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손전등.The method of claim 2,
The outer surface of the handkerchief seating part,
Emergency flashl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is formed so as to easily rotate the removal hand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2273A KR102413183B1 (en) | 2019-08-02 | 2021-01-08 | Emergency Flashligh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4418 | 2019-08-02 | ||
KR1020210002273A KR102413183B1 (en) | 2019-08-02 | 2021-01-08 | Emergency Flashlight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4418 Division | 2019-08-02 | 2019-08-0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5974A true KR20210015974A (en) | 2021-02-10 |
KR102413183B1 KR102413183B1 (en) | 2022-06-23 |
Family
ID=74561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2273A Active KR102413183B1 (en) | 2019-08-02 | 2021-01-08 | Emergency Flashligh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318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36870B1 (en) | 2023-09-27 | 2024-02-15 | 주식회사 에셀 | Light-emitting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8225Y1 (en) * | 2003-03-27 | 2003-06-27 | 엘지파이어(주) | A portable illuminator |
KR200333118Y1 (en) * | 2003-03-20 | 2003-11-12 | 서길주 | Portable Lantern With Function To Remove Class & Gas |
KR20130029191A (en) | 2011-09-14 | 2013-03-22 | (주)루미닉스 | Lantern for security |
KR20150003127U (en) * | 2014-02-10 | 2015-08-19 | 이수진 | Fish-luring light for fishing |
-
2021
- 2021-01-08 KR KR1020210002273A patent/KR1024131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33118Y1 (en) * | 2003-03-20 | 2003-11-12 | 서길주 | Portable Lantern With Function To Remove Class & Gas |
KR200318225Y1 (en) * | 2003-03-27 | 2003-06-27 | 엘지파이어(주) | A portable illuminator |
KR20130029191A (en) | 2011-09-14 | 2013-03-22 | (주)루미닉스 | Lantern for security |
KR20150003127U (en) * | 2014-02-10 | 2015-08-19 | 이수진 | Fish-luring light for fish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3183B1 (en) | 2022-06-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30096B2 (en) | Self rescuer including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SCBA) and breathing air monitor (BAM) | |
KR101753062B1 (en) | Fire extinguisher having a position notification function | |
US20070113845A1 (en) | Emergency hood and respirator device | |
JP2000511088A (en) | Face mask with assisting smoke suction preven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6032668A (en) | Fire emergency life saving arrangement | |
JP2006289093A (en) | Multi-functional mask | |
KR101585969B1 (en) | Multi-purpose safety system | |
KR20210015974A (en) | Emergency Flashlight | |
JP3205324U (en) | Protective mask and protective mask unit | |
KR102081720B1 (en) | Eco-friendly firefighter apparatus box with equipment for door open | |
KR101872258B1 (en) | keeping box of mask | |
US20080087564A1 (en) | Rope bag | |
KR20120019069A (en) | Protable oxygen respiratory respiratory apparatus | |
KR20200003668A (en) | Fire and Disaster Safety Kit Case | |
US20140014099A1 (en) | Aircraft crew member protective breathing apparatus | |
KR200491168Y1 (en) | Loudspeaker Case with Charge Function | |
KR20110118519A (en) | Multifunctional fire extinguisher | |
KR101499656B1 (en) | A emergency rechargeable lighting apparatus | |
KR200408284Y1 (en) | Fire fighting equipment and rescue equipment with built-in emergency lighting | |
KR101209864B1 (en) | Fire ball | |
KR101661840B1 (en) | Compound equipment for lighting and preventing gas | |
KR102771749B1 (en) | OXYGEN RESPIRATORY BASED ON IoT AND SYSTEM FOR INFORMING LOCATION INFORMATION USING THE SAME | |
CN215841287U (en) | Intelligent escape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 |
KR102535151B1 (en) | Mask kit for kit | |
KR102806162B1 (en) | Fire Evacuation Personal Protection K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10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9080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900944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2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4I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6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