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15562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5562A
KR20210015562A KR1020190094595A KR20190094595A KR20210015562A KR 20210015562 A KR20210015562 A KR 20210015562A KR 1020190094595 A KR1020190094595 A KR 1020190094595A KR 20190094595 A KR20190094595 A KR 20190094595A KR 20210015562 A KR20210015562 A KR 20210015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ell group
cell
transmission
base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규
이동우
한영구
설지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15562A/ko
Priority to PCT/KR2020/010211 priority patent/WO2021025408A1/en
Priority to EP20849178.7A priority patent/EP4005298A4/en
Priority to CN202080069663.2A priority patent/CN114503692B/zh
Priority to US16/983,122 priority patent/US11540235B2/en
Publication of KR20210015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556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04W52/346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distributing total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transmission
    • H04W52/28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transmission taking into account user or data type prio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disclosure)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분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에 연결된 복수의 셀 그룹들 중에서, 특정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을 식별하고,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 각각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고, 상기 분배의 결과에 따른 전력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셀 그룹 집합은, 상기 특정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이 수행될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5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이후(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moving network), 협력 통신(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Hybrid Frequency Shift Keying and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및 SWSC(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독립적인 무선 접속 기술들(radio access technologies)을 통해 기지국들과 단말이 연결되는 다중 연결 시스템에 효과적인 통신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중 연결 시스템의 도입으로 일정 전력 내에서 각 셀 그룹(cell group)에게 어떻게 전력을 분배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이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연결 시스템의 전력 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연결 시스템의 셀 그룹들(cell groups)에 대한 전력 분배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분배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연결된 복수의 셀 그룹들 중에서, 특정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 각각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는 과정과, 상기 분배의 결과에 따른 전력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셀 그룹 집합은, 상기 특정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이 수행될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분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에 연결된 복수의 셀 그룹들 중에서, 특정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을 식별하고,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 각각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고, 상기 분배의 결과에 따른 전력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셀 그룹 집합은, 상기 특정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이 수행될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각 셀 그룹(cell group)에 적합한 전력을 할당함으로써, 단말의 상향링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그룹들(cell groups)의 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그룹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할당을 위한 기지국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그룹 집합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위한 기지국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위한 기지국의 다른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위한 기지국의 또 다른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위한 기지국의 또 다른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할당을 위한 기지국-단말 간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할당을 위한 기지국-단말 간 시그널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power control)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각 셀 그룹(cell group)의 상태를 고려하여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력과 관련된 파라미터(예: 설정 전력(configured power), 송신 전력 제어(transmit power control, TPC) 명령(command)), 다중 연결(multiple connectivity)과 관련된 용어(예: DC(dual connectivity), MR(multi-RAT(radio technology))-DC, 셀 그룹(cell group),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 MCG), 부 셀그룹(secondary cell group, SCG)),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예: 기준 신호, 시스템 정보, 제어 신호, 메시지, 데이터)을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예: 통신 노드(communication node), 무선 노드(radio node), 무선 유닛(radio unit),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 마스터 노드(master node, MN), 부노드(secondary node, SN),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DU(digital unit), RU(radio unit), MMU(Massive MIMO unit)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들(110-1, 110-2, ..., 110-n) 및 단말(120)을 예시한다. 기지국들(110-1, 110-2, ..., 110-n)은 다중 연결(multiple connectivity)(예: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을 통해 단말(120)과 연결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지국들(110-1, 110-2, ..., 110-n) 각각에 대한 공통적인 설명은 기지국(110)으로 지칭되어 서술될 수 있다.
기지국들(110-1, 110-2, ..., 110-n)은 단말(12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이다. 기지국(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이하, 사용되는 '커버리지'의 용어는, 기지국(110)에서 서비스 가능한 영역(service coverage area)을 가리킬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하나의 셀(one cell)을 커버할 수도 있고, 다수의 셀들(multiple cells)을 커버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다수의 셀들은 지원하는 주파수(frequency), 커버하는 섹터(sector)의 영역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5G 노드비(5G NodeB, NB)', 'gNB(next generation node 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DU)', '무선 유닛(radio unit, RU), 원격 무선 장비(remote radio head, RRH)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기지국(110)은, 하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와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하나 이상의 TRP들을 통해, 단말(120)에게 하향링크 신호를 전송하거나 상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120)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경우에 따라, 단말(120)은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12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 있다. 단말(120)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고객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s equipment, CPE),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또는 '차량(vehicle)용 단말',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다중 연결의 한 종류인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 DC) 기술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 릴리즈 12로부터 도입되었다. 이중 연결은, 단말이 별도의 무선 자원 제어 엔티티(radio resource control entity)를 갖는 두 개의 독립적인 이종 또는 동종 무선 통신 셀 그룹과 동시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 각 셀 그룹 내 셀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상 주파수 자원을 신호 송수신에 이용함으로써 단말 및 기지국의 주파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상기 이중 연결은 제어 평면(control plan)이 코어 망(core network)에 직접 연결되어 단말의 무선 자원 상태 (radio resource control state)를 관리하는 주 셀 그룹(master cell group)과 주 셀 그룹에 연동된 부 셀 그룹(secondary cell group)으로 구성된다.
반송파 결합 (carrier aggregation, CA) 기술은 3GPP 표준 릴리즈 10에 도입된 기술이다. CA는 단말이 공통의 무선 자원 제어 엔티티를 갖는 동종 무선 통신 셀 그룹에 연결되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 각 셀의 요소 반송파(component carrier) 상 주파수 자원을 신호 송수신에 동시에 이용함으로써 단말 및 기지국의 주파수 사용 효율을 증대시키는 기술이다.
상기 이중 연결 기술 및 반송파 결합 기술은 한정된 단말의 무선 통신 자원 및 기지국의 무선 통신 자원을 사용하는데 있어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기술적 이점으로 인해, 학술적인 측면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5G 이동통신 시스템은 4G 코어망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종속형 (non-stand alone)을 기본 운용 방안으로 하고 있어, 5G 이동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상용 서비스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되고 있다
셀 그룹들 간 이중 연결을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이중 연결과 반송파 결합을 복합적으로 수행하는데 있어, 각 셀 그룹에 고정된 송신 전력만을 허용하여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적절하게 제어하지 못하는 경우, 단말이 최대로 사용할 수 있는 송신 전력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고 전력이 불필요하게 남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특정 반송파 상으로 필요 이상의 전력이 사용되고 다른 반송파 상으로는 전력 결핍이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전력 소모가 발생하여, 이중 연결을 운용하지 않는 경우 대비 단말의 상향링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수용 가능한 수준 이상으로 전력을 사용하도록 기지국에서 지시하는 경우, 단말이 특정 반송파 상으로 송신 전력을 필요 이상으로 낮추거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등의 이상 동작을 일으켜, 상향링크 통신 품질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상향링크 통신 품질 저하는 상향링크로 전송되는 단말의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한 확인 응답 (HARQ-ACK feedback) 정보, 채널 상태 정보 (channel state information)에 대한 신뢰도의 손실도 발생시키기 때문에, 비 효율적인 단말의 송신 전력 사용은 상향링크 통신 품질은 물론 하향링크 통신 품질도 동시에 저하시키게 된다.
상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종 또는 동종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다수의 셀 그룹 간 복수의 주파수 자원을 동시에 이용하는 다중 연결 (multiple connectivity)이 구성되거나, 상기 다중 연결과 CA가 함께 구성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셀 그룹 별 분배 동작을 위한 기지국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기지국 장치들은, 단말의 한정된 송신 전력을 셀 그룹 간 동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실시간 적인 단말 송신 전력 분배 및 비 실시간 적인 단말 송신 전력 분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종 또는 동종의 무선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다수의 셀 그룹 간 다중 연결을 운용하거나 다중 연결과 반송파 결합을 복합적으로 운용하는데 있어, 셀 그룹 내 각 셀 별 반송파 상의 상향링크 채널 수준에 따라 단말의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동작을 수행하여, 단말의 송신 전력 감쇄와 비효율적인 사용을 막고, 상향링크 전송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전력 할당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중 연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세 개 이상의 셀 그룹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다중 연결을 대상으로, 단말의 상향링크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지국 동작 및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 할당 방안은 다수의 셀 그룹들 간 다중 연결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 장치 간 독립적인 동작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중 연결을 구성하는 각 개별 장치의 동작은 기지국 내 요소 반송파 주파수 자원을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셀의 독립적인 동작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기지국들(110-1, 110-2, ..., 110-n)이 다중 연결(multiple connectivity)을 통해 단말(120)과 연결된 상황이 서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중 연결이란, 단말(120)이 독립적인 RAT(radio technology)를 통해 기지국들((110-1, 110-2, ..., 110-n)) 각각과 연결되는 통신 기술(communication technology)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단말(120)은 다중 연결의 한 종류인 이중 연결(DC)을 통해, 두 개의 기지국들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120)은 LTE(long term evolution)를 통해 eNB 기지국과 연결되고, NR(new radio)을 통해 gNB 기지국과 연결될 수 있다. 각 기지국은 통신 노드로 지칭될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에서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셀들은 셀 그룹으로 지칭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셀 그룹들을 지원할 수 있다. MCG(master cell group)을 제공하는 기지국은 MN(master node), SCG(secondary cell group)을 제공하는 기지국은 SN(secondary node)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들과 셀 그룹들 간의 관계는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기지국은 하나의 셀 그룹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셀 그룹들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관계는 후술하는 도 2a 내지 도 2b를 통해 서술된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각 기지국은 CA(carrier aggregation)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단말은, 각 셀 그룹의 셀들을 통해 기지국과 CA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다중 연결이 단독으로 구성되거나 다중 연결과 CA를 함께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는 각 셀 그룹 내 셀에서 실시간 적으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분산 제어하는 동작 및 비 실시간 적으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분산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 및 방법을 그 대상으로 한다. 다중 연결을 구성하는 셀 그룹들은, 각각 제 1 셀 그룹, 제 2 셀 그룹, ??, 제 M 셀 그룹으로 지칭되어 서술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 1 셀 그룹은 다중 연결을 구성하는 주 셀 그룹(primary cell group) 혹은 마스터 셀 그룹(master cell group)으로 대체 가능하며, 제 2 셀 그룹, ??, 제 M 셀 그룹은 부 셀 그룹으로 대체되어 지칭될 수 있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그룹들(cell groups)의 예를 도시한다. 도 2a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하나의 기지국이 모든 셀 그룹들을 관리하는 상황을 예시한다.
도 2a를 참고하면, 기지국(110)은 복수의 셀 그룹들(211-1, 211-2, 211-3, ..., 211-M)을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셀 그룹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셀에서 상향링크 신호가 전송될 수 있고, 기지국(110)은 각 셀 별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필요 송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후술되는 전력 분배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부, 다른 셀 그룹과 동적 전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 M개의 셀 그룹에 대해 수신한 셀 간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처리부, 및 확보한 정보를 기반으로 각 셀 그룹 별 단말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 송신 전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부, 정보 처리부, 송신 전력 제어부는 셀 그룹 단위 및 셀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a에서는 하나의 기지국이 모든 셀 그룹들을 관리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과 연결되는 별도의 네트워크 엔티티(network entity)가 후술되는 전력 분배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그룹들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2b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2개 이상의 기지국들이 모든 셀 그룹들을 관리하는 상황을 예시한다. 적어도 2개 이상의 기지국들은, 기지국들(110-1, 110-2, ..., 110-n)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기지국들(110-1, 110-2, ..., 110-n)은 복수의 셀 그룹들(211-1, 211-2, 211-3, ..., 211-M)을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기지국에 연결되는 셀 그룹들의 개수는 기지국 별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110-1)은 3개의 셀 그룹들(예: CG #1(261a), CG #2(261b), CG #3((261c))을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은 3개의 셀 그룹들(예: CG #4(262a), CG #5(262b), CG #6((262c))을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은 2개의 셀 그룹들(예: CG #7(263a), CG #8(263b))을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n 기지국(110-n)은 1개의 셀 그룹(예: CG #M(264))을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셀 그룹들은 각각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셀에서 상향링크 신호가 전송될 수 있고, 각 기지국(110-i)은 각 셀 별로 상향링크 신호에 대한 필요 송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후술되는 전력 분배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부, 다른 셀 그룹과 동적 전력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 M개의 셀 그룹에 대해 수신한 셀 간 정보를 관리하는 정보 처리부, 및 확보한 정보를 기반으로 각 셀 그룹 별 단말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말 송신 전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신호의 수신부, 정보 처리부, 송신 전력 제어부는 셀 그룹 단위 및 셀 단위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 내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는 기지국 간 동적 전력 분배 모드를 결정하고, 해당 분배 모드에 따라 결정된 전력 분배 결과를 다른 기지국 내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각 기지국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는 해당 기지국 내 셀 그룹을 구성하는 각 셀의 최대 할당 가능한 자원 정보를 다른 기지국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b에서는, 도 2a와 달리, 하나의 기지국이 아니라 복수의 기지국들이 다중 연결을 관리함에 따라, 전력 분배를 위하여 기지국들 간 다양한 정보들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기지국은 단말의 동적 전력 분배의 지원 여부를 다른 기지국(예: 다른 기지국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동적 전력 분배 지원 여부는 제 1 셀 그룹이 4G이고 제 2 셀 그룹이 5G인 이중 연결의 경우, 제 1 셀 그룹이 5G이고 제 2 셀 그룹이 4G인 이중 연결의 경우, 또는 제 1 셀 그룹이 5G이고 제 2 셀 그룹이 5G인 이중 연결의 경우, 단말의 dynamicPowerSharing 정보로부터 동적 전력 분배의 지원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각 기지국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는 해당 기지국 내 셀 그룹을 구성하는 각 셀의 최대 할당 가능한 자원 정보를 다른 기지국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셀 그룹(예: MCG)을 제공하는 기지국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는, 다른 셀 그룹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로 특정 셀 그룹 내 셀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을 포함하여 각 셀 그룹 내 셀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과 다중 연결을 구성하는 셀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2b에서는 복수의 기지국들이 전체 셀 그룹들을 관리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복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되는 별도의 네트워크 엔티티가 후술되는 전력 분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할당을 위한 기지국(110)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기지국(110)은, 다중 연결 관계에 있는 다수의 기지국들에 대한 전력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를 지칭한다. 이하, 전력 분배를 수행하는 주체를 기지국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서술된다. 그러나, 하나의 기지국이 아니라 복수의 기지국들이 전력 분배의 기능들을 분담하거나, 혹은 별도의 통신 노드가 전력 분배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단계(301)에서, 기지국(110)은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전송 구간이란, 하나 이상의 TTIs(transmission time intervals)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송 구간이 하나의 TTI를 포함하는 경우, 후술하는 전력 분배 동작들은 순시적 전력 분배(혹은 실시간 전력 분배)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송 구간이 하나보다 많은 TTI들을 포함하는 경우, 후술하는 전력 분배 동작들은 비순시적 전력 분배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전송 구간들이 주기적으로 설정되는 경우, 후술하는 전력 분배 동작들은 주기적 전력 분배로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전송 구간 동안 상향링크 신호의 전송이 수행되는 셀들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식별된 셀들에 대응하는 셀 그룹들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전송 구간 동안 상향링크 전송(예: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 전송 혹은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상기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에 포함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시적 전력 분배의 경우, Subframe #0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셀의 셀 그룹을 셀 그룹 집합에 포함시킬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은 도 4에서 서술된다.
단계(303)에서, 기지국(110)은 셀 그룹 별 허용 전력 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20)은, 하드웨어의 성능적인 한계로 인해 송신 전력이 제한될 수 있다. 즉, 기지국(110)은 단말(120)의 최대 전력을 고려하여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이 때, 단말(120)의 최대 전력은 단말(120)에게 분배 가능한 전력(이하, 분배 가능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셀 그룹 별 최대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m번재 셀 그룹 내 셀들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각 셀 그룹의 각 셀 별로 필요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계산된 셀 별 전력들의 합, 분배 가능 전력, 셀 그룹 별 최대 전력에 기반하여 셀 그룹 별 허용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기지국(110)은 분배 가능 전력을 각 셀 그룹에게 분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110)은 고정된 전력 크기를 셀 그룹에게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실시간, 주기적으로, 또는 임의의 시점에서 특정 구간에 대응하는 전력 정보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분배 가능 전력을 각 셀 그룹에게 할당할 수 있다. 이하, 실제 전력이 할당되는 시점을 고려하여 분배 가능 전력을 셀 그룹들에게 나누어 할당하는 방식은,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transmission interval-based power distribution)로 지칭될 수 있다. 전력 분배는 전력 공유(power sharing)으로 지칭되어 서술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110)은 각 셀 그룹에게 전력 배분 시, 다양한 기준들을 고려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110)은 셀 그룹에 대한 전력 할당 순서대로, 분배 가능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즉, 지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셀 그룹에 대한 전력을 분배할 수 있다. 가능한 많은 전력을 할당함으로써, 전력 미분배로 인한 비효율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가능 전력이 10이고, 제1 셀 그룹의 필요 전력이 3, 제2 셀 그룹의 필요 전력이 9, 제3 셀 그룹의 필요 전력이 5인 상황을 가정하자. 기지국(110)은 제1 셀 그룹에게 3, 제2 셀 그룹에게 7, 제3 셀 그룹에게 0의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들은 도 5를 통해 서술된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110)은,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셀에 대한 전력을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우선적으로 할당된 전력 외 잔여 전력을 각 셀 그룹에게 분배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상으로 전송되는 정보로, 예로 UCI일 수 있다. 일 예로, 제어 정보는 HARQ(hybrid ARQ) ACK/NACK(acknowledge/non-acknowledge),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SR(scheduling reques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정보를 일반 데이터 전송(예: PUSCH(physical shared channel) 전송)보다 우선적으로 전송함으로써, SCG의 제어 정보라도 미전송되는 상황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가능 전력이 100이고, 제1 셀 그룹의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50, 제1 셀 그룹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60이고, 제2 셀 그룹의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40, 제2 셀 그룹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70인 상황을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 기지국(110)은 제1 셀 그룹의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50, 제2 셀 그룹의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40, 제1 셀 그룹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10, 제2 셀 그룹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0의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들은 도 6을 통해 서술된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110)은, 셀 그룹들에 대한 지정된 전력 분배 비율(ratio)을 고려하여, 각 셀 그룹에 대한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지정된 비율은 전송 구간마다 재산정될 수 있다. 단계(301)에서 셀 그룹 집합이 전송 구간마다 결정되고, 이에 따른 비율이 전송 구간마다 재산정될 수 있다. 셀 그룹의 순서에 따라 일괄적으로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메트릭에 따라 분배함으로써, 우선 순위가 낮은 셀 그룹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예 따라, 지정된 비율은, 전력 할당 히스토리(history),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 버퍼 상태 보고(buffer status report, BSR), 셀 그룹에 포함된 셀들의 개수 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들은 도 7을 통해 서술된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110)은, 셀 별 우선 순위에 기반하여, 각 셀 그룹에 대한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셀 그룹에 대한 우선 순위만을 고려하게 되면, 중요한 정보라 할지라도 다른 셀 그룹에 대하여 후순위로 밀리게 되어 미전송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셀 그룹이 아닌 셀 별로 우선순위를 고려할 실익이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셀 별 우선순위는, 해당 셀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종류(예: UCI 유형, MAC CE 유형, 데이터), 해당 셀의 채널 품질, 해당 셀에 대한 통신 서비스 유형(예: URLCC(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인지 여부 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들은 도 8을 통해 서술된다.
상술된 4가지 방안들 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셀 그룹에 대한 전력을 분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기지국(110)은 상술된 4가지 방안들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전력 분배 방안들을 조합하여, 셀 그룹들에 대한 전력 분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들을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잔여 전력을 셀 별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각 셀 그룹에게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들을 우선적으로 할당하고, 잔여 전력을 지정된 비율에 따라 각 셀 그룹에게 분배할 수 있다.
단계(305)에서, 기지국(110)은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스케줄링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력 할당(power allo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단계(303)에서 결정된 셀 그룹 별 허용 전력에 따라,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110)은, 셀 그룹 별 허용 전력에 따른 전력 할당 정보에 따라, 단말(120)에 대한 스케줄링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상황과 같이, 기지국(110)은 단말(120)에 연결된 모든 셀 그룹들을 제어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셀 그룹 단위로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셀 그룹 별 허용 전력에 따라, 해당 셀에서 상향링크 승인(예: LTE의 DCI 포맷 0, 4, NR의 DCI 포맷 0_0, 0_1)을 전송함으로써, 단말(120)에게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110)은 단계(303)에서 할당된 셀 그룹 별 전력 할당 정보를 다른 기지국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상황과 같이, 기지국(110) 외에 다른 기지국이 추가적으로 단말(120)에 연결된 셀 그룹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셀 그룹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기지국은, 기지국(110)으로부터 수신된 전력 할당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다른 기지국의 셀 그룹에게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하향링크 시그널링(downlink signaling)을 통해, 단말(120)에게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전송함으로써, 단말(120)에게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에게 할당되는 자원 블록들(resource blocks, RBs)의 개수에 따라, 단말에서 송신될 수 있는 전력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RE에 단위 전력이 할당되고, 자원 블록들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RE 개수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본 개시에서는 단말(120)에게 자원 할당(resource allocation)을 통한 전력 할당 방식을 기준으로 실시 예들을 설명하나, 자원 할당 외에 다른 방식들로 전력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TPC 명령을 통해 단말(120)의 상향링크 전력 값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별도의 제어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향링크 전력 값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MAC CE를 통해 캐리어를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함으로써, 상향링크 전력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셀 그룹 집합 결정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그룹 집합을 결정하기 위한 기지국(110)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단계(301)의 일부로서, 도 4의 동작 흐름은, 도 3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예: 기지국(110))의 구성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본 개시의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예시된다. 이하,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은, 상기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어 있는 셀을 의미한다. 셀 그룹 집합 내 셀은 대상 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단계(401)에서, 기지국(110)은 전송 구간에 대응하는 셀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셀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403)에서, 기지국(110)은 셀에 제어 정보 전송의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해당 셀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계(405)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해당 셀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이 설정된 경우, 단계(407)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405)에서, 기지국(110)은 셀에 자원이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해당 셀에서 자원이 할당된 경우, 단계(407)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해당 셀에서 자원이 할당되지 않은 경우, 단계(409)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409)에서, 기지국(110)은, 모든 셀 그룹들의 셀들에 대한 대상 셀 판단 절차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셀 그룹들이란 기지국(110)에 연결된 단말(120)의 다중 연결과 관련된 전체 셀들에 대한 모든 셀 그룹들을 지칭한다. 기지국(110)은, 모든 셀 그룹들의 셀들에 대하여 대상 셀 판단 절차를 수행한 경우, 도 4의 셀 그룹 집합 결정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모든 셀 그룹들의 셀들에 대하여 대상 셀 판단 절차를 수행하지 않은 경우, 다음 셀에 대한 대상 셀 판단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단계(401)의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단계(403) 이후에 단계(405)를 수행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계(405)를 수행한 뒤, 단계(403)을 수행할 수 있다. PUCCH 전송 혹은 PUSCH 전송인 경우, 모두 상향링크 신호가 전송되므로, 전력 할당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셀 상에서 PUSCH 전송과 PUCCH 전송이 동시에 수행되는 경우에도 본 개시의 셀 그룹 집합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셀 그룹 단위로 재귀적인 동작들을 수행하는 실시 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110)은 특정 셀 그룹 내에서 셀 단위로 재귀적인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m번째 셀 그룹에 대한 셀 그룹 집합 판단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m번째 셀 그룹의 i번째 셀이 해당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 구간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기지국(110)은 m번째 셀 그룹의 i번째 셀이 해당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 구간이 가능한 경우, i번재 셀에서 상향링크 전송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즉, 기지국(110)은 i번째 셀이 상향힝크 제어 정보가 설정된 셀인지 여부 또는 i번째 셀이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이 할당된 셀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i번째 셀이 상향힝크 제어 정보가 설정된 셀이거나, i번째 셀이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이 할당된 셀인 경우, i번째 셀을 셀 그룹 집합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후, 기지국은 i+1번째 셀에 대한 판단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110)은 m번째 셀 그룹의 i번째 셀이 해당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 구간이 불가능한 경우, 다음 i+1번째 셀에 대한 판단 절차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m번째 셀 그룹에 대한 판단 절차 이후, 기지국(110)은 m+1번째 셀 그룹에 대한 셀 그룹 집합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4에서는 셀 그룹 집합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기지국(110)이 예로 서술되었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110)과 다중 연결 관계에 있는 다른 기지국 또는 별도의 장치(다른 기지국들과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transmission interval-based power allocation)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위한 기지국(110)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단계(303)의 일부로서, 도 5의 동작 흐름은, 도 3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예: 기지국(110))의 구성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본 개시의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예시된다. 이하,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은, 상기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어 있는 셀을 의미한다. 셀 그룹 집합 내 셀은 대상 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5의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는, 셀 그룹 단위로 지정된 순서에 따라 각 분배 가능 전력을 최대로 분배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도 5를 참고하면, 단계(501)에서, 기지국(110)은 셀 그룹의 필요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셀 그룹은, 셀 그룹 집합(예: 도 4의 셀 그룹 집합) 내 셀 그룹을 의미한다. 필요 전력이란, 셀 그룹의 하나 이상의 셀들 각각에서 요구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m번째 셀 그룹에서 3개의 셀들이 필요한 총 전력 합이 13인 경우, m번째 셀 그룹의 필요 전력은 13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110)은 m번째 셀 그룹의 i번째 셀에 대하여 필요 전력 유무를 판단하고, 필요 전력이 있는 경우에는 전력 합을 누적시킴으로써, 해당 셀 그룹의 필요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5의 단계(507)에 따른 반복에 따라, 기지국(110)은, O(1), ..., O(M) 순서대로 해당 셀 그룹에 필요한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M은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의 개수일 수 있다.
일 예로, 셀 별 필요 전력은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하기와 같은 계산 방식은 하나의 예일뿐이며, 동일 또는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계산 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m 번째 셀 그룹 내 임의의 i 번째 셀의 필요 전력 = i 번째 셀의 최대 송신 전력 [dBm] - i 번째 셀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력 헤드룸 [dB] - i 번째 셀의 전력 헤드룸 구성 시 할당 자원 개수 [dB] + i 번째 셀의 할당 가능 자원 개수 [dB]. 여기서, 상기 i 번째 셀의 할당 가능 자원 개수는 해당 셀에서 상향링크 전송 시 할당 가능한 최대 자원 수 이내에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503)에서, 기지국(110)은, 셀 그룹에 대한 허용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셀 그룹은, 이전 절차인 단계(501)의 셀 그룹을 의미한다. 단말(120)의 하드웨어의 한계 혹은 시스템 요구로 인해 필요한 전력 값을 모두 사용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없을 수 있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즉, 허용 전력이란, 이러한 제한 요구사항(예: 분배 가능한 전력, 단말의 능력(capability), 다중 연결 시스템에서, 다른 셀 그룹 과의 관계 등)으로 인해, 필요 전력 중에서 실제로 송신이 허용된 전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중 연결을 구성하는 셀들(반송파들) 전체에 대한 단말(120)의 최대 송신 전력, 즉 분배 가능 전력을 P_TOT, m번째 그룹 내 셀들(반송파들) 전체에 대한 단말(120)의 최대 송신 전력 P_CG[m]이라 하면, 각 셀 그룹 별 허용 송신 전력은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O(1) 번째 셀 그룹 허용 전력 = MIN(O(1) 번째 셀 그룹 내 셀들의 필요 전력 합, P_CG[O(1)])
O(2) 번째 셀 그룹 허용 전력 = MIN(O(2) 번째 셀 그룹 내 셀들의 필요 전력 합, P_CG[O(2)], P_TOT - O(1)번째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O(m) 번째 셀 그룹 허용 전력 = MIN(O(m) 번째 셀 그룹 내 셀들의 필요 전력 합, P_CG[O(m)], P_TOT - (O(1)번째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 + O(m-1)번째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O(M)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MIN(P_TOT - (O(1)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 + O(M-1)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P_CG[O(M)])
단계(505)에서,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의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의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507)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력 분배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단계(507)에서, 기지국(110)은 모든 셀 그룹들에 대하여 전력 분배 절차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셀 그룹들이란 셀 그룹 집합(예: 도 4의 셀 그룹 집합) 내 셀 그룹들 전체를 의미한다. 기지국(110)은, 모든 셀 그룹들에 대한 전력 분배 절차를 수행한 경우, 도 5의 전력 분배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아직 모든 셀 그룹들에 대한 전력 분배 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도 5의 단계(501)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셀 그룹 집합에서 다른 셀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새로이 식별된 셀 그룹에 대하여 단계(501) 내지 단계(507)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기지국(110)이 예로 서술되었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110)과 다중 연결 관계에 있는 다른 기지국 또는 별도의 장치(다른 기지국들과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위한 기지국(110)의 다른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3의 단계(303)의 일부로서, 도 6의 동작 흐름은, 도 6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예: 기지국(110))의 구성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본 개시의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예시된다. 이하,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은, 상기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어 있는 셀을 의미한다. 셀 그룹 집합 내 셀은 대상 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6의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는, 제어 정보를 데이터 전송보다 우선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절차를 의미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단계(601)에서, 기지국(110)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에 대한 우선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우선 전력이란, 분배 가능 전력 중에서 우선적으로 할당하기 위한 전력을 의미한다. 즉, 우선순위가 높은 셀 그룹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보다 우선순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셀 그룹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에 우선적으로 전력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N-DC에서 LTE가 NR보다 우선순위가 높더라도, LTE PUSCH 전송보다 NR PUCCH 전송을 위한 전력이 먼저 할당될 수 있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L1 제어 정보인 UCI(예: HARQ, CSI, SR)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전력 내에서도, 즉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셀들 간에서도 우선 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셀들 간 우선 순위는 셀 그룹들 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상향링크 제어 정보의 종류(예: HARQ, CSI 유형)에 따라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셀들 간의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의 모든 셀 그룹들의 전체 셀들 중에서 상기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하나 이상의 셀들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식별된 셀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한 전력(이하, 제어 전력)들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제어 전력들을 우선 전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들어,
단계(603)에서, 기지국(110)은 셀 그룹의 필요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셀 그룹은, 셀 그룹 집합(예: 도 4의 셀 그룹 집합) 내 셀 그룹을 의미한다. 필요 전력이란, 셀 그룹의 하나 이상의 셀들 각각에서 요구되는 전력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110)은 m번째 셀 그룹의 i번째 셀에 대하여 필요 전력 유무를 판단하고, 필요 전력이 있는 경우에는 전력 합을 누적시킴으로써, 해당 셀 그룹의 필요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도 5의 단계(507)에 따른 반복에 따라, 기지국(110)은, O(1), ..., O(M) 순서대로 해당 셀 그룹에 필요한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M은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의 개수일 수 있다.
단계(605)에서, 기지국(110)은 셀 그룹에 대한 허용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분배 가능 전력, 단계(601)의 우선 전력, 단계(603)의 셀 그룹의 필요 전력에 기반하여, 상기 셀 그룹의 필요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다중 연결을 구성하는 셀 그룹들 전체(즉, 반송파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을 P_TOT, 각 m번째 그룹 내 셀(반송파)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P_CG[m] 이라 하면, 각 셀 그룹 별 허용 송신 전력은 하기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O(1) 번째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MIN(MAX(O(1) 번째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 전력 합, P_TOT - (O(2) 번째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 전력 합 + ?? + O(M) 번째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 전력 합)), O(1) 번째 셀 그룹 내 셀들의 필요 전력 합, P_CG[O(1)]). 여기서, O(1) 번째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이 없는 경우, O(1) 번째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 전력 합은 0일 수 있다. 또한, O(1) 번째 셀 그룹 내 셀들의 필요 전력은 제어 정보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을 포함할 수 있다.
O(2) 번째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MIN(MAX(O(2) 번째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 전력 합, P_TOT - O(1)번째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O(3) 번째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 전력 합 + ?? + O(M) 번째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 전력 합)), O(2) 번째 셀 그룹 내 셀들의 필요 전력 합, P_CG[O(2)])
??
O(m) 번째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MIN(MAX(O(m) 번째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 전력 합, P_TOT - (O(1)번째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 + O(m-1)번째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O(m+1) 번째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 전력 합 + ?? + O(M) 번째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 전력 합)), O(m) 번째 셀 그룹 내 셀들의 필요 전력 합, P_CG[O(m)])
??
O(M)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MIN(P_TOT - (O(1)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 + O(M-1)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P_CG[O(M)])
단계(607)에서,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의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의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609)를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력 분배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단계(609)에서, 기지국(110)은 모든 셀 그룹들에 대하여 전력 분배 절차를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셀 그룹들이란 셀 그룹 집합(예: 도 4의 셀 그룹 집합) 내 셀 그룹들 전체를 의미한다. 기지국(110)은, 모든 셀 그룹들에 대한 전력 분배 절차를 수행한 경우, 도 6의 전력 분배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아직 모든 셀 그룹들에 대한 전력 분배 절차가 수행되지 않은 경우, 도 6의 단계(601)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셀 그룹 집합에서 다른 셀 그룹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새로이 식별된 셀 그룹에 대하여 단계(601) 내지 단계(609)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절차에 따른 전력 분배 예시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LTE가 NR보다 우선순위가 높고, EN-DC 상황에서, 특정 전송 시점(예: 1 TTI)에서 LTE의 PUCCH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은 4, LTE의 PUSCH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은 5, NR의 PUCCH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은 5.1, NR의 PUSCH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은 3인 상황을 가정하자. 전체 분배 가능 전력이 10인 경우, LTE의 PUCCH 전송을 위해 4, NR의 PUCCH 전송을 위해 5.1, LTE의 PUSCH 전송을 위해 0.9, NR의 PUSCH 전송을 위해 0의 전력이 각각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셀 그룹, 제2 셀 그룹, 제3 셀 그룹 순으로 우선순위가 높고, 특정 전송 시점(예: 1 TTI)에서 제1 셀 그룹의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2, 제1 셀 그룹의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3, 제2 셀 그룹의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4, 제2 셀 그룹의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9, 제3 셀 그룹의 제어 신호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6, 제3 셀 그룹의 데이터 신호 전송을 위해 필요한 전력이 7이고, 전체 분배 가능 전력이 20인 상황을 가정하자. 기지국(110)은 우선 전력으로 12를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잔여 분배 전력인 8을 셀 그룹에 순차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제1 셀 그룹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3, 제2 셀 그룹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5, 제3 셀 그룹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0의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6의 셀 그룹의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함에 있어, 기지국(110)은 셀 그룹들에 필요한 전력을 고려함과 동시에 상향링크 제어 정보 (uplink control information)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한 전력을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되지 않은 셀 보다 더 우선하여 각 셀 그룹의 허용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제어 정보에 대한 전력이 우선적으로 할당됨으로써, 셀 그룹의 우선순위가 후순위로 밀리더라도, 제어 정보가 미전송되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다. 제어 정보의 미전송은 다음 전송 구간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예: PUSCH 전송)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먼저 전송함으로써, 무선 채널 관리에 대한 효율을 높일 수 잇다.
도 6에서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예: PUCCH 전송)과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예: PUSCH 전송)을 구별하여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는 하나의 셀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과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수행되는 상황(예: 한 셀에서 PUSCH 및 PUCCH의 동시(simultaneously) 전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해당 트래픽에 대한 RB 할당이 요구되는 바, 도 6의 단계(605)에 따라 전력이 할당될 수 있다.
제어 정보를 예로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아니더라도 긴급한 서비스 혹은 긴급한 트래픽에게 상향링크 전력이 우선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예로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아니더라도 긴급한 서비스 혹은 긴급한 트래픽에게 상향링크 전력이 우선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 데이터 트래픽이 아니라, L2 상에서 전송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셀에게 상향링크 전력이 우선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일 예로, MAC CE의 LCID(logical channel ID)의 값에 따라 해당 셀의 우선 할당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PHR이 전송되는 셀은 일반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는 셀보다 우선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만약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이 셀 그룹 집합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우선 전력은 0으로 결정되므로, 도 6의 전력 분배 절차는 도 5의 전력 분배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위한 기지국(110)의 또 다른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3의 단계(303)의 일부로서, 도 7의 동작 흐름은, 도 7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예: 기지국(110))의 구성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본 개시의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예시된다. 이하,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은, 상기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어 있는 셀을 의미한다. 셀 그룹 집합 내 셀은 대상 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7의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는, 분배 가능 전력을 지정된 비율에 따라 각 셀 그룹에 분배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도 7을 참고하면, 단계(701)에서, 기지국(110)은 전력 분배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전력 분배 비율이란, 셀 그룹 집합(예: 도 4의 셀 그룹 집합) 내 셀 그룹들 각각에게 할당될 수 있는 전력들 간 비율을 의미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전력 분배 비율은 각 셀 그룹의 필요 전력에 대한 비율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N-DC의 경우, 전력 분배 비율은 LTE 필요 전력(PLTE)와 NR 필요 전력(PNR)간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전력 분배 비율은 각 셀에 대한 버퍼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20)에 EN-DC가 설정된 경우, LTE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총 크기와 NR 버퍼에 저장된 데이터의 총 크기에 기반하여 전력 분배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전력 분배 비율은 셀 그룹의 필요 전력 외에 추가적인 기준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전력 분배 비율은 각 셀 그룹의 PHR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20)에 EN-DC가 설정된 경우, 단말(120)은 기지국(110)에게 LTE의 셀들에 대한 PHR 및 NR 셀들에 대한 PHR(예: Multiple Entry PHR)을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수신된 PHR에 기반하여 각 셀 그룹의 각 셀에서의 잉여 전력을 확인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PHR에 기반하여 전력 분배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전력 분배 비율은 각 셀 그룹의 활성화된 셀들의 개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20)에 EN-DC가 설정된 경우, LTE에 1개의 상향링크 셀, NR에 2개의 상향링크 셀들이 활성화된 상황을 가정하자. 기지국(110)은, 1:2로 가중치를 두어 전력 분배 비율을 결정할 수 있다. 원활한 CA를 위해 NR에 전력을 우선적으로 할당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 예에 따라, MAC CE를 통해 특정 셀 그룹에서 셀의 활성화/비활성화 천이에 따라, 기지국(110)은 전력 분배 비율을 재산정할 수 있다. 휴면화 상태의 셀의 경우, 상향링크 전송이 없어 비활성화된 셀과 같이 취급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전력 분배 비율은 전송 구간마다 재산정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전송 구간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의 전력을 결정할 때마다, 현재 주어진 정보(예: 전력 할당 히스토리, 버퍼 상태 보고, 활성화된 셀들의 개수, 전력 헤드룸 보고)에 기반하여, 전력 분배 비율을 재결정할수 있다. 전송 구간마다 전력 분배 비율을 재결정함으로써, 다수의 셀 그룹들이 동시 동작하는 경우, 전력은 보다 효과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를 때, 전력 분배 비율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재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단말로부터 PHR이 보고될 때마다 전력 분배 비율을 재산정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단말에서 셀이 활성화/비활성화/휴면화 될 때마다, 전력 분배 비율을 재산정할 수 있다.
단계(703)에서, 기지국(110)은 각 셀 그룹에 대한 허용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분배 가능 전력을 식별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셀 그룹 별 최대 전력, 전력 분배 비율, 전체 분배 가능 전력에 기반하여, 각 셀 그룹에 대한 허용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셀 그룹 별 최대 전력, 분배 가능 전력과 단계(701)의 전력 분배 비율에 따라 O(1)번째 셀 그룹부터 O(M)번째 셀 그룹까지, 순서대로 각 셀 그룹의 허용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다중 연결을 구성하는 반송파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즉 분배 가능 전력을 P_TOT, 각 m번째 그룹 내 반송파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P_CG[m], 각 그룹 전체 허용 송신 전력의 비율 P_RATIO[m]이라 하면, 각 셀 그룹 별 허용 송신 전력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O(1)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MIN(P_TOT * P_RATIO[O(1)], P_CG[O(1)])
O(2)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MIN(P_TOT * P_RATIO[O(2)], P_CG[O(2)], P_TOT - 제 O(1)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O(m)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MIN(P_TOT * P_RATIO[O(m)], P_CG[O(m)], P_TOT - (제 O(1)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 + O(m-1)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O(M)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MIN(P_TOT - (O(1)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 + O(M-1)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P_CG[O(M)])
기지국(110)은 셀 그룹 별로 순차적으로 전력을 배분할 때마다 잔여 분배 전력의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이 존재하는 경우, 전력 분배 비율에서 다음 셀 그룹에 대한 비율에 기반하여 전력 분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력 분배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이후 셀 그룹에 대한 분배 전력은 0일 수 있다.
고정된 비율에 따라 각 셀 그룹에게 허용 전력을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비율에 따라 결정된 실제 허용 전력을 순차적으로 제외함으로써, 미사용 전력이 발생할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미사용 전력의 발생 확률을 낮춤으로써, 단말(120)에서 실제 사용 가능한 전력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전력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분배 가능 전력 자체가 그룹 우선순위에 따라 일괄적으로 분배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비율에 따라 분배됨으로써, 반복적으로 미분배되어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지 않는 상황이 예방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기지국(110)이 예로 서술되었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110)과 다중 연결 관계에 있는 다른 기지국 또는 별도의 장치(다른 기지국들과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위한 기지국(110)의 또 다른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8은 도 3의 단계(303)의 일부로서, 도 8의 동작 흐름은, 도 8의 동작들을 수행하는 장치(예: 기지국(110))의 구성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본 개시의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예시된다. 이하,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은, 상기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예정되어 있는 셀을 의미한다. 셀 그룹 집합 내 셀은 대상 셀로 지칭될 수 있다. 도 8의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는, 전체 분배 가능 전력을 셀 별 우선 순위에 따라 전력을 분배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도 8을 참고하면, 단계(801)에서, 기지국(110)은 셀 그룹 집합에 포함된 셀들에 대한 상향링크 채널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셀 그룹 집합에 포함된 셀들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들 전체의 개수는 L일 수 있다. 기지국(110)은, 각 셀에 대한 상향링크 채널 상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 채널 상태란, 상향링크 채널의 품질(예: 신호 세기, 간섭 비율, 다중 경로 확보 여부 등), 상향링크 채널 유형(예: PUCCH, PUSCH), 상향링크 전송과 관련된 빔 정보(예: QCL 관계(relationship)에 있는 빔 또는 해당 빔의 채널 품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803)에서, 기지국(110)은 상향링크 채널 상태에 기반하여 할당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110)은 상향링크 채널 품질에 기반하여 할당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10)은, M개의 셀 그룹 내 셀 중 상향링크 채널이 좋은 순서대로 필요한 전력을 우선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110)은 상향링크 채널 종류에 기반하여 할당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해당 셀의 셀 그룹이 LTE인지 NR인지, 또는 해당 셀의 상향링크 채널이 NR PUCCH인지, NR PUSCH인지 등에 기반하여 셀 별 우선순위 메트릭을 결정할 수 있고, 셀들 전체의 우선 순위 메트릭에 따라 전체 셀들에 대한 할당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 예들에서, 기지국(110)은 각 셀의 TA(timing advance)(혹은 TAG(timing advance group))에 기반하여 할당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TA 값이 클수록, 단말과 셀(기지국)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고, 셀 경계에 더 가깝기 때문이다. 셀 경계에 있을수록 보다 많은 전력을 할당하여 단말의 상향링크 신호가 기지국에 보다 안정적으로 도착하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단계(805)에서, 기지국(110)은 각 셀에 대한 허용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단계(803)에서 결정된 할당 순서에 따라, 각 셀에 대한 허용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분배 가능 전력으로부터, 할당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셀 별 허용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할당 순서에 따른 l번째 셀의 경우, l-1번째 까지의 셀에 대한 허용 전력을 제외한 현재 분배 가능 전력과 l번째 셀의 필요 전력, l번째 셀의 셀 그룹에 대한 최대 전력에 기반하여 셀 별 허용 전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다중 연결을 구성하는 셀 그룹들 전체(반송파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즉 분배 가능 전력을 P_TOT, 각 m번째 그룹 내 반송파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P_CG[m]라 하면, 각 셀 그룹 별 허용 송신 전력은 하기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K(1) 셀 허용 송신 전력 = MIN(분배 가능 전력, P_CG(1번째 셀이 속한 셀 그룹), 1번째 셀이 속한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1번째 셀 필요 전력)
K(2) 셀 허용 송신 전력 = MIN(분배 가능 전력-K(1) 셀 허용 송신 전력, P_CG(2번째 셀이 속한 셀 그룹), 2번째 셀이 속한 셀 그룹 허용 송신 전력 + 2번째 셀 필요 전력)
...
K(L) 셀 허용 송신 전력 = MIN(분배 가능 전력-K(1) 셀 허용 송신 전력-K(2) 셀 허용 송신 전력, ..., -K(L-1) 셀 허용 송신 전력
기지국(110)은 셀 별로 순차적으로 전력을 배분할 때마다 잔여 분배 전력의 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이 존재하는 경우, 전력 분배 비율에서 다음 셀의 필요 전력에 기반하여 전력 분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110)은, 잔여 분배 전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전력 분배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이후 셀에 대한 분배 전력은 0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채널 상태에 기반하여 할당 순서를 결정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할당 순서는 셀 그룹 집합의 셀들의 활성화된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할당 순서는, 자원 할당 크기(예: RB 개수, TBS(transport block size))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할당 순서는 셀 인덱스(예: SCellindex)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엔티티로서 기지국(110)이 예로 서술되었으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지국(110)과 다중 연결 관계에 있는 다른 기지국 또는 별도의 장치(다른 기지국들과 연결되어 있는 별도의 네트워크 엔티티)가 상술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간/ 비실시간 전력 할당 시그널링
도 9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할당을 위한 기지국(110-1, 110-2)-단말(120) 간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한다. 도 9a의 전력 할당은, 실시간 전력 분배에 기반한 전력 할당이다. 실시간 단말 송신 전력 분산 제어 동작은, 전송 시점 t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M개(M>1)의 셀 그룹들 내 하나 이상의 셀을 그 대상으로 한다. 도 9a에서는 단말(120)이 제1 기지국(110-1)과 제2 기지국(110-2)와 이중 연결된 상황이 서술된다.
도 9a를 참고하면, 단말(120)은 전력 헤드룸 보고(PHR)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120)은 다중 연결된 기지국들 각각에게 PHR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 연결의 경우, 단계(901)에서, 단말(120)은 제1 기지국(110-1)에게 dual connectivity PHR(또는 Multiple Entry PHR)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902)에서, 단말(120)은 제2 기지국(110-2)에게 dual connectivity PHR(또는 Multiple Entry PHR)을 전송할 수 있다. 동일한 정보가 다중 연결된 기지국들에게 전송될 수 있다.
단계(921)에서, 제1 기지국(110-1) 또는 제2 기지국(110-2)는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기지국(110-1) 및 제2 기지국(110-2)는 단말 송신 전력 제어에 필요한 셀 그룹에 대한 정보들을 교환할 수 있다. 상기 교환에는 제1 기지국(110-1)만 제2 기지국(110-2)에게 제1 기지국(110-1)의 셀 그룹 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혹은 제2 기지국(110-2)만 제1 기지국(110-1)에게 제2 기지국(110-2)의 셀 그룹 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또는 제1 기지국(110-1) 및 제2 기지국(110-2) 모두가 각 기지국의 셀 그룹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및 제2 기지국(110-2) 중 적어도 하나는, 셀 그룹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셀 그룹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셀 그룹 집합이란 특정 전송 시점 t(920)(예: t번째 TTI)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될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의 집합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기지국(110-1) 및 제2 기지국(110-2) 각각에서 특정 전송 시점 t(920)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설정된 셀 그룹을 결정한 뒤, 결정된 셀 그룹 정보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기지국(110-1)이 마스터 기지국이고, 제2 기지국(110-2)가 특정 전송 시점 t(920)에서의 제2 기지국(110-2)의 셀 그룹 집합을 제1 기지국(1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 기지국(110-1)이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전송 시점 t(920)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하고, 상기 특정 전송 시점 t(920)에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자원 할당이 수행된 상기 M개의 셀 그룹 내 각 셀은 셀 별 정보 처리부(예: 기지국 내 구현)에서 확보한 각 셀 그룹 내 셀 별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자원 할당 정보를 바탕으로, 다음의 셀 별 필요 전력 계산과 셀 그룹 별 허용 송신 전력 계산의 대상이 되는 셀을 포함하는 셀 그룹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셀 그룹 집합은, 특정 전송 시점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셀들을 포함하는 바, '동시 동작 대상 셀 그룹'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셀 그룹은 특정 전송 시점 t(920)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가능한 셀 중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 또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되지 않은 셀 중 특정 전송 시점 t(920)에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자원 할당이 수행된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셀 그룹 집합 내 셀은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전력 헤드룸 보고 정보 및 단말의 전력 헤드룸 계산에 사용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셀 별 최대 할당 가능 자원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 대상이 되는 셀들의 셀 별 필요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및 제2 기지국(110-2) 중 적어도 하나는, 셀 그룹 집합에 기초하여 각 셀 그룹에 대한 전력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110-1)은 제1 기지국(110-1)의 셀 그룹(들)에 대한 정보 및 제2 기지국(110-2)의 셀 그룹(들)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셀 그룹에 할당될 송신 전력 및 제2 셀 그룹에 할당될 송신 전력을 각각 결정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은 제2 기지국(110-2)에게 배분 정보, 즉 제2 셀 그룹에 할당될 송신 전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술된 예의 동작을 제1 기지국(110-1)이 아닌 제2 기지국(110-2)가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단계(925)에서, 제1 기지국(110-1)은 상향링크 승인을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926)에서, 제2 기지국(110-2)는 상향링크 승인을 단말(1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전력 할당은 RB 개수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다중 연결 시스템에서 스케줄러는 셀 그룹 단위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향링크 승인은 개별적으로 단말(12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상향링크 승인에 포함된 자원 할당 정보는 전력 배분 결과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지국(110-1)의 셀 그룹에게 할당된 전력이 제2 기지국(110-2)의 셀 그룹에게 할당된 전력보다 2배 큰 경우, 단계(925)의 상향링크 승인의 자원 할당 정보는, 단계(926)의 상향링크 승인보다 2배 많은 데이터 크기를 가리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크기는 RB 개수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 크기는 TBS로 표현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단말(120)은 다음 전송 시점 t+1(930)에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 절차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단계(931), 단계(935), 단계(936)는 각각 단계(921), 단계(925), 단계(926)에 대응하는 바, 단계(931), 단계(935), 단계(936)는, 단계(921), 단계(925), 단계(926)에 대한 설명이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every) TTI에 대한 전력 분배를 수행함으로써, 기지국(110)은 DPS(dynamic power sharing)의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여분의 전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단말에게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처리율(throughput)을 높일 수 있고 이는 전체적으로 채널 용량(cell capacity)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실시간 단말 송신 전력 분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각 기지국은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는, 다른 기지국의 셀 그룹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로 전달되는 정보는 단말의 동적 전력 분배 지원 여부; 및 각 셀 그룹 내 셀들의 전송시점 별 상향링크 전송 가능 여부 정보; 및 전송시점 t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자원 할당 여부 정보; 및 각 셀 그룹 내 셀에서 수신한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정보; 및 단말의 전력 헤드룸 계산 대상인 상향링크 전송에 할당되었던 자원 정보; 및 각 셀 별 최대 할당 가능한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각 기지국은, 실시간 단말 송신 전력 분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셀 그룹 단위 혹은 셀 단위로 정보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에서 관리하는 정보는 단말의 동적 전력 분배 지원 여부; 및 각 셀 그룹 내 셀들의 전송시점 별 상향링크 전송 가능 여부 정보; 및 전송시점 t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자원 할당 여부 정보; 및 각 셀 그룹 내 셀에서 수신한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정보; 및 단말의 전력 헤드룸 계산 대상인 상향링크 전송에 할당되었던 자원 정보; 및 각 셀 별 최대 할당 가능한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도 9a에 도시된 예에서, 제 1 셀 그룹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즉, 제1 기지국(110-1)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신호로 단말에게 설정하는 각 셀 그룹 내 셀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및 M개의 셀 그룹 내 셀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을 다른 셀 그룹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즉, 제2 기지국(110-2)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 로 전달할 수 있다.
도 9a의 단계(901) 및 단계(902)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은 각 셀의 필요 전력을 계산할 때, 전력 헤드룸 보고에 기반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M개의 셀 그룹들 내 각 셀의 정보 처리부가 단말로부터 전력 헤드룸 보고를 수신할 때마다, 해당 기지국은 수신한 전력 헤드룸 보고 정보 및 단말의 전력 헤드룸 계산에 사용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해당 셀 그룹을 관리하는 기지국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력 헤드룸 보고 정보는 단말이 각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전송이 설정된 셀에 대해 실제(real) 상향링크 전송을 기반으로 보고 하는 경우, 전력 헤드룸과 해당 셀에 대한 셀 당 최대 전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각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전송이 설정된 셀에 대해 가상(virtual)의 상향링크 전송을 기반으로 보고하는 경우, 셀 당 최대 전력 정보 없이 전력 헤드룸 정보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셀 그룹 내 셀 간 전력 헤드룸 보고 정보 및 단말의 전력 헤드룸 계산에 이용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수신한 기지국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는 수신한 전력 헤드룸 보고 정보 및 단말의 전력 헤드룸 계산에 이용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를 다른 기지국 내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M개의 셀 그룹 내 각 셀의 단말 송신 전력 제어부는 정보 처리부를 통해 확보된 각 셀 그룹의 셀 별 상향링크 전송 여부 정보를 바탕으로, 동적 전력 분배를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 임의의 전송시간 t에서의 상향링크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대상 셀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기지국(110-1)이 전력 분배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 1 셀 그룹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는 전체 M개의 셀 그룹 내 셀에 있어, 특정 셀 또는 셀 그룹부터 필요한 전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셀 그룹 간 허용 가능한 전력을 결정하는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동적 전력 분배 운용 모드를 결정하여 다른 셀 그룹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단말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통해 서술된 바와 같이, 전력 분배가 수행될 수 있다. 이하, 상술된 4가지의 전력 분배 방안들을, 각각 동적 전력 분배 모드로 지칭하여 서술한다. 전력 분배를 수행하는 장치는 4가지 동적 전력 분배 모드들 중에서 하나 이상에 기반하여, 각 셀 그룹에 대한 전력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각 셀의 필요 전력은 셀 그룹 간 동적 전력 분배 운용 모드에 따라 셀 그룹의 허용 송신 전력을 개별적으로 계산될 수 있다.
M개의 셀 그룹 간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셀 그룹 간 순서를 O(1), ... O(M)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4G 셀 그룹과 5G 셀 그룹 간 이중 연결을 구성하는 경우, 4G 셀 그룹을 O(1), 5G 셀 그룹을 O(2)로 하여 4G 셀 그룹의 허용 송신 전력을 5G 셀 그룹보다 우선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적 전력 분배 제 1 모드는, 상기 O(1),..., O(M) 순서대로 O(1)번째 셀 그룹부터 해당 셀 그룹에 허용 가능한 전력을 우선 결정하는 모드이다. 일 실시 예로 4G 셀 그룹을 O(1), 5G 셀 그룹을 O(2)로 하는 두 셀 그룹 간 이중 연결에 있어, 동시 동작 대상 셀 그룹에 속한 각 셀은 4G 셀 그룹 내 셀들의 필요한 전력이 최대한 보장되도록 단말의 한정된 송신 전력 내에서 4G 셀 그룹의 허용 송신 전력을 우선 계산한 후 5G 셀 그룹의 허용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순서로 셀 그룹 간 허용 송신 전력을 결정한다. 상기 일 실시 예에서 5G 셀 그룹의 허용 가능한 전력은 4G 셀 그룹의 허용 송신 전력에 따라 단말의 한정된 송신 전력 내에서 제약될 수 있다.
동적 전력 분배 제 2 모드는 상기 O(1), ..., O(M) 순서대로 O(1)번째 셀 그룹부터 순서대로 해당 셀 그룹에 필요한 전력을 우선 고려함과 동시에 상향링크 제어 정보 (uplink control information)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한 전력을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되지 않은 셀 보다 더 우선하여 고려하는 모드이다. 일 실시 예로 4G 셀 그룹을 O(1), 5G 셀 그룹을 O(2)로 하는 두 셀 그룹 간 이중 연결에 있어, 동시 동작 대상 셀 그룹에 속한 각 셀은 4G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설정 셀, 5G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설정 셀, 4G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미설정 셀, 5G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미설정 셀 순서로 셀 그룹에 필요한 전력을 결정한다. 상기 일 실시 예에서 4G 셀 그룹의 허용 가능한 전력은 5G 셀 그룹 내 상향링크 전송이 설정된 셀의 필요 송신 전력에 따라 단말의 한정된 송신 전력 내에서 제약될 수 있다.
동적 전력 분배 제 3 모드는 상기 O(1), ..., O(M) 순서대로 O(1)번째 셀 그룹부터 셀 그룹 별 임의의 비율로 전력을 분배하는 모드이다.
동적 전력 분배 제 4 모드는 전체 M개의 셀 그룹 내 셀들을 임의의 순서대로 필요한 전력을 우선 고려하는 모드이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셀 간 임의의 순서는 상향링크 채널 이 좋은 순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9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할당을 위한 기지국(110-1, 110-2)-단말(120) 간 시그널링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9b의 전력 할당은, 주기적 전력 분배에 기반한 전력 할당이다. 주기적 단말 송신 전력 분산 제어 동작은, 동작 주기 T에서의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M개(M>1)의 셀 그룹들 내 하나 이상의 셀을 그 대상으로 한다. 도 9b에서는 단말(120)이 제1 기지국(110-1)과 제2 기지국(110-2)와 이중 연결된 상황이 서술된다.
도 9b를 참고하면, 단말(120)은 전력 헤드룸 보고(PHR)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120)은 다중 연결된 기지국들 각각에게 PHR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 연결의 경우, 단말(120)은 제1 기지국(110-1)에게 dual connectivity PHR(또는 Multiple Entry PHR)을 전송할 수 있다. 단말(120)은 제2 기지국(110-2)에게 dual connectivity PHR(또는 Multiple Entry PHR)을 전송할 수 있다. 동일한 정보가 다중 연결된 기지국들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9a와 달리, 도 9b에서는 동작 주기에 기반하여 전력 분배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실시간이 아니라 지정된 구간(예: 복수의 TTI들)에서, 제1 기지국(110-1) 및 제2 기지국(110-2)은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셀들을 식별하고, 셀 그룹 집합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셀 그룹 집합에서 전력 분배의 계산이 되는 셀들이 실시간이 아니라 동작 주기에 기초하여 재결정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제1 동작 주기(T)(960)에서 제1 동작 주기 기반 전력 분배(961)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각각 제1 동작 주기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셀들을 식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9a와 달리, 셀 그룹 집합은 특정 전송 시점에서 동시에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셀뿐만 아니라, 지정된 구간 내에서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셀들까지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주기 내에서, 각 셀 그룹에게 유동적인 할당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급격한 채널 변경에 대응하여 보다 유연한 자원 할당이 가능할 수 있다. 이후, 제2 동작 주기(T)(980)이 도래하는 경우, 제2 동작 주기 기반 전력 분배(981)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b는 둘 이상의 TTI를 포함하는 동작 주기(T)에 따른 전력 분배 방안으로. 셀 그룹 집합을 결정하는 동작 외에 다른 동작들(예: 전력 헤드룸 보고, 상향링크 승인)은 도 9a에 대한 설명이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비 실시간 단말 송신 전력 분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기지국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에 전달되는 정보는 단말의 동적 전력 분배 지원 여부; 및 각 셀 그룹 내 셀들의 전송시점 별 상향링크 전송 가능 여부 정보; 및 각 셀 별 최대 할당 가능한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 실시간 단말 송신 전력 분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기지국의 셀 그룹 내 각 셀의 정보 처리부에서 관리하는 정보는 단말의 동적 전력 분배 지원 여부; 및 각 셀 그룹 내 셀들의 전송시점 별 상향링크 전송 가능 여부 정보; 및 동일 셀 그룹 내 각 셀에서 수신한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정보; 및 단말의 전력 헤드룸 계산 대상인 상향링크 전송에 할당되었던 자원 정보; 및 각 셀 별 최대 할당 가능한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 실시간 단말 송신 전력 분산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 2 셀 그룹 내 각 셀의 정보 처리부로 전달되는 정보는 각 셀 그룹 내 셀들의 전송시점 별 상향링크 전송 가능 여부 정보; 및 각 셀에서 수신한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정보; 및 단말이 전력 헤드룸 계산 시 이용한 상향링크 자원 할당 정보; 및 각 셀 별 최대 할당 가능한 자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의 상기 제 1 셀 그룹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신호로 단말에게 설정하는 각 셀 그룹 내 셀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 및 M개의 셀 그룹 내 셀 전체에 대한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을 다른 셀 그룹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M개의 셀 그룹 내 각 셀의 단말 송신 전력 제어부는 정보 처리부를 통해 확보된 각 셀 그룹의 셀 별 상향링크 전송 여부 정보를 바탕으로, 동적 전력 분배를 지원하는 단말에 대해, 동작 주기 T 내 전송 구간 동안 해당 단말의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동작을 동시에 수행할 대상 셀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비 실시간 단말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해, 상기 실시간 단말 송신 전력 제어와 동일하게 상기 제 1 셀 그룹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는 전체 M개의 셀 그룹 내 셀에 있어, 동적 전력 분배 운용 모드를 결정하여 다른 셀 그룹의 셀 그룹 간 정보 공유부로 전달한다. 동적 전력 분배 모드는 실시간 단말 송신 전력 분산 제어 동작과 동일하게 상기 4개의 모드들(도 5 내지 도 8의 전력 분배 방안)로 구성된다.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달리, 임의의 시점, 즉 비주기적(aperiodic)으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분배가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이벤트 발생시 미리 지정된 구간(하나 이상의 TTIs) 동안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셀들, 셀 그룹들에 대한 전력 분배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11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10에 예시된 구성은 기지국(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기지국(110)은 무선통신부 (1001), 백홀통신부 (1003), 저장부(1005), 제어부(1007)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 (1001)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 (1001)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 1001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 (1001)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무선통신부 (1001)은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1001)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001)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1001)은 다수의 안테나 엘리멘트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1001)은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다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부(1001)은 빔을 형성하는 유닛, 즉 빔포밍부(beamform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001)은 빔포밍을 위한 MMU(massive MIMO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001)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1001)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1001)은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시스템 정보, 메시지, 제어 정보, 또는 데이터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001)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001)은,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에 제어부(1007)의 설정에 따른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해, 신호에 빔포밍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무선 통신부(1001)는 스케줄링 결과 및 송신 전력 계산 결과에 따라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001) 내 RF 유닛은 생성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10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1001)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1001)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1003)은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즉, 백홀통신부(1003)은 기지국(110)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 네트워크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백홀통신부(1003)은 다른 기지국(예: 임의의 SN)에게 백홀통신부(1003)을 포함하는 기지국에 대한 셀 그룹의 전력 할당 정보를 전송하거나, 다른 기지국의 셀 그룹의 전력 할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할당 정보란, 도 5 내지 도 9b를 통해 서술된 전송 구간 기반 전력 할당 혹은 동작 주기 기반 전력 할당을 의미한다.
저장부(1005)은 기지국(1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005)은 메모리(memory)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05)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005)은 제어부(1007)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1005)은 단말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단말 정보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정보는, 각 단말의 채널 정보, 평균 용량 정보, 전송할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7)은 기지국(11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7)은 무선통신부(1001)을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1003)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007)은 저장부(1005)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1007)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7)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 예들에서, 제어부(1007)은 전력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에 대한 셀 그룹들의 전력들을 계산하기 위하여, 다른 기지국들로부터, 필요 전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필요 전력 정보에 기반하여 셀 그룹들 각각에 할당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 (1007)은 전력 할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7)은 스스로 계산 혹은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예: 다른 기지국 혹은 별도의 전력 계산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 할당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1007)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셀 그룹을 위한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 전력을 할당함은 명시적인 전력 설정, 자원 할당 정보(예: RB(resource block) 개수),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전력 제어 명령(예: TPC(transmit power control) command)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계산부 및 전력 할당부는 저장부(1005)에 저장된 명령어 집합 또는 코드로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어부(1007)에 상주된(resided) 명령어/코드 또는 명령어/코드를 저장한 저장 공간이거나, 또는, 제어부(1007)을 구성하는 회로(circuitry)의 일부일 수 있다. 한편,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라, 스케줄러와 송신 전력 계산부는 개별 장치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007)은 기지국(110)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기지국(110)의 구성은, 기지국의 일 예일뿐, 도 10에 도시된 구성으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수행하는 기지국의 예가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 삭제, 변경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기지국을 하나의 엔티티로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지국은 일체형 배치뿐만 아니라 기지국은 분산 배치(distributed deployment)를 갖는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를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CU(central unit)와 DU(digital unit)로 구별되어, CU는 상위 계층 기능(upper layers) (예: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RC)) DU는 하위 계층 기능(lower layers)(예: MAC(medium access control), PHY(physical))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기지국의 DU는 무선 채널 상에 빔 커버리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기지국이 전체 전력을 각 셀 그룹에게 분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특정 기지국 및 다른 기지국이, 셀 그룹들에 대한 전력 분배를 수행하고 각 셀 그룹에 대한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기지국들과 연결되는 별도의 상위 네트워크 엔티티가 셀 그룹들에 대한 전력 분배를 수행하고 각 셀 그룹에 대한 전력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다. 도 11에 예시된 구성은 단말(12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단말(120)은 통신부(1101), 저장부(1103), 제어부(1105)을 포함한다.
통신부(1101)은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1)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1101)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1101)은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또한, 통신부(1101)은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1)은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1)은 다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1)은 안테나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1)은 다수의 안테나 엘리멘트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1101)은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1)은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1)은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101)은, 송수신하고자 하는 신호에 제어부(1105)의 설정에 따른 방향성을 부여하기 위해, 신호에 빔포밍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부(1101)은 RF(radio frequency) 블록(또는 RF 부)을 포함할 수 있다. RF 블록은 안테나와 관련된 제1 RF 회로(circuitry)와 기저대역 프로세싱과 관련된 제2 RF 회로(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RF 회로는 RF-A(antenna)로 지칭될 수 있다. 제2 RF 회로는 RF-B(baseband)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1)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101)은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transceiver)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1)은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하향링크 신호는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예: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DM(demodulation)-RS), 시스템 정보(예: MIB, SIB, RMSI(remaining system information), OSI(other system information)), 설정 메시지(configuration message),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1)은 상향링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향링크 신호는 랜덤 액세스 관련 신호(예: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 RAP)(또는 Msg1(message 1)), Msg3(message 3)), 기준 신호(예: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DM-RS), 또는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1)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1)은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BLE), Wi-Fi(Wireless Fidelity), WiGig(WiFi Gigabyte), 셀룰러 망(예: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uper high frequency, SHF)(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38GHz, 60GHz 등)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1)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예: LAA(licensed Assisted Access)를 위한 비면허 대역, CBRS(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예: 3.5 GHz)) 상에서 동일한 방식의 무선 접속 기술을 이용할 수도 있다.
통신부(11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부(1101)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1101)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저장부(1103)은 단말(1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103)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103)은 제어부(1105)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저장부(1103)은 단말(120)에서 운용될 빔 셋의 각 빔 또는 보조 빔 페어의 각 빔에 대한 방향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05)은 단말(12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5)은 통신부(1101)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105)은 저장부(1103)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1105)은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5)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5)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1)의 일부 및 제어부(1105)은 CP라 지칭될 수 있다. 제어부(1105)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1105)은 단말이 후술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이종 또는 동종의 무선 통신 기지국 내 셀 그룹으로 구성되는 다중 연결 동작 또는 다중 연결과 반송파 결합 복합 동작 시, 단말의 송신 전력을 각 셀 그룹 내 셀 별 상향링크 채널에 따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단말의 송신 전력 감쇄 및 셀 간 송신 전력 비효율 적인 사용을 방지하고 상향링크 송신 품질을 개선하는 기지국의 단말 송신 전력 분산 제어 방법 및 장치가 제안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3GPP 표준에 정의된 4G 주 셀 그룹과 5G 부 셀 그룹 간 4G 코어망에 연결되는 EN-DC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New radio dual-connectivity); 및 4G 주 셀 그룹과 5G 부 셀 그룹 간 5G 코어망에 연결되는 NGEN-DC (NG-RAN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New radio dual-connectivity); 및 4G 부 셀 그룹과 5G 주 셀 그룹 간 5G 코어망으로 연결되는 NE-DC (New radio-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dual-connectivity); 및 5G 셀 그룹과 5G 셀 그룹 간 연결되는 NR-DC (New radio dual-connectivity)를 포함하는 MR-DC (Multi radio dual-connectivity)에서 두 기지국 간 단말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기지국 동작 및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셀 그룹 간; 및 셀 그룹 내 셀 간 동일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 및 서로 다른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방식을 지원하는 상기 다양한 3GPP 표준의 MR-DC 동작에서 상향링크 전송 시점이 동일한 하나 이상의 셀들에 대한 단말의 송신 전력을 동적으로 조정하는 기지국 동작 및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상기 다양한 3GPP 표준의 MR-DC 동작에 있어,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셀 그룹 간; 및 셀 그룹 내 셀 간 실시간 정보 공유를 기반으로 실시간 적으로 단말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기지국 동작 및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상기 다양한 3GPP 표준의 MR-DC 동작에 있어, 하나 이상의 기지국의 셀 그룹 간; 및 셀 그룹 내 셀 간 비 실시간 정보 공유를 기반으로 임의의 주기에 맞춰 단말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기지국 동작 및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상기 다양한 3GPP 표준의 MR-DC 동작에 있어, 셀 그룹 내 셀 간 동일한 정보를 기반으로 각 셀 별로 셀 그룹 별 단말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기지국 분산 동작 및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는 상기 다양한 3GPP 표준의 MR-DC 동작에 있어, 셀 그룹 내 셀 별 전력 헤드룸 보고 정보를 기반으로 각 셀 별 필요 전력을 예상하는 기지국 동작 및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은 다중 연결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은 각 셀 그룹의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전력 분배는 각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스케줄링의 양에 기초하여, 그 실시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어 채널(PUCCH)의 유무에 따라 할당되는 전력의 양이 달라짐으로써, 본 개시의 실시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EN-DC 상황에서, NR PUCCH가 있는 경우 및 NR PUCCH가 없고 NR PUSCH가 있는 경우를 고려하자. 두 상황들에서 NR의 셀 그룹에게 분배되는 전력(자원 할당 크기)이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분배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 연결된 복수의 셀 그룹들 중에서, 특정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 각각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는 과정과,
    상기 분배의 결과에 따른 전력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셀 그룹 집합은, 상기 특정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이 수행될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포함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송 구간은 하나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을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전송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송을 포함하는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을,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 각각에 대한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LTE(long term evolution)와 NR(new radio)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이 설정되고,
    상기 LTE의 셀 그룹의 우선 순위가 상기 NR의 셀 그룹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의 셀들 중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들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된 셀들의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에 대한 필요 전력을 우선 전력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분배 가능 전력에서 상기 우선 전력을 제외한 후,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 각각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HARQ(hybrid automatic reparation request),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SR(scheduling reques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CSI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 CRI(CSI-reference signal resource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에 대한 분배 전력 비율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분배 전력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 각각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 전력 비율은, 상기 셀 그룹들 각각의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는 과정은,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의 셀들을 식별하는 과정과,
    상기 셀들에 대한 할당 순서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할당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셀들 각각에게 전력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할당 순서는, 각 셀의 상향링크 채널 상태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로부터 복수의 셀 그룹들에 대한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을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은, 상기 PHR에 기반하여 분배되는 방법.
  1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분배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말에 연결된 복수의 셀 그룹들 중에서, 특정 전송 구간에 대한 셀 그룹 집합을 식별하고,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 각각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고,
    상기 분배의 결과에 따른 전력 할당 정보를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셀 그룹 집합은, 상기 특정 전송 구간에서 상향링크 전송(uplink transmission)이 수행될 하나 이상의 셀들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포함하는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특정 전송 구간은 하나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을 포함하는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전송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전송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송을 포함하는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기 위해,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을,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 각각에 대한 우선 순위에 따라 할당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LTE(long term evolution)와 NR(new radio)의 이중 연결(dual connectivity)이 설정되고,
    상기 LTE의 셀 그룹의 우선 순위가 상기 NR의 셀 그룹의 우선 순위보다 높은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기 위해,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의 셀들 중에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이 설정된 셀들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셀들의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에 대한 필요 전력을 우선 전력으로 결정하고,
    상기 분배 가능 전력에서 상기 우선 전력을 제외한 후,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 각각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 제어 정보는 HARQ(hybrid automatic reparation request),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SR(scheduling reques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CSI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 CRI(CSI-reference signal resource indic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기 위해,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에 대한 분배 전력 비율을 결정하고,
    상기 분배 전력 비율에 기반하여,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 각각에게 상기 단말에 대한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분배 전력 비율은, 상기 셀 그룹들 각각의 상향링크 데이터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장치.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을 분배하기 위해,
    상기 셀 그룹 집합의 셀 그룹들의 셀들을 식별하고,
    상기 셀들에 대한 할당 순서를 결정하고,
    상기 할당 순서에 기반하여, 상기 셀들 각각에게 전력을 할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할당 순서는, 각 셀의 상향링크 채널 상태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장치.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로부터 복수의 셀 그룹들에 대한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을 수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배 가능 전력은, 상기 PHR에 기반하여 분배되는 장치.

KR1020190094595A 2019-08-02 2019-08-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ending KR20210015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595A KR20210015562A (ko) 2019-08-02 2019-08-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CT/KR2020/010211 WO2021025408A1 (en) 2019-08-02 2020-08-03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0849178.7A EP4005298A4 (en) 2019-08-02 2020-08-03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202080069663.2A CN114503692B (zh) 2019-08-02 2020-08-03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功率控制的装置和方法
US16/983,122 US11540235B2 (en) 2019-08-02 2020-08-03 Apparatus and method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595A KR20210015562A (ko) 2019-08-02 2019-08-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5562A true KR20210015562A (ko) 2021-02-10

Family

ID=7425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595A Pending KR20210015562A (ko) 2019-08-02 2019-08-0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40235B2 (ko)
EP (1) EP4005298A4 (ko)
KR (1) KR20210015562A (ko)
CN (1) CN114503692B (ko)
WO (1) WO202102540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07A (ko) * 2021-08-24 2023-03-03 국방과학연구소 단말의 통신 능력에 기반한 전송 전력을 할당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243819A1 (en) * 2022-06-14 2023-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1684B2 (en) * 2019-08-09 2023-05-02 Qualcomm Incorporated Handling single uplink transmissions in a dual connectivity mode
EP4154576A4 (en) * 2020-05-20 2024-03-13 Nokia Technologies Oy POWER HEADROOM REPORT FOR A SERVING CELL
US11310815B2 (en) * 2020-07-14 2022-04-1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ervice over multiple uplinks
US11917461B2 (en) * 2020-10-22 2024-02-27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easurement reporting and transmit power allocation in power-constrained environment
US11375526B1 (en) 2020-12-28 2022-06-28 Charter Communications Operating, Llc Uplink resource allocation in fixed wireless access systems using WiFi controller
WO2022216210A1 (en) * 2021-04-08 2022-10-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losed loop power control for uplink carrier aggregation
US20220369245A1 (en) * 2021-05-17 2022-11-17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power aggrega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9297A (zh) 2013-08-13 2016-03-16 富士通株式会社 上行信道的功率控制方法、用户设备以及通信系统
US10085265B2 (en) * 2014-01-30 2018-09-25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transmit power allocation and power headroom reporting by a user equipment in a multi-connectivity environment
US9357510B2 (en) 2014-03-31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Power sharing and power headroom reporting in dual connectivity scenarios
EP3179787B1 (en) * 2014-08-04 2021-03-03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 power control
US9629094B2 (en) * 2014-08-05 2017-04-18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prioritizing transmissions in multiple connectivity wireless communications
US10575264B2 (en) 2015-08-26 2020-02-25 Idac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systems
JP6998307B2 (ja) * 2016-08-10 2022-01-18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端末及び通信方法
CN107889252B (zh) * 2016-09-29 2019-09-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功率分配方法及装置
KR102263629B1 (ko) * 2017-08-10 2021-06-11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 무선 통신 시스템 및 무선 통신 방법
EP3664527B1 (en) * 2017-08-11 2022-10-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adjusting uplink ti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0531397B2 (en) * 2017-10-02 2020-0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 power for uplink signal and a user equipment performing the method
US10873916B2 (en) * 2017-12-29 2020-12-22 Ofinno, Llc Base station power contr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9307A (ko) * 2021-08-24 2023-03-03 국방과학연구소 단말의 통신 능력에 기반한 전송 전력을 할당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23243819A1 (en) * 2022-06-14 2023-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05298A1 (en) 2022-06-01
US11540235B2 (en) 2022-12-27
US20210037482A1 (en) 2021-02-04
CN114503692A (zh) 2022-05-13
EP4005298A4 (en) 2022-09-14
CN114503692B (zh) 2024-11-26
WO2021025408A1 (en) 2021-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503692B (zh) 用于无线通信系统中的功率控制的装置和方法
CN108112065B (zh) 发送功率的确定、信令配置方法及装置、终端、基站
US108491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s using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9871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831365B1 (en) Use of per-connection MIMO support as basis for dynamic control of air-interface communication with dual-connected device
KR2019001163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대역폭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220393839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computing archite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 architectur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28430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5299134A (zh) 基于介质访问控制(mac)控制元素的srs资源配置
US10973005B2 (en) Methods and related devices for resource allocation
US12207135B2 (en) Use of per-connection spectral efficiency as basis for dynamic control of air-interface communication with dual-connected device
US11516863B1 (en) Use of per-connection fading as basis for dynamic control of Air-Interface communication with dual-connected device
US12219501B2 (en) Transmit power prioritization in inter-band carrier aggregation
US20230327798A1 (en) Link adaptation method and device for dynamic time division duplex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997537B2 (en) Use of per-connection frequency bandwidth as basis for dynamic control of air-interface communication with dual-connected device
US11785504B1 (en) Use of per-connection insertion loss as basis for dynamic control of air-interface communication with dual-connected device
US11838974B1 (en) Use of uplink MU-MIMO grouping efficiency as basis to control split-uplink-mode operation for dual-connectivity service
US11533768B1 (en) Use of per-connection beamforming support as basis for dynamic control of air-interface communication with dual-connected device
US20240297755A1 (en) Methods for beam state updating for uplink transmission
US20240244702A1 (en) Transmission configuration indicator state mapping for multiple transport block transmission
CN117979312A (zh) 一种用于通信的方法、终端设备、网络设备、介质及程序产品
CN117280781A (zh) 用于初始接入之后的物理随机接入信道的增强上行链路功率控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8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8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