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386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3864A KR20210013864A KR1020190091600A KR20190091600A KR20210013864A KR 20210013864 A KR20210013864 A KR 20210013864A KR 1020190091600 A KR1020190091600 A KR 1020190091600A KR 20190091600 A KR20190091600 A KR 20190091600A KR 20210013864 A KR20210013864 A KR 202100138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phr
- format
- type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52/58—Format of the TPC bits
-
- H04W72/120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68—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of uplink data flow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서빙 셀에 대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여부와 무관하게 다중(Multiple)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가상 (Virtual) PH로 생성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다중(Multiple)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가상 (Virtual) PH 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인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LTE 시스템 또는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이 가용할 수 있는 송신 전력량을 PH(Power Headroom)라고 하며, 최대 송신 전력 PCMAX과 현재 사용 중인 단말 송신 전력의 차이로 정의된다. 단말은 특정 조건이 만족되면, PH을 기지국에 보고하며, 이를 PHR(Power Headroom Report)라고 한다.
특히,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무선 액세스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 RAT)간 이중 접속(double connectivity. DC) 또는 상향링크(uplink, UL) 반송파 결합(캐리어 어그리에이션, carrier aggregation, CA)을 지원하는 경우, 기지국이 상향링크(Uplink) 서비스 영역의 최적화를 하기 위하여 다중(Multiple)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를 가지고 스케줄링에 설정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다중(Multiple) PHR 사용 시 단말의 전력 제어를 위해 실제 데이터 채널 또는 제어 채널의 전송 여부에 따라 기지국 간 스케줄링 정보 교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다중 RAT DC 또는 상향링크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생성하여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PHR 보고 방법은 단말의 실제 전송여부와 관계없이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하는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전송함으로써, 기지국 간 스케줄링 정보 교환 없이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및 할당 자원 크기 조절 등의 효과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Multiple)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단말의 실제 전송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다중(multi) 파워 헤드룸 보고 (power headroom report, PHR)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PHR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빙 셀의 각 서빙 셀에 대한 파워 헤드룸 (PH) 정보를 생성할 때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이용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다중 PH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PH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는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다중(multi) 파워 헤드룸 정보(power headroom, PH)를 수신하는 방법은 단말에게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PHR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다중 PH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는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이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복수의 서빙 셀의 각 서빙 셀에 대한 파워 헤드룸 (PH) 정보를 생성할 때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이용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결정될 수 있고, 상기 결정된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PH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multi) 파워 헤드룸 보고 (power headroom report, PHR) 장치는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PHR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빙 셀의 각 서빙 셀에 대한 파워 헤드룸 (PH) 정보를 생성할 때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이용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결정하고, 상기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다중 PH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다중 PH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는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multi) 파워 헤드룸 정보(power headroom, PH)를 수신하는 장치는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가 단말에게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PHR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다중 PH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는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이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복수의 서빙 셀의 각 서빙 셀에 대한 파워 헤드룸 (PH) 정보를 생성할 때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이용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결정될 수 있고, 상기 결정된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PH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다중 PHR 보고 방법은 단말의 실제 전송여부와 관계없이 모두 가상 PH를 생성하고, 가상 타입으로 다중 PHR의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기지국 간의 스케줄링 정보의 교환이 불필요하므로 단말의 전력 제어 및 자원 할당을 포함한 스케줄링 동작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캐리어 집적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LTE 및 NR에서 다중 연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설정 및 상향링크 종류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중(multiple) PHR 을 위한 단말과 기지국간의 메시지 전송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보고를 위한 MAC PDU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다중(multiple) PH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에 기반하여 다중 PH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다중 PH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다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캐리어 집적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LTE 및 NR에서 다중 연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설정 및 상향링크 종류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중(multiple) PHR 을 위한 단말과 기지국간의 메시지 전송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보고를 위한 MAC PDU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다중(multiple) PH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에 기반하여 다중 PH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다중 PH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정의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3세대 프로젝트 파트너쉽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이하 "3GPP"라 칭하기로 한다)의 Long Term Evolution(LTE), New radio (NR)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단말(Terminal)'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SS(Subscriber Station), AMS(Advanced Mobile Station), WT(Wireless terminal),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장치, M2M(Machine-to-Machine) 장치, D2D(Device-to-Device) 장치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3GPP 및 3GPP2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개시하고 있는 모든 용어들은 상기 표준 문서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3GPP 5G(5 Generation) 시스템을 위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이하 NR 혹은 5G)의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차세대 기지국(New Radio Node B, 이하 NR gNB 혹은 NR 기지국)(110) 과 NR CN (105, New Radio Core Network)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New Radio User Equipment, 이하 NR UE 또는 단말)(315)은 NR gNB(110) 및 NR CN (10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도 1에서 NR gNB(110)는 기존 LTE 시스템의 eNB (Evolved Node B)에 대응된다. NR gNB는 NR UE(115)와 무선 채널로 연결되며 기존 노드 B 보다 더 월등한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든 사용자 트래픽이 공용 채널(shared channel)을 통해 서비스 되므로, UE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줄링을 하는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NR NB(110)가 담당한다. 하나의 NR gNB는 통상 다수의 셀들을 제어한다. 현재 LTE 대비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최대 대역폭 이상을 가질 수 있고,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이라 한다)을 무선 접속 기술로 하여 추가적으로 빔포밍 기술이 접목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채널 상태에 맞춰 변조 방식(modulation scheme)과 채널 코딩률(channel coding rate)을 결정하는 적응 변조 코딩(Adaptive Modulation & Coding, 이하 AMC라 한다) 방식을 적용한다. NR CN (105)는 이동성 지원, 베어러 설정, QoS 설정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NR CN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 들과 연결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존 LTE 시스템과도 연동될 수 있으며, NR CN이 MME (125)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다. MME는 기존 기지국인 eNB (130)과 연결된다. 즉, LTE-NR Dual Connectivity을 지원하는 단말은 gNB뿐 아니라, eNB에도 연결을 유지하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NR 기지국에서 각각 NR PDCP(205, 240), NR RLC(210, 235), NR MAC(215, 230)으로 이루어진다. NR PDCP (205, 240)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헤더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Heade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ROHC only)
- 사용자 데이터 전송 기능 (Transfer of user data)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PDCP PDU reordering for reception)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of lower layer SDUs)
- 재전송 기능(Retransmission of PDCP SDUs)
- 암호화 및 복호화 기능(Ciphering and deciphering)
- 타이머 기반 SDU 삭제 기능(Timer-based SDU discard in uplink.)
상기에서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은 하위 계층에서 수신한 PDCP PDU들을 PDCP SN(sequence number)을 기반으로 순서대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말하며, 재정렬된 순서대로 데이터를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R PDCP 장치의 순서 재정렬 기능은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PDCP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PDCP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RLC(210, 235)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 기능(Transfer of upper layer PDUs)
-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 of upper layer PDUs)
- 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ARQ)
- 접합, 분할, 재조립 기능(Concatenation,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f RLC SDUs)
- 재분할 기능(Re-segmentation of RLC data PDUs)
- 순서 재정렬 기능(Reordering of RLC data PDUs)
- 중복 탐지 기능(Duplicate detection)
- 오류 탐지 기능(Protocol error detection)
- RLC SDU 삭제 기능(RLC SDU discard)
- RLC 재수립 기능(RLC re-establishment)
상기에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In-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은 수신한 RLC PDU들을 RLC SN(sequence number) 혹은 PDCP SN(sequence number)를 기준으로 재정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순서를 재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은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상태 보고를 송신 측에 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PDU들에 대한 재전송을 요청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실된 RLC SDU가 있을 경우, 유실된 RLC SDU 이전까지의 RLC SDU들만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R RLC 장치의 순차적 전달 기능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타이머가 시작되기 전에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유실된 RLC SDU가 있어도 소정의 타이머가 만료되었다면 현재까지 수신된 모든 RLC SDU들을 순서대로 상위 계층에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RLC PDU들을 수신하는 순서대로 (일련번호, Sequence number의 순서와 상관없이, 도착하는 순으로)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순서와 상관없이(Out-of sequence delivery) 전달할 수도 있으며, segment 인 경우에는 버퍼에 저장되어 있거나 추후에 수신될 segment들을 수신하여 온전한 하나의 RLC PDU로 재구성한 후, 처리하여 PDCP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NR RLC 계층은 접합(Concatenation)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기능을 NR MAC 계층에서 수행하거나 NR MAC 계층의 다중화(multiplexing) 기능으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에서 NR RLC 장치의 비순차적 전달 기능(Out-of-sequence delivery)은 하위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RLC SDU들을 순서와 상관없이 바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말하며, 원래 하나의 RLC SDU가 여러 개의 RLC SDU들로 분할되어 수신된 경우, 이를 재조립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한 RLC PDU들의 RLC SN 혹은 PDCP SN을 저장하고 순서를 정렬하여 유실된 RLC PDU들을 기록해두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NR MAC(215, 2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NR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NR MAC의 주요 기능은 다음의 기능들 중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 맵핑 기능(Mapping between logical channels and transport channels)
- 다중화 및 역다중화 기능(Multiplexing/demultiplexing of MAC SDUs)
- 스케쥴링 정보 보고 기능(Scheduling information reporting)
- HARQ 기능(Error correction through HARQ)
- 로지컬 채널 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logical channels of one UE)
- 단말간 우선 순위 조절 기능(Priority handling between UEs by means of dynamic scheduling)
- MBMS 서비스 확인 기능(MBMS service identification)
- 전송 포맷 선택 기능(Transport format selection)
- 패딩 기능(Padding)
NR PHY 계층(220, 4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PHY 계층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주파수/반송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기지국에서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반송파 집적 기술 (carrier aggreagation, 이하 CA라 칭함)이라 한다. CA 기술이란 단말 (혹은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 (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 및 NR 시스템에서는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PCell (Primary Cell)이라 하며, 부차반송파를 SCell (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상기의 CA기능을 두개의 기지국으로 확장한 기술을 이중 연결 기술 (dual connectivity, 이하 DC라 칭함)이라 한다. 상기 DC 기술에서는 단말이 주기지국 (Master E-UTRAN NodeB, 이하 MeNB라 칭함)과 보조기지국 (Secondary E-UTRAN NodeB, 이하 SeNB라 칭함)을 동시에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으며, 주기지국 내에 속한 셀들을 주셀그룹 (Master Cell Group, 이하 MCG라 칭함)이라 하고, 보조기지국에 속한 셀들을 보조셀그룹 (Secondary Cell Group, 이하 SCG라 칭함)이라 한다. 상기 각 셀그룹별로 대표셀이 있으며, 주셀그룹의 대표 셀을 주셀(Primary Cell, 이하 PCell이라 칭함)이라 하고, 보조셀그룹의 대표 셀을 주보조셀 (Primary Secondary Cell, 이하 PSCell이라 칭함)이라 한다. 전술한 NR을 사용할 때, 상기 MCG를 LTE 기술을 사용하고 상기 SCG를 NR로 사용하여, LTE와 NR을 단말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LTE 및 NR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소정의 조건에 따라 파워헤드룸 정보를 보고 (Power Headroom Report, PHR) 한다. 상기 파워헤드룸 정보란, 단말에게 설정된 최대 전송 전력과 단말이 추정한 전송 전력과의 차이를 의미한다. 상기 단말이 추정한 전송 전력은, 단말이 실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전송할 때 사용하는 값을 기반으로 계산 (이때 계산된 값을 Real 값이라 함)되지만, 단말이 실제 전송하지 않는 경우 표준 규격에 정의된 소정의 수식을 기반으로 계산(이때 계산된 값을 Virtual 값이라 함)된다. 상기 파워헤드룸 정보를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의 최대 전송 가능한 전력 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A 상황에서 파워헤드룸 정보는 각 부차반송파 별로 전송이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반송파 집성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단일 반송파 시스템에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하나의 반송파만을 단말에게 지원한다. 반송파의 대역폭은 다양할 수 있으나, 단말에게 할당되는 반송파는 하나이다.
반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 시스템에서는 단말에게 복수의 구성 반송파가 할당될 수 있다.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는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반송파를 의미하며 반송파로 약칭할 수 있다.
반송파 집성 시스템은 집성되는 반송파들이 연속한 연속(contiguous) 반송파 집성 시스템과 집성되는 반송파들이 서로 떨어져 있는 불연속(non-contiguous) 반송파 집성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단순히 반송파 집성 시스템이라 할 때, 이는 구성 반송파가 연속인 경우와 불연속인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주파수 대역은 복수의 반송파 주파수(Carrier-frequency)로 구분된다. 여기서, 반송파 주파수는 셀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 of a cell)를 의미한다. 이하에서 셀(cell)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셀은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과 선택적인(optional) 상향링크 주파수 자원의 조합(combination)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반송파 집성(CA)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 하나의 셀(cell)은 상향 및 하향링크 주파수 자원이 항상 쌍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셀을 통하여 패킷(packet)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말은 먼저 특정 셀에 대해 설정(configuration)을 완료해야 한다. 여기서, 설정(configuration)이란 해당 셀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 수신을 완료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설정(configuration)은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공통 물리레이어 파라미터들,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 파라미터들, 또는 RRC 레이어에서 특정 동작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수신하는 전반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완료된 셀은, 패킷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는 정보만 수신하면, 즉시 패킷의 송수신이 가능해지는 상태이다.
설정완료 상태의 셀은 활성화(Activation) 혹은 비활성화(Deactivation)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는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행해지거나 준비 상태(ready state)에 있는 것을 말한다.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주파수, 시간 등일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활성화된 셀의 제어채널(PDCCH) 및 데이터 채널(PDSCH)을 모니터링 혹은 수신할 수 있다.
비활성화는 트래픽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이 불가능하고, 측정이나 최소 정보의 송신/수신이 가능한 것을 말한다. 단말은 비활성화 셀로부터 패킷 수신을 위해 필요한 시스템 정보(SI)를 수신할 수 있다. 반면, 단말은 자신에게 할당된 자원(주파수, 시간 등일 수도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활성화된 셀의 제어채널(PDCCH) 및 데이터 채널(PDSCH)을 모니터링 혹은 수신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CA)이 있다. 반송파 집성은 협대역을 가지는 복수개의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집성하여 광대역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구성 반송파에는 하향링크 구성 반송파와 상향링크 구성 반송파가 있다. 셀(cell)은 하향링크 구성 반송파 및 상향링크 구성 반송파의 쌍, 또는 하향링크 구성 반송파로 정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반송파 집성은 복수의 셀들을 집성하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도 있다.
반송파 집성에서는 단말이 기지국과 최초 연결 과정/재연결 과정을 확립하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과 상기 프라이머리 셀 이외에 추가되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이 있다.
셀은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과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서빙 셀(serving cell)로 구분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셀은 프라이머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며, 단말이 기지국과의 최초 연결 확립 과정(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dure) 또는 연결 재확립 과정을 수행하는 셀, 또는 핸드오버 과정에서 프라이머리 셀로 지시된 셀을 의미한다.
세컨더리 셀은 세컨더리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셀을 의미하며, 일단 RRC 연결이 확립되면 설정되고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된다.
서빙 셀은 반송파 집성이 설정되지 않거나 반송파 집성을 제공할 수 없는 단말인 경우에는 프라이머리 셀로 구성된다. 반송파 집성이 설정된 경우 서빙 셀이라는 용어는 단말에게 설정된 셀을 나타내며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서빙 셀은 하나의 하향링크 구성 반송파 또는 {하향링크 구성 반송파, 상향링크 구성 반송파}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서빙 셀은 프라이머리 셀 및 모든 세컨더리 셀들 중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된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PCC(primary component carrier)는 프라이머리 셀에 대응하는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를 의미한다. PCC는 단말이 여러 CC 중에 초기에 기지국과 접속(Connection 혹은 RRC Connection)을 이루게 되는 CC이다. PCC는 다수의 CC에 관한 시그널링을 위한 연결(Connection 혹은 RRC Connection)을 담당하고, 단말과 관련된 연결정보인 단말문맥정보(UE Context)를 관리하는 특별한 CC이다. 또한, PCC는 단말과 접속을 이루게 되어 RRC 연결상태(RRC Connected Mode)일 경우에는 항상 활성화 상태로 존재한다. 프라이머리 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구성 반송파를 하향링크 주 구성 반송파(DownLink Primary Component Carrier, DL PCC)라 하고, 프라이머리 셀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구성 반송파를 상향링크 주구성 반송파(UL PCC)라 한다.
SCC(secondary component carrier)는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CC를 의미한다. 즉, SCC는 PCC 이외에 단말에 할당된 CC로서, SCC는 단말이 PCC 이외에 추가적인 자원할당 등을 위하여 확장된 반송파(Extended Carrier)이며 활성화 혹은 비활성화 상태로 나뉠 수 있다.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구성 반송파를 하향링크 부구성 반송파(DL Secondary CC, DL SCC)라 하고, 세컨더리 셀에 대응하는 상향링크 구성 반송파를 상향링크 부구성 반송파(UL SCC)라 한다.
프라이머리 셀과 세컨더리 셀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프라이머리 셀은 PUCCH의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둘째, 프라이머리 셀은 항상 활성화되어 있는 반면, 세컨더리 셀은 특정 조건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되는 반송파이다. 셋째, 프라이머리 셀이 무선링크실패(Radio Link Failure; 이하 RLF)를 경험할 때, RRC 재연결이 트리거링(triggering)된다. 넷째, 프리이머리 셀은 보안키(security key) 변경이나 RACH(Random Access CHannel) 절차와 동반하는 핸드오버 절차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다섯째, NAS(non-access stratum) 정보는 프라이머리 셀을 통해서 수신한다. 여섯째, FDD 시스템의 경우 언제나 프라이머리 셀은 DL PCC와 UL PCC가 쌍(pair)으로 구성된다. 일곱째, 각 단말마다 다른 구성 반송파(CC)가 프라이머리 셀로 설정될 수 있다. 여덟째, 프라이머리 셀은 핸드오버, 셀 선택/셀 재선택 과정을 통해서만 교체될 수 있다. 신규 세컨더리 셀의 추가에 있어서, 전용(dedicated) 세컨더리 셀의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데 RRC 시그널링이 사용될 수 있다.
서빙 셀을 구성하는 구성 반송파는, 하향링크 구성 반송파가 하나의 서빙 셀을 구성할 수도 있고, 하향링크 구성 반송파와 상향링크 구성 반송파가 연결 설정되어 하나의 서빙 셀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상향링크 구성 반송파만으로는 서빙 셀이 구성되지 않는다.
구성 반송파의 활성화/비활성화는 곧 서빙 셀의 활성화/비활성화의 개념과 동등하다. 예를 들어, 서빙 셀1이 DL CC1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서빙 셀1의 활성화는 DL CC1의 활성화를 의미한다. 만약, 서빙 셀2가 DL CC2와 UL CC2가 연결 설정되어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서빙 셀2의 활성화는 DL CC2와 UL CC2의 활성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각 구성 반송파는 서빙 셀(cell)에 대응될 수 있다.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간에 집성되는 구성 반송파들의 수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하향링크 CC 수와 상향링크 CC 수가 동일한 경우를 대칭적(symmetric) 집성이라고 하고, 그 수가 다른 경우를 비대칭적(asymmetric) 집성이라고 한다. 또한, CC들의 크기(즉 대역폭)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70MHz 대역의 구성을 위해 5개의 CC들이 사용된다고 할 때, 5MHz CC(carrier #0) + 20MHz CC(carrier #1) + 20MHz CC(carrier #2) + 20MHz CC(carrier #3) + 5MHz CC(carrier #4)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파 집성 시스템에서는 단일 반송파 시스템과 달리 복수의 구성 반송파(component carrier, CC), 즉, 복수의 서빙 셀을 지원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련의 특정한 목적을 위해 임의의 단말에게 구성되거나 설정되는 DL 및 UL 구성 반송파들 중에서 주 구성 반송파(primary CC; PCC) (또는 primary cell, P-cell) 또는 앵커 구성 반송파 (anchor CC) (또는 anchor cell)가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항상 RRC 연결 설정 상의 구성 또는 재구성 정보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DL PCC (또는 DL P-cell)이 설정될 수 있고 다른 일례로서 임의의 단말이 상향링크로 전송해야 하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uplink control information, UCI)를 전송하기 위한 PUCCH를 전송하는 UL CC로서 UL PCC (또는 UL P-cell)이 설정될 수 있다.
본 DL PCC(P-cell) 및 UL PCC(P-cell)는 단말 별로 특정하게 하나를 설정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또는, CC가 단말에게 매우 많이 설정되는 경우나 복수 기지국으로부터 CC를 설정 받을 수 있는 상황에서는 임의의 단말에게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 각각 하나이거나 복수 개의 DL PCC(P-cell) 및/또는 UL PCC(P-cell)이 설정될 수도 있다. 일단 DL PCC(P-cell)과 UL PCC(P-cell)의 연계(linkage)는 임의로 기지국이 단말 특정하게 구성시킬 수 있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도 4는 LTE 및 NR에서 다중 연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ual connectivity (DC) 기술을 사용하면 단말은 두개의 기지국을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예시 도면에서는 단말 (405)이 LTE 기술을 사용하는 매크로 기지국 (400)과 NR 기술을 사용하는 스몰셀 기지국 (410)를 동시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를 EN-DC 라 칭한다 (E-UTRAN-NR Dual Connectivity) 매크로 기지국은 MeNB (Master E-UTRAN NodeB)로 칭하며, 스몰셀 기지국은 SgNB (Secondary 5G NodeB)로 칭한다. MeNB의 서비스 영역 내에 여러 개의 스몰 셀이 존재할 수 있으며, MeNB은 상기 SgNB들과 유선 backhaul 망 (415)로 연결되어 있다. MeNB로부터 제공받는 서빙 셀의 집합을 MCG (Master Cell Group) (420)라고 하며, MCG에서 반드시 하나의 서빙 셀은 connection establishment, connection re-establishment, handover 등 기존 셀이 수행해왔던 기능들을 모두 가지는 PCell (primary Cell) (425) 이다. 또한 상기 PCell에서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PUCCH을 가진다. PCell 이외의 서빙 셀을 SCell (Secondary Cell) (2d-30)이라고 한다. 도 4에서는 MeNB가 하나의 SCell을, SgNB가 3 개의 SCell들을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SgNB가 제공하는 서빙 셀의 집합을 SCG (Secondary Cell Group) (440)이라고 칭한다. MeNB은 상기 단말이 두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SgNB에서 제공하는 서빙 셀들을 추가, 변경, 제거하는 명령을 SgNB에 내린다. 이러한 명령을 내리기 위해서, MeNB는 단말에게 서빙 셀 및 주변 셀들을 측정하도록 설정 (Configuration)할 수 있다. 단말은 설정 정보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MeNB에 보고해야 한다. SgNB이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MCG의 PCell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서빙 셀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PSCell (Primary SCell)이라고 칭한다. PSCell은 SCG의 서빙 셀 중, 하나로 정해지며, 상향링크 제어채널인 PUCCH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UCCH는 단말이 HARQ ACK/NACK 정보, CSI (Channel Status Information) 정보, SR (Scheduling Request) 등을 기지국에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설정 및 상향링크 종류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예시 1은 단말이 두 개의 서빙셀, 즉 PCell (500)과 SCell 한 개(505)를 설정받은 후, 기지국의 스케쥴링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전송방법 제약 및 RF 구조의 제약으로 인해 한 서빙셀에서 전술한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단말은 PUSCH 전송 시 PUCCH 정보를 내장하여 (embedded) 전송하는 상황이다.
이때, 상기 PUCCH 정보는 PCell에서 전송하거나, PCell로 전송하는 PUSCH가 없는 경우, SCell가운데 인덱스가 낮은 SCell로 전송한다. 전술한 PHR 메시지는 PUSCH의 일부로 전송이 되며, 이에 따라 본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각 서빙셀별 최대 전송 파워 (PCMAX,c)에서 PUSCH 전송 (510)(520)에 소모되는 전송파워를 뺀 파워헤드룸 값만을 보고하면 된다. 이를 Type 1 파워헤드룸이라 칭한다.
예시 2도 마찬가지로 단말이 두개의 서빙셀, 즉 PCell (525)과 SCell 한 개 (530)을 설정받은 후, 기지국의 스케쥴링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한 서빙셀에서 동시에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거나, 혹은 상기와 같이 동시전송이 가능한 상향링크 전송 기술을 사용하여, PUCCH와 PUSCH를 별도로 전송하는 상황이다. 이 때, PCell의 경우 (혹은 SCell에 PUCCH가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SCell도 동일), 단말은 PCell의 최대 전송 파워 (PCMAX,c)에서 PUSCH 전송 (540) 뿐만 아니라, PUCCH 전송 (535)에 소모되는 전송파까지 고려하여, 해당 PUSCH 전송과 PUCCH 전송값을 모두 뺀 파워헤드룸 값을 보고할 필요가 있다. 이를 Type 2 파워헤드룸이라 칭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중(multiple) PHR 을 위한 단말과 기지국간의 메시지 전송 방법의 순서도이다.
동작 600 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가상(virtual) 다중 PHR 의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다중 PHR 의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에 전송하는 UE 능력 조회(UECapabilityEnquiry)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UE 능력 조회(UECapabilityEnquiry) 메시지를 수신하면, 동작 600 에서 단말은 단말의 무선 액세스 능력과 관련된 UE 능력 정보들을 포함하는 UE capability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UE capability 메시지에는 다중 RAT 이중 접속(muti RAT dual connectivity, MR-DC) 또는 NR CA 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 밴드 조합 리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밴드 조합 리스트 정보는 대역 별 조합으로 정의되는 반송파 집합 관련 기능을 포함하는 CA-ParametersNR 정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은 단말이 실제 전송 여부와 무관하게 multiple PHR의 모든 entry 정보를 virtual PH로 전송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지국에 알리기 위하여, 단말이 기지국에 전송하는 UE capability 메시지에 CA-ParametersNR 를 포함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표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CA-ParametersNR 정보 요소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가상 다중 PHR 의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에 대응되는 virtual-multiplePowerHeadroomReport 라는 신규 parameter가 포함될 수 있고, 단말은 상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기지국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가상 다중 PHR 을 단말이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기지국에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규 파라미터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단말이 실제 전송과 무관하게 모두 virtual type으로 PHR을 전송하는 방법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optional하게 CA-ParametersNR 정보 요소에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파라미터의 필드는 1bit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 필드의 값이 1인경우 단말이 실제 전송과 무관하게 모두 virtual type으로 PHR을 전송하는 방법을 지원할 수 있고, 상기 파라미터 필드 값이 없는 경우에는 단말이 본 발명에서 지원하는 PHR 전송방법을 지원하지 않는다.
[표 1]
-- ASN1START
-- TAG-CA-PARAMETERSNR-START
CA-ParametersNR ::= SEQUENCE {
multipleTimingAdvances ENUMERATED {supported} OPTIONAL,
virtual-multiplePowerHeadroomReport ENUMERATED {supported} OPTIONAL,
parallelTxSRS-PUCCH-PUSCH ENUMERATED {supported} OPTIONAL,
parallelTxPRACH-SRS-PUCCH-PUSCH ENUMERATED {supported} OPTIONAL,
simultaneousRxTxInterBandCA ENUMERATED {supported} OPTIONAL,
simultaneousRxTxSUL ENUMERATED {supported} OPTIONAL,
diffNumerologyAcrossPUCCH-Group ENUMERATED {supported} OPTIONAL,
diffNumerologyWithinPUCCH-Group ENUMERATED {supported} OPTIONAL,
supportedNumberTAG ENUMERATED {n2, n3, n4} OPTIONAL,
...
}
...
-- TAG-CA-PARAMETERSNR-STOP
-- ASN1STOP
동작 605 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 능력 메시지에 기반하여, 동작 605 에서 이중 접속 또는 캐리어 집적과 관련된 설정 정보 및 PHR 설정 정보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중 접속 또는 캐리어 집적과 관련된 설정 정보 및 PHR 설정 정보는 RRC 재설정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에 포함되어 단말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PHR에 대한 파라미터를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정보요소(information element, IE)인 PHR 설정 정보(PHR-Config)는 Multiple PHR 전송과 관련하여, multiplePHR 파라미터 및 multiplePHRType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PHR(Power Headroom Report) 설정 정보(PHR-Config)에 Multiple PHR 전송과 관련하여 multiplePHR 파라미터 및 multiplePHRType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표 2]
PHR-Config ::=
SEQUENCE {
phr-PeriodicTimer
ENUMERATED {sf10, sf20, sf50, sf100, sf200,sf500, sf1000, infinity},
phr-ProhibitTimer
ENUMERATED {sf0, sf10, sf20, sf50, sf100,sf200, sf500, sf1000},
phr-Tx-PowerFactorChange
ENUMERATED {dB1, dB3, dB6, infinity},
multiplePHR
BOOLEAN,
multiplePHRType
ENUMERATED {legacy ,virtual},
phr-Type2SpCell
BOOLEAN,
phr-Type2OtherCell
BOOLEAN,
phr-ModeOtherCG
ENUMERATED {real, virtual}
}
상기 PHR-Config 에는 상기 표 2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PHR 보고를 위한 관련 periodicPHR-Timer, prohibitPHR-Timer, dl-PathlossChange(phr-Tx-PowerFactorChange)) 등의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eriodicPHR-Timer는 주기적으로 기지국에게 PHR 값을 보고하기 위해 설정하는 타이머이고, prohibitPHR-Timer는 빈번한 PHR보고를 막기 위해 설정하는 타이머이고, dl-PathlossChange(phr-Tx-PowerFactorChange) 값은 하향링크 채널의 수신변화가 상기 값 이상이 될 경우, 이에 따라 PHR을 보고하게끔하는 임계치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multiple PHR 파라미터는 multiple PHR 사용 여부를 지시한다.
예를 들면, Multiple PHR 전송은 3GPP NR 38.331의 PHR-Config에 존재하는 multiplePHR 파라미터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는데, multiplePHR 파라미터는 TS 38.321에 정의된 단일 엔트리 PHR MAC 제어 요소 또는 다중 엔트리 PHR MAC 제어 요소를 사용하여 전력 헤드룸을 보고해야 하는지를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ultiplePHR 파라미터가 True인 경우, 다중 엔트리 PHR MAC 제어 요소를 사용한 Multiple PHR 를 보고하는 것을 설정되는 것을 의미하고, fales인 경우는 Single Entry PHR MAC 제어 요소를 사용하여 PH을 보고하는 것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네트워크는 NR의 경우 MR-DC 및 UL CA의 경우 multiplePHR 파라미터의 필드를 true로 설정하고 다른 모든 경우에 이 필드를 false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multiplePHRType 파라미터는 단말의 multiple PHR 의 전송 방법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ultiplePHRType이 ‘legacy’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기존 규격대로 다중 PHR 을 보고하고, ‘virtual’로 설정된 경우 단말의 실제 전송여부와 관계없이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생성한 가상 타입 (virtual type)으로 다중 PHR 을 전송할 수 있다.
즉, multiplePHRType이 ‘legacy’로 설정된 경우 단말은 도 8에 도시된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사용할 수 있고, ‘virtual’로 설정된 경우 가상 PH 만을 포함하는 도 9 에 도시된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사용하여 다중 PHR을 전송할 수 있다.
동작 610 에서 단말은 PHR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PHR 트리거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설정받은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은 설정받은 각 기지국에 대해 하기의 조건에 따라 PHR 보고를 트리거링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하기의 조건은 TS 38.321 에 기재된 PHR의 트리거 조건에 해당한다.
-
phr-ProhibitTimer expires or has expired and the path loss has changed more than phr-Tx-PowerFactorChange dB for at least one activated Serving Cell of any MAC entity which is used as a pathloss reference since the last transmission of a PHR in this MAC entity when the MAC entity has UL resources for new transmission;
NOTE 1:
The path loss variation for one cell assessed above is between the pathloss measured at present time on the current pathloss reference and the pathloss measured at the transmission time of the last transmission of PHR on the pathloss reference in use at that time, irrespective of whether the pathloss reference has changed in between.
-
phr-PeriodicTimer expires;
-
upon configuration or reconfiguration of the power headroom reporting functionality by upper layers, which is not used to disable the function;
-
activation of an SCell of any MAC entity with configured uplink;
-
addition of the PSCell (i.e. PSCell is newly added or changed);
-
phr-ProhibitTimer expires or has expired, when the MAC entity has UL resources for new transmission, and the following is true for any of the activated Serving Cells of any MAC entity with configured uplink:
-
there are UL resources allocated for transmission or there is a PUCCH transmission on this cell, and the required power backoff due to power management (as allowed by P-MPRc as specified in TS 38.101-1 [14], TS 38.101-2 [15], and TS 38.101-3 [16]) for this cell has changed more than phr-Tx-PowerFactorChange dB since the last transmission of a PHR when the MAC entity had UL resources allocated for transmission or PUCCH transmission on this cell.
NOTE 2:
The MAC entity should avoid triggering a PHR when the required power backoff due to power management decreases only temporarily (e.g. for up to a few tens of milliseconds) and it should avoid reflecting such temporary decrease in the values of PCMAX,f,c/PH when a PHR is triggered by other triggering conditions.
-
prohibitPHR-Timer가 만료된 상태에서 하향링크 수신세기 변화가 기지국이 설정한 dl-PathlossChange dB 값 이상이 경우
-
주기적인 보고를 위해 기지국이 설정한 periodicPHR-Timer가 만료된 경우
-
PHR 보고가 최초 설정된 경우
-
상향링크가 포함된 SCell을 추가한 경우
-
이중연결 (dual connectivity)기술을 사용 시, 부기지국의 주셀 (PSCell)이 추가된 경우
동작 615 에서 단말은 다중 PHR MAC CE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MR-DC 또는 상향링크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각각의 기지국에서 상기의 PHR 트리거링 조건이 발생한 경우, 단말은 모든 기지국의 현재 설정되고 활성화되어 있는 모든 서빙셀에 대해 PH를 계산하여, 다중 PHR MAC CE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다중 엔트리 PHR MAC 제어 요소는 복수 개의 서빙 셀들에 대한 PH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 PHR MAC CE 포맷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다중 PHR MAC CE는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와 제 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HR 정보에 포함된 multiplePHR가 TRUE 이고, multiplePHRType 가 legacy 인 경우에는 단말의 실제 전송 여부를 고려하여 V 필드값을 결정하여 도 8에서 도시한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PHR 정보에 포함된 multiplePHR가 TRUE 이고, multiplePHRType 가 virtual 인 경우에는 단말의 실제 전송여부와 무관하게 V 필드를 모두 1 로 설정하여 모두 가상 PH로 산출한 도 9 에서 도시한 제 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9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은 단말의 실제 전송여부를 고려하여 PH가 산출되는 종래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이고, 제 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단말의 실제 전송여부와 무관하게 모두 가상 PH로 산출한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이다.
동작 622에서 단말은 다중 PHR MAC CE를 포함하는 MAC PDU를 생성하고 동작 625 에서 기지국에 MAC PDU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MAC PDU를 생성해서 상기 PHR MAC CE를 MAC PDU에 다중화하고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빙 셀 별 상기 PH 계산 시 적용했던 pathloss, PCMAX, P-MPR, 실제 전송 여부 등을 기억한다. 예를 들면, MAC PDU에 대해서는 도 7 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동작 630 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MAC PDU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지국은 MAC PDU 를 통하여 PHR MAC CE를 수신하면, 서빙 셀 별 PH, P-MPR 적용 여부, 그리고 상기 PH의 변화가 P-MPR의 변화에 기인한 것인지 등을 판단하고, 이들을 고려해서 단말에게 상향링크 전송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력 보고를 위한 MAC PDU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MAC PDU는 적어도 하나의 MAC 제어요소 (MAC-CE), 적어도 하나의 MAC SDU(Service Data Unit) 및 패딩(padding)을 포함하고, 각 MAC SDU 또는 MAC CE 별로 부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해더들을 포함한다.
MAC 제어요소는 MAC 계층이 생성하는 제어메시지이다. MAC SDU는 RLC(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 전달된 RLC PDU와 같다. 패딩(padding)은 MAC PDU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도록 첨가되는 소정개수의 비트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서브헤더(H)는 R, F, LCID, L 이렇게 4개의 필드가 있는데, 각 서브헤더의 필드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 R (1 bit): 예약된 필드(reserved field).
- LCID (5 bit): 논리 채널(logical channel) ID 필드. MAC SDU가 속하는 논리채널 또는 MAC CE의 타입을 지시.
- F (1 bit): 포맷 필드(format field). 다음 L 필드가 7비트 또는 15비트인지 지시.
- L (7 or 15 bit): 길이 필드(length field). 서브헤더에 대응하는 MAC CE 또는 MAC SDU의 길이 지시.
F 및 L 필드는 고정된 크기의 MAC CE에 대응하는 MAC 서브헤더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즉, 상기 LCID 필드는 MAC SDU에 대응하는 논리채널을 식별하거나, MAC 제어요소 또는 패딩의 종류(type)를 식별하는 식별필드로서, 5비트일 수 있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중 RAT 간 이중 접속 또는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이 지원되는 즉, 여러 개의 캐리어가 집적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서빙 셀에 대한 PH을 보고해야할 경우, 이들을 하나의 PHR에 모아서 전송하는 것이 오버헤드를 줄이는 측면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면, 단말이 제1 기지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셀 및 제 2 기지국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셀들과 통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집적된 서빙 셀들에 대한 복수의 PH을 보고해야할 경우, 여러 셀의 PH 정보 및 PCMAX,c 정보 등을 함께 보고할 수 있도록 이들을 하나의 PHR에 모아서 Multiple PHR MAC CE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 에서 도시한 Multiple PHR MAC CE는 종래의 일반적인 싱글 PHR MAC CE와 달리 여러 셀의 PH 정보 및 PCMAX,c 정보 등을 함께 보고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도 8에 도시된 C field 정보 (800) 은 집적된 서빙 셀들 중, 어떤 서빙 셀의 PH가 해당 PHR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지시하는 비트맵이다. 비트맵의 각 비트는 SCell index와 일치되며, 하나의 SCell과 대응된다.
즉, Multiple PHR 포맷에는 각 SCell에 대응하는 비트의 조합이 바이트 (800)에 포함된다. 상기 각 비트는 상기 포맷에 어떤 SCell의 PH 정보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비트의 값이 1로 표기되면, 해당 비트에 대응하는 SCell의 PH 정보가 상기 PHR 포맷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바이트 (800) 이후, 하나 이상의 바이트는 PCell 및 SCell의 PH 정보를 표기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하나의 서빙 셀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PH 정보가 포함되는 바이트 (820, 830,835)와 선택적으로 단말 전송 전력 정보(PCMAX)를 포함하는 바이트 (825, 840)가 생성된다. 상기 PH 정보는 PH 필드에 표기되며, 상기 필드는 6 비트로 구성된다. 상기 PH가 포함되는 바이트에는 PH 필드 외에 P 필드(805)와 V 필드 (810) 가 포함된다.
P 필드(805)는 무선상 전력 제어 요인이 아닌 규정, 규칙에 따라 제한된 단말 송신 전력이 PH 정보에 영향을 미쳤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이용한다.
V 필드(810)는 실제 전송이 발생하지 않아 기정의된 파리미터를 대입하여 PH 정보가 생성된 경우를 지시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V 필드가 1로 설정되면, 기정의된 파라미터가 사용된 것을 의미하여, 이때, 또다른 바이트에 표기되는 단말 전송 전력 정보는 생략된다.
PH 필드가 있는 바이트 다음에 상기 PH 필드의 정보에 대응하는 단말 전송 전력 정보를 포함하는 바이트가 따른다. 상기 바이트에는 단말 전송 전력 정보를 표기하기 위한 Pcmax 필드가 포함되며, 상기 필드는 6 비트로 구성된다. 상기 바이트의 남은 2 비트인 R (815)는 어떤 정보를 표기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아닌 reserved bit이다.
PCell과 하나 이상의 SCell의 PH 정보가 하나의 PHR 포맷에 포함되는 경우, PCell에 대응하는 정보가 먼저 수납되며, 이 후, SCell index 오름차순으로 SCell에 대응하는 PH 정보가 수납된다.
예를 들면, 연속된 바이트에서 각 케리어의 PH 정보는 PCell의 Type 1 PH (760)와 PCMAX(765), 가장 낮은 인덱스를 가지는 SCell의 Type X PH (830), 2번째로 낮은 인덱스를 가지는 SCell의 Type X PH(835) 와 PCMAX(840), 3번째로 낮은 인덱스를 가지는 SCell의 Type X PH 와 PCMAX, 4번째로 낮은 인덱스를 가지는 SCell의 Type X PH 와 PCMAX의 오름차순으로 구성된다.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PCell의 경우엔 PUCCH가 존재하며, 네트워크와 단말 능력에 따라 PUSCH와 PUCCH가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PUSCH와 PUCCH가 동시에 사용된다면, PH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최대 전송 전력량에서 PUSCH에 할당된 송신 전력량과 PUCCH에 할당된 송신 전력량을 모두 제외해줘야 한다. PUSCH와 PUCCH가 동시에 사용될 때에는 기지국이 단말에게 PUCCH configuration을 통해 이를 미리 지시한다.
PUSCH가 단독으로 전송될 때의 PH를 제공해주기 위해, Type 1 PH 를 이용하고, PUSCH와 함께 PUCCH와 함께 전송될 때의 PH를 제공해주기 위해 Type 2 PH 가 이용된다.
Type 1 PH는 Pcmax - PPUSCH로 정의된다. 여기서, PPUSCH는 PUSCH에 할당된 전력량이다. Type 2 PH는 Pcmax - PPUSCH - PPUCCH로 정의된다. 여기서 PPUCCH는 PUCCH에 할당된 전력량이다. PUCCH configuration에서 PUSCH와 PUCCH 동시 사용에 대해 지시하지 않는다면 Type 1 PH만을 이용하면 된다. 그렇지 않다면, Type 1 PH와 Type 2 PH가 함께 이용된다.
Type 2 PH는 carrier aggregation (CA) 시스템에서 PCell에서만 적용되며, SCell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PUCCH configuration에서 PUSCH와 PUCCH 동시 사용에 대해 지시한다면, PCell에 대한 PH로 Type 1 PH와 Type 2 PH가 모두 포함된다. Type 2 PH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Type 1 PH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고려해서 PCell의 PH을 앞 부분에 배치한다. SCell의 경우엔 ul-Configuration이 설정되면, Type 3 PH, 그렇지 않다면, Type 1 PH가 적용된다. 따라서, 현재 PHR 포맷에서, SCell의 경우에는 Type 1 PH 혹은 Type 3 PH 중 하나의 PH만 보고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설정된 상향링크에 PUSCH가 설정되면, Type 1 PH, 그렇지 않고, SRS만 설정되면 Type 3 PH, PUSCH와 함께 PUCCH와 함께 전송되면, Type 2 PH 가 이용된다.
단말은 아래 수식을 이용해서 파워 헤드룸을 산출한다. 해당 수식은 PUSCH만이 전송될 때를 가정한다.
수식 (1)
Serving cell c 에서 i번째 subframe의 PH(i)는 최대 상향링크 송신 전력 , 자원 블록의 수 , MCS로부터 유도되는 power offset , 경로 손실 , (accumulated TPC commands)에 의해 계산된다. 상기 수식에서 는 서빙 셀 c에 대해서 경로 손실을 제공해주도록 설정되어 있는 셀의 경로 손실이다. 임의의 서빙 셀의 상향링크 전송 출력 결정에 사용되는 경로 손실은 해당 셀의 순방향 채널의 경로 손실이거나, 혹은 다른 셀의 순방향 채널의 경로 손실이다. 이 중 어떤 경로 손실을 사용할지는 호 설정 과정에서 기지국이 선택해서 단말에게 알려준다. 상기 수식에서 는 서빙 셀 c의 전송 출력 조정 명령 (Transmission Power Control)의 누적값이다. 는 상위 계층에서 파라메터로서, cell-specific 및 UE-specific 값의 합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는 semi-persistent scheduling, dynamic scheduling, random access response등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전송 종류에 따라 다른 값이 적용된다. αc는 상위 계층에서 제공되는 3-bit cell-specific 값으로 상향링크 전송 출력 계산 시 경로 손실에 적용하는 가중치(즉 이 값이 높을수록 경로 손실이 상향링크 전송 출력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이며 PUSCH 전송 종류에 따라 적용할 수 값이 제한된다. j 값은 PUSCH의 종류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j=0일 때에는 semi-persistent scheduling, j=1일 때에는 dynamic scheduling, j=2일 때에는 random access response을 각각 나타낸다. 위 수식 (1)에서, 만약 특정 서빙 셀에서 PUSCH 전송이 없다면, 와 은 정의에 따라 위의 공식에 적용할 수 없을 것이다.
실제 PUSCH 전송이 없더라도, 기지국은 특정 상향링크에서의 경로 손실 정보를 얻기 위해, PH을 트리거 시킬 수 있다. 특정 서빙 셀에 대해, PHR이 트리거 되면, 단말은 PUSCH 전송 여부에 따라 PH 값 산출 방법을 결정한다. 해당 서빙 셀에 대해 PUSCH 전송이 있다면, 종래의 기술대로, 수식 (1)을 이용하여, PH을 계산한다. 만약 해당 서빙 셀에서 PUSCH 전송이 없다면, 할당된 전송 자원이 없음을 의미하므로, 와 로 어떤 값을 사용해야 할지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기지국과 단말이 동일한 와 를 사용해서 PH을 산출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는 예를 들어 단말과 기지국이 PUSCH 전송이 없는 경우에 PH 산출을 위해서 사용할 전송 포맷 (전송 자원의 양과 MCS 레벨)을 정해두는 것으로 해결 가능하다. 만약 이러한 기준(reference) 전송 포맷으로 RB 1개와 가장 낮은 MCS 레벨을 가정한다면 와 은 각각 0이 되며 수식 (1)에서 빠지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즉, 실제 해당 서빙 셀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을 어떤 값으로 정할 것인지 판단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가상 전송에 대해, 가상 을 정의하고 적용한다. 는 해당 셀에서 허용된 최대 전송 출력인 와 단말의 내재적인 최대 전송 출력인 를 이용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는 인 관계를 가지고 결정된다. 이때, zero power back-off을 고려한다면, 이 되어, 가 된다. 이때, 는 와 중 작은 값이다. 은 cell-specific한 최대 허용 전송 전력이며, Ppowerclass은 UE-specific 한 최대 허용 전송 전력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C field 정보는 PHR 정보를 전달하는 다른 기지국을 구분하는 데 이용될 수 있고, V 필드(virtual) 값은 실제 해당 기지국으로의 상향링크 (uplink) 전송이 있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실제 상향링크 전송이 있었다면 V 필드 값은 0으로 설정(V=0) 으로 설정되고, 그렇지 않다면 V 필드 값은 1로 설정(V=1)로 설정되고 기준(reference) 전송 포맷으로 RB 1을 전송했을 경우를 가정하여 계산된 PH을 반영한다. 이 때, V=1로 설정되고 기준(reference) 전송 포맷으로 RB 1을 전송했을 경우를 가정하여 계산된 PH를 가상 PH 라고 하고, 가상 PH를 전송하는 것은 가상 타입(Virtual type) 으로 PHR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파워 헤드룸 (power headroom, PH) 정보는, 단말의 최대 송신 전력(power)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을 포함한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 남아있는 전력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고, 데시벨 (dB) 단위로 변환되는 인덱스(index) 값이 사용된다.
따라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PH 값을 통해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알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면서 효율적으로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Multiple PHR을 전송 받은 기지국은 각 기지국의 PH 정보를 분석하여 단말의 각 기지국으로의 송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PH 정보는 상대적인 값으로 할당되는 자원 크기에 따라서 가변되므로, 단순히 몇 dB의 power가 남아있다고만 알려주는 본래 PH 정보만으로는 불충분하고, 몇 RB 전송 시 몇 dB의 power가 남아있다는 정보까지 필요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PH 정보가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해당 시점에 실제 어떤 채널에서 몇 RB가 할당되었는지 정보까지 필요로 하므로, 단말로부터 Multiple PHR을 전송 받은 기지국은 V 필드의 값이 0로 설정된 (실제로 uplink data를 전송한) 다른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시점에 몇 RB의 자원을 할당했는지 또는 제어(Control) 채널로의 할당이 있었는지 등 추가적인 정보를 필요로 한다.
즉, 도 8 에서 도시한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에 따르면 기지국에서 다중(Multiple)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 사용 시 단말의 전력 제어를 위해 실제 데이터 채널 또는 제어 채널의 전송 여부에 따라 기지국 간 스케줄링 정보 교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8 에서 도시한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에 따르면 기지국에서는 V 필드가 0으로 설정된 다중 PHR을 받은 모든 기지국과 RB 크기 등의 스케줄링 정보를 교환해야 하며, 지원하는 CA 기지국이 많아질수록 기지국 간 정보 교환의 양도 비례하여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향링크 CA 환경에서 단말이 다중 PHR을 전송하더라도 기지국 간의 스케줄링 정보 교환 없이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및 할당 자원 크기 조절 등 효과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단말의 실제 전송 여부와 무관하게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PH를 모두 가상 PH로 생성하여,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하는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제안하고, 이를 도 9 에 도시된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이라 칭할 수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중 RAT 이중 접속 또는 상향링크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집적된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다중(Multiple) 전력 헤드룸 보고(power headroom report,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가상 (Virtual) PH 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9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타입의 다중 PHR MAC CE는 단말의 실제 전송여부와 무관하게 V 필드(910)가 모두 1 로 설정되므로, 기준(reference) 전송 포맷으로 RB 1을 전송했을 경우를 가정하여 계산된 가상 PH (920, 925, 930)을 포함하게 된다.
도 8 에 도시된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은 단말의 전력 제어를 위해 실제 데이터 채널 또는 제어 채널의 전송 여부에 따라 기지국 간 스케줄링 정보 교환이 필요하지만, 도 9에 도시된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은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생성한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이므로 기지국 간의 스케줄링 정보의 교환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중 RAT 이중 접속 또는 상향링크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하는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전송함으로써, 기지국 간 스케줄링 정보 교환 없이 1 RB 전송을 가정하여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및 할당 자원 크기 조절 등의 효과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다중(multiple) PH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동작 1000 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PHR 설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중 PHR 타입 정보는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다중 PHR 타입 정보는 표 1에 기재된 multiplePHRType 파라미터에 대응된다.
동작 1010 에서 단말은 동작 1000에서 수신한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빙 셀의 각 서빙 셀에 대한 파워 헤드룸 (PH) 정보를 생성할 때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이용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이용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는 다중 PHR MAC CE 포맷의 V 필드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각 서빙 셀에 대응되는 1 비트 지시자이다.
다중 PHR 타입 정보가 도 8에서 도시한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사용하는 것을 지시하는 것이면, 단말은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에 포함된 V 필드의 값을 서빙 셀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빙 셀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이 있는 경우 해당 서빙 셀에 대응되는 V 필드의 값은 0으로 설정되고, 전송이 없는 경우 V 필드의 값은 0로 설정될 수 있다.
다중 PHR 타입 정보가 도 9에서 도시한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것이면, 단말은 서빙 셀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에 포함된 V 필드의 값을 모두 1로 설정할 수 있다.
동작 1020 에서 단말은 동작 1010 에서 결정된 지시자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다중 PH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은 각 서빙 셀에 대응되는 지시자의 값이 1 인 경우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에 기반하여 서빙 셀의 가상 PH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0 인 경우 상기 단말이 각 서빙 셀에 실제 상향링크를 전송할때 사용하는 값을 기반으로 서빙 셀의 상기 PH이 생성할 수 있다.
복수의 서빙 셀과 집적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은 각 서빙 셀에 대응되는 지시자에 의하여 결정된 PH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여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다중 PH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중 PH 정보는 도 8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다중 PHR MAC CE 포맷에 포함되는 정보이다.
동작 1030 에서 단말은 동작 1020 에서 생성된 다중 PH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생성된 다중 PH 정보는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이용하여 전달될 수 있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에 기반하여 다중 PH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동작 1100 에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PHR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동작 1105 에서 수신된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확인한다.
동작 1105 에서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동작 1110 에서 각 서빙 셀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110 에서 서빙 셀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이 있는 경우 동작 1115 에서 단말은 상기 서빙 셀에 대응되는 지사자의 값을 1으로 설정하고, 실제 상향링크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값을 기반으로 상기 서빙 셀에 대한 PH 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110 에서 서빙 셀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이 없는 경우 동작 1120 에서 단말은 상기 서빙 셀에 대응되는 지사자의 값을 1로 설정하고,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셀에 대한 가상 PH 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125 에서 단말은 동작 1115 또는 동작 1120 에서 생성된 각 서빙 셀에 대한 PH를 모두 포함하는 다중 PH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중 PH 정보는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동작 1105 에서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동작 1130 에서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시자들의 값을 모두 1로 설정하고, 동작 1140 에서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가상 다중 PH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상 다중 PH 정보는 제 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의 형태로 생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다중 PH는 모두 가상 PH 인 것이 특징이다. 가상 다중 PH 정보는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생성한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 즉, 도 9에 도시된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에 포함되는 정보이다.
동작 1140 에서 단말은 다중 PH 정보 또는 가상 다중 PH 정보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작 1105 에서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동작 1125 에서 생성된 다중 PH 정보를 동작 1140 에서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105 에서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동작 1135 에서 생성된 다중 PH 정보를 동작 1140 에서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다중 PH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동작 1200 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가상 다중 PHR 의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의 가상 다중 PHR 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는 단말이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실제 상향링크 전송과 무관하게,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생성한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이용하여 다중 PHR를 전송할 수 있는 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상 다중 PHR 의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단말이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말 능력 메시지를 통해서 수신될 수 있다. 가상 다중 PHR 의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는 표2 에 기재된 virtual-multiplePowerHeadroomReport 파라미터에 대응된다.
동작 1205에서 기지국은 단말에게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PHR 설정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HR 설정 정보는 이중 접속 또는 캐리어 집적과 관련된 설정 정보와 함께 RRC 재설정 메시지로 전송될 수 있다.
다중 PHR 타입 정보는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이다. 다중 PHR 타입 정보는 표 1에 기재된 multiplePHRType 파라미터에 대응된다.
동작 1210 에서 기지국은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 정보를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중 PH 정보는 단말에서 생성된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또는 제 2 타입의 다중 PHR MAC CE를 포함하는 MAC PDU를 통해서 전달될 수 있다.
다중 PHR MAC CE 포맷은 각 서빙 셀에 대응되는 V 필드를 포함하는데, V 필드는 상기 서빙 셀에 대응되는 PH 정보를 생성할 때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이용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위한 것이다.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은 서빙 셀에 대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V 필드 값을 포함한다.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은 서빙 셀에 대한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과 무관하게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하여 V 필드 값을 미리 결정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에 포함된 복수의 V 필드 값은 모두 1로 설정될 수 있고, 다중 PH 정보는 모두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에 기반하여 생성된 가상 다중 PH 정보가 될 수 있다.
동작 1220 에서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다중 PH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이 도 8 에 도시된 제1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을 통하여 다중 PH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단말의 전력 제어를 위해 실제 데이터 채널 또는 제어 채널의 전송 여부에 따라 기지국 간 스케줄링 정보 교환이 필요하다.
한편, 기지국이 도 9에 도시된 제2 타입의 다중 PHR MAC CE 포맷, 즉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생성된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을 통하여 다중 PH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기지국 간의 스케줄링 정보의 교환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중 RAT 이중 접속 또는 상향링크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하는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전송함으로써, 기지국 간 스케줄링 정보 교환 없이 1 RB 전송을 가정하여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및 할당 자원 크기 조절 등의 효과적인 스케줄링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 (1305), 제어부 (1310), 저장부 (13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31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305)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305)는 예를 들어, 기지국으로부터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기준 신호 또는 제어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3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31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RAT DC 또는 상향링크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실제 전송여부와 관계없이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하는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전송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315)는 상기 송수신부 (1305)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31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 (1315)는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 전송과 연관된 미리 정의된 기준 전송 포맷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4 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기지국은 송수신부 (1405), 제어부 (1410), 저장부 (1415)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1410)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405)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405)는 예를 들어, 단말로 시스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 기준 신호 또는 제어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 (1410)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41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 RAT DC 또는 상향링크 CA를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실제 전송여부와 관계없이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R의 모든 엔트리 정보를 모두 가상 (Virtual) PH 로 하는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을 수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415)는 상기 송수신부 (1405)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41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 (1415)는 가상 다중 PHR MAC CE 포맷 전송과 연관된 미리 정의된 기준 전송 포맷 관련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 또는 B",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또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보조 기지국 또는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령이 프로세서(예: 장치 도면의 제어부(1310, 141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상기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1300: 단말
1400: 기지국
1400: 기지국
Claims (20)
-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다중(multi) 파워 헤드룸 보고 (power headroom report, PHR)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PHR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빙 셀의 각 서빙 셀에 대한 파워 헤드룸 (PH) 정보를 생성할 때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이용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다중 PH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중 PH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는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각 서빙 셀에 대응되는 1비트 지시자로써,
상기 지시자의 값이 1 인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셀의 가상 PH이 생성되고, 0 인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빙 셀에 실제 상향링크를 전송할때 사용하는 값을 기반으로 상기 서빙 셀의 상기 PH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지시하면, 상기 지시자의 값은 상기 서빙 셀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면, 상기 지시자의 값은 미리 정의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서빙 셀에 대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빙 셀에 대하여 상향링크 전송이 있는 경우 상기 지시자의 값을 0으로 설정하고, 상향링크 전송이 없는 경우 상기 지시자의 값을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하는 경우, 상기 복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시자의 값은 모두 1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은 상기 단말의 상기 서빙 셀에 대한 실제 상향링크 전송 여부와 무관하게 미리 정의된 단위 자원 블록의 상향링크 전송을 가정한 것인,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가상 다중 PHR 의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메시지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다중(multi) 파워 헤드룸 정보(power headroom, PH)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에게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PHR 설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다중 PH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는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이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복수의 서빙 셀의 각 서빙 셀에 대한 파워 헤드룸 (PH) 정보를 생성할 때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이용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결정될 수 있고, 상기 결정된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PH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수신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각 서빙 셀에 대응되는 1비트 지시자로써,
상기 지시자의 값이 1 인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셀의 가상 PH이 생성되고, 0 인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빙 셀에 실제 상향링크를 전송할때 사용하는 값을 기반으로 상기 서빙 셀의 상기 PH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수신 방법. -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지시하면, 상기 지시자의 값은 상기 서빙 셀에 대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면, 상기 지시자의 값은 미리 정의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수신 방법.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경우, 상기 단말에서 상기 서빙 셀에 대하여 상향링크 전송이 있는 경우 상기 지시자의 값을 0으로 설정하고, 상향링크 전송이 없는 경우 상기 지시자의 값을 1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수신 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하는 경우, 상기 복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복수의 지시자의 값은 모두 1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수신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은 상기 단말의 상기 서빙 셀에 대한 실제 상향링크 전송 여부와 무관하게 미리 정의된 단위 자원 블록의 상향링크 전송을 가정한 것인, 파워 헤드룸 정보 수신 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가상 다중 PHR 의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수신 방법. -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multi) 파워 헤드룸 보고 (power headroom report, PHR) 장치에 있어서,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PHR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빙 셀의 각 서빙 셀에 대한 파워 헤드룸 (PH) 정보를 생성할 때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이용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를 결정하고, 상기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빙 셀에 대한 다중 PH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다중 PH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는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자는 상기 각 서빙 셀에 대응되는 1비트 지시자로써,
상기 지시자의 값이 1 인 경우 상기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에 기반하여 상기 서빙 셀의 가상 PH이 생성되고, 0 인 경우 상기 단말이 상기 서빙 셀에 실제 상향링크를 전송할때 사용하는 값을 기반으로 상기 서빙 셀의 상기 PH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장치.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지시하면, 상기 지시자의 값은 상기 서빙 셀에 대한 상향링크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면, 상기 지시자의 값은 미리 정의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가상 다중 PHR 의 지원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단말 능력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장치.
- 상향링크 반송파 결합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다중(multi) 파워 헤드룸 정보(power headroom, PH)를 수신하는 장치에 있어서,
단말과 통신하기 위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가 단말에게 다중 PHR 타입 정보를 포함하는 PHR 설정 정보를 전송하고, 복수의 서빙 셀에 대응되는 다중 PH 정보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신한 다중 PH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는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또는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는 정보이고,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에서 복수의 서빙 셀의 각 서빙 셀에 대한 파워 헤드룸 (PH) 정보를 생성할 때 미리 정의된 전송 포맷을 이용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결정될 수 있고, 상기 결정된 지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다중 PH 정보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수신 장치.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1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 지시하면, 상기 지시자의 값은 상기 서빙 셀에 대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전송 여부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다중 PHR 타입 정보가 상기 제2 타입의 다중 MAC CE 포맷을 지시하면, 상기 지시자의 값은 미리 정의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헤드룸 정보 수신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600A KR20210013864A (ko) | 2019-07-29 | 2019-07-29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US16/934,462 US11272462B2 (en) | 2019-07-29 | 2020-07-21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ower headroom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600A KR20210013864A (ko) | 2019-07-29 | 2019-07-29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3864A true KR20210013864A (ko) | 2021-02-08 |
Family
ID=74258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1600A Pending KR20210013864A (ko) | 2019-07-29 | 2019-07-29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272462B2 (ko) |
KR (1) | KR2021001386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73253A1 (ko) * | 2021-02-10 | 2022-08-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2500493B1 (ko) * | 2021-10-21 | 2023-02-16 | 주식회사 블랙핀 |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파워헤드룸설정정보를 이용해서 파워헤드룸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17832B (zh) * | 2019-07-18 | 2022-03-0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信息处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
EP4011133A4 (en) * | 2019-08-07 | 2023-05-03 | ZTE Corporation | METHODS, DEVICE AND SYSTEMS FOR DETERMINING A POWER RESERVE FOR AN UPLINK TRANSMISSION |
CN111279758B (zh) * | 2020-01-19 | 2023-09-2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上行数据传输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
US11310815B2 (en) * | 2020-07-14 | 2022-04-19 |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ervice over multiple uplinks |
CN116325609A (zh) * | 2020-10-13 | 2023-06-23 | 苹果公司 | 用于pucch组的ue能力设计 |
CN117501758A (zh) * | 2021-03-29 | 2024-02-02 | 欧芬诺有限责任公司 | 多数据调度中的功率余量报告 |
EP4241504A4 (en) * | 2021-04-01 | 2024-04-17 | ZTE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UPLINK TRANSMISSION IN SINGLE DCI-BASED MULTI-TRP OPERATION |
CN115333700B (zh) * | 2021-05-11 | 2025-04-08 | 华为技术有限公司 | 载波聚合方法、装置及系统 |
US11849409B2 (en) | 2021-07-30 | 2023-12-19 | Qualcomm Incorporated | Techniques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for multiple uplink shared channel repetitions |
CN117917135A (zh) * | 2021-08-06 | 2024-04-19 | 苹果公司 | 用于在混合流量中进行功率控制和波束选择的系统、方法和设备 |
CN115915107A (zh) * | 2021-08-06 | 2023-04-04 | 华为技术有限公司 | 通信方法和通信装置 |
CN119212059A (zh) * | 2024-11-22 | 2024-12-27 | 深圳友讯达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应用于双模通信发送功率自动控制的方法及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42529B1 (en) | 2013-09-04 | 2020-04-01 | LG Electronic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uplink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JP6259083B2 (ja) * | 2013-12-20 | 2018-01-10 |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 パワーヘッドルームの報告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
WO2015152589A1 (ko) | 2014-04-03 | 2015-10-0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단말과 기지국 간 이중 연결 상황에서의 잉여전력보고 전송 방법 및 단말 |
US9749970B2 (en) | 2015-02-27 | 2017-08-29 | Qualcomm Incorporated | Power control and power headroom for component carrier |
EP3313129B1 (en) | 2016-10-21 | 2022-03-09 | ASUSTek Computer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headroom report for beam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CN108064078B (zh) | 2016-11-08 | 2021-09-28 |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 通信系统中的触发功率余量回报用于波束运作的方法与设备 |
US10834687B2 (en) | 2016-11-21 | 2020-11-10 | Qualcomm Incorporated | Power headroom reporting for systems with multipl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
-
2019
- 2019-07-29 KR KR1020190091600A patent/KR20210013864A/ko active Pending
-
2020
- 2020-07-21 US US16/934,462 patent/US11272462B2/en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73253A1 (ko) * | 2021-02-10 | 2022-08-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KR102500493B1 (ko) * | 2021-10-21 | 2023-02-16 | 주식회사 블랙핀 |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파워헤드룸설정정보를 이용해서 파워헤드룸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
WO2023068599A1 (ko) * | 2021-10-21 | 2023-04-27 | 주식회사 블랙핀 |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복수의 파워헤드룸설정정보를 이용해서 파워헤드룸을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
US11832331B2 (en) | 2021-10-21 | 2023-11-28 | Blackpin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report by RRC_inactive state UE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12069761B2 (en) | 2021-10-21 | 2024-08-20 | Blackpin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power headroom report by RRC_INACTIVE state UE i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10037481A1 (en) | 2021-02-04 |
US11272462B2 (en) | 2022-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10013864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 |
KR102394123B1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스케쥴링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
US11844087B2 (en) | Efficient system information request method and apparatus of terminal in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US1144540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11290967B2 (en) | Method for triggering power headroom reporting in a dual connectivity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 |
KR102638627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수행 시 설정된 상향링크 데이터의 재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2577085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 |
CN113115359B (zh) | 在移动通信系统中的终端及其执行的方法 | |
EP435862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deactivating cells with scalable transmission time interval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cell aggregation | |
KR102525923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2451234B1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전송시간단위를 갖는 셀 병합 시 셀 활성화 및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 |
EP401459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ower backoff report while performing power headroom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24025917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nd reactivating scell considering currently activated bandwidth part and bandwidth part configuration informa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CN113170342B (zh) | 下一代移动通信系统中动态地配置信道损耗测量的方法和装置 | |
KR102768303B1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KR20230018045A (ko)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송수신 포인트를 위한 파워 헤드룸 보고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
US20230089996A1 (en) |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230020339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신호 측정 및 보고 방법 및 장치 | |
KR20220115465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US2023034538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ower headroom report for pusch retransmission using multiple transmission reception points in new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210056197A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파워헤드룸 보고 시 파워백오프 보고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078140A (ko)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손실 측정을 동적으로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055471A (ko)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시에 여러 개의 pucch 자원과 연관된 빔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055555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설정 방법 및 장치 | |
KR20200130050A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관리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7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7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