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894A - 전기 특성을 도출하는 시스템 및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 - Google Patents
전기 특성을 도출하는 시스템 및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2894A KR20210012894A KR1020200062050A KR20200062050A KR20210012894A KR 20210012894 A KR20210012894 A KR 20210012894A KR 1020200062050 A KR1020200062050 A KR 1020200062050A KR 20200062050 A KR20200062050 A KR 20200062050A KR 20210012894 A KR20210012894 A KR 202100128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acquisition
- defect
- brightness
- irradiation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22—Optical, image processing or photographic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tube
- H01J37/222—Image process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tub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02—Details
- H01J37/244—Detectors; Associated components or circuits there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26—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 H01J37/28—Electron or ion microscopes; Electron or ion diffraction tubes with scanning beam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56—Microscopic image
- G06T2207/10061—Microscopic image fro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108—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06T2207/30148—Semiconductor; IC; Waf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245—Detection characterised by the variable being measured
- H01J2237/24564—Measurements of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e.g. voltage, current, frequenc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245—Detection characterised by the variable being measured
- H01J2237/24571—Measurements of non-electric or non-magnetic variables
- H01J2237/24578—Spatial variables, e.g. position, distanc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7/00—Discharge tubes exposing object to beam, e.g. for analysis treatment, etching, imaging
- H01J2237/26—Electron or ion microscopes
- H01J2237/28—Scanning microscopes
- H01J2237/2803—Scanning microscopes characterised by the imaging metho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Amplifiers (AREA)
- Electron Sources, Ion Sources (AREA)
Abstract
(해결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상 취득 툴과, 1 이상의 프로세서를 갖고, 상기 화상 취득 툴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화상 취득 툴로부터,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화상 취득 조건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화상에 포함되는 특정 패턴의 2 이상의 특징에 관한 정보를 수취하고(S1903), 당해 정보를, 화상 취득 툴의 적어도 2개의 화상 취득 조건에 의해 얻어진 적어도 2 이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2 이상의 특징에 관한 정보와, 시료 위에 형성된 소자의 전기 특성과의 관련 정보에 참조(S1904)함으로써, 전기 특성을 도출하는(S1905) 시스템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도 2는 실시예 1의 시료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검사 레시피의 설정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4는 검사 레시피를 설정하는 공정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검사의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검사의 공정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2의 시료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검사 레시피를 설정하는 공정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검사의 공정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 3의 시료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검사 레시피의 설정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리크 전류에 대한 화상의 명도의 보정값의 산출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검사 레시피를 설정하는 공정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실시예 4의 시료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검사 레시피의 설정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16은 리크 전류와 잔류 대전에 대한 화상의 명도의 보정값의 산출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검사 레시피를 설정하는 공정의 조작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빔의 차단 시간의 변화에 대한 명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9는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전기 특성의 도출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20은 전기 특성 추정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반도체 웨이퍼 위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의 단면도.
도 22는 주사 전자 현미경을 이용한 전기 특성의 도출 공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23은 빔 조사 조건(화상 취득 조건)을 변화시켰을 때의 명도의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빔의 조사 조건을 변화시켰을 때의 패턴의 명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5는 전기 특성을 추정하는 학습기에 입력하는 입력 데이터를 설명하는 도면.
3: 조리개 4: 펄스 전자 생성기
5: 편향기 6: 대물 렌즈
7: 시료 전계 제어기 8: 검출기
9: 출력 조정 회로 10: 시료 스테이지
11: 시료 21: 가속 전압 제어부
22: 조사 전류 제어부 23: 펄스 조사 제어부
24: 편향 제어부 25: 집속 제어부
26: 시료 전계 제어부 27: 스테이지 위치 제어부
28: 제어 전령부 29: 스테이지 위치 제어부
30: 제어 전령부 31: 검출 신호 처리부
32: 검출 신호 해석부 33: 화상 또는 전기 특성 표시부
34: 데이터베이스 41: 조작 인터페이스
51: 플러그 52: 플러그
53: 실리콘 기판 54: 플러그
55: 플러그 61: 검사 패턴 설정부
62: 광학 조건 및 주사 조건 및 시야 설정부
63: 가속 전압 설정부 64: 조사 전류 설정부
65: 시야 사이즈 설정부 66: 주사 속도 설정부
67: 단속 조건 추출부 68: 조사 설정부
69: 조사점간 설정부 70: 명도 해석 결과 표시부
71: 검사 조건 설정부 72: 검사에서 사용하는 조사 설정부
73: 검사에서 사용하는 조사점간 설정부
74: 시험 검사 실행부 75: 시험 검사 결과 표시부
81: 검사 영역 설정부 82: 검사 실행부
83: 결함 분류 설정부 84: 결함 a군 발생 분포 표시부
85: 결함 b군 발생 분포 표시부 86: 결함군 발생 분포 표시부
91: 플러그 92: 실리콘 기판
93: 불순물 확산층 94: 플러그
95: 플러그 96: 플러그
101: 플러그 102: 플러그
103: 플러그 104: 배선
105: 배선 106: 실리콘 기판
111: 제1 조사 시간에서 취득한 명도의 시간 변화
112: 제2 조사 시간에서 취득한 명도의 시간 변화
113: 제3 조사 시간에서 취득한 명도의 시간 변화
114: 제1 내지 제3 조사 시간에서 취득한 명도의 시간 변화
115: 보정 명도의 시간 변화 121: 플러그
122: 플러그 123: 플러그
1124: 불순물 확산층 125: 실리콘 기판
131: 제1 차단 시간에서 취득한 명도의 시간 변화와 보정 명도
132: 제2 차단 시간에서 취득한 명도의 시간 변화와 보정 명도
141: 조사 시간 설정부 142: 차단 시간 설정부
143: 조사 시간의 명도 해석 결과 표시부
144: 명도 해석 결과 표시부
Claims (20)
- 시료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툴과, 1 이상의 프로세서를 갖고, 상기 화상 취득 툴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취득 툴의 적어도 2개의 화상 취득 조건에 의해 얻어진 적어도 2 이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2 이상의 특징에 관한 정보와, 시료 위에 형성된 소자의 전기 특성과의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 취득 툴로부터,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화상 취득 조건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화상에 포함되는 특정 패턴의 2 이상의 특징에 관한 정보를 수취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관련 정보를 수취하고,
상기 관련 정보에, 상기 특징에 관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상기 전기 특성을 도출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특성은, 결함의 종류이며, 전기 저항계의 결함 및 정전 용량계의 결함의 적어도 한쪽인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특성은, 결함의 특징이며, 전기 저항 및 정전 용량의 적어도 한쪽인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기 저항, 정전 용량, 상기 2 이상의 특징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화상 취득 조건의 관계식에, 상기 전기 저항과 상기 정전 용량 중 어느 한쪽, 상기 2 이상의 특징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2개의 화상 취득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전기 저항과 상기 정전 용량의 다른쪽을 연산하는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툴은, 하전 입자선 장치인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취득 조건은, 상기 하전 입자선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시료에 대해 빔을 펄스 상(狀)으로 조사할 때의 빔의 차단 시간 및 조사 시간의 적어도 한쪽인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차단 시간 및 조사 시간이 서로 다른 복수의 빔 조건의 변화와 상기 특징의 변화의 관련 정보가 기억되어 있는 시스템. - 프로세서에,
화상 취득 툴에 의해 취득된, 적어도 2개의 서로 다른 화상 취득 조건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화상에 포함되는 특정 패턴의 2 이상의 특징을 수취하게 하고,
상기 화상 취득 툴의 적어도 2개의 화상 취득 조건에 의해 얻어진 적어도 2 이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2 이상의 특징에 관한 정보와, 시료 위에 형성된 소자의 전기 특성과의 관련 정보를 수취하게 하고,
상기 관련 정보에, 상기 특징에 관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전기 특성을 도출하게 하는,
명령을 하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특성은, 결함의 종류이며, 전기 저항계의 결함 및 정전 용량계의 결함의 적어도 한쪽인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특성은, 결함의 특징이며, 전기 저항 및 정전 용량의 적어도 한쪽인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 - 화상 취득 툴에 의해 얻어진 화상 데이터로부터, 시료 위에 형성된 소자의 전기 특성을 추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컴퓨터 시스템과, 당해 컴퓨터 시스템이 실행하는 연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소자의 전기 특성을 학습 결과로서 출력하는 학습기를 구비하고,
상기 학습기는, 상기 화상 취득 툴의 적어도 2개의 화상 취득 조건에 의해 얻어지는 적어도 2 이상의 화상 데이터, 당해 2 이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2 이상의 특징, 및 당해 2 이상의 특징으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의 적어도 1개와, 상기 화상 취득 툴의 적어도 2개의 화상 취득 조건과, 전기 특성을 포함하는 교사(敎師)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리 학습을 실시하고 있으며,
상기 연산 모듈은, 상기 학습기에 대하여, 화상 취득 툴의 적어도 2개의 화상 취득 조건에 의해 얻어지는 적어도 2 이상의 화상 데이터, 당해 2 이상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2 이상의 특징, 및 당해 2 이상의 특징으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의 적어도 1개와, 상기 화상 취득 툴의 적어도 2개의 화상 취득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상기 전기 특성을 출력하는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특성은, 결함의 종류이며, 전기 저항계의 결함 및 정전 용량계의 결함의 적어도 한쪽인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특성은, 결함의 특징이며, 전기 저항 및 정전 용량의 적어도 한쪽인 시스템. - 시료의 화상을 취득하는 화상 취득 툴과, 1 이상의 프로세서를 갖고, 상기 화상 취득 툴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 취득 툴의 복수의 화상 취득 조건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복수의 특징, 혹은 복수의 특징으로부터 생성되는 정보와, 결함의 종류와의 관련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 취득 툴로부터, 복수의 화상 취득 조건에 의해 취득된 복수의 화상에 포함되는 특정 패턴의 2 이상의 특징에 관한 정보를 수취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관련 정보를 수취하고,
상기 관련 정보에, 상기 특징에 관한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결함의 종류를 도출하는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시료 위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압이 인가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스위칭 소자에 접속되는 단자로서, 상기 제1 단자에의 전압의 인가에 의해, 유통(流通)하는 전류가 제어되는 제2 단자의 상기 특징과, 결함의 종류와의, 스위칭 소자에 관한 관련 정보가 기억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상 취득 툴로부터 수취한 상기 제1 단자와 제2 단자의 특징을, 상기 관련 정보에 참조하여, 상기 결함의 종류를 도출하는 시스템.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의 종류는, 스위칭 소자와 단자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오픈 결함, 및 스위칭 소자로부터 전류가 리크하는 리크 결함의 적어도 1개인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화상 취득 조건의 복수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시료 위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에 접속되는 단자의 특징을 추출하고, 당해 스위칭 소자의 입출력 특성을 평가하는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0024A KR102577501B1 (ko) | 2019-07-25 | 2022-07-21 | 전기 특성을 도출하는 시스템 및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136567A JP7271358B2 (ja) | 2019-07-25 | 2019-07-25 | 電気特性を導出するシステム及び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ー可読媒体 |
JPJP-P-2019-136567 | 2019-07-25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0024A Division KR102577501B1 (ko) | 2019-07-25 | 2022-07-21 | 전기 특성을 도출하는 시스템 및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2894A true KR20210012894A (ko) | 2021-02-03 |
KR102426904B1 KR102426904B1 (ko) | 2022-07-28 |
Family
ID=741877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2050A Active KR102426904B1 (ko) | 2019-07-25 | 2020-05-25 | 전기 특성을 도출하는 시스템 및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 |
KR1020220090024A Active KR102577501B1 (ko) | 2019-07-25 | 2022-07-21 | 전기 특성을 도출하는 시스템 및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0024A Active KR102577501B1 (ko) | 2019-07-25 | 2022-07-21 | 전기 특성을 도출하는 시스템 및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2) | US11776103B2 (ko) |
JP (2) | JP7271358B2 (ko) |
KR (2) | KR102426904B1 (ko) |
TW (1) | TWI79199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85972A (ja) | 2018-04-06 | 2019-10-24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走査電子顕微鏡システム及びパターンの深さ計測方法 |
JP2019184354A (ja) * | 2018-04-06 | 2019-10-24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電子顕微鏡装置、電子顕微鏡装置を用いた検査システム及び電子顕微鏡装置を用いた検査方法 |
KR20210127167A (ko) * | 2019-02-15 | 2021-10-21 | 퀀텀 실리콘 인코포레이티드 | 자동화된 원자 크기 제작 |
JP7149906B2 (ja) | 2019-08-07 | 2022-10-07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 | 走査電子顕微鏡及びパタン計測方法 |
EP3968267A1 (en) * | 2020-09-10 | 2022-03-16 | Imec VZW | Method for denoising an electron microscope image |
KR102823844B1 (ko) | 2021-04-13 | 2025-06-24 | 주식회사 히타치하이테크 | 시료 검사 장치, 검사 시스템, 박편 시료 제작 장치 및 시료의 검사 방법 |
KR20240108536A (ko) * | 2022-01-27 | 2024-07-09 | 주식회사 히타치하이테크 | 하전 입자선 검사 시스템, 하전 입자선 검사 방법 |
CN119384636A (zh) * | 2022-06-16 | 2025-01-28 | Asml荷兰有限公司 | 通过电压对比成像进行缺陷检测的系统和方法 |
WO2024069737A1 (ja) * | 2022-09-27 | 2024-04-04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 | 検査方法および荷電粒子線装置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46695A (ja) * | 2002-05-29 | 2003-12-05 |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 電子線式パターン検査装置及び、電子線を用いた検査方法 |
JP4015352B2 (ja) * | 2000-02-22 | 2007-11-2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荷電粒子ビームを用いた検査方法 |
JP5744629B2 (ja) | 2011-06-03 | 2015-07-08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電子顕微鏡及び電子線を用いた撮像方法 |
KR20160083895A (ko) * | 2013-11-04 | 2016-07-12 | 케이엘에이-텐코 코포레이션 | 광학 이미지를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와 상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JP6121651B2 (ja) | 2012-04-04 | 2017-04-26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電子顕微鏡、電子顕微鏡の観察条件の設定方法、および電子顕微鏡による観察方法 |
WO2017158742A1 (ja) * | 2016-03-16 | 2017-09-21 | 株式会社 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欠陥検査装置 |
JP6379018B2 (ja) | 2014-11-20 | 2018-08-22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荷電粒子線装置および検査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44629U (ko) | 1980-08-20 | 1982-03-11 | ||
JPS6121651U (ja) | 1984-07-13 | 1986-02-07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ラジエ−タプロテクタ |
JPS6379018U (ko) | 1986-11-13 | 1988-05-25 | ||
JP4034500B2 (ja) | 2000-06-19 | 2008-01-1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JP4128498B2 (ja) * | 2003-08-08 | 2008-07-30 | 株式会社トプコン | 半導体評価装置 |
CN104022056B (zh) * | 2008-03-31 | 2017-04-12 | Bt成像股份有限公司 | 用于晶片成像及处理的方法和设备 |
JP5524495B2 (ja) | 2009-03-10 | 2014-06-18 |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 撮像システムおよび電子回路部品装着機 |
US8692214B2 (en) * | 2009-08-12 | 2014-04-08 | Hermes Microvision, Inc. | Charged particle beam inspection method |
JP5884523B2 (ja) * | 2012-02-02 | 2016-03-15 | 株式会社リコー | 潜像電荷総量の測定方法、潜像電荷総量の測定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
JP5775948B2 (ja) * | 2014-04-11 | 2015-09-09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荷電粒子顕微鏡装置および画像撮像方法 |
JP6427571B2 (ja) * | 2014-06-30 | 2018-11-21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パターン測定方法、及びパターン測定装置 |
US10416087B2 (en) * | 2016-01-01 | 2019-09-17 | Kla-Tencor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defect detection using image reconstruction |
JP2019050316A (ja) * | 2017-09-11 | 2019-03-28 | 東芝メモリ株式会社 | Sem検査装置およびパターンマッチング方法 |
-
2019
- 2019-07-25 JP JP2019136567A patent/JP7271358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5-25 KR KR1020200062050A patent/KR102426904B1/ko active Active
- 2020-05-27 TW TW109117633A patent/TWI791993B/zh active
- 2020-05-28 US US16/885,727 patent/US11776103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7-21 KR KR1020220090024A patent/KR102577501B1/ko active Active
-
2023
- 2023-04-26 JP JP2023072022A patent/JP7492629B2/ja active Active
- 2023-08-22 US US18/453,405 patent/US20240020816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15352B2 (ja) * | 2000-02-22 | 2007-11-2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荷電粒子ビームを用いた検査方法 |
JP2003346695A (ja) * | 2002-05-29 | 2003-12-05 |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 電子線式パターン検査装置及び、電子線を用いた検査方法 |
JP5744629B2 (ja) | 2011-06-03 | 2015-07-08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電子顕微鏡及び電子線を用いた撮像方法 |
JP6121651B2 (ja) | 2012-04-04 | 2017-04-26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電子顕微鏡、電子顕微鏡の観察条件の設定方法、および電子顕微鏡による観察方法 |
KR20160083895A (ko) * | 2013-11-04 | 2016-07-12 | 케이엘에이-텐코 코포레이션 | 광학 이미지를 주사 전자 현미경 이미지와 상관시키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JP6379018B2 (ja) | 2014-11-20 | 2018-08-22 |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荷電粒子線装置および検査方法 |
WO2017158742A1 (ja) * | 2016-03-16 | 2017-09-21 | 株式会社 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 欠陥検査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6904B1 (ko) | 2022-07-28 |
TW202105439A (zh) | 2021-02-01 |
US11776103B2 (en) | 2023-10-03 |
US20210027455A1 (en) | 2021-01-28 |
JP7492629B2 (ja) | 2024-05-29 |
JP2023100748A (ja) | 2023-07-19 |
JP7271358B2 (ja) | 2023-05-11 |
KR102577501B1 (ko) | 2023-09-12 |
KR20220106937A (ko) | 2022-08-01 |
TWI791993B (zh) | 2023-02-11 |
US20240020816A1 (en) | 2024-01-18 |
JP2021022440A (ja) | 2021-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7501B1 (ko) | 전기 특성을 도출하는 시스템 및 비일시적 컴퓨터 가독 매체 | |
JP7466036B2 (ja) | 電気特性を導出するシステム及び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ー可読媒体 | |
KR102079022B1 (ko) | 검사 레시피를 생성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
JP4034500B2 (ja) | 半導体装置の検査方法及び検査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US10943762B2 (en) | Inspection system,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 |
US9659744B2 (en) | Charged particle beam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210027064A (ko) | 하전 입자선 장치 | |
KR20200036936A (ko) | 하전 입자선 장치, 단면 형상 추정 프로그램 | |
US11335535B2 (en) | Charged particle beam apparatus | |
JP2011014798A (ja) | 半導体検査装置および半導体検査方法 | |
TWI824404B (zh) | 帶電粒子線裝置 | |
TWI854868B (zh) | 帶電粒子線裝置及推定試料的特性之方法 | |
KR102839625B1 (ko) | 하전 입자선 장치 | |
US20240128047A1 (en) | Sample Inspection Apparatus, Inspection System, Thin Piece Sample Fabr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Sample | |
KR20230141607A (ko) | 처리 시스템 및 하전 입자 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5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17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7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