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2436A - Information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 Google Patents
Information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12436A KR20210012436A KR1020190090164A KR20190090164A KR20210012436A KR 20210012436 A KR20210012436 A KR 20210012436A KR 1020190090164 A KR1020190090164 A KR 1020190090164A KR 20190090164 A KR20190090164 A KR 20190090164A KR 20210012436 A KR20210012436 A KR 202100124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guide display
- installation
- mobility
- rectangular sha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9000003351 stiff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5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 G09F15/006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ortable display standards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의 파손과 부수적인 결속 방법이 필요없어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시간 및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주변에 흙이나 벽돌 등의 중량물이 없을 경우에 결속부를 활용하여 고임목, 물통 등 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품들을 무게추로서 사용할 수 있는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display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it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damage to the floor and an additional bonding method,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installation time and installation cost. In the absence of heavy objects such as soil or brick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e display board with improved ease of installation and mobility that can use items easily seen in life, such as a tree or a bucket, as a weight by utilizing a binding part.
철제 A 형틀은 다양한 크기로 산업현장, 건설현장에서는 기본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있는 제품으로 광고 홍보 및 정보전달 등 일상생활에서도 폭 넓게 사용되고 있는 제품이다.Steel A-shaped frame is a product that is basically used in industrial and construction sites in various sizes, and is widely used in everyday life such as advertisement promotion and information delivery.
철제 A 형틀은 간단한 구조로 인한 편리함이 있지만, 설치 불량 및 전도사고, 이탈 현상으로 도로파손, 인적 피해, 물적 파손 등 다양한 문제점을 발생시킨다.Steel A-shaped frame is convenient due to its simple structure, but it causes various problems such as road damage, human damage, and material damage due to poor installation, fall accident, and departure.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지면에 말뚝을 고정하는 방식의 설치 과정은 말뚝을 망치를 사용하여 지면에 고정하고, 철사 및 고정철물을 이용하여 말뚝과 간판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in the conventional installation process of fixing a pile to the ground, the pile is fixed to the ground using a hammer, and the pile and the signboard are fixed using wires and fixing hardware. will be.
상기와 같이, 고정함으로써, 전면부에 말뚝이 돌출되게 되며, 후면부에도 마찬가지로 말뚝이 돌출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fixing, the piles protrude to the front part, and the piles protrude similarly to the rear part.
따라서, 철 구조물의 돌출로 인하여 보행자의 사고 위험성이 높으며, 지면이 흙일 경우에 말뚝이 지면에서 분리됨으로 인한 사고 발생이 우려되며, 지면이 아스팔트 및 인도일 경우에는 지면 천공에 의한 도로파손 및 인도 파손이 심각하고, 유지 보수의 비용이 막대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Therefore, the risk of pedestrian accidents is high due to the protrusion of the steel structure, and if the ground is soil, there is a concern that an accident may occur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piles from the ground. And, the cost of maintenance was enormous.
다른 예로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지면 천공 후 앙카 스크류 작업하는 방식의 설치 과정은 A형 간판틀에 고정 철물을 설치하고, 천공 작업을 수행한 후 앙카 스크류를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2A, in the conventional installation process of the method of working with the anchor screw after drilling the ground, the fixing hardware is installed on the A-type sign frame, and the anchor screw is installed after the drilling work is performed. .
상기와 같이, 고정함으로써, 설치 제거 후에 아스팔트 지면에는 구멍이 뚫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By fixing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that a hole is made in the asphalt ground after installation and removal.
따라서, 지면에 고정하기 때문에 다른 방식에 비하여 견고한 장점을 있으나, 지면 파손으로 인한 들뜸현상, 파손, 붕괴의 문제가 있으며, 이동 설치시 매번 천공을 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 보수의 비용이 막대한 단점과 각종 공구, 철물 등이 부자재로 제공되어야 하므로 자재비, 인건비 상승의 요인이 된다.Therefore, since it is fixed to the ground, it has a solid advantage compared to other methods, but there are problems of lifting, breakage, and collapse due to ground breakage, and the cost of maintenance is enormous because it has to be drilled every time when moving and installing. , Hardware, etc. must be provided as subsidiary materials, which is a factor in raising material and labor costs.
또 다른 예로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임시 고정 방식은 주변 지물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이는 임시 방편이기에 설치 위치와는 다르게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정보 전달이 제대로 전해지지 않아 혼란을 초래하게 되며, 도면과 같이 모래주머니가 손상되어 인도 위로 토사가 쏟아져 보행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2b, the conventional temporary fixing method is a method of fixing using surrounding features, which is a temporary means, so it is often installed differently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so that information cannot be transmitted properly. Confusion was caused, an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andbag was damaged, and soil was poured over the sidewalk, causing inconvenience to pedestrians.
이에 따라 기존의 사용 용도는 변함이 없되 설치의 간편화, 위험의 감소, 제한적 설치의 탈피 등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철제 A 형틀이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existing usage remains the same, but there is a need for a steel A-shaped frame that can compensate for problems such as simplification of installation, reduction of risk, and avoidance of limited install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의 파손과 부수적인 결속 방법이 필요없어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시간 및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install it without the need for damage to the floor surface and an additional bonding method, and to reduce installation time and installation cos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변에 흙이나 벽돌 등의 중량물이 없을 경우에 결속부를 활용하여 고임목, 물통 등 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품들을 무게추로서 사용할 수 있는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시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ease of installation and mobility that can be used as weights for items that can be easily seen in life, such as a tree or a bucket, by utilizing a binding unit when there is no heavy object such as soil or bricks aroun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은,In order to achieve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display board having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좌측형틀(110);과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우측형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상측이 결합되어 A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표시판형틀(100)과,A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을 이루는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내부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형틀을 보강하기 위한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와,A left reinforcing
상기 좌측보강대에 일측이 결합되며, 우측보강대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면에 무게제공부재(400)에 적재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적재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One side is coupled to the left reinforcement bar,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right reinforcement bar, and is loaded on the
본 발명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은,The guide display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바닥면의 파손과 부수적인 결속 방법이 필요없어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시간 및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t can be installed easily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damage to the floor and an additional bonding method, and it provides the effect of reducing installation time and installation cost.
또한, 주변에 흙이나 벽돌 등의 중량물이 없을 경우에 결속부를 활용하여 고임목, 물통 등 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품들을 무게추로서 사용할 수 있는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re is no heavy object such as soil or bricks around, the use of the binding unit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mobility that can be used as weights for items that can be easily seen in life, such as trees and buckets.
부연 설명하면, 안전 시설물의 제 역할에 기여, 적재부재를 이용한 무게 중심을 낮춰 전도 사고 방지, 적재부재가 Y 자 형태로 되어있어 괴토 및 중량물이 이탈하지 않는 효과, 적재부재는 접히게 되어 제품 설치 및 해체시 불편함을 주지 않는 효과, 적재부재는 PVC 메쉬망을 이용하여 배수가 용이한 효과, 결속부를 활용하여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o explain more, it contributes to the role of safety facilities, prevents fall accidents by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using the loading member, the effect that the loading member is in a Y-shape so that no waste and heavy objects are separated, and the loading member is folded and installed And it provides an effect that does not cause discomfort during disassembly, the loading member is easily drained by using a PVC mesh network, and an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situation by utilizing the binding part.
또한, 미래 산업에 맞춰 무게감지 센서와 위치 정보 센서를 활용하여 자율주행 차량 및 네비게이션과 연동하여 공사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 반영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ccidents in advance by sharing and reflecting construction location information in real time by linking with autonomous vehicles and navigation by using weight sensors and location information sensors for future industries.
도 1은 종래에 안내 표시판을 설치하기 위하여, 지면에 말뚝을 고정하는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a는 종래에 지면 천공 후 앙카 스크류 작업하는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b는 종래의 임시 고정 방식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의 측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이 접힌 사용 상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fixing a pile to the ground in order to install a guide display in the related art.
2A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of working with an anchor screw after drilling the ground in the related art, and FIG. 2B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emporary fixing method.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display panel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 guide display panel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of a guide display panel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guide panel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folded use state of a guide display board having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은,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display board having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좌측형틀(110);과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우측형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상측이 결합되어 A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표시판형틀(100)과,A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을 이루는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내부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형틀을 보강하기 위한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와,A left reinforcing
상기 좌측보강대에 일측이 결합되며, 우측보강대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면에 무게제공부재(400)를 적재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적재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e side is coupled to the left reinforcement,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right reinforcement, and a
또한, 이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은,In addition, the guide display board having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좌측형틀(110);과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우측형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상측이 결합되어 A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표시판형틀(100)과,A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을 이루는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내부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형틀을 보강하기 위한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와,A left reinforcing
상기 좌측보강대 및 우측보강대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어 무게제공부재(400)를 안착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결속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tiffeners, respectively, to seat the
또한, 삼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은,In addition, the guide display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the three embodiments,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좌측형틀(110);과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우측형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상측이 결합되어 A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표시판형틀(100)과,A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을 이루는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내부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형틀을 보강하기 위한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와,A left reinforcing
상기 좌측보강대에 일측이 결합되며, 우측보강대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면에 무게제공부재(400)를 적재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적재부재(300)와,One side is coupled to the left reinforcement,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right reinforcement, and a
상기 좌측보강대 및 우측보강대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어 무게제공부재(400)를 추가적으로 안착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결속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least one or more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reinforcement bars, respectively, to additionally seat the
이때, 안내표시판형틀(100)을 구성하는 좌측형틀(110)과 우측형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틀에 안내 표시 문구가 인자된 안내부재(60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이때, 안내 표시판에는,At this time, on the guide display,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감지센서;와Weigh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And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추적부;와A location tracking unit for tracking a location; and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위치추적부로부터 무게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안내표시판관리서버 혹은 담당자단말기로 제공하여 안내 표시판의 설치 유무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periodically acquires weigh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location tracking unit and provides it to a information display management server or a person in charge terminal located in a remote location to check the installation and loca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이때, 상기 무게제공부재(400)는,At this time, the
흙, 벽돌, 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soil, brick, and stone.
이때, 상기 적재부재(300)는,At this time, the
가운데 부위에 일정길이 겹치도록 하여 Y자형상부(310)를 형성시킴으로써, 상면에 위치한 무게제공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forming the Y-shaped
이때,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은,At this time, the guide
상측이 힌지 결합되어 있어 접히도록 함으로써, 이동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is hinged so that it can be folde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movement.
이때, 상기 적재부재(300)는,At this time, the
원단, PVC 메쉬망을 가공하여 제조함으로써, 안내표시판형틀(100)이 접힐 경우에 접힘이 가능하여 이동 편리성을 제공하며, 동시에 배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processing the fabric and the PVC mesh networ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olded when th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an embodiment of a guide display panel having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uide display panel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의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a guide display panel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의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a guide display panel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의 사용 상태도이다.6A to 6B are diagrams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guide display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은, 안내표시판형틀(100)과,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와, 적재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As shown in Figs. 3 to 5, a guide display panel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구체적으로,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좌측형틀(110);과Specifically, the guide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우측형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되는데,It is to be configured to include a; right-
이때, 상기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상측이 결합되어 A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ide of the left frame and the right frame are combined to form an A-shape.
바람직하게는 A자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힌지 결합이 되어 있어 이동시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을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Preferab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hinged to the upper side to form an A-shape, and it is hinged to allow the left and right frames to be folded when moving.
그리고, 상기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를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을 이루는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내부 공간에 각각 형성시켜 형틀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eft and right reinforcing
또한, 안내표시판형틀(100)을 구성하는 좌측형틀(110)과 우측형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틀에 안내 표시 문구가 인자된 안내부재(600)가 형성될 경우에 안내부재를 안전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지지대 역할을 부수적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그리고, 상기 적재부재(300)는 좌측보강대에 일측이 결합되며, 우측보강대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면에 무게제공부재(400)를 적재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은, 안내표시판형틀(100)과,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와, 결속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display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좌측형틀(110)과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우측형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상측이 결합되어 A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표시판형틀(100)을 구성하게 된다.As in one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을 이루는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내부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형틀을 보강하기 위한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를 구성하게 된다.Further, a
이때, 일실시예와의 차이점은 적재부재(300)를 구성하지 않고, 결속부(500)를 형성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is that the
구체적으로, 상기 좌측보강대 및 우측보강대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어 무게제공부재(400)를 안착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결속부(5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Specifically, at least one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reinforcement bars, respectively, to seat the
한편, 본 발명의 삼실시예에 따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은, 안내표시판형틀(100)과,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와, 적재부재(300)와, 결속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display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according to the thre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즉, 일실시예의 적재부재(300)와 이실시예의 결속부(500)를 동시에 구성한 구조인 것이다.That is, the structure in which the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은 일실시예와 이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좌측형틀(110);과The guide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우측형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상측이 결합되어 A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그리고,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를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을 이루는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내부 공간에 각각 형성시켜 형틀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하면서 안내부재(600)가 결합될 경우에 안내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적재부재(300)를 형성시키게 되는데, 상기 적재부재는 좌측보강대에 일측이 결합되며, 우측보강대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면에 무게제공부재(400)를 적재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때, 결속부(500)를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좌측보강대 및 우측보강대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어 무게제공부재(400)를 추가적으로 안착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by additionally configuring the
즉, 일실시예와 이실시예보다 좀 더 안전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it is to be able to support more safely than one embodiment and this embodiment.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일실시예 내지 삼실시예에 구성된 안내표시판형틀(100)을 구성하는 좌측형틀(110)과 우측형틀(1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틀에 안내 표시 문구가 인자된 안내부재(600)를 결합시키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guide display text is printed on at least one of the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사중, 위험, 50, 절대감속 등의 안내 표시 문구가 인자되어 있는 안내부재를 결합시키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A, a guide member on which a guide display phrase such as under construction, danger, 50, and absolute deceleration is printed is combined.
한편,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안내 표시판에는,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aspect, on the guide display panel,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감지센서;와Weigh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weight; And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추적부;와A location tracking unit for tracking a location; and
상기 무게감지센서와 위치추적부로부터 무게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안내표시판관리서버 혹은 담당자단말기로 제공하여 안내 표시판의 설치 유무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periodically acquires weigh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location tracking unit and provides it to a information display management server or a person in charge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to check the installation and loca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구체적으로, 안내 표시판에 형성된 적재부재(300) 혹은 형틀의 바닥면에 무게를 감지하기 위한 무게감지센서를 구성함으로써, 무게제공부재(400)를 적재시킬 경우에 감지되는 무게 정보를 무선통신부로 제공하게 된다.Specifically, by configuring a weight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eight on the
그리고, 안내 표시판에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위치추적부를 구성함으로써, 현재 위치 정보를 무선통신부로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a location tracking unit for tracking a location on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따라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무게감지센서와 위치추적부로부터 무게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안내표시판관리서버 혹은 담당자단말기로 제공하여 안내 표시판의 설치 유무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iodically acquires weigh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weight detection sensor and the location tracking unit, and provides it to the information display management server or the person in charge terminal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so that the installation and location of the information display panel can be checked. .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에는 고유식별자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적재부재 혹은 결속부에 무게제공부재를 안착시키게 되면 무게가 감지되게 되므로 고유식별자 정보에 감지된 무게 정보와 현재 위치 정보를 매칭시켜 원격지에 위치한 안내표시판관리서버 혹은 담당자단말기로 해당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For example, si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has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the weight is sensed when the weight providing member is mounted on the loading member or the binding unit. Therefore, the weight information detected in the unique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re matched to be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The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information display management server or the terminal in charge.
따라서, 원격지에서는 현재 안내 표시판이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설치된 장소가 어디인지를 알 수 있으며, 몇 중량으로 설치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information display board is currently installed in the remote place, where the installed location is, and how much weight it is installed in real time.
또한, 설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획득하기 때문에 최초 설치 위치에서 변동될 경우에 원격지에서는 현장 관리소에 연락하여 위치를 이동시켰는지를 체크할 수 있어 관리자 이외의 제 3자에 의한 위치 변동을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is periodically acquired, if there is a change from the initial installation location,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location has been moved by contacting the site management office at a remote location, so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location change by a third party other than the manager. Will be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설명하고 있는 무게제공부재(400)는,On the other hand, the
흙, 벽돌, 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다른 실시예로서, 고임목 혹은 물통 등이 될 수 있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soil, brick, and stone, and as another embodiment, it may be an old tree or a bucket.
예를 들어, 주변에 흙이나 벽돌 등 중량물이 있을 경우에는 이를 무게제공부재(400)로 제공하여 적재부재(300)에 안착시킬 수 있지만, 상기 중량물이 없을 때는 결속부를 활용하여 고임목, 물통 등 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제품들을 무게 추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f there is a heavy object such as soil or bricks around, it can be provided as a
한편,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적재부재(300)는,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aspect, the
가운데 부위에 일정길이 겹치도록 하여 Y자형상부(310)를 형성시킴으로써, 상면에 위치한 무게제공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forming the Y-shaped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부재(300)의 가운제 부위에 일정길이를 겹치도록 처리하게 되면 Y자형상부(310)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상면에 위치한 무게제공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A, if a predetermined length is overlapped with the middle portion of the
그리고,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부재(300)가 바구니 형태로 되어 있어 주변 물체를 이용하여 고정이 가능하며, 결속부(고리 형태 혹은 다른 기타 형태)를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한 장점도 제공하게 된다.And, as shown in Fig. 6b, the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적재부재를 접히게 하여 제품 설치 및 해체시 불편함을 주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lding the loading memb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does not cause inconvenience during product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이를 위하여, 안내표시판형틀(100)은, To this end, the guide
상측이 힌지 결합되어 있어 접히도록 함으로써, 이동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The upper side is hinged so that it is folded,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of movement.
이때, 상기 적재부재(300)는,At this time, the
원단, PVC 메쉬망을 가공하여 제조함으로써, 안내표시판형틀(100)이 접힐 경우에 접힘이 가능하여 이동 편리성을 제공하며, 동시에 배수가 용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By processing the fabric and the PVC mesh networ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olded when the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부재(300)를 접힐 수 있는 재질의 원단, PVC 메쉬망을 가공하여 제조하게 되므로 안내표시판형틀(100)이 접힐 경우에 접힘이 가능하여 설치하기 위하여 이동하거나, 설치 후 설치 해체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할 경우에 손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7, since the
또한, 상기와 같은 재질로 형성하게 되면 배수가 용이하게 되어 비가 많이 올 경우에 적재부재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f it is formed of the above-described material, drainage is facilitated, an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a phenomenon in which water accumulates in the loading member when it rains a lot.
또한, 적재부재를 구성하여 적재부재에 무게제공부재(400)를 적재시키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낮추어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loading member is configured to load the
현장에서 사용시, 대부분의 지면이 평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보강대와 적재부재 사용으로 자연스럽게 지면 속으로 형틀의 다릿발이 묻히게 되어 외부 요인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When used in the field, there is a problem that most of the ground is not flat, but the use of reinforcing bars and loading members has the advantage that the legs of the mold are naturally buried in the ground, thereby absorbing the impact caused by external factors.
결국,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은 현장 설치시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 지면의 파손없이 설치가 가능한 장점과 지형지물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하며, 고임목 또는 중량물을 이용해 설치가 가능한 장점과 이동설치시 따로 분리해야 하는 것이 없어 빠르고 경제적인 장점과 적재부재(300) 가운데 부위가 'Y'자로 고정되어 있어 중량물 탈락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과 결속 방식(결속부 구성)과 원단 방식(적재부재 구성)을 결합하여 다른 고정철물 및 지면의 파손없이 손쉽게 A형 간판 틀의 설치가 가능하며 유지 보수가 쉬운 장점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After all, as shown in FIG. 7, the guide display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is the most convenient method for on-site installation, and can be installed using topographic features and advantages that can be installed without damage to the groun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installed using the use of, and the advantage of fast and economical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separation for moving installation, and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dropout of heavy objects in advance and the binding method (binding part) Configuration) and the fabric method (loading member configuration) are combined to provide the advantage of easy maintenance and easy installation of the A-type signboard frame without damage to other fixed hardware and the ground.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결속부는 예를 들어, 고리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방식일 수 있으며, 기타 중량물을 결속시키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binding unit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mean, for example, a ring, may be a method using a bolt and a nut, and any means for binding other heavy object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통해, 바닥면의 파손과 부수적인 결속 방법이 필요없어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설치 시간 및 설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damage to the bottom surface and an additional bonding method,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an effect of reducing installation time and installation cost is provided.
또한, 주변에 흙이나 벽돌 등의 중량물이 없을 경우에 결속부를 활용하여 고임목, 물통 등 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품들을 무게추로서 사용할 수 있는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re is no heavy object such as soil or bricks around, the use of the binding unit provides an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installation and mobility that can be used as weights for items that can be easily seen in life, such as trees and buckets.
부연 설명하면, 안전 시설물의 제 역할에 기여, 적재부재를 이용한 무게 중심을 낮춰 전도 사고 방지, 적재부재가 Y 자 형태로 되어있어 괴토 및 중량물이 이탈하지 않는 효과, 적재부재는 접히게 되어 제품 설치 및 해체시 불편함을 주지 않는 효과, 적재부재는 PVC 메쉬망을 이용하여 배수가 용이한 효과, 결속부를 활용하여 상황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o explain more, it contributes to the role of safety facilities, prevents fall accidents by lowering the center of gravity using the loading member, the effect that the loading member is in a Y-shape so that no waste and heavy objects are separated, and the loading member is folded to install the product. And it provides an effect that does not cause discomfort during disassembly, the loading member can be easily drained by using a PVC mesh network, and an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situation by using the binding part.
상기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 contents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ified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100 : 안내표시판형틀
210 : 좌측보강대
220 : 우측보강대
300 : 적재부재
400 : 무게제공부재
500 : 결속부100: guide display frame
210: left reinforcement
220: Right reinforcement bar
300: loading member
400: weight providing member
500: binding part
Claims (3)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좌측형틀(110);과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우측형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상측이 결합되어 A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표시판형틀(100)과,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을 이루는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내부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형틀을 보강하기 위한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와,
상기 좌측보강대에 일측이 결합되며, 우측보강대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면에 무게제공부재(400)를 적재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적재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
In the information display board in which various industrial and road safety signs are expressed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purpose,
Left side frame 1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right frame 120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guide display frame 100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frame is combined to form an A-shape,
A left reinforcing rod 210 and a right reinforcing rod 220 formed in the inner spaces of the left and right frame forming the guide display frame 100 to reinforce the form,
One side is coupled to the left reinforcement,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right reinforcement, and a weight providing member 400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to prevent the guide display frame from collapsing or leaving the current position.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improved mobi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display board.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좌측형틀(110);과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우측형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상측이 결합되어 A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표시판형틀(100)과,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을 이루는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내부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형틀을 보강하기 위한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와,
상기 좌측보강대 및 우측보강대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어 무게제공부재(400)를 안착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결속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
In the information display board in which various industrial and road safety signs are expressed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purpose,
Left side frame 1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right frame 120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guide display frame 100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frame is combined to form an A-shape,
A left reinforcing rod 210 and a right reinforcing rod 220 formed in the inner spaces of the left and right frame forming the guide display frame 100 to reinforce the form,
At least one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tiffeners, respectively, to seat the weight providing member 400 to prevent the guide display frame from collapsing or leav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board with improved mobility and ease of installation.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좌측형틀(110);과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는 우측형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상측이 결합되어 A자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안내표시판형틀(100)과,
상기 안내표시판형틀(100)을 이루는 좌측형틀과 우측형틀의 내부 공간에 각각 형성되어 형틀을 보강하기 위한 좌측보강대(210) 및 우측보강대(220)와,
상기 좌측보강대에 일측이 결합되며, 우측보강대에 타측이 결합되어 상면에 무게제공부재(400)를 적재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적재부재(300)와,
상기 좌측보강대 및 우측보강대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이 형성되어 무게제공부재(400)를 추가적으로 안착시켜 안내표시판형틀의 쓰러짐 혹은 현위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결속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리성과 이동성이 향상된 안내 표시판.
In the information display board in which various industrial and road safety signs are expressed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purpose,
Left side frame 110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 right frame 120 having a rectangular shape; the guide display frame 100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frame is combined to form an A-shape,
A left reinforcing rod 210 and a right reinforcing rod 220 formed in the inner spaces of the left and right frame forming the guide display frame 100 to reinforce the form,
One side is coupled to the left reinforcement,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right reinforcement, and a weight providing member 400 is loaded on the upper surface to prevent the guide display frame from collapsing or leaving the current position; and
At least one or more is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reinforcement bars, respectively, to additionally seat the weight providing member 400 to prevent the guide display frame from collapsing or leaving the current position. A guide display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0164A KR102284054B1 (en) | 2019-07-25 | 2019-07-25 | Information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0164A KR102284054B1 (en) | 2019-07-25 | 2019-07-25 | Information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12436A true KR20210012436A (en) | 2021-02-03 |
KR102284054B1 KR102284054B1 (en) | 2021-08-02 |
Family
ID=7457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0164A Active KR102284054B1 (en) | 2019-07-25 | 2019-07-25 | Information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84054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7993A (en) * | 1996-01-19 | 1997-07-31 | Y K Service:Kk | Signboard |
KR200300011Y1 (en) | 2002-09-27 | 2003-01-06 | 한중희 | A Sign Board For Safety On Set-Up/Separation |
JP3152677U (en) * | 2009-05-29 | 2009-08-06 | 株式会社カンドー | Holding device for standing sign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52677B2 (en) * | 1991-05-28 | 2001-04-03 |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 Crucible with thermal shock resistance |
-
2019
- 2019-07-25 KR KR1020190090164A patent/KR10228405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97993A (en) * | 1996-01-19 | 1997-07-31 | Y K Service:Kk | Signboard |
KR200300011Y1 (en) | 2002-09-27 | 2003-01-06 | 한중희 | A Sign Board For Safety On Set-Up/Separation |
JP3152677U (en) * | 2009-05-29 | 2009-08-06 | 株式会社カンドー | Holding device for standing sign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84054B1 (en) | 2021-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00467B2 (en) | Stacking base system for temporary posts | |
KR20210012436A (en) | Information board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and mobility | |
CN206553940U (en) | A kind of slip Hanging Basket constructed for Collison fence for bridge | |
AU2015303832B2 (en) | Collapsible mobile silo | |
GB2446479A (en) | Barrier system | |
JPH0671515U (en) | Barricade block | |
KR20190002728U (en) | Structures for support | |
KR101501249B1 (en) | The angle adjustable steel safety unit | |
CN216108545U (en) | Assembled supporting unit for trench excavation | |
CN111827042B (en) | Road construction method | |
AU2016102095A4 (en) | Modular gantry structure | |
KR101254585B1 (en) | Apparatus of displaying road work for fall prevention | |
CN211333163U (en) | Frame is put with pipeline to pin-connected panel highway engineering construction | |
KR20150145940A (en) | the safety steel plate that has the variable angle by control | |
BE1028727B1 (en) | Set for temporary fencing | |
CA2800115C (en) | Stacking base system for temporary posts | |
CN205088680U (en) | Manual hole digging pile support that is unearthed | |
CN214498324U (en) | Safe and environment-friendly scaffold unit for urban updating and dismantling operation and scaffold | |
KR200496742Y1 (en) | Jig for transporting pipe accessories | |
KR101564995B1 (en) | Lift device for moving system support | |
JP2015067948A (en) | Sign tool with conveyance function, and method for conveying regulation article | |
CN211313607U (en) | Protector is used in municipal construction | |
JPH0439850Y2 (en) | ||
CN209940409U (en) | Tool for laying templates on two sides of main beam | |
NL2022604B1 (en) | METHOD OF DIGGING ALONG STREET FURNI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