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9515A - 사용자 정의 서비스 관리 - Google Patents
사용자 정의 서비스 관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9515A KR20210009515A KR1020190086126A KR20190086126A KR20210009515A KR 20210009515 A KR20210009515 A KR 20210009515A KR 1020190086126 A KR1020190086126 A KR 1020190086126A KR 20190086126 A KR20190086126 A KR 20190086126A KR 20210009515 A KR20210009515 A KR 202100095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 image forming
- forming apparatus
- registered
- progr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3—Printer information exchange with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Software or firmware update, e.g. device firmware managem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management, maintenance, service or repair apparat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4—Errors handling and recovery, e.g. reprin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96—Printer job scheduling or printer resource handl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Detecting, analysing or monit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026—Methods therefor
- H04N1/00042—Monitoring, i.e. observ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38—Software related arrangements, e.g. loading applications
- H04N1/00941—Interaction of different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54—Scheduling operations or managing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의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권한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하며, 시스템 서비스 권한이 요구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없이 백그라운드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서비스 프로그램은 시스템 제공 서비스 프로그램과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시스템 제공 서비스 프로그램은 제품의 생산시 펌웨어와 함께 설치되어, 시스템 서비스 권한이 요구되는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은 서드 파티(third party)에 의해 개발 및 제공되는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제품에 추가로 설치되어, 사용자가 정의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1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아키텍쳐에서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과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이 속하는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실행하여,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이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은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이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아키텍쳐에서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과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이 속하는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실행하여,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이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은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이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가진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임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 프로세서(120),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30), 메모리(140) 및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소정의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카메라 및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하고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부(151)는 전자 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열전사 방식 및 감열 방식 등 다양한 인쇄 방식에 의하여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스캔부(152)는 원고에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원고에 기록된 화상을 읽어들일 수 있다. 팩스부(153)의 경우, 화상을 스캔하기 위한 구성은 스캔부(152)와 공유할 수 있고, 수신한 파일을 인쇄하기 위한 구성은 인쇄부(151)와 공유할 수 있으며, 스캔 파일을 목적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별도의 제어 시스템을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00)의 프로세서(120)와 별도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에서 동작하는 제어 시스템(프로세서 및 메모리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의 제어 시스템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및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프로세서(111), 디스플레이부(112), 조작 패널(113) 및 메모리(1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40)와는 다른 별도의 프로세서(111) 및 메모리(1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1)는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114) 및 메모리(1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2)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패널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작 패널(113)은 물리 버튼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140 또는 114)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120 또는 111)를 각각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출력을 제공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없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프로그램'이 있다. 서비스 프로그램의 경우,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생산시에 기본 설치되는 '시스템 제공 서비스 프로그램'과 서드 파티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벤더(vendor)가 추후에 개발하여 추가 설치되는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있다. 시스템 제공 서비스 프로그램은 시스템 서비스 권한이 요구되는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권한만 가지고 있어, 시스템 서비스가 수행하는 기능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이하,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되는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시스템 서비스 권한이 요구되는 시스템 서비스가 수행하는 기능을 사용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다양한 서비스를 구현해 낼 수 있게 하는 방식에 대해 안드로이드 플랫폼 아키텍쳐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안드로이드 플랫폼 아키텍쳐에서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과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이 속하는 레이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안드로이드 플랫폼 아키텍쳐의 레이어 구조는, 제일 하위 레이어에 하드웨어 레이어, 그 위에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 그 위에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 그리고, 그 위에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를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는 리눅스의 커널 부분에 대응되는 레이어로서, 각종 하드웨어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들과 부팅이나 파일 시스템 등이 속하는 레이어이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는 안드로이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을 위하여 필요한 기본 프레임워크가 속하는 레이어이다.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되는 안드로이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이 속하는 레이어이다.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 속하며, 안드로이드 기반 프로그램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 추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 속하는 다양한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들(App 1, App 2, App 3)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되고,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시스템 서비스가 수행하는 기능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과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프레임워크를 연결하는 중간 매개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service program management module)을 제공한다.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도 3의 레이어 구조에 따를 때,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에 속하며,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생산시에 시스템 펌웨어로서 기본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140 또는 114)와 메모리(140 또는 114)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120 또는 11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 또는 111)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의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권한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하며, 시스템 서비스 권한이 요구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운영에 이용될 수 있는 기능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기능에 관한 것으로서, 상시 실행, 자동 실행, 자동 복구 등과 같은 시스템 서비스가 수행하는 기능이 요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에러 로그 수집 기능,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수행 완료되는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관리 기능, 및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접속되는 주변 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에러 로그 수집 기능과 같은 서비스는 백그라운드에서 수행되면서 에러가 발생할 때마다, 발생된 에러 관련 상세 정보를 수집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또는 전송하여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에러 로그 수집 기능은 상시 실행되어야 하고,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원이 켜져 리부팅될 때마다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어야 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수행 완료되는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관리 기능과 같은 서비스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마다, 완료된 작업과 관련된 상세 정보를 수집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에 기록 또는 전송하여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수행 완료되는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관리 기능은 상시 실행될 수 있어야 한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접속되는 주변 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접속되는 주변 기기가 있거나, 주변 기기로부터의 입력 또는 주변 기기로의 출력이 있을 때마다, 접속된 주변 기기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접속되는 주변 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은 상시 실행될 수 있어야 한다.
프로세서(120 또는 111)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최초 실행 시에 파라미터로 전달되거나 설치 시에 메타데이터로 정의된,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식별자,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식별자,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시작 조건, 및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료 조건을 획득하여,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스케쥴러의 큐(queue)에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 또는 111)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조건 또는 종료 조건에 따라,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또는 종료를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 또는 111)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등록된 서비스의 생명 주기를 감시하는 동안 등록된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예를 들어, 시스템이 멈추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또는 서비스가 크래쉬(crash)되거나 멈춘 경우와 같이 등록된 서비스가 의도치 않게 종료되는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종료된 서비스의 재시작을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 또는 111)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시 실행, 자동 실행, 및 자동 복구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프로세서(120 또는 111)를 작동시켜, 화상 형성 장치(100)가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방식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실행하여,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140)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에 구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114)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111)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실행하여,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것은 프로세서(12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0)의 프로세서(1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앱(App)"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고,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Service program management module)"은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의 시스템 펌웨어이다.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프로세서(processor)", "스케쥴러(scheduler)", "모니터(monitor)", 및 "리커버(recover)" 등의 세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Android Framework)"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프레임워크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의 부팅 시,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는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프로세서를 자동으로 등록하여,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다.(S 405)
앱은 최초 실행 또는 설치 시에,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앱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S 410)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설치된 앱을 실행시키면, 앱은 시스템 서비스가 수행하는 기능이 요구되는 서비스를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등록시키기 위하여, API를 호출하여 앱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등록에 이용되는 정보들을 파라미터로 전달할 수 있다. API는 이와 같이 전달된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프로세서를 호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프로세서는 앱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프로세서는 앱의 식별자, 앱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식별자, 앱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시작 조건 및 종료 조건을 파라미터로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앱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등록은 앱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 최초 설치될 때, 메타데이터로 정의하여 앱이 실행되기 전에 미리 수행될 수도 있다.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파라미터의 정보들을 스케쥴러의 큐(queue)에 등록할 수 있다.(S 415)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스케쥴러는 복수의 서비스들을 등록할 수 있으며, 등록되는 서비스의 개수를 제한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프로세서는 수신된 파라미터의 정보들을 스케쥴러의 큐에 등록하면, 앱의 서비스 등록 요청에 대한 요청 결과를 통지할 수 있다.(S 420)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프로세서는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조건에 해당되면,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을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 요청할 수 있다.(S 425)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는 앱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작시킬 수 있다.(S 430)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모니터는 등록된 서비스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감시할 수 있다.(S 435) 예를 들어, 등록된 서비스의 동작 조건이 상시 실행인 경우,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모니터는 등록된 서비스가 계속 제공되는지 감시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가 의도치 않게 종료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멈추거나 에러가 발생한 경우 또는 서비스가 크래쉬(crash)되거나 멈춘 경우와 같이, 서비스의 종료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등록된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면,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모니터는 리커버에게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서비스의 복구를 요청할 수 있다.(S 440)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리커버는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서비스의 재시작을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 요청할 수 있다.(S 445)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모니터는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서비스의 복구를 감시할 수 있다.(S 450)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리커버는 재시작 요청한 서비스를 스케쥴러의 큐에 다시 등록할 수 있다.(S 455)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는 앱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재시작시킬 수 있다.(S 460)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프로세서(processor)는 등록된 서비스의 종료 조건에 해당되면, 등록된 서비스의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에 요청할 수 있다.(S 465)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는 앱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S 470)
도 5는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흐름도이다.
S 510 블록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의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실행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생산시에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의 시스템 펌웨어로서 기본 설치될 수 있다.
S 520 블록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권한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은 서드 파티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벤더(vendor)에 의해 제공되어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안드로이드 기반 프로그램으로서 추가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에러 로그 수집 기능,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수행 완료되는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관리 기능, 및 화상 형성 장치(100)에 접속되는 주변 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6은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이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S 610 블록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최초 실행 시에 파라미터로 전달되거나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설치 시에 메타데이터로 정의된,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식별자, 서비스의 식별자, 서비스의 시작 조건, 및 서비스의 종료 조건을 획득할 수 있다.
S 620 블록에서,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스케쥴러의 큐(queue)에 해당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S 530 블록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는 시스템 서비스 권한이 요구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등록된 서비스의 관리는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속행, 종료 등을 관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조건 또는 종료 조건에 따라,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또는 종료를 관리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등록된 서비스의 생명 주기를 감시하는 동안 등록된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종료된 서비스의 재시작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00)는 상시 실행, 자동 실행, 및 자동 복구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이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속행, 종료 등의 관리를 위한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프레임워크에 요청할 수 있다.
S 710 블록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조건을 감시하여,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 720 블록에서,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조건에 해당하면,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을 위해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S 730 블록에서,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등록된 서비스의 생명 주기를 감시할 수 있다. 등록된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부터 등록된 서비스의 종료 조건에 해당할 때까지,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등록된 서비스의 동작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S 740 블록에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등록된 서비스의 종료 조건을 감시하여, 등록된 서비스의 종료 조건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S 750 블록에서, 등록된 서비스의 종료 조건에 해당하면,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등록된 서비스의 종료를 위해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S 760 블록에서,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등록된 서비스의 종료 조건에 해당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등록된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종료가 없는 경우,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등록된 서비스의 생명 주기를 계속하여 감시할 수 있다.
S 770 블록에서, 등록된 서비스의 종료 조건에 해당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등록된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종료된 서비스의 재시작을 위해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할 수 있다.
S 780 블록에서,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서비스의 복구를 감시할 수 있다.
S 790 블록에서,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서비스의 생명 주기를 관리하기 위하여, 재시작 요청한 서비스를 스케쥴러의 큐에 다시 등록할 수 있다.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다시 등록된 서비스의 생명 주기를 감시할 수 있다.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실시예들은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Claims (15)
-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의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권한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상기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하며, 시스템 서비스 권한이 요구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상기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생명 주기를 감시하는 동안 상기 등록된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상기 종료된 서비스의 재시작을 관리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조건 또는 종료 조건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또는 종료를 관리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시 실행, 자동 실행, 및 자동 복구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상기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최초 실행 시에 파라미터로 전달되거나 설치 시에 메타데이터로 정의된, 상기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서비스의 식별자, 상기 서비스의 시작 조건, 및 상기 서비스의 종료 조건을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스케쥴러의 큐(queue)에 상기 서비스를 등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생산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의 시스템 펌웨어로서 기본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에러 로그 수집 기능,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 완료되는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관리 기능,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는 주변 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 중 어느 하나인, 화상 형성 장치. -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의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실행하는 단계;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권한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상기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 및
시스템 서비스 권한이 요구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상기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생명 주기를 감시하는 동안 상기 등록된 서비스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된 경우,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상기 종료된 서비스의 재시작을 관리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조건 또는 종료 조건에 따라, 상기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상기 등록된 서비스의 시작 또는 종료를 관리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계는,
상시 실행, 자동 실행, 및 자동 복구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여, 상기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최초 실행 시에 파라미터로 전달되거나 설치 시에 메타데이터로 정의된, 상기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식별자, 상기 서비스의 식별자, 상기 서비스의 시작 조건, 및 상기 서비스의 종료 조건을 획득하여,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스케쥴러의 큐(queue)에 상기 서비스를 등록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생산시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의 시스템 펌웨어로서 기본 설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에러 로그 수집 기능,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 완료되는 화상 형성 작업에 대한 관리 기능,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접속되는 주변 기기에 대한 관리 기능 중 어느 하나인, 화상 형성 장치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레이어의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실행하는 명령어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권한을 가지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의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관리 모듈에 상기 사용자 정의 서비스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등록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등록된 서비스를 관리하기 위해 시스템 서비스 권한이 요구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레이어의 시스템 서비스의 동작을 요청하는 명령어들;
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로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6126A KR20210009515A (ko) | 2019-07-17 | 2019-07-17 | 사용자 정의 서비스 관리 |
PCT/US2020/013020 WO2021011027A1 (en) | 2019-07-17 | 2020-01-10 | Managing user-defined service |
US17/297,972 US11425270B2 (en) | 2019-07-17 | 2020-01-10 | Managing user-defined ser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6126A KR20210009515A (ko) | 2019-07-17 | 2019-07-17 | 사용자 정의 서비스 관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9515A true KR20210009515A (ko) | 2021-01-27 |
Family
ID=7421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6126A Withdrawn KR20210009515A (ko) | 2019-07-17 | 2019-07-17 | 사용자 정의 서비스 관리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425270B2 (ko) |
KR (1) | KR20210009515A (ko) |
WO (1) | WO2021011027A1 (ko)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415557B2 (ja) | 2000-04-04 | 2003-06-09 | 日本電気株式会社 | プリンタ制御方法およびプリンタ装置およびプリンタシステム |
KR100432367B1 (ko) | 2003-04-30 | 2004-05-20 | 푸른정보기술(주) | 네트웍/로컬/공유 프린터들의 관리 및 인쇄 제어시스템 |
JP4690355B2 (ja) * | 2007-03-16 | 2011-06-01 | 株式会社リコー |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
US8477350B2 (en) * | 2010-03-16 | 2013-07-02 | Google Inc. | Cloud-based print service |
JP2012043398A (ja) | 2010-07-21 | 2012-03-01 | Canon Inc | コンテンツ印刷システム、および印刷中継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8928899B2 (en) * | 2011-02-24 | 2015-01-06 | Ricoh Company, Ltd. | Web services printer driver |
JP5955148B2 (ja) * | 2012-07-27 | 2016-07-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及び仮想マシンプログラム |
JP2015149568A (ja) * | 2014-02-05 | 2015-08-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KR101478708B1 (ko) | 2014-07-30 | 2015-02-03 | (주)와우소프트 |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출력물 모니터링 시스템 |
US9595037B2 (en) | 2014-12-16 | 2017-03-14 | Ebay Inc. | Digital rights and integrity management in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
JP6643832B2 (ja) * | 2015-08-31 | 2020-02-12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
US10051154B2 (en) * | 2016-01-13 | 2018-08-14 | Canon Kabushiki Kaisha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i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
-
2019
- 2019-07-17 KR KR1020190086126A patent/KR20210009515A/ko not_active Withdrawn
-
2020
- 2020-01-10 US US17/297,972 patent/US11425270B2/en active Active
- 2020-01-10 WO PCT/US2020/013020 patent/WO202101102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150369A1 (en) | 2022-05-12 |
WO2021011027A1 (en) | 2021-01-21 |
US11425270B2 (en) | 2022-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88673B2 (ja) |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管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 | |
CN109739619B (zh) | 一种基于容器化应用的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WO2014166292A1 (zh) | 应用程序管理方法、装置、服务器及终端设备 | |
US10809993B2 (en) | System,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rol method for management device,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US10491461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 |
RU2517542C2 (ru) | Аппарат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аппаратом обработки изображений | |
US9965299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 |
US11960873B2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model for solving issues using a set of actions performed on the client environment | |
US20160006709A1 (en) |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0430119B2 (en) | Mechanism for multiple coexisting configurations support in virtual tape applications | |
US20150180955A1 (en) | Manage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for managing a network device | |
US11281550B2 (en) | Disaster recovery specific configurations, management, and application | |
KR20150100527A (ko) |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CN110377328A (zh) | 一种数据获取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 |
JP2009037589A (ja) | プログラム判定装置、プログラム判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JP5013999B2 (ja) |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KR20210009515A (ko) | 사용자 정의 서비스 관리 | |
JP6642012B2 (ja) | 情報処理システム | |
US9537715B2 (en) | Management system and monitoring apparatus | |
JP4976329B2 (ja) | 追加プログラムを実行可能な装置、障害解析支援方法、及び障害解析支援プログラム | |
US9696780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ystem, management apparatus, and power status control method | |
JP2019168845A (ja) |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 | |
JP5263358B2 (ja) |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 |
JP5798973B2 (ja) | 処理状態が遷移する複数のプログラムを実行する装置及び方法 | |
CN109814950B (zh) | 服务调度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