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7703A - Dryer - Google Patents
Dr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7703A KR20210007703A KR1020190084596A KR20190084596A KR20210007703A KR 20210007703 A KR20210007703 A KR 20210007703A KR 1020190084596 A KR1020190084596 A KR 1020190084596A KR 20190084596 A KR20190084596 A KR 20190084596A KR 20210007703 A KR20210007703 A KR 202100077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ressor
- compressor chamber
- chamber housing
- cooling fan
- dr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0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33—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encapsul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04B39/064—Cooling by a cooling jacket in the pump ca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6—Cooling; Heating; Prevention of freezing
- F04B39/066—Cooling by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함과 동시에 압축기를 냉각시키는 압축기실을 포함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yer including a compressor chamber for cooling the compressor while blocking noise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세탁, 탈수 및/또는 건조 등의 여러 작용을 통해 세탁물을 처리하는 장치로, 세탁기, 탈수기, 의류 건조기를 통칭한다. In general, a laundry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that processes laundry through various actions such as washing, dehydration and/or drying, and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washing machine, a dehydrator, and a clothes dryer.
특히, 의류 건조기는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젖은 세탁물이 투입된 드럼 내부로 열풍을 송풍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In particular, a clothes dryer is a device for drying laundry by blowing hot air into a drum into which wet laundry is injected while rotating the drum.
한편, 압축기 구동 장치는, 압축기 구동 장치 내의 모터를 제어하여, 압축기에 응축된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며, 특히, 의류 건조기 내의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ressor driving device is a device for controlling a motor in the compressor driving device to adjust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condensed in the compressor, and in particular, may be used to drive the compressor in the clothes dryer.
이러한, 의류 건조기에 있어서, 주요 소음은 압축기에 의해 발생되므로,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 또는 저감하기 위해, 압축기의 외둘레면을 흡음재 및/또는 차음재로 감싸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In the clothes dryer, since the main noise is generated by the compressor, in order to block or reduce the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a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mpressor with a sound absorbing material and/or a sound insulating material may be formed.
다만, 압축기의 둘레를 흡음재 및/또는 차음재로 감싸는 경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압축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압축기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건조기의 경우, 내부에 고온의 공기가 유동하여 내부의 온도가 높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압축기를 냉각이 필요하다. 상기의 흡음재로 둘러싸인 압축기 외부에 별도의 냉각팬을 작동시키더라도, 흡음재에 의해 압축기의 온도가 쉽게 내려가지 않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circumference of the compressor is wrapped with a sound-absorbing material and/or a sound-insulating material, heat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increases, thereby affecting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dryer, since the high-temperature air flows inside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is maintained at a high state, cooling the compressor is required. Even if a separate cooling fan is operated outside the compressor surrounded b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mpressor is not easily lowered by the sound absorbing material.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건조기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의 온도를 낮출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er capable of lowering the temperature of a compressor disposed inside the drye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압축기를 냉각시키면서,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er that reduces noise generated from the compressor while cooling the compressor.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압축기를 냉각시킨 공기로, 압축기를 제어하는 압축기 제어패널을 함께 냉각시키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yer for cooling a compressor control panel that controls a compressor with air cooled down a compresso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기를 구비하여 상기 드럼 내부로 고온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는 히트펌프 모듈;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상기 압축기 외둘레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인 압축기실을 형성하는 압축기실 하우징; 및 상기 압축기실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여, 압축기실 하우징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압축기 주위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binet forming an exterio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A heat pump module including an evaporator,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xpander through which refrigerant circulates to supply hot dry air into the drum;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which reduces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and forms a compressor chamber, which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around the compressor; And a cooling fan for flowing air into the compressor chamber, so that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reduces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and forms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around the compressor.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상기 냉각팬은 상기 압축기를 향해 배치되어, 압축기 주위의 공기를 직접적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The cooling fan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toward the compressor, so that the air around the compressor can be directly flowed.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은 상기 캐비닛 외부의 공기가 상기 압축기실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압축기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 외부로 유동하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로 압축기를 냉각할 수 있다.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port through which air from outside the cabinet flows into the compressor chamber and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compressor chamber flows outside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Can cool.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상기 냉각팬은 압축기실 하우징의 상기 유입구에 배치되거나,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의 상기 배기구에 배치거나, 상기 압축기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cooling fan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the exhaust port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mpressor chamber.
압축기실 하우징의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면은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면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부의 공기가 압축기실로 유입될 수 있다. The surface on which the inlet port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is formed may be interview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and in this case, external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ompressor chamber.
냉각팬이 상기 압축기실 내부에 배치될 때, 상기 냉각팬의 크기는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에 형성된 유입구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공간을 협소하게 할 수 있다. When the cooling fan is disposed inside the compressor chamber, the size of the cooling fan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nlet formed in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so that the space through which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escapes to the outside may be narrowed.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의 유입구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캐비닛-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여, 압축기실이 캐비닛과 떨어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ompressor room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inlet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abinet-inlet port formed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to one side of the cabinet, and the compressor chamber may be disposed inside the cabinet away from the cabinet.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상기 냉각팬은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캐비닛-유입구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압축기실 내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 The cooling fan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cabinet-in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cabinet, so that external air may flow into the compressor chamber.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은,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재; 및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의 외형을 유지하는 구조부재를 포함하여, 압축기실의 형태를 유지하고,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ound absorbing material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And a structural member for maintaining the outer shape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thereby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compressor chamber and reducing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은, 상기 흡음재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음하는 스킨층이 형성되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음할 수 있다.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ound-absorbing material to form a skin layer for sound-isolating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so that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may be sound-insulated.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에는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보조홀이 추가로 형성되어, 압축기의 구조물과 간섭을 피하고, 압축기실을 유동하는 공기가 압축기실 외부와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In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uxiliary hole is additionally form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so as to avoid interference with the structure of the compressor, and the air flowing in the compressor chamber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of the compressor chamber. A passage can be formed.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기 제어패널; 상기 압축기 제어패널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압축기 제어패널실; 상기 압축기실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상기 압축기 제어패널실로 보내는 내부 연결관을 더 포함하여, 압축기를 제어하는 압축기제어패널을 냉각시킬 수 있다.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mpressor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compressor; A compressor control panel room defining a space in which the compressor control panel is disposed; The compressor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compressor may be cooled, further comprising an internal connection pipe for sending the air exhausted from the compressor room to the compressor control panel room.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상기 냉각팬은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과 상기 내부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배치되어, 압축기제어패널실으로 압축기실의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The cooling fan of 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the internal connection pipe are connected, so that air in the compressor chamber can flow to the compressor control panel chambe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건조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According to the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는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압축기 외둘레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인 압축기실을 형성하는 압축기실 하우징으로, 냉각팬이 공기를 유동시켜, 압축기를 냉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that reduces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and forms a compressor chamber, which is a space where air flows around the compressor. A cooling fan flows air to cool the compressor. There is this.
구체적으로는, 압축기실에서 압축기가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을 일정 이상으로 형성하고, 압축기실 하우징의 재질을 흡음재 및 구조를 형성하는 구조부재로 형성하여, 압축기실 내부의 공기유동을 일정이상으로 형성하여 압축기를 냉각시킬 수 있고,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 및 차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Specifically, the ratio of the volume occupied by the compressor in the compressor chamber is formed above a certain level, and the material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is formed of a sound absorbing material and a structural member forming a structure, thereby forming the air flow inside the compressor chamber to a certain level or more. It is possible to cool the compressor,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absorb and sound insulation of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또한, 압축기실와 압축기를 제어하는 압축기제어패널이 배치되는 압축기제어패널실을 연결하고, 냉각팬을 사이에 배치하여, 압축기실과 압축기제어패널실을 동시에 냉각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mpressor room and the compressor control panel room can be simultaneously cooled by connecting the compressor room and the compressor control panel room in which the compressor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the compressor is disposed and a cooling fan is disposed therebetween.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을 포함한 건조기 하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압축기실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를 자른 절단면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재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에서 냉각팬의 배치가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c는 도 9a에서 냉각팬의 배치가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d는 도 9a에서 냉각팬의 배치가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와 압축기제어패널실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air inside th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lower portion of the dryer including the compressor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is removed from FIG. 3.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3.
6 is a plan view of FIG. 3.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6;
8A and 8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aterial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A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B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 cooling fan is arranged in FIG. 9A.
9C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cooling fan in FIG. 9A.
9D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cooling fan in FIG. 9A.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ape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hape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nd a compressor control panel cha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are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who have,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건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 dryer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건조기 전체구성><Overall configuration of dry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low of air inside the dry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2), 캐비닛(12)의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드럼(30),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드럼(30)으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히트펌프 모듈을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2)은 건조기(10)의 외관을 형성하고, 드럼(30)과 그 밖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캐비닛(12)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캐비닛(12)의 전면에는 건조대상물을 내부로 투입하거나, 꺼내는 투입구(24)가 형성되고, 상기 투입구(24)는 도어(26)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26)는 캐비닛(12)의 전방면에 힌지고정되어, 캐비닛(12)의 전방에 형성된 투입구(24)를 개폐할 수 있다. In the front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2)은 프론트커버(14), 탑플레이트(16), 사이드커버(18) 및 베이스(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들은 각각의 독립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체결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상기 구성들 중 일부는 일체로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26)는 프론트커버(1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도어글래스(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글래스(28)는 사용자가 드럼(30)의 내측을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26)는 드럼(30)의 내측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The
프론트커버(14)의 상부에는 컨트롤 패널(17)이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2)에는 건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LCD, LED 패널 등), 사용자로부터 건조기에 대한 작동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예를 들어, 버튼,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 동작상태에 대한 음성안내, 효과음 또는 경고음이 출력되는 스피커(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 A control panel 17 may be disposed o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30)은 캐비닛(12)의 내부에 배치된다. 캐비닛(12)의 내부공간에서 드럼(30)의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44) 및 히트펌프 모듈은 드럼(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드럼(30)은 전면과 배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30)은 전면에 건조대상물이 투입되는 의류투입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의 배면에는 드럼(30)을 순환하는 공기가 유입되는 연통홀(32)이 형성될 수 있다.The
드럼(30)은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리프트(34)가 배치된다. 리프트(34)는 드럼(30)의 내주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드럼(30)의 회전시 건조대상물을 들어올린 후 자유 낙하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30)은 캐비닛(12)에 구비되는 서포터(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At least one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는 캐비닛(12)의 베이스(20)에 고정되는 모터(42)와, 모터(42)의 회전력을 드럼(30)으로 전달하는 구동벨트(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42)는 드럼(30)이 연결되는 구동축에, 드럼(30)에 감긴 구동벨트가 걸리는 구동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모터의 회전에 의해 드럼(3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아이들 풀리(idle pulley,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구동벨트는 구동풀리와 아이들 풀리에 걸린 상태로 드럼(30)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다. 모터의 회전 시 구동 풀리에 의해 구동벨트가 이송되고, 구동벨트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드럼(3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42)는 송풍팬(44)과 연결되어 송풍팬(44)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42)는 양축모터로 각각의 구동축에 드럼(30)과 송풍팬(44)이 연결될 수 있다.The
송풍팬(44)은 구동부의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송풍팬(44)의 회전에 의해, 드럼(30) 내의 공기가 흡입덕트(46) 내로 유입될 수 있다. The blowing
송풍팬(44)의 회전 시,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흡입덕트(46)로 안내되어 송풍팬(44)으로 공급된다. 흡입덕트(46)는 전방 서포터의 전면에 결합되며, 송풍팬(44)의 흡입구와 연통되어 있다. 송풍팬(44)은 드럼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히트펌프 모듈을 거쳐 다시 드럼으로 유입되도록 하여 공기를 순환시킨다. When the blowing
드럼(30)은 정회전 시, 배면 측에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고, 전면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또한, 드럼은, 역회전 시 전면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배면 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Whe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드럼(30), 흡입덕트(46) 및 히트펌프 모듈은 건조기(10) 내부의 공기가 순환하는 순환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The
순환유로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순환유로는 송풍팬으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히트펌프 모듈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또한, 히트펌프모듈로부터 토출된 공기가 히터를 통해 드럼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순환유로는 드럼의 배면측에도 구비되어 가열된 공기가 드럼(30)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The circulation passage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irculation passage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ing fan to flow into the heat pump module, and also guides the air discharged from the heat pump module to flow into the drum through the heater. The circulation passage is also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drum to guide the heated air into the
드럼(30)을 경유하는 순환유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순환유로는 드럼과 연결되어 공기 순환을 위한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순환유로는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덕트(미도시) 및 외기가 유입되는 흡입덕트(46)와 연결될 수 있다. The circulation passage passing through the
필터어셈블리(54)는 투입구에 설치되어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어 흡입덕트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lint)를 채집한다. The
히트펌프 모듈은 냉매를 순환시켜, 히트펌프 사이클을 작동시킨다. The heat pump module circulates the refrigerant to operate the heat pump cycle.
드럼(30)의 내부에 수용되는 건조대상물은 드럼으로 공급되는 가열된 공기에 의해 건조된다. 드럼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건조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증발된 수분을 합습하여 순환유로로 유입되고, 히트펌프 모듈을 통해 가열된 후 다시 드럼으로 공급된다. The drying object accommodated in the
히트펌프 모듈은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50), 압축기(100), 응축기(52) 및 팽창기(미도시)를 구비하여, 드럼(3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건조 및 가열시킨다. The heat pump module includes an
히트펌프 모듈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0),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52),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 및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50)를 포함한다. 드럼(30)에서 빠져나온 공기는 증발기(50)를 거치면서 함습하고 있는 수분이 응축되며, 응축기(52)를 거치면서 가열된 저습한 공기가 드럼(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The heat pump module includes a
<압축기실 및 냉각팬><Compressor chamber and cooling fa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을 포함한 건조기 하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압축기실 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를 자른 절단면도이다.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재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lower portion of the dryer including the compressor cha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is removed from FIG. 3.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3. 6 is a plan view of FIG. 3.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VII-VII' of FIG. 6. 8A and 8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aterial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는 히트펌프 모듈을 유동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00), 상기 압축기(100)의 외둘레에서 이격배치되며, 압축기(10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압축기실 하우징(112) 및 압축기실 하우징(112)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110)을 포함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내부에 압축기(100)가 배치되는 공간인 압축기실(114)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114)은 압축기(100)가 배치되는 공간 이외에, 압축기(100) 외둘레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포함한다. 압축기실(114)에서 압축기(100) 이외의 공간은 냉각팬(110)에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이 일정속도 이상을 유지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114)에서 압축기(100)가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은 1/2 내지 1/4 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압축기(100)의 외둘레에서 이격배치되어 압축기(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압축기 냉각팬(11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압축기(100)의 둘레를 유동하도록 압축기(100)가 냉각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The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단면이 5각형인 기둥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의 단면의 형태는 건조기(10) 하부의 공간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4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6,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압축기실(114)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116)과 압축기실(114)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는 적어도 하나의 배기구(118)이 형성될 수 있다.The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건조기(10) 외부의 공기가 압축기실(114)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16)과, 압축기실(114) 내부의 공기가 압축기실(114) 외부로 빠져나가는 배기구(118)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압축기(100)의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 보조홀(119)이 형성된다. 상기 보조홀(119)을 통해, 압축기실(114) 내부로 압축기실(114)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거나, 압축기실(114) 내부의 공기가 압축기실(114)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3 to 7,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유입구(116)에는 외부의 공기를 압축기실(114)로 유동시키는 냉각팬(110)이 배치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배기구(118)에 배치되거나, 압축기실(114) 내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냉각팬(110)이 압축기실(114) 내부의 공기를 건조기 외부로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유입구(116)가 형성되는 일측면에서, 캐비닛(12)의 연통홀(32)가 형성되는 면과 면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A cooling
도 6을 참조하면, 냉각팬(110)이 배치되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유입구(116)은 건조기(10)의 외부와 연통가능하게 배치되고, 배기구(118)은 건조기(10)의 내부 공간으로 연통가능하게 배치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압축기 냉각팬(11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압축기(100)의 둘레를 따라 유동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압축기실(114)을 유동하는 공기가 압축기(100)의 외둘레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압축기(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압축기(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재(120)와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외형을 유지하는 구조부재(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130)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부재(130)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수지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120)는 압축기(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여, 외부로 빠져나가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120)는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의 재질로 이루어진 다공성부재일 수 있다. The sound-absorbing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흡음재(120)의 양측면에 스킨층을 형성하여, 압축기(100)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음 또는 차음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8B,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100)를 향해 배치된다. 여기서, 냉각팬(110)이 압축기(100)를 향해 배치된다는 것은, 냉각팬(110)의 회전축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선이 압축기(100)를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압축기(100)를 향해 배치된 냉각팬(110)은 작동시, 압축기(100) 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냉각팬(110)은 압축기실(114)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켜 압축기(100)를 냉각시킨다. The cooling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 및 냉각팬의 배치><The shape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the arrangement of the cooling fan>
도 9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와 도 11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와 압축기제어패널실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and 11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ape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hape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nd a compressor control panel cha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9a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의 형태와 냉각팬의 배치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an arrangement of a cooling fa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A to 16.
도 9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114)은 압축기(100) 둘레로 이격된 사각박스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둘레면 중 일측면에 외부의 공기가 압축기실(114)로 유입되는 유입구(116)가 형성되고, 둘레면 중 다른 측면에 압축기실(114) 내부의 공기가 빠져나가는 배기구(118)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9A,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유입구(116)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100)를 향해 배치된다. 냉각팬(110)은 압축기(100)로 공기를 외부의 공기를 유동시킨다. The cooling
본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116)가 형성된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일측면은 캐비닛(12)과 면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 경우, 냉각팬(110)의 작동으로 외부의 공기가 압축기실(114)로 유입되어 압축기(100)를 냉각할 수 있다. One side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배기구(118)는 건조기(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 압축기실(114) 내부의 공기는 배기구(118)를 통해 건조기(10) 내부로 유동하고, 캐비닛(12)의 일측면에 별도로 구비된 연통홀(미도시)을 통해 건조기(10)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The
도 9b를 참조하면, 냉각팬(110)이 압축기실 하우징(112)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이 형성하는 압축기실(114)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판(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이 형성하는 유입구(116)와 이격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B, the cooling
도 9b를 참조하면, 냉각팬(110)은, 압축기실(114) 외측에 배치되고, 압축기실 하우징(112)이 형성하는 유입구(116)에서 이격배치된다. 이경우, 냉각팬(110)의 작동으로, 냉각팬(110)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으로, 유입구(116) 주변에서 냉각팬(110)을 통하지 않은 공기가 압축기실(114)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B, the cooling
도 9c를 참조하면, 냉각팬(110)이 압축기실 하우징(112)에 이격배치될 수 있다.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이 형성하는 압축기실(11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판(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이 형성하는 유입구(116)와 이격된 압축기실(11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C, the cooling
도 9c를 참조하면, 냉각팬(110)은, 압축기실(114) 내측에 배치되고, 압축기실 하우징(112)이 형성하는 유입구(116)에서 압축기(100) 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이경우, 냉각팬(110)의 작동으로, 냉각팬(110)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으로, 유입구(116)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팬(110)을 통하지 않고, 압축기(1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C, the cooling
도 9d를 참조하면,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배기구(118)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팬(110)은, 배기구(118)에 배치되어, 압축기실(114)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118)을 통해 외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D, the cooling
이경우, 유입구(116)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압축기실(114) 내부로 유동하고, 압축기(110) 주위로 공기유동을 형성하여, 압축기(100)를 냉각시키고, 배기구(118)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rough the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114)도 대략 사각박스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둘레면 중 일측면에 외부의 공기가 압축기실(114)로 유입되는 유입구(116)가 형성되고, 둘레면 중 다른 측면에 압축기실(114)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배기구(118)가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10,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유입구(116)는 냉각팬(110)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실(114)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외부의 공기를 압축기실(114) 내부로 유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100)를 향해 배치된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유입구(116)의 크기를 줄여, 압축기(100)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e
도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114)은 압축기(100)의 둘레로 이격된 원기둥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원기둥 형태의 압축기(100)의 외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배치된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둘레면 중 일측에 유입구(116)가 형성되며, 유입구(116)에 냉각팬(11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건조기(10)의 베이스(2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둘레면의 하측으로 배기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유입구(116)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A, the
냉각팬(110)이 배치되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유입구(116)는 캐비닛(12)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홀(32)와 연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압축기실 하우징(112)은 유입구(116)가 형성되는 일측면에서, 캐비닛(12)의 연통홀(32)가 형성되는 면과 면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따라서, 냉각팬(110)의 작동으로 외부에서 압축기실(114)로 유입된 공기는 압축기(100) 둘레를 유동하며, 하측으로 이동하여, 건조기(10)의 내부공간을 배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도 11b를 참조하면, 압축기실(114) 내부의 공기 유동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냉각팬(110)이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경우, 냉각팬(110)의 작동으로, 압축기실(114) 외부에 배치되는 건조기(10) 내부의 공기가 압축기실(114)로 유동하여 압축기(100)를 냉각시키고, 캐비닛(12) 외부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B,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cooling
도 12를 참조하면, 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상면()에 배치되고, 배기구(118)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건조기(10) 내부의 공기가 압축기실(114)로 유입되어, 압축기실(114) 내부를 유동하고, 압축기실 하우징(112)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으로 압축기(1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a cooling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과 떨어진 캐비닛(12)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유입구(116)는 별도의 연결관(132)을 통해 냉각팬(110)과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3, the cooling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116)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상측에 형성되고, 배기구(118)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팬(110)의 작동으로 건조기(10) 외부의 공기가 연결관(132)을 통해 압축기실(114)로 유입되며, 압축기실(114) 내부에서는 공기가 압축기(100)의 둘레를 따라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며, 압축기(1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The cooling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도 압축기실 하우징(112)과 떨어진 캐비닛(12)의 일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유입구(116)은 별도의 연결관(132)을 통해 냉각팬(110)과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4, a cooling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상측과 하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캐비닛(12)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홀(3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116)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배기구(118)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유입구(116)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된 배기구(118)와의 거리와 각각의 배기구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cooling
따라서, 냉각팬(110)의 작동으로 건조기(10) 외부의 공기가 압축기실(114)로 유입되며, 압축기실(114) 내부에서는 공기가 압축기(100)의 둘레면을 따라 상측과 하측으로 유동하며, 압축기(100)를 냉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air from the outside of the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배기구(118)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구(118)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구(118)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둘레면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a cooling
본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116)는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둘레면 중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입구(116)는 연결관(132)을 통해 캐비닛(12)의 연통홀(32)와 연결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실(114) 내부의 공기를 압축기실(114) 외부로 유동시킨다. 냉각팬(110)의 작동으로,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둘레면 하측에 형성된 유입구(116)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다. 압축기실(114) 내부에서는 유입구(116)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압축기(100)를 둘레를 따라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압축기실(114)의 상측으로 유동한 공기는 냉각팬(110)을 통해 압축기실(114)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The cooling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는 건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패널(미도시)과 압축기(100)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제어패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기 제어패널(140)은 드럼(30)의 하측에 압축기제어패널실(14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는 압축기 제어패널(140)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압축기제어패널실(142)과, 압축기제어패널실(142)과 압축기실(114)을 연통시키는 내부연결관(1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a
압축기 제어패널(140)은, 압축기(100) 내의 압축기모터(미도시)를 제어하여, 압축기(100)에서 토출되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며, 특히, 압축기(100)를 구동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패널(140)은, 압축기의 구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인버터(420)의 각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주파수를 기 설정된 범위에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 제어패널(140)은 압축기(100)와 전기적인 연결선(146)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배기구(118)는 내부연결관(144)을 통해 압축기제어패널실(142)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축기실(114)과 압축기제어패널실(142)은 내부연결관(144)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배기구(118)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110)은 압축기실 하우징(112)과 내부연결관(144)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냉각팬(110)은 압축기실(114) 내부나, 압축기실 하우징(112)의 유입구(116)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따라서, 냉각팬(110)의 작동으로 압축기실(114)을 유동하는 공기는 내부연결관(144)을 통해 압축기제어패널실(142)로 유동하여, 압축기 제어패널(14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압축기실(114)을 유동하고, 배출되는 공기를 활용하여, 압축기 제어패널(140)을 냉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air flowing through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건조기
12 : 캐비닛
26 : 도어
30 : 드럼
50 : 증발기
52 : 응축기
54 : 필터어셈블리
100 : 압축기
110 : 냉각팬
112 : 압축기실 하우징
114 : 압축기실
116 : 유입구
118 : 배기구
119 : 보조홀
120 : 흡음재
122 : 스킨층
124 : 흡음부재
130 : 구조부재
132 : 연결관
140 : 압축기 제어패널
142 : 압축기제어패널실
144 : 내부연결관10: dryer 12: cabinet
26: door 30: drum
50: evaporator 52: condenser
54: filter assembly 100: compressor
110: cooling fan 112: compressor chamber housing
114: compressor room 116: inlet
118: exhaust port 119: auxiliary hole
120: sound-absorbing material 122: skin layer
124: sound-absorbing member 130: structural member
132: connector 140: compressor control panel
142: compressor control panel room 144: internal connection pipe
Claims (16)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드럼;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및 팽창기를 구비하고,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증발기 또는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시키는 히트펌프 모듈;
상기 히트펌프 모듈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드럼 내부로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고, 상기 압축기 외둘레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인 압축기실을 형성하는 압축기실 하우징; 및
상기 압축기실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냉각팬을 포함하는 건조기.Cabinets forming the exterior;
A drum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A heat pump module including an evaporator, a compressor, a condenser, and an expander through which refrigerant circulates, and heat-exchanging flowing air with the evaporator or the condenser;
A blower fan for flowing the air heat-exchanged by the heat pump module into the drum;
A compressor chamber housing which reduces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and forms a compressor chamber, which is a space through which air flows around the compressor; And
A dryer comprising a cooling fan for flowing air into the compressor chamber.
상기 냉각팬은 상기 압축기를 향해 배치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cooling fan is a dryer disposed toward the compressor.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은 상기 캐비닛 외부의 공기가 상기 압축기실로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압축기실 내부의 공기가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 외부로 유동하는 배기구가 형성된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has an inlet port through which air from outside the cabinet flows into the compressor chamber and an exhaust port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compressor chamber flows outside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상기 냉각팬은 압축기실 하우징의 상기 유입구에 배치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3,
The cooling fan is a dryer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의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면은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면접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4,
A dryer for interviewing a surface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on which the inlet is formed to one side of the cabinet.
상기 냉각팬은, 압축기실 하우징의 상기 유입구에 이격배치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3,
The cooling fan is a dryer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inlet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상기 냉각팬은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의 상기 배기구에 배치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3,
The cooling fan is a dryer disposed at the exhaust port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상기 냉각팬은, 압축기실 하우징의 상기 배기구에 배치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3,
The cooling fan is a dryer disposed in the exhaust port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상기 냉각팬은 상기 압축기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냉각팬의 크기는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에 형성된 유입구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3,
The cooling fan is disposed inside the compressor chamber,
The size of the cooling fan is formed larger than the size of the inlet formed in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의 유입구와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외부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된 캐비닛-유입구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3,
The dryer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inlet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the cabinet-inlet to allow external air to flow into one side of the cabinet.
상기 냉각팬은 상기 캐비닛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캐비닛-유입구에 배치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10,
The cooling fan is the cabinet formed on one side of the cabinet-a dryer disposed at the inlet.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은,
상기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음재; 및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의 외형을 유지하는 구조부재를 포함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1,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A sound absorbing material for reducing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And
A dryer comprising a structural member for maintaining the outer shape of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은, 상기 흡음재의 양측면에 배치되어 압축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음하는 스킨층이 형성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12,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is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sound-absorbing material to form a skin layer for insulating noise generated by the compressor.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에는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구조물과 간섭되지 않도록 보조홀이 추가로 형성된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3,
A dryer additionally formed in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so as not to interfere with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상기 압축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축기 제어패널;
상기 압축기 제어패널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압축기제어패널실;
상기 압축기실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상기 압축기 제어패널실로 보내는 내부 연결관을 더 포함하는 건조기.The method of claim 1,
A compressor control panel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compressor;
A compressor control panel room defining a space in which the compressor control panel is disposed;
Dryer further comprising an internal connection pipe for sending the air exhausted from the compressor room to the compressor control panel room.
상기 냉각팬은 상기 압축기실 하우징과 상기 내부 연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배치되는 건조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oling fan is disposed at a portion where the compressor chamber housing and the internal connection pipe are connected.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9/008672 WO2021010501A1 (en) | 2019-07-12 | 2019-07-12 | Dryer |
EP19938026.2A EP3998381A4 (en) | 2019-07-12 | 2019-07-12 | Dryer |
CN201980098365.3A CN114096708A (en) | 2019-07-12 | 2019-07-12 | Drying machine |
US17/626,636 US20220298716A1 (en) | 2019-07-12 | 2019-07-12 | Dryer |
KR1020190084596A KR20210007703A (en) | 2019-07-12 | 2019-07-12 | Dr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4596A KR20210007703A (en) | 2019-07-12 | 2019-07-12 | Dry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7703A true KR20210007703A (en) | 2021-01-20 |
Family
ID=7421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4596A Withdrawn KR20210007703A (en) | 2019-07-12 | 2019-07-12 | Dryer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98716A1 (en) |
EP (1) | EP3998381A4 (en) |
KR (1) | KR20210007703A (en) |
CN (1) | CN114096708A (en) |
WO (1) | WO202101050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10501A1 (en) * | 2019-07-12 | 2021-0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yer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64454A (en) * | 1991-12-16 | 1993-06-29 | Hitachi Ltd | refrigerator |
KR100664282B1 (en) * | 2005-12-21 | 2007-0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Heat pump system modular housing of clothes dryer and clothes dryer comprising the same |
JP5075731B2 (en) * | 2008-05-12 | 2012-11-21 | 株式会社東芝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KR100986156B1 (en) * | 2008-06-24 | 2010-10-07 | (주)아이마스티 | Interlayer noise prevention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JP2010012073A (en) * | 2008-07-04 | 2010-01-21 | Panasonic Corp | Clothes dryer |
DE102008044323A1 (en) * | 2008-12-03 | 2010-06-10 |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 Condensation dryer with a housing |
JP2010220933A (en) * | 2009-03-25 | 2010-10-07 | Toshiba Corp | Washing and drying machine |
CN102822410B (en) * | 2010-08-09 | 2015-06-17 | Lg电子株式会社 | Clothes dryer |
EP2460926A1 (en) * | 2010-12-02 | 2012-06-06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Heat pump dryer |
US9834882B2 (en) * | 2011-07-07 | 2017-12-05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Device and method for heat pump based clothes dryer |
EP2612963B1 (en) * | 2012-01-05 | 2016-03-30 |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 Appliance for drying laundry |
US9879372B2 (en) * | 2013-06-18 | 2018-01-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othes dryer |
KR102127383B1 (en) * | 2013-08-01 | 2020-06-2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Machine |
AU2015233716B2 (en) * | 2014-03-21 | 2019-09-12 |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 Laundry drying machine |
JP2016104111A (en) * | 2014-11-19 | 2016-06-09 |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 Dryer |
KR101711869B1 (en) * | 2015-01-13 | 2017-03-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ying machine |
EP3712322A1 (en) * | 2015-06-19 | 2020-09-23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dryer |
CN105937168B (en) * | 2016-05-31 | 2020-10-20 |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 Clothes dryer or washing and drying integrated machine |
KR102653163B1 (en) * | 2016-12-09 | 2024-04-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Fabric dryer |
WO2021010501A1 (en) * | 2019-07-12 | 2021-01-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yer |
KR20210070824A (en) * | 2019-12-05 | 2021-06-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Clothes dryer |
US11846064B2 (en) * | 2021-01-21 | 2023-12-19 |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 Lint filter clogging detection in a dryer appliance using compressor temperature and referigerant mass flow |
-
2019
- 2019-07-12 WO PCT/KR2019/008672 patent/WO2021010501A1/en unknown
- 2019-07-12 KR KR1020190084596A patent/KR20210007703A/en not_active Withdrawn
- 2019-07-12 US US17/626,636 patent/US20220298716A1/en active Pending
- 2019-07-12 CN CN201980098365.3A patent/CN114096708A/en active Pending
- 2019-07-12 EP EP19938026.2A patent/EP3998381A4/en not_active Withdra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998381A4 (en) | 2023-04-19 |
WO2021010501A1 (en) | 2021-01-21 |
US20220298716A1 (en) | 2022-09-22 |
CN114096708A (en) | 2022-02-25 |
EP3998381A1 (en) | 2022-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13456B1 (en) | Clothes care apparatus | |
US20070119072A1 (en) | Single body washing machine and dryer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KR102653163B1 (en) | Fabric dryer | |
US10184206B2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210028486A (en) | Clothing Dryer | |
JP2008173330A (en) | Clothes dryer | |
JP7319028B2 (en) | clothes dryer | |
JP2005253589A (en) | Dryer | |
KR20210007703A (en) | Dryer | |
JP2012090774A (en) | Laundry machine | |
JP2007215833A (en) | Washing/drying machine | |
KR102352396B1 (en) |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JP2006212265A (en) | Drier | |
KR20190087004A (en) | Dryer | |
JP2019136287A (en) | Clothes dryer | |
JP2016019654A (en) | Clothes dryer | |
JP2009240737A (en) | Cloth drier | |
KR20130004049A (en) | Clothes dryer | |
KR102646289B1 (en) | Dual type dryer | |
JP2020108697A (en) | Clothing dryer | |
KR102613562B1 (en) | Dual type dryer | |
KR101728754B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outer air intake hole | |
JP2006218313A (en) | Dryer | |
CN219218480U (en) | Laundry treatment equipment with motor cooling function | |
KR20190128491A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