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06770A - A cosmetic vessel with mixing different contents - Google Patents

A cosmetic vessel with mixing different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6770A
KR20210006770A KR1020190082799A KR20190082799A KR20210006770A KR 20210006770 A KR20210006770 A KR 20210006770A KR 1020190082799 A KR1020190082799 A KR 1020190082799A KR 20190082799 A KR20190082799 A KR 20190082799A KR 20210006770 A KR20210006770 A KR 20210006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mmunication
storage container
tube
conten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7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07992B1 (en
Inventor
함형길
Original Assignee
함형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형길 filed Critical 함형길
Priority to KR1020190082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992B1/en
Publication of KR20210006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7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99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개방된 상부로 상부캡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1내용물이 저장된 저장용기;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캡; 및 상기 하부캡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이동되는 분리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용기의 이동으로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분리용기가 연통됨에 따라, 상기 분리용기의 내측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상기 저장용기의 내측에 저장된 제1내용물과 혼합되는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for mixing heterogeneous contents,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in which a first content is stored in a state in which an upper cap is mounted on an open top; A lower cap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a separation container that is moved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lower cap, and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is opened,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separation container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the movement of the separation container. It relates to a heterogeneous content mixing type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second content stored inside the container is mixed with the first content stor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A cosmetic vessel with mixing different contents}A cosmetic vessel with mixing different contents}

본 발명은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내용물을 저장한 저장용기의 하부에 하부캡을 장착시킨 후, 하부캡을 통해 분리용기를 이동시켜 분리용기에 포함된 제2내용물이 제1내용물과 혼합되도록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저장용기의 상부에 저장된 내용물과 별도의 내용물을 저장용기의 하부에 저장한 상태에서 상부와 하부를 연통시켜 내용물을 혼합하는 종래기술과 달리, 저장용기와 분리된 상태에서 필요시 단순하게 분리용기를 이동시킴으로써 내용물이 혼합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증대된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for mixing heterogeneous contents, and after attaching a lower cap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storing the first contents, and then moving the separation container through the lower cap, the second contents included in the separation container are first It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that is mixed with different contents to be mixed with the contents.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contents stored in the upper part and the separate contents are stor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container and the contents are mixed by communica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separate container is simply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ntainer when necessa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for mixing heterogeneous contents with increased convenience of use by moving the contents to be mixed.

화장료이란 인체를 청결 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화장료는 화장품 용기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된다.Cosmetics are articles used for the human body to add attractiveness by cleansing and beautifying the human body, change appearance, or maintain or promote the health of skin and hair, and have a minor effect on the human body. These cosmetics are used by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needed while being placed inside the cosmetic container.

일반적으로 고가의 기능성 화장품에 있어서, 서로 다른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보다 뛰어난 효과를 가지는 경우, 사용자가 사용하기 직전에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종래에는 두 가지 내용물을 혼합,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 별도의 저장용기에 내용물을 보관하여 휴대하는 번거로움과 사용시 불편함의 문제점이 있었다.In general, in expensive functional cosmetics, in the case of having a better effect by mixing two different contents, the two contents were mixed and used immediately before use by the user. Conventionally, in order to mix and use the two contents, there is a problem of the inconvenience of storing and carrying the contents in separate storage containers and inconvenience in us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인 대한민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296574호를 살펴본다.A look at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96574, which is a prior art for solving this problem.

종래기술은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분리 보관 후 사용시에 회전캡의 회전동작에 의해 제2내용물차단부재가 제1내용물이 수용된 용기본체 쪽으로 이동하여 제2내용물이 제1내용물과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의 혼합 사용이 가능한 화장품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ior art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mixing and using different types of contents,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first contents and the second contents are separately stored and used, the second contents blocking member is formed by rotating the rotating cap. It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mixing and using different types of cont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ntents are mixed with the first contents by moving toward the contained container body.

그러나, 종래기술은 이종 내용물을 혼합하기 위한 그 구성요소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나아가 혼합하여 사용하기 전,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이지 않아, 혼합되기 전에도 제2내용물이 제1내용물 쪽으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components for mixing different contents are complicatedly configured, and further, before mixing and use, the first contents and the second contents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so that the second contents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There is a risk of leakage toward the first contents.

혼합되기 전에는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나아가 단순한 구성요소로서 간단한 작동만으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혼합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가 필요한 실정이다. Before mixing, the first contents and the second contents can be stored in a completely separated state, and furthermore, as a simple component,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first contents and the second contents can be mixed with only a simple operation is required.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종 내용물의 혼합 이전에는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저장되되, 혼합되는 경우 간단한 작동만으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혼합될 수 있는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를 제안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are stored in a completely separated state before mixing of the different contents, but when they are mixed,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can be mixed with only a simple operation. I would like to propose a cosmetic container that is mixed with different contents.

나아가, 이종 내용물 혼합 이전에 완전히 분리된 상태로 저장되되, 간단한 작동으로 혼합될 수 있도록 그 구성요소를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Furth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of a heterogeneous content mixture that is stored in a completely separated state before mixing with different content, bu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its components so that it can be mixed with a simple operation.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개방된 상부로 상부캡(110,410)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1내용물이 저장된 저장용기(100,400); 상기 저장용기(100,400)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캡(200,500); 및 상기 하부캡(200,50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이동되는 분리용기(300,600)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용기(100,400)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용기(300,600)의 이동으로 상기 저장용기(100,400)와 상기 분리용기(300,600)가 연통됨에 따라, 상기 분리용기(300,600)의 내측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상기 저장용기(100,400)의 내측에 저장된 제1내용물과 혼합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container 100 and 400 in which the first contents are stor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ps 110 and 410 are mounted on an open top; A lower cap (200,500) mounted under the storage container (100,400); And a separation container (300,600) that is moved to a state located inside the lower cap (200,500), and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0,400) is opened, the storage is stored by moving the separation container (300,600). As the containers 100 and 400 and the separation containers 300 and 6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second contents stored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s 300 and 600 are mixed with the first contents stor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s 100 and 400.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캡(200)의 내측에는 내측이 일정한 공간(240)으로 형성된 연통관(2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장용기(100)를 대면하는 상기 연통관(220)의 일단이 차단막(222)으로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관(220)의 타단으로 상기 분리용기(30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캡(200)의 상부 내측면으로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의 외측면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연통관(220)이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분리용기(300)의 외측면이 상기 연통관(22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분리용기(300)가 전진 이동됨에 따라 상기 차단막(222)이 상기 연통관(22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분리용기(300)의 내측에 저장된 상기 제2내용물이 상기 연통관(220)을 통하여 상기 제1내용물과 혼합된다.Preferably, a communication tube 220 formed in a space 240 having a constant inside is formed inside the lower cap 200, and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facing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a blocking film ( In the closed state with 222,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200 As it is mounted, the communication tube 2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separation container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 As 300 is moved forward, the blocking film 222 is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and the second contents stored in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are transferred to the first contents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 220. Is mixed with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용기(300)는, 상기 연통관(220)으로 삽입되는 삽입관(320); 및 상기 삽입관(320)의 타단에 형성된 누름판(340)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관(2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통관(220)의 일단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관(320)의 내측에 상기 제2내용물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관(320)의 외측면이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242)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진 이동된다.Preferably,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ncludes an insertion tube 320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tube 220; And a pressing plate 34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tube 320, 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a protrusion 242 protruding in an inward direction at a certain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 Is formed, and the second contents are stored inside the insertion tube 3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320 is moved forward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or more protrusions 242.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캡(500)의 내측에는, 내측이 일정한 공간(540)으로 형성된 연통관(5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장용기(400)를 대면하는 상기 연통관(520)의 일단에 연통홀(524)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통관(520)의 타단으로 상기 분리용기(6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캡(500)의 상부 내측면으로 상기 저장용기(400)의 하부의 외측면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연통관(520)이 상기 저장용기(400)의 하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분리용기(600)는, 상기 연통홀(524)을 개폐시키는 일정한 길이의 개폐봉(660); 일단의 중앙에 상기 개폐봉(660)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내측 공간으로 연통된 다수의 유동홀(672)이 형성된 삽입관(670); 및 상기 삽입관(670)보다 큰 외경으로 상기 삽입관(670)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몸체(68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에서 상기 몸체(6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리용기(600)가 후진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개폐봉(660)이 후진 이동되어 상기 연통홀(524)이 개방되고, 상기 분리용기(600)의 내측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상기 다수의 유동홀(672) 및 개방된 상기 연통홀(524)을 통하여 상기 제1내용물와 혼합된다.Preferably, inside the lower cap 500, a communication tube 520 formed in a space 540 having a constant inside is formed, and communicates with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facing the storage container 400 In the state in which the hole 524 is formed, a part of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and the storage container 400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As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art is mounted, the communication pipe 5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storage container 400, and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is an opening/closing r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munication hole 524 (660); An insertion tube 670 having a plurality of flow holes 672 formed at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d 660 extending in the center of one end and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space; And a body 680 formed in a stat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sertion tube 670 with an outer diameter greater than that of the insertion tube 670 and rota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And, as the separation vessel 600 is moved backward by the rotation of the body 680 from the lower inside of the lower cap 500, the opening and closing rod 660 is moved backward, so that the communication hole 524 is The second contents that are open and stored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are mixed with the first contents through the plurality of flow holes 672 and the open communication holes 524.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면에는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스톱돌출부(5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680)의 외측면에는 일단이 차단된 나사골(6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680)의 회전으로 상기 스톱돌출부(550)가 상기 나사골(682)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분리용기(60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며, 상기 스톱돌출부(550)가 상기 나사골(682)의 일단에 접촉되면서 상기 몸체(680)의 회전이 정지됨에 따라 상기 분리용기(600)의 후진 이동이 정지되며, 상기 나사골(682)의 일단은 상기 몸체(680)의 외측면에서 상기 삽입관(670)에 접하는 인근에 위치된다.Preferably,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is formed with a stop protrusion 550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inner surface, and one end is block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680 A screw bone 682 is formed, and as the stop protrusion 550 moves along the screw bone 682 by rotation of the body 680,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moves forward or backward, and the stop As the protrusion 550 contacts one end of the screw bone 682 and the rotation of the body 680 is stopped,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is stopped, and one end of the screw bone 682 is the body ( It is located adjacent to the insertion tube 67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680.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제1실시예에서는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간단히 분리용기를 하부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을 혼합할 수 있고, 나아가 단순히 하부캡의 내측에서 이동될 수 있는 분리용기만으로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에서 저장되고, 혼합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어, 그 구성요소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Du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in the first embodiment,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tents and the second contents are completely separated, the first contents and the second contents can be mixed by simply moving the separation container to the lower cap. It is stored in a completely separated state with only a separating container that can be moved inside the lower cap, and mixing can be made simply, thereby simplifying its components.

제2실시예에서는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간단히 분리용기를 회전시키면서 뒤로 후진시킴에 따라 자연스럽게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이 혼합될 수 있고, 나아가 다시 분리용기를 전진시켜 제2내용물의 유동을 차단시킬 수 있는 바, 분리용기의 이동으로 제1내용물과 제2내용물의 혼합 용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are completely separated,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can be naturally mixed by simply rotating the separation container and moving backwards, and further, the separation container is advanced again. As a result, the flow of the second contents can be blocked, and the mixing capacity of the first contents and the second contents can be adjusted by moving the separation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하부캡과 분리용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하부캡과 분리용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cap and the separation containe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lower cap and the separation container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는 개방된 상부에 상부캡(110)이 장착되는 저장용기(100), 저장용기(100)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캡(200) 및 하부캡(200)의 내측에서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분리용기(300)를 포함한다.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container 100 in which an upper cap 110 is mounted on an open top, a lower cap 200 and a lower cap 200 mounted on the open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It includes a separation container 300 that is moved in a state located inside of.

저장용기(100)에는 제1내용물이 저장된다. The first contents are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100.

저장용기(100)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부캡(110)이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스포이드 형태의 저장용기(100)와 상부캡(110)을 도시하고 있으나, 저장용기(100)나 상부캡(110)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나머지 구성요소가 적용될 여지가 있는 어떠한 저장용기(100)와 상부캡(110)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upper cap 110 is mounted on the open upper part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1 and 2 illustrate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upper cap 110 in the form of a dropper, but the storage container 100 or the upper cap 1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ppli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upper cap 110 can be applied.

하부캡(200)은 저장용기(100)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된다. 하부캡(200)은 저장용기(100)의 하부에 밀폐된 상태로 장착된다. 따라서, 후술할 분리용기(300)의 작동으로 하부캡(200)의 내측에 위치된 연통관(220)이 개방되지 않는 이상, 저장용기(100)에 저장된 제1내용물은 저장용기(10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The lower cap 200 is mounted on the open lower part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The lower cap 200 is mounted in a closed state under the storage container 100. Therefore, unless the communication pipe 220 located inside the lower cap 200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100 open the storage container 100. I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part.

하부캡(200)의 내측에는 연통관(220)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관(220)의 내측은 일정한 공간(24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장용기(100)를 대면하는 연통관(220)의 일단은 차단막(222)으로 폐쇄된 상태이다. 연통관(220)의 타단으로 후술할 분리용기(300)가 삽입되어 있다.A communication tube 220 is formed inside the lower cap 200.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is formed in a certain space 240, and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facing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closed with a blocking film 222. A separation container 3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하부캡(200)의 내측에는 하부캡(200)의 내측면에 연결된 상태의 연통관(22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캡(200)의 내측에 연통관(220)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연통관(220)의 내측에 형성된 일정한 공간(240)에 제2내용물이 일정량 위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side the lower cap 200, a communication pipe 220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200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ommunication tube 220 is formed inside the lower cap 200, and a certain amount of the second content may be located in a certain space 240 formed inside the communication tube 220.

따라서, 하부캡(200)이 저장용기(100)의 하부에 장착됨에 따라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연통관(220)이 저장용기(100)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된다. 하부캡(200)의 상부 내측면에 저장용기(100)의 하부 외측면이 밀착되어 장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또는 저장용기(100)의 하부 내측면으로 하부캡(200)의 상부 외측면이 밀착되어 장착된 상태일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lower cap 200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the communication pipe 220 formed in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200, or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p 200 may be attached to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It may be in a tightly mounted state.

연통관(220)의 외측면에는 패킹부재(260)가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260)가 연통관(220)의 외측면을 감싼 상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킹부재(260)의 하단에는 오링(262)이 위치될 수 있다. 저장용기(100)의 하부에 하부캡(200)이 장착됨에 따라 저장용기(100)의 내측에 위치된 제1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 packing member 260 may be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The packing member 260 may be in a stat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and an O-ring 262 may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packing member 260. This is to prevent leakage of the first contents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100 as the lower cap 200 is mounted under the storage container 100.

연통관(220)의 일단이 차단막(222)으로 폐쇄된 상태에서, 후술할 분리용기(300)가 전진 이동됨에 따라 이러한 차단막(222)의 일부가 뜯어져 결국 연통관(22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된다. 연통관(220)의 일단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분리용기(300)의 내측에 위치된 제2내용물이 이러한 개방된 연통관(220)의 일단을 통하여 저장용기(100)의 내측에 위치된 제1내용물과 혼합된다.In a state in which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is closed by the blocking film 222, a part of the blocking film 222 is torn off as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oves forward and is eventually separated from the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is opened. Accordingly, the second contents located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are mixed with the first contents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100 through one end of the open communication pipe 220.

분리용기(300)가 전진 이동됨에 따라 뾰족한 형태의 분리용기(300)의 일단(322)이 차단막(222)을 밀어내고, 이에 따라 연통관(220)의 일단을 밀폐시키고 있었던 차단막(222)이 연통관(22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된다. As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moves forward, the one end 322 of the pointed separation container 300 pushes the blocking film 222, and accordingly, the blocking film 222, which was sealing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is a communication pipe. It is separated from one end of 220.

차단막(222)이 연통관(22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차단막(222)이 연통관(220)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부 결합부분만이 뜯어져 분리되고 나머지 결합부분에서는 여전히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차단막(222) 전체가 연통관(220)의 일단에서 분리된 경우, 연통관(220)의 일단에서 뜯어져 나간 차단막(222)이 저장용기(100)의 내측에서 자유자재로 유동될 수 있어, 배출통로를 차단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일부만 분리되고, 나머지는 여전히 연통관(220)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임이 바람직하다. When the blocking film 222 is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in a state where the blocking film 22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only some of the coupling portions are torn apart, and the remaining coupling portions are still joined. Can be When the entire blocking film 222 is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the blocking film 222 torn off from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can be freely flowed from the in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so that the discharge passage There is a risk of blocking.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only a part is separated and the rest is still coupled to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차단막(222)이 연통관(220)의 일단에 결합될 때, 결합 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뜯어져 분리되는 부분은 결합 강도를 낮출 수 있도록, 차단막(222)과 연통관(220)의 일단의 연결부분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나머지 결합을 유지하는 부분은 결합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차단막(222)과 연통관(220)의 일단의 연결부분의 두께를 더 두껍게 할 수 있다.When the blocking film 222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the part that is torn and separated in order to adjust the bonding strength is to lower the bonding strength,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one end of the blocking film 222 and the communication tube 220 The thickness can be made thin. In order to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of the portion maintaining the remaining bonding,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one end of the blocking film 222 and the communication tube 220 may be made thicker.

연통관(220)의 타단으로 삽입된 상태의 분리용기(300)는, 분리용기(300)의 외측면이 연통관(220)의 내측면으로 밀착된 상태로 차단막(222)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전진 이동된다. 차단막(222)의 분리로 연통관(220)의 일단이 개방되고, 분리용기(300)의 내측에 위치된 제2내용물이 연통관(220)을 통하여 저장용기(100)의 내측에 저장된 제1내용물과 혼합된다.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n a state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moves forwar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locking film 222 is locat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do. Separation of the blocking membrane 222 opens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and the second content located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content stor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220. Mixed.

분리용기(300)는 차단막(222)을 대면하는 개방된 일단(322)이 뾰족한 형태로, 내측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된 일정한 길이의 삽입관(320) 및 삽입관의 타단에 형성된 누름판(340)을 포함한다.Separation container 300 has an open end 322 facing the blocking film 222 is a pointed shape, the insertion tube 320 of a certain length formed inside a certain space and a pressing plate 34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tube. Include.

일정한 공간으로 형성된 삽입관(320)의 내측에 제2내용물이 위치된다. 삽입관(320)은 연통관(220)의 일정한 공간(240)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용기(300)의 일단은 개방된 상태인 바, 분리용기(300)의 내측 일정한 공간과 연통관(220)의 일정한 공간(240)은 연통된 상태이다. 제2내용물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삽입관(320)의 외측면과 연통관(22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삽입관(320)이 이동될 필요가 있다.The second content is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tube 320 formed in a certain space. The insertion tube 320 is moved while being inserted into a certain space 240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s in an open state, and a certain space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and a certain space 240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are in communication. The second content may flow. Accordingly, the insertion tube 320 needs to be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320 and the inner 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are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second contents do not leak.

일정한 공간(240)을 형성하는 연통관(220)의 내측면에는 연통관(22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4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돌출부(242)는 연통관(220)의 일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삽입관(320)이 연통관(220)의 내측에서 이동되는 거리만큼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돌출부(242)는 원주형태의 연통관(22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2개 이상의 돌출부(242)일 수 있다.A protrusion 242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forming a constant space 240. These protrusions 242 are preferably formed with a certain distance downward from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The insertion tube 320 is to maintain a close contact state as much as the distance from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These protrusions 242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220, as well as two or more protrusions 242 positioned at a certain distance.

일정한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삽입관(320)의 외측면이 이러한 돌출부(242)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진 이동된다. 돌출부(242)와 삽입관(320)의 외측면이 밀착된 상태이므로, 연통관(220)의 일단과 돌출부(242) 사이의 연통관(220)의 내측에 위치된 제2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는다.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320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is moved forward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protrusion 242. Since the protrusion 242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320 are in close contact, the second contents located inside the communication tube 220 between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and the protrusion 242 do not leak.

삽입관(320)의 타단에 형성된 누름판(340)의 일부는 하부캡(200)에서 벗어나 위치된다. 하부캡(200)의 아래에 위치된 누름판(340)을 누름으로써 삽입관(320)이 전진 이동되며, 뾰족한 형태의 삽입관(320)의 일단(322)이 전진 이동되면서 차단막(222)을 밀어내어 연통관(220)의 일단으로부터 차단막(222)을 분리시킨다.A part of the pressing plate 34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tube 320 is positioned away from the lower cap 200. By pressing the pressing plate 340 located under the lower cap 200, the insertion tube 320 is moved forward, and one end 322 of the pointed insertion tube 320 is moved forward, pushing the blocking film 222 The blocking film 222 is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연통관(220)의 일단이 개방된 상태에서, 저장용기(100)의 하부와 연통관(220), 그리고 분리용기(300)의 일정한 공간이 연통된다. 저장용기(100)의 내측에 위치된 제1내용물과 분리용기(300)의 내측에 위치된 제2내용물이 혼합된다.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is ope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communication tube 220, and a certain space of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first contents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100 and the second contents located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are mixed.

연통관(220)의 일정한 공간(240)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용기(300)의 일단은 개방된 상태인 바, 제2내용물이 이러한 일정한 공간(240)에 일정량이 위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located in a certain space 240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one end of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s in an open state, and a certain amount of the second content may be located in this certain space 240 Of course.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는 개방된 상부에 상부캡(410)이 장착되는 저장용기(400), 저장용기(400)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캡(500) 및 하부캡(500)의 내측에서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되는 분리용기(600)를 포함한다.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container 400 in which an upper cap 410 is mounted on an open top, a lower cap 500 and a lower cap 500 mounted on the open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400 It includes a separation container 600 that is moved in a state located inside of.

저장용기(400)에는 제1내용물이 저장된다. The first contents are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400.

저장용기(400)의 개방된 상부에는 상부캡(410)이 장착된다. 도 3 내지 도 4에서는 스포이드 형태의 저장용기(400)와 상부캡(410)을 도시하고 있으나, 저장용기(400)나 상부캡(410)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술할 나머지 구성요소가 적용될 여지가 있는 어떠한 저장용기(400)와 상부캡(410)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n upper cap 410 is mounted on the open upper part of the storage container 400. 3 to 4 illustrate the storage container 400 and the upper cap 410 in the form of a dropper, but the storage container 400 or the upper cap 4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applie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 storage container 400 and the upper cap 410 can be applied.

하부캡(500)은 저장용기(400)의 개방된 하부에 장착된다. 하부캡(500)은 저장용기(400)의 하부에 밀폐된 상태로 장착된다. 따라서, 후술할 분리용기(600)의 작동으로 하부캡(500)의 내측에 위치된 연통관(520)이 개방되지 않는 이상, 저장용기(400)에 저장된 제1내용물은 저장용기(40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The lower cap 500 is mounted on the open lower part of the storage container 400. The lower cap 500 is mounted in a closed state under the storage container 400. Therefore, unless the communication pipe 520 located inside the lower cap 500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400 are opened. It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part.

하부캡(500)의 내측에는 연통관(520)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관(520)의 내측은 일정한 공간(540)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저장용기(400)를 대면하는 연통관(520)의 일단에는 연통홀(5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통관(520)의 타단으로 후술할 분리용기(600)가 삽입되어 있다.A communication tube 520 is formed inside the lower cap 500.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is formed in a certain space 540, and a communication hole 52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facing the storage container 400, and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will be described later. Separation container 600 to be done is inserted.

하부캡(520)의 내측의 중앙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연통관(520)이 형성되어 있다. 연통관(520)의 내측에는 일정한 공간(540)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2내용물이 일정량 위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후술한다.A communication tube 520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ap 5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econd content may be positioned in a certain amount while a certain space 540 is formed inside the communication tube 520. It will be described later.

따라서, 하부캡(500)이 저장용기(400)의 하부에 장착됨에 따라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연통관(520)이 저장용기(400)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된다. 하부캡(500)의 상부 내측면에 저장용기(400)의 하부 외측면이 밀착되어 장착된 상태일 수 있으며, 또는 저장용기(400)의 하부 내측면으로 하부캡(500)의 상부 외측면이 밀착되어 장착된 상태일 수 있다.Accordingly, as the lower cap 500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400, the communication pipe 520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enter is inserted in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storage container 400.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400 may be closely attach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or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is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400. It may be in a tightly mounted state.

연통관(520)의 외측면에는 오링(262)이 위치될 수 있다. 저장용기(400)의 하부에 하부캡(500)이 장착됨에 따라, 저장용기(400) 하부의 하단이 오리(525)에 밀착된 상태로 접촉될 수 있다. 저장용기(400)의 내측에 위치된 제1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함이다.An O-ring 262 may be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As the lower cap 500 is mounted under the storage container 400,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container 400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uck 525. This is to prevent leakage of the first contents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400.

연통관(520)의 일단에 연통홀(524)이 형성된 상태에서, 후술할 분리용기(600)가 후진 이동됨에 따라 폐쇄되었던 연통홀(524)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분리용기(600)의 내측에 위치된 제2내용물이 이러한 개방된 연통홀(524)을 통하여 저장용기(400)의 내측에 위치된 제1내용물과 혼합된다.In a state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52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520, the communication hole 524 that was closed is opened as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moved backward. Accordingly, the second contents located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are mixed with the first contents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400 through the open communication hole 524.

연통관(520)의 내측의 일정한 공간(540)으로 후술할 분리용기(600) 중에서 개폐봉(660) 및 삽입관(670)이 삽입되어 전진 또는 후진 이동가능하다. 저장용기(100)의 하부를 대면하는 연통관(520)의 일단에는 연통홀(5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통홀(524)의 개방됨에 따라 제2내용물이 연통관(520)을 통하여 제1내용물과 혼합된다.The opening/closing rod 660 and the insertion tube 670 are inserted in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to be described later into a certain space 540 inside the communication tube 520 to move forward or backward. A communication hole 52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520 facing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As the communication hole 524 is opened, the second content is mixed with the first cont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520.

분리용기(600)는 연통홀(524)을 개폐하는 일정한 길이의 개폐봉(660), 개폐봉(660)이 연장되어 형성된 삽입관(670) 및 삽입관(670)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몸체(680)를 포함한다.Separation container 600 is an opening and closing rod 660 of a certain lengt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munication hole 524, an insertion tube 670 formed by extending the opening and closing rod 660, and a body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sertion tube 670 ( 680).

개폐봉(660)은 일정한 길이의 봉 형태이며, 개폐봉(660)의 일단이 연통홀(524)에 접촉된 상태에서 연통홀(524)이 폐쇄된다. 개폐봉(660)은 몸체(680)의 회전으로 몸체(680)가 전진 또는 후진됨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되며, 전진되어 연통홀(524)에 접촉된 상태에서 연통홀(524)이 폐쇄된다. 연통홀(524)에 접촉된 상태에서 후진되면, 개폐봉(660)이 연통홀(524)에서 벗어나 위치되는 바, 연통홀(524)이 개방된다. 연통홀(524)이 개방됨에 따라, 이러한 연통홀(524)을 통하여 분리용기(600)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유동되어 저장용기(100)에 저장된 제1내용물과 혼합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rod 660 is in the form of a rod having a certain length, and the communication hole 524 is closed while one end of the opening and closing rod 660 is in contact with the communication hole 524. The opening/closing rod 660 moves forward or backward as the body 680 moves forward or backward by the rotation of the body 680, and the communication hole 524 is 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680 is moved forward and in contact with the communication hole 524. When moving backward while in contact with the communication hole 524, the opening/closing rod 660 is positioned away from the communication hole 524, and the communication hole 524 is opened. As the communication hole 524 is opened, the second contents stored in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flow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524 and are mixed with the first contents stored in the storage container 100.

삽입관(670)은 연통관(520)의 일정한 공간(540)에 삽입된다. 즉, 삽입관(670)의 외측면이 연통관(52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한다.The insertion tube 670 is inserted into a certain space 540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That is, while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6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it moves forward or backward.

일정한 공간으로 형성된 삽입관(6700)의 내측에 제2내용물이 위치된다. 삽입관(670)은 연통관(520)의 일정한 공간(540)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관(670)의 내측 일정한 공간과 연통관(520)의 일정한 공간(540)은 다수의 유동홀(672)을 통하여 연통된 상태이다. 제2내용물이 유동될 수 있다. The second content is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tube 6700 formed in a certain space. The insertion tube 670 is moved while being inserted into a certain space 540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As described above, a certain space inside the insertion tube 670 and a certain space 540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are in a state in which they communicate through a plurality of flow holes 672. The second content may flow.

따라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내용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삽입관(670)의 외측면과 연통관(520)의 내측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삽입관(670)이 이동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연통관(520)의 내측면에는 연통관(52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미도시)는 연통관(520)의 일단에서 아래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돌출부(미도시)는 원주형태의 연통관(520)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위치되는 2개 이상의 돌출부(미도시)일 수 있다.Therefore,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tube 670 needs to be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670 and the inner 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are in close contact so that the second contents do not leak. . Accordingly, a protrusion (not shown)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pipe 52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ipe 520, and such a protrusion (not shown) may be formed from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520 in a downwar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These protrusions (not shown)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communication tube 520, as well as two or more protrusions (not shown) positioned at a certain distance.

일정한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삽입관(670)의 외측면이 이러한 돌출부(미도시)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될 수 있으며, 돌출부(미도시)와 삽입관(670)의 외측면이 밀착된 상태이므로, 제2내용물이 연통관(520)의 내측면과 삽입관(670)의 외측면 사이로 누출되지 않는다.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670 made of a material having a certain elasticity may be moved forward or backward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such a protrusion (not show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sion (not shown) and the insertion tube 670 Since it is in close contact, the second contents do not leak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and the outer side of the insertion tube 670.

연통홀(524)을 대면하는 삽입관(670)의 일단의 중앙에 상술한 개폐봉(660)이 연통홀(524)이 위치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삽입관(670)의 일단에는 삽입관(670)의 내측 공간으로 연통된 다수의 유동홀(672)이 형성되어 있다. 제2내용물은 삽입관(670)의 내측과 이에 연통된 몸체(680)의 내측에 위치된다.At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insertion tube 670 facing the communication hole 524, the above-described opening and closing rod 660 is formed to exte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hole 524 is located. In addition, at one end of the insertion tube 670, a plurality of flow holes 672 communicated to the inner space of the insertion tube 670 are formed. The second content is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tube 670 and inside the body 680 communicated therewith.

삽입관(670)의 내측과 이에 연통된 몸체(680)의 내측에 위치된 제2내용물이 삽입관(670)의 일단에 형성된 다수의 유동홀(672)로 유동되어, 제2내용물이 다수의 유동홀(672)을 통하여 연통관(520)의 일정한 공간으로 유동되고, 연통홀(524)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이러한 연통홀(524)을 통하여 저장용기(100)의 하부로 유동되어, 결국 제1내용물과 혼합된다.The second content located inside the insertion tube 670 and inside the body 680 communicated therewith flows into a plurality of flow holes 672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tube 670, so that the second content It flows into a certain space of the communication pipe 520 through the flow hole 672, and when the communication hole 524 is open, it flow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524, and eventually the first It is mixed with the contents.

삽입관(670)의 아래쪽에는 삽입관(670)과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외측면에 나사골(682)이 형성되어 회전되는 몸체(680)가 위치된다. 몸체(680)는 삽입관(670)의 외경보다 더 큰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At the bottom of the insertion tube 670 is formed in a state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insertion tube 670, a screw bone 68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680 to be rotated is located. The body 680 is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insertion tube 670.

하부캡(500)의 내측에는 하부캡(500)의 내측면에 연결된 상태의 연통관(520)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연통관(520)은 하부캡(500)의 내측 중앙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러한 연통관(520)의 타단은 하부캡(500)의 하단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하부캡(500)의 하단의 위에 위치된다.A communication pipe 520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is formed inside the lower cap 500, and the communication pipe 520 has a constant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inner center of the lower cap 500. It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520 is position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lower cap 5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lower end of the lower cap 500.

분리용기(600)가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됨에 있어서, 개폐봉(660) 및 삽입관(670)이 연통관(520)의 내측의 일정한 공간(540)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일정한 공간(540)의 직경은 하부캡(500)의 하부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개폐봉(660) 및 삽입관(670)이 일정한 공간(540)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연통관(520)의 타단은 몸체(680)에 밀착된다. 연통관(520)의 타단부터 하부캡(500)의 하단까지의 내측면에 삽입관(670)보다 직경이 큰 몸체(680)의 외측면이 밀착된 상태이다.When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is inserted in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lower cap 500, the opening/closing rod 660 and the insertion tube 670 are inserted into a certain space 540 inside the communication tube 520. The diameter of the constant space 540 is smaller than the lower diameter of the lower cap 500.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rod 660 and the insertion tube 670 are inserted into a certain space 540,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680.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680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sertion tube 67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from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to the lower end of the lower cap 500.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면에는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스톱돌출부(550)가 형성되어 있는데, 몸체(68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골(682)에 이러한 스톱돌출부(550)가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680)가 회전되면서 전진 또는 후진되는데, 결국 몸체(680)가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면에서 회전되면서 전진 또는 후진된다.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is formed with a stop protrusion 550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inner surface, and such a stop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crew bone 68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680. While the body 680 is rotated while the body 680 is inserted, the body 680 moves forward or backward while being rotat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이러한 몸체(680)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골(682)의 일단은 차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나사골(682)에 스톱돌출부(550)가 삽입된 상태에서 몸체(680)가 회전되면서 몸체(680)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이 이루어지나, 차단된 나사골(682)의 일단에 스톱돌출부(550)가 접촉되면서, 몸체(680)의 회전이 정지됨에 따라, 몸체(680)의 후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나사골(682)의 일단은 몸체(680)의 외측면에서 삽입관(670)에 접하는 인근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screw bone 68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680 is in a blocked state. Therefore, while the body 680 is rotated while the stop protrusion 550 is inserted into the screw bone 682, the forward or backward movement of the body 680 is made, but the stop protrusion 550 at one end of the blocked screw bone 682 ) Is in contact, as the rotation of the body 680 is stopped, the body 680 does not move backward. One end of the screw bone 682 is preferably located near the insertion tube 67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680.

몸체(680)가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면에서 회전으로 후진 이동되면서, 개폐봉(660)을 연통홀(524)로부터 분리시켜 연통홀(524)을 개방시키되, 분리용기(600) 전체가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면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그리고 제2내용물의 누출되지 않도록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면과 몸체(680)의 외측면이 밀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이러한 나사골(682)의 차단된 일단은 적어도 몸체(680)의 일부분이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나사골(682)의 차단된 일단은 삽입관(670)에 인접한 몸체(680)의 외측면에서 위치됨이 바람직하다.As the body 680 moves backward in rotation from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the opening and closing rod 660 is separated from the communication hole 524 to open the communication hole 524, but the entire separation container 600 So that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680 are kept in close contact so that they are not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and the second contents are not leaked. ,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680 at the blocked end of the screw bone 682 should be kept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locked end of the screw bone 682 is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680 adjacent to the insertion tube 670.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on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s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400: 저장용기 110,410: 상부캡
200,500: 하부캡
220: 연통관 222: 차단막 240: 일정한 공간 242: 돌출부
260: 패킹부재 262: 오링
300.600: 분리용기
320; 삽입관 322: 삽입관의 일단
340: 누름판
520: 연통관 524: 연통홀 525: 오링 540: 일정한 공간
550: 스톱돌출부
660: 개폐봉 670: 삽입관 672: 유동홀
680: 몸체 682: 나사골
100,400: storage container 110,410: upper cap
200,500: lower cap
220: communication pipe 222: barrier 240: constant space 242: protrusion
260: packing member 262: O-ring
300.600: Separation container
320; Insertion tube 322: one end of the insertion tube
340: pressure plate
520: communication pipe 524: communication hole 525: O-ring 540: constant space
550: stop protrusion
660: opening and closing rod 670: insertion tube 672: flow hole
680: body 682: screw bone

Claims (5)

개방된 상부로 상부캡(110,410)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1내용물이 저장된 저장용기(100,400);
상기 저장용기(100,400)의 하부에 장착되는 하부캡(200,500); 및
상기 하부캡(200,500)의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이동되는 분리용기(300,600)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용기(100,400)의 하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분리용기(300,600)의 이동으로 상기 저장용기(100,400)와 상기 분리용기(300,600)가 연통됨에 따라, 상기 분리용기(300,600)의 내측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상기 저장용기(100,400)의 내측에 저장된 제1내용물과 혼합되는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caps 110 and 410 are mounted to the open top, the storage containers 100 and 400 in which the first contents are stored;
A lower cap (200,500) mounted under the storage container (100,400); And
It includes a separation container (300, 600) to be moved in a state located inside the lower cap (200, 500),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0,400) is opened, the movement of the separation container (300,600) communicates the storage container (100,400) and the separation container (300,600), so that the inside of the separation container (300,600) A heterogeneous content mixing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stored second content is mixed with the first content stored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100,4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200)의 내측에는 내측이 일정한 공간(240)으로 형성된 연통관(2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장용기(100)를 대면하는 상기 연통관(220)의 일단이 차단막(222)으로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연통관(220)의 타단으로 상기 분리용기(300)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캡(200)의 상부 내측면으로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의 외측면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연통관(220)이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분리용기(300)의 외측면이 상기 연통관(22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분리용기(300)가 전진 이동됨에 따라 상기 차단막(222)이 상기 연통관(220)의 일단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상기 분리용기(300)의 내측에 저장된 상기 제2내용물이 상기 연통관(220)을 통하여 상기 제1내용물와 혼합되는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ap 200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tube 220 formed in a space 240 having a constant inside, and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facing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closed with a blocking film 222 In this state,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As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mounted to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200, the communication pipe 2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As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s moved forward while the outer surface of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the blocking film 222 is separated from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220 , A heterogeneous content mixing type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second content stored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is mixed with the first cont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2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기(300)는,
상기 연통관(220)으로 삽입되는 삽입관(320); 및
상기 삽입관(320)의 타단에 형성된 누름판(340)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관(220)의 내측면에는, 상기 연통관(220)의 일단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관(320)의 내측에 상기 제2내용물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관(320)의 외측면이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242)에 밀착된 상태에서 전진 이동되는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separation container 300,
An insertion tube 320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tube 220; And
Includes a pressing plate 34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insertion tube 32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a protrusion 242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is form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220,
The second content is stored inside the insertion tube (3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sertion tube (320) is moved forward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or more protrusions (24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500)의 내측에는, 내측이 일정한 공간(540)으로 형성된 연통관(5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장용기(400)를 대면하는 상기 연통관(520)의 일단에 연통홀(524)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연통관(520)의 타단으로 상기 분리용기(6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캡(500)의 상부 내측면으로 상기 저장용기(400)의 하부의 외측면이 장착됨에 따라 상기 연통관(520)이 상기 저장용기(400)의 하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분리용기(600)는,
상기 연통홀(524)을 개폐시키는 일정한 길이의 개폐봉(660);
일단의 중앙에 상기 개폐봉(660)이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 내측 공간으로 연통된 다수의 유동홀(672)이 형성된 삽입관(670); 및
상기 삽입관(670)보다 큰 외경으로 상기 삽입관(670)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몸체(68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에서 상기 몸체(68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분리용기(600)가 후진 이동됨에 따라, 상기 개폐봉(660)이 후진 이동되어 상기 연통홀(524)이 개방되고, 상기 분리용기(600)의 내측에 저장된 제2내용물이 상기 다수의 유동홀(672) 및 개방된 상기 연통홀(524)을 통하여 상기 제1내용물와 혼합되는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Inside the lower cap 500, a communication pipe 520 formed in a space 540 having a constant inside is formed, and a communication hole 524 at one end of the communication pipe 520 facing the storage container 400 In the formed state, a part of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of the communication tube 520,
As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400 is mount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the communication pipe 5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storage container 400,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An opening/closing rod 660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mmunication hole 524;
The opening and closing rod 660 is formed in the center of one end, and a plurality of flow holes 672 communicated to the inner spac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insertion tube 670; And
It is formed in a stat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insertion tube 670 with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insertion tube 670, and includes a body 680 that rotate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and ,
As the separation vessel 600 is moved backward by rotation of the body 680 from the lower inner side of the lower cap 500, the opening/closing rod 660 is moved backward and the communication hole 524 is opened. , A heterogeneous content mixing type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second contents stored inside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are mixed with the first contents through the plurality of flow holes 672 and the open communication holes 52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500)의 하부 내측면에는 내측면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스톱돌출부(5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680)의 외측면에는 일단이 차단된 나사골(68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680)의 회전으로 상기 스톱돌출부(550)가 상기 나사골(682)을 따라 이동됨에 따라, 상기 분리용기(600)가 전진 또는 후진 이동되며,
상기 스톱돌출부(550)가 상기 나사골(682)의 일단에 접촉되면서 상기 몸체(680)의 회전이 정지됨에 따라 상기 분리용기(600)의 후진 이동이 정지되며,
상기 나사골(682)의 일단은 상기 몸체(680)의 외측면에서 상기 삽입관(670)에 접하는 인근에 위치되는 이종 내용물 혼합형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4,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ower cap 500 is formed with a stop protrusion 550 protruding in the inward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inner surface,
A screw bone 682 with one end blocke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680,
As the stop protrusion 550 is moved along the screw bone 682 by the rotation of the body 680,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As the stop protrusion 550 comes into contact with one end of the screw valley 682 and the rotation of the body 680 is stopped,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separation container 600 is stopped,
One end of the screw bone (682) is a heterogeneous content mixing type cosmetic container located in the vicinity in contact with the insertion tube (670)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680).
KR1020190082799A 2019-07-09 2019-07-09 A cosmetic vessel with mixing different contents Active KR1023079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799A KR102307992B1 (en) 2019-07-09 2019-07-09 A cosmetic vessel with mixing different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799A KR102307992B1 (en) 2019-07-09 2019-07-09 A cosmetic vessel with mixing different cont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770A true KR20210006770A (en) 2021-01-19
KR102307992B1 KR102307992B1 (en) 2021-09-30

Family

ID=7423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799A Active KR102307992B1 (en) 2019-07-09 2019-07-09 A cosmetic vessel with mixing different conte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99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025B1 (en) 2021-06-04 2022-10-14 주식회사 에이치라인컴퍼니 Functional cosmetic vess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335Y1 (en) * 2001-10-10 2002-04-03 조휘철 A vessel for container the cosmetic differ in kind
KR20130039397A (en) * 2011-10-12 2013-04-22 (주)민진 Cosmetic mixed having pump type comestic receptacle
KR200472282Y1 (en) * 2012-11-07 2014-04-30 주식회사 하나 Heterogeneous contents mixed cosmetic contain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335Y1 (en) * 2001-10-10 2002-04-03 조휘철 A vessel for container the cosmetic differ in kind
KR20130039397A (en) * 2011-10-12 2013-04-22 (주)민진 Cosmetic mixed having pump type comestic receptacle
KR200472282Y1 (en) * 2012-11-07 2014-04-30 주식회사 하나 Heterogeneous contents mixed cosmetic contain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025B1 (en) 2021-06-04 2022-10-14 주식회사 에이치라인컴퍼니 Functional cosmetic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992B1 (en)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2016B2 (en) Dual tube container with one way valves and applicator
US7306129B2 (en) One way valve assembly
US6257431B1 (en) Dispensing cap with improved tightness
CN102266161B (en) Cosmetic container
US8317064B2 (en) Small storage receptacle for food with air influx hole
US9701453B2 (en) Closure cap for attaching to a liquid container
US20120097712A1 (en) Packaging Element With A Hermetically Sealed Dosing Mechanism For Semi-Solid Products
USRE37675E1 (en) Dispensing bottle having two openings
US10472142B2 (en) Closure device for a container
US20110100945A1 (en) Vent system for a dispensing unit
CN111032231A (en) Device for dispensing fluid, cartridge for device, method of manufacture and method of perfusion
CN109476407A (en) Dispensing systems, nozzles and squeezable containers
CN114514182B (en) Fluid Dispenser
JP6534353B2 (en) Pouring container
KR20210006770A (en) A cosmetic vessel with mixing different contents
GB2459519A (en) Closure element for a fluid container
KR102219673B1 (en) Container set
KR20110107369A (en) Packaging element with hermetically sealed dosing mechanism for semisolid products
JP3954952B2 (en) Dispensing container
KR20230002294U (en) Upside Down Container
KR20240149656A (en) Content container
KR200222309Y1 (en) Liquid vessel
JP2019026348A (en) Double container
JP2003160154A (en) Container with backflow prevention device
JP2002282113A (en) Container with sp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