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04804A - 배관기밀장치 - Google Patents

배관기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804A
KR20210004804A KR1020200014094A KR20200014094A KR20210004804A KR 20210004804 A KR20210004804 A KR 20210004804A KR 1020200014094 A KR1020200014094 A KR 1020200014094A KR 20200014094 A KR20200014094 A KR 20200014094A KR 20210004804 A KR20210004804 A KR 20210004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iping
constituting
airtight device
airt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재
Original Assignee
강석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재 filed Critical 강석재
Priority to US17/623,567 priority Critical patent/US12055244B2/en
Priority to AU2020299928A priority patent/AU2020299928A1/en
Priority to CN202080047220.3A priority patent/CN114096777B/zh
Priority to PCT/KR2020/008740 priority patent/WO2021002727A1/ko
Priority to JP2021578154A priority patent/JP7383309B2/ja
Priority to BR112021026082-0A priority patent/BR112021026082B1/pt
Priority to MX2021015734A priority patent/MX2021015734A/es
Priority to KR1020200082106A priority patent/KR102259022B1/ko
Priority to EP20835500.8A priority patent/EP3995727A4/en
Publication of KR2021000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804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의 중공의 형상이며 배관(26)과 외접하거나 내접하는 제1부(11)와 원통형으로 제1부(11)에 외접하거나 내접하는 제2부(15)를 구성하고 제1부(11)와 제2부(15)의 사이에는 제1부(11)로부터 제2부(15)의 후퇴를 방해할 수 있도록 경사각을 가지는 경사부(23)를 서로 대응되게 구성한다. 즉 배관기밀장치를 배관에 장착하고 제2부(15)를 배관(26)으로부터 후퇴시키면 제1부(11)와 제2부(15)의 경사부(23)가 서로 밀게되고 제1부(11)는 압력을 받아 배관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제2부(15)는 경사각으로 한계선에서 더 이상 후퇴하지 못하게 된다.
기존에는 배관을 연결하거나 막을 때 나사를 만들거나 용접을 하는등 많은 공구와 시간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의 배관기밀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게 작업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유체출입부(43)를 구성하여 구간마다 용이하게 배관기밀시험을 할 수 있게 해준다.

Description

배관기밀장치{Piping airtight device}
본 발명은 배관을 시공함에 있어서 필요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끝을 막을 때 또는 배관을 연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이용하여 배관의 기밀시험과 배관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관을 막거나 연결하는 장치는 주로 기밀의 유지수단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나사결합이나 용접등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며 이는 많은 작업공구를 필요로하며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작업공구 없이 손쉽게 배관을 막거나 배관을 연결할 수 있게 해주며 유체출입부를 제공하여 배관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모든 지점에서 손쉽게 기밀시험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배관 시공시 필요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배관(26)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8)가 있으며 외측으로 배관말단(29) 측으로 외경이 점점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1부(11),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경사부(23)와 대응되게 배관말단(29) 측으로 내경이 점점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며 배관말단(29) 측의 단면에 막음면(32)이 구성된 제2부(15)를 가지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부(11)와 제2부(15)의 경사부(23)가 닿아있기 위하여 배관말단(29) 측 사이에 탄성부(41)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시공된 배관의 압력의 유무를 알 수 있도록 막음면(32)은 탄력성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부(15)는 일 측에 안전부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외측은 배관(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평행하며 내측으로 배관말단 측의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1부(11), 원통형으로 외측에 상기 경사부(23)에 대응되도록 배관말단 측의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부(23)를 구성하는 제2부(15)를 가지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부(15)는 일측에 유체출입부(43)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부(11)의 배관말단 측의 말단에 과진입을 방지하는 정지부(37)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부(15)는 중앙에 관통구(55)를 구성하고 상기 관통구(55)의 배관말단 측 입구에서 연장된 유체출입부(43)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배관(26)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8)가 있으며 외측으로 배관말단 측의 외경이 점점 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1부(11),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제1부(11)의 외측과 대응되도록 배관말단 측으로 내경이 점점 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2부(15), 상기 제2부(15)를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양쪽에 구성하는 대칭부(57),
상기 대칭부(57)는 양측 제2부(15)에 각각 제1부(11)를 대칭되게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중간부(45)의 일 측에 조임부(47)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부(15)는 배관중심 측 외측으로 외부조임부(51)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배관(26)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8)가 있으며 외측으로 배관말단 측의 외경이 점점 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1부(11),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제1부(11)의 외측과 대응되도록 배관말단 측으로 내경이 점점 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2부(15),
상기 제2부(15)를 길이방향으로 하나 더 구성하는 직렬부(69),
상기 직렬부(69)는 양측 제2부(15)에 각각 제1부(11)를 나란하게 구성하며, 제1부(11)와 제2부(15)의 밀착을 위하여 조임장치가 구성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부(11)는 배관중심 측에 연장부(24)를 가지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부(11)와 제2부(15)는 밀착되기 위해서 조임부(47)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부(11)와 제2부(15)는 사이에 중간부(45)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조임장치는 직렬부(69)의 일측 단부 측에 견인조임부(61)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외경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장치의 양쪽 구경을 다르게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기밀장치에 따르면, 배관을 막거나 열결할 때 나사산을 가공하거나 용접을 하여야 하였으나 본 발명의 배관기밀장치는 가공이나 용접 없이 손쉽게 배관을 막거나 연결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기밀장치에 따르면, 기존에는 배관을 마무리하고 기밀시험을 하였으나 본 발명을 활용하면 필요한 구간마다 그때 그때 용이하게 기밀시험을 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배관기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배관기밀장치의 제1부와 제2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배관기밀장치의 단면도와 막음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유체출입부가 구성된 배관기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중간부가 구성된 배관기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외측조임부가 구성된 배관기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5실시예의 배관기밀장치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8은 제6실시예의 유체출입부가 구성된 배관기밀장치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9는 제7실시예의 중간부가 구성된 배관기밀장치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8실시예의 배관기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8실시예의 배관기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8실시예의 배관기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9실시예의 배관기밀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10실시예의 배관기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0실시예의 배관기밀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은 배관 시공시 필요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막음, 또는 배관의 연결을 쉽게 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실시예로서, 도 1내지 도 3에 표시 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배관기밀장치는 원통형으로 중공의 형상이며 내측에 배관(26)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8)가 있으며 외측으로 배관말단(29) 측의 외경이 점점 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1부(11)와,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제1부(11)의 상기 경사부(23)에 대응되도록 배관말단(29) 측의 내경이 점점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며, 배관말단(29) 측의 단면에 막음면(32)이 구성된 제2부(15)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부(11)는 배관중심 측에 평행한 원통형의 연장부(24)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사부(23)는 상기 제1부(11)와 배관(26)사이의 마찰력이 상기 제2부(15)의 막음면(32)이 받는 압력으로 발생하는 운동력보다 크게 될 수 있도록 작은 각으로 구성한다. 상기 제2부(15)의 상기 막음면(32)은 배관에 압력이 걸려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탄력성의 가지게 구성할 수도 있으며 과도한 압력이 걸리면 압력을 해소할 수 있도록 안전부가 구성될 수도 있다. 제3도에서는 막음면(32)에 반절개의 형태로 안전부(35)를 구성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1부(11)와 제2부(15)의 밀착을 위하여 조임부(47)를 구성할 수도 있다. 배관에 유체압력을 가할 때 초기의 압력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부(11)와 제2부(15)의 경사부(23)가 항상 닿아 있도록 제1부(11)와 제2부(15)의 배관말단(29) 측 사이에 탄성부(4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제1부(11)의 배관말단(29) 측에 제1부(11)의 과진입을 방지하는 정지부(37)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표현되는 배관말단 측은 배관기밀장치가 장착되었을 때 배관의 끝부분을 놓이게 되는 방향을 말하며 배관중심 측은 배관기밀장치가 장착되었을 때 배관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경사부(23)는 전면적이며 균일하게 맞닿으면 제1부(11)와 제2부(15)가 일체화 되어 힘을 받으면 같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부(23)를 여러가지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경사부(23)는 제1부(11)에만 구성되고 제2부(15)는 돌출부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제2부(15)에만 경사부(23)가 구성되고 제1부(11)에는 돌출부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경사부는 선형으로 짧은 구간에만 구성할 수도 있으며 비 선형일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바, 이는 본 발명의 모든 경사부에 해당된다.
본 발명에서는 형태가 달라도 같은 역할을 하면 같은 명칭을 사용할 수 있음으로 의미로 이해하여야 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배관(26)의 일단을 막기 위하여 상기 제1부(11)와 상기 제2부(15)를 조합하여 상기 삽입구(18)를 통하여 배관의 일단에 삽입하고 배관의 타단 측으로 부터 압력을 가하면 압력은 제2부(15)의 막음면(32)을 밀게 되고 그러면 제2부(15)가 밀려 나오면서 상기 제1부(11)의 경사부(23)를 압박하며 제1부(11)는 종방향의 힘보다 횡방향의 힘을 더 많이 받게 됨으로 제1부(11)는 그 자리에 정지해 있게되고 제2부(15)는 경사부(23)를 따라 조금 움직이다가 경사각에 의해서 탈출 한계점에서 정지된다. 제1부(11)의 연장부(24)는 장치의 회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로서, 도 4와 같이 제2부(15)의 배관말단 측의 일 측에 유체출입부(43)를 구성하여 배관의 기밀시험을 위하여 가압기나 압력계와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유체출입부(43)는 암나사로 구성할 수도 있고 수나사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2부(15)의 막음면(32)에 구멍을 내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유체출입부(43)를 구성하여 배관작업이 완료된 사이클에 압력을 가감하거나 압력을 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3실시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제1부(11)와 제2부(15) 사이에 중간부(45)를 구성한다. 압력에 의한 제2부(15)의 탈출력 보다 경사부(23)에 의한 제1부(11)의 배관(26)에 대한 마찰력이 크려면 경사각이 작아야 되는데 이를 경우 제2부(15)와 제1부(11)는 심하게 끼어서 이를 다시 원상 복귀시키는데 어려움울 겪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부(11)와 제2부(15) 사이에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인 중간부(45)를 구성하며 상기 중간부(45)의 경사부(23)는 내측의 경사각보다 외측의 경사각을 크게 구성한다. 상기 중간부(45)의 내측 경사부(23)는 제1부(11)의 외측 경사부(23)와 대응되게 구성되며, 외측 경사부(23)는 제2부(15)의 내측 경사부(23)에 호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간부(45)는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중간부(45)의 배관중심 측에 평행한 원통형의 연장부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연장부에 조임부(47)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임부(47)는 회전가능하며 나사결합으로 진퇴되는 조임쇠(48)를 가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배관기밀장치를 배관의 단부에 장착하고 상기 조임부(47)의 조임쇠(48)를 조여서 중간부(45)가 최대한 제2부(15)에 밀착시키며 배관중심 측 방향으로 진입될 수 있게 한다. 장치를 배관(26)에 장착하기 위하여 제1부(11)와 중간부(45) 그리고 제2부(15) 사이에는 여유공간과 탄력성등의 유동성이 필요했다. 이는 제2부(15)가 압력을 받게 되면 유동성만큼 후퇴하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며, 후퇴의 폭은 적을수록 좋으므로 상기 조임부(47)를 구성하여 유동성을 줄일 수 있다. 중간부(45)의 조임부(47)가 구성된 일측은 탄력성이 없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중간부(45)는 다중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배관에 압력이 해제되고 장치를 회수할 때 제2부(15)와 중간부(45) 사이의 경사각이 커서 제2부(15)는 중간부(45)로부터 쉽게 이탈되고 중간부(45)는 탄력성이 있음으로 쉽게 제1부(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4실시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제2부(15)의 배관중심 측의 외측에 외부조임부(51)를 구성한다. 상기 외부조임부(51)는 회전가능하며 나사결합으로 진퇴되는 외부조임쇠(53)를 가진다. 상기 외부조임부(51)의 상기 외부조임쇠(53)는 제2부(15)과 결합되는 부분이 경사지게 구성되며 결합의 깊이에 따라 제2부(15)를 압박하게 된다. 제2부(15)의 외부조임부 측 일측은 탄력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배관기밀장치를 배관(26)에 장착하고 외부조임쇠(53)를 조여서 제2부(15)를 축소시켜서 제2부(15)를 제1부(11)와 밀착시킨다. 그러면 압력이 걸렸을 때 제2부(15)의 후퇴의 폭을 줄일 수 있고 기밀시험등을 마치고 장치를 원상 복귀시킬 때 외부조임부(51)를 풀어서 제2부(15)가 원상태로 돌아오면 쉽게 제2부(15)가 제1부(11)로 부터 이탈될 수 있다.
제5실시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배관기밀장치를 배관(26)의 내부에 구성한 것으로,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외측은 평행하며 내측은 배관말단 측으로의 구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1부(11)와, 상기 제1부(11)의 내부에 위치하며 원통형으로 외측이 상기 제1부(11)의 내측 경사부(23)에 대응되도록 배관말단 측으로의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부(23)를 구성하는 제2부(15)를 가지는 배관기밀장치이다.
그리고 제1부(11)의 배관말단 측의 단부에 정지부(37)를 구성하여 장치가 배관(26)속으로 과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부(15)에 조임부(47)를 구성하여 배관(26)에 장착된 장치가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부(15)가 배관(26)속으로 빠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실시예로서, 도 8에서와 같이 제5실시예와 많은 부분 동일하며, 제2부(15)의 중심부에 관통구(55)를 구성하며, 관통구(55)의 배관말단 측의 입구에 유체출입부(43)를 구성한다. 관통구(55)는 유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해주며, 유체출입부(43)는 압력을 가감하거나 검지할 수 있게 해준다.
제7실시예로서, 도 9에서와 같이 배관(26)의 내부에 삽입되는 배관기밀장치에 있어서 제1부(11)와 제2부(15) 사이에 중간부(45)를 구성한다. 압력에 의한 제2부(15)의 탈출력 보다 경사부(23)에 의한 제1부(11)의 배관에 대한 마찰력이 크려면 경사각이 작아야 되는데 이를 경우 제2부(15)와 제1부(11)는 심하게 끼어서 이를 다시 원상 복귀시키는데 어려움울 겪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부(11)와 제2부(15) 사이에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중간부(45)를 구성하며 상기 중간부(45)의 경사부(23)는 외측의 경사각보다 내측의 경사각을 크게 구성한다. 상기 중간부(45)의 외측 경사부(23)는 제1부(11)의 내측 경사부(23)와 대응되게 구성되며, 내측 경사부(23)는 제2부(15)의 외측 경사부(23)에 호응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중간부(45)는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배관에 압력이 해제되고 장치를 회수할 때 제2부(15)와 중간부(45) 사이의 경사각이 커서 제2부(15)는 중간부(45)로부터 쉽게 이탈되고 중간부(45)는 탄력성이 있음으로 쉽게 제1부(11)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부(45)에 조임부(47)를 구성한다. 배관기밀장치를 배관의 단부에 장착하고 상기 조임부(47)를 조여서 중간부(45)가 최대한 제2부(15)와 밀착되게한다. 중간부(45)는 다중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8실시예로서, 도 10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배관기밀장치는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배관(26)이 삽입될 수 있는 평행한 형태의 삽입구(18)가 있으며 외측에는 배관말단 측의 외경이 점점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1부(11),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제1부(11)의 경사부(23)와 대응되는 배관말단 측의 내경이 점점 커지는 제2부(15), 상기 제2부(15)를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양쪽에 구성하는 대칭부(57), 상기 제1부(11)를 상기 대칭부(57)의 양쪽 제2부(15)에 연동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양쪽에 구성한다.
제1부(11)와 제2부(15) 사이를 밀착시키기 위하여 조임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조임부(47)는 회전가능하며 나사결합으로 진퇴되는 조임쇠(48)를 가진다. 제1부(11)는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부(11)의 조임부(47)측은 탄력성이 없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장치를 배관에 장착하기 위하여 제1부(11)의 삽입구(18)에 배관을 삽입하고 조임부(47)의 조임쇠(48)를 회전시켜 제1부(11)와 제2부(15)를 밀착시키면 제2부(15)가 밀리면서 경사부(23)에 의해서 제1부(11)가 압력을 받아서 배관에 밀착되고 제2부(15)도 후퇴한계 지점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배관기밀장치 양측의 작업을 마치면 배관의 기밀이 유지되고 배관도 고정된다.
제1부(11)와 제2부(15) 사이에 중간부(45)를 구성할 수 도있다.
서로 다른 외경의 배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장치의 양쪽 구경을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제9실시예로서, 도 13에서와 같이 제8실시예와 많은 부분 동일하며,
제2부(15)의 단부측 외측에 외부조임부(51)를 구성한다. 외부조임부(51)는 회전가능하며 나사결합으로 진퇴되는 외부조임쇠(53)를 가진다. 외부조임부(51)의 외부조임쇠(53)는 제2부(15)와 결합되는 부분이 경사지게 구성되며 결합의 깊이에 따라 제2부(15)를 압박하게 된다. 제2부(15)의 외부조임부(51)측 일측은 탄력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배관의 양측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배관기밀장치의 양측에 배관을 삽입하고 양쪽 조임쇠(48)를 같이 회전시켜 제2부(15)의 진퇴없이 제1부(11)가 딸려오게 하여 제1부(11)와 제2부(15)를 최대한 밀착시킨다. 그리고 외부조임쇠(53)를 회전시켜 제2부(15)를 축소시켜 배관의 기밀을 완성한다.
제10실시예로서, 도 14와 도 15에서와 같이 제8실시예와 일정 부분 동일하며, 배관기밀장치는 제2부(15)를 길이 방향이며 같은 방향으로 2개를 나란히 구성하는 직렬부(69)를 가지며, 제1부(11)도 상기 직렬부의 2개의 제2부(15)에 대응될수 있도록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2개를 구성한다. 배관기밀장치는 양쪽 단부 측에 조임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조임장치는 일측에 조임부(47)가 구성되고 타측에는 견인조임부(61)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임부(47)는 회전가능하며 나사결합으로 진퇴되는 조임쇠(48)를 가지며, 상기 견인조임부(61)는 일측은 돌출쇠(65)와 걸림쇠(67)를 통하여 결합되고 타측은 나사결합으로 결합되는 견인조임쇠를 가진다.
자세히 설명하면 조임부(47)와 견인조임부(61)는 제2부(15)를 같은 방향으로 밀게 됨으로 양측의 배관이 고정되어 있을 때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양 조임부(47)는 하나의 몸체를 밀고 끌게 됨으로 조금씩 번갈아가며 조이거나 동시에 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견인조임부(61)의 돌출쇠(65)와 걸림쇠(67)는 자유회전하며 견인할 수 있게 해주고 나사결합은 회전을 통하여 진퇴할 수 있게 해준다.
일측 조임부(47)는 조임쇠(48)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2부(15)를 밀게 되어 일측 제1부(11)가 일측 배관에 밀착되며 견인조임부(61)는 견인조임쇠를 회전시킴에 따라 제2부(15)를 당기게 되어 타측 제1부(11)도 타측 배관에 밀착된다.
11:제1부 15:제2부 18:삽입구 23:경사부 24:연장부 26:배관 29:배관말단 32:막음면 35:안전부 37:정지부 41:탄성부 43:유체출입부 45:중간부 47:조임부 48:조임쇠 51:외부조임부 53:외부조임쇠 55:관통구 57:대칭부 61:견인조임부 63:견인조임쇠 65:돌출쇠 67;걸림쇠 69:직렬부

Claims (17)

  1. 배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배관기밀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배관(26)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18)를 구성하며 외측으로 배관말단 측으로 외경이 점점커지는 경사부(23)를 구성하는 제1부(11),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경사부(23)와 대응되어 배관말단 측으로 내경이 점점커지는 경사부(23)를 구성하며 배관말단 측의 단면에 막음면(32)이 구성된 제2부(15)를 가지는 배관기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부(11)와 제2부(15)의 배관말단 측 사이에 탄성부(41)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막음면(32)은 탄력성있는 소재로 구성되는 배관기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2부(15)는 일 측에 안전부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5. 배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배관기밀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외측은 배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평행하며 내측으로 배관말단 측의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부(23)를 구성하는 제1부(11), 원통형으로 외측에 상기 경사부(23)에 대응되어 배관말단 측의 외경이 점점 작아지는 경사부(23)를 구성하는 제2부(15)를 가지는 배관기밀장치.
  6. 제1항, 제2항에 있어서,
    제2부(15)는 일측에 유체출입부(43)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7. 제1항과 2항에 있어서,
    제1부(11)의 배관말단 측의 말단에 과진입을 방지하는 정지부(37)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제2부(15)는 중앙에 관통구(55)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9. 배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배관기밀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배관(26)이 삽입되는 삽입구(18)가 구성되며 외측으로 배관말단 측의 외경이 점점 커지는 경사부(23)를 구성하는 제1부(11),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제1부(11)의 외측과 대응되도록 배관말단 측으로 내경이 점점 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2부(15), 상기 제2부(15)를 길이방향으로 대칭되게 양쪽에 구성하는 대칭부(57),
    상기 대칭부(57)는 양측 제2부(15)에 각각 제1부(11)를 대칭되게 구성하며, 대칭부(57)의 양단 측에 조임부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10. 제1항과 제3항에 있어서,
    중간부(45)의 일 측에 조임부(47)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11. 제1항과 제3항에 있어서,
    제2부(15)는 배관중심 측 외측으로 외부조임부(51)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12. 배관의 단부에 설치되는 배관기밀장치에 있어서,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배관이 삽입되는 삽입구(18)를 구성하며 외측으로 배관말단 측의 외경이 점점 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1부(11),
    원통형이며 중공의 형상으로 내측에 상기 제1부(11)의 외측과 대응되도록 배관말단 측으로 내경이 점점 커지는 경사부(23)를 가지는 제2부(15),
    상기 제2부(15)를 길이방향으로 하나 더 구성하는 직렬부(69),
    상기 직렬부(69)는 양측 제2부(15)에 각각 제1부(11)를 나란하게 구성하며, 제1부(11)와 제2부(15)의 밀착을 위하여 조임장치가 구성되는 배관기밀장치.
  13.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에 있어서,
    제1부(11)는 배관중심 측에 연장부(24)를 가지는 배관기밀장치.
  14.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에 있어서,
    제1부(11)와 제2부(15)는 밀착되기 위해서 조임부(47)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15.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에 있어서,
    제1부(11)와 제2부(15)는 사이에 중간부(45)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16. 제4항에있어서,
    조임장치는 직렬부(69)의 일측 단부 측에 견인조임부(61)를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17. 제3항과 4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외경의 배관(26)을 연결하기 위하여 장치의 양쪽 구경을 다르게 구성하는 배관기밀장치.
KR1020200014094A 2019-07-03 2020-02-06 배관기밀장치 Pending KR20210004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23,567 US12055244B2 (en) 2019-07-03 2020-07-03 Pipe sealing device
AU2020299928A AU2020299928A1 (en) 2019-07-03 2020-07-03 Pipe sealing device
CN202080047220.3A CN114096777B (zh) 2019-07-03 2020-07-03 管道气密装置
PCT/KR2020/008740 WO2021002727A1 (ko) 2019-07-03 2020-07-03 배관기밀장치
JP2021578154A JP7383309B2 (ja) 2019-07-03 2020-07-03 配管シール装置
BR112021026082-0A BR112021026082B1 (pt) 2019-07-03 2020-07-03 Dispositivo de vedação de tubo
MX2021015734A MX2021015734A (es) 2019-07-03 2020-07-03 Dispositivo de sellado de tubos.
KR1020200082106A KR102259022B1 (ko) 2019-07-03 2020-07-03 배관기밀장치
EP20835500.8A EP3995727A4 (en) 2019-07-03 2020-07-03 Pipe seal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739 2019-07-03
KR20190079739 2019-07-03
KR20190086071 2019-07-17
KR1020190086071 2019-07-17
KR1020190088002 2019-07-21
KR20190088002 2019-07-21
KR1020190111114 2019-09-07
KR20190111114 2019-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804A true KR20210004804A (ko) 2021-01-13

Family

ID=741422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094A Pending KR20210004804A (ko) 2019-07-03 2020-02-06 배관기밀장치
KR1020200082106A Active KR102259022B1 (ko) 2019-07-03 2020-07-03 배관기밀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106A Active KR102259022B1 (ko) 2019-07-03 2020-07-03 배관기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004804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2087A (ja) * 2000-07-05 2002-01-23 Sekisui Chem Co Ltd 管端部閉塞具
JP2003056786A (ja) * 2001-08-09 2003-02-26 Hoshizaki Electric Co Ltd 排水栓
KR100593285B1 (ko) * 2004-08-16 2006-06-26 김석윤 파이프 고정장치
KR200441371Y1 (ko) * 2007-02-22 2008-08-12 김성환 건축물의 배관 보호용 슬리브 구조체
KR101552120B1 (ko) * 2014-12-01 2015-09-10 주식회사 부영하이테크 공기배출구를 구비한 파이프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878A (ko) 2021-01-13
KR102259022B1 (ko)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731B1 (ko) 결합돌기가 형성된 튜브체결구
KR101756526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101626968B1 (ko) 파이프 연결구
US20220299134A1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KR101266144B1 (ko) 플렉시블 파이프 연결 구조
KR100867746B1 (ko) 호스체결용 클램프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20210004804A (ko) 배관기밀장치
KR20120008422U (ko)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US12055244B2 (en) Pipe sealing device
US1618234A (en) Pipe clamp
KR100966739B1 (ko) 일자형 니플
KR20160004240U (ko) 배관 연결용 클램프
US2547318A (en) Tube and pipe fitting
US11543060B2 (en) Pipe-fitting device for connecting pip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BR112021026082B1 (pt) Dispositivo de vedação de tubo
US3574360A (en) Fluid-pressure-type hose clamp
KR20150004585A (ko) 파이프 고정이 용이한 배관 커플러
KR200236479Y1 (ko) 원터치식배관연결장치
KR200325060Y1 (ko) 원 터치 배관 연결구조
JP4827171B2 (ja) 管用栓を用いた管端閉塞工法
KR100845953B1 (ko) 배관 연결구
KR101441508B1 (ko) 패킹 삽입형 소켓관
CN217463609U (zh) 一种安全阀内口连接密封机构
CN211475215U (zh) 一种锁紧堵漏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4 Withdrawal of earlier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priority claim

Patent event date: 20200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C12041R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