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02971A -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971A
KR20210002971A KR1020190078912A KR20190078912A KR20210002971A KR 20210002971 A KR20210002971 A KR 20210002971A KR 1020190078912 A KR1020190078912 A KR 1020190078912A KR 20190078912 A KR20190078912 A KR 20190078912A KR 20210002971 A KR20210002971 A KR 20210002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resistor
insulation resistance
ground fault
electric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유
정종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8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2971A/ko
Publication of KR20210002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97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84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control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차 충전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직류전원의 양극에 연결되는 제1절연저항 및 상기 직류전원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절연저항을 구비하는 제1회로부; 및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검출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의 값을 예측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접지오류를 검출하는 제2회로부를 포함하여, 접지오류로 인해 발생가능한 감전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DEVICE FOR GROUND FAULT DETECTION OF ELECTRIC CAR CHARGER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기의 접지 오류(GROUND FAULT)를 검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는 배터리에 충전된 전압으로 모터를 구동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충전식 배터리를 사용한다.
대용량의 충전식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배터리 전기차 충전소 등에 전기차 충전기가 구비된다.
그런데, 전기차 배터리 충전기에 전기 회로를 형성하는 인쇄회로기판 등에 오작동이 발생하는 경우 충전기의 전선 외부로 접지경로가 형성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접지 오류(GROUND FAULT)라고 한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면, 전기차 배터리의 충전 시 충전기의 배선과 접촉하는 사람은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전기차 충전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접지오류를 검출하여, 접지오류로 인해 발생가능한 감전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첫번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차 충전시스템의 접지오류 정도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두번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는, 제1회로부와 제2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로부는 전기차 충전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직류전원의 양극에 연결되는 제1절연저항 및 상기 직류전원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절연저항을 구비한다.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검출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의 값을 예측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접지오류를 검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검출단은,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저항; 및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검출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검출단은,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4저항; 및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 접지오류 검출장치는 제1회로부와 제2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회로부는 전기차 충전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직류전원의 양극에 연결되는 제1절연저항 및 상기 직류전원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절연저항을 구비한다.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검출단을 구비한다.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의 값을 예측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접지오류를 검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검출단은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4저항; 및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의 값과 기설정된 절연규격의 절연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접지오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방법은,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에 의해 접지오류를 검출한다.
상기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는, 전기차 충전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직류전원의 양극에 연결되는 제1절연저항 및 상기 직류전원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절연저항을 구비하는 제1회로부; 및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제2저항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검출단 및 제2검출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의 값을 예측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접지오류를 검출하는 제2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방법은, 상기 제1검출단의 제1검출전압과 상기 제2검출단의 제2검출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검출전압과 상기 제2검출전압의 합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절연저항 또는 상기 제2절연저항을 기설정된 절연규격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접지오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지오류 검출방법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접지오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절연저항 또는 상기 제2절연저항이 상기 절연규격보다 더 작으면 접지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절연규격보다 크거나 같으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지오류 검출방법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검출단은,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저항; 및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검출단은,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4저항; 및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지오류 검출방법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을 연산하는 단계는, 다음의 제1단계 내지 제4단계 중 둘 이상의 단계에서 구한 2개 이상의 방정식에 의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계는,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모두가 오프 시, 식 1
Figure pat00001
및 식 2
Figure pat00002
에 의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스위치가 온 되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오프 시, 상기 식 1, 식 3
Figure pat00003
, 식 4
Figure pat00004
에 의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1스위치가 오프되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온 시, 상기 식 1, 식 5
Figure pat00005
, 식 6
Figure pat00006
에 의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모두가 온 시, 상기 식 1, 상기 식 3, 상기 식 5, 식 7
Figure pat00007
에 의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p는 제1절연저항이고, 상기 Rn는 제2절연저항이고, 상기 R1은 제1저항이고, 상기 R2는 제2저항이고, 상기 R3는 제3저항이고, 상기 R4는 제4저항이고, 상기 A는 Rp 과 R1의 합성 저항이고, 상기 B는 Rn 과 R2의 합성 저항이고, 상기 V1는 제3저항으로부터 검출되는 제1검출전압이고, 상기 V2는 제4저항으로부터 검출되는 제2검출전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차 충전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접지오류 검출장치를 구비하여, 전기차 충전기에 발생 가능한 접지오류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둘째, 전기차 충전기의 내부에 구비된 제1절연저항과 제2절연저항 각각의 저항값을 정확히 예측함으로써, 충전기 운전 중 접지오류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다.
셋째,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미세한 물방울 등으로 미세하게 부분 절연파괴가 발생할 경우, 정확한 절연저항값을 추정하여 즉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에서 접지오류(Ground Fault)를 검출하는 접지오류 검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의 접지오류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10)에서 접지오류(Ground Fault)를 검출하는 접지오류 검출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전기차 충전기(10)는 정류기(11)와 DC-DC 컨버터(12)를 구비한다.
3상 AC 전원(13)은 정류기(11)에 의해 AC에서 DC로 변환되고, DC는 DC-DC 컨버터(12)에 의해 배터리(20)에 적합한 전압의 DC로 변환된다. 변환된 전압의 DC는 전기차 충전기(10) 내부에 구비된 커패시터 등에 저장되거나, 전기차의 충전용 배터리(20)로 충전될 수 있다.
커패시터는 전기에너지를 임시로 저장하기 위한 DC 링크 커패시터일 수 있다. DC 링크 커패시터는 배터리(20)와 연결되어, DC를 배터리(20)에 제공할 수 잇다.
전기차의 배터리(20) 충전 시 충전기(10)의 외부 전선을 통해 접지(129)경로가 형성되는 것, 즉 접지(129) 오류를 검출하기 위해, 접지오류 검출장치(100)는 전기차 충전기(1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전기차 충전기(10)와 별개로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지오류 검출장치(100)가 충전기(10)의 외부에 별개로 구비된 모습을 보여준다.
접지오류 검출장치(100)가 컨버터(12) 출력단에 연결되어, 충전기(10)에 접지오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10)용 접지오류 검출장치(100)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전기차 충전기(10)의 내부에 제1회로부(110)가 구비된다. 제1회로부(110)는 충전기(10) 회로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회로부(110)는 시스템 절연저항인 제1절연저항(111; Rp) 및 제2절연저항(112; Rn)를 구비한다.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은 제1노드(121)를 사이에 두고 직렬로 연결된다. 제1노드(121)는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이 만나는 점이다.
제1절연저항(111)은 충전기(10)의 직류전원(DC)의 양극에 연결되고, 제2절연저항(112)은 충전기(10)의 직류전원의 음극에 연결된다.
접지오류 검출장치(100)는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을 예측함으로써, 접지오류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접지오류 검출장치(100)는 제2회로부(120)를 구비한다.
제2회로부(120)는 복수의 저항을 구비한다.
복수의 저항은 제1저항(125) 및 제2저항(1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저항(125; R1)은 상기 제1절연저항(111; Rp)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1저항(125)과 제1절연저항(111)은 제2노드(122)에서 만난다.
제2저항(126; R2)은 제2절연저항(112; Rn)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2저항(126)과 제2절연저항(112)은 제3노드(123)에서 만난다.
제1저항(125)과 제2저항(126)은 제4노드(124)를 사이에 두고 직렬로 연결된다. 제1저항(125)과 제2저항(126)은 제4노드(124)에서 만난다.
제1노드(121)와 제4노드(124)를 연결하는 전기회로에 접지(129; FIELD GROUND)가 형성된다.
접지오류는 제1절연저항(111; Rp) 및 제2절연저항(112; Rn)의 비율을 통해 예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이 기설정된 절연규격을 만족하지 못하면, 즉 절연규격보다 작으면 접지오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절연저항(111; Rp) 및 제2절연저항(112; Rn)의 비율은 다음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5에 의해 V2/V1의 비율로부터 알 수 있다.
[수학식 1] ...............
Figure pat00008
[수학식 2] ...............
Figure pat00009
[수학식 3] ...............
Figure pat00010
[수학식 4] ...............
Figure pat00011
[수학식 5] ...............
Figure pat00012
여기서, A는 Rp 과 R1의 합성 저항이다. B는 Rn 과 R2의 합성 저항이다. V1는 제1저항(125)으로부터 검출되는 제1검출전압이다. V2는 제2저항(126)으로부터 검출되는 제2검출전압이다. Vdc는 V1와V2의 합성 전압이다. R1, R2는 각각1MΩ 정도로 설계될 수 있다. Rp 과 Rn의 절연규격은 각각 10MΩ 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Rp>10MΩ, Rn>10MΩ).
제어부(30; controller)는 접지오류 검출장치(100)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접지오류의 발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1절연저항(111; Rp) 과 제2절연저항(112; Rn)을 연산하여 절연규격을 만족하는 경우(case 1)에 접지(129)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제2절연저항(112; Rn)이 절연규격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case 2)에 정상적으로 접지오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류 전원의 음극과 접지(129)(Field Ground)가 단락(short)되었다고 가정하면, 제2절연저항(112)은 0(Rn=0)이고, 제2검출전압(V2)은 거의 0V(V2≒0V)에 가깝고, 제2검출전압은 Vdc(V1=Vdc)이므로, 이 경우에 접지(129) 오류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접지오류 검출장치(100)는 제1절연저항(111; Rp) 과 제2절연저항(112; Rn) 모두 절연규격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접지오류를 정상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
예를 들면, Rp, Rn 모두 절연규격보다 작아서 절연규격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V2/V1은 정상적으로 계산이 되므로, 정상 운전으로 오검출되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접지오류 검출장치(100)는 Rp과 Rn의 비율만 알 수 있어서 접지오류를 검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운전(operation) 중, 즉 충전기(10)가 턴온(turn on)된 경우에 전기차 충전기(10)의 절연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 값을 실시간으로 알아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10)용 접지오류 검출장치(200)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오류 검출장치(200)는 도 2의 제1실시예에 대비하여 제3저항(1271)과 제1스위치(1272)를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기타 구성요소는 전술한 도 2의 제1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접지오류 검출장치(200)는 제3저항(1271)과 제1스위치(1272)를 이용하여 제1절연저항(111) 및 제2절연저항(112)이 모두 절연규격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 각각을 정확히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접지오류 검출장치(200)의 제2회로부(120)는 제1저항(125)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검출단(127)을 포함한다. 제1검출단(127)은 제3저항(1271)과 제1스위치(1272)를 구비한다. 제3저항(1271)과 제1스위치(1272)는 제1검출단(127)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제3저항(1271)은 제1저항(125)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1저항(125)과 제3저항(1271)은 제2노드(122)에서 만난다.
제1스위치(1272)는 제1저항(125)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1스위치(1272)는 선택적으로 ON/OFF될 수 있다. 제1저항(125)과 제1스위치(1272)는 제4노드(124)에서 만난다.
제2회로부(120)는 컨버터(12) 출력단에 연결되는 DC 링크 커패시터(130)를 구비할 수 있다.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충전기(10)로부터 공급되는 DC 전원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전기차의 배터리(20)가 충전기(10)에 연결되지 않더라도,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제2회로부(120)의 회로를 구성하여, 접지오류 검출장치(100)는 전기차 충전기(10)의 접지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 각각의 값은 알려진 값이 아니므로, 다른 복수의 저항으로 예측될 수 있다. 다만, 제1저항(125) 내지 제3저항(1271)은 기설정된 값(이미 알고 있는 값)이며, 각각 1MΩ로 설정될 수 있다.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은 다음 수학식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제1스위치(1272)가 OFF된 경우, 전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에 의해 수학식 5를 얻을 수 있다.
제1스위치(1272)가 ON된 경우, 전술한 수학식 4와 다음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8에 의해 수학식 9을 얻을 수 있다.
[수학식 6] ...............
Figure pat00013
[수학식 7] ...............
Figure pat00014
[수학식 8] ...............
Figure pat00015
[수학식 9] ...............
Figure pat00016
여기서, R3는 제3저항(1271)이다. A'은 A와 R3의 합성저항이다. 즉, A'는 제1절연저항(111), 제1저항(125) 및 제3저항(1271)의 합성저항과 같다.
V1은 제1검출단(127)의 제1검출전압이다. V2는 제2검출단(128)의 제2검출전압이다.
2개의 방식식인 수학식 5와 수학식 9를 알면 미지수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을 연산해서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 각각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전기차 충전기(10)에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전기차 충전기(10)의 접지오류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전기차 충전기(10)의 제1절연저항(111)값과 제2절연저항(112) 값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제1절연저항(111)값 또는 제2절연저항(112)값이 절연규격보다 더 작은 경우에 "접지오류 발생" 또는 "감전 위험" 등의 경고문구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스위치(1272)를 온 또는 오프 하여 2개의 수학식 5와 수학식 9를 얻을 수 있고, 이 2개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미지수인 제1절연저항(111) 및 제2절연저항(112)을 예측함으로써, 충전기(10)의 제1절연저항(111) 및 제2절연저항(112) 모두 절연규격을 만족하지 못해도 운전중 실시간으로 전기차 충전기(10)의 접지오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미세한 물방울 등으로 미세하게 부분 절연파괴가 발생할 경우, 정확한 절연저항값을 추정하여 즉시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10)용 접지오류 검출장치(300)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오류 검출장치(300)는 도 2의 제1실시예에 대비하여 제4저항(1281)과 제2스위치(1282)를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기타 구성요소는 전술한 도 2의 제1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접지오류 검출장치(300)는 제4저항(1281)과 제2스위치(1282)를 이용하여 제1절연저항(111) 및 제2절연저항(112)이 모두 절연규격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 각각을 정확히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접지오류 검출장치(300)의 제2회로부(120)는 제2저항(126)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검출단(128)을 포함한다. 제2검출단(128)은 제4저항(1281)과 제2스위치(1282)를 구비한다. 제4저항(1281)과 제2스위치(1282)는 제2검출단(128)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제4저항(1281)은 제2저항(126)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2저항(126)과 제4저항(1281)은 제4노드(124)에서 만난다.
제2스위치(1282)는 제2저항(126)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2스위치(1282)는 선택적으로 ON/OFF될 수 있다. 제2저항(126)과 제2스위치(1282)는 제3노드(123)에서 만난다.
제2회로부(120)는 컨버터(12) 출력단에 연결되는 DC 링크 커패시터(130)를 구비할 수 있다.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충전기(10)로부터 공급되는 DC 전원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전기차의 배터리(20)가 충전기(10)에 연결되지 않더라도,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제2회로부(120)의 회로를 구성하여, 접지오류 검출장치(100)는 전기차 충전기(10)의 접지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4에서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 각각의 값은 알려진 값이 아니므로, 다른 복수의 저항으로 예측될 수 있다. 다만, 제1저항(125), 제2저항(126), 및 제4저항(1281)은 기설정된 값(이미 알고 있는 값)이며, 각각 1MΩ로 설정될 수 있다.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은 다음 수학식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제2스위치(1282)가 OFF된 경우, 전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에 의해 수학식 5를 얻을 수 있다.
제2스위치(1282)가 ON된 경우, 전술한 수학식 4와 다음 수학식 10 내지 수학식 12에 의해 수학식 13을 얻을 수 있다.
[수학식 10] ...............
Figure pat00017
[수학식 11] ...............
Figure pat00018
[수학식 12] ...............
Figure pat00019
[수학식 13] ...............
Figure pat00020
여기서, R4는 제4저항(1281)이다. B'은 B와 R4의 합성저항이다. 즉, B'는 제2절연저항(112), 제2저항(126) 및 제4저항(1281)의 합성저항과 같다.
V1은 제1검출단(127)의 제1검출전압이다. V2는 제2검출단(128)의 제2검출전압이다.
2개의 수학식 5와 수학식 13을 알면 미지수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을 연산해서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 각각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10)용 접지오류 검출장치(400)의 회로구성을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접지오류 검출장치(400)는 도 2의 제1실시예에 대비하여 제3저항(1271) 및 제4저항(1281)과 제1스위치(1272) 및 제2스위치(1282)를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기타 구성요소는 전술한 도 2의 제1실시예와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접지오류 검출장치(400)는 제3저항(1271) 및 제4저항(1281)과 제1스위치(1272) 및 제2스위치(1282)를 이용하여 제1절연저항(111) 및 제2절연저항(112)이 모두 절연규격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 각각을 정확히 연산하도록 구성된다.
접지오류 검출장치(400)의 제2회로부(120)는 제1저항(125)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검출단(127)과 제2저항(126)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검출단(128)을 포함한다. 제1검출단(127)은 제3저항(1271)과 제1스위치(1272)를 구비한다. 제2검출단(128)은 제4저항(1281)과 제2스위치(1282)를 구비한다. 제3저항(1271)과 제1스위치(1272)는 제1검출단(127)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제4저항(1281)과 제2스위치(1282)는 제2검출단(128)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제3저항(1271)은 제1저항(125)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4저항(1281)은 제2저항(126)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1저항(125)과 제3저항(1271)은 제2노드(122)에서 만난다. 제2저항(126)과 제4저항(1281)은 제4노드(124)에서 만난다.
제1스위치(1272)는 제1저항(125)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1스위치(1272)는 선택적으로 ON/OFF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제1저항(125)과 제1스위치(1272)는 제4노드(124)에서 만난다. 제2스위치(1282)는 제2저항(126)에 병렬로 연결된다. 제2스위치(1282)는 선택적으로 ON/OFF될 수 있다. 제2저항(126)과 제2스위치(1282)는 제3노드(123)에서 만난다.
제2회로부(120)는 컨버터(12) 출력단에 연결되는 DC 링크 커패시터(130)를 구비할 수 있다.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충전기(10)로부터 공급되는 DC 전원을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전기차의 배터리(20)가 충전기(10)에 연결되지 않더라도,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제2회로부(120)의 회로를 구성하여, 접지오류 검출장치(100)는 전기차 충전기(10)의 접지오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5에서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 각각의 값은 알려진 값이 아니므로, 다른 복수의 저항으로 예측될 수 있다. 다만, 제1저항(125) 내지 제4저항(1281)은 기설정된 값(이미 알고 있는 값)이며, 각각 1MΩ로 설정될 수 있다.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은 다음 수학식에 의해 연산될 수 있다.
제1스위치(1272)와 제2스위치(1282) 모두가 OFF된 경우, 전술한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4에 의해 수학식 5를 얻을 수 있다.
제1스위치(1272)가 ON되고, 제2스위치(1282)가 OFF된 경우, 전술한 수학식 4와 수학식 6 내지 수학식 8에 의해 수학식 9을 얻을 수 있다.
제1스위치(1272)가 OFF되고, 제2스위치(1282)가 ON된 경우, 전술한 수학식 4와 수학식 10 내지 수학식 12에 의해 수학식 13을 얻을 수 있다.
제1스위치(1272)와 제2스위치(1282) 모두가 ON된 경우, 전술한 수학식 4, 수학식 6 및 수학식 10에 의해 다음 수학식 14를 얻을 수 있다.
[수학식 14] ...............
Figure pat00021
V1은 제1검출단(127)의 제1검출전압이다. V2는 제2검출단(128)의 제2검출전압이다.
2개의 수학식 5와 수학식 13을 알면 미지수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을 연산해서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 각각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기(10)의 접지오류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접지오류 검출장치(400)는 제3저항(1271), 제4저항(1281), 제1스위치(1272) 및 제2스위치(1282)를 포함하는 제4실시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첫번째, 충전 가능할 때까지 전기차 충전기(10)의 운전을 대기한다(S100). 전기차 충전기(10)의 충전이 가능하면, 전기차 충전기(10)를 턴온 시킨다.
예를 들어, 전기차 배터리(20)에 충전을 위해, 충전기(10)의 충전건을 전기차의 배터리(20) 충전포트에 연결한다.
두번째, 전기차 충전기(10)에 접지오류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110).
전기차 충전기(10)에 접지오류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이후에도 운전 중 접지오류 발생 여부에 대한 검출을 실시간으로 실시한다. 접지오류가 발생했다면 충전 가능할 때까지 대기한다(S100).
세번째, 제어부(30; controller)는 제1검출단(127)의 제3저항(1271)을 통해 제1검출전압(V1)을 검출하고, 제2검출단(128)의 제4저항(1281)을 통해 제2검출전압(V2)을 검출한다(S120).
네번째, 제어부(30)는 상술한 수학식 1에 의해 Vdc를 연산한다(S130).
다섯번째, 제어부(30)는 V1, V2, Vdc, R1, R2, R3, R4를 이용하여 제1절연저항(111) 및 제2절연저항(112) 각각을 연산한다(S140). R1, R2, R3, R4는 기설정된 알고 있는 저항값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호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Rp : 제1절연저항(111), Rn : 제2절연저항(112), R1 : 제1저항(125), R2 : 제2저항(126), R3 : 제3저항(1271), R4 : 제4저항(1281), A : Rp 과 R1의 합성 저항, B : Rn 과 R2의 합성 저항, V1: 제3저항(1271)을 통해 검출되는 제1검출전압, V2 : 제4저항(1281)을 통해 검출되는 제2검출전압, Vdc : V1과 V2의 합.
제어부(30)는 제1스위치(1272) 및 제2스위치(1282)를 제어하여, 다음 제1단계 내지 제4단계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단계에서 구한 적어도 2개 이상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해를 구하는 방식으로 미지수인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 각각의 저항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단계는 상기 제1스위치(1272)와 상기 제2스위치(1282) 모두가 오프(off) 시, 식 1
Figure pat00022
및 식 2
Figure pat00023
에 의해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의 관계식(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계에서는 상기 제1절연저항(111)과 상기 제2절연저항(112)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제2단계는 제1스위치(1272)가 온(on) 되고, 제2스위치(1282)가 오프 시, 식 1
Figure pat00024
, 식 3
Figure pat00025
, 식 4
Figure pat00026
에 의해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제3단계는 제1스위치(1272)가 오프되고, 제2스위치(1282)가 온 시, 식 1
Figure pat00027
, 식 5
Figure pat00028
, 식 6
Figure pat00029
에 의해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제4단계는 제1스위치(1272)와 제2스위치(1282) 모두가 온시, 식 1
Figure pat00030
, 식 3
Figure pat00031
, 식 5
Figure pat00032
, 식 7
Figure pat00033
에 의해 제1절연저항(111)과 제2절연저항(112)의 관계식을 구할 수 있다.
여섯번째, 연산된 제1절연저항(111) 및 제2절연저항(112)과 절연규격을 비교한다.
비교한 결과, 제1절연저항(111) 값이 기설정된 절연규격보다 작거나 연산된 제2절연저항(112) 값이 기설정된 절연규격보다 작은 경우에 접지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150).
일곱번째, 접지오류가 발생하면 세이프티 기능(SAFETY FUNCTION)을 작동시킨다(S160).
여덟번째, 이 경우에 강제로 충전을 중단(STOP)한다(S170).
아홉번째, 접지오류의 발생을 충전기(1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S180)하거나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열번째, 정지오류가 발생되지 않으면 정상 운전 중인 것으로 판단한다(S190).
열한번째, 계속해서 충전을 진행한다(S200).
열두번째, 배터리(20) 충전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다(S210).
열세번째, 충전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에 충전완료를 표시한다(S220).
배터리(20) 충전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충전중이라고 표시한다(S230).
S180, S220, S230 표시 후 시스템을 종료(턴 오프)하거나 다시 S100으로 되돌아 간다.
10 : 전기차 충전기 11 : 정류기
12 : DC-DC 컨버터 13 : 3상 AC 전원
20 : 배터리 30 : 제어부
100,200,300,400 : 접지오류 검출장치
110 : 제1회로부 111 : 제1절연저항
112 : 제2절연저항 120 : 제2회로부
121 : 제1노드 122 : 제2노드
123 : 제3노드 124 : 제4노드
125 : 제1저항 126 : 제2저항
127 : 제1검출단 1271 : 제3저항
1272 : 제1스위치 128 : 제2검출단
1281 : 제4저항 1282 : 제2스위치
129 : 접지 130 : DC 링크 커패시터

Claims (10)

  1. 전기차 충전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직류전원의 양극에 연결되는 제1절연저항 및 상기 직류전원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절연저항을 구비하는 제1회로부; 및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검출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의 값을 예측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접지오류를 검출하는 제2회로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단은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저항; 및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로부는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검출단을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출단은,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4저항; 및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5. 전기차 충전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직류전원의 양극에 연결되는 제1절연저항 및 상기 직류전원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절연저항을 구비하는 제1회로부; 및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2검출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의 값을 예측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접지오류를 검출하는 제2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검출단은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4저항; 및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의 값과 기설정된 절연규격의 절연저항값을 비교하여, 상기 접지오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7. 전기차 충전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직류전원의 양극에 연결되는 제1절연저항 및 상기 직류전원의 음극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절연저항을 구비하는 제1회로부; 및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저항 및 제2저항과, 상기 제1저항과 상기 제2저항 각각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1검출단 및 제2검출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의 값을 예측하여 상기 전기차 충전기의 접지오류를 검출하는 제2회로부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에 의해 접지오류를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단의 제1검출전압과 상기 제2검출단의 제2검출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1검출전압과 상기 제2검출전압의 합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제1절연저항 또는 상기 제2절연저항을 기설정된 절연규격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접지오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오류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절연저항 또는 상기 제2절연저항이 상기 절연규격보다 더 작으면 접지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절연규격보다 크거나 같으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검출단은,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3저항; 및
    상기 제1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3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1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검출단은,
    상기 제2검출단은,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는 제4저항; 및
    상기 제2저항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제4저항과 직렬로 연결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을 연산하는 단계는,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모두가 오프 시, 식 1
    Figure pat00034
    및 식 2
    Figure pat00035
    에 의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의 비율을 계산하는 제1단계;
    상기 제1스위치가 온 되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오프 시, 상기 식 1, 식 3
    Figure pat00036
    , 식 4
    Figure pat00037
    에 의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의 관계식을 구하는 제2단계;
    상기 제1스위치가 오프되고, 상기 제2스위치가 온 시, 상기 식 1, 식 5
    Figure pat00038
    , 식 6
    Figure pat00039
    에 의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의 관계식을 구하는 제3단계;
    상기 제1스위치와 상기 제2스위치 모두가 온 시, 상기 식 1, 상기 식 3, 상기 식 5, 식 7
    Figure pat00040
    에 의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의 관계식을 구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1단계 내지 상기 제4단계 중 둘 이상의 단계에서 구한 2개 이상의 방정식에 의해 상기 제1절연저항과 상기 제2절연저항 각각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p는 제1절연저항이고, 상기 Rn는 제2절연저항이고, 상기 R1은 제1저항이고, 상기 R2는 제2저항이고, 상기 R3는 제3저항이고, 상기 R4는 제4저항이고, 상기 A는 Rp 과 R1의 합성 저항이고, 상기 B는 Rn 과 R2의 합성 저항이고, 상기 V1는 제3저항으로부터 검출되는 제1검출전압이고, 상기 V2는 제4저항으로부터 검출되는 제2검출전압인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방법.
KR1020190078912A 2019-07-01 2019-07-01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 Ceased KR202100029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912A KR20210002971A (ko) 2019-07-01 2019-07-01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912A KR20210002971A (ko) 2019-07-01 2019-07-01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71A true KR20210002971A (ko) 2021-01-11

Family

ID=7412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912A Ceased KR20210002971A (ko) 2019-07-01 2019-07-01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297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194B1 (ko) * 2022-03-14 2023-02-06 주식회사 피라인모터스 전기차 충전기용 전력계통 모니터링 장치
CN115951127A (zh) * 2023-02-10 2023-04-11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车载充电电路的绝缘电阻检测方法、车载充电电路及介质
CN116184058A (zh) * 2022-11-09 2023-05-30 南昌市新海通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充电桩计量检测方法及装置
CN116238378A (zh) * 2023-04-21 2023-06-09 陈思璇 一种充电桩充电异常检测方法及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194B1 (ko) * 2022-03-14 2023-02-06 주식회사 피라인모터스 전기차 충전기용 전력계통 모니터링 장치
CN116184058A (zh) * 2022-11-09 2023-05-30 南昌市新海通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充电桩计量检测方法及装置
CN116184058B (zh) * 2022-11-09 2023-11-21 南昌市新海通实业有限公司 一种基于物联网的充电桩计量检测方法及装置
CN115951127A (zh) * 2023-02-10 2023-04-11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车载充电电路的绝缘电阻检测方法、车载充电电路及介质
CN115951127B (zh) * 2023-02-10 2023-09-12 小米汽车科技有限公司 车载充电电路的绝缘电阻检测方法、车载充电电路及介质
CN116238378A (zh) * 2023-04-21 2023-06-09 陈思璇 一种充电桩充电异常检测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86923B (zh) 用于电绝缘性测试和诊断的总线泄漏电阻估算
CN106885955B (zh) 状态判定装置以及状态判定方法
US10611243B2 (en) Ground fault detection apparatus
KR101470553B1 (ko) 배터리의 절연 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JP5972972B2 (ja) 直流電力供給装置
KR20210002971A (ko) 전기차 충전기용 접지오류 검출장치 및 방법
US10663506B2 (en) System for diagnosing fault of relays for vehicle
US20150219720A1 (en) Re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4641244B (zh) 用于检测和测量绝缘故障的装置
US20190086464A1 (en) Ground fault detection apparatus
CN105572540B (zh) 自适应的电动汽车高压电安全故障诊断预警定位监测系统
CN103048545A (zh) 用于检测高电压电池系统的绝缘电阻的装置
KR20140136844A (ko) 배터리 팩의 릴레이 진단장치 및 배터리 제어 시스템
US10205315B2 (en) Fault detection system
KR101486626B1 (ko) 절연 저항 검출 장치 및 이의 진단 장치
CN109228870B (zh) 列车和列车供电系统及其漏电检测恢复装置、方法
US11193986B2 (en) Failure diagnostic device
CN109239510B (zh) 列车、列车供电系统及其漏电检测定位装置、方法
JP2018048957A (ja) 漏電検出装置
KR20180042755A (ko) Pra 고장 진단 장치
JP5104520B2 (ja) 電動車両の充電装置
WO2014034153A1 (ja) 漏電検出回路、電池用回路基板、及び電池電源装置
CN113439215A (zh) 基于正负极的继电器检测电路及检测装置
JP2016531301A (ja) クリティカルな状況下での絶縁不良を試験する絶縁不良検出装置
US12174230B2 (en) Electricity leakage detection device and vehicle power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4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1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