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2059A -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2059A KR20210002059A KR1020200105576A KR20200105576A KR20210002059A KR 20210002059 A KR20210002059 A KR 20210002059A KR 1020200105576 A KR1020200105576 A KR 1020200105576A KR 20200105576 A KR20200105576 A KR 20200105576A KR 20210002059 A KR20210002059 A KR 202100020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eated water
- unit
- space
- body housing
- waste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5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7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6 kitchen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상기 1차전초리조는 인입구, 상기 인입구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분산공이 형성된 제1분산패널, 상기 제1분산패널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수평고정대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수직다단흡착부, 상부에 제1부직포가 재치된 제1걸림부, 상기 제1걸림부 상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제2분산공이 형성된 제2분산패널, 상기 제2분산패널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 부직포가 장착된 제1부직포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직포지지대의 상단과 제1스토퍼 사이에 제1탄성스프링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1부직포지지대의 말단이 제1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공간부는 저면에 부상여재가 재치되고, 그 하부에 장착된 산소공급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부상여재는 상부로 부상하면서 잔류하는 입자성 물질을 흡착제거하며,
2차전처리조는 전단에 상부에 제2부직포가 재치된 제2걸림부, 상기 제2걸림부 상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제3분산공이 형성된 제3분산패널, 상기 제3분산패널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 부직포가 장착된 제2부직포지지대,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에 후방에 제2수평고정대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수직다단흡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의 상단과 제2스토퍼 사이에 제2탄성스프링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의 말단이 제2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배출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물배출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순환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공급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컴배출부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체배출부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순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200 : 내부몸체하우징
300 : 다공격판
400 : 하폐수유입부
500 : 처리수배출부
600 : 침전물배출부
700 : 산소공급부
800 : 스컴배출부
900 : 기체배출부
1000 : 처리수공급부
1100 : 산소공급회전부
Claims (1)
상기 1차전처리조는 인입구, 상기 인입구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분산공이 형성된 제1분산패널, 상기 제1분산패널의 후방에 설치되고 제1수평고정대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된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1수직다단흡착부, 상부에 제1부직포가 재치된 제1걸림부, 상기 제1걸림부 상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제2분산공이 형성된 제2분산패널, 상기 제2분산패널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 부직포가 장착된 제1부직포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직포지지대의 상단과 제1스토퍼 사이에 제1탄성스프링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1부직포지지대의 말단이 제1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흡착공간부는 저면에 부상여재가 재치되고, 그 하부에 장착된 산소공급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산소에 의해 부상여재는 상부로 부상하면서 잔류하는 입자성 물질을 흡착제거하며,
2차전처리조는 전단에 상부에 제2부직포가 재치된 제2걸림부, 상기 제2걸림부 상에 설치되고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가이드되며 제3분산공이 형성된 제3분산패널, 상기 제3분산패널과 일체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하방으로 설치된 부직포가 장착된 제2부직포지지대,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에 후방에 제2수평고정대에 다단으로 나란하게 수직으로 장착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2수직다단흡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의 상단과 제2스토퍼 사이에 제2탄성스프링을 매개하여 폐수에 의해 압축되면서 상기 제2부직포지지대의 말단이 제2스토퍼에 닿을 때까지 압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폐수처리조는,
내부에 처리공간부를 갖는 몸체하우징;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유입공간부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내부 중앙부에 구비되는 내부몸체하우징;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단부와 몸체하우징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부를 침전공간부와 산기공간부로 구획하는 격판;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로 하폐수를 공급하기 위한 하폐수유입부;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필처링된 처리수가 배수되기 위한 처리수배출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하측인 상기 몸체하우징의 침전공간부에 침전된 침전물을 배출하기 위한 침전물배출부;
상기 침전공간부에서 침전물이 분리된 처리수를 산기공간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처리수공급부;
상기 산기공간부로 산소 기포를 분사하기 위한 산소공급부;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을 기준으로 상기 처리수공급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산소공급회전부;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에 부유하도록 구비되어 스컴을 분리배출시키기 위한 스컴배출부; 및
상기 침전물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침전물에 포함된 하폐수를 분리시켜 상기 몸체하우징의 처리공간부로 순환시키기 위한 하폐수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폐수유입부에 의해 공급된 하폐수는,
상기 내부몸체하우징의 유입공간부를 따라 침전공간부로 유입되어 침전물이 침전된 후, 상기 처리수공급부에 의해 산기공간부로 이동된 다음, 상기 산소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산소 기포와 혼합되어 부유물이 분리되며,
부유물이 제거된 처리수는 상기 처리수배출부로 배출되고, 스컴은 상기 스컴배출부에 의해 분리배출되며,
상기 처리수배출부는,
내부에 상측으로 개방된 처리수배출공간부를 갖고, 상기 몸체하우징의 상단부 외주를 따라 구비되는 처리수배출관로; 및
상기 처리수배출관로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처리수배출공간부로 유입된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처리수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산기공간부의 처리수가 상기 처리수배출공간부로 넘쳐 이동된 후, 각 처리수배출관을 통해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폐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05576A KR102397619B1 (ko) | 2019-06-26 | 2020-08-21 |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6686A KR102153224B1 (ko) | 2019-06-26 | 2019-06-26 |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KR1020200105576A KR102397619B1 (ko) | 2019-06-26 | 2020-08-21 |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6686A Division KR102153224B1 (ko) | 2019-06-26 | 2019-06-26 |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2059A true KR20210002059A (ko) | 2021-01-06 |
KR102397619B1 KR102397619B1 (ko) | 2022-05-13 |
Family
ID=81583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05576A Active KR102397619B1 (ko) | 2019-06-26 | 2020-08-21 |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761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31135A (zh) * | 2021-12-09 | 2022-02-11 | 刘兵 | 一种丝棉厂废水处理系统 |
CN117065412A (zh) * | 2023-10-16 | 2023-11-17 | 山东北成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高氨氮废水处理用的重金属预处理过筛装置 |
CN119591215A (zh) * | 2024-12-04 | 2025-03-11 | 滁州欣丰纺织服装有限公司 | 一种纺织机用纺织废水处理装置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5183B1 (ko) * | 2006-07-06 | 2007-11-12 | 서종열 |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
KR100879333B1 (ko) * | 2008-05-09 | 2009-01-19 | (주)성신엔지니어링 | 일괄 압착형 중력식 섬유여과기 |
KR101169697B1 (ko) * | 2011-12-23 | 2012-07-30 |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
KR20140097963A (ko) * | 2013-12-17 | 2014-08-0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포함하는 바이오볼 및 이를 사용하는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
KR20190030560A (ko) * | 2018-02-08 | 2019-03-22 |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혼합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
KR102153224B1 (ko) * | 2019-06-26 | 2020-09-21 | (주)천마기술단 |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
2020
- 2020-08-21 KR KR1020200105576A patent/KR10239761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5183B1 (ko) * | 2006-07-06 | 2007-11-12 | 서종열 | 폐발포합성수지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
KR100879333B1 (ko) * | 2008-05-09 | 2009-01-19 | (주)성신엔지니어링 | 일괄 압착형 중력식 섬유여과기 |
KR101169697B1 (ko) * | 2011-12-23 | 2012-07-30 | 주식회사 라미나알앤디 | 다중 구조의 수류 공간흐름을 이용한 경사판 침전조 |
KR20140097963A (ko) * | 2013-12-17 | 2014-08-0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폴리우레탄 폼 담체를 포함하는 바이오볼 및 이를 사용하는 하폐수 처리 장치 및 방법 |
KR20190030560A (ko) * | 2018-02-08 | 2019-03-22 |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혼합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
KR102153224B1 (ko) * | 2019-06-26 | 2020-09-21 | (주)천마기술단 |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031135A (zh) * | 2021-12-09 | 2022-02-11 | 刘兵 | 一种丝棉厂废水处理系统 |
CN117065412A (zh) * | 2023-10-16 | 2023-11-17 | 山东北成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高氨氮废水处理用的重金属预处理过筛装置 |
CN117065412B (zh) * | 2023-10-16 | 2023-12-15 | 山东北成环境工程有限公司 | 一种高氨氮废水处理用的重金属预处理过筛装置 |
CN119591215A (zh) * | 2024-12-04 | 2025-03-11 | 滁州欣丰纺织服装有限公司 | 一种纺织机用纺织废水处理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7619B1 (ko) | 2022-05-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53224B1 (ko) |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
RU1825349C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анаэробной обработки сточных вод | |
KR102397619B1 (ko) | 침전물 및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2354522B1 (ko) | 스컴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1993675B1 (ko) |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혼합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 |
KR100894646B1 (ko) |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 |
KR102397623B1 (ko) | 산소기포를 이용한 부유물의 처리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1917080B1 (ko) | 하폐수처리장치 | |
RU1836301C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 |
KR101847930B1 (ko) |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2397626B1 (ko) |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이 높은 하폐수처리장치 | |
KR102086902B1 (ko) | 개선된 부유물 및 스컴제거 효율을 갖는 회전가능한 산소공급판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1991812B1 (ko) | 처리수 배출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다공격판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 |
KR101993672B1 (ko) | 음식물 폐수처리를 위한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1991810B1 (ko) | 부유물 및 스컴제거 효율이 개선된 하폐수처리장치 | |
US3335865A (en) | System for sewage treatment | |
KR100894645B1 (ko) |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 |
KR102086901B1 (ko) | 회전가능한 산소공급판을 포함하는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1992389B1 (ko) | 고농도 질소함유 반류수의 처리를 위한 처리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 |
KR20190030556A (ko) | 산소기포를 이용한 개선된 처리효율을 갖는 하폐수처리장치 | |
BE1024467B1 (nl) | Afvalwaterbehandelingsinstallatie | |
KR101991808B1 (ko) | 처리효율이 향상된 다공격판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1991816B1 (ko) | 개선된 처리수 배출효율을 갖는 다공격판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1993676B1 (ko) | 고농도 질소함유 반류수의 처리를 위한 혼합효율이 향상된 하폐수처리장치 | |
KR101847926B1 (ko) | 다공격판을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082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9062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9007668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40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