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02022A - 취성 재료 기판의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그리고 분단 장치 및 분단 방법 - Google Patents

취성 재료 기판의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그리고 분단 장치 및 분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2022A
KR20210002022A KR1020200078257A KR20200078257A KR20210002022A KR 20210002022 A KR20210002022 A KR 20210002022A KR 1020200078257 A KR1020200078257 A KR 1020200078257A KR 20200078257 A KR20200078257 A KR 20200078257A KR 20210002022 A KR20210002022 A KR 20210002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brittle material
material substrate
scribe
scribe l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라 에지마타니
타카아키 이마데
Original Assignee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217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0083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217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0080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12177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008053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002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02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Glass cutting table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r handling sheet glass during the cutting or break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5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for scoring or breaking, e.g.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B28D7/0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the supporting or holding device being angularly adjus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7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4Cutting or splitting in curves, especially for making spectacle 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취성 재료 기판을 효율적으로 분단할 수 있는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그리고 분단 장치 및 분단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취성 재료 기판에 응력을 가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취성 재료 기판을 분할하는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장치로서,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기구와, 취성 재료 기판을 보유 지지하여 이송하는 기판 이송 기구와, 취성 재료 기판의 단재 영역을 파지하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고, 스크라이브 기구는 소정의 가공 위치에 있어서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헤드를 갖고, 기판 이송 기구는,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을 보유 지지하는 기판 보유 지지부를 갖고,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단재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고, 기판 보유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는, 상대적으로 접근 이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취성 재료 기판의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그리고 분단 장치 및 분단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CRIBING BRITTLE MATERIAL SUBSTRAT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IVID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리 기판 등의 취성 재료(brittle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분단(dividing)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기판의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그리고 분단 장치 및 분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 기판 등의 취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분단하는 가공에서는, 종래, 테이블 상에 기판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컷터 휠을 기판 표면에 밀어부쳐 스크라이브 라인(scribing line)을 형성하고, 그 후,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외력을 인가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으로부터 균열을 진전시킴(브레이크함)으로써, 제품의 형상으로 분단하고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최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품의 형상은 다양화하고 있고, 곡면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의 형상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생산이 증가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7-132684호
특허문헌 1의 유리 가공 장치에서는, 기판을 유지하는 테이블의 양단에 기판의 단부를 구부려 나누는 기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공 대상의 유리 기판의 형상에 맞춘 테이블을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형상을 갖는 취성 재료 기판을 효율적으로 분단할 수 있는 분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장치는,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취성 재료 기판에 응력을 가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취성 재료 기판을 분할하는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장치로서,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기구와, 취성 재료 기판을 보유 지지하여 이송하는 기판 이송 기구와, 취성 재료 기판의 단재(端材) 영역을 파지하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고, 스크라이브 기구는 소정의 가공 위치에 있어서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헤드를 갖고, 기판 이송 기구는, 취성 재료 기판을 보유 지지하는 기판 보유 지지부를 갖고, 브레이크 기구는 단재를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고, 기판 보유 지지부와 파지부는, 상대적으로 접근 이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방법은,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취성 재료 기판에 응력을 가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취성 재료 기판을 분할하는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방법으로서, 취성 재료 기판의 주면(主面)을 흡착 보유 지지하는 스텝과, 흡착 보유 지지된 상태의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텝과, 흡착 보유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취성 재료 기판을 이송하고,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취성 재료 기판에 외력을 가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을 분리하는 스텝을 갖는다.
본 발명의 분단 장치에 의하면, 1개의 기판 보유 지지부가 기판을 보유 지지한 채로, 스크라이브 가공 및 브레이크 가공을 실시하기 때문에, 분단 후의 기판의 형상에 따라서 기판을 보유 지지하는 테이블의 형상이나 브레이크 기구의 배치를 바꿀 필요가 없어, 효율적으로 기판을 스크라이브 및 분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단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단 장치의 기판 보유 지지 헤드 주위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3은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기판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단 장치의 스크라이브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단 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의 경사를 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단 장치의 브레이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브 장치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제1 실시 형태)
1) 장치 구성
도 1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단 장치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 개략도이다.
분단 장치(1)는, 곡면 기판(W)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형성한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분단하는 장치이다. 기판(W)은, 유리 등의 취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곡면 기판으로, 예를 들면 액정 패널이다. 분단 장치(1)는 기판 이송 기구(2)와, 스크라이브 기구(3)와, 제어부(4)와, 브레이크 기구(5)를 갖는다.
기판 이송 기구(2)는, 기판(W)을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기판(W)의 위치, 높이, 경사 및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장치이다. 기판 이송 기구(2)는, 로봇 아암부(210)와, 기판 보유 지지 헤드(220)를 갖는다. 로봇 아암부(210)는, 도시하지 않는 모터를 구동하여, 기판 보유 지지 헤드(220)의 위치, 높이 및 경사를 변경할 수 있다.
기판 보유 지지 헤드(220)는, 선회부(221)와 기판 보유 지지부(222)를 갖는다. 기판 보유 지지부(222)는, 기판(W)을 진공 흡착하여 보유 지지한다. 선회부(221)는, 도시하지 않는 모터를 구동하여 기판 보유 지지부(222)를 선회시킨다.
도 2는, 기판 보유 지지 헤드(220) 주위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보유 지지 헤드(220)는, 보유 지지한 기판(W)을 그의 주면에 대략 수직인 방향의 축 둘레로 선회시킬 수 있다.
스크라이브 기구(3)는, 기판(W)의 소정의 위치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스크라이브 기구(3)는, 기판 이송 기구(2)에 의해 보유 지지된 상태의 기판(W)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한다.
스크라이브 기구(3)는, 2개의 스크라이브 헤드(310)를 갖고, 스크라이브 헤드(310)는, 기판의 1개의 면 또는 양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기판(W)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한다. 스크라이브 기구(3)는, 조사한 레이저광을 기판(W)의 내부에 집광함으로써 기판의 내부에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공흔을 형성한다.
브레이크 기구(5)는 기판(W)의 단부를 파지하는 장치이다. 브레이크 기구(5)는 파지부(510)와 이동 베이스부(520)를 갖는다. 파지부(510)는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기판(W)의 단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파지부(510)를 닫음으로써 기판(W)의 단재를 파지한다. 이동 베이스부(520)는, 도시하지 않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파지부(510)를 기판 이송 기구(2)에 대하여 접근 및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어부(4)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CPU)와, 기억 장치(예를 들면, ROM, RAM, HDD, SSD 등)와, 각종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A/D 컨버터, D/A 컨버터, 통신 인터페이스 등)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제어부(4)는, 기억부(기억 장치의 기억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에 보존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기판 이송 기구(2)와 스크라이브 기구(3)와 브레이크 기구(5)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2) 분단 방법
분단 장치(1)는, 기판 보유 지지 헤드(220)에서 보유 지지한 기판(W)을, 먼저 스크라이브 기구(3)를 이용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이어서 브레이크 기구(5)를 이용하여 단재 영역을 분리(브레이크)한다.
도 3은, 분단 장치(1)를 이용하여 제품의 형상으로 분할되는 기판(W)의 개략도이다. 기판(W)에는, 분단 장치(1)를 이용하여, 제품의 형상을 따른 스크라이브 라인(S1)과, 제품의 주위의 단재를 4분할하는 4개의 스크라이브 라인(S2)이 형성된다. 제품 영역(P)은, 스크라이브 라인(S1)으로 둘러싸여 있고, 단재가 분리되어 제품이 되는 영역이다. 단재 영역(D1∼D4)은, 스크라이브 라인(S1)과 스크라이브 라인(S2)을 따라, 제품 영역(P)으로부터 분리되어 단재가 되는 영역이다.
2-1) 스크라이브 방법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분단 장치(1)의 스크라이브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기판 이송 기구(2)는, 기판 보유 지지부(222)를 이용하여, 기판(W)의 제품 영역(P)을 흡착 보유 지지한다. 이 때, 기판 보유 지지 헤드(220)와 스크라이브 기구(3)의 위치가 간섭하기 어렵도록, 곡면 기판의 볼록하게 되어 있는 면을 흡착 보유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기판 이송 기구(2)는, 로봇 아암부(210)를 구동하여, 스크라이브 기구(3)가 스크라이브 가능한 위치로 기판(W)을 이동한다. 이 때, 기판(W)의 곡면 형상에 따라서, 기판(W)의 방향 및 경사를 조정한다.
스크라이브 기구(3)에 의해 기판(W)에 레이저를 조사하면서, 기판 이송 기구(2)를 구동하여 기판(W)을 이동 및 선회시킨다. 기판 이송 기구(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 위치(가공 위치)(F)를 고정한 채로, 스크라이브 라인(S1)이 소망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기판(W)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품 영역(P)의 외형이 되는 스크라이브 라인(S1)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파선은,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기 전의 스크라이브 라인(S1)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기판 이송 기구(2)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 위치(가공 위치)(F)에 있어서의 기판(W)의 표면의 접선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스크라이브 라인(S1)이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기판(W)의 곡면에 따라서 기판(W)의 경사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기판(W)의 표면의 접선에 대하여 임의의 경사각 α를 갖는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다.
각 스크라이브 라인(S2)도, 스크라이브 라인(S1)과 마찬가지로, 스크라이브 기구(3)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면서, 기판 이송 기구(2)를 이용하여 기판(W)의 경사를 조정하면서 기판(W)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형성된다.
2-2) 브레이크 방법
다음으로, 도 6을 이용하여 분단 장치(1)의 브레이크 동작을 설명한다.
기판 이송 기구(2)는 로봇 아암부(210)를 구동하여, 브레이크 기구(5)가 단재 영역(D1)을 파지 가능한 위치에 기판(W)을 이동하고, 브레이크 기구(5)의 파지부(510)가 단재 영역(D1)을 파지한다. 이 때, 단재 영역(D1)의 형상에 따라서, 기판(W)의 방향 및 위치 및 경사를 조정한다.
브레이크 기구(5)는 이동 베이스부(520)를 구동하여, 파지부(510)를 기판 이송 기구(2)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품 영역(P)으로부터 단재 영역(D1)을 분리한다.
이어서, 브레이크 기구(5)는, 파지부(510)를 열고 단재 영역(D1)을 하방으로 낙하시킨다.
다음으로, 선회부(221)는, 기판 보유 지지부(222)를 선회시켜, 단재 영역(D2)이 브레이크 기구(5)에 대향하도록 기판(W)의 방향을 바꾼다. 이 때, 단재 영역(D2)의 형상에 따라서, 로봇 아암부(210) 및 선회부(221)를 구동하여, 기판(W)의 방향, 경사 및 위치를 조정한다.
이후 단재 영역(D1)의 분리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단재 영역(D2∼D4)을 제품 영역(P)으로부터 분리한다.
이 분단 장치(1)에 의하면, 기판의 형상에 따라서 테이블의 형상이나 브레이크 기구의 배치를 바꿀 필요가 없다. 또한, 기판 이송 기구(2)에서 기판(W)을 보유 지지한 채로, 스크라이브 및 브레이크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공정과 브레이크 공정을 상이한 위치에서 행해도, 브레이크 공정에 있어서의 기판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크라이브 라인은,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기판의 내부에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공흔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대신하여, 컷터를 이용하여 균열을 형성하는 메커니컬 가공이나, 열 응력에 의한 균열 형성, 레이저 어블레이션(laser ablation)에 의한 홈 형성 등의 다른 레이저 가공 등, 임의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 가공에 의해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경우는, 스크라이브 헤드(310)를 1개만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컷터를 기판(W)에 압압함으로써 기판(W)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경우는, 2개의 컷터로 기판(W)을 사이에 끼우도록 양면을 압압하는 것으로 해도 좋고, 기판의 한쪽의 면에 컷터, 기판의 다른 한쪽의 면에 백업 롤을 형성하여, 컷터와 백업 롤로 압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판(W)은 곡면 기판인 것으로 했지만, 평면의 기판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분단 장치(1)로부터 브레이크 기구(5)를 삭제하여 스크라이브 장치로 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도 7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스크라이브 장치(1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7은 스크라이브 장치(11)의 정면 개략도이다. 스크라이브 장치(11)는, 분단 장치(1)로부터 브레이크 기구(5)를 삭제하고, 스크라이브 기구(3)에 거리 센서(320)를 추가한 것이다.
거리 센서(320)는, 기판(W)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스크라이브 기구(3)에 있어서의 거리 센서(32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스크라이브 헤드(310)의 근방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차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스크라이브 장치(11)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기판 이송 기구(2)는, 기판 보유 지지부(222)를 이용하여, 기판(W)의 제품 영역(P)을 흡착 보유 지지한다. 이 때, 기판 보유 지지 헤드(220)와 스크라이브 기구(3)의 위치가 간섭하기 어렵도록, 곡면 기판의 볼록하게 되어 있는 면을 흡착 보유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 이송 장치(2)는 로봇 아암부(210)를 구동하여, 스크라이브 기구(3)의 거리 센서(320)가 기판과의 거리를 측정 가능한 위치에 기판(W)을 이동한다. 이 때, 기판(W)의 곡면 형상에 따라서, 기판(W)의 방향 및 경사를 조정한다.
거리 센서(320)를 이용하여 기판과의 거리를 측정하면서, 기판 이송 기구(2)를 구동하여 기판(W)을 이동 및 회전시킨다. 기판 이송 기구(2)는, 제어부(4)의 기억부에 미리 기록된 기판(W)의 형상의 설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거리 센서(320)의 측정 위치가 스크라이브 라인(S1)을 따라 일주하도록 기판(W)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품 영역(P)의 외형이 되는 스크라이브 라인(S1)을 따라 기판(W)을 이동시켰을 때의 거리 센서(320)와 기판(W)과의 거리의 실측 데이터를 제어부(4)의 기억부에 기억한다.
이어서, 기판 이송 기구(2)는, 로봇 아암부(210)를 구동하여, 스크라이브 기구(3)가 스크라이브 가능한 위치로 기판(W)을 이동한다. 이 때, 기판(W)의 곡면 형상에 따라서, 기판(W)의 방향 및 경사를 조정한다.
스크라이브 기구(3)에 의해 기판(W)에 레이저를 조사하면서, 기판 이송 기구(2)를 구동하여 기판(W)을 이동 및 선회시킨다. 기판 이송 기구(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조사 위치(가공 위치)(F)를 고정한 채로, 스크라이브 라인(S1)이 소망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기판(W)을 이동시킨다. 이 때, 제어부(4)는, 기억부에 기억된 기판(W)과의 거리의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라이브 헤드(310)와 기판(W)과의 거리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제품 영역(P)의 외형으로 되는 스크라이브 라인(S1)이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있어서의 파선은,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되기 전의 스크라이브 라인(S1)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각 스크라이브 라인(S2)도, 스크라이브 라인(S1)과 마찬가지로, 스크라이브 기구(3)를 이용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면서, 기판 이송 장치(2)를 이용하여 기판(W)의 경사를 조정하면서 기판(W)의 위치 및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의 스크라이브 장치(11)에 의하면, 기판(W)의 경사를 변경 가능하고 또한 그의 주면에 대략 수직인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곡면 형상의 기판에 대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스크라이브 헤드를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크라이브 헤드의 이동에 기인하는 레이저 조사 위치(가공 위치)의 변동에 의한 가공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라이브 라인(S1)에 있어서의 기판(W)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스크라이브 라인(S2)에 있어서의 기판(W)과의 거리도 측정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할 때에, 제어부(4)는, 기억부에 기억된 기판(W)의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라이브 헤드(310)와 기판(W)과의 거리를 조정하는 것으로 했지만, 설계 데이터를 실측 데이터로 보정한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분단 장치(1)로부터 브레이크 기구(5)를 삭제하고, 거리 센서(320)를 추가한 스크라이브 장치(11)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분단 장치(1)의 스크라이브 기구(3)에 거리 센서(320)를 추가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취성 재료 기판을 분단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W : 기판
1 : 분단 장치
2 : 기판 이송 기구
210 : 로봇 아암부
220 : 기판 보유 지지 헤드
221 : 선회부
222 : 기판 보유 지지부
3 : 스크라이브 기구
310 : 스크라이브 헤드
320 : 거리 센서
4 : 제어부
5 : 브레이크 기구
510 : 파지부
520 : 이동 베이스부

Claims (12)

  1.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장치로서,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을 보유 지지하여 이송하는 기판 이송 기구와,
    상기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라이브 기구는 소정의 가공 위치에 있어서 상기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헤드를 갖고,
    상기 기판 이송 기구는, 상기 가공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의 표면과 상기 스크라이브 헤드와의 거리와 경사를 조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스크라이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 기구는 상기 취성 재료 기판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센서를 추가로 갖고,
    상기 기판 이송 기구는, 상기 거리 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의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공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의 표면과 상기 스크라이브 헤드와의 거리를 조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스크라이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이송 기구는,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을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부와 보유 지지한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을 그의 주면(主面)에 대략 수직인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선회부를 갖는, 스크라이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 기구는,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의 내부에 레이저 광을 집광함으로써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가공흔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은 곡면 기판이고, 상기 기판 보유 지지부는, 상기 곡면 기판의 볼록하게 되어 있는 면을 흡착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스크라이브 장치.
  6.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상기 취성 재료 기판에 응력을 가하여,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을 분할하는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장치로서,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라이브 장치와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의 단재 영역을 분리하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라이브 장치의 기판 이송 기구는,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을 보유 지지하는 기판 보유 지지부를 갖고,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단재 영역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갖고,
    상기 기판 보유 지지부와 상기 파지부는, 상대적으로 접근 이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분단 장치.
  7.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취성 재료 기판의 스크라이브 방법으로서,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의 주면을 흡착 보유 지지하는 기판 보유 지지 스텝과,
    상기 흡착 보유 지지된 상태의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의 경사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의 표면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재하는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스텝을 갖는, 스크라이브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 스텝에서는, 거리 센서를 이용하여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는 가공 위치에 있어서의 기판과의 거리를 실측하고, 그의 실측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공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의 표면과의 거리를 조정하는, 스크라이브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 스텝에서는,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을 그의 주면에 대략 수직인 축 둘레로 회전시키는, 스크라이브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브 스텝에서는,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의 내부에 레이저 광을 집광함으로써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연재하는 가공흔을 형성하는, 스크라이브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은 곡면 기판이고,
    상기 기판 보유 지지 스텝에서는, 상기 곡면 기판의 볼록하게 되어 있는 면을 흡착하는, 스크라이브 방법.
  12. 취성 재료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하고,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상기 취성 재료 기판에 응력을 가하여,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을 분할하는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방법으로서,
    상기 제7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크라이브 방법과,
    상기 흡착 보유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을 이송하고,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이 형성된 취성 재료 기판의 단재 영역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스크라이브 라인을 따라 상기 취성 재료 기판을 분리하는 스텝을 갖는, 분단 방법.
KR1020200078257A 2019-06-28 2020-06-26 취성 재료 기판의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그리고 분단 장치 및 분단 방법 Pending KR202100020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121775 2019-06-28
JPJP-P-2019-121774 2019-06-28
JP2019121776A JP2021008371A (ja) 2019-06-28 2019-06-28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及び分断方法
JP2019121774A JP2021008052A (ja) 2019-06-28 2019-06-28 脆性材料基板の分断装置及び分断方法
JP2019121775A JP2021008053A (ja) 2019-06-28 2019-06-28 曲面基板のスクライブ装置及び分断システム
JPJP-P-2019-121776 2019-06-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22A true KR20210002022A (ko) 2021-01-06

Family

ID=7388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257A Pending KR20210002022A (ko) 2019-06-28 2020-06-26 취성 재료 기판의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그리고 분단 장치 및 분단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10002022A (ko)
CN (1) CN112142308A (ko)
TW (1) TW2021041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2684A (ja) 2016-01-22 2017-08-03 旭硝子株式会社 曲面ガラス加工装置及び曲面ガラス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2684A (ja) 2016-01-22 2017-08-03 旭硝子株式会社 曲面ガラス加工装置及び曲面ガラス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142308A (zh) 2020-12-29
TW202104109A (zh)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26059B (zh) Method for disassembling brittle material substrates
JP5167161B2 (ja) 脆性材料基板のブレイク装置
JP6105414B2 (ja) 貼り合わせ基板の加工装置
TW201733936A (zh) 邊材除去裝置及邊材除去方法
TWI527674B (zh) 脆性材料基板之刻劃方法及裝置
EP2113492B1 (en) Machine for cutting glass panes with means for rotation of a glass pane
WO2021070579A1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200115307A (ko) 곡면 기판의 스크라이브 장치 및 분단 시스템
KR20200115306A (ko) 취성 재료 기판의 브레이크 장치 및 분단 시스템
KR20210002022A (ko) 취성 재료 기판의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그리고 분단 장치 및 분단 방법
TWI591030B (zh) Substrate breaking device
KR102525334B1 (ko) 스크라이빙 장치
TWI474983B (zh) Scoring Method and Breaking Method of Mother Substrate
JP2015164895A (ja) 分断装置
KR102027136B1 (ko) 스크라이빙 장치
KR102010756B1 (ko) 더미 제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크라이브 장치
WO2022270288A1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板ガラスの製造装置、及び板ガラス
JP2021008053A (ja) 曲面基板のスクライブ装置及び分断システム
JP2021008052A (ja) 脆性材料基板の分断装置及び分断方法
JP2014217983A (ja) ブレイク装置及びブレイク方法
JP2021008371A (ja) 脆性材料基板のスクライブ方法及び分断方法
JP7583361B2 (ja) 板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割断装置
JP5731942B2 (ja) マザー基板の分断方法
KR102813978B1 (ko) 브릿지 커팅장치
TW201929062A (zh) 基板分斷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6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