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01656U - 반려견 화장실 - Google Patents

반려견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656U
KR20210001656U KR2020200000113U KR20200000113U KR20210001656U KR 20210001656 U KR20210001656 U KR 20210001656U KR 2020200000113 U KR2020200000113 U KR 2020200000113U KR 20200000113 U KR20200000113 U KR 20200000113U KR 20210001656 U KR20210001656 U KR 2021000165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back plate
support frame
guide
do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01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880Y1 (ko
Inventor
정재봉
노운미
Original Assignee
정재봉
노운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봉, 노운미 filed Critical 정재봉
Priority to KR20202000001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880Y1/ko
Publication of KR202100016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880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반려견 화장실이 개시된다. 반려견 화장실은,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백 플레이트와, 지지 프레임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백 플레이트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과, 거치 프레임에 복수개가 백 플레이트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백 플레이트 방향으로 소변을 유도하는 소변 가이드부재와,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소변이 저장되는 소변 저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견 화장실{TOILET FOR A PET DOG}
본 고안은 애완견 등의 반려 동물의 소변 및 대변의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한 반려견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이란, 인간이 애정을 가지고 사육을 이룰 수 있는 동물로, 개, 고양이, 새 등을 비롯한 다양한 동물을 지칭하는 것이다.
애완동물은 인간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주거나, 즐거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개를 기르는 애견인이나, 고양이를 기르는 애묘인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그중 반려견은 인간과 함께 서식장소를 공유하며 생활하고 있는 실정이다.
반려견을 기르고자 하는 경우에도 집의 실내와는 분리된 야외에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여 반려견을 기르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인간이 거주하는 실내 공간에서 함께 생활을 이루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이에 따라, 인간의 주거환경에서 함께 생활하는 반려견의 배설물 처리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 되고 있으며, 반려견의 배설물을 실내 환경의 오염 없이 분리하여 수거하는 문제는 반려견과 함께 생활을 이루는 인간에게 중요한 문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반려견의 배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반려견의 배변을 특정 장소에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반려견 배변 화장실 제품이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반려견이 배변할 때마다 매번 용변을 처리해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제 때에 적절한 방법으로 용변을 처리하지 못할 경우 용변으로 인한 반려견의 몸 또는 발의 오염으로 인하여 거주공간인 실내 환경이 오염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기존의 방식을 주로 일회성 소모품인 배변패드를 사용하는 방식이라서 배설물의 처리시에 환경파괴가 가중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10-1724597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애완견 등의 반려 동물이 배설하는 소변 또는 대변을 환경 오염 없이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반려견 화장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백 플레이트와, 지지 프레임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백 플레이트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과, 거치 프레임에 복수개가 백 플레이트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백 플레이트 방향으로 소변을 유도하는 소변 가이드부재와,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소변이 저장되는 소변 저장부를 포함한다.
백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소변 가이드부재를 통해 유도된 소변을 소변 저장부로 배출을 유도하는 소변 배출 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변 배출 유도부는 백 플레이트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어 소변 저장부 방향으로 소변을 유도하는 소변 유도홈일 수 있다.
소변 배출 유도부는 백 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되어 소변을 소변 저장부 방향으로 유도하는 배출 가이드 플레이트일 수 있다.
소변 저장부의 측면에 위치되는 배변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는 손잡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애완견 등의 반려 동물의 소변이 소변 가이드부재에 의해 가이드되어 소변 저장부에 안정적으로 저장되는 바, 소변에 의한 거주 환경 오염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소변 처리가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변 저장부의 측면에 배변 패드부를 위치시켜 소변과 대변을 그 빈도수와 형태에 따라 별도로 처리함으로써 사용자의 배변처리 횟수 감소와 소변 및 대변의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빈도가 높은 소변처리에 반복사용이 가능한 소변 가이드부와 저장부를 활용함으로써 일회성 소모품인 배변패드 사용을 줄일 수 있어 환경보호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려견이 서서 한쪽 뒷다리를 들고 벽이나 기둥 등 입식구조물에 소변을 보는 행동양태에 부합하는 배변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반려견의 생활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만족도 향상도 함께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화장실(100)은,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0)과, 지지 프레임(10)에 설치되는 백 플레이트(20)와, 지지 프레임(10)에 연결부재(31)에 의해 연결되며 백 플레이트(20)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30)과, 거치 프레임(30)에 복수개가 백 플레이트(20)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백 플레이트(20) 방향으로 소변을 유도하는 소변 가이드부재(40)와, 거치 프레임(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소변이 저장되는 소변 저장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부(1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은 지지부(11)에 지지된 상태로 상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애완견 등의 반려 동물의 키에 대응하는 크기로 1m 이내의 크기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이동을 위한 손잡이부(12)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0)에는 백 플레이트(20)가 설치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20)는 지지 프레임(10)에 설치된 상태로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지지 프레임(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 플레이트(20)가 설치되는 것은 애완견이 지지 프레임(10)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들어 소변을 보는 경우, 소변이 소변 가이드부재(40)에 의해 가이드되어 백 플레이트(20)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백 플레이트(20)의 하부에는 소변을 소변 저장부(60) 방향으로 배출을 유도하는 소변 가이드부재(40)가 형성될 수 있다.
소변 가이드부재(40)는 본 실시예에서 소변 유도홈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소변 가이드부재와 소변 유도홈은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소변 유도홈(40)은 백 플레이트(20)의 하부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백 플레이트(20)의 하부 가장자리 중앙 부분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소변은 백 플레이트(20)의 표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백 플레이트(20)의 하부 위치에 설치된 소변 저장부(60)에 소변 유도홈(40)을 따라 안정적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소변 저장부(60)는 백 플레이트(20)의 하부에 이격된 위치에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소변이 유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소변이 내부에 저장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지지 프레임(10)에는 거치 프레임(30)이 설치될 수 있다.
거치 프레임(30)은 지지 프레임(10)에 연결부재(31)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백 플레이트(20)의 전면에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거치 프레임(30)은 지지 프레임(10)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사각의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 프레임(30)에는 소변 가이드부재(40)가 설치될 수 있다.
소변 가이드부재(40)는 거치 프레임(30)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거치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백 플레이트(20)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소변 가이드부재(40)는 거치 프레임(30)의 양측에 고정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소변 가이드부재(40)는 양측이 거치 프레임(30)에 고정된 상태로 백 플레이트(20)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바, 애완견이 소변 가이드부재(40) 방향으로 소변을 보는 경우 소변이 소변 가이드부재(40)의 경사진 표면을 따라 백 플레이트(20) 방향으로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소변 가이드부재(40)는 거치 프레임(30)의 상하 방향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바, 애완견이 소변을 보는 높이의 변경에도 안정적으로 소변을 백 플레이트(20)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소변 가이드부재(40)는 거치 프레임(3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소변은 소변 가이드부재(40)에 의해 백 플레이트(20) 방향으로 유도되고, 백 플레이트(20)의 하부에서 소변 유도홈(40)을 통해 소변 저장부(60)로 배출되는 바, 애완견의 소변이 안정적으로 처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지지 프레임(10)의 하부에서 소변 저장부(60)의 측면에는 배변 패드부(70)가 위치될 수 있다.
배변 패드부(70)는 소변 저장부(60)의 측면에 위치되는 바, 애완견 등의 반려 동물이 소변을 보는 것과 함께 대변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배변 패드부(70)는 지지 프레임(10)에 가장자리 양측이 교체 가능한 상태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소변 저장부(60)의 측면 위치의 바닥면에 놓여진 상태로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변 패드부(70)는 소변 저장부(60)의 측면 위치에 단일층으로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배변 패드부(70)는 단일층으로 위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층으로 복수개가 연결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반려견 화장실(100)은, 애완견 등의 반려 동물의 소변이 소변 가이드부재(40)에 의해 가이드되어 소변 저장부(60)에 안정적으로 저장되는 바, 소변에 의한 환경 오염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소변 처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소변 저장부(60)의 측면에 배변 패드부(70)를 위치시켜 소변과 대변의 처리가 함께 가능하여 환경 오염의 방지와 함께 소변 및 대변의 안정적인 처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반려견 화장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려견 화장실(200)의 소변 가이드부재(110)는, 백 플레이트(20)의 하부에 돌출되어 소변을 소변 저장부(60) 방향으로 유도하는 배출 가이드 플레이트로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소변 가이드부재와 배출 가이드 플레이트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배출 가이드 플레이트(110)는 백 플레이트(20)의 하부에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으로 길이 방향의 일측은 백 플레이트(2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소변 저장부(60)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백 플레이트(20)를 따라 흘러내리는 소변은 배출 가이드 플레이트(110)에 의해 배출이 가이드되어 소변 저장부(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지지 프레임 11...지지부
12...손잡이부 20...백 플레이트
30...거치 프레임 40, 110...소변 가이드부재
60..소변 저장부 70...배변 패드부

Claims (6)

  1.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백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프레임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백 플레이트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거치 프레임;
    상기 거치 프레임에 복수개가 상기 백 플레이트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백 플레이트 방향으로 소변을 유도하는 소변 가이드부재; 및
    상기 거치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소변이 저장되는 소변 저장부;
    를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상기 소변 가이드부재를 통해 유도된 소변을 상기 소변 저장부로 배출을 유도하는 소변 배출 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배출 유도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변 저장부 방향으로 소변을 유도하는 소변 유도홈인 반려견 화장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배출 유도부는 상기 백 플레이트의 하부에 돌출되어 소변을 상기 소변 저장부 방향으로 유도하는 배출 가이드 플레이트인 반려견 화장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 저장부의 측면에 위치되는 배변 패드를 더 포함하는 반려견 화장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측에는 손잡이부가 설치되는 반려견 화장실.
KR2020200000113U 2020-01-09 2020-01-09 반려견 화장실 Active KR200494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13U KR200494880Y1 (ko) 2020-01-09 2020-01-09 반려견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0113U KR200494880Y1 (ko) 2020-01-09 2020-01-09 반려견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56U true KR20210001656U (ko) 2021-07-19
KR200494880Y1 KR200494880Y1 (ko) 2022-01-13

Family

ID=7712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0113U Active KR200494880Y1 (ko) 2020-01-09 2020-01-09 반려견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88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2713A (ja) * 2006-05-26 2007-12-06 System Seiko Kk 犬の小便用器具
KR20150071867A (ko) * 2013-12-19 2015-06-29 박재현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20160091495A (ko) * 2015-01-23 2016-08-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배변 유도 장치
KR101724597B1 (ko) 2015-01-19 2017-04-0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20180119370A (ko) * 2017-04-25 2018-11-02 주영테크 주식회사 전복 양식용 쉘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2713A (ja) * 2006-05-26 2007-12-06 System Seiko Kk 犬の小便用器具
KR20150071867A (ko) * 2013-12-19 2015-06-29 박재현 애완동물 자동 배변장치
KR101724597B1 (ko) 2015-01-19 2017-04-07 박현석알버트 애완동물용 위생 변기
KR20160091495A (ko) * 2015-01-23 2016-08-03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용 배변 유도 장치
KR20180119370A (ko) * 2017-04-25 2018-11-02 주영테크 주식회사 전복 양식용 쉘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880Y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00077A1 (en) Puppy apartment
US20020078899A1 (en) Flush toilet for domestic pets
US6769382B2 (en) Flush toilet for a dog
US6457435B1 (en) Pet toilet
US10085413B2 (en) Animal habitat cage with waste disposal flooring
US3584603A (en) Farrowing layout
US3688741A (en) Portable animal toilet
KR102349801B1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US20250024812A1 (en) Potty training device and excrement processor including same
JP3939211B2 (ja) ペット用トイレ
US4294195A (en) Hog farrowing module
KR200494880Y1 (ko) 반려견 화장실
US20110030619A1 (en) Litter Apparatus And Training Method
JP3229498U (ja) ペット用トイレ
KR102749519B1 (ko)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변처리기
KR102619188B1 (ko) 배변 훈련 장치
WO2012046035A1 (en) Animal houses
KR20220076641A (ko) 애완동물용 배변판
JP2957219B2 (ja) 乳用家畜を清潔に飼育する装置
KR200407235Y1 (ko) 애완동물용 배변기 연결구조.
KR102754026B1 (ko) 터널형 반려동물용 화장실
KR20240001790U (ko) 반려동물용 배변판
RU2067821C1 (ru) Стойло для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KR200247057Y1 (ko) 가축용 배설물 받침대
KR20230068799A (ko) 배변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20010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107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2011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