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184A - Sleeve for heating pipe - Google Patents
Sleeve for heating pi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1184A KR20210001184A KR1020190076860A KR20190076860A KR20210001184A KR 20210001184 A KR20210001184 A KR 20210001184A KR 1020190076860 A KR1020190076860 A KR 1020190076860A KR 20190076860 A KR20190076860 A KR 20190076860A KR 20210001184 A KR20210001184 A KR 202100011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pipe
- sleeve
- room
- sleeve body
- perforated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577 Gait disturb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없이도 상부에 조적벽이 용이하게 적층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면에 곡면이 아닌 평면만 형성되어 방수층의 형성이 용이하면서도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방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는,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있어서,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와, 거실 또는 방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1 파공부와, 욕실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타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2 파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not only can the masonry wall be easily laminated on the top without additional concrete pouring, but also the outer surface is formed with only a flat surface rather than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formation of the waterproof layer is easy and complete. It relates to a pipe sleeve.
In the heating pipe sleev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ating pipe sleeve in which the heating pipe introduced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living room or room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iving room or room and the bathroom, the sleev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first perfora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sleeve body facing the living room or room side, and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is supported, and is formed under the other side of the sleeve body facing the bathroom side, and the heat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erforated portion through which the other side of the pipe is suppor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상응하게 구배가 형성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없이도 상부에 조적벽이 용이하게 적층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면에 곡면이 아닌 평면만 형성되어 방수층의 형성이 용이하면서도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방배관슬리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pipe sleeve in which a heating pipe introduced into a bathroom through a living room or room is arranged so that a gradient is formed corresponding to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iving room or room and the bathroom, and more specifically, as it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It relates to a heating piping sleeve in which the masonry wall can be easily laminated on the top without pouring concrete, and only a flat surface rather than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formation of the waterproof layer is easy and perfect.
일반적으로 단독주택,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및 빌딩 등에는 난방과 급수 등을 등에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배관이 건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배관의 주위는 시멘트몰탈 등에 의해 기밀적으로 폐쇄된다.In general, in apartment houses and buildings such as detached houses and apartments, various types of pipes used for heating and water supply are installed through the walls of the building,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pipes installed through the walls of the building is cement mortar, etc. Closed confidentially by
이와 같이 건축물의 벽을 관통하며 설치되는 난방배관은 그 내부를 관류하는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반복적으로 일어나면서 피로파괴에 의한 균열이 유발되고, 이렇게 유발된 균열은 바로 난방배관을 관류하는 유체의 누수로 이어지면서 건물의 벽이 약해짐은 물론 난방배관이 용이하게 부식됨에 따라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주된 요인이 되었다.In this way, the heating pipe installed through the wall of the building undergoes repetitive contraction and expans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terior, causing a crack due to fatigue failure, and the resulting crack immediately closes the heating pipe. As it leads to leakage of the flowing fluid, the wall of the building is weakened and the heating pipe is easily corroded, which is a major factor in shortening the service life.
벽을 통과하는 난방배관의 누수없는 배열을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386846호(2005.06.16. 공고)에는 배관이 관통되고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파이프 형의 슬리브몸체와, 상기 슬리브몸체의 일측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링과, 그 조임링의 선단에 위치하여 배관과 압착 밀폐되는 밀폐링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몸체의 일측 내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후단에는 축관되어 일정길이를 갖고 그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밀폐링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몸체의 타측에는 선단에 역경사면이 형성된 끼움부와 그 외면에 지지링이 일정간극을 유지한 채 플랜지에 의해 연장형성되며, 상기 끼움부에는 일측내면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그 외면과 타측단 외면부에 각각 후렌지부가 다수개의 보강살과 일체로 된 연결슬리브가 끼워져 이루어지되, 상기 연결 슬리브는 벽체의 두께에 따라 그 길이가 일치되는 것으로 교체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벽 배관 보호용 슬리브의 개선구조가 개시된다.For the leakage-free arrangement of the heating pipe passing through the wall,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6846 (Announcement on June 16, 2005) has a pipe-shaped sleeve body through which the pipe is passed and a thread is formed inside, and the sleeve body. In a conventional building wall pipe protection sleeve consisting of a tightening ring screwed to one side and a sealing ring that is located at the tip of the tightening ring and is compressed and sealed with the pipe, the rear end of the thread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leeve body is a shaft pipe A sealing ring receiving portion having a certain length and having an inclined surface at the end is formed, and a fitting portion having a reverse inclined surface at the tip of the sleeve body and a supporting ring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body are extended by a flang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gap. In addition, a fitting groove is formed on one inner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and a connecting sleeve in which a flange portion is integrated with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is fitt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ng sleeve is Disclosed is an improved structure of a sleeve for protecting a building wall pipe, characterized in that replacement and installation are possible by matching the length.
한편, 욕실의 바닥면은 그 구조적인 특성상 거실 또는 방과는 달리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방수층, 몰탈층 및 타일이 차례로 적층시공되고 몰탈층에 난방배관이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는 반면에, 거실과 방 등의 바닥면은 콘크리트슬래브 상에 몰탈층을 적층하고 난방배관을 배열된 다음 다시 몰탕층에 의해 마감되는 구조를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floor surface of the bathroom has a structure in which a waterproof layer, a mortar layer, and a tile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a concrete slab and a heating pipe is installed on the mortar layer, unlike the living room or room. The floor surface has a structure where a mortar layer is stacked on a concrete slab, heating pipes are arranged, and then the mortar layer is finished again.
특히 욕실의 바닥면은 거실 또는 방의 바닥면에 비해 50 내지 70mm 정도 낮게 형성되어 일종의 단턱이 형성됨에 따라, 난방배관의 설치시에 욕실과 거실 또는 방의 바닥면의 높이차로 인한 단턱으로 인해 전술한 직선형 슬리브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as the floor surface of the bathroom is formed 50 to 70 mm lower than the floor surface of the living room or room, and a kind of stepped step is formed, the above-described straight type due to the stepped step caused by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bathroom and the living room or the floor surface when the heating pipe is installed. The sleeve h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이러한 직선형 슬리브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105893호(2004.12.17. 공개)에는 건축물의 벽면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배관을 보호토록 하는 슬리브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경사지게 절곡구비되면서 내부가 관통되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고 양측단부의 외주연상에는 외향 돌출되는 결합돌기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일측에 결합되고 전단의 외주연에 보강플랜지 및 일측은 좁고 타측은 넓은 간격의 면을 가지는 지지턱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패킹, 압착링 및 밀폐부재가 나사결합되어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후면의 내경에는 양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면서 안내관이 삽입체결되는 결합소켓과; 상기 안내관의 타측에 결합되고 약간 절곡되는 파이프형으로 형성되면서 전단에는 안내관과 결합되는 결합플랜지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내경에는 안내관의 결합돌기와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연결소켓과; 상기 결합소켓 및 연결소켓에 각각 억지끼움식으로 개폐가능토록 체결되고 소정위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유통공이 천공되는 마개와; 상기 안내관과 결합소켓 및 연결소켓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체결되고, 욕실벽면의 두께와 바닥면의 높낮이에 따라 길이와 높이를 조절토록 하는 길이조절관을 갖추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욕실 벽 통과용 배관보호 슬리브가 개시된다.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such a straight sleeve,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4-0105893 (published on December 17, 2004) provides a sleeve that is installed to penetrate the wall of a building to protect the pipe, wherein the sleeve is A guide tube formed in a pipe shape through which the inside is penetrated while being bent obliquely, and coupling protrusions protruding outwardly on the outer peripheries of both side ends are form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respectively; I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guide pipe and has a reinforcing flang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ront end and a support jaw having a narrow side and a wide spaced surface on the other side, and a packing, a crimping ring, and a sealing member are screwed inside to ensure airtightness. A coupling socket in which an inclined surface to be maintained is formed, and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an inner diameter of the rear surface, and a guide tube is inserted and fastened; A connection socket tha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guide tube and formed in a pipe shape that is slightly bent, and at the front end, a coupling flange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guide pipe, and at the same time, a coupling groove that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guide pipe is formed in the inner diameter. and; A stopper which is fastened to the coupling socket and the connection socket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force-fitting, and at least one air flow hole is dri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 pipe for passing through a bathroom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with a length adjustment pipe that is selectively fastened between the guide pipe and the coupling socket and the connection socket and adjusts the length and heigh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athroom wall and the height of the floor. The protective sleeve is disclosed.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난방배관슬리브의 경우에는 원형링 형태의 횡딘면을 가지는 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욕실과 거실 또는 방 사이에 통상 조적벽을 적층형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곡면으로 인해 벽을 관통하여 설치된 난방배관의 주위에 방수층을 형성하기 어려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heating pipe sleeve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 transverse side of a circular ring shape, a separate concrete pouring process is required in order to form a masonry wall between the bathroom and the living room or room.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orm a waterproof layer around the heating pipe installed through the wall due to the external curved surface.
따라서 본 발명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없이도 상부에 조적벽이 용이하게 적층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면에 곡면이 아닌 평면만 형성되어 방수층의 형성이 용이하면서도 완벽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난방배관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so that not only can the masonry wall be easily stacked on the top without additional concrete pouring, but also a flat surface rather than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o that the formation of the waterproof layer is easy and complete. It aims to provide a heating pipe sleev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있어서,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와, 거실 또는 방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1 파공부와, 욕실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타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2 파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ing pipe sleeve in which a heating pipe introduced into a bathroom through a living room or room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iving room or room and the bathroom, the sleeve body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the living room Alternatively, a first perforation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leeve body facing the room side and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is supported, and a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sleeve body facing the bathroom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eating pipe It provides a heating pip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erforated portion supported through.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브본체는, 일측에는 상기 제 1 파공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부를 폐쇄하고 상기 제 2 파공부가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eeve body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and an open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a cover in which the body portion is closed while being integral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is formed. It shall include wealth.
본 발명에서 상기 슬리브본체 상에는 조적벽이 적층되고, 상기 본체부 내에는 조적벽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격벽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a masonry wall is stacked on the sleeve body, and a support partition wall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masonry wall is formed in the body part.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파공부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측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함입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측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is formed to be recessed in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sleeve body or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sleeve body.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파공부에는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을 상기 제 1 파공부에 수밀적으로 관통결합시키는 배관고정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배관고정유닛은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파공부 내에 지지되는 패킹링과,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패킹링에 밀착되는 와셔와,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파공부에 체결고정되면서 상기 와셔를 통해 상기 패킹링을 가압하는 연결링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pipe fixing unit for watertightly connecting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to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and the pipe fixing unit is fitted around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and 1 A packing ring supported in the perforated portion, a washer fitted around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packing ring, and a washer fitted around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and fastened to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while being fastened to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It is assumed to include a connecting ring for pressing the packing ring.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파공부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이 일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의 외주면에는 가압 및 일정각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에 맞물려지는 걸림돌기가 일정각도 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guide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locking protrusions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s by pressing and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are formed to protrude at predetermined angl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ing. It should be.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파공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암나사산에 맞물려지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female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and a male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ing to engage the female thread by screwing.
상기와 같은 난방배관슬리브는, 슬리브본체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없이도 상부에 조적벽이 용이하게 적층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heating pipe sleeve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the masonry wall can be easily laminated on the upper part without a separate concrete pouring as the sleeve body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또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슬리브본체의 외부면에는 곡면이 아닌 평면만 형성됨에 따라, 수직평면으로 형성되는 양측면에 방수층이 용이하면서도 완벽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only a flat surface, not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body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waterproof layer can be easily and completely formed on both sides formed in a vertical plane.
뿐만 아니라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슬리브본체의 내측에는 지지격벽이 형성됨에 따라 슬리브본체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조적벽의 하중이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support partition wall is formed inside the sleeve body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ad of the masonry wall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body can be easily suppor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또 다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pipe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pipe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ing pipe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diagram of a heating pipe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is is for explaining in detail enough tha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invention,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또 다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부분의 확대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pipe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ting pipe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heating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leeve, FIG. 4 is a state diagram of a heating pipe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는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난방배관슬리브에 있어서,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와, 거실 또는 방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일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1 파공부와, 욕실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의 타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2 파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eating pipe slee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heating pipe sleeve in which the heating pipe introduced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living room or room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iving room or room and the bathroom, the sleeve body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 A first perforation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sleeve body facing the living room or room side and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is supported, and formed under the other side of the sleeve body facing the bathroom side, and the heating pip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erforated portion through which the other side is supported.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heating pipe sleev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실 또는 방을 통해 욕실로 인입되는 난방배관(2)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10)와,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파공부(20)와, 슬리브본체(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는 제 2 파공부(30)를 포함한다.In the heating pipe sleev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3, the
여기서, 슬리브본체(10)는 난방배관(2)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차에 대응되게 배열되도록 유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면, 후면, 양 측면, 상부면 및 하부면이 모두 평면으로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에 설치되고 그 상부면에는 조적벽(3)이 적층된다.Here, the
특히 슬리브본체(1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측에는 제 1 파공부(20)가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형성되는 본체부(11)와, 본체부(11)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본체부(11)를 폐쇄하고 제 2 파공부(30)가 형성되는 커버부(12)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2, the
또한 본체부(11) 내에는 지지격벽(13)이 형성된다. 지지격벽(13)은 슬리브본체(1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조적벽(3)의 하중에도 불구하고 슬리브본체(10)의 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하단이 슬리브본체(10)의 내측 상하부면에 고정되는 수직판의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In addition, a
거실 또는 방 측에 대면되는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에는 제 1 파공부(20)가 형성된다. 제 1 파공부(20)는 욕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바닥면을 가지는 거실 또는 방 측에서 유입되는 난방배관(2)의 일측이 수밀적으로 관통지지되는 부분으로,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에 동일 높이로 다수개, 특히 2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perforated
제 1 파공부(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함입형성되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perforated
또한 욕실 측에 대면되는 슬리브본체(10)의 타측, 다시 말해서 커버부(12)의 하부에는 제 2 파공부(30)가 형성된다. 제 2 파공부(30)는 거실 또는 방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바닥면을 가지는 욕실 측으로 빠져나가는 난방배관(2)의 타측이 관통지지되는 부분으로, 슬리브본체(10)의 타측 하부에 동일 높이로 다수개, 특히 2개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 second perforated
제 2 파공부(30)에는 난방배관(2)의 타측이 관통된 상태로 연결고정되도록 하는 별도의 마감구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감구는 난방배관(2)의 타측에 대해 외부 양측에서 결합되도록 반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perforated
전술한 제 1 파공부(20)에는 난방배관(2)의 일측을 제 1 파공부(20)에 수밀적으로 관통결합시키는 배관고정유닛(40)이 결합된다. A
이러한 배관고정유닛(40)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제 1 파공부(20) 내에 지지되면서 난방배관(2)의 일측과 제 1 파공부(20) 사이의 틈을 수밀적으로 폐쇄하는 패킹링(41)과,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패킹링(41)에 밀착되는 와셔(42)와,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제 1 파공부(20)에 체결고정되면서 와셔(42)를 통해 패킹링(41)을 가압하는 연결링(43)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이 때 패킹링(41)과 와셔(42)는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질 수 있도록 완전한 원을 형성하지 않고 원의 일지점이 절단된 형상을 가지고, 연결링(43)은 난방배관(2)의 일측에 대해 외부 양측에서 결합되도록 반분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packing
또한 제 1 파공부(20)에 대한 연결링(43)의 삽입결합을 위해,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파공부(2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21)이 일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제 1 파공부(20)에 삽입결합되는 연결링(43)의 외주면에는 가압 및 일정각도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홈(21)에 맞물려지는 걸림돌기(44)가 일정각도 간격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insertion and coupling of the
또한 제 1 파공부(20)에 대한 연결링(43)의 삽입결합을 위해,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파공부(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22)이 형성되고, 제 1 파공부(20)에 삽입결합되는 연결링(43)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에 의해 암나사산(22)에 맞물려지는 수나사산(45)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the insertion and coupling of the connectin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설치 순서와 전체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sequence and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heating pipe sleev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거실 또는 방 등의 바닥면은 콘크리트슬래브(6) 상에 몰탈층(8)이 적층된 후 난방배관(2)이 배열된 다음 다시 몰탈층(8)에 의해 마감되는 반면에, 욕실의 바닥면은 거실 또는 방의 바닥면과는 달리 콘크리트슬래브(6) 상에 방수층(4), 몰탈층(8)이 차례로 적층된 후 난방배관(2)이 배열된 다음 다시 몰탈층(8)으로 덮여진 후 최종적으로 타일로 마감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때 욕실의 바닥면은 거실 또는 방의 바닥면에 비해 50 내지 70mm 정도 낮게 형성되어 일종의 단턱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floor surface of a living room or room is generally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는 난방배관(2)의 배열을 위해 전술한 구조적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거실 또는 방과 욕실 사이의 단턱에 설치된다. The heating pipe sleev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living room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structural difference for the arrangement of the
이 경우에 우선 절단지점을 이용하여 패킹링(41)과 와셔(42)를 강제적으로 벌려 난방배관(2)의 일측 외주면에 끼워넣고 반분할된 연결링(43)을 난방배관(2)의 일측에 대해 외측에서 결합한 상태에서, 난방배관(2)을 슬리브본체(10)의 본체부(11)에 형성된 제 1 파공부(20) 내로 관통시킨 후, 슬리브본체(10)의 커버부(12)에 형성된 제 2 파공부(30)를 관통시킨 다음, 슬리브본체(10)의 본체부(11)에 커버부(12)를 고정시킨다.In this case, first, using the cutting point, the packing
그 다음에 연결링(43)을 가압하여 일정각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연결링(43)에 형성된 걸림돌기(44)가 제 1 파공부(20)의 가이드홈(21)에 걸려지도록 하거나 또는 연결링(43)을 수회 회전시킴으로써 연결링(43)에 형성된 수나사산(45)이 제 1 파공부(20)에 형성된 암나사산(22)에 나사결합되도록 한 다음, 난방배관(2)의 타측에 끼워지는 별도의 마감구(미도시)를 이용하여 난방배관(2)의 타측을 제 2 파공부(30)에 관통고정시킨다. 이 때 슬리브본체(10) 내에는 별도의 난방배관이 제 1 파공부(20)와 제 2 파공부(30) 사이에 연결된다.Then, by pressing the connecting
그 다음에는 슬리브본체(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방수층(4)을 각각 형성한 후, 몰탈층(8)으로 난방배관(2)을 매립고정하고, 슬리브본체(10)의 상부면에 조적벽(3)을 적층하면 된다.After that, after forming a waterproof layer (4)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leeve body (10), respectively, the heating pipe (2) is embedded and fixed with a mortar layer (8),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body (10) The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방배관슬리브(1)의 경우에는, 슬리브본체(10)가 6개의 평면만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콘크리트 타설없이도 상부에 조적벽(3)이 용이하게 적층형성될 수 있고, 특히 수직평면으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10)의 양측면에 방수층(4)이 용이하면서도 완벽하게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슬리브본체(10)의 내측에는 지지격벽(15)이 형성됨에 따라 슬리브본체(10)의 상부면에 적층되는 조적벽(3)의 하중이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heating pipe sleev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some embodiments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above,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thereof is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ll implemen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will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난방배관슬리브
2 : 난방배관
3 : 조적벽
4 : 방수층
6 : 콘크리트슬래브
8 : 몰탈층
10 : 슬리브본체
11 : 본체부
12 : 커버부
13 : 지지격벽
20 : 제 1 파공부
21 : 가이드홈
22 : 암나사산
30 : 제 2 파공부
40 : 배관고정유닛
41 : 패킹링
42 : 와셔
43 : 연결링
44 : 걸림돌기
45 : 수나사산One ; Heating piping sleeve
2: heating pipe
3: masonry wall
4: waterproof layer
6: Concrete slab
8: mortar layer
10: sleeve body
11: main body
12: cover
13: support bulkhead
20: first pore
21: Guide groove
22: female thread
30: second pore
40: pipe fixing unit
41: packing ring
42: washer
43: connecting ring
44: stumbling protrusion
45: male thread
Claims (7)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슬리브본체(10);
거실 또는 방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2)의 일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1 파공부(20); 및
욕실 측에 대면되는 상기 슬리브본체(10)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난방배관(2)의 타측이 관통지지되는 제 2 파공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In the heating pipe sleeve in which the heating pipe 2 leading into the bathroom through the living room or room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a step difference between the living room or room and the bathroom,
Sleeve body 10 formed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 first perforation part 20 formed on one side of the sleeve body 10 facing the living room or room and through which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2 is supported; And
Heating pip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erforated portion (30) formed under the other side of the sleeve body (10) facing the bathroom side and supported through the other side of the heating pipe (2).
상기 슬리브본체(10)는 일측에는 상기 제 1 파공부(20)가 형성되고 타측은 개방형성되는 본체부(11)와, 상기 본체부(11)의 타측에 일체로 결합되면서 상기 본체부(11)를 폐쇄하고 상기 제 2 파공부(30)가 형성되는 커버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eeve body 10 has a body portion 11 having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20 formed on one side and an open portion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body portion 11 while being integral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11 ) And a cover portion (12) in which the second perforated portion (30) is formed.
상기 슬리브본체(10) 상에는 조적벽(3)이 적층되고, 상기 본체부(11) 내에는 조적벽(3)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격벽(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heating pip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a masonry wall (3) is stacked on the sleeve body (10), and a support partition wall (13) is formed in the body part (11) to support the load of the masonry wall (3).
상기 제 1 파공부(20)는 상기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로부터 내측으로 함입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슬리브본체(10)의 일측 상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20) is a heating pip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ression formed inward from one side of the sleeve body (10) or protruding outward from the top of one side of the sleeve body (10).
상기 제 1 파공부(20)에는 상기 난방배관(2)의 일측을 상기 제 1 파공부(20)에 수밀적으로 관통결합시키는 배관고정유닛(40)이 결합되고,
상기 배관고정유닛(40)은 상기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파공부(20) 내에 지지되는 패킹링(41)과, 상기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패킹링(41)에 밀착되는 와셔(42)와, 상기 난방배관(2)의 일측 둘레에 끼워지고 상기 제 1 파공부(20)에 체결고정되면서 상기 와셔(42)를 통해 상기 패킹링(41)을 가압하는 연결링(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ipe fixing unit 40 for watertightly connecting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2 to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20 is coupled to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20,
The pipe fixing unit 40 is fitted around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2 and is fitted around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2 and a packing ring 41 supported within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20 The washer 42 in close contact with the packing ring 41 and the packing ring (42) through the washer 42 while being fitted around one side of the heating pipe 2 and fastened to the first perforated part 20 Heating pip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ring (43) for pressing 41).
상기 제 1 파공부(2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홈(21)이 일정각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43)의 외주면에는 가압 및 일정각도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21)에 맞물려지는 걸림돌기(44)가 일정각도 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The method of claim 5,
Guide grooves 21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erforated portion 20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ring 43 is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21 by pressing and rotating at a predetermined angle. Heating pip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protrusions 44 are formed at predetermined angle intervals.
상기 제 1 파공부(2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산(2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링(43)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암나사산(22)에 맞물려지는 수나사산(4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배관슬리브.The method of claim 5,
A female thread 2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erforated part 20, and a male thread 45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ring 43 to engage the female thread 22 by screwing. Heating pipe sleeve,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6860A KR102231464B1 (en) | 2019-06-27 | 2019-06-27 | Sleeve for heating pi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6860A KR102231464B1 (en) | 2019-06-27 | 2019-06-27 | Sleeve for heating pip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184A true KR20210001184A (en) | 2021-01-06 |
KR102231464B1 KR102231464B1 (en) | 2021-03-24 |
Family
ID=7412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6860A Active KR102231464B1 (en) | 2019-06-27 | 2019-06-27 | Sleeve for heating pi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3146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4364A (en) * | 2021-01-18 | 2022-07-26 | (주)우성에스케이에스 | Wall mounting apparatus for water supply pipe and the method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5434Y1 (en) * | 2002-11-19 | 2003-02-26 | 해성공영주식회사 | Above floor type sleeve for piping of airconditioning |
KR20030068235A (en) * | 2002-02-14 | 2003-08-21 |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 Rotary tube fitting |
KR20040105893A (en) | 2003-06-09 | 2004-12-17 | 김대현 | The bathroom-wall is pierced by a sleeve execation and the sleeve |
KR200386846Y1 (en) | 2005-03-22 | 2005-06-16 |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 Improvement structure of building wall piping protection sleeve |
KR20160001364U (en) * | 2014-10-17 | 2016-04-27 | 김대현 | Piping Sleeve |
KR20160002651U (en) * | 2015-01-21 | 2016-07-29 | 함완식 | Connector for double pipe and faucet |
-
2019
- 2019-06-27 KR KR1020190076860A patent/KR1022314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8235A (en) * | 2002-02-14 | 2003-08-21 | (주) 티피씨 메카트로닉스 | Rotary tube fitting |
KR200305434Y1 (en) * | 2002-11-19 | 2003-02-26 | 해성공영주식회사 | Above floor type sleeve for piping of airconditioning |
KR20040105893A (en) | 2003-06-09 | 2004-12-17 | 김대현 | The bathroom-wall is pierced by a sleeve execation and the sleeve |
KR200386846Y1 (en) | 2005-03-22 | 2005-06-16 |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 Improvement structure of building wall piping protection sleeve |
KR20160001364U (en) * | 2014-10-17 | 2016-04-27 | 김대현 | Piping Sleeve |
KR20160002651U (en) * | 2015-01-21 | 2016-07-29 | 함완식 | Connector for double pipe and fauce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4364A (en) * | 2021-01-18 | 2022-07-26 | (주)우성에스케이에스 | Wall mounting apparatus for water supply pipe and th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31464B1 (en) | 2021-03-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92726B1 (en) | Presealed system | |
KR101915143B1 (en) | Wall water panel | |
JP6463208B2 (en) | Drainage pip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231464B1 (en) | Sleeve for heating pipe | |
JP6820906B2 (en) | Drainage piping structure | |
KR100516787B1 (en) | The bathroom-wall is pierced by a sleeve execation and the sleeve | |
KR100906762B1 (en) | Sleeve assembly for pipe connection | |
KR100877990B1 (en) | Wall reclamation box | |
KR200396618Y1 (en) | Waterproof sleeve for piping | |
KR200325930Y1 (en) | THE bathroom-wall is pierced by a sleeve | |
KR100886361B1 (en) | Wall flush faucet | |
KR20190139578A (en) | The Construction sleeve with adjustable ring With micro-height control and anti-rotation function | |
KR200377943Y1 (en) | Sleeve for building wall pipe protect | |
KR101458519B1 (en) | Device For Connecting Double Drainpipe Embedded On Slab | |
KR102310064B1 (en) | sleeve | |
KR200387063Y1 (en) | Improvement structure of building wall piping protection sleeve | |
KR100862333B1 (en) | Sprinkler piping structure and sleeves used to reduce apartment floor height | |
KR200391116Y1 (en) | Improvement structure of bathroom wall piping protection sleeve | |
KR200325927Y1 (en) | Sleeve for building wall pipe protect | |
KR200410064Y1 (en) | Plumbing fixture | |
KR20210139046A (en) | sleeve | |
KR102260133B1 (en) | Heating pipe sleeve | |
KR200413538Y1 (en) | Faucet case extension frame for building finishing | |
KR102339280B1 (en) | Multipurpose water supply valve box with integrated cold and hot water | |
JP6799194B2 (en) | Drainage pip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