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63U - Cosmetic vessel - Google Patents
Cosmetic vess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1063U KR20210001063U KR2020190004501U KR20190004501U KR20210001063U KR 20210001063 U KR20210001063 U KR 20210001063U KR 2020190004501 U KR2020190004501 U KR 2020190004501U KR 20190004501 U KR20190004501 U KR 20190004501U KR 20210001063 U KR20210001063 U KR 20210001063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lid
- container body
- auxiliary
- cosme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75 sunscreen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16 sunscre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1272720 Medialuna californi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34 lip ba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2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lipstick holders or with other toiletry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0—Containers with movably mounted draw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2040/225—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of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하단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보조용기; 및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보조용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보조용기를 외측으로 밀어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상기 보조용기를 돌출시키거나 상기 보조용기를 당겨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 상기 보조용기를 대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in which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One or more auxiliary container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container body and the auxiliary container, wherein the connection part pushes the auxiliary container outward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body to protrude the auxiliary container from the container body,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container faces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by pulling.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and specifically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는 메이크업에 사용되는 파우더나 크림 등 각종 화장품들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화장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진다. 또한,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을 직접 포장 사용하는 용도에서부터 리필 용도까지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cosmetic containers are used to package various cosmetics such as powder or cream used for makeup, and have various shapes and sizes according to the use of cosmetics. In addition, cosmetic containers are variously changed from the use of packaging cosmetics to the use of refills.
이러한 화장품 용기 중, 콤팩트는 내용물을 보관하는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부면을 개폐시키는 외뚜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용기본체와 외뚜껑의 사이에 내뚜껑이 구비되어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을 보호하며, 내뚜껑의 상부에는 퍼프 등의 도포부재가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화장품 용기에서 외뚜껑의 내측면에는 거울이 부착될 수 있다.Among these cosmetic containers, the compact consists of a container body for storing contents and an outer li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In addition, an inner lid is provided between the container body and the outer lid to protect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application member such as a puff may be stor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lid. In addition, in most cosmetic containers, a mirror may b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lid.
그런데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는 하나의 용기본체에 내용물이 보관되는 구조를 이루거나, 용기본체의 상부에 보조용기가 마련되는 구조인 경우 스프링 등과 같이 보조용기를 용기본체로부터 이격시키키는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져 부품수량 및 제조비가 상당히 증가되고, 스프링 구조는 필수적으로 보조용기를 용기본체로부터 이격시키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할 수 없는 구조를 이룬다.However, a general cosmetic contain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in one container body, or in the case of a structure in which an auxiliary container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the structure of separating the auxiliary container from the container body, such as a spring, is complicated. As the number of parts and manufacturing cost a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spring structure essentially separates the auxiliary container from the container body, the user cannot selectively operate it.
또는 일반적인 화장품 용기는 일측이 힌지 연결되고 타측이 버튼구조로 이루어져,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며, 버튼구조와 같이 부품수량 및 조립 공수 등이 증가되며 구조가 복잡한 구조를 이룸에 따라 개선이 요구된다.Or, in general cosmetic containers, one side is hinge-connected and the other side is made of a button structure, and can only be rotated in on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parts and assembly man-hours are increased like a button structure, and improvement is required as the structure achieves a complex structure. .
본 고안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장품 용기의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사용 조작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improve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imple structure of a cosmetic container, easy operation and convenient use.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 하단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보조용기; 및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보조용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보조용기를 외측으로 밀어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상기 보조용기를 돌출시키거나 상기 보조용기를 당겨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 상기 보조용기를 대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body in which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One or more auxiliary container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container body and the auxiliary container, wherein the connection part pushes the auxiliary container outward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body to protrude the auxiliary container from the container body, 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container faces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by pulling.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용기는,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용기본체에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이 좌측의 상기 보조용기에 연결되는 제1 핀과 우측의 상기 보조용기에 연결되는 제2 핀을 구비하는 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container is provided in pairs, each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connection part, each end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and each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ainer on the left. It may include a pin member having one pin and a second pin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ainer on the right side.
구체적으로, 상기 핀부재는, 일단과 타단 각각이 아이들 회전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보조용기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in member may be hingedly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and the auxiliary container so that eac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idle.
구체적으로, 상기 핀부재는,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타단이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용기를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 대향시키거나, 타단이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보조용기를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pin member,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body so as to cross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body to face the auxiliary container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or the other end is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The auxiliary container may be projected out of the container body away from the area.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를 커버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좌우 각각에 마련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한 쌍의 상기 축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하측이 개방되어 한 쌍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축부재로부터 이격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상기 축부재에 간섭되어 회전축을 이루어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를 개방시키도록 하거나, 한 쌍이 모두 상기 축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를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in which contents are accommodated; And a lid covering the container body, wherein the container body includes a shaft member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provided in a pair, and the lid is a pair of rotations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shaft members Including a member, wherein the rotating member is opened at the lower side so that one of the pair is spaced apart from the shaft member and the other is interfered with the shaft member to form a rotation shaft so that the lid opens the containe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of the pair are positioned on the shaft member so that the lid is provided to close the container body.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재는, 수직 절단면이 원형의 공간을 이루면서 하단이 개방되고, 상기 축부재는, 상하 길이가 상기 회전부재의 직경에 대응되고, 좌우 폭이 상기 회전부재의 개방 폭에 대응되어, 상기 뚜껑이 개방 시 한 쌍의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축부재로부터 이탈되도록 허용시키되 나머지 다른 하나는 구속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rotating member has a vertical cut surface forming a circular space and the lower end is open, and the shaft member has an upper and lower length corresponding to a diameter of the rotating member, and a left and right width corresponding to the open width of the rotating member. When the lid is opened, one of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may be allowed to be separated from the shaft member, but the other may be constrained.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축부재 각각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를 폐쇄 시 상기 뚜껑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뚜껑을 간섭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ainer body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protrusion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shaft members, and the protrusions may interfere with the li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lid when the lid closes the container body. I can.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상기 돌기가 위치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뚜껑이 개방되는 회전 반경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뚜껑이 개방 시 개방방향을 따라 상기 돌기를 가이드하며 상기 돌기의 이탈을 허용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has a guide groove in which the protrusion is located, and the guide groove extends downward along a rotation radius in which the lid is opened, and the lower end is opened, so that when the lid is opened, the guide groove is formed. It is possible to guide the protrusion and allow separation of the protrusion.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홈은, 구부러진 구조를 이루되, 상부 꼭지점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 양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며 하향 경사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guide groove has a bent structure, and may be curved downward from the upper vertex in both directions to the left and right.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는,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쌍을 이룰 수 있다.Specifically, th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to form a pair.
구체적으로, 상기 돌기는, 좌우 길이방향에 대하여 중심부에 하나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one protrusion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보조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보조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게 격벽이 마련되며, 상기 보조용기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it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container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body, the container body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auxiliary container is accommodated, and further includes an elastic portion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auxiliary container I can.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에 마련되는 화장도구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화장도구를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어느 다른 하나는 상기 보조용기를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 방향에 따라 상기 뚜껑이 상기 화장도구를 간섭하거나 상기 보조용기를 간섭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further includes a makeup tool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any one of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is provided at a position interfering with the cosmetic tool, and the other is provided at a position interfering with the auxiliary container , Depending on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lid, the lid may interfere with the makeup tool or the auxiliary container.
구체적으로, 상기 보조용기는, 상기 뚜껑이 어느 일측으로 개방 시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상기 축부재를 간섭하지 않도록 한 쌍의 상기 축부재 중 어느 하나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uxiliary container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any one of the pair of shaft member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o as to protrud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when the lid is opened to one sid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haft member. have.
구체적으로,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본체와 대향하여 마련되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거울이 마련되고, 상기 뚜껑의 둘레면 중 일측이 개방되되,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 시 개방된 일측이 커버되며, 상기 뚜껑의 공간에 내용물을 도포하는 화장도구가 보관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d is provided facing the container body, a mirror is provided so that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is opened, and one side opened when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is covered, and the Cosmetic tools that apply the contents can be stored in the space of the lid.
본 고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용기본체를 단순히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보조용기의 돌출을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할 수 있고, 보조용기의 돌출 정도를 조작하는 구조가 스프링 및 스프링을 고정하는 구조 등과 같이 복잡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핀부재와 같이 단순하게 이루어져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venient because the protrus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can be manipulated by simply rotating the container body, and the structure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auxiliary container is complicated, such as a structure for fixing a spring and a spring. It is not made to be made simple, such as a pin member can be easily manufactured.
또한, 본 고안, 뚜껑이 좌우측과 같이 양방향으로 개방이 가능하며, 뚜껑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화장도구 또는 보조용기를 배출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화장도구와 보조용기의 간섭 상태가 선택적으로 지속될 수 있어 뚜껑 개방에 의한 화장도구 또는 보조용기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고, 개폐 유지를 위한 버튼 구조가 생략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d can be opened in both directions, such as left and right, it is easy to discharge makeup tools or auxiliary containers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d is rotated, and the interference state between the makeup tools and auxiliary containers can be selectively maintained.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any separation of the makeup tool or auxiliary container due to the opening of the lid,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mproved, and the button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is omitted, so that manufacturing is easy and cost can be reduced.
또한, 본 고안은, 뚜껑이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뚜껑의 개방 형태를 조작할 수 있으며, 화장도구가 뚜껑에 마련되어 화장품 용기가 컴팩트해질 수 있어,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id can be rotated in both directions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manipulate the open shape of the lid, and cosmetic tools can be provided on the lid to make the cosmetic container compact, so that portability can be improved. have.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보조용기가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결합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보조용기가 노출된 상태의 결합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뚜껑이 우측을 기준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뚜껑이 좌측을 기준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에서 뚜껑이 수직하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뚜껑이 우측을 기준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서 뚜껑이 좌측을 기준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ntainer is exposed in FIG. 1.
3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FIG. 1.
4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in the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ntainer is exposed in FIG. 3.
5 is a view show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from the right side in FIG. 5.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from the left side in FIG. 5.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vertically opened in FIG. 5.
9 is a view show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from the right side in FIG. 9.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from the left side in FIG. 9.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elements of each drawin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only the same elements are to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조용기가 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서 보조용기가 노출된 상태의 결합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ntainer is exposed in FIG. 1, and FIG. 3 conceptually shows the coupling structure of FIG. 1 It is a view, and FIG. 4 is a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container is exposed in FIG. 3.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본체(110), 보조용기(120),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고, 보조용기(120)를 선택적으로 돌출시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용기본체(110)를 회전시키는 단순한 조작만으로 보조용기(120)의 돌출 정도를 조작할 수 있다.1 to 4, the
용기본체(11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용기 구조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측이 개구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을 개폐하는 뚜껑(111)이 마련되는 컴팩트 형태의 화장품 용기(100)의 구조를 이루는 쿠션, 메탈 쿠션, 압축 파우더 용기, 고체형 선크림 용기 등의 구조를 이룰 수 있고, 내용물은 얼굴 전체를 도포하는 화장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다면 다양한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The
또한, 용기본체(110)의 일측에 뚜껑(111)이 힌지 연결되는 것과 더불어, 용기본체(110)와 뚜껑(111) 사이에 보조뚜껑(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고, 보조뚜껑 상에 퍼프 등과 같은 화장 도구가 수납될 수도 있으며, 보조뚜껑이 생략되고 후술되는 보조용기(120) 중 어느 하나에 화장 도구가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 뚜껑(111)이 힌지 연결되는 것과 달리 슬라이딩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In addition, with the
즉 본 실시예의 용기본체(110)는, 하단에 보조용기(120)가 마련되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컴팩트 형태의 화장품 용기(100)에 한정되지 않아 상부의 용기가 회전되는 구조라면 자(jar) 타입을 이루는 병 구조 등에 적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이러한 용기본체(110)는, 회전 작동을 통해 보조용기(12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하측 중심에 중심축(112)이 마련될 수 있다.This
용기본체(110)의 중심축(112)은, 용기본체(110)가 회전을 이루기 위한 축으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한 손으로 중심축(112)을 잡아 고정 시키고 다른 나머지 손으로 용기본체(110)를 잡고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가 회전을 이루기 위한 축을 이룰 수 있다.The
다만 사용자가 중심축(112)을 직접 잡지 않고, 용기본체(110)와 보조용기(120)를 커버하여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중심축(112)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케이스를 잡고서 용기본체(110)를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돌릴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중심축(112)은, 케이스에 의해 비노출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나, 케이스의 하부를 관통하여 노출될 수도 있다.However, the user does not directly hold the
그리고 용기본체(110)는 공지된 버튼 방식으로 뚜껑(111)이 개폐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자석과 금속이 용기본체(110)와 뚜껑(111)에 각각 마련되어, 자력으로 개폐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용기본체(110)를 회전시킬 때, 사용자가 용기본체(110)의 둘레면을 잡고 돌릴 수 있고 이때 용기본체(110)의 둘레면에는 마찰을 증가시키는 마찰면(돌기 등)이 부가될 수도 있으며, 용기본체(110)를 잡을 수 있는 돌출된 구조물 또는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rotating the
보조용기(120)는, 화장품 용기(100)의 수납공간을 확장/부가하는 구성으로서, 용기본체(110)에 수용되는 화장품과 상이한 종류의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조용기(120) 중 어느 하나에는 퍼프 등과 같은 화장 도구가 보관될 수도 있고, 수납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색상 및/또는 성분 등이 상이한 내용물이 수용되는 구조일 수도 있는 바와 같이 여러 형태가 가능하다. The
이러한 보조용기(120)는, 용기본체(110)와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되어 용기본체(110)의 조작에 의해 용기본체(110)로부터의 돌출 정도가 조절될 수 있어, 돌출 정도에 따라 수납공간이 노출되거나 커버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용기본체(110)로부터 보조용기(120)를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This
이와 같은 보조용기(120)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의 보조용기(120)가 구비되는 경우 후술되는 핀부재(131)의 제1 핀(131A) 또는 제2 핀(131B)에 의해 용기본체(110)와 연결되어 용기본체(110)의 조작에 따라 하나의 보조용기(120)가 용기본체(110)로부터의 돌출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One or more of the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110)의 하단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한 쌍의 보조용기(120) 중 하나의 보조용기(120)는 제1 핀(131A)과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의 보조용기(120)는 제2 핀(131B)과 연결되어 용기본체(1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Preferably, each of the lower ends of the
이러한 보조용기(120)는, 용기본체(110)로부터 돌출되거나 위치가 복귀될 때, 한 쌍의 보조용기(120) 각각이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이 가이드되는 구조가 마련될 수 있다.This
일례로 보조용기(120)에는 돌기(부호 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용기본체(110) 및/또는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는 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13)이 마련되어, 용기본체(110)에 대한 보조용기(120)의 상대이동 시 돌기가 가이드홈(113)에 의해 가이드되므로, 가이드홈(113)의 길이방향으로 보조용기(120)의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rotrusion (not shown) is provided in the
예를 들어 돌기는 도 4를 기준으로 하나의 보조용기(120)에서 상하 각각에 한 쌍 마련될 수 있으며(화장품 용기(100)가 바닥면에 놓인 상태에서는 전후 방향일 수 있음), 가이드홈(113)은 돌기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용기본체(110) 및/또는 케이스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 pair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top and bottom in one
그리고 보조용기(120)의 형상 및/또는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나, 화장품 용기(100)의 전체 공간이 효율적으로 구성되면서도 컴팩트한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쌍의 보조용기(120) 전체의 단면적 및/또는 크기가 용기본체(110)의 단면적 및/또는 크기와 동일/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nd although the shape and/or size of the
이에 따라 용기본체(110)의 형상이 원형인 경우 보조용기(120)는 한 쌍의 반달 형상이 합쳐져 하나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용기본체(110)의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 한 쌍의 보조용기(120)는 정사각형이 나뉘어진 형태가 합쳐져 정사각형을 이룰 수 있으나 이외에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변경될 수도 있다.Accordingly, when the shape of the
연결부(130)는 용기본체(110)와 보조용기(120)를 연결하는 매개물로서, 연결부(130)는 용기본체(110)의 회전에 연동하여 보조용기(120)를 외측으로 밀어 용기본체(110)로부터 보조용기(120)를 돌출시키거나 보조용기(120)를 당겨 용기본체(110)의 하단에 보조용기(120)를 대향시킬 수 있다.The
예를 들어 연결부(130)는, 제1 핀(131A)과 제2 핀(131B)으로 이루어지는 핀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핀부재(131)는, 용기본체(110)의 하단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타단이 용기본체(110)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어 보조용기(120)를 용기본체(110)의 하단에 대향시키거나, 타단이 용기본체(110)의 하단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보조용기(120)를 용기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핀(131A)과 제2 핀(131B)은, 한 쌍의 보조용기(120)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제1 핀(131A)은 일단이 용기본체(110)에 연결되며, 타단이 좌측의 보조용기(120)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핀(131B)은 일단이 용기본체(110)에 연결되며, 타단이 우측의 보조용기(120)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러한 제1 핀(131A)과 제2 핀(131B)으로 이루어지는 핀부재(131)는, 일단과 타단 각각이 아이들 회전되도록 용기본체(110)와 보조용기(120)에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용기본체(110)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음) 용기본체(110)와 보조용기(120)에 연결되어, 핀부재(131)의 힌지 연결은 용기본체(110)의 회전방향에 대응되게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일례로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제1 핀(131A)과 제2 핀(131B) 각각의 일단은 용기본체(110)의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연결되고, 제1 핀(131A)과 제2 핀(131B) 각각의 타단은 일단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놓여져 위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3, one end of each of the first pin (131A) and the second pin (131B) is connec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용기본체(110)의 상부지점에 위치된 제2 핀(131B)의 일단이 90도 방향으로 돌려지면서 보조용기(120)에 연결된 제2 핀(131B)의 타단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제2 핀(131B)의 타단에 연결된 보조용기(120)가 밀어지게 되어 용기본체(110)로부터 보조용기(120)가 돌출됨으로써 보조용기(120)의 수납공간이 노출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4, when the
더불어 제2 핀(131B)의 일단이 90도 방향으로 돌려지면서 보조용기(120)에 연결된 제2 핀(131B)의 타단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앞서 언급된 보조용기(120)의 돌기가 가이드홈(1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우측의 보조용기(120)가 우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one end of the
게다가 보조용기(120)의 위치가 용기본체(110)에 대향하도록 복귀되는 과정은, 반시계방향으로 용기본체(110)가 회전되는 과정과 같이 용기본체(110)로부터 보조용기(120)가 멀어지는 과정과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 of returning the position of the
그리고 제1 핀(131A)에 의한 작동은, 제2 핀(131B)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제1 핀(131A)의 작동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by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용기본체(110)를 단순히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보조용기(120)의 돌출을 조작할 수 있어 편리할 수 있고, 보조용기(120)의 돌출 정도를 조작하는 구조가 스프링 및 스프링을 고정하는 구조 등과 같이 복잡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핀부재(131)와 같이 단순하게 이루어져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it is convenient to manipulate the protrusion of the
이하에서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뚜껑이 우측을 기준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서 뚜껑이 좌측을 기준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5에서 뚜껑이 수직하게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relative to the right side in FIG. 5, and FIG. 7 is a left side of the lid in FIG. 5 It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based 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vertically opened in FIG. 5.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본체(110), 뚜껑(140), 보조용기(150)를 포함할 수 있고, 화장품 용기(100)는 원형, 다각형 등 형상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회전부재(141) 등의 위치는 뚜껑(140)의 좌우 양측에서 중심에 마련되거나 도 5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에 치우쳐 마련되거나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다면 다양하게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5 to 8, the
먼저 용기본체(110)는,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용기 형상 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측이 개구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컴팩트 형태의 화장품 용기(100)의 구조를 이루는 쿠션, 메탈 쿠션, 압축 파우더 용기, 고체형 선크림 용기 등의 구조를 이룰 수 있고, 내용물은 얼굴 전체를 도포하는 화장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다면 다양한 공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First, the
다만, 제1 실시예의 용기본체(110)는 용기본체(110)의 일측에 뚜껑(111)이 힌지 연결되거나 슬라이딩 타입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보조용기(120)가 돌출가능하게 마련되게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되나, 본 실시예는 뚜껑(140)이 용기본체(110)의 일측에만 힌지 연결되는 것이 아닌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용기본체(110)가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1 실시예의 중심축(112) 및 가이드홈(113)이 생략되고, 하부에 보조용기(120)가 마련되지 않고 생략될 수 있으며, 별도의 보조용기(150)가 측면에 마련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However, in the
그러나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제1, 2 실시예 및/또는 후술되는 제3 실시예 그리고 공지 기술이 서로 조합될 수도 있으므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만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1 실시예와 구분하여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However,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sinc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or the third embodiment and known techniques described later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However,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from the first embodiment as follows.
본 실시예의 용기본체(110)는, 간략하게는 뚜껑(140)이 한 쪽에서만 회전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양 방향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좌우 각각에 마련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축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고, 뚜껑(140)이 폐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한 쌍의 돌기(11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조용기(150)가 수납되도록 격벽(117)이 마련될 수 있고, 보조용기(150)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탄성부(118)가 마련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한 쌍의 축부재(115)는, 상하 길이가 회전부재(141)의 직경에 대응되고, 좌우 폭이 회전부재(141)의 개방 폭에 대응되어, 뚜껑(140)의 개방 시 한 쌍의 회전부재(141) 중 어느 하나는 축부재(115)로부터 이탈되도록 허용시키되 나머지 다른 하나는 구속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pair of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을 기준으로 뚜껑(140)이 회전되어 개방 시, 좌측의 축부재(115)는 회전부재(141)가 이탈되어 뚜껑(140)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우측의 축부재(115)는 뚜껑(140)이 회전되면서 회전부재(141)를 간섭하게 되며, 이때 우측의 축부재(115)와 회전부재(141)는 보조용기(150)가 위치되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어 보조용기(150)를 지속적으로 미노출시킬 수 있고, 화장도구(P)는 전체적으로 노출되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6 to 8, as shown in FIG. 6, when the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을 기준으로 뚜껑(140)이 회전되어 개방 시, 우측의 축부재(115)는 회전부재(141)가 이탈되어 뚜껑(140)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좌측의 축부재(115)는 뚜껑(140)이 회전되면서 회전부재(141)를 간섭하게 되는데, 이때 좌측의 축부재(115) 및 회전부재(141)는 화장도구(P)의 일측 상부 영역에 위치되어 화장도구(P)의 좌측을 일부 간섭할 수 있으므로 화장도구(P)가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7 and 8, when the
더불어 한 쌍의 돌기(116)는, 뚜껑(140)이 개방 시 가이드홈(142)의 경로를 통해 가이드되면서도, 뚜껑(140)이 용기본체(110)를 폐쇄한 경우에는 뚜껑(14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뚜껑(140)을 간섭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110)에서 한 쌍의 축부재(115) 각각으로부터 이격되게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pair of
여기서 돌기(116)는,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우측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뚜껑(140)이 개방 시, 한 쌍의 돌기(116)가 모두 가이드홈(142)의 경로를 통해 가이드될 수 있다, 이때 돌기(116)는 뚜껑(140)이 회전되는 방향에 대응되어 도 6의 우측에 마련되는 가이드홈(142)과 같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곡선으로 경사를 이루되 상부방향으로 경사 시 좌측을 향하는 구조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뚜껑(140)의 개방 방향에 따라 돌기(116)의 가이드 방향이 가이드홈(142)의 곡선 방향에 따라 달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as for the
이러한 돌기(116)는, 뚜껑(140)의 개방 방향에 따라 가이드홈(142)에 의해 이동 경로가 가이드되나, 뚜껑(140)이 임의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뚜껑(140)이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도 있다.These
이는 뚜껑(14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42)이 '^'와 같이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으로 개방되지 않아, 뚜껑(140)이 용기본체(110)의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당겨질 때 한 쌍의 돌기(116)가 뚜껑(140)의 이동을 차단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This is a
즉 돌기(116)는, 뚜껑(140)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 시에는 가이드홈(142)의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선 구조를 따라 가이드되어 뚜껑(140)의 개방은 허용하면서도, 가이드홈(142)이 수직방향으로는 개방되지 않아 돌기(116)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어 뚜껑(140)이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개방되는 것은 방지되므로 사용자가 뚜껑(140)을 회전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뚜껑(140)이 폐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That is, the
격벽(117)은, 용기본체(110)에 보조용기(150)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용기본체(110)의 내측에서 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의 측면에 보조용기(150)가 수납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이 구획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격벽(117)은 용기본체(110)의 내부에서 우측으로 치우쳐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용기본체(110)는 격벽(117)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화장품과 같은 내용물이 수납되는 공간 및/또는 내용물의 상부에 퍼프와 같은 화장도구가 수용되는 공간이 상하 일렬로 마련되는 공간이 형성되고, 격벽(117)을 기준으로 우측에는 내용물로부터 보조용기(150)의 수납공간이 분리되게 보조용기(150)의 수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게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S. 6 to 8, the
이러한 격벽(117)의 높이는, 용기본체(110)의 외곽 높이보다 낮게 마련되어, 화장도구(P)가 마련되는 경우 화장도구(P)가 수납되는 높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격벽(117)은 보조용기(150)가 탄성부(118)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밀어질 때 보조용기(150)의 우측인 용기본체(110)의 외곽에 대비하여 보조용기(150)의 좌측인 격벽(117)의 높이가 낮아 보조용기(150)가 화장도구(P) 방향으로 쓰러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따라서 도 7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뚜껑(140)이 보조용기(150) 측을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 시, 뚜껑(140)의 개방과 더불어 보조용기(150)가 상부로 이동되면서 화장도구(P) 방향으로 이동되어 화장도구(P)와 맞닿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화장도구(P)가 임의로 떨어지지 않고 보조용기(150)에 간섭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간섭은 고정된 형태가 아니므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화장도구(P) 및/또는 보조용기(150)를 꺼내 사용할 수 있는 상태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when the
더불어 격벽(117)에 의해 분리된 보조용기(150)의 수납공간에는 보조용기(150)가 수용되는 보조공간체(119)가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보조공간체(119)는 신장된 탄성부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격벽(117)의 높이와 동일하게 좌측의 높이가 형성되고, 우측의 높이가 용기본체(110)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보조용기(150)의 기울어지는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잇다.In addi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
탄성부(118)는, 보조용기(150)/보조공간체(119)를 탄성지지하는 구성으로서,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격벽(117)의 내측에서 보조용기(150)/보조공간체(119)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어, 보조용기(150)에 대향되는 뚜껑(140) 측이 개방 시 탄성부(118)의 가압이 해제되어 상하 길이가 신장됨으로써 보조용기(150)/보조공간체(119)를 상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The
여기서 탄성부(118)의 신장 길이는 앞서 언급된 보조공간체(119)의 우측이 용기본체(110)의 우측과 동일한 높이로 신장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 다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Here, the extension length of the
이러한 탄성부(118)에 의해 보조용기(150)는 탄성부(118)가 신장되는 길이만큰 상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어, 사용자가 용기본체(110)로부터 보조용기(150)를 용이하게 꺼낼 수도 있음은 물론,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보조용기(150)를 꺼내지 않을 경우 상부방향으로 밀어진 보조용기(150)는 화장도구(P) 방향으로 쓰러지면서 화장도구(P)와 맞닿게 되므로 화장도구(P)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By such an
이러한 용기본체(110)는 뚜껑(140)과의 결합이 한 쌍의 돌기(116)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버튼 구조가 생략될 수 있으므로, 조립 공수가 감소되고 제조비가 절감될 수 있고, 버튼 구조로 인한 공간이 필요없어 사이즈가 더욱 컴팩트해질 수 있다.This
그리고 화장도구(P)의 보관구조는 공지된 화장도구(P)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어, 힌지 결합되는 보조뚜껑(C)에 의해 보관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에 갈음하여 생략하며, 이와 달리 보조뚜껑(C)이 내용물의 상부에 단순히 얹혀지고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110) 공간의 둘레면에는 보조뚜껑(C)이 결합되는 받침 링(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And the storage structure of the makeup tool (P) can b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known makeup tool (P), it can be stored by a hinged auxiliary lid (C), which will be omitted in lieu of known technology, and this In contrast, the auxiliary lid (C) is simply placed on the top of the contents,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ace of the
뚜껑(140)은, 용기본체(110)를 커버할 수 있으며, 용기본체(110)에 대하여 좌우측과 같이 양 방향 회전이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개방 방향이 이루어질 수 있고, 간략하게는 한 쌍의 축부재(115)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고, 돌기(116)가 위치되는 가이드홈(142)이 형성될 수 있고, 거울(R)이 마련될 수 있다.The
한 쌍의 회전부재(141)는, 어느 하나가 화장도구(P)를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좌측의 회전부재(141)가 화장도구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고, 어느 다른 하나는 보조용기(150)를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어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우측의 회전부재(141)가 보조용기(15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어, 뚜껑(140)의 개방 방향에 따라 화장도구(P)를 간섭하고 보조용기(150)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거나, 보조용기(150)를 간섭하고 화장도구(P)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 pair of rotating
이러한 회전부재(141)는, 하측이 개방되어 한 쌍 중 어느 하나는 축부재(115)로부터 이격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축부재(115)에 간섭되어 회전축을 이루어 뚜껑(140)이 용기본체(110)를 개방시키도록 하거나, 한 쌍이 모두 축부재(115)에 위치되어 뚜껑(140)이 용기본체(110)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Such a rotating
예를 들어 회전부재(141)는, 수직 절단면이 원형의 공간을 이루면서 하단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재(141)는 한 쌍 중 어느 하나가 회전축을 이루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개방을 가이드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우측의 회전부재(141)는 원형의 내측 직경이 축부재(115)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뚜껑(140)이 회전 시 회전부재(141)의 내경이 축부재(115)와 맞닿는 형태로 회전을 지지하게 되고, 좌측의 회전부재(141)는 하부의 개방된 구조를 통해 축부재(115)의 이탈을 가이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여기서 회전부재(141)와 뚜껑(140)은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뚜껑(140)과 용기본체(110)의 초기 결합 시, 한 쌍의 축부재(115)와 회전부재(141)가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형상 변형이 가능한 가변 재질(실리콘, 고무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material of the rotating
이와 달리, 한 쌍의 회전부재(141)가 abs, pp 등 플라스틱과 같이 일정한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뚜껑(14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돌기(116)가 분리/조립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뚜껑(140)과 용기본체(110)의 초기 결합 시, 돌기(116)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용기본체(110)로부터 돌기(116)는 분리된 상태를 이루어 축부재(115)의 상부 방향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한 쌍의 회전부재(141)가 끼워져 결합된 이후, 핀 형태로 이루어지는 돌기(116)가 용기본체(110)에 결합되면서 가이드홈(142)에 위치됨으로써, 뚜껑(140)과 용기본체(110)의 초기 결합은 용이하게 형성되면서도 초기 결합 이후에는 뚜껑(140)이 용기본체(110)의 상부 방향으로부터 수직하게 이탈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상충되지 않는다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In contrast, a pair of rotating
그리고 가이드홈(142)은, 뚜껑(140)이 개방되는 회전 반경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개방되어, 뚜껑(140)이 개방 시 개방방향을 따라 돌기(116)를 가이드하며 돌기(116)의 이탈을 허용할 수 있다.And the
더불어 가이드홈(142)은, 도 6을 참조 시, 좌측의 가이드홈(142)이 우측의 가이드홈(142)과 반대방향으로 개시되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홈(142)은 구부러진 구조를 이루되 상부 꼭지점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 양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며 하향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어, '^'와 같이 상부 꼭지점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곡선 형태로 연장되는 꺽쇠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뚜껑(140)의 개방 방향에 따라 돌기(116)의 가이드 방향이 달리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이러한 뚜껑(140)은, 내측면의 중심부에 거울(R)이 마련될 수 있는데, 거울(R)은 뚜껑(140)에서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 형태로 마련되거나 자력 및/또는 억지 끼움 등의 방식으로 뚜껑(140)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방 방향에 관계없이 뚜껑(140)이 개방되면 거울(R)이 노출될 수 있어 뚜껑(140)의 사용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보조용기(150)는, 용기본체(11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10)에 수용되는 화장품과 다른 종류, 성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컨실러 또는 립밤, 립스틱 등과 같은 색조 화장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브러시 등과 같은 보조 도구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The
이러한 보조용기(150)는, 뚜껑(140)이 어느 일측으로 개방 시, 예를 들어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좌측을 기준으로 뚜껑(140)이 회전되어 개방 시, 탄성부(118)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축부재(115)를 간섭하지 않되 한 쌍의 축부재(115) 중 어느 하나인 우측의 축부재(115)에 인접하게 마련되면서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This
더불어 보조용기(150)는, 우측의 축부재(115)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마련되므로,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뚜껑(140)이 우측 방향을 기준으로 개방 시에는 보조용기(150)가 뚜껑(140)이 폐쇄된 상태와 유사하게 간섭되어 보조용기(150)의 돌출이 방지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뚜껑(140)이 좌측 또는 우측과 같이 양방향으로 개방이 가능하며, 뚜껑(140)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화장도구(P) 또는 보조용기(150)를 배출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화장도구(P)와 보조용기(150)의 간섭 상태가 선택적으로 지속될 수 있어 뚜껑(140) 개방에 의한 화장도구(P) 또는 보조용기(150)의 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고, 개폐 유지를 위한 버튼 구조가 생략되어 제조비용 등이 절감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제2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142)과 돌기(116)가 좌우 각각에 마련되어 각각 쌍을 이루며, 보조용기(150)가 구비되고, 화장도구(P)가 내용물의 상부에 마련되어 공지된 컴팩트 용기의 화장도구(P) 보관구조와 유사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하에서는 가이드홈(142)과 돌기(116)가 좌우 길이방향에 대하여 중심부에 하나 마련되며, 화장도구(P)가 뚜껑(140)의 공간에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An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뚜껑이 우측을 기준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에서 뚜껑이 좌측을 기준으로 개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pened relative to the right in FIG. 9, and FIG. 11 is a left side of the lid in FIG. 9 It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based on.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0)는, 용기본체(110), 뚜껑(140), 보조용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9 to 11, the
그리고 제3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100)는, 가이드홈(142)과 돌기(116)의 위치/개수 및/또는 화장도구(P)의 보관위치가 차이가 있고, 이외의 구성은 동일/유사할 수 있으므로,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것을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며, 중복되는 기술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용기본체(110)는, 제2 실시예와 동일 유사하게, 용기 형상 등이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양측에 각각 축부재(115)가 마련되어 축부재(115)가 쌍을 이루어 마련될 수 있다. The
다만 제3 실시예의 용기본체(110)는 돌기(116)를 포함하되, 제2 실시예와 달리 좌우 양측에 마련되는 것이 아닌 좌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중심부에 하나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돌기(116)의 수는 좌우 양측에 쌍으로 구비되지 않고 중심부에 마련되어 하나로 표현된 것으로 전후방에 대하여 일렬로 하나 이상 마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즉 제2 실시예의 돌기(116)는, 한 쌍의 축부재(115) 각각에 인접하게 마련되도록 용기본체(1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나, 제3 실시예의 돌기(116)는 한 쌍의 축부재(115)에 인접하게 마련되지 않고 용기본체(110)의 좌우 길이방향에서 중심부에 마련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the
이러한 돌기(116)는, 제2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뚜껑(140)이 개방되는 것은 방지하면서도 돌기(116)가 위치되는 가이드홈(142)의 경로를 통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경로가 가이드되어 뚜껑(140)의 회전은 허용할 수 있다.These
뚜껑(140)은, 제2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좌우 양측 각각에 마련되어 쌍을 이루는 회전부재(141)가 구비될 수 있다.The
다만 본 실시예의 뚜껑(140)은, 용기본체(110)에 마련되는 돌기(116)에 대응하여 가이드홈(142)이 좌우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부에 하나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가이드홈(142)은 제2 실시예와 위치는 상이할 수 있으나 기능 및 작용이 동일/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in the
즉 뚜껑(140)의 가이드홈(142)은, 뚜껑(140)의 개방방향에 따라 돌기(116)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이는 제2 실시예의 설명과 중복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at is, the
한편 본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동일/유사하게 화장도구(P)가 용기본체(110)에 수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뚜껑(140)에 화장도구(P)가 수납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is embodiment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osmetic tool (P) is accommodated in the
예를 들어 뚜껑(140)에는 거울(R)이 마련될 수 있는데, 이때 거울(R)이 뚜껑(140)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어 거울(R)의 분리를 통해 뚜껑(140)의 내부 공간을 노출시킴으로써 뚜껑(140) 내의 화장도구(P)를 꺼내어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 mirror (R) may be provided on the lid (140), in which case the mirror (R) is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lid (140) to expose the inner space of the lid (140) through separation of the mirror (R). By doing so, the makeup tool (P) in the
또는, 도 1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뚜껑(140)은, 용기본체(110)와 대향하여 마련되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거울(R)이 설치되고, 뚜껑(140)의 둘레면 중 일측이 개방되되, 용기본체(110)에 결합 시 개방된 일측이 커버되며, 뚜껑(140)의 공간에 내용물을 도포하는 화장도구(P)가 보관될 수 있다.Alternatively, as shown in FIG. 11, the
즉 폐쇄된 상태를 기준으로 뚜껑(140)의 어느 일측인 우측이 개방된 구조를 이루어, 뚜껑(140)이 폐쇄된 상태에서는 용기본체(110)에 의해 뚜껑의 개방이 커버되어 화장도구(P)의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뚜껑(140)이 좌측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부 방향으로 위치된 뚜껑(140)의 측면이 개방되어 화장도구(P)가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화장도구(P)를 꺼내어 사용할 수도 있다.That is, based on the closed state, one side of the
그리고 거울(R)과 가이드홈(142)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거울(R)은 뚜껑(140)의 중심에 마련되고, 가이드홈(142)은 뚜껑(140)의 전후방에 치우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And so that the mirror (R) and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뚜껑(140)이 좌우측과 같이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이루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뚜껑(140)의 개방 형태를 조작할 수 있으며, 화장도구(P)가 뚜껑에 마련되어 화장품 용기(100)가 컴팩트해질 수 있어, 휴대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본 고안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th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and a known technology as another embodiment.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would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of the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design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desig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desig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utility model claims.
100: 화장품 용기
110: 용기본체
111: 뚜껑
112: 중심축
113: 가이드홈
115: 축부재
116: 돌기
117: 격벽
118: 탄성부
119: 보조공간체
130: 보조용기
130: 연결부
131: 핀부재
131A: 제1 핀
131B: 제2 핀
140: 뚜껑
141: 회전부재
142: 가이드홈
150: 보조용기100: cosmetic container 110: container body
111: lid 112: central axis
113: guide groove 115: shaft member
116: protrusion 117: bulkhead
118: elastic part 119: auxiliary space body
130: auxiliary container 130: connection
131:
131B: second pin 140: lid
141: rotating member 142: guide groove
150: auxiliary container
Claims (15)
상기 용기본체 하단에 하나 이상 마련되는 보조용기; 및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보조용기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보조용기를 외측으로 밀어 상기 용기본체로부터 상기 보조용기를 돌출시키거나 상기 보조용기를 당겨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 상기 보조용기를 대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The container body in which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One or more auxiliary container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And
It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container body and the auxiliary container,
The connection part,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container is pushed outwar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ontainer body to protrude the auxiliary container from the container body or pull the auxiliary container to face the auxiliary container at a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보조용기는,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용기본체에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이 좌측의 상기 보조용기에 연결되는 제1 핀과 우측의 상기 보조용기에 연결되는 제2 핀을 구비하는 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The method of claim 1,
The auxiliary container is provided in pairs, respective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The connection part includes a pin member having a first pin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ainer on the right and a first pin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tainer on the right and each other end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일단과 타단 각각이 아이들 회전되도록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보조용기에 힌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in member,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hinge-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and the auxiliary container so that each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rotates idle.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 영역을 가로지르도록 타단이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 영역에 위치되어 상기 보조용기를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에 대향시키거나,
타단이 상기 용기본체의 하단 영역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보조용기를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in member,
The other end is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body so as to cross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body to face the auxiliary container to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body,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end is out of the lower region of the container body to protrude the auxiliary container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본체를 커버하는 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좌우 각각에 마련되어 한 쌍으로 구비되는 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한 쌍의 상기 축부재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하측이 개방되어 한 쌍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축부재로부터 이격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상기 축부재에 간섭되어 회전축을 이루어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를 개방시키도록 하거나, 한 쌍이 모두 상기 축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를 폐쇄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container body in which the contents are accommodated; And
Including a lid covering the container body,
The container body includes a shaft member provided in a pair provided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The lid includes a pair of rotating members connected to each of the pair of shaft members,
The rotating member,
The lower side is opened so that one of the pair is spaced apart from the shaft member and the other one interferes with the shaft member to form a rotating shaft so that the lid opens the container body, or both pairs are located on the shaft member.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id is provided to close the container body.
상기 회전부재는, 수직 절단면이 원형의 공간을 이루면서 하단이 개방되고,
상기 축부재는, 상하 길이가 상기 회전부재의 직경에 대응되고, 좌우 폭이 상기 회전부재의 개방 폭에 대응되어, 상기 뚜껑이 개방 시 한 쌍의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축부재로부터 이탈되도록 허용시키되 나머지 다른 하나는 구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ting member has a vertical cut surface forming a circular space while the lower end is open,
The shaft member, the upper and lower lengths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member, the left and right widths correspond to the opening width of the rotating member, when the lid is opened, any one of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is separated from the shaft member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llowed to be allowed to restrain the other.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축부재 각각으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뚜껑이 상기 용기본체를 폐쇄 시 상기 뚜껑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뚜껑을 간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ainer body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protrusion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shaft members,
The protrusion is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nterfering with the li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lid when the lid closes the container body.
상기 뚜껑은, 상기 돌기가 위치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뚜껑이 개방되는 회전 반경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며 하단이 개방되어, 상기 뚜껑이 개방 시 개방방향을 따라 상기 돌기를 가이드하며 상기 돌기의 이탈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7,
The lid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in which the protrusion is located,
The guide groove is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extends downward along a radius of rotation in which the lid is opened and has a lower end open, guides the protrusion along the opening direction when the lid is opened and allows the protrusion to escape .
구부러진 구조를 이루되, 상부 꼭지점으로부터 좌측 및 우측 양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며 하향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guide groove,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ent structure, and curves downward in both directions from the upper vertex to the left and right.
좌우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쌍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trusion,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o form a pair.
좌우 길이방향에 대하여 중심부에 하나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rotrusion,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one provided in the center with respect to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에 마련되는 보조용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본체는, 상기 보조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게 격벽이 마련되며, 상기 보조용기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container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The container body is provided with a partition wall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auxiliary container is accommodated, and a cosmetic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n elastic pa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auxiliary container.
상기 용기본체에 마련되는 화장도구를 더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회전부재 중 어느 하나는 상기 화장도구를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되고, 어느 다른 하나는 상기 보조용기를 간섭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뚜껑의 개방 방향에 따라 상기 뚜껑이 상기 화장도구를 간섭하거나 상기 보조용기를 간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makeup tool provided in the container body,
One of the pair of rotating members is provided at a position interfering with the makeup tool, and the other is provided at a position interfering with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lid interferes with the cosmetic tool according to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lid. Or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nterfering with the auxiliary container.
상기 뚜껑이 어느 일측으로 개방 시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돌출되도록, 상기 축부재를 간섭하지 않도록 한 쌍의 상기 축부재 중 어느 하나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uxiliary container,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spaced from one of the pair of shaft member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so as to protrud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ortion when the lid is opened to any one sid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shaft member.
상기 뚜껑은 상기 용기본체와 대향하여 마련되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거울이 마련되고,
상기 뚜껑의 둘레면 중 일측이 개방되되,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 시 개방된 일측이 커버되며, 상기 뚜껑의 공간에 내용물을 도포하는 화장도구가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lid is provided to face the container body, but a mirror is provided so that a space is formed inside,
On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is opened, the opened side is covered when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and cosmetic containers for applying contents to the space of the lid are stor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4501U KR200498368Y1 (en) | 2019-11-07 | 2019-11-07 | Cosmetic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4501U KR200498368Y1 (en) | 2019-11-07 | 2019-11-07 | Cosmetic vesse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1063U true KR20210001063U (en) | 2021-05-17 |
KR200498368Y1 KR200498368Y1 (en) | 2024-09-25 |
Family
ID=7614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4501U Active KR200498368Y1 (en) | 2019-11-07 | 2019-11-07 | Cosmetic vesse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8368Y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36819A (en) * | 2006-10-24 | 2008-04-29 | (주)쉘-라인 | Cosmetic containers |
KR101030380B1 (en) * | 2008-07-21 | 2011-04-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KR101538734B1 (en) * | 2014-07-01 | 2015-07-28 | 정병운 | Container having slide drawer |
JP2019189332A (en) * | 2018-04-27 | 2019-10-31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Container with lid |
-
2019
- 2019-11-07 KR KR2020190004501U patent/KR200498368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36819A (en) * | 2006-10-24 | 2008-04-29 | (주)쉘-라인 | Cosmetic containers |
KR101030380B1 (en) * | 2008-07-21 | 2011-04-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KR101538734B1 (en) * | 2014-07-01 | 2015-07-28 | 정병운 | Container having slide drawer |
JP2019189332A (en) * | 2018-04-27 | 2019-10-31 | 株式会社吉野工業所 | Container with li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8368Y1 (en) | 2024-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307626B2 (en) | Make-up compact with at least two products of different types | |
KR102433695B1 (en) | Cosmetic vessel | |
EP2073663B1 (en) | Unitary cosmetic compact with decoupled motion | |
CN211431425U (en) | Cosmetic container | |
JP2020526315A (en) | Cosmetic container | |
KR102089722B1 (en) | Slim Cosmetic Container Maintaining Weight Balance When Opening the Container Cover | |
KR102406430B1 (en) | Cosmetic vessel | |
KR102540825B1 (en) | Container whose hinge part is hidden from the outside | |
KR20210001063U (en) | Cosmetic vessel | |
RU2413442C2 (en) | Compact box for cosmetics | |
JP7073521B2 (en) | Cosmetic container | |
KR101478294B1 (en) | Cosmetics container | |
KR20100000507A (en) | Cosmetic case | |
KR200492537Y1 (en) | Cosmetic vessel | |
KR20170098500A (en) | Eye shadow case | |
US7306103B2 (en) | Finger operable container | |
KR200490276Y1 (en) | Multi cosmetic container | |
KR200369903Y1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0490823Y1 (en) | Cosmetic vessel | |
JP7389864B1 (en) | Contents container whose hinge par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 |
KR102311515B1 (en) | A cosmetic device | |
KR102464088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102440955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0493503Y1 (en) | Cosmetinc container | |
KR20190003143A (en) | Slide eye shadow ca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1107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82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0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3121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81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