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00551A -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551A
KR20210000551A KR1020190075829A KR20190075829A KR20210000551A KR 20210000551 A KR20210000551 A KR 20210000551A KR 1020190075829 A KR1020190075829 A KR 1020190075829A KR 20190075829 A KR20190075829 A KR 20190075829A KR 20210000551 A KR20210000551 A KR 20210000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rame
module
thermally conductive
battery pa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박준규
김수열
백승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9007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0551A/ko
Priority to PCT/KR2020/007106 priority patent/WO2020262832A1/ko
Priority to US17/435,586 priority patent/US20220158270A1/en
Priority to EP20833499.5A priority patent/EP3926733A4/en
Priority to JP2021549531A priority patent/JP7612272B2/ja
Priority to CN202080032135.XA priority patent/CN113748560A/zh
Publication of KR20210000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51A/ko
Priority to JP2023118508A priority patent/JP2023143936A/ja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3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electrically insulating or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1Surfa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 dissipation or radiation, e.g. fin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4Secondary casings; Racks; Suspension devices;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tho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하나 이상의 전지 셀이 적층된 셀 적층체 및 상기 셀 적층체를 수납하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상기 전지 모듈을 수납하는 팩 프레임; 및 상기 모듈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팩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도성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프레임의 하면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셀 적층체가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과 접촉한다.

Description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지 모듈을 구비한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등의 휴대형 기기의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상기와 같은 모바일 기기와 관련된 분야의 기술에 대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또한,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는 화석 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차량 등의 대기 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기 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P-HEV) 등의 동력원으로 이용되고 있는바, 이차 전지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소형 기기들에 이용되는 이차 전지의 경우, 2-3개의 전지 셀들이 배치되나, 자동차 등과 같은 중대형 디바이스에 이용되는 이차 전지의 경우는, 다수의 전지 셀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전지 모듈(Battery module)이 이용된다. 이러한 전지 모듈은 다수의 전지 셀이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셀 적층체를 형성함으로써 용량 및 출력이 향상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전지 모듈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냉각 시스템 등의 각종 제어 및 보호 시스템과 함께 장착되어 전지 팩을 형성할 수 있다.
이차 전지는, 적정 온도보다 높아지는 경우 이차 전지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심한 경우 폭발이나 발화의 위험도 있다. 특히, 다수의 이차 전지, 즉 전지 셀을 구비한 전지 모듈이나 전지 팩은 좁은 공간에서 다수의 전지 셀로부터 나오는 열이 합산되어 온도가 더욱 빠르고 심하게 올라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다수의 전지 셀이 적층된 전지 모듈과 이러한 전지 모듈이 장착된 전지 팩의 경우,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지만, 충전 및 방전 시 전지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전지 셀의 방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지 셀의 열화가 빨라지면서 수명이 짧아지게 되고, 폭발이나 발화의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더욱이, 차량용 배터리 팩에 포함되는 배터리 모듈의 경우, 직사광선에 자주 노출되고, 여름철이나 사막 지역과 같은 고온 조건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전지 모듈이나 전지 팩을 구성하는 경우, 안정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냉각 성능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전지 셀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전지 팩의 냉각 수단으로 방열 패드(Thermal pad)나 방열판(Heat sink) 등이 활용되고 있으나, 전지 셀과 전지 모듈, 전지 모듈과 전지 팩 등으로 이어지는 복잡한 구조로 인해, 에어 갭(Air gap)과 같이 냉각 성능을 방해하는 요인이 존재하여, 효과적인 냉각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전지 팩에 대해서는 소형화나 강성 확보, 용량 증대와 같은 다른 요구도 계속되고 있으므로, 냉각 성능은 높이면서도 이러한 다양한 요구사항을 함께 만족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개발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냉각 성능뿐만 아니라 용량 및 출력이 증대된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은 하나 이상의 전지 셀이 적층된 셀 적층체 및 상기 셀 적층체를 수납하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상기 전지 모듈을 수납하는 팩 프레임; 및 상기 모듈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팩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도성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프레임의 하면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셀 적층체가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과 접촉한다.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은 열전도성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은, 열전도성 수지가 상기 셀 적층체와 접촉한 채 고화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전지 팩은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과 상기 팩 프레임의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는 방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U자형 프레임이고, 상기 U자형 프레임의 하면에 상기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U자형 프레임의 상면에는 커버가 위치하고, 상기 U자형 프레임과 상기 커버가 용접 결합되어 결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듈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모노 프레임이고, 상기 모노 프레임의 하면에 상기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은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팩 프레임은, 상기 전지 모듈들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들의 측면이 상기 격벽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전지 모듈의 측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전지 모듈들은, 그 측면이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 셀은 상기 모듈 프레임의 양 측면과 평행하도록 직립 또는 도립 형태로 적층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 셀 각각이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각각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개방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양 측면과 인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지 모듈의 모듈 프레임에 형성된 전지 셀의 노출 구조를 통해 냉각 방해 요인을 줄여 냉각 성능을 높인 전지 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지 팩 내부에 열 전달 부재를 이중으로 배치할 필요가 없어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그에 대한 품질 검사도 하나로 줄일 수 있어 공정의 간소화 및 공정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전지 팩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소형화에 유리하고, 동일한 크기에도 전지 팩의 용량이나 출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U자형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모노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전지 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기준이 되는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하는 것은 기준이 되는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고, 반드시 중력 반대 방향을 향하여 "위에" 또는 "상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100)은 전지 모듈(200) 및 전지 모듈(200)을 수납하는 팩 프레임(40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6개의 전지 모듈(200)이 수납되어 있으나, 개수에 제한이 없으며,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지 모듈(200)이 팩 프레임(400)에 수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전지 모듈(200)은, 하나 이상의 전지 셀(310)이 적층된 셀 적층체(300) 및 셀 적층체(300)를 수납하는 모듈 프레임(210)을 포함한다. 모듈 프레임(210)의 하면과 팩 프레임(400) 사이에 열전도성 수지층(500)이 위치하고, 모듈 프레임(210)의 하면에 개방된 개방부(240)가 형성되어 셀 적층체(300)가 열전도성 수지층(50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열전도성 수지층(500)과 팩 프레임(400)의 바닥부 사이에 방열기(Heat sink, 600)가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모듈 프레임(210)의 하면에 형성된 개방부(240)에 대해서, 도 3 및 도 4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전지 모듈(200a, 200b)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U자형 프레임(210a)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200a)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모노 프레임(210b)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200b)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 모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지 모듈(200a, 200b)의 하면이 위를 보도록 뒤집어진 모습을 나타낸다.
도 2의 모듈 프레임(210)은 금속 판재로써, U자형 프레임이나 모노 프레임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3의 전지 모듈(200a)은 U자형 프레임이 적용된 것이고, 도 4의 전지 모듈(200b)는 모노 프레임이 적용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지 모듈(200a)은 셀 적층체(300)를 수납하는 U자형 프레임(210a)을 포함할 수 있다. U자형 프레임(210a)은 상면,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형태이고, 개방된 상면에는 커버(2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개방된 전면 및 후면에는 엔드 플레이트(2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앞서 언급한대로, U자형 프레임(210a)의 하면에 개방부(240a)가 형성되어 셀 적층체(300)가 개방부(240a)를 통해 노출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전지 모듈(200b)은 셀 적층체(300)를 수납하는 모노 프레임(210b)을 포함할 수 있다. 모노 프레임(210b)는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형태이고, 개방된 전면 및 후면에는 엔드 플레이트(220)가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노 프레임(210b)의 하면에 개방부(240b)가 형성되어 셀 적층체(300)가 개방부(240b)를 통해 노출된다.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모듈 프레임(210), 즉 U자형 프레임(210a)이나 모노 프레임(210b)의 하면에 형성된 개방부(240, 240a, 240b)를 통해, 셀 적층체(300)가 열전도성 수지층(500)과 접촉한다. 셀 적층체(300)의 전지 셀(310)에서 발생한 열은 열전도성 수지층(500)과 열전도성 수지층(500) 아래에 위치한 방열기(600)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개방부(240, 240a, 240b)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열전도성 수지층(500)과 같은 열 전달 부재를 셀 적층체(300)와 모듈 프레임(210) 사이 및 모듈 프레임(210)과 방열기(600) 사이에 이중으로 배치할 수 밖에 없다. 열 전달을 위해 전지 셀과 전지 모듈, 전지 모듈과 전지 팩 사이의 에어 갭(Air gap)을 모두 제거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개방부(240, 240a, 240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열전도성 수지층(500)을 이중으로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원가 절감이 가능하고, 열 전달 부재의 계면에 대한 품질 검사를 하나로 줄일 수 있어 공정 간소화 및 공정 비용 절감 역시 가능하다.
또한, 열전도성 수지층을 이중 배치한의 경우와 비교해서 전지 팩(100)의 높이가 감소할 수 있다. 보통 전지 팩이 자동차의 바닥에 위치할 경우 높이 방향에 대한 제한이 큰데, 본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100)은 높이에 대한 제한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한정된 공간에서, 열전도성 수지층의 개수가 감소한 만큼 전지 셀(310)의 부피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전지 팩(100)의 용량 및 출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부(240, 240a, 240b)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셀 적층체(300)와 방열기(600) 사이에 이중의 열 전달 부재가 위치하게 되고, 또 이중의 열 전달 부재 사이에 모듈 프레임이 위치하는 것이므로, 전지 셀(310)로부터 발생한 열이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어렵다. 모듈 프레임 자체가 열 전도 특성을 저하시킬 수 있고, 모듈 프레임과 이중의 열 전달 부재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미세한 공기층도 열 전도 특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개방부(240, 240a, 240b)는, 셀 적층체(300)와 방열기(600) 사이의 열 전달 경로를 단일의 열전도성 수지층(500)으로 단순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지 팩(100)의 냉각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방열기(600)의 구성이 없이, 열전도성 수지층(500)이 팩 프레임(400)의 바닥부와 직접 접촉한 경우에도, 이러한 원리는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전지 모듈(200a)에 대한 사시도이다. 다만, 도 3과 달리, 결합된 상태이며, 뒤집어지지 않고 상면이 위를 보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도 5를 도 3과 함께 참고하면, U자형 프레임(210a)의 개방된 상면에 커버(230)가 결합될 수 있고, 커버(230)는 하나의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U자형 프레임(210a)과 커버(230)는 서로 대응하는 모서리 부위들이 접촉된 상태에서,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셀 적층체(300)를 감싸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U자형 프레임(210a)과 커버(230)는 서로 대응하는 모서리 부위에 용접 등의 결합 방법으로 형성된 결합부(CP)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열전도성 수지층(500)은 열전도성 수지(Thermal resin)를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열전도성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Silicone)계 소재, 우레탄(Urethane)계 소재 및 아크릴(Acrylic)계 소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수 있으며, 특히 우레탄계 소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전도성 수지층(500)은 열전도도가 우수한 열전도성 수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셀 적층체(300)와 방열기(600) 사이에서 열 전달량 및 열 전달속도 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열전도성 수지는, 열전도성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포 시에는 액상이나 셀 적층체(300)가 개방부(240, 240a, 240b)를 통해 그 위에 적층된 이후에는 고화되는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열전도성 수지층(500)은 셀 적층체(300)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200, 200a, 200b)을 전지 팩(100) 내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열전도성 수지층(500)은 개방부(240, 240a, 240b)를 통해 셀 적층체(300)에 대한 방열 특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셀 적층체(300)를 효과적으로 고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고정을 위해, 열전도성 수지층(500)은 박리 강도 시험(Peel test)을 실시하였을 때, 400g/cm 이상의 박리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단 강도 시험(Shear strength test)을 실시하였을 때, 1.4Mpa 이상의 접착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다시 참고하면, 전지 모듈(200)을 팩 프레임(400) 내에 고정하기 위해, 전지 모듈(200)의 네 모서리(검은색 화살표)에 후크나 볼트 등의 체결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전지 모듈(200)이 후술하는 디바이스에 적용될 때, 진동이나 충격 등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서의 열전도성 수지층(500)을 통해 전지 모듈(200)을 전지 팩(100) 내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후크 구조나 볼트 등의 체결 구조를 전지 모듈(200)의 네 모서리(검은색 화살표) 중 2곳 또는 1곳에만 위치시킬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체결 구조 없이 열전도성 수지층(500)만으로 전지 모듈(200)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팩 프레임(400)은 전지 모듈(200)들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격벽(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격벽(410)은, 전지 팩(100)이 자동차 등의 디바이스에 적용될 때,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전지 팩(100)을 지지할 수 있고, 또 전지 팩(100) 내에서 전지 모듈(200)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200)들의 측면이 격벽(410)과 밀착되거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으나,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도 2에서처럼 전지 모듈(200)들의 측면이 격벽(410)과 밀착된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지 팩(100a)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전지 팩(100a)이 격벽을 구비하지 않는 팩 프레임(400a)을 포함하여 전지 모듈(200)들의 측면끼리 밀착된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전지 모듈들 중 그 측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전지 모듈(200)들이, 그 측면을 통해 서로 밀착된 구조일 수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전지 팩(100)과 상호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이 적용되어, 전지 모듈(200)의 셀 적층체(300)는, 모듈 프레임(210)의 하면에 형성된 개방부(240)를 통해 열전도성 수지층(500a)과 접합하고, 열전도성 수지층(500a) 아래에는 방열기(600a)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팩 프레임(400a)이 격벽을 구비하지 않으므로, 도 6에서처럼, 측면을 따라 밀착된 전지 모듈(200)들은, 하나의 열전도성 수지층(500a)을 공유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대로, 도 2 및 도 6의 열전도성 수지층(500, 500a)이 셀 적층체(300)나 전지 모듈(200, 200a, 200b)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고정을 위한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 부재를 줄이거나 없앨 수 있다. 따라서, 볼트나 너트가 체결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대신하여, 도 2에서처럼 전지 모듈(200)들이 격벽(410)과 밀착된 구조를 형성하거나, 도 6에서처럼 전지 모듈(200)끼리 서로 밀착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지 모듈(200)이 콤팩트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전지 팩(100, 100a)의 부피 감소 또는 전지 용량 증대로 이어질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고하면, 셀 적층체(300)를 구성하는 전지 셀(310)들이 모듈 프레임(210)의 양 측면과 평행하도록 직립 또는 도립 형태로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전지 셀(310)들 각각이 개방부(240)로 노출되어 열전도성 수지층(50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개방부(240a, 240b)는, 모듈 프레임(210a, 210b)의 전면 및 후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모듈 프레임(210a, 210b)의 하면에서, 개방부(240a, 240b)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모듈 프레임(210a, 210b)의 전면 및 후면 각각과 인접해 있을 수 있다. 개방부(240a, 240b)가 하면의 모든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면, 전지 모듈(200a, 200b)의 제조 공정이나 전지 팩에 대한 조립 공정에서, 셀 적층체(300) 또는 그 일부가 이탈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전지 셀(310)의 적층 형태와 방향을 고려했을 때, 개방부(240a, 240b)가 모듈 프레임(210a, 210b)의 전면 및 후면 각각과 이격된 채 형성됨으로써, 셀 적층체(3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개방부(240a, 240b)는 모듈 프레임(210a, 210b)의 양 측면과 인접해 있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전지 셀(310)의 적층 형태와 방향을 고려했을 때, 개방부(240a, 240b)가 모듈 프레임(210a, 210b)의 양 측면과 인접해 있어야, 셀 적층체(300)의 양 끝을 구성하는 전지 셀을 포함한 모든 전지 셀들이 열전도성 수지층과 접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셀 적층체(300)를 구성하는 전지 셀 모두가 열전도성 수지층과 접촉해야 효과적인 방열이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한 전지 팩은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에는, 전기 자전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등의 운송 수단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이차 전지를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전지 팩
200, 200a, 200b: 전지 모듈
210: 모듈 프레임
300: 셀 적층체
400: 팩 프레임
500: 열전도성 수지층
600: 방열기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전지 셀이 적층된 셀 적층체 및 상기 셀 적층체를 수납하는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지 모듈;
    상기 전지 모듈을 수납하는 팩 프레임; 및
    상기 모듈 프레임의 하면과 상기 팩 프레임 사이에 위치하는 열전도성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모듈 프레임의 하면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상기 셀 적층체가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과 접촉하는 전지 팩.
  2. 제1항에서,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은 열전도성 접착 물질을 포함하는 전지 팩.
  3. 제1항에서,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은, 열전도성 수지가 상기 셀 적층체와 접촉한 채 고화된 형태인 전지 팩.
  4. 제1항에서,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과 상기 팩 프레임의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는 방열기를 더 포함하는 전지 팩.
  5. 제1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U자형 프레임이고,
    상기 U자형 프레임의 하면에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전지 팩.
  6. 제5항에서,
    상기 U자형 프레임의 상면에는 커버가 위치하고,
    상기 U자형 프레임과 상기 커버가 용접 결합되어 결합부를 형성하는 전지 팩.
  7. 제1항에서,
    상기 모듈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모노 프레임이고,
    상기 모노 프레임의 하면에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전지 팩.
  8. 제1항에서,
    상기 전지 모듈은 둘 이상인 전지 팩.
  9. 제8항에서,
    상기 팩 프레임은, 상기 전지 모듈들의 측면 사이에 형성된 격벽을 포함는 전지 팩.
  10. 제9항에서,
    상기 전지 모듈들의 측면이 상기 격벽과 밀착되어 있는 전지 팩.
  11. 제8항에서,
    상기 전지 모듈의 측면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전지 모듈들은, 그 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있는 전지 팩.
  12. 제1항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 셀은 상기 모듈 프레임의 양 측면과 평행하도록 직립 또는 도립 형태로 적층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전지 셀 각각이 상기 열전도성 수지층과 접촉하는 전지 팩.
  13. 제1항에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전면 및 후면 각각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전지 팩.
  14. 제1항에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모듈 프레임의 양 측면과 인접한 전지 팩.
  15. 제1항에 따른 전지 팩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190075829A 2019-06-25 2019-06-25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eased KR20210000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29A KR20210000551A (ko) 2019-06-25 2019-06-25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PCT/KR2020/007106 WO2020262832A1 (ko) 2019-06-25 2020-06-02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US17/435,586 US20220158270A1 (en) 2019-06-25 2020-06-02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EP20833499.5A EP3926733A4 (en) 2019-06-25 2020-06-02 Battery pack and device comprising same
JP2021549531A JP7612272B2 (ja) 2019-06-25 2020-06-02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CN202080032135.XA CN113748560A (zh) 2019-06-25 2020-06-02 电池组和包括该电池组的设备
JP2023118508A JP2023143936A (ja) 2019-06-25 2023-07-20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829A KR20210000551A (ko) 2019-06-25 2019-06-25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51A true KR20210000551A (ko) 2021-01-05

Family

ID=7406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829A Ceased KR20210000551A (ko) 2019-06-25 2019-06-25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58270A1 (ko)
EP (1) EP3926733A4 (ko)
JP (2) JP7612272B2 (ko)
KR (1) KR20210000551A (ko)
CN (1) CN113748560A (ko)
WO (1) WO2020262832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49900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49896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49897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149888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49899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216122A1 (ko) * 2021-04-09 2022-10-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2225271A1 (ko) * 2021-04-23 2022-10-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WO2023249338A1 (ko) * 2022-06-24 2023-12-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WO2024117813A1 (ko) * 2022-12-02 2024-06-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팩
WO2024214991A1 (ko) * 2023-04-13 2024-10-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US12308411B2 (en) 2021-06-16 2025-05-20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ell retention fr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036A1 (ko) * 2021-02-23 2022-09-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144717A (ko) * 2021-04-20 2022-10-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24857B1 (fr) * 2007-12-06 2014-06-06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positif d'alimentation electrique comportant un bac de reception d'unites de stockage a ultra capacite
US20120141851A1 (en) * 2010-12-06 2012-06-07 Suyu Hou System and method for enclosing an energy storage device
WO2012133707A1 (ja) 2011-03-31 2012-10-0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JPWO2012133708A1 (ja) 2011-03-31 2014-07-2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KR101255241B1 (ko) * 2011-04-12 2013-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JP2013012441A (ja) * 2011-06-30 2013-01-17 Sanyo Electric Co Ltd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
KR101447057B1 (ko) * 2012-01-26 2014-10-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셀의 장착 및 방열을 위한 방열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2013175360A (ja) 2012-02-24 2013-09-05 Toshiba Corp 組電池
JP5880847B2 (ja) * 2012-04-25 2016-03-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装置
JP6192329B2 (ja) * 2013-03-27 2017-09-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電池冷却構造
KR101636378B1 (ko) * 2013-08-28 2016-07-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방열 구조를 가지는 단위모듈 제조용 모듈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JP6247608B2 (ja) * 2014-07-23 2017-12-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池パック
US10236134B1 (en) * 2015-02-26 2019-03-19 Amazon Technologies, Inc. Battery thermal shield
KR101865995B1 (ko) * 2015-03-27 2018-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KR102082384B1 (ko) * 2015-08-11 2020-02-27 주식회사 엘지화학 금속 팩 케이스와 열전도 부재를 포함하는 전지팩
US9865906B2 (en) * 2016-04-15 2018-01-09 Lg Chem, Ltd. Battery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battery system
JP6894379B2 (ja) * 2016-09-30 2021-06-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伝導性熱膨張性樹脂組成物、熱伝導性熱膨張性成形体、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KR102086127B1 (ko) * 2016-10-31 2020-03-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의 엣지 면에 직접 냉각 방식이 적용된 배터리 팩
DE102016222264A1 (de) * 2016-11-14 2018-05-30 Robert Bosch Gmbh Batteriemodu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Batterie
EP3352290B1 (en) * 2017-01-19 2024-07-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ziridino-functional polyether thermally-conductive gap filler
KR102256098B1 (ko) * 2017-04-06 2021-06-0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루버 핀 형상의 열전도 매개체를 구비한 배터리 팩
EP3588663B1 (en) * 2017-07-10 2024-12-0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case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DE112018005226T5 (de) 2017-10-06 2020-06-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ärtbare zusammensetzungen, gegenstände daraus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6922683B2 (ja) * 2017-11-17 2021-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及び介在部材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81293A4 (en) * 2021-01-11 2024-03-06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WO2022149896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49897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149888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49899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101311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101313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101306A (ko) * 2021-01-11 2022-07-1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WO2022149900A1 (ko) * 2021-01-11 2022-07-1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EP4170798A4 (en) * 2021-01-11 2024-08-21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JP2023536870A (ja) * 2021-01-11 2023-08-30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れを含む電池パック
JP2023538576A (ja) * 2021-01-11 2023-09-08 エルジー エナジー ソリューション リミテッド 電池モジュール、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2216122A1 (ko) * 2021-04-09 2022-10-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WO2022225271A1 (ko) * 2021-04-23 2022-10-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US12308411B2 (en) 2021-06-16 2025-05-20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cell retention frame
WO2023249338A1 (ko) * 2022-06-24 2023-12-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지 모듈
WO2024117813A1 (ko) * 2022-12-02 2024-06-0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배터리 팩
WO2024214991A1 (ko) * 2023-04-13 2024-10-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1945A (ja) 2022-04-13
EP3926733A4 (en) 2022-03-30
JP2023143936A (ja) 2023-10-06
US20220158270A1 (en) 2022-05-19
CN113748560A (zh) 2021-12-03
EP3926733A1 (en) 2021-12-22
JP7612272B2 (ja) 2025-01-14
WO2020262832A1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612272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US20230011595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7353503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KR20240140037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CN113939947B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CN114730936A (zh) 电池模块和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
KR20210150843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2464824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20025420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JP2024107034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JP7625327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KR20220101310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10133538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US20240258607A1 (en) Battery pack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20376327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JP2023518999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JP7387204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JP2023551225A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含む電池パック
KR20220144715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20101309A (ko) 전지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JP7648286B2 (ja) 電池パックおよびこれを含むデバイス
US20240222769A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210125938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20220146319A (ko)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20250043063A (ko) 전지팩 및 이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10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6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71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123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2207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405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1121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2309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8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307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30315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2I

Patent event date: 202301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9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20705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24101001832

Request date: 20240822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4101001832;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40822

Effective date: 202506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506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40822

Decision date: 20250630

Appeal identifier: 2024101001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