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10000113U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113U
KR20210000113U KR2020190005263U KR20190005263U KR20210000113U KR 20210000113 U KR20210000113 U KR 20210000113U KR 2020190005263 U KR2020190005263 U KR 2020190005263U KR 20190005263 U KR20190005263 U KR 20190005263U KR 20210000113 U KR20210000113 U KR 2021000011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ver
cover plate
connector
holding member
plat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5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4031Y1 (ko
Inventor
퉁 칭 쿠안
Original Assignee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001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1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0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031Y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바디 및 보조 부재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바디의 결합에 의해, 케이블을 수용 공간에 홀딩시킬 수 있으며, 또한 외력이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가해질 경우, 이는 잠금해제를 수행하여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바디 사이에 협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케이블을 래치업시킨 홀딩 부재가 변형되면서 케이블을 해제시킨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고안은 커넥터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으로 와이어를 래치업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있어서, 케이블은 자동 래치업 커넥터를 사용하여 연결되며, 자동 래치업 목적에 달성하고자, 이의 구조는 홀딩 구조를 제공해야 하며, 홀딩 구조는 일정한 공간을 점유하여 자동 래치업 커넥터의 높이가 비교적 높도록 하고, 일부 사용 환경에 대해 사용상에서 불편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본 고안은 기존의 커넥터가 초래하는 결실을 해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제1 목적은 상부 커버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바디 및 보조 부재를 제공하여 자동 볼트 잠금의 목적에 달성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2 목적은 전술한 커넥터에 따라,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하부 플레이트 바디에 접합되고,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후단에 작용력(즉 견인력)을 가하여 케이블의 래치업을 잠금 해제시키는 목적에 달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3 목적은 전술한 커넥터에 따라,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개구를 개방 설치하여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바디가 결합 시, 홀딩 부재(래치업 케이블의 구조에 사용됨)의 일부가 개구로부터 돌출되도록 하여 간섭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박형화의 목적에 달성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 및 다른 목적에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케이블과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커넥터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하부 플레이트 바디 및 보조 부재를 포함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는 표면 및 측변을 구비한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표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부 커버 플레이트의 측변에 연장 암이 형성되며, 연장 암의 외측에 패스닝 부재 및 제1 연결 부재가 형성된다. 하부 플레이트 바디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된다. 하부 플레이트 바디는 단자 홈, 수용 공간, 작동 홈 및 회동 베이스를 형성한다. 단자 홈 및 작동 홈은 수용 공간에 형성된다. 수용 공간에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단자 홈은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고, 작동 홈은 홀딩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회동 베이스는 작동 홈의 측변에 형성되어 제2 연결 부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작동 홈에 설치된 홀딩 부재의 위치는 개구의 위치에 대응되고, 회동 베이스는 연장 암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보조 부재는 하부 플레이트 바디에 설치되어 회동 베이스에 커플링된다. 여기서,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의 결합에 의해, 상부 커버 플레이트가 하부 플레이트 바디에 결합되도록 하고, 패스닝 부재를 통해 회동 베이스에 작용하고 홀딩 부재와 맞물려 케이블을 수용 공간에 홀딩시키며, 또한 외력이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가해질 경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바디 사이에 협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홀딩 부재가 변형되면서 케이블을 해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기술에 비해, 본 고안에 의해 제공된 커넥터는 자동 잠금(AutoLock)형이며, 케이블이 커넥터에 삽입될 경우, 케이블은 자동으로 볼트 잠금되어 보조 부재와 상부 커버의 패스닝 부재에 의해, 자동 볼트 잠금이 보다 더 안정적이도록 한다. 또한, 상부 커버 플레이트를 잡아당겨(즉 케이블이 삽입되지 않은 일측), 케이블이 커넥터와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보조 부재의 상세한 구조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커넥터의 A-A’ 단면 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기능을 충분히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고안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하나” 또는 “한 개”를 사용하여 본문에서의 유닛, 소자 및 부품을 설명한다. 이는 단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고안의 범주에 대해 일반적인 의미를 제공한다. 따라서,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이러한 설명은 하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단수 형태가 복수 형태도 함께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용어 “포함하다”, “포괄하다”, “구비하다”, “함유하다” 또는 다른 임의의 유사한 용어는 비배타적인 포함물을 포함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부품을 포함한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는 본문에 열거된 상기 복수의 부품에 한정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열거되지 않지만 상기 소자, 구조, 제품 또는 장치에 통상적으로 고유된 기타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반대된 명확한 설명이 없는 한, 용어 “또는”은 포괄적인 “또는”을 지칭하고 배타적인 “또는”을 지칭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의 커넥터의 구조 모식도이다. 도 1에서, 커넥터(10)는 케이블(4)과 회로 기판(2)을 연결할 수 있다. 도 1의 상부 도면은 커넥터(10)가 케이블(4)에 래치업된 상태이고, 도 1의 하부 도면은 커넥터(10)가 래치업 케이블(4)로부터 해제된 상태이다.
동시에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 모식도이다. 커넥터(10)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12), 하부 플레이트 바디(14) 및 보조 부재(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의 상부 도면은 상부 커버 플레이트(12)를 나타낸 구조이고, 도 2의 중간 도면은 하부 플레이트 바디(14)를 나타낸 구조이며, 도 2의 하부 도면은 단자(16), 홀딩 부재(18) 및 보조 부재(20) 등을 나타낸 구조이다.
상부 커버 플레이트(12)는 표면과 측변을 구비하며, 측변의 양측변에 인접한 표면에 각각 개구(122)가 형성되고, 이밖에 상부 커버 플레이트(12)의 측변에 연장 암(124)이 형성되고, 연장 암(124)의 외측에 패스닝 부재(126) 및 제1 연결 부재(1242)가 형성된다. 여기서, 패스닝 부재(126)는 범프 또는 볼록점이다. 여기서, 제1 연결 부재(1242)는 연장 암(124)의 관통홀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 바디(14)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12)에 연결된다. 하부 플레이트 바디(14)는 케이블(4)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SP)을 제공한다. 하부 플레이트 바디(14)는 단자 홈(142), 작동 홈(144) 및 회동 베이스(146)를 형성한다. 단자 홈(142) 및 작동 홈(144)은 수용 공간(SP)에 형성된다.
단자 홈(142)은 단자(16)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고, 작동 홈(144)은 홀딩 부재(18)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홀딩 부재(18)의 구조는 도 4의 단면도에 도시된 구조를 참조할 수 있으며, 홀딩 부재(18)는 독립적인 소자일 수 있고 상부 커버 플레이트(12)로부터 연장된 부재일 수도 있다. 여기서, 후자를 예로 설명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회동 베이스(146)는 작동 홈(144)의 측변에 형성되어 제2 연결 부재(1462)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2 연결 부재(1462)는 회동 베이스(146)의 볼록 기둥 또는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회동 베이스(146)는 볼록 기둥을 통해 연장 암(124)의 관통홀에 커플링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의 형태는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즉 제1 연결 부재는 볼록 기둥일 수 있고 제2 연결 부재는 관통홀일 수 있다. 여기서, 작동 홈(144)에 설치된 홀딩 부재(18)의 위치는 개구(122)의 위치에 대응된다. 회동 베이스(146)는 연장 암(124)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이밖에, 작동 홈(144)은 스톱 블록(144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부 커버 플레이트(12)와 하부 플레이트 바디(14)가 조합될 경우, 스톱 블록(1442)은 개구(122)에 근접된다.
보조 부재(20)는 하부 플레이트 바디(14)에 설치되어 회동 베이스(146)에 커플링되며, 여기서 플러그(또는 삽입) 방식으로 회동 베이스(146)를 결합하며, 동시에 도 3의 상부 도면을 참조하면 보조 부재(20)의 상세한 구조이다. 여기서, 보조 부재(20)는 결합부(204) 및 버클부(202)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204)는 버클부(202)에 연결된다. 결합부(204)는 회동 베이스(146)에 접합되어 버클부(202)와 회동 베이스(146)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도록 하며, 상기 간격은 암(124)을 연장할 수 있고, 도 3의 하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의 결합 모식도이며, 제1 연결 부재와 제2 연결 부재를 결합하여 상부 커버 플레이트(12)가 하부 플레이트 바디(14)에 결합되도록 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보조 부재는 하부 플레이트 바디(14)를 회로 기판(2)에 잠금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206)를 더 포함한다. 이밖에, 버클부(202)가 개구일 경우, 패스닝 부재(126)(예를 들어, 범프 또는 볼록점)는 버클부(202)(예를 들어, 개구)를 버클링하여 상부 커버 플레이트(12)와 하부 플레이트 바디(14) 사이의 협각이 0도 또는 0도에 가깝게 유지되도록 한다.
동시에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도 1에 따른 커넥터의 A-A’ 단면 모식도이다. 도 4의 상부 도면의 래치업 모식도에서, 상부 커버 플레이트(12)가 하부 플레이트 바디(14)와 결합될 경우, 패스닝 부재(126)는 회동(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베이스(146)에 버클링되어 상부 커버 플레이트(12)가 하부 플레이트 바디(14)에 안정적으로 버클링되도록 한다. 또한, 동시에 도 4의 하부 도면의 래치업 해제 모식도를 참조한다.
케이블(4)이 수용 공간(SP)에 삽입될 경우, 홀딩 부재(18)는 케이블(4)을 수용 공간(SP)에 홀딩시킬 수 있고, 또한 홀딩 부재(18)는 케이블(4)에 의해 압착되어 홀딩 부재(18)의 일부가 돌출되어 개구(122)로부터 노출되도록 한다. 외력(즉 견인력 또는 풀업)이 상부 커버 플레이트(12)에 가해질 경우, 상부 커버 플레이트(12)와 하부 플레이트 바디(14) 사이에 협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홀딩 부재(18)가 변형되면서 케이블(4)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이미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로 개시되어 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실시예와 등가적인 변화와 치환은 모두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되어야 함을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2: 회로 기판 4: 케이블 10: 커넥터
12: 커버 플레이트 122: 개구 124: 연장 암
1242: 제1 연결 부재 126: 패스닝 부재 14: 하부 플레이트 바디
142: 단자 홈 144: 작동 홈 1442: 스톱 블록
146: 회동 베이스 1462: 제2 연결 부재 16: 단자
18: 홀딩 부재 20: 보조 부재 202: 버클부
204: 결합부 206: 고정부 SP: 수용 공간

Claims (10)

  1. 케이블과 회로 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개구가 형성된 표면과 연장 암이 형성된 측변을 구비하며, 상기 연장 암의 외측에 패스닝 부재 및 제1 연결 부재를 형성하는 상부 커버 플레이트;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단자 홈, 케이블이 삽입되기 위한 수용 공간, 홀딩 부재를 설치하기 위한 작동 홈 및 상기 작동 홈의 측변에 형성되어 제2 연결 부재를 제공하는 회동 베이스를 형성하며, 상기 단자 홈과 상기 작동 홈은 상기 수용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작동 홈에 설치된 상기 홀딩 부재의 위치는 상기 개구의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회동 베이스는 상기 연장 암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바디;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베이스에 커플링되는 보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 부재와 상기 제2 연결 부재의 결합에 의해,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바디와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패스닝 부재를 통해 상기 회동 부재에 작용하고 또한 상기 홀딩 부재와 맞물려 상기 케이블을 상기 수용 공간에 홀딩시키며, 외력이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가해질 경우,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바디 사이에 협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홀딩 부재가 변형되면서 상기 케이블을 해제시키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홀딩 부재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홀딩 부재가 변형될 경우, 상기 홀딩 부재는 상기 개구를 통과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부재는 결합부와 버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버클부에 연결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동 베이스에 접합되어 상기 버클부와 상기 회동 베이스 사이에 간격이 존재함으로써 연장 암을 수용하도록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부재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바디를 상기 회로 기판에 잠금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닝 부재는 범프 또는 볼록점이며, 상기 버클부는 개구이고, 상기 범프 또는 볼록점이 상기 개구에 버클링되어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바디 사이의 협각이 0도 또는 0도에 가깝게 유지되도록 하는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부재는 관통홀이고 상기 제2 연결 부재는 볼록 기둥이며, 상기 볼록 기둥은 상기 관통홀에 커플링되는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의 일단은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상기 홀딩 부재의 타단은 작동 홈에 패스닝되어, 상기 외력이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가해질 경우, 상기 홀딩 부재가 변형이 발생하도록 하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은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에 가해져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바디 사이의 협각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홈은 스톱 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 커버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바디가 조합될 경우, 상기 스톱 블록은 개구에 근접되는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부재는 상기 케이블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홀딩 부재의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개구로부터 노출되도록 하는 커넥터.
KR2020190005263U 2019-07-03 2019-12-26 커넥터 Active KR20049403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8208699 2019-07-03
TW108208699U TWM587383U (zh) 2019-07-03 2019-07-03 連接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113U true KR20210000113U (ko) 2021-01-14
KR200494031Y1 KR200494031Y1 (ko) 2021-07-20

Family

ID=6958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5263U Active KR200494031Y1 (ko) 2019-07-03 2019-12-26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226011U (ko)
KR (1) KR200494031Y1 (ko)
CN (1) CN211428425U (ko)
TW (1) TWM58738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20U (ko) * 2021-03-09 2022-09-16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KR20220002255U (ko) * 2021-03-12 2022-09-20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KR20220002276U (ko) * 2021-03-16 2022-09-23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05623B (zh) * 2019-07-03 2020-09-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TWI720751B (zh) * 2019-12-17 2021-03-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線材轉換器
TWI787619B (zh) * 2020-06-11 2022-12-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自動鎖扣結構的連接器
TWM605670U (zh) * 2020-08-17 2020-12-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自動鎖扣結構的高頻連接器
TWI778540B (zh) * 2021-03-09 2022-09-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超薄型易鎖易解鎖連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650U (ko) * 2011-06-08 2012-12-18 야-핑 린 전기 커넥터
KR101222046B1 (ko) * 2011-07-11 2013-01-14 주식회사 코아티스텍 평면 케이블용 커넥터
KR200469373Y1 (ko) * 2012-05-16 2013-10-08 야-핑 린 전기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650U (ko) * 2011-06-08 2012-12-18 야-핑 린 전기 커넥터
KR101222046B1 (ko) * 2011-07-11 2013-01-14 주식회사 코아티스텍 평면 케이블용 커넥터
KR200469373Y1 (ko) * 2012-05-16 2013-10-08 야-핑 린 전기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20U (ko) * 2021-03-09 2022-09-16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KR20220002255U (ko) * 2021-03-12 2022-09-20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KR20220002276U (ko) * 2021-03-16 2022-09-23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87383U (zh) 2019-12-01
CN211428425U (zh) 2020-09-04
KR200494031Y1 (ko) 2021-07-20
JP3226011U (ja) 2020-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0113U (ko) 커넥터
US7614903B1 (en) Socket for a quick connector
US11075478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cable and circuit board
TWI545851B (zh) 防連接器脫落之裝置
WO2009047744A3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7192307B1 (en) Quick release locking latch for a panel mount connector
KR101632557B1 (ko) 레버 타입 커넥터
EP3155695B1 (en) Cable strain relief
US20050196943A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a mating detecting member call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KR20210000672U (ko) 커넥터
KR200498144Y1 (ko)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TW201715803A (zh) 承載模組和接頭模組
US20100304587A1 (en) Connector cover
US7862368B1 (en) Socket assembly
KR20060040688A (ko) 잠금 요소
US10741949B2 (en)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with support hardware
US12088043B2 (en) Easy lock connector with unlock structure
KR200497318Y1 (ko)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US11509093B2 (en) Connector assembly device having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KR200496183Y1 (ko) 자기 잠금식 커넥터
KR20220002220U (ko)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KR20220002255U (ko) 초박형 간편 잠금 및 잠금 해제 커넥터
KR20220002534U (ko) 잠금 및 잠금 해제 구조를 지닌 커넥터
US20060057862A1 (en) Connecting device
TWI836615B (zh) 線對板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912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2104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7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107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