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5065A - 조립식 청소기 - Google Patents
조립식 청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45065A KR20200145065A KR1020190073494A KR20190073494A KR20200145065A KR 20200145065 A KR20200145065 A KR 20200145065A KR 1020190073494 A KR1020190073494 A KR 1020190073494A KR 20190073494 A KR20190073494 A KR 20190073494A KR 20200145065 A KR20200145065 A KR 2020014506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d
- pipe
- cleaner
- handle
- coup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4—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2—Hose or pipe couplin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2—Handles for hand-supported suction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이 탈착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간단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가 구비된 헤드부 하우징과, 흡입부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헤드부 연결홀을 구비하고 헤드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헤드부 결합부를 갖는 청소기 헤드부와, 내측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 모터 및 청소기 헤드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집진부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제 1 몸체부 결합부가 구비되며, 하단부에 헤드부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부 결합부가 마련되되, 제 2 몸체부 결합부의 내측에 헤드부 연결홀과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몸체부 통로가 형성된 청소기 몸체부와, 상단부에 제 1 파이프 결합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제 1 몸체부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파이프 결합부가 마련되는 연결 파이프와, 하단부에 제 1 파이프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가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소기 몸체부와, 청소기 헤드부와, 손잡이 등의 구성 부품이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조립식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피청소면에 대한 청소 방식에 따라 진공 청소기, 스팀 청소기, 물걸레 청소기 등이 있으며, 복합적인 청소 방식이 채택된 모델도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진공 청소기의 경우, 흡입력을 발생하기 위한 팬 모터가 내장되는 청소기 본체와, 피청소면으로부터 이물질과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청소기 헤드와, 청소기 헤드로부터 흡입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집진 장치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며, 이에 더해 스팀 분사 기능이나, 물걸레 청소 기능이 부가적으로 탑재되기도 한다.
또한, 청소기는 그 모양과 기능에 따라 캐니스터형, 업라이트형, 드럼형, 핸디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캐니스터형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 청소기 헤드, 손잡이, 호스,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며, 방바닥이나 마루바닥을 청소하기에 적합한 청소기이다. 업라이트형 청소기는 카펫 청소에 적합한 것으로, 카펫의 털 속에 있는 먼지를 회전브러쉬가 돌아가면서 청소해줄 수 있다. 드럼형 청소기는 먼지통이 커서 많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는 형태로, 업소나 공장 등에서 많이 활용된다. 핸디형 또는 스틱형 청소기는 사용자가 들고 사용하기 편하도록 개발된 청소기로 무게가 가벼우며, 배터리를 사용하는 무선형이 많다.
청소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피청소부의 구조에 따라 청소기 헤드의 자세를 다양하게 바꾸어야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또한, 피청소부의 구조에 따라 청소에 적합한 청소기가 다르다. 예를 들어, 방바닥이나 마루바닥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청소기 헤드에서 손잡이까지의 거리가 긴 구조의 청소기가 유리하고, 바닥면보다 높은 곳이나 좁은 공간을 청소할 때는 청소기 헤드에서 손잡이까지의 거리가 짧은 구조의 청소기가 유리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그 구조가 간단히 변형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청소기가 출시되고 있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청소기를 개발하려는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흡입 모터 등이 설치되는 청소기 몸체부와, 피청소면을 청소하는 청소기 헤드부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등의 구성 부품이 탈착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간단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는 조립식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보관 및 운반이 쉽고, 부품의 교체가 쉬우며, 부품 교체에 따른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조립식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가 구비된 헤드부 하우징과, 상기 흡입부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헤드부 연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헤드부 결합부를 갖는 청소기 헤드부; 내측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 모터 및 상기 청소기 헤드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집진부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제 1 몸체부 결합부가 구비되며, 하단부에 상기 헤드부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부 결합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 2 몸체부 결합부의 내측에 상기 헤드부 연결홀과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몸체부 통로가 형성된 청소기 몸체부; 상단부에 제 1 파이프 결합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상기 제 1 몸체부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파이프 결합부가 마련되는 연결 파이프; 및 하단부에 상기 제 1 파이프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가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리모콘 버튼 및 상기 리모콘 버튼의 조작에 따라 리모콘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는 리모콘; 및 상기 리모콘의 리모콘 신호에 따라 상기 흡입 모터를 제어하도록 상기 청소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결합부가 상기 제 1 몸체부 결합부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청소기 몸체부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몸체부 결합부는, 내측에 몸체부 삽입홈이 마련된 몸체부 연결관부와, 상기 몸체부 삽입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몸체부 연결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몸체부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파이프 결합부는, 상기 연결 파이프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파이프 삽입홈과, 상기 파이프 삽입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연결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되는 파이프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파이프 결합부는, 내측에 파이프 삽입부 설치홈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 삽입부와, 상기 파이프 삽입부 설치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파이프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파이프 삽입부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결합부는, 내측에 손잡이 삽입부 설치홈이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손잡이 삽입부와, 상기 손잡이 삽입부 설치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부 관통홀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는, 상기 파이프 삽입부 설치홈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이프 고정클립 바디와, 상기 파이프 삽입부 관통홀을 통해 상기 파이프 삽입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고정클립 바디에 연결되는 파이프 고정클립 돌기를 구비하는 파이프 고정클립; 및 상기 손잡이 삽입부 설치홈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손잡이 고정클립 바디와, 상기 손잡이 삽입부 관통홀을 통해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고정클립 바디에 연결되는 손잡이 고정클립 돌기를 구비하는 손잡이 고정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삽입부가 상기 몸체부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 고정클립 돌기가 상기 몸체부 결합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청소기 몸체부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청소기 헤드부는, 헤드부 하우징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걸레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판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보조 흡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 하우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보조 헤드부 하우징과, 상기 보조 흡입부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 헤드부 연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몸체부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헤드부 결합부를 갖는 청소기 보조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부 하우징은, 상기 흡입부가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하부 공기 가이드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공기 가이드와 결합되어 상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헤드부 연결홀 측으로 가이드하는 흡입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부 공기 가이드와, 상기 상부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에 마련되는 상부 하우징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 결합부는, 상기 흡입 유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 관통구에 삽입되어 굽힘 변형될 수 있는 헤드부 연결튜브와, 끝단에 상기 헤드부 연결홀이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 연결튜브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 연결관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 연결관을 다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 연결관은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회전 지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상기 헤드부 연결관의 회전 중심축은 상기 상부 하우징 상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 중심축과 직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는 청소기 몸체부와, 청소기 헤드부와, 손잡이와, 연결 파이프와, 청소기 보조 헤드부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성 부품들이 분리된 상태로 보관 및 운반될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는 일부 구성 부품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구성 부품만 분리되어 수리 또는 교체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나,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고, 부품 교체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몸체부에 청소기 헤드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몸체부에 청소기 헤드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보조 헤드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몸체부에 청소기 헤드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몸체부에 청소기 보조 헤드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몸체부에 청소기 헤드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몸체부에 청소기 헤드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헤드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보조 헤드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몸체부에 청소기 헤드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몸체부에 청소기 보조 헤드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몸체부에 청소기 헤드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의 청소기 몸체부에 청소기 헤드부가 조립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100)는 청소기 몸체부(110)와,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청소기 몸체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헤드부(135)와, 리모콘 기능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청소기 몸체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165)와, 청소기 몸체부(110)와 손잡이(165)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181)와, 청소기 몸체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어부(195)와,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청소기 헤드부(135)와 별도로 청소기 몸체부(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청소기 보조 헤드부(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립식 청소기(100)는 청소기 몸체부(110)와, 청소기 헤드부(135)와, 손잡이(165)와, 연결 파이프(181)와, 청소기 보조 헤드부(200)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하다.
청소기 몸체부(110)는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몸체부(112)와 제 2 몸체부(118)를 포함한다. 제 1 몸체부(112)는 제 1 몸체부 하우징(113)을 구비하고, 제 2 몸체부(118)는 제 1 몸체부 하우징(113)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부 하우징(120)을 구비한다. 제 1 몸체부 하우징(113)과 제 2 몸체부 하우징(120)은 상호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체부 하우징(124)을 형성한다. 제 1 몸체부 하우징(113)의 내측에는 흡입 모터(115)와, 전원부(116)와, 제어부(195)가 설치된다. 흡입 모터(115)는 전원부(116)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하고, 제어부(195)에 의해 제어된다. 제 2 몸체부 하우징(120)의 내측에는 먼지나 이물질을 집진하기 위한 집진부(122)가 설치된다. 흡입 모터(115)가 흡입력을 발생할 때 청소기 헤드부(135) 또는 청소기 보조 헤드부(200)를 통해 피청소면으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이 집진부(122)에 집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몸체부 하우징(113)과 제 2 몸체부 하우징(120)을 분리함으로써, 집진부(122)에 포집된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집진부(122)를 교체할 수 있다.
제 1 몸체부(112)의 끝단에는 손잡이(165) 또는 연결 파이프(181)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몸체부 결합부(126)가 구비되고, 제 2 몸체부(118)의 끝단에는 청소기 헤드부(135)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부 결합부(130)가 구비된다.
제 1 몸체부 결합부(126)는 내측에 몸체부 삽입홈(128)이 마련된 몸체부 연결관부(127)와, 몸체부 삽입홈(128)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몸체부 연결관부(127)의 일측에 형성되는 몸체부 결합홀(129)을 포함한다.
제 2 몸체부 결합부(130)는 내측에 몸체부 통로(132)가 형성된 몸체부 결합관부(131)를 포함한다. 몸체부 통로(132)를 통해 공기 및 먼지가 집진부(122)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2 몸체부 결합부(130)에는 청소기 헤드부(135)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몸체부 단자부(133)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청소기 헤드부(135)는 헤드부 하우징(136)과, 헤드부 하우징(136)의 내측에 설치되는 걸레 회전부(149)와, 청소기 몸체부(11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헤드부 하우징(136)에 결합되는 헤드부 결합부(158)를 포함한다.
헤드부 하우징(136)은 하부 하우징(137)과, 하부 하우징(137)의 상부를 덮도록 하부 하우징(137)과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43)을 포함한다.
하부 하우징(137)은 흡입부(138)와, 하부 공기 가이드(139)와, 하부 하우징 관통홀(140)을 갖는다. 흡입부(138)는 공기와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부 하우징(137)의 일측에 하부 하우징(137)의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부 공기 가이드(139)는 흡입부(138)로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부 하우징(137)의 내측에 구비된다. 또한, 하부 하우징 관통홀(140)은 하부 하우징(137)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도면에는 하부 하우징(137)에 두 개의 하부 하우징 관통홀(140)이 하부 공기 가이드(139)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하부 하우징 관통홀(140)의 개수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37)의 하측에는 스크러버(141)가 설치된다. 스크러버(141)는 청소기 헤드부(135)가 피청소면을 따라 움직일 때 피청소면에 접함으로써 피청소면의 먼지나 이물질을 피청소면에서 긁어내어 흡입부(138) 쪽으로 모아줄 수 있다.
상부 하우징(143)은 하부 하우징(137)의 상측에 결합되어 하부 하우징(137)의 상부를 덮는다. 상부 하우징(143)은 상부 공기 가이드(144)와, 상부 하우징 관통구(145)를 갖는다. 상부 공기 가이드(144)는 하부 공기 가이드(139)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하우징(143)의 내측에 구비된다. 상부 하우징(143)이 하부 하우징(137)에 결합될 때 상부 공기 가이드(144)가 하부 공기 가이드(139)와 결합되며, 하부 공기 가이드(139)와 상부 공기 가이드(144)의 사이에는 흡입 유로(147)가 마련된다. 흡입부(138)로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가 흡입 유로(147)를 따라 헤드부 결합부(158) 측으로 가이드 된다. 상부 하우징 관통구(145)는 상부 하우징(143)을 관통하도록 상부 하우징(143)의 일측에 형성된다.
걸레 회전부(149)는 피청소면에 접하여 회전하면서 피청소면을 걸레질하기 위한 회전 걸레(156)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터(150)와, 모터(15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모터(150)와 결합되는 동력전달부(151)와, 동력전달부(151)를 통해 모터(15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54)과, 회전축(154)과 결합되어 회전축(154)을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판(155)을 포함한다. 회전판(155)에는 회전 걸레(156)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동력전달부(151)는 모터(150)와 결합되는 웜(152)과, 웜(152)과 기어 연결되고 회전축(154)과 결합되어 회전축(15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웜 휠(153)를 포함한다. 모터(150)의 구동 시, 웜(152) 및 웜 휠(153)을 통해 회전축(154)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회전축(154)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 걸레(156)가 결합된 회전판(155)이 회전하게 된다. 회전판(155)은 하부 하우징(137)의 하측에 배치되고 회전축(154)은 하부 하우징(137)의 내측에서 하부 하우징(137)의 하부 하우징 관통홀(140)을 통과하여 회전판(155)과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동력전달부(151)와, 회전축(154)과, 회전판(155)이 두 개씩 구비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이들 구성 부품의 설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헤드부 결합부(158)는 흡입 유로(147)와 연결되는 헤드부 연결튜브(159)와, 헤드부 연결튜브(159)를 내측에 수용하고 헤드부 하우징(136)에 다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 연결관(160)과, 헤드부 연결관(160)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162)를 포함한다.
헤드부 연결튜브(159)는 자유롭게 굽힘 변형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흡입 모터(115)가 작동할 때 흡입 유로(147)를 따라 유동하는 먼지나 이물질이 헤드부 연결튜브(159)를 통과하여 청소기 몸체부(110)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헤드부 연결관(160)은 헤드부 연결튜브(159)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헤드부 연결관(160)은 청소기 몸체부(110)의 제 2 몸체부 결합부(13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헤드부 연결홀(161)을 갖는다. 청소기 몸체부(110)의 몸체부 결합관부(131)가 헤드부 연결홀(161)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청소기 몸체부(110)와 청소기 헤드부(135)가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 연결튜브(159)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먼지가 헤드부 연결관(160)을 통해 청소기 몸체부(110)의 내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헤드부 연결관(160)은 회전 지지부재(162)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지지부재(16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 지지부재(162)는 헤드부 하우징(13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헤드부 연결관(160)을 틸팅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회전 지지부재(162)가 헤드부 하우징(136)에 대해 회전하고, 헤드부 연결관(160)이 회전 지지부재(162)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헤드부 연결관(160)이 다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하우징(143) 상에 위치하는 회전 지지부재(162)의 회전 중심축(C1)과 회전 지지부재(162) 상에 위치하는 헤드부 연결관(160)의 회전 중심축(C2)이 상호 직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청소 중에 손잡이(165)를 잡고 청소기 헤드부(135)에 대한 청소기 몸체부(110)의 기울기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고, 청소기 헤드부(135)를 피청소면 상에서 쉽게 움직일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헤드부 결합부(158)에는 청소기 몸체부(110)의 몸체부 단자부(133)에 대응하는 헤드부 단자부(163)가 구비된다. 청소기 몸체부(110)와 청소기 헤드부(135)가 상호 결합될 때, 몸체부 단자부(133)와 헤드부 단자부(163)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 몸체부(110)에 설치된 전원부(116)의 전류나, 제어부(195)의 제어 신호가 몸체부 단자부(133)와 헤드부 단자부(163)를 통해 걸레 회전부(149)에 전달될 수 있다.
헤드부 결합부(158)를 통해 청소기 몸체부(110)와 청소기 헤드부(135)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청소기 몸체부(110)와 청소기 헤드부(135)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손잡이(165)를 잡고 청소기 헤드부(135)를 피청소면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청소기 몸체부(110)의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는 청소기 몸체부(110)가 상호 분리될 수 있는 제 1 몸체부(112) 및 제 2 몸체부(118)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청소기 몸체부(110)의 구조는 도시된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6)는 교체형 배터리 방식, 충전기 방식, 또는 유선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손잡이(165)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청소기 몸체부(110)에 직접 탈착식으로 결합되거나, 연결 파이프(181)를 통해 청소기 몸체부(110)에 탈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165)의 끝단에는 청소기 몸체부(110)의 제 1 몸체부 결합부(12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손잡이 결합부(166)가 구비된다. 손잡이 결합부(166)는 청소기 몸체부(110)의 몸체부 삽입홈(128)에 삽입될 수 있는 손잡이 삽입부(167)를 포함한다. 손잡이(165)는 손잡이 삽입부(167)가 몸체부 삽입홈(128)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청소기 몸체부(110)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 삽입부(167)의 내측에는 손잡이 삽입부 설치홈(168)이 마련된다. 손잡이 삽입부 설치홈(168)은 손잡이 삽입부(167)의 끝단으로부터 손잡이 삽입부(167)의 외측으로 개방된다. 손잡이 삽입부(167)의 일측에는 손잡이 삽입부 설치홈(168)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는 손잡이 삽입부 관통홀(169)이 형성된다.
손잡이 삽입부 설치홈(168)에는 손잡이 고정클립(171)이 설치된다. 손잡이 고정클립(171)은 탄성 변형 가능한 손잡이 고정클립 바디(172)와, 손잡이 고정클립 바디(172)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는 손잡이 고정클립 돌기(173)를 포함한다. 손잡이 고정클립 바디(172)는 손잡이 삽입부 설치홈(168) 속에 아치형 모양으로 배치된다. 손잡이 고정클립 돌기(173)는 손잡이(165)의 손잡이 삽입부 관통홀(169)을 통해 손잡이(165)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손잡이 고정클립(171)은 손잡이(165)를 청소기 몸체부(110)에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손잡이(165)의 손잡이 삽입부(167)가 청소기 몸체부(110)의 몸체부 삽입홈(128)에 삽입될 때, 손잡이 고정클립(171)의 손잡이 고정클립 돌기(173)가 청소기 몸체부(110)의 몸체부 결합홀(129)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165)가 청소기 몸체부(110)에 안정적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65)가 청소기 몸체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 고정클립 돌기(173)를 눌러 몸체부 결합홀(129)에서 벗어나게 한 후 손잡이(165)를 청소기 몸체부(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손잡이(165)에는 리모콘(175)이 설치된다. 리모콘(175)은 사용자 조작을 위한 복수의 조작 버튼(176)과, 조작 버튼(176)에 의해 작동되어 리모콘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의 리모콘 스위치(177)와, 리모콘 스위치(177)에서 발생하는 리모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 송신부(178)와, 복수의 리모콘 스위치(177) 및 리모콘 신호 송신부(178)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리모콘 배터리(179)를 포함한다. 복수의 조작 버튼(176)은 손잡이(165)의 외측으로 드러나도록 배치된다. 조작 버튼(176)은 누름 버튼 구조나, 터치 버튼 구조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리모콘 스위치(177)는 조작 버튼(176)의 구조에 따라 접점식 구조나, 터치 센서 구조 등 리모콘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리모콘(175)은 흡입 모터(115) 및 걸레 회전부(149)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를 발생하여 무선 방식으로 청소기 몸체부(110)의 리모콘 신호 수신부(미도시)로 송신한다. 사용자는 복수의 조작 버튼(176)을 조작함으로써 흡입 모터(115) 및 걸레 회전부(149)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 파이프(181)는 청소기 몸체부(110)와 손잡이(165)를 연결할 수 있도록 청소기 몸체부(110) 및 손잡이(165)와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 파이프(181)의 일단부에는 손잡이(165)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 1 파이프 결합부(182)가 구비되고, 연결 파이프(181)의 타단부에는 청소기 몸체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제 2 파이프 결합부(185)가 구비된다.
제 1 파이프 결합부(182)는 연결 파이프(181)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파이프 삽입홈(183)과, 파이프 삽입홈(183)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연결 파이프(181)의 일측에 형성되는 파이프 결합홀(184)을 포함한다. 파이프 삽입홈(183)에는 손잡이(165)의 손잡이 삽입부(167)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손잡이(165)의 손잡이 삽입부(167)가 파이프 삽입홈(183)에 삽입될 때, 손잡이(165)에 구비되는 손잡이 고정클립(171)의 손잡이 고정클립 돌기(173)가 파이프 결합홀(184)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165)와 연결 파이프(181)가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2 파이프 결합부(185)는 내측에 파이프 삽입부 설치홈(187)이 마련되는 파이프 삽입부(186)와, 파이프 삽입부 설치홈(187)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파이프 삽입부(186)의 일측에 형성되는 파이프 삽입부 관통홀(188)을 포함한다. 연결 파이프 삽입부 설치홈(187)은 연결 파이프 삽입부(186)의 끝단으로부터 연결 파이프 삽입부(186)의 외측으로 개방된다. 연결 파이프 삽입부(186)는 청소기 몸체부(110)의 몸체부 삽입홈(128)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연결 파이프(181)는 연결 파이프 삽입부(186)가 몸체부 삽입홈(128)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청소기 몸체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 파이프 삽입부 설치홈(187)에는 파이프 고정클립(190)이 설치된다. 파이프 고정클립(190)은 손잡이(165)에 구비되는 손잡이 고정클립(171)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파이프 고정클립(190)은 탄성 변형 가능한 파이프 고정클립 바디(191)와, 파이프 고정클립 바디(191)의 일측에 돌출 구비되는 파이프 고정클립 돌기(192)를 포함한다. 파이프 고정클립 바디(191)는 연결 파이프 삽입부 설치홈(187) 속에 아치형 모양으로 배치된다. 파이프 고정클립 돌기(192)는 연결 파이프(181)의 연결 파이프 삽입부 관통홀(188)을 통해 연결 파이프(181)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파이프 고정클립(190)은 연결 파이프(181)를 청소기 몸체부(110)에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연결 파이프(181)의 연결 파이프 삽입부(186)가 청소기 몸체부(110)의 몸체부 삽입홈(128)에 삽입될 때, 파이프 고정클립(190)의 파이프 고정클립 돌기(192)가 청소기 몸체부(110)의 몸체부 결합홀(129)에 삽입됨으로써 연결 파이프(181)가 청소기 몸체부(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연결 파이프(181)가 청소기 몸체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파이프 고정클립 돌기(192)를 눌러 몸체부 결합홀(129)에서 벗어나게 한 후 연결 파이프(181)를 청소기 몸체부(1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제어부(195)는 청소기 몸체부(110)에 설치되어 흡입 모터(115)와 걸레 회전부(149)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195)는 리모콘(175)의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고, 리모콘 신호에 따라 흡입 모터(115)와 걸레 회전부(149)에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거나, 또 다른 방식으로 흡입 모터(115)와 걸레 회전부(149)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청소기 보조 헤드부(200)는 보조 헤드부 하우징(201)과, 청소기 몸체부(1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보조 헤드부 하우징(201)에 결합되는 보조 헤드부 결합부(205)를 포함한다.
보조 헤드부 하우징(201)의 하측에는 바퀴(202)와, 피청소면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보조 흡입부(203)가 구비된다. 보조 흡입부(20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보조 헤드부 하우징(201)의 내측에 구비되는 흡입 유로(147)를 따라 보조 헤드부 결합부(205)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보조 헤드부 결합부(205)는 보조 헤드부 결합부(205)와, 보조 헤드부 하우징(201)에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헤드부 연결관(207)을 포함한다. 보조 헤드부 결합부(205)는 굽힘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고 흡입 유로(204)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흡입 유로(204)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와 먼지는 보조 헤드부 연결튜브(206)를 통해 보조 헤드부 연결관(207)으로 유동할 수 있다. 보조 헤드부 연결관(207)은 보조 헤드부 연결튜브(206)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조 헤드부 연결관(207)의 끝단에는 청소기 몸체부(110)의 몸체부 결합관부(131)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보조 헤드부 연결홀(208)이 마련된다. 몸체부 결합관부(131)가 보조 헤드부 연결홀(208)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청소기 몸체부(110)와 청소기 보조 헤드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청소기 보조 헤드부(200)는 청소기 헤드부(135)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고, 부피가 작고 가벼워 좁은 피청소면을 청소하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100)는 청소기 몸체부(110)와, 청소기 헤드부(135)와, 손잡이(165)와, 연결 파이프(181)와, 청소기 보조 헤드부(200)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립식 청소기(100)의 구성 부품들이 분리된 상태로 보관 또는 운반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일부 구성 부품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구성 부품만 분리되어 수리 또는 교체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나,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청소기(1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165)를 연결 파이프(181)에 결합하고, 연결 파이프(181)를 청소기 몸체부(110)에 결합함으로써, 조립식 청소기(100)의 길이를 길게 조절하여 조립식 청소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는 연결 파이프(181)를 분리하고 손잡이(165)를 직접 청소기 몸체부(110)에 결합함으로써, 조립식 청소기(100)의 길이를 짧게 조절하여 조립식 청소기(1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청소기 몸체부(110)와, 청소기 헤드부(135)와, 손잡이(165)와, 연결 파이프(181)와, 청소기 보조 헤드부(200) 각각의 구체적인 구조나, 이들 구성 부품들 간의 결합 구조는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조립식 청소기
110 : 청소기 몸체부
112 : 제 1 몸체부 113 : 제 1 몸체부 하우징
115 : 흡입 모터 116 : 전원부
118 : 제 2 몸체부 120 : 제 2 몸체부 하우징
122 : 집진부 126 : 제 1 몸체부 결합부
127 : 몸체부 연결관부 128 : 몸체부 삽입홈
130 : 제 2 몸체부 결합부 131 : 몸체부 결합관부
133 : 몸체부 단자부 135 : 청소기 헤드부
136 : 헤드부 하우징 137 : 하부 하우징
138 : 흡입부 139 : 하부 공기 가이드
141 : 스크러버 143 : 상부 하우징
144 : 상부 공기 가이드 147 : 흡입 유로
149 : 걸레 회전부 150 : 모터
151 : 동력전달부 154 : 회전축
155 : 회전판 156 : 회전 걸레
158 : 헤드부 결합부 159 : 헤드부 연결튜브
160 : 헤드부 연결관 162 : 회전 지지부재
163 : 헤드부 단자부 165 : 손잡이
166 : 손잡이 결합부 167 : 손잡이 삽입부
171 : 손잡이 고정클립 175 : 리모콘
176 : 조작 버튼 177 : 리모콘 스위치
181 : 연결 파이프 182 : 제 1 파이프 결합부
183 : 파이프 삽입홈 185 : 제 2 파이프 결합부
186 : 파이프 삽입부 190 : 파이프 고정클립
195 : 제어부 200 : 청소기 보조 헤드부
201 : 보조 헤드부 하우징 203 : 보조 흡입부
205 : 보조 헤드부 결합부 206 : 보조 헤드부 연결튜브
207 : 보조 헤드부 연결관
112 : 제 1 몸체부 113 : 제 1 몸체부 하우징
115 : 흡입 모터 116 : 전원부
118 : 제 2 몸체부 120 : 제 2 몸체부 하우징
122 : 집진부 126 : 제 1 몸체부 결합부
127 : 몸체부 연결관부 128 : 몸체부 삽입홈
130 : 제 2 몸체부 결합부 131 : 몸체부 결합관부
133 : 몸체부 단자부 135 : 청소기 헤드부
136 : 헤드부 하우징 137 : 하부 하우징
138 : 흡입부 139 : 하부 공기 가이드
141 : 스크러버 143 : 상부 하우징
144 : 상부 공기 가이드 147 : 흡입 유로
149 : 걸레 회전부 150 : 모터
151 : 동력전달부 154 : 회전축
155 : 회전판 156 : 회전 걸레
158 : 헤드부 결합부 159 : 헤드부 연결튜브
160 : 헤드부 연결관 162 : 회전 지지부재
163 : 헤드부 단자부 165 : 손잡이
166 : 손잡이 결합부 167 : 손잡이 삽입부
171 : 손잡이 고정클립 175 : 리모콘
176 : 조작 버튼 177 : 리모콘 스위치
181 : 연결 파이프 182 : 제 1 파이프 결합부
183 : 파이프 삽입홈 185 : 제 2 파이프 결합부
186 : 파이프 삽입부 190 : 파이프 고정클립
195 : 제어부 200 : 청소기 보조 헤드부
201 : 보조 헤드부 하우징 203 : 보조 흡입부
205 : 보조 헤드부 결합부 206 : 보조 헤드부 연결튜브
207 : 보조 헤드부 연결관
Claims (8)
-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가 구비된 헤드부 하우징과, 상기 흡입부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헤드부 연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헤드부 결합부를 갖는 청소기 헤드부;
내측에 흡입력을 발생하는 흡입 모터 및 상기 청소기 헤드부로부터 흡입되는 먼지를 포집하기 위한 집진부가 설치되고, 상단부에 제 1 몸체부 결합부가 구비되며, 하단부에 상기 헤드부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몸체부 결합부가 마련되되, 상기 제 2 몸체부 결합부의 내측에 상기 헤드부 연결홀과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몸체부 통로가 형성된 청소기 몸체부;
상단부에 제 1 파이프 결합부가 구비되고, 하단부에 상기 제 1 몸체부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파이프 결합부가 마련되는 연결 파이프; 및
하단부에 상기 제 1 파이프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 결합부가 구비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청소기.
-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 조작을 위한 리모콘 버튼 및 상기 리모콘 버튼의 조작에 따라 리모콘 신호를 발생하는 리모콘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는 리모콘; 및
상기 리모콘의 리모콘 신호에 따라 상기 흡입 모터를 제어하도록 상기 청소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청소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결합부가 상기 제 1 몸체부 결합부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상기 청소기 몸체부에 직접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청소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부 결합부는, 내측에 몸체부 삽입홈이 마련된 몸체부 연결관부와, 상기 몸체부 삽입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몸체부 연결관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몸체부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파이프 결합부는, 상기 연결 파이프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파이프 삽입홈과, 상기 파이프 삽입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연결 파이프의 일측에 형성되는 파이프 결합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파이프 결합부는, 내측에 파이프 삽입부 설치홈이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파이프 삽입부와, 상기 파이프 삽입부 설치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파이프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파이프 삽입부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결합부는, 내측에 손잡이 삽입부 설치홈이 마련되고 상기 파이프 삽입홈에 삽입될 수 있는 손잡이 삽입부와, 상기 손잡이 삽입부 설치홈과 연결되어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삽입부 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파이프 삽입부 설치홈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이프 고정클립 바디와, 상기 파이프 삽입부 관통홀을 통해 상기 파이프 삽입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 고정클립 바디에 연결되는 파이프 고정클립 돌기를 구비하는 파이프 고정클립; 및
상기 손잡이 삽입부 설치홈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손잡이 고정클립 바디와, 상기 손잡이 삽입부 관통홀을 통해 상기 손잡이 삽입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파이프 결합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고정클립 바디에 연결되는 손잡이 고정클립 돌기를 구비하는 손잡이 고정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청소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 삽입부가 상기 몸체부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 고정클립 돌기가 상기 몸체부 결합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상기 청소기 몸체부에 직접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청소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기 헤드부는, 헤드부 하우징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걸레와,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판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청소기.
- 제 1 항에 있어서,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보조 흡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부 하우징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보조 헤드부 하우징과, 상기 보조 흡입부와 공기 유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 헤드부 연결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몸체부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 헤드부 결합부를 갖는 청소기 보조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청소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 하우징은, 상기 흡입부가 하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하부 공기 가이드와, 상기 하부 하우징의 상부를 덮도록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공기 가이드와 결합되어 상기 흡입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상기 헤드부 연결홀 측으로 가이드하는 흡입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되는 상부 공기 가이드와, 상기 상부 하우징을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에 마련되는 상부 하우징 관통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 결합부는, 상기 흡입 유로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상부 하우징 관통구에 삽입되어 굽힘 변형될 수 있는 헤드부 연결튜브와, 끝단에 상기 헤드부 연결홀이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 연결튜브와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 연결관과, 상기 상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헤드부 연결관을 다방향으로 틸팅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부 연결관은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회전 지지부재 상에 위치하는 상기 헤드부 연결관의 회전 중심축은 상기 상부 하우징 상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 지지부재의 회전 중심축과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청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3494A KR20200145065A (ko) | 2019-06-20 | 2019-06-20 | 조립식 청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3494A KR20200145065A (ko) | 2019-06-20 | 2019-06-20 | 조립식 청소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5065A true KR20200145065A (ko) | 2020-12-30 |
Family
ID=74088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3494A Withdrawn KR20200145065A (ko) | 2019-06-20 | 2019-06-20 | 조립식 청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4506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87106A (ko) * | 2022-12-12 | 2024-06-19 |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 스팀 분사기 겸용 스팀 청소기 |
US12318060B2 (en) | 2021-04-09 | 2025-06-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ean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3615A (ko) | 2016-03-31 | 2018-05-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 |
-
2019
- 2019-06-20 KR KR1020190073494A patent/KR20200145065A/ko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3615A (ko) | 2016-03-31 | 2018-05-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청소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318060B2 (en) | 2021-04-09 | 2025-06-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leaner |
KR20240087106A (ko) * | 2022-12-12 | 2024-06-19 | (주)에버그린엔터프라이즈 | 스팀 분사기 겸용 스팀 청소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60738B2 (ja) | 電気掃除装置 | |
US7594296B2 (en) | Convertible vacuum cleaner | |
KR20210061466A (ko) | 핸드헬드 표면 청소 장치 | |
KR20130005135A (ko) | 업라이트 청소기 | |
KR102376142B1 (ko) | 진공 청소기 | |
KR20190021521A (ko) | 청소기 | |
JP2004313249A (ja) | 電気掃除機 | |
JP6628511B2 (ja) | 電気掃除装置 | |
KR20200145065A (ko) | 조립식 청소기 | |
KR102527189B1 (ko) | 청소기 스테이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과, 청소기 시스템을 이용한 잔여 먼지 제거 방법 | |
CN112956947B (zh) | 清扫工具及无绳型吸尘器 | |
KR102293353B1 (ko) | 손잡이 분리형 청소기 | |
JP2017123922A (ja) | 電気掃除装置 | |
KR102228892B1 (ko) | 진공청소기 | |
KR102037074B1 (ko) | 진공청소기 | |
KR102694203B1 (ko) | 청소기 | |
KR101961664B1 (ko) | 청소기 | |
JP7541391B2 (ja) | 掃除機用本体と掃除機 | |
TWI851357B (zh) | 清掃機及其控制方法 | |
TWI852559B (zh) | 吸塵器 | |
KR20050061709A (ko) | 진공 청소기용 물걸레 청소용구 | |
JP7365853B2 (ja) | 電気掃除機 | |
KR100933190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
KR101199662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
KR101143783B1 (ko)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