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44646A -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646A
KR20200144646A KR1020190072571A KR20190072571A KR20200144646A KR 20200144646 A KR20200144646 A KR 20200144646A KR 1020190072571 A KR1020190072571 A KR 1020190072571A KR 20190072571 A KR20190072571 A KR 20190072571A KR 20200144646 A KR20200144646 A KR 20200144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steam generator
steam
inner space
lower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상
이송익
이재승
양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KR102019007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4646A/ko
Publication of KR20200144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646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06F39/008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부품수 및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생성기는,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며 상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로워 케이스와, 하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스팀 토출 포트가 형성되며 하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되는 수지 재질의 어퍼 커버와, 상기 제1 플랜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와 열융착되어 결합되는 수지 재질의 융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A STEAM GENERATOR AND METHOD FOR MAKING THE STEAM GENERATOR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세먼지 또는 음식물 냄새 등으로 인해 의류의 오염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나, 세탁기를 통해 매일매일 세탁을 실시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더욱이 고급 소재의 의류인 경우, 상기 세탁기를 통한 세탁은 의류를 훼손시키게 되므로 가정에서 일반적인 세탁을 실시할 수는 없다.
따라서, 최근에는 외출 후 입은 겉옷을 의류수용실에 걸어놓은 후, 상기 의류수용실에 수용된 의류를 향해 스팀, 압축공기 및 열풍을 분사함으로서, 상기 의류수용실에 수용된 의류를 살균, 먼지제거 및 건조를 실시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개발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7459호(2018.04.12. 공개일)(이하, '종래 기술 1'이라 함)에는 상기 의류수용실에 수용된 의류를 향해 스팀, 압축공기 및 열풍을 분사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 1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한 케이스와, 의류를 지지 또는 고정하여 상기 케이스 내의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는 의류지지 유닛과, 스팀 및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 유닛과, 상기 케이스 내에서 분사 유닛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과, 상기 분사 유닛으로 공급되는 상기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부와, 상기 분사 유닛으로 공급되는 상기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압축공기 생성부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상기 수용공간에 고온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열풍 순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종래 기술 1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분사 유닛이 상하로 이동가능톡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분사 유닛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의류를 향해 스팀을 분사하여 상기 의류를 살균할 수 있고, 이후에 상기 분사유닛이 상기 의류를 향해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의류에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열풍 순환 유닛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여서 상기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종래 기술 1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포함되는 상기 스팀 생성부는, 물탱크와 호스 또는 관을 통해 연결되는 물 흡입 포트와, 상기 분사유닛과 호스 또는 관을 통해 연결되는 스팀 토출 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물 흡입 포트를 통해 상기 스팀 생성부의 내부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물은 스팀으로 변하게 되며, 이렇게 생성된 스팀은 상기 스팀 토출 포트를 통해 상기 스팀 생성부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2491호(2007.01.24. 공고일)(이하, '종래 기술 2'라 함)에는 '의류처리 장치용 스팀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의류처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 2에 따른 스팀발생기는 상부와 하부가 분리된 커버와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와 케이스 사이에 씰러가 개재되어 구성된다.
상기 커버 및 상기 케이스 각각의 밀착면은 복수개의 나사를 통해 결합되어 있고, 상기 씰러는 상기 커버 및 상기 케이스 각각의 밀착면 사이를 밀폐시켜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케이스 각각의 밀착면 사이를 통해 스팀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 2에 따른 스팀발생기는, 상기 복수개의 나사와 상기 씰러를 필요하게 되어 부품수 및 작업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스팀의 온도에 의해 상기 씰러의 노후화가 진행되어서 상기 커버 및 상기 케이스 각각의 밀착면 사이를 통해 스팀이 누설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7459호(2018.04.12. 공개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72491호(2007.01.24. 공고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부품수 및 작업공수를 줄일 수 있는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스팀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생성기는, 로워 케이스와 어퍼 커버와 융착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로워 케이스에는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로워 케이스는 상기 내부공간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다. 상기 로워 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로워 케이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 커버에는 하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 커버에는 스팀 토출 포트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 커버의 하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 커버는 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제1 플랜지에 배치된다.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제2 플랜지와 열융착되어 결합된다.
상기 융착부재는 금형 내에서 상기 로워 케이스와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착부재는 어퍼부와 로워부와 사이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워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랜지에는 수지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착부재는 수직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지 관통홀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수직부는 상기 어퍼부 및 상기 로워부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생성기는 온도센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로워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면 중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는 상기 로워 케이스의 하면에 프린트된 열선일 수 있다.
상기 어퍼 커버는 제1 계단부와 제2 계단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계단부는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계단부는 상기 제1 계단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계단부는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계단부의 상면은 상기 제1 계단부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팀 토출 포트는 상기 제2 계단부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계단부의 상면에는 물 흡입 포트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생성기는 수위센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제1 계단부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계단부의 상면에는 상기 수위센서가 관통하는 센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은 융착부재 부착 단계와 열융착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융착부재 부착 단계에서는 금형 내에 상기 로워 케이스를 삽입한 후, 상기 금형 내에 용융 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제1 플랜지에 상기 수지가 경화된 상기 융착부재를 부착한다. 상기 열융착 단계에서는 상기 융착부재의 상면에 상기 제2 플랜지의 하면을 맞댄 후 상기 융착부재 및 상기 제2 플랜지를 열융착하여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과 도어와 상기 스팀 생성기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에는 일면이 개구된 의류수용실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의류수용실의 개구된 일면을 개폐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는, 금속 재질의 로워 케이스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제1 플랜지에는 수지 재질의 융착부재가 배치되어 있고, 수지 재질의 어퍼 커버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된 제2 플랜지는 상기 융착부재와 열융착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를 결합하기 위한 부품 및 공정을 줄일 수 있고, 상기 스팀 생성기의 외부로 스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러가 필요치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 플랜지 및 상기 제2 플랜지 사이에 틈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스팀 생성기의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상기 스팀 생성기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가 포함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비닛 및 도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팀 생성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워 케이스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에 따른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에 따른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도는 도 7에 도시된 융착부재 부착 단계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도는 도 7에 도시된 열융착 단계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가 포함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가 포함되는 의류처리장치(1)는, 캐비닛(2)과 도어(3)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 및 도어(3)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캐비닛(2)은 사각형상의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에는 전면이 개구된 의류수용실(4)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3)는 의류수용실(4)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3)는 도면 상 좌측이 캐비닛(2)의 전방좌측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결합된 좌측을 기준으로 회전되면서 의류수용실(4)을 개폐할 수 있다.
캐비닛(2)에는 행거 바(5)가 설치될 수 있다. 행거 바(5)는 의류수용실(4)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행거 바(5)의 좌측단은 의류수용실(4)의 좌측벽에 결합될 수 있고, 행거 바(5)의 우측단은 의류수용실(4)의 우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의류수용실(4)에는 의류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의류는 옷걸이에 걸린 후, 상기 옷걸이의 고리부가 행거 바(5)에 걸릴 수 있다.
캐비닛(2)의 상부에는 제1 기계실(S1)이 형성될 수 있고, 캐비닛(2)의 하부에는 제2 기계실(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계실(S1)은 의류수용실(4)의 상측벽과 캐비닛(2)의 상측벽 사이의 내부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계실(S2)은 의류수용실(4)의 하측벽과 캐비닛(2)의 하측벽 사이의 내부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의류수용실(4)의 상측벽에는 제1 기계실(S1)과 통하는 제1 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의류수용실(4)의 하측벽에는 제2 기계실(S2)과 통하는 제2 연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비닛 및 도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스팀 생성기(100)와, 압축공기 생성기(200)와, 열풍 생성기(300)와, 분사유닛(400)과,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 압축공기 생성기(200) 및 분사유닛(400)은 제1 기계실(S1)에 배치될 수 있다. 열풍 생성기(300)는 제2 기계실(S2)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도어(3)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는 스팀을 생성시켜서 분사유닛(4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는 분사유닛(400)과 제1 호스(6) 또는 제1 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가 생성한 스팀은 제1 호스(6) 또는 상기 제1 관을 통해 분사유닛(4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압축공기 생성기(200)는 압축공기를 생성시켜서 분사유닛(4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압축공기 생성기(200)는 분사유닛(400)과 제2 호스(7) 또는 제2 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압축공기 생성기(200)가 생성한 압축공기는 제2 호스(7) 또는 제2 관을 통해 분사유닛(4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분사유닛(400)에 복수개의 분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분사유닛(400)은 스팀 생성기(100)로부터 제공받은 스팀을 상기 복수개의 분사홀 중 적어도 어느 일부를 통해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분사유닛(400)으로부터 외부로 분사된 스팀은 의류수용실(4)의 상측벽에 형성된 상기 제1 연통홀을 통해, 의류수용실(4)로 분사되거나, 의류수용실(4)에 수용된 의류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분사유닛(400)은 압축공기 생성기(200)로부터 제공받은 압축공기를 상기 복수개의 분사홀 중 적어도 다른 일부를 통해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분사유닛(400)으로부터 외부로 분사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1 연통홀을 통해, 의류수용실(4)로 분사되거나, 의류수용실(4)에 수용된 의류로 분사될 수 있다.
열풍 생성기(300)는 열풍을 생성하여, 의류수용실(4)로 제공하거나, 의류수용실(4)에 수용된 의류로 제공할 수 있다.
열풍 생성기(300)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기구 및 상기 증발기는 냉매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할 수 있고, 상기 응축기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할 수 있으며, 상기 팽창기구는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팽창기구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다.
열풍 생성기(300)는 송풍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응축기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기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이 상기 응축기로 송풍하는 공기는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상기 응축기와 열교환되어 상기 열풍으로 변한 후, 의류수용실(4)의 하측벽에 형성된 상기 제2 연통홀을 통해 의류수용실(4)로 제공되거나, 의류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스팀 생성기(100), 압축공기 생성기(200) 및 열풍 생성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3)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및 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버튼식 입력부 또는 터치식 입력부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입력부에 의류처리장치의 운전의도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에 운전의도를 입력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의류처리장치의 운전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상기 입력부에 상기 운전의도가 입력되면, 스팀 생성기(100), 압축공기 생성기(200) 및 열풍 생성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특정 모드에서 스팀 생성기(100), 압축공기 생성기(200) 및 열풍 생성기(300)를 순서대로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류수용실(4)에 의류를 수용한 후, 상기 입력부에 상기 운전의도를 입력하면, 제어부(500)는 스팀 생성기(1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가 작동되면, 스팀 생성기(1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제1 호스(6) 또는 상기 제1 관을 통해 분사유닛(400)으로 제공될 수 있고, 분사유닛(400)으로 제공된 스팀은 상기 제1 연통홀을 통해 의류수용실(4)에 수용된 의류로 분사될 수 있다. 의류수용실(4)에 수용된 의류는 상기 스팀에 의해 살균될 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500)는 압축공기 생성기(2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압축공기 생성기(200)가 작동되면, 압축공기 생성기(200)에서 생성된 압축공기는 제2 호스(7) 또는 상기 제2 관을 통해 분사유닛(400)을 제공될 수 있고, 분사유닛(400)으로 제공된 압축공기는 상기 제1 연통홀을 통해 의류수용실(4)에 수용된 의류로 분사될 수 있다. 의류수용실(4)에 수용된 의류는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미세먼지 및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후에, 제어부(500)는 열풍 생성기(3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열풍 생성기(300)가 작동되면, 열풍 생성기(300)에서 생성된 열풍은 의류수용실(4)의 하측벽에 형성된 상기 제2 연통홀을 통해 의류수용실(4)에 수용된 의류로 제공될 수 있다. 의류수용실(4)에 수용된 의류는 상기 열풍에 의해 건조될 수 있다.
한편, 스팀 생성기(100)는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누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특별한 구조로 형성된다. 스팀 생성기(1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조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팀 생성기를 나타내는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워 케이스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100)는 물탱크(미도시)와 제3 호스(미도시) 또는 제3 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는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제공받아 제공받은 물을 내부공간에 수용할 수 있다. 스탬 생성기(100)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에는 물 흡입 포트(23)와 스팀 토출 포트(24)가 형성될 수 있다. 물 흡입 포트(23)는 상기 제3 호스 또는 제3 관을 통해 상기 물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스팀 토출 포트(24)는 상기 제1 호스(6) 또는 상기 제1 관을 통해 상기 분사유닛(400)과 연결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의 하면에는 히터(11)가 구비될 수 있다. 히터(11)는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서,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에 수용된 물을 스팀으로 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로부터 상기 제3 호스 또는 제3 관을 통해 물 흡입 포트(23)로 물이 이동된 후,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에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물은 히터(11)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한 후, 스팀 토출 포트(24)를 통해 제1 호스(6) 또는 상기 제1 관으로 이동된 후 분사유닛(40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는 로워 케이스(10)와 어퍼 커버(20)와 융착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워 케이스(10)는 스팀 생성기(100)의 하부를 구성할 수 있고, 어퍼 커버(20)는 스팀 생성기(100)의 상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융착부재(30)는 로워 케이스(10) 및 어퍼 커버(20)를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의 완제품에서는 로워 케이스(10), 어퍼 커버(20) 및 융착부재(30)는 일체로 형성되어 분해가 되지는 않는다. 도 5에서는 융착부재(30)가 어퍼 커버(20)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이해를 위해 분리한 것이다.
로워 케이스(10)에는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로워 케이스(10)의 내부공간은 물 흡입 포트(23)로부터 유입된 물을 저장하는 공간일 수 있다. 로워 케이스(10)는 상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커버(20)에는 하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커버(20)의 내부공간은 스팀 토출 포트(24)로 토출될 스팀이 저장되는 공간일 수 있다. 어퍼 커버(20)는 하면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워 케이스(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로워 케이스(10)는 로워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11)를 구비한다. 히터(11)는 로워 케이스(10)의 하면에 프린트된 열선일 수 있다. 히터(11)는 제어부(500)에 의해 제어되어 전기가 입력되거나 차단될 수 있다. 히터(11)는 전기가 입력되는 경우 발열되어 로워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물을 가열하여서 스팀으로 만들 수 있다. 히터(11)의 열이 로워 케이스(10) 내부에 저장된 물로 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로워 케이스(10)는 열전달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퍼 커버(20)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로워 케이스(10) 내의 물로 전달된 열의 열손실을 줄이기 위해, 어퍼 커버(20)는 로워 케이스(10)보다 열전달이 좋지 않은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퍼 커버(20)가 열전달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히터(11)로부터 로워 케이스(10) 내의 물로 전달된 열이 어퍼 커버(20)를 통해 쉽게 빠져나갈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 커버(20)가 열전달이 좋지 않은 수지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열손실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로워 케이스(10)의 상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15)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커버(20)의 하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25)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5) 및 제2 플랜지(25)는 상하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융착부재(30)는 제1 플랜지(15)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플랜지(25)와 열융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융착부재(30)는 금형 내에서 로워 케이스(10)와 인서트 사출되어 제1 플랜지(1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금형 내에 로워 케이스(10)를 삽입한 후, 상기 금형 내에 용융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서, 상기 수지가 경화된 융착부재(30)를 제1 플랜지(15)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융착부재(30)는 제1 플랜지(15)의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즉, 융착부재(30)는 어퍼부(31)와 로워부(32)와 사이드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부(31)는 제1 플랜지(15)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로워부(32)는 제1 플랜지(15)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이드부(33)는 제1 플랜지(15)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플랜지(15)에는 수지 관통홀(16)이 형성될 수 있다. 융착부재(30)는 수직부(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부(34)는 수지 관통홀(16)을 관통할 수 있다. 수직부(34)는 어퍼부(31) 및 로워부(32)를 연결할 수 있다.
수지 관통홀(16)은 제1 플랜지(15)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부(34)는 복수개의 수지 관통홀(16)마다 형성될 수 있다.
융착부재(30)가 제1 플랜지(15)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일 때, 융착부재(30)는 수직부(34)에 의해 제1 플랜지(15)에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는 온도센서(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40)는 제1 플랜지(15)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40)의 일단은 스크류(45)를 통해 제1 플랜지(15)의 하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40)는 제1 플랜지(15)의 온도를 감지하여 스팀 생성기(100) 내부에 저장된 물 또는 스팀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센서(40)가 감지한 온도값은 제어부(50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온도센서(4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온도값이 제1 설정값 이하이면,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에 스팀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호스(6) 또는 상기 제1 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1 유로개폐밸브(미도시)를 닫고, 스팀이 생성될 수 있도록 히터(11)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개폐밸브가 닫히면, 스팀 생성기(100) 내부의 스팀은 분사유닛(400)으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온도센서(4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온도값이 상기 제1 설정값보다 큰 제2 설정값 이상이면,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에 스팀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유로개폐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개폐밸브를 개방하면, 스팀 생성기(100) 내부의 스팀은 스팀 토출 포트(24)를 통해 제1 호스(6) 또는 상기 제1 관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제1 호스(6) 또는 제1 관으로 이동된 스팀은 분사유닛(400)으로 이동된 후 분사유닛(400)에 형성된 상기 분사홀을 통해 분사유닛(400)의 외부로 분사될 수 있으며, 분사유닛(400)의 외부로 분사된 스팀은 의류수용실(4)의 상측면에 형성된 상기 제1 연통홀을 통해 의류로 분사될 수 있다.
온도센서(40)가 제1 플랜지(15)의 하면에 접촉되어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융착부재(30)의 로워부(32)는 제1 플랜지(15)의 하면 중 온도센서(40)가 설치되는 부분(15A)을 제외한 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퍼 커버(20)는 제1 계단부(21)와 제2 계단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계단부(21)는 제2 플랜지(25)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계단부(22)는 제1 계단부(2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계단부(22)는 제2 플랜지(25)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계단부(21)의 상면은 제2 계단부(22)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계단부(22)의 상면은 제1 계단부(21)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커버(20)의 내부공간은 제1 계단부(21)의 내부공간과 제2 계단부(22)의 내부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계단부(22)의 내부공간이 제1 계단부(21)의 내부공간보다 상측으로 높게 확장될 수 있다.
스팀 토출 포트(24)는 제2 계단부(2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스팀 토출 포트(24)는 제2 계단부(22)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은 물보다 위에 존재하게 되므로, 스팀 토출 포트(24)는, 물이 저장되는 로워 케이스(10)에 형성되지 않고, 어퍼 커버(20)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 토출 포트(24)는 스팀 생성기(100)에서 가장 높은 부분인 제2 계단부(22)의 상면에 형성되어서, 스팀 토출 포트(24)를 통해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의 물은 토출되지 않고 스팀만이 토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계단부(22)의 상면에는 물 흡입 포트(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물 흡입 포트(23)는 제2 계단부(22)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공간에서 물은 스팀보다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물을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는 물 흡입 포트(23)는, 로워 케이스(1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물 흡입 포트(23) 및 스팀 토출 포트(24)가 모두 제2 계단부의 상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물 흡입 포트(23)에 상기 제3 호스 또는 상기 제3 관을 연결하는 작업과, 스팀 토출 포트(24)에 제1 호스(6) 또는 상기 제1 관을 연결하는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다.
스팀 생성기(100)는 수위센서(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센서(50)는 스팀 생성기(10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센서(50)가 감지한 수위값은 제어부(50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수위센서(50)가 감지한 상기 수위값이 제3 설정값보다 작으면, 스팀 생성기(100) 내부의 물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3 호스 또는 상기 제3 관의 유로를 개폐하는 제2 유로개폐밸브(미도시)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개폐밸브를 개방하면,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은 상기 제3 호스 또는 상기 제3 관을 통해 물 흡입 포트(23)로 이동된 후, 물 흡입 포트(23)를 통해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수위센서(50)가 감지한 상기 수위값이 상기 제3 설정값보다 큰 제4 설정값 이상이면, 스팀 생성기(100) 내부의 물이 충만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2 유로개폐밸브를 닫을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개폐밸브가 닫히면, 상기 물탱크 내부의 물은 더 이상은 스팀 생성기(100)로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수위센서(50)는 제1 계단부(2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계단부(21)의 상면에는 수위센서(50)가 관통하는 센서 관통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원판형의 센서설치부재(55)를 통해 제1 계단부(2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센서설치부재(55)는 제1 계단부(21)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수위센서(50)의 상단부는 센서설치부재(55)에 고정될 수 있고, 수위센서(50)의 하단부는 센서 관통홀(26)을 통해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에 따른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은, 융착부재 부착 단계(S10)와, 열융착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에 따른 공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a)도는 도 7에 도시된 융착부재 부착 단계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도는 도 7에 도시된 열융착 단계 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도를 참조하면, 융착부재 부착 단계(S10)에서는 금형 내에 로워 케이스(10)를 삽입한 후, 상기 금형 내에 용융 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 제1 플랜지(15)에 상기 수지가 경화된 융착부재(30)를 부착할 수 있다.
이리하면, 융착부재(30)는 제1 플랜지(15)와 일체로 형성되게 되며, 제1 플랜지(15)의 상면, 하면 및 측면을 감쌀 수 있다. 즉, 융착부재(30)의 어퍼부(31)는 제1 플랜지(15)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융착부재(30)의 로워부(32)는 제1 플랜지(15)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융착부재(30)의 사이드부(33)는 제1 플랜지(15)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b)도를 참조하면, 열융착 단계(S20)에서는 융착부재(30)의 상면에 어퍼 커버(20)의 제2 플랜지(25)의 하면을 맞댄 후 융착부재(30) 및 제2 플랜지(25)를 열융착하여 결합한다.
이리하면, 제2 플랜지(25)는 융착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되게 되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팀 생성기(100)의 제작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팀 생성기(100) 및 스팀 생성기(100)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100)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1)는, 금속 재질의 로워 케이스(10)의 상단 테두리에 형성된 제1 플랜지(15)에는 수지 재질의 융착부재(30)가 배치되어 있고, 수지 재질의 어퍼 커버(20)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된 제2 플랜지(25)는 융착부재(30)와 열융착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제1 플랜지(15) 및 제2 플랜지(25)를 결합하기 위한 부품 및 공정을 줄일 수 있고, 스팀 생성기(100)의 외부로 스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러가 필요치 않는다.
또한, 제1 플랜지(15) 및 제2 플랜지(25) 사이에 틈이 존재하지 않게 되므로, 스팀 생성기(100)의 내부에서 생성된 스팀이 스팀 생성기(100)의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의류처리장치 2 : 캐비닛
3 : 도어 4 : 의류수용실
10 : 로워 케이스 11 : 히터
15 : 제1 플랜지 16 : 수지 관통홀
20 : 어퍼 커버 21 : 제1 계단부
22 : 제2 계단부 23 : 물 흡입 포트
24 : 스팀 토출 포트 25 : 제2 플랜지
26 : 센서 관통홀 30 : 융착부재
31 : 어퍼부 32 : 로워부
33 : 사이드부 34 : 수직부
40 : 온도센서 50 : 수위센서
100 : 스팀 생성기 S10 : 융착부재 부착 단계
S20 : 열융착 단계

Claims (11)

  1.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며, 상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로워 케이스;
    하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스팀 토출 포트가 형성되며, 하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되는 수지 재질의 어퍼 커버; 및
    상기 제1 플랜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와 열융착되어 결합되는 수지 재질의 융착부재;를 포함하는 스팀 생성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재는 금형 내에서 상기 로워 케이스와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제1 플랜지와 일체로 형성되는 스팀 생성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제1 플랜지의 상면에 배치되는 어퍼부와,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면에 배치되는 로워부와,
    상기 제1 플랜지의 측면에 배치되는 사이드부를 포함하는 스팀 생성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에는 수지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융착부재는,
    상기 수지 관통홀을 관통하고, 상기 어퍼부 및 상기 로워부를 연결하는 수직부를 더 포함하는 스팀 생성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워부는 상기 제1 플랜지의 하면 중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배치되는 스팀 생성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로워 케이스의 하면에 프린트된 열선인 스팀 생성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퍼 커버는,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계단부와,
    상기 제1 계단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 계단부의 상면보다 상면이 높게 배치되는 제2 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토출 포트는 상기 제2 계단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스팀 생성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계단부의 상면에 형성된 물 흡입 포트를 더 포함하는 스팀 생성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계단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계단부의 상면에는 상기 수위센서가 관통하는 센서 관통홀이 형성되는 스팀 생성기.
  10.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 내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며, 상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로워 케이스;
    하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스팀 토출 포트가 형성되며, 하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되는 수지 재질의 어퍼 커버;를 포함하는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금형 내에 상기 로워 케이스를 삽입한 후, 상기 금형 내에 용융 상태의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제1 플랜지에 상기 수지가 경화된 융착부재를 부착하는 융착부재 부착 단계; 및
    상기 융착부재의 상면에 상기 제2 플랜지의 하면을 맞댄 후, 상기 융착부재 및 상기 제2 플랜지를 열융착하여 결합하는 열융착 단계;를 포함하는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
  11. 일면이 개구된 의류수용실이 형성된 캐비닛;
    상기 의류수용실의 개구된 일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의류수용실로 공급되는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 생성기는,
    상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며, 상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1 플랜지가 형성되는 금속 재질의 로워 케이스;
    하면이 개구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스팀 토출 포트가 형성되며, 하단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으로 돌출된 제2 플랜지가 형성되는 수지 재질의 어퍼 커버; 및
    상기 제1 플랜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플랜지와 열융착되어 결합되는 수지 재질의 융착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90072571A 2019-06-19 2019-06-19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Withdrawn KR20200144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71A KR20200144646A (ko) 2019-06-19 2019-06-19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571A KR20200144646A (ko) 2019-06-19 2019-06-19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646A true KR20200144646A (ko) 2020-12-30

Family

ID=7408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571A Withdrawn KR20200144646A (ko) 2019-06-19 2019-06-19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446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795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스팀발생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491B1 (ko) 2006-04-1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 장치용 스팀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의류처리 장치
KR20180037459A (ko) 2016-10-04 2018-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491B1 (ko) 2006-04-13 2007-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 장치용 스팀발생기와 이를 이용한 의류처리 장치
KR20180037459A (ko) 2016-10-04 2018-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2795A (ko) * 2021-05-10 2022-11-17 강희찬 스팀발생부를 포함하는 걸이형 의류관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1565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US8176755B2 (en) Heating part and laundry tre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8595955B2 (en) Laundry dryer
US7614106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438755B2 (en) Laundry machine
EP214599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fragrance spray for clothes dryer
US20080053166A1 (en) Auxiliary dryer and complex laundry machine including the same
KR101597104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US8046854B2 (en) Washing machine
AU2009202816A1 (en) Clothes dryer having fragrance supplying module
KR20160075157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144646A (ko) 스팀 생성기 및 스팀 생성기의 제작방법과 스팀 생성기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110534B1 (ko) 의류처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180133365A (ko) 의류처리장치
US20250207317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144361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8155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9803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33368A (ko) 의류처리장치
KR100845844B1 (ko) 리프레쉬 장치
KR101569025B1 (ko) 힌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110103135A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장치
JP2010246709A (ja) 洗濯乾燥機
KR101202748B1 (ko) 드럼세탁기의 거품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