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44561A - 폴리올 블렌드 및 개선된 저온 r-값을 갖는 경질 폼 - Google Patents

폴리올 블렌드 및 개선된 저온 r-값을 갖는 경질 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4561A
KR20200144561A KR1020207032349A KR20207032349A KR20200144561A KR 20200144561 A KR20200144561 A KR 20200144561A KR 1020207032349 A KR1020207032349 A KR 1020207032349A KR 20207032349 A KR20207032349 A KR 20207032349A KR 20200144561 A KR20200144561 A KR 20200144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acid
blend
aromatic polyester
foam
polyester poly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2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776467B1 (ko
Inventor
워렌 에이 카플란
젠후아 쿠이
사라 월렉
Original Assignee
스테판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테판 컴파니 filed Critical 스테판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200144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76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764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6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 C08G18/6603Compounds of groups C08G18/42, C08G18/48, or C08G18/5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32 or polyamines of C08G18/3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6Hydroxylated esters of higher fatty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18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42 with compounds of group C08G18/48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5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 C08G18/420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 C08G18/421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yclic groups containing aromatic groups derived from aromatic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63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carboxylic acid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8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modified by higher fatty oils or their acids or by resin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5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 C08G18/766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two or more aromatic rings containing alkylene polyphen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2Compounds containing oxygen but no halogen atom
    • C08G2101/0025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4Saturated hydrocarbons, e.g. butane; Unspecified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18Binary blends of expanding agents
    • C08J2203/182Binary blends of expanding agents of physical blowing agents, e.g. acetone and but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C08J2205/10Rigid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1 내지 10 wt.%의 지방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블렌드가 개시된다. 상기 지방산 유도체는 C8 내지 C18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C8 내지 C18 지방산 아미드이다. 또한, 물, 촉매, 폼-안정화 계면활성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발포제,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지방산 유도체 블렌드의 반응 산물을 포함하는 경질 PU 또는 PU-PIR 폼이 개시된다. 놀랍게도, 펜탄 발포제에 기반한 경질 폼의 저온 R 값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소량의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지방산 유도체의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75oF 및 40oF에서 측정된 폼의 초기 R 값 간의 차이는 지방산 유도체의 부재 하에 제조된 유사한 폼 대비 5% 이상 더 크다.

Description

폴리올 블렌드 및 개선된 저온 R-값을 갖는 경질 폼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블렌드 및 그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경질 폼(rigid foam)에 관한 것이다.
경질 폴리우레탄 (PU) 또는 폴리우레탄-변형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PU-PIR) 스프레이 폼 및 폼 보드(foam board)가 (특히) 지붕, 벽, 파이프, 및 가전제품을 단열시키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단열(insulation) 성능의 하나의 척도는 "R-값(R-value)"이고, 이는 단열 물질이 열 흐름을 저항하는 능력과 관련되며, 더 높은 값은 더 큰 단열력(insulating power)을 나타낸다. PU 또는 PU-PIR 폼의 R-값은 상승된 온도 구배의 평균 온도가 저하되면 개선되어야 한다. 역사적으로, 이는 CFC, HCFC, 등과 같은 이전-세대 발포제(blowing agent)에 적용되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펜탄 이성질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발표된 PU-PIR 폼은 완전하게 이 경향을 따르지는 않는다. 실제로, 평균 온도가 75oF에서 40oF로 떨어질 경우, 감소된 R-값이 종종 관찰된다.
지방산 유도체, 예를 들면, 지방산 에스테르 및 지방산 아미드는 지방과 오일로부터 수득된다. 그들은 통상적으로 용매, 디터전트(detergent), 연료 성분, 및 개인위생 용품(personal care applications)의 성분으로서 사용된다. 지방산 유도체는 종종 우레탄 적용을 위한 폴리올을 제조하기 위해 소수성 반응물로 사용되었다(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608,432호; 제4,644,048호; 및 제5,922,779호 참조). 그러나, 지방산 유도체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단순한 블렌드가 경질 PU 또는 PU-PIR 폼의 제조에서 사용된 적은 분명히 없었다.
오존 고갈 및 지구 온난화(global warming) 문제와 관련된 환경 규제가 경질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 산업에서 사용되는 발포제의 철저한 평가를 유발했다. 할로겐화 발포제(HCFC, HFC, HFO, 등)는 저온 및 고온에서 효과적으로 단열하나, 이들은 저-비점 탄화수소 발포제(low-boiling hydrocarbon blowing agent)와 비교하면 비싼 경향이 있거나 또는 다른 단점들을 갖는다.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단열 보드 산업 내에서 최근 10년 동안 펜탄이 선호되는 발포제가 되었다. 경질 PU-PIR 폼을 위한 발포제로서 펜탄 이성질체의 단점은 저온에서 단열 성능의 저하이다. 이상적으로, PU-PIR 폼은 주간 및 야간 온도 변화에 관계없이, 온대 및 냉대 기후 모두에서 일관되고 탁월한 단열 성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산업은 보다 낮은 온도에서 개선된 단열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 현재의 펜탄-발포 경질 폼을 변형하는 방법으로부터 유익을 얻을 것이다.
발명의 요약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지방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블렌드(blend)에 관한 것이다. 상기 블렌드는 90 내지 99 중량%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1 내지 10 중량%의 C8 내지 C18 지방산 에스테르 및 C8 내지 C18 지방산 아미드로부터 선택된 지방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150 내지 400 mg KOH/g 범위 내의 수산기가(hydroxyl number)를 갖는다.
본 발명은 물, 촉매, 폼-안정화 계면활성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발포제,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지방산 유도체 블렌드의 반응 산물을 포함하는 경질 PU 또는 PU-PIR 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발포제는 n-펜탄, 이소펜탄, 시클로펜탄, 또는 그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자들은 놀랍게도, 경질 폼, 특히, 펜탄-발포 폼의 저온 R-값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소량의 용이하게 입수가능한 지방산 유도체의 블렌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크게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부 양태에서, 40oF에서 특정된 폼의 초기 R-값이 75oF에서 측정된 R-값에 도달하거나 그를 초과한다.
다른 양태에서, 75oF 및 40oF에서 측정된 폼의 초기 R-값 간의 차이는 지방산 유도체의 부재 하에 제조된 유사한 폼의 차이보다 5% 이상 크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A.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블렌드
일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지방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블렌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블렌드(blend)"는 화합물의 비반응 혼합물(unreacted mixture)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블렌드는 맑고(clean) 균일하다.
1.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올 블렌드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한다. 적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잘 알려져 있고, 다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들의 유도체, 특히, 하나 이상의 프탈레이트-기반 화합물 또는 조성물(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DMT bottom, 무수 프탈산, 이소프탈산, 등) 및 하나 이상의 글리콜(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톨,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선택적으로 일부 지방족 디카르복시산(예를 들면, 아디프산, 숙신산) 함량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무수 프탈산과 디에틸렌 글리콜로부터의 반복 단위(recurring unit)를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스테판 컴파니(Stepan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STEPANPOL® 마크의 제품, 구체적으로, STEPANPOL® PS-시리즈의 제품, 예를 들면, STEPANPOL® PS-1812, STEPANPOL® PS-1912, STEPANPOL® PS-1952, STEPANPOL® PS-2002, STEPANPOL® PS-2080, STEPANPOL® PS-2352, STEPANPOL® PS-2412, STEPANPOL® PS-2520, STEPANPOL® PS-2602, STEPANPOL® PS-3021, STEPANPOL® PS-3422, STEPANPOL® PS-3524, 등을 포함한다. 적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또한 Huntsman (TEROL® 폴리올) 및 INVISTA (TERATE® 폴리올)로부터 입수가능하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ASTM E-222에 의해 측정된, 150 내지 400 mg KOH/g, 160 내지 350 mg KOH/g, 또는 일부 양태에서, 200 내지 300 mg KOH/g, 또는 230 내지 250 mg KOH/g 범위의 수산기가(hydroxyl number)를 갖는다. 일부 양태에서, 폴리올은 280 내지 1100 g/mol, 또는 300 내지 700 g/mol 범위의 수-평균 분자량(number-average molecular weight)을 갖는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바람직하게는 5 mg KOH/g 미만, 또는 2 mg KOH/g 미만, 또는 1 mg KOH/g 미만의 산가(acid value)를 갖는다. 폴리올은 25℃에서 25,000 cP 미만, 25℃에서 10,000 cP 미만, 또는 25℃에서 5,000 cP 미만의 점도를 갖는다. 일부 양태에서, 점도는 25℃에서100 cP 내지 10,000 cP, 또는 25℃에서 500 cP 내지 5,000 cP 범위이다.
일부 양태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지방산 유도체 블렌드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양 기준 0.5 내지 15 wt.%,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wt.%의 비이온성 알콕시화 계면활성제(nonionic alkoxylated surfactant)를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에서, 계면활성제는 블렌드 성분으로 포함된다. 일부 경우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것은 B-사이드 성분(B-side component)의 투명하고, 균일한 혼합물(clear, homogenous mixture)을 확보하는 것에 기여한다. 적합한 비이온성 알콕시화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알콕시화 알킬페놀 및 지방 알코올 알콕시화물(fatty alcohol alkoxylates), 특히, 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 및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를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비이온성 알콕시화 계면활성제가 미국특허 제5,922,779호에 기재되고, 그의 교시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일부 양태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양 기준 0.1 내지 20 wt.%,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wt.%의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은 소수성 물질(hydrophobe)로 부분적으로 트랜스에스테르화된다(미국특허 제4,608,432호; 제4,644,027호; 제4,644,048호; 제4,722,803호; 및 제5,922,779호 참조, 이들의 교시는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러한 양태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의 유도체, 하나 이상의 글리콜, 및 소수성 물질의 반응 산물이다. 이러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집합적으로 "자가-상용화 폴리올(self-compatibilizing polyol)"로 지칭된다. 소수성 물질은 경질 폼 제형의 "B-사이드" 성분들 -특히,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지방산 유도체, 기타 폴리올, 물, 계면활성제, 촉매, 난연제(fire retardant), 및 발포제-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조합 전에 합쳐지고 혼합되는 경우 균일한 혼합물을 확보하는데 기여한다.
적절한 부분 트랜스에스테르화 소수성 물질(partially transesterified hydrophobes)은 하나 이상의 실질적인 비극성 모이어티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불수용성이며,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카르복시산기, 카르복실 에스테르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한다. 적합한 소수성 물질은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트리글리세리드(예를 들면, 지방 및 천연 오일), 지방 알코올, 알킬페놀, 등을 포함한다. 지방산은 예를 들면,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올레산, 리시놀레산,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지방산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fatty methyl esters), 예를 들면, 메틸 라우레이트, 메틸 팔미테이트, 메틸 올리에이트, 등을 포함한다. 지방 알코올은 예를 들면, 데실 알코올, 올레일 알코올, 도데실 알코올, 트리데실 알코올 등을 포함한다. 천연 오일은 예를 들면,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옥수수유, 올리브유, 팜유, 톨유(tall oil), 우지(tallow), 등을 포함한다. 알킬페놀은 예를 들면, 옥틸페놀, 노닐페놀, 데실페놀, 도데실페놀, 등을 포함한다.
자가-상용화 폴리올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것인지 여부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유형(nature), 지방산 유도체의 유형, 이들의 상대적 비율, 발포제의 유형 및 양, 및 당업자의 재량 내에 속하는 기타 인자들을 포함한 다수의 인자들에 의존한다.
다른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블렌드에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더 많은 예를 위해, 그의 교시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미국특허 제6,359,022호, 제5,922,779호, 제4,608,432호, 제4,644,048호, 및 제4,722,803호를 참조한다.
일부 양태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함께 다른 폴리올 종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는 티오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폴리아세탈, 및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aliphatic polycarbonates containing hydroxyl groups); 아민-종결 폴리에테르(amine-terminated polyethers); 아민-개시 폴리올(amine-initiated polyols); 폴리에테르 폴리올; 만니히 폴리올(Mannich polyols); 비-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그래프트 분산 폴리올(graft dispersion polyols);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2. 지방산 유도체
폴리올 블렌드는 지방산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블렌드를 위한 적합한 지방산 유도체는 C8 내지 C18 지방산의 에스테르("지방산 에스테르(fatty esters)") 및 C8 내지 C18 지방산의 아미드 ("지방산 아미드(fatty amides)")를 포함한다. 지방산 에스테르와 지방산 아미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지방산 에스테르와 지방산 아미드가 잘 알려져 있다. 그들은 공지된 공정에 의해 천연 지방 및 오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다수가 스테판 컴파니 및 기타 공급업체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fatty alkyl esters), 구체적으로, C8 내지 C18 지방산과 C1 내지 C6 알코올로부터의 지방산 에스테르, 및 보다 구체적으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가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고, 일부 양태에서 바람직하다. 예는 메틸 소이에이트(methyl soyates), 메틸 올리에이트(oleates), 메틸 리시놀리에이트(methyl ricinoleates) (피마자유 유래), 메틸 팔미테이트, 메틸 미리스테이트, 메틸 라우레이트, 에틸 소이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C8 내지 C18 지방산과 당-기반 알코올로부터의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는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수크로오스 모노올리에이트, 수크로오스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미리스테이트, 등을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STEPOSOL® 마크 하에 입수가능한 에스테르, 예를 들면, STEPOSOL® C-25 (메틸 카프레이트/메틸 카프릴레이트 혼합물, C8-C10), STEPOSOL® C-42 (메틸 라우레이트/메틸 미리스테이트 혼합물, C12-C14), STEPOSOL® C-48 (메틸 라우레이트, C12), 및 STEPOSOL® C-65 (메틸 팔미테이트/메틸 스테아레이트/메틸 올리에이트 혼합물, C16-C18)를 포함한다.
적합한 C8 내지 C18 지방산 에스테르는 또한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제조된 디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디에스테르에서, 중심 PEG 부분은 200 내지 2,000 g/mol 또는 250 내지 1,000 g/mol 범위 내의 분자량을 갖는다. PEG 디에스테르는 상응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C8 내지 C18 지방산 (또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한, 적합한 지방산 유도체)으로부터 잘-알려진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합성된다. 예는 PEG-400 디올리에이트, PEG-600 디올리에이트, PEG-400 디리시놀리에이트, PEG-400 디이소스테아레이트, PEG-400 디라우레이트, PEG-400 디소이에이트(disoyates), PEG-600 디라우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일부 PEG 디에스테르는 Oleon (RADIASURFTM 상표), Hallstar (HALLSTAR® 마크), 및 기타 공급업체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적합한 지방산 아미드는 암모니아 또는 아민, 특히 2차 아민, 예를 들면, 디메틸아민 또는 디에틸아민과 C8 내지 C18 지방산 (또는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한, 적합한 지방산 유도체)와의 명목(nominally) 반응 산물이다. 상기 아민은 바람직하게는 C1-C10 알킬기를 갖는다. 일부 양태에서, 지방산 아미드는 C8 내지 C18 지방산의 N,N-디알킬아미드,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아미드이다. 예는 N,N-디메틸 라우르아미드, N,N-디에틸 라우르아미드, N,N-디메틸 미리스트아미드, N,N-디메틸 코크아미드, N,N-디메틸 팔미트아미드, 등을 포함한다.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지방산 아미드는 예를 들면, 스테판으로부터 입수가능한 HALLCOMID® 마크의 아미드, 예를 들면, HALLCOMID® M8-10, HALLCOMID® M10, 및 HALLCOMID® M12-14를 포함한다. 지방산 아미드는 또한 Kao Chemicals, Croda, 및 기타 공급업체로부터 입수가능하다.
지방산 유도체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블렌드의 양 기준으로 1 내지 10 wt.% 범위 내의 양으로 사용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지방산 유도체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블렌드의 양 기준으로 2 내지 8 wt.% 또는 2.5 내지 7.5 wt.% 범위 내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블렌드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과 지방산 유도체를 임의의 순서로 및 임의의 바람직한 수단을 사용하여 혼합하는 것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올과 지방산 유도체를 단순히 조합하고 균질한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20℃ 내지 65℃에서 혼합한다. 비이온성 알콕시화 계면활성제의 포함이 우수한 균질성을 달성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B. 경질 폼 제형(rigid foam formulations)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블렌드는 경질 폴리우레탄 (PU) 및 폴리우레탄-변형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PU-PIR) 폼의 제조를 위해 유용하다. 상기 폼은 물, 촉매, 폼-안정화 계면활성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발포제, 및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지방산 유도체 블렌드의 반응 산물이다.
1.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경질 PU 및 PU-PIR 폼은 반응물로서 물을 포함한다. 사용되는 물의 양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양, 원하는 인덱스(index),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유형 및 양, 지방산 유도체의 유형 및 양, 사용되는 특정한 촉매, 계면활성제 및 발포제, 및 기타 인자를 포함한 여러 인자들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물은 경질 폼 제형 중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양 기준 0.1 내지 3 wt.%, 0.2 내지 1 wt.%, 또는 0.3 내지 0.7 wt.% 범위 내의 양으로 사용된다.
2. 촉매
사용하기에 적합한 촉매는 이소시아네이트와 물의 반응을 촉매하는 화합물 ("발포 촉매(blowing catalyst)") 및 우레탄, 우레아, 또는 이소시아누레이트 결합의 형성을 촉매하는 화합물 ("PU 촉매", "PIR 촉매", 또는 "삼량화 촉매(trimerization catalyst)")을 포함한다.
아민 촉매는 일반적으로 3차 아민 또는 알칸올아민, 및 희석제, 통상적으로 디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과 그의 혼합물이다. 예는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벤질디메틸아민,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N,N',N',N"-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디에탄올아민, N-에틸모르폴린, N,N,N'N'-테트라메틸부탄디아민, 1,4-디아자[2.2.2]비시클로옥탄, 등, 및 그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는 POLYCAT® 5 또는 POLYCAT® 8 (Evonik) 및 NIAX® A-1 또는 NIAX® A-99 (Momentive)를 포함한다.
기타 촉매는 카르복실레이트 (예를 들면, 포타슘 아세테이트, 포타슘 옥토에이트), 유기주석(organotin) 화합물 (예를 들면,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옥트산 제1주석(stannous octoate)), 4차 암모늄 화합물 (예를 들면, N-(2-히드록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등, 및 그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촉매는 Evonik (TEGOAMIN® 아민 촉매, KOSMOS® 금속 촉매, DABCO® TMR 촉매, DABCO® K-15 촉매, 및 POLYCAT® 촉매), Huntsman (JEFFCAT® 촉매), King Industries (K-KAT® 촉매), Momentive (NIAX® 촉매), Galata Chemicals (FOMREZ® 유기주석 촉매), 등으로부터 입수가능하다.
3. 폼-안정화 계면활성제(foam-stabilizing surfactant)
PU 및 PU-PIR 폼의 제조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폼-안정화 계면활성제가 잘 알려져 있다. 예는 Evonik, Dow Chemical, Siltech,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등으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제품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적합한 폼-안정화 계면활성제는 TEGOSTAB® B 실리콘 계면활성제 (Evonik), SILSTAB® 실리콘 계면활성제 (Siltech), VORASURFTM 계면활성제 (Dow), NIAX® 계면활성제 (Momentive) 등을 포함한다. 다수의 적합한 폼-안정화 계면활성제는 폴리실록산 또는 기타 실리콘-기반 계면활성제이다.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는 폐쇄형-셀 경질 폼(closed-cell rigid foam)의 제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어야 한다.
4. 발포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발포제는 잘 알려져 있고, 지방족 또는 지환족(cycloaliphatic) C4-C6 탄화수소, 물, 모노- 및 폴리카르복시산 및 그들의 염, 삼차 알코올, 클로로플루오로카본 (CFCs), 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HCFCs), 할로겐화 탄화수소, 히드로플루오로올레핀 (HFOs), 등 및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발포제의 추가적인 예를 위해, 그의 교시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 미국특허 제6,359,022호를 참조한다.
펜탄 발포제, 즉, n-펜탄, 이소펜탄, 시클로펜탄, 및 그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실제로, 본 발명자들은 지방산 유도체의 포함이 저온 R-값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 광범위한 절연 능력(broad range insulation capability)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저온 R-값의 측면에서, 시클로펜탄이 보다 높은 값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C5 발포제 중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시클로펜탄이 n-페탄 또는 이소펜탄보다 더 비쌀 수 있고, 폼의 치수 안정성(dimensional stability)에 불리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어서, 비용과 성능에서 절충(trade-off)이 있을 수 있다. 사용을 위해 바람직한 특정한 C5 발포제 (또는 조합) 및 양은 총 비용, 원하는 폼 밀도, 폼의 특성, 가공 고려사항(processing considerations), 및 당업자의 재량 내에 속하는 기타 인자들을 포함한, 다수의 인자들에 의존적일 것이다.
5.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잘 알려져 있고, Dow Chemical (PAPITM, ISONATE®, 및 VORONATETM 상표), Evonik (VESTANAT®), BASF (LUPRANATE®), Covestro (MONDUR® and DESMODUR®), Huntsman (RUBINATE®), 및 기타 폴리우레탄 중간체의 공급업체들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사용하기에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2.0 내지 3.0 범위의 평균 NCO 관능기 수를 갖는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일 수 있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면,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 또는 폴리머성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diisocyanates)(p-MDI), 등을 포함한다.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예를 들면,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 수소화 MDI,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C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트리메틸 또는 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TMXDI), 등을 포함한다.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특히, 2.3 내지 3.0 범위의 평균 NCO 관능기를 갖는 폴리머성 MDI가 바람직하다. 적합한 폴리머성 MDI는 예를 들면, BASF 제품, LUPRANATE® M-10 (평균 NCO 관능기 = 2.3) 및 LUPRANATE® M-20 (평균 NCO 관능기 = 2.7), 및 MONDUR® 489 (변형 폴리머성 MDI, 평균 NCO 관능기 = 2.9, Covestro 제품)를 포함한다. 상이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량체화 및 삼량체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방향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예를 들면, p-MDI가 바람직하다.
경질 폼은 광범위한 인덱스 범위에 걸쳐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인덱스(index)"는 이소시아네이트 당량 대 히드록시 당량의 비에 100을 곱한 값을 의미한다. 경질 PU 폼은 상대적으로 낮은 인덱스, 예를 들면, 90 내지 150으로 제조되나, 경질 PU-PIR은 통상적으로 비교적 높은 인덱스, 예를 들면, 180 내지 350으로 제조된다.
6. 기타 폼 성분
경질 PU 또는 PU-PIR 폼은 기타 성분들, 예를 들면, 난연제(flame retardant), 염료, 충진제(filler), 반응성 희석제(reative diluent), 항산화제, 충격 보강제(impact modifier), 등,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난연성 첨가제(flame-retardant additive)는 인, 염소, 브롬, 붕소, 또는 이 원소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고체 또는 액체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는 브롬화 프탈레이트 디올(brominated phthalate diols),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트리스(2-클로로이소프로필) 포스페이트, 테트라키스(2-클로로에틸)에틸렌 디포스페이트, 트리스(β-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트리스(2,3-디브로모프로필) 포스페이트, 등을 포함한다. 트리스(2-클로로이소프로필) 포스페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임의의 원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경질 PU 또는 PU-PIR 폼을 제조할 수 있다. 랩-스케일 제조를 위해, "B-사이드" 성분들(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지방산 유도체, 물, 발포제, 계면활성제, 촉매, 난연제)을 조합하고 잘 혼합한다. 그 후, 폴리이소시아네이트("A-사이드(A-side)")를 빠른 혼합 하에 첨가하고, 잘 블렌딩된 반응 혼합물을 적합한 용기 또는 몰드 내로 붓고, 폐쇄형-셀 경질 폼을 제공하기에 효과적인 조건 하에 경화시킨다. 경질 폼의 파일롯-스케일 또는 상업적 생산은 일반적으로, 기계 혼합, 고압 충돌 혼합(high-pressure impingement mixing) 등을 이용하여 B-사이드 성분들과 A-사이드 성분들을 조합하고, 반응 혼합물을 라미네이션 컨베이어(lamination conveyer)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필요한 경우, 폼은 생산 후에 후-경화(post-cure)될 수 있다. 폼의 R-값은 ASTM C-518 또는 기타 표준 테스트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히 펜탄 발포제를 이용하여, 지방산 유도체의 소량(minor proportion)을 경질 폼 제형에 포함시키는 것에 의해 저온 R-값이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하기 표 1 내지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및 PEG 디에스테르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지방산 유도체 블렌드의 양 기준 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경우, 지방산 유도체의 부재시 40oF에서 측정된 초기 R-값 대비 40oF에서 측정된 초기 R-값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이다. 현저하게, 지방산 유도체의 존재 하에 40oF에서 측정된 값들은 보통, 지방산 유도체의 존재 하에 75oF에서 측정된 값들을 초과한다.
하기 표에서, 40oF 및 75oF에서 측정된 초기 R-값 간의 차이를 결정하고, 이 값을 75oF에서 측정된 R-값으로 나누었다. 결과값에 100을 곱하면, 표 2-6에 기재된 초기 R-값의 % 개선을 얻는다. 예를 들면, 표 2에서, 대조군 R-값들은 6.44 - 6.74 = -0.3이고, 75oF에서 40oF까지 R-값의 감소는 -0.3/6.74 x 100 = -4.5%이다. 대조적으로, 5 wt.%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의 첨가시, 본 발명자들은 75oF에서 40oF까지 7.45-6.68 = 0.77, 및 0.77/6.68 x 100 = +11.5% R-값 증가를 얻는다.
도 1은 STEPANPOL® PS-2352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2.5 내지 7.5 중량%의 STEPOSOL® C-65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 첨가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경질 폼에 대한 초기 R-값 대 평균 온도의 플롯이다 (표 5의 데이터 참조). 발포제는 50% 이소펜탄/50% n-펜탄이다.
하기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하는 다수의 변형을 인식할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STEPANPOL® PS-2352: 240 mg KOH/g의 공칭 수산기가(nominal hydroxyl number) 및 2.5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갖는 상용화(compatibilized)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올 A(Polyol A)"로 알려짐).
폴리올 B: 240 mg KOH/g의 공칭 수산기가 및 2.5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갖는 상용화 방향족 혼합 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aromatic mixed acid polyester polyol).
폴리올 C: 260 mg KOH/g의 공칭 수산기가 및 2.5 mg KOH/g 미만의 산가를 갖는 상용화제-불포함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지방산 유도체
STEPOSOL® C-25: 메틸 카프레이트/메틸 카프릴레이트 혼합물 (C8-C10).
STEPOSOL® C-42: 메틸 라우레이트/메틸 미리스테이트 혼합물 (C12-C14).
STEPOSOL® C-65: 메틸 팔미테이트/메틸 스테아레이트/메틸 올리에이트 혼합물 (C16-C18).
STEPOSOL® SB-D: 대두유-기반 메틸 에스테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HALLCOMID® M8-10: N,N-디메틸 카프르아미드/N,N-디메틸 카프릴아미드 혼합물.
HALLCOMID® M12-14: N,N-디메틸 라우르아미드/N,N-디메틸 미리스트아미드 혼합물.
PEG-400 디소이에이트.
PEG-400 디올리에이트.
PEG-400 디라우레이트.
(STEPOSOL® 및 HALLCOMID® 조성물은 스테판 컴파니의 제품이다.)
경질 폼 제형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100 부(parts) (중량 기준)
지방산 유도체, 2.5 내지 7.5 부
FYROLTM PCF, 트리스(2-클로로이소프로필) 포스페이트, ICL, 12.5 부
물, 0.3 부
TEGOSTAB® B84506 계면활성제, Evonik, 3.0 부
POLYCAT® 5 삼차 아민 촉매, Evonik, 0.28 부
NIAXTM 촉매 K-ZERO G, Momentive, 3.6 부
POLYCAT® 46 촉매, Evonik, 0.45 부
발포제 (C5 화합물 또는 C5 혼합물), 24 부
MONDUR® 489, 변형 폴리머성 MDI, Covestro, 174 부
표준 수동-혼합(hand-mix) 기법을 이용한 폼의 제조 후에, 폼을 주변 조건(ambient condition) 하에 24시간 동안 방치하고, 절단하고, ASTM C-518에 따라 초기 R-값을 측정한다.
표 1. 다양한 C5 발포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폼의 경질 폼 R-값에 대한 지방산 유도체의 효과
0% 또는 5% STEPOSOL® C-42의 존재 하에 STEPANPOL® PS-2352 폴리올
75oF 초기 R-값 40oF 초기 R-값
대조군 5% C-42 존재 대조군 5% C-42 존재
n-펜탄 6.68 6.65 6.36 7.20
75% 이소펜탄/
25% n-펜탄
6.74 6.68 6.44 7.19
이소펜탄 6.77 6.75 6.74 7.26
70% 이소펜탄/
30% 시클로펜탄
6.93 6.91 7.02 7.56
30% 이소펜탄/
70% 시클로펜탄
7.34 7.34 7.54 7.50
표 1에서 대조군 실시예는 C5 발포제가 n-펜탄 또는 n-펜탄과 이소펜탄의 혼합물인 경우 75oF보다 40oF에서 측정되었을 때 초기 R-값의 감소를 보인다. 이상적으로, 더 낮은 온도에서는 R-값의 감소가 없다. 이 효과는 일반적으로 보다 비싼 이소펜탄/시클로펜탄 블렌드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5 wt.%의 STEPOSOL® C-42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STEPANPOL® PS-2352)과 함께 포함된 경우, 40oF 초기 R-값은 C5 발포제 또는 조합의 존재 하에 증가된다. 놀랍게도, 40oF에서 증가된 초기 R-값은 심지어 상응하는 75oF에서 증가된 초기 R-값을 초과한다.
표 3. 75% 이소펜탄/25% n-펜탄에 의한 결과
STEPANPOL® PS-2352의 존재 하에 5% 첨가제의 경질 폼 초기 R-값에 대한 효과
초기 R-값 % 개선
(75oF 대비 40oF)
첨가제 (5 wt.%) 75oF 40oF
불포함 (대조군) 6.74 6.44 - 4.5
STEPOSOL® C-25 6.73 7.32 + 8.8
STEPOSOL® C-42 6.68 7.19 + 7.6
STEPOSOL® C-65 6.68 7.39 + 10.6
STEPOSOL® SB-D 6.65 7.23 + 8.7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6.68 7.45 + 11.5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6.14 6.84 + 11.4
피마자유 메틸 에스테르 6.65 6.71 + 0.9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6.12 6.18 + 1.0
PEG-400 디소이에이트 6.76 7.33 + 8.4
PEG-400 디올리에이트 6.75 7.33 + 8.6
PEG-400 디라우레이트 6.73 6.93 + 3.0
HALLCOMID® M8-10 6.68 6.80 + 1.8
HALLCOMID® M12-14 6.76 6.84 + 1.2
표 2는 STEPANPOL® PS-2352의 존재 하에 5 wt.%의 블렌딩된 첨가제로 다양한 지방산 유도체를 이용한 결과 및 결과적으로 수득된 경질 폼의 초기 R-값에 대한 그들의 영향을 비교한다. 각 실시예에서, C5 발포제는 75% 이소펜탄/25% n-펜탄이다.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 wt.%의 열거된 지방산 유도체(지방산 에스테르, PEG 디에스테르, 및 지방산 아미드)의 존재시, 75oF 초기 R-값과 비교할 때, 40 oF 초기 R-값은 급격하게 개선된다. 첨가제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대조군 실시예), 40oF 초기 R-값은 75oF에서 측정된 값과 비교하여 감소한다. 우수한 저온 초기 R-값을 유지하면서 C5 발포제를 사용하는 능력은 경질 폼 제조자(formulator)에게 CFC, HCFC, 또는 HFO 대신에 C5 발포제를 사용하는 유연성을 제공한다.
표 3. 100% 이소펜탄에 의한 결과
STEPANPOL® PS-2352의 존재 하에 5% 첨가제의 경질 폼 초기 R-값에 대한 효과
초기 R-값 % 개선
(75oF 대비 40oF)
첨가제 (5 wt.%) 75oF 40oF
불포함 (대조군) 6.77 6.74 - 0.4
STEPOSOL® C-25 6.79 7.34 + 8.1
STEPOSOL® C-42 6.75 7.26 + 7.6
STEPOSOL® C-65 6.72 7.45 + 10.9
STEPOSOL® SB-D 6.65 7.29 + 9.6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6.61 7.39 + 11.8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6.50 7.29 + 12.2
피마자유 메틸 에스테르 6.70 6.78 + 1.2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6.42 6.49 + 1.1
PEG-400 디소이에이트 6.85 7.46 + 8.9
PEG-400 디올리에이트 6.86 7.46 + 8.7
PEG-400 디라우레이트 6.79 7.16 + 5.4
HALLCOMID® M8-10 6.75 6.80 + 0.7
HALLCOMID® M12-14 6.75 6.71 - 0.6
표 3은 발포제가 이소펜탄인 경우 STEPANPOL® PS-2352의 존재 하에 5 wt.%의 블렌딩된 첨가제로 다양한 지방산 유도체를 이용한 결과 및 결과적으로 수득된 경질 폼의 초기 R-값에 대한 그들의 영향을 비교한다. 표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조군 실시예에서는 40oF에서 초기 R-값의 감소가 크지 않다. 그러나, 5 wt.%의 지방산 유도체의 포함은 일반적으로 다수의 경우에, 40oF 초기 R-값을 크게 증가시킨다.
표 4. 70% 이소펜탄/30% 시클로펜탄에 의한 결과
STEPANPOL® PS-2352의 존재 하에 5% 첨가제의 경질 폼 초기 R-값에 대한 효과
초기 R-값 % 개선
(75oF 대비 40oF)
첨가제 (5 wt.%) 75oF 40oF
불포함(대조군) 6.93 7.02 + 1.3
STEPOSOL® C-25 6.95 7.56 + 8.8
STEPOSOL® C-42 6.91 7.56 + 9.4
STEPOSOL® C-65 7.00 7.60 + 8.6
STEPOSOL® SB-D 6.91 7.54 + 9.1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6.91 7.65 + 10.7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6.97 7.68 + 10.2
피마자유 메틸 에스테르 6.94 7.17 + 3.3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6.86 7.09 + 3.4
PEG-400 디소이에이트 7.07 7.62 + 7.8
PEG-400 디올리에이트 7.05 7.62 + 8.1
PEG-400 디라우레이트 7.06 7.42 + 5.1
HALLCOMID® M8-10 7.06 7.34 + 4.0
HALLCOMID® M12-14 7.00 7.20 + 2.9
표 4는 발포제가 70% 이소펜탄/30% 시클로펜탄인 경우 유사한 결과가 다시 관찰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75oF 대비 40oF에서 초기 R-값의 감소가 거의 또는 전혀 없으나, 5 wt.%의 지방산 유도체가 경질 폼 제형에 포함되는 경우, 저온 R-값의 명확한 개선이 있다.
표 5. 경질 폼 초기 R-값 v. 온도
STEPANPOL® PS-2352 폴리에스테르 폴리올(50% 이소펜탄/50% n-펜탄)의 존재 하에
STEPOSOL® C-65 첨가제의 양의 효과
STEPOSOL® C-65의 양 (wt.%)
0% (대조군) 2.5% 5.0% 7.5%

온도(oF)

초기 R-값
90 6.44 6.46 6.36 6.37
75 6.72 6.81 6.68 6.73
60 6.82 7.06 6.98 7.06
50 6.75 7.16 7.15 7.26
40 6.52 7.19 7.30 7.44
25 5.92 7.18 7.39 7.51
% 개선
(75oF 대비 40oF)

- 3.0

+ 5.6

+ 9.3

+ 10.7
표 5 및 상응하는 도 1은 STEPANPOL® PS-2352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50% 이소펜탄/50% n-펜탄을 이용하여 제형화된 경질 폼에서 2.5 wt.% 내지 7.5 wt.%의 다양한 양의 STEPOSOL® C-65 첨가제의 효과를 보여준다. 저온 초기 R-값의 개선이 2.5 wt.%의 첨가제에서도 유의하다; 특히, 첨가제의 존재 및 부재 하에 제조된 폼에 대한 75oF 초기 R-값과 40oF 초기 R-값의 차이에 주목한다. 값들은 7.5 wt.% 첨가제 수준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표 6. 경질 폼 초기 R-값 v. 온도
STEPANPOL® PS-2352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50% 이소펜탄/50% n-펜탄)의 존재 하에 PEG-400 디소이에이트 첨가제의 양의 효과
PEG-400 디소이에이트의 양 (wt.%)
0% (대조군) 2.5% 5.0% 7.5%
온도 (oF) 초기 R-값
90 6.44 6.50 6.43 6.51
75 6.72 6.85 6.78 6.85
60 6.82 7.07 7.11 7.17
50 6.75 7.13 7.28 7.34
40 6.52 7.13 7.41 7.50
25 5.92 6.93 7.33 7.52
% 개선
(75oF 대비 40oF)

- 3.0

+ 4.1

+ 9.3

+ 9.5
표 6은 STEPANPOL® PS-2352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50% 이소펜탄/50% n-펜탄을 이용하여 제형화된 경질 폼에서 2.5 wt.% 내지 7.5 wt.%의 다양한 양의 PEG-400 디소이에이트 첨가제의 효과를 보여준다. STEPOSOL® C-65의 경우에서와 같이, 저온 초기 R-값의 개선이 2.5 wt.%의 첨가제에서도 유의하고, 초기 R-값이 7.5 wt.% 첨가제 수준까지 증가한다. 다시, 첨가제의 존재 및 부재 하에 제조된 폼에 대한 75oF 초기 R-값과 40oF 초기 R-값의 차이에 주목한다.
표 7. 경질 폼 초기 R-값 v. 온도
다양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50% 이소펜탄/50% n-펜탄)의 존재 하에 5% 첨가제
폴리올 A1 폴리올 B 폴리올 C
첨가제 없음 C-652 PEG-400 DS3 C-65 PEG-400 DS C-65 PEG-400 DS
온도(oF) 초기 R-값
90 6.44 6.36 6.43 6.18 6.41 6.44 6.54
75 6.72 6.68 6.78 6.51 6.72 6.74 6.89
60 6.82 6.98 7.11 6.80 7.06 7.06 7.20
50 6.75 7.15 7.28 6.96 7.18 7.25 7.39
40 6.52 7.30 7.41 7.08 7.28 7.41 7.50
25 5.92 7.39 7.33 7.04 7.18 7.58 7.35
% 개선
(75oF 대비 40oF)

- 3.0

+ 9.3

+ 9.3

+ 8.8

+ 8.3

+ 9.9

+ 8.9

1 STEPANPOL® PS-2352. 2 STEPOSOL® C-65. 3 PEG-400 디소이에이트.
표 7은 경질 폼의 제조에서 지방산 유도체와 조합하는 경우, 기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 유사한 효과를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폴리올 A는 상용화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STEPANPOL® PS-2352이다. 폴리올 B는 혼합 산 상용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고; 폴리올 C는 상용화제-불포함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다. 각 경우에, 5 wt.%의 STEPOSOL® C-65 또는 PEG-400 디소이에이트 첨가제와 혼합되면, 첨가제 포함의 결과로 저온 초기 R-값이 증가된다.
전술된 실시예는 단지 예시로서 의도되며; 하기 청구항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정의한다.

Claims (20)

  1. (a) 150 내지 400 mg KOH/g 범위의 수산기가를 갖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90 내지 99 중량%; 및
    (b) C8 내지 C18 지방산 에스테르 및 C8 내지 C18 지방산 아미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지방산 유도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블렌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160 내지 350 mg KOH/g 범위의 수산기가를 갖는 것인 블렌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200 내지 300 mg KOH/g 범위의 수산기가를 갖는 것인 블렌드.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양을 기준으로 20 중량% 까지의 소수성 물질로 부분적으로 트랜스에스테르화된 것인 블렌드.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양을 기준으로 0.5 내지 15 중량%의 비이온성 알콕시화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블렌드.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하나 이상의 프탈레이트-기반 화합물 또는 조성물 및 하나 이상의 글리콜로부터의 반복 단위(recurring unit)를 갖는 것인 블렌드.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은 무수 프탈산 및 디에틸렌 글리콜로부터의 반복 단위를 갖는 것인 블렌드.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92 내지 98 중량%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2 내지 8 중량%의 지방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블렌드.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8 내지 C18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디에스테르이고,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200 내지 1000 g/mol 범위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인 블렌드.
  10.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유도체는 C8 내지 C18 지방산 에스테르인 것인 블렌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C8 내지 C18 지방산 에스테르는 C8 내지 C18 지방산 메틸 에스테르인 것인 블렌드.
  12.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8 내지 C18 지방산 아미드는 C8 내지 C14 지방산 아미드인 것인 블렌드.
  13.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에서 5,000 cP 미만의 점도를 갖는 것인 블렌드.
  14. 청구항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는 투명하고 균질한 것인 블렌드.
  15. 청구항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는 티오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아미드, 폴리아세탈, 및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지방족 폴리카보네이트; 아민-종결 폴리에테르(amine-terminated polyethers); 아민-개시 폴리올(amine-initiated polyols); 폴리에테르 폴리올; 만니히 폴리올(Mannich polyols); 비-방향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그래프트 분산 폴리올(graft dispersion polyols);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폴리올을 더 포함하는 것인 블렌드.
  16. 물, 촉매, 폼-안정화 계면활성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발포제, 및 청구항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의 블렌드의 반응 산물을 포함하는 경질 PU 또는 PU-PIR 폼.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n-펜탄, 이소펜탄, 시클로펜탄,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PU 또는 PU-PIR 폼.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40oF에서 측정된 상기 폼의 초기 R-값(initial R-value)은 75oF에서 측정된 것과 동일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것인 PU 또는 PU-PIR 폼.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75oF 및 40oF에서 측정된 상기 폼의 초기 R-값 간의 차이는 지방산 유도체의 부재 하에 제조된 유사한 폼의 차이보다 5% 이상 큰 것인 PU 또는 PU-PIR 폼.
  20. 청구항 16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의 경질 PU-PIR 폼을 포함하는 지붕 또는 벽 적용용 단열 보드.
KR1020207032349A 2018-04-10 2019-04-08 폴리올 블렌드 및 개선된 저온 r-값을 갖는 경질 폼 Active KR1027764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55471P 2018-04-10 2018-04-10
US62/655,471 2018-04-10
PCT/US2019/026253 WO2019199629A1 (en) 2018-04-10 2019-04-08 Polyol blends and rigid foams with improved low-temperature r-val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561A true KR20200144561A (ko) 2020-12-29
KR102776467B1 KR102776467B1 (ko) 2025-03-06

Family

ID=6624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2349A Active KR102776467B1 (ko) 2018-04-10 2019-04-08 폴리올 블렌드 및 개선된 저온 r-값을 갖는 경질 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11993708B2 (ko)
EP (1) EP3774983B1 (ko)
JP (1) JP7323106B2 (ko)
KR (1) KR102776467B1 (ko)
CN (1) CN112204066B (ko)
AU (1) AU2019253332B2 (ko)
BR (1) BR112020020776B1 (ko)
CA (1) CA3096666A1 (ko)
ES (1) ES2923136T3 (ko)
LT (1) LT3774983T (ko)
MX (1) MX2020010713A (ko)
PL (1) PL3774983T3 (ko)
WO (1) WO20191996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LT3774983T (lt) 2018-04-10 2022-10-25 Stepan Company Poliolio mišiniai ir standžios putos su pagerintomis žemos temperatūros r vertėmis
CN113174034B (zh) * 2021-04-09 2023-04-07 旭川化学(苏州)有限公司 一种聚酯多元醇及其制备方法
US20250075027A1 (en) * 2023-09-03 2025-03-06 Kingspan Holdings (Irl) Limited Polyurethane Foam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0785A1 (en) * 2007-09-28 2010-09-23 Hickey F Leo Aromatic Polyester Polyols and Aromatic Polyester Polyol Blends Containing Biorenewable Components and Methods of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4048A (en) 1985-07-12 1987-02-17 Stepan Company Self-compatibilizing phthalate-based polyester polyols
US4644027A (en) 1985-07-15 1987-02-17 Stepan Company Self-compatibilizing phthalate-based polyester polyols
US4608432A (en) 1985-09-23 1986-08-26 Stepan Company Self-compatibilizing polyester polyol blends based on polyalkylene terephthalate
US4722803A (en) 1985-10-29 1988-02-02 Stepan Company Self-compatibilizing polyester polyol blends based on dimethyl terephthalate residues
JP3144861B2 (ja) * 1991-11-15 2001-03-12 旭硝子株式会社 ポリマー分散ポリオール組成物およびポリウレタンの製造方法
JP3467370B2 (ja) 1996-09-11 2003-11-17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発泡樹脂組成物と発泡体及び制振吸音部材
US6359022B1 (en) 1997-10-10 2002-03-19 Stepan Company Pentane compatible polyester polyols
US5922779A (en) * 1997-10-10 1999-07-13 Stepan Company Polyol blends for producing hydrocarbon-blown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foams
US20040126564A1 (en) 2000-11-15 2004-07-01 Atlas Roofing Corporation Thermosetting plastic foam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using adhesion additives
US20030118761A1 (en) * 2001-12-21 2003-06-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omeric articles having improved chemical resistance
CA2470243A1 (en) * 2001-12-21 2003-07-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omeric gloves having improved donnability
US7098291B2 (en) * 2002-06-10 2006-08-29 Rohm And Haas Company Urethane polymer compositions
CA2579511C (en) * 2004-10-25 2013-12-17 Hanno R. Van Der Wal Polyurethanes made from hydroxy-methyl containing fatty acids or alkyl esters of such fatty acids
JP5086575B2 (ja) * 2005-07-19 2012-11-28 エスケー化研株式会社 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5186678B2 (ja) 2005-10-13 2013-04-17 財団法人ヒューマンサイエンス振興財団 経皮抗原投与のための抗原キット
JP4772028B2 (ja) 2006-12-05 2011-09-14 ベック株式会社 ポリオール組成物
EP2291433B1 (en) 2008-06-24 2016-02-24 DSM IP Assets B.V. Modified polyester resin
BRPI0920168A2 (pt) * 2008-10-15 2015-12-29 Basf Se poliéster-poliol, processo para produzir espumas rígidas de poliuretano, espuma rígida de poliuretano, e, uso de poliéster-polióis
CN102300892B (zh) * 2009-01-30 2014-04-16 因温斯特技术公司 芳族聚酯多元醇、异氰脲酸酯改性的聚氨酯泡沫体及其制备方法
WO2012006282A1 (en) 2010-07-08 2012-01-12 Dow Global Technologies Llc Improved polyurethane sealing foam compositions plasticized with fatty acid esters
KR102049107B1 (ko) * 2012-02-28 2019-11-27 바스프 에스이 경질 중합체 발포체의 제조 방법
EP2634201A1 (de) 2012-03-01 2013-09-04 Basf Se Polyurethan-Hartschaumstoffe
AU2013237561B2 (en) * 2012-03-23 2016-04-28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polyurethane-rigid foams and polyisocyanurate rigid foams
US20130324626A1 (en) * 2012-05-30 2013-12-05 Basf Se Producing rigid polyurethane foams
US10428170B1 (en) 2012-07-31 2019-10-01 Huntsman International Llc Hydrocarbon blown polyurethane foam formulation giving desirable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BR112015005916A2 (pt) 2012-09-27 2018-05-22 Basf S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espumas de poliuretano rígidas ou espumas de poliisocianurato rígidas, espuma de poliuretano rígida, espuma de poliuretano ou poliisocianurato rígida, uso das mesmas e mistura de poliol.
US9522973B2 (en) * 2012-10-02 2016-12-20 Covestro Llc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rigid foams for roofing insulation
ES2835699T3 (es) * 2013-03-15 2021-06-23 Stepan Co Polioles de poliéster que imparten propiedades de inflamabilidad mejoradas
MX367477B (es) * 2014-02-11 2019-08-23 Basf Se Metodo para producir espumas de poliuretano rigidas y espumas de poliisocianurato rigidas.
US9951171B2 (en) * 2014-08-20 2018-04-24 Resinate Materials Group, Inc. Polyester polyols from recycled polymers and waste streams
EP3387053B1 (en) 2015-12-08 2022-12-14 Holcim Technology Ltd Process for producing isocyanate-based foam construction boards
JP6956751B2 (ja) * 2016-06-23 2021-11-02 エボニック オペレーショ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または硬質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の製造に適した組成物
LT3774983T (lt) 2018-04-10 2022-10-25 Stepan Company Poliolio mišiniai ir standžios putos su pagerintomis žemos temperatūros r vertėm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0785A1 (en) * 2007-09-28 2010-09-23 Hickey F Leo Aromatic Polyester Polyols and Aromatic Polyester Polyol Blends Containing Biorenewable Components and Methods of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93708B2 (en) 2024-05-28
BR112020020776A2 (pt) 2021-01-26
CA3096666A1 (en) 2019-10-17
KR102776467B1 (ko) 2025-03-06
PL3774983T3 (pl) 2022-11-07
AU2019253332A1 (en) 2020-10-29
LT3774983T (lt) 2022-10-25
US12037489B2 (en) 2024-07-16
CN112204066B (zh) 2023-02-28
CN112204066A (zh) 2021-01-08
EP3774983A1 (en) 2021-02-17
WO2019199629A1 (en) 2019-10-17
ES2923136T3 (es) 2022-09-23
BR112020020776B1 (pt) 2024-02-06
EP3774983B1 (en) 2022-06-15
AU2019253332B2 (en) 2024-05-09
US20210024744A1 (en) 2021-01-28
US20230272212A1 (en) 2023-08-31
JP7323106B2 (ja) 2023-08-08
JP2021521295A (ja) 2021-08-26
MX2020010713A (es)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3664B1 (en) Hydrocarbon or hydrofluorocarbon blown astm e4-84 class i rigid polyurethane foams
US20230272212A1 (en) Polyol blends and rigid foams with improved low-temperature r-values
US8003708B2 (en) Process for making rigid polyurethane foams
JP2019522098A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形成組成物、その組成物を使用した低密度フォームの製造方法、そこから形成したフォーム
US20050148677A1 (en) Low K-factor rigid foam systems
JP2008081701A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KR101903302B1 (ko) 경질 폴리우레탄폼용 폴리올 조성물 및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제조 방법
KR101959644B1 (ko) 경질 폴리우레탄폼용 폴리올 조성물 및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제조 방법
PL203330B1 (pl) Sposób wytwarzania poliuretanowych wyrobów formowanych
CA3155388A1 (en) Imide-containing polyester polyols and intumescent rigid foams
WO2002053615A1 (en) Rigid urethane-modified polyisocyanurate foam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US11827735B1 (en) HFO-containing isocyanate-reactive compositions, related foam-forming compositions and flame retardant PUR-PIR foams
GB2313128A (en) Stain resistant polyurethanes
KR20110095142A (ko) 시클로펜탄 발포용 경질 폴리우레탄폼용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및 이것을 사용한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제조 방법
KR20070015167A (ko) 불연성 조성물 및 그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10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7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