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4240A - Embedded anchor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 Google Patents
Embedded anchor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44240A KR20200144240A KR1020190071953A KR20190071953A KR20200144240A KR 20200144240 A KR20200144240 A KR 20200144240A KR 1020190071953 A KR1020190071953 A KR 1020190071953A KR 20190071953 A KR20190071953 A KR 20190071953A KR 20200144240 A KR20200144240 A KR 2020014424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idge
- reinforcing bar
- buried
- anchor structure
- p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립형앵커구조구조(100)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의 교각 및 교대에 설치되어 교량점검로(200) 등과 같은 구조물을 부착할 때에 교량 내부 철근의 간섭을 피해 설치가 용이하게 하여 시공비를 절감하는 매립형앵커구조(100)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ried
일반적으로 교량을 설치한 후, 교량을 지지하고 있는 교각 및 교대에는 여러가지 구조물이 설치되는바, 특히 교량의 슬래브 하부에 설치되는 교량 받침 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교량점검로(200)가 설치된다.In general, after installing the bridge, various structures are installed on the piers and abutments supporting the bridge, and in particular, a
상기한 교량점검로(200) 등과 같은 구조물을 고정설치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후천공 앵커인 세트앙카를 주로 사용한다.In order to fix and install structures such as the above-described
상기한 세트앙카는 교량에 일정한 깊이로 천공한 후 앵커를 삽입하여 구조물을 결합시켜 고정한다.The set anchor described above is fixed to the structure by inserting an anchor after drilling to a certain depth in the bridge.
그러나 세트앙카를 설치하기 위해서 교각에 천공을 하면, 주철근 및 코핑부 손상이 발생하여 교량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세트앙카를 설치하면 교량 내부의 주철근과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표면의 콘크리트에만 결합되기 때문에 중량이 큰 구조물을 결합시키면 교량의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될 우려가 있다.However, if a pier is drilled in order to install a set anchor, damage to the main reinforcing bar and coping may occur, which may cause problems in the stability of the bridge. In addition, if a set anchor is installed, the surface is not connected to the main reinforcing bar inside the bridge. Since it is only bonded to concrete, there is a risk of cracking in the concrete of the bridge when a heavy structure is bond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은 특허문헌(한국등록 실용 20-0362688호)에 공지되어 있다.A technique for solving this problem is known in the patent document (Korean Registered Utility No. 20-0362688).
한국등록 실용 20-0362688호 교각용 앵커구조는 매립플레이트(1)에 너트부(2), 고정부(4)가 일체로 형성된 교각용 앵커 구조를 제공하였다.Korean Registered Utility No. 20-0362688 Anchor structure for piers provided an anchor structure for piers in which a nut portion 2 and a
상기 일체형 교각용 앵커 구조는 앵커의 고정부(4)가 주철근 위치에 설치될 경우에는 철근에 간섭 등 시공할 수 없는 문제점 및 한계가 있다.The integrated pier anchor structure has problems and limitations that cannot be constructed such as interference with the reinforcing bar when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앙카볼트 위치가 교각내의 철근 배근과 간섭이 있어도 매립형앵커구조(10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교량점검로(200)의 매립형앵커구조(100)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even if the anchor bolt location interferes with the reinforcement reinforcement in the pier, the buried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교각의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600)과 교각내에 설치되는 철근(400) 사이에 위치하는 매립플레이트(102)와,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uried
상기 매립플레이트(102)에 용접되는 다수의 롱너트(101)와, A plurality of
상기 매립플레이트(102)에 다수의 철근결합용볼트(105)가 위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수평슬라이드레일(103) 또는 수직슬라이드레일(104)과,A
상기 위치 조정 레일에 철근결합용너트(106)로 고정되어 철근(400)에 용접되는 다수의 철근결합용볼트(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또한 매립플레이트에 용접된 롱너트(101)는 교각의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600) 전면과 교각내의 설치되는 철근(400)과의 길이보다 짧은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철근결합용볼트(105)의 위치조정레일인 수평슬라이드레일(103) 및 수직슬라이드레일(104)은 철근결합용볼트(105)가 이동할 수 있고 위치가 결정된 후에 철근결합용너트(106)로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을 한다.In addition, th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매립형앵커구조(100)의 시공방법 관련하여, 제1단계는 매립형앵커구조(100)의 롱너트(101) 나사 부분 전면과 후면을 고무 마개 등으로 몰탈이 침투되지 않도록 막는다. 2단계는 교각의 주철근 배근 작업을 시행한다. 3단계는 매립플레이트(102) 위치를 적절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확인 후 철근(400)의 간섭을 피해 철근결합용볼트(105)를 이동하여 고정시킨 후 철근(400)에 용접하여 매립플레이트(102)를 용접한다. 4단계는 거푸집(600)을 철근(400) 배근한 외부로 콘크리트 피복(500) 두께에 맞추어 설치하고 레미콘 타설 후 거푸집(600)을 해체한다. 5단계는 매립플레이트(102)의 롱너트(101) 고무마개 등을 제거하고 교량점검로(200) 등 구조물을 매립플레이트(102)의 롱너트(101)에 점검로조립용볼트(107)로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Regard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buried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매립형앵커구조(100)를 소정의 위치에 철근(400) 배근을 피해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The buried
매립형앵커구조(100)를 설치하기 위해 철근(400) 배근을 풀어서 이동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간단하게 설치함으로써 시공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In order to install the buried
교각에 콘크리트(300) 타설전 롱너트(101)를 매립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300) 타설 후 교각에 앵커 천공을 안하므로 교각에 손상을 가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By embedding the
매립형앵커구조(100)가 주철근(400)과 용접 연결되어 있어 구멍을 뚫어 설치되는 세트앙카보다 인발 하중이나 전단 하중이 교량 전체에 분포하여 보다 안전한 교량점검로(200)를 제공함으로써 교량의 수명 연장 및 안정성 증대 효과가 있다.The buried
도 1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에 결합된 매립형앵커구조(100)의 단면도 및 배면도.
도 2는 도 1의 부품도.
도 3은 도 1의 철근결합용볼트(105) 위치 변경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철근결합용볼트(105) 위치 변경에 따른 배면도.
도 5는 도 1의 분해도
도 6은 도 1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롱너트(101)와 철근결합용볼트(105)와 직결조립된 단면도
도 8은 도 1의 롱너트(101)와 철근결합용볼트(105)와 직결조립된 분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로(200) 구조물과 설치된 매립형앵커구조(100)의 사례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철근(400) 배근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의 매립형앵커구조(100)와 결합된 철근(400)과 거푸집(600)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600)이 해체된 매립형앵커구조(100)가 시공된 교각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교량용 구조물(200)이 설치된 매립형앵커구조(100)의 정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rear view of a buried
Figure 2 is a par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reinforcing bolts for
Figure 4 is a rear view according to the position change of the reinforcing bolts for
5 is an exploded view of FIG. 1
6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directly assembled with the
Figure 8 is an exploded view assembled directly with the
9 is an example front view of a
10 is a front view of the reinforcing
11 is a front view of a reinforcing
12 is a front view of the pier in which the
13 is a front view of a buri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의 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or reference, among th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will be referred to for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nd a separat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referring only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meaning.
명세서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As used in the specificatio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particula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other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element and/or It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ingredi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좌우방향은 교각 또는 교량 슬래브의 수평 방향이고 상하방향은 교각의 높이방향을 의미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ier or the bridge slab,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i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량점검로(200) 등과 같은 구조물을 교각 또는 교량 슬래브에 설치하기 위해 매설되는 매립형앵커구조(100)에 있어서, 콘크리트 피복(500) 내에 설치되는 매립플레이트(102)와 매립플레이트(102)에 결합된 다수의 롱너트(101)와 매립플레이트(102) 배면에 수평으로 부착된 다수의 슬라이드 레일(103)과 수직으로 부착된 다수의 레일(104)과 또한 레일과 슬라이딩되면서 상하 좌우로 움직여 결합되는 철근결합용 볼트(105)를 갖는 매립형앵커구조(100)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ried
이때 롱너트(101) 및 수평슬라이딩레일(103), 수직슬레이드레일(104)과 결합된 두께는 설치될 위치의 콘크리트 피복(500)두께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combined with the
이때 롱너트(101) 전면부는 교각 또는 교량슬래브의 콘크리트(300) 표면에 위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ront portion of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교량점검로(200)를 매립형앵커구조(100)를 이용해 교량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9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앵커구조(100)는 교각의 코핑부에 매입되고 매립형앵커구조(100)를 통해 교량점검로(200)가 교량에 설치된다.As shown in FIG. 9, the bur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량점검로(200) 매립형앵커구조(100)는, 교각 코핑부 또는 교량슬래브에 매립되는 매립플레이트(102)와 매립플레이트(102)에 부착된 롱너트(101), 매립플레이트(102)의 배면에 부착된 수평슬라이드레일(103) 및 수직슬라이드레일(104)과 철근결합용볼트(105), 철근결합용 너트(106)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상기 본체(100)는 교량점검로(200)를 교각 또는 교량의 슬래브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노출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롱너트(101) 전면부가 위치하며 롱너트(101)는 매립플레이트(102)와 용접되어 있고 매립플레이트(102) 후면에는 다수의 수평슬라이드레일(103) 및 수직슬라이드레일(104)이 결합되어 거푸집(600)과 철근(400)사이 콘크리트 피복(500) 두께 내에 설치된다.The
롱너트(101)는 교량점검로(200)의 점검로조립용볼트(107)와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있고 미리 공장 등에서 매립플레이트(102)와 용접한다.The
롱너트(101)의 길이는 콘크리트 피복(500) 두께보다 짧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롱너트(101)는 콘크리트몰탈 타설시 나사부분이 막히지 않도록 고무 등 전면, 뒷면 구멍을 막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롱너트(101)는 전면 부분이 거푸집(600)면에 밀착되도록 위치를 측정하여 설치하여야 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매립플레이트(102)는 콘크리트피복(500) 두께내에 설치되며, 매립플레이트(102)에 롱너트(101) 및 수평슬라이드레일(103), 수직슬라이드레일(104)을 공장에서 미리 용접하며, 이 때 매립플레이트(102)와 용접된 수평슬라이드레일(103) 및 수직슬라이드레일(104), 롱너트(101)의 결합된 외곽 두께는 콘크리트 피복두께(500)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매립플레이트(102)는 두께가 1.6-9mm 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uried
매립플레이트(102)에 용접되는 롱너트(101)는 미리 설계된 위치에 용접되어야 한다.The
매립플레이트(102)에 결합되는 수평슬라이드레일(103)과 수직슬라이드레일(104)은 롱너트(101)를 피하여 매립플레이트(102) 뒷면에 결합한다.The
수평슬라이드레일(103), 수직슬라이드레일(104)의 내부공간은 철근결합용볼트(105)와 철근결합용너트(106)가 좌우,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적절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ternal space of the
수평슬라이드레일(103) 및 수직슬라이드레일(104) 의 "ㄱ" 자 플레이트(108)는 강재 및 비철금속이고 안쪽으로 대향되게 마주보고 결합되며, 철근결합용볼트(105)가 조립되는 너트(106) 폭보다 "ㄱ" 자 플레이트(108)의 양끝단부 거리가 짧아 철근결합용볼트(105)가 이탈되지 않아야 한다.The
미리 설계된 롱너트(101) 위치에서 선시공된 철근(400)과 간섭이 안되기 위하여 철근결합용볼트(105)가 조립되는 너트(106)를 수평슬라이드레일(103) 또는 수직슬라이드레일(104) 위에서 움직여서 철근결합용볼트(105)를 체결한 후 철근(400)에 용접하여 고정하며,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하여 콘크리트 몰탈 타설 시 매립형앵커구조(100)가 움직이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not to interfere with the
철근결합용볼트(105)는 강재이며, 시장 생산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inforcing
매립형앵커구조(100) 시공 방법 관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인 도 11를 참조하면, 1단계는 설계도면에 의거 철근(400) 배근을 완료해야 하며, Referring to FIG. 11,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with respect to the buried
2단계는 바람직한 실시예인 도 12에 예시된 것처럼 철근(400) 배근의 외부로 롱너트(101)를 설계에 지시된 위치에 선정하고 수평슬라이딩레일(103) 또는 수직슬라이딩레일(104) 중 철근(400)간섭이 되지 않는 위치로 철근결합용볼트(105)가 조립되는 너트(106)를 이송한 후 철근결합용볼트(107)를 조립한 다음 철근(400)에 용접하거나 결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step, as illustrated in FIG. 12,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the
3단계는 거푸집(600)을 해체하고 롱너트(101)의 고무마게를 제거한다.In the third step, the
4단계는 교량점검로(200) 등과 같은 구조물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롱너트(101)에 점검로조립용볼트(107)로 구조물(200)를 결합시키면 되는 것이다.In
상기한 매립형앵커구조(100)는 시공이 간편하여 설치비를 줄이는 효과가 있고 더욱이 교각의 파손을 일으키는 천공을 하지 않으므로 교각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above-described buried
100: 매립형앵커구조 101: 롱너트
102: 매립플레이트 103: 수평슬라이드레일
104: 수직슬라이드레일 105: 철근결합용볼트
106: 철근결합용너트 107: 점검로조립용볼트
108: 수평/수직 슬라이딩레일의 "ㄱ" 자 플레이트
200: 교량점검로 300: 콘크리트
400: 철근,주철근 500: 콘크리트 피복
600: 거푸집 100: embedded anchor structure 101: long nut
102: buried plate 103: horizontal slide rail
104: vertical slide rail 105: bolt for reinforcing bar coupling
106: reinforcing bar coupling nut 107: inspection furnace assembly bolt
108: "L" plate of horizontal/vertical sliding rail
200: bridge inspection road 300: concrete
400: reinforcing bar, cast iron 500: concrete cover
600: formwork
Claims (2)
상기 다수의 롱너트(101)에 다수의 철근결합용볼트(105)가 직결 조립하여 철근(400)에 결합되는 매립형앵커구조(100).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buried anchor structure 100 in which a plurality of reinforcing bolts 105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ong nuts 101 and coupled to the reinforcing bar 4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953A KR20200144240A (en) | 2019-06-18 | 2019-06-18 | Embedded anchor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1953A KR20200144240A (en) | 2019-06-18 | 2019-06-18 | Embedded anchor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44240A true KR20200144240A (en) | 2020-12-29 |
Family
ID=7409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1953A Ceased KR20200144240A (en) | 2019-06-18 | 2019-06-18 | Embedded anchor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44240A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73553A (en) * | 2021-03-01 | 2021-07-06 | 中铁大桥局上海工程有限公司 | Pile cap embedded upright post steel bar position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293968B1 (en) * | 2021-04-17 | 2021-08-26 | 주식회사 네오시티 | A device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a wall for an aerial wall construction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aerial wall using the same |
CN113863176A (en) * | 2021-10-29 | 2021-12-31 | 中铁三局集团有限公司 | Snow-proof fence foundation embedded part positioning device |
CN115491982A (en) * | 2022-09-19 | 2022-12-20 |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 Embedded part for pouring of steel bar intensive concrete bridge tower bea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2688Y1 (en) | 2004-07-01 | 2004-09-22 | 정혁수 | Anchor structure for pier |
-
2019
- 2019-06-18 KR KR1020190071953A patent/KR20200144240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2688Y1 (en) | 2004-07-01 | 2004-09-22 | 정혁수 | Anchor structure for pi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73553A (en) * | 2021-03-01 | 2021-07-06 | 中铁大桥局上海工程有限公司 | Pile cap embedded upright post steel bar position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293968B1 (en) * | 2021-04-17 | 2021-08-26 | 주식회사 네오시티 | A device for supporting the lower part of a wall for an aerial wall construction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aerial wall using the same |
CN113863176A (en) * | 2021-10-29 | 2021-12-31 | 中铁三局集团有限公司 | Snow-proof fence foundation embedded part positioning device |
CN115491982A (en) * | 2022-09-19 | 2022-12-20 |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 Embedded part for pouring of steel bar intensive concrete bridge tower bea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144240A (en) | Embedded anchor structure and Installation method | |
US7736088B2 (en) | Rectangular load plate | |
KR102078267B1 (en) | Rebar fixed type Pre-embedded Prefabricated Anchor for Bridge Inspection Facility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EP1123443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ground slab field and a ground slab field | |
KR102181972B1 (en) | Bridge inspection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and bridge inspection facility constructed thereby | |
KR102017871B1 (en) | Linear drain apparatus of bridge using cantilever de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100782667B1 (en) | Bridge safety inspection passage fixing device | |
KR100812132B1 (en) | Concrete slab assembly | |
DK1748119T3 (en) | Prefabricated foundation and support for building structures | |
JP5171099B2 (en) | Overhang railing structure and overhang railing method | |
KR101007012B1 (en) | Tunnel end reinforcement structure and tunnel top e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998822B1 (en) | Composite rahmen bridge, steel girder for that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rahmen bridge | |
KR101098998B1 (en) | Recyclable hybrid type cheolgolbo joining mechanism and cheolgolbo join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201561Y1 (en) |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steel pipe pile | |
FI20185498A1 (en) | Arrangement for effecting a fastening in a concrete structure and fastening method | |
JP2019148158A (en) | Wall balustrade construction method and wall balustrade | |
KR101664668B1 (en) | Structure for connecting earth retaining wall | |
CN209854778U (en) | Post-cast strip support-free structure | |
KR101194866B1 (en) |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longitudinal and lateral steel member | |
KR200331557Y1 (en) | Connecting Structure for Head of Pile | |
KR102152829B1 (en) | Cantilever girder bracke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antilever type bridge include this same | |
JP2016003530A (en) | Buried form for floor slab | |
JP4211906B2 (en) | Laying structure of precast floor slab and laying method of precast floor slab | |
KR200249424Y1 (en) | Apparatus for connecting the top end of a steel pipe pile with reinforcing bar | |
JP2509077B2 (en) | Rainwater underground storage facil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8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