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37651A - 스마트 다면체 - Google Patents

스마트 다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651A
KR20200137651A KR1020190064366A KR20190064366A KR20200137651A KR 20200137651 A KR20200137651 A KR 20200137651A KR 1020190064366 A KR1020190064366 A KR 1020190064366A KR 20190064366 A KR20190064366 A KR 20190064366A KR 20200137651 A KR20200137651 A KR 20200137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formation
polyhedron
output information
korea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5080B1 (ko
Inventor
손승희
Original Assignee
손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승희 filed Critical 손승희
Priority to KR1020190064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080B1/ko
Publication of KR2020013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0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의 교육 및 두뇌개발을 위한 스마트 다면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면에 소정에 입력정보를 수용하는 입력부와, 입력정보와 대응되는 제1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제1표시부, 그리고 제1출력정보와 대응되는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함으로써, 복수개의 언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다면체{SMART POLYHEDRON}
본 발명은 학습자의 교육 및 두뇌개발을 위한 스마트 다면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교육방법 중 종래의 주입식 교육 및 이론 중심 교육을 대체하기 위하여, 유아 등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호기심 및 재미를 유발시켜 학습 능률을 높이는 체험형 교육 방법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교육방법을 통해 유아의 공간지각능력, 창의력, 언어능력 등 유아의 다양한 능력을 발달시키게 된다.
이중에서도, 최근에는 조기교육 붐이 일어나면서, 유아의 언어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 및 학습교구들이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교육방법 및 학습교구들은 모국어를 학습시키는데 그치지 않고, 외국어 중에서도 특히 영어를 학습시키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10-1186060호(등록일: 2012. 09. 19일)에는 '영어학습교재 및 영어학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등록특허는, 얇은 판상으로 이루어진 영어학습카드의 전면에 영어 단어의 스펠링이 인쇄된 영어단어부가 형성되고, 영어단어부의 우측 하단에는 영어 학습카드의 레벨과 번호를 확인할 수 있는 레벨표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영어학습카드의 후면에는 영어단어의 뜻글자를 한글로 표시하고, 이의 하단에는 영어단어의 발음기호를 한글로 표시한 것이다.
상기 한국등록특허는, 영어학습카드의 후면에 한글 발음기호부를 형성하여 영어 발음기호를 잘 모르는 영어 초급자도 한글 발음기호를 통해 영단어를 쉽게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 한국등록특허의 경우, 한글을 미쳐 깨우치지 못한 유아가 한글과 영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단순히 영어학습카드를 암기하는 학습방식으로 인해 학습자의 흥미와 재미를 쉽게 유발할 수 없어 학습자의 집중력이 쉽게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면에 소정에 입력정보를 수용하는 입력부와, 입력정보와 대응되는 제1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제1표시부, 그리고 제1출력정보와 대응되는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함으로써, 복수개의 언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시간 학습시에도 집중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다면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면체의 어느 한쪽면에 구비되어 소정의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다면체의 다른 한쪽면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정보와 관련된 제1출력정보가 출력되는 제1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다면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입력정보는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이며, 상기 제1출력정보는 상기 한글 자음 또는 모음과 관련된 영문 알파벳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입력정보는 한글 단어이며, 상기 제1출력정보는 상기 한글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영문 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다면체의 또 다른 한쪽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출력정보와 관련된 제2출력정보가 출력되는 제2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기 입력정보는 한글이고, 상기 제1출력정보는 상기 한글과 관련된 영어이며, 상기 제2출력정보는 상기 영어과 관련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입력부는, 위치 가변되는 다수의 픽셀이 구비되되, 외력에 의한 상기 픽셀의 위치변화에 의해 상기 입력정보가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면에 소정에 입력정보를 수용하는 입력부와, 입력정보와 대응되는 제1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제1표시부, 그리고 제1출력정보와 대응되는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제2표시부를 포함함으로써, 복수개의 언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에 다양한 입력정보가 입력되어 이에 대응되는 제1출력정보 및 제2출력정보가 출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입력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의 신호 및 정보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스마트 다면체에 다양한 입력정보가 입력되어 그에 대응되는 제1출력정보 및 제2출력정보가 출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에 다양한 입력정보가 입력되어 이에 대응되는 제1출력정보 및 제2출력정보가 출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입력부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의 신호 및 정보의 흐름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의 스마트 다면체에 다양한 입력정보가 입력되어 그에 대응되는 제1출력정보 및 제2출력정보가 출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10)는 다면체(101)의 어느 한쪽면에 구비되어 소정의 입력정보(i1-1)가 입력되는 입력부(103); 및 다면체(101)의 다른 한쪽면에 구비되어 입력정보(i1-1)와 관련된 제1출력정보(i2-1)가 출력되는 제1표시부(105);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정보(i1-1)는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이며, 제1출력정보(i2-1)는 한글 자음 또는 모음과 관련된 영문 알파벳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자음 중 'ㄱ'이 입력정보(i1-1)로 입력되는 경우, 제1출력정보(i2-1)는 'ㄱ'의 발음과 연관된 영문자 알파벳 'g'가 출력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정보(i1-1)는 한글 단어이며, 제1출력정보(i2-1)는 한글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영문 단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단어 중 '고양이'가 입력정보(i1-1)로 입력되는 경우, 제1출력정보(i2-1)는 '고양이'와 대응되는 영문 단어'cat'이 출력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입력정보(i1-1)는, 한글 자음, 한글 단어에 한정되지 않고, 한글 문장일 수 있으며, 이때, 제1출력정보(i2-1)는 한글 문장과 대응되는 영문 문장으로 출력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면체(101)는 3개 이상의 면을 갖도록 이뤄질 수 있으며, 도면들에서는 다면체(101)가 육면체로 이뤄진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다면체(101)의 외측면에는 램프(109)와, 스피커(111)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알림모듈(41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03)는 다면체(101)의 일면에 구비되어 소정의 입력정보(i1-1)가 입력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부(103)는 전자식 터치패널로 이뤄진다.
일예로, 입력부(103)는 접촉에 의한 정전용량변화를 감지하는 센서(303)가 구비되어,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변화에 의해 입력정보(i1-1)가 인식된다.
이러한 입력부(103)는 정전용량변화를 감지하는 센서(303)가 구비된 기판에 투명 도전성 물질로 투명전극패턴(305)을 형성하고, 투명전극패턴(305)의 외부에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309)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입력부(103)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부(103)는 윈도우기판(301), 정전용량변화를 감지하는 센서(303), 투명전극패턴(305), 전극(307), 연성회로기판(FPCB)(309), 이방성 도전성 접착부재(311), 그리고 투명접착층(314)을 포함한다.
윈도우기판(301)은 휴대폰, PDA 등의 다양한 종류의 정보통신 기기에 사용되는데, 대략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광 투과성을 가지는 유리나 아크릴 등의 합성수지로 이뤄진다.
그리고, 센서(303)는 윈도우기판(301)의 하부에 윈도우기판(301)과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유리 또는 PET 필름 등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어서, 투명전극패턴(305)은 센서(303)의 상부에 구비되는데, 일예로 인듐주석산화물(ITO: indum tin oxide), 인듐아연산화물(IZO: indume zinc oxide), 아연산화물(ZnO) 등을 센서(303)의 상부면에 스퍼터링하거나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307)은 투명전극패턴(305)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면서 연성회로기판(309)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전극(307)은 상부면이 연성회로기판(309)의 전극부(313)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단자부(315)를 포함하며, 투명전극패턴(305) 및 연성회로기판(309)과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연성회로기판(309)은 전극(307)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전극부(313)를 포함하는데, 일예로 전극(307)의 일면에 압착되는 이방성 도전성 접착부재(311)를 통해 전극(307)과 연결된다.
그리고, 투명접착층(314)은 윈도우기판(301)과 투명전극패턴(305) 사이에 구비되어, 윈도우기판(301)이 투명전극패턴(305)에 접착되도록 하면서, 센서(303)의 상부에 구비된 투명전극패턴(305)과 윈도우기판(301)을 연결한다.
이처럼, 입력부(10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전용량변화를 감지하는 센서(303)가 구비된 전자식 터치패널로 이뤄져, 정전용량변화를 감지함에 따라 다양한 입력정보(i1-1)가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전자식 터치패널로 이뤄지는 입력부(103)는 다른 예로,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에 의한 입력부(103) 표면의 압력변화에 의해 입력정보(i1-1)를 인식하는 감압식으로 이뤄질 수도 있다.
계속해서, 제1표시부(105)는 다면체(101)의 입력부(103) 및 제2표시부(107)를 제외한 어느 한쪽면에 구비되어, 입력부(103)로 입력된 입력정보(i1-1)와 대응되는 제1출력정보(i2-1)를 출력한다.
일예로, 제1표시부(105)는 입력부(103)에 특정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이 입력되면 입력된 한글 자음 또는 모음 발음과 연관된 영문 알파벳을 출력하고, 입력부(103)에 특정 한글 단어가 입력되면 입력된 한글 단어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영문 단어를 출력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부(103)에 'ㄱ'의 한글 자음이 입력되면, 제1표시부(105)는 'ㄱ'의 발음과 관련된 영문 알파벳 'g'가 출력될 수 있고, 입력부(103)에 '고양이'의 한글 단어가 입력되면 제1표시부(105)는 '고양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cat'의 영어 단어가 제1출력정보(i2-1)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10)는, 다면체(101)의 또 다른 한쪽면에 구비되어, 제1출력정보(i2-1)와 관련된 제2출력정보(i3-1)가 출력되는 제2표시부(107);를 더 포함한다.
제2표시부(107)는 입력정보(i1-1)가 한글이고, 제1출력정보(i2-1)가 영어인 경우, 영어와 관련된 이미지의 제2출력정보(i2-1)를 출력한다.
즉, 제2표시부(107)는 제1출력부(105)로부터 특정 알파벳이 출력되면 이와 대응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데, 일예로 제1표시부(105)에 알파벳 'g'가 출력되는 경우 'g'로 시작하는 'gold'의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표시부(107)는 제1표시부(105)에 영어 단어 'cat'이 출력되는 경우 고양이 이미지를 제2출력정보(i2-1)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10)는 DB모듈(401) 및 제어부(403)를 더 포함한다.
DB모듈(401)은 기설정 입력정보(i1)와, 기설정 제1출력정보(i2) 및 기설정 제2출력정보(i3)가 저장되는데, 이러한 DB모듈(401)은 제1DB(405), 제2DB(407) 및 제3DB(409)를 포함한다.
제1DB(405)는 기설정 입력정보(i1)가 저장되는데, 여기서 기설정 입력정보(i1)는 일예로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 한글 단어, 한글 문장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DB(407)는 기설정 제1출력정보(i2)가 저장되는데, 여기서 기설정 제1출력정보(i2)는 영문 알파벳, 영문 단어, 영문 문장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DB(409)는 기설정 제1출력정보(i2)와 대응되는 기설정 제2출력정보(i3)가 저장되는데, 여기서 기설정 제2출력정보(i3)는 영문 알페벳, 영문 단어, 영문 문장과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403)는 입력부(103), 제1표시부(105), 제2표시부(107), DB모듈(401) 및 알림모듈(311)과 연결되며, 입력부(103)로 입력정보(i1-1)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정보(i1-1)와 대응되는 제1출력정보(i2-1)를 도출하여 제1표시부(105)로 인가하면서, 제1출력정보(i2-1)와 대응되는 제2출력정보(i3-3)를 도출하여 제2표시부(107)로 인가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403)의 작동과정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403)는 입력부(103)로 입력정보(i1-1)가 입력되는 경우 DB모듈(401)로 제1매칭신호(s1)를 인가하고, 제2DB(407)로부터 제1출력정보(i2)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제어부(403)는 다수의 기설정 제1출력정보(i2)를 입력정보(i1-1)와 매칭하고 입력정보(i1-1)와 대응되는 제1출력정보(i2-1)를 도출하여 제1표시부(105)로 인가한다.
계속해서, 제어부(403)는 제1출력정보(i2-1)를 제1표시부(105)로 인가하면서, DB모듈(401)로 제2매칭신호(s2)를 인가하고, 제3DB(409)에 기저장된 기설정 제2출력정보(i3)를 제1출력정보(i2-1)와 매칭하여 제1출력정보(i2-1)와 대응되는 제2출력정보(i3-1)를 제2표시부(107)로 인가한다.
일예로, 제어부(403)는 입력부(103)에 '고양이'의 입력정보(i1-1)가 입력되면, DB모듈(401)로 제1매칭신호(s1)를 인가하여 제2DB(407)로부터 영문 단어의 제1출력정보(i2)를 전송받는다.
그리고, 제어부(403)는 기설정 제1출력정보(i2)를 '고양이'의 입력정보(i1-1)와 매칭하여, 제1출력정보(i2-1) 중 '고양이'와 대응되는 'cat'의 제1출력정보(i2-1)를 도출하여 제1표시부(105)로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403)는 제1표시부(105)로 'cat'의 제1출력정보(i2-1)를 인가하면서, DB모듈(401)로 제2매칭신호(s2)를 인가하고, 제3DB(409)로부터 기설정 제2출력정보(i3)를 제공받아, 'cat'과 대응되는 고양이 이미지의 제2출력정보(i3-1)를 제2표시부(107)로 인가하게 된다.
물론, 제어부(403)는 한글 단어 뿐 아니라, 한글 자음, 한글 문장 등의 입력정보(i1-1)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DB모듈(401)로부터 제공되는 기설정 제1출력정보(i2)와 기설정 제2출력정보(i3)를 특정 한글 자음 또는 한글 문장 등의 입력정보(i1-1)와 매칭하여, 이와 대응되는 영문 알파벳 또는 영문 문장의 제1출력정보(i2-1)를 제1표시부(105)로 인가한 뒤, 이와 대응되는 제2출력정보(i3-1)를 제2표시부(107)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3)는 최초 입력부(103)로부터 입력정보(i1-1)가 입력되는 경우, 입력매칭신호(s3)를 DB모듈(401)로 인가한 뒤, 제1DB(405)로부터 한글 자음, 한글 단어, 한글 문장 등의 기설정 입력정보(i1)를 제공받는다.
이때, 제어부(403)는 최초 입력된 입력정보(i1-1)가 제1DB(405)로부터 인가된 어느 하나의 한글 자음, 한글 단어, 한글 문장 중 어느 하나의 기설정 입력정보(i1)와 대응되는 경우, 알림신호(s4)를 알림모듈(411)로 인가한다.
이때, 알림모듈(113)은 입력정보(i1-1)가 완성 되었음을 알수 있도록, 다면체(101)의 외측에 구비된 램프(109) 또는 스피커(111)를 작동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복수개의 스마트 다면체(10)가 물리적으로 상호 결합된 경우, 제2표시부(107)는 각 입력부(103)에 수용된 입력정보(i1-1)들과 대응되는 제3출력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개의 스마트 다면체(10)가 결합된 경우, 각각의 제2표시부(107)가 입력정보(i1-1)와 대응되는 제3출력정보를 분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3출력정보는 입력정보(i1-1)와 대응되는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입력부(103)에 '고양이'의 입력정보(i1-3)가 입력되는 경우, 각각의 제2표시부(107)는 '고양이'와 대응되는 제3출력정보(ex: 고양이 애니매이션)를 분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일면에 한글과 대응되는 입력정보(i1-1)를 수용하는 입력부(103)와, 입력정보(i1-1)와 대응되는 영어정보를 출력하는 제1표시부(105), 그리고 출력된 영어정보와 대응되는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제2표시부(107)를 갖는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은 한글과 영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20)는, 입력부(50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20)의 입력부(501)는, 다면체(101)의 일면에 구비되어 소정의 입력정보(i1-1)를 수용하는데, 여기서 입력부(501)는 위치 가변되는 다수의 픽셀(503)이 구비되어, 외력에 의한 픽셀(503)의 위치 변화에 의해 입력정보(i1-1)가 인식된다.
이러한 입력부(501)의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입력부(501)는 다면체(101)의 어느 한쪽면에 구비되어 다면체(101)의 어느 한쪽면과 동일면상에 위치되거나 다면체(101)의 어느 한쪽면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인입되는 복수개의 픽셀(503) 및 픽셀(503)의 후방에 구비되며 픽셀(503)과 접촉됨에 따라 입력정보(i1-1)가 입력되며, 입력된 입력정보(i1-1)를 제어부(403)로 인가하는 기판(505)을 포함한다.
픽셀(503)은 인접한 픽셀(503)과 밀착되어 지지되면서 인접한 픽셀(503)과 슬라이딩되는 블럭부(507) 및 블럭부(507)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단부에 접촉단자(509)가 구비되는 연장부(511)를 포함한다.
또한, 픽셀(503)은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면체(101)로부터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블록부(507)의 측면에 스토퍼(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한 픽셀(503)과 상호 결합되는 가이드(미도시) 및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505)은 외력에 의해 픽셀(503)이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접촉단자(509)와 접촉됨으로써, 입력정보(i1-1)가 입력되는 다수의 연결단자(513)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마트 다면체(20)에는 비록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입력부(501)를 통해 입력정보(i1-1)가 입력되어 복수개의 픽셀(503)이 다면체(101)의 일면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픽셀(503)을 다시 다면체(101)의 일면과 동일면상에 위치시키는 초기화버튼(미도시)이 구비 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다면체(101)의 일면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입력정보(i1-1)가 입력됨에 따라, 단순한 터치 방식이 아닌 적당한 외력을 통해 픽셀(503)을 가압해 입력정보(i1-1)를 입력함으로써, 유아의 흥미 뿐 아니라 공간지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면에 소정에 입력정보(i1-1)를 수용하는 입력부(103)와, 입력정보(i1-1)와 대응되는 제1출력정보(i2-1)를 출력하는 제1표시부(105), 그리고 제1출력정보(i2-1)와 대응되는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제2표시부(107)를 포함함으로써, 복수개의 언어를 동시에 학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학습자의 흥미와 재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스마트 다면체
101 : 다면체
103 : 입력부
105 : 제1표시부
107 : 제2표시부
109 : 램프
111 : 스피커
301 : 윈도우기판
303 : 센서
305 : 투명전극패턴
307 : 전극
309 : 연성회로기판
311 : 이방성 도전성 접착부재
401 : DB모듈
403 : 제어부
405 : 제1DB
407 : 제2DB
409 : 제3DB
411 : 알림모듈
501 : 입력부
503 : 픽셀
505 : 기판
507 : 블럭부
509 : 접촉단자
511 : 연장부
513 : 연결단자

Claims (6)

  1. 다면체의 어느 한쪽면에 구비되어 소정의 입력정보가 입력되는 입력부; 및
    상기 다면체의 다른 한쪽면에 구비되어, 상기 입력정보와 관련된 제1출력정보가 출력되는 제1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다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이며, 상기 제1출력정보는 상기 한글 자음 또는 모음과 관련된 영문 알파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다면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한글 단어이며, 상기 제1출력정보는 상기 한글 단어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 영문 단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다면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면체의 또 다른 한쪽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출력정보와 관련된 제2출력정보가 출력되는 제2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마트 다면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는 한글이고, 상기 제1출력정보는 상기 한글과 관련된 영어이며, 상기 제2출력정보는 상기 영어과 관련된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다면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위치 가변되는 다수의 픽셀이 구비되되, 외력에 의한 상기 픽셀의 위치변화에 의해 상기 입력정보가 인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다면체.
KR1020190064366A 2019-05-31 2019-05-31 스마트 다면체 Active KR102305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366A KR102305080B1 (ko) 2019-05-31 2019-05-31 스마트 다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366A KR102305080B1 (ko) 2019-05-31 2019-05-31 스마트 다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651A true KR20200137651A (ko) 2020-12-09
KR102305080B1 KR102305080B1 (ko) 2021-09-24

Family

ID=73787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366A Active KR102305080B1 (ko) 2019-05-31 2019-05-31 스마트 다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0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1395B1 (ko) * 2023-06-14 2024-09-27 권영안 외국인을 위한 한글 학습교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8913A (ja) * 1997-07-22 1999-02-12 Amanuma Akihiko 多面体オブジェ
KR20100092326A (ko) * 2009-02-12 2010-08-20 안경모 다기능 멀티미디어 큐브
KR20120080365A (ko) * 2011-01-07 2012-07-17 이봉재 큐브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EP3346364A1 (en) * 2017-01-05 2018-07-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aptive polyhedral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8913A (ja) * 1997-07-22 1999-02-12 Amanuma Akihiko 多面体オブジェ
KR20100092326A (ko) * 2009-02-12 2010-08-20 안경모 다기능 멀티미디어 큐브
KR20120080365A (ko) * 2011-01-07 2012-07-17 이봉재 큐브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EP3346364A1 (en) * 2017-01-05 2018-07-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daptive polyhedral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5080B1 (ko) 2021-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63268B (zh) 具有电子可变键帽的计算机键盘
US9324240B2 (en) Vertically integrated mobile educational system
US20160180734A1 (en) System and method to interact with elements of a language using physical objects
CN201765707U (zh) 一种幼教拼字学习机
CN102334090A (zh) 动态背投式用户接口
WO2015113381A1 (en) System and method to learn a language using physical objects on an interactive surface
EP3376490A1 (en) Touch-sensing sound production interactive platform and recognizing method thereof
WO2006089477A1 (fr) Appareil d’écriture en braille avec fonction de traitement d’informations
US11915606B2 (en) Tactile and visual display with a paired, active stylus
CN207722349U (zh) 一种拼字游戏装置
KR102305080B1 (ko) 스마트 다면체
CN105917293B (zh) 使用物体与语言元素交互的系统和方法
US11514817B2 (en) Smart interactive system for braille learning
KR20210089872A (ko)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TW201329926A (zh) 盲文讀寫裝置
KR20110094569A (ko) 일반 책자에 대한 좌표 검출 방식의 뷰어 기능을 갖는 전자책
KR101255979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영단어 학습 프로그램
CN102903266A (zh) 一种针对小学生的情景式学习系统及方法
Ellis et al. A design science exploration of a visual-spatial learning system with feedback
KR20140098429A (ko) 다중 매칭 언어학습시스템 및 방법
RU26621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учения рельефно-точечному шрифту Брайля слепых и слабовидящих детей
KR101620603B1 (ko) 시각 장애인용 교육 퍼즐 기구
KR20110011852A (ko) 터치식 학습매트
CN2809689Y (zh) 一种具有语言教学及插入式储存卡装置之手表
KR20160148567A (ko) 입력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세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9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9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