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680A - 흡연부스 - Google Patents
흡연부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6680A KR20200136680A KR1020190062530A KR20190062530A KR20200136680A KR 20200136680 A KR20200136680 A KR 20200136680A KR 1020190062530 A KR1020190062530 A KR 1020190062530A KR 20190062530 A KR20190062530 A KR 20190062530A KR 20200136680 A KR20200136680 A KR 2020013668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smoking
- booth
- unit
- plasm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 F24F3/166—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3—Biocide decomposition means, e.g. catalysts, sorb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2001/1294—Booths for smo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연부스 내의 흡연공간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한 성분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인체 유해성분 및 악취 성분을 제거 및 공기 내에 포함된 박테리아,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균을 살균시키고, 이산화망간 또는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촉매를 포함하는 오존제거부를 이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을 제거하며, 정화된 공기를 다시 부스본체 내부로 재공급하여 흡연부스 내부를 항상 쾌적하고 청정한 상태로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는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이 특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기술이전사업화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8-GJ-RD-0008 / 대기압 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포터블 살균기기 개발]
This patent was supported by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gram through INNOPOLIS Foundation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No. 2018-GJ-RD-0008 / Development of Portable Sterilizer using Atmospheric Pressure Discharge Plasma]
이 특허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기술이전사업화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8-GJ-RD-0008 / 대기압 방전 플라즈마를 이용한 포터블 살균기기 개발]
This patent was supported by the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Program through INNOPOLIS Foundation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No. 2018-GJ-RD-0008 / Development of Portable Sterilizer using Atmospheric Pressure Discharge Plasma]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연부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연부스 내의 공간을 항상 쾌적하고 청정한 상태로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는 흡연부스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성인남성 흡연율은 2010년 기준으로 감소 추세에 있지만, OECD 국가 중에서는 가장 높은 흡연율을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정, 사무실, 음식점, 길거리 등에서 간접흡연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수의 흡연자들도 간접흡연으로 타인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
현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에 관한 법적 및 제도적 규제는 마련되어 있으나, 실질적인 관리 및 규제의 어려움과 흡연자의 낮은 인식수준으로 인하여 공공장소에서의 흡연이 공공연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금연구역이 확대되고 있는 반면, 건물의 실내에 비하여 공공장소에서는 거의 전 영역이 흡연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어 공공장소에서 흡연을 할 수 없게 되고, 흡연자에게는 흡연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
따라서, 공공장소에서도 비흡연자의 간접흡연이 미연에 방지되어 비흡연자의 건강을 배려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흡연자는 공공장소에서의 흡연금지 규제를 지키면서도 자신의 흡연욕구를 타인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충족시킬 수 있는 흡연부스에서 흡연을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흡연부스와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72332호의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흡연부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4678호의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흡연부스" 등이 안출되어 있다.
종래의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흡연부스"는 오염된 공기를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칸막이가 필요없고, 설치공간의 제한없이 이동설치가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위하여 상부에 기둥으로 지지된 천정을 구비하고, 이 천정의 상부에 커버를 덮어서 천정과 커버 사이에 에어챔버를 형성하며, 이 에어챔버내에 천정의 중앙에서 오염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청정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이에 정화된 공기를 에어챔버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에어챔버로 배출된 공기가 다시 천정의 둘레에 형성된 방출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여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래의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흡연부스"는 부스의 유지비용 및 설치비용을 광고비로 충당할 수 있는 광고판을 구성하고, 태양광에너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광고판 및 공기정화장치를 작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흡연부스"는 담배연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지붕부에 송풍팬이 구성된 흡입구와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와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로 구성된 정화장치를 구비하여 흡연부스 내부가 정화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흡연자용 부스는 단순히 천정이나 지붕부에 공기청정기나 정화장치가 설치되는 단순한 구성이어서 흡연자용 부스 내부의 정화효과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며, 부스 내부의 정화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공기청정기나 정화장치를 고부하로 운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흡연부스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한 성분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인체 유해성분 및 악취 성분을 제거 및 공기 내에 포함된 박테리아,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균을 살균시키고, 이산화망간 또는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촉매를 이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을 제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부스본체 내부로 재공급하여 흡연부스를 항상 쾌적하고 청정한 상태로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는 흡연부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는 내부에 흡연을 위한 흡연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벽체부와 천장부를 구비하는 부스본체와; 상기 부스본체 내에서 흡연시 발생하는 담배연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부와; 상기 공기정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의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부스본체 내에 설치된 재떨이부와 대응되는 상기 천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부 측으로 상승하는 담배연기에 반응하도록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발생부와, 상기 플라즈마발생부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부스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순환부와, 상기 공기순환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는 흡연부스 내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한 성분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인체 유해성분 및 악취 성분을 제거 및 공기 내에 포함된 박테리아,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균을 살균시키고, 이산화망간 또는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촉매를 포함하는 오존제거부를 이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을 제거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부스본체 내부로 재공급하여 흡연부스를 항상 쾌적하고 청정한 상태로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의 제어계통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흡연부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1)는 부스본체(10)와, 센서부(20)와, 공기정화부(30)와, 제어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스본체(10)는 내부에 사방이 밀폐된 흡연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바닥부와, 벽체부와, 천장부(13)로 구성되며, 측벽부의 일 측에는 흡연공간부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부스본체(10)의 천장부(13)에는 흡연공간부 내의 담배연기 성분 및 농도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센서부(20)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고, 각 센서부(20)에서 검출된 검출정보는 후술하는 제어부(40)로 실시간 송출된다.
그리고, 부스본체(10)의 천장부(13)에는 공기정화부(30)가 설치된다.
공기정화부(30)는 부스본체(10) 내에서 흡연시 발생하는 담배연기 및 각종 유해균을 제거 및 정화시키는 것으로서, 플라즈마발생부(31)와, 공기순환부(32)와, 오존제거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라즈마발생부(31)는 부스본체(10) 내에 설치된 재떨이(15)와 대응되는 천장부(13) 일 측에 설치되어 천장부(13) 측으로 상승하는 담배연기에 반응하는 라디칼을 형성하도록 플라즈마를 발생시킨다. 플라즈마발생부(31)는 일정 면적을 갖는 공간에 플라즈마가 발생할 수 있도록 평판 형으로 형성된다.
공기순환부(32)는 플라즈마발생부(3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부스본체(10) 내부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흡입덕트(32A)와, 흡입팬(32B)과, 배출덕트(32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흡입덕트(32A)는 플라즈마발생부(31) 주변에 설치되어 플라즈마발생부(31)에서 생성된 플라즈마로 인해 각종 유해성분이 제거 또는 각종 유해균이 제거된 상태의 공기를 흡입 할 수 있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다.
흡입팬(32B)은 흡입덕트(32A) 측으로 플라즈마발생부(31) 주변의 정화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배출덕트(32C)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부스본체(1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배출덕트(32C)는 플라즈마 발생부와 인접하는 부스본체(10) 천장부(13)의 일 측에 설치되어 흡입팬(32B)에 의해 흡입덕트(32A)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부스본체(10) 내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오존제거부(33)는 공기순환부(32)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흡입덕트(32A) 또는 배출덕트(32C) 내부에 설치되며, 이산화망간 또는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촉매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오존제거부에는 오존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흡입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공기정화부(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플라즈마발생부(31) 및 흡입팬(32B)의 동작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40)는 센서부(20)에서 검출된 유해성분 및 농도에 따라 공기정화부(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는 흡연공간부에서 발생하는 각종 유해한 성분이 함유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인체 유해성분 및 악취 성분을 제거 및 공기 내에 포함된 박테리아, 바이러스와 같은 유해균을 살균시키고, 이산화망간 또는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촉매를 포함하는 오존제거부(33)를 이용하여 플라즈마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을 제거하며, 정화된 공기를 다시 부스본체(10) 내부로 재공급하여 흡연부스 내부를 항상 쾌적하고 청정한 상태로 관리 및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흡연부스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부스본체
20 : 센서부
30 : 공기정화부
31 : 플라즈마발생부
32 : 공기순환부
32A : 흡입덕트
32B : 흡입팬
32C : 배출덕트
33 : 오존제거부
40 : 제어부
20 : 센서부
30 : 공기정화부
31 : 플라즈마발생부
32 : 공기순환부
32A : 흡입덕트
32B : 흡입팬
32C : 배출덕트
33 : 오존제거부
40 : 제어부
Claims (1)
- 내부에 흡연을 위한 흡연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벽체부와 천장부를 구비하는 부스본체와;
상기 부스본체 내에서 흡연시 발생하는 담배연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부와;
상기 공기정화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정화부는
상기 부스본체 내에 설치된 재떨이부와 대응되는 상기 천장부에 설치되어 상기 천장부 측으로 상승하는 담배연기에 반응하도록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발생부와,
상기 플라즈마발생부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부스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순환부와,
상기 공기순환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오존을 제거하는 오존제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부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2530A KR20200136680A (ko) | 2019-05-28 | 2019-05-28 | 흡연부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62530A KR20200136680A (ko) | 2019-05-28 | 2019-05-28 | 흡연부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6680A true KR20200136680A (ko) | 2020-12-08 |
Family
ID=7377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62530A Withdrawn KR20200136680A (ko) | 2019-05-28 | 2019-05-28 | 흡연부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3668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8592A (ko) | 2021-01-27 | 2022-08-03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마트 흡연부스 및 이의 관리 방법 |
KR20220167453A (ko) | 2021-06-14 | 2022-12-21 | 주식회사 윌켐코리아 | 담배 연기 제거 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2332A (ko) | 1997-03-04 | 1998-11-05 | 이종수 |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흡연부스 |
KR20100104678A (ko) | 2009-03-18 | 2010-09-29 | 류관현 |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흡연부스 |
-
2019
- 2019-05-28 KR KR1020190062530A patent/KR20200136680A/ko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72332A (ko) | 1997-03-04 | 1998-11-05 | 이종수 | 공기청정기를 이용한 흡연부스 |
KR20100104678A (ko) | 2009-03-18 | 2010-09-29 | 류관현 |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흡연부스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08592A (ko) | 2021-01-27 | 2022-08-03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스마트 흡연부스 및 이의 관리 방법 |
KR20220167453A (ko) | 2021-06-14 | 2022-12-21 | 주식회사 윌켐코리아 | 담배 연기 제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08905B2 (ja) | 換気兼用空気清浄器 | |
KR200471784Y1 (ko) | 자체공기정화시스템이 구비된 흡연부스 | |
KR20100069339A (ko) | 피톤치드를 이용한 공기정화청정 시스템 | |
KR20180102530A (ko) | 데미스터 필터를 이용한 흡연시 배출되는 연기, 니코틴, 타르, 유해세균을 제거하는 개인용 이동식 흡연장치 | |
KR20180067271A (ko) | 열 교환형 환기시스템을 구비한 흡연부스 | |
KR101366604B1 (ko) | 담배 연기 악취 분해 및 먼지 제거장치 | |
KR20200136680A (ko) | 흡연부스 | |
KR20210142252A (ko) | 복합살균식 공기 살균기 | |
KR20160025211A (ko) | 강제 흡배기 방식의 흡연부스 환기시스템 | |
JP2003147828A (ja) | トイレ用脱臭・殺菌装置 | |
JP2021536331A (ja) | トイレからの空気およびエアロゾル化した排泄物の悪臭を削減する濾過アセンブリ | |
JPH1151430A (ja) | テーブル型空気清浄機 | |
JP2009216370A (ja) | コーナー設置型空気清浄機 | |
KR101667253B1 (ko) | 담배 냄새 정화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용 담배 재떨이 | |
JP5051337B2 (ja) | 除菌バリアー作成方法及びその装置 | |
KR20130106522A (ko) | 흡연부스의 공기정화장치 | |
KR101917621B1 (ko) | 탁상용 흡연 정화장치 | |
KR20150128371A (ko) | 이동식 흡연 부스 | |
KR102427415B1 (ko) | 오존과 저온 프라즈마 광촉매를 이용한 살균 탈취 시스템 | |
KR20150095492A (ko) | 흡연의 위험을 경고하는 흡연부스용 정화장치 | |
KR102575939B1 (ko) | 살균혼합공기 확산공급장치 | |
KR20160069186A (ko) | 흡연부스 정화 및 담배 냄새 정화 기능을 갖는 흡연부스. | |
JP2007021099A (ja) | 空気清浄機 | |
KR101765037B1 (ko) | 담배연기 정화 배출장치 | |
KR20200140666A (ko) | 오존을 이용한 공기 정화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