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3467A - Manufaturing method of zeolite using lithium residue - Google Patents
Manufaturing method of zeolite using lithium residu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33467A KR20200133467A KR1020190058686A KR20190058686A KR20200133467A KR 20200133467 A KR20200133467 A KR 20200133467A KR 1020190058686 A KR1020190058686 A KR 1020190058686A KR 20190058686 A KR20190058686 A KR 20190058686A KR 20200133467 A KR20200133467 A KR 202001334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thium
- product
- zeolite
- crystallization
- molar ratio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14—Type A
- C01B39/16—Type A from aqueous solutions of an alkali metal aluminate and an alkali metal silicate excluding any other source of alumina or silica but see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20—Faujasite type, e.g. type X or Y
- C01B39/22—Type X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9/00—Compounds having molecular sieve and base-exchange properties, e.g. crystalline zeolites; Their preparation; After-treatment, e.g. ion-exchange or dealumination
- C01B39/02—Crystalline aluminosilicate zeolites; Isomorphous compounds thereof; Direct preparation thereof; Preparation thereof starting from a reaction mixture containing a crystalline zeolite of another type, or from preformed reactants; After-treatment thereof
- C01B39/46—Other types characterised by their X-ray diffraction pattern and their defined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리튬 부산물로부터, 리튬 부산물을 수세하여 리튬 부산물을 pH 6 내지 8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수세된 리튬 부산물에 포함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 비)를 1차 조절하는 단계; 상기 몰비가 조절된 리튬 부산물과 알칼리 물질의 혼합비 (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를 조절하는 단계; 상기 몰비가 조정된 리튬 부산물에 알칼리 물질을 상기 혼합비 (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로 첨가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1차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올라이트 제조방법을 소개한다.Washing the lithium by-product from the lithium by-product to adjust the lithium by-product to pH 6 to 8; First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contained in the washed lithium by-product (Si/Al ratio); Adjusting the mixing ratio of the lithium by-product and the alkali material in which the molar ratio is adjusted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Preparing a hydrogel form by adding an alkali substance to the lithium by-product having the molar ratio adjusted at the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A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a hydrogel to prepare a primary crystal; Introducing a zeolite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Description
본 개시는 리튬 부산물을 이용한 제올라이트 제조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튬 광석으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공정 중에 발생하는 리튬 부산물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제올라이트 및 비용 효율이 높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zeolite using lithium by-products, and more specifically, to a zeolite obtained by using a lithium by-product generated during a process of recovering lithium from lithium o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ith high cost efficiency.
제올라이트 (Zeolite, M[(Al2O3)x (SiO2)y]zH2O)는 세탁세제, 폐수중 중금속 제거, 배가스의 유해물질 제거를 위한 촉매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이것은 제올라이트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응용 광물학적 성질, 즉, 양이온 교환특성 (CEC, Cation Exchange Capacity), 흡착 (adsorption) 및 분자체 특성 (Molecular sieve), 촉매 특성, 탈수 및 재흡수 특성 등이 관련 산업에 효용 가치가 있다는 점에 기인하여 활용,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Zeolite (M[(Al 2 O 3 ) x (SiO 2 ) y ]zH 2 O) is a material used as a laundry detergent, a catalyst for removing heavy metals in wastewater, and for removing harmful substances from exhaust gas. This is because the unique applie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zeolites, ie, cation exchange properties (CEC), adsorption and molecular sieve properties, catalyst properties, dehydration and resorption properties, etc. It is being used and applied because of its utility value.
제올라이트 합성에 관한 연구는 1949년 산업 응용 목적에서 A형 제올라이트가 유니온 카바이드사의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합성 되었고, A형 합성 제올라이트의 우수한 응용 광물학적 특성이 알려지게 됨에 따라 제올라이트 합성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어 많은 연구가 뒤 따르게 되었다. 1960년대에 미국에서 석유 화학 공정에서의 성공적인 응용과 X형 및 Y 형 제올라이트 같은 뛰어난 효능을 갖는 새로운 합성 제올라이트들의 등장으로 제올라이트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다.In the study of zeolite synthesis, in 1949, the A-type zeolite was first synthesized by Union Carbide's research team for industrial application, and as the excellent applied mineralogical properties of the A-type synthetic zeolite became known, interest in the synthesis of zeolite increased. The study was followed. In the 1960s, the successful application of petrochemical processes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emergence of new synthetic zeolites with excellent efficacy such as X-type and Y-type zeolites led to full-scale research on zeolites.
근래에는 제올라이트의 응용 범위가 크게 확대됨에 따라 제올라이트의 세공 구조와 그 특성에 있어서 보다 다양성이 요구되어 새로운 세공 구조와 응용 광물학적 특성을 갖는 제올라이트를 합성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산업 응용면에서 가장 각광 받고 있는 ZSM-5를 비롯한 약 150여종에 달하는 많은 합성 제올라이트가 개발 되기에 이르렀다.In recent years, as the application range of zeolite has been greatly expanded, more diversity in the por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zeolite is required, and research to synthesize zeolite with new pore structure and applied mineralogical properties has been progressed, leading to the spotlight in industrial applications. A number of synthetic zeolites of about 150 types, including ZSM-5, have been developed.
제올라이트 합성은 대개 상온에서 200℃ 범위의 온도조건에서 소위 “Hydrogel Process” 라고 일컬어 지는 수열 합성법 (hydrothermal process) 으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제올라이트는 생성과정에서 특별한 압력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고 낮은 온도에서 비교적 쉽게 합성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Zeolite synthesis is usually produced by a hydrothermal process called “Hydrogel Process” under a temperature range of 200℃ to room temperature. In general, zeolites do not require special pressure conditions during formation and are relatively easily synthesized at low temperatures.
합성 제올라이트는 세공 특성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그 성능, 효능이 우수하지만 실제로 응용 될 때에는 보다 값싼 천연 제올라이트에 비해 가격면에서 다소 어려움을 갖고 있다.Synthetic zeolite not only has various pore characteristics, but also has excellent performance and efficacy, but when actually applied, it has some difficulties in terms of price compared to cheaper natural zeolites.
따라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 제올라이트를 균질하게 합성할 수 있는 보다 저렴한 합성법 (Cost effective method)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들이 현재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으로 종래에 주로 제올라이트 합성용 원료로 사용 되었던 시약 형태의 물질 (sodium silicate, sodium aluminate, silica gel등) 보다 값싼 천연재료, 즉 제올라이트 합성에 적합한 조성을 갖는 규산염 광물을 원료로 사용하는 방안들이 검토되고 있다. 천연 광물을 이용한 제올라이트 합성에 관한 연구는 주로 점토 (Clay), 고령토, 카올린(Kaoline), 화산 유리질 암석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다.Therefore, efforts are currently being made to find a cheaper synthesis method capable of homogeneously synthesizing zeolite having excellent properties. In this way, a method of using as a raw material a natural material cheaper than a reagent-type material (sodium silicate, sodium aluminate, silica gel, etc.), which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synthesis of zeolite, that is, a silicate mineral having a composition suitable for the synthesis of zeolite as a raw material. Has become. Studies on the synthesis of zeolites using natural minerals have mainly been conducted on clay, kaolin, kaolin, and volcanic vitreous rocks.
또한 부존 자원이 부족한 천연 광물 대신에 산업공정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다양한 부산물들을 제올라이트 합성용 원료로 사용하는 연구도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In addition, researches on using various by-products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in industrial processes as raw materials for zeolite synthesis are ongoing, instead of natural minerals that lack resources.
리튬 광석으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일련의 공정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알루미나와 실리카를 주요성분으로 하여 구성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 부산물로부터 비용효율이 높고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zeolite with high cost-efficiency and good crystallinity from lithium by-products including aluminosilicate compounds composed of alumina and silica, which are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in a series of processes for recovering lithium from lithium ore.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올라이트 제조방법은 리튬 부산물을 수세하여 리튬 부산물을 pH 6 내지 8로 조절하는 단계; 상기 수세된 리튬 부산물에 포함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Si/Al ratio)를 1차 조절하는 단계; 상기 몰비가 1차 조정된 리튬 부산물에 알칼리 물질을 첨가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1차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몰비가 조정된 리튬 부산물에 알칼리 물질을 첨가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에서, 알칼리 물질에 대한 리튬 부산물의 혼합비, (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100g/mol 이하이다.Zeolit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djusting the lithium by-product to pH 6 to 8 by washing with water; First adjusting the molar ratio (Si/Al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contained in the washed lithium by-product; Preparing a hydrogel form by adding an alkali substance to the lithium by-product whose molar ratio is first adjusted; And a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a hydrogel to prepare a primary crystal. In the step of preparing a hydrogel form by adding an alkali material to the lithium by-product whose molar ratio is adjusted, the mixing ratio of the lithium by-product to the alkali material, (weight of lithium by-product / 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100 g/mol Below.
상기 리튬 부산물을 수세하여 리튬 부산물을 pH 6 내지 8로 조절하는 단계 는, 상기 리튬 부산물로부터 산의 짝염기를 제거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step of adjusting the lithium by-product to pH 6 to 8 by washing the lithium by-product with water may be a step of removing a conjugate base of an acid from the lithium by-product.
상기 수세된 리튬 부산물에 포함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리튬 부산물에 알루미나 보충 물질 또는 실리카 보충 물질을 투입하여 상기 리튬 부산물에 포함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를 0.75 내지 3.0으로 조절하는 단계일 수 있다.The step of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contained in the washed lithium by-product includes adding an alumina supplementing material or a silica supplementing material to the lithium by-product to add silicon to aluminum contained in the lithium by-product. It may be a step of adjusting the molar ratio (Si/Al) to 0.75 to 3.0.
상기 알루미나 보충 물질은 알루미나 수화물 (Al(OH)3) 및 소듐알루미네이트 (NaAlO2)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lumina supplement materi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umina hydrate (Al(OH) 3 ) and sodium aluminate (NaAlO 2 ).
상기 실리카 보충 물질은 소듐 실리케이트 (Na2OSiO2)일 수 있다.The silica supplement material may be sodium silicate (Na 2 OSiO 2 ).
상기 몰비가 조정된 리튬 부산물에 알칼리 물질을 첨가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알칼리 물질은 OH- 이온 몰농도가 1.0 내지 6.0M 농도일 수 있다.In the step of preparing a hydrogel form by adding an alkali material to the lithium by-product whose molar ratio is adjusted, the alkali material may have an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1.0 to 6.0 M.
상기 알칼리 물질은 수산화나트륨 (NaOH)일 수 있다. The alkaline substance may be sodium hydroxide (NaOH).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1차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에서, 상기 1차 결정화 단계는 1차 결정화 온도가 60 내지 100℃일 수 있다.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a hydrogel to prepare a first crystal,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may have a firs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60 to 100°C.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1차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에서, 상기 1차 결정화 단계는 1차 결정화 시간이 12시간 이상일 수 있다.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a hydrogel to prepare a primary crystal,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may have a first crystallization time of 12 hours or more.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에서, 교반날은 프로펠라형, 터빈블레이드형, 및 플레이트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 이상이며, 교반기 날개 지름 7cm이고, 날개는 2 내지 4개이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1차 결정화 교반속도는 300 내지 600 rpm일 수 있다.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hydrogel-type lithium by-product to produce crystals, the stirring blade is at least on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opeller type, a turbine blade type, and a plate type, the agitator blade diameter is 7 cm, and the blade is 2 In a stirrer having a reactor volume of 2 L (diameter 13 cm, height 20 cm), the first crystallization stirring speed may be 300 to 600 rpm.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 이후에, 상기 1차 결정을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1차 결정을 수세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ltering the primary crystal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a hydrogel to prepare a crystal; And washing and drying the filtered primary crystal with water.
상기 리튬 부산물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알루미나 (Al2O3): 20 내지 30 중량%, 실리카 (SiO2): 60 내지 70 중량%, 산화철 (Fe2O3), 산화칼슘 (CaO), 산화나트륨 (Na2O) 및 산화칼륨 (K2O) 중에서 1종 이상: 10 중량% 이하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thium by-product is based on the total 100% by weight, alumina (Al 2 O 3 ): 20 to 30% by weight, silica (SiO 2 ): 60 to 70% by weight, iron oxide (Fe 2 O 3 ), calcium oxide (CaO) , Sodium oxide (Na 2 O) and potassium oxide (K 2 O), at least one: 10% by weight or less may be included.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 이후에, 고액분리에 의하여 생성된 제올라이트 1차 결정과 여과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여과액에 함유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를 2차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몰비가 조절된 여과액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2차 결정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Separating the first crystal of zeolite and the filtrate generated by solid-liquid separation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hydrogel to prepare a crystal; Secondly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contained in the separated filtrate; And a second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filtrate whose molar ratio is adjusted to prepare crystals.
상기 분리된 여과액에 함유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를 2차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리튬 부산물에 알루미나 보충 물질 또는 실리카 보충 물질을 투입하여 상기 리튬 부산물에 포함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를 0.75 내지 3.0으로 조절하는 단계일 수 있다.Secondly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contained in the separated filtrate comprises adding an alumina supplementing material or a silica supplementing material to the lithium by-product, It may be a step of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Si/Al) to 0.75 to 3.0.
상기 알루미나 보충 물질은 알루미나 수화물 (Al(OH)3) 및 소듐알루미네이트 (NaAlO2)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lumina supplement materi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umina hydrate (Al(OH) 3 ) and sodium aluminate (NaAlO 2 ).
상기 실리카 보충 물질은 소듐 실리케이트 (Na2OSiO2)일 수 있다.The silica supplement material may be sodium silicate (Na 2 OSiO 2 ).
상기 몰비가 2차 조절된 여과액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2차 결정화 단계에서, 상기 2차 결정화 단계는 2차 결정화 온도가 60 내지 100℃일 수 있다.In the second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filtrate having the second molar ratio adjusted to produce crystals, the second crystallization step may have a seco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60 to 100°C.
상기 몰비가 조절된 여과액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2차 결정화 단계에서, 상기 2차 결정화 단계는 2차 결정화 시간이 2시간 초과일 수 있다.In the second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filtrate whose molar ratio is adjusted to prepare crystals, the second crystallization step may have a second crystallization time of more than 2 hours.
상기 몰비가 조절된 여과액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2차 결정화 단계 이후에, 상기 2차 결정을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2차 결정을 수세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ltering the secondary crystal after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filtrate whose molar ratio is adjusted to prepare crystals; And washing and drying the filtered secondary crystals with water.
본 발명 일 실시예에 의한 제올라이트는 P형 제올라이트, A형 제올라이트, 및 X 형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이상의 결정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The zeoli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sist of only one paper-shaped crystal pha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type zeolite, A-type zeolite, and X-type zeolite.
본 발명은 리튬 광석으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공정에서 다량으로 발생하는 리튬 부산물로부터 비용 효율 높고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a zeolite having high crystallinity and high cost efficiency from lithium by-products generated in large amounts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lithium from lithium ore.
이에 따라 제조된 제올라이트는 가스 흡착재, 세탁세재, 폐수중 중금속 처리, 유해가스 제거용 촉매 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zeolite thus prepared can be used as a gas adsorbent, laundry detergent, heavy metal treatment in wastewater, and a catalyst for removing harmful gases.
또한, 리튬 부산물을 1차 결정화 하여 제올라이트 결정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차 결정화 이후 고액분리를 통하여 회수한 여과액 내의 미반응 잔류 Si 성분을 이용하여 2차 결정화를 통하여 불순물 함량, 백색도 등 1차 제품보다 품질이 보다 우수한 2차 제품을 회수할 수 있고, 원료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투입 원료 대비 제품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not only can zeolite crystals be prepared by primary crystallization of lithium by-products, but also impurities content, whiteness, etc. through secondary crystallization using unreacted residual Si components in the filtrate recovered through solid-liquid separation after primary crystallization. Secondary products with higher quality than tea products can be recovered, and the product recovery rate compared to input raw materials can be improved while minimizing the loss of raw materi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올라이트 제조방법에서 수침출 후 고액분리 공정에서 발생되는 리튬 잔사의 입도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lithium residues generated in a solid-liquid separation process after water leaching in a zeolit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및 제3 등의 용어들은 다양한 부분, 성분, 영역, 층 및/또는 섹션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어느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을 다른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서술하는 제1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2 부분, 성분, 영역, 층 또는 섹션으로 언급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par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or section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Accordingly, a first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art,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referring only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forms as used herein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the meaning of “comprising” specifies a specific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and/or component, and the presence of another characteristic, region, integer, step, action, element and/or component It does not exclude additions.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또는 상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on" or "on" another part, it may be directly on or on another part, or other parts may be involved in between. In contrast,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above” another part, no other part is intervened.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Although not defined differently,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additionally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related technical literature and the presently disclosed conten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very formal meaning unless defin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리튬 부산물Lithium by-product
리튬 광석으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일련의 공정에서, 리튬 광석의 주 광물상인 Spodumene (Li2O Al2O3 4SiO2, LiAl2Si2O6)이 황산 배소공정에 의해 광석의 Li+ 이온자리에 황산으로부터 해리된 H+ 이온으로 이온교환 되고, 이온 교환된 Li+ 이온이 해리된 SO4 2- 이온과 결합하고, 석출반응 진행되어 황산리튬 (Li2SO4)으로 석출될 수 있다.In a series of processes for recovering lithium from lithium ore, Spodumene (Li 2 O Al 2 O 3 4SiO 2 , LiAl 2 Si 2 O 6 ), the main mineral phase of lithium ore, is placed in the Li + ion site of the ore by sulfuric acid roasting process. It is ion-exchanged with H + ions dissociated from sulfuric acid, and the ion-exchanged Li + ions are bonded to the dissociated SO 4 2- ions, and a precipitation reaction proceeds to precipitate lithium sulfate (Li 2 SO 4 ).
석출된 황산리튬(Li2SO4)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킨 다음 고액 분리시킴으로써 리튬 부산물을 제조할 수 있다. 황산리튬(Li2SO4)은 물에 용해되어 침출되는 반면, 알루미노실리케이트(Al2O3 4SiO2, AlSi2O6)는 물에 용해되지 않고, 고체 화합물 형태로 잔류하여 리튬 부산물을 구성할 수 있다.The precipitated lithium sulfate (Li 2 SO 4 ) can be leached using water and then solid-liquid separated to prepare a lithium by-product. Lithium sulfate (Li 2 SO 4 ) is dissolved in water and leached, whereas aluminosilicates (Al 2 O 3 4SiO 2 , AlSi 2 O 6 ) are not dissolved in water and remain in the form of solid compounds, forming lithium by-products. can do.
리튬 부산물은 Al2O3 약 26 중량%, SiO2 약 66 중량%, Fe2O3 1.6 중량%, 그리고 이외에 CaO, Na2O, K2O등 알카리 금속을 0.1~0.4 중량% 함유하며, 알루미노실리케이트 (Al2O3 4SiO2, AlSi2O6), 실리카 (SiO2), 및 알바이트 (albite)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결정상으로서 평균 입도는 약 25 ㎛정도의 특성을 가진 물질이다.The lithium by-product contains about 26% by weight of Al 2 O 3 , about 66% by weight of SiO 2 , 1.6% by weight of Fe 2 O 3 , and 0.1 to 0.4% by weight of alkali metals such as CaO, Na 2 O, and K 2 O, As a crystal phase composed of aluminosilicate (Al 2 O 3 4SiO 2 , AlSi 2 O 6 ), silica (SiO 2 ), and albite, it has an average particle size of about 25 μm.
이와 같은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을 가진 리튬 부산물은 제올라이트의 주요 구성성분인 실리카와 알루미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합성 제올라이트의 원료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Since lithium by-products having such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re composed of silica and alumina, which are major constituents of zeolite, they can be sufficiently used as raw materials for synthetic zeolites.
리튬 부산물을 수세하는 단계Step of washing lithium by-product
리튬 광석으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리튬 부산물은 산성을 띈다. 리튬 부산물이 산성을 띄는 이유는 리튬 광석 전처리 과정에서 황산으로 배소시 과량의 황산을 사용하기 때문에 수침출시에 미반응 상태로 남아 있던 황산이 용해되어 리튬 부산물에 포함, 잔류하기 때문이다.Lithium by-products from the process of recovering lithium from lithium ore are acidic. The reason that lithium by-products are acidic is that sulfuric acid, which remained unreacted during water leaching, is dissolved and included in lithium by-products and remains because excess sulfuric acid is used when roasting with sulfuric acid in the pretreatment of lithium ore.
황산기(SO4 2-)를 포함한 산성의 리튬 부산물을 수세하지 않고 그대로 제올라이트 제조용 원료로 사용할 경우, 잔존 황산기 이온이 리튬 부산물 원료의 용해반응을 위해 첨가하는 알카리 성분을 우선 소모하게 되고, 그 결과로 인하여 과량의 알카리 첨가가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첨가한 알카리 성분과 잔존하는 황산기 (SO4 2-)이온이 반응하여 망초를 형성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하이드로 겔(hydrogel) 생성반응을 방해한다. 따라서, pH 6 미만의 산성의 리튬 부산물을 수세하지 않고 제올라이트 제조에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물이 아닌 알카리를 사용하여 수세하는 경우에는 pH가 8을 초과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용액내에서 황산이온과 알카리가 반응하여 망초 또는 이에 따른 불순 이온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When acidic lithium by-products including sulfuric acid group (SO 4 2- ) are used as a raw material for zeolite production without washing with water, residual sulfate group ions first consume the alkali component added for the dissolution reaction of the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Due to this, not only an excessive amount of alkali needs to be added, but also the added alkali component and the remaining sulfuric acid group (SO 4 2- ) ions react to form forget-me-not, and as a result, the hydrogel formation reaction is hindered. Therefore, it is not preferable to use an acidic lithium by-product having a pH of less than 6 for zeolite production without washing with wat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washing with an alkali other than water, the pH may exceed 8, but even in this case, since sulfate ions and alkali react in the solution to generate forgetfulness or impurity ions accordingly, it is not preferable.
따라서, 공정 발생 산성의 리튬 부산물을 합성 제올라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산성의 리튬 부산물을 충분한 수세과정을 통해 황산 기(SO4 2-)이온을 제거하여 pH 6 내지 8, 구체적으로는 pH 6.08 내지 7.0의 리튬 부산물로 제조하는 것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acidic lithium by-product generated from the process as a raw material for producing synthetic zeolite, the acidic lithium by-product is removed through a sufficient washing process to remove the sulfuric acid group (SO 4 2- ) ions to pH 6 to 8, specifically Preparation with lithium by-products of pH 6.08 to 7.0 must be preceded.
이에 본 발명의 산성 리튬 부산물 수세과정은 회수된 리튬 부산물을 건조기에서 완전히 건조시키고, 상기 완전 건조된 리튬 부산물에 증류수 투입, 교반, 여과 및 건조하는 일련의 단계를 반복하여 pH 6 내지 8, 구체적으로는 pH 6.08 내지 7.0의 리튬 부산물을 얻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acidic lithium by-product wash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by repeating a series of steps of completely drying the recovered lithium by-product in a dryer, and adding distilled water to the completely dried lithium by-product, stirring, filtering, and drying the pH 6 to 8, specifically May be to obtain a lithium by-product of pH 6.08 to 7.0.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1차 몰비(Si/Al) 조절Control of the first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충분한 수세과정을 통해 제조한 pH 6 내지 8의 리튬 부산물을 제올라이트 형성에 적합한 구성 몰비로 1차 조정하는 단계에 있어서, 결핍 알루미나 성분 및 실리카 성분을 보충하여 리튬 부산물 내 Si와 Al 성분의 몰비(Si/Al 몰비)를 0.75 내지 3.0 범위가 되도록 성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5 내지 2.5 범위가 되도록 성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25가 되도록 성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In the step of first adjusting a lithium by-product of pH 6 to 8 prepared through a sufficient washing process to a constitutional molar ratio suitable for zeolite formation, the molar ratio of Si and Al components in the lithium by-product (Si /Al molar ratio)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0.75 to 3.0.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component so that it is in the range of 1.5 to 2.5, and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component so that it is 2.25.
리튬 부산물 원료 내 Si와 Al 몰비가 0.75 이하이거나 3.0 이상인 경우, 최종 생성되는 생성물은 제올라이트 결정상 이외에 하이드록시소달라이트(Hydroxysodalite, Na8(AlSiO6)4(OH)2) 또는 아날심 (Analcime, NaAlSi2O6 H2O)과 같이 산업적으로의 응용성이 낮은 제올라이트 형태가 혼입 생성된다. 그러나, 리튬 부산물 원료내 Si와 Al 성분의 몰비 (Si/Al 몰비)를 0.75 내지 3.0 범위로 조정하여 반응시켜 제조하는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이 몰비 조건에 따라 제올라이트 P형, 제올라이트 A형, 제올라이트 X형의 단일 결정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Si and Al molar ratio in the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is 0.75 or less or 3.0 or more, the final product is hydroxysodalite (Hydroxysodalite, Na 8 (AlSiO 6 ) 4 (OH) 2 ) or analsim (Analcime, NaAlSi) in addition to the zeolite crystal phase. 2 O 6 H 2 O), a zeolite form with low industrial applicability is mixed and produced. However,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by reacting by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 and Al components (Si/Al molar ratio) in the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to the range of 0.75 to 3.0, the final product is zeolite P type, zeolite A type, zeolite X type according to the molar ratio condition. It can be produced as a single crystal phase.
이에 본 발명의 리튬 부산물 원료내 Si와 Al 성분의 몰비를 제올라이트 형성에 적합한 구성 몰비로 1차 조정하는 단계는, 리튬 부산물에 알루미나 보충 물질 또는 실리카 보충 물질을 투입하여 리튬 잔사 원료 내 Si와 Al 성분의 몰비 (Si/Al 몰비)를 0.75 내지 3.0 범위 내로 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step of first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 and Al components in the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constitutional molar ratio suitable for zeolite formation is to introduce Si and Al components in the lithium residue raw material by adding an alumina supplementing material or a silica supplementing material to the lithium by-product. It may be a step of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Al molar ratio) to within the range of 0.75 to 3.0.
본 발명에서 알루미나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루미나 보충 물질로는 알루미나 수화물(Al(OH)3), 소듐알루미네이트 (Sodium aluminate, NaAlO2)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실리카 성분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하는 실리카 성분 보충 물질로는 소듐실리케이트 (Sodium silicate, Na2OSiO2)를 각각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umina supplement material used to supplement the alumina component may include alumina hydrate (Al(OH) 3 ), sodium aluminate (NaAlO 2 ), etc., and used to supplement the silica component. As a silica component supplemental material, sodium silicate (Na 2 OSiO 2 ) may be used, respectively.
리튬 부산물에 알카리 물질 첨가Addition of alkaline substances to lithium by-products
상기 몰비로 조정된 리튬 부산물과 알카리 용액의 혼합비 (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100 g/mol 이하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몰비로 조정된 리튬 부산물과 알카리 용액의 혼합비 (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25 g/mol 내지 100 g/mol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혼합비는 50g/mol 내지 90g/mol, 보다 구체적으로는 60g/mol 내지 80g/mol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ixing ratio of the lithium by-product and the alkali solution adjusted to the molar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preferably adjusted to a range of 100 g/mol or less. Specifically, the mixing ratio of the lithium by-product and the alkali solution adjusted to the molar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preferably adjusted in the range of 25 g/mol to 100 g/mol. Specifically, the mixing ratio is preferably adjusted to 50 g/mol to 90 g/mol, more specifically 60 g/mol to 80 g/mol.
리튬 부산물과 알카리 용액의 혼합비 (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100 g/mol 초과의 조건에서 제조한 최종 생성물은 P형 제올라이트에 아날심(Analcime)이 혼입되어 생성되거나 또는 아날심 (Analcime) 단일상으로 생성된다. 즉, 용해제인 알카리 용액에 대비해 원료인 고체 리튬 부산물이 적정 혼합비 이상으로 과다하게 많아지면 알카리 용액의 용해 반응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올라이트 형성에 필요한 알카리 용액으로부터 Na 공급량이 부족하게 되어 제올라이트 결정의 초기 생성물인 아날심 (Analcime)이 결정으로 석출하기 때문이다. 혼합비가 25g/mol 미만인 경우에는 제조 비용 효율성이 낮아져 바람직 하지 못하다.The final product prepar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mixing ratio of the lithium by-product and the alkali solution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more than 100 g/mol is produced by mixing Analcime in P-type zeolite or analsim ( Analcime) produced as a single phase. In other words, when the solid lithium by-product, which is a raw material, is excessively increased above the proper mixing ratio compared to the alkali solution as a dissolving agent, not only the dissolution reaction ability of the alkali solution decreases, but also the amount of Na supply from the alkaline solution required for zeolite formation becomes insufficient. This is because the product, Analcime, precipitates as crystals. If the mixing ratio is less than 25 g/mol, manufacturing cost efficiency is lowered, which is not preferable.
이에 본 발명의 리튬 부산물과 알카리 용액의 혼합비 (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를 조정하는 단계는 혼합비 (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를 100 g/mol 이하 범위로 조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step of adjusting the mixing ratio of the lithium by-product and the alkali sol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a step of adjusting the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to a range of 100 g/mol or less. Can be
몰비 조정된 리튬 부산물 원료에 상기 혼합비로 알카리를 첨가, 용해 반응시켜 하이드로겔 (Hydrogel)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첨가하는 알카리 용액의 OH- 이온 몰농도는 1.0M 내지 6.0M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첨가하는 알카리 용액은 NaOH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OH-이온 몰 농도는 1.5 내지 5.0M, 보다 구체적으로는 2.5 내지 3.5M일 수 있다.In the step of preparing a hydrogel by adding and dissolving alkali to the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with the molar ratio adjusted at the mixing ratio,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the added alkali solution is preferably 1.0M to 6.0M. Do. Specifically, the alkali solution to be added may be NaOH. Specifically,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may be 1.5 to 5.0M, more specifically 2.5 to 3.5M.
첨가하는 OH- 이온 몰농도가 1.0M 이하인 조건에서 제조된 최종 생성물은 제올라이트 결정상 이외에 SOD 또는 아날심 (Analcime, NaAlSi2O6 H2O)이 혼입 생성되어지기 때문에 제올라이트 단일 결정상을 제조할 수 없게 된다. 또한, OH- 이온 몰농도 6.0M 이상의 조건에서 제조된 최종 생성물은 제올라이트 결정이지만 이온 교환능이 적어 산업적으로의 응용성이 부족한 SOD가 단일상으로 생성된다.In addition to the zeolite crystal phase, the final product prepar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added OH - ion molar concentration is 1.0M or less contains SOD or analcime (Analcime, NaAlSi 2 O 6 H 2 O), making it impossible to prepare a single crystal phase of zeolite. do. In addition, the final product prepared under the condition of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6.0M or higher is a zeolite crystal, but the SOD is produced in a single phase, which is insufficient in industrial applicability due to low ion exchange ability.
그러나, OH- 이온 몰농도 1.0M 내지 6.0M 범위의 알카리 용액을 사용한 경우, 최종 생성물은 결정성이 매우 양호한 P형, A형 제올라이트 단일상으로 얻어지게 된다. However, when an alkali solution having an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1.0M to 6.0M is used, the final product is obtained as a single phase of P-type and A-type zeolite having very good crystallinity.
이에, 본 발명에서 리튬 부산물 원료에 첨가하여 용해 반응시켜 하이드로 겔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알카리 물질은 OH- 이온 몰농도가 1.0M 내지 6.0M 일 수 있다.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lkali material used to prepare a hydrogel by dissolving and reacting by adding it to a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may have an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1.0M to 6.0M.
제올라이트 1차 결정화Zeolite primary crystallization
리튬 부산물에 알카리 용액을 혼합하여 생성된 하이드로겔로부터 제올라이트 결정을 제조하기 위한 1차 결정화 단계에 있어서, 1차 결정화 온도는 60 내지 100℃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5℃ 범위가 바람직하다. 1차 결정화 온도가 60℃ 이하인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이 제올라이트 결정에 속하지만 이온 교환능이 적어 산업적으로의 응용성이 낮은 아날심 (Analcime)이 생성되며, 1차 결정화 온도를 100℃ 이상의 조건으로 실시한 경우에는 제올라이트 결정상 이외에 부가적으로 하이드록시 소달라이트가 혼입되어 생성된다.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for preparing zeolite crystals from a hydrogel produced by mixing an alkali solution with a lithium by-product, the firs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60 to 100°C,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90 to 95°C. When the prim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60℃, the final product belongs to the zeolite crystal, but it produces an analcime with low industrial applicability due to low ion exchange capacity, and when the prim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100℃ or higher. In addition to the zeolite crystal phase, hydroxy sodalite is additionally incorporated to form.
또한, 리튬 부산물에 알카리 용액을 혼합하여 생성된 하이드로겔로부터 제올라이트 결정을 제조하기 위한 1차 결정화 단계에 있어서, 1차 결정화 시간은 12시간 이상으로 조정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1차 결정화 시간은 12시간 내지 48시간이다. 상기 1차 결정화 시간을 12시간 미만으로 설정하여 반응시킬 경우에도 최종 생성물은 아날심 (Analcime)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1차 결정화 시간을 48시간 초과로 설정하여 반응시키는 것은 제조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In addition, 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for preparing zeolite crystals from a hydrogel produced by mixing an alkali solution with a lithium by-product,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is preferably adjusted to 12 hours or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is 12 to 48 hours. Even when the reaction is performed by setting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to less than 12 hours, the final produc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is generated as an analcime. It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to react by setting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to more than 48 hours.
또한, 리튬 부산물에 알카리 용액을 혼합하여 생성된 하이드로겔로부터 제올라이트 결정을 제조하기 위한 1차 결정화 단계에 있어서, 교반날은 프로펠라형, 터빈블레이드형, 및 플레이트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 이상이며, 교반기 날개 지름 7cm이고, 날개는 2 내지 4개이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1차 결정화 교반속도는 300 내지 600 rpm 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 결정화 교반속도가 300 rpm 미만인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이 아날심으로 생성되고, 600 rpm 초과의 경우에는 아날심과 SOD가 혼합된 결정상으로 생성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In addition, 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for preparing zeolite crystals from a hydrogel produced by mixing an alkali solution with a lithium by-product, the stirring blade is at least on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opeller type, a turbine blade type, and a plate type, and a stirrer In a stirrer having a blade diameter of 7 cm, blades of 2 to 4, and a reactor volume of 2 L (diameter 13 cm, height 20 cm), the primary crystallization stirring speed is preferably performed at 300 to 600 rpm. When the primary crystallization stirring speed is less than 300 rpm, the final product is generated as an anal shim, and in the case of more than 600 rpm,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is produced as a mixed crystal phase of the anal shim and SOD.
하지만, 하이드로겔을 60 내지 100℃ 범위의 1차 결정화 온도범위 조건, 12시간 이상의 1차 결정화 시간 조건 및 교반날은 프로펠라형, 터빈블레이드형, 및 플레이트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 이상이며, 교반기 날개 지름 7cm이고, 날개는 2 내지 4개이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300 내지 600 rpm의 교반속도 조건으로 조정하여 반응시킨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이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단일 결정상으로 제조할 수 있다.However, the hydrogel is at least one in the group consisting of a propeller type, a turbine blade type, and a plate type, and the condition of the firs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range of 60 to 100°C,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condition of 12 hours or more, and the stirring blade are In the case of reaction with a stirrer with a diameter of 7 cm, 2 to 4 blades, and a reactor volume of 2 L (diameter 13 cm, height 20 cm) under the conditions of a stirring speed of 300 to 600 rpm, the final product is a single zeolite with good crystallinity. It can be produced in a crystalline phase.
이에 본 발명의 제올라이트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는 온도가 60 내지 100℃ 범위, 결정화 시간이 12시간 이상 및 교반날은 프로펠라형, 터빈블레이드형, 및 플레이트형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1 이상이며, 교반기 날개 지름 7cm이고, 날개는 2 내지 4개이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교반속도 300 내지 600 rpm인 단계일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preparing the zeolite cry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60 to 100°C, the crystallization time is at least 12 hours, and the stirring blade is at least on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ropeller type, a turbine blade type, and a plate type, The stirrer blade diameter is 7 cm, the blade is 2 to 4, the reactor volume may be a step of a stirring speed of 300 to 600 rpm in a stirrer having a volume of 2L (diameter 13cm, height 20cm).
제올라이트 1차 결정의 회수Recovery of primary zeolite crystals
제올라이트 1차 결정화 단계 후 고액분리에 의하여 생성된 제올라이트 1차 결정과 여과액을 분리한다.After the first zeolite crystallization step, the first zeolite crystal and the filtrate generated by solid-liquid separation are separated.
분리된 제올라이트 1차 결정은 충분히 수세하고, 건조하여 최종 1차 제품을 회수하는 단계를 거치는데, 이 단계에서 충분한 수세에 의해 과잉의 NaOH를 제거하여 1차 제품의 pH를 7 내지 9로 조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불충분한 수세에 의해 1차 제품에 잔류하게 되는 Na 이온은 제올라이트의 품질 및 성능을 열화 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The separated primary crystals of zeolite are sufficiently washed with water, dried, and the final primary product is recovered.At this stage, excess NaOH is removed by sufficient water washing to adjust the pH of the primary product to 7-9. It is necessary to give. This is because Na ions remaining in the primary product due to insufficient washing with water act as a cause of deteriorating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zeolite.
이에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1차 결정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1차 결정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1차 결정을 충분히 수세하여 과잉의 NaOH를 제거하여 생성물의 pH를 7 내지 9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after the step of preparing zeolite primary crystals, filtering the primary crystals, and adjusting the pH of the product to 7 to 9 by sufficiently washing the filtered primary crystals to remove excess NaOH. It may include.
제올라이트 2차 결정화Zeolite secondary crystallization
제올라이트 1차 결정화 단계 후 고액분리에 의하여 분리된 여과액으로부터 제올라이트 2차 결정을 회수하기 위하여는, 분리된 여과액에 포함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를 2차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몰비가 조절된 여과액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2차 결정화 단계를 거칠 수 있다.In order to recover the zeolite secondary crystals from the filtrate separated by solid-liquid separation after the zeolite primary crystallization step, the step of secondly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contained in the separated filtrate; And a second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filtrate in which the molar ratio is adjusted to prepare crystals.
상기 분리된 여과액에 포함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를 2차 조절하는 단계는 몰비를 0.75 내지 3.0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1차 몰비 조절 단계와 동일하게, 리튬 부산물 원료 내 Si와 Al 성분의 몰비가 0.75 이하이거나 3.0 이상인 경우에는 최종 생성되는 생성물에 제올라이트 결정상 이외에 하이드록시소달라이트(Hydroxysodalite, Na8(AlSiO6)4(OH)2) 또는 아날심 (Analcime, NaAlSi2O6 H2O)과 같이 산업적으로의 응용성이 낮은 제올라이트 형태가 혼입 생성되기 때문이다.In the second controlling of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contained in the separated filtrate,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molar ratio to 0.75 to 3.0. The reas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molar ratio control step, when the molar ratio of Si and Al components in the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is 0.75 or less or 3.0 or more, in addition to the zeolite crystal phase, hydroxysodalite (Na 8 (AlSiO 6 )) in the final product This is because zeolite forms with low industrial applicability such as) 4 (OH) 2 ) or Analcime (NaAlSi 2 O 6 H 2 O) are mixed and produced.
상기 몰비가 2차 조절된 여과액으로부터 제올라이트 결정을 제조하기 위한 2차 결정화 단계에 있어서, 2차 결정화 온도는 60 내지 100℃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5℃ 범위가 바람직하고, 2차 결정화 시간은 2시간 초과로 조정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2차 결정화 시간은 2시간 초과 내지 24시간 이하이다.In the second crystallization step for preparing zeolite crystals from the filtrate in which the molar ratio is secondarily adjusted, the seco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60 to 100°C,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90 to 95°C, and the second crystallization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time to more than 2 hours and carry out. Specifically,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time is more than 2 hours and less than 24 hours.
2차 결정화 온도 한정 이유는 1차 결정화 온도 한정 이유와 동일하게, 2차 결정화 온도가 60℃ 이하인 경우에는 아날심 (Analcime)이 생성되며, 2차 결정화 온도를 100℃ 이상의 조건으로 실시한 경우에는 하이드록시 소달라이트가 혼입되어 생성되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e limitation of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the same as the reason for the limitation of the prim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hen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60℃ or less, an analcime is generated, and when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100℃ or more, hide This is because oxy sodalite is mixed and produced.
2차 결정화 시간을 2시간 이하로 설정하여 반응시킬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은 아날심과 SOD가 혼입, 생성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1차 결정화 반응은 고액반응의 불균질한 반응으로 고체인 리튬 부산물이 장시간에 걸쳐 알칼리에 용해된 후 이온간 축합 반응에 의하여 제올라이트 결정이 생성되는 반응임에 반하여, 2차 결정화 반응은 액체간의 균질한 반응으로서 알칼리에 의한 이온 침전 및 축합 반응에 의해 제올라이트가 생성되는 반응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매우 빠르게 완료되기 때문에, 12시간 이상인 1차 결정화 시간에 비하여 2차 결정화 반응시간이 단축된다. 2차 결정화 시간을 24시간 초과하여 반응시키는 경우에는 제조비용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24시간 이하로 설정하여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reaction by setting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time to 2 hours or less, the final product is not preferable because analsim and SOD are mixed and generated. The primary crystallization reaction is a heterogeneous reaction of a solid-liquid reaction, in which a solid lithium by-product is dissolved in alkali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then zeolite crystals are formed by an interionic condensation reaction, whereas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reaction is a homogeneous reaction between liquids. As one reaction, since it is a reaction in which zeolite is generated by ion precipitation and condensation reaction by alkali, the reaction is completed relatively very quickly, so that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reaction time is shortened compared to the primary crystallization time of 12 hours or longer. When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time is exceeded 24 hours, it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manufacturing cost, so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eaction time to 24 hours or less.
이에 본 발명의 제올라이트 결정을 제조하는 2차 결정화 단계는 온도가 60 내지 100℃ 범위, 결정화 시간은 2시간 초과인 단계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crystallization step of preparing the zeolite cryst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tep in which the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60 to 100°C and the crystallization time is more than 2 hours.
제올라이트 2차 결정의 회수Recovery of secondary crystals of zeolite
제올라이트 2차 결정화 단계 후 고액분리에 의하여 생성된 제올라이트 2차 결정과 여과액을 분리한다.After the zeolite secondary crystallization step, the zeolite secondary crystals generated by solid-liquid separation and the filtrate are separated.
분리된 제올라이트 2차 결정은 충분히 수세하고, 건조하여 최종 2차 제품을 회수하는 단계를 거치는데, 이 단계에서 충분한 수세에 의해 과잉의 NaOH를 제거하여 2차 제품의 pH를 7 내지 9로 조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불충분한 수세에 의해 2차 제품에 잔류하게 되는 Na 이온은 제올라이트의 품질 및 성능을 열화 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The separated zeolite secondary crystals are sufficiently washed with water and dried to recover the final secondary product.At this stage, excess NaOH is removed by sufficient water washing to adjust the pH of the secondary product to 7-9. It is necessary to give. This is because Na ions remaining in the secondary product due to insufficient water washing act as a cause of deteriorating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zeolite.
이에 본 발명은 제올라이트 2차 결정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2차 결정을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2차 결정을 충분히 수세하여 과잉의 NaOH를 제거하여 생성물의 pH를 7 내지 9 영역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pH of the product to the 7 to 9 range by removing excess NaOH by sufficiently washing the second crystal after the step of preparing the zeolite secondary crystal, filtering the secondary crystal, and sufficiently washing the filtered secondary crystal. It may include steps.
실시예Example
(1) 리튬 부산물의 제조(1) Preparation of lithium by-products
산화리튬 (Li2O) 함량이 약 1.5% 정도인 리튬 광석을 부유선광 등으로 장석과 운모 등을 제거하여 산화리튬 (Li2O) 함량 약 6% 정도로 농축시킨 호주산 갤럭시광을 이용하였다.Lithium ore with a lithium oxide (Li 2 O) content of about 1.5% was removed from feldspar and mica by flotation ore, and concentrated to a lithium oxide (Li 2 O) content of about 6%.
이후, 1000℃로 열처리 하여 β-spodumene으로 전이시킨 후, 분쇄 처리하여 후속공정에서의 반응성 향상을 위해 입도 조정 하였다. 입도 조정된 β-spodumene에 95% 황산을 무게비로 3배 첨가, 혼합한 후 250℃에서 1시간 황산 배소처리 하였다.Thereafter, heat treatment was performed at 1000°C to convert to β-spodumene, followed by pulverization treatment to adjust the particle size to improve reactivity in the subsequent process. 95% sulfuric acid was added 3 times by weight ratio to β-spodumene whose particle size was adjusted, mixed, and then roasted with sulfuric acid for 1 hour at 250°C.
황산 배소 후 무게비로 5배의 물을 첨가, 교반하여 1시간 동안 수침출하고, 필터프레스를 이용하여 고액 분리함으로써 리튬 부산물을 회수하였다.After roasting with sulfuric acid, 5 times the weight of water was added and stirred for 1 hour, followed by water leaching for 1 hour, and solid-liquid separation using a filter press to recover lithium by-products.
필터프레스에서 회수한 리튬 부산물의 구성 성분과 함량을 하기 표 1 및 2에, XRD 분석결과를 표 3에, 입도분포를 측정 결과를 도 2에 각각 나타내었다.Components and contents of lithium by-products recovered from the filter pres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XRD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measurements are shown in Fig. 2, respectively.
필터프레스에서 회수한 리튬 부산물은 매우 미세한 입자들이 뭉쳐져 있는 상태이고, 함수율은 약 39%정도, pH는 약산성인 3.1정도를 나타내었다.The lithium by-product recovered from the filter press was in a state in which very fine particles were aggregated, the moisture content was about 39%, and the pH was about 3.1, which was slightly acidic.
(2) 리튬 부산물의 pH 조절(2) pH control of lithium by-products
[발명예 1] 상기 제조된 리튬 부산물을 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시키고, 완전 건조된 리튬 부산물 3Kg에 증류수 15kg을 첨가하여, 고액비(물/리튬 부산물, 중량비) 5/1 조건으로 조정하고, 500 rpm으로 3시간 교반 후 여과, 건조하는 일연의 조작을 3회 반복하여 3회 수세하여 pH 6 내지 8의 리튬 부산물을 제조하였다.[Inventive Example 1] The prepared lithium by-product was sufficiently dried in a dryer, and 15 kg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3 kg of the completely dried lithium by-product, and the high-liquid ratio (water/lithium by-product, weight ratio) was adjusted to 5/1 conditions, and 500 rpm After stirring for 3 hours, the operation of filtering and drying was repeated 3 times and washed with
수세된 리튬 부산물의 pH를 폐기물 공정 시험방법의 pH 측정기준에 따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The pH of the washed lithium by-product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pH measurement standard of the waste process test metho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비교예 1] 수세 조작을 1회만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세를 실시하고, 수세한 리튬 부산물의 pH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1] Washing wa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washing operation was performed only once, and the pH of the washed lithium by-product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비교예 2] 수세 조작을 2회만 실시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수세를 실시하고, 수세한 리튬 부산물의 pH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2] Washing was perform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washing operation was performed only twice, and the pH of the washed lithium by-product was measur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잔사/물, 중량비)High cost
(Residue/water, weight ratio)
또한, 리튬 잔사를 1회, 2회, 3회 수세하여 제조한 시료의 성분 및 함량을 ICP로 분석하여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contents of the samples prepared by washing the lithium residue with water once, twice, and three times were analyzed by ICP, and are shown in Table 5 below.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발명예 1에서 고액비(리튬 부산물/물 중량비) 1/5의 조건으로 교반, 여과, 건조하는 일연의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제조한 리튬 부산물의 최종 pH는 6.08로서, 수침출 후 최초 회수된 공정 발생 리튬 부산물의 pH 3.13에 비하여 중성영역인 pH 6.08에 도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반복 수세과정에 의하여 리튬 부산물 내에 잔류하고 있던 과량의 미반응 황산용액이 제거되었기 때문이다.As shown in Table 4, in Inventive Example 1, the final pH of the lithium by-product prepared by repeating three times of stirring, filtering, and drying under the conditions of 1/5 of a high-liquid ratio (lithium by-product/water weight ratio) was 6.08. , It was found that the pH reached 6.08, which is a neutral region, compared to the pH 3.13 of the first recovered process-generated lithium by-product after water leaching. This is because excess unreacted sulfuric acid solution remaining in the lithium by-product was removed by repeated washing with water.
그러나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경우, 수세 회수를 1회 또는 2회만 실시하여 제조된 리튬 부산물의 pH가 각각 3.23, 3.84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수세된 리튬 부산물에는 황산 배소시 사용한 과량의 황산에 의한 황산이온(SO4 2-)가 잔류하고 있어 약산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2, the pH of the lithium by-product prepared by performing only one or two washing times was 3.23 and 3.84, respectively.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washed lithium by-products of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remained weakly acidic due to the remaining sulfate ions (SO 4 2- ) caused by an excess of sulfuric acid used during sulfuric acid roasting.
따라서, 산성을 나타내는 리튬 부산물을 충분히 수세하여 리튬 부산물로부터 배소 시 사용한 산의 짝염기, 바람직하게는 황산이온 (SO4 2-)을 제거함으로써 리튬 부산물의 pH를 6 내지 8의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6.08 내지 7.0의 범위로 형성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sufficiently washing the acidic lithium by-product with water to remove the conjugate base of the acid used during roasting from the lithium by-product, preferably the sulfate ion (SO 4 2- ), the pH of the lithium by-product is in the range of 6 to 8, more specifically It can be formed in the range of 6.08 to 7.0.
상기 표 5에서와 같이, 수세 회수에 따라 제조된 리튬 부산물의 성분 및 함량 변화 유무를 확인한 결과, 수세 횟수에 따라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정 발생 리튬 부산물을 제올라이트 제조를 위한 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세과정을 통해 리튬 부산물 내에 존재하고 있는 황산이온(SO4 2-)을 최소화 시켜 리튬 부산물의 pH를 6 내지 8영역으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able 5,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anges in the components and contents of lithium by-products prepar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washings with wat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little change depending on the number of washings with water.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process-generated lithium by-product as a raw material for zeolite production, the pH of the lithium by-product is adjusted to 6 to 8 by minimizing the sulfate ions (SO 4 2- ) present in the lithium by-product through sufficient water washing. You can see that it is very important.
(3)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Si/Al)의 1차 조절(3) Primary control of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발명예 2] 발명예 1에 따라 수세한 리튬 부산물의 알루미늄(Al) 성분은 12.6mol이었고, 실리콘(Si) 성분은 31.4mol이었다. pH 6 내지 8 영역의 리튬 부산물 40g에 알루미나 보충물질로서 소듐알루미네이트(NaAlO2)를 첨가하여 리튬 부산물 내 Si/Al의 몰비를 0.75로 조절하였다.[Inventive Example 2] The aluminum (Al) component of the lithium by-product washed with water according to Inventive Example 1 was 12.6 mol, and the silicon (Si) component was 31.4 mol. Sodium aluminate (NaAlO 2 ) was added as an alumina supplement to 40 g of lithium by-products in the pH range of 6 to 8 to adjust the molar ratio of Si/Al in the lithium by-product to 0.75.
성분 조정된 리튬 부산물을 2L 유리 반응기에 투입한 후, 2.5M NaOH 용액 1000ml(첨가량: 리튬잔사 50g/2.5M NaOH 1L)를 투입하고, 500 rpm으로 1 내지 5분간 교반하여 리튬 잔사 원료가 균질하게 분산된 하이드로겔 상태의 슬러리를 제조하였다.After introducing the component-adjusted lithium by-product into a 2L glass reactor, 1000ml of a 2.5M NaOH solution (addition: 50g/2.5M NaOH 1L) was added and stirred at 500 rpm for 1 to 5 minutes to make the lithium residue raw material homogeneous. A slurry in a dispersed hydrogel state was prepared.
제조된 하이드로겔을 90℃로 승온하여 500rpm으로 교반하면서 24시간 동안 유지하여 결정화하였다. 결정화 후, 시료를 여과하여 고액분리한 다음 pH가 9가 될 때까지 반복 수세하고, 수세가 끝난 시료는 여과하여 105℃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였다.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각각 나타내었다.The prepared hydrogel was heated to 90° C., stirred at 500 rpm, and maintained for 24 hours to crystallize. After crystallization, the sample was filtered to separate solid-liquid, and washed repeatedly until the pH reached 9, and the sample after washing was filtered and sufficiently dried at 105°C to prepare a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발명예 3] 리튬 부산물 내 Si/Al의 몰비를 1.0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3] Except that the molar ratio of Si/Al in the lithium by-product was adjusted to 1.0,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발명예 4] 리튬 부산물 내 Si/Al의 몰비를 1.5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4] Except that the molar ratio of Si/Al in the lithium by-product was adjusted to 1.5,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발명예 5] 리튬 부산물 내 Si/Al의 몰비를 2.0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5] Except that the molar ratio of Si/Al in the lithium by-product was adjusted to 2.0,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발명예 6] 리튬 부산물 내 Si/Al의 몰비를 2.25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6] Except that the molar ratio of Si/Al in the lithium by-product was adjusted to 2.25,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발명예 7] 리튬 부산물 내 Si/Al의 몰비를 2.5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7] Except that the molar ratio of Si/Al in the lithium by-product was adjusted to 2.5,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발명예 8] 리튬 부산물 내 Si/Al의 몰비를 3.0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8] Except that the molar ratio of Si/Al in the lithium by-product was adjusted to 3.0,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비교예 3] 리튬 부산물 내 Si/Al의 몰비를 0.5으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3] Except that the molar ratio of Si/Al in the lithium by-product was adjusted to 0.5,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비교예 4] 리튬 부산물 내 Si/Al의 몰비를 3.5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4] Except that the molar ratio of Si/Al in the lithium by-product was adjusted to 3.5,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농도(M)NaOH
Concentration (M)
(OH-mol/부산물g)Amount of alkali added
(OH - mol/g by product)
온도(℃)crystallization
Temperature(℃)
시간(hr)crystallization
Time(hr)
* 상기 표 6에서 Z-A, Z-X 및 Z-P는 각각 A형 제올라이트, X형 제올라이트 및 P형 제올라이트를 의미한다. H.S 는 하이드록사이드소달라이트를 의미한다.* In Table 6, Z-A, Z-X and Z-P mean A-type zeolite, X-type zeolite, and P-type zeolite, respectively. H.S means hydroxide sodalite.
상기 표 6에서와 같이, 부족한 알루미나 성분을 추가, 공급하여 Si/Al 몰 비를 0.75 내지 3.0으로 1차 조정한 발명예 2 내지 8의 경우, 최종 생성물은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A형, 제올라이트 X형 및 제올라이트 P형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Si/Al 몰비를 조정하지 않은 리튬 부산물 원료 몰비 (Si/Al=2.25) 그대로 사용한 경우(발명예 6)에도 제올라이트 P형 단일상을 제조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6, 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s 2 to 8 in which the Si/Al molar ratio was first adjusted to 0.75 to 3.0 by adding and supplying insufficient alumina components, the final products were zeolite A type and zeolite X having good crystallinity. And zeolite P-type. In addition, a zeolite P-type single phase could be produced even when the molar ratio of the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Si/Al=2.25) was used without adjusting the Si/Al molar ratio (Invention Example 6).
반면, Si/Al 몰비를 0.5로 낮게 1차 조정하여 상대적으로 Al 함량이 높은 비교예 3의 경우, 최종 생성물은 제올라이트 A형 이외에 아날심이 혼입되어 생성되었으며, Si/Al 몰비가 3.5로 높게 조정하여 상대적으로 Si 함량이 높은 비교예 4의 경우, 제올라이트 P형 이외에 하이드록시소달라이트가 혼입되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3 having a relatively high Al content by first adjusting the Si/Al molar ratio to 0.5, the final product was produced by mixing an anal shim other than zeolite A type, and the Si/Al molar ratio was adjusted to 3.5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4 having a relatively high Si content, it was confirmed that hydroxysodalite was mixed in addition to zeolite P-type to be produced.
따라서, pH 6 내지 8의 리튬 부산물 원료 몰비 (Si/Al=2.25)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성분 조정을 통해 Si/Al 성분 몰비를 0.75 내지 3.0 범위 내로 1차 조정하여 제조하면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단일상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molar ratio of the lithium by-product material at pH 6 to 8 (Si/Al=2.25) is used as it is or the Si/Al component molar ratio is first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0.75 to 3.0 through component adjustment, zeolite single phase with good crystallinity You can see that you can get
(4)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 (리튬 부산물의 중량/OH(4) Mixing ratio of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 이온 몰수) 조절 Number of moles of ions)
[발명예 9] 리튬 부산물 25g을 2L 유리 반응기에 투입한 후 1.0M NaOH 용액 1000 mL를 각각 투입하여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NaOH 1M의 OH- 이온 몰농도는 1M이므로,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25 g/mol이다.[Inventive Example 9] A final product was prepared by carrying out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6, except that 25 g of lithium by-products were added to a 2L glass reactor and then 1000 mL of a 1.0 M NaOH solution was added to each of them.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At this time, since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NaOH 1M is 1M,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25 g/mol.
[발명예 10] 리튬 부산물 50g을 2L 유리 반응기에 투입한 후 1.0M NaOH 용액 1000 mL를 각각 투입하여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NaOH 1M의 OH- 이온 몰농도는 1M이므로,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50 g/mol이다.[Inventive Example 10] A final product was prepared by carrying out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6, except that 50 g of lithium by-products were added to a 2L glass reactor and then 1000 mL of 1.0 M NaOH solution was added to each.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At this time, since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1M NaOH is 1M,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50 g/mol.
[발명예 11] 리튬 부산물 60g을 2L 유리 반응기에 투입한 후 1.0M NaOH 용액 1000 mL를 각각 투입하여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NaOH 1M의 OH- 이온 몰농도는 1M이므로,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60 g/mol이다.[Inventive Example 11] A final product was pre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6, except that 60 g of lithium by-products were added to a 2L glass reactor and then 1000 mL of a 1.0 M NaOH solution was added to each of them.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At this time, since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1M NaOH is 1M,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60 g/mol.
[발명예 12] 리튬 부산물 70g을 2L 유리 반응기에 투입한 후 1.0M NaOH 용액 1000 mL를 각각 투입하여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NaOH 1M의 OH- 이온 몰농도는 1M이므로,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70 g/mol이다.[Inventive Example 12] A final product was prepared by carrying out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6, except that 70 g of lithium by-products were added to a 2L glass reactor and then 1000 mL of a 1.0 M NaOH solution was added to each of them.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At this time, since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1M NaOH is 1M,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70 g/mol.
[발명예 13] 리튬 부산물 80g을 2L 유리 반응기에 투입한 후 1.0M NaOH 용액 1000 mL를 각각 투입하여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NaOH 1M의 OH- 이온 몰농도는 1M이므로,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80 g/mol이다.[Inventive Example 13] A final product was prepared by carrying out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6, except that 80 g of lithium by-products were added to a 2L glass reactor and then 1000 mL of a 1.0M NaOH solution was added to each of them.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At this time,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NaOH 1M is 1M, so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80 g/mol.
[발명예 14] 리튬 부산물 90g을 2L 유리 반응기에 투입한 후 1.0M NaOH 용액 1000 mL를 각각 투입하여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NaOH 1M의 OH- 이온 몰농도는 1M이므로,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90 g/mol이다.[Inventive Example 14] A final product was prepared by carrying out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6, except that 90 g of lithium by-products were added to a 2L glass reactor and then 1000 mL of a 1.0 M NaOH solution was added to each of them.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At this time, since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NaOH 1M is 1M,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90 g/mol.
[발명예 15] 리튬 부산물 100g을 2L 유리 반응기에 투입한 후 1.0M NaOH 용액 1000 mL를 각각 투입하여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NaOH 1M의 OH- 이온 몰농도는 1M이므로,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100 g/mol이다.[Inventive Example 15] A final product was prepared by carrying out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6, except that 100 g of lithium by-products were added to a 2L glass reactor and then 1000 mL of a 1.0 M NaOH solution was added to each.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At this time, since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NaOH 1M is 1M,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100 g/mol.
[비교예 5] 리튬 부산물 150g을 2L 유리 반응기에 투입한 후 1.0M NaOH 용액 1000 mL를 각각 투입하여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NaOH 1M의 OH- 이온 몰농도는 1M이므로,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150 g/mol이다.[Comparative Example 5] A final product was prepared by carrying out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6, except that 150 g of lithium by-products were added to a 2L glass reactor and then 1000 mL of a 1.0 M NaOH solution was added to each of them.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At this time, since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NaOH 1M is 1M,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150 g/mol.
[비교예 6] 리튬 부산물 200g을 2L 유리 반응기에 투입한 후 1.0M NaOH 용액 1000 mL를 각각 투입하여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여 최종 생성물을 제조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이때, NaOH 1M의 OH- 이온 몰농도는 1M이므로,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200 g/mol이다.[Comparative Example 6] A final product was prepared by carrying out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6, except that 200 g of lithium by-products were added to a 2L glass reactor and then 1000 mL of 1.0 M NaOH solution was added to each.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7. At this time, since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1M NaOH is 1M,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200 g/mol.
(hr)Crystallization time
(hr)
결정성Produce crystal phase/
Crystallinity
* 상기 표 7에서 Z-P는 P형 제올라이트를 의미한다.* In Table 7, Z-P means a P-type zeolite.
상기 표 7에서와 같이, 조정되지 않은 리튬 부산물 원료 몰비 (Si/Al=2.25)를 가지는 리튬 부산물을 사용하고,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를 100 g/mol 이하로 조정하여 제조한 발명예 9 내지 15의 최종 생성물은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P형 단일상으로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s shown in Table 7, a lithium by-product having an unadjusted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molar ratio (Si/Al=2.25) was used, and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was 100 g/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l products of Inventive Examples 9 to 15 prepared by adjusting to mol or less were produced as a single phase of zeolite P type having good crystallinity.
반면,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를 100 g/mol 초과로 조정한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경우에는 P형 제올라이트 이외에 아날심이 혼입되어 생성되거나, 아날심 단일상으로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5 and 6 in which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was adjusted to more than 100 g/mol, in addition to the P-type zeolite, an anal shim was mixed, or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generated as a single phase.
따라서,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를 100 g/mol 이하로 조정하여 결정화 시키면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몰비로 조정된 리튬 부산물/알칼리 용액 혼합비(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25 g/mol 내지 100 g/mol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a zeolite having good crystallinity can be prepared by adjusting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to 100 g/mol or less to crystallize. Specifically, the lithium by-product/alkali solution mixing ratio (weight of lithium by-product/OH -number of moles of ions) adjusted to the molar ratio is preferably adjusted in the range of 25 g/mol to 100 g/mol.
(5) 알칼리 물질의 농도 조절(5)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alkaline substances
[발명예 16]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1.0M, 즉 OH- 이온 몰농도 1.0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16]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ne substance was adjusted to 1.0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1.0M,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0,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발명예 17]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1.5M, 즉 OH- 이온 몰농도 1.5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17]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ne substance was adjusted to 1.5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1.5M,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0,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발명예 18]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2.0M, 즉 OH- 이온 몰농도 2.0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18]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ne substance was adjusted to 2.0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2.0M,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0,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발명예 19]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2.5M, 즉 OH- 이온 몰농도 2.5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19]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 substance was adjusted to 2.5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2.5M,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0,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발명예 20]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3.0M, 즉 OH- 이온 몰농도 3.0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20]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ne substance was adjusted to 3.0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3.0M,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0,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발명예 21]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3.5M, 즉 OH- 이온 몰농도 3.5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21]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0,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ne substance was adjusted to 3.5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3.5M,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발명예 22]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4.0M, 즉 OH- 이온 몰농도 4.0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22]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0,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ne substance was adjusted to 4.0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4.0M,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발명예 23]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5.0M, 즉 OH- 이온 몰농도 5.0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23]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ne substance was adjusted to 5.0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5.0M,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0,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발명예 24]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6.0M, 즉 OH- 이온 몰농도 6.0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24]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0,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ne substance was adjusted to 6.0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6.0M,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비교예 7]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0.5M, 즉 OH- 이온 몰농도 0.5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7]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on Example 10,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ne substance was adjusted to 0.5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0.5M,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비교예 8]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7.0M, 즉 OH- 이온 몰농도 7.0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8]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on Example 10,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ne substance was adjusted to 7.0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7.0M,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비교예 9]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10.0M, 즉 OH- 이온 몰농도 10.0M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0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9]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0, except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ne substance was adjusted to 10.0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10.0M, and the final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were analyzed by XRD and are shown in Table 8 below.
(hr)Crystallization time
(hr)
* 상기 표 8에서 Z-A, Z-X 및 Z-P는 각각 A형 제올라이트, X형 제올라이트 및 P형 제올라이트를 의미한다.* In Table 8, Z-A, Z-X and Z-P mean A-type zeolite, X-type zeolite, and P-type zeolite, respectively.
상기 표 8에서와 같이, 성분 조정하여 Si/Al 몰비가 2.25로 그대로인 리튬 부산물을 사용하고, 알칼리 물질로서 투입한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1.0 내지 6.0M로, 즉 OH- 이온 몰농도 1.0 내지 6.0M로 조절한 발명예 16 내지 발명예 24의 경우, 최종 생성물은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A형, 제올라이트 X형, 제올라이트 P형, 제올라이트 P+A형 및 제올라이트 A+X형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8, a lithium by-product with a Si/Al molar ratio of 2.25 was used by adjusting the compon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dded as an alkali material was 1.0 to 6.0 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Inventive Examples 16 to 24 adjusted to 1.0 to 6.0 M, the final product was prepared from zeolite A type, zeolite X type, zeolite P type, zeolite P+A type, and zeolite A+X type. Could
반면,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1.0M 미만인 0.5M, 즉 OH- 이온 몰농도 0.5M로 을 사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7의 경우에는 제올라이트 결정이기는 하나 이온 교환능이 작아 산업적으로 응용성이 낮은 아날심과 SOD 혼합상이 생성되며, 수산화나트륨(NaOH) 용액의 농도를 7.0M 이상, 즉 OH- 이온 몰농도 7.0M 이상으로 사용한 비교예 8 및 비교예 9의 경우에는 SOD 단일상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7 prepared using a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concentration of less than 1.0M 0.5M, that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0.5M, although it is a zeolite crystal, its ion exchange capacity is small, making it industrially applicable.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8 and 9 using a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concentration of 7.0M or more, that is, an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7.0M or more, a low analsim and SOD mixed phase is generated. I could confirm that.
따라서, 알카리 용액 첨가에 의해 리튬 부산물의 용해 반응을 진행시키는 경우에는 OH- 이온 몰농도를 1.0M 내지 6.0M 범위 내의 용액을 사용하여 결정화 시키면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단일 결정상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the case of proceeding the dissolution reaction of lithium by-products by addition of an alkali solution, it was confirmed that a single crystal phase of zeolite with good crystallinity can be prepared by crystallizing the OH - ion molar concentration using a solution within the range of 1.0M to 6.0M. Could
(6) 1차 결정화 온도의 조절(6) control of the prim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발명예 25] 1차 결정화 온도를 6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25] Except that the prim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adjusted to 60° C., and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6,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9.
[발명예 26] 1차 결정화 온도를 7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26]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adjusted to 70°C, and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6,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9.
[발명예 27] 1차 결정화 온도를 8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27]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adjusted to 80°C, and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6,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9.
[발명예 28] 1차 결정화 온도를 9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28]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adjusted to 90°C, and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6,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9.
[발명예 29] 1차 결정화 온도를 10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29]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adjusted to 100°C, and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6,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9.
[비교예 10] 1차 결정화 온도를 5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10]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6,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adjusted to 50°C,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9.
[비교예 11] 1차 결정화 온도를 11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11]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adjusted to 110 ℃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Inventive Example 16,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as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9.
[비교예 12] 1차 결정화 온도를 12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16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12] Except that the prim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adjusted to 120 °C and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16,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9.
Si/Al (몰비)Residue
Si/Al (molar ratio)
(hr.)Crystallization time
(hr.)
* 상기 표 9에서 Z-P는 각각 P형 제올라이트를 의미한다. H.S는 하이드록시 소달라이트를 의미한다.* In Table 9, Z-P means each P-type zeolite. H.S means hydroxy sodalite.
상기 표 9에서와 같이, 리튬 부산물 원료 구성 몰비 (Si/Al 몰비=2.25) 그대로인 리튬 부산물을 사용하고, 농도가 1.0M인 수산화나트륨 (NaOH) 용액을 사용하여 제조한 하이드로 겔을 1차 결정화 온도 60 내지 100℃범위에서 결정화하여 제조한 발명예 25 내지 29의 최종 생성물은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P형 단일상으로 제조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9, a hydrogel prepared using a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composition molar ratio (Si/Al molar ratio = 2.25) as it is, and a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1.0M is used as a prim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he final products of Inventive Examples 25 to 29 prepared by crystallization in the range of 60 to 100°C could be prepared as a single phase of zeolite P type having good crystallinity.
그러나, 결정화 온도를 60℃ 이하로 조절한 비교예 10의 경우에는 제조된 최종 생성물이 아날심 단일상이었으며, 각각 110℃, 120℃로 1차 결정화 온도 조절한 비교예 11 및 비교예 12의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로 P형 제올라이트 이외에 하이드록시소달라이트가 혼입, 생성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10 in which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adjusted to 60°C or less, the final product produced was an analsim single phase, and Comparative Examples 11 and 12 in which the prim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adjusted to 110°C and 120°C,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P-type zeolite, it was confirmed that hydroxysodalite was mixed and produced as a final product.
따라서, 1차 결정화 온도를 60 내지 100℃로 조절하여 제조하면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결정상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a zeolite crystal phase having good crystallinity can be prepared by adjusting the primary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o 60 to 100°C.
(7) 1차 결정화 시간의 조절(7) Control of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발명예 30] 1차 결정화 시간을 12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8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30]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8,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12 hours,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0.
[발명예 31] 1차 결정화 시간을 24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8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31]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8,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24 hours,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0.
[발명예 32] 1차 결정화 시간을 48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8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32]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on Example 28,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48 hours,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0.
[비교예 13] 1차 결정화 시간을 1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8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13]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8,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1 hour,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0.
[비교예 14] 1차 결정화 시간을 3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8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14]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8,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3 hours,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0.
[비교예 15] 1차 결정화 시간을 6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28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15]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28, except that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6 hours,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0.
Si/Al (몰비) Residue
Si/Al (molar ratio)
(hr.)Crystallization time
(hr.)
결정성Produce crystal phase/
Crystallinity
* 상기 표 10에서 Z-P는 P형 제올라이트를 의미한다.* In Table 10, Z-P means P-type zeolite.
상기 표 10에서와 같이, 리튬 부산물 원료 구성 몰비 (Si/Al 몰비=2.25) 그대로인 리튬 부산물을 사용하고, 농도가 1.0M인 수산화나트륨 (NaOH) 용액, 결정화 온도를 90℃로하여 12 시간 이상 1차 결정화 하여 제조한 발명예 30 내지 32의 최종 생성물은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P형으로 제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10, a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composition molar ratio (Si/Al molar ratio=2.25) was used as it was, and a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1.0M,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set to 90° C. for 12 hours or mor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l products of Inventive Examples 30 to 32 prepared by secondary crystallization were prepared as zeolite P-type with good crystallinity.
그러나 비교예 13 내지 15에 나타난 바와 같이, 1차 결정화 시간을 12시간 이하로 한 경우, 즉 1차 결정화 시간을 1, 3, 6시간으로 각각 실시한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이 아날심 단일상으로만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Comparative Examples 13 to 15, when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is 12 hours or less, that is, when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is 1, 3, and 6 hours, respectively, the final product is produced only as an analsim single phase. Could be confirmed.
따라서, 1차 결정화 시간을 12시간 이상의 범위로 조절하여 제조하면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결정상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a zeolite crystal phase having good crystallinity can be prepared by adjusting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to a range of 12 hours or more.
(8) 1차 결정화 교반속도의 조절(8) Adjustment of the first crystallization stirring speed
[발명예 33] 교반날은 2개의 플레이트형이고 날개 지름 7cm 이며 폭이 1.5cm이었으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교반속도를 300 rpm으로 하여 1차 결정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1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1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각각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33] The stirring blade is two plate-shaped, the blade diameter is 7cm, the width is 1.5cm, the reactor volume is 2L (diameter 13cm, height 20cm) except for the first crystallization at a stirring speed of 300 rpm in a stirrer Then, a final primary produ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Inventive Example 31,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oduced final prim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1 below.
[발명예 34] 교반날은 2개의 플레이트형이고 날개 지름 7cm 이며 폭이 1.5cm이었으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교반속도를 400 rpm으로 하여 1차 결정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1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1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각각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34] The stirring blade is two plate-shaped, the blade diameter is 7cm, the width is 1.5cm, the reactor volume is 2L (diameter 13cm, height 20cm), except for the primary crystallization at a stirring speed of 400 rpm in a stirrer Then, a final primary produ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Inventive Example 31,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oduced final prim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1 below.
[발명예 35] 교반날은 2개의 플레이트형이고 날개 지름 7cm 이며 폭이 1.5cm이었으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교반속도를 500 rpm으로 하여 1차 결정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1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1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각각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35] The stirring blade is two plate-shaped, the blade diameter is 7cm, the width is 1.5cm, the reactor volume is 2L (diameter 13cm, height 20cm) except for the primary crystallization at a stirring speed of 500 rpm in a stirrer Then, a final primary produ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Inventive Example 31,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oduced final prim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1 below.
[발명예 36] 교반날은 2개의 플레이트형이고 날개 지름 7cm 이며 폭이 1.5cm이었으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교반속도를 600 rpm으로 하여 1차 결정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1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1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각각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36] The stirring blade is two plate-shaped, the blade diameter is 7cm, the width is 1.5cm, the reactor volume is 2L (diameter 13cm, height 20cm) except for the first crystallization at a stirring speed of 600 rpm in a stirrer Then, a final primary produ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Inventive Example 31,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oduced final prim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1 below.
[비교예 16] 교반하지 않고 (교반속도 0 rpm) 하여 1차 결정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1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1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각각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16] A final primary produ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Invention Example 31, except that the primary crystallization was performed without stirring (stirring
[비교예 17] 교반날은 2개의 플레이트형이고 날개 지름 7cm 이며 폭이 1.5cm이었으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교반속도를 200 rpm으로 하여 1차 결정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1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1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각각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17] The stirring blade is two plate-shaped, the blade diameter is 7cm, the width is 1.5cm, the reactor volume is 2L (diameter 13cm, height 20cm) except for the first crystallization at a stirring speed of 200 rpm in a stirrer Then, a final primary produ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Inventive Example 31,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oduced final prim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1 below.
[비교예 18] 교반날은 2개의 플레이트형이고 날개 지름 7cm 이며 폭이 1.5cm이었으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교반속도를 700 rpm으로 하여 1차 결정화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1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1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각각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18] The stirring blade is two plate-shaped, the blade diameter is 7cm, the width is 1.5cm, the reactor volume is 2L (diameter 13cm, height 20cm) except for the first crystallization at a stirring speed of 700 rpm in a stirrer Then, a final primary produ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Inventive Example 31,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oduced final prim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1 below.
(hr.)Crystallization time
(hr.)
* 상기 표 11에서 Z-P는 P형 제올라이트를 의미한다.* In Table 11, Z-P means P-type zeolite.
상기 표 11에서와 같이, 리튬 부산물 원료 구성 몰비 (Si/Al 몰비=2.25) 그대로인 리튬 부산물을 사용하고, 농도가 1.0M인 수산화나트륨 (NaOH) 용액, 결정화 온도를 90℃로 하고, 결정화 시간을 24시간으로 하며, 교반날은 2개의 플레이트형이고 날개 지름 7cm 이며 폭이 1.5cm이었으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교반속도를 300 내지 600 rpm으로 제조한 발명예 33 내지 36의 최종 생성물은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P형으로 제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11, the lithium by-product raw material composition molar ratio (Si/Al molar ratio=2.25) was used as it was, and a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1.0M,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was 90°C, and the crystallization time was Inventive Example 33 in which the stirring blade was two plate-shaped, the blade diameter was 7 cm, and the width was 1.5 cm, and the stirring speed was 300 to 600 rpm in a stirrer with a reactor volume of 2 L (diameter 13 cm, height 20 cm).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l products of to 36 were prepared as zeolite P-type having good crystallinity.
그러나 비교예 16 내지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교반하지 않은 경우, 교반속도를 200 rpm, 또는 700 rpm으로 한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이 아날심 단일상 또는 아날심, SOD 및 제올라이트 P형이 혼합된 것으로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Comparative Examples 16 to 18, when not agitated, when the stirring speed is set to 200 rpm, or 700 rpm, the final product is produced as an analsim single phase or a mixture of analsim, SOD and zeolite P type. Could be confirmed.
따라서, 1차 결정화시 교반날은 2개의 플레이트형이고 날개 지름 7cm 이며 폭이 1.5cm이었으며, 반응기 부피는 2L (지름 13cm, 높이 20cm)인 교반기에서 교반 속도를 300 내지 600 rpm의 범위로 조절하여 제조하면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결정상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n the first crystallization, the stirring blade was two plate-shaped, the blade diameter was 7 cm, and the width was 1.5 cm, and the stirring speed was adjusted in the range of 300 to 600 rpm in a stirrer with a reactor volume of 2 L (diameter 13 cm, height 20 cm). When prepared, it was confirmed that a zeolite crystal phase having good crystallinity could be produced.
(9) 1차 결정화 후 여과액 분리(9) Filtrate separation after first crystallization
상기 알칼리 농도 1.0M, 3.0M, 5.0M, 6.0M을 사용하한 발명예 16, 20, 23, 24를 제올라이트로 1차 결정화시킨 후 고액분리하여 제올라이트 1차 결정은 1차 제품으로 회수하고, 분리된 여과액의 주요 성분 함량을 분석하여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s 16, 20, 23, and 24 using the alkali concentrations of 1.0M, 3.0M, 5.0M, and 6.0M were first crystallized with zeolite, followed by solid-liquid separation, and the zeolite primary crystal was recovered as a primary product and separated. The content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filtrate was analyzed and shown in Table 12 below.
(ppm)Na(NaOH)
(ppm)
(10)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비(Si/Al)의 2차 조절(10) Secondary control of the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상기 표 12의 여과액 성분 분석에 따르면, Al은 1차 결정화 반응에서 대부분 소모되어 최대 300 ppm으로 적은 양이 미반응하여 여과액에 잔류하는 반면에, Si 성분은 최소 5000 ppm까지 미반응하여 여과액에 잔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iltrate component in Table 12, Al is mostly consumed in the first crystallization reaction and remains in the filtrate as a small amount of up to 300 ppm is unreacted, whereas the Si component is unreacted to at least 5000 ppm and filtered. It can be confirmed that it remains in the liquid.
[발명예 37] 발명예 16의 1차 결정화 후 분리된 여과액 내 Si/Al 비를 2.25로 조정하여, 90℃로 승온하여 500rpm으로 교반하면서 24시간 동안 유지하여 2차 결정화하였다. 2차 결정화 후, 시료를 여과하여 고액분리한 다음 pH가 9가 될 때까지 반복 수세하고, 수세가 끝난 시료는 여과하여 105℃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최종 2차 제품을 제조하였다. 최종 2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각각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37]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of Inventive Example 16, the Si/Al ratio in the separated filtrate was adjusted to 2.25,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90° C., stirred at 500 rpm, and maintained for 24 hours for secondary crystallization. After secondary crystallization, the sample was filtered to separate solid-liquid, and then washed repeatedly until pH reached 9, and the sample after washing was filtered and dried sufficiently at 105°C to prepare a final secondary product.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final second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below.
[발명예 38] 발명예 20의 1차 결정화 후 분리된 여과액 내 Si/Al 비를 2.25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2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2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각각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38] A final secondary produ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ventive Example 37, except that the Si/Al ratio in the filtrate separated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of Inventive Example 20 was adjusted to 2.25,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second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below.
[발명예 39] 발명예 23의 1차 결정화 후 분리된 여과액 내 Si/Al 비를 2.25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2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2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각각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39] A final secondary produ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ventive Example 37, except that the Si/Al ratio in the filtrate separated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of Inventive Example 23 was adjusted to 2.25,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second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below.
[발명예 40] 발명예 24의 1차 결정화 후 분리된 여과액 내 Si/Al 비를 2.25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2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2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각각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40] A final secondary product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vention Example 37, except that the Si/Al ratio in the filtrate separated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of Inventive Example 24 was adjusted to 2.25,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second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below.
[비교예 19] 비교예 8의 1차 결정화 후 분리된 여과액 내 Si/Al 비를 2.25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2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2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각각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19] A final secondary product was prepared by the same method as Inventive Example 37, except that the Si/Al ratio in the filtrate separated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of Comparative Example 8 was adjusted to 2.25,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second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below.
[비교예 20] 비교예 9의 1차 결정화 후 분리된 여과액 내 Si/Al 비를 2.25로 조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방법으로 최종 2차 제품을 제조하고, 제조된 최종 2차 제품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각각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20] A final secondary product was prepared by the same method as Invention Example 37, except that the Si/Al ratio in the filtrate separated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of Comparative Example 9 was adjusted to 2.25,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secondary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3 below.
(hr.)Crystallization time
(hr.)
* 상기 표 13에서 Z-P, Z-A, Z-X는 각각 P형, A형, X형 제올라이트를 의미한다.* In Table 13, Z-P, Z-A, and Z-X refer to P-type, A-type, and X-type zeolites, respectively.
상기 표 13에서와 같이, 1차 결정화 후 분리된 여과액에 부족한 Al 성분을 추가하여 Si/Al 몰비를 2.25로 조정한 후, 2차 결정화하여 제조한 발명예 37 내지 40의 최종 2차 제품은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P형 단일상 또는 A+X형으로 제조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13 above, the final secondary products of Inventive Examples 37 to 40 prepared by secondary crystallization after adding insufficient Al component to the separated filtrate after primary crystallization to adjust the Si/Al molar ratio to 2.25, It was confirmed that the zeolite P-type single phase or A+X type was prepared with good crystallinity.
그러나, 비교예 19 및 2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알칼리 용액 7.0M, 10.0M 농도를 사용하여 1차 결정화 한 후 분리된 여과액에 부족한 Al 성분을 추가하여 Si/Al 몰비를 2.25로 조정하여 2차 결정화 한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이 SOD 단일상으로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Comparative Examples 19 and 20, after primary crystallization using an alkali solution of 7.0M and 10.0M concentration, an insufficient Al component was added to the separated filtrate, and the Si/Al molar ratio was adjusted to 2.25. In the case of crystalliz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l product was produced as a single phase SOD.
또한, 리튬 부산물 내 잔류하는 불순물로, 특히 착색 성분인 Fe, Mica, Quartz(SiO2) 성분들이 1차 결정화에 의해 제조되는 제올라이트에 대부분 포함되어, 1차 결정화 생성물은 밝은 노란색을 띄어 백색도가 다소 열위하나, 1차 결정화 후 분리된 여과액 내에는 상기 불순물이 대부분 제거된 상태로,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최종 2차 제품은 백색도가 매우 우수한 하얀색 분말로 회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In addition, as impurities remaining in lithium by-products, in particular, Fe, Mica, and Quartz (SiO 2 ) components, which are coloring components, are mostly included in zeolite produced by primary crystallization, and the primary crystallization product has a bright yellow color, so the whiteness is somewhat. Although inferior,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impurities were removed in the filtrate separated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and the final secondary product manufactured using this was recovered as a white powder having very excellent whiteness.
따라서, 알칼리 용액 1.0M 내지 6.0M, 즉 OH- 이온 1.0 내지 6.0M을 사용하여 1차 결정화한 후 고액 분리하여 분리된 여과액의 Si/Al 몰비를 조정하면 결정성이 양호하고 백색도가 우수한 제올라이트 결정상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zeolite having good crystallinity and excellent whiteness by adjusting the Si/Al molar ratio of the filtrate separated by solid-liquid separation after primary crystallization using an alkali solution 1.0M to 6.0M, that is, OH - ion 1.0 to 6.0M It was confirmed that a crystal phase could be prepared.
(10) 2차 결정화 시간의 조절(10) control of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time
[발명예 41] 2차 결정화 시간을 3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41]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37, except that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3 hours,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4.
[발명예 42] 2차 결정화 시간을 6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42]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37, except that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6 hours,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4.
[발명예 43] 2차 결정화 시간을 12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43]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37, except that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12 hours,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4.
[발명예 44] 2차 결정화 시간을 24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Inventive Example 44] Except that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24 hours,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37,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4.
[비교예 21] 2차 결정화 시간을 0.5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21]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37 except for 0.5 hour,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4.
[비교예 22] 2차 결정화 시간을 1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22]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37, except that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1 hour,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4.
[비교예 23] 2차 결정화 시간을 2시간 동안 진행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명예 37과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고, 제조된 최종 생성물의 결정상 및 결정성(Crystallinity)을 XRD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Comparative Example 23]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ventive Example 37, except that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was performed for 2 hours, and the crystal phase and crystallinity of the prepared final product were analyzed by XR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is shown in Table 14.
(hr.)Crystallization time
(hr.)
* 상기 표 14에서 Z-P는 P형 제올라이트를 의미한다.* In Table 14, Z-P means P-type zeolite.
상기 표 14에서와 같이, 1차 결정화 후 분리된 여과액에 부족한 Al 성분을 추가하여 Si/Al 몰비를 2.25로 조정한 후, 각각 2차 결정화 시간을 3, 6, 12, 24시간으로 하여 제조한 발명예 41 내지 44의 최종 2차 제품은 결정성이 양호한 P형 제올라이트로 제조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As shown in Table 14 above,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was performed, the Si/Al molar ratio was adjusted to 2.25 by adding an insufficient Al component to the separated filtr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final secondary products of Inventive Examples 41 to 44 were made of P-type zeolite having good crystallinity.
그러나 비교예 21 내지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차 결정화 시간을 2시간 이하로 한 경우, 즉 결정화 시간을 0.1, 1, 2시간으로 각각 실시한 경우에는 최종 생성물이 아날심 단일상 또는 아날심과 제올라이트 P형 혼합상으로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However, as shown in Comparative Examples 21 to 23, when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time is 2 hours or less, that is, when the crystallization time is 0.1, 1, and 2 hours, respectively, the final product is an analsim single phase or analsim and zeolite.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produced as a P-type mixed phase.
따라서, 2차 결정화 시간을 2시간 초과의 범위로 조절하여 제조하면 결정성이 양호한 제올라이트 결정상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a zeolite crystal phase having good crystallinity could be prepared by adjusting the secondary crystallization time to a range of more than 2 hours.
본 발명은 상기 구현예 및/또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현예 및/또는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or embodiments, but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hange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oing so.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nd/o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Claims (20)
상기 수세된 리튬 부산물에 포함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 비)를 1차 조절하는 단계;
상기 몰비가 1차 조정된 리튬 부산물에 알칼리 물질을 첨가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1차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몰비가 조정된 리튬 부산물에 알칼리 물질을 첨가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에서,
알칼리 물질에 대한 리튬 부산물의 혼합비 (리튬 부산물의 중량/OH- 이온 몰수)는 100 g/mol 이하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Washing the lithium by-product with water to adjust the lithium by-product to pH 6 to 8;
First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contained in the washed lithium by-product (Si/Al ratio);
Preparing a hydrogel form by adding an alkali substance to the lithium by-product whose molar ratio is first adjusted; And
A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a hydrogel to prepare a primary crystal;
Including,
In the step of preparing a hydrogel form by adding an alkali substance to the lithium by-product having the molar ratio adjusted,
The mixing ratio of lithium by-products to alkaline substances (weight of lithium by-products/OH -number of moles of ions) is 100 g/mol or less.
상기 리튬 부산물을 수세하여 리튬 부산물을 pH 6 내지 8로 조절하는 단계 는,
상기 리튬 부산물로부터 산의 짝염기를 제거하는 단계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adjusting the lithium by-product to pH 6 to 8 by washing the lithium by-product with water,
The step of removing the conjugate base of the acid from the lithium by-product,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수세된 리튬 부산물에 포함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 비)를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리튬 부산물에 알루미나 보충 물질 또는 실리카 보충 물질을 투입하여 상기 리튬 부산물에 포함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 비)를 0.75 내지 3.0으로 조절하는 단계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ratio) contained in the washed lithium by-product,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ratio) of 0.75 to 3.0 by adding an alumina supplementing material or a silica supplementing material to the lithium by-product, zeolite manufacturing method.
상기 알루미나 보충 물질은 알루미나 수화물 (Al(OH)3) 및 소듐알루미네이트 (NaAlO2)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3,
The alumina supplement material comprises at least one of alumina hydrate (Al(OH) 3 ) and sodium aluminate (NaAlO 2 ),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실리카 보충 물질은 소듐 실리케이트 (Na2OSiO2)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3,
The silica supplement material is sodium silicate (Na 2 OSiO 2 ),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몰비가 조정된 리튬 부산물에 알칼리 물질을 첨가하여 하이드로겔 형태로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알칼리 물질은 OH- 이온 몰농도가 1.0 내지 6.0M 농도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ep of preparing a hydrogel form by adding an alkali substance to the lithium by-product having the molar ratio adjusted,
The alkaline material is OH - ion molar concentration of 1.0 to 6.0M,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알칼리 물질은 수산화나트륨 (NaOH)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alkaline substance is sodium hydroxide (NaOH),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1차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에서,
상기 1차 결정화 단계는 1차 결정화 온도가 60 내지 100℃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a hydrogel to prepare a primary crystal,
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the first crystallization temperature is 60 to 100 °C, a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1차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에서,
상기 1차 결정화 단계는 1차 결정화 시간이 12시간 이상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a hydrogel to prepare a primary crystal,
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the first crystallization time is 12 hours or more.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에서,
1차 결정화 교반속도는 300 내지 600 rpm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hydrogel to prepare a crystal,
The first crystallization stirring speed is 300 to 600 rpm,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 이후에,
상기 1차 결정을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1차 결정을 수세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the hydrogel to prepare a crystal,
Filtering the primary crystal; And
The zeolite produ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washing and drying the filtered primary crystal.
상기 리튬 부산물은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알루미나 (Al2O3): 20 내지 30 중량%, 실리카 (SIO2): 60 내지 70 중량%, 산화철 (Fe2O3), 산화칼슘 (CaO), 산화나트륨 (Na2O) 및 산화칼륨 (K2O) 중에서 1종 이상: 10 중량% 이하를 포함하는,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The lithium by-product is based on the total 100% by weight, alumina (Al 2 O 3 ): 20 to 30% by weight, silica (SIO 2 ): 60 to 70% by weight, iron oxide (Fe 2 O 3 ), calcium oxide (CaO) , Sodium oxide (Na 2 O) and potassium oxide (K 2 O) in one or more: 10% by weight or less containing,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하이드로겔 형태의 리튬 부산물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1차 결정화 단계 이후에,
고액분리에 의하여 생성된 제올라이트 1차 결정과 여과액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여과액에 함유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 비)를 2차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몰비가 조절된 여과액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2차 결정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
After the first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lithium by-product in the form of the hydrogel to prepare a crystal,
Separating the primary crystals of zeolite and the filtrate produced by solid-liquid separation;
Secondly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ratio) contained in the separated filtrat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filtrate whose molar ratio is adjusted to prepare crystals.
상기 분리된 여과액에 함유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비)를 2차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리튬 부산물에 알루미나 보충 물질 또는 실리카 보충 물질을 투입하여 상기 리튬 부산물에 포함된 알루미늄에 대한 실리콘의 몰비 (Si/Al비)를 0.75 내지 3.0으로 조절하는 단계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3,
Secondly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ratio) contained in the separated filtrate,
In the step of adjusting the molar ratio of silicon to aluminum (Si/Al ratio) of 0.75 to 3.0 by adding an alumina supplementing material or a silica supplementing material to the lithium by-product, zeolite manufacturing method.
상기 알루미나 보충 물질은 알루미나 수화물 (Al(OH)3) 및 소듐알루미네이트 (NaAlO2) 중에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제올라이트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4,
The alumina supplement material comprises at least one of alumina hydrate (Al(OH) 3 ) and sodium aluminate (NaAlO 2 ),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실리카 보충 물질은 소듐 실리케이트 (Na2OSiO2)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4,
The silica supplement material is sodium silicate (Na 2 OSiO 2 ),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몰비가 2차 조절된 여과액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2차 결정화 단계에서,
상기 2차 결정화 단계는 2차 결정화 온도가 60 내지 100℃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second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filtrate whose molar ratio is secondarily adjusted to prepare crystals,
The second crystallization step is a second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60 to 100 ℃,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몰비가 조절된 여과액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2차 결정화 단계에서,
상기 2차 결정화 단계는 2차 결정화 시간이 2시간 초과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second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filtrate with the molar ratio adjusted to prepare crystals,
In the second crystallization step, the second crystallization time is more than 2 hours, zeolite production method.
상기 몰비가 조절된 여과액을 결정화하여 결정을 제조하는 2차 결정화 단계 이후에,
상기 2차 결정을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2차 결정을 수세하고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올라이트 제조방법.The method of claim 13,
After the second crystallization step of crystallizing the filtrate with the molar ratio adjusted to prepare crystals,
Filtering the secondary crystals; And
The zeolite production method further comprising; washing and drying the filtered secondary crystals with water.
상기 제올라이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제올라이트는 P형 제올라이트, A형 제올라이트, 및 X 형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 종이상의 결정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인, 제올라이트 제조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9,
The zeolite produced by the zeolite production method is composed of only one paper-shaped crystal pha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type zeolite, A-type zeolite, and X-type zeoli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8686A KR102271298B1 (en) | 2019-05-20 | 2019-05-20 | Manufaturing method of zeolite using lithium residu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8686A KR102271298B1 (en) | 2019-05-20 | 2019-05-20 | Manufaturing method of zeolite using lithium residu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33467A true KR20200133467A (en) | 2020-11-30 |
KR102271298B1 KR102271298B1 (en) | 2021-06-29 |
Family
ID=73642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8686A Active KR102271298B1 (en) | 2019-05-20 | 2019-05-20 | Manufaturing method of zeolite using lithium residu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7129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64538A (en) * | 2021-05-29 | 2021-08-17 | 山西腾茂科技股份有限公司 |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molecular sieve adsorbent based on LiNaKLSX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4302A (en) * | 2000-07-04 | 2002-01-16 | 곽영훈 | Technique of Synthesis of Zeolite Na-A from slag and fly ash |
JP2004203732A (en) * | 2002-12-10 | 2004-07-22 | Toshio Shimoda | Method for producing single crystal highly functional zeolite which is made mainly from sewerage sludge incineration ash, and device for producing it |
KR20040095841A (en) * | 2003-04-28 | 2004-11-16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Zeolite x from waste and synthetic method it |
KR20120099174A (en) * | 2011-02-10 | 2012-09-07 |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for preparing synthetic zeolite from waste |
KR20170058890A (en) * | 2017-05-12 | 2017-05-29 | 서희동 | Method of manufacturing kalium type artificial zeolite from coal fly ash |
WO2019068135A1 (en) * | 2017-10-04 | 2019-04-11 | Neomaterials Pty Ltd | Synthesis of zeolites |
-
2019
- 2019-05-20 KR KR1020190058686A patent/KR10227129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04302A (en) * | 2000-07-04 | 2002-01-16 | 곽영훈 | Technique of Synthesis of Zeolite Na-A from slag and fly ash |
JP2004203732A (en) * | 2002-12-10 | 2004-07-22 | Toshio Shimoda | Method for producing single crystal highly functional zeolite which is made mainly from sewerage sludge incineration ash, and device for producing it |
KR20040095841A (en) * | 2003-04-28 | 2004-11-16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Zeolite x from waste and synthetic method it |
KR20120099174A (en) * | 2011-02-10 | 2012-09-07 |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for preparing synthetic zeolite from waste |
KR20170058890A (en) * | 2017-05-12 | 2017-05-29 | 서희동 | Method of manufacturing kalium type artificial zeolite from coal fly ash |
WO2019068135A1 (en) * | 2017-10-04 | 2019-04-11 | Neomaterials Pty Ltd | Synthesis of zeolites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264538A (en) * | 2021-05-29 | 2021-08-17 | 山西腾茂科技股份有限公司 |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molecular sieve adsorbent based on LiNaKLS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71298B1 (en) | 202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7515B1 (en) | Zeolite and manufaturing method of the same | |
WO2014194618A1 (en) | 4a-type molecular sieve synthesis method | |
WO2019068135A1 (en) | Synthesis of zeolites | |
KR102316889B1 (en) | Manufaturing method of zeolite using lithium residue | |
CN102583429A (en) | Method for synthesizing 4A-type molecular sieve by utilizing aluminum-silicon tailings obtained in process of carrying out potassium extraction on potassium feldspar | |
KR20120099174A (en) | Method for preparing synthetic zeolite from waste | |
KR102271298B1 (en) | Manufaturing method of zeolite using lithium residue | |
EP1587756A1 (en) | Method of preparing zsm-5 using variable temperature without organic template | |
CN103112869B (en) | Method for synthesizing L-shaped molecular sieve by utilizing aluminum-silicon filter residue | |
KR102508854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zeolite using lithium residue | |
KR20210153196A (en) | Zeolite x with execellent adsorption propert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
KR100528672B1 (en) | Method for Preparing ZSM-5 Using Variable Temperatures in the Absence of Organic Template | |
JP7174413B2 (en) | Method for synthesizing saponite-type clay mineral | |
KR101472534B1 (en)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high silica zeolite using recycled silica remainders and the high silica zeolite thereby | |
EP0688738B1 (en) | A gallium silicate having 12-ring pores (ECR-34) and a method for its preparation | |
JP4123546B2 (en) | Zeolite OU-1 and synthesis method thereof | |
RU2740667C1 (en) | Method of producing high-module zeolite mcm-22 with high degree of crystallinity | |
WO2017217424A1 (en) | Method for producing beta zeolite | |
CN112533869B (en) | Industrial mass production method of high-purity artificial zeolite | |
RU2787819C1 (en) | Method for producing synthetic zeolite | |
JP3611185B2 (en) | Method for producing fine particle zeolite | |
KR890002151B1 (en) | Method for preparing synthetic zeolite functional material from halosite and bentonite | |
BR112021011544B1 (en) | METHOD FOR PRODUCING ZEOLITE | |
KR0139424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the x-zeolite and p-zeolite utilizing the mordenite | |
KR20050115693A (en) | Process for preparing high purified zeoli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