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33017A -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 Google Patents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3017A
KR20200133017A KR1020207033181A KR20207033181A KR20200133017A KR 20200133017 A KR20200133017 A KR 20200133017A KR 1020207033181 A KR1020207033181 A KR 1020207033181A KR 20207033181 A KR20207033181 A KR 20207033181A KR 20200133017 A KR20200133017 A KR 20200133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essage
base station
resumption
wireless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3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그너스 스타틴
스테판 본스테트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0013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01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 H04L63/0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upporting key management in a packet data network for key exchange, e.g. in peer-to-pe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4Key management, e.g. using generic bootstrapping architecture [GB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50Secure pairing of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33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with transfer of contex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04W76/34Selective release of ongo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들이 논의된다. 접속 재개 요청은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다.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한 후에, 접속 재개 메시지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단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기지국과의 접속의 재구성이 수행될 수 있고, 기지국과의 접속을 위한 보안키가 제공될 수 있고, 라디오 베어러가 재개될 수 있다.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한 후에,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관련 기지국 방법들, 네트워크 노드들 및 무선 단말들도 논의된다.

Description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METHODS OF RESUMING A RADIO BEARER AND RELATED WIRELESS TERMINALS AND NETWORK NODES}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에 관한 것이다.
LTE 동작의 하나의 양태는 UE가 송신 또는 수신할 데이터를 갖지 않으면서 가능한 적게 신호를 보내는 것, 즉 가능한 적은 전력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UE가 어떤 데이터도 보내지 않으면서 RRC_IDLE에 남아있는 것이다. 각각의 송신 전에 UE는, UE와 eNB 사이에서 다수의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을 수반하는 절차인 RRC_CONNECTED로 상태를 전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RRC_IDLE에 남아있다는 것은, UE가 상당히 고정된 상태에 남아있는 한, 즉 UE가 다른 인접 셀들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는 한, 이러한 목적을 위해 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RRC_IDLE로의 신속한 전환은 이동이 예상되지 않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장치에 특히 효율적일 수 있다.
RRC 접속을 중단하고 재개함으로써 추가적인 전력 감소가 가능할 수 있다. RRC 접속의 공지된 중단 및 재개로, 손실 데이터, 고장 및/또는 예상 밖의 동작으로 인해 접속이 재개될 때 올바르지 않거나 지원되지 않는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접속 재개 요청은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송신될 수 있고,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한 후에, 접속 재개 메시지가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터미널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기지국과의 접속의 재구성이 수행될 수 있고, 기지국과의 접속을 위한 보안키가 제공될 수 있고, 라디오 베어러가 재개될 수 있다.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한 후에,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단말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은 트랜시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하고,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한 후에 무선 터미널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접속 재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기지국과의 접속의 재구성을 수행하고, 기지국과의 접속을 위한 보안키를 제공하고,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한 후에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 개념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동작을 위해 무선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하고,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한 후 무선 단말에서 기지국으로부터의 접속 재개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은 기지국과의 접속의 재구성을 수행하고, 기지국과의 접속을 위한 보안키를 제공하고,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또한,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한 후,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접속 중단 메시지는 노드로부터 무선 단말에 송신될 수 있다. 접속 중단 메시지를 송신한 후, 접속 재개 요청이 무선 단말로부터 노드에서 수신될 수 있다. 접속 재개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접속 재개 메시지가 노드로부터 무선 단말로 송신될 수 있으며, 접속 재개 메시지는 접속의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지연하는 표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념들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는 무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와,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무선 단말 간의 통신은 트랜시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노드로부터 무선 단말로 접속 중단 메시지를 송신하고, 상기 접속 중단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노드에서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재개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접속 재개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로 접속 재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는 상기 접속의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지연하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노드는 노드로부터 무선 단말로 접속 중단 메시지를 송신하고, 접속 중단 메시지를 송신한 후 노드에서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재개 요청을 수신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또한, 노드는 접속 재개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노드로부터 무선 단말로 접속 재개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적응될 수 있고, 접속 재개 메시지는 접속의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지연하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단된 접속/베어러가 재개될 때 무선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구성 불일치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첨부한 도면은 본 명세서의 추가적인 이해를 위해 포함되고, 본 출원의 일부로서 포함되고 구성되며, 본 발명의 개념의 특정한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는 UE 유휴/접속 상태 천이에 적용 가능한 절차에 기초한 S1/EPS 아키텍처를 함께 나타낸다.
도 2는 RRC 접속의 중단을 나타내는 메시지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이전에 중단된 RRC 접속의 재개를 나타내는 메시지 다이어그램이다.
도 4A, 4B, 5, 6, 7은 본 발명의 개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 RRC 접속을 중단 및 재개하는 동작들을 나타내는 메시지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기지국(eNB)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개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단말(UE)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개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단말의 동작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개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10의 동작들과 관련된 메모리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개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노드의 동작들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개념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도 12의 동작들과 관련된 메모리 모듈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개념들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념들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개념들은 많은 다른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에 의해 본 명세서의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하게 될 것이며,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본 발명의 개념들의 범위를 충분히 전달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상호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일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은 다른 실시예에 존재하거나 사용되는 것으로 암묵적으로 추정될 수도 있다.
UE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수행되는 콘텍스트(context)로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개시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대신에 전자 통신 장치 또는 시스템의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LTE로부터의 용어가 본 발명의 개념들의 실시예들을 예시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사용되더라도, 이는 본 발명의 개념들의 범위를 이들 시스템으로만 제한하는 것으로서 간주해서는 안 된다. 3GPP LTE, WCDMA 시스템들,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UMB(Ultra Mobile Broadband),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의 변형 및 후속 시스템을 포함하는 다른 무선 시스템들도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들의 실시예들을 활용함으로써 이점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NodeB, eNodeB, 또는 Evolved Node B라고도 함) 및 무선 단말 또는 이동 단말(사용자 장비, 사용자 장비 노드 또는 UE라고도 함)와 같은 용어는 비-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둘 사이의 어떤 계층적 관계를 의미하지 않음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예를 들어, "NodeB" 또는 "eNodeB") 및 무선 단말(예를 들어, "UE")은 무선 라디오 채널(wiress radio channel)을 통해 서로 통신하는 각각의 상이한 통신 장치들의 예로서 간주될 수 있다.
UE들(사용자 장비, 사용자 장비 노드, 무선 단말 등으로도 지칭됨)이 상당히 고정적(stationary)이라고 가정하면, 전력 소비를 더 절약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RRC_IDLE로부터 RRC_CONNECTED로의 상태 천이(state tansition)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시그널링(signaling)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현재 표준화되고 있는 이러한 접근법 중 하나는 RRC 접속 중단 및 재개(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suspend and resume)이다. UP(User Plane) 기반 데이터 송신을 위한 RRC 접속 중단 및 재개 접근법은, 네트워크와의 사용자 평면 트랜잭션(user plane transaction)을 위해 또한 IDLE 상태로 복귀하기 위해, IDLE로부터 CONNECTED로의 UE 상태 천이에 요구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라디오 인터페이스에 대해 10개에서 5개의 메시지로 또한 S1AP에 대해 6개에서 4개의 메시지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 해법은 AS 및 NAS 계층에 영향을 준다. 감소된 시그널링은 UE 배터리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다.
시그널링 오버헤드 감소는 여기서 설명된 2개의 새로운 절차인 'RRC 접속 중단(connection suspend)' 및 'RRC 접속 재개(connection resume)'를 도입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고, RRC_IDLE로의 천이에서 관련 AS 정보가 저장되는 RRC_IDLE에서, 수정된 UE 행동(modified UE behavior)를 도입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파라미터들의 저장은 RRC 접속 중단 절차에 의해 트리거(trigger) 되고, 파라미터들은 후속하는 접속 설정을 위해 UE에 의해 재사용된다.
LTE에서의 시그널링
시그널링 오버헤드에 기여하는 요소는 UE 상태 천이(state transition), 즉 유휴(Idle)와 접속(Connected) 상태 사이의 천이에 사용되거나 필요한 현재 S1 기반 EPS 아키텍처(S1-based EPS architecture)에 사용되는 절차이다.
도 1A 및 도 1B는 UE가 사용자 평면 정보(user plane information), 즉 UE Idle/Connected 상태 천이에 적용 가능한 절차들을 송신/수신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접속을 성립시키고 해체하는 데에 사용되는 현재 S1/EPS 아키텍처 기반 절차들을 함께 도시한다. 도시한 바로부터 알 수 있듯이, 라디오/Uu, S1AP 인터페이스에는 상당한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관련 처리 부하를 줄이기 위해 RRC 접속을 중단하고 나중에 재개할 수 있는 해법이 Rel-13에 도입되었는데, IDLE에서 CONNECTED로의 상태 천이에 대한 전체 시그널링 절차를 거쳐야 할 필요성을 줄이거나 최소화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UE) 및 기지국(eNB)은 랜덤 액세스(RA)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01에서, 무선 단말(UE)은 RA msg1(프리앰블)을 송신할 수 있고, 동작 103에서 기지국(eNB)은 RA msg2(응답)로 응답할 수 있고, 동작 105에서 무선 단말(UE)은 RA msg3(RRC 접속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07에서, 무선 단말(UE)은 RRC 접속 설정 완료 메시지(NAS 서비스 요청)를 기지국(eNB)에 송신할 수 있다. RRC 접속 설정 완료 메시지에 응답하여, 동작 109에서 기지국(eNB)은 S1-AP 초기 UE 메시지(NAS 서비스 요청)를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 송신할 수 있고, MME는 동작 111에서 S1-AP 초기 Ctxt 설정 요청으로 응답할 수 있다.
동작 113에서, 기지국(eNB)은 RRC 보안 모드 명령(Security Mode Command) 메시지를 무선 단말(UE)에 송신할 수 있고, 동작 115에서 무선 단말(UE)은 RRC 보안 모드 완료(Security Mode Complete) 메시지를 기지국(eNB)에 송신할 수 있고, 동작 117에서 기지국(eNB)은 RRC 접속 재구성(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무선 단말(UE)에 송신할 수 있고, 동작 119에서 무선 단말(UE)은 RRC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eNB)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21에서 기지국(eNB)은 S1-AP 초기 Ctxt 설정 완료 메시지를 MME에 송신할 수 있고, 동작 123에서 MME는 수정 베어러 요청(Modify Bearer Request) 메시지를 SGW(Serving Gateway)에 송신할 수 있고, 동작 125에서 SGW는 수정 베어러 응답 메시지를 MME에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26 및 127에서, 무선 단말(UE)은 기지국(eNB)을 통해 업링크(UL) 데이터를 SGQ로 송신할 수 있고, 동작 129 및 131에서 SGW는 다운링크(DL) 데이터를 기지국(eNB)을 통해 무선 단말(UE)로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33(도 1B에 도시함)에서 타임아웃(timeout) 후에, 기지국(eNB)은 MME에 S1-AP UE Ctxt 해제 요청(Release Request)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동작 135에서 MME는 SGE에 해제 액세스 베어러 요청(Release Access Bearer Request)을 송신할 수 있다. 동작 137에서 SGW는 MME에 해제 액세스 베어러 응답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동작 139에서 MME는 S1-AP UE Ctxt 해제 명령(Release Command) 메시지를 기지국(eNB)에 송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동작 141에서 기지국(eNB)은 RRC 접속 해제 메시지를 무선 단말(UE)로 송신하고, 동작 143에서 기지국(eNB)은 S1-AP UE Ctxt 해제 완료(Release Complete) 메시지를 MME로 송신할 수 있다.
초기 접속 및 AS 콘텍스트 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UE는 NAS 시그널링 접속을 성립시키고 초기 AS 콘텍스트를 UE 및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해, 초기 접속 설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의 유효한 AS 콘텍스트가 AS 계층에 의해 발견되는 한 그 이후에 서비스 요청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을 NAS는 계층은 인지한다. 어떤 이유로 UE가 재개 절차를 시도하는 동안 AS 계층 콘텍스트가 네트워크에서 누락되면, 재개 절차는 실패하고 AS 계층은 새로운 초기 AS 계층 콘텍스트를 성립시키기 위해 NAS 계층 서비스 요청(Layer Service Request)을 트리거(trigger) 한다.
이하에서 RRC 접속 중단 절차에 대해 논의한다.
RRC 접속 중단 절차는 RRC_CONNECTED 상태에서 RRC_IDLE 상태로 천이할 때 사용되며, UE로 하여금 RRC_IDLE 모드로 AS 콘텍스트를 보유하게 한다. 즉,
● eNodeB(eNB, 또는 기지국이라고도 함) 및 UE 저장 RRC 접속 관련 정보, AS 보안 콘텍스트(Security Context), 베어러 관련 정보(RoHC 상태 정보 포함) 및 적용 가능한 다른 L3/2/1 파라미터. eNB는 eNB에 저장된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재개 ID'로 불리는, 식별자를 갖는 UE를 제공함.
● 관련 네트워크 노드는 S1-MME UE 결합 및 S1-U 베어러 콘텍스트 관련 정보를 저장함. 이것은 기본적으로, S1AP UE 콘텍스트가 eNB 및 MME에 저장되고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함. 또한, eNB는 S1-U 터널 주소(tunnel address)를 저장하고 유지함. 후자는 S1-U 베어러의 성립에 필요한 eNB에 대한 처리 부하를 감소시킴.
● UE의 이동성 행동(mobility behavior)은 RRC_IDLE 상태와 동일하며, 예를 들어, UE는 정상 또는 확장 IDLE 모드 DRX(Discontinuous Reception) 파라미터를 적용하고, 셀 재선택 등을 수행함.
● RRC_IDLE로의 천이에서, UE에서의 EMM 계층은 ECM-IDLE 상태에 들어감.
도 2는 RRC 접속의 중단을 나타내며, 도 2의 동작들/메시지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도 2의 동작 1. 네트워크는 RRC 접속을 중단하기로 결정한다.
도 2의 메시지 2. eNB는 UE의 RRC 접속이 중단되었다는 것을 새로운 S1AP 메시지로 MME에 표시한다. MME 및 eNB는 상기 S1AP 연관 및 상기 관련된 UE 콘텍스트를 저장한다. MME는 ECM 상태 ECM-IDLE에 들어간다. MME는 UE 및 eNodeB와 관련된 DL TEID들을 저장한다.
도 2의 메시지 3. MME는 UE에 대한 모든 S1-U 베어러의 해제를 요청하는 S-GW(Serving Gateway)에 해제 액세스 베어러 요청(무선 링크 표시의 비정상적인 해제 또는 '새로운 이유(new cause)') 메시지를 송신한다. SGW는 UE가 유휴 상태에 있다고 간주한다.
*도 2의 메시지 4. SGW는 단계 3에 대한 응답을 제공한다.
도 2의 메시지 5. MME는 단계 2를 확정(Ack)한다.
도 2의 동작 6. MME는 'ECM-IDLE' 상태에 들어간다.
도 2의 메시지 7. eNB는 UE쪽으로 RRC 접속을 중단한다. 중단된 RRC 접속의 후속 재개에서 사용되는 식별자를 제공할 수 있다. UE 및 eNB는 관련 콘텍스트 정보, 즉 RRC 구성, AS 보안 콘텍스트, 베어러 관련 구성(RoHC 상태 정보 포함) 및 적용 가능한 경우 다른 L3/2/1 파라미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메시지에는 다음 재개에서 사용될 K_eNB와 연관된 다음 홉 체인 카운터(NCC: Next Hop Chaining Counter)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다른 정보도 제공/포함될 수 있다.
도 2의 동작 8. E RRC 계층은 관련 AS 정보(단계 7 참조)를 저장하는 RRC_IDLE 상태에 들어가고, UE NAS 계층은 NAS 시그널링 접속이 이용 가능함을 인지하는 ECM-IDLE 상태로 들어간다.
이하, RRC 접속 재개 절차가 논의된다.
RRC_IDLE로부터 RRC_CONNECTED로의 천이에서, UE 및 eNodeB에서 이전에 저장된 정보는 RRC 접속을 재개하기 위해 이용된다. UE는 eNB에 의해 사용되는 이전에 수신된 '재개 ID'를 제공하여, RRC 접속을 재개하는데 사용/요청되는 상기 저장된 정보를 액세스한다. 또한 UE를 안전하게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인증 토큰(Authentication Token)을 제공한다.
관련된 네트워크 노드는 S1-MME UE S1AP 연관 및 S1-U 베어러 콘텍스트 관련 정보를 재저장/재사용 한다.
NAS 계층은 초기 접속이 설정되었음을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NAS 서비스 요청이 발행되지 않으므로 RRC 접속 설정 완료 메시지가 해당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없다.
시그널링 오버헤드의 감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RC 접속 재개 절차를 사용할 때 도 1A 및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거시 접속 설정(legacy connection setup)을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해 9개의 메시지들에서 4개의 메시지들까지로 될 수 있다. 생략/제거된 메시지는 다음과 같다.
● RRC 접속 설정 완료 ( RRC Connection Setup Complete)
● RRC 보안 모드 명령 (RRC Security Mode Command)
● RRC 보안 모드 완료 (RRC Security Mode Complete)
● RRC 접속 재구성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 RRC 접속 재구성 완료 (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Complete)
그 절차는 도 3에 설명되어 있다.
도 3은 이전에 중단된 RRC 접속의 재개를 나타낸다. 도 3의 동작 1, 2, 3은 UE가 RRC 유휴 상태로부터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때 레거시 동작을 따를 수 있다.
도 3의 동작 4. msg3에서, 새로운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SRB0/CCCH를 통해 전달됨)가 송수신되는데, 여기서 UE는 그 재개 ID, 인증 토큰 및 성립 이유(Establishment Cause)를 포함한다. eNB는 재개 ID를 사용하여 UE를 이전에 저장된 UE 콘텍스트와 연관시킨다.
도 3의 동작 5. RRC 접속 재개로 여기에 지정된 메시지 4에서, 그 중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적용 가능한 경우 갱신된 L3/2/1 파라미터들을 제공한다.
도 3의 동작 6. UE 및 eNB는 저장된 보안 콘텍스트를 재개한다.
도 3의 동작 7. eNB는 여기서 S1-AP UE Context Active로 지정된 새로운 S1AP 메시지에서 UE 상태 변화에 대해 MME에 통지한다. MME에서의 ECM은 ECM-CONNECTED 상태로 들어간다. MME가 UE를 위한 할당된 DL TEID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eNodeB에서 UE가 복귀하는 것을 MME는 식별한다.
도 3의 동작 8. MME는 서빙 GW(Serving GW)에 대한 PDN 접속마다 수정 베어러 요청 메시지[Modify bearer Request message: eNodeB 주소, 수락된 EPS 베어러들에 대한 S1 TEID들(다운링크 DL), 지연 다운링크 패킷 통지 요청(Delay Downlink Packet Notification Request), RAT 유형]를 송신한다. 서빙 GW가 수정 액세스 베어러 요청(Modify Access Bearers Request) 절차를 지원하고 서빙 GW가 시그널링을 PGW에 송신할 필요가 없는 경우, MME는 시그널링을 개선/최적화하기 위해, 서빙 GW에 UE마다 수정 액세스 베어러 요청(eNodeB 어드레스(들), 수락된 EPS 베어러들을 위한 다운링크 사용자 평면에 대한 TEID들, 지연 다운링크 패킷 통지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서빙 GW는 이제 UE 쪽으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SGW는 UE가 접속 상태에 있다고 간주한다.
도 3의 동작 9. SGW는 단계 7에 대한 응답으로 제공한다.
도 3의 동작 10. MME는 단계 7을 확정한다.
이하, RRC에서의 동작들과 중단/재개에서의 PDCP 대해 논의한다.
RLC 엔티티(entity)들은 각각 SRB 및 DRB에 대한 RRC 중단/재개 동안에 각각 유지된다.
DL에서 이미 수신된 모든 RLC SDU(Service Data Units)들이 상위 계층으로 전달되고 RLC 엔티티의 내부 상태가 리셋되도록 하기 위해, RRC가 중단되기 전에 모든 SRB 및 DRB에 대한 RLC 엔티티를 재성립(re-establish)시키는 것이 제안된다.
RRC에서 RLC를 재개하고 PDCP 엔티티들이 재성립된다. 또한, 모든 SRB 및 DRB에 대한 PDCP 엔티티들을 재성립시키고, 모든 SRB 및 DRB에 대한 RLC 엔티티들을 복원(restore)시키는 것이 제안된다. 재개에서 RLC 재성립을 하지 않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중단에서 끝나는 것 대신에 제안되기 때문이다. 복원은 RRC 중단 전에 사용된 재개 콘텍스트가 상기 접속을 재개하는 데 사용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RRC 접속 재개 메시지 자체로 재구성되지 않을 수 있는 RB의 일부 양태(들)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 재구성은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로 수행될 수 있다(예를 들어, Msg4에서 RRC 접속 재개로 다중화됨). RRC 접속 재개로 RRC 접속을 재개한 후에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로 재구성을 수행하는 경우, 접속이 재개되는 eNB에서 잘못되었거나 지원되지 않는 구성을 사용하여, RB가 재구성되기 전에 새 데이터가 RB에 나타날 위험이 있다. 중단을 위해 동의된 절차를 가정하면, 그러한 새 데이터가 손실되거나 오작동을 일으키거나 또는 예기치 않은 동작을 초래할 수 있다.
● RB는 RRC 접속이 중단될 때 중단될 수 있거나 중단되어야 하고, RRC 접속이 재개될 때 재개될 수 있거나 재개되어야 한다. RB가 중단되는 동안 새 데이터는 처리되지 않을 것이다.
도 4A는 RRC 접속을 중단 및 재개하는 동작들을 도시한다.
동작 401에서의 기지국(eNB)으로부터의 RRC 접속 중단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403에서 라디오 베어러 RB들을 중단시키고 동작 405에서 RRC 접속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동작 407에서의 업링크(UL) 데이터의 도달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409에서 기지국(eNB)에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동작 411에서 기지국(eNB)은 무선 단말(UE)에 RRC 접속 재개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동작 413에서 무선 단말(UE)은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고, 동작 415에서 키를 변경하고 보안을 재개할 수 있고, 동작 417에서 중단된 라디오 베어러(RB)를 재개할 수 있다. 무선 단말(UE)은 동작 419에서 RRC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동작 421에서 무선 단말(UE)은 라디오 베어러(RB)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 RRC 접속 재개로 RRC 접속을 재개한 후에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로 RB(들)[RB(s)]의 재구성이 의 재구성이 수행되는 경우:
○ RB가 아직 재개되지 않아야 함을 나타내는 표시가 RRC 접속 재개에 추가될 수 있다. 즉,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의 처리 후 중단된 RB들을 대기하고 재개할 수 있다. RB들은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로 재구성된다(예를 들어, Msg4에서 RRC 접속 재개로 다중화됨).
도 4B는 RRC 접속 재개와 동일한 송신으로 다중화된 RRC 접속 재구성을 나타낸다. 동작 431에서 기지국(eNB)으로부터의 RRC 접속 중단 메시지에 응답하여, 동작 433에서 무선 단말(UE)은 라디오 베어러(RBs)들을 중단시키고 동작 435에서 RRC 접속을 중단할 수 있다. 동작 437에서 업링크(UL) 데이터의 도착에 응답하여, 동작 439에서 무선 단말(UE)은 기지국(eNB)에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동작 441에서 기지국(eNB)은 RRC 접속 재개 메시지(RB들의 재개를 연기/지연하는 표시를 포함. RRC 접속 재구성)를 무선 단말(UE)에 송신한다. 이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443에서 재구성(RRC 접속 재개용)을 수행할 수 있고, 동작 445에서 키 변경 및 보안 재개를 할 수 있고, 동작 447에서 재구성(RRC 접속 재구성용)을 수행할 수 있고, 동작 449에서 중단된 라디오 베어러들(RBs)을 재개할 수 있다. 무선 단말(UE)은 동작 451에서 RRC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무선 단말(UE)은 동작 453에서 라디오 베어러(RB(s))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4B의 예는 RRC 접속 재개 완료와 RRC 접속 재구성 완료가 동일한 송신/하위 계층 PDU/전송 블록(transmission/lower layer PDU/transport block)에 다중화(multiplex)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RRC 접속 재개 완료 및 RRC 접속 재구성 완료는 개별적인 송신/하위 계층 PDU/전송 블록들에서 택일적으로 보내질 수 있다. 개별적으로 송신된 경우, RRC 접속 재개 완료는 RRC 접속 재구성에 관련된 재구성 수행 전후에 보내질 수 있다.
도 5는 RRC 접속 재개 후 개별적인 송신에서의 RRC 접속 재구성의 동작을 도시한다. 동작 501에서 기지국(eNB)으로부터의 RRC 접속 중단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503에서 라디오 베어러(RB)를 중단시키고, 동작 505에서 RRC 접속을 중단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업링크(UL) 데이터의 도달에 응답하여, 동작 509에서 무선 단말(UE)은 기지국(eNB)에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동작 511에서 기지국(eNB)은 RRC 접속 재개 메시지(RB의 재개를 연기/지연하는 표시를 포함)를 무선 단말(UE)에 송신한다. 이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513에서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고, 동작 515에서 키를 변경하고 보안을 재개할 수 있다. 동작 517에서, 무선 단말(UE)은 RRC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eNB)에 송신할 수 있고, 동작 519에서 기지국(eNB)은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무선 단말(UE)에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521에서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고, 동작 523에서 중단된 라디오 베어러들(RBs)을 재개할 수 있다. 무선 단말(UE)은 동작 521에서 RRC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무선 단말(UE)은 동작 527에서 라디오 베어러(RB(s))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이 표시는 RRC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가 필요하지 않거나 생략되어야 한다(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시그널링하는 보류 중인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기인함)는 다른 표시와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RRC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가 필요하지 않거나 생략된다는 표시와 결합된 RB들의 재개를 연기/지연하는 표시를 도시한다. RRC 접속 재개 및 RRC 접속 재구성은 다중화될 수 있다. 기지국(eNB)으로부터의 RRC 접속 중단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603에서 라디오 베어러들(RBs)(SRB0 제외)을 중단시키고, 동작 605에서 RRC 접속을 중단할 수 있다. 동작 607에서 업링크(UL) 데이터의 도착에 응답하여, 동작 609에서 무선 단말(UE)은 기지국(eNB)에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동작 610에서 기지국(eNB)은 RRC 접속 재개 메시지(RB들의 재개를 연기/지연하는 표시와 RRC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가 생략된다는 표시를 포함. RRC 접속 재구성)를 무선 단말(UE)로 송신할 수 있다. 이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611에서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고, 동작 613에서 키를 변경하고 보안을 재개할 수 있고, 동작 615에서 재구성(RRC 접속 재구성용)을 수행할 수 있고, 동작 617에서 중단된 RB들을 재개할 수 있다. 동작 519에서 무선 단말(UE)은 RRC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동작 621에서 무선 단말(UE)은 RB(들)을 통해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도 7은 RRC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가 필요하지 않거나 생략된다는 표시와 결합된 RB들의 재개를 연기/지연하는 표시를 도시한다. RRC 접속 재개 및 RRC 접속 재구성은 다중화되지 않았다. 동작 701에서 기지국(eNB)로부터의 RRC 접속 중단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703에서 라디오 베어러들(RBs)(SRB0 제외)을 중단시키고, 동작 705에서 RRC 접속을 중단할 수 있다. 동작 707에서 업링크(UL) 데이터의 도착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709에서 기지국(eNB)에 RRC 접속 재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동작 711에서 기지국(eNB)은 RRC 접속 재개 메시지(RB들의 재개를 연기/지연하는 표시와 RRC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가 생략된다는 표시를 포함)를 무선 단말(UE)에 송신한다. 이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713에서 재구성(존재하는 경우)을 수행할 수 있고, 동작 715에서 키를 변경하고 보안을 재개할 수 있다. 동작 717에서, 무선 단말(UE)은 기지국(eNB)으로부터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응답하여, 무선 단말(UE)은 동작 719에서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고, 동작 721에서 중단된 RB들을 재개할 수 있다. 동작 723에서 무선 단말(UE)은 RRC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으며, 동작 725에서 무선 단말(UE)은 RB(들)를 통해 UL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RRC 접속 재개 메시지 및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는 동일한 송신/하위 계층 PDU/전송 블록에 다중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다른 실시예들에서, RRC 접속 재개 메시지 및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는 개별적인 송신/하위 계층 PDU/전송 블록으로 보내질 수 있다.
RRC 접속 중단은 RRCConnectionSuspend 메시지 또는 RRC 접속이 중단될 것을 나타내는 다른 메시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RRC 접속 중단은 접속이 중단될 것을 나타내는 해제 이유(release cause)를 갖는 RRCConnectionRelease 메시지일 수 있다.
RRC 접속 재개 요청은 RRCConnectionResumeRequest 또는 RRC 접속의 재개가 요청됨을 나타내는 다른 메시지 일 수 있다.
RRC 접속 재개는 RRCConnectionResume 메시지 또는 접속이 재개될 것을 나타내는 다른 메시지일 수 있다.
RRC 접속 재개 완료는 RRCConnectionResumeComplete 메시지 또는 RRC 접속이 재개되었음을 나타내는 다른 메시지일 수 있다.
RRC 접속 재구성은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또는 RRC 접속을 재구성하는 다른 메시지일 수 있다.
여기에 개시된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UE와 eNB 사이의 구성 불일치(데이터 손실의 초래 및/또는 오작동 및/또는 예상 밖의 행동을 유발할 수 있음)가 감소/회피될 수 있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1101)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eNB)(1101)은 무선 인터페이스(1107)(트랜시버라고도 함)와 결합된 프로세서(1103), 메모리(1109)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5)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지국(1101)은 여기에 서술된 각각의 기지국 동작들/기능들의 적어도 일부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105)는 하나 이상의 다른 기지국과 네트워크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1107)는 셀들을 통해 무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3)(프로세서 회로 또는 프로세싱 회로라고도 함)는 범용 및/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3)는, 하나 이상의 예들/실시예들에 대해 여기에 기재된 동작들 및/또는 방법들의 일부 및/또는 모두를 수행할 수 있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여기에 기재된 메모리(1109)(메모리 회로(memory circuit) 또는 메모리 회로망(memory circuitry)이라고도 함)에서의 기능 모듈로부터의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 단말(UE)(1301)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단말(1301)은 무선 인터페이스(1305)(트랜시버라고도 함)와 결합된 프로세서(1303)와 메모리(1307)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단말(130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309)(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키패드, 터치 감응 디스플레이, 마이크로폰, 스피커, 하나 이상의 버튼 등을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단말(1301)은 여기에 기재된 각각의 동작들/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1305)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1101)과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1305)는 셀룰러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들(1101)과 통신하기 위한 LTE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3)(프로세서 회로 또는 프로세싱 회로라고도 함)는 범용 및/또는 특수 목적 프로세서(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싱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3)는, 하나 이상의 예들/실시예들에 대해 여기에 기재된 동작들 및/또는 방법들의 일부 및/또는 모두를 수행하도록,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여기에 기재된 메모리(1307)(메모리 회로 또는 메모리 회로망이라고도 함)에서의 기능 모듈로부터의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무선 단말(UE)의 동작이 도 10의 흐름도 및 도 11의 모듈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1의 모듈들은 도 9의 무선 단말 메모리(1307)에 저장될 수 있고, 이들 모듈들은 명령들을 제공하여, 모듈의 명령들이 무선 단말 프로세서(1303)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1303)가 도 10의 흐름도의 각 동작들을 실행하게 된다.
블록 1001에서, 무선 단말 프로세서(1303)는, 예를 들어 접속 제공 모듈(1151)을 사용하여, 트랜시버(1305)를 통해 기지국(eNB)과의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접속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일 수 있다.
기지국과의 접속을 제공한 후 블록 1003에서, 프로세서(1303)는, 예를 들어 접속 중단 메시지 수신 모듈(1153)을 사용하여, 트랜시버(1305)를 통해 기지국(eNB)으로부터 접속 중단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접속 중단 메시지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접속 중단 메시지일 수 있다.
블록 1005에서 프로세서(1303)는, 예를 들어 라디오 베어러 중단 모듈(1155)을 사용하여, 접속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접속을 위한 라디오 베어러를 중단할 수 있다. 블록 1007에서 프로세서(1303)는, 예를 들어 접속 중단 모듈(1157)을 사용하여, 상기 접속을 위한 라디오 베어러를 중단시킨 후에, 상기 접속을 중단할 수 있다. 접속을 중단하는 것은 RRC 접속을 RRC 비활성 상태(UE가 RRC_IDLE 상태에 들어가는 것을 대신함)로 두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블록 1009에서 프로세서(1303)는, 예를 들어 접속 재개 요청 송신 모듈(1159)을 사용하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eNB)에 트랜시버(1305)를 통해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3)는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의 도달에 응답하여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3)는 블록 1017에서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후까지 송신을 위한 업링크 데이터의 처리를 차단할 수 있다. 접속 재개 요청은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재개 요청일 수 있다.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한 후 블록 1011에서 프로세서(1303)는, 예를 들어 접속 재개 메시지 수신 모듈(1161)을 사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트랜시버(1305)를 통해 접속 재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는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지연하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접속 재개 메시지일 수 있고, 접속 재개 메시지는 예를 들어 NCC(Next Hop Chaining Counter)를 포함하는 보안키 유도 표시자(security key derivation indic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블록 1013에서 프로세서(1303)는, 예를 들어 재구성 성능 모듈(reconfiguration performance module)(1163)을 사용하여, 기지국과의 접속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3)는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의 재구성을 수행할 수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블록 1015에서 프로세서(1303)는, 예를 들어 보안키 제공 모듈(1165)을 사용하여, 기지국과의 접속을 위한 보안키를 제공할 수 있다. 보안키를 제공하는 것은 접속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된 이전 보안키로부터 보안키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안키를 변경하는 것은 접속 재개 메시지에 포함된 보안키 유도 표시자(예를 들어, NCC 포함)를 사용하여 보안키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블록 1017에서 프로세서(1303)는, 예를 들어 라디오 베어러 재개 모듈(1167)을 사용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할 수 있다. 라디오 베어러는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 또는 시그널링 라디오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1019에서 프로세서(1303)는, 예를 들어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 송신 모듈(1169)을 사용하여, 트랜시버(1305)를 통해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기지국에 송신할 수 있다.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일 수 있다.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한 후 및/또는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블록 1021에서 프로세서(1303)는, 예를 들어 업링크(UL) 데이터 송신 모듈(1171)을 사용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UL 데이터 및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는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송신을 위한 동일한 전송 블록에서 다중화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UL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UL 데이터 및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는 동일한 전송 블록에서 다중화되어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고, 추가 UL 데이터는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다른 전송 블록에서 그 뒤에 송신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는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UL 데이터 없이) 제1 전송 블록에서 송신될 수 있고, UL 데이터는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제2 전송 블록에서 송신될 수 있다.
도 10의 다양한 동작들 및/또는 도 11의 모듈들은 무선 단말들 및 관련 방법들의 몇몇 실시예들에 대해 선택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1(이하 설명됨)의 방법들에 관해, 예를 들어 도 10의 블록들(1001, 1003, 1005, 1007, 1019)의 동작들이 선택적일 수 있고, 관련된 무선 단말들에 관해 도 11의 모듈들(1151, 1153, 1155, 1157, 1169)이 선택적일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기지국)의 동작들은 도 12의 흐름도 및 도 13의 모듈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3의 모듈들은 도 8의 네트워크 노드 메모리(1109)에 저장될 수 있고, 이들 모듈들은 명령들을 제공하여, 모듈의 명령들이 네트워크 노드 프로세서(1103)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1103)가 도 12의 흐름도의 각 동작들을 수행하게 한다.
블록 1201에서, 프로세서(1103)는 예를 들어 접속 중단 메시지 송신 모듈(1351)을 사용하여 트랜시버(1107)를 통해 접속 중단 메시지를 무선 단말(UE)로 송신할 수 있다. 접속 중단 메시지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접속 중단 메시지일 수 있다.
접속 중단 메시지를 송신한 후, 프로세서(1103)는, 예를 들어 접속 재개 요청 수신 모듈(1353)을 이용하여, 블록 1203에서 트랜시버(1107)를 통해 무선 단말(UE)로부터 접속 재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접속 재개 요청은 RRC 접속 재개 요청일 수 있다.
접속 재개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프로세서(1103)는, 예를 들어 접속 재개 메시지 송신 모듈(1355)을 사용하여, 블록 1205에서 무선 단말(UE)로 접속 재개 메시지를 트랜시버(1107)를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는 접속의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지연하는 표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는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생략하는 표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접속 재개 메시지는 RRC 접속 재개 메시지일 수 있다.
블록 1207에서 프로세서(1103)는, 예를 들어 UL 데이터 수신 모듈(1357)을 사용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트랜시버(1107)를 통해 무선 단말(UE)로부터 업링크(UL)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오 베어러는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 또는 시그널링 라디오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의 다양한 동작들 및/또는 도 13의 모듈들은 네트워크 노드들 및 관련 방법들의 일부 실시예들에 대해 선택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35(이하에서 설명됨)의 방법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도 12의 블록 1207의 동작은 선택적일 수 있고, 관련 종료 노드들에 관해 도 13의 모듈(1357)은 선택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
실시예 1.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으로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한 후, 상기 무선 단말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접속 재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접속의 재구성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접속을 위한 보안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계; 및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한 후,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하여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방법은,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2 중의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는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지연하는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의 재구성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방법은, 상기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한 후,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보안키를 제공한 후에,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의 재구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를 지연하는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재구성을 수행한 후에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
실시예 4의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재구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키를 사용하여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복호화(decrypting)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
실시예 4-5 중의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 및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는 상이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s)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수신된다.
실시예 7.
실시예 4-5 중의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 및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는 동일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서 다중화된다.
실시예 8.
실시예 7의 방법에서, 상기 동일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Data Unit)이다.
실시예 9.
실시예 4-8 중의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재구성을 수행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보안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한 후에 발생된다.
실시예 10.
실시예 4-6 중의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재구성을 수행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보안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발생된다.
실시예 11.
실시예 1-10 중의 어느 한 방법은,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한 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의 방법은,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한 후에,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 후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실시예 12의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 및 상기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는 동일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에서 다중화된다.
실시예 14.
실시예 13의 방법에서, 동일한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이다.
실시예 15.
실시예 12의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 및 상기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사용하여 개별적으로 송신된다.
실시예 16.
실시예 1의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는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지연하는 표시를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재구성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보안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보안키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재구성을 수행한 후 및/또는 상기 보안키를 제공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에서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의 재구성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재구성을 수행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7.
실시예 16의 방법은,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재구성을 수행한 후 및/또는 상기 보안키를 제공한 후에,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8.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는 상기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를 지연하는 제1 표시와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생략하는 제2 표시를 포함하고, 재구성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의 재구성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한 후,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보안키를 제공한 후에,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의 재구성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계는 상기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를 지연하는 상기 표시에 응답하여,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기초하여 재구성을 수행한 후에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 및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한 후,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상기 기지국으로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재구성 완료 메시지를 송신한 후에 상기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9.
실시예 18의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보안키를 제공하기 전에 수신된다.
실시예 20.
실시예 18의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구성 메시지는 상기 보안키를 제공한 후에 수신된다.
실시예 21.
실시예 1-20 중 어느 한 방법은, 상기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과의 접속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재개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기지국과의 접속을 제공한 후, 상기 무선 단말에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접속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접속 중단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접속을 위한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중단시키는 단계; 상기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하기 전에, 상기 접속을 위한 상기 라디오 베어러를 중단시킨 후에, 상기 접속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22.
실시예 21의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위한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도달에 응답하여 상기 접속 재개 요청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실시예 22의 방법은, 상기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후까지 송신을 위한 상기 업링크 데이터의 처리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24.
실시예 21-23 중의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접속 중단 메시지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RRC) 접속 중단 메시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25.
실시예 1-24 중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요청은 라디오 리소스 제어 재개 요청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 접속 재개 메시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은 라디오 리소스 제어 접속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는 라디오 리소스 제어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26.
실시예 1-25 중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보안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중단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에 사용된 이전의 보안키로부터 보안키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7.
실시예 1-26 중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는 보안키 유도 표시자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키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보안키 유도 표시자를 사용하여 상기 보안키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8.
실시예 27의 방법에서, 상기 보안키 유도 표시자는 NCC(Next Hop Chaining Counter)를 포함한다.
실시예 29.
실시예 1-28 중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라디오 베어러는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를 포함한다.
실시예 30.
실시예 1-29 중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라디오 베어러는 시그널링 라디오 베어러를 포함한다.
실시예 31.
실시예 1-30 중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무선 단말(UE)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실시예 1-31 중 어느 하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무선 통신 네트워크 간의 통신은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제공된다.
실시예 33.
무선 단말(UE)은 실시예 1-3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된다.
실시예 34.
무선 단말(UE)은 실시예 1-3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모듈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를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노드로부터 무선 단말로 접속 중단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중단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노드에서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의 접속 재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재개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노드로부터 상기 무선 단말로 접속 재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는 상기 접속의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를 지연하는 표시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실시예 35의 방법에서,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는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생략하는 표시를 포함한다.
실시예 37.
실시예 35-36 중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접속 중단 메시지는 RRC 접속 중단 메시지이고, 상기 접속 재개 요청은 RRC 접속 재개 요청이고, 상기 접속 재개 메시지는 RRC 접속 재개 메시지이다.
실시예 38.
실시예 35-37 중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노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기지국이다.
실시예 39.
실시예 35-38 중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라디오 베어러는 데이터 라디오 베어러를 포함한다.
실시예 40.
실시예 35-38 중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라디오 베어러는 시그널링 라디오 베어러를 포함한다.
실시예 41.
실시예 35-40 중 어느 한 방법에서, 상기 라디오 베어러는 복수의 라디오 베어러들을 포함한다.
실시예 42.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는, 무선 단말과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와 결합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실시예 35-41 중 어느 하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와 상기 무선 단말 간의 통신은 상기 트랜시버를 통해 제공된다.
실시예 43.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상기 노드는 실시예 35-4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된다.
실시예 44.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노드로서, 상기 노드는 실시예 35-41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모듈들을 포함한다.
약어(Abbreviations):
UP User Plane(사용자 평면)
AS Access Stratum(액세스 계층)
NAS Non-Access Stratum(비-액세스 계층)
EPS Evolved Packet System(진화된 패킷 시스템)
TEID Tunnel Endpoint Identifier(터널 종점 식별자)
S1-AP S1 Application Protocol(S1 응용 프로토콜)
ECM EPS Connection Management(EPS 접속 관리)
SRB0 Signaling Radio Bearer 0(시그널링 라디오 베어러 제로)
CCCH Common Control Channel(공통 제어 채널)
SRB Signaling Radio Bearer(시그널링 라디오 베어러)
DRB Data Radio Bearer(데이터 라디오 베어러)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패킷 데이터 컨버전스 프로토콜)
K_eNB key used for AS security(AS 보안에 사용되는 키)
추가 정의(Further Definitions):
본 발명의 개념의 다양한 실시예의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본 발명의 개념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다면,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을 포함함)은 본 발명의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게 통상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들에 정의된 것들과 같은 용어들은 이 명세서 및 관련 기술의 콘텍스트에서 그 의미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여기에서 명확히 정의되지 않은 경우 이상적이거나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도 이해할 것이다.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접속된(connected)" 것으로서, "결합된(coupled)" 것으로서, "응답하는(responsive)" 것으로서, 또는 이들의 변형들로서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그 다른 요소에 직접 접속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응답할 수 있거나, 또는 개재하는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연결된" 것으로서, "직접 결합된" 것으로서, 또는 "직접 응답하는" 것으로서, 또는 이들의 변형들로서 언급되는 경우에, 개재하는 요소들은 존재하지 않는다. 유사한 번호들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참조한다. 더욱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결합된", "접속된", "응답하는", 또는 이들의 변형들은 무선으로 결합된, 접속된, 또는 응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들 "a", "an" 및 "the"는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공지된 기능 또는 구성은 간결성 및/또는 명료성을 위해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 "및/또는"은 연관된 열거된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조합들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요소들/동작들을 기술하기 위해 용어 제1, 제2, 제3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 요소/동작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요소/동작을 다른 요소/동작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요소/동작은 본 발명의 개념의 교시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2 요소/동작으로 불릴 수 있다.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동일한 참조 지정자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comprise", "comprising", "comprises", "include", "including", "includes", "have", "has", "having", 또는 이들의 변형들은 개방형(open-ended)이고, 하나 이상의 서술된 특징들, 정수들, 요소들, 단계들, 컴포넌트들, 또는 기능들을 포함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요소들, 단계들, 컴포넌트들, 기능들, 또는 이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여기에서 사용될 때, 라틴 구절 "exempli gratia"로부터 파생하는 흔한 약어 "e.g.(예를 들어)"는 이전에 언급한 항목의 일반적인 예 또는 예들을 소개하거나 명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항목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라틴 구절 "id est"로부터 파생하는 흔한 약어 "i.e.(즉)"는 더 일반적인 열거로부터 특정 항목을 명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컴퓨터 구현 방법들, 장치(시스템들 및/또는 디바이스들) 및/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의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 도면들의 블록, 및 그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 도면들 내의 블록들의 조합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회로에 의해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머신을 생성하도록, 범용 컴퓨터 회로, 전용 컴퓨터 회로의 프로세서 회로 및/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회로에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의 프로세서 및/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를 통해 실행되는 그 명령들은 트랜지스터들, 메모리 위치들에 저장된 값들, 및 그러한 회로 내의 다른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변환하고 제어하여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명시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고, 그에 의해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 블록(들)에서 명시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는 수단(기능) 및/또는 구조를 생성하게 된다.
컴퓨터 또는 다른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처리 장치에 특정한 방식으로 기능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유형의(tangible)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도 있고, 따라서 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명령들은 블록도들 및/또는 흐름도 블록 또는 블록들에서 명시된 기능들/동작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제조물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념의 실시예는, "회로", "모듈" 또는 그 변형 등으로 집합적으로 지칭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펌웨어, 상주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동작들은 흐름도들에서 언급된 순서와 다르게 실행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도시된 두 개의 블록은 사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행될 수 있거나 또는 그 블록들은 관련된 기능/동작들에 따라 때때로 역순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의 주어진 블록의 기능이 다수의 블록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있거나 흐름도들 및/또는 블록도들의 둘 이상의 블록의 기능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도시된 블록들 사이에 다른 블록들이 추가/삽입될 수 있고/있거나, 블록들/동작들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일부는 주요 통신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통신 경로들 상에 화살표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통신은 도시된 화살표들과 반대 방향으로 실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의 원리를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들에 대한 많은 변형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앞서 나타낸 주제는 예시적인 것이며, 비제한적인 것으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첨부된 실시예들의 예들은 본 발명의 개념의 사상 및 범위에 들어가는 이들 모든 수정, 확장 및 다른 실시예들을 커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법이 허용하는 최대한도 내에서, 본 발명 개념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허용 가능한 최광의 해석으로 결정되어야 하고,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거나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0)

  1.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단말(UE)에 대한 방법으로서, 방법은,
    기지국에, 무선 통신 장치와의 중단된 접속을 재개하는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와;
    후속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접속 재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와;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의 구성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구성의 수행은 접속이 중단되기 전에 접속에 대해서 이전에 사용된 보안키를 변경하는, 수행하는 단계와;
    접속과 관련된 중단된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계와;
    기지국에,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접속 재개 메시지는 보안키 유도 표시자(security key derivation indicator)를 포함하고, 보안키를 변경하는 것은 보안키 유도 표시자에 기초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접속 재개 메시지는 접속 재구성 메시지의 수신까지 중단된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지연하는 제1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중단된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단계는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응답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접속 재구성 메시지는 접속 재개 메시지와 동일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으로 다중화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접속 재구성 메시지는 접속 재개 메시지로부터 개별적으로 수신 및 접속 재개 메시지 후 수신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접속 재개 메시지는 무선 단말이 응답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해야 하는지의 제2표시를 포함하고,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제2표시에 기초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접속 재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는 단계는, 무선 단말이 응답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해야 하는지의 제2표시를 접속 재개 메시지가 포함하지 않을 때,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재개된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기지국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무선 단말(UE)로서, UE는,
    기지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와;
    트랜시버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처리 회로 및 트랜스버는,
    기지국에, 무선 통신 장치와의 중단된 접속을 재개하는 요청을 송신하고;
    후속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접속 재개 메시지를 수신하며;
    접속 재개 메시지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의 구성을 수행하고, 상기 구성의 수행은 접속이 중단되기 전에 접속에 대해서 이전에 사용된 보안키를 변경하며,
    접속과 관련된 중단된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고;
    기지국에,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접속 재개 메시지는 보안키 유도 표시자(security key derivation indicator)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보안키 유도 표시자에 기초하여 보안키를 변경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접속 재개 메시지는 접속 재구성 메시지의 수신까지 중단된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지연하는 제1표시를 포함하는, 무선 단말.
  13. 제12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 및 트랜시버는,
    기지국으로부터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응답해서 중단된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접속 재구성 메시지는 접속 재개 메시지와 동일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신으로 수신되는, 무선 단말.
  15. 제13항에 있어서,
    접속 재구성 메시지는 접속 재개 메시지로부터 개별적으로 수신 및 접속 재개 메시지 후 수신되는, 무선 단말.
  16. 제10항에 있어서,
    접속 재개 메시지는 무선 단말이 응답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해야 하는지의 제2표시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 및 트랜시버는 제2표시에 기초하여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
  17. 제10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 및 트랜시버는, 무선 단말이 응답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해야 하는지의 제2표시를 접속 재개 메시지가 포함하지 않을 때,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에 기반해서 접속 재개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
  18. 제10항에 있어서,
    처리 회로 및 트랜시버는, 재개된 라디오 베어러를 사용해서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단말.
  19.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에 대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무선 단말(UE)로부터,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의 중단된 접속을 재개하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후속해서, 무선 단말에,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접속 재개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다음은:
    보안키 유도 표시자,
    접속 재구성 메시지의 수신까지 중단된 라디오 베어러를 재개하는 것을 지연하는 무선 장치에 대한 제1표시,
    접속 재구성 메시지, 및
    무선 단말이 응답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송신해야 하는지의 제2표시인, 송신하는 단계와;
    무선 단말로부터, 접속 재개 완료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으로서, 기지국은:
    하나 이상의 무선 단말(UE)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트랜시버와;
    트랜시버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서, 처리 회로 및 트랜시버는 청구항 제19항의 방법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기지국.
KR1020207033181A 2016-05-18 2017-05-18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Ceased KR202001330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38399P 2016-05-18 2016-05-18
US62/338,399 2016-05-18
PCT/SE2017/050526 WO2017200477A1 (en) 2016-05-18 2017-05-18 Methods of resuming a radio bearer and related wireless terminals and network nod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463A Division KR102219565B1 (ko) 2016-05-18 2017-05-18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017A true KR20200133017A (ko) 2020-11-25

Family

ID=5899520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463A Expired - Fee Related KR102219565B1 (ko) 2016-05-18 2017-05-18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KR1020207033181A Ceased KR20200133017A (ko) 2016-05-18 2017-05-18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5463A Expired - Fee Related KR102219565B1 (ko) 2016-05-18 2017-05-18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10764953B2 (ko)
EP (1) EP3459277B1 (ko)
JP (1) JP6720337B2 (ko)
KR (2) KR102219565B1 (ko)
CN (2) CN109155914B (ko)
WO (1) WO20172004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619B1 (ko) * 2016-04-01 2022-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보안 키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19565B1 (ko) * 2016-05-18 2021-02-23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WO2018006306A1 (zh) * 2016-07-06 2018-01-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络连接配置方法及装置
EP3504834B1 (en) * 2016-09-26 2023-02-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terminal for communication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13727327A (zh) * 2016-09-29 2021-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设备和系统
WO2018237373A1 (en) 2017-06-23 2018-12-2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ESHING THE SECURITY KEYS OF A SUBASSEMBLY OF CONFIGURED RADIO MEDIA
KR102588139B1 (ko) * 2017-06-23 2023-10-13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이용되는 보안 키들에 영향을 주는 연결 재구성의 일부로서 베어러 특정 변경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164998A (zh) 2017-11-29 2020-05-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重建rrc连接的方法、终端和存储介质
CN110225600B (zh) * 2018-03-01 2021-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KR102455586B1 (ko) * 2018-03-29 202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678399B2 (en) * 2018-05-11 2023-06-13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uming only signaling radio bearer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9241482A1 (en) * 2018-06-15 2019-12-1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restricted resources of wireless terminal
KR102694930B1 (ko) * 2018-10-30 2024-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더넷 프레임의 오버헤드를 줄이는 방법 및 장치
US11343865B2 (en) * 2019-02-12 2022-05-24 Qualcomm Incorporated Unicast link management via radio resource control signaling
JP7258586B2 (ja) * 2019-02-15 2023-04-17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機、中継ノード及び通信制御方法
WO2021151254A1 (en) * 2020-01-31 2021-08-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nection management in multi-hop networks
CN113518476A (zh) * 2020-04-10 2021-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WO2022002354A1 (en) * 2020-06-29 2022-01-06 Nokia Technologies Oy Resumption processing of connection states
US11711865B2 (en) * 2020-12-30 2023-07-25 Mediatek Inc. Detection of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without reconfiguration in mobile communications
US20240276586A1 (en) * 2021-07-20 2024-08-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of performing data reception procedure in rrc inactive state by user equi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4187445A1 (en) * 2023-03-16 2024-09-19 Zte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ue network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654B1 (ko) 2002-09-19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캐스트 멀티미디어 방송서비스를 송신하는 송신 방식 결정 방법
US8891490B2 (en) * 2008-11-24 2014-11-18 At&T Mobility Ii Llc Packet data protocol context management for handover from cellular network to a femto cell
US8478258B2 (en) * 2010-03-05 2013-07-02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reduce false detection of control channel messages in a wireless network
US9210624B2 (en) * 2010-08-17 2015-12-08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e of primary cell during carrier aggregation
US9258839B2 (en) * 2011-08-12 2016-02-09 Blackberry Limited Other network component receiving RRC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eNB
EP3570628B1 (en) * 2011-08-12 2020-12-30 BlackBerry Limited Handling a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91166B2 (en) * 2011-11-04 201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fining timing reference for secondary cells in a secondary timing advance group
CN103797854B (zh) * 2012-02-01 2017-04-05 富士通株式会社 无线连接恢复方法、移动通信系统、用户设备和基站
US9295095B2 (en) * 2012-03-27 2016-03-22 Blackberry Limited UE preference indicator for suspension
CN103828419B (zh) * 2012-09-25 2018-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链路失败处理方法、小小区及移动通信系统
CN109327876A (zh) 2013-05-16 2019-02-1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处理设备到设备通信的无线设备、网络节点及其方法
KR102078866B1 (ko) 2013-08-09 2020-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커넥티비티 지원을 위한 pdcp 분산 구조의 보안 키 생성 및 관리 방안
WO2015142049A1 (ko) 2014-03-19 2015-09-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요청 절차 수행 방법 및 사용자 장치
PT3634035T (pt) * 2014-10-28 2023-07-11 Ericsson Telefon Ab L M Nós de rede, um equipamento de utilizador e métodos associados para tratamento de uma conexão entre o equipamento de utilizador e uma rede de comunicações sem fios
US20190059119A1 (en) * 2015-11-05 2019-02-21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base station,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and context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US20170171752A1 (en) * 2015-12-14 2017-06-15 Qualcomm Incorporated Securing signaling interface between radio access network and a service management entity to support service slicing
JP6144369B1 (ja) * 2016-01-07 2017-06-07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及びコンテクスト情報保持方法
CN108432335B (zh) * 2016-01-08 2022-04-19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装置和无线通信方法
KR102629204B1 (ko) * 2016-01-19 2024-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 재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81767B2 (en) * 2016-02-05 2020-06-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RRC connection resum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168676B1 (ko) * 2016-03-23 2020-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125441A (ko) * 2016-03-29 2018-11-23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764937B2 (en) * 2016-04-12 2020-09-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transmitting RRC message when using CP CIOT EPS optimization
US11323862B2 (en) * 2016-05-06 2022-05-03 Convida Wireless, Llc Traffic steering at the service layer
KR102219565B1 (ko) * 2016-05-18 2021-02-23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US10219193B2 (en) * 2016-08-22 2019-02-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of network to terminal by using sl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59277A1 (en) 2019-03-27
US10764953B2 (en) 2020-09-01
KR20190004346A (ko) 2019-01-11
JP2019519962A (ja) 2019-07-11
US20190124710A1 (en) 2019-04-25
US11690126B2 (en) 2023-06-27
WO2017200477A1 (en) 2017-11-23
KR102219565B1 (ko) 2021-02-23
CN109155914A (zh) 2019-01-04
US20200351972A1 (en) 2020-11-05
US20220418032A1 (en) 2022-12-29
JP6720337B2 (ja) 2020-07-08
CN109155914B (zh) 2022-04-08
CN113038633A (zh) 2021-06-25
EP3459277B1 (en) 2021-08-18
US11457495B2 (en) 2022-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565B1 (ko) 라디오 베어러의 재개 방법과 이와 관련된 무선 단말 및 네트워크 노드
JP7349964B2 (ja) 非アクティブ使用に対するranにおけるueコンテキストの格納
RU2682397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ресурсами
EP4025010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resuming a suspended rrc connection
WO2018006253A1 (zh) 一种无线链路失败处理方法、相关设备及通信系统
US112190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elease cause
US12167259B2 (en) Master node, secondary node, and methods therefor
CN105612786A (zh) 3gpp lte网络中用于快速切换故障恢复的用户设备和方法
US9775185B2 (en) Management of radio resource control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WO2020001256A1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20220256637A1 (en) Master node, secondary node, and methods therefor
WO2021026706A1 (zh) 一种f1接口管理方法及装置
US20230337304A1 (en) Resuming multi-radio dual connectivity
EP4218354A1 (en) Providing conditional configuration at an early opportunity
WO2016045038A1 (zh) 一种载波聚合方法、相关设备以及系统
US12096304B2 (en) Controlling mobility between base stations of different types
EP4478787A1 (en) Communication holding method and apparatus
WO2023112179A1 (ja) 第1無線通信装置、第2無線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CN117751601A (zh) 触发生成回传链路无线链路失败通知的方法及装置
WO2014179970A1 (en) Connection release for dual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01118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7035463

Filing date: 2018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2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