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30277A -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0277A
KR20200130277A KR1020207025472A KR20207025472A KR20200130277A KR 20200130277 A KR20200130277 A KR 20200130277A KR 1020207025472 A KR1020207025472 A KR 1020207025472A KR 20207025472 A KR20207025472 A KR 20207025472A KR 20200130277 A KR20200130277 A KR 20200130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function
charge
communication device
manag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5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스가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30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27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Leader-follower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무선 LAN에 있어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복수의 통신 장치에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일 측면의 통신 장치는,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고,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다른 측면의 통신 장치는,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고,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본 기술은, 무선 LAN의 통신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본 기술은,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LAN에 있어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복수의 통신 장치에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는, 다양한 기능을 1대의 통신 장치에 탑재함으로써 구성된다.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는, 예를 들어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하는 모뎀 기능, 무선 LAN에 있어서의 통신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국으로서의 기능, 무선 LAN에 접속하는 통신 장치를 관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는, 복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복잡한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7-103666호 공보
근년, 테더링이라고 불리는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폰과 같이,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장치가 많아지고 있다. 액세스 포인트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장치가 동일 무선 LAN 내에 복수 존재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복수의 통신 장치에 분산할 수 있다면, 1대의 통신 장치에 부하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기술은 이와 같은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무선 LAN에 있어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복수의 통신 장치에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의 통신 장치는,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의 통신 장치는,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3 측면의 통신 장치는,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제1 장치가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송신된 관리 프레임의 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제1 장치와,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2 장치가 적어도 존재하는 상기 무선 LAN에 속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를 구비한다.
본 기술의 제1 측면에 있어서는,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이 제어되고,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가 관리된다.
본 기술의 제2 측면에 있어서는,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이 제어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가 관리된다.
본 기술의 제3 측면에 있어서는,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제1 장치가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송신된 관리 프레임의 수신이 제어되고, 상기 제1 장치와,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2 장치가 적어도 존재하는 상기 무선 LAN에 속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가 관리된다.
본 기술에 의하면, 무선 LAN에 있어서의 액세스 포인트의 기능을, 복수의 통신 장치에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효과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개시 중에 기재된 어느 효과여도 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 LAN 시스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AP의 기능을 분산한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Near Station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Near Station에 대한 다운링크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Far Station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Far Station에 대한 다운링크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AP의 기능을 분산한 다른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무선 통신 모듈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통신 장치의 위치 관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통신 장치의 역할을 결정하는 일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2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통신 장치간의 통신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15는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프레임 포맷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통신 장치의 기능 분담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통신 장치의 기능 분담 처리에 대해 설명하는, 도 16에 이은 흐름도이다.
도 18은 통신 장치의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통신 장치의 역할을 결정하는 다른 일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0은 통신 장치간의 다른 통신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1은 컴퓨터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기술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은 이하의 순서로 행한다.
1. 종래의 네트워크 구성예
2.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구성예
3. 통신 장치의 구성예
4. 네트워크 전체의 동작예
5. 각 통신 장치의 동작
6. 네트워크 전체의 다른 동작예
7. 변형예
<종래의 네트워크 구성예>
도 1은, 종래의 무선 LAN 네트워크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하는 구성은, 네트워크의 모든 제어가 1대의 통신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경우의 구성이다. 네트워크의 모든 제어를 행하는 통신 장치인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의 전파의 도달 범위 내에 Station 1 내지 6이 존재한다. 도 1에 도시하는 7개의 작은 원은, 각각 예를 들어 IEEE802.11의 소정의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의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이다.
Station은, Access Point가 관리하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단말기로서 동작하고, 클라이언트로 되는 통신 장치이다. Access Point와 Station에 의해 BSS(Basic Service Set)가 구성된다.
파선으로 나타내는 원#0은, Access Point의 통신 가능 범위, 즉 전파의 도달 범위를 나타낸다. 원#0에 의해 표시되는 범위는, 예를 들어 허용된 최대 송신 전력을 사용한 경우의 전파의 도달 범위이다.
또한, 파선으로 나타내는 원#1 내지 #6은, 각각 Station 1 내지 6의 전파의 도달 범위를 나타낸다. Station 1 내지 3은 Access Point의 근처에 존재하고, Station 4 내지 6은 Access Point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존재한다.
Access Point의 근처에 존재하는 Station 1 내지 3은, 각각 Station 1 내지 3을 중심으로 하는 원#1 내지 #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을 억제해도, Access Point와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Access Point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는 Station 4 내지 6은, 각각 Station 4 내지 6을 중심으로 하는 원#4 내지 #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송신 전력을 억제하지 않고, 최대 송신 전력으로의 전파를 사용하지 않으면, Access Point와 통신을 행할 수 없다.
이와 같이, Access Point와, Access Point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존재하는 Station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는, 전파의 송신 전력을 억제하기가 어렵고, 원#0, #4 내지 #6으로 나타내는 범위에까지 신호가 도달된다. 즉, Access Point가 네트워크의 단에 존재하고 있는 경우, 모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범위(예를 들어 원#3의 범위)의 외까지, 신호가 도달되어 버린다.
이와 같이, 1대의 통신 장치가 Access Point로서 네트워크의 모든 제어를 행하는 경우, 전파의 송신 전력을 억제하는 제어를 각 통신 장치가 행하였다고 해도, Access Point의 위치에 따라서는, 그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이하, 적절하게, Access Point를 AP라고 한다. 또한, Station을 STA라고 한다.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네트워크 구성예>
도 2는, 본 기술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AP의 기능을 분산한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예에 있어서는, 네트워크의 중심 부근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가 Access Controller로서 동작하고, 인터넷 등의 외부의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좌측 상단의 통신 장치가 Internet Gateway로서 동작한다.
즉, 도 2의 예에 있어서는, Access Controller가 되는 통신 장치가, 종래의 AP의 기능 중,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Access Controller가 송신하는 관리 프레임에는, Beacon 프레임, Action 프레임, Management 프레임, Trigger 프레임이 포함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Beacon 프레임에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각의 통신 장치의 어드레스 등의 정보가 포함된다. Access Controller가 송신하는 신호에 의해, 각 통신 장치에 의한 Access Controller나 Internet Gateway에 대한 액세스가 제어되고, 네트워크의 범위가 특정된다.
또한, Internet Gateway가 되는 통신 장치가, 종래의 AP의 기능 중,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Access Controller가 되는 통신 장치와는 다른 통신 장치가 Internet Gateway로서 동작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속하는 STA가, 인터넷을 통한 통신 등의 필요한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nternet Gateway는, 예를 들어 인터넷에 대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는 서버와 통신을 행하고, 업링크의 데이터와 다운링크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업링크의 데이터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STA로부터 외부의 장치에 대한 데이터이며, 다운링크의 데이터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네트워크에 속하는 STA에 대한 데이터이다.
이와 같이, AP의 기능을 복수의 통신 장치에 분담시킴으로써, 네트워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AP의 기능에는, Beacon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과,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게이트웨이의 기능이 적어도 포함된다.
또한, Access Controller를 중심으로 한 범위에 전파가 다다르면 되기 때문에, 각각의 통신 장치는, 전파의 송신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Access Controller는, 전파의 송신 전력을 억제해도, 모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원#11로 나타내는 범위에, Beacon 프레임 등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Internet Gateway와 STA1 내지 5도, 각각, 필요 최저한의 송신 전력의 전파를 사용하여 Access Controller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원#12는 Internet Gateway의 전파의 도달 범위를 나타내고, 원#21 내지 #25는, 각각 STA1 내지 5의 전파의 도달 범위를 나타낸다.
각각의 통신 장치의 전파의 도달 범위는, 인접하는 통신 장치의 위치를 포함하는, 도 1의 원#0의 범위 등과 비교하여 좁은 범위로 되어 있다. 즉, Access Controller를 중심으로 한 좁은 범위로 무선 LAN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적절하게, Access Controller(액세스 컨트롤러)를 AC라고 한다. 또한, Internet Gateway(인터넷 게이트웨이)를 IG라고 한다.
이와 같은 좁은 범위로 구축되는 도 2의 네트워크에 있어서, IG의 전파의 도달 범위에 존재하고, IG와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있는 STA1과 STA2는, Near Station으로서 동작한다.
또한, IG와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없기는 하지만, AC의 전파의 도달 범위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인 STA3 내지 5는, Far Station으로서 동작한다.
Near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것인지, Far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것인지는, IG와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특정된다.
도 3은, Near Station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Near Station인 STA1이 외부의 장치에 송신하는 업링크의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에 의해 직접 수신되고, IG로부터, 송신처가 되는 외부의 장치에 송신된다. 외부의 장치는, 인터넷 상의 장치 등의, 도 3에 도시하는 네트워크 외에 있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치이다.
또한, STA2가 외부의 장치에 송신하는 업링크의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에 의해 직접 수신되고, IG로부터, 송신처가 되는 외부의 장치에 송신된다.
도 4는, Near Station에 대한 다운링크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외부의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IG에 있어서 수신된 STA1에 대한 다운링크의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1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로부터 STA1에 직접 송신된다. 또한, 외부의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IG에 있어서 수신된 STA2에 대한 다운링크의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1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로부터 STA2로 직접 송신된다.
이와 같이, Near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STA1과 STA2는, IG의 전파의 도달 범위에 존재하고, IG와의 사이에서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도 5는, Far Station으로부터 송신된 업링크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Far Station인 STA3이 외부의 장치에 송신하는 업링크의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21, A2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AC를 중계하여 IG에 의해 수신되고, IG로부터, 송신처가 되는 외부의 장치에 송신된다.
또한, STA4와 STA5가 외부의 장치에 송신하는 업링크의 데이터도, 각각 외곽선 화살표 A23, A24와 외곽선 화살표 A25, A2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AC를 중계하여 IG에 의해 수신되고, IG로부터, 송신처가 되는 외부의 장치에 송신된다.
도 6은, Far Station에 대한 다운링크의 데이터의 흐름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외부의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IG에 있어서 수신된 STA3에 대한 다운링크의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31, A3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로부터, AC를 중계하여 STA3에 송신된다.
또한, 외부의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IG에 있어서 수신된 STA4와 STA5에 대한 다운링크의 데이터도, 각각 외곽선 화살표 A33, A34와 외곽선 화살표 A35, A3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로부터, AC를 중계하여 STA4와 STA5에 송신된다.
이와 같이, Far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STA3, STA4, STA5는, AC의 전파의 도달 범위에 존재하고, AC를 중계하고, IG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AP의 기능을 복수의 통신 장치에서 분담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업링크/다운링크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상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이와 같이, AC로서 동작 가능하고, 최적의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에 종래의 AP의 기능 중 일부의 기능을 분담시킴으로써, 유저가 원하는 필요 충분한 범위에,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원하는 범위의 중심 위치 부근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를, AC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지정함으로써, 각각의 통신 장치간의 통신이, 이상과 같이 하여 효율적으로 행해지게 된다.
또한, IG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장치에 종래의 AP의 기능 중 일부의 기능을 분담시킴으로써, 인터넷망으로의 액세스에 최적화한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7은, AP의 기능을 분산한 다른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AP의 기능을 더욱 세분화하여, AP의 일부의 기능을 다른 통신 장치에 분담시킨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의 예에 있어서는, 대략 중심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가 Access Controller로서 동작하고, AC의 우측 옆의 통신 장치가 Intelligence Controller(인텔리젼스 컨트롤러)로서 동작한다. 이하, 적절하게, Intelligence Controller를 IC라고 한다.
IC가 되는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인증 처리(Authentication)나,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Association)에 관한 처리를 행한다. 즉, IC는, 종래의 AP의 기능 중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인증 기능과,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 요구를 처리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이, AP의 기능을 더욱 세분화하여, 다른 통신 장치에 분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인증 기능과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 요구를 처리하는 기능의 양쪽 기능을 1대의 통신 장치에 분담시키는 것이 아니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인증 기능과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 요구를 처리하는 기능 중 어느 기능을 분담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인증 기능 등을, 처리 능력이 높은 통신 장치에 분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7의 예에 있어서는, AP의 좌측 옆의 통신 장치가 Internet Gateway 1로서 동작하고, 좌측 하방의 통신 장치가 Internet Gateway 2로서 동작한다.
이와 같이, 외부의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통신 장치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통신 장치에 IG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복수의 IG가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비용 등에 따라 접속하는 IG가 각각의 STA에 있어서 선택된다.
도 7의 예에 있어서는, 원#31은, AC의 전파의 도달 범위를 나타낸다. 원#32, #33은, 각각 Internet Gateway 1, Internet Gateway 2의 전파의 도달 범위를 나타낸다. 원#34는, IC의 전파의 도달 범위를 나타낸다.
원#41은, Far Station인 STA1의 전파의 도달 범위를 나타내고, 원#42는, Near Station인 STA2의 전파의 도달 범위를 나타낸다. 복수의 IG가 존재하는 경우, 어느 IG의 전파의 도달 범위에 존재하는 STA는, Near Station으로서 동작한다. 또한, 어느 IG의 전파의 도달 범위에도 존재하지 않는 STA는, Far Station으로서 동작한다. 원#43은, OBSS(Over lapping BSS) Station의 전파의 도달 범위를 나타낸다.
도 7의 예에 있어서도, 각각의 통신 장치의 전파의 도달 범위는, 인접하는 통신 장치의 위치를 포함하는 좁은 범위로 되어 있다. Access Controller를 중심으로 한 좁은 범위에 무선 LAN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네트워크가, 유저의 자택 내, 오피스 등의 소정의 에어리어에 구축된다. 각각의 통신 장치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단말기 등의 휴대 단말기, PC, 게임기, 텔레비전 수상기, 라우터 등의, IEEE802.11의 소정의 규격에 준거한 무선 통신의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통신 장치의 구성예>
도 8은, 통신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통신 장치(11)는, AC, IG, IC, Near Station, Far Station 등으로서 동작하는 장치이다.
통신 장치(11)는, 예를 들어 인터넷 접속 모듈(21), 정보 입력 모듈(22), 기기 제어부(23), 정보 출력 모듈(24) 및 무선 통신 모듈(25)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하는 구성은, 각각의 통신 장치(11)가 담당하는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인터넷 접속 모듈(21)은, 통신 장치(11)가 IG로서 동작하는 경우,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모뎀으로서 기능한다. 즉, 인터넷 접속 모듈(21)은, 인터넷을 통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기기 제어부(23)에 출력하거나, 기기 제어부(2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인터넷을 통하여 송신처의 장치에 송신하거나 한다.
정보 입력 모듈(22)은, 유저에 의한 조작을 검출하고, 유저의 조작 내용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기 제어부(23)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정보 입력 모듈(22)은, 통신 장치(11)의 하우징에 마련된 버튼,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이 조작된 경우, 유저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기기 제어부(23)에 출력한다.
기기 제어부(23)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의해 구성된다. 기기 제어부(23)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CPU에 의해 실행하고, 정보 입력 모듈(22)로부터 공급된 신호 등에 따라, 통신 장치(11)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기기 제어부(23)는, 인터넷 접속 모듈(21)로부터 공급된 다운링크의 데이터를 무선 통신 모듈(25)에 출력하고, 송신처의 통신 장치에 송신시킨다. 또한, 기기 제어부(23)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무선 통신 모듈(25)에 있어서 수신된 업링크의 데이터를 무선 통신 모듈(25)로부터 취득하고, 인터넷 접속 모듈(21)에 출력한다. 기기 제어부(23)는, 적절하게, 소정의 정보를 정보 출력 모듈(24)로부터 출력시킨다.
정보 출력 모듈(24)은, 액정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부,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정보 출력 모듈(24)은, 기기 제어부(23)로부터 공급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 장치(11)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인터넷을 통하여 얻어진 정보 등의 각종 정보를 출력하고, 유저에게 제시한다.
무선 통신 모듈(25)은, 소정의 규격에 준거한 무선 LAN의 모듈이다. 무선 통신 모듈(25)은, 예를 들어 LSI의 칩으로서 구성된다.
무선 통신 모듈(25)은, 기기 제어부(23)로부터 공급된 데이터를 소정의 형식의 프레임으로 다른 장치에 송신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기기 제어부(23)에 출력하거나 한다.
도 9는, 무선 통신 모듈(25)의 기능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 모듈(25)은, 입출력부(51), 통신 제어부(52) 및 기저 대역 처리부(53)로 구성된다.
입출력부(51)는, 인터페이스부(101), 송신 버퍼(102), 네트워크 관리부(103),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 수신 데이터 구축부(115) 및 수신 버퍼(116)로 구성된다.
통신 제어부(52)는, 액세스 제어부(105), 관리 정보 생성부(106), 송신 타이밍 제어부(107), 수신 타이밍 제어부(113) 및 관리 정보 처리부(114)로 구성된다.
기저 대역 처리부(53)는, 송신 전력 제어부(108), 무선 송신 처리부(109), 안테나 제어부(110), 무선 수신 처리부(111) 및 검출 임계값 제어부(112)로 구성된다.
입출력부(51)의 인터페이스부(101)는, 소정의 신호 형식의 데이터를 도 8의 기기 제어부(23)와의 사이에서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01)는, 기기 제어부(23)로부터 공급된 송신 대상의 데이터를 송신 버퍼(102)에 출력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01)는, 수신 버퍼(116)에 저장된, 다른 통신 장치(11)로부터의 수신 데이터를 기기 제어부(23)에 출력한다.
송신 버퍼(102)는, 송신 대상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송신 버퍼(102)에 저장된 송신 대상의 데이터는,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 판독된다.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자신이 담당하는 기능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AC의 기능을 담당하는 경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장치(11)의 어드레스를 관리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AC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1), IG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1) 등의, 네트워크에 속하는 다른 통신 장치(11)가 담당하는 기능을 관리한다. 네트워크 관리부(103)에 의한 네트워크의 관리는, 인터페이스부(101)나 액세스 제어부(105)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어드레스 등의 각종 정보를, 필요에 따라,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 액세스 제어부(105), 수신 데이터 구축부(115)의 각 부에 출력한다.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는, 송신 버퍼(102)에 저장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고, 무선 송신 처리부(109)에 출력한다.
통신 제어부(52)의 액세스 제어부(105)는, 네트워크 관리부(103)에 있어서 관리되고 있는 자신이 담당하는 기능에 따라 각종 제어를 행한다. 예를 들어, 액세스 제어부(105)는, 자신이 AC로서 동작하는 경우, 관리 프레임에 저장하기 위한 정보인 관리 정보를 관리 정보 생성부(106)에 출력한다.
액세스 제어부(105)는, 네트워크 관리부(103), 관리 정보 처리부(114)로부터 공급된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액세스 제어를 행한다.
관리 정보 생성부(106)는, 액세스 제어부(105)로부터 공급된 관리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을 생성하고, 무선 송신 처리부(109)에 출력한다.
송신 타이밍 제어부(107)는, 무선 송신 처리부(109)에 의한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한다. 송신 타이밍은 예를 들어 액세스 제어부(105)에 의해 지정된다.
기저 대역 처리부(53)의 송신 전력 제어부(108)는, 액세스 제어부(105) 및 송신 타이밍 제어부(107)에 의한 제어에 따라,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AC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1)의 전파 송신 전력은, 네트워크에 속하는 모든 통신 장치(11)와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레벨로 억제된다. 또한, AC 이외의 기능을 담당하는 통신 장치(11)의 전파 송신 전력은, 적어도 AC와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있는 레벨로 억제된다.
무선 송신 처리부(109)는, 송신 프레임 구축부(104)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프레임과 관리 정보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관리 프레임을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무선 송신 처리부(109)는, 변조 처리 등의 각종 신호 처리를 기저 대역 신호에 대해 실시하고, 신호 처리 후의 기저 대역 신호를 안테나 제어부(110)에 공급한다.
안테나 제어부(110)는, 안테나(25A, 25B)를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가 접속됨으로써 구성된다. 안테나 제어부(110)는, 무선 송신 처리부(109)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안테나(25A)로부터 송신한다. 또한, 안테나 제어부(110)는,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전파가 수신됨에 따라 안테나(25B)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무선 수신 처리부(111)에 출력한다.
무선 수신 처리부(111)는, 안테나 제어부(110)로부터 공급된 신호로부터, 소정의 포맷으로 송신되는 프레임의 프리앰블을 검출하고, 프리앰블에 이은, 헤더나 데이터부를 구성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무선 수신 처리부(111)는, Beacon 프레임이나 Trigger 프레임 등의 관리 프레임의 데이터를 관리 정보 처리부(114)에 출력하고, 다른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 구축부(115)에 출력한다.
검출 임계값 제어부(112)는, 프리앰블 등의 신호의 검출 기준이 되는 임계값을 무선 수신 처리부(111)에 설정한다. 검출 임계값 제어부(112)에 의한 임계값의 설정은, 예를 들어 전파의 송신 전력의 제어가 네트워크에 있어서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 액세스 제어부(105)에 의한 제어에 따라 행해진다.
통신 제어부(52)의 수신 타이밍 제어부(113)는, 무선 수신 처리부(111)에 의한 프레임의 수신 타이밍을 제어한다. 수신 타이밍은 예를 들어 액세스 제어부(105)에 의해 지정된다. 프레임의 수신 타이밍의 정보는, 적절하게, 송신 타이밍 제어부(107)에 공급된다.
관리 정보 처리부(114)는, 무선 수신 처리부(11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는 관리 프레임을 해석한다. 관리 정보 처리부(114)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처로서 자신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관리 프레임에 저장되어 있는 파라미터를 추출하고, 파라미터의 내용을 해석한다. 관리 정보 처리부(114)는, 해석 결과의 정보를, 액세스 제어부(105)이나 수신 데이터 구축부(115)에 출력한다.
입출력부(51)의 수신 데이터 구축부(115)는, 무선 수신 처리부(111)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에 의해 구성되는 데이터 프레임으로부터 헤더를 제거하고, 데이터부를 추출한다. 수신 데이터 구축부(115)는, 추출된 데이터부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 하여 수신 버퍼(116)에 출력한다.
수신 버퍼(116)는, 수신 데이터 구축부(115)로부터 공급된 수신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수신 버퍼(116)에 저장된 수신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101)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 판독되고, 기기 제어부(23)에 출력된다.
무선 통신 모듈(25)은, 이상과 같은 각 부를 갖는 입출력부(51), 통신 제어부(52) 및 기저 대역 처리부(53)로 구성된다. AP의 기능을 복수의 통신 장치(11)에 분담시키는 경우, 각각의 통신 장치(11)가 담당하는 기능에 따라 각 부의 동작이 전환된다.
<네트워크 전체의 동작예>
여기서,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통신 장치(11)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 장치(11)인 STA1 내지 4가 좌측에서부터 차례로 나열되는 위치 관계에 있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원#51 내지 #54는, STA1 내지 4의 각각의 전파의 도달 범위를 나타낸다.
이 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STA는, 2대 앞의 STA와의 사이에서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있기는 하지만, 그 앞에 있는 STA와는 통신을 행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는, STA1과 STA4는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없다.
AP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각각의 STA는, 자신이 담당할 수 있는 기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Action 프레임이나 Management 프레임 등을 사용하여, 주위의 STA와 정보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도 11의 시퀀스를 참조하여, AP의 기능을 분담하고, 각각의 STA의 역할을 결정하는 일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편의상, Action 프레임과 Beacon 프레임을 사용한 동작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들 프레임 대신에 Management 프레임이 사용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유저가, AC로서 동작 가능한 STA3에 대해, AC로서 동작하는 것을 지정한 것으로 한다. AC로서 동작하는 것의 지정은, 예를 들어 STA3의 정보 입력 모듈(22)을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AC로서 동작하는 것이 지정된 경우, 스텝 S21에 있어서, STA3은,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Action 프레임을 송신한다. STA3이 송신하는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에는, 자신이 AC로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은, 스텝 S1에 있어서 STA1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11에 있어서 STA2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STA3으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은, 스텝 S31에 있어서 STA4에 의해 수신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을 수신한 STA 중 예를 들어 STA4가,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11)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스텝 S32에 있어서, STA4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Action 프레임을 송신한다. STA4가 송신하는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에는, 자신이 IG로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된다.
STA4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은, 스텝 S12에 있어서 STA2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2에 있어서 STA3에 의해 수신된다. STA1과 STA4는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STA4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은, STA1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AC로서 동작하는 STA3은, IG로서 동작하는 STA4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을 수신한 것에 따라, AP의 기능을 분산한 네트워크를 운영함이 가능하게 된 것으로서 판단한다.
스텝 S23에 있어서, STA3은,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Beacon 프레임을 송신한다. STA3이 송신하는 Beac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에는, 각각의 STA의 역할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된다.
Beacon 프레임을 송신한 STA3은, 스텝 S24에 있어서, AC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Beacon 프레임은, 스텝 S2에 있어서 STA1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13에 있어서 STA2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스텝 S33에 있어서 STA4에 의해 수신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Beacon 프레임을 스텝 S33에 있어서 수신한 STA4는, 스텝 S34에 있어서, IG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한편, STA3으로부터 송신된 Beacon 프레임을 스텝 S13에 있어서 수신한 STA2는, AC로서 동작하는 STA3이 송신하는 신호와, IG로서 동작하는 STA4가 송신하는 신호의 양쪽 신호를 소정의 전계 강도 이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스텝 S14에 있어서, STA2는, Near Station으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STA2는, 업링크/다운링크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IG와의 사이에서 직접 행하게 된다.
또한, STA3으로부터 송신된 Beacon 프레임을 스텝 S2에 있어서 수신한 STA1은, AC로서 동작하는 STA3이 송신하는 신호를 소정의 전계 강도 이상으로 수신할 수 있기는 하지만, IG로서 동작하는 STA4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다.
STA4로부터의 신호가 직접 다다르지 않는 범위에 존재하는 점에서, 스텝 S3에 있어서, STA1은, Far Station으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STA1은, 업링크/다운링크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AC를 중계하여 행하게 된다.
도 12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에는, IE Type, Length, ESS ID, Own MAC Address, Controller Available, Gateway Available, Intelligence Available이 포함된다.
IE Type는, 정보 엘리먼트의 형식을 나타낸다.
Length는, 정보 엘리먼트의 정보 길이를 나타낸다.
ESS ID는, 필요에 따라 설정되는 확장 서비스 세트의 식별자를 나타낸다.
Own MAC Address는, 자신의 MAC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Controller Available은, AC로서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도 11의 예에 있어서, STA3이 송신하는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의 Controller Available에는, 자신이 AC로서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값이 설정된다.
Gateway Available은, IG로서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도 11의 예에 있어서, STA4가 송신하는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의 Gateway Available에는, 자신이 IG로서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값이 설정된다.
Intelligence Available은, IC로서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IC의 기능을 분담하는 경우, IC로서 동작 가능한 STA는, Intelligence Available의 값으로서 자신이 IC로서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값이 설정된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Action 프레임을 송신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각 정보를 포함하는 Action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STA는, 자신이 담당할 수 있는 기능을 다른 STA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STA는, 다른 STA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에 기초하여, 자신이 속하는 네트워크 내에 AP의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STA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3은,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에는, IE Type, Length, SSID, ESS ID, Controller Address, Gateway Address, Intelligence Address가 포함된다. IE Type, Length, SSID, ESS ID는, 각각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IE Type, Length, SSID, ESS ID와 동일하다.
Controller Address는, AC로서 동작하는 STA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Gateway Address는, IG로서 동작하는 STA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Intelligence Address는, IC로서 동작하는 STA의 어드레스를 나타낸다.
도 11의 예에 있어서, STA3이 송신하는 Beac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의 Controller Address에는 STA3 자신의 어드레스가 설정되고, Gateway Address에는 STA4의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Gateway Address로서 설정되는 STA4의 어드레스는, 예를 들어 STA4가 송신하는 Action 프레임의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의 Own MAC Address에 기초하여 STA3에 있어서 특정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각 정보를 포함하는 Beacon 프레임을 사용함으로써, AC로서 동작하는 STA는, AP의 기능을 담당하는 각각의 STA의 어드레스를 다른 STA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STA는, AC로서 동작하는 STA로부터 송신되어 온 Beacon 프레임에 기초하여, 자신이 속하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AP의 기능을 담당하는 다른 STA의 어드레스를 각각 특정할 수 있다.
AP의 복수의 기능을 하나의 STA가 겸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Controller Address, Gateway Address, Intelligence Address 중 2개 이상에 동일 STA의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또한, 복수의 IG의 어드레스를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에 기술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IG로서 동작 가능한 STA가 하나의 네트워크에 복수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어드레스가 기술된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Beacon 프레임이 AC로부터 송신된다.
통신 장치(11)의 역할의 결정시, 이러한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를 관리 정보로서 포함하는 Action 프레임이나,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를 관리 정보로서 포함하는 Beacon 프레임의 송수신이 각각의 통신 장치(11) 사이에서 행해진다.
다음에, 도 14의 시퀀스를 참조하여, STA간의 통신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STA1, STA2, STA3, STA4에 있어서, 각각 Far Station, Near Station, AC, IG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Near Station이 외부의 장치에 대해 송신하는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5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plink Direct Data로서 IG에 의해 직접 수신된다.
한편, Far Station이 외부의 장치에 대해 송신하는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5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plink Relay Data로서 AC에 의해 수신되고, AC를 중계하고, 외곽선 화살표 A5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에 송신된다. AC가 중계하는 데이터는, Relay Data로서 IG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외부의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Near Station을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5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Downlink Direct Data로서 IG로부터 Near Station에 직접 송신된다.
한편, 외부의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Far Station을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5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Relay Data로서 IG로부터 AC에 송신되고, AC를 중계하고, 외곽선 화살표 A5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Far Station에 송신된다. AC가 중계하는 데이터는 Downlink Relay Data로서 Far Station에 의해 수신된다.
이와 같이, 각각의 STA의 동작을 정의하여 AP의 기능을 분산시킴으로써,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해진다.
도 15는, 데이터의 송수신에 사용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은, MAC Header, Frame Body, FCS로 구성된다.
MAC Header는, Frame Control, Duration, Address 1, Address 2, Address 3, Sequence Control, Address 4, QoS Control, HE Control 등의 필드로 구성된다.
Frame Control에는, 프레임의 제어 정보나 형식이 기술된다.
Duration에는, 이 프레임이나 응답을 반환하기 위한 지속 시간이 기술된다.
Address 1, Address 2, Address 3, Address 4에는, 직접 전송을 실시할 때의 송신원의 STA나 수신처의 STA의 어드레스에 더하여, 중계처로 되는 STA의 어드레스가 기술된다.
Sequence Control에는, 시퀀스 번호 등의 파라미터가 기술된다.
QoS Control에는, QoS의 파라미터가 기술된다.
HE Control에는, 고효율의 전송을 실시하기 위한 파라미터가 기술된다.
Frame Body에는, 송신 대상의 데이터가 포함된다.
FCS에는, MAC Header의 오류 검출을 위한 파라미터가 기술된다.
<각 통신 장치의 동작>
도 16 및 도 1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역할을 설정하는 통신 장치(11)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01에 있어서, 통신 장치(11)의 기기 제어부(23)(도 8)는, AP Availability의 설정을 취득한다. AP Availability의 설정이 있는 경우, 그 설정에 의해, AC로서 동작하는 것이 유저에 의해 지정되어 있는 것,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표시된다.
스텝 S102에 있어서, 기기 제어부(23)는, AP Availability의 설정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AP Availability의 설정이 있다고 스텝 S102에 있어서 판정한 경우, 스텝 S103에 있어서, 기기 제어부(23)는, AC로서 동작하는 것이 유저에 의해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의 판정은, AP Availability의 설정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AC로서 동작하는 것이 지정되었다고 스텝 S103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스텝 S104에 있어서, 무선 통신 모듈(25)의 네트워크 관리부(103)(도 9)는, Controller Available을 설정한다.
AC로서 동작하는 것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그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기 제어부(23)로부터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하여 네트워크 관리부(103)에 공급된다.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액세스 제어부(105)를 제어함으로써, AC로서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값이 Controller Available에 설정된 Action 프레임을 관리 정보 생성부(106)에 생성시킨다.
한편, AP Availability의 설정이 없다고 스텝 S102에 있어서 판정한 경우 또는 AC로서 동작하는 것이 지정되어 있지 않다고 스텝 S103에 있어서 판정한 경우, 스텝 S105에 있어서, 기기 제어부(23)는, 인터넷 접속 있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인터넷 접속 있음으로 스텝 S105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스텝 S106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Gateway Available을 설정한다.
인터넷 접속 있음으로 판정된 경우, 그것을 표시하는 정보가, 기기 제어부(23)로부터 인터페이스부(101)를 통하여 네트워크 관리부(103)에 공급된다.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액세스 제어부(105)를 제어함으로써, IG로서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값이 Gateway Available에 설정된 Action 프레임을 관리 정보 생성부(106)에 생성시킨다.
스텝 S104 또는 스텝 S106에 있어서 Action 프레임이 생성된 후, 스텝 S107에 있어서, 무선 송신 처리부(109)는 Action 프레임을 송신한다.
인터넷 접속 없음으로 스텝 S105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스텝 S106, S107의 처리는 스킵된다.
스텝 S108에 있어서, 무선 수신 처리부(111)는, 주위의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의 수신 동작을 행한다. 여기서는, AC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 또는 IG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이 수신된다.
무선 수신 처리부(111)에 의해 수신된 Action 프레임의 데이터는 관리 정보 처리부(114)에 공급되고, 해석된다. 관리 정보 처리부(114)로부터 출력된 해석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는, 액세스 제어부(105)를 통하여 네트워크 관리부(103)에 공급된다.
스텝 S109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자신이 AC로서 동작 가능하며, 또한, IG가 자신의 인근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IG가 있는지 여부는, 관리 정보 처리부(114)로부터 공급된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예를 들어, 다른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의 Gateway Available의 값으로서, IG로서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IG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장치가 자신의 인근에 있는 것으로 판정된다.
자신이 AC로서 동작 가능하고, 또한, IG가 있다고 스텝 S109에 있어서 판정한 경우, 스텝 S110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Gateway Address를 취득하고, IG의 어드레스로서 설정한다. Gateway Address는, 예를 들어 IG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의 Own MAC Address에 의해 표시된다.
스텝 S111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AC로서 자신이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Beacon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을 설정하거나, 각 STA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 타이밍을 설정하거나 한다. 또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Far Station으로부터 송신되어 온 데이터의 송신처로서 IG를 설정한다.
스텝 S112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액세스 제어부(105)를 제어함으로써, 적어도 AC와 IG가 결정된 것을 나타내는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Beacon 프레임을 관리 정보 생성부(106)에 생성시킨다.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의 Controller Address에는 자신의 어드레스가 설정되고, Gateway Address에는, 스텝 S110에 있어서 취득된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스텝 S113에서, 무선 송신 처리부(109)는,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Beacon 프레임을 송신하고, 처리를 종료시킨다.
한편, 자신이 AC로서 동작 가능하지 않거나, 또는 자신이 AC로서 동작 가능하지만, 인근에 IG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장치가 없으면 스텝 S109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14로 진행한다.
스텝 S114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자신이 IG로서 동작 가능하며, 또한, AC가 자신의 인근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AC가 있는지 여부는, 관리 정보 처리부(114)로부터 공급된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판정된다. 예를 들어, 다른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의 Controller Available의 값으로서, AC로서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AC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장치가 자신의 인근에 있는 것으로서 판정된다.
자신이 IG로서 동작 가능하며, 또한, AC가 있다고 스텝 S114에 있어서 판정한 경우, 스텝 S115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Controller Address를 관리 정보 처리부(114)로부터 공급된 해석 결과에 기초하여 취득하고, AC의 어드레스로서 설정한다. Controller Address는, 예를 들어 AC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의 Own MAC Address에 의해 표시된다.
스텝 S116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IG로서 자신이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하고, 처리를 종료시킨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설정을 행하거나, Far Station에 대한 데이터의 중계처로서 AC를 설정하거나 한다.
한편, 자신이 IG로서 동작 가능하지는 않다고 스텝 S114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처리는 스텝 S117로 진행한다.
스텝 S117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AC가 네트워크 내에 없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AC가 있다고 스텝 S117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스텝 S118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네트워크에 속하는 STA로서 자신이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스텝 S118에 있어서 STA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이 행해진 후 또는 스텝 S117에 있어서 AC로서 동작 가능한 통신 장치가 없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는 종료된다.
이상의 처리가 각각의 통신 장치(11)에 있어서 행해짐으로써, 각각의 통신 장치(11)의 역할이 설정된다.
다음에, 도 1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STA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1)의 설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의 처리는, STA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1)가 자신이 Near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것이거나, Far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것인지를 설정하는 처리이다.
스텝 S131에 있어서, 기기 제어부(23)는, AP Availability의 설정을 취득한다.
스텝 S132에 있어서, 기기 제어부(23)는, AP Availability의 설정이 없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AC로서 동작하는 것이 유저에 의해 지정되어 있지 않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 AP Availability의 설정이 없는 것으로서 판정된다.
AP Availability의 설정이 없다고 스텝 S132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스텝 S133에 있어서, 무선 수신 처리부(111)는, 주위의 통신 장치(11)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의 수신 동작을 행한다.
여기서는, AC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 또는 IG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이 수신된다. 무선 수신 처리부(111)에 의해 수신된 Action 프레임의 데이터는, 관리 정보 처리부(114)에 공급되고,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관리 정보가 해석된다. 관리 정보 처리부(114)에 의한 해석 결과의 정보는, 관리 정보 처리부(114)로부터 네트워크 관리부(103)에 공급된다.
스텝 S134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AC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AC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을 수신했다고 스텝 S134에 있어서 판정한 경우, 스텝 S135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당해 AC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AC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의 Own MAC Address에 의해 표시되는 어드레스가, AC의 어드레스로서 등록된다.
AC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스텝 S134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스텝 S135의 처리는 스킵된다.
스텝 S136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IG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IG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을 수신했다고 스텝 S136에 있어서 판정한 경우, 스텝 S137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당해 IG를 등록한다. 예를 들어, IG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의 Own MAC Address에 의해 표시되는 어드레스가, IG로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장치의 어드레스로서 등록된다.
스텝 S138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Near Station으로서 자신이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의 데이터 송신처를 IG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네트워크 관리부(103)에 의해 관리된다. 그 후, 도 18의 처리는 종료가 된다.
IG로부터 송신되어 온 Action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스텝 S136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스텝 S139에 있어서, 무선 수신 처리부(111)는, Beacon 프레임의 수신 동작을 행한다.
무선 수신 처리부(111)에 의해 수신된 Beacon 프레임의 데이터는, 관리 정보 처리부(114)에 공급되어, Beacon 프레임에 포함되는 관리 정보가 해석된다. 관리 정보 처리부(114)에 의한 해석 결과의 정보는, 관리 정보 처리부(114)로부터 네트워크 관리부(103)에 공급된다.
스텝 S140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AC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Beacon 프레임을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AC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Beacon 프레임을 수신했다고 스텝 S140에 있어서 판정한 경우, 스텝 S141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IG를 등록한다. 여기서는, Beac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의 Gateway Address에 의해 표시되는 어드레스가, IG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의 어드레스로서 등록된다.
스텝 S142에 있어서, 네트워크 관리부(103)는, Far Station으로서 자신이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예를 들어, 업링크의 데이터 송신처를 AC로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등이 네트워크 관리부(103)에 의해 관리된다. 그 후, 도 18의 처리는 종료가 된다.
AP Availability의 설정이 있다고 스텝 S132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 또는 Beacon 프레임을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스텝 S140에 있어서 판정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처리는 종료가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AP의 기능의 일부를 복수의 통신 장치(11)에 분담시킴으로써, 유저가 원하는 범위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는 통신 장치(11)에 AC의 기능을 갖게 할 수 있어, 네트워크 전체에 있어서의, 전파의 송신 전력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AC로서 동작하는 것이 유저에 의해 지정된 통신 장치(11)는, 외부의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도, 네트워크 내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한 AC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1)를 유저는, 다른 통신 장치(11)의 위치 관계를 의식하지 않고 지정할 수 있다.
IG의 기능을 복수의 통신 장치(11)에 분담시킴으로써, 통신의 트래픽 상황이나 접속 비용 등에 따른, 최적의 경로에서의 인터넷 액세스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네트워크 전체의 다른 동작예>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의 인증 기능이나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 요구를 처리하는 기능을 소정의 통신 장치(11)에 분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9의 시퀀스를 참조하여, AP의 기능을 분담하고, 각각의 STA의 역할을 결정하는 일련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의 예에 있어서는, STA1 내지 6의 동작이 도시되어 있다. STA1 내지 6은, 예를 들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좌측에서부터 차례로 나열되는 위치 관계를 갖는다. 각각의 STA는, 3대 앞의 STA와의 사이에서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있기는 하지만, 그 앞에 있는 STA와는 통신을 행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STA1과 STA5는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없다.
또한, 유저가 원하는 네트워크의 범위 내에 존재하는 STA1 내지 6 중 STA6은, 이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고, OBSS의 STA로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유저가, AC로서 동작 가능한 STA3에 대해, AC로서 동작하는 것을 지정한 것으로 한다. AC로서 동작하는 것의 지정은, 예를 들어 STA3의 정보 입력 모듈(22)을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AC로서 동작하는 것이 지정된 경우, 스텝 S221에 있어서, STA3은,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Action 프레임을 송신한다. STA3이 송신하는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에는, 자신이 AC로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은, 스텝 S201에 있어서 STA1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11에 있어서 STA2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STA3으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은, 스텝 S231에 있어서 STA4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41에 있어서 STA5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51에 있어서 STA6에 의해 수신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을 수신한 STA 중 예를 들어 STA5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11)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스텝 S242에 있어서, STA5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Action 프레임을 송신한다. STA5가 송신하는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에는, 자신이 IG로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된다.
STA5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은, 스텝 S212에 있어서 STA2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22에 있어서 STA3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STA5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은, 스텝 S232에 있어서 STA4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52에 있어서 STA6에 의해 수신된다. STA1과 STA5는 직접 통신을 행할 수 없기 때문에, STA5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은, STA1에는 도달하지 않는다.
IC로서 동작하는 것이 예를 들어 유저에 의해 지정된 경우, 스텝 S233에 있어서, STA4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Action 프레임을 송신한다. STA4가 송신하는 Acti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Available Information Element에는, 자신이 IC로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된다.
STA4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은, 스텝 S202에 있어서 STA1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13에 있어서 STA2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STA4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은, 스텝 S223에 있어서 STA3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43에 있어서 STA5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53에 있어서 STA6에 의해 수신된다.
AC로서 동작하는 STA3은, IG로서 동작하는 STA5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과, IC로서 동작하는 STA4로부터 송신된 Action 프레임을 수신한 것에 따라, AP의 기능을, AC, IG, IC의 3개로 분산한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는 것으로서 판단한다.
스텝 S224에 있어서, STA3은,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Beacon 프레임을 송신한다. STA3이 송신하는 Beacon 프레임에 포함되는 Role Separate Information Element에는, 각각의 STA의 역할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된다.
Beacon 프레임을 송신한 STA3은, 스텝 S225에 있어서, AC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Beacon 프레임은, 스텝 S203에 있어서 STA1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14에 있어서 STA2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STA3으로부터 송신된 Beacon 프레임은, 스텝 S234에 있어서 STA4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44에 있어서 STA5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254에 있어서 STA6에 의해 수신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Beacon 프레임을 스텝 S203에 있어서 수신한 STA1은, AC로서 동작하는 STA3이 송신하는 신호를 소정의 전계 강도 이상으로 수신하기는 하였지만, IG로서 동작하는 STA5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있다.
STA5로부터의 신호가 직접 다다르지 않는 범위에 존재하는 점에서, 스텝 S204에 있어서, STA1은, Far Station으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STA1은, 업링크/다운링크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AC를 중계하여 행하게 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Beacon 프레임을 스텝 S214에 있어서 수신한 STA2는, AC로서 동작하는 STA3이 송신하는 신호와, IG로서 동작하는 STA5가 송신하는 신호의 양쪽 신호를 소정의 전계 강도 이상으로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스텝 S215에 있어서, STA2는, Near Station으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STA2는, 업링크/다운링크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IG와의 사이에서 직접 행하게 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Beacon 프레임을 스텝 S234에 있어서 수신한 STA4는, 스텝 S235에 있어서, IC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Beacon 프레임을 스텝 S244에 있어서 수신한 STA5는, 스텝 S245에 있어서, IG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STA3으로부터 송신된 Beacon 프레임을 스텝 S254에 있어서 수신한 STA6은, 스텝 S255에 있어서, 이 Beacon 프레임을 송신한 AC의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하고, OBSS Station으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한다. 즉, STA6은, 이 AC 이외의 통신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Beacon 프레임이나 Action 프레임의 수신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IC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1)를 설정하는 경우도, 도 11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도 20의 시퀀스를 참조하여, STA간의 통신의 흐름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가 행해짐으로써, STA1 내지 6에 있어서, 각각 Far Station, Near Station, AC, IC, IG, OBSS Station으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한다.
Far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STA1 또는 Near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STA2가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를 요구하는 경우, 그 요구인 Association Request는, IC로서 동작하는 STA4에 대해 송신된다. STA4에 있어서는, Association Request에 대한 처리가 행해져,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해 온 STA1 또는 STA2에 대해, Association Response가 STA4로부터 송신된다. 또한, OBSS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STA6에서는, 이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Association Request는 송신되지 않고, 이후에 교환되는 통신에 대해서는 OBSS Station으로부터의 신호로서 다루어진다.
Far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STA1은, 스텝 S301에 있어서, IC로서 동작하는 STA4에 대해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한다.
STA1로부터 송신된 Association Request는, 스텝 S333에 있어서 STA4에 의해 수신된다.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를 인정하는 경우, 스텝 S334에 있어서, STA4는,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를 인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한다.
STA4로부터 송신된 Association Response는, 스텝 S302에 있어서 STA1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321에 있어서, AC로서 동작하는 STA3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STA4로부터 송신된 Association Response는, 스텝 S341에 있어서, IG로서 동작하는 STA5에 의해 수신된다.
한편, Near Station으로서 동작하는 STA2는, 스텝 S311에 있어서, IC로서 동작하는 STA4에 대해 Association Request를 송신한다.
STA2로부터 송신된 Association Request는, 스텝 S335에 있어서 STA4에 의해 수신된다.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를 인정하는 경우, 스텝 S336에 있어서, STA4는, 네트워크에 대한 참여를 인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Association Response를 송신한다.
STA4로부터 송신된 Association Response는, 스텝 S312에 있어서 STA2에 의해 수신되고, 스텝 S322에 있어서, AC로서 동작하는 STA3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STA4로부터 송신된 Association Response는, 스텝 S342에 있어서, IG로서 동작하는 STA5에 의해 수신된다.
이와 같이, Association Response가, AC로서 동작하는 STA3, IG로서 동작하는 STA5의 양쪽에 송신됨으로써, IC는, AC, IG와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IC로서 동작하는 STA4가 행하는 네트워크 인증도, 이러한 참여 요구에 대한 동작과 마찬가지로 하여 행해진다.
그 후의 통신의 흐름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흐름과 마찬가지이다.
즉, Near Station이 외부의 장치에 대해 송신하는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10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plink Direct Data로서 IG에 의해 직접 수신된다.
한편, Far Station이 외부의 장치에 대해 송신하는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10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plink Relay Data로서 AC에 의해 수신되고, AC를 중계하여, 외곽선 화살표 A10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IG에 송신된다. AC가 중계하는 데이터는, Relay Data로서 IG에 의해 수신된다.
또한, 외부의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Near Station을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104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Downlink Direct Data로서 IG로부터 Near Station에 직접 송신된다.
한편, 외부의 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온 Far Station을 수신처로 하는 데이터는, 외곽선 화살표 A10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Relay Data로서 IG로부터 AC에 송신되고, AC를 중계하고, 외곽선 화살표 A106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Far Station에 송신된다. AC가 중계하는 데이터는 Downlink Relay Data로서 Far Station에 의해 수신된다.
이와 같이, IC로서 동작하는 통신 장치(11)를 설정하고, 네트워크 인증 등의 동작을 처리 능력이 높은 통신 장치(11)에 행하게 함으로써, 다른 통신 장치(11)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AC의 기능, IG의 기능, IC의 기능을 분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AP의 기능을 더 세분화하고, 세분화된 각각의 기능을 더욱 많은 통신 장치(11)에 분산시키도록 해도 된다.
ㆍ컴퓨터의 구성예
상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전용 하드웨어에 내장되어 있는 컴퓨터, 또는 범용 퍼스널 컴퓨터 등에, 프로그램 기록 매체로부터 인스톨된다.
도 21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CPU(Central Processing Unit)(1001), ROM(Read Only Memory)(1002), RAM(Random Access Memory)(1003)은, 버스(1004)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버스(1004)에는,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가 접속되어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에는,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부(1006),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지는 출력부(1007)가 접속된다. 또한,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에는, 하드 디스크나 불휘발성의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기억부(1008),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통신부(1009), 리무버블 미디어(1011)를 구동하는 드라이브(1010)가 접속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컴퓨터에서는, CPU(1001)가, 예를 들어 기억부(1008)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입출력 인터페이스(1005) 및 버스(1004)를 통하여 RAM(1003)에 로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일련의 처리가 행해진다.
CPU(1001)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리무버블 미디어(1011)에 기록하거나, 혹은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 인터넷, 디지털 방송과 같은, 유선 또는 무선의 전송 매체를 통해 제공되어, 기억부(1008)에 인스톨된다.
또한, 컴퓨터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순서를 따라 시계열로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되고, 병렬로, 혹은 호출이 행해졌을 때 등의 필요한 타이밍에 처리가 행해지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스템이란, 복수의 구성 요소(장치, 모듈(부품) 등)의 집합을 의미하고, 모든 구성 요소가 동일 하우징 중에 있는지 여부는 묻지 않는다. 따라서, 별개의 하우징에 수납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장치, 및 하나의 하우징 중에 복수의 모듈이 수납되어 있는 하나의 장치는, 모두 시스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는 어디까지나 예시이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다른 효과가 있어도 된다.
본 기술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기술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기술은, 하나의 기능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 공동으로 처리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흐름도에서 설명한 각 스텝은,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텝에 복수의 처리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하나의 스텝에 포함되는 복수의 처리는, 하나의 장치에서 실행하는 것 외에, 복수의 장치에서 분담하여 실행할 수 있다.
ㆍ 구성의 조합예
본 기술은, 이하와 같은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1)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상기 관리 프레임에는, 또한,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1)에 기재된, 통신 장치.
(3)
상기 통신 제어부는,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관리 프레임의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장치가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통신 장치.
(4)
상기 관리부는,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자신의 어드레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상기 소정의 장치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프레임을 송신시키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5)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상기 소정의 장치와, 상기 무선 LAN에 속하고, 상기 소정의 장치의 전파의 도달 범위 밖에 존재하는 원격 장치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통신의 중계를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6)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서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7)
상기 관리 프레임에는, 또한, 상기 무선 LAN에 있어서의 인증 기능과, 상기 무선 LAN에 대한 참여 요구의 처리 기능 중 적어도 어느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2) 내지 (6)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8)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고,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통신 방법.
(9)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10)
상기 관리 프레임에는, 또한,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상기 (9)에 기재된, 통신 장치.
(11)
상기 통신 제어부는,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관리 프레임의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장치가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상기 관리 프레임을 송신시키는
상기 (9) 또는 (10)에 기재된, 통신 장치.
(12)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상기 소정의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소정의 장치의 어드레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의 자신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의 수신을 제어하는
상기 (9) 내지 (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3)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서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상기 (9) 내지 (12) 중 어느 것에 기재된, 통신 장치.
(14)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통신 방법.
(15)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제1 장치가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송신된 관리 프레임의 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제1 장치와,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2 장치가 적어도 존재하는 상기 무선 LAN에 속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16)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2 장치가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장치와의 통신을 직접 행하는 근접 장치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통신 장치.
(17)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관리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장치와의 통신을 상기 제1 장치를 통하여 행하는 원격 장치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하는
상기 (15)에 기재된, 통신 장치.
(18)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제1 장치가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송신된 관리 프레임의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제1 장치와,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2 장치가 적어도 존재하는 상기 무선 LAN에 속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통신 방법.
(19)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와,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를 구비하는 다른 통신 장치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1: 통신 장치
21: 인터넷 접속 모듈
22: 정보 입력 모듈
23: 기기 제어부
24: 정보 출력 모듈
25: 무선 통신 모듈
51: 입출력부
52: 통신 제어부
53: 기저 대역 처리부
101: 인터페이스부
102: 송신 버퍼
103: 네트워크 관리부
104: 송신 프레임 구축부
105: 액세스 제어부
106: 관리 정보 생성부
107: 송신 타이밍 제어부
108: 송신 전력 제어부
109: 무선 송신 처리부
110: 안테나 제어부
111: 무선 수신 처리부
112: 검출 임계값 제어부
113: 수신 타이밍 제어부
114: 관리 정보 처리부
115: 수신 데이터 구축부
116: 수신 버퍼

Claims (16)

  1.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레임에는, 또한,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통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관리 프레임의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장치가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설정하는,
    통신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자신의 어드레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상기 소정의 장치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프레임을 송신시키는,
    통신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상기 소정의 장치와, 상기 무선 LAN에 속하고, 상기 소정의 장치의 전파의 도달 범위 밖에 존재하는 원격 장치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통신의 중계를 제어하는,
    통신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서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레임에는, 또한, 상기 무선 LAN에 있어서의 인증 기능과, 상기 무선 LAN에 대한 참여 요구의 처리 기능 중 적어도 어느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통신 장치.
  8.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프레임에는, 또한,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상기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동작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는,
    통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다른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관리 프레임의 수신을 제어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소정의 장치가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상기 관리 프레임을 송신시키는,
    통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상기 소정의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소정의 장치의 어드레스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의 자신의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비콘 프레임의 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장치와의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서 전파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통신 장치.
  13.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제1 장치가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장치로부터 송신된 관리 프레임의 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제1 장치와,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상기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제2 장치가 적어도 존재하는 상기 무선 LAN에 속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상기 제2 장치가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장치와의 통신을 직접 행하는 근접 장치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하는,
    통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제2 장치로부터 송신된 상기 관리 프레임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장치와의 통신을 상기 제1 장치를 통하여 행하는 원격 장치로서 동작하기 위한 설정을 행하는,
    통신 장치.
  16. 비콘 프레임의 송신을 포함하는, 무선 LAN의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액세스 제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를 구비하는 통신 장치와,
    외부의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LAN의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서 자신이 동작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관리 프레임의 송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기능을 포함하는 각각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를 구비하는 다른 통신 장치
    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207025472A 2018-03-14 2019-03-01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Pending KR20200130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46336 2018-03-14
JPJP-P-2018-046336 2018-03-14
PCT/JP2019/008002 WO2019176578A1 (ja) 2018-03-14 2019-03-01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277A true KR20200130277A (ko) 2020-11-18

Family

ID=6790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5472A Pending KR20200130277A (ko) 2018-03-14 2019-03-01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758438A4 (ko)
KR (1) KR20200130277A (ko)
CN (1) CN111837449B (ko)
TW (1) TWI803582B (ko)
WO (1) WO201917657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3666A (ja) 2015-12-03 2017-06-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装置とそのプロトコル切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26775A1 (de) * 2004-06-02 2006-01-12 Siemens Ag Verfahren zum Aufbau eines drahtlosen selbstorganisierenden Kommunikationsnetzwerkes, Sendeempfangsgerät und Basisstation eines drahtlosen selbstorganisierenden Kommunikationsnetzwerkes und drahtloses selbstorganisierendes Kommunikationsnetzwerk
CN1852112A (zh) * 2006-02-17 2006-10-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过无线局域网进行信息交互的系统和方法
JP4911402B2 (ja) * 2006-03-20 2012-04-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移動端末、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754271B (zh) * 2008-12-09 2014-04-30 华为终端有限公司 主控节点的协商方法及装置
KR101679428B1 (ko) * 2009-10-16 2016-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Cpns 서비스 제공을 위한 개인망 형성 장치 및 방법
US9236931B2 (en) * 2011-04-15 2016-01-12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elay device,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relay method
EP2868144B1 (en) * 2012-06-29 2018-06-13 Thomson Licensing Low power consumption mode for wlan access point
CN105409280B (zh) * 2013-12-30 2019-11-29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局域网接入方法、装置及设备
WO2015134746A1 (en) * 2014-03-05 2015-09-1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cp handover in a mesh network after a change of role of a station associated with a first nop receving from another node an indication of association
JP6613151B2 (ja) * 2016-01-19 2019-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807621B1 (en) * 2016-05-17 2017-10-31 Google Inc. Distributed channel sampling across a mesh network
CN107071921A (zh) * 2017-01-11 2017-08-18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无线管理帧的终端设备控制方法及系统
CN107370722B (zh) * 2017-06-01 2020-12-08 广州广哈通信股份有限公司 网络交互方法、无线融合中继网关及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3666A (ja) 2015-12-03 2017-06-08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装置とそのプロトコル切替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39981A (zh) 2019-10-01
CN111837449B (zh) 2024-10-29
EP3758438A1 (en) 2020-12-30
EP3758438A4 (en) 2021-04-21
TWI803582B (zh) 2023-06-01
CN111837449A (zh) 2020-10-27
WO2019176578A1 (ja)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91260B2 (en) Dynamic service discovery and offloading framework for edge computing based cellular network systems
CN114979973A (zh) 用于无线电通信的方法和设备
JP5858814B2 (ja) Wan側インタフェースを個別に起動可能な無線ルータ、wan通信起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21714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CN106060816B (zh) 一种无线自组网方法及系统
Dang et al. An efficient multi-channel MAC protocol for wireless ad hoc networks
US20190261245A1 (en) Multi-hop communication
US20230139168A1 (en) Multi-link restricted twt
US20230115377A1 (en) Restricted twt enhanced information advertisement procedure for next generation wlan
JP2009055330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11785503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transmitting trigger frames and receiving multiplexed data from a plurality of apparatuses
KR20200130277A (ko)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CN116671148A (zh) 网状网络中基于触发式客户端的客户端引导
US20230269804A1 (en) Base station and terminal apparatus
US20250048270A1 (en) Individual twt operation for peer-to-peer networks
US20250081031A1 (en) Relay operations in wireless networks
US20250063334A1 (en) Discovery procedure for relay operation in wireless networks
US20250024327A1 (en) Queueing discipline mechanisms of mlo-mac for multi-link devices
US20250016680A1 (en) Tdls operation with broadcast twt
US20240389138A1 (en) REPRESENTATIVE AND REPRESENTED STAs FOR P2P OPERATION
US20250039789A1 (en) Transmission windows for peer-to-peer communications
WO2019198487A1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
US20250063591A1 (en) Link recommendation for meeting qos requirements
JP7440891B2 (ja) 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688458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アクセスポイント、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