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855A - 동적 전력 공유 지원을 위한 파워 헤드룸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동적 전력 공유 지원을 위한 파워 헤드룸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9855A KR20200129855A KR1020190054880A KR20190054880A KR20200129855A KR 20200129855 A KR20200129855 A KR 20200129855A KR 1020190054880 A KR1020190054880 A KR 1020190054880A KR 20190054880 A KR20190054880 A KR 20190054880A KR 20200129855 A KR20200129855 A KR 202001298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base station
- phr
- transmission
- process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3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101000741965 Homo sapiens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100038659 Inactive tyrosine-protein kinase PRAG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4122 cycl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86 operation strate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40 relaxa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52/023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according to average transmission signal activ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5—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received signal strength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0—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5—Power headroom repor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0—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during macro-diversity or soft handof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적 전력 공유 지원을 위한 파워 헤드룸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동종 혹은 이종의 무선접속기술 (Radio Access Technology, RAT)를 사용하는 기지국들을 동시에 사용할 때, 단말의 송신전력 여분 (power headroom)을 보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최근 5G 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동적 전력 공유 지원을 위한 파워 헤드룸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동종 혹은 이종의 무선접속기술 (Radio Access Technology, RAT)를 사용하는 기지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이, 단말의 송신전력 여분 (power headroom, 파워 헤드룸)을 보고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기술 (Discontinous Reception, DRX)을 사용 시 채널상태를 보고하는 방법에 대해 정의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불필요한 PHR을 트리거링하지 않아 전력 소모를 줄일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송수신하는 데이터 양 등에 따라 채널상태를 보고하는 방법을 동적으로 조절하여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1a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단말에서 캐리어 집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d는 LTE 및 NR에서 다중 연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e는 설정 및 상향링크 종류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f는 이중 연결 (DC)을 적용시 파워헤드룸을 보고할 때의 단말 동작 순서 예시 도면이다.
도 1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a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d은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e는 단말의 전력소모를 보다 더 줄이기 위해 도입되는 wake-up signal (WUS)와 DRX를 동시에 설정한 경우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f는 WUS와 DRX가 동시에 설정 받은 경우, 단말의 동작 순서 예시 도면이다.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c는 단말에서 캐리어 집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d는 LTE 및 NR에서 다중 연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e는 설정 및 상향링크 종류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f는 이중 연결 (DC)을 적용시 파워헤드룸을 보고할 때의 단말 동작 순서 예시 도면이다.
도 1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a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c는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d은 단말의 DRX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e는 단말의 전력소모를 보다 더 줄이기 위해 도입되는 wake-up signal (WUS)와 DRX를 동시에 설정한 경우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f는 WUS와 DRX가 동시에 설정 받은 경우, 단말의 동작 순서 예시 도면이다.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존재하는 통신표준 가운데 가장 최신의 표준인 3GPP LTE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3GPP NR (New Radio: 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a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a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지국들 (1a-05)(1a-10)(1a-15)(1a-20)과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1a-20) 및 S-GW (Serving-Gateway)(1a-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1a-35)은 기지국(1a-05)(1a-10)(1a-15)(1a-20) 및 S-GW(1a-30)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상기 기지국들(1a-05)(1a-10)(1a-15)(1a-20)은 셀룰러 망의 접속 노드로서 망에 접속하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즉, 상기 기지국(1a-05)(1a-10)(1a-15)(1a-20)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단말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쥴링을 하여 상기 단말들과 코어 망(CN, Core network)간에 연결을 지원한다. 상기 MME(1a-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되며, S-GW(1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MME(1a-25) 및 S-GW(1a-30)는 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bearer) 관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1a-05)(1a-10)(1a-15)(1a-20)으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상기 기지국 (1a-05)(1a-10)(1a-15)(1a-20)으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한다.
도 1b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NR 시스템도 LTE 시스템과 거의 동일한 프로토콜 구조를 가진다.
도 1b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1b-05)(1b-40), RLC(Radio Link Control)(1b-10)(1b-35), MAC (Medium Access Control)(1b-15)(1b-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1b-05)(1b-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 (1b-10)(1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다. MAC(1b-15)(1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1b-20)(1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고 한다) 계층이 존재하며, 상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PHY 계층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주파수/반송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기지국에서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반송파 집적 기술 (carrier aggreagation, 이하 CA라 칭함)이라 한다. CA 기술이란 단말 (혹은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 (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 및 NR 시스템에서는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PCell (Primary Cell)이라 하며, 부차반송파를 SCell (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상기의 CA기능을 두개의 기지국으로 확장한 기술을 이중 연결 기술 (dual connectivity, 이하 DC라 칭함)이라 한다. 상기 DC 기술에서는 단말이 주기지국 (Master E-UTRAN NodeB, 이하 MeNB라 칭함)과 보조기지국 (Secondary E-UTRAN NodeB, 이하 SeNB라 칭함)을 동시에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으며, 주기지국 내에 속한 셀들을 주셀그룹 (Master Cell Group, 이하 MCG라 칭함)이라 하고, 보조기지국에 속한 셀들을 보조셀그룹 (Secondary Cell Group, 이하 SCG라 칭함)이라 한다. 상기 각 셀그룹별로 대표셀이 있으며, 주셀그룹의 대표 셀을 주셀(Primary Cell, 이하 PCell이라 칭함)이라 하고, 보조셀그룹의 대표 셀을 주보조셀 (Primary Secondary Cell, 이하 PSCell이라 칭함)이라 한다. 전술한 NR을 사용할 때, 상기 MCG를 LTE 기술을 사용하고 상기 SCG를 NR로 사용하여, LTE와 NR을 단말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혹은, MCG를 NR로 SCG를 LTE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NR과 NR을 모두 MCG와 SCG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서로 다른 이종의 RAT을 DC로 연결하는 시나리오를 통칭하여 MR-DC (Multi-RAT DC)라 하고, NR과 NR간의 DC를 NR-DC 라 칭한다.
한편 LTE 및 NR 시스템에서 단말은 기지국에게 소정의 조건에 따라 파워헤드룸 정보를 보고 (Power Headroom Report, PHR) 한다. 상기 파워헤드룸 정보란, 단말에게 설정된 최대 전송 전력과 단말이 추정한 전송 전력과의 차이를 의미한다. 상기 단말이 추정한 전송 전력은, 단말이 실제 상향링크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전송할 때 사용하는 값을 기반으로 계산 (이때 계산된 값을 Real 값이라 함)되지만, 단말이 실제 전송하지 않는 경우 표준 규격에 정의된 소정의 수식을 기반으로 계산(이때 계산된 값을 Virtual 값이라 함)된다. 상기 파워헤드룸 정보를 보고함으로써, 기지국은 단말의 최대 전송 가능한 전력 치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CA 상황에서 파워헤드룸 정보는 각 부차반송파 별로 전송이 된다.
도 1c는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이 송출되고 수신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c-05)에서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1c-15)와 중심 주파수가 f3(1c-10)인 캐리어가 송출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 개의 캐리어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1c-05)은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1c-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1c-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로 하나의 기지국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하나의 순방향 캐리어와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캐리어 집적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최대 전송 속도는 집적되는 캐리어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순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역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LTE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은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집적을 하거나 혹은 하지 않은 경우에도, 역방향 (즉,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전송은 다른 셀의 역방향에 간섭을 초래하기 때문에 역방향 전송 출력은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단말은 역방향 전송을 수행함에 있어서 소정의 함수를 이용해서 역방향 전송 출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역방향 전송 출력으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예컨대, 단말은 할당 받은 전송 자원의 양과 적용할 MCS (Modulation Coding Scheme) 레벨 등의 스케줄링 정보와 경로 손실 값 등의 채널 상황을 추정할 수 있는 입력 값들을 상기 소정의 함수에 입력해서 요구 역방향 전송 출력 값을 산출하고, 상기 계산된 요구 역방향 전송 출력 값을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단말이 적용할 수 있는 역방향 전송 출력 값은 단말의 최대 전송 값에 의해서 제한되며 계산된 요구 전송 출력 값이 단말의 최대 전송 값을 초과하면 단말은 최대 전송 값을 적용해서 역방향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 충분한 역방향 전송 출력을 적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역방향 전송 품질 열화가 발생할 수 있다. 기지국은 요구 전송 출력이 최대 전송 출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경로 손실 등의 몇 몇 파라미터는 기지국이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단말은 필요시 파워헤드룸 보고 메시지 (PHR, Power Headroom Report)라는 것을 전송해서 자신의 가용 전송 출력(PH, Power Headroom) 상태를 기지국에 보고한다.
가용 전송 출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1) 할당 받은 전송 자원의 양, 2) 역방향 전송에 적용할 MCS, 3) 연관된 순방향 캐리어의 경로 손실, 4) 출력 조정 명령의 누적값 등이 있다. 이 중 경로 손실(Path Loss, 이하 PL)이나 누적 출력 조정 명령값은 역방향 캐리어 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한 단말에 다수의 역방향 캐리어가 집적되면 역방향 캐리어 별로 PHR 전송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 올바르다. 그렇지만, 효율적인 PHR 전송을 위해,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에서 다수의 역방향 캐리어에 대한 PH들을 모두 보고할 수도 있다. 운용 전략에 따라, 실제 PUSCH 전송이 일어나지 않은 캐리어에 대한 PH가 필요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에서 다수의 역방향 캐리어에 대한 PH들을 모두 보고하는 방법은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PHR을 확장시켜야 한다. 하나의 PHR에 포함될 다수의 PH들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구성될 것이다.
PHR은 통상 연결된 순방향 캐리어의 경로 손실이 소정의 기준 값 이상으로 변경되거나, prohibit PHR timer가 만료되거나 또는 PHR을 생성한 후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면 트리거된다. 단말은 PHR이 트리거 (trigger)되더라도 PHR을 즉시 전송하지 않고, 역방향 전송이 가능한 시점, 예를 들어 역방향 전송 자원이 할당되는 시점까지 대기한다. 이는 PHR이 아주 신속하게 처리되어야 하는 정보는 아니기 때문이다.
도 1d는 상기 Dual Connectivity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ual connectivity (DC) 기술을 사용하면 단말은 두개의 기지국을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예시 도면에서는 단말 (1d-05)이 LTE 기술을 사용하는 매크로 기지국 (1d-00)과 NR 기술을 사용하는 스몰셀 기지국 (1d-10)를 동시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 이를 EN-DC 라 칭한다 (E-UTRAN-NR Dual Connectivity) 매크로 기지국은 MeNB (Master E-UTRAN NodeB)로 칭하며, 스몰셀 기지국은 SgNB (Secondary 5G NodeB)로 칭한다. MeNB의 서비스 영역 내에 여러 개의 스몰 셀이 존재할 수 있으며, MeNB은 상기 SgNB들과 유선 backhaul 망 (1d-15)로 연결되어 있다. MeNB로부터 제공받는 서빙 셀의 집합을 MCG (Master Cell Group) (1d-20)라고 하며, MCG에서 반드시 하나의 서빙 셀은 connection establishment, connection re-establishment, handover 등 기존 셀이 수행해왔던 기능들을 모두 가지는 PCell (primary Cell) (1d-25) 이다. 또한 상기 PCell에서는 상향링크 제어채널은 PUCCH을 가진다. PCell 이외의 서빙 셀을 SCell (Secondary Cell) (1d-30)이라고 한다. 도 1d에서는 MeNB가 하나의 SCell을, SgNB가 3 개의 SCell들을 제공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SgNB가 제공하는 서빙 셀의 집합을 SCG (Secondary Cell Group) (1d-40)이라고 칭한다. MeNB은 상기 단말이 두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SgNB에서 제공하는 서빙 셀들을 추가, 변경, 제거하는 명령을 SgNB에 내린다. 이러한 명령을 내리기 위해서, MeNB는 단말에게 서빙 셀 및 주변 셀들을 측정하도록 설정 (Configuration)할 수 있다. 단말은 설정 정보에 따라, 측정한 결과를 MeNB에 보고해야 한다. SgNB이 단말에게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MCG의 PCell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서빙 셀이 필요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PSCell (Primary SCell)이라고 칭한다. PSCell은 SCG의 서빙 셀 중, 하나로 정해지며, 상향링크 제어채널인 PUCCH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UCCH는 단말이 HARQ ACK/NACK 정보, CSI (Channel Status Information) 정보, SR (Scheduling Request) 등을 기지국에 전달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DC 시나리오에서 MCG와 SCG는 각각 독립적인 MAC entity를 가진다. 즉, DC에서는 2개의 MAC entity가 존재한다. 이에 따라, MAC의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PHR 보고 등)은 각 기지국별로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된다.
도 1e는 설정 및 상향링크 종류에 따른 상향링크 전송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e에서는 예시 1은 단말이 두개의 서빙셀, 즉 PCell (1e-01)과 SCell 한 개 (1e-03)을 설정받은 후, 기지국의 스케쥴링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전송방법 제약 및 RF 구조의 제약으로 인해 한 서빙셀에서 전술한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단말은 PUSCH 전송 시 PUCCH 정보를 내장하여 (embedded) 전송하는 상황이다. (1e-05) 이 때, 상기 PUCCH 정보는 PCell에서 전송하거나, PCell로 전송하는 PUSCH가 없는 경우, SCell 가운데 인덱스가 낮은 SCell로 전송한다. 전술한 PHR 메시지는 PUSCH의 일부로 전송이 되며, 이에 따라 본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각 서빙셀별 최대 전송 파워 (PCMAX,c)에서 PUSCH 전송 (1e-05)(1e-07)에 소모되는 전송파워를 뺀 파워헤드룸 값만을 보고하면 된다. 이를 Type 1 파워헤드룸이라 칭한다.
예시 2도 마찬가지로 단말이 두개의 서빙셀, 즉 PCell (1e-11)과 SCell 한 개 (1e-13)을 설정받은 후, 기지국의 스케쥴링에 따라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본 시나리오에서 단말은 한 서빙셀에서 동시에 PUCCH와 PUSCH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거나, 혹은 상기와 같이 동시전송이 가능한 상향링크 전송 기술을 사용하여, PUCCH와 PUSCH를 별도로 전송하는 상황이다. 이 때, PCell의 경우 (혹은 SCell에 PUCCH가 전송이 가능한 경우에는 해당 SCell도 동일), 단말은 PCell의 최대 전송 파워 (PCMAX,c)에서 PUSCH 전송 (1e-17) 뿐만 아니라, PUCCH 전송 (1e-15)에 소모되는 전송파까지 고려하여, 해당 PUSCH 전송과 PUCCH 전송값을 모두 뺀 파워헤드룸 값을 보고할 필요가 있다. 이를 Type 2 파워헤드룸이라 칭한다.
상기 Type 1 혹은 Type 2 파워헤드룸을 보고할 때 단말은 Single Entry PHR 포맷 (1e-21) 혹은 Multiple Entry PHR 포맷 (1e-31) 을 사용하여 보고하며, 상기 이중 연결이 설정된 경우 (혹은 CA가 설정된 경우) 단말은 Multiple Entry PHR 포맷을 사용하여 보고한다.
Multiple Entry PHR 포맷이 사용되는 경우, 단말은 어떠한 서빙셀에 대해 파워헤드룸을 보고하는지에 대해 비트맵 (1e-33)으로 알려주고, 보고를 알린 서빙셀 및 무조건 보고되는 서빙셀들에 대해 상기 파워헤드룸은 (1e-41) (1e-51) (1e-61) 등과 같이 보고 되며, 보고가 필요한 경우, 이에 대응하는 PCMAX,c 값을 같이 보고한다 (1e-43)(1e-53)(1e-63). 한편, 단말이 파워헤드룸을 보고할 때는 도시한 바와 같이 6비트의 길이를 갖는 필드를 사용하여 보고하며, LTE에서는 하기의 테이블과 같은 값을 갖는다. 이를 테이블 1이라 칭한다.
한편, NR에서는 기지국이 동작하는 주파수 범위에 따라 하기와 같이 크게 두 주파수 범위로 나눌 수 있다.
상기 FR1에서 동작하는 기지국과 FR2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에서 동작하기 위한 단말에 요구되는 전송 출력은 매우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각 주파수 범위에 따라 (즉, FR1과 FR2에 각각) 상기 LTE의 테이블과는 다른 별도의 테이블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R 기지국 중 FR1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을 위한 PHR 보고에는 하기의 테이블 2를 사용할 수 있다. (하기 테이블 2는 LTE가 동작하는 주파수 범위와 큰 차이가 없어 편의상 LTE 테이블과 동일한 테이블을 도시하였으나, 다른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NR 기지국 중 FR1에서 동작하는 기지국을 위한 PHR 보고에는 하기의 테이블 3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은 현재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하고 활성화된 각 셀에 대해 PHR을 보고할 때 해당 서빙 셀의 RAT 과 동작 주파수에 따라 Multiple Entry PHR format에 동일한 PH 보고 필드를 사용하더라도 해당 서빙셀 종류에 따른 테이블을 사용하여 값을 생성하여 기지국으로 보고한다.
한편 상기 EN-DC의 경우 MeNB인 LTE 기지국과 SgNB인 NR 기지국 사이에서는 서로 동작하는 주파수에 대해 모를 수 있다. 이는 서로 독립적인 동작을 보장해주기 위해 각기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단말이 MeNB인 LTE 기지국으로 PHR을 보고할 때, LTE 서빙 셀들에 대해, 해당 셀들이 동작하는 주파수 범위 및 이에 상응하는 PHR 보고 테이블은 상기 테이블 1만 있기 때문에, 상기 테이블 1을 사용하여 보고한다. 또한 EN-DC 상황에서 PHR을 보고할 때 SgNB (즉, NR 기지국)의 서빙셀들에 대해서도 보고를 수행하여야 하며, 이때 보고를 받는 LTE 기지국은 NR 기지국들의 서빙셀에 대한 주파수 정보를 알지 못하므로, 테이블 1을 사용하여 보고한다. 예를 들어, 계산된 NR 서빙셀의 주파수가 FR2에 속하고, PH 값이 45 dB인 경우, NR 기지국으로 보고할 때는 POWER_HEADROOM_58 값을 사용하여 보고해야하지만, LTE 기지국으로 보고할 때는 POWER_HEADROOM_63 값을 사용하여 보고한다. 만약 상기 PHR 보고를 SgNB (즉 NR 기지국)으로 보고하는 경우에는 PH 값이 45 dB인 경우, POWER_HEADROOM_58 값을 사용하여 정확한 값을 보고한다.
한편 상기 MR-DC 및 NR-DC의 경우에 단말이 상향링크 전송할 때, 각 기지국으로 전송할 전력을 공유해서 사용하는 시나리오도 가능하며, 혹은, 공유하지 않고, 각각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전력을 별도로 관리하는 시나리오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MR-DC의 경우, 단말의 LTE 칩과 NR 칩이 서로 긴밀하게 같이 동작하지 않고, LTE와 NR 각각 따로 작동하는 시나리오를 생각할 수 있고, 이 경우 단말의 전송 파워를 동적으로 나누어 쓰기 보다는 각각의 RAT 별로 전송 파워를 나누어, 주어진 파워 내에서 알아서 쓰는 시나리오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동적으로 전송 파워를 나누어 쓰는 경우를 동적 파워 공유 (dynamic power sharing)이라 하며, 단말이 동적 파워 공유를 지원하는 지 여부를 기지국에게 사전에 보고하여, 기지국이 알 수 있도록 한다.
단말이 dynamic power sharing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단말은 다른 MAC entity에 속한 서빙셀들에 대한 파워헤드룸 값을 보고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전술한 비트맵 (1e-33)에 해당 서빙셀들을 0으로 표시하여, 해당 서빙셀의 파워헤드룸 및 PCMAX,c를 보고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PHR을 언제 기지국에게 전송할지 (즉, 보고를 트리거링할지)에 대한 조건을 정의할 수 있으며, LTE 시스템과 NR 시스템에 공히 하기의 조건들을 정의할 수 있다.
-
조건1: prohibitPHR-Timer가 만료된 상태에서, 단말에게 설정된 아무 MAC entity에 속한 서빙 셀의 하향링크 수신세기 변화가 dl-PathlossChange dB 이상 발생한 경우.
o
즉, DC의 시나리오에서 MCG 입장에서, SCG의 서빙셀 중 하나의 신호세기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도, MCG로 PHR 보고 수행.
-
조건2: (해당 MAC entity의) periodicPHR-Timer가 만료된 경우.
-
조건3: PHR 보고가 최초 설정된 경우.
-
조건4: 아무 MAC entity에 속한 상향링크가 포함된 SCell을 활성화한 경우.
-
조건5: 이중연결 (dual connectivity)기술을 사용 시, SCG의 주셀 (PSCell)이 추가되거나 변경된 경우.
-
조건6: prohibitPHR-Timer가 만료된 상태에서, 단말에게 설정된 아무 MAC entity에 속한 서빙 셀의 상향링크로 전송 시, (전송 전력 규제 등에 따라) 전송 전력을 줄여야 하는 양의 크기가 phr-Tx-PowerFactorChange 이상 필요한 경우.
상기 조건에 따라, 만약 각각의 기지국에서 상기의 PHR 트리거링 조건이 발생한 경우, 단말은 해당 기지국으로 PHR 을 생성하여 보고한다. 그런데 만약 전술한 dynamic power sharing이 지원되지 않는 경우라고 하면, 자신의 MAC entity가 아닌, 다른 MAC entity에서 발생한 이벤트로 인해 PHR이 트리거링된 경우, 단말이 PHR을 보고하더라도 해당 MAC entity에 속한 서빙셀들의 파워 헤드룸 값은 보고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신의 MAC entity에 속한 PHR 값만 불필요하게 전송될 수 있다.
도 1f는 이중 연결 (DC)을 적용시 파워헤드룸을 보고할 때의 단말 동작 순서 예시 도면이다.
휴면 상태 (IDLE)의 단말은 단말 주변들을 탐색하여 적합한 LTE 혹은 NR 기지국 (혹은 셀)을 선택하고, 해당 기지국으로 접속을 수행한다 (1f-03). 이를 위해 RRC 계층의 RRCRequest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RRCSetup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지국으로 다시 RRCSetupComplete 메시지를 전송하여 접속 절차를 완료한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PHR 보고를 위한 RRC 계층의 설정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한다 (1f-05). 상기 RRC 계층의 설정 메시지는 RRC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확인 메시지로는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메시지에는 PHR 보고를 위한 관련 periodicPHR-Timer, prohibitPHR-Timer, dl-PathlossChange 등의 파라미터들이 포함될 수 있다. periodicPHR-Timer는 주기적으로 기지국에게 PHR 값을 보고하기 위해 설정하는 타이머 이고, prohibitPHR-Timer는 빈번한 PHR보고를 막기 위해 설정하는 타이머이고, dl-PathlossChange 값은 하향링크 채널의 수신변화가 상기 값 이상이 될 경우, 이에 따라 PHR을 보고하게끔하는 임계치 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 재설정 메시지에는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무선 베어러 관련 설정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혹은 별도의 연결 재설정 메시지가 다시 전송이 되어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만약 단말이 기지국이 설정한 대로 주변 LTE 및 NR 기지국들에 대한 측정을 설정받아, 이에 대한 결과를 보고한 경우에는, 현재 기지국에 추가적으로 다른 LTE 혹은 NR 기지국 를 사용하도록 추가설정하는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즉, dual connectivity를 설정하는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설정받은 파라미터에 따라 단말은 설정받은 각 기지국에 대해 하기의 조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f-07).
-
조건1: prohibitPHR-Timer가 만료된 상태에서, 단말에게 설정된 아무 MAC entity에 속한 서빙 셀의 하향링크 수신세기 변화가 dl-PathlossChange dB 이상 발생한 경우.
o
즉, DC의 시나리오에서 MCG 입장에서, SCG의 서빙셀 중 하나의 신호세기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도, MCG로 PHR 보고 수행.
-
조건2: (해당 MAC entity의) periodicPHR-Timer가 만료된 경우.
-
조건3: PHR 보고가 최초 설정된 경우.
-
조건4: 아무 MAC entity에 속한 상향링크가 포함된 SCell을 활성화한 경우.
-
조건5: 이중연결 (dual connectivity)기술을 사용 시, SCG의 주셀 (PSCell)이 추가되거나 변경된 경우.
-
조건6: prohibitPHR-Timer가 만료된 상태에서, 단말에게 설정된 아무 MAC entity에 속한 서빙 셀의 상향링크로 전송 시, (전송 전력 규제 등에 따라) 전송 전력을 줄여야 하는 양의 크기가 phr-Tx-PowerFactorChange 이상 필요한 경우.
이 때, 만약 단말이 dynamic power sharing을 지원하지 않고, 다른 MAC entity에 속한 서빙셀에서 PHR 보고 조건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1f-09). 예를 들어, 현재 본 절차를 수행하는 MAC entity가 MCG의 MAC entity인데 SCG에서 조건1/조건4/조건5/조건6이 발생한 시나리오를 가정할 수 있다. 혹은 현재 본 절차를 수행하는 MAC entity가 SCG의 MAC entity인데 SCG에서 조건1/조건4/조건6이 발생한 시나리오를 가정할 수 있다. (조건5의 경우는 SCG에서 자신의 MAC entity이므로 제외한다.)
이에 따라, 만약 단말이 dynamic power sharing을 지원하지 않고, 다른 MAC entity에 속한 서빙셀에서 PHR 보고 조건이 발생한 경우, 단말은 해당 PHR를 트리거링하지 않는다 (1f-11). 혹은 PHR을 트리거링이 된 경우에도 PHR MAC CE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른 MAC entity에 속한 서빙셀에 대한 PH 정보가 보고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은 PHR을 트리거링한다 (1f-13). 혹은 PHR을 트리거링하고 PHR MAC CE를 생성한다.
이후 생성된 PHR을 기지국으로 보고하여 (1f-15), 기지국으로 하여금 단말이 현재 갖고 있는 여유 전력을 알린다. 이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이 현재 갖고 있는 여유 전력을 판단하여 이에 맞게 단말에게 스케쥴링해줄 수 있다.
도 1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1g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RF (Radio Frequency) 처리부 (1g-10), 기저대역 (baseband) 처리부 (1g-20), 저장부 (1g-30), 제어부 (1g-40)를 포함한다.
상기 RF처리부 (1g-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 (1g-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1g-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1g-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1g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 (1g-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 (1g-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 (1g-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1g-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1g-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1g-20)은 상기 RF처리부 (1g-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g-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g-20)은 상기 RF처리부(1g-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1g-20) 및 상기 RF처리부 (1g-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1g-20) 및 상기 RF처리부 (1g-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g-20) 및 상기 RF처리부 (1g-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1g-20) 및 상기 RF처리부(1g-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1g-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 (1g-30)는 무선랜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랜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1g-30)는 상기 제어부 (1g-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 (1g-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1g-4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1g-20) 및 상기 RF처리부 (1g-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g-40)는 상기 저장부(1g-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 (1g-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1g-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 (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 (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1g-40)는 다중 연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다중연결처리부 (1g-4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g-40)는 상기 단말이 상기 도 1e에 도시된 단말의 동작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1g-40)는 단말이 dynamic power sharing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따라 PHR을 트리거링할지에 대해 결정하여, PHR 보고를 하도록 결정한 경우 이를 생성하여 기지국에게 전송하도록 지시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제2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에서 단말이라 함은, 후술할 MCG와 SCG별로 각각 존재하는 단말 내의 MAC entity를 칭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현재 존재하는 통신표준 가운데 가장 최신의 표준인 3GPP LTE (Th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3GPP NR (New Radio: 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할 수 있다.
도 2a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2a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지국들 (2a-05)(2a-10)(2a-15)(2a-20)과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2a-20) 및 S-GW (Serving-Gateway)(2a-30)로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이하 UE 또는 단말)(2a-35)은 기지국(2a-05)(2a-10)(2a-15)(2a-20) 및 S-GW(2a-30)을 통해 외부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상기 기지국들(2a-05)(2a-10)(2a-15)(2a-20)은 셀룰러 망의 접속 노드로서 망에 접속하는 단말들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즉, 상기 기지국(2a-05)(2a-10)(2a-15)(2a-20)은 사용자들의 트래픽을 서비스하기 위해 단말들의 버퍼 상태, 가용 전송 전력 상태, 채널 상태 등의 상태 정보를 취합해서 스케쥴링을 하여 상기 단말들과 코어 망(CN, Core network)간에 연결을 지원한다. 상기 MME(2a-25)는 단말에 대한 이동성 관리 기능은 물론 각종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로 다수의 기지국들과 연결되며, S-GW(2a-30)는 데이터 베어러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MME(2a-25) 및 S-GW(2a-30)는 망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인증(authentication), 베어러(bearer) 관리 등을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2a-05)(2a-10)(2a-15)(2a-20)으로부터 도착한 패킷 또는 상기 기지국 (2a-05)(2a-10)(2a-15)(2a-20)으로 전달할 패킷을 처리한다.
도 2b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참고로 하는 LTE 시스템에서 무선 프로토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LTE 시스템의 무선 프로토콜은 단말과 ENB에서 각각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2b-05)(2b-40), RLC(Radio Link Control)(2b-10)(2b-35), MAC (Medium Access Control)(2b-15)(2b-30)으로 이루어진다.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2b-05)(2b-40)는 IP 헤더 압축/복원 등의 동작을 담당하고,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이하 RLC라고 한다) (2b-10)(2b-35)는 PDCP PDU(Packet Data Unit)를 적절한 크기로 재구성한다. MAC(2b-15)(2b-30)은 한 단말에 구성된 여러 RLC 계층 장치들과 연결되며, RLC PDU들을 MAC PDU에 다중화하고 MAC PDU로부터 RLC PDU들을 역다중화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물리 계층(2b-20)(2b-25)은 상위 계층 데이터를 채널 코딩 및 변조하고, OFDM 심벌로 만들어서 무선 채널로 전송하거나,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한 OFDM 심벌을 복조하고 채널 디코딩해서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동작을 한다. 또한 물리 계층에서도 추가적인 오류 정정을 위해, HARQ (Hybrid ARQ) 를 사용하고 있으며, 수신단에서는 송신단에서 전송한 패킷의 수신여부를 1 비트로 전송한다. 이를 HARQ ACK/NACK 정보라 한다. 업링크 전송에 대한 다운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HICH (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업링크 HARQ ACK/NACK 정보는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이나 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물리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UCCH를 통해 하향링크 신호의 세기 및 품질 (Channel Status Information, CSI)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PUCCH는 일반적으로 후술할 PCell의 상향링크에서 전송이 되지만, 기지국은 단말이 지원하는 경우, 해당 단말에게 후술할 SCell에 추가로 전송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PUCCH SCell이라 칭한다.
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단말과 기지국의 PDCP 계층의 상위에는 각각 RRC (Radio Resource Control, 이하 RRC라고 한다) 계층이 존재하며, 상기 RRC 계층은 무선 자원 제어를 위해 접속, 측정 관련 설정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PHY 계층은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주파수/반송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주파수를 동시에 설정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반송파 집적 기술 (carrier aggregation, 이하 CA라 칭함)이라 한다. CA 기술이란 단말 (혹은 User Equipment, UE) 과 기지국 (E-UTRAN NodeB, eNB) 사이의 통신을 위해 하나의 반송파만 사용하던 것을, 주반송파와 하나 혹은 복수개의 부차반송파를 추가로 사용하여 부차반송파의 갯수만큼 전송량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 한편, LTE에서는 주반송파를 사용하는 기지국 내의 셀을 PCell (Primary Cell)이라 하며, 부차반송파를 SCell (Secondary Cell)이라 칭한다.
도 2c는 단말에서 반송파 집적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하나의 기지국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러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다중 캐리어들이 송출되고 수신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2c-05)에서 중심 주파수가 f1인 캐리어(2c-15)와 중심 주파수가 f3(2c-10)인 캐리어가 송출될 때, 종래에는 하나의 단말이 상기 두 개의 캐리어 중 하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였다. 그러나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은 동시에 여러 개의 캐리어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기지국(2c-05)은 캐리어 집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단말(2c-30)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더 많은 캐리어를 할당함으로써 상기 단말(2c-30)의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전통적인 의미로 하나의 기지국에서 송출되고 수신되는 하나의 순방향 캐리어와 하나의 역방향 캐리어가 하나의 셀을 구성한다고 할 때, 캐리어 집적이란 단말이 동시에 여러 개의 셀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최대 전송 속도는 집적되는 캐리어의 수에 비례해서 증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이 임의의 순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임의의 역방향 캐리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것은 상기 캐리어를 특징짓는 중심 주파수와 주파수 대역에 대응되는 셀에서 제공하는 제어 채널과 데이터 채널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R 시스템을 가정하여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은 캐리어 집적을 지원하는 각종 무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d은 단말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 단말에게 설정되는 불연속 수신 (Discontinuous Reception, 이하 DRX라 칭함)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DRX란 단말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 스케줄링 정보를 얻기 위해, 모든 물리 다운링크 제어채널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이하 PDCCH라 칭함)을 모니터링하는 대신, 상기 설정정보에 따라 일부의 PDCCH만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이다. 기본적인 DRX 동작은 DRX 주기 (2d-00)를 갖고, onDuration (2d-05) 시간 동안만 PDCCH을 모니터링한다. 연결 모드에서 DRX 주기는 long DRX 와 short DRX의 두 가지 값이 설정된다. 일반적인 경우엔 long DRX 주기가 적용되며, 필요에 따라, 기지국은 추가로 short DRX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Long DRX 주기와 short DRX 주기가 모두 설정된 경우, 단말은 drxShortCycleTimer를 시작함과 동시에, short DRX 주기부터 반복하며, drxShortCycleTimer가 만료 후까지 신규 트래픽이 없는 경우, 단말은 short DRX 주기에서 long DRX 주기로 변경한다. 만약 on-duration (2d-05) 시간 동안, 새로운 패킷에 대한 스케줄링 정보가 PDCCH에 의해 수신되면 (2d-10), 단말은 InactivityTimer (2d-15)을 시작한다. 단말은 InactivityTimer 동안 active 상태를 유지한다. 즉, PDCCH 모니터링을 지속한다. 또한 HARQ RTT timer (2d-20)도 시작한다. HARQ RTT timer는 단말이 HARQ RTT (Round Trip Time) 시간 동안, 불필요하게 PDCCH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용되며, 상기 타이머 동작 시간 동안,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단, InactivityTimer와 HARQ RTT timer가 동시에 동작하는 동안에는 단말은 InactivityTimer을 기준으로 PDCCH 모니터링을 지속한다. HARQ RTT timer가 만료되면, DRX retransmission timer (2d-25)가 시작된다. 상기 DRX retransmission timer가 동작하는 동안엔, 단말은 PDCCH 모니터링을 수행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DRX retransmission timer 동작 시간 동안, HARQ 재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가 수신된다 (2d-30). 상기 스케줄링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은 바로 DRX retransmission timer을 중지시키고, 다시 HARQ RTT timer을 시작한다. 위의 동작은 상기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될 때까지 지속한다 (2d-35). 또한 추가적으로 단말이 on-duration 혹은 InactivityTimer가 동작하는 동안에 기지국이 더 이상 해당 단말에게 보낼 데이터가 없는 경우, DRX Command MAC CE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단말은 동작하고 있는 on-duration 타이머와 InactivityTimer를 모두 멈추고, short DRX 가 설정된 경우, short DRX 주기를 우선 사용하고, long DRX 만 설정된 경우, long DRX 주기를 사용한다.
도 2e는 단말의 전력소모를 보다 더 줄이기 위해 도입되는 wake-up signal (WUS)와 DRX를 동시에 설정한 경우에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wake-up signal (WUS)이라 함은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의 스케쥴링을 모니터링해야하는지, 즉 깨어나야하는지 아니면 계속 자도 되는지를 알려주는 신호이다 (2e-01)(2e-03)(2e-05)(2e-07). 상기 WUS는 특수하게 설계된 물리채널일 수 있으며, 혹은 PDCCH에서 전송되는 새로운 스케쥴링 정보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일 수 있다. 만약 DCI인 경우, 해당 DCI가 전송되어 단말이 해당 PDCCH를 모니터링해야하는 자원 (search space)이 별도로 설정되어, 예를 들어 더 좁은 대역폭만 단말이 모니터링해서 해당 DCI가 전송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일반 스케쥴링을 위해 PDCCH 를 모니터링하는 것에 대비하여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도면에서 WUS (2e-01)(2e-03)(2e-05)(2e-07)가 소모하는 전력이 단말이 깨어나서 PDCCH를 모니터링하고 있는 구간 (2e-11)에 비해, 세로축으로의 길이가 약간 짧은 이유이다.
본 도면에서는 WUS가 전송되는 시점이 DRX cycle의 시작지점 (즉 onDuration이 시작하는 지점)보다 앞에 있음을 가정하였다. 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WUS와 onDuration (DRX의 active time)의 시간이 연속적으로 발생함을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단말의 처리시간 등을 고려해, 둘 사이의 오프셋 (offset)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약 WUS가 단말에게 깨어남을 지시하는 경우 (on 혹은 wake-up) 단말은 전술한 DRX 동작에 맞추어 onDuration에서 일어나서 정의된 DRX 동작에 따라 PDCCH를 모니터링한다 (2e-11) (2e-23). 하지만, 만약 WUS가 계속 자도 됨을 알린 경우 (off 혹은 sleep), 단말은 onDuration 조차도 수행하지 않고, 계속해서 다음 WUS가 올 때까지 inactive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2e-21)(2e-25).
한편, WUS와는 별개로, 연결상태에서 단말에게 DRX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말은 하기의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
동작1: 전술한 바와 같이 Active Time 동안의 PDCCH monitoring
-
동작2: CSI 보고를 위해 PCell의 하향링크 기준신호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및 CSI-RS) 측정하고, Active Time 동안 (혹은 설정에 따라 onDuration에서만) PCell에 대한 CSI 보고
-
동작3: CSI 보고를 위해 SCell의 하향링크 기준신호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및 CSI-RS) 측정하고, Active Time 동안 (혹은 설정에 따라 onDuration에서만) SCell에 대한 CSI 보고
-
동작4: 무선연결상태파악 (Radio Link Monitoring, RLM)을 위해 SpCell (즉, PCell 혹은 PSCell (단말이 두개의 기지국과 연결 시, 부 기지국의 주 서빙셀))의 하향링크 기준신호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및 CSI-RS) 측정
-
동작5: 현재 서빙셀들과 동일 주파수 (intra-frequency)의 (핸드오버 및 SCell 추가 등과 같은) 무선자원관리 (Radio Resource Management)를 위해 해당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주변셀들의 SSB 측정
-
동작6: 현재 서빙셀들과 다른 주파수 (inter-frequency)의 (핸드오버 및 SCell 추가 등과 같은) 무선자원관리 (Radio Resource Management)를 위해 해당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주변셀들의 SSB 측정
만약 본 도면에서와 같이 WUS와 DRX가 동시에 설정된 경우, WUS가 on인 경우, 즉 단말이 일어나야 하는 경우, 단말은 상기 동작들을 모두 수행하여야 한다. 하지만, 만약 WUS 가 off인 경우에는 후술할 방식에 따라, 소정의 동작들은 수행하여야하나, 소정의 동작들은 수행하지 않아야 한다.
도 2f는 WUS와 DRX가 동시에 설정 받은 경우, 단말의 동작 순서 예시 도면이다.
본 예시도면에서 단말은 기지국에 접속을 수행하여 기지국으로 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시나리오를 가정한다 (2f-03). 상기 연결 설정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랜덤엑세스를 수행하여, RRC 계층의 연결요청메시지 (RRCSetupRequest)를 전송하고, 연결메시지(RRCSetup)를 수신하며, 이에 대한 확인메시지 (RRCSetupComplete)를 전송하는 절차를 포함한다.
이후,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각종 설정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는 RRC 계층의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2f-05). 상기 설정에는 SCell를 추가/수정/해지하고 해당 셀을 사용하기 위한 각종 설정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DRX를 설정하고 DRX에 사용되는 각종 타이머들 (retransmissionTimer, drxStartOffset, long DRX cycle, short DRX cycle, drx-ShortCycleTimer, inactivityTimer, onDurationTimer)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으며, PCell 및 SCell에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 어떠한 하향링크 채널상황을 어떻게 측정하고 어떻게 보고하는지에 대한 측정 설정 관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WUS 관련 주기 및 WUS와 onDuration (혹은 DRX cycle) 간의 offset 정보도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이 상기 RRC 설정값들을 수신하면, 단말은 RRC 계층의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송신하여, 해당 RRC 메시지를 제대로 수신하였음을 기지국에게 알린다.
그리고, 상기 수신한 설정 정보에 따라, 단말은 주기적으로 WUS 를 수신하고 (2f-07), 해당 수신정보가 on (즉, 깨어나야하는지) 인지 off (즉, 계속 자야하는지) 인지를 확인한다 (2f-09).
만약 WUS로 on을 지시받은 경우에는 단말은 다음 DRX cycle이 도래하기 전까지 하기의 동작들을 모두 수행하여야 하지만 (2f-11), 만약 WUS로 off를 지시받은 경우에는 단말은 다음 DRX cycle이 도래하기 전까지 하기의 동작들에 대해 후술할 WUS off일 때의 동작을 수행한다 (2f-13).
-
동작1: 전술한 바와 같이 Active Time 동안의 PDCCH monitoring
-
동작2: CSI 보고를 위해 PCell의 하향링크 기준신호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및 CSI-RS) 측정하고, Active Time 동안 (혹은 설정에 따라 onDuration에서만) PCell에 대한 CSI 보고
-
동작3: CSI 보고를 위해 SCell의 하향링크 기준신호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및 CSI-RS) 측정하고, Active Time 동안 (혹은 설정에 따라 onDuration에서만) SCell에 대한 CSI 보고
-
동작4: 무선연결상태파악 (Radio Link Monitoring, RLM)을 위해 SpCell (즉, PCell 혹은 PSCell (단말이 두개의 기지국과 연결 시, 부 기지국의 주 서빙셀))의 하향링크 기준신호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 및 CSI-RS) 측정
-
동작5: 현재 서빙셀들과 동일 주파수 (intra-frequency)의 (핸드오버 및 SCell 추가 등과 같은) 무선자원관리 (Radio Resource Management)를 위해 해당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주변셀들의 SSB 측정
-
동작6: 현재 서빙셀들과 다른 주파수 (inter-frequency)의 (핸드오버 및 SCell 추가 등과 같은) 무선자원관리 (Radio Resource Management)를 위해 해당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주변셀들의 SSB 측정
상기 WUS off일 때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실시예로 가장 단말의 전원 소모를 줄이고자하는 접근 방법이다. 이 경우, 단말은 WUS로 off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동작1에서 동작 6을 모두 수행하지 않는다. 즉, 도 1e에서 도시한것과 같이 PDCCH monitoring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것 뿐만 아니라, CSI 측정을 수행하지 않고, RLM/RRM 관련 측정도 수행하지 않아 전력소모를 줄인다. 또한, 동작2 및 동작 3의 경우 Active Time이 없으므로 CSI를 보고할 수 없다.
두번째 실시예로, 단말은 WUS로 off를 수신하는 경우, 도 1e에서 도시한것과 같이 PDCCH monitoring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동작만을 수행하고, 그 외의 나머지 동작들은 모두 동일하게 수행한다. 본 실시예는 단말의 구현을 최대한 간단하게 만들기 위해서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접근 방법의 경우, 단말이 절약할 수 있는 파워의 양은 크지 않다. 또한, 동작2 및 동작 3의 경우 Active Time이 없으므로 CSI를 측정은 수행하지만, 이를 보고할 수 없다.
세번째 실시예로, 단말은 WUS로 off를 수신하는 경우, 도 1e에서 도시한것과 같이 PDCCH monitoring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동작을 수행하고,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CSI 측정/보고만을 생략하고, 그 외의 나머지 기지국과 단말간의 연결을 유지시키기 위한 동작들은 그대로 수행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접근 방법의 경우, 역시 단말이 절약할 수 있는 파워의 양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수 있다.
네번째 실시예로, 세번째 실시예와 유사하게, 단말이 WUS로 off를 수신하는 경우, 도 1e에서 도시한것과 같이 PDCCH monitoring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동작을 수행하고, 하향링크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CSI 측정/보고만을 생략하고, 그 외의 나머지 기지국과 단말간의 연결을 유지시키기 위한 동작들은 그대로 수행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3에서 RLM/RRM을 위해 여전히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WUS로 off를 수신하는 경우, 동작4, 동작5, 동작6에 대해 보다 측정해야하는 시간 간격을 보다 넓게 잡아 (즉, requirement를 relaxing) 단말이 보다 더 소모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측정하는 주기는, 예를 들어 (long) DRX cycle의 N번당 한번과 같이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N은 기지국이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통해 WUS를 설정시 설정해 주거나, 혹은 고정된 정수의 상수값이 사용될 수 있다.
다섯번째 실시예로, 단말은 WUS로 off를 수신하는 경우, 도 1e에서 도시한것과 같이 PDCCH monitoring을 모니터링하지 않는 동작을 수행하고, PCell (혹은 SpCell)에 대해서는 모든 동작을 수행하지만, SCell에 대해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는 트래픽이 없다가 다시 발생하는 경우 하향링크에 대한 수신은 여전히 PCell을 통해서 할 수 있으며, 추가 데이터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 추후에 WUS를 on으로 수신받아서 SCell의 동작을 정상화하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SCell을 측정하는데 소모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동작6과 같이 inter-frequency RRM의 경우 사업자 망 구축 상황에 따라서 해당 동작에 대한 우선순위를 낮추어 수행하지 않게 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 동일하게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은 WUS를 off로 수신한 경우에 상기 실시예 중 하나의 동작을 수행한다 (2f-13).
도 2g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도 2g를 참고하면, 상기 단말은 RF (Radio Frequency) 처리부 (2g-10), 기저대역 (baseband) 처리부 (2g-20), 저장부 (2g-30), 제어부 (2g-40)를 포함한다.
상기 RF처리부 (2g-10)는 신호의 대역 변환, 증폭 등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RF처리부 (2g-1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2g-2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변환한다. 예를 들어, 상기 RF처리부(2g-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 2g에서, 하나의 안테나만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단말은 다수의 안테나들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F처리부 (2g-10)는 다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RF처리부 (2g-10)는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빔포밍을 위해, 상기 RF처리부 (2g-10)는 다수의 안테나들 또는 안테나 요소(element)들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들 각각의 위상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2g-20)은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2g-20)은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2g-20)은 상기 RF처리부 (2g-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예를 들어,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에 따르는 경우, 데이터 송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g-2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소 심벌들을 부반송파들에 매핑한 후,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 및 CP(cyclic prefix) 삽입을 통해 OFDM 심벌들을 구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g-20)은 상기 RF처리부(2g-10)로부터 제공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OFDM 심벌 단위로 분할하고, FFT(fast Fourier transform) 연산을 통해 부반송파들에 매핑된 신호들을 복원한 후,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2g-20) 및 상기 RF처리부 (2g-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2g-20) 및 상기 RF처리부 (2g-1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 또는 통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기저대역처리부(2g-20) 및 상기 RF처리부 (2g-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다수의 무선 접속 기술들을 지원하기 위해 다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2g-20) 및 상기 RF처리부(2g-1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서로 다른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로 다른 무선 접속 기술들은 무선 랜(예: IEEE 802.11), 셀룰러 망(예: LT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들은 극고단파(SHF:super high frequency)(예: 2.5GHz, 5Ghz) 대역, mm파(millimeter wave)(예: 60GHz) 대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 (2g-30)는 상기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상기 저장부 (2g-30)는 무선랜 접속 기술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랜 노드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 (2g-30)는 상기 제어부 (2g-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 (2g-40)는 상기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2g-40)는 상기 기저대역처리부 (2g-20) 및 상기 RF처리부 (2g-10)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g-40)는 상기 저장부(2g-4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 (2g-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2g-40)는 통신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CP (communication processor) 및 응용 프로그램 등 상위 계층을 제어하는 AP (application 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 (2g-40)는 다중 연결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다중연결처리부 (2g-4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g-40)는 상기 단말이 상기 도 2e에 도시된 단말의 동작에 도시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2g-4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WUS 정보에 따라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고,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하여 단말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발명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발명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신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제1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1 제어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에 기반하여 생성된 제2 제어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신호 처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4880A KR20200129855A (ko) | 2019-05-10 | 2019-05-10 | 동적 전력 공유 지원을 위한 파워 헤드룸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방법 및 장치 |
CN202080034959.0A CN113812186B (zh) | 2019-05-10 | 2020-05-08 | 触发用于支持动态功率共享的功率余量报告的方法和装置 |
PCT/KR2020/006128 WO2020231115A1 (ko) | 2019-05-10 | 2020-05-08 | 동적 전력 공유 지원을 위한 파워 헤드룸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방법 및 장치 |
US17/610,012 US12047885B2 (en) | 2019-05-10 | 2020-05-08 |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power headroom report for supporting dynamic power shar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54880A KR20200129855A (ko) | 2019-05-10 | 2019-05-10 | 동적 전력 공유 지원을 위한 파워 헤드룸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9855A true KR20200129855A (ko) | 2020-11-18 |
Family
ID=73290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54880A Pending KR20200129855A (ko) | 2019-05-10 | 2019-05-10 | 동적 전력 공유 지원을 위한 파워 헤드룸 보고를 트리거링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2047885B2 (ko) |
KR (1) | KR20200129855A (ko) |
CN (1) | CN113812186B (ko) |
WO (1) | WO2020231115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56329B2 (en) | 2019-09-24 | 2025-03-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160836B2 (en) * | 2020-09-21 | 2024-12-03 | Qualcomm Incorporated | Power headroom report for sidelinks in dual connectivity configuration |
US12022407B2 (en) | 2020-09-21 | 2024-06-25 | Qualcomm Incorporated | Power headroom report for sidelinks in dual connectivity configuration |
US11844031B2 (en) * | 2021-02-17 | 2023-12-12 |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 Component carrier management service |
GB2622808A (en) * | 2022-09-28 | 2024-04-03 | Nokia Technologies Oy | Device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ower headroom report |
Family Cites Families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196541B (zh) * | 2010-03-19 | 2015-04-01 |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 实现多载波增强上行接入功率共享管理的方法及系统 |
EP3648515B1 (en) * | 2010-06-28 | 2021-06-0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orting maximum transmission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
CN102378340A (zh) | 2010-08-12 | 2012-03-14 | 宏达国际电子股份有限公司 | 处理功率余量回报的方法及其通讯装置 |
KR101598104B1 (ko) | 2012-03-19 | 2016-0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캐리어 집적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파워 헤드룸 보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
RU2539650C2 (ru) * | 2012-05-11 | 2015-01-20 |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олнения процедуры сообщения о запасе мощности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
CN104105192A (zh) | 2013-04-03 | 2014-10-15 |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 支持多链路连接的功率余量报告的方法和装置 |
KR20150089888A (ko) | 2014-01-28 | 2015-08-05 | 주식회사 아이티엘 | 이중연결에 기반한 잉여전력의 보고 장치 및 방법 |
EP4436290A3 (en) * | 2014-01-29 | 2025-01-01 |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 Uplink transmiss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
US9357510B2 (en) * | 2014-03-31 | 2016-05-31 | Qualcomm Incorporated | Power sharing and power headroom reporting in dual connectivity scenarios |
JP5866420B1 (ja) * | 2014-09-25 | 2016-02-17 | 株式会社Nttドコモ |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上り送信電力報告方法 |
US10575264B2 (en) * | 2015-08-26 | 2020-02-25 | Idac Holdings,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control in wireless systems |
EP3834508A1 (en) * | 2018-08-10 | 2021-06-16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Power headroom report (phr) reporting determination |
CN110831138B (zh) * | 2018-08-10 | 2021-07-09 | 华为技术有限公司 | 功率确定方法和装置 |
US11985607B2 (en) * | 2018-12-12 | 2024-05-14 | Apple Inc. | Dynamic transmit power adjustment |
WO2020157987A1 (ja) * | 2019-02-01 | 2020-08-06 | 株式会社Nttドコモ | ユーザ装置及び基地局装置 |
CN113396616B (zh) * | 2019-02-15 | 2024-04-26 | 联想(新加坡)私人有限公司 | 用于确定触发的功率余量报告的基础的方法和装置 |
WO2020218900A1 (ko) * | 2019-04-25 | 2020-10-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정보를 보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
2019
- 2019-05-10 KR KR1020190054880A patent/KR20200129855A/ko active Pending
-
2020
- 2020-05-08 WO PCT/KR2020/006128 patent/WO2020231115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0-05-08 CN CN202080034959.0A patent/CN113812186B/zh active Active
- 2020-05-08 US US17/610,012 patent/US12047885B2/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2256329B2 (en) | 2019-09-24 | 2025-03-1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231115A1 (ko) | 2020-11-19 |
US20220210749A1 (en) | 2022-06-30 |
CN113812186B (zh) | 2024-10-18 |
US12047885B2 (en) | 2024-07-23 |
CN113812186A (zh) | 2021-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01712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
KR102450978B1 (ko) |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비연속수신모드가 적용시 채널상태보고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 |
JP7420812B2 (ja) | 不連続受信中の起動シグナリングを容易に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 |
CN112715037B (zh) | 在下一代通信系统中用于报告rrc非活动模式的ue的所选择的plmn的方法和装置 | |
EP344230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supplementary uplink frequenc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525923B1 (ko)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부분적인 주파수 대역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
CN113812209B (zh) | 解决与唤醒信号的冲突的无线通信 | |
JP2022539715A (ja) | Rrc状態の間でのue支援型高速遷移 | |
US12256317B2 (en) | Method and device for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362403B1 (ko) |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엠블을 이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요청하는 방법 및 장치 | |
US1204788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power headroom report for supporting dynamic power sharing | |
KR102451234B1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전송시간단위를 갖는 셀 병합 시 셀 활성화 및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 |
US1121275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ower backoff report while performing power headroom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EP3665935B1 (en) | Radio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methods performed therein | |
JP7336590B2 (ja) |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を送受信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 |
KR20200013492A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00048297A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 |
KR102768303B1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캐리어 집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007285A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drx 설정 정보에 따라 pdcch을 모니터링하고, srs 및 csi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 |
EP392362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200094059A (ko) |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력 소모 절감을 위한 링크 별 활성화 및 비활성화 방법 및 장치 | |
US20230063187A1 (en) | Method and device for driving timers according to bwp typ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20210056197A (ko)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파워헤드룸 보고 시 파워백오프 보고를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039937A (ko) |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프레임의 시작 시점이 서로 다른 서빙셀들에 대해 캐리어 집적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5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5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