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26894A - 경편기 - Google Patents

경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894A
KR20200126894A KR1020200040378A KR20200040378A KR20200126894A KR 20200126894 A KR20200126894 A KR 20200126894A KR 1020200040378 A KR1020200040378 A KR 1020200040378A KR 20200040378 A KR20200040378 A KR 20200040378A KR 20200126894 A KR20200126894 A KR 20200126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knitting machine
guide channel
warp knitting
forc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211B1 (ko
Inventor
크리슈티안 슈나이더
클라우스 브란들
Original Assignee
칼 마이어 알앤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마이어 알앤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칼 마이어 알앤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12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2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26Shogg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14Thread tensioning rod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10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27/24Thread guide bar assemblies
    • D04B27/32Thread guide bar assemblies with independently-movable thread guides controlled by Jacquard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아-세로축 (5) 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바아, 상기 바아 (2) 에 작용하는 태핏 (4), 상기 태핏 (4) 에 힘을 가하기 위한 푸시 바디 (3), 및 상기 바아 (2) 를 상기 태핏 (4) 의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스프링 인장 시스템 (1) 을 갖는 경편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스프링 인장 시스템 (1) 은 힘 전달 배열체 (6) 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푸시 바디 (3) 는 가이드 채널 (13) 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채널 (13) 안에 배열되고, 상기 스프링 인장 시스템 (1) 의 상기 힘 전달 배열체 (6) 의 한 섹션이 상기 가이드 채널 (13) 안에 설치된다.

Description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바아 (bar)-세로축을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는 바아, 상기 바아에 작용하는 태핏, 상기 태핏에 힘을 가하기 위한 푸시 바디 (push body), 및 상기 바아를 상기 태핏의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스프링 인장 시스템을 갖는 경편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스프링 인장 시스템은 힘 전달 배열체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류의 경편기들이 선행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렇게 CN 205676612 U 는 바아를 태핏을 통하여 구동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배열체를 나타낸다. 상기 바아를 오프셋하기 위해 패턴 장치 (pattern device) 가 사용된다. 상기 패턴 장치는, 다른 한편으로 상기 태핏과 연결되어 있는 푸시 바디를 구동시킨다. 상기 배열체는 게다가 원통 모양의 인장 바디를 구비한다. 상기 인장 바디 안에 다수의 스프링이 배열되고, 상기 스프링들은 볼트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볼트는 로프 (rope) 에 복원력을 가한다. 상기 로프는 상기 바아에 상기 복원력을 전달하고, 이를 통해 상기 바아는 상기 태핏에 눌려진다. 상기 노출되어 배열된 인장 바디는 강한 기계적 하중을 받으며, 조립 작업시 쉽게 손상이 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인장 바디는 이 배열체의 약한 부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계적으로 보다 많이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스프링 인장 시스템을 갖는 경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푸시 바디가 가이드 채널 (guide channel) 을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이 상기 가이드 채널 안에 배열되고, 스프링 인장 시스템의 힘 전달 배열체의 한 섹션이 상기 가이드 채널 안에 설치되는 경편기가 제공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푸시 바디 안에서의 상기 스프링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열을 근거로, 많이 개선된 안정성이 발생한다. 상기 푸시 바디는 힘을 흡수할 수 있고, 확실히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을 통해 가해진 복원력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바아가 태핏에 눌려지도록 상기 힘 전달 배열체에 작용한다. 상기 푸시 바디는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바아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 바아 (guide bar) 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아에 다수의 가이드 바늘이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바늘들은 날실들을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 바아는 원하는 패턴 래핑 (pattern lapping) 을 갖는 편물을 만들어내기 위해 바아 세로축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경편기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바아를 이동시키기 위한 패턴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패턴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패턴 디스크 (pattern disk) 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패턴 디스크는 그것의 외부 프로파일을 근거로 회전시 상기 바아를 이동시킨다. 대안적으로, 상기 패턴 장치가 서보 모터 (servo motor) 또는 리니어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모터는 상기 바아의 오프셋 위치를 자유로이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매우 큰 패터닝 다양성 (patterning diversity) 을 연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힘 전달 배열체는 상기 푸시 바디 안에 설치되는 볼트를 구비한다. 상기 볼트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푸시 바디 안에 슬라이딩하게 설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푸시 바디 안에 볼 베어링 또는 롤러 베어링도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힘 전달 배열체가 상기 바아와 연결 가능한 인장 요소를 구비하면 유리하다. 상기 인장 요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볼트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장 요소가 금속 로프 (metal rope) 인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채널의 가이드 채널-세로축과 바아-세로축이 서로 평행으로 정렬되지 않도록 상기 푸시 바디 안에 정렬된다. 상기 가이드 채널-세로축은 가상의 축이고, 상기 가상의 축을 따라 상기 볼트가 상기 가이드 채널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푸시 바디와 상기 바아 사이의 상기 인장 요소가 그것이 상기 바아-세로축에 대한 가로방향에서 연장될 정도로 팽팽해지면, 상당한 횡력들 (transverse forces) 이 상기 가이드 채널에 작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이드 채널의 상기 정렬의 적응을 통해 방지된다.
상기 인장 요소의 인장 요소-세로축과 상기 가이드 채널-세로축이 서로 평행으로 정렬되면 유리하다. 상기 인장 요소-세로축은 텐션 (tension) 하에서의 상기 인장 요소의 가상의 세로축을 표시한다. 상기 인장 요소-세로축과 상기 가이드 채널-세로축이 서로 평행으로 정렬되면, 상기 가이드 채널 상으로의 횡력들이 최소화된다.
상기 가이드 채널의 상기 가이드 채널-세로축이 상기 바아의 고정 섹션 (fastening section) 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가이드 채널이 상기 푸시 바디 안에 정렬되고, 상기 고정 섹션에서 상기 스프링 인장 시스템의 상기 힘 전달 배열체가 상기 바아와 연결 가능하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가이드 채널 상으로의 횡력들이 감소된다.
상기 고정 섹션이, 상기 바아의 바아 바디 (bar body) 밖으로 상기 바아-세로축을 가로지른 방향에서 연장되는 홀딩 부분 (holding part) 에 의해 형성되면 유리하다. 상기 홀딩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핀으로서, 갈고리 또는 그와 같은 것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고정 섹션은 대안적으로 직접적으로 상기 바아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아 바디가 리세스 (recess) 를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와 상기 인장 요소의 한 단부섹션이 맞물리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 요소가 상기 바아에 고정되면 상기 인장 요소의 인장 요소-세로축은 상기 바아-세로축과 각을 이룬다. 상기 인장 요소-세로축은 텐션하에서의 상기 인장 요소의 가상의 세로축을 표시한다. 상기 각은 본 발명에 따르면 0°보다 큰 각일 수 있다. 이러한 각은 특히 상기 바아가 단지 작은 전체 높이를 가질 경우 발생한다. 상기 인장 요소는 이 경우 강제적으로 상기 바아와 상기 푸시 바디 사이에서 비스듬히 안내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다른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 인장 시스템과 상기 태핏이 매우 가까이 나란히 배열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바아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푸시 바디의 일측은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푸시 바디 안의 상기 힘 전달 배열체에의 접근을 이룬다. 이는 다음의 적용 경우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인장 요소는 상기 바아에 인장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상기 바아는 힘방향으로 상기 태핏에 압축하중을 가한다. 상기 태핏은 이를 통해 확실히 상기 바아와 상기 푸시 바디 사이에 홀딩되며, 하지만 상기 바아를 손으로 상기 태핏으로부터 멀리 움직이고, 따라서 상기 태핏이 제거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이에 대해 상기 인장력이 너무 크다. 상기 푸시 바디의 상기 바아로부터 멀리 향하는 측은, 상기 힘 전달 배열체의 상기 볼트를 예컨대 공구 또는 드라이브를 이용해 이동시키기 위해 적합한 접근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상기 인장 요소에 의해 상기 바아에 가해진 힘이 감소하고, 상기 태핏이 꺼내질 수 있다.
상기 힘 전달 배열체의 한 섹션이 상기 개구부 밖으로 돌출하면 유리하다. 상기 섹션은 상기 힘 전달 배열체의 상기 볼트의 한 섹션일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볼트에 매우 간단히 접근할 수 있고, 상기 볼트는 밀어붙임력을 가함으로써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스톱 (stop) 이 이동되고, 따라서 상기 스톱이 상기 볼트에 밀어붙임력을 가하고 상기 볼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이는 대안적으로, 상기 푸시 바디가 상기 스톱의 방향으로 움직여지고, 따라서 상기 볼트가 상기 스톱에 밀어붙여지고, 이를 통해 상기 볼트가 상기 푸시 바디 안에서 이동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편기는 추출 드라이브를 구비하며, 상기 추출 드라이브는 리프팅 요소 (lifting element) 를 통하여 상기 힘 전달 배열체에 힘을 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힘 전달 배열체는 상기 가이드 채널 안에서 이동된다. 이는 상기 바아에 가해진 인장력을 자동적으로 적응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이렇게 예컨대 상기 경편기의 제어 시스템을 통하여 입력이 실행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상기 바아의 교체가 임박하기 때문이다. 상기 힘 전달 배열체의 상기 볼트는 이제 상기 추출 드라이브에 의해 자동적으로 새로운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새로운 위치에서 유지된다. 상기 태핏의 제거와 상기 바아의 교체 후, 과정이 종료된 것을 신호로 알리기 위해 재입력이 실행된다. 그러면 상기 추출 드라이브는 상기 볼트를 자유롭게 하고, 따라서 스프링들은 상기 볼트를 다시 상기 볼트의 원래의 위치로 움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팅 요소는 스톱이고, 상기 스톱은 그것이 상기 힘 전달 배열체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can be operatively connected)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스톱은 상기 힘 전달 배열체가 이동되어야 할 때에만 상기 힘 전달 배열체와 접촉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리프팅 요소가 상기 힘 전달 배열체와 단단히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형태는 도면들에 도시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경편기의 스프링 인장 시스템의, 바아의 그리고 푸시 바디의 도식적인 도면을 측면도로 나타내고,
도 2 는 상기 스프링 인장 시스템의 그리고 상기 푸시 바디의 도식적인 도면을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경편기의 스프링 인장 시스템 (1) 의, 바아 (2) 의 그리고 푸시 바디 (3) 의 도식적인 도면을 측면도로 나타낸다.
바아 (2) 는 가이드 바아이다. 바아 (2) 는 일부 섹션만 도시된다. 푸시 바디 (3) 와 바아 (3) 사이에 태핏 (4) 이 배열된다. 태핏 (4) 은 힘을 상기 경편기의 도시되지 않은 패턴 장치로부터 바아 (2) 에 전달할 수 있고, 따라서 바아 (2) 는 파선으로 표시되는 바아-세로축 (5) 을 따라 움직여진다. 힘 전달 배열체 (6) 는 바아 (2) 에 복원력을 가하고, 따라서 바아 (2) 는 태핏 (4) 에 눌려진다. 힘 전달 배열체 (6) 는 볼트 (7), 방향전환 요소 (8) 및 인장 요소 (9) 를 구비한다. 인장 요소 (9) 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인장 로프이다. 인장 요소 (9) 는 바아 (2) 의 고정 섹션 (10) 에 고정된다. 고정 섹션 (10) 은 바아 (2) 의 바아 바디 (11) 에 고정된 핀이다. 인장 요소 (9) 가 바아-세로축 (5) 에 대해 평행으로 정렬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도 2 는 스프링 인장 시스템 (1) 의 그리고 푸시 바디 (3) 의 도식적인 도면을 단면도로 나타낸다. 스프링 인장 시스템 (1) 은 힘 전달 배열체 (6) 와 다수의 스프링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들은 스프링 패킷들 (spring packets, 12) 안에 위치한다. 상기 스프링들은 힘 전달 배열체 (6) 의 볼트 (7) 에 복원력을 가한다. 그러므로 바아 (2) 는 태핏 (4) 에 눌려진다. 볼트 (7) 는 슬라이딩하게 푸시 바디 (3) 의 가이드 채널 (13) 안에 설치된다. 파선으로 표시된 가이드 채널 (13) 의 가이드 채널-세로축 (14) 은 바아-세로축 (5) 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푸시 바디 (3) 안의 횡력들이 최소화된다. 푸시 바디 (3) 는 개구부 (15) 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 밖으로 볼트 (7) 가 돌출한다. 그러므로 밖으로부터 볼트 (7) 에 접근할 수 있고, 상기 볼트는 필요시 이동될 수 있다.
1 : 스프링 인장 시스템 2 : 바아
3 : 푸시 바디 4 : 태핏
5 : 바아-세로축 6 : 힘 전달 배열체
7 : 볼트 8 : 방향전환 요소
9 : 인장 요소 10 : 고정 섹션
11 : 바아 바디 12 : 스프링 패킷
13 : 가이드 채널 14 : 가이드 채널-세로축
15 : 개구부

Claims (13)

  1. 바아-세로축 (5) 을 따라 전후로 (back and forth) 움직일 수 있는 바아 (2), 상기 바아 (2) 에 작용하는 태핏 (4), 상기 태핏 (4) 에 힘을 가하기 위한 푸시 바디 (3), 및 상기 바아 (2) 를 상기 태핏 (4) 의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스프링 인장 시스템 (1) 을 갖는 경편기로서,
    상기 스프링 인장 시스템 (1) 은 힘 전달 배열체 (6) 와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푸시 바디 (3) 는 가이드 채널 (13) 을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은 상기 가이드 채널 (13) 안에 배열되고, 상기 스프링 인장 시스템 (1) 의 상기 힘 전달 배열체 (6) 의 한 섹션이 상기 가이드 채널 (13) 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힘 전달 배열체 (6) 는 상기 푸시 바디 (3) 안에 설치되는 볼트 (7)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힘 전달 배열체 (6) 는 상기 바아 (2) 와 연결 가능한 인장 요소 (9)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요소 (9) 는 금속 로프 (metal rop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 (13) 은 상기 가이드 채널 (13) 의 가이드 채널-세로축 (14) 과 상기 바아-세로축 (5) 이 서로 평행으로 정렬되지 않도록 상기 푸시 바디 (3) 안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요소 (9) 의 인장 요소-세로축과 상기 가이드 채널 (13) 의 가이드 채널-세로축 (14) 은 서로 평행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채널 (13) 은 상기 가이드 채널 (13) 의 가이드 채널-세로축 (14) 이 상기 바아 (2) 의 고정 섹션 (10) 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푸시 바디 (3) 안에 정렬되고, 상기 고정 섹션에서 상기 스프링 인장 시스템 (1) 의 상기 힘 전달 배열체 (6) 는 상기 바아 (2) 와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섹션 (10) 은, 상기 바아 (2) 의 바아 바디 (bar body, 11) 밖으로 상기 바아-세로축 (5) 을 가로지른 방향에서 연장되는 홀딩 부분 (holding part) 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요소 (9) 가 상기 바아 (2) 에 고정되면 상기 인장 요소 (9) 의 인장 요소-세로축은 상기 바아-세로축 (5) 과 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아 (2) 로부터 멀리 향하는 상기 푸시 바디 (3) 의 일측은 개구부 (15) 를 구비하며, 상기 개구부는 상기 푸시 바디 (3) 안의 상기 힘 전달 배열체 (6) 에의 접근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힘 전달 배열체 (6) 의 한 섹션이 상기 개구부 (15) 밖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12.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편기는 추출 드라이브를 구비하며, 상기 추출 드라이브는 리프팅 요소 (lifting element) 를 통하여 상기 힘 전달 배열체 (6) 에 힘을 가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힘 전달 배열체 (6) 는 상기 가이드 채널 (13) 안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요소는, 상기 힘 전달 배열체 (6) 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한 스톱 (stop)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KR1020200040378A 2019-04-30 2020-04-02 경편기 Active KR102373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9171792.5A EP3511459B1 (de) 2019-04-30 2019-04-30 Kettenwirkmaschine
EP19171792.5 2019-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894A true KR20200126894A (ko) 2020-11-09
KR102373211B1 KR102373211B1 (ko) 2022-03-10

Family

ID=66334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378A Active KR102373211B1 (ko) 2019-04-30 2020-04-02 경편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511459B1 (ko)
KR (1) KR102373211B1 (ko)
CN (1) CN111850805B (ko)
TW (1) TWI7727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51790B1 (de) * 2021-09-16 2024-08-21 KARL MAYER STOLL R&D GmbH Legebarrenantrieb einer kettenwirkmas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0914A (zh) * 2016-01-11 2016-03-23 卡尔迈耶(中国)有限公司 可调弹性牵拉绳
CN205676612U (zh) * 2016-04-12 2016-11-09 常德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el型电子梳栉横移部件的复位装置
CN106167955A (zh) * 2015-05-21 2016-11-30 卡尔迈耶纺织机械制造有限公司 经编机的梳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82617A (en) * 1955-08-17 1957-02-26 Kidde Mfg Co Inc Slider box assembly for warp knitting machines
DE4303967C2 (de) * 1993-02-10 1995-03-30 Liba Maschf Kettenwirkmaschine mit auf einer Legebarre angebrachten individuell bewegbaren Fadenführern
DE10066042B4 (de) * 2000-08-23 2004-12-02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Kettenwirkmaschine mit mehreren Musterlegebarren
CN201933274U (zh) * 2010-11-30 2011-08-17 常州市武进五洋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电子横移装置
CN102021741A (zh) * 2010-11-30 2011-04-20 常州市武进五洋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电子横移装置
CN202047223U (zh) * 2011-03-21 2011-11-23 孙嘉良 一种经编机梳栉横移装置
CN204023140U (zh) * 2014-07-28 2014-12-17 江苏润源控股集团有限公司 经编机梳栉横移机构
CN204825259U (zh) * 2015-07-21 2015-12-02 常州市赛嘉机械有限公司 一种经编机梳栉横移的连接缓冲装置
CN207362444U (zh) * 2017-10-24 2018-05-15 福建信亿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经编机电子横移机构
CN207891534U (zh) * 2017-12-18 2018-09-21 常州市赛嘉机械有限公司 经编机的顶头装置及横移机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7955A (zh) * 2015-05-21 2016-11-30 卡尔迈耶纺织机械制造有限公司 经编机的梳栉装置
EP3095904B1 (de) * 2015-05-21 2017-03-22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Legebarrenanordnung einer kettenwirkmaschine
CN105420914A (zh) * 2016-01-11 2016-03-23 卡尔迈耶(中国)有限公司 可调弹性牵拉绳
CN205676612U (zh) * 2016-04-12 2016-11-09 常德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el型电子梳栉横移部件的复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1459A2 (de) 2019-07-17
EP3511459A3 (de) 2019-09-18
KR102373211B1 (ko) 2022-03-10
TW202041739A (zh) 2020-11-16
EP3511459B1 (de) 2021-06-02
CN111850805A (zh) 2020-10-30
TWI772749B (zh) 2022-08-01
CN111850805B (zh)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8271B1 (de) Betätigung einer sicherheitsbremse
US10260605B2 (en) Traction means tensioner, vibration welding device having a traction means tensioner as well as production method for a traction means tensioner
KR102373211B1 (ko) 경편기
DE10330306A1 (de) Zangenbremse mit Freistellung
DE102014005657B4 (de) Anschlagmodul
TWI740381B (zh) 經編機和在經編機中輔助操作者的方法
EP1210187A1 (en) Track for drawing assembly and method to remote the relative gripping elements
DE102009036978B4 (de) Bremselement für vertikale Linearführungen
DE102008027648A1 (de) Spannvorrichtung
CN108430778B (zh) 印版张紧轨
DE102007024588A1 (de) Textilmaschine mit einer Abhebe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Textilmaschine
DE3137346C2 (de) Spinnereimaschine mit Streckwerken
DE10223008A1 (de) Zugmittelspanneinrichtung
CH712620B1 (de) Changiervorrichtung für ein Streckwerk einer Textilmaschine sowie ein Verfahren für deren Betrieb.
EP2949796B1 (de) Verfahren zum öffnen eines streckwerkes und streckwerk
CN216141687U (zh) 一种阻尼调节装置及纱线熨烫定型装置
DE102010045931B4 (de) Doppeltes mechanisches Bremselement für Linearführungen
EP1886761B1 (de) Niederhalter mit einem linearem Stelltrieb
KR200385122Y1 (ko) 공작기계의 소재떨림 방지장치
DE112013005479T5 (de) Gewinnungsanlage zur Mineraliengewinnung
EP1366832A2 (en) Tool coupling device, particularly for press machines
KR19980022209U (ko) 텐션조절장치
DE20107730U1 (de) Vorrichtung zum Spannen des Antriebsseiles für den Messerschlitten an Doppelteppichwebmaschin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4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