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26854A - 실내 공기 정화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공기 정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6854A
KR20200126854A KR1020190051054A KR20190051054A KR20200126854A KR 20200126854 A KR20200126854 A KR 20200126854A KR 1020190051054 A KR1020190051054 A KR 1020190051054A KR 20190051054 A KR20190051054 A KR 20190051054A KR 20200126854 A KR20200126854 A KR 20200126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outdoor
air
concentration
purifi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636B1 (ko
Inventor
김세중
김선욱
Original Assignee
김선욱
김세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욱, 김세중 filed Critical 김선욱
Priority to KR1020190051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763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6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6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6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3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52Air quality properties of the out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6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2Cleaning ducts or apparatus
    • F24F2221/225Cleaning ducts or apparatus using a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산소 농도 및 실내 오염물질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실외 센서를 이용하여 실외 오염물질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공기질 감시단계;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실내 산소 농도 및 실내 오염물질 농도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산소 농도 및 실외 오염물질 농도와 비교하여 환기 여부를 결정하되, 실내 산소 농도가 기준 산소 농도 미만이거나 실내 오염물질 농도가 실외 오염물질 농도보다 높은 경우 환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연산단계; 상기 제1 연산단계에서 환기가 결정되면, 실내로 외기를 유입되도록 실외에 구비된 실외정화기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시켜 환기시키되, 상기 실외정화기는 내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외기 중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단계; 및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실내 산소 농도가 기준 산소 농도 이상이고, 실내 오염물질 농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오염물질 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실외정화기의 작동을 종료하고 환기 과정에서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상기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공기 정화방법{METHOD OF PURIFYING OF INDOOR AIR}
본 발명은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유지하도록 하는 실내 공기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외 공기의 산소 농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환기하고, 외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는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제공한다.
거실, 주방 등 주거공간 또는 사무실 등과 같이 밀폐된 실내에서는 공기의 유동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정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밀폐된 실내에서 작업 또는 생활하는 경우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이산화탄소(CO2) 및 미세먼지의 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어 실내의 공기 오염을 유발한다.
또한, 신축 건물의 경우에는 실내의 건축자재 또는 내장재 등에서 방출되는 유해물질로 인하여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며, 이와 같이 밀폐된 실내에서 오염된 공기를 장시간 흡입하는 경우, 호흡기 질환 등 질병을 유발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풍기 등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동시에 외기를 실내로 유입하여 실내 공기를 교환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환기장치는 일반적으로 온/오프 스위치 또는 타이머에 의해 강제적으로 외기를 유입시키면서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실내 공기를 교체하는 것으로, 실외의 공기가 오염된 경우 실내 공기를 더욱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시키고자 공기청정기와 같은 공기정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세균 및 냄새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지만,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등으로 인한 실내의 공기오염은 해결하지 못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260564 B1 (2013.04.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외 공기질에 따라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결정하여 항상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는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외기 중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의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 공기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산소 농도 및 실내 오염물질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실외 센서를 이용하여 실외 오염물질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공기질 감시단계;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실내 산소 농도 및 실내 오염물질 농도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산소 농도 및 실외 오염물질 농도와 비교하여 환기 여부를 결정하되, 실내 산소 농도가 기준 산소 농도 미만이거나 실내 오염물질 농도가 실외 오염물질 농도보다 높은 경우 환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연산단계; 상기 제1 연산단계에서 환기가 결정되면, 실내로 외기를 유입되도록 실외에 구비된 실외정화기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시켜 환기시키되, 상기 실외정화기는 내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외기 중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단계; 및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실내 산소 농도가 기준 산소 농도 이상이고, 실내 오염물질 농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오염물질 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실외정화기의 작동을 종료하고 환기 과정에서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상기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방법은 상기 환기단계 이후에, 실시간으로 수신된 실내 오염물질 농도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오염물질 농도와 비교하여, 실내 오염물질 농도가 기준 오염물질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실내 공기정화를 결정하는 제2 연산단계; 및 상기 제2 연산단계에서 실내 공기정화가 결정되면 실내에 별도로 구비된 실내 공기청정기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실내 공기정화를 실시하는 공기정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외정화기는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기단계는, 하기의 식 (1), (2)로 계산되는 부족 산소 농도 및 상대 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정화기의 풍량은 실내 산소 부족분 및 실내 오염도가 증가될수록 실내로 토출되는 외기의 풍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실외정화기의 풍량을 결정하는 풍량 산출과정; 및 상기 풍량 산출과정에서 결정된 상기 실외정화기의 풍량에 따라 상기 풍량 조절부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풍량을 조절하여 환기하는 환기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부족 산소 농도(%) = 기준 산소 농도(%) - 실내 산소 농도(%) --------- (1)
상대 오염도(%) = 실내 오염물질 농도(%) - 실외 오염물질 농도(%) --- (2)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필터는 정전기식 필터와 같이 물세척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마무리 단계는, 상기 실외정화기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된 수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여과필터의 배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과정; 및 열풍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여과필터의 배면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척과정은, 상기 환기단계에서 풍량 및 환기시간이 증가될수록, 상기 수분사 노즐에서 여과필터로 분사하는 물의 량 및 분사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환풍과정은, 상기 실외정화기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실내에 구비된 실내 정화장치를 통과시켜 2차 정화되어 실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외 공기의 산소 농도 및 오염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그에 따라 공기청정기 및 실외정화기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적절한 시기에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공급함으로써,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실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환기 종료시 외기 중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흡기필터를 자동으로 세척 및 건조함으로써 필터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지 및 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사 노즐 및 열풍 노즐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학교, 군부대, 가정, 주택, 아파트, 공장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실내/실외 센서와 실외정화기 및 실내 공기청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이용한 실내 공기 정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외 공기질에 따라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항상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방법은 실내/실외 센서(510, 520))를 이용하여 실내 및 실외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공기질 감시단계, 측정된 실내외 공기질에 따라 환기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연산단계, 제1 연산단계에서 결정된 환기 여부에 따라 실외에 구비된 실외정화기(100)를 작동시켜 실내를 환기시키는 환기단계 및 실내 공기질이 일정 수준에 이르면 실외정화기(100)의 작동을 정지하고 세척하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실내 센서(510)와 실외 센서(520)는 각각 실내 및 실외에 설치되어 실시간으로 실내 및 실외의 공기질을 측정하는 것으로, 실외 센서(520)는 미세먼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등 오염물질과 산소 농도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오염물질 센서를 포함하며, 실내 센서(510)는 오염물질의 농도 뿐만 아니라 산소 농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오염물질 센서와 산소센서를 포함하여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실외 공기 즉 대기는 미세먼지 농도 등 오염물질 농도는 가변되지만 산소 농도는 약 21%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반면에 실내 외부와 격리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요리 또는 거주자 등에 따라 오염물질 농도 뿐만 아니라 산소 농도도 수시로 가변되기 때문이다.
공기질 감지단계는 상기와 같이 마련된 실내 센서(510)와 실외 센서(520)를 이용하여 사전에 설정된 오염물질에 대한 실외 오염물질 농도와 실내 오염물질 농도 및 실내 산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한다.
제1 연산단계는 상기와 같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실내 산소 농도 및 실내 오염물질 농도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산소 농도 및 실외 오염물질 농도와 비교하여 환기 여부를 결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연산단계는 실내 산소 농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산소 농도 미만이거나, 실내 오염물질 농도가 실외 오염물질 농도보다 큰 경우, 실내 공기질이 위험 수준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여 환기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기준 산소 농도가 18%로 설정되고 실내 산소 농도가 18% 미만인 경우, 실내에서 생활하는 거주자 또는 작업자에 호흡곤란 두통, 혼절 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실내 오염물질 농도와 실외 오염물질 농도와 관계없이 환기를 결정한다.
한편, 실내 산소 농도가 18% 이상이라 하더라도, 실내 오염물질(예를 들어 미세먼지) 농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오염물질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실내에 비하여 실외 공기질이 좋다고 판단하여 환기를 결정한다.
이때, 제1 연산단계는 실내 오염물질 농고도가 기준 오염물질 농도 미만이나, 외부 오염물질 농도에 비하여 높은 경우에는, 실내 작업자 또는 거주자 현재 실내외 오염물질 농도를 알리고, 실내 작업자 또는 거주자의 선택에 따라 환기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산단계에서 환기가 결정되면, 환기단계에서 실외에 구비된 실외정화기(100)를 작동시켜 실내로 외기를 유입시켜 환기를 실시한다.
본 발명에서 실외정화기(10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300)를 포함하여 마련되어 내부로 흡입된 외기 중의 오염물질을 1차적으로 필터링 한 후 실내로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실내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실외정화기(100)는 실내로 토출되는 환기 풍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부(900)를 더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환기단계는 부족 산소 농도 및 상대 오염도를 산출하는 풍량 산출과정과 산출된 실외정화기(100)의 풍량에 따라 풍량 조절부(90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풍량을 조절하여 환기하는 환기과정을 포함한다.
풍량 산출과정은 실내 산소 농도 부족 정도 및 실내 오염도 정도에 따른 풍량을 산출하는 과정으로, 하기의 식 (1), (2)로 산출되는 부족 산소 농도 및 상대 오염도가 증가할수록 풍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족 산소 농도는 사전에 설정된 기준 산소 농도에 비하여 부족한 값을 의미하며, 상대 오염도는 실외 대비 실내 오염정도를 나타낸 값으로, 부족 산소 농도 및 상대 오염도 값이 증가될수록 실내 오염 정도가 심각하다고 판단하여 빠르게 환기되도록 함으로써, 빠르게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부족 산소 농도(%) = 기준 산소 농도(%) - 실내 산소 농도(%) --------- (1)
상대 오염도(%) = 실내 오염물질 농도(%) - 실외 오염물질 농도(%) ---- (2)
일반적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산소 농도는 18% 가 안전한계이나 환기가 필요한 농도로, 16% 미만으로 떨어지면 두통, 구토 등을 유발하고, 10% 미만인 경우 의식불명을 유발할 수 있고 8% 미만에서는 실신 혼절등을 유발하고 심각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부족 산소 농도가 커질수록 환기량을 증가시켜 빠르게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 오염도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외부 공기가 실내 공기에 비하여 깨끗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오염된 실내공기를 빠르게 배출시킴으로써, 보다 빠르게 실내를 쾌적하고 안전한 상태로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환기단계가 완료되면 마무리 단계에서 다음 환기작업을 위해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면서 오염된 여과필터(300)를 세척과 건조작업을 통해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마무리 단계는 실내 센서(510)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실내 산소 농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산소 농도 이상이며, 실내 오염물질 농도가 기준 오염물질 농도 미만인 경우, 실내 공기질이 양호하다고 판단하고, 실외정화기(100)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정지 시키고, 여과필터(300)를 세척과 건조한다.
또한 실내공기 및 오염도가 안전 기준치를 확보하게 될 시 실외정화기가 정지되어도 실내공기질 안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실내공기청정기는 자체 작동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여과필터(300)는 물세척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정전기식 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사 노즐 및 열풍 노즐의 설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실내 공기를 환기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여과필터(300)의 배면에는 여과필터(300)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도록 수분사 노즐(710) 및 열풍을 분사하여 건조시키는 열풍 노즐(720)이 마련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무리 단계는 수분사 노즐(710)을 이용하여 여과필터(300)의 배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과정 및 세척된 여과필터(300)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과정을 포함한다.
이에, 사용된 여과필터(300)를 즉시 세척 및 건조하여 여과필터(300)를 항상 최상의 컨디션으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이후 환기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여과필터(300)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여과필터(300)에 오염물질이 누적되어 환기시 필터의 차압증가로 인한 운전비용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세척과정은 환기단계에서 소요된 시간 및 풍량이 증가될수록 물의 량 및 분사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환기단계에서 시간 및 풍량이 증가할수록 여과필터에 누적된 오염물질이 증가함에 따라, 오염물질이 충분히 제거될수 있도록 충분한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공기 정화장치는 풍량 조절부(900) 대신 내부에 정화필터(810)를 구비하여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 공기청정기(800)를 더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풍과정은 여과필터(300)에 의해 1차 정화되어 실내 공기청정기(800) 내부로 공급된 외기를 정화필터(810)를 이용하여 2차 정화시킨 후 실내에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실내 공기 정화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실외정화기 300: 여과필터
510: 실내 센서 520: 실외 센서
710: 수분사 노즐 720: 열풍 노즐
800: 실내 공기청정기 810: 정화필터
820: 흡입부 900: 풍량 조절부

Claims (6)

  1. 실내 센서를 이용하여 실내 산소 농도 및 실내 오염물질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실외 센서를 이용하여 실외 오염물질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공기질 감시단계;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실내 산소 농도 및 실내 오염물질 농도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산소 농도 및 실외 오염물질 농도와 비교하여 환기 여부를 결정하되, 실내 산소 농도가 기준 산소 농도 미만이거나 실내 오염물질 농도가 실외 오염물질 농도보다 높은 경우 환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연산단계;
    상기 제1 연산단계에서 환기가 결정되면, 실내로 외기를 유입되도록 실외에 구비된 실외정화기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작동시켜 환기시키되, 상기 실외정화기는 내부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를 이용하여 외기 중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환기단계; 및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실내 산소 농도가 기준 산소 농도 이상이고, 실내 오염물질 농도가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오염물질 농도 미만인 경우, 상기 실외정화기의 작동을 종료하고 환기 과정에서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된 상기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마무리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공기 정화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기단계 이후에,
    실시간으로 수신된 실내 오염물질 농도를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오염물질 농도와 비교하여, 실내 오염물질 농도가 기준 오염물질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 실내 공기정화를 결정하는 제2 연산단계; 및
    상기 제2 연산단계에서 실내 공기정화가 결정되면 실내에 별도로 구비된 실내 공기청정기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실내 공기정화를 실시하는 공기정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실내 공기 정화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외정화기는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풍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단계는,
    하기의 식 (1), (2)로 계산되는 부족 산소 농도 및 상대 오염도를 산출하고, 상기 실외정화기의 풍량은 실내 산소 부족분 및 실내 오염도가 증가될수록 실내로 토출되는 외기의 풍량이 증가하도록 상기 실외정화기의 풍량을 결정하는 풍량 산출과정; 및
    상기 풍량 산출과정에서 결정된 상기 실외정화기의 풍량에 따라 상기 풍량 조절부에 작동신호를 전송하여 풍량을 조절하여 환기하는 환기과정;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 정화방법.
    부족 산소 농도(%) = 기준 산소 농도(%) - 실내 산소 농도(%) --------- (1)
    상대 오염도(%) = 실내 오염물질 농도(%) - 실외 오염물질 농도(%) ---- (2)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물 세척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마무리 단계는,
    상기 실외정화기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설치된 수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여과필터의 배면에 물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과정; 및
    열풍 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여과필터의 배면에 열풍을 공급하여 건조시키는 열풍 건조과정;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 정화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세척과정은,
    상기 환기단계에서 풍량 및 환기시간이 증가될수록, 상기 수분사 노즐에서 여과필터로 분사하는 물의 량 및 분사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정화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환풍과정은,
    상기 실외정화기를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외기를 실내에 구비된 실내 정화장치를 통과시켜 2차 정화되어 실내로 공급하는 것과 실외정화기가 정지되어도 실내 정화장치는 정화된 실내공기 안전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별도로 작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기 정화방법.
KR1020190051054A 2019-04-30 2019-04-30 실내 공기 정화방법 Active KR102237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054A KR102237636B1 (ko) 2019-04-30 2019-04-30 실내 공기 정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054A KR102237636B1 (ko) 2019-04-30 2019-04-30 실내 공기 정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6854A true KR20200126854A (ko) 2020-11-09
KR102237636B1 KR102237636B1 (ko) 2021-04-08

Family

ID=7342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054A Active KR102237636B1 (ko) 2019-04-30 2019-04-30 실내 공기 정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76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603B1 (ko) * 2021-09-01 2022-02-28 주식회사 씨원글로벌 오염환경에 따라 정화성능을 달리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정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404775B1 (ko) * 2021-05-17 2022-06-02 (주)야손건축사사무소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5384561A (zh) * 2022-09-15 2022-11-25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列车制氧控制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4280B2 (ja) * 1992-03-19 1998-03-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5226421A (ja) * 2004-02-12 2005-08-25 Teruo Takei 外断熱換気システム
JP2008101861A (ja) * 2006-10-20 2008-05-01 Dai-Dan Co Ltd 通気ダクト内設置フィルター装置
JP2010223528A (ja) * 2009-03-25 2010-10-07 Panasonic Corp レンジフード
KR101260564B1 (ko) 2010-04-05 2013-05-06 (주)엘지하우시스 창호형 환기장치 및 풍향을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장치 및 환기방법
KR20160045562A (ko) * 2014-10-16 2016-04-27 코웨이 주식회사 환기 청정기
KR20180135636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4280B2 (ja) * 1992-03-19 1998-03-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2005226421A (ja) * 2004-02-12 2005-08-25 Teruo Takei 外断熱換気システム
JP2008101861A (ja) * 2006-10-20 2008-05-01 Dai-Dan Co Ltd 通気ダクト内設置フィルター装置
JP2010223528A (ja) * 2009-03-25 2010-10-07 Panasonic Corp レンジフード
KR101260564B1 (ko) 2010-04-05 2013-05-06 (주)엘지하우시스 창호형 환기장치 및 풍향을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장치 및 환기방법
KR20160045562A (ko) * 2014-10-16 2016-04-27 코웨이 주식회사 환기 청정기
KR20180135636A (ko) * 2017-06-13 2018-12-2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775B1 (ko) * 2021-05-17 2022-06-02 (주)야손건축사사무소 복층형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 정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67603B1 (ko) * 2021-09-01 2022-02-28 주식회사 씨원글로벌 오염환경에 따라 정화성능을 달리하는 하이브리드 공기정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30034119A (ko) * 2021-09-01 2023-03-09 주식회사 씨원글로벌 오염환경 및 사용환경에 따라 정화강도 세기를 달리하고 여과 및 살균기능과 환기효과가 제공되는 하이브리드 공기정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5384561A (zh) * 2022-09-15 2022-11-25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一种列车制氧控制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7636B1 (ko)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7636B1 (ko) 실내 공기 정화방법
KR101797204B1 (ko) 실시간 환경 감응형 공동주택 실내 공기질 관리 시스템
KR102256209B1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2506019B1 (ko)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KR100765164B1 (ko) 환기장치의 운전제어방법
KR101706363B1 (ko) 공기 청정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40070132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381927B1 (ko) 환기장치
KR20160114846A (ko) 클린룸 시스템
CN104006459A (zh) 一种空气净化机
JP6378551B2 (ja) 非常時用空調システム
KR101820875B1 (ko) 공기 청정 장치
KR102040399B1 (ko) 물흡착식 공기필터
CN112178866A (zh) 空气净化方法、空气净化装置、空调器及其控制方法
CN109838868A (zh) 一种分体式新风机装置
KR100836725B1 (ko) 공기청정기용 먼지 센서의 보상 제어방법
CN204787023U (zh) 一种空气净化通风系统
KR102364961B1 (ko) 공기청정기
KR101111489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460415B1 (ko) 실내 공기 정화방법 - 물탱크 회전식
KR20100062020A (ko) 산업용 공기청정기
KR20190054464A (ko)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공조 시스템
KR102057600B1 (ko) 환기 기능이 구비된 실내 설치용 공기 청정기
KR102307537B1 (ko) 외부공기의 유입이 방지되는 공기 청정시스템
KR20190082343A (ko) 복도 및 틈새 공간을 활용한 실내 공기 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911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04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