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5315A - Movable assembly pool floated on water - Google Patents
Movable assembly pool floated on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5315A KR20200125315A KR1020190049403A KR20190049403A KR20200125315A KR 20200125315 A KR20200125315 A KR 20200125315A KR 1020190049403 A KR1020190049403 A KR 1020190049403A KR 20190049403 A KR20190049403 A KR 20190049403A KR 20200125315 A KR20200125315 A KR 2020012531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wimming pool
- floating
- net
- floating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89 div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17 excl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12—Floating swimming p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08—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winch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6—Safety devices; Coverings for baths
- E04H4/065—Floors adjustable in height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6—Weights attached to mooring lines or chain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4—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zipper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착탈가능한 블록을 조립하여 제작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영장을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가 분해 및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기대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and more particularly, a floating body manufact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removable blocks; A net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body; And it provides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comprising; and a bottom portion provided under the n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wimming pool are configured to be disassembled and folded, so that the effect of easy assembly and dismantling and convenient movement is exp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착탈가능한 블록을 조립하여 제작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의 하부에 연결되는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마련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and more particularly, a floating body manufact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detachable blocks; A net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loating body; And it provides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comprising; and a bottom portion provided under the net.
수영장의 일반적인 형태는 호텔, 테마파크, 학교체육시설, 빌딩 등에 일정 공간을 마련하고, 건축형식에 따라서 건축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이 경우, 수영장을 축조하는데 많은 기간과 인력, 비용이 소요되며, 또한 소독수를 사용하므로 소독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고, 물이 순환되지 않고 정체되므로 자주 갈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The general form of a swimming pool is to prepare a certain space in hotels, theme parks, school sports facilities, buildings, etc., and are manufactured using build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architectural style. In this case, it takes a lot of time, manpower, and cost to build the swimming pool, and since disinfecting water is used, a lot of effort is required for disinfection, and since the water is not circulated but stagnate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frequent change.
따라서, 최근 바다나 강에 직접 설치하여 해수나 하수를 수영장의 물로 직접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영시설이 등장하고 있다.Therefore, recently, a swimming facility has emerged that allows direct use of seawater or sewage as water of a swimming pool by installing directly in the sea or river.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0331948호에서는 "해수 수영장"을 개시하고 있다. 동 선행기술은 본 고안은 해수 수영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다의 연안에 수영장을 설치하여 자연경관을 즐기면서 바다 위에서 수영도 즐기면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합성수지 통(11) 또는 푼툰을 다수 연결하여 이루어진 부유체(1)와, 상기 부유체(1)의 상부면에 밀착되는 거치판(2)과, 상기 거치판(2)의 중앙하부에 해수를 수용함과 동시에 이동이 자유롭도록 된 바닥판(3)과 그 사방으로 다수의 통공(41)이 천공된 벽판(4)을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수영장(5)과, 상기 거치판(2)의 외주연에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난간(21)과, 상기 부유체(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네모서리에 형성된 닻(6)과, 상기 거치판(2)의 일측에는 연안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부유통로(7)를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 수영장을 제공한다. 동 기술은 바닷가의 연안에 해수 수영장을 설치함으로써 수영장 내에서 파도를 만끽하면서 안전하게 수영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실종의 염려가 없고, 수영장의 내부로 해수가 자유롭게 드나들도록 구성되어 있어 수영장에 별도로 식수원을 공급하지 않아도 되므로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In this regard,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31948 discloses "seawater swimming pool".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water swimming pool, in particular, by installing a swimming pool on the shore of the sea, while enjoying the natural scenery while enjoying a swim on the sea, and to take a rest.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floating body (1) mad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synthetic resin barrels (11) or puntun, a mounting plate (2)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loating body (1), and a central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2). A swimming pool (5) formed by integrally forming a bottom plate (3) and a wall plate (4)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 perforated in all four directions while accommodating seawater in the water, and the mounting plate ( On the outer periphery of 2), a railing 21 form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an anchor 6 formed at a square corner to fix the floating body 1, and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2 It provides a seawater swimming poo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by combining a floating passage (7) formed to move to the coast. This technology provides a separate source of drinking water to the pool as it is constructed so that seawater can freely flow in and out of the pool because it is possible to safely swim while enjoying the waves in the pool by installing a seawater pool on the shore of the beach. There is no need to do so, so there is an economic effect.
그러나, 본 고안은 어느 한 곳에 설치되면 이를 원거리로 이동하거나 변형하기 어려우며, 해상에서 이동이 가능하다고 하여도 이를 이동하기 위하여 동력선을 별도로 운용하거나 수영장에 동력발생장치를 구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or deform a long distance when it is installed in any one place, and even if it is possible to move it at sea, a power line must be separately operated or a power generating device must be built in a swimming pool to move it.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282156호에서는 "수상 인공 수영장"을 개시하고 있는데, 동 선행기술은 바다나 강, 저수지 등 수상에 수영장을 설치하여 수영을 즐김과 동시에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수상 인공 수영장에 관한 것이다. 동 기술은 내측에 물이 수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는 부유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 기술에 의하면 바다나 강, 저수지 등 수상에서 수영을 즐길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수영장을 설치함으로써, 수영을 하면서 자연경관을 즐길 수 있고, 수영 후 인공 수영장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수영장 본체의 가장자리부에 다수개의 부구가 설치됨으로써, 수상 인공 수영장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영장 본체의 가장자리부에 다수개의 부구가 설치되고, 이 부구의 파손시 다수개의 부구 중 파손된 부구만 교체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용이하게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282156 discloses a "water artificial swimming pool". This prior art is a water artificial swimming pool that allows you to enjoy swimming and rest at the same time by installing a swimming pool on the water such as the sea, river, or reservoir. About. The technolog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body portion in which water is accommodate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installed outside the body portion, and a floating portion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this technology, by artificially installing a swimming pool so that you can enjoy swimming in water such as the sea, river, or reservoir, you can enjoy the natural scenery while swimming, and have the effect of allowing you to relax in the artificial swimming pool after swimming. 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buoys ar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swimming pool body,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water artificial swimming pool. In addition, by adopting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buoys are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swimming pool body, and only the damaged buoy is replaced among the plurality of buoys when the buoy is damaged,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easy maintenance work.
그러나, 위 선행기술의 경우에도 부피가 커서 수영장의 육상 이동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However, even in the case of the abov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move the swimming pool on land because it is bulk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모든 구성요소가 분해 및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한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in which all components are configured to be disassembled and folded, so that assembly and disassembly are easy, and movement is convenient.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윈치에 의하여 바닥면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동됨으로써 바닥면의 깊이에 따라서 성인 공간과 아동 공간을 구분할 수 있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a water surface capable of distinguishing an adult space and a child spac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floor by being driven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loor surface by a winch.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을 섬유재질로 형성하고 여기에 절개부룰 구성하여 지퍼로 마감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지퍼를 열어 절개부를 개방한 다음에 스쿠버 다이빙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the bottom surface of a fiber material, comprises an incision therein, and closes it with a zipper, so that the zipper is opened and the incision is opened as needed, and then the movable floating in the water allows you to enjoy scuba diving, etc.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prefab pool.
또한, 본 발명은 거치판을 구성하여 수영을 한 후 또는 수영을 즐기는 사이에 휴식할 수 있도록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by configuring a mounting plate so that you can rest after swimming or while enjoying swimming.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수의 착탈가능한 블록을 조립하여 제작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로부터 수심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마련되어 그물망이 고정되는 바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ating body manufact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removable block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net extending from the floating body in the water depth direction; And it provides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ing a; and a bottom portion provided under the net and fixed to the net.
상기 부유체, 그물망 또는 바닥부의 일측 및 이와 대향되는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는 앙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the net or the bottom and one side opposite to the floating body; And an anch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상기 와이어는 상기 그물망과 부유체의 연결부 또는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re is preferably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mesh and the floating body or to a lower portion of the mesh.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는 각각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n additional weigh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wire, respectively.
상기 부유체의 적어도 일측에는 거치판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mount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상기 바닥부는 섬유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ortion is made of a fibrous material.
상기 바닥부에는 절개부가 마련되며, 절개부는 지퍼에 의하여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cision is provided at the bottom, and the incision is opened and closed by a zipper.
상기 절개부의 일측과 대향된 일측에는 각각 고리 또는 단추가 부착되며, 상기 고리 또는 단추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지퍼에 의하여 절개부가 개방되었을 때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ring or button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cision part and one side opposite to each other, and when the incision part is opened by a zipper by being coupled with each other, the ring or button is kept open.
상기 부유체의 일측으로부터 대향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로프가 연결되며, 로프가 복수개인 경우 로프간 간격은 등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rope is connected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to the opposite side,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opes, the distance between the ropes is preferably equal.
상기 부유체의 적어도 일측에는 거치판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mount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상기 부유체의 테두리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승강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윈치는 부유체의 테두리부 중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장치의 조작에 따라서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서 상기 바닥부가 승하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one side of the rim of the floating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part and a lifting device including a wire extending from the locking part, and the winch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im of the floating body, the locking part It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ortion rises and falls as the length of the wir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device.
상기 그물망 또는 바닥부는, 복수의 통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그물망 또는 바닥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nstitute a part of the net or the bottom portion of the net or the bottom portion.
상기 플레이트는 그물망의 수심방향을 따라서 그물망과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es are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mesh along the water depth direction of the mesh.
상기 바닥부는 섬유재질이며, 상기 플레이트는 바닥부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을 따라서 섬유재질의 바닥부와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portion is made of a fibrous material, and the plate is preferably disposed alternately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fibrous material along the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or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영장을 이루는 모든 구성요소가 분해 및 접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이동이 편리한 효과가 기대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wimming pool are configured to be disassembled and folded, so that the effect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is easy and movement is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윈치에 의하여 바닥면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동됨으로써 바닥면의 깊이에 따라서 성인 공간과 아동 공간을 구분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riven by a winch to adjust the height of the floor surface, so that the effect of distinguishing the adult space and the child spac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floor is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을 섬유재질로 형성하고 여기에 절개부룰 구성하여 지퍼로 마감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지퍼를 열어 절개부를 개방한 다음에 스쿠버 다이빙 등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of a fibrous material, and an incision is formed thereto and is closed with a zipper, so that the incision can be opened by opening the zipper as needed, and then the effect of enjoying scuba diving and the like is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거치판을 구성하여 수영을 한 후 또는 수영을 즐기는 사이에 휴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have an effect of configuring a mounting plate so that you can rest after swimming or while enjoying swimm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에서 바닥면에 지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으로서, 그물망의 측면과 바닥면에 플레이트가 개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에서 윈치와 바닥부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앙카, 무게추를 표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at a zipper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in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at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 is interposed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net,
4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winch and the bottom in the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anchor and a weight for fixing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loor.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component is connected to or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exist in the middle.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includ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preliminary exclusion.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에서 바닥면에 지퍼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으로서, 그물망의 측면과 바닥면에 플레이트가 개재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에서 승강장치(140)와 바닥부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앙카, 무게추를 표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zipper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at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a water surfa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late is interposed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net,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at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the connection of the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식 수영장(100)은 다수의 착탈가능한 블록을 조립하여 제작되는 부유체(110); 상기 부유체(110)로부터 수심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물망(120); 및 상기 그물망(120)의 하부에 마련되어 그물망(120)이 고정되는 바닥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the
본 발명의 조립식 수영장(100)은 강 또는 바다 등 물이 풍부한 자연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며, 따라서 수영장의 사용을 위하여 물을 인위적으로 수영장내로 유입시킬 필요가 없다. 즉, 본 발명의 조립식 수영장(100)은 그물망(120)을 물에 잠기도록 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상 편의성이 인정된다. The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수영장(10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부유체(110)와 그물망(120)과 바닥부(130)를 서로 분리할 수 있으며, 통상의 방법(예를 들어 고리를 이용한 결합)에 의하여 결합이 가능하다. 부유체(110) 또한 블럭단위로 분리가 가능하다. 아울러, 수영장의 안전한 운용을 위하여, 상기 부유체(110) 또는 그물망(120) 중 어느 하나의 일측 및 이와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이와 대향되는 일측에 각각 와이어(142)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앙카(160)가 고정되어 바다 또는 강의 설치되는 위치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수영장은 설치 위치에 단단히 고정되어 물의 흐름이나 파도에 따라서 떠내려가거나 심하게 유동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더욱이, 상기 와이어(142)는 상기 그물망(120)과 부유체(110)의 연결부 또는 상기 그물망(120)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다만, 와이어(142)의 설치위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Moreover, it will be said that the
한편, 부유체(110)의 부력에 의하여 앙카(160)에 인장력이 가해짐으로써 앙카(160)가 강 또는 바다의 바닥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와이어(142)들의 일측에는 각각 무게추(180)가 설치될 수 있다. 무게추(180)의 무게 또는 와이어(142)에서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수영장(100)은 수영장으로서의 편의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부유체(110)의 적어도 일측에는 거치판(150)이 더 마련되어 해당 공간을 휴식공간으로 활용하거나 수영장에 출입할 때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본 발명의 조립식 수영장(100)에서 바닥부(130)는 섬유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재질인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중량을 낮출 수 있으며, 두께를 다소간 두껍게 하게 되면 유동성을 낮출 수 있어서 바닥부(130)로서의 안정감이 생긴다. 다만, 너무 두꺼우면 중량이 높아져 적정한 두께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In the
본 발명의 조립식 수영장(100)은 수영장을 통해 스노클링, 스킨스쿠버 등을 할 수 있도록 섬유재질의 바닥부(130)에 절개부(133)를 더 마련할 수 있다. 절개부(133)는 바닥부(130)를 일정 정도 절개한 것이며, 해당 절개부(133)에는 지퍼(133)가 형성되어 있어 절개부(133)의 개폐가 가능하다. 즉, 수영 이외에 전술한 바와 같은 스노클링, 스킨스쿠버 등을 하고자 할 때에는 지퍼를 조작하여 절개부(133)를 개방한 다음 개방된 영역을 통해 강 또는 바다로 진출할 수 있다. 개방된 절개부(133)는 개방상태의 고정을 위하여 절개부(133)의 일측과 대향된 일측에는 각각 고리 또는 단추 등 체결장치(134, 135)가 부착되며, 상기 체결장치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이러한 개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the
상기 부유체(110)의 일측으로부터 대향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로프(170)가 연결되며, 로프(170)가 복수개인 경우 로프(170)간 간격은 등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로프(170)는 독립된 레인(lane)을 구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며,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수영장에서 수영 경기를 진행할 수도 있다. 로프(170)는 부유체(1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방법은 통상의 고정방법을 따른다. At least one
상기 부유체(110)의 테두리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걸림부(143)와, 상기 걸림부(143)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142)를 포함하는 승강장치(140)가 더 설치된다. 승강장치(140)는 윈치로 주로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기술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승강장치(140)의 용도는 바닥부(130)의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승강장치(140)를 이용하여 바닥부(130)를 수면방향으로 끌어올리게 되면 그만큼 수영장의 깊이가 얕아지며, 어린이들도 수영을 할 수 있도록 깊이 조절이 가능하다. At least one side of the rim portion of the floating
바닥부(130)의 깊이를 전반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립식 수영장(100)이 사각형상인 경우 각 코너의 결속부(132)에 승강장치(140)의 걸림부(143)를 하나씩 설치하고 해당 승강장치(140)의 제어반(141)을 조작하여 바닥부(130)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일부의 승강장치(140)만을 조작함으로써 바닥부(130)의 깊이가 경사지도록 할 수도 있다. 승강장치(140)의 설치 갯수를 제한이 없으며, 위치 또한 제한되지 아니한다. In order to adjust the depth of the
일 실시예로서, 승강장치(140)는 부유체(110)의 테두리부 중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되, 승강장치(140)의 걸림부(143)는 수영장 바닥부(130)와 연결되며, 상기 승강장치(140)의 조작에 따라서 와이어(142)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서 상기 바닥부(130)가 승하강 하게 된다. In one embodiment, the
한편, 승강장치(140)의 조작에 따라서 바닥부(130)의 깊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그물망(120)은 섬유망이기 때문에 불규칙하게 접히게 되며, 얕게 조절된 상태에서는 이로인해 깊이가 불균일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물망(120)은, 복수의 통공이 구비된 플레이트(121)가 그물망(120)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함으로써 그물망(120)아 어느 정도 형태를 갖춘 상태로 접힐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때,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21)는 그물망(120)의 수심방향을 따라서 그물망(120)과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depth of the
플레이트(121)가 통공을 구비하는 것은 그물망(120)과 마찬가지로 물의 유통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플레이트(121)가 경질이므로 승강장치(140) 조작에 따른 바닥부(130)의 깊이 조절시 플레이트(121)와 그물망(120)의 경계에서 규칙적으로 접히게 되므로 깊이의 불균일에 따른 문제점이 다소간 해소되는 장점이 있다. The plate 121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to facilitate the circulation of water, like the
이러한 플레이트(131)는 그물망(120)에 적용한 것과 동일한 요령으로 바닥부(130)에도 구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121, 131)의 재질은 PVC 등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나, 나무나 금속제도 가능하다. The
또 다른 장점으로는 플레이트(121, 131)가 존재하면 이동, 변형 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수영장을 해체할 때, 그물망(120)이나 바닥부(130)를 가지런히 할 수 있어 이동이나 변형에 편의성이 배가된다. Another advantage is that if the
아울러, 플레이트(121, 131)가 존재함으로써 그물망(120)이나 바닥부(130)의 내구성이 보다 강화되는 점도 인정된다. 즉, 그물망(120)이나 바닥부(130)가 손상되는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recognized that the existence of the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바닥부(130)가 섬유재질일 때, 플레이트(131)는 바닥부(130)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을 따라서 섬유재질의 바닥부(130)와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the purpose of explanation and not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조립식 수영장
110 : 부유체
120 : 그물망
130 : 바닥부
140 : 승강장치
150 : 거치판
160 : 앙카
170 : 로프
180 : 무게추100: prefabricated swimming pool 110: floating body
120: net 130: bottom
140: lifting device 150: mounting plate
160: anchor 170: rope
180: weight
Claims (14)
상기 부유체로부터 수심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마련되어 그물망이 고정되는 바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A floating body manufact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detachable blocks;
A net extending from the floating body in the water depth direction; And
A bottom portion provided under the net to fix the net;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comprising: a.
상기 부유체, 그물망 또는 바닥부의 일측 및 이와 대향되는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는 앙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1,
A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the net or the bottom and one side opposite to the floating body; And
An anch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comprising: a.
상기 와이어는 상기 그물망과 부유체의 연결부 또는 상기 그물망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 is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in th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net and the floating body or a lower portion of the net.
상기 와이어의 일측에는 각각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3,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an additional weight is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wire.
상기 부유체의 적어도 일측에는 거치판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1,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in th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a mount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상기 바닥부는 섬유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1,
The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ortion is made of fiber.
상기 바닥부에는 절개부가 마련되며, 절개부는 지퍼에 의하여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6,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in th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is provided at the bottom, and the incision is opened and closed by a zipper.
상기 절개부의 일측과 대향된 일측에는 각각 고리 또는 단추가 부착되며, 상기 고리 또는 단추가 서로 결합됨으로써 지퍼에 의하여 절개부가 개방되었을 때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8,
A movable assembly type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a ring or button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incision and one side opposite to each other, and the rings or button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maintain an open state when the incision is opened by a zipper. .
상기 부유체의 일측으로부터 대향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로프가 연결되며, 로프가 복수개인 경우 로프간 간격은 등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rope is connected in a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to the opposite side, and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ropes, a space between the ropes is equally spaced.
상기 부유체의 적어도 일측에는 거치판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1,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in th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a mounting plate is further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loating body.
상기 부유체의 테두리부 중 적어도 일측에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승강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승강장치는 부유체의 테두리부 중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되,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며, 상기 윈치의 조작에 따라서 와이어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서 상기 바닥부가 승하강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side of the rim of the floating body,
A lifting device including a locking part and a wire extending from the locking part is further provided,
The lifting device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im of the floating body, the locking part is connected to the bottom part, and the bottom part is raised and lower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inch. Floating movable prefab pool.
상기 그물망 또는 바닥부는,
복수의 통공이 구비된 플레이트가 그물망 또는 바닥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1,
The net or the bottom portion,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t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nstitutes a part of the net or the bottom.
상기 플레이트는 그물망의 수심방향을 따라서 그물망과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12,
The plate is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on the wat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net along the water depth direction of the net.
상기 바닥부는 섬유재질이며, 상기 플레이트는 바닥부의 횡방향 또는 종방향을 따라서 섬유재질의 바닥부와 교번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에 부유되는 이동가능한 조립식 수영장.The method of claim 12,
The bottom portion is made of fibrous material, and the plate is a movable prefabricated swimming pool floating in the water, wherein the plate is disposed alternately with the bottom of fibrous material along a transverse or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tto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403A KR20200125315A (en) | 2019-04-26 | 2019-04-26 | Movable assembly pool floated on w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9403A KR20200125315A (en) | 2019-04-26 | 2019-04-26 | Movable assembly pool floated on wa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5315A true KR20200125315A (en) | 2020-11-04 |
Family
ID=7357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9403A Ceased KR20200125315A (en) | 2019-04-26 | 2019-04-26 | Movable assembly pool floated on w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25315A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76104A (en) * | 2022-04-21 | 2022-07-22 | 宜昌市大棒科技有限公司 | Water leisure and auxiliary swimming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2156B1 (en) | 2011-04-29 | 2013-07-04 | (주)에어박스 | The artificial swimming pool which is established in the water |
-
2019
- 2019-04-26 KR KR1020190049403A patent/KR20200125315A/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2156B1 (en) | 2011-04-29 | 2013-07-04 | (주)에어박스 | The artificial swimming pool which is established in the wate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776104A (en) * | 2022-04-21 | 2022-07-22 | 宜昌市大棒科技有限公司 | Water leisure and auxiliary swimm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57688B2 (en) | Floatation apparatus and method | |
US3026538A (en) | Outdoor swimming pool | |
US9725918B2 (en) | Arrangement and method for underwater activities | |
KR20200125315A (en) | Movable assembly pool floated on water | |
KR200429494Y1 (en) | Prefab pool | |
KR101102045B1 (en) | Floating Floating House | |
US7682259B1 (en) | Modular aquatic assembly for providing user enjoyment | |
KR20210135091A (en) | Floating Swimming Pool Comprising Marine Leisure or Swimming Experience Space | |
CN2226621Y (en) | Floating structure type automatic rise and fall swimming pool | |
US20100146695A1 (en) | Floating station for aquatic exercises | |
KR101911616B1 (en) | The pool of floated type | |
CN102071819B (en) | Deep water suspension safety swimming pool | |
KR100762307B1 (en) | Prefab Float Structure | |
KR101282156B1 (en) | The artificial swimming pool which is established in the water | |
KR200331948Y1 (en) | Swimming pool floated on the sea water | |
US235669A (en) | oolqney | |
KR102150664B1 (en) | Seawater swimming pool floated on the sea | |
JP2005090098A (en) | Floating pool | |
KR101341348B1 (en) | Safe floor adjusting depth of water for swimming pool | |
CN202645059U (en) | Natatorium | |
WO2010024790A1 (en) | Floating beach with open-air pools | |
CN102704715B (en) | Natatorium | |
KR101403714B1 (en) | Dragon palace build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 |
JP2002154481A (en) | Underwater dome boat | |
KR20200000380U (en) | Floating bungalow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1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12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6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012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