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00123461A -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3461A
KR20200123461A KR1020207027140A KR20207027140A KR20200123461A KR 20200123461 A KR20200123461 A KR 20200123461A KR 1020207027140 A KR1020207027140 A KR 1020207027140A KR 20207027140 A KR20207027140 A KR 20207027140A KR 20200123461 A KR20200123461 A KR 20200123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wp
information
activated state
random access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충 스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237015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6454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46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7Variable allocation of band or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04B7/06952Selecting one or more beams from a plurality of beams, e.g. beam training, management or sweeping
    • H04B7/06964Re-selection of one or more beams after beam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access, e.g. ALOHA
    • H04W74/0833Random access procedures, e.g. with 4-step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를 제공한다.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제1 자원 정보와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자원 정보는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탐지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BWP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은 제2 BWP에 대응되며;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며, 또한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 상에서 무작위 접속 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Description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동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대역폭 부분(BWP, Band Width Part)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이 무작위 접속 채널(RACH,Random Access Channel) 과정을 개시할 때, 빔 실패 회복(BFR, Beam Failure Recovery)으로 인하여 트리거시키는 RACH 과정이 포함되고, 단말은 우선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 상에 RACH 자원이 구성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만일 있다면 현재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의 인덱스(index)가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의 index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일치한다면,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와 다운링크 BWP를 유지하고, 또한 RACH 과정을 개시하며; 만일 다운링크 BWP의 index와 업링크 BWP의 index가 불일치한다면, 현재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를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의 index와 같은 다운링크 BWP로 전환시키고, 그 후 RACH 과정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 BWP 전환의 과정은 BFR가 트리거시킨 RACH(BFR RACH로 약칭)에 있어서 하나의 문제가 존재한다.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 상에는 RACH 자원이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또한 검색 공간(SearchSpace)의 ID(recoeverySearchSpaceID라 불림)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 SearchSpace의 ID는 어느 한 다운링크 BWP와 바인딩 관계가 존재한다. 만일 단말이 BFR RACH를 개시할 때, 현재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 a를 다른 하나의 BWP b로 전환시켰지만, BWP b 상에 구성된 검색 공간의 ID가 없다면, 단말은 BFR RACH를 완성할 수 없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를 제공하여, 단말이 BFR RACH를 실행할 때, 활성화된 BWP를 PDCCH를 탐지할 수 있는 다운링크 BWP 상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BWP 전환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제1 자원 정보와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자원 정보는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탐지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BWP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은 제2 BWP에 대응되며;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며, 또한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 상에서 무작위 접속 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BWP 전환 장치에는,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제1 자원 정보와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자원 정보는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탐지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BWP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은 제2 BWP에 대응되는 취득 유닛;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는 활성화 유닛;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 상에서 무작위 접속 과정을 실행하는 무작위 접속 유닛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BWP 전환 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칩은 상기 BWP 전환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칩에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해당 칩이 설치된 장치가 상기 BWP 전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세서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BWP 전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가 상기 BWP 전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BWP 전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상기 기술방안을 통하여, 단말이 BFR RACH를 실행할 때,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를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탐지할 수 있는 다운링크 BWP으로 전환시켜, BFR 과정이 순조롭게 완성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통신 시스템 구조의 예시적 도면.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BWP 전환 방법의 흐름 예시도.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BWP 전환 장치의 구조 구성 예시도.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단말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일 통신 시스템의 예시적 블록도.
아래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게 되는 바, 기재되는 실시예는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불과하며 모든 실시예가 아님은 자명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당업계의 기술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는 모두 본 출원의 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또는 5G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가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네트워크 장치(110)가 포함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110)는 단말 장치(120)(또는 통신 장치, 단말이라 칭함)와 통신을 진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10)는 특정된 지리 구역을 위하여 통신 커버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커버 구역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네트워크 장치(110)는 GSM 시스템 또는 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는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는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중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이동 교환국,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집선기, 교환기, 브리지, 라우터,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다.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110) 커버 범위 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1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단말 장치"에는 예를 들면 공공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PSTN), 디지털 가입자 라인(Digital Subscriber Line, DSL), 디지털 케이블, 직접 케이블 등 유선 라인을 통하여 연결되는 장치; 및/또는 다른 데이터 연결/네트워크; 및/또는 예를 들면 셀룰러 네트워크 무선 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예를 들면 DVB-H 네트워크 등 디지털 TV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AM-FM 방송 송신기 등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는 장치; 및/또는 다른 단말 장치의 통신 신호를 수신/송신하도록 구성된 장치; 및/또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장치가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을 진행하도록 구성된 단말 장치는 "무선 통신 장치", "무선 단말" 또는 "이동 단말"이라 불린다. 이동 단말의 예시에는 위성 또는 셀룰러 전화; 셀룰러 무선 전기 통신 전화와 데이터 처리, 팩스 및 데이터 통신 능력을 통합시킨 개인 통신 시스템(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 PCS) 단말; 무선 전화, 무선 호출기, 인터넷/인트라넷 접속, Web 브라우저, 메모, 달력 및/또는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는 PDA; 및 일반적인 태블릿 및/또는 핸드핼드 수신기 또는 무선 전화 전기 통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기타 전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장치는 접속 단말,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 단말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120) 사이에서는 단말 직접 연결(Device to Device, D2D)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5G 시스템 또는 5G 네트워크는 또한 새로운 무선(New Radio, NR) 시스템 또는 NR 네트워크라 칭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으로 하나의 네트워크 장치와 두 개의 단말 장치를 보여주고 있으나,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각 네트워크 장치의 커버 범위 내에는 또한 기타 수량의 단말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해당 통신 시스템(100)에는 또한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 관리 실체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시스템에서 통신 기능이 구비된 장치는 단말 장치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100)을 예로 들면, 단말 장치에는 통신 기능이 구비된 네트워크 장치(110)와 단말 장치(120)가 포함될 수 있고, 네트워크 장치(110)와 단말 장치(120)는 상기 구체적인 장치일 수 있고,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단말 장치에는 또한 통신 시스템(100) 중의 기타 장치, 예를 들면 네트워크 제어기, 이동 관리 실체 등 기타 네트워크 실체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제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경상적으로 서로 바꾸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 중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인 뿐,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가 존재하거나, 동시에 A와 B가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B가 존재하는 이 세 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BWP 전환 방법의 흐름 예시도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WP 전환 방법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201 단계: 단말 장치가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제1 자원 정보와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자원 정보는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탐지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BWP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은 제2 BWP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는 핸드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등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무작위 접속 과정은 BFR로 인하여 트리거시키는 무작위 접속 과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일 예시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BeamFailureRecoveryConfig라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적어도 두 개의 정보가 포함되는 바, 하나는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는 제1 자원 정보로써, 예를 들면 물리 무작위 접속 채널(PRACH)이며; 다른 하나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을 탐지하는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이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BWP에 대응되는 바, 즉 제1 구성 정보는 제1 BWP 상에 구성된다. 상기 제1 검색 공간은 제2 BWP에 대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 무작위로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를 구성하여,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거나, 또는 다르게 할 수 있다.
202 단계: 상기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며, 또한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 상에서 무작위 접속 과정을 실행한다.
빔 실패 회복(BRF)으로 인하여 트리거시키는 무작위 접속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단말 장치는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가 상기 제1 BWP인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며, 또한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 상에서 무작위 접속 과정을 실행한다.
1) 네트워크 측이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를 같게 구성하는 상황에 있어서, 빔 실패 회복(BRF)으로 인하여 트리거시키는 무작위 접속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단말 장치는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가 상기 제1 BWP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바, 또한 즉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 상에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기 때문에,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와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고, 또한 제1 검색 공간에 대응되는 아이디 정보와 같아, 단말이 BFR RACH를 실행할 때, 현재 활성화된 활성화를 PDCCH를 탐지할 수 있는 다운링크 BWP 상으로 전환시키도록 확보하였다.
2) 네트워크 측이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를 같거나 다르게 구성하는 상황에 있어서, 빔 실패 회복(BRF)으로 인하여 트리거시키는 무작위 접속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단말 장치는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가 상기 제1 BWP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바, 또한 즉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 상에 상기 제1 구성 정보가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며, 여기에서,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와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의 아이디 정보가 다를 수 있지만, 현재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의 아이디 정보와 제1 검색 공간에 대응되는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아, 단말이 BFR RACH를 실행할 때, 현재 활성화된 활성화를 PDCCH를 탐지할 수 있는 다운링크 BWP 상으로 전환시키도록 확보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는 것에는 하기 두 가지 상황이 존재한다.
1) 만일 상기 제2 BWP가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다면, 상기 제2 BWP를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킨다.
2) 만일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면,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한다.
일 실시 방식에서,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현재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를 제3 BWP로 전환시키는 바, 상기 제3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고, 상기 제3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다르면(또한 즉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와 다운링크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지만, 다운링크 BWP는 상기 제1 구성 정보 중의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에 대응되지 않음), 상기 단말이 제2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는 바, 상기 제2 무작위 접속 과정은 경쟁 방식의 무작위 접속 과정이다.
아래, 구체적인 응용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예를 들어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응용예1
1. BeamFailureRecoveryConfig(즉 제1 구성 정보)가 어느 한 업링크 BWP, 예를 들면 업링크 BWP n(즉 제1 BWP) 상에 구성되며; 그 중에서, BeamFailureRecoveryConfig 중의 recoverySearchSpaceId(즉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는 어느 한 다운링크 BWP, 예를 들면 다운링크 BWP m(즉 제2 BWP)에 대응되며, 여기에서, m과 n은 BWP의 index이다.
2. 네트워크 구성을 통하여, 상기 m=n을 확보하며;
3. BFR RACH를 트리거시키는 조건을 만족시킬 때, 만일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 상에 BeamFailureRecoveryConfig가 구성되어 있다면, 또한 즉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가 업링크 BWP n이고, 현재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가 BWP x이며, x가 m과 같지 않다고 가정하면, 단말이 현재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 x를 다운링크 BWP m 상으로 전환시킨다.
4. 단말이 업링크 BWP n과 다운링크 BWP m 상에서 BFR RACH 과정을 실행하는 바, 그 중에서 m=n이다.
응용예2
1. BeamFailureRecoveryConfig(즉 제1 구성 정보)가 어느 한 업링크 BWP, 예를 들면 업링크 BWP n(즉 제1 BWP) 상에 구성되며; 그 중에서, BeamFailureRecoveryConfig 중의 recoverySearchSpaceId(죽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는 어느 한 다운링크 BWP, 예를 들면 다운링크 BWP m(즉 제2 BWP)에 대응되며; 그 중에서 m은 n과 같을 수도 있고, m은 또한 n과 다를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 m과 n은 BWP의 index이다.
2. BFR RACH를 트리거시키는 조건을 만족시킬 때, 만일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 상에 BeamFailureRecoveryConfig가 구성되어 있다면, 또한 즉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가 업링크 BWP n이고, 현재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가 BWP x이며, x가 m과 같지 않다고 가정하면, 단말이 현재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 x를 다운링크 BWP m 상으로 전환시킨다.
3. 단말이 업링크 BWP n과 다운링크 BWP m 상에서 BFR RACH 과정을 실행한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BWP 전환 장치의 구조 구성도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WP 전환 장치에는,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제1 자원 정보와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자원 정보는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탐지하며; 그 중에서,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BWP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은 제2 BWP에 대응되는 취득 유닛(301);
상기 제 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는 활성화 유닛(302);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 상에서 무작위 접속 과정을 실행하는 무작위 접속 유닛(303)이 포함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으며; 또는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다르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활성화 유닛(302)은, 만일 상기 제2 BWP가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다면, 상기 제2 BWP를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며; 또는 만일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면,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장치에는 또한,
빔 실패 회복(BRF)으로 인하여 트리거시키는 무작위 접속 조건을 만족시킬 때,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가 상기 제1 BWP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유닛(304)이 포함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취득 유닛(301)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
일 실시방식에서, 상기 활성화 유닛(302)은,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현재 활성화 상태에 처한 다운링크 BWP를 제3 BWP로 전환시키는 바, 상기 제3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고, 상기 제3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다르며;
상기 무작위 접속 유닛(303)은, 또한 제2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는 바, 상기 제2 무작위 접속 과정은 경쟁 방식의 무작위 접속 과정이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상기 BWP 전환 장치의 관련 설명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BWP 전환 방법의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600)의 예시적 구조도로써, 도 4에 도시된 단말 장치(600)에는 프로세서(610)가 포함되고, 프로세서(610)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600)에는 또한 기억장치(62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610)는 기억장치(6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620)는 독립적인 프로세서(610)의 한 단독의 소자일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610)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600)에는 또한 송수신기(630)가 포함될 수 있고, 프로세서(610)는 해당 송수신기(630)를 제어하여 기타 장치와 통신을 진행할 수 있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기타 장치가 송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그 중에서, 송수신기(630)에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포함될 수 있다. 송수신기(630)에는 나아가 안테나가 포함될 수 있고, 안테나의 수량은 하나 또는 다수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6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 장치(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단말 장치(600)는 구체적으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일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 장치(600)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칩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칩(700)에는 프로세서(710)가 포함되고, 프로세서(710)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칩(700)에는 또한 기억장치(72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710)는 기억장치(720)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720)는 독립적인 프로세서(710)의 한 단독의 소자일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710) 중에 집적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에는 또한 입력 인터페이스(73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710)는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730)를 제어하여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진행하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이 송신하는 정보 또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700)에는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740)가 포함될 수 있다. 그 중에서, 프로세서(710)는 해당 출력 인터페이스(740)를 제어하여 기타 장치 또는 칩과 통신을 진행하는 바, 구체적으로 말하면, 기타 장치 또는 칩으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칩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언급된 칩은 또한 시스템 레벨 칩, 시스템 칩, 칩 시스템 또는 시스템 온 칩의 칩 등이라 칭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900)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통신 시스템(900)에는 단말 장치(910)와 네트워크 장치(920)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단말 장치(910)는 상기 방법 중의 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920)는 상기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프로세서는 집적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의 처리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구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각 방법, 단계 및 논리 블록도를 구현 또는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또는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도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디코딩 프로세서로 실행하여 완선한 것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코딩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에 위치하고, 프로세서가 기억장치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일 수 있거나, 또는 휘발성과 비휘발성 기억장치 두 가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그 중에서, 비휘발성 기억장치는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메모리(Programmable ROM, PROM),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rasable PROM, EPROM),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Electrically EPROM, EEPROM) 또는 플래시 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이는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된다.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을 통하여, 많은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이다. 주의하여야 할 바로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시스템과 방법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억장치는 예시적이지만 제한적이지 않은 설명만 한 것이며, 예를 들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또한 정적 램(Static RAM, SRAM), 동적 램(Dynamic RAM, DRAM), 동기화 동적 램(Synchronous DRAM, SDRAM), 이중 데이터 속도 동적 램(Double Data Rate SDRAM, DDR SDRAM), 향상된 동기화 동적 램(Enhanced SDRAM, ESDRAM), 동기화 링크 동적 램(Synchlink DRAM, SLDRAM)과 직접 램버스 램(Direct Rambus RAM, DR RAM) 등이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억장치는 이러한 것과 임의의 기타 적합한 유형의 기억장치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실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로 하여금 본 출원의 실시예의 각 방법 중의 이동 단말/단말 장치가 구현하는 상응한 과정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써,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되거나 토론된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집적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하나의 컴퓨터 설비(개인용 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이 개시된 보호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17)

  1. 대역폭 부분(BWP) 전환 방법에 있어서,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제1 자원 정보와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자원 정보는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탐지하며; 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BWP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은 제2 BWP에 대응되며;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며, 또한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 상에서 무작위 접속 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으며; 또는,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제2 BWP가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다면, 상기 제2 BWP를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며; 또는
    만일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면,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며, 또한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 상에서 무작위 접속 과정을 실행하는 것에는,
    빔 실패 회복(BRF)으로 인하여 트리거시키는 무작위 접속 조건을 만족시킬 때, 상기 단말 장치는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가 상기 제1 BWP인지 여부를 결정하며;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며, 또한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 상에서 무작위 접속 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현재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를 제3 BWP로 전환시키는 바, 상기 제3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고, 상기 제3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다르면, 상기 단말이 제2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는 바, 상기 제2 무작위 접속 과정은 경쟁 방식의 무작위 접속 과정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방법.
  7. BWP 전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바, 상기 제1 구성 정보에는 제1 자원 정보와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제1 자원 정보는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의 아이디 정보는 다운링크 제어 채널을 탐지하며;상기 제1 구성 정보는 제1 BWP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은 제2 BWP에 대응되는 취득 유닛;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BWP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는 활성화 유닛;
    상기 제1 BWP와 상기 제2 BWP 상에서 무작위 접속 과정을 실행하는 무작위 접속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으며; 또는,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유닛은, 만일 상기 제2 BWP가 비활성화 상태에 처한다면, 상기 제2 BWP를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활성화 상태로 전환시키며; 또는 만일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면, 상기 제2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하도록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장치.
  10. 제7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또한,
    빔 실패 회복(BRF)으로 인하여 트리거시키는 무작위 접속 조건을 만족시킬 때, 현재 활성화된 업링크 BWP가 상기 제1 BWP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유닛은,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장치.
  12. 제7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유닛은, 상기 제1 BWP가 활성화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현재 활성화된 다운링크 BWP를 제3 BWP로 전환시키는 바, 상기 제3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1 BWP의 아이디 정보가 같고, 상기 제3 BWP의 아이디 정보와 상기 제2 BWP의 아이디 정보가 다르며;
    상기 무작위 접속 유닛은, 또한 제2 무작위 접속 과정을 개시하는 바, 상기 제2 무작위 접속 과정은 경쟁 방식의 무작위 접속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BWP 전환 장치.
  13. 단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는 바, 해당 기억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억장치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4. 칩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포함되는 바, 기억장치로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 및 실행하여, 상기 칩이 설치된 장치가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칩.
  15.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포함되는 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7.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7027140A 2018-06-21 2019-05-07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Ceased KR20200123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15881A KR102726454B1 (ko) 2018-06-21 2019-05-07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646706 2018-06-21
CN201810646706.3 2018-06-21
PCT/CN2019/085834 WO2019242419A1 (zh) 2018-06-21 2019-05-07 一种bwp切换方法及装置、终端设备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881A Division KR102726454B1 (ko) 2018-06-21 2019-05-07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461A true KR20200123461A (ko) 2020-10-29

Family

ID=689827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7140A Ceased KR20200123461A (ko) 2018-06-21 2019-05-07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KR1020237015881A Active KR102726454B1 (ko) 2018-06-21 2019-05-07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15881A Active KR102726454B1 (ko) 2018-06-21 2019-05-07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993235B2 (ko)
EP (1) EP3713353B1 (ko)
JP (1) JP7086222B2 (ko)
KR (2) KR20200123461A (ko)
CN (2) CN111867100B (ko)
AU (1) AU2019291417B2 (ko)
BR (1) BR112020017544A2 (ko)
CA (1) CA3091169C (ko)
MX (1) MX2020009325A (ko)
RU (1) RU2741630C1 (ko)
SG (1) SG11202007700QA (ko)
WO (1) WO2019242419A1 (ko)
ZA (1) ZA2020050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87197B2 (ja) * 2018-09-27 2022-06-20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ユーザ装置、ネットワークノード、および方法
CN111818604B (zh) * 2020-06-19 2022-07-15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波束切换的方法、设备和系统
EP4233393A4 (en) * 2020-10-23 2024-07-2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CN114679783A (zh) * 2020-12-25 2022-06-2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Bwp的转换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CN115334656B (zh) * 2021-05-11 2025-04-04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带宽子集bwp切换方法、装置、网络侧设备及终端
WO2024103234A1 (zh) * 2022-11-14 2024-05-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202935B2 (en) * 2007-09-12 2014-03-27 Qualcomm Incorporated Capacity increasing devices and methods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1800221B1 (ko) * 2011-08-11 2017-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빔 추적 방법 및 장치
CN113225172B (zh) * 2012-01-27 2024-05-2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由WTRU执行的用于ePDCCH的方法
KR102611360B1 (ko) * 2015-05-18 2023-12-08 애플 인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 오프로드를 위한 주의(at) 명령
JP6445098B2 (ja) * 2016-07-01 2018-12-26 華碩電腦股▲ふん▼有限公司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ービングビームが無効になったときに通信を管理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481800B1 (ko) * 2016-08-11 2022-1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CN117040693A (zh) * 2016-11-02 2023-11-10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接收机带宽适配
US10673593B2 (en) * 2016-11-03 2020-06-02 Huawei Technologies Co., Ltd. HARQ signaling for grant-free uplink transmissions
CN110381602B (zh) * 2016-11-04 2021-10-1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网络设备、通信系统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728927B2 (en) * 2016-11-11 2020-07-2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Data packet delivery in RRC inactive state
GB2568672B (en) * 2017-11-17 2021-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WP setup and signalling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US10827508B2 (en) * 2018-02-13 2020-11-03 Ofinno, Llc Aperiodic indications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1115966B2 (en) * 2018-03-30 2021-09-0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using bandwidth parts
EP4239905A3 (en) * 2018-03-30 2023-10-18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figuration for beam failure recovery
US10833753B2 (en) * 2018-03-30 2020-11-10 Ofinno, Llc Radio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 timing
US10841149B2 (en) * 2018-04-14 2020-11-17 Qualcomm Incorporated Beam failure recovery in connection with switching BW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867100A (zh) 2020-10-30
US20200305162A1 (en) 2020-09-24
JP2021520750A (ja) 2021-08-19
EP3713353A1 (en) 2020-09-23
EP3713353A4 (en) 2021-01-27
BR112020017544A2 (pt) 2020-12-22
CA3091169A1 (en) 2019-12-26
WO2019242419A1 (zh) 2019-12-26
AU2019291417A1 (en) 2020-09-03
JP7086222B2 (ja) 2022-06-17
KR20230069265A (ko) 2023-05-18
ZA202005017B (en) 2022-01-26
CA3091169C (en) 2023-08-15
CN111867100B (zh) 2023-04-07
KR102726454B1 (ko) 2024-11-04
SG11202007700QA (en) 2021-01-28
MX2020009325A (es) 2020-10-05
RU2741630C1 (ru) 2021-01-28
US10993235B2 (en) 2021-04-27
EP3713353B1 (en) 2023-04-26
CN111226482A (zh) 2020-06-02
AU2019291417B2 (en)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26454B1 (ko) Bwp 전환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US112239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slice authentication
US20210136814A1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device,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20200764A1 (en) Method for activating or updating path loss rs of srs and device
WO2019237241A1 (zh) 一种下行信号的传输方法及终端设备
KR20210022561A (ko) 능력 인터랙션 방법 및 관련 기기
KR20210037677A (ko) 랜덤 액세스 방법, 단말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10038570A (ko) 전송 자원 결정 방법 및 장치, 단말 장치
US12096373B2 (en) Method and device for activating or updating PUSCH pathloss RS
KR102469987B1 (ko) 차량사물통신 중의 통신 방법 및 단말 장치, 네트워크 장치
JP7535523B2 (ja) フィードバックリソースの多重化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7381588B2 (ja) リソース決定及び設定方法、装置、端末、ネットワーク装置
KR20210024546A (ko) 부분 대역폭을 활성화시키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JP7254834B2 (ja) トリガ状態の確定方法及び装置、端末、ネットワーク装置
US12016029B2 (en)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number of times of blind inspections
US11985672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network device and terminal
US12160848B2 (en) Access control metho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210042333A (ko) 신호 리포팅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20210038602A (ko) 무선 통신의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9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4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230214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3011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2061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200921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230510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5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2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23101001061

Request date: 2023051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100106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30515

Effective date: 20231122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3112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30515

Decision date: 20231122

Appeal identifier: 20231010010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