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3073A - Smart bio sensing system and smart bio 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 Google Patents
Smart bio sensing system and smart bio 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23073A KR20200123073A KR1020200137645A KR20200137645A KR20200123073A KR 20200123073 A KR20200123073 A KR 20200123073A KR 1020200137645 A KR1020200137645 A KR 1020200137645A KR 20200137645 A KR20200137645 A KR 20200137645A KR 20200123073 A KR20200123073 A KR 202001230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ressure
- user
- sensing
- biosen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7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1953 bio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65 electrocardi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245 forearm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186 photoplethys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707 wris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5 auth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0 blood supp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1514 refle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4—Measur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5—Details of analog processing, e.g. isolation amplifier, gain or sensitivity adjustment, filtering, baseline or drift compensa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ma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과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신체와 바이오센싱부 사이의 밀착 상태에 대응하여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과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io-sensing system and a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a wearable unit, and more specifically, a physical situation of a user wearing a wearable unit in real time in response to a stat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biosensing unit. It relates to a smart bio-sensing system and a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a wearable unit for monitoring.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주로 사용하는 공기압에 의한 혈압계는 통상적으로 사람이 어느 정도 안정화 상태에서 팔뚝에 압력을 가하여 혈압 및 맥박을 측정하고 있다. 이는 하루에 6번 이상 측정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이는 휴대하여 쉽게 혈압을 측정할 수 없다. 한편, 고정식에서 벗어난 스마트 혈압계는 나름대로 휴대는 가능하나, 여전히 크고 불편하며, 실시간 웨어러블로 사용하기에는 전력, 크기 등에 많은 제작이 있다.In general, a blood pressure monitor by air pressure, which is mainly used in hospitals, measures blood pressure and pulse by applying pressure to the forearm while a person is stabilized to some extent. It is not recommended to measure more than 6 times a day. It cannot be carried and easily measured blood pressure. On the other hand, a smart blood pressure monitor that is free from a fixed type can be carried in its own way, but it is still large and inconvenient, and there are many productions such as power and size to use as a real-time wearable.
심전도(ECG, electro cardiography) 센서 또는 광학맥파(PPG, Photo plethysmography) 센서의 피크치의 시간차를 활용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이는 사람마다 다양한 특성 때문에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어려움이 많이 있다.It introduces a technology to measure blood pressure us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peak values of an electrocardiography (ECG) sensor or a photo plethysmography (PPG) sensor. This has a lot of difficulty in accurately measuring blood pressure because of various characteristics for each person.
첫째, 가슴에 심전도 센서를 설치하여 혈압을 측정하거나 팔뚝 또는 팔목에 광학맥파 센서를 설치하여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 즉, 2개의 다른 센서를 일정한 거리에 두고 신체적 반응에 대한 시간차를 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함으로써,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First, an electrocardiogram sensor may be installed on the chest to measure blood pressure, or an optical pulse wave sensor may be installed on the forearm or wrist to measure blood pressure. That is, by placing two different sensors at a certain distance and analyzing a time difference for a physical response by an algorithm, blood pressure can be measured.
둘째, 일정한 거리가 있는 한 쌍의 심전도 센서 또는 한 쌍의 광학맥파 센서의 피크치의 시간 간격을 혈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즉, 2개의 동일한 센서를 일정한 거리에 두고 신체적 반응에 대한 시간차를 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함으로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다.Second, the time interval of peak values of a pair of ECG sensors or a pair of optical pulse wave sensors having a certain distance may be measured by blood pressure. That is, by placing two identical sensors at a certain distance and analyzing a time difference for a physical response by an algorithm, blood pressure can be measured.
종래와 같이 혈압을 측정하려면, 상당히 복잡하다. 특히, 최소 2개의 센서가 신체의 2곳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떨어져 부착해야 하고, 각각의 센서 신호에 대한 피크치를 측정하여 혈압을 표현해야 한다. 또한, 실제 측정을 위해서는 피부와 측정 전극의 안정화가 우선되어야 하고, 피부색 또는 여러 노이즈에 따라 오차가 커지므로, 정확하게 측정하기에는 매우 어려움이 있다.To measure blood pressure as in the prior art, it is quite complicated. In particular, at least two sensors should be attached to two places on the body with a certain distance apart, and blood pressure should be expressed by measuring the peak value of each sensor signal. In addition, for the actual measurement, the stabilization of the skin and the measurement electrode must be prioritized, and since the error increases according to the skin color or various noises,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신체와 바이오센싱부 사이의 밀착 상태에 대응하여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과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 conventional problem, and smart biosensing using a wearable unit to monitor the physical condition of a user wearing a wearable unit in real time in response to a stat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biosensing unit. It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smart bio-sensing method.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은 웨어러블유닛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면에 구비되는 센싱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모듈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웨어러블유닛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에 적층되는 탄성패드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상기 탄성패드부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싱부; 상기 바이오센싱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바이오센싱부와 상기 전원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센싱부로의 전원 인가 여부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 smart bio-sensing system using a wearab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ing modul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wearable unit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wherein the The sensing module includes: an elastic pad portion having elasticity and stacked on a surface of the wearable unit in contact with a user's body; A biosensing unit stacked on the elastic pad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o measure a user's body condition; A power supply for applying power to the biosensing unit; And a switch provided between the biosensing unit and the power unit to select whether to apply power to the biosensing unit.
여기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웨어러블유닛과 상기 탄성패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센싱부가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싱부; 및 상기 압력센싱부와 상기 탄성패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센싱부를 상기 웨어러블유닛에 정위치시킴은 물론 상기 압력센싱부와 상기 바이오센싱부 사이를 차폐시키는 고정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의 전원은, 상기 바이오센싱부는 물론 상기 압력센싱부에 각각 인가된다.Here, the sensing module includes: a pressure sens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wearable unit and the elastic pad unit to measure a pressure for the biosensing unit to press the user's body; And a fixed pad part provided between the pressure sensing part and the elastic pad part to position the pressure sensing part in the wearable unit and to shield between the pressure sensing part and the bio-sensing part.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is applied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as well as the bio sensing unit.
여기서,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바이오센싱부에서 측정된 상황신호와 상기 압력센싱부에서 측정된 압력신호를 무선 방식으로 출력하는 무선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의 전원은, 상기 바이오센싱부와 상기 압력센싱부는 물론 상기 무선송신부에 각각 인가된다.Here, the sensing module further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er configured to wirelessly output the situation signal measured by the biosensing unit and the pressure signal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wherein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is the biosensing unit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are respectively appli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은 상기 무선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상황신호와 상기 압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신호를 휴대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센싱표시앱;을 더 포함한다.The smart bio-sensing system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nsing display app that displays the status signal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based on the status signal and the pressure signal output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여기서, 상기 바이오센싱부는, 설치 위치에서 혈액이 흐르는 혈관의 용적 변화를 측정하는 광학맥파센서; 설치 위치에서 심장의 맥동에 따라 변화하는 혈관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설치 위치에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Here, the biosensing unit may include an optical pulse wave sensor measuring a change in volume of a blood vessel through which blood flows at an installation location;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change in blood vessel pressur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pulsation of the heart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 temperature sensor measuring the user's body temperature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It includes at least any one of.
여기서, 상기 웨어러블유닛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헤드밴드;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거나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거나, 가상현실 체험을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착용하는 헤드셋;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착용하는 탈착밴드; 사용자의 머리 보호를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캡; 및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기 위한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탈착패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Here, the wearable unit includes: a headband surrounding a user's head; A headset for correcting the user's eyesight, protecting the user's eyes, or detachably worn on the user's head for a virtual reality experience; A detachable band worn detachably on the user's arm or leg; A head cap worn on the user's head to protect the user's head; And a detachable patch detachably attached to a position for measuring a user's body condition. Includes any one of.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상술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고, 상기 바이오센싱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싱단계; 상기 바이오센싱부에서 측정된 상황신호를 바이오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바이오변환단계; 상기 바이오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체온, 혈압, 맥박, 혈류,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추출하는 바이오분석단계; 및 상기 신체정보가 휴대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정보로 변환시키는 출력변환단계;를 포함한다.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onitoring the body condition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using the above-described smart biosensing system, and wear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biosensing unit. A biosensing step of measuring a user's physical condition; A bio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status signal measured by the biosensing unit into a biodigital signal; A bioanalyzing step of analyzing the biodigital signal to extract body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pulse,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And an output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body information into display information for display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bod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상술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을 사용하여 상기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고, 상기 압력센싱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상기 바이오센싱부가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싱단계; 상기 바이오센싱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싱단계; 상기 압력신호를 압력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압력변환단계; 상기 바이오센싱부에서 측정된 상황신호를 바이오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바이오변환단계; 상기 압력디지털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압력비교단계; 상기 압력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압력디지털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같거나 큰 경우, 상기 바이오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체온, 혈압, 맥박, 혈류,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추출하는 바이오분석단계; 및 상기 신체정보가 휴대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정보로 변환시키는 출력변환단계;를 포함한다.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onitoring the body condition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using the above-described smart biosensing system, and wear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sensing unit. A pressure sensing step of measuring a pressure for pressing the user's body by the biosensing unit in contact with a user's body; A biosensing step of measuring a body condition of a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biosensing unit; A pressure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pressure signal into a pressure digital signal; A bio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status signal measured by the biosensing unit into a biodigital signal; A pressur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pressure digital signal with a preset reference signal;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pressure comparison unit, when the pressure digital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ignal, the bio-digital signal is analyzed to extract body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pulse,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A bio-analysis step; And an output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body information into display information for display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bod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상기 압력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압력디지털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보다 작은 경우, 상기 웨어러블유닛의 착용 상태가 불량임을 알리는 착용불량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wear-failure step of notifying that the wearing state of the wearable unit is defective when the pressure digital signal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signal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pressure comparison unit. do.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과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와 바이오센싱부 사이의 밀착 상태에 대응하여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신체와 바이오센싱부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웨어러블유닛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bio-sensing system and 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stat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bio-sensing unit. .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biosensing uni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earable uni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in response to the user's movement.
또한, 본 발명은 센싱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와 바이오센싱부 사이의 밀착 상태를 정형화시키고, 바이오센싱부의 상황신호를 명확하게 획득하여 바이오센싱부의 상황신호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센싱모듈의 세부 구성을 통해 사물인터넷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of close contact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biosensing unit is formalized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module, and the situation signal error of the biosensing unit can be minimized by clearly acquiring the situation signal of the biosensing uni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the IoT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센싱표시앱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센싱표시앱의 세부 구성을 통해 수신된 상황신호와 압력신호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에 대응하는 신체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heck the user's body condition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sensing display app.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xtract bod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various user's body situations based on the situation signal and pressur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nsing display app and provide it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센싱부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신체정보 중 체온, 혈압, 맥박, 혈류,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veniently and accurately measure at least one of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pulse,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among body informa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biosensing unit, and provide it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웨어러블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또는 머리에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함에 있어서, 웨어러블유닛의 착용을 자연스럽게 하고, 웨어러블유닛의 착용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wearing the wearable unit on the arm, leg, or head of the user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unit, it is possible to naturally wear the wearable unit and minimize the burden of wearing the wearable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웨어러블유닛에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유닛에 센싱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을 도시한 블럭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mart bio-sensing system is coupled to various wearable uni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bio-sensing system using a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ing module is installed in a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a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과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mart bio-sensing system and a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a wearabl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to clar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은 센싱모듈(100)을 포함하고, 센싱표시앱(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smart bio-sensing system using a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센싱모듈(100)은 웨어러블유닛(W)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에 구비된다.The
여기서, 웨어러블유닛(W)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헤드밴드(WH)와,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거나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거나 가상현실 체험을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착용하는 헤드셋(WG)과,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착용하는 탈착밴드(WW)와, 사용자의 머리 보호를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캡(WC)과,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기 위한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탈착패치(미도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earable unit (W) is a headband (WH) that covers the user's head, and a headset (WG) that is detachably worn on the user's head for correcting the user's eyesight, protecting the user's eyes, or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And, a detachable band (WW) that is detachably worn on the user's arm or leg, a head cap (WC) worn on the user's head to protect the user's head, and detachable at a position to measure the user's body condition It may include any one of a detachable patch (not shown) to be attached to the possible.
여기서, 헤드밴드(WH)는 탄성을 가지므로, 센싱모듈(100)과 사용자의 신체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헤드밴드(WH)는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머리에 안정되게 안착 지지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모듈(100)은 사용자의 머리 관자놀이에 위치하도록 헤드밴드(WH)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Here, since the headband WH has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improve body adhesion between the
또한, 헤드셋(WG)은 안경, 고글, 가상현실 체험용 헤드셋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헤드셋(WG) 중 안경의 경우, 센싱모듈(100)은 사용자의 머리 관자놀이에 위치하도록 안경다리에 구비될 수 있다. 헤드셋(WG) 중 고글이나 가상현실 체험용 헤드셋의 경우, 센싱모듈(100)은 고글프레임이나 헤드셋 프레임에 구비되거나, 고글프레임 지지를 위한 고글다리 또는 고글밴드에 구비되거나, 헤드셋 프레임의 지지를 위한 헤드셋밴드에 구비될 수 있다. 고글밴드 또는 헤드셋밴드는 탄성을 가지므로, 센싱모듈(100)과 사용자의 신체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set (WG) can be classified into glasses, goggles, and headsets for virtual reality experience. Then, in the case of glasses among the headset WG as shown in FIG. 1B, the
또한, 탈착밴드(WW)는 탄성을 가지므로, 센싱모듈(100)과 사용자의 신체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착밴드(WW)는 사용자의 팔 둘레 또는 다리 둘레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안정되게 안착 지지될 수 있다. 탈착밴드(WW)의 양단에는 상호 탈부착이 가능한 탈착결합부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서 탈착밴드(WW)의 탈부착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모듈(100)은 사용자의 팔목 또는 사용자의 발목에 접촉되도록 탈착밴드(WW)의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tachable band WW has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improve body adhesion between the
또한, 헤드캡(WC)은 모자, 헬맷으로 구분할 수 있다. 모자의 경우, 머리를 감싸는 캡부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탄성을 갖는 모자밴드가 구비될 수 있다. 헬맷의 경우, 헬맷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 지지하는 헬맷밴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캡(WC) 중 모자의 경우, 센싱모듈(100)은 사용자의 머리 관자놀이에 위치하도록 헤드캡(WC)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cap (WC) can be divided into hats and helmets. In the case of a hat, a hat band having elasticity may be provided at an inner edge of the cap portion surrounding the head. In the case of the helmet, a helmet band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edge of the helmet to wrap and support the user's head. Then, as shown in (d) of FIG. 1, in the case of a hat among the head caps WC, the
또한, 탈착패치(미도시)는 탄성을 가지므로, 센싱모듈(100)과 사용자의 신체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tachable patch (not shown) has elasticit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센싱모듈(100)은 탄성을 가지고 웨어러블유닛(W)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에 적층되는 탄성패드부(140)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탄성패드부(140)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싱부(150)와, 바이오센싱부(15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110)와, 바이오센싱부(150)와 전원부(110) 사이에 구비되어 바이오센싱부(150)로의 전원 인가 여부를 선택하는 스위치(1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여기서, 탄성패드부(140)는 탄성에 의해 두께가 탄성 변형됨에 따라 바이오센싱부(150)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Here, as the thickness of the
또한, 바이오센싱부(150)는 설치 위치에서 혈액이 흐르는 혈관의 용적 변화를 측정하는 광학맥파센서와, 설치 위치에서 심장의 맥동에 따라 변화하는 혈관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와, 설치 위치에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이오센싱부(150)는 사용자의 안전을 실시간 체크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적용하여 일상에 적용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바이오센싱부(150)에는 후술하는 무선송신부(160)의 통신 상태에 대응하여 무선송신부(160)의 통신 상태가 불량일 때, 바이오센싱부(150)에서 측정된 상황신호를 시계열 순으로 저장하는 바이오저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바이오저장부(미도시)는 후술하는 무선송신부(160)의 통신 상태에 대응하여 무선송신부(160)의 통신 상태가 양호할 때, 선입선출 방식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송출한다.In addition, the
광학맥파센서 또는 압력센서는 바이오센싱부(150)가 혈관을 누르고 있는 동안 혈액이 혈관을 통하면서 혈관을 팽창시키는 반사적인 압력과, 바이오센싱부(150)가 혈관을 누르고 있는 동안 혈액이 혈관을 통하면서 혈관을 수축시키는 반사적인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이를 바탕으로 혈압과 맥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혈류,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The optical pulse wave sensor or pressure sensor has a reflective pressure that expands the blood vessel while the blood passes through the blood vessel while the
또한, 전원부(110)는 별도의 소켓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10)는 외부 전원과의 접속을 통해 충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센싱모듈(100)은 웨어러블유닛(W)과 탄성패드부(140) 사이에 구비되어 바이오센싱부(150)가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싱부(120)와, 압력센싱부(120)와 탄성패드부(140) 사이에 구비되어 압력센싱부(120)를 웨어러블유닛(W)에 정위치시킴은 물론 압력센싱부(120)와 바이오센싱부(150) 사이를 차폐시키는 고정패드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전원부(110)의 전원은 바이오센싱부(150)는 물론 압력센싱부(120)에 각각 인가되도록 한다.The
압력센싱부(120)는 사용자의 신체에 웨어러블유닛(W)을 착용한 상태에서 탄성패드부(14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웨어러블유닛(W)과 탄성패드부(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압력센싱부(120)를 가압하는 압력을 측정함으로써, 바이오센싱부(150)가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압력을 도출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압력센싱부(120)에는 후술하는 무선송신부(160)의 통신 상태에 대응하여 무선송신부(160)의 통신 상태가 불량일 때, 압력센싱부(120)에서 측정된 상황신호를 시계열 순으로 저장하는 압력저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압력저장부는 후술하는 무선송신부(160)의 통신 상태에 대응하여 무선송신부(160)의 통신 상태가 양호할 때, 선입선출 방식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송출한다.The
특히, 센싱모듈(100)에서 바이오센싱부(150)와 압력센싱부(120)를 모두 사용함에 따라 압력센싱부(120)에서 측정되는 압력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같거나 큰 경우에 바이오센싱부(150)에서 측정되는 상황신호를 변환 출력시킴으로써, 상황신호에 대한 측정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사용자의 신체 상황에 대한 측정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In particular, as the
센싱모듈(100)은 바이오센싱부(150)에서 측정된 상황신호와 압력센싱부(120)에서 측정된 압력신호를 무선 방식으로 출력하는 무선송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전원부(110)의 전원은 바이오센싱부(150)와 압력센싱부(120)는 물론 무선송신부(160)에 각각 인가되도록 한다.The
무선송신부(160)에는 와이파이 통신, 블루투스 통신 등 공지된 다양한 무선통신기술을 적용될 수 있다.Various know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Wi-Fi communication and Bluetooth communication may be applied to the
센싱표시앱(200)은 무선송신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상황신호와 압력신호에 기초하여 상황신호를 휴대단말(P)의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한다. 센싱표시앱(200)은 무선송신부(160)로부터 출력되는 상황신호와 압력신호에 기초하여 상황신호를 휴대단말(P)의 메모리부(M)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휴대단말(P)에는 무선송신부(160)와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는 무선수신부(WR)가 구비된다.The
센싱표시앱(200)은 압력신호를 압력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압력신호변환부(210)와, 상황신호를 바이오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바이오신호변환부(230)와, 압력디지털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압력비교부(220)와, 압력비교부(220)의 비교 결과, 압력디지털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같거나 큰 경우, 바이오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체온, 혈압, 맥박, 혈류,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추출하는 바이오분석부(240)와, 신체정보가 휴대단말(P)의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되도록 신체정보를 휴대단말(P)의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정보로 변환시키는 출력변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여기서, 출력변환부(250)는 표시정보를 휴대단말(P)의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변환부(250)는 표시정보를 휴대단말(P)의 메모리부(M)에 저장할 수 있다.Here, the
일예로, 압력센싱부(120)와 바이오센싱부(150)의 광학맥파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압력센싱부(120)는 광학맥파센서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밀착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일정한 밀착압력을 측정하고, 광학맥파센서는 혈액이 혈관을 지나면서 변화되는 파형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센싱표시앱(200)은 압력센싱부(120)가 측정하는 압력신호에 대한 광학맥파센서의 파형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황 중 혈압과 맥박과 혈류와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압력센싱부(120)가 측정하는 압력신호에 대응하여 광학맥파센서의 파형을 분석하므로, 광학맥파센서의 파형을 크게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 상황 측정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압력센싱부(120)가 측정하는 압력신호에 기초하여 파형을 분석하므로, 사용자의 신체 상황 중 혈압과 맥박과 혈류와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측정정밀도가 향상된다.For example, by using the optical pulse wave sensor of the
다른 예로, 압력센싱부(120)와 바이오센싱부(150)의 압력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압력센싱부(120)는 압력센서와 사용자의 신체 사이의 밀착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일정한 밀착압력을 측정하고, 압력센서는 혈액이 혈관을 지나면서 반사되는 압력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센싱표시앱(200)은 압력센싱부(120)가 측정하는 압력신호와 압력센서가 측정하는 압력세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황 중 혈압과 맥박과 혈류와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압력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는 것이 특징이다. 다시 말해, 외부로부터 일정한 압력의 크기를 알고 이에 따른 혈관의 압력을 파악하여 혈압을 측정하는 것이다. 특히, 압력센싱부(120)가 측정하는 압력신호에 기초하여 압력세기를 분석하므로, 사용자의 신체 상황 중 혈압과 맥박과 혈류와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측정정밀도가 향상된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s body condition may be measured by using the pressure sensors of the
또 다른 예로, 바이오센싱부(150)의 압력센서만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유닛(W)의 탄성력과 탄성패드부(140)의 탄성력에 의한 외력이 설치 위치에서 혈관을 일정하게 가압하고 있으므로, 압력센싱부(120)를 통한 압력신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압력센싱부(120)없이 압력센서가 혈액이 혈관을 지나면서 반사되는 압력세기를 측정함으로써, 센싱표시앱(200)은 압력센서가 측정하는 압력세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황 중 혈압과 맥박과 혈류와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산출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s body condition may be measured using only the pressure sensor of the
또 다른 예로, 압력센싱부(120)와 바이오센싱부(150)의 온도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압력센싱부(120)는 압력센서와 사용자 신체 사이의 밀착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밀착압력을 측정하고, 온도센서는 사용자의 신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면, 센싱표시앱(200)은 압력센싱부(120)가 측정하는 압력신호와 온도센서가 측정하는 온도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황 중 체온을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압력센싱부(120)가 측정하는 압력신호에 기초하여 온도신호를 분석하므로, 사용자의 신체 상황 중 체온에 대한 측정정밀도가 향상된다.As another example, a user's body condition may be measured using temperature sensors of the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a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을 사용하여 웨어러블유닛(W)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a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ysical situation of a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W) using the smart bio-sensing system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 to monitor it.
일예로, 센싱모듈(100)의 압력센싱부(120)가 없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바이오센싱부(150)의 동작에 따라 웨어러블유닛(W)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싱단계(S5)와, 바이오센싱부(150)에서 측정된 상황신호를 바이오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바이오변환단계(S6)와, 바이오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체온, 혈압, 맥박, 혈류,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추출하는 바이오분석단계(S7)와, 신체정보가 휴대단말(P)의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되도록 신체정보를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정보로 변환시키는 출력변환단계(S8)를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when there is no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표시정보를 휴대단말(P)의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하는 표시단계(S9)와, 표시정보를 휴대단말(P)의 메모리부(M)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step (S9) of displaying displa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D) of the mobile terminal (P), and the displa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P).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torage step (S10) of storing in the memory unit (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바이오센싱단계(S5)에 앞서 바이오센싱부(150)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가단계(S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가단계(S1)는 스위치(111)의 동작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pplication step (S1) of applying power to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웨어러블유닛(W)을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유닛착용단계(S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닛착용단계(S0)를 거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서 설치 위치에 센싱모듈(100)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유닛착용단계(S0)는 인가단계(S1) 이전에 실시하기도 하고, 인가단계(S1) 이후에 실시되기도 한다. 유닛착용단계(S0)는 압력센싱단계(S2)에 앞서 실시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unit wearing step (S0) of wearing the wearable unit W on the user's body. According to the unit wearing step (S0), the
다른 예로, 센싱모듈(100)이 바이오센싱부(150)와 압력센싱부(120)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압력센싱단계(S2)와, 바이오센싱단계(S5)와, 압력변환단계(S3)와, 바이오변환단계(S6)와, 압력비교단계(S4)와, 바이오분석단계(S7)와, 출력변환단계(S8)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압력센싱단계(S2)는 압력센싱부(120)의 동작에 따라 웨어러블유닛(W)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바이오센싱부(150)가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압력을 측정한다.In the pressure sensing step (S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바이오센싱단계(S5)는 바이오센싱부(150)의 동작에 따라 웨어러블유닛(W)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한다. 바이오센싱단계(S5)는 압력비교단계(S4)의 비교 결과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바이오센싱단계(S5)는 바이오센싱부(150)의 동작에 따라 실시되므로, 압력센싱단계(S2)와 함께 실시될 수 있다.In the biosensing step (S5),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압력변환단계(S3)는 압력신호를 압력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킨다. 압력변환단계(S3)는 센싱표시앱(200)의 압력신호변환부(210)의 동작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The pressure conversion step (S3) converts the pressure signal into a pressure digital signal (). The pressure conversion step S3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바이오변환단계(S6)는 바이오센싱부(150)에서 측정된 상황신호를 바이오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킨다. 바이오변환단계(S6)는 센싱표시앱(200)의 바이오신호변환부(230)의 동작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바이오변환단계(S6)는 바이오센싱단계(S5)를 거친 다음, 실시되도록 한다.In the bio-conversion step (S6), the situation signal measured by the
압력비교단계(S4)는 압력디지털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한다. 압력비교단계(S4)는 압력비교부(220)의 동작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In the pressure comparison step (S4), the pressure digital signal () is compared with a preset reference signal. The pressure comparison step S4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바이오분석단계(S7)는 압력비교부(220)의 비교 결과, 압력디지털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같거나 큰 경우, 바이오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체온, 혈압, 맥박, 혈류,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추출한다. 바이오분석단계(S7)는 센싱표시앱(200)의 바이오분석부(240)의 동작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In the bio-analysis step (S7), when the pressure digital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ignal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출력변환단계(S8)는 신체정보가 휴대단말(P)의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되도록 신체정보를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정보로 변환시킨다. 출력변환단계(S8)는 센싱표시앱(200)의 출력변환부(250)의 동작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In the output conversion step S8, the body information is converted into display information for display on the display unit D so that the bod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D of the portable terminal P. The output conversion step S8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표시정보를 휴대단말(P)의 디스플레이부(D)에 표시하는 표시단계(S9)와, 표시정보를 휴대단말(P)의 메모리부(M)에 저장하는 저장단계(S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step (S9) of displaying display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D) of the mobile terminal (P), and the display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P). 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storage step (S10) of storing in the memory unit (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압력비교부(220)의 비교 결과, 압력디지털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보다 작은 경우, 웨어러블유닛(W)의 착용 상태가 불량임을 알리는 착용불량단계(S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용불량단계(S11)는 휴대단말(P)의 디스플레이부(D)와 스피커(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에게 웨어러블유닛(W)의 착용 상태가 불량임을 알릴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essure digital signal is smaller than the preset reference signal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착용불량단계(S11)와 더불어 차단단계(S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단계(S12)는 센싱모듈(100)의 압력센싱부(120)와 바이오센싱부(150)에 인가된 전원부(110)의 전원을 차단한다. 차단단계(S12)는 스위치(111)의 동작 또는 센싱표시앱(200)의 동작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step (S12) in addition to the wearing failure step (S11). In the blocking step (S12), the power of the
차단단계(S12)를 거친 다음에는 웨어러블유닛(W)을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한 다음, 후술하는 유닛착용단계(S0)로 복귀하여 웨어러블유닛(W)을 다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함으로써, 센싱모듈(100)을 사용자의 신체에서 설치 위치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After passing through the blocking step (S12), the wearable unit (W) is separated from the user's body, and then returned to the unit wearing step (S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wearable unit (W) is again worn on the user's body, and the sensing module It is possible to correctly position 100 in the installation position on the user's bod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압력센싱단계(S2)에 앞서 압력센싱부(120)와 바이오센싱부(150)와 무선송신부(160)에 전원을 인가하는 인가단계(S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가단계(S1)는 스위치(111)의 동작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power to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은 웨어러블유닛(W)을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하는 유닛착용단계(S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닛착용단계(S0)를 거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에서 설치 위치에 센싱모듈(100)을 정위치시킬 수 있다. 유닛착용단계(S0)는 인가단계(S1) 이전에 실시하기도 하고, 인가단계(S1) 이후에 실시되기도 한다. 유닛착용단계(S0)는 압력센싱단계(S2)에 앞서 실시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unit wearing step (S0) of wearing the wearable unit W on the user's body. According to the unit wearing step (S0), the
상술한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과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와 바이오센싱부(150) 사이의 밀착 상태에 대응하여 웨어러블유닛(W)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의 신체와 바이오센싱부(150)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웨어러블유닛(W)이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bio-sensing system and the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described above,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W)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user's body and the
또한, 센싱모듈(1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와 바이오센싱부(150) 사이의 밀착 상태를 정형화시키고, 바이오센싱부(150)의 상황신호를 명확하게 획득하여 바이오센싱부(150)의 상황신호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센싱모듈(1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사물인터넷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또한, 센싱표시앱(200)을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센싱표시앱(20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수신된 상황신호와 압력신호를 바탕으로 다양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에 대응하는 신체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user's body condition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또한, 바이오센싱부(150)의 세부 구성을 통해 신체정보 중 체온, 혈압, 맥박, 혈류,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또한, 웨어러블유닛(W)의 세부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 또는 머리에 웨어러블유닛(W)을 착용함에 있어서, 웨어러블유닛(W)의 착용을 자연스럽게 하고, 웨어러블유닛(W)의 착용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in wearing the wearable unit (W) on the user's arm, leg, or head through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wearable unit (W), the wearable unit (W) is naturally worn, and the wearable unit (W) is The burden can be minimized.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no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Can be modified or changed.
W: 웨어러블유닛
WH: 헤드밴드
WG: 헤드셋
WW: 탈착밴드
WC: 헤드캡
P: 휴대단말
D: 디스플레이부
WR: 무선수신부
M: 메모리부
100: 센싱모듈
110: 전원부
111: 스위치
120: 압력센싱부
130: 고정패드부
140: 탄성패드부
150: 바이오센싱부
160: 무선송신부
200: 센싱표시앱
210: 압력신호변환부
220: 압력비교부
230: 바이오신호변환부
240: 바이오분석부
250: 출력변환부
S0: 유닛착용단계
S1: 인가단계
S2: 압력센싱단계
S3: 압력변환단계
S4: 압력비교단계
S5: 바이오센싱단계
S6: 바이오변환단계
S7: 바이오분석단계
S8: 출력변환단계
S9: 표시단계
S10: 저장단계
S11: 착용불량단계
S12: 차단단계W: Wearable unit WH: Headband WG: Headset
WW: Detachable band WC: Head cap P: Mobile terminal
D: Display unit WR: Wireless receiver M: Memory unit
100: sensing module 110: power supply 111: switch
120: pressure sensing unit 130: fixed pad unit 140: elastic pad unit
150: biosensing unit 160: wireless transmission unit 200: sensing display app
210: pressure signal conversion unit 220: pressure comparison unit 230: bio signal conversion unit
240: bio analysis unit 250: output conversion unit S0: unit wearing step
S1: application step S2: pressure sensing step S3: pressure conversion step
S4: pressure comparison step S5: biosensing step S6: bioconversion step
S7: bio-analysis step S8: output conversion step S9: display step
S10: storage step S11: bad wearing step S12: blocking step
Claims (9)
상기 센싱모듈은,
탄성을 가지고 상기 웨어러블유닛에서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면에 적층되는 탄성패드부;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되도록 상기 탄성패드부에 적층되어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싱부;
상기 바이오센싱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부; 및
상기 바이오센싱부와 상기 전원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센싱부로의 전원 인가 여부를 선택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Including; a sensing module provid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in the wearable unit,
The sensing module,
An elastic pad portion having elasticity and stacked on a surface of the wearable unit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A biosensing unit stacked on the elastic pad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s body to measure a user's body condition;
A power supply for applying power to the biosensing unit; And
And a switch provided between the biosensing unit and the power unit to select whether to apply power to the biosensing unit.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웨어러블유닛과 상기 탄성패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바이오센싱부가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싱부; 및
상기 압력센싱부와 상기 탄성패드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센싱부를 상기 웨어러블유닛에 정위치시킴은 물론 상기 압력센싱부와 상기 바이오센싱부 사이를 차폐시키는 고정패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의 전원은,
상기 바이오센싱부는 물론 상기 압력센싱부에 각각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ing module,
A pressure sensing unit provided between the wearable unit and the elastic pad unit to measure a pressure applied to the user's body by the bio sensing unit; And
A fixed pad part provided between the pressure sensing part and the elastic pad part to position the pressure sensing part in the wearable unit, as well as shielding between the pressure sensing part and the bio-sensing part; and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Smart bio-sensing system using a wearable unit, characterized in that each applied to the pressure sensing unit as well as the bio-sensing unit.
상기 센싱모듈은,
상기 바이오센싱부에서 측정된 상황신호와 상기 압력센싱부에서 측정된 압력신호를 무선 방식으로 출력하는 무선송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의 전원은,
상기 바이오센싱부와 상기 압력센싱부는 물론 상기 무선송신부에 각각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The method of claim 2,
The sensing module,
A wireless transmission unit for outputting the status signal measured by the biosensing unit and the pressure signal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in a wireless manner; further comprising,
The power of the power supply unit,
A smart bio-sensing system using a wearable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bio-sensing unit and the pressure-sensing unit are respectively applied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
상기 무선송신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상황신호와 상기 압력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황신호를 휴대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센싱표시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The method of claim 3,
A smart bio-sensing system using a wearable unit, further comprising: a sensing display app that displays the situation signal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situation signal and the pressure signal output from the wireless transmitter.
상기 바이오센싱부는,
설치 위치에서 혈액이 흐르는 혈관의 용적 변화를 측정하는 광학맥파센서;
설치 위치에서 심장의 맥동에 따라 변화하는 혈관압의 변화를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설치 위치에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biosensing unit,
An optical pulse wave sensor measuring a change in volume of blood vessels through which blood flows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change in blood vessel pressur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pulsation of the heart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A temperature sensor that measures the user's body temperature at the installation location;
Smart bio-sensing system using a wearable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of.
상기 웨어러블유닛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는 헤드밴드;
사용자의 시력을 교정하거나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거나, 가상현실 체험을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착용하는 헤드셋;
사용자의 팔 또는 다리에 탈부착 가능하게 착용하는 탈착밴드;
사용자의 머리 보호를 위해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캡; 및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기 위한 위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탈착패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시스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he wearable unit,
A headband surrounding the user's head;
A headset that is detachably worn on the user's head for correcting the user's eyesight, protecting the user's eyes, or experiencing a virtual reality;
A detachable band that is detachably worn on the user's arm or leg;
A head cap worn on the user's head to protect the user's head; And
A detachable patch detachably attached to a position for measuring a user's physical condition; Smart bio-sensing system using a wearable unit comprising any one of.
상기 바이오센싱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싱단계;
상기 바이오센싱부에서 측정된 상황신호를 바이오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바이오변환단계;
상기 바이오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체온, 혈압, 맥박, 혈류,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추출하는 바이오분석단계; 및
상기 신체정보가 휴대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정보로 변환시키는 출력변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A method of monitor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a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using the smart biosensing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biosensing step of measuring a body condition of a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biosensing unit;
A bio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status signal measured by the biosensing unit into a biodigital signal;
A bioanalyzing step of analyzing the biodigital signal to extract body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pulse,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And
And an output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body information into display information for display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bod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2. A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a wearable unit, comprising: a.
상기 압력센싱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에 접촉된 상기 바이오센싱부가 사용자의 신체를 가압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싱단계;
상기 바이오센싱부의 동작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유닛을 착용한 사용자의 신체 상황을 측정하는 바이오센싱단계;
상기 압력신호를 압력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압력변환단계;
상기 바이오센싱부에서 측정된 상황신호를 바이오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바이오변환단계;
상기 압력디지털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는 압력비교단계;
상기 압력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압력디지털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같거나 큰 경우, 상기 바이오디지털신호를 분석하여 체온, 혈압, 맥박, 혈류, 산소포화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신체정보를 추출하는 바이오분석단계; 및
상기 신체정보가 휴대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신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정보로 변환시키는 출력변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It is a method of monitoring the physical condition of a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using the smart bio-sensing system according to claim 4,
A pressure sensing step of measuring a pressure for pressing the user's body by the biosensing unit in contact with the body of the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sensing unit;
A biosensing step of measuring a body condition of a user wearing the wearable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biosensing unit;
A pressure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pressure signal into a pressure digital signal;
A bio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status signal measured by the biosensing unit into a biodigital signal;
A pressure comparing step of comparing the pressure digital signal with a preset reference signal;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pressure comparison unit, when the pressure digital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reference signal, the biodigital signal is analyzed to extract body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ody temperature, blood pressure, pulse,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A bio-analysis step; And
And an output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body information into display information for display on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bod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2. A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a wearable unit, comprising: a.
상기 압력비교부의 비교 결과, 상기 압력디지털신호가 기설정된 기준신호보다 작은 경우, 상기 웨어러블유닛의 착용 상태가 불량임을 알리는 착용불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유닛을 이용한 스마트 바이오 센싱방법.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pressure digital signal is smaller than a preset reference signal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pressure comparing unit, a wear-failure step informing that the wearable unit is in a bad condition; a smart biosensing method using a wearable unit, further comprising: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7645A KR20200123073A (en) | 2020-10-22 | 2020-10-22 | Smart bio sensing system and smart bio 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7645A KR20200123073A (en) | 2020-10-22 | 2020-10-22 | Smart bio sensing system and smart bio 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9810A Division KR20200030952A (en) | 2018-09-13 | 2018-09-13 | Smart bio sensing system and smart bio 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23073A true KR20200123073A (en) | 2020-10-28 |
Family
ID=7301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7645A Withdrawn KR20200123073A (en) | 2020-10-22 | 2020-10-22 | Smart bio sensing system and smart bio 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23073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5871A (en) * | 2021-11-05 | 2023-05-12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Real-time biometric health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
WO2024096391A1 (en) * | 2022-11-01 | 2024-05-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biosignal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2385B1 (en) | 2006-02-15 | 2012-04-03 | 다이알로그 디바이스 리미티드 | Assessing blood supply to a peripheral portion of an animal |
-
2020
- 2020-10-22 KR KR1020200137645A patent/KR20200123073A/en not_active Withdra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2385B1 (en) | 2006-02-15 | 2012-04-03 | 다이알로그 디바이스 리미티드 | Assessing blood supply to a peripheral portion of an animal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65871A (en) * | 2021-11-05 | 2023-05-12 |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 Real-time biometric health information collection system |
WO2024096391A1 (en) * | 2022-11-01 | 2024-05-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Device and method for acquiring biosig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06310B2 (en) | Wearable biometric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ignal quality in wearable biometric monitoring devices | |
US6783501B2 (en) | Heart rate monitor and heart rate measuring method | |
US7883463B2 (en) | Combination sensor for physiological parameters | |
US6929611B2 (en) | Device for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 |
EP4480396A3 (en) | Wearable device with physiological parameters monitoring | |
KR100847137B1 (en) | Portable bio signal measuring device | |
RU2743026C2 (en) | Cardiacity monitoring system using electric potential sensors | |
US20060142665A1 (en) | Heart rate monitor | |
US11246500B2 (en) |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system, and biological information measurement method | |
US20150038808A1 (en) | Electrocardiographic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and electrocardiographic signal measurement method | |
US20150173633A1 (en) |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 |
KR20200123073A (en) | Smart bio sensing system and smart bio 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 |
KR20180087894A (en) | Ear wearing type health care monitoring system | |
WO2018123374A1 (en) | Sphygmomanometer, blood pressure measurement method, and device | |
JP2015177403A (en) |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head-mounted display device | |
CN110507312A (en) | A head-mounted sports health and heart and brain function monitoring device | |
KR20150092465A (en) | Wrist wearable blood pressure monitor | |
TWI603709B (en) | Dynamic cardiovascular activity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using the same | |
CN207529046U (en) | A kind of glasses and its spectacle-frame, monitor heart rate system | |
CN114711737A (en) | Alarm system for monitoring abnormal body of user during VR immersive experience | |
JP3238577U (en) | VR glasses with body monitoring and alarm functions | |
WO2024088113A1 (en) | Pressure measurement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 |
US20210244288A1 (en) | Measurement apparatus, measurement method and measurement program | |
KR20200030952A (en) | Smart bio sensing system and smart bio sensing method using the wearable unit | |
KR102471204B1 (en) | Head set appartus for detecting human sig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01022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91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1098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