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8310A - waste basket - Google Patents
waste bask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8310A KR20200118310A KR1020190040115A KR20190040115A KR20200118310A KR 20200118310 A KR20200118310 A KR 20200118310A KR 1020190040115 A KR1020190040115 A KR 1020190040115A KR 20190040115 A KR20190040115 A KR 20190040115A KR 20200118310 A KR20200118310 A KR 202001183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ing
- ring
- outer cylinder
- trash
- cylinder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Pedal-operated l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69—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fixing or latching the lid or cover in a certain ang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2001/1653—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 B65F2001/1676—Constructional features of lids or covers relating to means for sealing the lid or cover, e.g. against escaping od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7—Seal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Apparatuses For Manual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체에 비닐봉지를 용이하게 거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sh can,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sh can that supports easy mounting and separating of a plastic bag on a main body.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발생되는 쓰레기는 각 지자체에서 판매하는 종량제 쓰레기 봉투(이하 봉지라 한다)에 담아 버려진다.Garbage generated from homes and offices is put in a pay-as-you-go garbage ba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g) sold by local governments and discarded.
그런데, 종량제 쓰레기 봉지는 비닐로 되어 있어서 직립하여 있기가 매우 어려워 대부분 별도의 쓰레기통에 수시로 발생하는 쓰레기를 수집하고, 쓰레기통이 가득 차면 쓰레기통을 일일이 수거하여 한꺼번에 종량제 쓰레기 봉지에 담아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However, since the volume-based garbage bag is made of plastic, it is very difficult to keep it upright. Most of the garbage is collected from time to time in a separate garbage can, and when the garbage can is full, the garbage can be collected one by one and put in a volume-based garbage bag at a time. have.
또 다르게는 쓰레기통 안쪽에 일반적인 비닐 봉지를 끼워 넣은 후 비닐 봉지에 쓰레기가 가득 차면 비닐 봉지를 모아서 종량제 쓰레기 봉지에 넣은 후 배출하는 방식을 이용하기도 한다.Alternatively, a general plastic bag is inserted inside the trash can, and when the plastic bag is full of trash, the plastic bag is collected, placed in a pay-as-you-go trash bag, and then discharged.
이와 같이 쓰레기통에 비닐소재의 종량제 봉지 또는 일반 봉지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비닐봉지를 내부에 거치할 수 있는 쓰레기통이 국내 공개특허 제2000-0063459호 등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In this way, since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volume-based bag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a general bag is inserted into the trash can, various kinds of trash cans in which the plastic bag can be mounted have been proposed.
그런데, 종래의 쓰레기통은 사용자가 비닐봉지를 지지되게 거치하는 과정이 복잡하고 거치된 비닐봉지의 분리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trash bin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rocess of mounting the plastic bag to be supported by the user is complicated, and the separation operation of the mounted plastic bag is not eas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비닐봉지의 거치 및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sh can that supports easy mounting and separating of plastic bag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은 내부에 비닐봉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로부터 본체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돌출되게 설치되되 하방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시 외경이 축소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본체 내로 진입되며 비닐봉지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된 걸이구 유니트;를 구비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rash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 plastic bag therein and an open top thereof; It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that the outer diameter expands from the main body, but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when descending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downward, so that the plastic bag can be mounted. It includes; a hanger unit formed to be.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는 비닐봉지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통부분과;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가 개방되게 상기 내통부분을 에워싸면서 상기 내통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상기 내통부분의 외측에 결합되되 상기 내통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걸이구 유니트의 일부가 승하강될 수 있는 승하강 허용 공간을 갖게 형성된 외통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구 유니트는 상기 외통부분과 상기 내통부분의 승하강 공간 내에 장착되어 상기 내통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승하강 되게 폐궤도 형상으로 형성된 승하강 링과; 상기 승하강 링에 결합되어 상기 외통부분 상면 상부에 노출되게 연장되되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지게 상승시에는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강시에는 외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비닐봉지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된 확개거리고리와; 상기 승하강 링을 사용자가 외통부분 외측에서 조작하여 승하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부;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main body includes an inner cylinder portion forming the receiv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astic bag; I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cylinder portion so as to accommodate the inner cylinder portion while surrounding the inner cylinder portion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is opened, and a portion of the hanger unit can be lifted and lowered between the inner cylinder portion. An outer cylinder portion formed with a space for elevating and descending; and the hanger unit is mounted in the elevating spac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and the inner cylinder portion to elevate and desce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portion. Ring and; It is coupled to the elevating ring and extends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but when the length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is elongated, it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and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When descending in the direction clos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the expansion distance ring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and the plastic bag can be mounted; And a position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elevating position by operating the elevating ring from the outside of the outer cylinder.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확개 거치고리는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호형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호형부분과, 인접된 상기 호형부분들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 상기 승하강 허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인입안내홈을 따라 상기 승하강 허용공간 내로 진입되어 상기 승하강링에 결합되는 연결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승하강링은 상기 연결부분의 하단을 고정되게 결합하는 걸이구가 형성되어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mounting ring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upper surface edge region of the outer cylinder and extends in an arc shape, and the outer cylinder extends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adjacent arc-shaped portions. A connection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 to enter the elevation allowable space along an inlet guide groov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levation allowable space and is coupled to the elevational ring, and the elevational ring has a lower end of the connection section. There is a hook that is fixedly coupled.
또한,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을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뚜껑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시소힌지를 통해 시소운동가능 마련된 풋레버와; 상기 풋레버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연동기구와; 상기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풋레버를 하강상태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킬 수 있는 고정 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li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A foot lever provided to enable seesaw movement through a seesaw hinge under the body; An interlocking mechanism configured to open the lid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foot lever;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xed adjustment unit capable of fixing and releasing the foot lever in a lowered state to maintain and release the lid in an open state.
상기 위치 조정부는 상기 승하강링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외통부분에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승하강 안내홈 외측에 노출되게 연장되게 형성된 승하강 조작레버와; 상기 승하강링에 일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되 걸림홈이 연장방향을 다수개 형성된 걸림가이드바와; 상기 외통부분 외측에 장착된 지지 브라켓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가이드바의 걸림홈에 진입 및 진퇴될 수 있게 장착된 걸쇠와; 상기 걸쇠가 상기 걸림홈에 진입되게 상기 걸쇠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한다.The position adjustment unit is coupled to the elevating ring and one end of the elevating control lever formed to be exten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elevating guide groove formed to open to the outside in the outer cylinder portion; A locking guide bar coupled to one end of the elevating ring and extending downwardly and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extending in a direction thereof; A clasp supported by a support bracket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so as to enter and retreat into the locking groove of the locking guide bar; And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clasp so that the clasp enters the locking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호형부분은 상기 연결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1수평부분의 종단에서 상기 제1수평부분보다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면서 상기 제1수평부분보다 멀어지게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제1경사부분과, 상기 제1경사부분의 종단에 일단이 결합되게 형성되되 첨두가 뽀쪽한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된 꼬챙이부분과, 상기 꼬챙이부분의 타단에서 상기 꼬챙이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상방으로 연장된 제2경사부분과, 상기 제2경사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된 연결부분과 접속된 제2수평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c-shaped portion has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height gradually lowering tha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t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The first inclined portion extending obliquely downwardly away from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one end formed to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the skewer portion formed in the shape of a sharp arrowhead, and at the other end of the skewer portion It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second inclined portion extending upwardly away from the skewer portion,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second inclined portion and connected to an adjacent connecting portion.
또 다르게는 상기 호형부분은 상기 연결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제1수평부분과, 상기 제1수평부분의 종단에서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제1수평부분보다 높이가 낮으면서 비닐봉지의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끼움홈을 갖는 끼움링부분과, 상기 끼움링부분의 타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된 연결부분과 접속된 제2수평부분을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Alternatively, the arc-shaped portion has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one end at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is lower in height than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part of the plastic bag. It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fitting ring portion having a fitting groove whose upper portion is opened for insertion and mounting,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fitting ring portion and connected to an adjacent connecting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에 의하면, 쓰레기 투입이 가능하게 비닐봉지를 거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the trash ca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by supporting the easy operation of placing and separating plastic bags so that trash can be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쓰레기통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쓰레기통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확개거치고리의 승하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걸쇠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뚜껑을 개방시키는 연동기구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확개거치고리가 적용된 쓰레기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확개거치고리가 적용된 쓰레기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sh ca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trash can of FIG. 1 is opened,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trash can of Figure 2,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 cut to explain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structure of the expansion base of Figure 2,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clasp of FIG. 4,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for opening the lid of Figure 2,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sh can to which the expansion bores are applie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sh can to which the expansion is applied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trash ca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쓰레기통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쓰레기통의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쓰레기통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확개거치고리의 승하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걸쇠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뚜껑을 개방시키는 연동기구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단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rash ca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d of the trash can of Fig. 1 is opened,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trash can of Fig. 2, and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ally cut-away to explain the elevating structure of the expansion base of FIG. 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asp of FIG. 4 by exploding, and FIG. 6 is It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interlocking mechanism to open.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쓰레기통(100)은 본체(110), 걸이구 유니트(150) 및 뚜껑(180)을 구비한다.1 to 6, the
본체(110)는 내부에 비닐봉지(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2)을 갖으며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체(110)는 비밀봉지(10)의 거치를 지원하는 걸이구 유니트(150)의 일부 요소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이를 구분하면 내통부분(120)과 외통부분(130)을 구비한다.The
내통부분(120)은 비닐봉지(1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2)을 형성하는 부분이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통부분(120)의 내부 바닥면(124)은 후술되는 풋레버(194)의 작동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일부가 절개되어 있고, 도시된 예와 다르게, 내부 바닥면(124) 하부에서 풋레버(194)의 작동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되는 경우 내부 바닥면(124)은 폐쇄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외통부분(130)은 수용공간(122)의 상부가 개방되게 내통부분(120)을 에워싸면서 내통부분(120)을 수용할 수 있게 내통부분(120)의 외측에 원통형태로 결합되어 있다. 외통부분(130)은 내통부분(120)과의 사이에 걸이구 유니트(150)의 일부가 승하강될 수 있는 승하강 허용 공간(134)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외통부분(130)을 구분하면, 내통부분(120)의 상단에서 내통부분(120)으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본체(110)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부분(131)과, 상면부분(131)의 가장자리로부터 내통부분(120)과의 사이에 걸이구 유니트(150)의 일부가 승하강될 수 있는 승하강 허용 공간(134)을 갖게 내통부분(120)에 대해 이격되게 하방으로 연장된 측면부분(132)과, 측면부분(132)의 하단에서 하부를 폐쇄하게 형성된 외부 바닥면(13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본체(110)의 상면이 되는 외통부분(131)의 상면(13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인입안내홈(136)이 승하강 허용공간(134)과 연통되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In the
걸이구 유니트(150)는 본체(110)의 상부로부터 본체(110)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돌출되게 설치되되 하방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시 외경이 축소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본체(110) 내로 진입되며 비닐봉지(10)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걸이구 유니트(150)는 승하강 링(152)과, 확개거리고리(160) 및 위치조정부(170)를 구비한다.The
승하강 링(152)은 외통부분(130)과 내통부분(120)의 승하강 공간(134) 내에 장착되어 내통부분(120)의 외측면을 따라 승하강되게 폐궤도 형상의 원형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The
확개거치고리(160)는 승하강 링(152)에 결합되어 외통부분(130) 상면(131) 상부에 노출되게 연장되되 외통부분(130)의 상면(131)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지게 상승시에는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복원되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외통부분(130)의 상면(13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강시에는 외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비닐봉지(10)의 거치가 가능하게 탄성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금속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확개거치고리(160)는 외통부분(130)의 상면(131)에 형성된 인입안내홈(136)을 따라 일부가 진입되어 승하강 링(152)에 결합되어 있고, 이를 구분하면 호형부분(161)과, 연결부분(163)이 반복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폐궤도를 이루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The
호형부분(161)은 외통부분(130)의 상면(131)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호형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The arc-
연결부분(163)은 인접된 호형부분(161)을 상호 연결하는 부분이며 인접된 호형부분(161)들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외통부분(130)의 상면(131)에 승하강 허용공간(134)과 연통되게 형성된 인입안내홈(136)을 따라 승하강 허용공간 (134)내로 진입되어 승하강링(152)에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분(163)을 구분하면, 연결대상의 인접된 2개의 호형부분(161)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되 하방으로 진행될수록 내통부분(120)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및 제2 탄성변형 입출부분(163a)(163b)과, 제1 및 제2 탄성변형 입출부분(163a)(163b)의 하단을 상호 수평상으로 연결하는 수평이음부분(163c)으로 되어 있다.The
여기서, 제1 및 제2 탄성변형 입출부분(163a)(163b)은 인입안내홈(136)을 기준으로 외부로 노출되는 길이가 짧아지게 하부로 진입될수록 호형부분(161)과의 수직상의 경사각도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탄성변형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elastically deformed entry and
수평이음부분(163c)은 승하강링(152)의 상면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수평상으로 개방된 끼움홈을 갖는 걸이구(154)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The
위치조정부(170)는 승하강 링(152)을 사용자가 외통부분(130) 외측에서 조작하여 확개거치고리(160)의 승하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The position adjustment unit 17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위치조정부(170)는 승하강 조작레버(171), 걸림가이드바(173), 지지브라켓(174), 걸쇠(177) 및 스프링(178)을 구비한다.The position adjustment unit 170 includes an
승하강 조작레버(171)는 승하강링(152)에 일단이 결합되어 외통부분(130)에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승하강 안내홈(137) 외측에 노출되게 연장되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손잡이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걸림 가이드바(173)는 승하강 안내홈(137)에 의해 노출될 수 있게 승하강링(152)에 일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되 톱니형태의 걸림홈(173a)이 연장방향을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The
걸쇠(177)는 외통부분(130) 외측에 승하강 안내홈(137)의 개방상태가 유지되게 돌출되게 장착된 지지 브라켓(174)에 지지되어 걸림가이드바(173)의 걸림홈(173a)에 진입 및 진퇴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브라켓(174)은 승하강 안내홈(137)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게 연장되되 상호 대향되는 면에 내측으로 인입된 슬라이딩 가이드홈(174a1)이 형성된 제1 및 제2 돌출바(174a)(174b)와, 제1 및 제2 돌출바(174a)(174b)의 종단을 상호 연결하는 마감바(174c)를 갖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걸쇠(177)는 지지브라켓(174)의 내부 수용공간 내에 진입될 수 있되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손의 진입이 가능하게 내부가 빈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 진퇴몸체(177a)와, 진퇴몸체(177a)의 승하강 안내홈(137)과 대향되는 후면에 걸림 가이드바(173)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홈(173a)에 진입되는 걸림편(177b)과, 진퇴몸체(177a)의 전면에 돌출된 지지핀(177c)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스프링(178)은 걸쇠(177)의 걸림편(177b)이 걸림홈(173a)에 진입되게 걸쇠(177)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지지핀(177c) 외측에 삽입되어 마감바(174c) 내측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확개거치고리(160)를 비닐봉지를 끼우거나 이전에 끼워진 비닐봉지(10)를 분리하기 위해 상승시키고자 하는 경우 걸쇠(177)의 걸림편(177b)이 걸림가이드바(173)에 대해 분리되는 방향으로 조작하면 고정력이 해제되고, 확개거치고리(160)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며, 승하강 조작레버(171)를 상방으로 조작하여 상승을 보다 원할하게 진행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닐봉지(10)를 확개거치고리(160)의 호형부분(161)에 걸쳐지게 한 다음 호형부분(161)을 하강시켜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걸쇠(177)의 걸림편(177b)이 걸림가이드바(173)에 대해 분리되게 유지한 상태에서 승하강 조작레버(171)를 하방으로 조작한 다음 걸쇠(177)에 인가되는 조작력을 해제시키면 걸쇠(177)가 걸림가이드바(173)에 진입되게 확개거리고리(160)가 고정상태를 유지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it is desired to raise the
뚜껑(180)은 본체(110)의 수용공간(122)을 상부에서 개폐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본체(110)에 대해 메인힌지(181)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The
뚜껑(180)은 본체(110)를 에워싸 덮을 수 있게 본체(110) 보다 확장된 내경을 갖게 모자 형상으로 형성된 커버부분(182)과, 커버부분(182)이 중앙에서 힌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커버부분(182)의 중앙에 형성된 투입구를 개폐하는 회동개폐판(184)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회동개폐판(184)의 저부 중앙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외력이 인가되지 않을 때는 투입구를 폐쇄하는 위치로 복귀되게 무게중심을 형성하도록 된 오뚜기 추부분(186)이 형성되어 있다.An
뚜껑(180)은 사용자의 발 조작에 의해 개폐할 수 있게 뚜껑개폐조작부가 마련되어 있다.The
뚜껑개폐조작부는 풋레버(194), 연동기구(196)를 구비한다.The lid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unit includes a
풋레버(194)는 본체(110)의 하부에서 본체(110)에 지지되는 시소힌지(192)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시소운동 가능하게 판형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사용자의 발이 밟히는 조작부분(194a)은 본체(110)의 하부에 사각형상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하부 개방구(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연장되어 있다.The
풋레버(194)를 시소힌지(192)에 대해 뚜껑(180)이 열리도록 일측이 하강되게 조작한 상태에서 하강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부 개방부(112)의 하부에는 풋레버(194)의 조작부분(194a)이 수평방향으로 좌측으로 이동시 진입되어 상방으로의 회동은 차단되게 수평상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고정홈(1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풋레버(194)의 조작부분(194a)는 수평상으로 고정홈(113)내로 입출될 수 있게 시소힌지(192)에 대해 좌우 이동이 가능한 유격을 갖게 구축하면 된다.The
여기서, 고정홈(113)은 뚜껑(18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풋레버(194)를 하강상태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킬 수 있는 고정 조정부로서 적용된 것이다. Here, the fixing
연동기구(196)는 풋레버(194)의 하방으로의 누름 조작에 따라 뚜껑(180)을 상방으로 연동되게 회동시켜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동기구(196)는 풋레버(194)의 조작부분(194a) 반대편과 힌지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된 수직링크(196a)와, 수직링크(196a)의 상단과 힌지결합되어 뚜껑(180)의 내측면과 결합되어 메인힌지(181)를 회전중심으로하여 뚜껑(180)과 함께 회동되는 회동아암링크(196b)로 되어 있다. The
한편, 호형부분(16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닐봉지(10)의 상단을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하방으로 뒤집는 형태로 거치 준비작업을 한 상태에서 호형부분(161)에 끼우는 방식 이외에도 거치를 지원할 수 있게 구축될 수 있고 그 예를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On the other hand, the arc-shaped
도 7을 참조하면, 호형부분(161) 중 일부는 화살촉 형태로 형성된 꼬챙이 부분(161c)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호형부분(161)을 연장방향을 따라 구분하면, 제1수평부분(161a)과, 제1경사부분(161b)과, 꼬챙이부분(161c)과, 제2경사부분(161d)과, 제2수평부분(161e)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7, some of the arc-shaped
제1수평부분(161a)은 연결부분(163)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이며, 제1경사부분(161b)는 제1수평부분(161a)의 종단에서 제1수평부분(161a)보다 높이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면서 제1수평부분(161a)보다 멀어지게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부분이다. 꼬챙이부분(161c)은 제1경사부분(161b)의 종단에 일단이 결합되게 형성되되 첨두가 뽀쪽한 화살촉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며, 첨두의 높이는 제1 및 제2수평부분(161a)(161e)보다 약간 낮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경사부분(161d)은 꼬챙이부분(161c)의 타단에서 꼬챙이부분(161c)으로부터 멀어지게 상방으로 연장된 부분이며, 제2수평부분(161e)은 제2경사부분(161d)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된 연결부분(163)과 접속된 부분이다.The first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비닐봉지(10)의 날개부분을 꼬챙이부분(161a)에 꽂아 지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support by inserting the wing portion of the
이와는 다르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형부분(161) 중 일부는 비닐봉지(10)를 말아 끼워 지지시킬 수 있게 끼움링부분(161g)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Unlike this, as illustrated in FIG. 8, some of the arc-shaped
이러한 호형부분(161)을 연장방향을 따라 구분하면, 제1수평부분(161a)과, 끼움링부분(161g)과, 제2수평부분(161e)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When the arc-shaped
제1수평부분(161a)은 연결부분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된 부분이며, 끼움링부분(161g)은 제1수평부분(161a)의 종단에서 일단이 결합되며 제1수평부분(161a)보다 높이가 낮으면서 비닐봉지(10)의 일부를 삽입하여 거치할 수 있게 상부가 열린 원형의 끼움홈을 갖는 구조로 된 부분이며, 제2수평부분(161e)은 끼움링부분(161g)의 타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인접된 연결부분과 접속된 부분이다.The first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비닐봉지910)의 날개를 말아 끼움링부분(161g)에 끼워 지지되게 거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blades of the plastic bag 910 can be rolled up and mounted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이상에서 설명된 쓰레기통에 의하면, 쓰레기 투입이 가능하게 비닐봉지를 거치하고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According to the trash can described ab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mproved by supporting the easy operation of placing and separating the plastic bag so that trash can be input.
110: 본체 150: 걸이구 유니트
152: 승하강 링 160: 확개거리고리
170: 위치조정부 180: 뚜껑 110: main body 150: hanger unit
152: elevating ring 160: expansion ring
170: positioning unit 180: lid
Claims (7)
상기 본체의 상부로부터 본체로부터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노출되어 돌출되게 설치되되 하방으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하방으로 하강시 외경이 축소되게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본체 내로 진입되며 비닐봉지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된 걸이구 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A main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a plastic bag therein and an open top thereof;
It is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main body in the direction that the outer diameter expands from the main body, but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when descending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downward, so that the plastic bag can be mounted. A trash can comprising a; hanger unit formed to be.
비닐봉지를 수용할 수 있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내통부분과;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가 개방되게 상기 내통부분을 에워싸면서 상기 내통부분을 수용할 수 있게 상기 내통부분의 외측에 결합되되 상기 내통부분과의 사이에 상기 걸이구 유니트의 일부가 승하강될 수 있는 승하강 허용 공간을 갖게 형성된 외통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걸이구 유니트는
상기 외통부분과 상기 내통부분의 승하강 공간 내에 장착되어 상기 내통부분의 외측면을 따라 승하강 되게 폐궤도 형상으로 형성된 승하강 링과;
상기 승하강 링에 결합되어 상기 외통부분 상면 상부에 노출되게 연장되되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지게 상승시에는 외경이 확장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하강시에는 외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비닐봉지의 거치가 가능하게 형성된 확개거리고리와;
상기 승하강 링을 사용자가 외통부분 외측에서 조작하여 승하강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위치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dy
An inner cylinder portion forming the receiv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a plastic bag;
It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tube portion so as to accommodate the inner tube portion while surrounding the inner tube portion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is opened, but a part of the hanger unit can be raised and lowered between the inner tube portion. It has an outer cylinder portion formed to have an elevation allowable space;
The hanger unit is
An elevating ring mounted in the elevating spac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and the inner cylinder portion and formed in a closed track shape to elevate and descen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ylinder portion;
It is coupled to the elevating ring and extends to b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but when the length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is elongated, it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expanded, When descending in the direction clos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the expansion distance ring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er diameter is reduced and the plastic bag can be mounted;
A trash bin comprising: a position adjusting unit capable of adjusting the elevating position by operating the elevating ring from the outside of the outer cylinder.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호형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호형부분과, 인접된 상기 호형부분들의 양단에서 각각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외통부분의 상면에 상기 승하강 허용공간과 연통되게 형성된 인입안내홈을 따라 상기 승하강 허용공간 내로 진입되어 상기 승하강링에 결합되는 연결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승하강링은 상기 연결부분의 하단을 고정되게 결합하는 걸이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xpansion mounting ring
A plurality of arc-shaped portion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upper surface edge region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and extended in an arc shape, respectively, extending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adjacent arc-shaped portions, and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elevation allowable spa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It has a connecting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elevating ring by entering the elevation allowable space along the entry guide groove,
The elevating ring is a trash can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with a hook for fixing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본체의 하부에 시소힌지를 통해 시소운동가능 마련된 풋레버와;
상기 풋레버의 누름 조작에 따라 상기 뚜껑을 개방시킬 수 있도록 된 연동기구와;
상기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풋레버를 하강상태로 고정 및 고정해제시킬 수 있는 고정 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id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open and close the receiving space of the main body;
A foot lever provided to enable seesaw movement through a seesaw hinge under the body;
An interlocking mechanism configured to open the lid according to a pressing operation of the foot lever;
A trash can further comprising: a fixed adjustment unit capable of fixing and releasing the foot lever in a lowered state to maintain and release the lid in an open state.
상기 승하강링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기 외통부분에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승하강 안내홈 외측에 노출되게 연장되게 형성된 승하강 조작레버와;
상기 승하강링에 일단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되 걸림홈이 연장방향을 다수개 형성된 걸림가이드바와;
상기 외통부분 외측에 장착된 지지 브라켓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가이드바의 걸림홈에 진입 및 진퇴될 수 있게 장착된 걸쇠와;
상기 걸쇠가 상기 걸림홈에 진입되게 상기 걸쇠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쓰레기통.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osition adjustment unit
An elevating control lev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elevating ring and extending to be exposed outside the elevating guide groove formed to be opened to the outside in the outer cylinder portion;
A locking guide bar coupled to one end of the elevating ring and extending downwardly and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extending in a direction thereof;
A clasp supported by a support bracket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ylinder portion so as to enter and retreat into the locking groove of the locking guide bar;
And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latch so that the latch enters the locking groove.
The plastic bag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rc-shaped portion has a first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n upp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one end at the end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having a height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structure having a fitting ring portion having a fitting groove whose upper portion is opened so that a part of the fitting ring may be inserted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connected to an adjacent connecting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fitting ring portion. trash ca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0115A KR102179782B1 (en) | 2019-04-05 | 2019-04-05 | waste bask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0115A KR102179782B1 (en) | 2019-04-05 | 2019-04-05 | waste baske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8310A true KR20200118310A (en) | 2020-10-15 |
KR102179782B1 KR102179782B1 (en) | 2020-11-18 |
Family
ID=7288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0115A Active KR102179782B1 (en) | 2019-04-05 | 2019-04-05 | waste baske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797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4045B1 (en) * | 2020-12-17 | 2022-05-03 | 정영빈 |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Garb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00380B1 (en) | 2021-04-15 | 2021-09-08 | 김용철 | Downward retractable trash bin for improved usability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76709B2 (en) * | 1994-08-30 | 2003-02-10 | レック株式会社 | Toilet bin |
-
2019
- 2019-04-05 KR KR1020190040115A patent/KR10217978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76709B2 (en) * | 1994-08-30 | 2003-02-10 | レック株式会社 | Toilet bi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94045B1 (en) * | 2020-12-17 | 2022-05-03 | 정영빈 |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Garbage Container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79782B1 (en) | 2020-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70189B2 (en) | Trash collector | |
EP0541688B1 (en) | Pedal bin with lid | |
CA1313355C (en) | Step-on wastebasket | |
US20070205195A1 (en) | Trash can assembly with locking lid | |
KR102179782B1 (en) | waste basket | |
US6000569A (en) | Pedal type dustbin structure | |
US4445619A (en) | Pedal bin | |
US8511502B2 (en) | Litter bin with pivotal lid and automatic latching mechanism | |
US20090188933A1 (en) | Waste Bin | |
US20130105488A1 (en) | Step garbage can with damper | |
EP0354032A2 (en) | Step-on wastebasket | |
US3799430A (en) | Storage receptacle | |
US9738443B2 (en) | Vented trash receptacle | |
CA2359134A1 (en) | Refuse bin with tiltable lid | |
CN1274326A (en) | Carriage base with tiltable floor | |
AU2020201968A1 (en) | Lock device for a waste receiving device and waste receiving device with such a lock device | |
WO2004101399A1 (en) | A refuse bin including a compacting mechanism | |
EP0891736A1 (en) | Basket handle for deep fryer | |
JPH11171485A (en) | Lift for vehicular maintenance | |
KR19980046868U (en) | Lid opener of stepping garbage bin | |
FR2579187A1 (en) | Device for the automatic bolting/unbolting of the emptying hatch of a hopper and container fitted with such a device | |
KR101933442B1 (en) | Cover opening device for wastebasket | |
NL1017944C2 (en) | Latch for the lid of a container. | |
JP3049256B2 (en) | Garbage bin lid that opens and closes interlockingly with an extrusion door for sorting | |
EP1183196B1 (en) | Refuse collection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