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7843A - Complex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plex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117843A KR20200117843A KR1020200015797A KR20200015797A KR20200117843A KR 20200117843 A KR20200117843 A KR 20200117843A KR 1020200015797 A KR1020200015797 A KR 1020200015797A KR 20200015797 A KR20200015797 A KR 20200015797A KR 20200117843 A KR20200117843 A KR 202001178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region
- electrode
- void
- she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Ceas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40—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with other electric elements, the structure mainly consisting of a capacitor, e.g. RC combin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6—Constructional details of transient suppres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른 복합 소자는 적층체, 적층체 내에 마련된 캐패시터부, 사이에 방전 영역이 마련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방전 전극 및 방전 영역에 비해 큰 면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방전 영역이 수용되는 공극을 포함하며, 적층체 내에서 상기 캐패시터부와 이격 형성된 과전압 보호부 및 적층체의 양 외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캐패시터부 및 과전압 보호부와 연결된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들에 따른 복합 소자에 의하면, 방전 전극 사이에 방전 영역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방전 영역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는 공극을 방전 전극 사이에 마련하고, 상기 공극 내에 방전 영역이 수용되는 형태로 형성한다. 이에, 방전 영역이 시트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전 영역이 그 주위의 적층체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으며, 방전 영역의 주위에 소정의 공간인 열 차단 영역이 마련된다. 따라서, ESD 등의 과전압이 방전 영역을 통과하여 바이패스 될 때, 열 차단 영역에 의해 방전 영역에서 발생된 열이 적층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r area than a stacked body, a capacitor portion provided in the stacked body, a pair of discharge electrodes dispos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t least partially facing each other so that a discharge region is provided therebetween. A first overvoltage protection unit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outer sides of the stacked body and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formed in the stacked body and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outer sides of the stacked body, including a gap in which the discharge region is accommodated, and connected to the capacitor unit and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nd a second external electrode.
Therefore, according to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discharge region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 void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discharge region is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the discharge region is accommodated in the void. To form Accordingly, the discharge area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the sheet.
Accordingly, the discharge region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tacked body around it, and a heat shield region,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region. Accordingly, when an overvoltage such as ES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region and is bypass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heat generated in the discharge region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laminate by the heat blocking reg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패시터부와 과전압 보호부를 포함하는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device and a batter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site device including a capacitor unit and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전자 회로에는 외부로부터 전자기기로 인가되는 ESD 등의 과전압으로부터 전자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배리스터, 서프레서 등의 과전압 보호 소자가 필요하다. 즉, 전자기기의 구동 전압 이상의 과전압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전압 보호 소자가 필요하다.Electronic circuits require overvoltage protection devices such as varistors and suppressors to protect electronic devices from overvoltages such as ESD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electronic devices. That is, a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is required to prevent an overvoltage higher than the driving voltage of the electronic device from being applied from the outside.
최근에는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대응하여 이들 부품이 차지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해 서로 다른 기능 또는 특성을 갖는 적어도 둘 이상을 적층한 복합 소자가 제작된다. 예컨대, 복합 소자는 둘 이상의 내부 전극과, 이들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하는 캐패시터부 및 공극이 마련된 시트, 공극이 마련된 시트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마련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을 포함하는 서프레서 타입의 과전압 보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과전압 보호부가 캐패시터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접합 또는 결합되며, 이에 과전압 보호부와 캐패시터부를 포함하는 복합 소자가 마련된다.Recently, in order to reduce the area occupied by these components in response to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a composite device in which at least two or more having different functions or characteristics are stacked has been manufactured. For example, the composite device includes two or more internal electrodes, a capacitor portion including at least two or more sheets provided therebetween, a sheet provided with gaps, and first and second discharge electrodes provided up and down with a sheet provided with gaps therebetween. It includes a suppressor typ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Here,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is bonded or coupl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apacitor unit, and thus a composite device including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nd the capacitor unit is provided.
제 1 방전 전극과 제 2 방전 전극은 이들 각각의 말단부가 공극의 하부 및 상부 각각으로 노출 또는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다른 말로 하면, 제 1 방전 전극의 말단부와 제 2 방전 전극의 말단부는 상호 중첩되도록 마련되며, 이에 공극이 제 1 방전 전극의 말단부와 제 2 방전 전극의 말단부 사이에 마련된다.The first discharge electrode and the second discharge electrode are formed such that their respective end portions are exposed or connected to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voids,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distal end of the first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discharge electrode are provided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nd a void is provid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first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discharge electrode.
제 1 방전 전극의 말단부와 제 2 방전 전극의 말단부 사이 영역 즉, 공극은 ESD 등과 같은 과전압을 바이패스시키는 통로로서, ESD 등의 과전압을 방호하는 역할을 한다.A region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first discharge electrode and the distal end of the second discharge electrode, that is, a gap, is a path for bypassing an overvoltage such as ESD, and serves to protect against an overvoltage such as ESD.
그런데, 공극으로 ESD 등의 과전압이 통과하면, 상기 방전 영역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 열이 방전 영역과 접하고 있는 또는 그 주변의 시트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시트 내부에서 그레인(grain)이 성장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누설 전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고전압 보호부, 더 나아가 복합 소자 전체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However, when an overvoltage such as ESD passes through the voids, high temperature heat is generated in the discharge region. In addition, the heat is transferred to the sheet in contact with or around the discharge region, and accordingly, grains may grow inside the shee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that a leakage current is generated. This becomes a factor that deteriorates the performance of the high voltage protection unit and further, the composite device as a whole.
본 발명은 캐패시터부와 과전압 보호부를 포함하는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device including a capacitor unit and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과전압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e device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overvoltage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는 적층체; 상기 적층체 내에 마련된 캐패시터부; 사이에 방전 영역이 마련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방전 전극 및 상기 방전 영역에 비해 큰 면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상기 방전 영역이 수용되는 공극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체 내에서 상기 캐패시터부와 이격 형성된 과전압 보호부; 및 상기 적층체의 양 외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패시터부 및 과전압 보호부와 연결된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을 포함한다.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inate; A capacitor part provided in the stacked body; A pair of discharge electrodes disposed so as to have a discharge region therebetween, at least partially facing each other, and a void provided in a larger area than the discharge region, wherein the discharge region is accommodated therein, and in the stacked body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spaced apart from the capacitor unit; And first and second external electrodes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outer sides of the stacked body and connected to the capacitor unit and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상기 공극은 상기 방전 영역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방전 영역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The void may have a shape extending outward of the discharge region while receiving the discharge region therein.
상기 공극은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방전 영역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The pores may have a shape whose thickness decreases as the edge region is further away from the discharge region.
상기 공극은 그 두께 방향의 하부에서부터 상부 순으로 제 1 공간, 중간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은 그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중간 공간에 비해 길고,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방전 영역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The voids are divided into a first space, an intermediate space, and a second space in order from the lower part of the thickness direction to the upper part, and the first and second spaces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thickness direction compared to the intermediate space. It is long, and the edge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paces may have a shape whose thickness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discharge region increases.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은 연장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방전 영역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paces may have a shape whose thickness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extension direction to the discharge region increases.
상기 공극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이루는 각도(θ)는 0.1°내지 50°일 수 있다.The angle θ formed by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edge region of the void may be 0.1° to 50°.
상기 공극의 길이(LS) 및 폭(WS) 각각이 상기 복합 소자의 길이(LC) 및 폭(WC)의 5% 내지 80%일 수 있다.Each of the length (L S ) and width (W S ) of the void may be 5% to 80% of the length (L C ) and width (W C ) of the composite device.
상기 공극의 길이(LS) 및 폭(WS) 각각은 상기 공극의 최대 두께(HS)의 1.5배 이상, 50배 이하일 수 있다.Each of the length (L S ) and width (W S ) of the void may be 1.5 times or more and 50 times or less of the maximum thickness H S of the void.
상기 공극은 길이, 폭 및 두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The void may have a shape symmetrical in at least one of a length, a width, and a thickness direction.
상기 과전압 보호부는 복수개의 상기 공극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공극은 상하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거나, 동일 평면 상에 나열 배치된다.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he voids, and the plurality of voids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r arranged on the same pla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는 적층체; 상기 적층체 내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방전 전극 및 상기 적층체 내에서 상기 방전 전극 간의 이격거리보다 길게 형성된 수평 거리를 가지는 공극을 포함하는 과전압 보호부; 상기 적층체 내에 마련되며, 상기 과전압 보호부와 다른 기능을 가지는 기능부;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능부 및 과전압 보호부와 연결된 외부 전극;을 포함한다.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inate;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including discharge electrode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tacked body, and a void having a horizontal distance formed longer tha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in the stacked body; A functional unit provided in the stacked body and having a fun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nd an external electrode formed outside the stacked body and connected to the functional unit and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상기 공극은 적어도 상기 방전 전극 사이에 형성된 방전 영역 및 상기 방전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열 차단 영역을 포함한다.The void includes at least a discharge region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a heat blocking region formed outside the discharge region.
상기 공극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방전 영역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이다.The edge region of the void has a shape whose thickness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discharge region increases.
상기 기능부는 캐패시터부 및 노이즈 필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진다.The functional unit has at least one of a capacitor unit and a noise filter unit.
상기 기능부는 노이즈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필터부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 및 상기 코일 패턴에 연결된 인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공극은 상기 인출 전극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된다.The functional unit includes a noise filter unit, the noise filter unit includes at least one coil pattern and lead electrodes connected to the coil pattern, and the voids ar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lead electrodes.
상기 공극의 길이(LS) 및 폭(WS) 각각이 상기 복합 소자의 길이(LC) 및 폭(WC)의 3% 내지 45%일 수 있다.Each of the length (L S ) and width (W S ) of the void may be 3% to 45% of the length (L C ) and width (W C ) of the composit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기기는 내부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회로에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소자가 마련된다.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nal circuit, and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provided in the internal circuit.
상기 복합 소자는 상기 내부 회로를 통해 바이패스시킨다.The composite element is bypassed through the internal circuit.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복합 소자에 의하면, 방전 전극 사이에 방전 영역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방전 영역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는 공극을 방전 전극 사이에 마련하고, 상기 공극 내에 방전 영역이 수용되는 형태로 형성한다. 이에, 방전 영역이 시트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discharge region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 void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discharge region is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the discharge region is accommodated in the void. To form. Accordingly, the discharge area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the sheet.
이에 따라, 방전 영역이 그 주위의 적층체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으며, 방전 영역의 주위에 소정의 공간인 열 차단 영역이 마련된다. 따라서, ESD 등의 과전압이 방전 영역을 통과하여 바이패스 될 때, 열 차단 영역에 의해 방전 영역에서 발생된 열이 적층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charge region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tacked body around it, and a heat shield region, which is a predetermined space, is provided around the discharge region. Accordingly, when an overvoltage such as ES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region and is bypassed,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heat generated in the discharge region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laminate by the heat blocking region.
이로 인해, 방전 영역으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적층체에 그레인(grain)이 성장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과전압 또는 열에 의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방전 영역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누설 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전압 보호부 또는 복합 소자의 품질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growth of grains in the laminate by the heat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region. That is, resistance due to overvoltage or heat can be improv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leakage current from being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discharge region, and thereby suppress or prevent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or the composite ele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를 외부에서 바라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단면도로서, 도 1의 A-A' 라인을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과전압 보호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7은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제 1 실시예의 제 3 내지 제 6 변형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2는 제 1 실시예의 제 7 변형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13은 제 1 실시예의 제 8 변형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4는 제 1 실시예의 제 9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과전압 보호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5는 제 1 실시예의 제 10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과전압 보호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6은 제 1 실시예의 제 11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제 1 실시예의 제 12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들에 따른 복합 소자의 블럭도
도 20 및 도 21는 콘택부를 이용하여 금속 케이스와 내부 회로 사이를 연결하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변형예들에 따른 복합 소자를 설치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외부에서 바라본 입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분해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단면도로서, 도 22의 A-A' 라인을 절취한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분해 사시도1 is a three-dimensional view as viewed from the outside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as viewed from above of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of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8 to 11 are enlarged views of a part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third to sixth modific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12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 seven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eigh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14 is an enlarged view of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nin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15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tenth modification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n eleven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twelfth modification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18 and 19 are block diagrams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20 and 21 are views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connect a metal case and an internal circuit using a contact unit
22 is a three-dimensional view as viewed from the outside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22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t is provided to be fully in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를 외부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단면도로서, 도 1의 A-A' 라인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과전압 보호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outsid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of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as viewed from above of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는 복수의 시트(100; 101 내지 109)가 적층된 적층체(1000)와, 적층체(1000) 내에 마련되며 복수의 내부 전극(200; 201 내지 206)을 구비하는 캐패시터부(2000)와, 방전 전극(310; 311, 312)과 공극(320)을 구비하여 ESD 등의 과전압을 방호하는 과전압 보호부(30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층체(1000) 내에 캐패시터부(2000)가 마련되고, 캐패시터부(20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과전압 보호부(300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 내부에 캐패시터부(2000) 및 과전압 보호부(3000)가 적층되어 복합 소자가 구현될 수 있다.1 to 3,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inate 1000 in which a plurality of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는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형성되어 캐패시터부(2000)와 과전압 보호부(3000)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4100, 4200; 40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이러한 복합 소자는 전자기기의 사용자가 접촉 가능한 도전체와 내부 회로, 예를 들어 금속 케이스와 내부 회로, 즉 PCB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복합 소자는 외부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공급하는 안테나로서 기능하고 ESD 등의 과전압은 PCB의 접지 단자로 바이패스시키고 감전 전압을 차단하는 과전압 보호 소자로 기능한다.Such a composite element may be provided between a conductor and an internal circuit, for example, a metal case and an internal circuit, that is, a PCB, which the user of the electronic device can contact. The composite element functions as an antenna that supplies communication signals from the outside, and functions as a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that bypasses overvoltage such as ESD to the ground terminal of the PCB and blocks electric shock voltage.
1. 적층체1. Laminate
적층체(10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직교하는 일 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및 타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고, 수직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1 외부 전극(4100)과 제 2 외부 전극(4200)의 나열 방향을 X 방향으로 할 때, 이와 수평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으로 하고 수직 방향을 Z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X 방향으로의 길이는 Y 방향으로의 폭 및 Z 방향으로의 높이보다 크고, Y 방향으로의 폭은 Z 방향으로의 높이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폭(Y 방향)과 높이(Z 방향)가 다를 경우 폭은 높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길이, 폭 및 높이의 비는 2~5:1:0.3~1일 수 있다. 즉, 폭을 기준으로 길이(X 방향)가 폭보다 2배 내지 5배 정도 클 수 있고, 높이는 폭보다 0.3배 내지 1배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X, Y 및 Z 방향의 크기는 하나의 예로서 복합 소자가 연결되는 전자기기의 내부 구조, 복합 소자의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The
적층체(1000)는 복수의 시트(100; 101 내지 109)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는 X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고 Y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Z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복수의 시트(100)를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100)의 길이 및 폭에 의해 적층체(1000)의 길이 및 폭이 결정되고, 시트(100)의 적층 수에 의해 적층체(1000)의 높이가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적층체(1000)를 이루는 복수의 시트(100)는 MLCC, LTCC, HTCC 등의 유전체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MLCC 유전체 물질은 BaTiO3 및 NdTiO3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주성분으로 Bi2O3, SiO2, CuO, MgO, ZnO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첨가되고, LTCC 유전체 물질은 Al2O3, SiO2, 글래스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트(100)는 MLCC, LTCC, HTCC 이외에 BaTiO3, NdTiO3, Bi2O3, BaCO3, TiO2, Nd2O3, SiO2, CuO, MgO, Zn0, Al2O3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100)는 상기 물질들 이외에 예를 들어 Pr계, Bi계, ST계 세라믹 물질 등 바리스터 특성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시트(100)는 MLCC, LTCC, HTCC 및 바리스터 특성을 가지는 재료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트(100)는 BaTiO3, NdTiO3, Bi2O3, ZnO, TiO2, SiO2, Al2O3, B2O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트(100)는 이들 물질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유전율 또는 비유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100)는 BaTiO3 및 SrTi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함량을 증가시켜 유전율 또는 비유전율을 높일 수 있고, NdTiO3 및 SiO2 중 적어도 하나의 함량을 증가시켜 유전율 또는 비유전율을 낮출 수 있다. The
또한, 복수의 시트(100)는 모두 동일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들에 비해 두껍거나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전압 보호부(3000)의 시트는 캐패시터부(2000)의 시트와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는데, 과전압 보호부(3000)의 시트가 캐패시터부(2000)의 시트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과전압 보호부(3000)의 시트 각각의 두께가 캐패시터부(2000)의 시트 각각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그러나, 과전압 보호부(3000)의 시트 각각의 두께가 캐패시터부(2000)의 시트 각각의 두께보다 얇을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 또한, 과전압 보호부(3000)의 시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트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고, 캐패시터부(2000)의 시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트보다 두꺼울 수도 있다. 이때, 캐패시터부(2000)의 시트 중에서 다른 시트보다 두꺼운 시트는 과전압 보호부(3000)의 시트 중에서 두께가 얇은 시트보다 두꺼울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시트(100)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시트들과 다른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ll of the plurality of
그리고, 복수의 시트(100)의 두께는 1㎛ 내지 400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00㎛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시트(100)는 모두 동일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것들에 비해 두껍거나 얇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plurality of
또한, 복합 소자의 사이즈에 따라 시트(100)의 두께 및 적층 수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즉, 사이즈가 작은 복합 소자에 적용되는 경우 시트(100)는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고, 사이즈가 큰 복합 소자에 적용되는 경우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트들(100)이 동일한 수로 적층되는 경우 복합 소자의 사이즈가 작아 높이가 낮을수록 두께가 얇아지고 복합 소자의 사이즈가 커질수록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물론, 얇은 시트가 큰 사이즈의 복합 소자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시트의 적층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때, 시트(100)는 ESD 인가 시 파괴되지 않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들(100)의 적층 수 또는 두께가 다르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적어도 하나의 시트가 ESD의 반복적인 인가에 의해 파괴되지 않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ckness and the number of stacks of the
또한, 적층체(1000)는 캐패시터부(2000)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마련된 하부 커버층(미도시) 및 상부 커버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는 최하층 및 최상층에 각각 마련된 하부 및 상부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최하층의 시트, 즉 제 1 시트(101)가 하부 커버층으로 기능하고, 최상층의 시트, 즉 제 9 시트(109)가 상부 커버층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 시트(100)와 별도로 마련되는 하부 및 상부 커버층은 동일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및 상부 커버층은 다른 두께로도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부 커버층이 하부 커버층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및 상부 커버층은 복수의 자성체 시트가 적층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자성체 시트로 이루어진 하부 및 상부 커버층의 외측 표면, 즉 적층체(1000)의 하부 표면 및 상부 표면에 비자성 시트, 예를 들어 유리질 시트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하부 및 상부 커버층은 유리질 시트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적층체(1000)의 표면이 폴리머, 글래스 재질로 코팅될 수도 있다. 한편, 하부 및 상부 커버층은 시트들(100) 각각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즉, 커버층은 시트 하나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최하층 및 최상층의 시트, 즉 제 1 및 제 9 시트(101, 109)가 하부 및 상부 커버층으로 기능하는 경우 그 사이의 시트들(102 내지 108) 각각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2. 캐패시터부2. Capacitor
캐패시터부(2000)는 적층체(1000) 내부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압 보호부(3000)의 하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상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캐패시터부(2000)는 복수의 내부 전극(200; 201 내지 206)이 과전압 보호부(3000)와 나뉘어 형성되므로 편의상 지칭한 것이고, 적층체(1000) 내부에는 캐패시터로 기능하는 복수의 내부 전극(200)이 형성될 수 있다.Th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캐패시터부(2000)는 과전압 보호부(3000)의 하측에 마련되며, 적어도 둘 이상의 내부 전극과, 이들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둘 이상의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패시터부(2000)는 제 1 내지 6 시트(101 내지 106)와, 제 1 내지 6 시트(101 내지 106) 상에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6 내부 전극(201 내지 206)을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복수의 내부 전극(200)은 X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 외부 전극(4000; 4100, 4200)과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 1, 제 3, 제 5 내부 전극(201, 203, 205)은 제 1, 제 3, 제 5 시트(101, 103, 105) 상에 각각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제 1 외부 전극(41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외부 전극(4200)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 제 4, 제 6 내부 전극(202, 204, 206)은 제 2, 제 4, 제 6 시트(102, 104, 106) 상에 각각 소정 면적으로 형성되며 일단이 제 2 외부 전극(42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외부 전극(4100)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즉, 복수의 내부 전극(200)은 외부 전극(4000)의 어느 하나와 교대로 연결되며 그 사이의 시트들(102 내지 106)을 사이에 두고 소정 영역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내부 전극(200)은 X 방향의 길이 및 Y 방향의 폭이 적층체(1000)의 길이 및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내부 전극(200)은 시트(100)의 길이 및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전극(200)은 적층체(1000) 또는 시트(100)의 길이의 10% 내지 90%의 길이와 10% 내지 90%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전극(200)은 시트(100) 각각의 면적 대비 10% 내지 90%의 면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내부 전극(200)은 각각 예를 들어 정사각형, 직사각형, 소정의 패턴 형상, 소정 폭 및 간격을 갖는 스파이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캐패시터부(2000)는 내부 전극(200) 사이에 캐패시턴스가 각각 형성되며, 캐패시턴스는 내부 전극(200)의 중첩 면적, 시트들(100)의 두께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그리고, 제 1 내지 제 6 내부 전극들(201 내지 206)은 동일 형상 및 동일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중첩 면적 또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부(2000)와 제 6 내부 전극(206)은 외부 전극(4000)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 1 및 제 6 내부 전극(201, 206)은 나머지 내부 전극들(202 내지 205)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6 내부 전극(201, 206)은 말단부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100, 4200)과 각각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이들 사이에 기생 캐패시턴스가 형성되므로 제 1 및 제 6 내부 전극(201, 206)은 나머지 내부 전극들(202 내지 205)보다 예를 들어 10% 정도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6 내부 전극(201, 206)은 외부 전극(4000)과 중첩되는 영역이 나머지 영역보다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6 내부 전극(201, 206)은 외부 전극(4000)과 중첩되는 영역 또는 그와 인접한 영역이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비해 10% 정도 더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6 내부 전극(201, 206)의 외부 전극(4000)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은 나머지 내부 전극(202 내지 205)의 너비와 동일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sixth
이러한 내부 전극(20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Al, Ag, Au, Pt, Pd, Ni, Cu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합금의 경우 예를 들어 Ag와 Pd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전극(200; 201 내지 206)는 각각 예를 들어 0.5㎛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상술한 캐패시터부(2000)가 제 1 내지 제 6 시트(101내지 106)와 제 1 내지 제 6 내부 전극(201 내지 206)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내부 전극의 갯수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고, 시트는 둘 이상의 내부 전극 각각이 형성될 수 있는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3. 과전압 보호부3. Overvoltage protection
과전압 보호부(3000)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방전 전극(310; 311, 312)과, 방전 전극(310) 사이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공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전압 보호부(3000)는 제 8 시트(108)와, 제 7 및 제 8 시트(107, 108) 상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제 7 시트 상에 형성된 제 1 방전 전극(311), 제 8 시트(108) 상에 형성된 제 2 방전 전극(312) 및 제 8 시트(108)를 관통하여 또는 제 8 시트(108) 내에 마련된 공극(3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방전 전극(312)은 제 9 시트(109)의 하면(하부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Th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방전 전극(311)과 제 2 방전 전극(312)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 1 방전 전극(311)이 제 2 방전 전극(312)의 하측에 위치하고, 제 2 방전 전극(312)이 제 1 방전 전극(31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제 1 방전 전극(311)은 그 일단이 제 2 외부 전극(42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외부 전극(4100)과 이격되며, 제 2 방전 전극(312)은 그 일단이 제 1 외부 전극(41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외부 전극(4200)과 이격 형성된다.2 to 4, the
또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중 캐패시터부(2000)와 인접한 방전 전극 즉, 제 1 방전 전극(311)은 인접한 내부 전극(200)과 동일한 외부 전극(40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제 1 방전 전극(311) 및 이와 인접한 내부 전극인 제 6 내부 전극(206)은 제 2 외부 전극(4200)에 연결되며, 나머지 하나의 제 2 방전 전극(312)은 제 1 외부 전극(4100)에 연결된다.In addition, among the first and
이렇게 방전 전극(310)과 이와 인접한 내부 전극(200)이 동일 외부 전극(4000)과 연결됨으로써 시트(100)가 열화, 즉 절연 파괴되는 경우에도 ESD 전압이 전자기기 내부로 인가되지 않는다. 즉, 방전 전극(310)과 인접한 내부 전극(200)이 서로 다른 외부 전극(4000)과 연결된 경우 시트(100)가 절연 파괴되면 일 외부 전극(4000)을 통해 인가되는 ESD 전압이 방전 전극(310)과 인접한 내부 전극(200)을 통해 타 외부 전극(4000)으로 흐르게 된다. 예를 들어, 제 1 방전 전극(311)이 제 2 외부 전극(4200)과 연결되고 이와 인접한 제 6 내부 전극(206)이 제 1 외부 전극(4200)과 연결된 경우, 시트(100)가 절연 파괴되면 제 1 방전 전극(311)과 제 6 내부 전극(206) 사이에 도전 경로가 형성되어 제 2 외부 전극(4200)을 통해 인가되는 ESD 전압이 제 1 방전 전극(311), 절연 파괴된 제 7 시트(107)로 흐르게 되고, 그에 따라 제 1 외부 전극(4100)을 통해 내부 회로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시트(10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지만, 이 경우 감전 방지 소자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방전 전극(310)과 이와 인접한 내부 전극(200)이 동일 외부 전극(4000)과 연결됨으로써 시트(100)가 절연 파괴되는 경우에도 ESD 전압이 전자기기 내부로 인가되지 않는다. 또한, 시트(10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고도 ESD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방전 전극(310)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Ag, Au, Pt, Pd, Ni, Cu,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합금의 경우 예를 들어 Ag와 Pd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방전 전극(310)은 캐패시터부(2000)의 내부 전극들(200)과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전 전극(310)은 예를 들어 1㎛ 내지 25㎛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으며, 캐패시터부(2000)의 내부 전극(200)의 두께에 비해 작거나, 크거나 또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방전 전극(311)과 제 2 방전 전극(312) 각각은 서로 다른 외부 전극(4000)과 연결되도록 적층체(1000)의 길이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하로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이때, 제 1 방전 전극(311)에 있어서 외부 전극(4000)과 연결되지 않은 타단의 형성 위치는 제 2 방전 전극(312)의 일부 위치와 중첩되고, 제 2 방전 전극(312)에 있어서 외부 전극과 연결되지 않은 타단의 형성 위치는 제 1 방전 전극(311)의 일부 위치와 중첩된다.At this time,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other end of the
그리고, 제 1 방전 전극(311)의 타단은 제 2 방전 전극(312)의 타단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 2 방전 전극(312)의 타단은 제 1 방전 전극(311)의 타단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제 1 방전 전극(311)에 있어서 그 타단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이하, 말단부)과, 제 2 방전 전극(312)에 있어서 그 타단을 포함하는 소정 영역(이하, 말단부)의 위치가 동일 또는 중첩된다. 이때, 제 1 방전 전극(311)의 말단부와 제 2 방전 전극(312)의 말단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므로, 제 1 방전 전극(311)의 말단부와 제 2 방전 전극(312)의 말단부는 X 방향 및 Y 방향 각각으로 그 형성 위치가 동일 또는 중첩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공극(320)은 제 1 방전 전극(311)과 제 2 방전 전극(312) 사이에 위치된 제 8 시트(108)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 1 방전 전극(311)의 말단부와 제 2 방전 전극(312)의 말단부 사이에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각각의 말단부는 공극(320)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각각의 말단부가 공극(320)과 연결된다.The void 320 may be provided in the
여기서, 제 1 방전 전극(311)의 말단부와 제 2 방전 전극(312)의 말단부 사이 영역은 ESD 등과 같은 과전압을 바이패스시키는 통로로서, ESD 등의 과전압을 방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방전 전극(311)의 말단부와 제 2 방전 전극(312) 말단부 사이 영역을 '방전 영역(321)' 이라 명명한다.Here, a region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한편, 방전 영역(321)으로 ESD 등의 과전압이 통과하면, 상기 방전 영역(321)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 열이 방전 영역(321)과 접하고 있는 또는 그 주변의 적층체 또는 시트로 전달되며, 이에 따라 적층체 내부에서 그레인(grain)이 성장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누설 전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는 과전압 보호부, 더 나아가 복합 소자 전체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Meanwhile, when an overvoltage such as ESD passes through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전 전극(311, 312) 사이에 방전 영역(321)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방전 영역(321)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는 공극(320)을 방전 전극(311, 312) 사이에 마련하고, 상기 공극(320) 내에 방전 영역(321)이 수용되는 형태로 형성한다. 이에, 방전 영역(321)이 적층체의 내면 또는 시트의 내면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the
이를 위해, 공극(320)은 그 길이(X 방향 길이)(LS) 및 폭(Y 방향 갈이)(WS)이 방전 영역(321)의 길이(X 방향 길이) 및 폭(Y 방향 길이)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극(320)은 수평 방향 거리가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간의 이격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극(320)의 길이(X 방향 길이(Ls) 및 폭(Y 방향 길이)(Ws)은 Z 방향 길이 즉, 두께(Hs)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극(320)의 Z 방향 길이 즉, 두께(Hs)는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예를 들어, 적어도 공극(320)의 길이(X 방향 길이)(LS) 및 폭(Y 방향 갈이)(WS)이 방전 영역(321)의 길이(X 방향 길이) 및 폭(Y 방향 길이)에 비해 크고, 공극(320)의 Z 방향 길이 즉, 두께(HS)는 방전 영역과 동일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the length (length in the X direction) (L S ) and the width (transition in the Y direction) (W S ) of the void 320 is the length (length in the X direction) and the width (in the Y direction) of the
이때, 방전 영역(321)은 '소정의 형상을 가지는 빈 공간'적 개념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형'으로 간주하고 설명하면, 방전 영역(321)의 하부는 제 1 방전 전극(311)과 연결 또는 접하고, 상부는 제 2 방전 전극(312)과 연결 또는 접하지만, 공극(320) 중 방전 영역(321)의 외측 영역은 제 8 시트(108)의 내면과 접촉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도록, 공극(320)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 8 시트(108)의 내면이란, 공극(320)을 구획하는 또는 공극(320) 주위의 벽면에 해당하는 제 8 시트(108)의 내부면을 의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렇게 공극(320) 내에 방전 영역(321)이 수용되며, 방전 영역(321)의 외측 영역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예를 들어, X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양 외측 및 Y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양 외측 각각에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In this way, the
공극(320) 내에 방전 영역(321)이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방전 영역(321)의 외측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은 방전 영역(321)에서 발생된 열이 시트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또는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에,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극(320) 내에서 방전 영역(321)의 외측 영역을 '열 차단 영역(322)'이라 명명한다.Accordingly,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outer region of the
상술한 정의를 반영하여 공극(320)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공극(320)은 제 1 방전 전극(311)의 말단부와 제 2 방전 전극(312)의 말단부 사이 영역인 방전 영역(321) 및 상기 방전 영역(321)의 외측 영역인 열 차단 영역(322)을 포함한다. 그리고, 공극(320)은 에어(air), Ar 가스, N2 가스 중 적어도 하나로 충진될 수 있다.Reflecting the above definition and describing the void 320 again,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 영역(321)의 외측에 열 차단 영역(322)을 마련함으로써, 방전 영역(321)의 열이 적층체(10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8 시트(108)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이는, 방전 영역(321)이 열 차단 영역(322)에 의해 제 8 시트(108)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기 때문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한편, 방전 영역(321)에서 방전이 일어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방전 영역(321)의 외측, 즉 열 차단 영역(322)의 일부에서도 방전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방전은 방전 전극(311, 312)이 중첩된 영역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나고, 이에 방전 영역(321)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가 열 차단 영역(322)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가 더 낮기 때문에 방전 전극(311, 322)이 중첩된 영역을 방전 영역(321)이라 하고, 그 외측을 열 차단 영역(322)이라 한다.Meanwhile, although it is described that discharge occurs 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공극(320)을 마련하는데, 공극(320)의 길이(X 방향 길이)(LS) 및 폭(Y 방향 길이)(WS)이 복합 소자의 길이(LC) 및 폭(WC) 각각의 5% 내지 80% 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극(320)의 길이(X 방향 길이)(LS)가 복합 소자의 길이(LC)의 10% 내지 60%, 공극(320)의 폭(Y 방향 길이)(WS)이 복합 소자의 폭(WC)의 10% 내지 70%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공극(320)의 길이(X 방향 길이)(LS) 및 폭(Y 방향 길이)(WS)이 복합 소자의 길이(LC) 및 폭(WC)의 5% 미만인 경우, 방전 영역(321)과 제 8 시트(108) 내면과의 거리가 가까워 열 전달에 따른 그레인(grain)이 성장될 수 있고, 이에 누설 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공극(320)의 길이(X 방향 길이)(LS) 및 폭(Y 방향 길이)(WS)이 복합 소자의 길이(LC) 및 폭(WC)의 80%를 초과하는 경우, ESD 등과 같은 과전압의 방전시에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과전압 보호부(3000)에 횡방향으로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length in the X direction) (L S ) and width (length in the Y direction) (W S ) of the void 320 is less than 5% of the length (L C ) and width (W C ) of the composite element, discharge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또한, X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중심에서 공극(320)의 끝단까지의 길이(AS)는 복합 소자의 절반 길이(LC/2)의 5% 내지 80%로 마련될 수 있고, Y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중심에서 공극(320)의 끝단까지의 길이 즉, 폭(BS)은 복합 소자의 절반 폭(WC/2)의 5% 내지 80%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X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중심에서 공극(320)의 끝단까지의 길이(AS)는 복합 소자의 절반 길이(LC/2)의 10% 내지 60%, Y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중심에서 공극(320)의 끝단까지의 길이 즉, 폭(BS)은 복합 소자의 절반 폭(WC/2)의 10% 내지 70%로 마련된다.In addition, based on the X direction, the length (A S ) from the center of the
이때, X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중심에서 공극(320)의 끝단까지의 길이(AS)가 복합 소자의 절반 길이(LC/2)의 5% 미만이거나, Y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중심에서 공극(320)의 끝단까지의 폭(BS)이 복합 소자의 절반 폭(WC/2)의 5% 미만인 경우, 방전 영역(321)과 공극(320)의 끝단 또는 제 8 시트(108) 내면과의 거리가 가까워 열 전달에 따른 그레인(grain)이 성장될 수 있고, 이에 누설 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At this time, based on the X direction, the length (A S ) from the center of the
반대로, X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중심에서 공극(320)의 끝단까지의 길이(AS)가 복합 소자의 절반 길이(LC/2)의 80%를 초과하거나, Y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중심에서 공극(320)의 끝단까지의 폭(BS)이 복합 소자의 절반 폭(WC/2)의 80% 를 초과하는 경우, ESD 등과 같은 과전압의 방전시에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과전압 보호부(3000)에 횡방향으로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Conversely, based on the X direction, the length (A S ) from the center of the
공극(320)의 두께(Z 방향 길이)는 두께 방향(Z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공극(32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자리 영역의 두께가 작도록 형성되며, 연장 방향의 끝단의 두께가 가장 작도록 형성된다. The thickness (length in the Z direction) of the void 320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edge region is small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thickness direction (Z direction) o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이때, 공극(320)의 가장자리 영역은 그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중심의 두께가 가장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공극(320)의 가장자리 영역 중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의 끝단의 두께가 가장 작으며, 가장자리 영역은 노치(notch) 또는 알파벳 'V'자 형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dge region of the void 3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hickness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end thereof, and the thickness at the center is preferably the thickest.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an end of the
공극(320)은 중심의 두께가 가장 두껍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중심의 두께가 3㎛ 내지 100㎛일 수 있다. 물론, 공극(320)은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 벗어난 위치의 두께가 가장 두꺼울 수 있으며, 이 부분의 두께가 3㎛ 내지 100㎛일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공극(320)의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21)과 멀어질수록 그 두께가 감소하도록 마련되는데,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극(3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방향의 중심에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극(320)은 X 방향의 중심과 Y 방향의 중심이 동일하고, 상기 중심으로부터 방전 영역으로 갈수록 두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이다. 이에, 공극(320)의 중심 두께가 가장 두껍고, 방전 영역(321)과 가장 멀리 떨어진 부분 즉, 끝단의 두께가 가장 얇다.As described above, the edge region of the void 320 is provided to decrease in thickness as the distance from the
그리고, 방전 영역(3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 두께가 감소하도록 공극(320)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같이 두께 감소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고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극(320)을 둘러싸는 시트의 내면이 곡률을 가지도록 또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providing the
공극(320)의 길이(LS) 및 폭(WS) 각각은 공극(320)의 두께(HS)의 1.5배 이상, 50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극의 두께(HS)'라 함은, 가장 두꺼운 두께일 수 있으며, 이는 공극(320)의 중심 두께일 수 있다.Each of the length (L S ) and width (W S ) of the void 320 is preferably 1.5 times or more and 50 times or less of the thickness H S of the
한편, 공극(320)의 길이(LS) 및 폭(WS) 각각이 공극(320)의 두께(HS)의 1.5배 미만인 경우, 방전 영역(321)과 적층체(1000) 내면과의 거리가 가까워 열 전달에 따른 그레인(grain)이 성장될 수 있고, 이에 누설 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반대로, 공극(320)의 길이(LS) 및 폭(WS) 각각이 공극(320)의 두께(HS)의 50배를 초과하는 경우, ESD 등과 같은 과전압의 방전시에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과전압 보호부(3000)에 횡방향으로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each of the length (L S ) and width (W S ) of the void 320 is less than 1.5 times the thickness (H S ) of the void 320, the
공극(320) 중 적어도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감소하도록 마련되는데, 이때, 가장자리 영역의 각도(θ) 또는 그 끝단의 각도(θ)는 0.1°내지 50°일 수 있고, 0.5°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the edge region of the
여기서, 가장자리 영역의 각도(θ)(이하, 가장자리 각도(θ))란, 공극(320)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의 각도, 예컨대 공극(320)을 형성하는 제 8 시트(108) 사이의 각도(θ)를 의미한다.Here, the angle θ of the edge region (hereinafter, the edge angle θ) refers to the angle of the surface facing up and down in the edge region of the void 320, for example, the
한편, 가장자리 각도(θ)가 0.1°미만인 경우, 방전 영역(321)과 적층체(1000) 내면과의 거리가 가까워 열 전달에 따른 그레인(grain)이 성장될 수 있고, 이에 누설 전류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 각도(θ)가 50°를 초과하는 경우, ESD 등과 같은 과전압의 방전시에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과전압 보호부(3000)에 횡방향으로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dge angle θ is less than 0.1°, the distance between the
그리고, 공극(320)은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고, 폭 방향 중심으로 대칭되며, 두께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형상일 수 있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양 외측의 열 차단 영역(322)의 길이가 동일하고, 폭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21)의 양 외측의 열 차단 영역(322)의 길이가 동일하며, 두께 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 방향의 길이가 동일할 수 있다. 이렇게 공극(320)이 대칭된 형상인 경우, 열 차단 효과가 균일해질 수 있고, 열에 의한 영향력이 균일해 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극(320)은 길이 방향, 폭 방향 및 두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비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칭 형상일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에 의한 영향력이 불균일할 수는 있으나, 방전 영역(321)이 시트와 접촉 또는 연결되는 종래의 과전압 보호부에 비해 과전압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void 320 may have an asymmetric shape in at least one of a length direction, a width direction, and a thickness direction. In this case, the influence of heat may be relatively non-uniform compared to the case of the symmetrical shape, but the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전압 보호부(3000)는 캐패시터부(2000)와 적층되도록 마련되며, 이에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는 캐패시터부(2000)와 과전압 보호부(3000)를 포함하도록 마련된다. 이렇게 복수의 기능부를 가지는 즉, 캐패시터부(2000)와 과전압 보호부(3000)를 구비하는 복합 소자를 마련하는데 있어서, 캐패시터부(2000)와 과전압 보호부(3000)를 함께 제조하여 마련할 수 있다. The
예컨대, 제 1 내지 제 7 시트(101 내지 106) 및 제 1 내지 제 6 내부 전극(201 내지 206)을 적층하여 캐패시터부(2000)를 제조한 후, 제 7 시트(107) 상에 제 1 방전 전극(311) 및 제 8 시트(108), 제 8 시트(108) 상에 제 2 방전 전극(312), 제 2 방전 전극(312) 및 제 8 시트(108) 상에 제 9 시트(109)를 적층 형성하여 함께 소결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제 8 시트(108) 상에 제 2 방전 전극(312)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9 시트(109)의 하면(하부면)에 제 2 방전 전극(31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캐패시터부(2000)와 과전압 보호부(3000)가 상호 접합 또는 결합된 복합 소자를 마련할 수 있다.For example, after manufacturing the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방전 전극(310) 사이에 방전 영역(321)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방전 영역(321)이 적층체(1000)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즉, 방전 영역(321)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도록 공극(320)을 마련하고, 상기 공극(320) 내에 방전 영역(321)이 수용되는 형태가 되도록 과전압 보호부(3000)를 마련한다. 이에 따라 방전 영역(321)이 그 주위의 적층체(1000) 또는 시트와 접촉되지 않으며, 방전 영역(321)의 주위에 소정의 공간인 열 차단 영역(322)이 마련된다. 따라서, ESD 등의 과전압이 방전 영역(321)으로 바이패스 될 때, 상기 방전 영역(321)에서 발생된 열은 열 차단 영역(322)을 거치므로, 열이 시트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전 영역(321)으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시트에 그레인(grain)이 성장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과전압 또는 열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방전 영역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누설 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전압 보호부 또는 복합 소자의 품질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in providing the
4. 외부 전극4. External electrode
외부 전극(4000; 4100, 4200)은 적층체(1000) 외부의 서로 대향되는 두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4000)은 X 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 적층체(1000)의 대향되는 두 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전극(4000)은 적층체(1000) 내부의 내부 전극(200) 및 방전 전극(3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극(4000)의 어느 하나는 전자기기 내부의 인쇄회로기판 등의 내부 회로와 접속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전자기기의 외부, 예를 들어 금속 케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부 전극(4100)은 내부 회로에 접속될 수 있고, 제 2 외부 전극(4200)은 금속 케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외부 전극(4200)은 도전성 부재, 예를 들어 컨택터 또는 도전성 가스켓을 통해 금속 케이스와 연결될 수 있다.The external electrodes 4000 (4100, 4200) may be provided on two surfaces opposite to each other outside the
이러한 외부 전극(4000)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전극(4000)은 도전성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침지 또는 인쇄 방법으로 형성하거나, 증착, 스퍼터링, 도금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전극(4000)은 Y 방향 및 Z 방향의 면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전극(4000)은 X 방향으로 대향되는 두 면으로부터 이와 인접한 네 면에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페이스트에 침지하는 경우 X 방향의 대향되는 두 측면뿐만 아니라 Y 방향의 전면 및 후면, 그리고 Z 방향의 상면 및 하면에도 외부 전극(40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인쇄, 증착, 스퍼터링, 도금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경우 X 방향의 두 면에 외부 전극(400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전극(4000)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일 측면 및 금속 케이스와 연결되는 타 측면뿐만 아니라 형성 방법 또는 공정 조건에 따라 그 이외의 영역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전극(4000)은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금, 은, 백금, 구리, 니켈, 팔라듐 및 이들의 합금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부 전극(200) 및 방전 전극(310)과 연결되는 외부 전극(4000)의 적어도 일부, 즉 적층체(1000)의 적어도 일 표면에 형성되어 내부 전극(200) 및 방전 전극(310)과 연결되는 외부 전극(4000)의 일부는 내부 전극(200) 및 방전 전극(310)과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전극(200) 및 방전 전극(310)이 구리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경우 외부 전극(4000)의 이들과 접촉되는 영역으로부터 적어도 일부는 구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구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침지 또는 인쇄 방법으로 형성하거나, 증착, 스퍼터링, 도금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전극(4000)은 도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금 공정으로 외부 전극(4000)을 형성하기 위해 적층체(1000)의 상하부면에 시드층을 형성한 후 시드층으로부터 도금층을 형성하여 외부 전극(400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전극(4000)의 내부 전극(200) 및 방전 전극(310)과 연결되는 적어도 일부는 외부 전극(4000)이 형성되는 적층체(1000)의 측면 전체일 수 있고, 일부 영역일 수도 있다.The
또한, 외부 전극(4000)은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극(4000)은 Cu, Ag 등의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고, 금속층 상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4000)은 구리층, Ni 도금층 및 Sn 또는 Sn/Ag 도금층이 적층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도금층은 Cu 도금층 및 Sn 도금층이 적층될 수도 있으며, Cu 도금층, Ni 도금층 및 Sn 도금층이 적층될 수도 있다. 또한, 외부 전극(4000)은 예를 들어 0.5%~20%의 Bi2O3 또는 SiO2를 주성분으로 하는 다성분계의 글래스 프릿(Glass frit)을 금속 분말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글래스 프릿과 금속 분말의 혼합물은 페이스트 형태로 제조되어 적층체(1000)의 두 면에 도포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 전극(4000)에 글래스 프릿이 포함됨으로써 외부 전극(4000)과 적층체(100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적층체(1000) 내부의 전극들의 콘택 반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글래스가 포함된 도전성 페이스트가 도포된 후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이 형성되어 외부 전극(400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글래스가 포함된 금속층과, 그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이 형성되어 외부 전극(400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4000)은 글래스 프릿과 Ag 및 Cu의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층을 형성한 후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을 통하여 Ni 도금층 및 Sn 도금층 순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Sn 도금층은 Ni 도금층과 같거나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외부 전극(4000)은 적어도 하나의 도금층만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페이스트를 도포하지 않고 적어도 1회의 도금 공정을 이용하여 적어도 일층의 도금층을 형성하여 외부 전극(40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 전극(4000)은 2㎛~10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Ni 도금층이 1㎛~10㎛의 두께로 형성되고, Sn 또는 Sn/Ag 도금층은 2㎛~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외부 전극(4000)은 서로 다른 외부 전극(4000)과 연결되는 내부 전극(200)과 소정 영역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부 전극(4100)의 적층체(1000) 하부 및 상부로 연장 형성된 부분은 내부 전극들(200)의 소정 영역과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외부 전극(4200)의 적층체(1000) 하부 및 상부로 연장 형성된 부분도 내부 전극들(200)의 소정 영역과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극(4000)의 적층체(1000) 상부 및 하부로 연장된 부분이 제 1 및 제 6 내부 전극(201, 206)과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외부 전극(4000)의 적어도 하나가 적층체(1000) 상면 및 하면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장된 부분의 적어도 하나가 내부 전극(200)과 일부 중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 전극(4000)과 중첩되는 내부 전극(200)의 면적은 내부 전극(200) 전체 면적의 1% 내지 10%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전극(4000)은 복수회의 공정에 의해 적층체(1000)의 상면 및 하면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이렇게 외부 전극(4000)과 내부 전극(200)을 중첩함으로써 외부 전극(4000)과 내부 전극(200) 사이에 소정의 기생 캐패시턴스가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6 내부 전극(201, 206)과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100, 4200)의 연장부 사이에 캐패시턴스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전극(4000)과 내부 전극(200)의 중첩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복합 소자의 캐패시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By overlapping the
5. 표면 개질 부재5. Surface modification member
적층체(1000)의 적어도 일 표면에는 표면 개질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표면 개질 부재는 외부 전극(4000)을 형성하기 이전에 적층체(1000)의 표면에 예를 들어 산화물을 분포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산화물은 결정 상태 또는 비결정 상태로 적층체(1000)의 표면에 분산되어 분포될 수 있다. 표면 개질 부재는 도금 공정으로 외부 전극(4000)을 형성할 때 도금 공정 이전에 적층체(1000) 표면에 분포될 수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는 외부 전극(4000)의 일부를 인쇄 공정으로 형성하기 이전에 분포시킬 수도 있고, 인쇄 공정 후 도금 공정을 실시하기 이전에 분포시킬 수도 있다. 물론, 인쇄 공정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 표면 개질 부재를 분포시킨 후 도금 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표면에 분포된 표면 개질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용융될 수 있다.A surface modification member (not shown)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한편, 표면 개질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동일한 크기로 적층체(1000)의 표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서로 다른 크기로 불규칙하게 분포될 수도 있다. 또한, 적층체(1000)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가 형성되어 볼록부가 형성되고 표면 개질 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패여 오목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표면 개질 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적층체(1000)의 표면보다 깊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는 소정 두께가 적층체(1000)의 소정 깊이로 박히고 나머지 두께가 적층체(1000)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층체(1000)에 박히는 두께는 산화물 입자의 평균 직경의 1/20 내지 1일 수 있다. 즉, 산화물 입자는 적층체(1000) 내부로 모두 함입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함입될 수 있다. 물론, 산화물 입자는 적층체(1000)의 표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산화물 입자는 적층체(1000)의 표면에서 반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구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표면 개질 부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적층체(1000)의 표면에 부분적으로 분포될 수도 있으며, 적어도 일 영역에 막 형태로 분포될 수도 있다. 즉, 산화물 입자가 적층체(1000)의 표면에 섬(island) 형태로 분포되어 표면 개질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 표면에 결정 상태 또는 비결정 상태의 산화물이 서로 이격되어 섬 형태로 분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층체(1000) 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산화물은 표면 개질 부재는 적어도 둘 이상이 연결되어 적어도 일 영역에는 막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일부에는 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적어도 둘 이상의 산화물 입자가 응집되거나 인접한 산화물 입자가 연결되어 막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산화물이 입자 상태로 존재하거나, 둘 이상의 입자가 응집되거나 연결된 경우에도 적층체(1000) 표면의 적어도 일부는 표면 개질 부재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다. Meanwhile,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modification member may be evenly distributed on the surface of the
이때, 표면 개질 부재의 총 면적은 적층체(1000) 표면 전체 면적의 예를 들어 5% 내지 90%일 수 있다. 표면 개질 부재의 면적에 따라 적층체(1000) 표면의 도금 번짐 현상이 제어될 수 있지만, 표면 개질 부재가 너무 많이 형성되면 적층체(1000) 내부의 도전 패턴과 외부 전극(400)의 접촉이 어려울 수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가 적층체(1000) 표면적의 5%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도금 번짐 현상의 제어가 어렵고, 90%를 초과하여 형성될 경우 적층체(1000) 내부의 도전 패턴과 외부 전극(400)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표면 개질 부재는 도금 번짐 현상을 제어할 수 있고 적층체(1000) 내부의 도전 패턴과 외부 전극(400)의 접촉될 수 있는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표면 개질 부재는 적층체(1000) 표면적의 10% 내지 90%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층체(1000)의 표면적은 일 면의 표면적일 수도 있고, 육면체를 이루는 적층체(1000)의 여섯면의 표면적일 수도 있다. 한편, 표면 개질 부재는 적층체(1000) 두께의 10% 이하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는 적층체(1000) 두께의 0.01% 내지 1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개질 부재는 0.1㎛~50㎛의 크기로 존재할 수 있는데, 그에 따라 표면 개질 부재는 적층체(1000) 표면으로부터 0.1㎛~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는 적층체(1000)의 표면보다 박힌 영역을 제외하고 적층체(1000) 표면으로부터 0.1㎛~50㎛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적층체(1000) 내측으로 박힌 두께를 포함하면 표면 BN 개질 부재는 0.1㎛~50㎛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질 수 있다. 표면 개질 부재가 적층체(1000) 두께의 0.01% 미만의 두께로 형성될 경우 도금 번짐 현상의 제어가 어렵고, 적층체(1000) 두께의 10%를 초과하는 두께로 형성될 경우 적층체(1000) 내부의 도전 패턴과 외부 전극(400)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는 적층체(1000)의 재료 특성(전도성, 반도성, 절연성, 자성체 등)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산화물 분말의 크기, 분포량, 응집 여부에 따라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total area of the surface modification member may be, for example, 5% to 90% of the total surface area of the
이렇게 적층체(1000)의 표면에 표면 개질 부재가 형성됨으로써 적층체(1000)의 표면은 성분이 다른 적어도 두 영역이 존재할 수 있다. 즉, 표면 개질 부재가 형성된 영역과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서로 다른 성분이 검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개질 부재가 형성된 영역은 표면 개질 부재에 따른 성분, 즉 산화물이 존재할 수 있고, 형성되지 않은 영역은 적층체(1000)에 따른 성분, 즉 시트의 성분이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 도금 공정 이전에 적층체(1000)의 표면에 표면 개질 부재를 분포시킴으로써 적층체(1000) 표면에 거칠기를 부여하여 개질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금 공정이 균일하게 실시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외부 전극(4000)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의 표면은 적어도 일 영역의 저항이 다른 영역의 저항과 다를 수 있는데, 저항이 불균일한 상태에서 도금 공정을 실시하면 도금층의 성장 불균일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층체(1000)의 표면에 입자 상태 또는 용융 상태의 산화물을 분산시켜 표면 개질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적층체(1000)의 표면을 개질시킬 수 있고, 도금층의 성장을 제어할 수 있다. As a surface modification membe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여기서, 적층체(1000)의 표면 저항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입자 상태 또는 용융 상태의 산화물은 예를 들어 Bi2O3, BO2, B2O3, ZnO, Co3O4, SiO2, Al2O3, MnO, H2BO3, Ca(CO3)2, Ca(NO3)2, CaCO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표면 개질 부재는 적층체(1000) 내의 적어도 하나의 시트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즉, 시트 상의 다양한 형상의 도전 패턴은 도금 공정으로 형성할 수도 있는데, 표면 개질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도전 패턴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oxide in a particle state or a molten state for uniformizing the surface resistance of the laminate 1000 is, for example, Bi 2 O 3 , BO 2 , B 2 O 3 , ZnO, Co 3 O 4 , SiO 2 , Al 2 O 3 , MnO, H 2 BO 3 , Ca(CO 3 ) 2 , Ca(NO 3 ) 2 , At least one of CaCO 3 may be used. Meanwhile, the surface modification member may also be formed on at least one sheet i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6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part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는 공극의 두께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감소하는데 있어서, 두께 감소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고 가변되도록 형성되었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hen the thickness of the void decreases toward the edge, the thickness decrease slope is not constant and is formed to be variable.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극(320)의 두께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감소하는데 있어서, 두께 감소 기울기가 일정할 수 있다. 이에, 공극(320)을 둘러싸는 제 8 시트(108)의 내면이 곡률을 가지지 않는 평면일 수 있다. 또한, 공극(320) 중 방전 영역(321)과 대응되는 영역은 그 두께의 변화가 없거나 동일하며, 방전 영역(321)의 외측 영역은 상기 방전 영역(3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일정하게 감소하는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방전 영역(321)의 외측 영역에 해당하는 시트의 내면은 곡률이 없는 평면일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s shown in FIG. 6, when the thickness of the void 320 decreases toward the edge, the thickness decrease slope may be constant. Thus, the inner surface of the
그리고, 상술한 제 1 변형예에서는 공극(320)의 두께가 가장자리로 갈수록 감소하는데 있어서, 두께 감소 기울기가 지속적으로 가변된다.And, in the above-described first modified example, as the thickness of the void 320 decreases toward the edge, the thickness decrease slope is continuously variable.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에 도시된 제 2 변형예와 같이, 방전 영역(321)의 외측에서 상기 방전 영역(321)으로부터 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제 1 기울기로 두께가 감소하다가, 소정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제 1 기울기보다 작은 제 2 기울기로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기울기를 가지는 영역에서의 두께에 비해 제 2 기울기를 가지는 영역에서의 두께가 작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ckness decreases from the outer side of the
도 8 내지 도 11은 제 1 실시예의 제 3 내지 제 6 변형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8 to 11 are enlarged views of a part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third to sixth modific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제 3 변형예 내지 제 6 변형예에 따른 공극(320)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3개의 영역(320a, 320b, 320c)으로 분할하여 설명한다. 즉, 공극(320)은 제 1 방전 전극(311)의 말단부가 노출되는 영역인 제 1 공간(320a), 제 1 공간(320a)의 상측으로 이격된 영역이며, 제 2 방전 전극(312)의 말단부가 노출되는 영역인 제 2 공간(320c) 및 제 1 공간(320a)과 제 2 공간(320c) 사이의 영역인 중간 공간(320b)을 포함한다.In describing the
여기서,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의 길이 및 폭은 상호 동일하고, 중간 공간(320b)의 길이 및 폭은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에 비해 작다. 그리고, 중간 공간(320b)은 제 1 공간(320a)의 중심과 제 2 공간(320c)의 중심을 연결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에,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극의 형상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파벳 'H'가 90°회전된 형상일 수 있다.Here, the length and width of the first and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과, 중간 공간(320b) 각각의 면적은 방전 영역(321)의 면적에 비해 크도록 마련된다. 이에, 방전 영역(321)의 두께 방향을 중심으로, 그 하부가 제 1 공간(320a) 내에, 상부가 제 2 공간(320c) 내에, 나머지가 중간 공간(320b) 내에 수용된다. 그리고, 방전 영역(321)은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다른 말로 설명하면, 방전 영역(321)은 공극(320)의 제 1 공간(320a)의 중심, 중간 공간(320b), 제 2 공간(320c)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Each of the first and
제 1 및 제 2 공간 각각(310a, 310c)은 그 가장자리 영역이 방전 영역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도록 마련된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paces 310a and 310c is provided so as to decrease in thickness as the edge region thereof moves away from the discharge region.
이때, 제 1 공간(320a) 중 제 1 방전 전극(311)과 마주하는 면을 일면,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면을 이면이라고 하고, 제 2 공간(320c) 중 제 2 방전 전극(312)과 마주하는 면을 일면, 상기 일면과 마주하는 면을 이면이라고 하면, 일면 및 이면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rface facing the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제 3 변형예와 같이 제 1 공간(320a)의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이면이 일면으로 가까워지는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 2 공간(320c)의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이면이 일면으로 가까워지는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의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두께가 작아지게 된다.For example, as in the third modified example illustrated in FIG. 8, the edge region of the
여기서,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와, 중간 공간(320b) 각각의 길이(X 방향 길이)(LS) 및 폭(Y 방향 길이)(WS)이 복합 소자의 길이(LC) 및 폭(WC) 각각의 5% 내지 80%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극(320)의 길이(X 방향 길이)(LS)가 복합 소자의 길이(LC)의 10% 내지 60%, 공극(320)의 폭(Y 방향 길이)(WS)이 복합 소자의 폭(WC)의 10% 내지 70%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Here, the length (length in the X direction) (L S ) and the width (length in the Y direction) (W S ) of each of the first and
또한, 적어도, 방전 영역(321)의 중심에서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b) 각각의 끝단까지의 길이(AS)는 복합 소자의 절반 길이(LC/2)의 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방전 영역(321)의 중심에서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b) 각각의 끝단까지의 길이 즉, 폭(BS)은 복합 소자의 절반 폭(WC/2)의 5%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the length A S from the center of the
다른 예로, 도 9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제 4 변형예와 같이 제 1 공간(320a)의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이면이 일면으로 가까워지는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 2 공간(320c)의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일면이 이면으로 가까워지는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의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두께가 작아지게 된다.As another example, as in the four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9, the edge region of the
또 다른 예로, 도 10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제 5 변형예와 같이, 제 1 공간(320a)의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일면이 이면과 가까워지는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 2 공간(320c)의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일면이 이면으로 가까워지는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의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그 두께가 작아지게 된다.As another example, as in the fif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0, the edge region of the
또한, 도 1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제 6 변형예와 같이,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 각각의 일면 및 이면 각각이 모두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in the six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 11, each of the first and
제 1 공간(320a) 가장자리의 일면 및 이면 모두가 경사진 형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공간(320a) 가장자리의 일면이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이면과 가까워지도록 상향 경사지고, 이면이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일면과 가까워지도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제 2 공간(320c) 가장자리의 일면 및 이면 모두가 경사진 형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공간(320c) 가장자리의 일면이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이면과 가까워지도록 하향 경사지고, 이면이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일면과 가까워지도록 상향 경사질 수 있다.When explaining in detail a shape in which both one side and the back side of the edg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 각각의 가장자리 영역에 있어서 일면 및 이면 중 적어도 하나가 경사지는데 있어서, 도 8 내지 도 11과 같이 두께 감소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게 가변될 수 있다. 이에,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 각각의 가장자리 영역의 일면 및 이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and the rear surface is inclined in the edge regions of each of the first and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장자리 영역의 두께 감소 기울기가 일정할 수 있다.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ickness reduction slope of the edge region may be constant.
또한,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 3 내지 제 6 변형예에서는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의 가장자리 영역이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되는 형상이다.In addition, in the third to sixth modified examples illustrated in FIGS. 8 to 11, the thickness of the edge regions of the first and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장자리 영역뿐만 아니라 나머지 영역에서도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 즉, 제 1 및 제 2 공간(320a, 320c)의 중심에서부터 끝단까지 전체에 걸쳐, 방전 영역(32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일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decreases not only in the edge region but also in the remaining region. That is, the thickness may decrease from the center to the end of the first and
도 12는 제 1 실시예의 제 7 변형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 1 실시예의 제 8 변형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12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a seven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ccording to the eigh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1 실시예의 제 1 내지 제 6 변형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의 그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되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2에 도시된 제 제 7 변형예와 같이 제 1 방전 전극과 제 2 방전 전극이 동일 평면 상에 마련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the first to sixth modific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discharge electrodes are formed to have different heigh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discharge electrode and the second discharge electrode may be provided on the same plane as in the seventh modified example illustrated in FIG. 12.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seventh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In this case, content overlapping with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는 복수의 시트(100; 101 내지 111)가 적층된 적층체(1000)와, 적층체(1000) 내에 마련되며 복수의 내부 전극(200; 201 내지 206)을 구비하는 캐패시터부(2000)와, 방전 전극(310; 311, 312)과 공극(320)을 구비하여 ESD 등의 과전압을 방호하는 과전압 보호부(3000), 적층체(10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측면에 형성되어 캐패시터부(2000)와 과전압 보호부(3000)와 연결되는 외부 전극(4100, 4200; 400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2,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seventh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aminate 1000 in which a plurality of sheets 100 (101 to 111) are stacked, and a plurality of internal electrodes provided in the
여기서, 캐패시터부(2000)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캐패시터부(2000)와 동일한 구성 및 형상일 수 있다. 즉, 캐패시터부(2000)는 제 1 내지 6 시트(101 내지 106)와, 제 1 내지 6 시트(101 내지 106) 상에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6 내부 전극(201 내지 206)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그리고, 제 6 시트(106) 및 제 6 내부 전극(206) 상에 제 7 시트(107), 제 7 시트(107) 상에 제 8 시트(108)가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0 시트(110) 상에는 제 11 시트(111)이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a
과전압 보호부(3000)는 제 8 시트(108) 상에 형성된 제 9 시트(109), 제 9 시트(109) 상에서 상호 마주보면서 이격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과 제 9 시트(109) 상에 형성된 제 10 시트(110), 제 9 및 제 10 시트(109, 110)를 관통하여 마련된 공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은 동일 평면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은 제 9 시트(109) 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The first and
그리고, 공극(3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9 및 제 10 시트(109, 110)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는데,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각각의 타단이 공극(320)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방전 전극(311)의 타단과 제 2 방전 전극(312)이 타단 사이의 공간이 방전 영역(321)이다.In addition, the void 320 may be provided through the ninth and
이때, 공극(320)의 면적이 방전 영역에 비해 크고, 공극(320) 내에 방전 영역(321)이 수용된 형태이며, 방전 영역(321)은 공극(320)이 형성된 제 9 및 제 10 시트(109, 110)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방전 영역(321)을 기준으로 측방향 뿐만 아니라, 상측 및 하측에도 열 차단 영역(322)이 마련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area of the void 320 is larger than that of the discharge area, and the
상술한 제 7 변형예에서는 제 9 시트(109) 상에서 상호 마주보면서 이격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1, 312) 사이에 방전 영역(321)이 위치되고, 상기 방전 영역(321)의 측방향, 상측 및 하측에 열 차단 영역(322)가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다.In the above-described seventh modified example, the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3에 도시된 제 8 변형예와 같이 방전 영역(321)의 측 방향 및 상측에 열 차단 영역(322)이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9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과전압 보호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제 10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과전압 보호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14 is an enlarged view of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nin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n enlarged view of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ten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과전압 보호부가 하나의 방전 영역 및 하나의 공극을 포함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제 9 변형예 및 제 10 변형예에 따른 과전압 보호부는 복수의 방전 영역 및 복수의 공극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includes one discharge region and one voi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s according to the ninth and tenth modifications illustrated in FIGS. 14 and 15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plurality of discharge regions and a plurality of voids.
예컨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압 보호부(3000)는 복수의 공극(320)이 상하로 적층 형성되고, 각 공극(320) 내에 방전 영역(321)이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과전압 보호부(3000)는 제 1 내지 제 3 방전 전극(311, 312, 313), 이들 사이에 마련된 시트(108, 109), 제 1 방전 전극(311)과 제 2 방전 전극(312) 사이에 마련된 공극(320), 제 2 방전 전극(312)과 제 3 방전 전극(313) 사이에 마련된 공극(320)을 포함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4, the
여기서, 제 1 방전 전극(311)의 말단부와 제 2 방전 전극(312)의 말단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이들 사이에 방전 영역(321)이 마련되고, 제 2 방전 전극(312)의 말단부와 제 3 방전 전극(313)의 말단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마련되어, 이들 사이에 방전 영역(321)이 마련된다. 이에, 복수의 공극(320)이 적층 형성되고, 각 공극(320) 내에 방전 영역이 마련된 과전압 보호부(3000)가 마련된다.Here, the distal end of the
다른 예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전압 보호부(3000)는 복수의 공극(320)이 적층체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나열 형성되고, 각 공극(320) 내에 방전 영역이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15, the
즉, 과전압 보호부(3000)는 제 7 시트(107)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이격 형성된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2), 제 1 및 제 2 방전 전극(312)과 제 7 시트(107) 상에 형성된 제 8 시트(108), 제 8 시트(108)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어 이격 형성된 복수의 제 3 및 제 4 방전 전극(313, 314)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여기서, 제 2 방전 전극(312)은 그 일단이 제 2 외부 전극(4200)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 1 외부 전극(4100)과 이격되며, 제 1 방전 전극(311)은 제 1 외부 전극(4100)과 제 2 방전 전극(312) 사이에 위치하고, 일단 및 타단이 이들과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다. 또한, 제 3 방전 전극(313)은 그 일단이 제 1 외부 전극(41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외부 전극(4200)과 이격되며, 제 4 방전 전극(314)은 제 3 방전 전극(203)과 제 2 외부 전극(4200) 사이에 위치되며, 일단 및 타단이 이들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Here, the
그리고, 제 1 방전 전극(311)에 있어서 일단을 포함하는 말단부가 제 3 방전 전극(313)의 타단을 포함하는 말단부와 중첩되고, 제 1 방전 전극(311)의 타단을 포함하는 말단부는 제 4 방전 전극(314)의 일단을 포함하는 말단부와 중첩된다. 또한 제 2 방전 전극(312)에 있어서, 타단을 포함하는 말단부가 제 4 방전 전극(314)의 타단을 포함하는 말단부와 중첩된다.In addition, in the
이에, 제 1 방전 전극(311)의 말단부와 제 3 및 제 4 방전 전극(313, 314) 말단부 사이에 방전 영역(321)이 마련되고, 제 2 방전 전극(312)의 말단부와 제 4 방전 전극(314) 말단부 사이에 방전 영역(321)이 마련된다. 즉, 총 3 개의 방전 영역이 마련된다.Accordingly, a
또한, 상술한 3 개의 방전 영역(321) 내에 수용되는 형태로 공극(321)이 마련된다. 즉, 공극(320) 면적은 방전 영역(321)에 비해 크다.In addition, the
도 1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제 11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n eleven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1 내지 제 10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는 캐패시터부(2000)와 과전압 보호부(3000)가 함께 제조되어 상호 접합 또는 결합된다.In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the first to tenth modifications, the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6에 도시된 제 11 변형예와 같이, 캐패시터부(2000)와 과전압 보호부(3000)를 별도로 제조하고, 이들을 별도의 결합부(5000)를 이용하여 상호 접합 또는 결합시킬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여기서, 결합부(5000)는 캐패시터부(2000) 및 과전압 보호부(3000) 중 적어도 하나의 시트와 동일한 재료이거나 다른 재료일 수 있다. 결합부(5000)가 캐패시터부(2000) 및 과전압 보호부(3000)와 다른 재료로 마련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5000)는 예컨대 글래스 페이스트, 폴리머 페이스트, 올리고머 페이스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글래스가 포함된 페이스트, 폴리머가 포함된 페이스트 및 올리고머가 포함된 페이스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글래스 페이스트는 SiO2, BiO2, B2O3, BaO, Al2O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폴리머 페이스트는 Si 수지 및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올리고머 페이스트는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에폭시 수지로는 노볼락(novolac)계, 비스페놀(bisphenol)계, 아민(amine)계, 시클로알리파틱(cycloalipatic)계, 브롬계 에폭시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도 17은 본 발명의 제 제 1 실시예의 제 12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twelfth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들에서는 하나의 캐패시터부(2000)와 하나의 과전압 보호부(3000)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7에 도시된 제 제 12 변형예와 같이 과전압 보호부(3000)를 사이에 두고 상측 및 하측 각각에 캐패시터부(2000a, 2000b)가 마련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it has been described that one
여기서, 제 1 캐패시터부(2000a)는 제 1 내지 6 시트(101 내지 106)와, 제 1 내지 6 시트(101 내지 106) 상에 각각 형성된 제 1 내지 제 6 내부 전극(201 내지 206)을 포함하고, 제 2 캐패시터부(200b)는 제 9 내지 14 시트(109 내지 114)와, 제 9 내지 14 시트(109 내지 114) 상에 각각 형성된 제 7 내지 제 12 내부 전극(207 내지 212)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변형예들은 위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호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irst and modified examples are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and may be variously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한 바와 같은 복합 소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10)와 내부 회로(2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외부 전극(4000)의 어느 하나가 내부 회로(20)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하나가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외부 전극(4100)이 내부 회로(20)에 연결되고, 제 2 외부 전극(4200)이 금속 케이스(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내부 회로(20) 내에 접지 단자가 마련될 수 있고, 내부 회로(20) 이외의 영역에 접지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케이스(10)와 내부 회로(20) 사이에 접지 단자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복합 소자는 내부 회로(20)를 통해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고, 내부 회로(20)와 접지 단자 사이에 병렬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복합 소자와 내부 회로(20)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예를 들어 다이오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The composite device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외부 전극(4200)과 금속 케이스(10) 사이에 콘택터, 도전성 가스켓 등의 도전성 부재를 이용한 콘택부(3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 내부, 예를 들어 내부 회로(20) 또는 접지 단자로부터 금속 케이스(10)로 전달되는 감전 전압을 차단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내부 회로(20)로 인가되는 ESD 등의 과전압을 접지 단자로 통과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복합 소자는 정격 전압 및 감전 전압에서는 외부 전극(4000) 사이에서 전류가 흐르지 못하고, ESD 전압에서는 공극(320)을 통해 전류가 흘러 과전압이 접지 단자로 통과된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통신 신호, 즉 교류 주파수는 내부 전극(200) 사이에 형성되는 캐패시터에 의해 내부 회로(20)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안테나가 마련되지 않고 금속 케이스(10)를 안테나로 이용하는 경우에도 외부로부터 통신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소자는 감전 전압을 차단하고, ESD 전압을 접지 단자로 통과시키며, 통신 신호를 내부 회로로 인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9, a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방전 전극(310) 사이에 방전 영역(321)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방전 영역(321)이 시트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즉, 방전 영역(321)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도록 공극(320)을 마련하고, 상기 공극(320) 내에 방전 영역(321)이 수용되는 형태가 되도록 과전압 보호부(3000)를 마련한다. 이에 따라 방전 영역(321) 그 주위의 적층체(1000) 접촉되지 않으며, 방전 영역(321)의 주위에 소정의 공간인 열 차단 영역(322)이 마련된다. 따라서, ESD 등의 과전압이 방전 영역(321)으로 바이패스 될 때, 상기 방전 영역(321)에서 발생된 열은 열 차단 영역(322)을 거치므로, 열이 시트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전 영역(321)으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시트에 그레인(grain)이 성장되어 누설 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전압 보호부의 품질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the
본 발명은 스마트 폰의 전자기기 내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ESD 등의 과전압으로부터 전자기기를 보호하고, 전자기기 내부로부터의 누설 전류를 차단하여 사용자를 보호하는 복합 소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복합 소자는 스마트 폰 이외에 각종 전기전자 기기 내에 마련되어 적어 둘 이상의 보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 complex device that is provided in an electronic device of a smart phone and protects the electronic device from overvoltage such as ESD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blocks leakage current from the inside of the electronic device to protect the user. However, the composit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a smart phone to perform at least two protection functions.
한편, 금속 케이스(10)와 복합 소자 사이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케이스(1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콘택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자기기의 금속 케이스(10)와 내부 회로(20) 사이에 콘택부(30)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소자가 마련될 수 있다. 콘택부(30)는 전자기기의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도전성의 물질을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콘택부(30)는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clip) 형상일 수 있으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가스켓일 수도 있다. 또한, 콘택부(30)는 적어도 일 영역이 내부 회로(20), 예를 들어 PCB에 실장될 수 있다. 이러한 콘택부(30)를 포함하는 복합 소자를 도 20 및 도 21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between the
금속 케이스(10)와 내부 회로(20) 사이에 복합 소자가 마련되고, 복합 소자의 제 2 외부 전극(4200) 상에 도 20 및 도 21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립 형상의 콘택부(5100) 또는 도전성 물질층을 이용한 콘택부(5200)가 마련될 수 있다. 콘택부(5100, 5200)는 전자 기기의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질 때, 그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며, 도전성의 물질을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한편, 복합 소자의 제 1 외부 전극(4100)은 내부 회로(20)에 접촉되어 마련될 수 있고, 내부 회로(20)와 제 1 외부 전극(4100) 사이에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금속층이 더 마련될 수 있다.A composite element is provided between the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부(5100)는 클립(clip) 형상일 수 있다. 클립 형상의 콘택부(5100)는 복합 소자 상에 마련된 지지부(5110)와, 지지부(5110)의 상측에 마련되어 금속 케이스 등의 도전체와 대향 위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도전체와 접촉될 수 있는 접촉부(5120)와, 지지부(5110) 및 접촉부(5120)의 일측 사이에 마련되어 이들을 연결하도록 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연결부(5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5130)는 지지부(5110)의 일단과 접촉부(5120)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데,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연결부(5130)은 외력에 의해 가압되면 회로 기판(20)이 위치된 방향으로 눌려지고, 외력이 해제되면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력을 가진다. 따라서, 콘택부(5100)는 적어도 연결부(5130)가 탄성력을 갖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the contact portion 5100 may have a clip shape. The clip-shaped contact part 5100 is provided on the
또한, 본 발명의 콘택부는 전도성 및 탄성을 가지는 클립 형태 이외에 전도성 고무, 전도성 실리콘, 내부에 전도성 도선이 삽입된 탄성체, 표면이 도체로 코팅 또는 접합된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부(5200)는 전도성 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가스켓의 경우 내부는 비전도성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외부는 전도성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전도성 가스켓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절연 탄성 코어와, 절연 탄성 코어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 탄성 코어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튜브 형상으로, 단면은 대략 사각형이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 탄성 코어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절연 탄성 코어는 실리콘 또는 탄성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전층은 절연 탄성 코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층은 적어도 하나의 금속층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금, 은, 구리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전층이 형성되지 않고 탄성 코어에 도전성 파우더가 혼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ac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ductive rubber, a conductive silicone, an elastic body having a conductive wire inserted therein, and a gasket having a surface coated or bonded with a conductor in addition to a clip having conductivity and elasticity.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21, the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1 실시예의 제 1 내지 제 11 변형예에 따른 복합 소자는 캐패시터부와 과전압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즉, 과전압 보호부 및 상기 과전압 보호부와 다른 기능을 하는 기능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기능부로 캐패시터부가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the first to eleventh modifications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capacitor unit and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That is, it includes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nd a functional unit that functions differently from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nd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capacitor unit is applied as the function unit.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합 소자는 과전압 보호부와 다른 기능을 하는 기능부로서 노이즈 필터가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합 소자는 과전압 보호부 및 노이즈 필터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posite elemen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noise filter is applied as a functional unit that functions differently from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That is, the composite device may be provided to include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nd a noise filter.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외부에서 바라본 입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단면도로서, 도 22의 A-A' 라인을 절취한 단면도이다.22 is a three-dimensional view as viewed from the outside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22.
이하,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를 설명한다. 이때,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2 to 24. In this case, the description overlapping with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will be omitted or briefly described.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는 복수의 시트(121 내지 127; 100)가 적층된 적층체(1000), 적층체(1000) 내에 마련된 노이즈 필터부(6000) 및 과전압 보호부(3000), 적층체(1000) 외부에 마련된 외부 전극(4100 내지 4600; 4000)을 포함한다.22 to 24,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1. 적층체One. Laminate
적층체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적층체와 유사 또는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적층체(1000)는 복수의 시트(121 내지 127; 100)가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층체(1000)는 하부 및 상부의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커버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는 최하층 및 최상층에 각각 마련된 커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층은 상부 또는 하부에 하나만 마련될 수도 있고, 상부 및 하부에 모두 마련될 수도 있다. 물론, 별도의 커버층이 마련되지 않고 최하층의 시트, 즉 제 1 시트(121)가 하부 커버층으로 기능하고, 최상층의 시트, 즉 제 7 시트(127)가 상부 커버층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The laminate may be similar or identical to the laminate of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pecifically, the
적층체(100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적층체(1000)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직교하는 일 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및 타 방향(예를 들어 Y 방향)으로 각각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고, 수직 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이러한 적층체(1000)의 외면에는 복수의 외부 전극(4100 내지 4600)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육면체 형상의 적층체(1000)에서 X 방향의 양 외측면(제 1 및 제 2 면)에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100, 4200)이 형성된다. 이에, 제 1 외부 전극(4100)과 제 2 외부 전극(4200)은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또한, 적층체(1000)에서 Y 방향의 양 외측면 중 일면(제 3 면)에 제 3 및 제 4 외부 전극(4300, 44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3 외부 전극(4300)과 제 4 외부 전극(4400)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100, 4200)의 나열 방향 즉, X 방향으로 나열되어 이격 형성된다. 그리고, 적층체(1000)에서 Y 방향의 양 외측면 중 타면(제 4 면)에 제 5 및 제 6 외부 전극(4500, 460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5 외부 전극(4500)과 제 6 외부 전극(4600)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100, 4200)의 나열 방향 즉, X 방향으로 나열되어 이격 형성된다. 또한, 제 5 외부 전극(4500)은 제 3 외부 전극(4300)과 마주보고, 제 6 외부 전극(4600)은 제 4 외부 전극(4400)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노이즈 필터부(6000)가 구현된 시트, 즉 제 1 내지 제 4 시트(121 내지 124)는 비자성체 시트일 수 있고, 과전압 보호부(3000)가 구현되는 시트, 즉 제 5 시트 내지 제 7 시트(125 내지 127)는 유전체 시트일 수 있다.The sheet on which the
2. 노이즈 필터부2. Noise filter part
노이즈 필터부(6000)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시트 예컨대 제 1 내지 제 4 시트(121 내지 124)가 적층될 수 있는데, 복수의 시트(121 내지 124)에는 인출 전극, 코일 패턴, 전도성 물질이 매립된 홀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3 and 24, the
즉, 노이즈 필터부(6000)는 제 1 내지 제 4 시트(121 내지 124), 제 1 내지 제 4 시트(121 내지 124)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도전 물질이 매립된 복수의 홀(h1, h2, h3, h4), 제 1 내지 제 4 시트(121 내지 124) 상에 형성된 코일 패턴(610, 620, 630, 640), 제 1 내지 제 4 시트(121 내지 124) 상에 형성되며 코일 패턴(610, 620, 630, 640)과 연결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인출 전극(611, 612, 613, 613)을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도전 물질이 매립된 복수의 홀(h1, h2, h3, h4)은 수직 연결 배선을 형성한다. 즉, 제 2 시트(122) 상에 마련된 제 1 홀(h1)과 제 3 시트(123) 상에 형성된 제 2 홀(h2)이 수직 연결 배선을 형성하고, 제 3 시트(123) 상에 마련된 제 3 홀(h3)과 제 4 시트(124) 상에 마련된 제 4 홀(h4)이 수직 연결 배선을 형성한다.The plurality of holes h1, h2, h3, and h4 in which the conductive material is buried form vertical connection wiring. That is, the first hole h1 provided on the
노이즈 필터부(60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제 1 시트(121)는 소정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시트(121)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시트(121)에는 제 1 코일 패턴(610) 및 제 1 인출 전극(611)이 형성된다. 제 1 코일 패턴(610)은 제 1 코일 패턴(610)은 소정의 폭 및 간격을 가지며, 반시계 방향으로 외측으로 회전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코일 패턴(610)은 제 1 시트(121)의 중앙 영역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코일 패턴(610)은 3 내지 8의 턴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코일 패턴(610)은 끝단이 제 1 인출 전극(611)과 연결된다. 제 1 인출 전극(611)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제 1 시트(121)의 일 변 예컨대, 제 3 및 제 4 외부 전극(4300, 4400)이 형성되는 변이며, 적층체(1000)의 제 3 면을 구성하는 변(이하, 제 3 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 1 인출 전극(611)은 제 1 코일 패턴(610)으로부터 제 1 시트(121)의 제 3 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인출 전극(611)은 제 2 시트(122)에 형성된 제 2 인출 전극(621)과 X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제 3 시트(123)에 형성된 제 3 인출 전극(631)과 Y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인출 전극(611)은 적층체(1000)의 제 3 면에 형성된 제 3 외부 전극(4300)과 연결된다. 또한, 제 1 인출 전극(611)은 제 1 코일 패턴(61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 3 외부 전극(4300)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저항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The
제 2 시트(122)는 제 1 시트(121)와 대응하는 또는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 2 시트(122)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 시트(122)에는 제 1 홀(h1), 제 2 코일 패턴(620) 및 제 2 인출 전극(621)이 형성된다. 제 1 홀(h1)은 제 2 시트(1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 2 시트(122)의 정중앙 지점에서 일 방향으로 이격되어 소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정중앙 지점은 네 모서리로부터 대각선으로 가상의 선을 그었을 때, 두 대각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시트(122)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 1 홀(h1)은 제 2 시트(122)의 정중앙 지점에서 예를 들어 제 1 외부 전극(4100)과 제 2 외부 전극(4200)의 나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 1 홀(h1)은 제 2 시트(122)의 정중앙 지점에서 적층체(1000)의 제 1 면 및 제 2 면을 구성하는 변인 제 1 변과 제 2 변의 나열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홀(h1)은 제 3 시트(123)에 형성된 제 2 홀(h2)과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홀(h1)에는 도전 물질이 매립되는데, 예를 들어 금속 물질의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매립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 3 시트(123)의 제 2 홀(h2)과 연결된다. 또한, 제 2 코일 패턴(620)은 제 1 홀(h1)과 소정 간격 이격된 영역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턴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코일 패턴(620)은 제 2 시트(122)의 정중앙 지점으로부터 제 1 홀(h1)의 이격 거리와 동일 거리로 정중앙 지점으로부터 타 방향으로 이격된 소정 영역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3 시트(123)에 형성된 제 3 홀(h3)과 동일 위치로부터 제 2 코일 패턴(6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코일 패턴(620)은 제 2 시트(122)의 중앙 영역 및 제 1 홀(h1)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 1 코일 패턴(6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코일 패턴(620)은 소정의 폭 및 간격을 가지며, 반시계 방향으로 외측으로 회전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코일 패턴(620)의 끝단은 제 2 인출 전극(621)과 연결된다. 제 2 인출 전극(621)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제 2 시트(122)의 일 변 예컨대, 제 3 및 제 4 외부 전극(4300, 4400)이 형성되는 변이며, 적층체(1000)의 제 3 면을 구성하는 제 3 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 2 인출 전극(621)은 제 2 코일 패턴(620)으로부터 제 2 시트(122)의 제 3 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인출 전극(621)은 제 1 시트(121)에 형성된 제 1 인출 전극(611)과 X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제 4 시트(124)에 형성된 제 4 인출 전극(641)과 반대 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 인출 전극(621)은 제 4 인출 전극(641)과 Y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인출 전극(621)은 제 4 외부 전극(4400)과 연결된다. 이때, 제 2 인출 전극(621)은 제 2 코일 패턴(62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 4 외부 전극(4400)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저항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The
제 3 시트(123)에는 두 개의 홀 즉, 제 2 및 제 3 홀(h2, h3), 제 3 코일 패턴(630) 및 제 3 인출 전극(631)이 형성된다. 제 2 홀(h2)과 제 3 홀(h3) 각각은 제 3 시트(123)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홀(h2)은 제 1 홀(h1)과 동일 위치에 형성되고, 제 3 홀(h3)은 제 4 시트(124)에 형성되는 제 4 홀(h4)과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및 제 3 홀(h2, h3)에는 도전 물질이 매립되는데, 금속 물질의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매립될 수 있다. 이에, 제 2 홀(h2)은 도전 물질에 의해 제 1 홀(h1)과 연결되고, 제 3 홀(h3)은 도전 물질에 의해 제 4 시트(124)에 마련된 제 4 홀(h4)과 연결된다. 제 3 코일 패턴(630)은 소정의 폭 및 간격을 가지며, 제 2 홀(h2)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턴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 3 코일 패턴(630)은 제 1 및 제 2 코일 패턴(610, 620)과 반대 방향, 제 4 시트(124)에 형성된 제 4 코일 패턴(640)과 동일한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3 코일 패턴(630)은 제 3 시트(123)의 중앙 영역 및 제 3 홀(h3)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코일 패턴(630)의 끝단은 제 3 인출 전극(631)과 연결된다. 제 3 인출 전극(631)은 제 3 시트(123)의 타 변 예컨대, 제 5 및 제 6 외부 전극(4500, 4600)이 형성되는 변이며, 적층체(1000)의 제 4 면을 구성하는 변(이하, 제 4 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 3 인출 전극(631)은 제 3 코일 패턴(630)으로부터 제 3 시트(123)의 제 4 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제 3 코일 패턴(630)은 제 4 시트(124)에 형성된 제 4 인출 전극(641)과 동일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3 인출 전극(631)은 제 4 인출 전극(641)과 X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제 1 시트(121)에 형성된 제 1 인출 전극(611)과 Y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3 인출 전극(631)은 제 5 외부 전극(45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3 인출 전극(631)은 제 3 코일 패턴(63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 5 외부 전극(4500)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저항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Two holes, that is, second and third holes h2 and h3, a
제 4 시트(124)에는 도전 물질이 매립된 제 4 홀(h4), 제 4 코일 패턴(640) 및 제 4 인출 전극(641)이 형성된다. 제 4 시트(124)는 소정 두께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4 홀(h4)은 제 4 시트(124)의 정중앙 지점에서 일 방향으로 이격되어 소정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시트(124)가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제 4 홀(h4)은 제 4 시트(124)의 정중앙 지점에서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100, 4200)의 나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4 홀(h4)에는 도전 물질이 매립되는데, 금속 물질의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매립될 수 있다. 또한, 제 4 코일 패턴(640)은 제 4 홀(h4)로부터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정의 턴 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코일 패턴(640)은 제 3 코일 패턴(630)과 동일 방향, 제 1 및 제 2 코일 패턴(610, 620)과 반대 방향 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4 코일 패턴(640)은 제 4 시트(124)의 중앙 영역을 지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4 코일 패턴(640)의 끝단은 제 4 인출 전극(641)과 연결된다. 제 4 인출 전극(641)은 소정의 폭으로 형성되어 제 4 시트(124)의 제 4 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 4 인출 전극(641)은 제 4 코일 패턴(640)으로부터 제 4 시트(124)의 제 4 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에, 제 4 인출 전극(641)은 제 3 인출 전극(631)과 동일하고,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611, 621)과 반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4 인출 전극(641)은 제 3 인출 전극(631)과 X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고, 제 2 인출 전극(621)과 Y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4 인출 전극(641)은 제 6 외부 전극(4600)과 연결된다. 또한, 제 4 인출 전극(641)은 제 4 코일 패턴(640)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 6 외부 전극(4600)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저항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The
이러한 노이즈 필터부(6000)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시트(122) 상에 마련된 제 1 홀(h1)과 제 3 시트(123) 상에 형성된 제 2 홀(h2)이 수직 연결 배선을 형성하고, 제 3 시트(123) 상에 마련된 제 3 홀(h3)과 제 4 시트(124) 상에 마련된 제 4 홀(h4)이 수직 연결 배선을 형성한다. 이를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 1 코일 패턴(610)과 제 3 코일 패턴(630)이 서로 연결되고, 제 2 코일 패턴(620)과 제 4 코일 패턴(640)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코일 패턴(610)과 이와 연결된 제 3 코일 패턴(630)이 제 1 인덕터를 구성하고, 제 2 코일 패턴(620)과 이와 연결된 제 4 코일 패턴(640)이 제 2 인덕터를 구성하게 된다. 이에, 제 1 코일 패턴과 제 3 코일 패턴의 연결 및 제 2 코일 패턴과 제 4 코일 패턴이 연결된 커먼 모드 필터가 마련된다.According to the
상기에서는 네 개의 코일 패턴이 형성되고 두 개씩 연결되어 각각 인덕터를 구현하였지만, 네 개 이상 복수의 코일 패턴이 형성되고, 세개 이상이 코일 패턴이 연결되어 인덕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인덕턴스가 다를 수도 있다. 인덕턴스를 다르게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코일 패턴의 턴수를 다르게 할 수 있다.In the above, four coil patterns are formed and two are connected to each implement an inductor, but four or more coil patterns are formed, and three or more coil patterns are connected to implement an inductor. In addition, the inductances of the plurality of inductors may all be the same, or at least one inductance may be different. In order to make the inductance different, for example, the number of turns of the coil pattern can be different.
3. 과전압 보호부3. Overvoltage protection
과전압 보호부(3000)는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 개의 방전 전극(330a, 330b)과, 두 개의 방전 전극(330a, 330b) 사이에 공극(3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과전압 보호부(3000)는 제 5 시트(125), 제 5 시트(125) 상에 형성된 제 1 방전 전극(330a), 제 5 시트(125) 및 제 1 방전 전극(330a) 상에 형성된 제 6 시트(126), 제 6 시트(126)를 관통하여 또는 제 6 시트(126) 상에 마련된 복수의 공극(340a, 340b, 340c, 340d; 340) 및 제 7 시트(127)에서 제 6 시트(126)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복수의 방전 전극(332, 333, 334, 335; 33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7 시트(127) 상에서 제 6 시트(126)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는 방전 전극은, 노이즈 필터부(6000)의 인출 전극(611, 621, 631 641)과 동일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The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5 시트(125) 상에 형성된 방전 전극을 제 1 방전 전극(330a)이라 명명한다. 또한, 제 7 시트(127)에서 제 6 시트(126)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 복수의 방전 전극을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이라 명명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discharge electrode formed on the
이를 반영하여 다시 설명하면,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들과 제 1 방전 전극(330a)은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다. 예컨대, 제 1 방전 전극(330a)이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들의 하측에 위치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들이 제 1 방전 전극(330a)의 상측에 위치한다.Reflecting this and describing again, the second to
제 1 방전 전극(330a)은 제 5 시트(125) 상에 형성되며, 그 양단이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100, 4200)과 연결된다. 즉, 제 1 방전 전극(330a)은 X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단이 제 5 시트(125)의 제 1 변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제 5 시트(125)의 제 2 변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노출된 제 1 방전 전극(330a)의 일단은 제 1 외부 전극(4100)과 연결되고, 타단은 제 2 외부 전극(42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방전 전극(330a)은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 각각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 1 방전 전극(330a)은,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의 일부 예컨대, 말단부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 각각의 양 끝단 중, 외부 전극과 연결되지 않은 끝단을 포함하는 말단부와 제 1 방전 전극(330a)이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은 제 7 시트(127) 상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7 시트(127) 중 제 6 시트(126)와 마주하는 면 즉, 하부면에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의 위치는 제 6 시트(126)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 각각은 제 1 방전 전극(330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제 3 및 제 4 외부 전극(4300, 4400)과 제 5 및 제 6 외부 전극(4500, 4600)의 나열 방향 즉, Y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및 제 3 방전 전극(332, 333)은 적층체(1000)의 제 3 면을 구성하는 변인 제 3 변으로부터 제 4 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방전 전극(332)과 제 3 방전 전극(333)은 제 1 외부 전극(4100)과 제 2 외부 전극(4200)의 나열 방향 즉, X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제 2 방전 전극(332)은 제 3 변으로 노출되는 일단이 제 3 외부 전극(4300)과 연결되고, 제 3 방전 전극(333)은 제 3 변으로 노출되는 일단이 제 4 외부 전극(44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 2 및 제 3 방전 전극(332, 333) 각각의 타단은 제 5 및 제 6 외부 전극(4500, 4600)과 이격 된다. 제 4 및 제 5 방전 전극(334, 335)은 적층체(1000)의 제 4 면을 구성하는 변인 제 4 변으로부터 제 3 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4 방전 전극(334)과 제 5 방전 전극(335)은 제 1 외부 전극(4100)과 제 2 외부 전극(4200)의 나열 방향 즉, X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제 4 방전 전극(334)은 제 4 변으로 노출되는 일단이 제 5 외부 전극(4500)과 연결되고, 제 5 방전 전극(335)은 제 4 변으로 노출되는 일단이 제 6 외부 전극(46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 4 및 제 5 방전 전극(334, 335) 각각의 타단은 제 3 및 제 4 외부 전극(4300, 4400)과 이격 된다.The second to
또한,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은 복수의 노이즈 필터부(6000)의 인출 전극과 동일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방전 전극(332)은 적어도 일부가 제 1 인출 전극(611)과 중첩되고, 제 3 방전 전극(333)은 적어도 일부가 제 2 인출 전극(621)과 중첩되며, 제 4 방전 전극(334)은 적어도 일부가 제 3 인출 전극(631)과 중첩되고, 제 5 방전 전극(335)은 적어도 일부가 제 4 인출 전극(641)과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 2 방전 전극(332)은 제 3 외부 전극(4300)과 연결되고, 제 3 방전 전극(333)은 제 4 외부 전극(4400)과 연결되며, 제 4 방전 전극(334)은 제 5 외부 전극(4500)과 연결되고, 제 5 방전 전극(335)은 제 6 외부 전극과 연결된다.Further, the second to
상술한 바와 같은 방전 전극(330a, 330b)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Ag, Au, Pt, Pd, Ni, Cu, Al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합금의 경우 예를 들어 Ag와 Pd 합금을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방전 전극(330a, 330b)은 노이즈 필터부(6000)의 코일 패턴들과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전 전극(330a, 330b)은 노이즈 필터부(6000)의 코일 패턴의 두께에 비해 작거나, 크거나 또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공극(340a, 340b, 340c, 340d; 34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제 1 방전 전극(330a)과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 6 시트(126)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공극(340)은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의 말단부와 제 1 방전 전극(330a) 사이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 각각의 말단부는 공극(340) 내부에 수용 또는 노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 1 방전 전극(330a) 중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과 마주보는 각 영역이 공극(340) 내부에 수용 또는 노출되게 형성된다.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공극(340)은 노이즈 필터부(6000)의 인출 전극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 예컨대 4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노이즈 필터부의 복수의 인출 전극 각각으로부터 들어오는 과전압이 바이패스 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number of voids 340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lead electrodes of the
그리고 제 1 내지 제 4 공극(340a, 340b, 340c, 340d) 중, 제 1 공극(340a)은 제 2 방전 전극(332)의 말단부와 제 1 방전 전극(330a) 사이, 제 2 공극(340b)은 제 3 방전 전극(333)의 말단부와 제 1 방전 전극(330a) 사이, 제 3 공극(340c)은 제 4 방전 전극(334)의 말단부와 제 1 방전 전극(330a) 사이, 제 4 공극(340d)은 제 5 방전 전극(335)의 말단부와 제 1 방전 전극(330a)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 2 방전 전극(332)의 말단부 및 이와 마주보는 제 1 방전 전극(330a) 영역이 제 1 공극(340a)에 수용 또는 노출되게 형성되고, 제 3 방전 전극(333)의 말단부 및 이와 마주보는 제 1 방전 전극(330a) 영역이 제 2 공극(340b)에 수용 또는 노출되게 형성되며, 제 4 방전 전극(334)의 말단부 및 이와 마주보는 제 1 방전 전극(330a) 영역이 제 3 공극(340c)에 수용 또는 노출되게 형성되고, 제 5 방전 전극(335)의 말단부 및 이와 마주보는 제 1 방전 전극(330a) 영역이 제 4 공극(340d)에 수용 또는 노출되게 형성된다.And among the first to
여기서, 제 1 내지 제 4 공극(340a, 340b, 340c, 340d) 각각에 있어서,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과 제 1 방전 전극(330a)이 마주보는 영역은 ESD 등과 같은 과전압을 바이패스시키는 통로 즉, 방전 영역(341)이다.Here, in each of the first to
공극(340)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방전 영역(341)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하고, 공극(340) 내에 방전 영역(341)이 수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공극(340)은 방전 영역(341) 및 상기 방전 영역(341)의 주변에 위치한 빈 공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빈 공간이 열 차단 영역(342)이다. 이에, 공극(340)은 방전 영역(341) 및 방전 영역(341)을 둘러싸는 또는 방전 영역(341) 주위의 형성된 열 차단 영역(342)을 포함한다.In the provision of the void 340, it is form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이를 위해, 공극(340)은 그 길이(X 방향 길이)(LS) 및 폭(Y 방향 갈이)(WS)이 방전 영역(341)의 길이(X 방향 길이) 및 폭(Y 방향 길이)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극(340)은 수평 방향 거리가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들과 제 1 방전 전극(330a) 간의 이격 거리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극(340)의 길이(X 방향 길이(Ls) 및 폭(Y 방향 길이)(Ws)은 Z 방향 길이 즉, 두께(Hs)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공극(340)의 Z 방향 길이 즉, 두께(Hs)는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들과 제 1 방전 전극(330a) 간의 이격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공극(340)의 Z 방향 길이 즉, 두께(Hs)는 공극(340)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고, 방전 영역(341)의 높이 또는 두께를 의미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length (length in the X direction) (L S ) and the width (transition in the Y direction) (W S ) of the void 340 are the length (length in the X direction) and the width (length in the Y direction) of the discharge region 341 ) Can be formed larger than. In addition, the distan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void 340 may be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to
공극(340) 중, 방전 영역(341)의 하부는 제 1 방전 전극(330a)과 연결 또는 접하고, 상부는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과 연결 또는 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1 내지 제 4 공극(340a, 340b, 340c, 340d) 각각의 방전 영역(341)의 하부는 제 1 방전 전극(330a)과 연결 또는 접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공극(340a)의 방전 영역(341) 상부는 제 2 방전 전극(332), 제 2 공극(340b)의 방전 영역(341) 상부는 제 3 방전 전극(333), 제 3 공극(340c)의 방전 영역(341) 상부는 제 4 방전 전극(334), 제 4 공극(340d)의 방전 영역(341) 상부는 제 5 방전 전극(335)의 상부와 연결 또는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mong the voids 340, a lower portion of the
그리고, 방전 영역(341)의 외측 즉, 열 차단 영역(342)은 방전 영역(341)이 제 6 시트(126)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이격될 수 있도록 방전 영역(341) 외측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공극(340)의 중심부에는 방전 영역(341)이 형성되고, 가장자리부에는 열 차단 영역(342)이 형성된다. 그리고, 방전 영역(341)은 적층체(10000) 또는 시트(100)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공극(340)은 제 6 시트(126)를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공극(340)은 상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공극(340)의 하부는 제 1 방전 전극(330a)에 의해, 공극(340)의 상부는 제 2 내지 제 5 방전 전극(332, 333, 334, 335)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즉, 공극(340)은 적층체(1000)의 외부와 차단될 수 있고, 방전 영역(341)은 적층체(1000) 또는 시트(100)와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void 340 is formed through the
복수의 공극(340a, 340b, 340c, 340d) 각각의 길이(X 방향 길이)(Ls)는 복합 소자의 전체 길이(Lc)에 대해 3%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로 마련될 수 있다(도 24 참조). 또한, 공극(340)의 폭(Y 방향 길이)(Ws)은 복합 소자의 전체 폭(Wc)에 대해 3%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로 마련될 수 있다(도 5 참조).The length (length in the X direction) (L s )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oids (340a, 340b, 340c, 340d) is 3% to 45%, preferably 5% to 40% of the total length (L c ) of the composite element It can be provided as (see Fig. 24). In addition, the width (length in the Y direction) (W s ) of the void 340 may be 3% to 45%, preferably 5% to 40% with respect to the total width (W c ) of the composite device (Fig. 5).
또한, X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41)의 중심에서 공극(340)의 끝단까지의 길이(As)는 복합 소자의 절반 길이(Lc/2)의 3%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로 마련될 수 있다(도 24 참조). 또한, Y 방향을 기준으로, 방전 영역(341)의 중심에서 공극(340)의 끝단까지의 길이 즉, 폭(Bs)은 복합 소자의 절반 폭(Wc/2)의 3%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로 마련될 수 있다(도 5 참조).In addition, based on the X direction, the length (A s ) from the center of the
공극(340)의 두께(Z 방향 길이, Hs)는 두께 방향(Z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또는 공극(340)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 다른 영역에 비해 가장자리 영역의 두께가 작도록 형성되며, 연장 방향의 끝단의 두께가 가장 작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공극(340)의 가장자리 영역은 방전 영역(341)과 멀어질수록 점차 그 두께(Hs)가 점차 감소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두께 감소 기울기가 일정하지 않고 가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 영역의 각도(θ) 또는 그 끝단의 각도(θ)는 0.1°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length in the Z direction, H s ) of the void 340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edge region is small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thickness direction (Z direction) or in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void 340, It is form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end in the extending direction is the smallest. For example, the edge region of the void 340 is formed such that the thickness H s gradually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그리고,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과전압 보호부(300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변형예들이 적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즉, 과전압 보호부(3000)의 공극(340)은 앞에서 설명한 변형예들과 상호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예컨대, 공극(340)은 방전 영역(341)으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그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는데, 도 6에 도시된 제 1 변형예와 같이 두께 감소 기울기가 일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극(340)은 도 7에 도시된 제 2 변형예와 같이 방전 영역으로부터 이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제 1 기울기로 두께가 감소하다가, 소정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제 1 기울기보다 작은 제 2 기울기로 두께가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ap 340 is formed to decrease in thickness from the
다른 예로, 공극(340)은 도 8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제 3 내지 제 6 변형예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구분된 제 1 공간, 중간 공간 및 제 3 공간을 가지는 알파벳 'H'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void 340 may have an alphabet'H' having a first space, an intermediate space, and a third space di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n the third to sixth modified examples described in FIGS. 8 to 11. I can.
4. 외부 전극4. External electrode
외부 전극(4100 내지 4600; 4000) 복수개로 마련되어 적층체(1000)의 외면에서 형성되어, 노이즈 필터부(6000)의 인출 전극(611 내지 641)과, 과전압 보호부(3000)의 방전 전극(330a, 330b)과 연결된다. 적층체(1000)의 외측면 중, 과전압 보호부(3000)의 제 1 방전 전극(330a)의 양 끝단이 노출되는 면 즉, 제 1 및 제 2 면에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100, 4200)이 형성된다. 이에, 제 1 방전 전극(330a)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100, 4200)과 연결된다.A plurality of
또한, 적층체(1000)의 외측면 중, 제 1 및 제 2 인출 전극(611, 621) 또는 제 2 및 제 3 방전 전극(332, 333)이 노출되는 제 3 면에 제 3 및 제 4 외부 전극(4300, 4400)이 형성되고, 제 3 및 제 4 인출 전극(631, 641) 또는 제 4 및 제 5 방전 전극(334, 335)이 노출되는 제 4 면에 제 5 및 제 6 외부 전극(4500, 4600)이 형성된다. 이에, 제 2 방전 전극(332)은 제 3 외부 전극(4300), 제 3 방전 전극(333)은 제 4 외부 전극(4400), 제 4 방전 전극(334)은 제 5 외부 전극(4500), 제 5 방전 전극(335)은 제 6 외부 전극(4600)과 연결된다.In addition,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상술한 제 1 및 제 2 실시예 따른 복합 소자는 과전압 보호부 및 캐패시터부 및 노이즈 필터부 중 어느 하나의 기능부를 포함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합 소자는 과전압 보호부(3000), 캐패시터부(2000) 및 노이즈 필터부(6000)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n example in which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cludes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 capacitor unit, and a noise filter un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mposit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ll of the
도 2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의 분해 사시도이다.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소자는 복수의 시트(100; 121 내지 129)가 적층된 적층체(1000)와, 적층체(1000) 내부에 구비되는 과전압 보호부(3000), 노이즈 필터부(6000) 및 캐패시터부(2000), 적층체(1000) 외부에 마련된 외부 전극(4100 내지 4600; 4000)을 포함한다.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여기서, 과전압 보호부(3000) 및 노이즈 필터부(6000)는 상술한 제 2 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과전압 보호부(3000) 및 노이즈 필터부(60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캐패시터부(2000)는 예컨대, 노이즈 필터부(60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캐패시터부(2000)는 제 8 시트(128), 제 8 시트(128) 상에 형성된 제 1 내부 전극(201), 제 8 시트(128) 및 제 1 내부 전극(201) 상에 형성된 제 9 시트(129), 제 9 시트(129) 상에 형성된 제 2 내부 전극(202)을 포함한다.The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01, 202)은 제 3 내지 제 6 외부 전극(4300, 4400, 4500, 4600) 중, 대향되는 두 측면에 형성된 외부 전극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 1 내부 전극(201)은 적층체(1000)의 제 4 면에 형성된 제 6 외부 전극(4600)과 연결되고, 제 2 내부 전극(202)은 적층체(1000)의 제 3 면에 형성된 제 4 외부 전극(4400)과 연결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 내부 전극(201, 202)과 연결된 내부 전극은 접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 소자의 과전압 보호부는, 방전 전극 사이에 방전 영역을 마련하는데 있어서, 방전 영역이 시트와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형성한다. 즉, 방전 영역에 비해 큰 면적을 가지도록 공극을 마련하고, 상기 공극 내에 방전 영역이 수용되는 형태가 되도록 과전압 보호부를 마련한다. 이에 따라 방전 영역 그 주위의 적층체(1000)와 접촉되지 않으며, 방전 영역의 외측에 방전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열 차단 영역이 마련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of the composite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roviding a discharge region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the discharge reg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without contacting the sheet. That is, a void is provided to have a larger area than the discharge region, and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is provided so that the discharge region is accommodated in the void. Accordingly, there is no contact with the
따라서, ESD 등의 과전압이 방전 영역으로 바이패스 될 때, 상기 방전 영역에서 발생된 열은 열 차단 영역을 거치므로, 열이 시트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전 영역으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시트에 그레인(grain)이 성장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이를 다른 말로 표현하면 과전압 또는 열에 대한 내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방전 영역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누설 전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과전압 보호부 또는 복합 소자의 품질 저하를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n overvoltage such as ESD is bypassed to the discharge region, heat generated in the discharge region passes through the heat blocking region, and thus transfer of heat to the sheet may be suppressed or prevented.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grain growth on the sheet due to heat generated from the discharge region, and in other words, resistance to overvoltage or heat is improv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leakage current from being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ed in the discharge region, and thereby suppress or prevent quality deterioration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or the composite element.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원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at is, the abov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by the clai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
1000: 적층체
2000: 캐패시터부
3000: 과전압 보호부
320: 공극
321: 방전 영역
311, 312: 방전 전극1000: laminate 2000: capacitor portion
3000: overvoltage protection unit 320: air gap
321:
Claims (18)
상기 적층체 내에 마련된 캐패시터부;
사이에 방전 영역이 마련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방전 전극 및 상기 방전 영역에 비해 큰 면적으로 마련되어, 내부에 상기 방전 영역이 수용되는 공극을 포함하며, 상기 적층체 내에서 상기 캐패시터부와 이격 형성된 과전압 보호부; 및
상기 적층체의 양 외측에서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캐패시터부 및 과전압 보호부와 연결된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
을 포함하는 복합 소자.Laminate;
A capacitor part provided in the stacked body;
A pair of discharge electrodes disposed so as to have a discharge region therebetween, at least partially facing each other, and a void provided in a larger area than the discharge region, wherein the discharge region is accommodated therein, and in the stacked body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spaced apart from the capacitor unit; And
First and second external electrodes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outer sides of the stacked body and connected to the capacitor unit and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Composite device comprising a.
상기 공극은 상기 방전 영역을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기 방전 영역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상인 복합 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oid is a composite element having a shape extending outward of the discharge region while receiving the discharge region therein.
상기 공극은 가장자리 영역이 상기 방전 영역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인 복합 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composite device having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voids decreases as the edge region is further away from the discharge region.
상기 공극은 그 두께 방향의 하부에서부터 상부 순으로 제 1 공간, 중간 공간 및 제 2 공간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은 그 두께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중간 공간에 비해 길고,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방전 영역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인 복합 소자.The method of claim 3,
The voids are divided into a first space, an intermediate space, and a second space in order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irst and second spaces have a length in a direction crossing the thickness direction compared to the intermediate space,
A composite device having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edge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paces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discharge region increases.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은 연장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방전 영역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인 복합 소자.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and second spaces have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spaces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extension direction to the discharge region increases.
상기 공극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면이 이루는 각도(θ)는 0.1°내지 50°인 복합 소자.The method of claim 3,
The composite device having an angle (θ) formed by the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edge region of the void is 0.1° to 50°.
상기 공극의 길이(LS) 및 폭(WS) 각각이 상기 복합 소자의 길이(LC) 및 폭(WC)의 5% 내지 80%인 복합 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length (L S ) and width (W S ) of the void is 5% to 80% of the length (L C ) and width (W C ) of the composite device.
상기 공극의 길이(LS) 및 폭(WS) 각각은 상기 공극의 최대 두께(HS)의 1.5배 이상, 50배 이하인 복합 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Each of the length (L S ) and width (W S ) of the void is 1.5 times or more and 50 times or less of the maximum thickness (H S ) of the void.
상기 공극은 길이, 폭 및 두께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대칭인 형상인 복합 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void is a composite device having a shape symmetrical in at least one of a length, a width, and a thickness direction.
상기 과전압 보호부는 복수개의 상기 공극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상기 공극은 상하 방향으로 나열 배치되거나, 동일 평면 상에 나열 배치된 복합 소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the voids, and the plurality of voids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r arranged on a same plane.
상기 적층체 내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방전 전극 및 상기 적층체 내에서 상기 방전 전극 간의 이격거리보다 길게 형성된 수평 거리를 가지는 공극을 포함하는 과전압 보호부;
상기 적층체 내에 마련되며, 상기 과전압 보호부와 다른 기능을 가지는 기능부;
상기 적층체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기능부 및 과전압 보호부와 연결된 외부 전극;
을 포함하는 복합 소자.Laminate;
An overvoltage protection unit including discharge electrode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stacked body, and a void having a horizontal distance formed longer tha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in the stacked body;
A functional unit provided in the stacked body and having a fun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An external electrode formed outside the laminate and connected to the functional unit and th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Composite device comprising a.
상기 공극은 적어도 상기 방전 전극 사이에 형성된 방전 영역 및 상기 방전 영역의 외측에 형성된 열 차단 영역을 포함하는 복합 소자.The method of claim 11,
The voids include at least a discharge region formed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s and a heat blocking region formed outside the discharge region.
상기 공극의 가장자리 영역은 상기 방전 영역과 멀어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형상인 복합 소자.The method of claim 12,
The composite device having a shap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edge region of the void de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discharge region increases.
상기 기능부는 캐패시터부 및 노이즈 필터부 중 적어도 하나를 가지는 복합 소자.The method of claim 11,
The functional unit is a composite device having at least one of a capacitor unit and a noise filter unit.
상기 기능부는 노이즈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이즈 필터부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패턴 및 상기 코일 패턴에 연결된 인출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공극은 상기 인출 전극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마련된 복합 소자.The method of claim 14,
The functional unit includes a noise filter unit,
The noise filter unit includes at least one coil pattern and a lead electrode connected to the coil pattern,
The composite device is provided with the same number of voids as the number of lead electrodes.
상기 공극의 길이(LS) 및 폭(WS) 각각이 상기 복합 소자의 길이(LC) 및 폭(WC)의 3% 내지 45%인 복합 소자.The method of claim 15,
Each of the length (L S ) and width (W S ) of the void is 3% to 45% of the length (L C ) and width (W C ) of the composite device.
상기 내부 회로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 어느 한 항의 기재의 복합 소자가 마련된 전자 기기.Contains internal circuitry,
An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composite elemen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is provided in the internal circuit.
상기 복합 소자는 상기 내부 회로를 통해 바이패스시키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17,
The electronic device bypassing the composite element through the internal circuit.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0/003783 WO2020204416A1 (en) | 2019-04-05 | 2020-03-19 | Complex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TW109109402A TW202105422A (en) | 2019-04-05 | 2020-03-20 | Complex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0040417 | 2019-04-05 | ||
KR1020190040417 | 2019-04-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7843A true KR20200117843A (en) | 2020-10-14 |
Family
ID=72847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5797A Ceased KR20200117843A (en) | 2019-04-05 | 2020-02-10 | Complex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00117843A (en) |
TW (1) | TW202105422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1843A (en) | 2015-05-07 | 2016-11-16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Device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
-
2020
- 2020-02-10 KR KR1020200015797A patent/KR20200117843A/en not_active Ceased
- 2020-03-20 TW TW109109402A patent/TW202105422A/en unknow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31843A (en) | 2015-05-07 | 2016-11-16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Device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2105422A (en) | 2021-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8797B1 (en) | Laminate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US20190333700A1 (en) | Complex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 |
KR102084737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lex component and the complex component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TWI684324B (en) | Circuit protection device | |
KR101828991B1 (en) | Complex prot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170135146A (en) | Contact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 |
KR101949442B1 (en) | Complex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900881B1 (en) | Laminate type device | |
KR102053356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lex component and the complex component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789243B1 (en) | Complex prot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200117843A (en) | Complex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2053355B1 (en) | Laminated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180044018A (en) | Circuit protection device | |
KR20180065008A (en) | Complex prot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934084B1 (en) | Complex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2227327B1 (en) | Complex component | |
KR101828990B1 (en) | Complex prot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825696B1 (en) | Chip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2335084B1 (en) | Complex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842212B1 (en) | Contact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2522082B1 (en) | Laminated device | |
KR20180062988A (en) | Complex prot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20180066003A (en) | Contact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10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